id
stringlengths 36
57
| type
stringclasses 4
values | title
stringlengths 0
159
| context
stringlengths 121
17.2k
| questions
listlengths 1
584
|
|---|---|---|---|---|
0042c206-55ba-406c-9580-8ef16e21978b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1>서 론</h1><p>천연물화학 연구분야에서 활성유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과 스케일 업 분취방법은 효율적인 기술이며, 20세기 초반 분석 연구자, 약리학자 및 독성 연구 학자들이 널리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1950년대부터 공식적으로 개념화 되어 현재 정부 및 연구 기관을 비롯한 학계와 전 세계 실험실에서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치료제를 발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신약개발에서 원료소재(BRM, Botanical Raw Material)와 원료의약품(DS, Drug Substance) 표준화(CMC, Chemistry, Manufacturing, Control)의 처음부터 최종단계까지 활용되는 연구방법들 중 하나이다. 천연물소재 연구는 일반적으로 추출물에서 활성을 스크리닝 하기 위한 분석법에서 수행되는 다음의 5 단계 워크플로우로 구성된다. 1) 용매를 사용하여 분쇄시료로부터 대사 물질을 추출하고, 2) 추출된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분획화, 3) 각 분획물들의 생리활성 검정 스크리닝, 4) 생리활성 분획으로부터 선정된 대사체의 분리, 5) 분리된 순수 단일성분들의 구조분석 그리고 생리활성의 효능 평가와 메커니즘 규명으로 진행한다. 때때로 활성유도분획법과 스케일 업을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분리하는 동안 몇 가지 실패와 함정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생리활성 화합물이 반복적인 칼럼을 통해 분리 중에 분해되거나 생리활성 화합물이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여 효율적으로 분리 할 수 없고, 다양한 화합물들과 생리활성 사이에서 복합적인 시너지 효과(MCMT, multi-component multi-target)에 의해 일어날수 있다. 분리 할 수 없고, 다양한 화합물들과 생리활성 사이에서 복합적인 시너지 효과(MCMT, multi-component multi-target)에 의해 일어날수 있다.</p><p>본 연구에서 사용된 약재인 속 썩은 풀의 뿌리인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주로 동아시아 일대에 서식하고 한방에서 농혈 등의 약으로 쓰며 해열, 이뇨, 항균, 항진균, 혈압강하, 혈당상승 효능 등이 보고된 중요한 약재이다. 효능의 주요성분으로 flavone 계열의 baicalin, wogonoside와 그들의 aglycone인 baicalein wogonin가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과학적인 효능 규명 연구로 anti-cancer, hepatoprotection, antibacterial, antivirall, antioxidant, anticonvulsant, neuroprotective 결과들이 보고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생리활성과 동속(골무꽃속, Scutellaria genus)에서 200종 이상의 많은 화합물들을 분리 보고한 결과를 토대로 황금의 활성 유도 분획 물로부터 수십밀리그램 수준의 미량성분들을 순수분리하기 위해 분석부터 분취까지 방법을 표준절차방법으로 확립하고 분석을 통해 지표성분들을 추적하고 나아가 분리 및 구조 동정을 완료하였다. 또한, 각각 제조된 표준 유효분획물들에 대해 지표성분 8종의 분광학적 정보를 통해 스케일 업 생산 배치별 동등성을 입증하여 제조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p>
|
[
"활성유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과 스케일 업 분취방법은 몇 년대부터 공식적으로 개념화 되었나요?",
"몇 년대부터 공식적으로 활성유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과 스케일 업 분취방법이 개념화 되었어?",
"천연물소재 연구의 5단계 중 2번째에서 어떤 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분획화나요?",
"어떻게 천연물소재 연구의 5단계 중 2번째에서 추출물을 분획화해?",
"활성유도분획법과 스케일 업을 이용한 물질 분리하는데 어떤 경우에 실패하나요?",
"어떤 경우에 활성유도분획법과 스케일 업을 사용한 물질 분리가 성공하지 못해?",
"어떤 정보를 통해 제조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했나요?",
"제조법에 대한 유효성을 어떤 정보를 통해 증명했지?",
"천연물화학 연구분야에서 효율적인 기술은 무엇인가요?",
"어떤 기술이 천연물화학 연구분야에서 효율적이야?",
"속 썩은 풀의 뿌리인 황금은 어떤 효능이 보고되어 있나요?",
"속 썩은 풀의 뿌리인 황금은 어떤 기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어?",
"속 썩은 풀의 뿌리인 황금은 주로 어디 일대에 서식하나요?",
"어느 일대가 속 썩은 풀의 뿌리인 황금의 주요 서식지야?",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생리활성과 동속에서 몇 종 이상의 화합물들을 분리했나요?",
"선행연구는 몇 종 이상의 화합물들을 각종 생리활성과 동속에서 분류했어?"
] |
f2baebcd-e6e8-4747-b6d9-11f19eccc69c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본 실험에서 사용한 중국산 황금 \( 10 \mathrm{~kg} \)은 2017년 1월 군내 유통 도매 경동시장 진흥건재약업사에서 구매하여 확보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물추출물은행(Korea Plant Extract Bank)에서 동정하고 식물표본실에 증기표본을 보관하였다(PBC-448,485).</p><h2>시약 및 기기</h2><p>Ethanol (EtOH) 용매(SK chemical, KR)는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하였으며, 타겟 화합물 분석과 분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용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과 acetonitrile (ACN),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 form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leucine enkephalin (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여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MS, Waters, Milford, MA, USA), PDA (Waters, Milford, MA, USA), HPLC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preparative-HPLC (PLC, Gilson, Middleton, WI, USA), Armen MPLC (Gilson, Middleton, WI, USA), K-Preb LAB MPLC (YMC, Kyoto, Japan) 기기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조분석을 위해 Bruker Biospin Advance Ⅱ 900 NMR spectrometer ( \( { }^{1} \mathrm{H} \) NMR \( 900 \mathrm{MHz}{ }^{13} \mathrm{C} \) NMR \( 225 \mathrm{MHz} \) ), Bruker AVANCE Ⅲ HD 700(\({ }^{1} \mathrm{H} \) NMR \( 700 \mathrm{MHz},{ }^{13} \mathrm{C} \) NMR \( \left.175 \mathrm{MHz}\right) \) Bruker AM400 ('H NMR \( 400 \mathrm{MHz}{ }^{13} \mathrm{C} \) NMR \( 100 \mathrm{MHz} \), Billerica, MA, USA)에 DMSO- \( d_{6} \) (Cambridge Isotope Laboratories, Andover, M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p><h2>황금 추출물 제조</h2><p>음건한 황금 \( 10 \mathrm{~kg} \) 다목적 분쇄기(DSMP-370, Korea)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고 \( 94 \% \) ethanol (\( 94 \% \) EtOH)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 94 \% \) EtOH 추출물(\( 1.14 \mathrm{kg}\), 수율 \( 11.4 \% \))을 얻었다.</p><h2>UPLC-QTof-MS 분석조건</h2><p>황금 칼럼분획물의 지표물질의 정성분석을 위해 UPLC-QTof-MS 분석은 BEH\( \mathrm{~C}_{18}\) (\(2.1 \times 100 \mathrm{~mm}\),\( 1.7 \mu \mathrm{m} \)) 칼럼관과 PDA 검출기, MS를 장착한 UPLC에 유속 \( 0.4 \mathrm{mL} / \mathrm{min} \) , 용매는 \(0.1 \% \) formic acid가 포함된 증류수 (A)와 ACN (B)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UPLC 이동상의 용매조성은 \(0.0-1.0 \mathrm{min} \) \(20\%\) B, \(1.0-11.0 \mathrm{min} \) \(60 \%\) B, \(11.0-12.0 \mathrm{min} \) \(60-100\%\) B, \(12.0-13.4 \mathrm{min} \) \(100\%\) B, \(13.4-13.5 \mathrm{min} \) \(20\%\) B 조건을 이용하였으며, 시료는 \( 2 \mu \mathrm{L}\) (\(1\mathrm{mg}/ \mathrm{mL}\)) 주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p><h2>HPLC-DAD 분석조건</h2><p>황금의 지표성분 화합물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HPLC에 YMC ODS AQ (\( 250 \times 4.6 \mathrm{~mm}\), \(5 \mu \mathrm{m} \)) 칼럼관과 diode array detection (DAD) 검출기를 장착하고 칼럼오븐의 온도를 \( 35^{\circ} \mathrm{C} \)로 유지하여 각 분획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A용매는 \( 0.1 \% \) formic acid가 포함된 증류수로, B용매는 \( 0.1 \% \) formic acid가 포함된 \( \mathrm{MeOH} \)으로 준비하였다. HPLC 이동상 조건은 \(0.0-5.0 \mathrm{~min} 50 \% \) B, \(5.0-50.0 \mathrm{~min}\) \(50-75 \% \) B, \(50.0-55.0 \mathrm{min}\) \(75 \% \) B, \(55.0-57.0 \mathrm{~min}\) \(75-50 \% \) B, \(57.0-60.0 \mathrm{min}\) \(50 \% \) B를 유속 \( 1.0 \mathrm{~mL} / \mathrm{min} \)로 흘렸으며, 시료는 \( 5 \mu \mathrm{L}(1 \mathrm{mg} / \mathrm{mL}) \) 주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1).</p><h2>분취기기 및 개방형칼럼을 이용한 황금 유효분획물 제조</h2><p>Preparative-HPLC에 YMC ODS AQ (\( 250 \times 20 \mathrm{~mm}\), \(10 \mu \mathrm{m} \)) 칼럼관을 장착하여 HPLC와 동일현 분석조건에서 유속을 \( 20.0 \) \( \mathrm{mL} / \mathrm{min} \)로 변경하여 흘렸으며, 시료는 \( 1.0 \mathrm{~mL}(100 \mathrm{mg} / \mathrm{mL} \) 주입하여 분취를 실시하였다. Armen MPLC에는 YMC ODS AQ (\( 250 \times 50 \mathrm{~mm}\), \(10 \mu \mathrm{m} \)) 칼럼관을 장착하고 초기 이동상 조건을 수정하여 \(0.0-10.0 \mathrm{~min}\) \(40 \%\) B, \(10.0-70.0 \mathrm{~min}\) \(40-60 \% \) B, \(70.0- 72.0 \mathrm{~min}\) \(60-76 \% \quad \) B, \(72.0-95.0 \mathrm{~min}\) \(76-100 \%\) B, \(95.0-100.0 \mathrm{~min}\) \(100 \%\) B, \(100.0-105.0 \mathrm{~min}\) \(100-40 \%\) B, \(105.0-120.0 \mathrm{~min}\) \(40 \%\) B 를 유속 \( 50.0 \mathrm{~mL} / \mathrm{min} \) 로 흘렸으며, 시료는 \( 1 \mathrm{~mL} \) 또 \( 7 \mathrm{~mL}(1 \mathrm{~g} / \mathrm{mL}) \) 주입하여 분취를 실시하였다. K-Preb LAB MPLC에는 YMC ODS AQ (\(550 \times 50 \mathrm{~mm}\), \(10 \mu \mathrm{m} \)) 칼럼관을 장착하고 이동상 초기 조건을 수정하여 \(0.0-5.0 \mathrm{~min}\) \(50 \%\) B , \(5.0-15.0 \mathrm{~min}\) \(50-60 \%\) B, \(15.0-35.0 \mathrm{~min}\) \(60-80 \%\) B, \(35.0-55.0 \mathrm{~min}\) \(80-100 \%\) B, \(55.0-57.0 \mathrm{~min}\) \(100 \%\) B, \(57.0-67.0 \mathrm{~min}\) \(100-50 \%\) B, \(67.0-88.0 \mathrm{~min}\) \(50 \%\) B를 유속 \( 80.0 \mathrm{~mL} / \mathrm{min} \)로 흘렸으며, 시료는 \( 10 \mathrm{~mL}(1 \mathrm{~g} / \mathrm{mL} )\) 주입하여 분취를 실시하였다. 개방형칼럼(open column, \( 15 \times 45 \mathrm{~cm} \)) 에서는 추출물 (\( 100.0 \mathrm{~g} \))을 Asahi C18 충진제 (\( 2.23 \mathrm{~kg} \))에 충진하고 이동상 조건을 MeOH과 DW를 혼합하여 \( 50 \%(4 \mathrm{~L}) \rightarrow 70 \%(2 \mathrm{~L}) \rightarrow 100 \%(4 \mathrm{~L}) \)를 흘려 대량 분획물을 얻었다(Table 1).</p>
|
[
"음건한 황금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기 사용한게 뭐야?",
"음건한 황금을 분쇄한 후 추출하기 전에 첨가한 것은 무엇인가?",
"추출불을 분획하기 위해 사용한게 뭐야?",
"추출물을 분획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개방형칼럼인가 폐쇄형칼럼인가?",
"중국산 황금은 어디서 구매할 수 있어?",
"중국산 황금을 구매한 장소는?",
"Ethanol 을 사용하면 황금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어?",
"황금 추출물을 추출할 때 Ethanol 을 사용하나?",
"음건한 황금에서 추출물을 어떻게 얻을 수 있어?",
"음건한 황금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황금의 지표성분 화합물들의 위치를 확인은 어떻게 할 수 있어?",
"어떤 방법으로 황금의 지표성분 화합물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나?",
"식물 표본은 어디에 보관할 수 있어?",
"식물표본실이 있어서 표본 보관이 가능한 곳은 어디인가?"
] |
c90e7275-125f-4abc-b27e-11ab1976ee98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2>표준 유효분획물의 지표성분 MS 분석</h2><p>선행문헌에 황금추출물을 이용한 LC-UV/MS분석에서 다양한 성분들에 대한 분석법과 성분들에 대한 분광학적인 정보를 토대로 표준 유효분획물내에 성분 profile하기 위해 UPLC-QTof-MS 분석하여 15분안에 검출되는 유효/지표성분 8종을 확인하였다(Fig. 4). Peak들은 \( [\mathrm{M}+\mathrm{H}]^{+} \)의 positive 모드에서 이온형태로 301,285,284,315,375,285,287,345의 \( \mathrm{m} / \mathrm{z} \) (mass-to-charge ratio) 값을 확인하였다. Table 2를 보면 UVvis 최대 흡광도, 머무름시간 (\( t_{\mathrm{R}} \)), 분자식, 예상화합물명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된 peak 8개는 peak 1 (5,7,2'-trihydroxy-8-methoxyflavone, \( t_{R}=5.25 \mathrm{~min}\), \( \mathrm{C}_{16} \mathrm{H}_{12} \mathrm{O}_{6} \) ), peak 2 (wogonin, \( t_{R}=6.94 \mathrm{~min} \), \( \mathrm{C}_{16} \mathrm{H}_{12} \mathrm{O}_{5} \) ), peak 3 (5,7-dihydroxyflavone, \( t_{R}=7.09 \mathrm{~min}\), \(\mathrm{C}_{15} \mathrm{H}_{10} \mathrm{O}_{4} \) ), peak 4 (5,7-dihydroxy-6,8-dimethoxyflavone, \( t_{R}=7.12 \mathrm{~min}\), \(\mathrm{C}_{17} \mathrm{H}_{14} \mathrm{O}_{6} \) ), peak 5 (skullcapflavone Ⅱ, \( t_{R}=7.27 \mathrm{~min}\), \(\mathrm{C}_{19} \mathrm{H}_{18} \mathrm{O}_{8} \) ), peak 6 (oroxylin A, \( t_{R}=7.38 \mathrm{~min}\), \(\mathrm{C}_{16} \mathrm{H}_{12} \mathrm{O}_{5} \) ), peak 7 (dihydrooroxylin A, \( t_{R}=7.49 \mathrm{~min}\), \( \mathrm{C}_{16} \mathrm{H}_{14} \mathrm{O}_{5} \), peak \( 8 \left(5,2^{2}\right. \)-dihydroxy-6,7,8-trimethoxyflavone, \( t_{R}=7.80 \mathrm{~min}\), \(\mathrm{C}_{18} \mathrm{H}_{16} \mathrm{O}_{7} \) )로 Reaxys와 NMR 구조동정된 성분라이브러리 그리고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PubChem, ChemSpider로 예상화합물들 정보를 비교 확인하였다. 특히 peak 3은 표준 유효분획물에서 분리된 함량이 낮아 NMR 정보 확인이 어려워 기존문헌 MS 결과 비교로 예상가능한 화합물 dihydrooroxylin A 로 확인하였다.</p><p>결론적으로 최근까지 크로마토그래픽 기술 발달로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분석에서 분취로 효과적인 스케일 업 방법이 많이 보고되었지만 황금소재를 이용한MG53-IRS-1 결합 억제 활성 윤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을 통해 HPLC분석에서 MPLC, 개방형칼럼 분취 스케일 업 연구를 통해 표준 유효분획물을 쉽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조건 및 제조공정에 대한 표준절차방법을 처음 확립하였다. 또한 유효성이 검정된 TLC, HPLC, UPLC-QTof-MS 크로마토그렘을 통해 fingerprint 및 profile을 비교하여 각각의 분취된 표준 유효분획물들은 8개의 flavone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동등한 분획물들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분리된 개의 지표성분은 NMR 구조동정 및 MS 분석을 통해 분광학직 정보를 셍산하여 구축하였고, 추후 MG53-IRS-1 결합 억제 활성 검정, 메커니즘 규명, in vivo 연구 용도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p>
|
[
"황금소재를 이용한MG53-IRS-1 결합 억제 활성 윤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을 통해 HPLC분석에서 MPLC, 개방형칼럼 분취 스케일 업 연구를 통해 표준 유효분획물을 쉽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조건 및 제조공정에 대한 표준절차방법을 처음 확립하였는가?",
"MPLC, 개방형칼럼 분취 스케일 업 연구를 통해 표준 유효분획물을 쉽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조건 및 제조공정에 대한 표준절차방법은 황금소재를 이용한MG53-IRS-1 결합 억제 활성 윤도분획법(bioassay-guided fractionation)을 통해 HPLC분석에서 처음 성립한 것이 맞나요?",
"유효성이 검정된 TLC, HPLC, UPLC-QTof-MS 크로마토그렘을 통해 fingerprint 및 profile을 비교하여 각각의 분취된 표준 유효분획물들은 8개의 flavone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동등한 분획물들임을 확인하였는가?",
"fingerprint 및 profile을 비교하여 각각의 분취된 표준 유효분획물들은 유효성이 검정된 TLC, HPLC, UPLC-QTof-MS 크로마토그렘을 통해 8개의 flavone 지표성분을 함유하는 동등한 분획물들임을 확인하였는가?",
"황금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분석법은 뭐야?",
"무슨 분석법 사용하면 황금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나요?",
"LC-UV/MS분석법에 사용되는 학문은 뭐야?",
"LC-UV/MS분석법은 무슨 학문을 사용하나요?",
"황금추출물은 LUPLC-QTof-MS 분석을 통해 유효지표성분을 확인할 수 있어?",
"유효지표성분은 황금추출물을 이용한 LUPLC-QTof-MS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가?",
"크로마토그래픽 기술을 통해 천연물 소재를 분석할 수 있어?",
"천연물 소재는 크로마토그래픽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가?",
"유효성이 검증된 크레마토그렘 방법중에 TLC가 있어?",
"크레마토그렘 방법중에 TLC가 유효성이 검증되었는가?",
"유효성이 검증된 크레마토그렘 방법중에 HPLC가 있어?",
"크레마토그렘 방법 중에 HPLC가 유효성이 검증되었는가?",
"천연물소재를 분석 및 분취할 수 있는 방법이 뭐야?",
"무슨 방법으로 천연물소재를 분석 및 분취할 수 있는가?",
"UPLC-QTof-MS 분석을 통해서 분석 물질의 분자식을 알 수 있어?",
"분석 물질의 분자식을 UPLC-QTof-MS 분석을 활용하여 알 수 있는가?",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뭐야?",
"어떤 분석 방법이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분석에서 활용할 수 있는가?"
] |
50c2a1fb-9c00-4110-b348-f99e299b679e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1>초 록</h1><p>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cutellariae Radix)는 이뇨제, 고지혈증, 항박테리아, 항알레르기, 항염증제 및 항암제와 같은 건강보존식 및 전통 생약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복잡한 S baicalensis 추출물에서 지표 물질 또는 유효화합물들을 분리하는 것은 신원 확인 및 생리활성 평가를 위한 필수직인 단계다. 8개의 성분들로 구성된 타겟 분획물을 두개의 gradient elution를 사용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석하였다. 중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및 개방형칼럼으로 분취를 시뮬레이션함으로 예비실험에서 충분히 분리가 되도록 용리 조건을 결정할 수 있었다. 최적 분취방법으로 확보된 표준 유효분획물로부터 8개의 지표성분들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획물은 UPLC-QTof-MS 비교 분석으로 MS, UV, HRESIMS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케일 업 실험법은 S. baicalensis 추출물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다.</p>
|
[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cutellariae Radix)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무슨 목적을 가지고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cutellariae Radix) 이용되었는가?"
] |
4a617561-8318-4054-bb52-a13f3d1576f3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2>Peak 5 (skullcapflavone II)</h2><p>노란색 분말, HRESIMS \( m / z 375.1052\left[\mathrm{M}+\mathrm{H}^{+}\right. \)(calcd for \( \left.\mathrm{C}_{19} \mathrm{H}_{19} \mathrm{O}_{8} 375.1080\right)\), \( \lambda_{\max }(\mathrm{MeOH}) 266,310,352 \mathrm{~nm}\) .\({ }^{1} \mathrm{H}- \mathrm{NMR} \left(400 \mathrm{MHz}, \mathrm{DMSO}-d_{6}\right)\). \(\delta_{\mathrm{H}} 6.34 (\mathrm{1H}. \mathrm{s}, \mathrm{H-3})\), \( 6.62 (\mathrm{1H}, \mathrm{dd}, \left.\mathrm{J}=8.4,1.2 \mathrm{~Hz}, \mathrm{H}^{-3}\right)\), \(7.32(1 \mathrm{H}, \mathrm{t}, \mathrm{J}=8.0 \mathrm{~Hz}, \mathrm{H}-4' )\) , \(6.62 (\mathrm{H}, \mathrm{dd}, \mathrm{J}=8.4,1.2 \mathrm{~Hz}, \mathrm{H}-5^{\prime})\), \(4.01 (\mathrm{3H}, \mathrm{s}, \mathrm{7-OCH} ) \),\( 3.82\left(3 \mathrm{H}, \mathrm{s}, 6-\mathrm{OCH}_{3}\right)\), \(3.80\left(3 \mathrm{H}, \mathrm{s}, 8-\mathrm{OCH}_{3}\right), 3.75(3 \mathrm{H}, \mathrm{s} \),\( \left.6-\mathrm{OCH}_{3}\right), 12.64(1 \mathrm{H}, \mathrm{s}, 5-\mathrm{OH})\), \(10.15\left(1 \mathrm{H}\right. , \mathrm{s}, \left.2^{\prime}-\mathrm{OH}\right){ }^{13} \)\(\mathrm{C}- \mathrm{NMR} \left(100 \mathrm{MHz}, \mathrm{DMSO}_{-d_{6}}\right) \quad \delta_{\mathrm{C}} 162.4(\mathrm{C}-2), 111.9 \quad(\mathrm{C}-3) \),\( 182.5(\mathrm{C}-4)\), \(146.2 (\mathrm{C}-5)\), \( 135.8 (\mathrm{C}-6)\), \( 152.6 (\mathrm{C}-7)\), \( 132.5 (\mathrm{C}-8)\), \(148.5(\mathrm{C}-9)\), \(108.9(\mathrm{C}-10)\), \(106.3\left(\mathrm{C}-1^{\prime}\right)\), \(156.6 (\mathrm{C}-2')\),\( 108.8\left(\mathrm{C}-3^{\prime}\right)\), \(132.5\left(\mathrm{C}-4^{\prime}\right)\), \(102.3\left(\mathrm{C}-5^{\prime}\right)\), \(158.3\left(\mathrm{C}-6^{\prime}\right)\), \(60.6\left(6-\mathrm{OCH}_{3}\right)\), \(61.5\left(7-\mathrm{OCH}_{3}\right)\), \(61.7\left(8-\mathrm{OCH}_{3}\right)\), \(55.9\left(6-\mathrm{OCH}_{3}\right) \).</p><h2>Peak 6 (oroxylin A)</h2><p>노란색 분말, HRESIMS \(m/z 285.0746[\mathrm{M}+\mathrm{H}]^{+} \)(calcd for \( \left.\mathrm{C}_{16} \mathrm{H}_{13} \mathrm{O}_{5} 285.0763\right) \), \( \lambda_{\max }(\mathrm{MeOH}) 250,264,314 \mathrm{~nm}.\) \({ }^{1} \mathrm{H}- \mathrm{NMR} (400 \mathrm{MHz})\), \(\mathrm{DMSO}-d_{6} \delta_{\mathrm{H}}\) \(6.95 \mathrm{1H}. \mathrm{s}, \mathrm{H-3})\), \( 6.63 \left(1 \mathrm{H}\right. , \mathrm{s}, \mathrm{H-8})\), \( 8.05\left(1 \mathrm{H}, \mathrm{dd}, J=6.4,1.6 \mathrm{~Hz}, \mathrm{H}-2^{\prime}\right)\), \(7.58 (\mathrm{3H}, \mathrm{m}, \mathrm{H-3'}, 4', 5')\), \(8.05 (\mathrm{1H}, \mathrm{dd}, J=6.4,1.6 \mathrm{~Hz}, \mathrm{H}-6')\), \( 3.76\left(3 \mathrm{H}, \mathrm{s}, 6-\mathrm{OCH}_{3}\right)\), \(10.79(1 \mathrm{H}, \mathrm{s}, 7-\mathrm{OH})\), \(12.92(1 \mathrm{H}, \mathrm{s} \), \( 5-\mathrm{OH}) ;{ }^{13} \mathrm{C}-\mathrm{NMR}\left(100 \quad \mathrm{MHz}, \mathrm{DMSO}-d_{6}\right) \quad \delta_{\mathrm{C}} 163.2 (\mathrm{C}-2)\), \( 104.6 (\mathrm{C}-3)\), \( 182.2 (\mathrm{C}-4)\), \( 152.7 (\mathrm{C}-5)\), \( 130.7 (\mathrm{C}-6)\), \( 157.6 (\mathrm{C}-7)\), \( 94.4 (\mathrm{C}-8)\), \( 152.5 (\mathrm{C}-9)\), \( 104.3 (\mathrm{C}-10)\), \( 131.5 (\mathrm{C}-1')\), \( 126.4 (\mathrm{C}-2')\), \( 129.1 (\mathrm{C}-3')\), \( 132.0 (\mathrm{C}-4')\), \( 129.1 (\mathrm{C}-5')\), \( 126.4 \left(\mathrm{C}-6^{\prime}\right)\), \(59.9\left(6-\mathrm{OCH}_{3}\right) \)</p><h2>Peak 7 (dihydrooroxylin A)</h2><p>노란색 분말, HRESIMS \( m / z=287.0898[\mathrm{M}+\mathrm{H}]^{+} \)(calcd for \( \left.\mathrm{C}_{16} \mathrm{H}_{15} \mathrm{O}_{5}, 287.0919\right)\), \(\lambda_{\max }(\mathrm{MeOH}) 231,295 \mathrm{~nm}\) .\({ }^{1} \mathrm{H}-\mathrm{NMR} (400 MHz, DMSO-d \left.d_{6}\right)\delta_{\mathrm{H}}\) \(5.56(1 \mathrm{H} , \mathrm{dd}, J=13.0,3.0 \mathrm{HZ} \mathrm{H}- 2)\), \( 2.49 (\mathrm{1H}, \mathrm{dd}, J=17.1,3.0 \mathrm{HZ}, \mathrm{H}-3)\), \(3.24(1 \mathrm{H}, \mathrm{dd}, J= 17.1, 13.0 \mathrm{HZ}\), \(\mathrm{H}-3)\), \(6.01(1 \mathrm{H}, \mathrm{s}, \mathrm{H}-8)\), \(7.37-7.52 (5H, s, \left.\mathrm{H}^{\prime}-6^{1}\right)\), \(3.66\left(3 \mathrm{H}, \right. \mathrm{s}, \mathrm{6-OCH} \left.{ }_{3}\right)\) \(12.16\left(1 \mathrm{H}\right. , \mathrm{s}, \mathrm{5-OH})\); \( { }^{13} \mathrm{C}- \mathrm{NMR} (175 \left.\mathrm{MHz}, \mathrm{DMSO}-d_{6}\right)\) \(\delta_{\mathrm{C}} 78.4 \quad(\mathrm{C}-2)\), \(42.1 (\mathrm{C}-3) \), \( 196.6(\mathrm{C}-4)\), \(157.8(\mathrm{C}-5)\), \(129.1 (\mathrm{C}-6)\), \( 159.6(\mathrm{C}-7)\), \(95.1 (\mathrm{C}-8)\), \( 155.1 (\mathrm{C}-9)\), \( 101.8(\mathrm{C}-10)\), \(138.7\left(\mathrm{C}-1^{\prime}\right)\), \(126.6\left(\mathrm{C}-2^{\prime}\, 6^{\prime}\right) \), \( 128.5\left(\mathrm{C}-3^{\prime}, 4^{\prime}, 5^{\prime}\right)\), \(60.0\left(6-\mathrm{OCH}_{3}\right) \)</p><h2>Peak 8 (5,2'-dihydroxy-6,7,8-trimethoxyflavone)</h2><p>노란색 분말, HRESIMS \( m / z=345.0964[\mathrm{M}+\mathrm{H}]^{+} \)(calcd for \(\mathrm{C}_{18} \mathrm{H}_{17} \mathrm{O}_{7}\), \(345.0974 \), \(\lambda_{\max }(\mathrm{MeOH})\) \(277,337 \mathrm{~nm}\) .\({ }^{1} \mathrm{H}-\mathrm{NMR} \left(700 \mathrm{MHz}, \mathrm{DMSO}-d_{6}\right)\) \(\delta_{\mathrm{H}} 7.22 (\mathrm{1H}. \mathrm{s}, \mathrm{H-3})\), \( 7.07 (\mathrm{1H}, \mathrm{d}, \left.J=8.0 \mathrm{~Hz}, \mathrm{H}-3^{\prime}\right)\), \(7.40\left(1 \mathrm{H}, \mathrm{m}, \mathrm{H}-4^{\prime}\right)\), \(7.00\left(1 \mathrm{H}, \mathrm{m}, \mathrm{H}-5^{\prime}\right) \), \( 7.87\left(1 \mathrm{H}, \mathrm{d},J=8.0 \mathrm{~Hz}, \mathrm{H}-6^{\prime}\right)\), \(3.82 (3H, s, 6- \left.\mathrm{OCH}_{3}\right) \), \( 3.89\left(3 \mathrm{H}, \mathrm{s}, 7-\mathrm{OCH}_{3}\right)\), \(4.01\left(3 \mathrm{H}\right. , \mathrm{s}, \mathrm{8-OCH} \left.\mathrm{OCH}_{3}\right)\), \(12.73(1 \mathrm{H}, \mathrm{s} , 5-\mathrm{OH}) ;{ }^{13} \mathrm{C}-\mathrm{NMR} \left(175 \mathrm{MHz}, \mathrm{DMSO}-d_{6}\right)\) \(\delta_{\mathrm{C}} 162.1 (\mathrm{C}-2) \),\( 106.2(\mathrm{C}-3)\), \(182.8(\mathrm{C}-4)\), \(148.9(\mathrm{C}-5)\), \(135.7 (\mathrm{C}-6)\), \(158.4 (\mathrm{C}-7)\), \(132.6 (\mathrm{C}-8)\), \( 145.4 (\mathrm{C}-9)\), \( 103.9(\mathrm{C}-10)\), \( 117.6 (\mathrm{C}-1')\),\( 158.4 (\mathrm{C}-2')\), \( 117.0 (\mathrm{C}-3')\), \( 133.1\left(\mathrm{C}-4^{\prime}\right)\), \(119.0\left(\mathrm{C}-5^{\prime}\right)\), \(128.2 \left(\mathrm{C}-6^{\prime}\right)\), \(61.0\left(6-\mathrm{OCH}_{3}\right)\), \(61.8\left(7-\mathrm{OCH}_{3}\right)\), \(61.4\left(8-\mathrm{OCH}_{3}\right) \).</p>
|
[
"Dihydrooroxylin A의 질량대 전하비가 287.0898 이야?",
"NMR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 뭐야?",
"Skullcapflavone II의 질량대 전하비는 얼마야?",
"Oroxylin A의 질량대 전하비는 얼마야?"
] |
e6593d4a-7cb2-49bf-a72f-41a95644a855
|
생명LA
|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 유효분획물 제조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접근방법
|
<h1>결과 및 고찰</h1><h2>활성유도분획법으로 황금 유효분획물 선정</h2><p>제2형 당뇨 치료를 위한 새로운 타겟으로 인슐린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MG53 신규 단백질을 타겟으로 황금추출물에서 활성 유도분획법을 통해 칼럼분획물로부터 MG53-IRS-1 결합 억제 스크리닝을 통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갖는 유효분획물 Fr. 10번을 선발하였고 MID에 활성을 나타낸 타겟 성분을 순수분리 연구를 실시하였다(data not shown). 그러므로 유효성분 규명 및 in vivo 실험을 위한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Fr. 10번과 동등하고 유사한 패턴으로 지표물질들이 다량 함유된 표준 유효분획물 대량제조가 필요하여 분취 스케일 업 연구를 실시하였다.</p><h2>분취를 위한 HPLC 분석조건 확립</h2><p>산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비용단가 문제가 가장 큰 이슈이며 개발 초기단계 전부터 원료소재 확보를 비롯한 분석, 생산 등에 대해 고민하여 진행해야 한다. 최적의 분석조건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산업적으로 활용이 어려운 ACN이 아닌 MeOH 용매를 기본으로 하는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선행문헌을 통해 다양한 분석조건을 검토하였지만 목표로 하는 유효분획물에 포함된 지표성분 8종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분석조건은 확인되지 않았다. 반복적인 분석조건 개발 및 검정을 통해 확립된 분석조건은 Table 1과 같으며, 크게 4개의 peak를 검출할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였다(Fig. 1A). 검출된 4개의 peak들은 flavone의 구조로 매우 유사한 극성과 형태로 존재하여 MeOH을 분석조건에서 낮은 resolution과 overlapping으로 정확하게 분리되지 않았다. 그러나 표준 유효분획물에 포함된 8종의 지표성분들을 순수 분리하여 NMR을 이용한 구조동정과 분리된 표준폼을 이용한 MS 성분비교 추적을 통해 화합물들이 peak 1,2 , peak 3,4 , peak 5,6 , peak 7,8 번이 각각 하나의 peak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h2>분석에서 분취까지 스케일 업 연구</h2><p>Preparative-HPLC, MPLC, 개방형칼럼과 호환되는 효율적이고 예측 가능한 순수 단일성분 분리 및 정제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석 HPLC와 분취 칼럼크로마토그래피 사이에서 동등한 선택성과 성능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스케일 업을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이론에 대해 이해하고 숙달해야 한다. 또한 gradient elution 방법을 수정보완하고 추출물 샘플 주입 중 분취 장비의 역압(Back pressure)의 증가로 일어나는 초기 유속 감소를 피하기 위해 충분히 잘 녹이는 용매와 초기 유속을 저속으로 하여 확산을 방지하고 스테인레스 상업용 분취용 칼럼과 최대 \(100-200 \mathrm{bar} \) 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2개의 분취용 Armen MPLC과 K-Preb LAB기기를 사용하여 겪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다.</p><p>HPLC 분석조건에서 확인된 MeOH/DW를 이동상으로 하는 gradient elution과 유속 \(1.0\mathrm{mL} / \mathrm{min} \)조건에서 확인된 분석조건을 기반으로 칼럼의 직경이 18.9배 늘어남에 따라 동일한 조건에서 prep. scale-up calculator (https://ymc.de/preparative-lc-scale-up-calculator.html)를 이용하여 유속을 약 \(20.0\mathrm{mL} / \mathrm{min} \)로 증가시켜 preparative-HPLC와 Armen MPLC 분취실험을 진행하였다. Preparative-HPLC결과에서는 \(100 \mathrm{mg} \) 추출물에서 HPLC 비교로 동일한 패턴을 보임을 확인(Fig. 1B)하여 MPLC에 추출물 \( \mathrm{g} \) 로딩하여 Frs. \( +8\) 번 \(179.1 \mathrm{mg} \)을 \(17.9 \% \)의 수율, 추출물 \( 7 \mathrm{g} \) 일 때는 Frs. \( 7+8 \) 번 \(1232.4 \mathrm{mg} \)을 \(17.6 \% \)의 수율로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Fig. 1C, D). 황금 추출물을 \(10 \mathrm{g} \)을 로딩한 K-Preb LAB에 스케일 업 진행에서는 칼럼 직경이 118.1배 늘어남에 따라 유속을 약 \(100.0 \mathrm{mL} / \mathrm{min} \)로 증가시켜 Frs. 2-5번 (\(1684.4 \mathrm{mg} \) )을 \(16.8 \% \)의 수율로 유사하게 확보하였다(Fig. 1E). 연속적으로 대량 표준 유효분획물 스케일 업 제조를 위해 개방형칼럼을 이용하여 황금추출물 \(100 \mathrm{g} \)을 유사한 이동상 조건 \(50 \% \) MeOH \(20\mathrm{L}\), \(70 \%\) MeOH \(16 \mathrm{L}\), \(100\%\) MeOH \(12\mathrm{L}\) 순서로 용출하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이를 5회 반복하여 표준 유효분획물을 대량으로 Frs. \( 2+3 \) 번 \(127.4( \mathrm{g}) \) 을 \(12.7\% \)의 수율로 확보하고 HPLC, preparative-HPLC, MPLC 크로마토그램과 동일한 패턴을 나타냄을 최종확인 하였다(Fig. 2). 초기 활성유도분획법으로 선정한 활성 분획물 Fr. 10번과 동일한 표준 유효분획물을 확보하기 위해 스케일 업 진행한 각각의 시료를(Armen MPLC Frs. \( 7+8 \), K-Preb LAB Frs. 2-5, 개방형 칼럼 Frs. \( 2+3 \) 에 대해 샘플농도 \(1,000 \mathrm{ppm} \) 으로 TLC (전개용매 \( 70\% \) MeOH) 및 UPLC-QTof-MS로 추출물 및 표준 유효분획물을 fingerprint 및 profiling 비교분석하여 동등성을 확인하였다(Figs. 3, 4). 반복적인 분취방법을 통해 최종 MG53-IRS-1 결합 억제제 저해 효능이 있는 표준화된 제조공정을 확립하였고 peparative-HPLC, MPLC, 개방형칼럼 유효분획물의 제조량과 회수율은 Table 1과 같으며, 분석 및 분취조건에서 확립된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및 제조공정에 대한 표준절차방법을 구축하였다.</p>
|
[
"ACN 용매를 기본으로 하는 분석조건이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쉬운가요?",
"산업적으로 ACN 용매를 기본으로 하는 분석조건을 활용하는 건 쉬워?",
"산업적 활용을 위해서 비용단가 문제는 가장 중요한 요소야?",
"비용단가 문제는 산업적 활용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요소야?",
"단일성분 분리 및 정제 최종목표 달성하기 위해서는 분석 HPLC와 분취 칼럼그로마토그래피 사이에서 동등한 선택성과 성능이 보장되어야해?",
"분석 HPLC와 분취 칼럼그로마토그래피 사이에서 동등한 선택성과 성능이 가능해야 단일성분 분리 및 정제의 최종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
"황금 추출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은 뭐야?",
"황금 추출물로 어떤 질병을 치료할 수 있어?",
"제2형 당뇨 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황금 유효분획물이 뭐야?",
"어떤 황금 유효분획물을 활용해서 제2형 당뇨를 치료할 수 있어?",
"NMR을 이용하면 구조동정을 할 수 있어?",
"구조동정은 NMR을 활용하면 되는거야?",
"산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개발 초기단계 전부터 원료소재 확보를 비롯한 분석, 생산법에 대해 고민을 해야해?",
"개발 초기단계 전부터 원료소재 확보를 비롯한 분석, 생산법에 대해 연구를 해야 산업적 활용이 가능해?",
"preparative-HPLC와 Armen MPLC 분취는 어떤 분석을 통해 할 수 있어?",
"어떤 분석을 통해서 preparative-HPLC와 Armen MPLC 분취에 대해 연구할 수 있어?",
"HPLC와 분취 칼럼크로마토그래피는 동등한 선택성과 성능을 가질 수 있어?",
"HPLC와 분취 칼럼크로마토그래피의 선택성과 성능은 동일해?",
"분취용 Armen MPLC은 최대 어느정도의 압력을 견딜수 있어?",
"분취용 Armen MPLC이 버틸 수 있는 최대 압력값은 뭐야?",
"HPLC분석물의 분취는 어떤 칼럼을 사용할 수 있어?",
"어떤 칼럼을 활용해서 HPLC분석물을 분취할 수 있어?",
"HPLC의 초기 유속 감소를 유발하는 요소는 어떤게 있어?",
"어떤 요소가 PLC의 초기 유속 감소를 유발하지?",
"HPLC, MPLC 분취 장비를 사용할때 역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뭐야?",
"HPLC, MPLC 분취 장비를 사용할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면 역압이 원인이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크로마토그래피를 스케일 업 하기 위해서는 크로마토그래피 이론을 이해하고, 실험 방법을 숙달해야해?",
"크로마토그래피 이론을 이해하고 실험 방법에 통달해야, 크로마토그래피를 스케일 업하는 게 가능해?"
] |
ddad1ecb-8ee7-4fde-a341-3cede4eb1074
|
생명LA
|
참깨 뿌리배양에 의한 hydroxymethylfurfrual 생산
|
<h1>요 약</h1><p>참깨의 뿌리를 바이오촉매로 이용한 뿌리 배양을 통하여 HMF를 생산하기 위하여 뿌리의 생장과 HMF의 합성에 적합한 뿌리배양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NAA(naphthalene acetic acid), silver nitrate의 적정 농도조건 및 적정 배양온도 조건에 대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뿌리의 생장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 30^{\circ} \mathrm{C} \)에서 NAA의 농도가 \( 1.0 \mathrm{mg} / \mathrm{l} \)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되었으며, 평균적으로 볼 때 두 배양온도 \( \left(25^{\circ} \mathrm{C}\right. \)와 \( \left.30^{\circ} \mathrm{C}\right) \)간에는 뿌리의 생장차이는 측정되지 않았다. NAA가 첨가되지 않은 처리에서는 두 배양온도 모두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전혀 생기지 않은 반면에, NAA가 첨가된 배양에서는 두 배양온도에서 뿌리의 생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 0.5 \mathrm{mg} / \mathrm{l} \)의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참깨의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 25^{\circ} \mathrm{C} \)에서 배양된 처리구 보다는 \( 30^{\circ} \mathrm{C} \)에서 배양된 뿌리의 생장이 약간 높게 나타났고, 질산은의 농도가 \( 0.5 \mathrm{mg} / \mathrm{l} \)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는 뿌리의 생장이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HMF의 합성의 경우 가장 높게 측정된 처리구는 배양온도 \( 25^{\circ} \mathrm{C} \)에서 NAA \(0.5 \mathrm{mg} / \mathrm{l} \)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측정된 반면에 NAA 무처리구에서는 HMF 합성이 측정되지 않았다. 질산은이 첨가된 처리구에서는 HMF의 합성이 오히려 억제되는 경향을 보여준 반면에 질산은의 무처리구에서 HMF의 합성이 가장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질산은의 농도가 0.5, 1.0 및 \( 1,5 \mathrm{mg} / \)로 처리된 구에서는 질산은 무처리구에 비해서 약 \( 8-10 \% \) 정도의 HMF 합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두 배양 온도 \( \left(25^{\circ} \mathrm{C}\right. \) 와 \( 30^{\circ} \mathrm{C} \) 배양) 간에도 HMF의 합성에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p>
|
[
"참깨의 뿌리를 바이오촉매로 이용한 뿌리 배양을 통하여 HMF를 생산하기 위하여 어떻게 실험을 수행했어?",
"바이오촉매로 참깨의 뿌리를 이용한 뿌리 배양을 통하여 HMF를 제조하기 위하여 실험을 어떻게 수행했어?",
"HMF의 합성의 경우 가장 높게 계측된 처리구는 뭐야?",
"HMF의 합성에서 가장 높게 측정된 처리구는 무엇인가?",
"뭐가 첨가된 처리구에서 KMF의 합성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었어?",
"HMF의 합성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처리구는 무엇이 첨가되었는가?",
"두 배양 온도는 각각 몇이야?",
"각각의 두 배양 온도는 몇도인가?"
] |
0547d017-e701-46dc-8ad6-653579f23ba4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2>3. 염기 변화율 및 아미노산 변화율</h2><p>원본 은닉 대상 서열 기준으로 워터마크가 은닉된 서열와의 염기 변화율 \( e(n) \) 은 \[\begin{array}{l} e(n)=\frac{1}{\left|\Gamma^{n c}(n)\right|\left|D_{k}^{n c}\right|} \sum_{k=1}^{\left|\Gamma_{i}^{s c}(n)\right|} \sum_{i=1}^{\mid D_{k}^{n c}|} e_{k i} \\ \text{where} ~ e_{k i}=\left\{\begin{array}{l}1, \text { if } b_{i k} \neq b_{i k}^{\prime} \\ 0, \text { if } b_{i k}=b_{i k}^{\prime}\end{array}\right. \end{array}\]<caption>(25)</caption>와 같이 데이터에 의하여 변경된 모든 염기들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림 7(b)는 수치차수 \( n \) 에 대한 염기 변화율 \( e(n) \) 을 보여준다. \( e(n) \) 은 워터마크 데이터 bpn \( b p n_{W} \) 에 대하여 의존적이며,DE-MBE 와 C-DE-MBE 방법 의 \( e(n) \) 은 \( n \) 이 3이상일 때부터 0.189와 0.370에 근접하게 나타난다. 제안한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 b p n_{W} \) 을 가지는 Chen의 방법과 Huang의 방법의 \( e(n) \) 은 0.171과 0.044로 DE-MBE 와 C-DE-MBE 방법보다 낮게 나타났다. 특히 Huang 방법은 낮은 염기 변화율 을 가지는 가역성 워터마킹 방법으로 다른 방법에 비하여 낮은 \( b p n_{W} \) 과 낮은 \( e(n) \) 을 가짐을 확인하였다.</p><p>비부호 DNA 서열은 Junk DNA으로 가정할 때, 염기 변화율이 높더라도 부호 DNA 서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안한 방법들은 부호 DNA 서열의 개시 코돈으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아미노산 서열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아미노산 변화율은 0이다. 만약 비부호 DNA 서열에서 발현 인자 조절과 같은 염기 서열이 알려졌을 경우, 허위 개시코돈 방지와 같은 방법으로 이들 서열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p>
|
[
"그림 7(b)는 무엇을 보여주나요?",
"그림 7(b)이 시사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Huang 방법은 어떤 방법인가요?",
"Huang 방법은 무엇에 관한 방법인가요?",
"염기 변화율이 높더라도 부호 DNA 서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DNA 서열은 무엇인가요?",
"DNA 서열 중에서 염기 변화율이 높은 조건에서라도 부호 DNA 서열에 독립적인 것은 무엇인가요?",
"만약 비부호 DNA 서열에서 발현 인자 조절과 같은 염기 서열이 알려졌을 때 어떤 방법으로 서열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나요?",
"비부호 DNA 서열에서 발현 인자 조절과 동일한 염기 서열이 존재할 때 서열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Huang 방법은 낮은 \\( b p n_{W} \\) 을 갖나요?",
"Huang 방법에서 \\( b p n_{W} \\)가 낮은 값을 가지나요?"
] |
4cc88b08-7a15-4057-8824-6e08c76194cc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1>Ⅳ. 실험 결과</h1><p>본 실험에서는 제안한 방법과 Chen 방법, Huang 방법의 용량 및 변이에 대한 가역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p><h2>1. 실험 환경</h2><p>실험에서 사용된 서열은 NCBI GenBank에서 제공된 것이며, 타입, 접근번호, 염기 개수, 비부호 DNA 영역 개수 정보는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부호 DNA 영역들은 다양한 염기 개수를 가지며, 매우 작은 염기 수로 구성 된 영역들은 데이터 은닉 대상에서 제외된다.</p><p>그림 6 은 수치차수 \( n \) 이 2 에서 10 일 때 은닉 대상 영역 비율 \( R_{NCD}(n) \) 와 염기개수 비율 \( R_{b a s e}(n) \) 을 보여 준다. \( n \) 이 증가할수록 \( R_{N C D}(n) \) 은 비례적으로 줄어드나, \( R_{\text {base }}(n) \) 은 \( 92 \% \) 이상을 유지한다. 본 실험에서는 수치차수 \( n \) 을 2 에서 10 까지 가변하였으며, 워터마크 bpn \(\mathrm{bpn}_{W} \) 에 최적인 수치차수를 구한 다음, 이 수치차수에 대하여 각 방법들을 비교하였다.</p>
|
[
"표 1 에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요?",
"어떤 데이터들을 제외 대상이 되나요?",
"\\( n \\) 이 증가할수록 \\( R_{N C D}(n) \\) 은 증가하나요?",
"실험에서 사용된 서열은 어디에서 재공된 것인가요?"
] |
4b4e41c5-0179-47df-a823-ae621aaac02a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3>나. DE-MBE 방법</h3><p>(1) 부호 과정 인접 수치 쌍 \( \left\{\left(x_{i}, x_{i+1}\right)\right\} \) 들 중, 임의 수치 쌍\( \left(x_{i}, x_{i+1}\right) \) 에 대한 차분 \( d_{i} \) 는 \( \quad d_{i}=x_{i}-x_{i+1} \), \( \left(\hat{x}_{i}=x_{i+1}\right) \) 이다. 이 때 확장 조건에 따라 \( d_{i} \) 의 은닉 비트수 \( k_{i} \) 가 결정된 후, \( x_{i} \) 에 순차적으로 워터마크의 \( k_{i} \) 비트 \( \left\{w_{j}\right\}_{j=1}^{k_{i}} \) 가 은닉된다.</p><p>\[x_{i}^{\prime}=x_{i+1}+2^{k_{i}} d_{i}+\alpha\left(k_{i}\right)\] \(\mathrm{where} ~ \alpha\left(k_{i}\right)=\operatorname{sgn}\left(d_{i}\right) \sum_{j=0}^{k_{i}-1} 2^{j} w_{j+1} \)<caption>(13)</caption></p><p>은닉된 계수 \( x_{i}^{\prime} \) 의 염기서열 \( \mathrm{x}_{i}^{\prime}=f^{-1}\left(x_{i}^{\prime}\right) \) 과 이전 계수 \( x_{i-1} \) 의 염기서열 \( \mathrm{x}_{i-1}=f^{-1}\left(x_{i-1}\right) \) 이 주어졌을 때, 수치 계수 내 및 수치 계수 간 개시코돈 "ATG"이 발생 할 경우, \( x_{i} \) 에 대한 은닉 비트수 \( k_{i} \) 를 하나 감소한 후 위 식에 의하여 \( k_{i} \) 비트를 은닉한다. \( k_{i} \) 가 0 이 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위의 방법에 의하여 가역 워터마크 된 영역 \( \mathrm{D}_{k}^{\prime \mathrm{nc}} \) 를 얻는다.</p><p>수치 쌍에 은닉 비트수 정보 \( K \) 는 워터마크된 비부호 DNA 영역 \( \mathrm{D}^{\prime}{ }_{k}^{\mathrm{nc}} \) 에 포함되어 전송되어져야 한다. 이 때 \( K \) 추출위한 다른 외부 정보없이 허위 개시코돈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 \mathrm{D}^{\prime}{ }_{k}^{\mathrm{nc}} \) 의 4 -문자 염기 이진수의 LSB 비트 \( B \) 와 이진 비트수 정보 \( K \) 의 부가 데이터를 산술 부호화(arithmetic coding)에 의하여 무손실 압축된 비트열 \( C \) 을 생성한다.</p><p>수치 쌍 최대 은닉 비트수가 수치 차수 \( n \) 으로 선정될 때, \( K \) 는 \( \lfloor N / 2\rfloor\left\lceil\log _{2} n\right\rceil \) 비트로 표현되며, 부가 데이터 비트는 \( \lfloor N / 2\rfloor\left\lceil\log _{2} n\right\rceil+N_{D} \) 이고, \( B \) 는 \( N_{D} \) 비트이다. 압축 비트 \( c_{j} \) 는 \( \mathrm{D}^{\prime}{ }_{k}^{\mathrm{nc}} \) 내에 4 -문자 염기 의 이진수 \( b_{i} \) 의 LSB에 차례로 은닉된다.</p><p>\( \begin{array}{l} b_{i}^{\prime \prime}=b_{i}^{\prime} \oplus c_{j}=\left(b_{i} \gg 1\right) \ll 1+c_{j} \\ \text{if}~ b_{i-2}^{\prime \prime} \neq \mathrm{'A'}~ \text{and} ~ b_{i-1}^{\prime \prime} \neq \mathrm{'T'} \end{array}\)<caption>(14)</caption></p><p>이 때, 이전 은닉된 두 개의 염기 \( \left(\mathrm{b}_{i-2}^{\prime}, \mathrm{b}_{i-1}^{\prime}\right) \) 가 "AT"일 경우, 은닉 과정을 생략한다. 최종적으로 압축 비트열 \( C \) 을 포함하는 영역 \( \mathrm{D}^{\prime}{ }_{k}^{\mathrm{nc}} \) 내에 " AT" 염기열은 다음 염기에 압축 비트가 포함되지 않음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마커로 수행된다. 압축열 \( C \) 의 길이는 압축 알고리즘에 의하여 결정되나,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인 산술 부호화를 사용하기로 한다.</p><p>\( \mathrm{D}^{\prime}{ }_{k}^{\mathrm{nc}} \) 내에 치환 가능한 비트량 \( \Psi_{k} \) 는 치환 과정에서 생략되는 염기의 개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압축열 \( C \) 의 길이는 항상 \( C<\Psi_{k} \leqq N_{D} \) 이 되어야 한다. 압축열 \( C \) 길이가 \( \rho\left(\lfloor N / 2\rfloor\left\lceil\log _{2} n\right\rceil+N_{D}\right) \quad(\rho<1) \) 일 때, 압축율 \( \rho \) 는\[ \rho<\frac{N_{D}}{\lfloor N / 2\rfloor\left\lceil\log _{2} n\right\rceil+N_{D}}, N=\left\lfloor\frac{N_{D}}{n}\right\rfloor \]<caption>(15)</caption>이어야 한다.</p><p>(2) 복호 과정</p><p>복호 과정에서는 전송된 비부호 DNA 영역 \( \mathrm{D}^{\prime \prime}{}_{k}^{\mathrm{nc}} \) 가 주어졌을 때, "AT" 다음에 오는 염기를 제외한 모든 염기들의 LSB 비트들로부터 압축 비트열 \( C \) 가 얻는다. 그리고 \( C \) 로부터 수치 쌍 은닉 비트수 정보 \( K \) 와 원본 염기 이진수의 LSB 비트 \( B \) 를 쉽게 얻어진다. \( \mathrm{D}^{\prime \prime}{}_{k}^{\mathrm{nc}} \) 내의 염기 이진수의 LSB에 \( B \) 를 치환하여 가역 워터마크된 영역 \( \mathrm{D}_{k}^{\prime \mathrm{nc}} \) 가 얻어진다. \( \mathrm{D}_{k}^{\prime \mathrm{nc}} \) 내에 \( n \) 차 염기 수치열로부터 수치 쌍 은닉 비트수 정보 \( K \) 를 이용하여 워터마크가 추출되고 원본 영역 \( \mathrm{D}_{k}^{\mathrm{nc}} \) 이 복원된다.</p><p>예를 들어 수치 쌍 \( \left(x_{i}^{\prime}, x_{i+1}\right) \) 의 은닉 비트수가 \( k_{i}>0 \) 인 때, 은닉된 수치 \( x_{i}^{\prime} \) 상에 워터마크의 \( k_{i} \) 비트 \( \left\{w_{j}\right\}_{j=1}^{k_{i}} \) 가 \[ \begin{array}{l} w_{j}=\left(\left(x_{i}^{\prime}-x_{i+1}\right) \gg(j-1)\right) \% 2 \\ \text{for}~ j=0, \cdots, k_{i}-1 \end{array}\]<caption>(16)</caption>와 같이 추출된다. 그리고 원본 수치 \( x_{i} \) 은 차분의 \( k_{i} \) 비트 쉬프팅에 의하여 \[ x_{i}=x_{i+1}+\left(\left(x_{i}-x_{i+1}\right) \gg k_{i}\right) \]<caption>(17)</caption>와 같이 복원된다.</p><p>(3) 용량 분석</p><p>임의의 비부호 DNA 서열 \( \mathrm{D}_{k}^{\mathrm{nc}} \)에 은닉되는 워터마크 비트 \( N_{W}^{\mathrm{DE}} \) 는 수치 쌍 은닉 비트수 \( K=\left\{k_{i}\right\}_{1}^{\lfloor N / 2\rfloor} \) 의 합에 해당되며, 뉴클레오티드 염기 당 비트수 bpn(bit per base) \( b p n_{W}^{D E} \) 은 \( b p n_{W}^{\mathrm{DE}}=\frac{N_{W}^{D E}}{N_{D}}=\frac{1}{N_{D}} \sum_{i=1}^{N / 2\rfloor} k_{i} \quad \) [bit/base]<caption>(18)</caption>와 같다. \( N_{D} \) 는 \( \mathrm{D}_{k}^{\mathrm{nc}} \) 의 염기 개수를 나타낸다.</p>
|
[
"DE-MBE 방법의 첫번째 단계에서 확장 조건에 따라 어떻게 이루어져?",
"수치 쌍에 은닉 비트수 정보 K는 워터마크된 비부호 RNA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되어져야 할까?",
"제안한 방법에서는 문자 염기 이진수의 LSB 비트 B와 이진 비트수 정보 K의 부가 데이터를 산술 부호화에의하여 손실 압축된 비트열 C을 생성하나요?"
] |
97a01f64-dbfd-4171-8c7f-10cc5b499abc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1>Ⅴ. 결 론</h1><p>본 논문에서는 유전체 기능을 보존하면서 워터마크를 은닉 및 추출과 원본 DNA 서열을 복원할 수 있는 비부호 영역 가역 DNA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4-문자 염기 서열을 \( n \) 차 수치로 부호한 다음, DE-MBE 방법 또는 C-DE-MBE 방법에 의하여 다중 비트를 은닉한다. 이 때, 높은 은닉 용량을 위하여 수치 쌍별 최대 확장 조건을 만족하는 비트수가 은닉된다. 또한 원본 DNA 서열의 길이와 생물학적 기능의 변경이 없으며, 블라인드 추출 및 복원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DE-MBE 와 C-DE-MBE 방법들은 참조 서열없이 모두 워터마크 추출과 원본 DNA 서열의 복원되며, C-DE-MBE 방법의 bpn이 DE-MBE 방법의 2 배, Chen 방법의 2.16배, Huang 방법의 9.03배 높음을 확인하였다.</p><p>제안한 가역 DNA 워터마킹은 DNA를 이용한 정보 저장과 전송, 암호화 등에서 많이 활용될 것이며, 원본 DNA 복원이 가능하고 유전 기능의 손상없이 외부 정보들을 무제한으로 은닉 및 추출하는 응용에 필요할 것이다. 향후에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DNA 변이 (또는 열화)에 강인한 가역 DNA 워터마킹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p>
|
[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다중 비트를 은닉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했나요?",
"본 논문에서는 택사로부터 분리하는것의 목적은 무엇인가?",
"제안한 DE-MBE 와 C-DE-MBE 방법들은 실험을 통해 무엇을 보였나요?",
"제안한 DE-MBE 와 C-DE-MBE 방법들은 실험을 통해 나타난것은 무엇인가요?",
"제안한 가역 DNA 워터마킹은 어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나요?",
"제안한 가역 DNA 워터마킹은 어떤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나요?",
"비부호 영역 가역 DNA 워터마킹 방법은 어떤 기능이 있나요?",
"비부호 영역 가역 DNA 워터마킹 방법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나요?",
"높은 은닉 용량을 위해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비트수가 은닉되나요?",
"높은 은닉 용량을 위해 은닉된 비트수는 어떤 조건을 만족하나요?",
"C-DE-MBE 방법의 bpn은 Chen 방법에 비해 몇 배 높은 결과를 보였나요?",
"C-DE-MBE 방법의 bpn은 Chen 방법에 비해 결과가 몇배 더 높았나요?"
] |
d06e5d7c-957d-4451-b837-711dbe07758f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2>2. 수치차수에 대한 용량 분석</h2><p>그림 7(a)는 표 1의 모든 테스트 DNA 서열에 대하여 수치차수 \( n \) 에 대한 워터마크 데이터 bpn (\( b p n_{W} \)) 와 염기변화율 평균치를 보여준다. DE-MBE, C-DE-MBE 방법은 \( n=3 \) 일 때 \( b p n_{W} \) 과 \( b p n_{E} \) 이 제일 높으며, CDE 의 \( b p n_{W} \) 이 DE 의 \( b p n_{W} \) 보다 2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p><p>본 실험에서는 표 1 의 테스트 DNA 서열에 대한 결과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용량효율이 제일 높은 수치차수 \( n \) 일 때 ( DE-MBE, C-DE-MBE 는 \( n=3 \) ), \( b p n_{W} \) 을 표 2 에 나타내었다. 이 때 동등한 성능 평가를 위하여 Chen 방법 (\( |w|=2 \)) 과 Huang 방법 (\( t=2 \)) 에서는 \( b p n_{W} \) 이 제일 높을 때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표 2 의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테스트 DNA 서열에 대하여 C-DE-MBE 방법이 워터마크 데이터 bpn \( b p n_{W} \) 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음을 볼 수 있다. 평균적으로 제안 한 C-DE-MBE 방법의 \( b p n_{W} \) 은 Chen 방법의 2.16 배, Huang 방법의 9.03배 높으며, 제안한 DE-MBE 방법의 \( b p n_{W} \) 은 Chen 방법의 1.09 배, Huang 방법의 4.57 배 높게 나타났다.</p>
|
[
"표 2 에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표 2 에 쓰여있나요?",
"Chen 방법 (\\( |w|=2 \\)) 과 Huang 방법 (\\( t=2 \\)) 에서 사용한 변수는 무엇인가요?",
"어떠한 변수가 Chen 방법 (\\( |w|=2 \\)) 과 Huang 방법 (\\( t=2 \\)) 에서 이용되었나요?",
"C-DE-MBE 방법에서 워터마크 데이터 bpn \\( b p n_{W} \\) 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높은가요?",
"C-DE-MBE 방식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워터마크 데이터 bpn \\( b p n_{W} \\) 이 높은가요?",
"제안한 DE-MBE 방법의 \\( b p n_{W} \\) 은 Huang 방법 보다 몇 배 높게 나타나나요?",
"Huang 방법보다 제안한 DE-MBE 방법의 \\( b p n_{W} \\) 은 몇 배 더 크게 나타나나요?"
] |
a278258c-de70-4d22-8a0a-718d0b9b96d6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1>Ⅱ. 가역 DNA 워터마킹 이론</h1><h2>1. 가역 비부호 DNA 워터마킹</h2><p>비부호 DNA 서열에 대한 기본적인 가역 워터마킹 기본적인 과정은 그림 1에서와 같다. 먼저 DNA 서열상에서 분리된 비부호 DNA의 염기 서열들은 십진수 형태의 수치열로 변환된 후 오류 정정 또는 암호화된 워터마크가 가역성을 가지도록 수치열에 은닉된다. 그런 다음 워터마크된 수치열은 염기 서열로 변환된 후,부호 DNA 서열에 연결하여 워터마크된 DNA 서열이 생성된다.</p><p>비부호 DNA은 영상 데이터의 화질과 같은 속성은 없으나, 고려해야 될 주요 특징이 있다.</p><p>1) 문자열의 수치 변환 : 염기 서열은 네 가지 문자 (A,T,C,G(or U))로 구성되므로, 영상 데이터에 비하여 매우 낮은 동적 범위를 가진다. 즉, 하나의 염기는 2 비트의 정보를 가지며, 8 비트의 영상 화소값에 비하여 매 우 낮은 레벨을 가진다. 예를 들어, 4 개의 연속된 염기 서열은 \( 44=256\) 레벨을 가지게 되므로, 8 비트 영상 화소 값과 같은 레벨을 가진다.</p><p>2) 허위 개시코돈 : 은닉 과정에 의하여 비부호 DNA 의 일부 염기 서열이 부호 DNA 서열의 개시코돈 (Methionine, ‘ATG’)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위터마크 은닉 과정에서 개시코돈으로 변경될 염기 서열들을 예측하여 제외하여야 한다.</p><p>3) 서열 길이 및 블라인드 : DNA 서열의 길이가 변경되지 않으면서, 참조 서열 또는 원본 서열이 없이 워터마크 추출 또는 DNA 서열 복원이 가능하여야 한다. 비부호 DNA 서열의 수치열이 주어졌을 때, 기존 영상 데이터에 사용되는 예측 차분 확장 (Prediction Error Expansion) 방법을 이용하여 수치별 1비트씩 은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임의의 수치 \( x \) 에 대한 예측 계수 \( \hat{x} \) 이고, 워터마크 비트 \( w \) 일 때, 은닉된 수치 \( x^{\prime} \) 와 워터마크 추출 및 복원은 \( x^{\prime}=\hat{x}+2(x-\hat{x})+w=2 x-\hat{x}+w \), \( w=x^{\prime}-\hat{x}-2\left\lfloor\frac{x^{\prime}-\hat{x}}{2}\right\rfloor, x=\frac{1}{2}\left(x^{\prime}+\hat{x}-w\right) \)<caption>(1)</caption>와 같다. 위의 방법은 각 수치에 1 비트만 은닉이 가능 하다. 그러나 영상 데이터와는 달리 DNA 서열의 수치열은 인접 수치들 간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으므로, 오차가 적은 에측이 어럽다. 따라서 DNA 서열의 수치열에 적합한 대용량 가역 위터마킹 방법이 필요하다.</p><h2>2. 기존 방법</h2><p>Chen 등은 기존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에서 많이 사용되는 무손실 압축과 DE 기반 방법들을 각각 제안하였다. 이들은 먼저 "ATCG"의 염기 심볼들을 2 비트 이진으로 변환한 다음, 염기 이진 서열을 \( |w| \) 비트 단위의 워드로 십진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비밀 메시지들을 십진수 서열에 은닉한다. 무손실 압축 기반 정보 은닉 방법에서는 십진수 서열을 산술부호화에 의하여 압축한 다음, 이진 비밀 메시지를 압축열의 마지막 단에 추가(append)한다. 이 방법은 \( |w| \) 가 2 비트일 때 bpn이 제일 높으며, 실험적으로 평균 \(0.75-0.81 \mathrm{bpn}\)를 가진다. 그러나 압축열에 비밀 메시지가 추가되므로, 압축 코딩 프로파일이 변경되어야 하며, 또한 압축열의 길이가 증가된다. DE 기반 정보 은닉 방법 에서는 십진수 서열의 워드 쌍을 확장 집합 S1, 변경 집합 S2, 비변경 집합 S3 으로 분류한 후 각 워드 쌍의 위치맵을 생성한다. 압축된 위치맵(map), S2에 속한 워드 쌍의 원본 LSB 들( LSB(S2)), 및 비밀 메시지들을 압축열의 마지막 단에 추가한다. 이 방법은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DNA 서열에 적용한 것으로, 은닉 데이터 용량이 매우 낮다.</p><p>Huang 등은 낮은 염기 변화율을 가지는 히스토그램 기반 가역 DNA 위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Chen의 방법과 같이 이진 염기서열을 \( 2 \mathrm{t} \) 비트 단위로 십진수로 변환한 다음, 십진수 서열의 히스토그램을 구한다. 이 때 \( \mathrm{h} \) 를 가장 높은 빈도수의 값, L1을 가장 낮은 빈도수의 값, L2 를 두 번째 낮은 빈도수의 값이라 한다. 임의의 십진수 \( p_{j} \) 가 L1 이면, \( p_{j} \) 를 L2 로 변경하고, 위치맵을 1 로 놓는다. \( p_{j} \) 가 L2이면, \( p_{j} \) 를 변경하지 않고, 위치맵을 0 으로 놓는다. \( p_{j} \) 가 \( \mathrm{h} \) 일 때, 은닉 비트가 0이면, \( p_{j} \) 는 변경하지 않고, 은닉 비트가 1 이 면, \( p_{j} \) 는 Ll으로 변경한다. 복원과 추출은 위치맵, h, L1, L2 값에 의하여 수행된다. 실험 상에서 \( t=2 \)일 때, \( 0.024 \mathrm{bpn} \) 과 \( 4.07-4.8 \% \) 의 염기 변경율을 가지며, \( t=3 \)일 때 \( 0.011 \mathrm{bpn} \) 과 \( 1.86-2.34 \% \) 의 염기 변경율을 가진다. 이 방법은 염기 변경율은 낮으나, bpn이 매우 낮고, Chen 의 방법과 같이 허위 개시코돈의 발생된다.</p><p>이 외에도 Shiu 등은 상보 쌍에 의한 치환 방법에 의하여 데이터를 은닉하는 것으로, 추출 및 복원을 위 하여 참조(또는 원본) DNA 서열이 필요하다.</p>
|
[
"영상 데이터의 화질과 같은 속성은 없는 비부호 DNA에서 고려해야 할 특징으로 옳은 것은?",
"비부호 DNA와 같은 영상 데이터의 화질에서 고려해야하는 특징은 무엇인가?",
"염기서열은 몇가지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나요?",
"몇가지의 문자로 염기서열이 구성되어 있는가?",
"영상 데이터에 비하여 염기서열이 매우 낮은 동적범위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염기서열이 영상 데이터에 비하여 매우 낮은 동적범위를 가지는 이유를 알려줄 수 있니?",
"비부호 DNA 서열의 수치열이 주어졌을 때, 수치별 1비트씩 은닉이 가능하게 하려면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비부호 DNA 서열의 수치열이 주어졌을 때, 수치별 1비트씩 은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가?",
"추출 및 복원을 위하여 참조 DNA 서열이 필요하고 상보 쌍에 의한 치환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은닉하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추출 및 복원을 위하여 참조 DNA 서열이 필요하고 상보 쌍에 의한 치환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은닉할까?",
"십진수 서열의 워드 쌍을 확장 집합 S1, 변경 집합 S2, 비변경 집합 S3 으로 분류한 후 각 워드 쌍의 위치맵을 생성하는 방식이고 은닉 데이터의 용량이 매우 낮다는 특징을 가진 방법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은닉 데이터의 용량이 매우 낮다는 특징을 가진 방법이고, 십진수 서열의 워드 쌍을 확장 집합 S1, 변경 집합 S2, 비변경 집합 S3 으로 분류한 후 각 워드 쌍의 위치맵을 생성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은닉 데이터 용량이 매우 낮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DNA 서열에 적용한 것은 무손실 압축 기반 정보 은닉 방법인 것이 옳아?",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DNA 서열에 적용했고, 은닉 데이터 용량이 매우 낮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무손실 압축 기반 정보 은닉 방법은 옳은 것인가?",
"십진수 서열을 산술부호화에 의하여 압축한 다음, 이진 비밀 메시지를 압축열의 마지막 단에 추가하는 방법은 DE 기반 정보 은닉 방법인 것이 옳아?",
"십진수 서율을 산술 부호화에 의해 압축 후, 이진 비밀 메시지를 압축열의 마지막 단의 추가 하는 방법은 DE 기반 정보 은닉 방법이 맞는가?",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DNA 서열에 적용한 것인 DE 기반 정보 은닉 방법에서 은닉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은 매우 높은 것이 옳아?",
"DE 기반 정보 은닉 방법은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DNA 서열에 적용한 것인데 은닉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은 매우 높은가?"
] |
248474cf-0717-4075-8dfa-d1a6ba01dfab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1>Ⅲ. 제안한 가역 DNA 워터마킹</h1><p>본 논문에서는 DE 이론 기반의 다중 비트 은닉이 가능한 가역 DNA 위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비부호 DNA 염기 서열에 가역 워터마크를 은닉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ol type=1 start=1><li>4-문자 염기 서열의 신호처리 용이성 : 4 -문자 염기 서열의 \( n \) 차 수치계수로 부호화하여 염기 서열에 대한 워터마크 은닉, 추출, 및 복원 과정이 용이하도록 한다.</li><li>다중비트 은닉 : 높은 은닉 용량을 위하여 부호계수 쌍별 최대 확장 조건을 만족하는 비트수를 은닉한다.</li><li>허위 개시 코돈 방지 : 워터마크된 염기서열 상에 인접 염기들 간의 비교 탐색을 통하여 부호 영역의 개시코돈 생성을 방지한다.</li><li>원본 DNA 서열의 길이와 생물학적 기능의 변경이 없으며, 블라인드 추출 및 복원이 가능하다.</li></ol></p><p>본 장에서는 먼저 염기 서열의 수치 부호화에 대하여 살펴본 후, 이들 계수에 대한 DE 기반 다중 비트 은닉, 복원, 및 추출 과정에 대하여 각각 살펴보기로 한다.</p><h2>1. 은닉 대상 비부호 DNA 서열 선택</h2><p>그림 2 와 같이 DNA 서열 D 내에 인트론 성분으로 구성된 비부호 DNA 영역 \( \mathrm{D}^{\mathrm{nc}} \) 과 엑손 성분으로 구성된 부호 DNA 영역 \( \mathrm{D}^{\mathrm{c}} \) 들이 존제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 n \) 차 염기 수치일 때, 영역 내의 염기 개수가 \( 10 n \) 보다 클 경우 이 영역을 은닉 대상 영역으로 선택한다. 즉, 선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 \Gamma^{n c}(n) \) 은\(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caption>(2)</caption>와 같다. \( \mathrm{D}_{k} \) 는 선택된 \( k \) 번째 비부호 DNA 영역이며, \( \mathrm{b}_{k i} \) 는 \( \mathrm{D}_{k} \) 영역의 \( i \) 번째 4 -문자 염기이고, \( \left|\mathrm{D}_{k}\right| \) 는 \( \mathrm{D}_{k} \) 의 염기 개수를 나타낸다.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영역 비율 \( R_{n c}(n) \) 은 \( R_{\mathrm{nc}}(n)=\frac{\left|\Gamma^{\mathrm{nc}}(n)\right|}{\mid \mathrm{D}^{\mathrm{nc}}} \)<caption>(3)</caption>와 간이 전체 비부호 DNA 영역의 개수 \( \mid \mathrm{D}^{\mathrm{nc}} \) 와 은닉 대상 영역의 개수 \( \left|\Gamma^{\mathrm{nc}}(n)\right| \) 의 비율을 나타낸다. 각 영역 마다 염기 개수가 다르므로,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염기개수 비율 \( R_{\text {base }}(n) \) 은 \( R_{\text {base }}(n)=\frac{\text { Number of bases } \in \Gamma^{\mathrm{nc}}}{\text { Number of bases } \in \mathrm{D}^{\mathrm{nc}}} \)<caption>(4)</caption>와 같이 모든 영역 \( \mathrm{D}^{\mathrm{nc}} \) 내의 염기개수와 은닉대상 영역 \( \Gamma^{\mathrm{nc}}(n) \) 내의 염기개수의 비율을 나타낸다. 수치차 수 \( n \) 은 다음 절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p><p>다음 절부터 임의 비부호 DNA 영역 \( \mathrm{D}_{k}^{\mathrm{nc}} \) 상에 가역 워터마크를 은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p>
|
[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은 원본 DNA 서열의 길이와 생물학적 기능의 변경이 있습니까?",
"원본 DNA 서열의 길이와 생물학적 기능의 변경이 이 글에서 말하는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에 적용됩니까?",
"본 논문에서 제안한 DE 이론 기반의 다중 비트 은닉이 가능한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은 부호 영역의 개시코돈 생성을 방지하는가?",
"부호 영역의 개시코돈 생성을 막는 것이 이 글에서 말하는 DE 이론 기반의 다중 비트 은닉이 되는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인가?",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 \\mathrm{D}_{k}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Γ \nnc\n (n)={D \nk\n\n ={b \nki\n\n ∣i∈[1,∣D \nk\n\n ∣],∣D \nk\n\n ∣>10n}}",
"선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 \\mathrm{b}_{k i}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 \\mathrm{b}_{k i} \\)는 채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에서 무슨 뜻인가?",
"선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 \\left|\\mathrm{D}_{k}\\right|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 \\left|\\mathrm{D}_{k}\\right| \\)는 채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에서 무슨 뜻인가?",
"본 논문에서 제안한 DE 이론 기반의 다중 비트 은닉이 가능한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의 특징 중, 부호 영역의 개시코돈 생성을 방지하는 특징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서 말한 DE 이론 기반의 다중 비트 은닉이 가능한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의 특징에서 부호 영역의 개시코돈 생성을 막는 건은 뭔가?",
"선택된 모든 비부호 DNA 영역 \\(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선택된 \\( k \\) 번째 비부호 DNA 영역을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모든 영역\\( \\Gamma^{\\mathrm{nc}}(n)=\\left\\{\\mathrm{D}_{k}=\\left\\{\\mathrm{b}_{k i}\\left|i \\in\\left[1,\\left|\\mathrm{D}_{k}\\right|\\right],\\right| \\mathrm{D}_{k} \\mid>10 n\\right\\}\\right\\} \\)에서, 채택된 \\( k \\) 번째 비부호 DNA 영역을 표시하는건 뭔가?",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영역 비율 \\( R_{\\mathrm{nc}}(n)=\\frac{\\left|\\Gamma^{\\mathrm{nc}}(n)\\right|}{\\mid \\mathrm{D}^{\\mathrm{nc}}} \\)에서 \\( \\mid \\mathrm{D}^{\\mathrm{nc}}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R_{\\mathrm{nc}}(n)=\\frac{\\left|\\Gamma^{\\mathrm{nc}}(n)\\right|}{\\mid \\mathrm{D}^{\\mathrm{nc}}} \\)에서 \\( \\mid \\mathrm{D}^{\\mathrm{nc}} \\) 은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영역 비율로 무슨 뜻인가?",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영역 비율 \\( R_{\\mathrm{nc}}(n)=\\frac{\\left|\\Gamma^{\\mathrm{nc}}(n)\\right|}{\\mid \\mathrm{D}^{\\mathrm{nc}}} \\)에서, \\( \\left|\\Gamma^{\\mathrm{nc}}(n)\\right|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R_{\\mathrm{nc}}(n)=\\frac{\\left|\\Gamma^{\\mathrm{nc}}(n)\\right|}{\\mid \\mathrm{D}^{\\mathrm{nc}}} \\)에서, \\( \\left|\\Gamma^{\\mathrm{nc}}(n)\\right| \\)는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영역 비율 로 무슨 뜻인가? ",
"차수 \\( n \\) 에 대한 은닉 대상 염기개수 비율 \\( R_{\\text {base }}(n) \\) 은 모든 영역 내의 염기개수와 은닉대상 영역 내의 염기개수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는가?",
"차수 \\( n \\) 관련 은닉 대상 염기개수 비율 \\( R_{\\text {base }}(n) \\) 은 모든 영역 안의 염기개수와 은닉대상 영역 안의 염기개수의 비율로 표현 가능한가?"
] |
85108245-d65c-49e9-ac70-6509cb062167
|
생명LA
|
연속적 차분 확장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
<h1>요 약</h1><p>대용량의 DNA 정보 저장, DNA 서열 저작권 보호를 위한 DNA 워터마킹, 및 비밀 통신을 위한 DNA 스테가노그라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원본 DNA 서열의 기능 유지와 복원이 가능한 가역성 DNA 워터마킹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부호영역 DNA 서열을 이용한 DE(Difference expansion) 기반 가역 DNA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가역 DNA 워터마킹에서는생물학적 기능 변경이 없고, 문자 형태의 서열 내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은닉하여야 하며, 원본 DNA 서열이 복원되어야 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문자 서열을 십진수 형태의 수치계수로 변환한 다음, 인접 수치 계수 쌍의 DE 기반 다중비트 은닉 방법(DE-MBE, DE based multiple bits embedding)과 이전 은닉 수치계수를 예측으로 한 연속 DE 기반 다중비트 은닉 방법들(C-DE-MBE, consecutive DE based multiple bits embedding)에 의하여 워터마크가 은닉된다. 은닉 과정에서는 워터마크된 서열에 의하여 부호영역을 나타내는 허위 시작코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 탐색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하여 높은 은닉 용량을 가지며, 허위 시작코돈이 발생되지 않으며, 기준 서열없이 원본 DNA 서열이 복원됨을 확인하였다.</p><h1>Ⅰ. 서 론</h1><p>DNA 컴퓨팅 기술과 더불어 비유전적인 정보를 DNA 분자 매개물 내에 은닉하는 하는 기술로, 비밀 메시지 전송을 위한 DNA 스테가노그라픽, 장기간 대용량(Long-term Large-scale)의 유전체 메모리인 DNA저장(DNA storage)은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변이에 강인한 DNA 워터마킹은 Heider 등이 제시한 DNA-Crypt 알고리즘 기반 이후 지금까지 연구되어지고 있다. DNA 워터마크는 GMO(genetically modifiedorganisms)의 비인가 사용을 식별하거나 야생형 게놈(wild type genome)과 인공 게놈(artificially designedgenome)를 구분하거나, 은닉된 태그의 PCR 증폭과 시퀀싱에 의한 추적과 에이전트, 고립(isolate), 변형(strain)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p><p>대부분의 DNA 스테가노그라픽, DNA 저장 및 DNA워터마킹 기법들은 워터마크된 또는 정보은닉된 DNA 서열로부터 원본 DNA 서열이 복원되지 않는 비가역성에 해당된다.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와는 달리 DNA 서열들은 워터마크에 의하여 변이된 DNA 서열로부터 원본 DNA 서열이 복원이 되어야 하며, 생물학적 기능의 변경이 없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여 가역 DNA 워터마킹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기존의 가역 DNA 워터마킹 방법들을 살펴보면, Chen 등은 비부호 DNA 서열의 네 문자열을 십진수로 변환한 후, 무손실 압축 및 DE(DifferenceExpansion) 기반 방법을 적용하였다. Huang 등은 낮은 염기 변화율을 위하여 최고 및 최저 히스토그램 값들의 쉬프팅을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였으나, 매우 낮은용량을 가진다. Shiu 등은 상보쌍 염기 치환 기반 데이터 은닉으로 워터마크 추출 및 복원시 참조되는 원본서열이 필요하다. 기존 방법들은 원본 서열 길이를 유지하나, 허위 개시코돈 방지를 고려하지 않고, 비블라인드이거나, 매우 낮은 용량을 가진다. 부호 DNA 서열의 개시를 나타내는 ‘ATG’의 메티오닌(Methionine) 개시코돈(start codon)에 의하여 리보솜에서 단백질 번역이 시작된다. 비부호 DNA 서열이 워터마크에 의하여 개시코돈으로 변경될 경우, 단백질로 잘못 번역된다. 따라서 비부호 DNA 워터마킹에서는 허위 개시코돈(false startcodon)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p><p>본 논문에서는 원본 서열 길이를 유지하면서 허위 개시코돈 방지, 블라인드 추출 및 복원, 및 높은 은닉 용량을 가지는 DE 기반 비부호 DNA 서열의 가역 DNA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DE 이론은 Tian 등의 가역 영상 워터마킹에서 처음 제안된 후, 은닉 용량 제어및 향상을 위하여 PE(Prediction error expansion) 기반워터마킹 방법이 제안되어져 왔다. 영상의 인접 화소간의 높은 상관성과는 달리, DNA 서열 상에 인접한 염기서열 간의 상관성이 높지 않다. 또한 영상 화질과는 달리, 비부호 DNA 서열은 허위 개시코돈, 단백질 변경과 같은 생물학적 기능 변경이 조건에서 자유로이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에서는 DE 이론 기반으로 최대 확장 조건을 만족하는 다중비트를 은닉한다.</p><p>먼저 비부호 DNA 서열의 (A,T,G,C) 4-변수(quaternary) 문자열은 비트의 십진수 수치계수로 변환된 다음, DE 이론 기반으로 DNA 수치계수에 적용할수 있는 DE-MBE(DE based Multiple Bit Embedding)과 CDE-MBE(Consecutive DE-MBE) 방법으로 다중비트를 은닉한다. DE-MBE 방법은 DE 이론에 따라인접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은닉할 수 있는 최대한의 다중 비트를 은닉한다. CDE-MBE 방법은 이전 은닉된 수치계수와 현재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다중 비트를 은닉하는 것으로, DE-MBE보다 용량성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은닉 용량에 대한 비교 실험에서 제안한 DE-MBE 방법과 CDE-MBE 방법은 평균 \( 0.109 \mathrm{bpn} \)과 \( 0.026 \mathrm{bpn} \)이며, Chen 방법과 Huang 방법은 평균 0.109bpn과 0.026bpn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한 CDE-MBE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하여 은닉 용량이 제일 높음을 확인하였다.</p><p>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가역 DNA 정보은닉 이론과 기존 가역 DNA 정보은닉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제안한 염기서열 수치화, 허위 개시코돈 방지에 대하여 살펴본 후,DE-MBE방법과 CDE-MBE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제안한 방법과 기존 방법과의 비교실험 분석 한 후, 마지막 Ⅴ장에서 본 논문의 결론을 맺는다.</p>
|
[
"은닉된 태그의 PCR 증폭과 시퀀싱에 의한 추적과 에이전트, 고립(isolate), 변형(strain)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GMO의 비인가 사용을 식별하는 워터마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어떤것이 \n 은닉된 태그의 PCR 증폭과 시퀀싱에 의한 추적과 에이전트, 고립(isolate), 변형(strain)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거나 GMO의 비인가 사용을 식별하는 기능은 수행하는가 ?",
"야생형 게놈과 인공 게놈을 구분하거나, 은닉된 태그의 PCR 증폭과 시퀀싱에 의한 추적과 에이전트, 고립, 변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DNA 워터마크는 GMO의 비인가 사용을 식별할 수 없는 것이 옳은가?",
"야생형 게놈과 인공 게놈을 구분하거나, 은닉된 태그의 PCR 증폭과 시퀀싱에 의한 추적과 에이전트, 고립, 변형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DNA 워터마크는,또한\n\n GMO의 비인가 사용을 식별할 수 없는 것이, DNA 워터마크의 성질인가 ? ",
"은닉 용량에 대한 비교 실험에서 제안한 Chen 방법과 Huang 방법은 평균 \\( 0.109 \\mathrm{bpn} \\)과 \\( 0.206 \\mathrm{bpn} \\)으로 나타났는 데 DE-MBE 방법과 CDE-MBE 방법은 평균 몇 bpn으로 나왔나요?",
"은닉 용량에 대한 비교 실험에서 제안한 Chen 방법과 Huang 방법은 평균 \\( 0.109 \\mathrm{bpn} \\)과 \\( 0.206 \\mathrm{bpn} \\)으로 나타났는 데\n\n\n각각 얼마의 bpn이 DE-MBE 방법과 CDE-MBE 방법의 평균으로 계산되나요 ?",
"단백질 번역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어느 지점 부터 단백질 번역이 시작되는가 ?",
"부호 DNA 서열의 개시를 나타내는 ATG의 메티오닌 개시코돈에 의하여 시작되는 단백질 번역은 게놈에서 시작된다는 것이 옳아?",
" 부호 DNA 서열의 개시를 나타내는 ATG의 메티오닌 개시코돈에 의하여 시작되는,\n 게놈이 시작점으로 간주하는 단백질 번역이 맞아 ?",
"Chen등은 가역 DNA 워터마킹이 어떤 기반으로 작동되는 방법을 사용했나요?",
"Chen등은 가역 DNA 워터마킹이 작동되는 방법을 이용한 기반은 무엇인가 ?",
"DE-MBE보다 용량성을 확장하기 위한 것인 CDE-MBE방식은 어떤 방식인가요?",
"DE-MBE과 비교하여 CDE-MBE이 용량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한 방식은 무슨 원리인가 ?",
"DE-MBE보다 용량성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고 이전 은닉된 수치계수와 현재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다중 비트를 은닉하는 방법의 이름은 무엇인가?",
"무슨 방법이,\nDE-MBE보다 용량성을 확장하고,또한 \n\n이전 은닉된 수치계수와 현재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다중 비트를 은닉하는 방법인가 ?",
"인접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은닉할 수 있는 최대한의 다중 비트를 은닉하는 방법인 DE MBE 방법은 어떤 이론에 따라 은닉하는 건가요?",
"인접 수치계수 쌍의 차분 확장에 은닉할 수 있는 최대한의 다중 비트를 은닉하는 방법인 DE MBE 방법이 채택한 은닉이론은 무엇인가?\n"
] |
ff5b6da6-446f-4eda-a0d2-639a18331f1b
|
생명LA
|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gammar\)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
<h1>결 과</h1><h2>3T3-L1 지방세포에서 삼색싸리 추출물의 지방생성과 당 흡수 증강효과</h2><p>LMTN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의 세포성장에 미치는 독성은 \( 125 \mu \mathrm{g} / \mathrm{mL} \) 농도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나 \( 25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는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Fig.1A). LMTN 추출물 \( (100 \mu \mathrm{g} / \mathrm{mL}) \)의 당 흡수 증강효과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 섭취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양성 대조물질 troglitazone과 pinitol 성분의 당 섭취 효과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Fig. 1B). LMTN 추출물(\(100 \mu \mathrm{g} / \mathrm{mL}) \) 의 지방축적 정도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양성 대조물질인 troglitazone과 pinitol 성분보다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1C, D).</p><h2>3T3-L1 지방세포에서 삼색싸리 추출물의 인슐린 유사효과</h2><p>LMTN 추출물의 인슐린 유사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유도 하면서 인슐린의 처리 또는 비처리 조건에서 LMTN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지방세포로 분화유도시 대조군에 인슐린 처리 조건은 인슐린 비처리 조건에 비해 지방생성 정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2A, B). 또한, 인슐린 첨가 또는 비첨가 조건 모두에서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LMTN 추출물의 지방생성 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Fig. 2A, B). 그러므로 3T3-L1 지방세포에서 LMTN 추출물은 인슐린처럼 유사한 작용기전의 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이 뚜렷하게 증명되었다.</p><h2>3T3-L1 지방세포에서 삼색싸리 추출물의 PPAR \( \gamma \) 작용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효과</h2><p>LMTN 추출물의 인슐린 유사작용에 의한 인슐린 민감성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LMTN 추출물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PPAR \( \gamma\), IRS-1, GLUT4 단백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Fig. 3A, B). 그러나 양성 대조물질 pinitol 성분은 IRS-1과 GLUT4 단백 발현만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A, B). Pinitol 성분은 콩류에 함유된 천연혈당조절 성분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기에 troglitazone 같은 PPAR \( \gamma \) 작용제 역할이 아닌 인슐린 신호전달계의 활성에 기인하여 혈당조절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3T3-L1 지방세포에서 LMTN 추출물의 당 흡수 증강효과는 PPAR \( \gamma \) 작용제 또는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p><h2>제2형 당뇨모델 \( d b / d b \)마우스에서 삼색싸리 추출물의 식이와 물섭취량 및 공복혈당 변화</h2><p>제2형 당뇨모델인 \( d b / d b \) 마우스에 LMTN 추출물을 6주간 경구투여 한 결과, 체중의 변화는 당뇨대조군과 비교하여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Fig. 4A). 실험기간 동안의 공복혈당의 변화는 당뇨대조군은 초기 공복혈당은 \( 7.8 \pm 22.7 \mathrm{mmol} / \mathrm{L} \) 에서 혈당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실험 종료시점에서는 \( 34.8 \pm 25.9 \mathrm{mmol} / \mathrm{L} \)로 심각한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데 반해, LMTN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1 주째부터 공복혈당이 감소하여 실험 종료시점에서는 \( 27.0 \pm 13.7 \mathrm{mmol} / \mathrm{L} \) 로 뚜렷하게 감소하였다(Fig. 4B). 물과 식이 섭취량은 2주째부터 LMTN 추출물 투여군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Fig. 4C, D).</p><h2>제 2 형 당뇨모델 \( d b / d b \) 마우스에서 삼색싸리 추출물의 혈장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변화</h2><p>혈장 중성지방의 농도는 당뇨대조군 \( 179.5 \pm 4.82 \mathrm{mg} / \mathrm{dL}, \mathrm{LMTN} \) 추출물 투여군은 \( 108.67 \pm 5.23 \mathrm{mg} / \mathrm{dL} \) 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Fig. 5A).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서도 당뇨대조군은 \( 222 \pm 12.48 \mathrm{mg} / \mathrm{dL} \), LMTN 추출물 투여군은 \( 141.67 \) \( \pm 3.98 \mathrm{mg} / \mathrm{dL} \) 으로 나타나 \( \mathrm{LMTN} \) 추출물 투여군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총 콜레스테롤 함량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Fig. 5B).</p><h2>제 2 형 당뇨모델 \( d b / d b \) 마우스의 지방과 근육조직에서의 삼색싸리 추출물의 PPAR \( \gamma \) 와 GLUT4 mRNA 발현 효과</h2><p>2형 당뇨병모델인 \( d b / d b \) 마우스의 지방과 근육조직에서 당 대사와 관련된 PPAR \( \gamma \) 와 GLUT4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 \mathrm{LMTN} \) 추출물 투여군의 PPAR \( \gamma \) 와 GLUT4 유전자 발현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Fig. 6A, B).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적인 소견을 가진 \( d b / d b \) 마우스에서의 \( \mathrm{LMTN} \) 추출물의 포도당 항상성 조절효과는 근육과 지방조직의 \( \mathrm{PPAR} \gamma \) 활성 및 당 흡수 GLUT4 mRNA 발현의 조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
|
[
"LMTN 추출물은 적당하면 3T3-L1 지방세포의 생존에 도움이 될까?",
"적당한 양의 LMTN 추출물은 3T3-L1 지방세포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야?",
"LMTN 추출물은 당 흡수를 촉진시켜?",
" 당 흡수를 촉진하는데 LMTN 추출물이 효과가 있어?",
"troglitazone과 pinitol은 LMTN 추출물보다 당 흡수를 더 촉진하지?",
"LMTN 추출물보다 pitol과 troglitazone이 당 흡수를 촉진하는데 더 효과적이야?",
"LMTN 추출물은 troglitazone과 pinitol 성분보다 지방을 더 많이 축적하도록 해?",
"지방을 많이 축적시키는데 있어서 troglitazone과 pinitol 성분보다 LMTN 추출물이 더 효과적이야?",
"LMTN 추출물은 인슐린과 비슷하게 작용해?",
"인슐린과 LMTN 추출물은 비슷한 작용 기전 효과가 있어?",
"LMTN 추출물이 발현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은 뭐야?",
"어떤 것이 LMTN 추출물이 있어도 발현량이 커지지 않는가?",
"당뇨병 쥐에서 LMTN을 투여하면 공복혈당이 줄어들지?",
"LMTN을 투여한 당뇨병 쥐는 공복혈당이 줄어들어?",
"당뇨병 쥐에 LMTN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감소하는 것이 아닌 것은?",
"LMTN 추출물을 투여한 당뇨병 쥐에서 감소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인슐린을 첨가해주면,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될 때 지방이 더 많이 생성돼?",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인슐린은 지방을 더 많이 생기도록 해?",
"pinitol 성분은 PPAR \\( \\gamma \\)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지?",
"pinitol 성분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때 PPAR \\( \\gamma \\) 발현을 증가시켜?",
"당뇨에 걸린 쥐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체중이 감소해?",
"LMTN 추출물을 당뇨에 걸린 쥐에 투여하면 체중이 줄어들어?",
"당뇨 쥐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중성지방의 농도가 감소해?",
"LMTN 추출물을 투여한 당뇨 쥐는 중성지방의 농도가 줄어들어?",
"당뇨병 쥐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GLUT4 유전자 발현이 증가해?",
" LMTN 추출물을 투여한 당뇨병 쥐는 GLUT4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는가?",
"당뇨 쥐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지?",
"LMTN 추출물을 투여한 당뇨 쥐는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줄어들어?"
] |
01527744-288d-4b97-b6ce-fbc11dcce61e
|
생명LA
|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gammar\)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
<h1>서 론</h1><p>당뇨병 환자의 약 \( 95 \% \) 이상을 차치하고 있는 2형 당뇨병은 부적절한 식생활습관, 비만 인구의 증가, 운동부족으로 인해 현재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2형 당뇨병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표적인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간, 근육, 지방세포의 인슐린 수용체에 인슐린이 결합한 후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 1 \cdot 2 \) tyrosine 잔기의 인산화가 증가되고, 하위신호전달인 phosphoinositide3-kinases (PI3K)/protein kinase B (AKT)의 활성화를 통하여 당 수송체 단백질인 glucose transporter type (GLUT) 4가 세포 내 원형질에서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포도당을 유입하는 과정이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원인은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 저하와 관련된 인슐린 분비능의 저하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2형 당뇨병의 치료약물로는 경구용 혈당강하제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metformin과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operatorname{(PPAR)} \gamma \) 작용제로 알 려진 thia-zolidinedione계의 약물이 있다. 그러나 \( \operatorname{PPAR} \gamma \) 작용제의 심부전증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에 대한 안전성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약물로 인해 방광암 유발, 유산증, 설사, 구토, 비만 유도 등의 위험성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당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물개발이나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당뇨병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하여 부작용의 위험성이 적으며 적절한 인슐린 분비 촉진 및 근육이나 지방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p><p>삼색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는 콩과(Leguminusae) 싸리속(Genus Lespedeza Michx.)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한의약학에서는 싸리속 식물을 이용하여 백반증, 요통, 당뇨병과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발병하는 콩팥병 치료 등의 치료에 쓰였다고 기록되어 있고, 민간에서는 가축 사료로 활용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삼색싸리의 생리활성은 tyrosinase 활성 억제효과이고, isoflavone 계열의 daidzein, hydroxygenistein, genistein, uncinanone \( \mathrm{B} \), desmodianone \( \mathrm{H} \), uncinanone \( \mathrm{B} \) 성분이 이러한 작용기전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밖의 싸리속 식물의 생리활성과 유효성분으로는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 \mathrm{SOD} \)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항산화와 항균효과 및 혈당조절효과 등이 있으며, flavonoids, phenolics, sterols, phenylpropanoids, lignans, phenyldilactones 계열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삼색싸리의 인슐린 민감성 또는 당대사와 관련된 연구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p><p>본 연구에서는 신장병과 당느에 활용되었다는 전통지식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과학적으로는 확인된 바가 없는 삼색싸리를 이용하여 2형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T3-Ll 지방세포와 2 형 당노모델인 C57BLKS/J Iar-\( d b / d b \) 마우스를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p><h1>재료 및 방법</h1><h2>추출물 제조</h2><p>삼색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LMTN)는 해남 달마산에서 채집하였다. 건조된 LMTN \( 391 \mathrm{~g} \) 은 상온에서 \( 80 \% \) 메탄올로 24 시간 침출하는 과정을 총 6 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LMTN 메탄올 추출용액은 여과한 후 회전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LMTN 추출물의 수율은 \( 4.02 \%(16 \mathrm{~g}) \) 로 나타났다.</p><h2>3T3-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및 분화유도</h2><p>3T3-L1 지방전구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Manassas, VA, USA)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 5 \% \mathrm{CO}_{2}, 37^{\circ} \mathrm{C} \) 의 배양기에서 100 Units \( / \mathrm{mL} \) penicillin, \( 100 \mu \mathrm{g} / \mathrm{mL} \) streptomycin, \( 10 \% \) fetal calf serum(GE Healthcare Life Sciences)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배지 조건에서 배양되었다. 이러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2일마다 신선한 배지로 보충하면서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하여 96- 또는 6-well plate에 \( 1 \times 10^{5} \) cells/ well로 분주한 후 \( 100 \% \) confluent 상태가 되면 분화유도 물질 [5 \( \mu \mathrm{g} / \mathrm{mL} \) insulin, \( 1 \mu \mathrm{M} \) dexamethasone, \( 0.5 \mathrm{mM} \) 1-methyl-3-isobutylxanthin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과 \( 10 \% \) fetal bovine serum (FBS; GE Healthcare Life Science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분화유도를 시작하였다. 2 일 후 \( 5 \mu \mathrm{g} / \mathrm{mL} \) insulin과 \( 10 \% \mathrm{FBS} \) 가 함유된 \( \mathrm{DMEM} \) 배지로 교환하였다. 이로부터 2 일에 한번씩 \( \mathrm{DMEM}(10 \% \mathrm{FBS}) \) 배지로 보충하면서 4일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p><h2>세포독성</h2><p>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well plate에 \( 1 \times 10^{3} \)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LMTN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시킨 후,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12-bromide (MTT, \( 2 \mathrm{mg} / \mathrm{mL} \); Sigma-Aldrich) 용액을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Sigma-Aldrich)을 넣고 15 분 후에 \( 54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control 값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다.</p><h2>Oil Red O 염색 및 정량</h2><p>6-well plate에 분주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시료와 함께 8 일간 분화유도를 끝낸 후 PBS로 세척하였다. \( 10 \% \) formalin 용액으로 30 분간 고정하고 증류수로 1회 세척하였다. \( 0.3 \% \) Oil Red \( \mathrm{O} \) (Sigma-Aldrich)용액으로 1시간 처리한 후, \( 60 \% \) isopropanol로 1회 세척하고 광학현미경으로 지방생성 정도를 관찰하였다. 관찰을 마친 세포의 축적된 지방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 100 \% \) isopropanol을 가하여 지방을 염색시킨 Oil Red O 염색시약을 추출한 후에 ELISA reader (Immuno Mini NJ-2300, Biotec, Tokyo, Japan)로 \( 540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roglitazone과 pinitol (Sigma-Aldrich)은 양성대조물질로 사용하였다.</p><h2>Glucose uptake</h2><p>3T3-L1 지방전구세포를 분화시킨 6일째에 \( 100 \mu \mathrm{g} / \mathrm{mL} \mathrm{LMTN} \) 추출물과 양성대조물질인 \( 2 \mu \mathrm{M} \) troglitazone, \( 0.5 \mathrm{mM} \) pinitol 성분을 첨가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일째에 배지를 제거한 후, \( 40 \mu \mathrm{M} \) 2-(N-(7-nitrobenz-2-oxa-1,3-diazol-4-yl), amino)-2-deoxyglucose (Invitrogen, Carlsbad, CA, USA) 용액을 첨가하고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 \mathrm{PBS} \) 로 세척을 하고 Victor Ⅲ (perkinelmer, Waltham, MA, USA)에서 여기파장 \( 465 \mathrm{~nm} \), 방출파장 \( 540 \mathrm{~nm} \) 범위에서 형광값을 측정하였다.</p>
|
[
"2형 당뇨병보다 1형 당뇨병 환자가 많아?",
"1형 당뇨병 환자가 2형 당뇨병 환자보다 많은가?",
"2형 당뇨병은 당뇨병 환자 중 비율이 얼마나 돼?",
"2형 당뇨병 환자 비율은 얼마나 되나요?",
"PPAR \\(\\gamma \\) 작용제는 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쓰이지만 부작용이 많은가?",
"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PPPAR \\(\\gamma \\) 작용제가 쓰이지만 부작용이 큰가?",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면 세포 안으로 포도당이 잘 들어가지 않아?",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포도당이 세포 안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는가?",
"인슐린이 잘 분비되지 않으면 당뇨병이 발병되지?",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으면 발병될까?",
"삼색싸리는 무엇을 억제해?",
"삼색싸리가 억제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삼색싸리는 당뇨나 신장병에 활용된 적이 있지?",
"당뇨나 신장병에 삼색싸리가 이용된 적이 있니?",
"실험에 필요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어디서 얻었어?",
"어디서 실험에 필요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획득했지?",
"분화유도물질이 포함된 배지를 이용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지?",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서 분화유도물질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였는가?",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흡광도를 측정했지?",
"흡광도를 세포독성을 측량하기 위해서 측정했어?",
"Oil Red \\( \\mathrm{O} \\) (Sigma-Aldrich)용액은 지방을 염색시켜?",
"Oil Red \\( \\mathrm{O} \\) (Sigma-Aldrich)용액을 이용하면 지방을 염색할 수 있는가?",
"\\( \\operatorname{PPAR} \\gamma \\) 작용제의 부작용이 아닌 것은 뭐지?",
"\\(\\operatorname{PPAR} \\gamma\\) 작용제의 부작용과는 다른 것이 무엇이야?",
"2형 당뇨병이 발병하는 대표적 원인은 뭐야?",
"2형 당뇨병이 발생하게 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삼색싸리는 1년 동안만 살 수 있어?",
"삼색싸리의 수명은 1년인가?",
"3T3-L1 지방전구세포는 처음 배지에서만 배양했지?",
"처음 배지에서만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했어?",
"삼색싸리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기도 했지?",
"가축의 사료로 삼색싸리가 사용되기도 했어?",
"실험에 사용된 삼색싸리는 어디서 얻었어?",
"실험에 사용된 삼색싸리를 얻은 곳은 어디야?"
] |
d3bdc802-d3d1-4365-9b3b-d6ae016828a3
|
생명LA
|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gammar\)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
<h1>고 찰</h1><p>본 연구는 3T3-L1 지방세포와 2형 당뇨 동물모델인 \( d b / d b \) 마우스에서 LMTN 메탄올 추출물이 인슐린신호전달과 관련된 인슐린수용체기질 IRS-1과 당 수송체 GLUT4 및 인슐린 민감도를 호전시키는 PPAR \( \gamma \) 단백질 활성을 측정하여 LMTN 메탄올 추출물의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조절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p><p>3T3-L1 지방전구세포는 인슐린처럼 유사한 작용기전을 가진 약물들의 지방세포로 분화 촉진, 인슐린 민감도 개선, 인슐린신호전달계 활성, 당 섭취 증가효과를 평가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세포실험계로 알려져 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MTN메탄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를 촉진하거나 인슐린이 첨가되지 않은 조건에서도 지방축적 정도를 증가시키고 세포내로 당 흡수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LMTN 메탄올 추출물의 당대사 조절기능은 인슐린 민감도와 관련된 PPAR \( \gamma \) 와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의 IRS-1 인산화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 수송체인 GLUT4 단백의 발현을 증강시키는 결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밝혀졌다. 고 등은 엄나무 추출물과 분화유도 물질을 함께 첨가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는 결과는 엄나무 추출물이 인슐린성 유사물질로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꿀벌이 생산하는 물질인 artepillin C 성분은 3T3-L1 지방세포에서 PPAR \( \gamma \), IRS-1의 반응을 통해 AKT와 GLUT4 단백 발현을 활성화시켜 세포내의 당 섭취능을 증강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지방세포에 산딸기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IRS-1, Akt 인산화 활성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GLUT4 단백을 세포막으로 이동시켜 당 섭취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LMTN 메탄올 추출물의 PAR \( \gamma \), IRS-1, GLUT4 단백의 활성화 작용기전은 인슐린 민감성 개선 및 인슐린 신호전달계의 활성을 통해 당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p><p>\( d b / d b \) 마우스는 렙틴(leptin) 수용체의 돌연변이로 인해 다식, 비만, 인슐린 저항성, 고혈당, 고인슐린증의 증상의 특징을 지닌 제2형 당뇨 동물모델이다. LMTN 메탄올 추출물은 \( d b \)\( d b \) 마우스에서 물과 식이 섭취량, 체중, 공복혈당, 혈장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지방과 근육조직에서는 PPAR \( \gamma \) 와 GLUT4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Kwan 등은 \( d b / d b \) 마우스에 갈조류패(Ishige okamurae)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물과 식이 섭취량, 체중 및 공복혈당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보고 한바 있다. 한약재(인삼, 칡, 마, 지황, 오수유, 지실, 백두구) 혼합추출물을 \( d b / d b \)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에서도 당뇨대조군에 비해 혈중 인슐린의 농도는 높지만 혈당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육두구 macelignan 성분이 공복혈당을 비롯한 혈장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켰다. 현재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 나타나는 이상지혈증에서 고중성지방혈증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제2형 당뇨병의 고혈당과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주된 증상에 대하여 \( \mathrm{LMTN} \) 메탄올 추출물은 제2형 당뇨 모델인 \( d b / d b \) 마우스의 지질대사 개선 및 PPAR \( \gamma \) 와 GLUT4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p><p>결론적으로 LMTN 메탄올 추출물의 혈당조절 개선효과는 인슐린 유사효과로 인한 인슐린 신호전달계와 당 수송체 GLUT4 단백의 활성화 및 PPAR \( \gamma \) 작용제 역할 그리고 지질대사의 조절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고문헌과 민간요법에서 당노 치료에 활용되었던 삼색싸리의 전통지식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명확하게 규명되었다. 향후 삼색싸리 유효성분의 단리와 구조규명, 약리작용기전, 안전성과 연관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혈당조절기능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개발의 천연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p><h2>초 록</h2><p>이 연구의 목적은 당 대사에 대한 삼색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LMTN)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LMTN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3T3-L1 지방 세포에서 당 섭취능 및 지질축적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3T3-L1 지방 세포에서 LMTN 추출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PPAR)\%, 인슐린수용체기질-1 (IRS-1) 및 포도당수송체(GLUT)4의 단백질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LMTM 추출물의 당 섭취능 또는 인슐린 신호 전달계의 조절 효과는 양성 대조물질인 트로글리타존 또는 피니톨보다 낮았지만 PPAR \( \gamma \) 단백 활성화는 증가하였다. 또한, LMTM 추출물은 인슐린 유사효과를 나타냈다. \( d b / \) \( d b \) 마우스에서, LMTN 추출물 \( (250 \mathrm{mg} / \mathrm{kg} \mathrm{BW}) \) 은 물과 식이 섭</p><p>취량, 혈당,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더불어 지방과 근육조직에서의 PPAR \( \gamma \) 및 GLUT4 mRNA의 발현도 LMTN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MTN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및 \( d b / d b \) 마우스에서 \( \operatorname{PPAR} \gamma \) 및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해 당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p>
|
[
"PAR \\( \\gamma \\) 단백질은 인슐민 민감도를 완화시켜?",
"인슐민 민감도를 완화시키는 것은 PAR \\( \\gamma \\) 단백질이야?",
"LMTN 추출물은 GLUT4 단백의 발현을 증가시켜?",
" GLUT4 단백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은 LMTN 추출물이야?",
"artepillin C 는 인슐린 유사물질이지?",
"artepillin C 성분은 인슐린 유사물질이야?",
"LMTN 추출물은 제 2형 당뇨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제 2형 당뇨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 LMTN 추출물이야?",
"삼색싸리 추출물은 혈당조절을 개선할 수 있어?",
"혈당조절 개선효과가 있는 것은 삼색싸리야?",
"삼색싸리는 추후에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겠지?",
"제 2형 당뇨병 치료제오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삼색싸리야?",
"트로글리타존을 처리했을 때보다 LMTM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세포의 당 섭취능이 더 향상됐지?",
"세포의 당 섭취능이 향상되는 것은 LMTM 트로글리타존을 처리했을 때보다 LMTM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야?",
"\\( d b / d b \\) 마우스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제 2형 당뇨병이 완화될까?",
"제 2형 당뇨병은 \\( d b / d b \\) 마우스에 LMTN 추출물을 투여하면 완화되어?"
] |
46e95bc4-3a6c-407c-9d53-4e696efd7959
|
생명LA
|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gammar\)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
<h2>Western blot 분석</h2><p>분화된 3T3-L1 지방세포를 \( \mathrm{PBS} \)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lysis buffer (인트론바이오, 경기도, 한국)를 넣고 \( 4^{\circ} \mathrm{C} \) 에서 10 분간 용해시키고 \( 13,000 \mathrm{rpm}, 4{ }^{\circ} \mathrm{C} \) 에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여 단백질 양을 정량 하였다. Lysate \( 30 \mu \mathrm{g} / \mu \mathrm{L} \) 를 취하여 SDS loading buffer (1 M Tris, \( 50 \% \) glycerol, \(10\%\) SDS, \(1\%\) bromophenol blue)에 혼합하여 \( 95{ }^{\circ} \mathrm{C} \) 에서 10 분간 가열시킨 후, \( 10 \% \) SDS polyacrylamide gel에 \( 100-150 \mathrm{~V} \) 로 전기영동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 (GE Healthcare Life Sciences)에 전이시켰다. \( 5 \% \) 무지분유가 첨가된 TBST (1 M Tris, \( 5 \mathrm{M} \mathrm{NaCl} \), tween 20) 용액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시킨다.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일차항체(PPAR \( \gamma \) 1:250, GLUT4 1:250;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p-IRS-1 1:1000, IRS-1 1:1000;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TBST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에 peroxidase가 포함된 이차항체(goat anti mouse 1:2000, anti-rabbit 1:2000;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chemiluminescent substrate 용액(인트론바이오, 경기, 한국)을 사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확인하였다.</p><h2>실험동물 설계 및 사육</h2><p>본 실험에 사용된 5주령 수컷 C57BLKS/J Iar- \( d b / d b \) 마우스는 (주)중앙실험동물(서울, 한국)로부터 구입하여 목포대학교 동물 실험 가이드라인 을 준수하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일주일간 일반 실험동물용 사료로 적응시킨 후, AIN-93G diet를 기본으로하여 당뇨대조군, LMTN 투여군( \( 250 \mathrm{mg} / \mathrm{kg} \) 체중)으로 총 2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실내온도 20-25 \( { }^{\circ} \mathrm{C} \), 습도 40-\( 50 \%, 12 \mathrm{~h} \) light/darkness cycle에서 사육하였다. LMTN 추출물은 6주 동안 매일 오전 10-12시 사이에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은 희생되기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틸에테르로 질식시켜 헤파린(중외제약, 서울, 한국)을 넣은 주사기로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 3,000 \mathrm{rpm} \) 에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집한 다음에 \( 70^{\circ} \mathrm{C} \) 에서 보관한 후 분석에 사용하였다.</p><h2>식이와 물 섭취량, 공복혈당, 혈장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측정</h2><p>식이와 물 섭취량은 전날 공급분에서 남은 양을 빼는 방법으로 매주 3회씩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주 12 시간 절식 시킨 후, 꼬리 정맥에서 채혈 후 blood glucose test meter (Allmedicus, 경기,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채취한 혈액에서 분리한 혈장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아산제약(서울, 한국)의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p><h2>RT-PCR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h2><p>근육과 지방조직 50-100 mg, \( 1 \mathrm{~mL} \) 의 TRI REAGENT (Molecular Research Center, Cincinnati, OH, USA) 용액을 유리시험관에 함께 넣고 homogenation을 하였다. 그 다음 chloroform을 넣고 가볍게 섞어준 후, \( 12,000 \mathrm{~g}\left(4^{\circ} \mathrm{C}\right) \) 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에 \( 0.5 \mathrm{~mL} \) isopropanol을 넣어 vortex를 하고 상온에서 5-10분 정도 보관 후, \( 12,000 \mathrm{~g}\left(4^{\circ} \mathrm{C}\right) \) 에서 8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 75 \% \) ethanol (DEPC + ethanol anhydrous)을 \( 1 \mathrm{~mL} \) 넣고 vortex한 후, \( 12,000 \mathrm{~g}\left(4{ }^{\circ} \mathrm{C}\right) \) 에서 5 분을 2 번 반복으로 washing을 하였다. Washing이 끝나면 \( 75 \% \) ethanol을 제거하고 3-5분 동안 air dry를 하고 DEPC (diethylpyro-carbonate) 30-50 \( \mu \mathrm{L} \) 를 넣고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 -20^{\circ} \mathrm{C} \) 에 보관하였다. 보관중인 RNA는 nanodrop spectr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의 260 과 \( 280 \mathrm{~nm} \)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 총 RNA \( 300 \mathrm{ng} \) 을 Diastar \( ^{\mathrm{TM}} 2 \mathrm{X} \) One Step RT-PCR Premix kit (솔젠트, 대전, 한국)를 사용 \( \mathrm{RAN} 3 \mu \mathrm{L} \), primer 각각 \( 1 \mu \mathrm{L} \) (총 \( 30 \mu \mathrm{L} \) )를 맞추고 기계에 넣고 역전사를 시켰다. 각 primer의 염기 배열은 다음과 같다. PPAR \( \gamma \) 의 주형사 서열은 5'-ACC ACT CGC ATT CCT TTG AC-3', 비주형사 서열은 5'-TCA GCG GGA AGG ACT TTA TG-3'; GLUT4의 주형사 서열은 5'-CCT GCC CGA AAG AGT CTA AAG C-3', 비주형사 서열은 5'-ACT AAG AGC ACC GAG ACC AAC G-3'; \( \beta \)-actin의 주형사 서열은 5'-TGC CCA TCT ATG AGG GTT ACG-3', 비주형사 서열은 5'-TAG AAG CAT TTG CGG TGC ACG-3'; 이다. PCR 조건은 \( 50^{\circ} \mathrm{C} \) 에서 30분, \( 95^{\circ} \mathrm{C} \) 에서 15분 반응을 시키고 \( 95^{\circ} \mathrm{C} \) 에서 1분 동안 변성시킨 후, \( 55^{\circ} \mathrm{C} \) 에서 1분 동안 붙이고 \( 72^{\circ} \mathrm{C} \) 에서 2분 동안 확장하여 30 회를 수행하였다. PCR 산물은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 1.5 \% \)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을 하였고, \( \beta \)-actin은 증폭된 유전자들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p><h2>통계 분석</h2><p>모든 실험결과는 평균 \( \pm \) 표준오차(standard error, SE)로 표현하였다. 각 군간의 차이는 SPSS의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 p<0.05 \) 수준에서 유의성 있는 건으로 판정하였다.</p>
|
[
"본 연구에서의 Western blot 분석에서 분화된 3T3-L1 지방세포를 어떤 용액으로 세척했어?",
"Western blot 분석에서 분화된 3T3-L1 지방세포를 세척한 용액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진행한 Western blot 분석에서 PBS용액으로 세척된 3T3-L1 지방세포에 무엇을 넣어서 용해시켰어?",
"Western blot 분석에서 PBS용액으로 세척한 3T3-L1 지방세포를 용해시키기 위해 넣은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진행한 Western blot 분석에서 3T3-L1 지방세포는 \\( 13,000 \\mathrm{rpm}, 4{ }^{\\circ} \\mathrm{C} \\)에서 몇 분간 원심분리를 하였어?",
"\\( 13,000 \\mathrm{rpm}, 4{ }^{\\circ} \\mathrm{C} \\)에서 3T3-L1 지방세포를 원심분리한 시간은 Western blot 분석의 경우 몇 분인가?",
"본 연구의 Western blot 분석에서 원심분리한 3T3-L1 지방세포의 모든 부분을 회수해서 단백질 양을 정량했어?",
"Western blot 분석에서 단백질 양을 정량하기 위해 원심분리한 3T3-L1 지방세포의 모든 부분을 회수하였나?",
"본 연구에서 진행한 Westen blot 분석에서Lysate \\( 30 \\mu \\mathrm{g} / \\mu \\mathrm{L} \\)를 취하여 무엇에 혼합했어?",
"Westen blot 분석에서 무엇을 Lysate \\( 30 \\mu \\mathrm{g} / \\mu \\mathrm{L} \\)에 혼합하였나?",
"Westen blot분석에서Lysate \\( 30 \\mu \\mathrm{g} / \\mu \\mathrm{L} \\)과 SDS loading buffer (1 M Tris, \\( 50 \\% \\) glycerol, \\(10\\%\\) SDS, \\(1\\%\\) bromophenol blue) 혼합물을 몇 도에서 10분간 가열했어?",
"Westen blot분석에서 Lysate \\( 30 \\mu \\mathrm{g} / \\mu \\mathrm{L} \\)과 SDS loading buffer (1 M Tris, \\( 50 \\% \\) glycerol, \\(10\\%\\) SDS, \\(1\\%\\) bromophenol blue) 혼합물의 10분간의 가열온도는 몇 도인가?",
"Westen blot분석에서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을 무엇에 전기영동 했어?",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은 Westen blot분석에서 전기영동을 무엇에 하였나?",
"Westen blot분석에서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의 전기영동 결과물을 무엇에 전이시켰어?",
"Westen blot분석에서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을 전기영동하여 전이시킨 것은 무엇인가?",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을 전이 시킨 결과를 \\( 5 \\% \\) 무지분유가 첨가된 어떤 용액에 1시간 동안 blocking 시켜?",
"Lysate와 SDS loading buffer 혼합물을 전이 시킨 결과를 1시간 동안 blocking 시키는 용액은 무지분유가 추가된 어떤 용액인가?",
"5% 무지분유가 첨가된 TBST 용액으로 blocking한 결과를 다시 TBST 용액으로 몇번 세척해야해?",
"5% 무지분유가 첨가된 TBST 용액으로 blocking한 후 TBST 용액으로 세척하는 횟수는?",
"본 연구의 Western blot 분석법에서 일차항체와 이차항체중 어떤 것을 먼저 반응 시켜야해?",
"Western blot 분석에서 먼저 반응 시켜야 하는 것은 일차항체와 이차항체중 무엇인가?",
"peroxidase가 포함된 이차항체를 반응 시킨 결과는 어떤 용액을 사용해서 목적 단백질을 확인해야해?",
"peroxidase가 포함된 이차항체를 반응 시키고 목적 단백질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용액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어떤 마우스를 사용해서 실험을 진행했어?",
"실험 진행에 사용한 마우스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무엇을 기본으로 하여 2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어?",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를 2개 그룹으로 나눌때 기본이 된 것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들은 빛을 비춰진 시간이 비추지 않은 시간 보다 많은 환경에서 사육했어?",
"본 실험에서 빛을 비춰진 시간이 비추지 않은 시간 보다 많은 환경에서 마우스들이 사육되었나?",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희생되기 따로 질식을 진행하지는 않아?",
"본 실험에서 실험동물은 절식을 희생되기 전에 안시키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어떤 약물을 통해서 질식시켰어?",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을 질식시킬때 사용한 약물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서 주사기에 어떤 약물을 넣었어?",
"무엇을 넣은 주사기로 실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였나?",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의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은 얼마의 \\( \\mathrm{rpm} \\)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했어?",
"실험동물의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 할 때 몇 \\( \\mathrm{rpm} \\)에서 진행하나?",
"실험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의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은 원심 분리 이후 \\( 60^{\\circ} \\mathrm{C} \\) 에서 보관후에 분석에 사용했어?",
"분석에 사용한 실험동물의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은 원심 분리 이후 \\( 60^{\\circ} \\mathrm{C} \\) 에서 보관하였나?",
"식이와 물 섭취량, 공복혈당, 혈장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매주 몇회 씩 측정을 진행했어?",
"주마다 몇회씩 식이와 물 섭취량, 공복혈당, 혈장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나?",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동물의 어떤 부분에서 채혈을 했어?",
"실험동물의 어떤 부분에서 채혈을 하여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나?",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무엇을 이용해서 측정했어?",
"측정할때 무엇을 이용해서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나?",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동물에게서 채취한 혈액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어떤 키트를 사용했어?",
"실험동물의 혈당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어떤 키트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에게서 채취한 혈액의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나?",
"RT-PCR실험과정에서 근육과 지방조직을 어떤 용액과 함께 넣고 homogenation을 했어?",
"RT-PCR실험에서 homogenation을 할 때 어떤 용액을 근육과 지방조직과 함께 넣었나?",
"근육과 지방조직과 TRI REAGENT 용액 혼합물을 원심 분리한 다음 상층액에 무엇을 첨가했어?",
"지방조직과 근육과 TRI REAGENT 용액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고 무엇을 상층액에 첨가하였나?",
"근육과 지방조직과 TRI REAGENT 혼합액에 isopropanol을 넣어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후 어떤 용액을 넣고 vortex를 진행해?",
"isopropanol을 넣은 근육과 지방조직과 TRI REAGENT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vortex를 하기 위해 넣는 용액은 무엇인가?",
"RT-PCR을 진행하기 위해 보관된 RNA는 nanodrop spectrometer의 \\( 290 \\mathrm{~nm} \\)의 파장대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정량화해?",
"RT-PCR을 위해 보관된 RNA는 흡광도를 nanodrop spectrometer의 \\( 290 \\mathrm{~nm} \\)의 파장대에서 측정하고 정량화 하는가?",
"5'-TGC CCA TCT ATG AGG GTT ACG-3'의 서열을 가지는 것은 어떤 primer야?",
"어떤 primer가 5'-TGC CCA TCT ATG AGG GTT ACG-3'의 서열을 가지고 있나?",
"RT-PCR을 진행한 PCR 산물은 무엇으로 염색된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했어?",
"agarose gel을 무엇으로 염색하여 RT-PCR을 진행한 PCR 산물을 전기 영동했나?",
"본 실험결과의 실험결과와 이론값의 차이는 SPSS의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어떤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어?",
"SPSS의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이론값의 차이는 어느정도 수준에서 유의성 있다고 판정하나?"
] |
merge_la_31a7cd33-93950666-bb7d-42cd-a0a2-bf99e568c83b_06
|
생명LA
|
Organomercurial lyase 유전자를 도입한 환경정화용 형질전환 까마중(Solanum nigrum) 선발
|
<p>또한 PMA를 처리한 배지에서도 대조구는 저 농도 \( (0.5 \mu \mathrm { M } ) \)에서부터 황변이 시작되는 반면, 형질전환 계통의 경우 최고 \( 10 \mu \mathrm { M } \) 까지 저항성을 나타내었는데 (Fig. 5), Arabidopsis 에 merB 유전자를 도입한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Bizily et al. 1999).</p> <h2>형질전환 까미중의 종자형성과 유전자 분리비 조사</h2> <p>형질전환된 계통을 선발한 후 유전자의 후대 안정성 검정 등- 지속적인 환경위해성 평가 연구를 위하여 \( \operatorname { merB } \) 유전자가 발현되고 수은저항성을 나타내는 merBl, merB4 식물체들 온실에서 3개월 동안 생육 시키며 종자 형성 특징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화서 당 맺힌 열매수와 1 개 열매 속에 생성된 종자의 개수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건조종자 100 개의 무-게는 대조구가 약간 무거웠는데 이는 기내 배양한 식물의 순화적응에 따른 차이로 생각되며 형실전환 과정을 통하여 완전히 불임인 개체가 되는 등의 특이점은 없었다 (Table 1). Schuh 등 (1993)은 벼의 형질전환체의 세대간 형태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으며,형질전환 까마중의 세대간 형태적 변이 등에 대해서는 보고된바 없다.</p> <p>형질전환 과정을 통하여 삽입된 \( \operatorname { merB } \) 유전자가 후대로 안정적으로 유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멘델의 유전법칙에 근거하여 삽입 유전자의 분리비를 조사하였다. 유전자 분리비는 항생제 저항성을 이용하였는데 형질전환시 항생제인 hygromycin 저항성 유전자와 merB 유전자를 함께 삽입하였으므로 형질전환된 까마중은 \( \operatorname { merB } \) 의 유전에 따라 항생제 저항성도 함께 나타나게 된다. 형질전환 까마중 종자는 hygromycin \( 50 \mathrm { mg } / \mathrm { L } \) 농도가 첨가된 발아배지에서 저항성을 띄며 잘 자라는 종자와 생장하지 못하고 고사하는 감수성 종자로 그 표현형이 나눠진다. 소독한 200 개의 \( \mathrm { T } _ { 1 } \) 종자는 hygromycin \( 50 \mathrm { mg } / \mathrm { L } \) 농도가 첨가된 종자 발아배지에 치상하고 10 일 후에 저항성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종자의 수를 세어서 분리 비를 산출한 결과는 Table 2 와 같다.</p> <p>MerBl 종자의 \( 3: 1 \) 분리비 검정은 기댓값이 \( 147.8: 49.3 \) 이었고, 카이제곱 값은 \( 28.2( \mathrm { P } =0.0001) \) 로 카이제곱의 동계적 유의차를 검정한 \( 5 \% \) 유의수준인 \( 3.84( \mathrm { P= } =0.05) \)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반면 15:1 분리비 검정은 기댓값이 \( 184.7: 12.3 \) 이었고 카이제곱의 통계적 유의차를 검정한 결과는 \( 5 \% \) 유의수준에서 관찰값과 기대값이 일치하였다. 따라서 merB1 종자는 15:1로 유전적 분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merB4 종자의 \( 3: 1 \) 분리비 검정은 기댓값이 147.8:49.3이었고 카이재곱 값은 \( 0.3 \) 으로 \( 5 \% \) 유의수즌에서 관찰값과 기댓값이 일치하였으므로 merB4 종자는 \( 3: 1 \)로 유전적 분리가 나타났다. 이들 \( \mathrm { T } _ { 1 } \) 종자는 후대번식을 통하여 \( \operatorname { merB } \) 유전자 형질이 고정된 계통을 확보할 것이다.</p> <table border><caption>Table 1 The characterization of the first generation's seeds of transgenic Solanum nigrum</caption> <tbody><tr><td>Lines</td><td>No. of fruits/lnflorescence</td><td>No. of seeds/fruits</td><td>Fresh weight \( ( \mathrm { mg } / 100 \) seeds)</td></tr><tr><td>Control</td><td>\( 7.0 \pm 0.9 \) *</td><td>\( 39.4 \pm 10.8 \)</td><td>\( 77.8 \pm 1.3 \)</td></tr><tr><td>merB1</td><td>\( 8.0 \pm 1.4 \)</td><td>\( 47.1 \pm 8.2 \)</td><td>\( 73.3 \pm 1.0 \)</td></tr><tr><td>merB4</td><td>\( 6.9 \pm 0.8 \)</td><td>\( 46.3 \pm 7.5 \)</td><td>\( 73.2 \pm 0.9 \)</td></tr><table border><caption>Table 2 Segregation pattern of transformant on the medium containing hygromycin</caption> <tbody><tr><td rowspan ='2'>Lines</td><td colspan ='2'>Observed</td><td rowspan ='2'>Expected</td><td rowspan ='2'>Expected segregation ratio</td><td rowspan ='2'>\( x ^ { 2 } \)-value</td><td rowspan ='2'>P-value</td></tr><tr><td>\( \mathrm { Hyg } ^ {\mathrm { R } } \).</td><td>\( \mathrm { Hyg } ^ {\mathrm { 5 } } \).</td></tr><tr><td>control</td><td></td><td>198</td><td></td><td></td><td></td><td></td></tr><tr><td rowspan ='2'>merB1</td><td rowspan ='2'>180</td><td rowspan ='2'>17</td><td>184.7:12.3</td><td>15:1</td><td>1.9</td><td>0.1677</td></tr><tr><td>147.8:49.3</td><td>3:1</td><td>28:2</td><td>0.0001</td></tr><tr><td rowspan ='2'>merB4</td><td rowspan ='2'>151</td><td rowspan ='2'>46</td><td>184.7:12.3</td><td>15:1</td><td>98.3</td><td>0.0001</td></tr><tr><td>147.8:49.3</td><td>3:1</td><td>0.3</td><td>0.5928</td></tr></tbody></table>
|
[
"표1에서, merB1의 열매수는 얼마인가?",
"표1의 merB1의 열매수 값은 무엇인가요?",
"표1에서, merB4의 열매수는 무엇인가?",
"표1의 merB4 열매수 값은 무엇인가요?",
"표에서 대조구의 열매수는 어떠한가?",
"표 중 대조구의 열매수 값은 무엇인가요?",
"표에서, 대조구의 종자의 개수는 어떠한가요?",
"표 중 대조구의 종자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서, merB1의 종자의 개수는 무엇인가요?",
"표 중 merB1의 종자 개수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서, merB4의 종자의 개수는 얼마인가요?",
"표 중 merB4의 종자 개수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대조구의 건조종자의 무게는 얼마인가?",
"표 중 대조구의 건조종자 무게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1의 건조종자의 무게는 얼마나해?",
"표 중 merB1의 건조종자 무게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의 건조종자의 무게는 얼마나돼?",
"표 중 merB4의 건조종자 무게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1가 15:1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은 얼마인가요?",
"표 중 MerB1의 15:1분리비 검정의 카이제곱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1가 15:1분리비 검정의 경우 기댓값은 얼마인가요?",
"표 중 MerB1의 15:1분리비 검정의 기대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가 15:1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은 어떠한가?",
"표 중 MerB4의 15:1분리비 검정의 카이제곱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가 15:1분리비 검정의 경우 기댓값은 얼마나돼?",
"표 중 MerB4의 15:1 분리비 검정 기대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가 3:1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은 얼마나돼?",
"표 중 MerB4의 3:1분리비 검정의\n카이제곱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가 3:1분리비 검정의 경우 기댓값은 무엇이니?",
"표 중 MerB4의 3:1 분리비 검정은 기댓값이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15:1 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이 더 큰 종자는 무엇이니?",
"표 중 어느 쪽의 15:1분리비 검정의 카이제곱 값이 더 큰가요?",
"표에 따르면, 3:1 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이 더 큰 종자는 어떤 것입니까?",
"표 중 어느 쪽의 3:1 분리비 검정 카이제곱 값이 더 큰가요?",
"표에 따르면, merB1의 HygR은 얼마인가?",
"표 중 merB1의 HygR 값은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1의 Hyg5는 무엇이니?",
"표 중 merB1의 Hyg5 값은 무엇인가요?",
"표에 따르면, merB4의 Hyg5은 어떻게 돼?",
"표 중 merB4의 Hyg5 값은 얼마인가요?",
"표2에 따르면, MerB1이 3:1분리비 검정의경우 기댓값은 얼마인가?",
"표2중 MerB1의 3:1분리비 검정은 기대값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MerB1가 3:1분리비 검정의 경우 카이제곱 값은 무엇인가?",
"MerBl 종자의 3:1 분리비 검정은 카이제곱 값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merB4의 HygR은 어떠한가?",
"표 중 merB4의 HygR 값은 얼마인가?"
] |
de2d3bd2-24ad-4e9f-ba7b-d9982358c811
|
생명LA
|
녹차섭취와 운동에 의한 비만 청소년의 혈중 biochemical marker 함량 감소
|
<h1>결과 및 고찰</h1><p>비만의 실질적인 원인은 체지방산화억제 작용과 에너지소비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만치료는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에너지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다양한 기능성 식품이나 물질이 지방산산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녹차에는 카테킨, 카페인 및 methylxanthine 등과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고 체지방산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욱이 녹차의 polyphenol은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을 담즙산 형태로의 배설을 촉진시켜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운동은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차와 운동의 단독 효과와 상승효과를 중학교 비만남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처리하여 연구하였다.</p><p>먼저 녹차섭취, 운동 및 이들의 병행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섭취나, 운동 및 이들의 병행은 체중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실험 전 체중 값을 공변인으로 조정하여 실험 후 체중을 처리 별 ANCOVA 결과, 처리간 체중에도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마도 12주간의 처리기간이 짧고, 연구대상자(중학생 비만 남학생)의 대사가 활발한 젋은 중학생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체중의 변화는 없었으나 대상자의 특성 상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관계로 대상자의 복부지방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녹차섭취와 운동 단독처리는 대상자의 복부지방률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이들의 병행처리는 복부지방률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 (p<0.05)\). 그러나 사전 복부지방률을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처리간 ANCOVA 결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p>비만 및 심혈관질환과 관련성이 있는 혈중 TNF-\(\alpha\), IL-6 및 leptin 함량을 측정하였다. TNF-\(\alpha\)는 녹차섭취, 운동 및 이들의 병행처리에 의해 감소되었지만, 운동에 의해서만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 (p<0.05)\). IL-6의 함량은 운동처리 및 녹차와 운동 병행처리에서 각각 \( p<0.01 \) 및 \( p<0.05 \)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녹차처리에 의해서는 감소되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leptin의 함량은 녹차 처리 \( (p<0.05) \), 운동처리 \( (p<0.05) \) 및 녹차와 운동처리 \( (p<0.05) \) 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TNF-\(\alpha\), IL-6 및 leptin 함량에 대한 처리간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p><p>Table 7은 TG의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TG는 녹차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 (p<0.01) \), 이는 정상범위 인 \( 143\mathrm{mg} / \mathrm{dl} \)을 초과하였다. 그러나 TG의 함량은 운동에 의해서는 증가하였고, 녹차와 운동을 병행처리 한 경우에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더구나 대조군에서도 유의성은 없지만 증가하였다. 공변인의 효과를 조절하여 분석한 결과 처리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Bonferroni 검증 결과 녹차처리는 다른 다른 처리와 비교하여 \( p< 0.01 \)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차섭취나 운동에 의해 TG의 함량이 감소한다는 보고와 상이한 결과이다.</p><p>녹차섭취와 운동은 혈중 HDL-C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오히려 녹차섭취와 운동을 병행하였을 경우 HDL-C의 농도가 유의적 \( (p<0.05) \) 으로 낮아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결과와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HDL-C는 TG치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녹차섭취와 운동에 의해 TG의 증가가 HDL-C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의 기저치 TG와 HDL-C 수치가 정상범위 내이기 때문에 처리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녹차섭취군의 정상 TG수치에서 12주 후 임상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타난 점은 실험기간 중 식이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였기에 나타난 결과라고 본다. 즉 녹차섭취에 따른 TG 증가는 실험 처치기간 내 고지방섭취에 의한 변화일 것으로 생각된다.</p><p>비만은 염증유발 상태에 의해 심혈관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근 비만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 TNF-\(\alpha\)와 IL-6의 분비 증가가 죽상동맥경화증을 진행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염증반응은 TNF-\(\alpha\)와 IL-6는 leptin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eptin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축적에 의하여 분비되며 식욕억제 및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키지만 비만환자의 leptin 농도는 높아져 있으므로 leptin 투여에도 반응하지 않는 leptin 저항성이 발생된다고 밝혀지고 있다. 운동은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세포자멸을 유도하는 TNF-\(\alpha\) 농도 감소와 관련이 있는데, 비만 흰쥐 및 비만 환자에게 운동으로 체중감소를 유도할 경우 혈중 TNF-\(\alpha\) 수준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운동은 비만에 의해 높아진 leptin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녹차섭취는 leptin의 농도만 감소시켰고 \((p<0.05) \), 운동은 TNF-\(\alpha\) \( (p<0.05) \), IL-6 \( (p<0.01) \) 및 leptin 농도 \( (p<0.05) \)를 감소시켰다. 녹차섭취와 운동 병행은 IL-6 ( \( p<0.05) \)과 leptin 농도 \( (p<0.05) \)를 감소시켰다. 이와 같이 녹차섭취에 의한 leptin 감소 및 녹차섭취와 운동병행으로 IL-6과 leptin이 감소된 점은 비만의 관상 동맥질환 병변에서 염증유발 억제 및 에너지균형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p>그러나 TNF-\(\alpha\)와 IL-6은 지방조직의 TG 분해를 자극하지만 본 연구에서 녹차 섭취에 의해 TG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IL-6과 leptin이 감소된 점은 녹차섭취에 의한 효과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즉 처리군과 대조군의 실험기간 중 TG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생활에 대한 관리를 하였으나 보고되지 않은 식생활 습관이 TG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으로 연구대상자의 연령이 발육과 발달이 왕성한 시기로서 녹차섭취의 효과를 초과하여 일시적 또는 자연적 혈중 일부 요인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p><p>결론적으로 비만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녹차섭취 및 운동의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cytokine인 TNF-\(\alpha\), IL-6 및 leptin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녹차섭취 및 운동의 효과는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시너지 효과는 볼 수 없었다. 이런 결과는 아마도 실험대상이 활동이 가장 활발한 중학생이었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p>
|
[
"비만치료는 무엇을 강구해야하는가?",
"녹차의 polyphenol이 가지는 효과는?",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녹차섭취, 운동 및 이들의 병행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이유는?",
"비만이 심혈관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간주되는 이유는?",
"비만의 원인은?",
"녹차에 있는 화합물 중에 비만에 효과가 있는 것은?",
"IL-6 및 leptin 함량과 관련 있는 증상은?",
"실험 중 어떤 고려 요소들의 시너지 효과는 없었나요?",
"해당 실험에서 대상 군에 대해 관리되지 않은 요소는 어떤 요소인가요?",
"Table 7은 실험에 대한 어떠한 결과를 도출한 것인가요?",
"해당 실험 대상군의 특성은 어떠한가?",
"IL-6의 함량은 운동처리 어느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했는가?",
"leptin의 함량은 녹차와 운동처리에서 어느 수준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가?",
"해당 실험에서 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어떠한 집단인가?",
"해당 연구의 실험 기간은 어떻게 되는가?",
"TG의 정상범위는 얼마인가?",
"실험결과에서 녹차섭취 및 운동의 시너지가 없었던 이유는?",
"녹차 처리, 운동처리 및 녹차와 운동처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한 성분은?"
] |
180fba29-e4dc-4f20-bfed-c9a7cde280a1
|
생명LA
|
녹차섭취와 운동에 의한 비만 청소년의 혈중 biochemical marker 함량 감소
|
<h1>초록 : 녹차섭취와 운동에 의한 비만 청소년의 혈중 biochemical marker 함량 감소</h1><p>녹차섭취와 유산소운동이 비만 남자중학생의 체중과 혈중 biochemical marker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체지방율이 \( 25 \% \) 이상인 비만 남자중학생 36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 (\mathrm{n}=9) \), 녹차처리군 \((\mathrm{n}=9) \), 운동군 \( (\mathrm{n}=9) \)과 녹차와 운동 병행군 \( (\mathrm{n}=9) \) 으로 분류하여, 운동은 주 5회 60분씩 12주간 실시하였고, 녹차는 녹차열수출물을 음용(녹차건중 \( 1.5-1.7 \mathrm{~g} / \) 일) 하였다. 대조군은 녹차처리군이 섭취한 양의 물을 섭취하였다. 실험 시작전과 12주 후의 혈중 TNF-\(\alpha\), IL-6, leptin, TG 및 HDL-C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처리군에서 체중 변화는 없었으나 병행군은 복부지방률이 감소하였다. 대조처리는 TNF-\(\alpha\), IL-6 및 leptin 함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녹차처리는 leptin \( (p<0.05) \)을 감소시켰고, TG \((p<0.01) \)는 증가시켰다. 운동은 TNF-\(\alpha\)\((p<0.05)\), IL-6\((p<0.01) \) 및 leptin \( (p<0.05) \)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녹차처리와 운동 병행은 IL-6\((p<0.05) \), leptin \( (p<0.05) \) 및 HDL-C \( (p<0.01) \)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녹차섭취나 운동은 젊은 비만 중학생의 혈중 염증 cytokine인 TNF-\(\alpha\), IL-6 및 leptin 함량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나, 녹차섭취와 운동의 병행에 의한 synergy 효과는 없었다.</p>
|
[
"실험에서는 남자중학생 서른여섯명을 어떻게 분류했는가?",
"실험에서 36명의 남자중학생은 어떤 그룹으로 분류되었어?",
"본 연구에서 남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운동은 어떻게 실시됐어?",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운동을 실시했어?",
"본 실험에서 실험대상들은 녹차 성분을 어떻게 섭취했어?",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녹차 성분을 섭취한 방법이 뭐야?",
"실험에서 대조군은 물을 어떻게 사용했어?",
"대조군은 녹차처리군이 섭취한 양의 물을 어떻게 했어?",
"실험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 후 12주가 지났을 때, 실험에서 어떻게 결과를 조사했어?",
"실험 시작전과 12주 후 결과 비교를 위해 무엇을 조사했어?",
"실험에서 leptin을 감소시킨 방법은 뭐야?",
"무엇이 leptin을 감소시켰어?",
"실험에서 TG 수치를 높이는 방법은 무엇인가?",
"무엇이 TG 수치를 증가시켰어?"
] |
1efe8aba-a034-49f4-bfff-82716f0547fa
|
생명LA
|
녹차섭취와 운동에 의한 비만 청소년의 혈중 biochemical marker 함량 감소
|
<h1>서 론</h1><p>청소년기는 성장과 발달이 빠르고 지방조직이 증가하기 때문에 비만발생에 위험한 시기이고, 성인비만으로 진전되기 때문에 청소년의 철저한 비만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청소년 비만은 심혈관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혈압, 제2형당뇨병 및 고지혈증 등을 조기에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tumor necrosis factor- \( \alpha \) (TNF- \( \alpha \) ), interleukin-6 (IL-6), leptin 등의 면역조절 adipocytokine은 지방대사, 항상성 에너지의 균형 및 인슐린 저항성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생리학적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이들 adipocytikine 분비 이상은 비만과 관련된 대사성 증후군과 심혈관 질환의 발병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p>청소년비만은 유산소운동이나 녹차와 같은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여 에너지소비와 지방산산화를 증가 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운동은 에너지 소비를 요구하기 때문에 체중조절에 필수적인 요인이 된다. 특히 유산소운동은 죽상경화를 유발시키는 triglyceride (TG)과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rerol(LDL-C) 등은 감소시키는 반면 항 동맥경화 작용을 하는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rerol(HDL-C)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유산소운동은 TNF-\(\alpha\), IL-6 등의 cytokine 생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p><p>녹차는 열 발생과 지방산화를 증가시켜 체지방함량을 감소 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녹차는 소비가 많고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재평가 되고 있다. 특히,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지방산 산화력의 증가 및 체지방, 복부지방을 감소시키며, 카페인 및 methylxanthine은 지방산산화 촉진 또는 지방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비만예방 및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이들 성분은 체지방의 분해를 저해하는 adenosine 작용을 억제하여 체지방분해를 촉진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EGCG는 체지방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TNF-\(\alpha\)와 같은 cytokine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물질로 밝혀졌다. 그리고 많은 녹차에 관련된 연구에서 녹차가 비만이나 심혈관계질환에 매우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녹차섭취방법이나 연구 대상자 개인차에 기인한다.</p><p>지금까지 비만에 대한 녹차섭취 효과연구는 주로 여고생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나 성장과 발육이 왕성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경우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녹차섭취나 운동이 비만 청소년 학생의 체지방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몇 가지 biochemical marker에 관하여 연구하였다.</p>
|
[
"청소년기가 비만발생에 위험한 시기인 이유가 뭐야?",
"청소년기가 비만발생의 시기로서 위험한 원인은 무엇입니까?",
"청소년기에 비만관리가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가 뭐야?",
"청소년기에 비만관리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면역조절 adipocytokine은 어느 종류가 있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면역조절 adipocytokine에서 어떠한 종류가 있습니까?",
"청소년 비만은 어떻게 해결가능해?",
"청소년 비만의 해결 방법은 무엇입니까?",
"유산소운동은 축상경화를 유발시키는 어떤 물질들을 억제해?",
"유산소운동은 축상경화를 유발시키는 어떠한 물질들을 억제할 수 있습니까?",
"유산소운동을 통해 항 동맥경화 작용을 하는 어떤 물질을 많이 몸에서 합성할 수 있어?",
"몸에서 유산소운동을 통해 항 동맥경화 작용을 하는 어떤 물질이 많이 합성되니?",
"운동이 체중조절에 필수적인 요인이 되는 이유가 뭐야?",
"체중조절에 운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원인은 무엇입니까?",
"adipocytikine 분비 이상은 어떤 발병을 촉진해?",
"adipocytikine 분비 이상은 어떤 질환의 발병을 촉지합니까?",
"유산소운동을 통해서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뭐야?",
"유산소운동을 통해서 증가되는 물질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녹차는 어떻게 체지방함량을 감소시켜?",
"녹차는 어떤 방법으로 체지방함량을 줄입니까?",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성분이 복부지방을 감소시켜?",
"복부지방을 감소 시키는 것은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어떤 성분입니까?",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은 어떻게 체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시켜?",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은 어떤 방법으로 체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증가실 수 있습니까?",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은 어떤 효과가 있어서 비만예방 및 치료에 활용되고 있어?",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은 무슨 효과가 나타나 비만예방 및 치료에 활용됩니까? ",
"EGCC는 어떤 물질군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이야?",
"EGCC는 어떤 물질군의 생성을 효율적으로 막는 물질입니까?",
"녹차에 관련된 연구에서 비만에 도움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요인 때문이야?",
"녹차에 관련된 연구에서 비만에 도움이 되지 않은 경우는 원인이 무엇이니?",
"본 연구 이전에는 비만에 대한 녹차섭취 효과연구의 연구대상은 주로 누구였어?",
"본 연구 이전에는 비만에 대한 녹차섭취 효과연구의 연구대상은 대부분 누구로 구성되었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연구의 주제는 뭐야?",
"본 연구에서 진행한 연구의 주제는 어떻게 되니?"
] |
bc87186d-e262-4ed7-b8e7-fbd83f58ef2a
|
생명LA
|
<h1>결 론</h1><p>숙주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유전적 다형성, 식이습관, 생활습관 등에 따른 미생물 균총 구성성분의 차이와 방사선(radiation), 항생제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에 의해서 숙주마다 암과 항암제에 반응하는 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숙주 간의 유전, 면역, 대사 등의 차이는 암의 진단, 치료, 예후에 이르기까지 개인 맞춤화된 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과 이에 따른 종양미생물 균총의 과도한 증식은 만성염증과 악성 변형을 초래하고 면역작용을 조절함으로써 발암 과정에 관여한다. 또한, 미생물 균총의 세포구성성분과 유전독성물질이 순환계를 통해 이동하여 다양한 기관에서 암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구강 미생물 균총의 구성성분으로 알려진 F. nucleatum, P. gingivalis가 위장관 경로의 여러 발암과정에 발암균(oncogenic bacteria)으로 작용하고 있다. 박테리아 외에도 미생물 균총을 구성하는 바이러스와 기생충이 암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위장관암 외에도 자궁경부암, 유방암, 백혈병 등 다양한 종류의 암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p><p>미생물 균총이 암의 발생, 성장, 전이 뿐만 아니라, 항암제의 치료, 부작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됨에 따라, 미생물 균총의 구성성분을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항암제(e.g., 식이요법, 프리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항생제, 대변 미생물총 이식)와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의 융합적 개발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암 발생에 관여하는 종양 미생물 균총의 구성이 연구마다 일치하지 않는 부분들이 존재하며, 종양 미생물 균총의 발암 기전과 관련된 정확한 인과관계에 대해 아직 많은 부분이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진단/치료효과/부작용 측면에서 암치료를 위한 미생물 균총 기반 접근방식에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임상, 임상 연구와 메타분석(meta-analysis)결과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특정 암과 관련된 균주에 대한 분류와 이에 대한 조절이 체내에 어떤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균과 암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뿐만 아니라, 면역계/중추신경계/내분비계와의 간접적인 연관성에 대해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p>
|
[
"미생물 균총의 세포구성성분과 유전독성물질이 어떤 곳을 통해 다양한 기관에서 암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어?",
"만성염증과 악성 변형을 초래하고 면역작용을 조절함으로써 발암 과정에 관여하는 것은 뭐야?",
"암의 발생, 성장, 전이 뿐만 아니라, 항암제의 치료, 부작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있는 것은 뭐야?",
"숙주마다 암과 항암제에 반응하는 정도의 차이는 어떻게 발생해?",
"미생물 균총의 구성성분을 조작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항암제(e.g., 식이요법, 프리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항생제, 대변 미생물총 이식)와 함께 융합적 개발이 제안되어온 시스템은 뭐야?",
"위장관 경로의 여러 발암과정에 발암균(oncogenic bacteria)으로 작용하고는 구강 미생물 균총의 구성 성분은 뭐야?"
] |
|
78c0ce59-b047-4a0f-b825-76fafd471d90
|
생명LA
|
<h1>초록 :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h1><p>인간 미생물 균총은 장, 구강, 피부와 같이 체내외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균류,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집단이다. 16s ribosomal RNA에 대한 대사체 분석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개발과 함께, 살아있는 유기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 균총이 숙주의 대사 및 면역과정과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생균(commensal microbiota)이라 불리는 미생물 균총의 특정 박테리아가 필수 영양소를 생성하거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여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비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의 조성을 의미하는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에 의해 체내 항상성 유지를 방해하여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최근, 미생물 균총 중에서도 구강과 장내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암의 발암과정과 항암제의 치료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여러 논문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미생물 균총-암-면역계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과 미생물 균총 기반 발암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은 암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리뷰는 미생물 균총의 박테리아가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논문들을 요약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제로써 미생물 균총의 잠재력과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p>
|
[
"16S 리보솜 RNA의 대사체와 염기서열을 정확히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생물 내에 있는 어떤 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나요?",
"장, 구강, 피부 등 인간의 신체에 있는 미생물 균총은 숙주의 신진대사와 인체의 무슨 과정과 관련이 있나요?",
"인간 신체에 있는 미생물 균총은 인체의 무슨 과정과 숙주의 신진대사와 관련이 있어?",
"숙주의 면역과정과 대사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숙주의 대사와 면역과정에 긴밀하게 영향을 미치나요?",
"박테리아가 영양소를 만들어낼 때 영향을 미치고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에게서 숙주를 방어하는 역할을 하는 균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공생균은 인체 외부에서 들어오는 어떤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지키나요?",
"숙주를 어떤 미생물로부터 보호하는것이 공생균의 역할이지?",
"dysbiosis는 무엇의 조성을 의미하나요?",
"dysbiosis의 뜻은 무엇의 조성인가?",
"체내 환경의 일정한 유지를 방해하고 여러 종류의 병을 유발하며 비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을 조성한다는 뜻을 가진 용어는 무엇인가요?",
"위장관암이 생성되는 과정과 항암제의 암 치료 효능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박테리아는 장내와 또 어느 부위에 있나요?",
"인체의 구강과 장내에 있는 박테리아의 어떤 암의 유발 과정과 항암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나요?",
"미생물 균총을 원인으로 한 암 유발 원리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되고 있나요?",
"본 논문에서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암과 어떤 것에 영향력이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나요?"
] |
|
18dbedcf-e4ec-4abf-a3b8-61846d838321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h1>초 록</h1><p>시금치에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시금치에 E. coli O\(157\):H\( 7\), L. monocytogenes를 접종한 후 각 단일처리 후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Fumaric acid \( (0.1\), \(0.3\), \(0.5 \%) \)와 mild heat (\( 40 \), \(50\), \(60^{\circ} \mathrm{C} \))의 각 단일처리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병합처리를 위한 fumaric acid의 최적농도는 \( 0.5 \% \), mild heat 처리조건으로 \( 50^{\circ} \mathrm{C} \)에서 \( 5 \mathrm{~min} \)으로 선정하였고, 병합처리 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 2.53\), \(2.62 \mathrm{~log} \mathrm{CFU} / \mathrm{g} \) 감소하였다. 그리고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 4^{\circ} \mathrm{C} \)에서 \(12 \)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 변화를 조사 하였다. 시금치의 초기 미생물 수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병합 처리구에서 총 호기성 균을 \( 2.77 \log \mathrm{CFU} / \mathrm{g} \) 감소시켰다. 특히, 저장 \(12 \)일 후 병합 처리구의 총 호기성 균 수는 \( 4.84 \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 1.82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균 효과를 가졌다. 또한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 및 비타 민 C 함량에 있어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유지에 효과적인 처리라고 판단된다.</p>
|
[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한 mild heat의 온도는 각각 얼마인가?",
"병합처리를 위한 fumaric acid의 최적농도는 얼마인가?",
"병합처리를 위한 mild heat 최적 온도는 얼마인가?",
"시금치에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금치에 E. coli O\\(157\\):H\\( 7\\), L. monocytogenes를 복합 처리하여 접종하였지?",
"시금치에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시금치에 어떤 균을 접종하였는가?",
"시금치 초기 미생물 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병합 처리구에서 총 호기성균을 얼마나 감소시켰나요?",
"병합처리를 위한 ,mide heat 처리 조건으로 \\( 50^{\\circ} \\mathrm{C} \\)에서 몇 분간 처리하였나?",
"병합처리했을 때 E. coli O\\(157\\):H\\( 7\\)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얼마나 감소하였는가?",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12일간 저장하여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변화를 확인한 온도는 몇 도인가?",
"저장 12일 후 병합 처리구의 총 호기성 균수는 얼마인가?",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은 처리구 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나요?",
"시금치의 저장 중 비타민 C의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유지에 효과적인가요?",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과를 규명하고자 처리한 Fumaric acid농도는?",
"병원성 미생물 제어효능을 밝히기 위해 처리한 Fumaric acid농도는?",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변화를 확인한 것은 며칠 저장한 후인가?",
" 며칠 저장한 뒤에 신선한 시금치에 병합처리 후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변화를 관측했는가?"
] |
b295c106-7eb3-4abc-9fd7-385097df6b6a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p>색도 변화. 식품의 저장 중 품질 지표 중 하나인 색도와 관련 해서,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 \mathrm{L}\), \(\mathrm{a}\), \(\mathrm{b} \)값을 나타내었는데, \(12 \)일간의 저장 중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읺았다(Table \(4\)). Park과 Kang(\(2015\))은 시금치에 \( 10 \mathrm{ppmv} \) 이산화염 소가스와 \( 80 \mathrm{ppm} \) peracetic acid를 처리하여 \(7\)일간 저장했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Siddiq 등(\(2013\)) 또한 양파를 \( 50\), \(60\), \(70^{\circ} \mathrm{C} \)에서 \(1 \)분간 처리한 후 \( 4^{\circ} \mathrm{C} \)에서 \(21 \)일간 저장했을 때, \( 60\), \(70^{\circ} \mathrm{C} \)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 \mathrm{L} \)값이 감소한 반면 \( 50^{\circ} \mathrm{C} \) 처리의 경우 저장기간 중 \( \mathrm{L}\)값의 변화가 없었다는 결과는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fumaric acid와 \( 50^{\circ} \mathrm{C} \)에서의 mild heat 병합처리는 시금치의 색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본 연구에서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물성 등에도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p><p>비타민 C 함량 측정. 저장 중 시금치의 비타민 C 함량을 Table \(5 \)에 나타내었다. 저장 초기 대조구의 비타민 C 함량은 \( 55.51 \mathrm{mg} / 100 \mathrm{~g} \)에서 \(12 \)일 후 \( 54.90 \mathrm{mg} / 100 \mathrm{g} \)이었으며, 병합처리의 경우 저장 초기 \( 55.21 \mathrm{mg} / 100 \mathrm{~g} \)에서 \( 54.97 \mathrm{mg} / 100 \mathrm{~g} \)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oi 등(\(2007\))에 따르면, 본 연구결과와는 달리 \(34 \)일 저장 시 비타민C 함량이 감소하였는데, 시금치 저장 시 비타민 C 함량의 손실율이 저장온도에 따라 달랐다고 하면서, 비타민 C 산화효소가 저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높은 활성을 지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시금치에서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 수확시기, 초기 비타민 C 함량의 차이, 저장온도에 따라 다른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금치의 경우,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비타민 C 함량에 있어서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색도, 영양성분, 물성 등 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도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 유지에 효과적인 처리라는 것을 시사한다.</p>
|
[
"식품의 저장 중 색도는 하나의 품질 지표인가요?",
"색도가 식품의 저장 중 품질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는건가요?",
"시금치의 저장 중 Hunter \\( \\mathrm{L}\\), \\(\\mathrm{a}\\), \\(\\mathrm{b} \\)값을 나타내었는데, \\(12 \\)일간의 저장 중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나요?",
"Hunter \\( \\mathrm{L}\\), \\(\\mathrm{a}\\), \\(\\mathrm{b} \\)값이 시금치의 12일간의 저장 중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업었나요?",
"저장 12일 후 대조구의 비타민 C 함량은 얼마인가?",
"저장 12일 후 대조구의 비타민 C 함량은 얼마를 보이고 있는가?",
"비타민 C 산화효소는 고온에서 보다 저온에서 높은 활성을 지니나요?",
"비타민 C 산화효소의 활성이 고온보다 저온에서 더 높은가요?",
"병합처리의 경우 저장초기 비타민 C의 함량은 얼마인가?",
"저장초기 병합처리가 완료된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은 얼마인가?",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는 시금치의 물성을 변하게 하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는 시금치의 물성에 영향을 끼치나요?",
"병합처리의 경우 12일 후 비타민 C의 함량은 얼마인가?",
"12일 후 병합처리가 적용된 비타민 C의 함량은 얼마인가?",
"병합처리의 경우 저장 초기와 12일 후의 비타민 C의 함량은 큰 변화가 있었나요?",
"병합처리 후 12일 동안 비타민 C의 함량의 변화에는 큰 변화가 있었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색도를 변화시키나요?",
"시금치의 경우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색도에 영향을 끼치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시금치의 영양성분에 영향을 끼치지 않나요?",
"시금치의 경우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가 영양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는 시금치의 비타민 C의 함량을 많이 줄어들게 하나요?",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는 시금치의 비타민 C의 함량에 큰 영향을 끼치나요?",
"시금치에서의 비타민 C의 함량은 품종에 상관없이 모두 같나요?",
"시금치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이 품종과 관계 없이 모두 같나요?",
"시금치에서의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나요?",
"시금치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이 저장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나요?",
"시금치에서의 비타민 C의 함량은 수확시기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가요?",
"시금치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이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가요?",
"저장 초기 대조구의 비타민 C 함량은 얼마인가?",
"비타민 C 함량이 저장 초기 대조구에서 얼마인가?"
] |
3d7ba0de-40fc-483b-a2c4-f18c4b4f0771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p>저장 및 포장조건. 대조구와 단순 물 세척, 최적 조건으로 선정된 병합 세척 처리 시료는 low density polyethylene bag (\(25 \times 30 \mathrm{~cm}\), \(60 ~\mu \mathrm{m}\) thickness, \( 4,100 \mathrm{~mL}\) \(\mathrm{O}_{2} / \mathrm{m}^{2} \cdot 24 \mathrm{~h} \cdot \) atm at \( 24^{\circ} \mathrm{C} \))에 포장한 후 \( 4^{\circ} \mathrm{C} \) cold chamber에서 \(12 \)일 동안 저장하며 미생물 수 및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p><p>미생물 수 측정. 시금치 시료 \( 10 \mathrm{~g} \)과 멸균 펩톤수 \( 90 \mathrm{~mL} \)을 멸균 bag에 넣고 \(3 \)분 동안 stomacher를 이용하여 균질화 하였다. 균질화 된 시료를 멸균 펩톤수로 \(10 \)배 연속 희석한 후 각 배지에 분주하였고, 총 호기성 균은 plate count agar (Difco Laboratories), E. coli O\(157\):H\(7\)은 sorbitol MacConkey (Difco Laboratories), L. monocytogenes는 Oxford medium base (Difco Laboratories)를 사용하였다. \( 37^{\circ} \mathrm{C} \)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colony를 계수하여 \( \mathrm{g} \) 당 colony forming unit (CFU)로 나타내었다. 색도 측정. 시금치의 색도는 색차계(CR-\(400\) Minolta Chroma Meter, Konica Minolta Sensing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사용된 표준 백판의 \( \mathrm{L}\), \(\mathrm{a}, \(\mathrm{b} \) 값은 각각 \( \mathrm{L}=97.36\), \(\mathrm{a}=-0.07\), \(\mathrm{~b}=2.03 \)이었다.</p><p>비타민 C 함량 측정. 시금치의 비타민 C 함량 분석은 HPLC (Waters,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mixer를 이용하여 마쇄한 후 동결건조하여 준비하였다. 동결건조한 시료 \( 2 \mathrm{~g} \)에 \( 10 \% \) 메타인산용액 \( 2 \mathrm{~mL} \)을 가하여 \(10 \)분간 현탁시킨 후, 다시 \( 5 \% \) 메타인산 용액 \( 25 \mathrm{~mL} \)을 넣어 \(30 \)분간 균질화 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 1,590 \times \mathrm{g}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상등액 만을 취하고, 상등액 \( 1 \mathrm{~mL} \)에 \( 5 \% \) 메타인산 용액 \(3 \mathrm{~mL} \) 을가하여 희석시킨 후 \( 0.2 \mu \mathrm{m} \) polyvinylidiene fluoride filter로 여과한 뒤 \( 10 \mu \mathrm{L} \)씩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칼럼은 Kinetex \( 5 \mu\) EVO C\(18\) \(100\)A (\(250 \times 4.6 \mathrm{~mm} \), Phenomenex Inc., Torrance, CA, USA)였다. 이동상은 \( 0.05 \mathrm{M}\) \(\mathrm{KH}_{2} \mathrm{PO}_{4} / \)acetonitrile (\( 60: 40, \mathrm{v}: \mathrm{v} \))을 \( 1 \mathrm{~mL} / \mathrm{min} \)으로 흘려주었으며 UV detector를 사용하여 \( 254 \mathrm{~nm} \)에서 검출하였다. 표준물질로 ascorbic acid를 사용해 비타민 C 함량을 산출하여 \( \mathrm{mg} \) ascorbic acid equivalent \( / 100 \mathrm{~g} \)으로 표시하였다.</p><p>통계분석. 실험결과의 통계 분석은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 p<0.05 \)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최소 \(3\)회 이상 반복실험 하여 평균 \( \pm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p>
|
[
"시금치의 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기기는 무엇인가요?",
"어떤 기구를 사용하여 시금치의 색도를 측정하는가?",
"시금치의 비타민 C 함량은 무엇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나요?",
"무엇을 사용해 시금치의 비타민 C 함량을 측정하였는가?",
"비타민 C 함량 분석시 사용한 표준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표준물질을 비타민 C 함량 분석 시에 사용하는가?",
"실험결과의 통계 분석은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나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program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프로그램이 실험결과의 통계 분석에 사용되었나요?",
"통계분석은 유의수준 \\( p<0.001 \\)에서만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방법을 사용하였나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방법은 통계분석 시 유의수준 \\( p<0.001 \\)에서만 사용하였는가?",
"미생물 수 측정을 위해 시금치 시료와 멸균 펩톤수를 멸균 bag에 넣고 stomacher를 이용하여 몇 분 동안 균질화하였는가?",
"멸균 bag에 담긴 시금치 시료와 멸균 펩톤수를 stomacher로 몇 분 동안 균질화하여 미생물 수를 측정하였는가?",
"시금치 시료와 멸균 펩톤수를 멸균 bag에 넣고 무엇을 이용하여 균질화 하였는가?",
"무엇을 이용해 멸균 bag에 넣은 시금치 시료와 멸균 펩톤수를 균질화하였는가?",
"Oxford medium base는 Difco Laboratories에서 구매하였나요?",
"Difco Laboratories에서 Oxford medium base를 구매했나요?",
"총 호기성 균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plate count agar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plate count agar를 사용하여 총 호기성 균을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배지를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
"sorbitol MacConkey 배지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어느 회사에서 sorbitol MacConkey 배지를 구매하였나요?",
"균질화된 시료를 멸균 펩톤 수로 몇 배 희석하여 배지에 분주하였는가?",
"배지에 분주된 시료는 멸균 펩톤수로 균질화된 시료를 몇 배 희석한 것인가?",
"E. coli O\\(157\\):H\\(7\\)균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배지는 무엇인가?",
"어떤 배지를 이용하여 E. coli O\\(157\\):H\\(7\\)균주를 확인하였는가?",
"L. monocytogenes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배지는 무엇인가?",
"어떤 배지를 사용해 L. monocytogenes 확인하였는가?",
"실험은 최소 몇 회 반복하여 통계분석 하였나요?",
"통계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실험을 최소 몇 회 이상 반복하였는가?",
"총 호기성균의 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배지는 무엇인가?",
"어떤 배지를 사용하여 총 호기성균의 수를 확인하였는가?",
"색차계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어느 회사의 색차계를 이용하였는가?"
] |
f7f2c1ca-fbe7-4f86-8e04-8a0071ac9b5c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h1>서 론</h1><p>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신선편이 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금치(Spinacia oleracea L.)는 높은 영양적 가치를 가져 널리 소비되는 채소 중 하나로, 유기산 및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칼슘, 마그네슘, 엽산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시금치는 주로 나물로 섭취하지만, 최근에는 녹즙 등 익히지 않은 상태로 섭취하는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신선 과채류가 별도의 가공 및 조리를 거치지 않을 경우, 미생물 오염에 노출되고 실제로 몇몇 신선편이 과채류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시금치의 경우, \(2006\)년 미국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의 outbreak로 \(205 \)명이 감염되어 \(4\)명이 사망하였고, \(2012\)년에도 \(33\)명이 E. coli O\( 157\):H\(7 \)에 감염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시금치의 소비 전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전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p><p>신선편이 과채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방사선 조사, 유기산, 오존, 염소, 전기분해수 등 다양한 비가열 처리 방법이 사용된다. 화학적 처리 방법인 유기산의 경우, 오래 전부터 식품 첨가제 또는 식품 보존제로 식품의 부패 방지 및 저장기간 증대를 위해 사용되어 왔다. 유기산은 식품의 \( \mathrm{pH} \)를 낮추고 undissociated form으로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한다. 즉, 유기산의 undissociated form이 쉽게 미생물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의 cytoplasm을 산성화시킴으로써 미생물이 억제되는 기작이다. 유기산 중 fumaric acid는 강한 살균력을 지니는데, 딸기, 브로콜리 싹, 사과주 등에서 그 효과가 보고되었다.</p><p>미생물 저감화를 위한 물리적인 방법으로 mild heat 처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메론, 연근, baby spinach 등에서 미생물 억제효과가 보고되었다. 그리고 mild heat는 신선편이 과채류의 갈변 관련 효소인 polyphenol oxidase, peroxidase 등을 불활성화 시켜 갈변을 억제시킨다. 이러한 mild heat는 다양한 세척제와 병합처리 시 세척제의 미생물 억제 효과를 증대시켜 준다. Delaquis 등(\(2002\))은 E. coli O\(157\):H\(7 \)으로 접종한 iceberg lettuce에 염소수를 \( 47^{\circ} \mathrm{C} \), \(3 \)분 처리 했을 때 대조구에 비해 \( 2 \log \mathrm{~CFU} / \mathrm{g} \)이상 감균 되었으며, Lin 등(\(2002\))은 E. coli O\(157\):H\(7\)과 Salmonella enteritidis를 접종한 상추에 과산화수소를 \( 50^{\circ} \mathrm{C} \)에서 처리 시 약 \( 4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균 효과를 보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금치의 저장성 증대를 위해 화학적 처리인 유기산과 물리적 처리 방법인 mild heat에 의한 단일처리 및 병합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 및 시금치의 저장 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p>
|
[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며 \\( \\mathrm{pH} \\)를 낮춰 미생물학적 안정성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은?",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함과 동시에 \\( \\mathrm{pH} \\)를 낮추어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은?",
"유기산은 세포의 뭘 산성화시켜서 미생물을 억제시킬 수 있는거야?",
"유기산은 세포의 무엇을 산성화시켜 미생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거야?",
"미생물 저감화를 위한 물리적 방법으로 갈변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은?",
"갈변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결과를 빚는 미생물 저감화를 위한 물리적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공식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의 가공식품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지?",
"시금치를 녹즙으로 먹으면 익혀서 먹는 것인가?",
"시금치를 녹즙으로 섭취하는 것은 익혀서 먹는 것과 동일한가?",
"신선편이 채소를 익혀먹으면 미생물 오염에 노출되므로 최대한 익혀먹는 것을 자제해야 하니?",
"신선편이 채소를 익혀먹게 되면 미생물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대한 익혀먹는 것을 피해야 할까?",
"시금치를 먹고 사망한 사례가 존재하니?",
"시금치를 먹은 후에 사망한 사례가 있어?",
"유기산은 식품을 염기성에 가깝게 만들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지?",
"식품을 거의 염기성에 가깝게 만들어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역할을 유기산이 수행할까?",
"fumaric acid는 미생물을 줄이기 위한 물리적인 방법에 속하니?",
"미생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물리적 방법 중 하나는 fumaric acid이지?",
"mild heat는 세척제와 함께 사용하면 미생물이 많아질 것인가?",
"mild heat를 세척제와 함께 사용하면 미생물의 증가가 예상되니?"
] |
3df0cfb2-f6c1-44b9-b82f-f94f08092de8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h1>재료 및 방법</h1><p>실험 재료.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금치(Spinacia oleracea L.)는 전라북도 장수군 농가에서 수확한 것으로, 수확 후 선별한 후 \(24\)시간 이내에 실험에 사용하였다.</p><p>병원성 미생물 배양 및 접종.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89\), NCTC \(12079\))와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9111\), KCTC \(13064\))는 각각 \( 25 \mathrm{~mL} \)의 tryptic soy broth (Difco Laboratories, Detroit, MI, USA)와 brain heart infusion (Difco Laboratories)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 3,000 \times \mathrm{g}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 0.1 \% \) 멸균 펩톤수로 cell pellet을 \(2\)회 세척한 후 \( 0.1 \% \) 멸균 펩톤수로 현탁하였고, 각 균을 cocktail한 후 최종농도가 약 \( 10^{5}-10^{6} \mathrm{~CFU} / \mathrm{mL} \)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표면에 존재하는 부착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ultraviolet 조사로 시료 앞, 뒷면을 각각 \(15 \)분씩 처리한 후, E. coli O\(157\):H\( 7 \)과 L. monocytogenes 용액 \( 1 \mathrm{~mL} \)을 시금치 \( 10 \mathrm{~g} \)의 표면에 접종하여 clean bench 내에서 \(20 \)분간 건조하였다.</p><p>Fumaric acid와 mild heat 처리. 시금치는 tap water나 fumaric acid 용액에 \( 1: 50\) (\(\mathrm{w} / \mathrm{v} \))의 비율로 \(5 \)분간 침지한 후, laminar-flow biosafety hood에서 \(30 \)분간 air-dried 상태로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켰다. Fumaric acid 용액의 경우 \( 0.1 \), \( 0.3\), \(0.5 \% \)의 농도에 따른 미생물 수 감균 효과를 비교하여 최적농도를 선정하였다. 대조구로는 세척하지 않은 시금치를 사용하였다. Fumaric acid 용액의 사용 농도 범위는 기존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Mild heat 방법은 tap water를 온도별 (\( 40\), \(50\), \(60) \), 시간별 (\( 1\), \(3\), \(5 \) 분)로 조건을 설정하여 \( 1: 50\) (\(\mathrm{w} / \mathrm{v} \))의 비율로 세척처리 하였다.</p><p>병합처리. 병합처리는 단일처리를 통해 최적 조건으로 선정된 \( 0.5 \% \) fumaric acid 용액과 각 온도에 따라 \( 1: 50\) (\(\mathrm{w} / \mathrm{v} \))의 비율로 \(5 \)분간 침지한 후, laminar-flow biosafety hood에서 \(30 \)분간 air-dried 상태로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켰다.</p>
|
[
"실험에서 사용된 시금치는 어느 지역에서 자랐어?",
"어느 지역에서 생장한 시금치를 실험에 사용했어?",
"시금치의 학명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시금치의 학명이야?",
"시금치는 수확 후 24일 후에 실험에 사용되었지?",
"수확 후 24일이 지난 시금치를 실험에 활용했어?",
"Escherichia coli O\\(157\\):H\\(7\\)는 무엇에 접종했어?",
"어디에 Escherichia coli O\\(157\\):H\\(7\\)를 접종했어?",
"Listeria monocytogenes은 무엇에 접종했어?",
"어디에 Listeria monocytogenes을 접종했지?",
"미생물을 접종한 후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을 몇 시간 배양했어?",
"미생물을 접종한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을 배양한 시간은 얼마야?",
"미생물을 배양한 후 원심분리는 얼마나 오래 했어?",
"원심분리는 미생물을 배양한 후 얼마나 오래 진행됐어?",
"원심분리 후 cell pellet을 무엇을 이용해 세척하였니?",
"무엇을 사용해서 원심분리한 cell pellet을 세척했어?",
"시료 표면에 있는 부착 미생물을 없애기 위해 무엇을 조사했어?",
"무엇을 시료 표면에 조사해 부착 미생물을 제거했어?",
"시금치를 어느 정도 비율로 tap water나 fumaric acid 용액에 침지시켰어?",
"어떤 비율로 tap water나 fumaric acid 용액에 시금치를 침지시켰지?",
"시금치 표면에 남아 있는 수분은 어디서 건조시켰어?",
"어디서 시금치 표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했지?",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것은 무엇이야?",
"실험에서 무엇을 대조구로 이용했어?"
] |
b213fb8a-cd70-44e7-995c-ed87832c8a5f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p>Fumaric acid와 mild heat 병합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 단일 처리를 통해 선정된 fumaric acid 최적 농도와 최적 mild heat 처리와의 병합처리를 통해 미생물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Table \(3\)). 단일 처리 결과를 통해 fumaric acid의 최적 농도는 \( 0.5 \% \)로 선정하였으며, 각 온도에 따른 최적 시간은 모두 \(5 \)분으로 선정하였다. \( 0.5 \% \) fumaric acid와 각 온도에 따른 mild heat 처리를 하였을 경우 \( 40^{\circ} \mathrm{C} \) 처리에 비해 \( 50^{\circ} \mathrm{C} \) 처리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 50^{\circ} \mathrm{C} \)과 \( 60^{\circ} \mathrm{C}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0.5 \% \) fumaric acid와 \( 50^{\circ} \mathrm{C} \)에서의 병합처리 경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수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 2.53\), \(2.62 \mathrm{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고, \( 0.5 \% \) fumaric acid 단일처리에 비해선 각각 \( 1.03\), \(0.94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Rahman 등(\(2010\))의 양배추에 \( 1 \% \) citric acid와 \( 50^{\circ} \mathrm{C} \) 처리 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수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 2.83\), \(2.85 \log \mathrm{CFU} / \mathrm{g} \)이 감소했다는 보고와, Huang과 Chen(\(2011\))의 baby spinach에 \( 1 \% \)의 lact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등을 \( 50^{\circ} \mathrm{C} \)에서 처리 시 미생물 수가 \( 2 \log \mathrm{CFU} / \mathrm{g} \)이상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p><p>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 수확 후 신선한 시금치 시료를 본 연구에서 선정된 최적의 병합처리 조건인 \( 0.5 \% \) fumaric acid와 mild heat (\( 50^{\circ} \mathrm{C}\), \(5\)분) 처리한 후 \( 4 \pm 1^{\circ} \mathrm{C} \)에서 \(12 \)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Fig. \(1\)). 저장 초기 대조구의 총 호기성 균 수가 \( 5.78 \log \mathrm{CFU} / \mathrm{g} \)이고 단순 물 세척은 \( 5.30 \log \mathrm{CFU} / \mathrm{g} \)인 반면에. 병합처리의 경우 \( 3.02 \mathrm{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 2.76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모든 처리구에서 미생물 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Kim 등(\(2010\))에 따르면 \( 0.5 \% \) fumaric acid를 딸기에 처리하여 저장했을 때, 저장 초기 대조구에 비해 \( 1.41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를 보였고, Klaiber 등(\(2005\))의 당근에 \( 50^{\circ} \mathrm{C} \) mild heat를 처리하여 저장했을 때, 저장 초기 총 호기성 균이 대조구에 비해 \( 1.7 \log \mathrm{CFU} / \mathrm{g} \)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의 fumaric acid와 mild heat병합처리가 synergy effect를 나타내어 더 큰 감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저장 \(12 \)일차에는 병합처리구가 \( 4.84 \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 1.82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균 효과를 보여 저장 중에도 미생물 감소 효과가 지속되었다. 이는 Wei 등(\(2005\))의 iceberg lettuce에 citric acid를 \( 50^{\circ} \mathrm{C} \)로 처리한 후 \( 4^{\circ} \mathrm{C} \)에서 \(7\)일 저장 시, 저장 초기 총 호기성 균이 대조구에 비해 \( 2.30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를 보였고 저장 \(7\)일 후에는 \( 2.9 \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감균 효과를 지속하였다는 연구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화학적 세척제와 mild heat와의 병합처리가 세척제의 단일처리보다 미생물 감소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mild heat가 세척제의 미생물 저감효과를 상승시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umaric acid와 mild heat의 병합처리는 시금치를 비롯한 신선 편이 과채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p>
|
[
"단일 처리 결과 fumaric acid의 최적 농도는 얼마인가?",
"단일 처리 결과 fumaric acid는 어느 정도의 최적 농도를 나타냈는가?",
"mild heat 처리를 하였을 경우 \\( 50^{\\circ} \\mathrm{C} \\)에서 \\( 60^{\\circ} \\mathrm{C} \\)로 온도가 올라갈수록 효과가 큰가?",
"mild heat 처리를 했을 때 \\( 50^{\\circ} \\mathrm{C} \\)에서 \\( 60^{\\circ} \\mathrm{C} \\)로 온도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는가?",
"단일처리보다 병합처리를 했을 때 미생물 감소 효과가 큰가?",
"병합처리를 한 경우가 단일처리를 했을 때보다 미생물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는가?",
"양배추 같은 경우 본 실험과 다르게 병합처리를 하는 경우 미생물이 감소하지 않는가?",
"본 실험과 달리 양배추의 경우에는 병합처리를 했을 때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지 않았는가?",
"본 연구에서 최적의 병합처리 조건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어떤 조건에서 최적의 병합처리를 보였는가?",
"미생물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는 미생물이 증가하였고 처리구는 미생물 수가 감소되었는가?",
"미생물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가 늘어난 대조구와 다르게 처리구에서는 미생물이 줄어들었는가?",
"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 실험에서 저장 기간은 얼마야?",
"얼만큼의 저장 기간 동안 미생물 수 변화 실험을 진행하였는가?"
] |
ba912e94-401c-44e3-86b3-e65be0ceaea2
|
생명LA
|
Fumaric acid 와 mild heat의 병합 처리에 따른 시금치의 저장 중 미생물 제어 효과
|
<h1>결과 및 고찰</h1><p>Fumaric acid 단일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 시금치에 fumaric acid 단일처리를 한 후 접종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미생물 제어 효과를 측정하였다(Table \(1\)). 시금치의 초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의 수는 각각 \( 6.11\), \(5.97 \log \mathrm{CFU} / \mathrm{g} \)이었다. \( 0.5 \% \) fumaric acid 처리 후 \( 4.19\), \(3.89 \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 1.92\), \(2.08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 0.1 \)과 \( 0.3 \% \) fuamric acid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가장 높은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미생물 수가 \( 7.39\), \(6.14 \log \mathrm{CFU} / \mathrm{g} \)인 브로콜리 싹에 \( 0.5 \% \) fumaric acid를 단일 처리 시, \( 2.29\), \(2.26 \log \mathrm{CFU} / \mathrm{g} \)이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p><p>Mild heat 단일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 효과. Mild heat 단일 처리 경우, 온도별 (\( 40\), \(50\), \(60^{\circ} \mathrm{C} \)), 시간별 (\( 1\), \(3\), \(5 \)분) 처리를 통해 각 온도에 따른 최적처리 시간을 선정하였다(Table \(2\)). 대조구의 초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수는 각각 \( 5.92\), \(6.03 \log \mathrm{CFU} / \mathrm{g} \)이었는데, 단순 물 세척의 경우 \( 5.64 \), \( 5.69 \log \mathrm{CFU} / \mathrm{g} \)로 단순 물 세척만으로는 미생물 수 감소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0^{\circ} \mathrm{C} \) 처리구의 경우, \(1 \)분 처리 시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수가 \( 5.47\), \(5.30 \log \mathrm{CFU} / \mathrm{g} \)으로 단순 물 세척 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의 감소를 보인 반면에, \(5 \)분 처리 시에는 대조구에 비해 \( 0.85\), \(0.96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효과로 \(1 \)분 또는 \(3 \)분에 비해 높은 감소를 보였다. \(50 \)과 \( 60^{\circ} \mathrm{C} \) 처리구 역시 \(5 \)분 처리 시 가장 높은 감소를 보였다. 특히, \( 50^{\circ} \mathrm{C}\), \(5 \)분 처리의 경우 총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 수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 1.54\), \(1.74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 60^{\circ} \mathrm{C}\), \(5 \) 분 처리의 경우에도 \( 50^{\circ} \mathrm{C} \)와 유사한 수준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E. coli O\(157\):H\( 7 \)을 접종한 baby spinach를 \( 40^{\circ} \mathrm{C} \) (\(5\)분), \( 50^{\circ} \mathrm{C} \) (\(2\)분)의 증류수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각각 \( 1.1\), \(1.6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Koseki 등 (\(2004\))의 연구에 따르면, E. coli O\(157\):H\( 7 \)과 Salmonella를 접종한 상추를 증류수에 \( 50^{\circ} \mathrm{C} \)에서 \(5 \)분간 세척처리를 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E. coli O\(157\):H\( 7 \)의 경우 \( 2.73 \log \mathrm{CFU} / \mathrm{g} \), Salmonella의 경우 \( 2.81 \log \mathrm{CFU} / \mathrm{g} \)의 감소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상온 (\( 20^{\circ} \mathrm{C} \))에서의 세척보다 mild heat된 \( 50^{\circ} \mathrm{C} \)에서의 세척이 미생물 수 감소에 있어서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p>
|
[
"단순 물 세척으로도 미생물 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가?",
"미생물 수의 감소는 물 세척만으로도 가능한가?",
"상온 세척을 했을 때보다 mild heat 세척이 미생물 수 감소에 있어서 더 효과적인가?",
"상온 세척과 비교했을 때 mild heat 세척이 미생물 수 감소에 더 효능이 있는가?",
"Fumaric acid 단일처리를 했을 때 가장 많은 미생물 감소효과를 나타낸 Fumaric acid의 농도는 얼마인가?",
"단일처리에 의해 미생물 감소가 최대로 이루어진 Fumaric acid의 농도는 얼마인가?",
"시금치에 \\( 0.5 \\% \\) fumaric acid 단일처리 후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감소량은 얼마인가?",
"\\( 0.5 \\% \\) fumaric acid 단일처리를 거친 시금치의 L. monocytogenes, E. coli O\\(157\\):H\\( 7 \\)의 감소 효과는 얼마의 수치로 나타났는가?",
"시금치 세척 시 미생물 수 감소에 제일 효과적인 온도는 얼마인가?",
"미생물 수 감소가 최대로 이루어지는 시금치 세척의 온도는 몇 도인가?",
"Mild heat 단일처리 실험에서 \\( 40^{\\circ} \\mathrm{C}\\), \\(5 \\)분 처리에서 가장 높은 감소를 보였는가?",
" \\( 40^{\\circ} \\mathrm{C}\\), \\(5 \\)분 처리에서 큰 감소효과를 보인 실험은 Mild heat 단일처리 실험인가?",
"mild heat 단일 처리 실험에서 1분만 처리 해도 단순 물 세척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는가?",
" 1분만 처리 해도 단순 물 세척 처리구와 대조했을 때 mild heat 단일 처리 실험과 결과적으로 큰 차이점이 나타나는가?",
"mild heat 단일 처리 실험에서 가장 효과적인 처리 시간은 얼마인가?",
"mild heat 단일 처리 실험에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시간은 언제인가?"
] |
merge_la_28a7cd33-9f48-48d1-9c82-54a3312b1a04_05
|
생명LA
|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
|
<h2>초 록</h2> <p>본 연구에서는 주박 분말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Lactobacillus acidophilus ,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thermophilus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분유에 주박을 0.5-2.0 \% 첨가한 결과 적정산도는 주박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 시간 후 대조구 1.07 %에서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는 \(1.19~1.29 %로 증가하였다. \( \mathrm { pH } 의 빈화도 적정산도의 번회와 일치하는 경항이였다. 산균 생균수는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수가 최대로 증가하는 시간도 주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축되었다. 대조군은 15시간 후 8.77log CFU/g로, 2.0 % 첨가군은 9시간 후 8.96 log CFU/g까지증가하였다. 또한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유청 비율은 감소하여 주박 분말이 유청 분리를 억제하여 커드의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주박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대조군과 관능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 <table border><caption>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oC for 12 h</caption> <tbody><tr><td>Korean rice wine lees (%)</td><td>Taste</td><td>Flavor</td><td>Color</td><td>Viscosity</td><td>Overall acceptability</td></tr><tr><td>0</td><td>3.85±0.93</td><td>3.70±0.80</td><td>3.85±0.75</td><td>3.40±1.00</td><td>3.90±0.72</td></tr><tr><td>0.5</td><td>3.35±0.67</td><td>3.40±0.88</td><td>3.80±0.62</td><td>3.15±0.75</td><td>3.65±0.67</td></tr><tr><td>1.0</td><td>3.55±0.95</td><td>3.65±0.88</td><td>3.85±0.67</td><td>3.40±0.75</td><td>3.80±0.83</td></tr><tr><td>2.0</td><td>3.40±0.88</td><td>3.50±0.95</td><td>3.85±0.81</td><td>3.35±0.81</td><td>3.65±0.93</td></tr></tbody></table>
|
[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한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0% 일 때의 Taste 값은 뭐야?",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을 통해 요구르트를 만들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한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0% 일 때 Taste가 나타내는 값과 그 오차범위는 무엇인가?",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한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0.5% 일 때의 Flavor 값은 뭐야?",
"Korean rice wine lees 가 0.5% 일 때의 Flavor 값은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만들 때,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한 표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한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1.0% 일 때의 Color 값은 뭐야?",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만들 때,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에 관한 특징을 조사한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1.0% 일 때의 Color 값은?",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oC for 12 h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2.0% 일 때 Viscosity 값은 뭐야?",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oC for 12 h 표 내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2.0% 일 때 Viscosity가 나타내는 값은?",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oC for 12 h 표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2.0% 일 때 Overall acceptability 값은 뭐야?",
"Overall acceptability 값은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oC for 12 h 표에서 어떠한 값으로 나타나는가?"
] |
merge_la_28a7cd33-9f48-48d1-9c82-54a3312b1a04_18
|
생명LA
|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
|
<h2>초 록</h2> <p>본 연구에서는 주박 분말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 Lactobacillus acidophilus ,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thermophilus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분유에 주박을 \( 0.5-2.0 \% \) 첨가한 결과 적정산도는 주박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 \)시간 후 대조구 \( 1.07 \% \)에서 수박 분발 침가 요구르트는 \( 1.19 \) \( 1.29 \% \) \%로 증가하였다. \( \mathrm { pH } \) 의 변화도 적정산도의 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젖산균 생균수는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수가 최대로 증가하는 시간도 주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축되었다. 대조군은 \(15 \)시간 후 \( 8.77 \) \( \log \mathrm { CFU } / \mathrm { g } \) 로, \( 2.0 \% \) 첨가군은 \(9 \)시간 후 \( 8.96 \mathrm { log } \mathrm { CFU } / \mathrm { g } \)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유청 비율은 감소하여 주박 분말이 유청 분리를 억제하여 커드의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주박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대조군과 관능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 <table border><caption>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 40 ^ {\circ } \mathrm { C } \) for \( 12 \mathrm { ~h } \)</caption> <tbody><tr><td>Korean rice wine lees ( \%)</td><td>Taste</td><td>Flavor</td><td>Color</td><td>Viscosity</td><td>Overall acceptability</td></tr><tr><td>\(0 \)</td><td>\( 3.85 \pm 0.93 ^ { n } \)</td><td>\( 3.70 + 0.80 ^ { 2 } \)</td><td>\( 3.85 \pm 0.75 ^ { n } \)</td><td>\( 3.40 \pm 1.00 ^ { n } \)</td><td>\( 3.90 + 0.72 ^ { n } \)</td></tr><tr><td>\(0.5 \)</td><td>\( 3.35 \pm 0.67 ^ {\mathrm { a } } \)</td><td>\( 3.40 \pm 0.88 ^ { n } \)</td><td>\( 3.80 + 0.62 ^ { 2 } \)</td><td>\( 3.15 + 0.75 ^ {\mathrm { n } } \)</td><td>\( 3.65 \pm 0.67 ^ { 2 } \)</td></tr><tr><td>\(1.0 \)</td><td>\( 3.55 + 0.95 ^ {\mathrm { n } } \)</td><td>\( 3.65 \pm 0.88 ^ { a } \)</td><td>\( 3.85 \pm 0.67 ^ {\mathrm { n } } \)</td><td>\( 3.40 + 0.75 ^ { n } \)</td><td>\( 3.80 \pm 0.83 ^ { n } \)</td></tr><tr><td>\(2.0 \)</td><td>\( 3.40 \pm 0.88 ^ { a } \)</td><td>\( 3.50 + 0.95 ^ { a } \)</td><td>\( 3.85 \pm 0.81 ^ { 2 } \)</td><td>\( 3.35 \pm 0.81 ^ {\mathrm { a } } \)</td><td>\( 3.65 \pm 0.93 ^ { n } \)</td></tr></tbody></table>
|
[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Taste 값은 뭐야?",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Taste 값은 어떻게 돼?",
"Table I 에서 Overall acceptability이 \\( 3.65 \\pm 0.93 ^ { n } \\) 인 것은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된 것인가?",
"Overall acceptability이 \\( 3.65 \\pm 0.93 ^ { n } \\) 인 것은 Table I 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진 것인가?",
"Table I 에서 Overall acceptability이 \\( 3.90 \\pm 0.72 ^ { n } \\) 인 것은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된 것인가?",
"Overall acceptability이 \\( 3.90 \\pm 0.72 ^ { n } \\) 인 것은 Table I 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진 것인가?",
"Table I 에서 Viscosity이 \\( 3.40 \\pm 1.00 ^ { n } \\) 인 것은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된 것인가?",
"Viscosity이 \\( 3.40 \\pm 1.00 ^ { n } \\) 인 것은 Table I 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진 것인가?",
"Table I 에서 Viscosity이 \\( 3.15 \\pm 0.75 ^ { n } \\) 인 것은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된 것인가?",
"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진 것이 Table I 에서 Viscosity이 \\( 3.15 \\pm 0.75 ^ { n } \\) 인 것이야?",
"Table I 에서 Color가 \\( 3.85 \\pm 0.75 ^ { n } \\) 인 것은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된 것인가?",
"Color가 \\( 3.85 \\pm 0.75 ^ { n } \\) 인 것은 Table I 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진 것인가?",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Flavor 값이 \\( 3.40 \\pm 0.88 ^ { n } \\) 일 때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첨가될 때인가?",
"Flavor 값이 \\( 3.40 \\pm 0.88 ^ { n } \\) 일 때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 가 몇 % 더해질 때인가?"
] |
merge_la_28a7cd33-9f48-48d1-9c82-54a3312b1a04_12
|
생명LA
|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
|
<h2>초 록</h2> <p>본 연구에서는 주박 분말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Lactobacillus acidophilus ,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thermophilus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분유에 주박 \( 0.5 ~ 2.0 \% \) 첨가한 결과 적정산도는 주박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 시간 후 대조구 \( 1.07 \% \) 에서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는 \( 1.19 \) \( 1.29 \% \) 릉가하였다. \( \mathrm { pH } \) 의 번화도. 직정산도의 번화와 일치하 는 증가하였다. 젖산균 생균수는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수가 최대로 증가하는 시간도 주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축되었다. 대조군은 15시간 후 \( 8.77 \) \( \log \mathrm { CFU } / \mathrm { g } \) ․ \( 2.0 \% \) 첨가군은 9시간 후 \( 8.96 \mathrm { log } \mathrm { CFU } / \mathrm { g } \) 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유청 비율은 감소하여 주박 분말이 유청 분리를 억제하여 커드의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주박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대조군과 관능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 <table border><caption>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 40 { } ^ {\circ } \mathrm { C } \) for \( 12 \mathrm { ~h } \)</caption> <tbody><tr><td>Korean rice wine lees ( \%)</td><td>Taste</td><td>Flavor</td><td>Color</td><td>Viscosity</td><td>Overall acceptability</td></tr><tr><td>0</td><td>\( 3.85 \pm 0.93 ^ { a } \)</td><td>\( 3.70 + 0.80 ^ {\mathrm { n } } \)</td><td>\( 3.85 + 0.75 ^ { a } \)</td><td>\( 3.40 \pm 1.00 ^ {\circ } \)</td><td>\( 3.90 + 0.72 ^ {\mathrm { t } } \)</td></tr><tr><td>\( 0.5 \)</td><td>\( 3.35 \pm 0.67 ^ {\mathrm { n } } \)</td><td>\( 3.40 \pm 0.88 ^ {\mathrm { n } } \)</td><td>\( 3.80 \pm 0.62 ^ { 2 } \)</td><td>\( 3.15 \pm 0.75 ^ {\mathrm { n } } \)</td><td>\( 3.65 \pm 0.67 ^ { 2 } \)</td></tr><tr><td>\( 1.0 \)</td><td>\( 3.55 + 0.95 ^ {\mathrm { a } } \)</td><td>\( 3.65 + 0.88 ^ {\mathrm { a } } \)</td><td>\( 3.85 \pm 0.67 ^ {\mathrm { n } } \)</td><td>\( 3.40 + 0.75 ^ {\mathrm { a } } \)</td><td>\( 3.80 \pm 0.83 ^ { 2 } \)</td></tr><tr><td>\( 2.0 \)</td><td>\( 3.40 = 0.88 ^ { a } \)</td><td>\( 3.50 + 0.95 ^ { a } \)</td><td>\( 3.85 \pm 0.81 ^ { a } \)</td><td>\( 3.35 \pm 0.81 ^ { a } \)</td><td>\( 3.65 \pm 0.93 ^ { 2 } \)</td></tr></tbody></table>
|
[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Taste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ce wine lees 가 0 일 때 Taste 값은 얼마인가?",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2.0 일 때 Taste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ce wine lees가 2.0 일 때 Taste 값은 얼마인가요?",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Flavor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Flavor 값은 얼마인가요?",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0.5 일 때 Flavor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ce wine lees가 0.5 일 때 Flavor 값은 얼마인가요?",
"Table I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oes powder after fermentation at 40 { } ^ {\\circ } \\mathrm { C }40 ∘ C for 12 \\mathrm { ~h }12 h 에서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Color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ce wine lees가 0 일 때 Color 값은 얼마인가요?",
"Table I 에서 Korean rise wine lees 를 1.0% 첨가할 때 Viscosity 값은 뭐야?",
"표에 따르면 Korean rise wine lees가 1.0 일 때 Viscosity 값은 얼마인가요?"
] |
d228e713-e7a2-41a7-bdd7-270c428ebeca
|
생명LA
|
인간 신장질환 유발인자가 발현하는 혈질전환 초파리 구축
|
<h1>결과 및 고찰</h1><p>Mesangial 세포는 kidney glomerulus의 모세혈관주위에 존재하는 특수화된 세포이다. Fenestrate의 glomerular fil-tration 조절, extracellular matrix, phagocyte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distal convoluted tubule의 macula densa와 juxtaglomerular apparatus 만들어 kidney의 혈류를 조절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기능도 가진다. 이와 같이 kidney가 정상적인 kidney의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건강한 mesangial 세포가 존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p><p>Megsin이 과발현하는 transgenic mice는 심각한 glomerular abnormality를 보인다. 특히 glomerulus가 정상보다 커지는 것과 함께 mesangial cell에서 megsin이 강한 발현을 보인다. 환자의 신자에서는 정상인의 신장에 비하여 megsin이 약 \( 30 \% \)정도 과발현된다. Mesangial cell을 ER stress inducible 상태 (당쇄저해, 칼슘교란, NO donor, oxidative stress, 과포도당)를 만든 결과 ER chaperone이 정상에 비하여 높은 발현을 보였다. 이런 세포반응을 UPR (unfolded protein response)라고 라며 전형적인 ER stress 상태를 보인다. Anti-megsin antibody를 사용한 immunoelectron micro-scopy의 관찰 결과 megsin이 electron-dense inclusion bodies에 집중되었다. IgA 신증환자의 mesangial 세포는 serpin의 변성구조로 인한 세포내 retention과 inclusion body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serinopathy와 변성단백질이 소포체내의 ER chaperone에 retention되는 ERSD의 공통적인 세포병리현상을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IgA 신증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megsin 단백질의 연구는 학문적으로 단백질 conformation의 변화에 의해서 유발되는 serinopathy ERSD이 공통된 분자메카니즘을 가진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p><p>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이해하기위하여 Drosophila Gal4-UAS system을 이용하였다. 그 이유는 동물의 kidney에서 mesangium 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할 수 없으며, 계속적인 계대배양도 곤란한 상태이다. 전체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거지는 kidney 연구를 위하여서는 세포수준의 실험에서 많은 장애가 있다. 그래서 Drosophila Gal4-UAS system을 이용하여 megsin이 overexpression 하는 유전자 변형 Drosophila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형 megsin이 과발현하는 transgenic Drosophila (actin-gal4>UAS-Megsin fly) 를 만들었다. 이 형질전환체의 유전적 표현형은 melanin defi-ciency-abdomen을 보였다, 후세대에서 형질전환체를 고르기 위하여 육안 표식으로도 사용된다. 인간형 megsin이 도입된 형질전환체에서 발현하는 megsin의 mRNA를 RT-PCR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비록 유전자가 도입되어있어도 actin-gal4로 induction 시키지 않으면 Fig. 3의 lane 2와 같이 아주 약한 존재가 확인될 뿐이지만 actin-gal4로 induction되면 Fig. 3의 lane 3과 같이 강한 발현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발현된 인간현 megsin 유전자가 Drosophila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translation되어 단백질로 만들어지는 지를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Fig. 3에서와 같이 actin-gal4로 induction된 형질전환체에서 megsin밴드가 확인되었다.</p><p>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gA 신증환자의 mesangial 세포에 megsin의 강한 발현과 inclusion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p><p>megsin 단백이 병태생리학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래서 megsin 단백은 IgA 신중환자의 치료를 위한 신약개발의 중요한 target이 되는 분자로 생각되어 아주 흥미를 모으고 있다. 본 연구자 역시 megsin이 신장질환 치료약의 신약개발의 중심에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megsin의 유전자활성/억제 혹은 단백질활성/억제를 조절할 수 있는 단백질을 탐색하려고 한다. 연구시설과 인력 등을 고려하여 대규모의 단백저해화합물질을 screening 하는 것은 어려운 상태라서, 우선 작은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 Drosophila Gal4-UAS system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특히 megsin 유전자는 WT Drosophila가 가지고 있지 않으며 transgenic Drosophila는 눈으로 식별할 수 있는 phenotype을 나타내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사람 megsin의 분자생물학적 접근이 아주 용이하다. 결국 사람 megsin 유전자 산물과 interaction 하는 인자를 screening하여 mesangial 세포내에서 직접 그 작용을 이해함으로서 megsin을 통한 IgA 신증환자를 위한 신약으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p>
|
[
"Mesangial 세포는 어디에 위치할까?",
"Mesangial 세포의 역할은 무엇이야?",
"Mesangial cell을 ER stress inducible 상태를 만들면 ER chaperone이 정상에 비하여 높은 발현을 보이는데 이런 세포반응을 뭐하고 할까?",
"정상인의 신장에 비해 몇 퍼센트의 megsin이 환자의 신장에서는 과발현되지?",
"무엇을 통해서 megsin 유전자가 Drosophila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translation되어 단백질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어떤 사실에 본 연구자는 주목하고 있어?",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야?",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이야?",
"정상인의 신장에 비해 환자의 신장에서는 무엇이 과발현될까?",
"무엇이 정상인의 신장에 비해 환자의 신장에서 과발현되니?",
"환자의 신장에서는 정상인의 신장에 비해 몇 퍼센트의 megsin이 과발현되니?",
"무엇을 이용해서 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이해했어?",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인간형 megsin이 도입된 형질전환체에서 발현하는 megsin의 mRNA를 확인했어?",
"Drosophila Gal4-UAS system을 사용해서 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파악한 이유는 뭐야?",
"어떻게하면 megsin을 통한 IgA 신증환자를 위한 신약으로 사용가능해?",
"immunoelectron micro-scopy의 관찰 결과 시행시 사용하는 것은 무엇이야?"
] |
c721a1fc-ddfd-42fc-ad36-324fb9617a1b
|
생명LA
|
인간 신장질환 유발인자가 발현하는 혈질전환 초파리 구축
|
<h1>요 약</h1><p>IgA nephropathy (IgAN)의 정확한 병리적 기전은 아직 완전히 알려지지 못했지만 유전적 혹은 환경적요인인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엔 IgA의 구조 이상이나 과다한 IgA가 생산되어 사구체에 침착되어 병변이 일어나는것이 보고되고 있다. Megsin은 glomerular mesangium에서 지배적으로 발현되며 IgAN에서 과발현된다. 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이해하기위하여 인간형 megsin이 과발현하는 D. melanogaster 형질전환체 (actin-gal4>UAS-Megsin fly)를 만들었다. 이 형질전환체의 유전적 표현형은 melanin deficiency-abdomen이며 도입된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은 각각 RT-PCR과 Western blotting을 로 확인되었으며 megsin 유전자는 안정적으로 자손에게 유전되었다.</p>
|
[
"유전적 혹은 환경적요인이 무엇의 정확한 병리적 기전에 많이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나요?",
"무엇의 정확한 병리적 기전이 유전적 혹은 환경적요인 많이 관계된 것으로 나타났는가?",
"IgA nephropathy의 확실한 병리적 기전은 알 수 없지만 어떤 요인들에 깊이 관여하는가?",
"IgA nephropathy의 확실한 병리적 기전은 떤 요인들에 깊이 관여했나요?",
"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깨닫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어떻게 해야 Megsin의 생물학적 기능을 깨닫습니까?",
"D. melanogaster 형질전환체의 어떤 유전자가 후손들에게 안전적으로 전해졌는가?",
"후손들에게 안전적으로 D. melanogaster 형질전환체의 어떤 유전자가 전해졌나요?",
"D. melanogaster 형질전환체의 유전적 표현형은 무엇인가?",
"무엇이 melanogaster 형질전환체의 유전적 표현형일까?"
] |
fe9b663f-9987-464a-8d57-f850ab5aca83
|
생명LA
|
인간 신장질환 유발인자가 발현하는 혈질전환 초파리 구축
|
<h1>서 론</h1><p>IgA 신증 (IgA nephropathy; IgAN)은 면역글로불린A (IgA)가 신장 사구체 (kidney glomerulus)에 침착되는 사구체신염으로서 혈뇨, 단백뇨가 나타난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알려지지 못했지만 IgA의 구조 이상이나 과다한 IgA가 생산되어 사구체에 침착되어 병변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IgAN의 특징은 비교적 젊은 남자에 많고, 가족력이 있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권 국가에 가장 흔한 사구체신염으로 10년 생존율은 \( 80 \% \)정도이며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의 \(7-10\%\)는 이 IgAN으로 인한 말기 신부전이다. 그러나 현재로는 확실한 진단 및 치료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지금까지 축적된 IgAN의 원인은 mesangium 세포의 증식에 의한 사구체혈류 저해가 주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사람의 mesangium 세포에서 특이적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으면, 질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생각된다.</p><p>최근에 일본 Toka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의 Kurokawa 박사팀은 Mesangium-predominant gene (Megsin)을 새로운 고속 DNA 염기배열해석법과 컴퓨터◦데이터 프로세싱을 이용해, 신장 이외 조직 및 세포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Megsin이란 이름은 mesangial cell-specific gene with homology to serpin에서 유래되었다. Computer modeling 분석결과 다른 종류의 serpin과 아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사람 megsin cDNA는 \( 1,140 \mathrm{nt} \)로 \( 380 \mathrm{aa} \)를 코드하고 있으며 염색체 18q21.3의 위치에 존재한다. 염기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새로운 serpin (serine protease inhibitor) family로서 사람 신장 사구체 mesangium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과 함께 IgAN에서 mesangium의 증식과 동반하여 발현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megsin이 사람 mesangium 증식성 IgAN의 주원인일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이때에 mesangium 세포의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ER)내에 inclusion body가 형성하는 것과 소포체내에 존재하는 ER chaperone의 발현이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IgAN은 ER stress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즉, 사람 IgAN은 serpinopathy로서 ERSD (ER storage disease)와 밀접한 관계를 가질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megsin의 억제 및 조절인자를 찾는다면 IgAN의 진단 및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여 megsin 관련인자를 찾기 결정하였다. Mesangium 세포를 사용한 실험도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동물조직에서 mesangium 세포를 \( 100 \% \)순수하게 분리할 수 없으며 세포수준의 실험에서 많은 장애가 있다. 그래서 초파리의 Gal4-UAS system을 이용하여 megsin이 overexpression 하는 유전자 변형 초파리를 만드는 것이 먼저 이루어져야한다.</p><p>사람 megsin cDNA를 Kurokawa 박사로부터 분양받아 Drosophila의 Gal4-UAS system을 이용한 megsin이 과발현하는 transgenic Drosophila를 만들었다. 외형적인 특징은 WT에 비하여 actin-gal4>UAS-Megsin은 약한 복부에 melanin deficiency를 보였다. 실제로 사람 megsin이 초파리에 발현하는지는 RT-PCR로 확인하였으며, megsin 단백 질의 확인은 anti-megsin antibody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megsin 유전자는 다음세대에도 안정적으로 전달되었다.</p>
|
[
"면역글로불린A가 신장 사구체에 침착되는 사구체신염은 뭐야?",
"신장 사구체에 면역글로불린A가 침착되는 것은 뭐지?",
"IgA 신증은 무엇이 나타나?",
"무엇이 IgA 신증으로 드러나지?",
"무엇으로 인해 사구체에 침착되어 병변이 일어난다고 보는가?",
"사구체에 침착되어 병변이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
"IgAN의 특징은 비교적 젊은 여자에 많아?",
"비교적 젊은 여자에게 IgAN의 특성이 많이 보이니?",
"IgAN의 10년 생존율은 얼마야?",
"IgAN에 대한 10년 생존율은 얼마일까?",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의 \\(7-10\\%\\)는 이 IgAN으로 인해 무엇이 나타나?",
" IgAN으로 인하여 무엇이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의 7-10%가 일어나니?",
"어디에서 특이적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는가?",
"특이적 유전자는 어디에서 찾아낼 수 있지?",
"지금까지 축적된 IgAN의 원인은 뭐야?",
"지금까지 IgAN의 축적된 이유는 무엇이니?",
"일본에 어느 박사팀은 새로운 고속 DNA 염기배열해석법과 컴퓨터◦데이터 프로세싱을 이용해 무엇을 했어?",
"일본의 한 박사팀은 새로운 고속 DNA 염기배열해석법과 컴퓨터◦데이터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조사가 한것이 무엇이니?",
"Megsin이란 이름은 어디에서 유래됐어?",
"어디에서 Megsin이란 이름이 유래됐지?",
"Computer modeling 분석결과 다른 종류의 serpin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는가?",
"Computer modeling 분석한 결과 타 종류의 serpin과는 상이한 구조를 보이는가?",
"Drosophila의 Gal4-UAS system을 이용한 megsin이 과발현하는 무엇을 만들었어?",
"무엇이 Drosophila의 Gal4-UAS system을 사용하여 megsin이 과발현하는 것을 만들었니?"
] |
a3bcb655-56cc-40b7-a607-274938d55430
|
생명LA
|
인간 신장질환 유발인자가 발현하는 혈질전환 초파리 구축
|
<h1>재료 및 방법</h1><h2>Gal4-UAS system</h2><p>Yeast transcriptional activator인 Gal4는 Drosophila에서 upstream activating sequence (UAS)와 유전자를 삽입하고 Gal4가 UAS에 결합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Gal4 gene은 Drosophila genome에 enhancer-trap line을 생성하기 위해 random position으로 삽입되고 가까운 곳에 있는 genomic enhancer의 조절 하에 Gal4가 발현된다. Gal4의 발현은 tissue-specific pattern으로 일어난다. 그러므로 유전자의 발현은 적절한 Gal4 enhancer-trap line과 crossing 함으로써 UAS-gene transgene 유도함으로 일어난다.</p><h2>Transgenic Drosophila 만들기</h2><p>Kurokawa 박사로부터 받은 사람의 megsin cDNA는 kozakATG로 시작하여 C-Myc+His로 재조합되어 있으며 이를 Kpn I 과 Xba I 으로 자른 후 pUAST vector로 서브클로닝 하였다. 클로닝 된 plasmid를 \( 1 \sim 1.5 \mu \mathrm{g} / \mu \mathrm{l} \) 로 정제하여 10\( \mu \mathrm{l} \)을 GenExel(주)에 transgenic fly generation service를 의뢰 하였고, 이를 transposon-mediated mutagenesis를 통해 transgenic Drosophila를 제작 선별하였다. Transposon-mediated mutagenesis는 두 개의 plasmid (defective P element와 helper P element)를 w1118의 embryo에 injection하여 G0 세대의 adult를 모두 각각의 w1118과 crossing 하여 G1세대에서 눈의 색에 색깔을 띠는 adult를 선별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32개 line의 color eye line을 확보하였다.</p><h2>Megsin의 발현 및 발현 확인</h2><p>UAS-megsin line을 각각 enhancer-trap Gal4 line (w-;Actin5c-gal4/CyO;+/+)과 crossing 하여 Megsin이 발현되는 form인 w-;Megsin/Actin5c-gal4;+/+(actin-gal4 >UAS-meg-sin)와 발현되지 않는 control, W-;Megsin/CyO;+/+(UAS-meg-sin)을 얻었다. WT과 더불어 actin-gal4 >UAS-megsin, UAS-megsin의 초파리 adult를 harvest 하여 RNA와 단백질을 분리하여 각각 RT-PCR과 Western blotting 을 통해 megsin이발현됨을 확인하였다.</p><h2>항체제작</h2><p>사람의 Megsin 단백질로 polycolonal 항체를 만들기 위해 E. coli 과잉발현 vector (pET28a, novagene)에 kozakATG로 시작하여 C-Myc+His로 재조합 된 사람의 Megsin을 코드하고 있는 cDNA를 삽입하였다. 다량의 단백질을 얻기 위하여 \( 1 \mathrm{~L} \) 배양하고 여기에서 얻어진 단백질을 정제하여 항체제작 서비스 (랩프런티어)를 통해 항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meg-sin peptide 1 (aa 72-86) region을 항원으로 정하고 인공 합성하여 항체제작 서비스 (랩프런티어)를 통해 항체를 제작하였다.</p>
|
[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떻게 돼?",
"본 논문에 따르면 유전자 발현은 어떻게 조절되는가?",
"유전자의 발현은 어떻게 일어나는거야?",
"유전자의 발현은 어떠한 방법을 통해서 나타나는가?",
"Transposon-mediated mutagenesis는 어떤 방법으로 G1세대에서 눈의 색에 색깔을 띠는 adult를 선별해?",
"G1세대에서 눈의 색에 색깔을 띠는 adult를 선별하는 방법으로 Transposon-mediated mutagenesis은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는가?",
"megsin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뭐야?",
"megsin이 발현여부는 어떠한 것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사람의 Megsin 단백질로 polycolonal 항체를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했어?",
"polycolonal 항체 형성을 위해 사람의 Megsin 단백질을 어떻게 이용하였는가?",
"다량의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해여 랩프런티어를 사용하기 전에 어떤 과정을 거쳤어?",
"랩프런티어를 사용하기 전, 어떤 과정을 진행한 이후에 다량의 단백질을 정제를 하였나?"
] |
0d8dbb67-a415-44ed-b1cc-51514ad6e83f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2>혈중 지질 성분 분석</h2><p>혈청의 총 지질 함량은 sulfo-phospho-vanillin법에 따라 혈청 \( 20 \mu \mathrm{l}\)에 phospho-vanillin 시약을 가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15분간 배양한 후 시료 무첨가구를 대조로 하여 \( 54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총 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AM 202-k, Asan,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중성 지방 함량은 중성지방 측정용 kit 시약(AM 157S-k, Asan, Korea), 인지질은 인지질 측정용 kit 시약(SICDIA L PL, Eiken, Japan),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의 측정은 HDL-C 측정용 kit 시약(AM 203-k, Asan, Korea)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LDL-cholesterol(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 (HDL-C + 중성지방 / 5) 의 계산식에 의해, VLDL-cholester-ol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은 혈청 총 콜레스테롤 - (HDL-C + LDL-C) 의 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또,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x, AI)는 (혈청 총콜레스테롤 - HDL-C) / HDL-C의 계산식으로부터, 심혈관질환 위험 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총콜레스테롤 / HDL-C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p><h2>혈당, 총 단백질 및 알부민 함량 측정</h2><p>혈당 함량은 glucose 측정용 kit 시약(AM 201-k, Asan, Korea)으로 측정하였다. 혈청 중 총 단백질 함량은 Biuret법에 따라 총 단백질 측정용 kit 시약(Asan, Korea), 알부민 함량은 B.C.G법에 따라 albumin 측정용 kit 시약(Asan, Korea)으로 측정하였다. 혈청 중 globulin 함량은 총 단백질 함량에서 al-bumin 함량을 제외한 값으로 계산하였다.</p><h2>혈중 GOT 및 GPT 활성 측정</h2><p>혈청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및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활성도는 GOT 및 GPT 측정용 kit 시약(Asan, Korea)를 사용하여 \( 505 \mathrm{~nm} \)에서 각각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혈청 \( 1 \mathrm{ml} \)당 Karmen unit로 표시하였다.</p><h2>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h2><p>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 \( 100 \mu \mathrm{l} \)에 \( 1 / 12 \mathrm{~N} \) 황산용액 \( 4 \mathrm{~ml}\), \(10 \% \) phosphotungstic acid \( 0.5 \mathrm{ml} \)를 차례로 가하여 5분간 반응시킨 후 \( 4,000 \mathrm{~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켰다.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증류수 및 TBA 시약을 가하여 \( 95^{\circ} \mathrm{C} \) 수욕상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며, 여기에 \( 3 \mathrm{ml} \)의 butanol을 가하여 \( 4,000 \mathrm{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상층액의 흡광도를 \( 532 \mathrm{~nm} \)에서 측정하였다. TBARS 함량은 1,1,3,3-tetraethoxypropane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p><p>항산화 활성은 Lim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100\mu \mathrm{l}\)에 tris-HCl 완충액( \( 100 \mathrm{~mM}\), \(\mathrm{pH} 7.4\))을 \( 1 \mathrm{ml} \) 가하여 혼합한 후 \( 0.5 \mathrm{~mM} \)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용액 \( 1 \mathrm{~ml} \)를 가한 다음 \( 37^{\circ} \mathrm{C} \)의 암실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chloroform \( 2 \mathrm{~ml} \)를 가하여 \( 3,000 \mathrm{~rpm} \)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킨 다음 chloroform층을 취하여 \( 517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시료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비로 나타내었다.</p><h2>통계처리</h2><p>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 \( \pm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한 후 \(~p< 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비교분석하였다.</p>
|
[
"혈청의 총 지질 함량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혈청의 총 지질 함량 측정에서 sulfo-phospho-vanillin법에 따라 사용된 혈청의 양은 얼마나 되나요?",
"혈청의 총 지질 함량을 구하기 위해 혈청을 얼마나 사용하였나요?",
"혈청의 총 지질 측정에서 포스포 바닐린 시약은 어디에 첨가되나요?",
"포스포 바닐린 시약을 어디에 추가하여 혈청의 총 지질 함량을 측정하나요?",
"혈청의 총 지질 함량 측정 시 sulfo-phospho-vanillin법에 따르려면 혈청 \\( 20 \\mu \\mathrm{l}\\)에 어떤 시약을 사용해야 하나요?",
"sulfo-phospho-vanillin법에 따르면 혈청 \\( 20 \\mu \\mathrm{l}\\)에 무엇을 추가하여 혈청의 총 지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가?",
"phospho-vanillin 시약이 첨가된 혈청은 몇 도에서 배양되어야하나요?",
"혈청에 phospho-vanillin 시약을 추가한 후 몇 도에서 배양하는가?",
"phospho-vanillin 시약이 첨가된 혈청은 몇 분동안 배양되어야하나요?",
"포스트 바닐린 시약을 가한 혈청의 대조군은 무엇인가요?",
"혈청의 총 지질 함량은 sulfo-phospho-vanillin법에 따라 처리하여 무엇을 측정하나요?",
"540nm에서 무엇을 측정함으로써 혈청의 총 지질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나요?",
"흡광도 측정시 빛의 파장을 어떤단위로 측정하나요?",
"phospho-vanillin 시약을 가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15분간 배양한 후 시료를 얼마의 파장에서 측정했나요?",
"혈청의 지질 분석에 대해 옳은 것은 어떤 것인가?",
"혈청의 총 지질량을 조사하는 과정에 대해 맞는 것은 무엇인가?",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나요?",
" 전체 콜레스테롤 양을 측정하는 kit 시약은 무엇인가요?",
"총 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은 어디에서 생산되었나요?",
"중성 지방 함량 측정은 어떤 시약을 사용하였나요?",
"어떤 중성지방 측정용 kit 시약을 사용하여 중성 지방 함량을 측정하는가?",
"인지질 측정용 kit 시약 SICDIA L PL은 어디서 생산했나요?",
"저밀도 지질단백질이 운송하는 콜레스테롤은 무엇인가요?",
"고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은 무엇을 측정하는 kit시약을 사용했나요?",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은 어떻게 구하나요?",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이 옮기는 콜레스테롤을 뭐라고 부르나요?",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에 의해 옮겨지는 콜레스테롤을 영자 약자로 뭐라고 표현하나요?",
"AM 157S-k은 어디서 생산되었나요?",
"인지질은 어떤 인지질 측정용 kit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했나요?",
"인지질 측정용 kit 시약인 무엇을 사용하여 인지질 함량을 확인하였나요?",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의 측정은 무엇으로 하였나요?",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HDL-C 함량을 측정했나요?",
"HDL-C 측정용 kit 시약 생산은 어디서 하였나요?",
"VLDL-cholesterol을 구하는 식은 무엇인가요?",
"어떤 식을 활용하여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함량을 구할 수 있나요?",
"동맥경화지수를 구하는 방식은 무엇인가요?",
"심혈관질환 위험 지수는 어떻게 구하나요?",
"혈당 함량은 어떻게 측정하나요?",
"glucose 측정 kit 시약으로 무엇을 사용하나요?",
"어떤 glucose 측정용 kit 시약을 사용해 혈당을 측정하나요?",
"혈중 지질 성분 분석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혈중 지질 성분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가?",
"안산에서 생산된 시약이 아닌 것은?",
"어떤 법에 따라 albumin 측정용 kit 시약으로 알부민 함량을 측정하나요?",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 tris-HCl 완충액은 얼마나 사용하나요?",
"혈청 중 총 단백질 함량은 Biuret법에 따라 무엇을 사용하여 측정하나요?",
"총 단백질 측정용 kit 시약은 어디서 생산되었나요?",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SPSS package를 이용하여 어떻게 표시하였나요?",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무엇을 통해 비교분석했는가?",
"어떤 테스트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는가?",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에서 뷰타놀을 넣는 시점 이후에 원심분리 조건은 무엇인가요?",
"상층액을 거둬낸 용액에 시약을 넣고 수욕상 반응시킨 다음 무엇을 넣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에서 부탄올을 넣고 원심분리기를 \\( 4,000 \\mathrm{rpm} \\)에서 얼마나 작동하나요?",
"실험에서 생성된 용액을 원심분리기로 처리후 측정하는 대상은 어떤건가요?",
"부탄올을 추가한 용액을 원심분리기로 처리한 후 무엇을 측정하나요?",
"TBARS 함량은 어떻게 산출하였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측정에서 뷰탄올을 넣고 원심분리한 용액의 상층액의 어떤 것을 측정하나요?",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을 사용하여 표준 검량선으로부터 TBARS 함량을 산출하였나요?",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뭐야?",
"항산화 활성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시켰나요?",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무슨 방법을 활용하였나요?",
"뷰탄올을 넣고 원심분리한 용액의 상층액을 어디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나요?",
"혈청 중 총 단백질 함량은 어떤 법에 따라 총 단백질 측정용 kit 시약으로 측정했나요?",
"어떤 방법의 적용에 의해 총 단백질 측정용 kit 시약으로 혈청 중 총 단백질량을 확인했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에 어떤 용액들을 가하나요?",
"어디서 albumin 측정용 kit 시약을 생산하였나요?",
"본 논문에서 사용된 시약 중에서 일본에서 생산된 것은?",
"혈청 중 globulin 함량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혈청의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PT 활성도는 무엇으로 측정하였나요?",
"GOT 및 GPT 측정용 kit 시약은 어디에서 생산하였나요?",
"GOT 및 GPT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세기는 얼마인가요?",
"어떤 파장에서 GOT 및 GPT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나요?",
"GOT 및 GPT 측정용 kit 시약으로 측정된 흡광도는 어떻게 표시되나요?",
"혈청의 GOT 및 GPT활성도는 GOT 및 GPT 측정용 kit 시약을 사용하여 어떻게 측정하나요?",
"혈중 GOT 및 GPT 활성 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침전물에 증류수 및 TBA 시약과 butanol를 가한 후 10분간 분당 몇 회 회전시키나요?",
"실험 용액을 원심분리할 때 10분간 몇 rpm으로 진행하는가? ",
"Lim 등의 방법을 따른 항산화 활성 확인에서 사용하는 혈청의 양을 얼마나 사용하나요?",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Lim 등의 방법에서 얼마의 혈청을 이용하였나요? ",
"항산화 활성 확인 실험에서 혈청 \\(100\\mu \\mathrm{l}\\)에 무엇을 가하여 혼합하나요?",
"Lim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100\\mu \\mathrm{l}\\)에 가한 tris-HCl 완충액(\\(100 \\mathrm{~mM}\\))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는 얼마인가요?",
"얼마의 산성도를 가진 tris-HCl 완충액을 사용하였나요? ",
"항산화 활성은 Lim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에 tris-HCl 완충액을 가하여 혼합한 후 어떤 용액을 가하나요?",
"사용되는 tris-HCl 완충액의 몰 농도는 어떻게 되나요?",
"혈청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에서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에 어느정도의 황산을 사용하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구하기 위해 혈청에 phosphotungstic acid를 얼마나 첨가하나요?",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을 황산용액과 인텅스텐산 첨가한 물질은 직후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혈청에 첨가된 반응 물질을 어떤 조건으로 원심분리시켜 측정하는가?",
"원심분리로 전처리된 혈청의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증류수 및 TBA 시약을 가하여 수욕상에서 몇분간 반응 시키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 전처리를 거쳐 원심분리한 용액을 상층액을 제거한 침전물에 어떤 물질을 가해 구하나요?",
"혈청을 전처리 후 원심분리 한 용액은 이후에 어떤 과정을 거치나요?",
"증류수 및 TBA 시약을 가해서 수욕상에서 반응시키기 전에 어떤 과정을 거쳐야해?",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구하기 위해 혈청에 첨가된 물질을 몇 분간 반응시키나요?",
"혈청에 다양한 물질들을 첨가시킨 후 몇 분간 반응시키는가?",
"항산화 활성을 위해 혈청에 여러 용액들을 혼합한 용액은 어디에서 반응시키나?",
"Lim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에 여러 용액을 혼합한 용액을 암실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반응시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는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혼합 용액을 암실에서 얼마동안 반응시켰나?",
"Lim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에 tris-HCl 완충액을 가하여 혼합한 후 사용된 용액은 몇 도의 암실에서 반응시켰나요?",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 흡광도 측정 대상은 무엇인가요?",
"클로로폼을 가한 후 원심분리 할 때 주어진 조건에서 원심분리기는 1분에 몇 번 회전하나요?",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 암실 반응 이후 가하는 클로로폼의 양은 얼마나 되나요?",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여러 과정을 거친 용액에 얼마의 클로로폼을 추가하는가?",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 클로로폼 가한 이후 사용된 원심분리기의 작동 조건은 무엇인가요?",
"항산화 활성에서 클로로폼을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무엇을 측정하나요?",
"항산화 활성 측정 실험에서 chloroform층의 어떤 값을 측정하였나요?",
"항산화 활성 측정에 대한 것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항산화 활성 실험에 대해 맞는 설명은 무엇인가?",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무엇을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 \\( \\pm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나요?",
"실험 결과를 실험군당 평균 \\( \\pm \\) 표준편차로 나타내기 위해 무엇을 활용하였나?",
"알부민 함량은 무엇을 사용하여 측정하나요?",
"실험에 대한 통계 처리 과정에 대해 옳은 설명은 무엇인가?",
"실험결과 통계 처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항산화 활성의 실험군과 통제군은 어떤 방식으로 비교하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 측정 시, 어떤 방법으로 혈청 전처리 과정을 거쳤나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량 측정 전처리 과정을 진행하였나요?",
"혈청 중 어떤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Yagi의 방법에 따라 혈청을 전처리 하였나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할 때, Yagi의 방법 전처리에 혈청을 얼마나 사용하였나요?"
] |
c516e3e1-76b5-4fa1-839f-894c58b86e2d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문헌고찰을 통한 약리적으로 체내 지질개선 및 동맥경화 저해활성을 가지는 식물류로써 결명자(Cassia obtusifolia Linne), 하수오(Polvgoni multiffori Radix), 영지(Ganoderma lucium), 산사육(Crataegus pinnatifica Bunge) 등 4종을 선정하였으며, 경남 진주시 소재 한약방에서 건조된 형태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였다. 마늘은 남해군에서 생산된 마늘을 산지로부터 구입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p><h2>시료의 제조</h2><p>결명자, 하수오, 영지 및 산사육 등의 식물류와 마늘은 각각 중량에 대한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 95^{\circ} \mathrm{C} \)의 수욕상에서 환류 냉각하여 4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이를 모두 합하여 진공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추출 건조물을 얻었다. 이를 밀봉하여 \( -40^{\circ} \mathrm{C} \)에 보관해 두고 흰쥐의 사육을 위한 조제사료에 사용하였다. 식물류 혼합물은 4종의 식물류 추출물을 각각 동량씩 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 직전에 혼합하였다.</p><h2>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조성</h2><p>실험동물은 생후 5주된 \( 150 \pm 10 \mathrm{g} \)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주)샘타코(Osan,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온도 \( 22 \pm 2^{\circ} \mathrm{C} \), 습도 \( 50 \pm 5 \% \), 명암주기 12시간(07:00~19:00)으로 자동 설정된 동물실험실에서 사육하였다. 시판 고형사료(삼양사)로 1주간 적응시킨 후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기본식이로 1주간 예비사육하여 난괴법으로 7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사육 상자에 한 마리씩 넣어 4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정상군(Normal)은 기본식이를 급이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대조군(Control)은 기본식이에 \( 1 \% \) 콜레스테롤과 \( 0.25 \% \) sodium cholate를 혼합급이 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을 \( 1 \% \)로 첨가한 후 마늘 추출물을 \( 0.3 \% \)(PMG-Ⅰ), \( 0.5 \% \)(PMG-Ⅱ) 및 \( 0.7 \% \)(PMG-Ⅲ)의 농도로 첨가하여 급이하였으며, 각 실험군의 식이조성은 Table 1과 같다. 사육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급이하였다.</p><h2>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 측정</h2><p>실험기간 동안 식이의 급이와 잔량의 측정은 매일 일정시간에 실시하여 식이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물은 수도수를 매일 신선하게 공급하였다. 체중은 1주일에 1회씩 일정시간에 측정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의 총 체중증가량\( (\mathrm{g}) \)을 동일 기간 동안의 총 식이섭취량\( (\mathrm{g}) \)으로 나누어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산출하였다.</p><h2>실험동물의 처리</h2><p>4주간 실험사육 후 최종일에 16시간 절식시킨 다음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켜 심장 채혈하였으며, 채혈된 혈액은 빙수중에서 30분간 응고시킨 후 원심분리기(Mega 17R, Hanil, Korea)로 \( 3,000 \mathrm{ ~rpm } \)에서 15분간 원심분리시켜 혈청을 얻어 \( -70^{\circ} \mathrm{C} \)의 냉동고에 보관해두고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p>
|
[
"본 논문에서는 몇 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체내 지질개선 및 동맥경화 저해활성을 실험했어?",
"체내 지질개선 및 동맥경화 저해활성을 가지는 식물류로 본 실험에서 몇 종을 선정했어?",
"어디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해서 실험했어?",
"실험재료가 된 마늘의 경우, 구입한 지역은 어디지?",
"어디서 마늘을 구입해서 실험했어?",
"실험재료의 무엇에 대한 10배의 증류수를 사용했어?",
"실험 재료는 어디서 구입했어?",
"본 실험에서 체내 지질개선 및 동맥경화 저해활성을 가지는 식물류로 선정된 식물은 무엇이야?",
"시험재료의 중량에 몇 배의 증류수를 사용했어?",
"식물류와 마늘의 각각 중량에 대해 몇 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실험에 사용하였나?",
"각각의 실험재료에서 무엇에 대해 10배에 달하는 증류수를 시험에 사용했어?",
"수용상의 온도를 어떻게 하여 환류 냉각을 실시했어?",
"시험재료의 중량에 대해 몇 배가 되는 증류수를 가했어?",
"몇 도의 수욕상에서 실험을 진행했어?",
"반복 추출한 시간은 몇 시간이야?",
"몇 시간에 걸쳐 반복 추출을 진행했어?",
"반복 추출 횟수는 몇 회야?",
"식물류와 마늘류의 건조작업에서 사용한 기구는 무엇일까?",
"본문의 실험에서 실험재료에서 추출 건조물을 얻기 위해 무엇을 사용하였나?",
"본 시험에서 몇 번을 반복해서 추출했어?",
"실험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건조물을 몇 도의 온도로 보관했어?",
"실험에서 얻은 건조물을 무엇으로 사용했어?",
"흰쥐의 사육을 위해 무엇으로 추출 건조물을 사용하였는가? ",
"본 논문에서 몇 종의 식물류 추출물 혼합해서 실험을 진행했어?",
"몇 마리씩 5그룹을 만들어 실험 사육을 했어?",
"언제 4종의 식물류 추출물을 혼합했어?",
"실험대상은 생후 몇 주된 동물이었어?",
"실험동물은 무엇이었어?",
"무엇을 실험동물로서 활용하였나?",
"식물류 혼합물의 경우, 몇 종의 식물류 추출물로 제조했어?",
"어디서 분양받은 쥐로 실험했어?",
"실험에서 명암주기는 몇 시간이었어?",
"명암주기를 얼마로 설정하고 실험을 실시했어?",
"시판 고형사료에 적응시킨 기간은 얼마야?",
"실험동물을 시판 고형사료에 얼마동안 적응시킨 후 이후 과정을 진행하였는가?",
"몇 주에 걸쳐 시판 고형사료에 적응하는 기간을 가졌어?",
"예비사육 기간은 얼마지?",
"어느 정도 기간동안 실험사육을 진행했지?",
"실험 사육시에 어떻게 그룹을 나눴어?",
"실험을 진행할 때,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 실험동물을 분류하여 실험 사육했나?",
"실험에서 몇 마리씩 5그룹을 형성해서 사육을 진행했어?",
"몇 개의 그룹을 구성해서 실험 사육했어?",
"실험동물을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시험을 진행했을까?",
"정상군에게는 어떤 식이를 제공했어?",
"어떤 군에게 기본식이에 \\( 1 \\% \\) 콜레스테롤과 \\( 0.25 \\% \\) sodium cholate를 섞어서 먹였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대조군의 경우, 기본식이에 몇 퍼센트의 콜레스테롤을 섞었지?",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대조군은 무엇을 섭취했을까?",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을 어느 정도 추가했어?",
"몇주 간격으로 체중을 계측했어?",
"체중은 언제 1회씩 정해진 시간에 측정하였는가?",
"식이효율을 어떻게 계산했어?",
"실험기간 동안의 식이효율은 어떻게 구할 수 있는가?",
"4종의 식물류 추출물을 섞는 시점은 언제야?",
"실험기간 동안의 총 체중증가량을 동일 기간 동안의 총 식이섭취량으로 나누면 무엇을 구할 수 있어?",
"어떤 값을 실험기간 동안의 총 체중증가량을 총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할 수 있나?",
"실험 사육 기간은 얼마야?",
"실험사육후 절식시킨 시간은 얼마지?",
"생후 몇 주된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했어?",
"실험 대상으로 생후 얼마된 흰쥐를 선정하였나?",
"마취를 위해 무엇을 사용했지?",
"실험을 위해 무엇으로 실험체를 마취하였나?",
"무엇으로 쥐를 마취했지?",
"실험실 온도를 몇 도를 유지했어?",
"얼마동안 혈액을 응고시켰어?",
"동물실험실의 경우, 습도를 어떻게 유지했어?",
"동물실험실 습도는 얼마정도였나?",
"채혈된 혈액의 경우, 최종적으로 몇 도의 냉동고에 보관해?",
"일련의 과정을 거친 혈청을 몇 도에서 보관해야 하는가?",
"몇 주동안 예비사육을 진행했지?",
"기본식이를 제공한 군은 어떤 군이야?",
"기본식이에 어느 정도되는 sodium cholate를 섞어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대조군에게 줬어?",
"무엇을 사육 기간 동안 자유롭게 먹였어?",
"실험기간동안 어떤 물을 급수했어?",
"실험대상에게 어떤 물을 실험기간에 먹였어?",
"실험기간 동안 어떤 종류의 물을 실험체에 공급하였는가?",
"몇 주에 한 번씩 체중을 쟀어?",
"실험 사육은 얼마동안 시행했어?",
"얼마동안 실험실에서 길렀어?",
"4주의 실험사육후 몇 시간에 걸쳐 급이를 중단했어?",
"어느 부위에서 채혈했지?",
"분석용 시료를 제작하기 위해 실험체의 어디서 채혈을 진행하였나?",
"동물실험실의 온도는 어떻게 설정했어?",
"채혈한 혈액을 어디에서 응고시켰어?",
"혈액을 응고하는데 걸린 시간은 얼마지?",
"원심분리를 위해 사용한 기구는 뭐지?",
"어떤 기구를 사용해 응고된 채혈 혈액을 원심분리시켰는가?",
"원심분리를 할 때 분당회전수는 얼마였지?",
"몇 rpm으로 원심분리를 진행했어?",
"원심분리 진행 시, 얼마의 속도로 진행하였나?",
"얼마동안 원심분리를 시행했어?",
"원심분리하는 데 걸린 시간은 얼마지?",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것은 무엇이지?",
"원심분리한 혈액을 보관한 냉동고의 온도는 몇 도일까?"
] |
2a8a4d03-6531-4586-9a52-7d68fd7df5d6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2>혈청 GOT 및 GPT 활성</h2><p>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후 흰쥐의 혈액 내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정상군의 GOT 활성은 \( 82.29 \pm 7.63 \mathrm{u}/\mathrm{ml} \)이었으며, 대조군은 \( 92.29 \pm 5.94 \mathrm{u}/\mathrm{ml} \) 콜레스테롤의 급이로 GO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 1 \% \)의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 0.3 \% \) 급이시 \( 81.86 \pm 11.73 \mathrm{u}/\mathrm{ml} \)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 0.5 \% \) 및 \( 0.7 \% \)의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며 특히 마늘 추출물의 \( 0.7 \% \) 급이군에서 GOT 활성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GP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의 급이군은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p><p>고지방식이에 마늘을 혼합 급이할 경우 급이량의 증가에 따라 GOT와 GPT 활성이 상승되는데, 이는 마늘의 다량 급이로 인한 장기의 손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어져 있다. Kang 등은 \( 1 \% \) 콜레스테롤 급이 식이에서 마늘 분말을 \( 3 \% \) 혼합 급이하였을 때 증숙마늘 급이시 GOT 및 GPT 활성의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으며, 생마늘 및 흑마늘 분말 급이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GOT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 0.7 \% \)의 마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GOT 활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p><h2>혈청 중 TBARS 함량 및 항산화 활성</h2><p>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중 TBARS 함량 및 DPPH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BARS 함량은 정상군에서 \( 37.82 \pm 5.66 \mathrm{mmol} / \mathrm{ml} \)이었는데, 대조군에서는 \( 52.00 \pm 4.11 \mathrm{mmol} / \mathrm{ml} \)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마늘 추출물이 \( 0.3 \% \) 급이된 실험군은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0.5 \sim 0.7\%\) 급이된 실험군에서는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 0.7 \% \)의 마늘 추출물 첨가군에서는 정상군보다 낮은 함량이었다.</p><p>혈청의 항산화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약 \( 8.3 \% \) 정도 감소되었으며, 마늘 추출물이 \( 0.7 \% \) 첨가된 급이군에서는 \( 83.75 \pm 2.32 \% \)로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p>Allium속 식물류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효소 활성의 증가 및 직접적인 유리 라디칼 제거제로 작용하여 체내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조직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늘의 항산화능은 마늘에 함유된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비타민 등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즉, 식이지방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체내 유리 라디칼의 생성이 증가되며, 체내에서 이를 방어하는 항산화 기작은 과량의 유리기 제거로 그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 체내 지질과산화물의 축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혼합 급이는 혈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며, 체내 지질과산화물의 축적을 저해하고 항산화 활성을 상승시키지만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간의 조성비에 따라 그 활성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p>
|
[
"유리 라디칼 제거제 역할로 체내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차단하는 Allium속 식물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어떻게 돼?",
"유리 라디칼 제거제 역할로 체내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차단하는 Allium속 식물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뭐야?",
"마늘에 있는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비타민 등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마늘의 기능은 무엇인가?",
"마늘에 있는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비타민 등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마늘의 역할은 무엇인가?",
"플라보노이드는 어떻게 항산화 작용과 조직 보호 기능을 작동하게 되는가?",
"플라보노이드는 어떻게 항산화 작용과 조직 보호기능을 활성화하게 하는가?",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 때 GOT 활성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GOT 활성은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짙어질 때 어떤 상태를 보이는가?",
"고지방식이에 마늘을 혼합 급이 시 급이량을 증가시키면 GOT와 GPT 활성이 왜 상승하는거야?",
"고지방식이에 마늘을 혼합 급이 시 급이량을 증가시키면 GOT와 GPT 활성이 상승하는 이유가 뭐야?",
"콜레스테롤 급이 식이 시 마늘 분말 혼합 급이를 얼마나 했을 때 GOT, GPT 활성이 감소했는가?",
"콜레스테롤 급이 식이 시 GOT, GPT 활성이 줄어들기 위해서 마늘 분말 혼합 급이를 어느 정도로 해야 하는가?"
] |
c4df55e8-1366-4753-8619-b86e2cc56492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1>결과 및 고찰</h1><h2>체중 변화 및 식이효율</h2><p>\( 1 \% \) 콜레스테롤의 급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시킨 흰쥐에 4종의 식물류 혼합물 \( 1 \% \)와 \( 0.3 \%\), \(0.5 \% \) 및 \( 0.7 \% \)의 마늘 추출물을 각각 급이하면서 4주간 실험 사육하는 동안 체중 변화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정상군에서 4주간의 체중증가량은 \( 108.57 \pm 16.26 \mathrm{~g} \)이었는데, 대조군은 \( 131.57 \pm 8.00 \mathrm{~g} \)이었다.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PMG- Ⅰ, Ⅱ, Ⅲ)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량에 유의차가 없었다. 일일 식이섭취량은 \( 21.02 \pm 0.47 \sim 21.13 \pm 0.38 \mathrm{~g} / \)day로 실험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나, 실험군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본 실험에서 식이에 \( 0.3 \sim 0.7 \% \) 농도로 첨가된 마늘 추출물은 1일 \( 20 \mathrm{~g} \)의 사료를 섭취할 경우 실험동물의 체중 \( \mathrm{kg} \) 당 \( 300 \sim 700 \mathrm{mg} \)에 해당되는 양으로, 식물류 혼합물 및 마늘 추출물 \( 0.7 \% \) 첨가군의 식이효율은 정상군 및 실험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급이는 실험동물의 성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p><p>Chun과 Paik은 생마늘 및 가열 마늘을 \( 3 \% \) 수준으로 첨가하여 흰쥐에 급이할 경우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식이효율에 상관성이 없다고 하였다. 반면에 Elkayam 등은 고지방 및 고당질 식이에 마늘로부터 분리한 순 allicin을 \(8 \mathrm{mg} / \mathrm{kg} \) 수준으로 2주간 급이하였을 때 체내 장기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인체에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p><h2>혈청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 함량</h2><p>고콜레스테롤 유발 흰쥐의 사육 시 \( 1 \% \) 식물류 혼합물에 마늘 추출물을 \( 0.3 \%\), \(0.5 \% \) 및 \( 0.7 \% \)의 농도로 각각 혼합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총 지질은 대조군에 비하여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서 \( 134.26 \pm 4.25 \mathrm{~mg} / \mathrm{dl} \)로 정상군에 비해 2.6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는 \( 105.95 \pm 4.76 \sim 108.78 \pm 4.50 \mathrm{~mg} / \mathrm{di}\)로 대조군에 비해 약 \( 20 \% \) 정도 감소되었다. 중성지방도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 9.3 \sim 15.0 \% \) 정도 감소되었으나, 마늘 추출물 \( 0.5 \% \) 와 \( 0.7 \% \) 첨가군은 정상군과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인지질 함량도 총 지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과 같은 경향이었다.</p><p>흰쥐의 사육시 \( 1 \% \) 콜레스테롤 급이 식이에 생마늘 분말을 \( 3 \% \) 혼합 급이하였을 때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중성지방은 정상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어 마늘이 혈액 내 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고지혈증 흰쥐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실험 결과, 고농도의 마늘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콜레스테롤 합성은 \( 37 \sim 64 \% \)까지 저해하였으며, 중성지방의 함량은 \( 28 \sim 64\%\) 정도로 억제되었다는 보고도 있다.</p><p>마늘의 체내 지질저하 효과는 마늘의 allicin이 생체 내에서 acetyl Co A 합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어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4주간 급이한 결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 20 \% \) 정도 저하되었는데 이는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p>
|
[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시킨 흰 쥐에게 급이한 식물류 혼합물은 몇 종이지?",
"몇 종의 식물류 혼합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시킨 흰 쥐에게 급이했나?",
"흰쥐에게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해 먹인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얼마였니?",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기 위해 농도 얼마의 콜레스테롤을 흰쥐에게 먹였나?",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게 급이한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게 급이한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4종의 식물류 혼합물 몇 \\( \\% \\)를 고콜레스테롤혈증인 흰쥐에게 섭취하도록 하였니?",
"고콜레스테롤혈증인 흰쥐에게 4종의 식물류 혼합물 몇 \\( \\% \\)를 섭취하도록 하였니?",
"흰쥐에게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시킨 뒤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각각 급이하여 실험 사육한 기간은 얼마야?",
"고콜레스테롤혈증을 흰쥐에게 유도시킨 후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각각 급이하여 실험 사육한 기간은 얼마 동안인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흰쥐에게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추출물을 주면서 무엇을 분석했는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흰쥐에게 주며 무엇을 분석했나?",
"\\( 3 \\% \\) 수준의 생마늘 및 가열 마늘을 흰쥐에게 급이하는 실험을 한 사람은 누구인가?",
"흰쥐에게 \\( 3 \\% \\) 수준의 생마늘 및 가열 마늘을 급이하는 실험을 누가 했나?",
"Chun과 Paik이 마늘과 식이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식이효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흰쥐에게 마늘을 몇 \\( \\% \\) 수준으로 급이했니?",
"마늘과 식이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식이효율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Chun과 Paik이 마늘을 몇 \\( \\% \\) 수준으로 흰쥐에게 급이했니?",
"Elkayam 등이 흰쥐에게 급이한 마늘의 성분은 무엇인가?",
"흰쥐에게 Elkayam 등이 급이한 마늘의 성분은 뭐야?",
"고지방 및 고당질 식이에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급이하는 실험을 하여 체중이 줄어드는것을 확인한 사람은 누구인가?",
"마늘의 알리신 성분을 고지방 및 고당질 식이에 급이하는 실험을 하여 체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한 것은 누구인가?",
"Elkayam 등이 흰쥐에게 급이하기 위해 마늘을 썰거나 다져서 분리한 allicin의 양은 어느 정도야?",
"흰쥐에게 급이하기 위해 Elkayam 등이 마늘을 썰거나 다져서 분리한 allicin의 양은 약 얼마인가?",
"Elkayam 등의 실험에서는 고지방 및 고당질 식이에 alicin을 흰쥐에게 몇 주 동안 주었어?",
"Elkayam 등의 실험에서 흰쥐에게 alicin을 고지방 및 고당질 식이에 몇 주 동안 주었어?",
"마늘이 체중 변화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주간의 체중증가량이 더 크게 나타난 집단은 어디야?",
"체중 변화 및 식이효율에 마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주간의 체중증가량이 더 크게 나타난 집단은 어디인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닌 흰쥐에게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하여 실험 사육한 정상군의 4주간의 체중증가량은 얼마였어?",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닌 흰쥐에게 급이하여 실험 사육한 정상군의 4주간의 체중증가량은 얼마인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에 어떤 변화가 있었니?",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은 체중이 어떻게 변했나?",
"실험군의 일일 식이 섭취량은 얼마였어?",
"실험군의 일일 식이 섭취량은 얼마였나요?",
"정상군과 실험군 중 일일 식이 섭취량이 더 많은 집단은 어디인가?",
"어떤 집단이 정상군과 실험군중 일일 식이의 섭취량이 더 많을까?",
"본 실험을 통해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성장에 얼마나 큰 영향력이 있었을까?",
"본 실험에서 실험동물의 성장에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얼마나 큰 영향력이 있었을까?",
"Table 3은 식물류 혼합물에 마늘 추출물을 홉합하였을때 흰쥐의 어떤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니?",
"식물류 혼합물에 마늘 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흰쥐의 어떤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Table 3로 나타냈나?",
"Table 3는 흰쥐에게 무엇을 급이한 결과를 측정한 것이야?",
"흰쥐에게 무엇을 급이한 결과를 측정하여 Table 3로 나타냈나?",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과 대조군 중에서 총 지질이 더 낮은 집단은 어디인가?",
"총 지질이 더 낮은 집단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과 대조군 중 어디인가요?",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군의 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총 지질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실험군의 마늘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총 지질은 대조군에 비해 어떻게 변했는가?",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얼마였어?",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얼마였나요?",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몇 배 정도 증가하였는가?",
"대조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몇 배 정도 증가했나?",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얼마였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실험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얼마였나요?",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비율은 대략 어느 정도인가?",
"실험군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된 비율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약 얼마인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군의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서 얼마나 줄어들었어?",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군의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얼마나 감소했어?",
"정상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은 실험군의 마늘 추출물 첨가량은 얼마니?",
"통계적으로 정상군과 차이가 크지 않은 실험군의 마늘 추출물 첨가량은 얼마인가?",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성분은 무엇인가?",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성분은 흰쥐의 혈액 내 지질 성분의 변화를 확인하였을 때 무엇인가?",
"흰쥐에게 생마늘 분말과 함께 먹인 콜레스테롤 식이의 농도는 얼마였어?",
"생마늘 분말과 함께 흰쥐에게 먹인 콜레스테롤 식이의 농도는 몇 일까?",
"흰쥐에게 콜레스테롤에 생마늘 분말 몇 \\( \\% \\)을 섞어서 섭취토록 하였을 때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정상군에 비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니?",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정상군에 비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 흰쥐는 확대된 현색은 콜레스테롤에 생마늘 분말 몇 \\( \\% \\)을 섞어서 먹였지?",
"흰쥐에게 \\( 1 \\% \\) 콜레스테롤과 생마늘 분말을 \\( 3 \\% \\) 섞어서 급이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낮아진 지질 성분은 무엇이야?",
"대조군에 비해, 흰쥐에게 \\( 1 \\% \\) 콜레스테롤과 생마늘 분말을 \\( 3 \\% \\) 섞어서 급이하였을 때 낮아진 지질 성분은 무엇이야?",
"흰쥐에게 생마늘 분말과 콜레스테롤 식이를 섞어서 급이한 결과 중성지방은 어떻게 변하였는가?",
"생마늘 분말과 콜레스테롤 식이를 섞어서 흰쥐에게 주었을때 중성지방은 어떻게 변했어?",
"고지혈증 흰쥐에게 농도가 높은 마늘 추출물을 준 실험의 명칭은 무엇인가?",
"농도가 높은 마늘 추출물을 고지혈증 흰쥐에게 준 실험의 명칭은 무엇?",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진행한 동물은 무엇인가?",
"어떤 동물에게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실시했지?",
"고농도의 마늘 추출물을 고지혈증 흰쥐에게 투여한 결과 콜레스테롤 합성율이 얼마였어?",
"고지혈증 흰쥐에게 고농도의 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콜레스테롤 합성율이 얼마였나?",
"고지혈증 흰쥐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진행한 결과 언제 중성지방의 함량이 \\( 28 \\sim 64\\%\\) 정도까지 저해되었어?",
"방사성 동위원소 추적실험을 고지혈증 흰쥐에서 진행한 결과 언제 중성지방의 함량이 \\( 28 \\sim 64\\%\\) 정도까지 저해되었나요?",
"보고자료에 의하면 마늘의 체내 지질저하 효과는 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신이 생체 내에서 어떤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이니?",
"보고자료에 의하면 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신이 생체 내에서 어떤 작용을 방해하여 마늘의 체내 지질저하 효과가 나타나는가?",
"본 실험에서 마늘 추출물과 식물류 혼합물을 4주간 급이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한 결과 농도가 \\( 20 \\% \\) 정도 낮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마늘 추출물과 식물류 혼합물을 4주간 급이한 본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한 결과 농도가 \\( 20 \\% \\) 정도 낮아진 이유는 무엇?",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생체 내 acetyl Co A 합성을 방해할 경우 체내 어떠한 효과가 있니?",
"생체 내 acetyl Co A 합성이 마늘의 알리신 성분에 의해 방해될 경우 체내 어떠한 효과가 있나?"
] |
f41deb7f-794b-4a2a-b723-a5a5e377f3b4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2>혈청 HDL-, LDL-, V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h2><p>\( 1 \% \) 콜레스테롤 급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 1 \% \)의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농도별로 급이하여 4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청 중 HDL-, LDL-, VLDL-콜레스테롤 농도, 동맥경화 지수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LDL-콜레스테롤은 정상군에서 \( 9.88 \pm 4.99 \mathrm{mg} / \mathrm{dl} \)였는데, 대조군에서는 \( 92.40 \pm 8.04 \mathrm{mg} / \mathrm{dl} \)로 무려 9.4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마늘 추출물 \( 0.5 \% \) 및 \( 0.7 \% \) 첨가군에서는 각각 \( 68.45 \pm 12.83 \mathrm{mg} / \mathrm{dl} \) 및 \( 66.35 \pm 5.18 \mathrm{mg} / \mathrm{dl} \)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V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서 \( 10.05 \pm 0.61 \mathrm{mg} / \mathrm{dl} \)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마늘 추출물 \( 0.5 \% \) 및 \( 0.7 \% \) 첨가군에서는 정상군과 동일한 수준까지 저하되었다. 동맥경화 지수와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 이들 물질의 섭취를 통하여 동맥경화 예방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p>마늘의 급이는 생체 내 지질저하와 서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있는데, 콜레스테롤 식이에 \( 3 \% \)의 마늘분말 급이시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는 보고와 간세포 배양실험을 통하여 간세포의 지질합성을 방사선 동위원소로 추적한 결과 대조군의 HDL-콜레스테롤은 \( 68.94 \mathrm{mg} / \mathrm{dl} \)였는데, 마늘 추출물 \( 2 \% \) 급이시 \( 67.0 \mathrm{mg} / \mathrm{dl} \)로 미미하게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반면에 고지방식이에 마늘을 첨가 급이할 경우 식이조건에 따라 혈중 HDL-콜레스테롤의 농도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보고 및 양파 알코올 추출물을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게 급이한 결과 혈중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변화를 주지 않았다는 보고도 있다.</p><p>동물체에서 콜레스테롤 급원의 섭취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주로 VLDL-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의미하는데, 이 때 마늘은 주로 V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동맥경화 발생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도 식물류 혼합물과 \( 0.5 \% \) 및 \( 0.7 \% \)의 마늘 추출물 급이시 VLDL-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감소로 동맥경화 및 심혈관질환 위협도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p><h2>혈당, 총 단백질, 알부민 및 글로불린 함량</h2><p>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첨가하여 4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당, 총 단백질, 알부민 및 글로불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혈당은 정상군에서 \( 152.60 \pm 16.00 \mathrm{mg} / \mathrm{dl} \), 대조군은 \( 259.87 \pm 8.53 \mathrm{mg} / \mathrm{dl} \)이었는데, 마늘 추출물 \( 0.5 \% \) 첨가군에서는 \( 189.37 \pm 12.02 \mathrm{mg} / \mathrm{dl} \)로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으나 정상군 보다는 다소 높았다. 총 단백질 함량은 정상군에서 \( 7.39 \pm 0.92 \mathrm{mg} / \mathrm{dl} \)였는데, 식물류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급이시 \( 9.56 \pm 0.87 \)~\( 10.05 \pm 2.69 \mathrm{mg} / \mathrm{dl} \)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알부민 함량은 마늘 추출물 \( 0.3 \% \) 첨가군에서만 \( 6.75 \pm 0.88 \) \( \mathrm{mg} / \mathrm{dl} \)로 정상군 및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글로불린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으로 정상군 및 대조군과 유의차가 적었다.</p><p>양파와 마늘 같은 allium속 식물류는 고당질 식이의 섭취시 인슐린 분비 증가와 혈당 감소에 효과적이나,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마늘분말을 \( 1 \% \) 및 \( 3 \% \) 수준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혈당이 감소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고 보고되어 있다. Kang 등은 \( 1 \% \) 콜레스테롤 식이에 생마늘, 증숙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각각 \( 3 \% \)로 급이하였을 때 생마늘 및 흑마늘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혈당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마늘의 가공조건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 식물류 혼합물에 마늘 추출물을 \( 0.3 \% \)와 \( 0.5 \% \)로 첨가시 혈당 감소의 유의차는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조성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p>
|
[
"정상군의 경우,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어떻게 나왔어?",
"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정상군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대조군에서는 LDL-콜레스테롤이 얼마일까?",
"대조군에서는 LDL-콜레스테롤이 얼마로 측정되었는가?",
"LDL-콜레스테롤은 정상군과 비교할 때 대조군에서 몇 배 증가했어?",
"정상군을 토대로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서 몇 배의 증가된 수치로 나타나는가?",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정상군에서 측정된 수치와 비교하면 대조군에서는 몇 배 증가했을까?",
" 정상군에서 측정된 수치와 LDL-콜레스테롤를 대조할 때 대조군에서는 몇 배의 증가치를 보이는가?",
"VLDL-콜레스테롤이 대조군에서 얼마로 계측되었지?",
"대조군에서 VLDL-콜레스테롤의 수치는 얼마로 확인되는가?",
"동맥경화 예방 및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 무엇을 섭취하면 좋아?",
"무엇을 먹을 때 동맥경화 예방 및 심혈관질환의 예방할 수 있는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을 섭취하면 기대할 수 있는 효능은 무엇이지?",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의 섭취시 볼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동물체에서 콜레스테롤 섭취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야?",
"동물체의 콜레스테롤 섭취로 인한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혈당, 총 단백질, 알부민 및 글로불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나?",
"어떤 실험을 통해 혈당, 총 단백질, 알부민 및 글로불린 함량의 수치 확인이 가능한가?",
"무엇을 고콜레스테롤 식단에 첨가하여 실험을 진행했어?",
"실험을 위해 고콜레스테롤 식단에 투입된 것은 무엇인가?",
"실험 기간은 몇 주였어?",
"실험은 몇 주동안 진행하였나?",
"몇 주에 걸쳐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첨가 실험을 진행했어?",
"실험을 위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 추출물 첨가는 어느 기간동안 진행되었는가?",
"무엇을 4주간의 실험사육후에 측정했어?",
"4주간의 실험사육 후 측정된 것은 무엇인가?",
"양파와 마늘은 어떤 식물류에 속해?",
"양파와 마늘이 포함된 식물류는 무엇인가?",
"어떤 경우에 양파와 마늘이 인슐린 분비 증가에 효과가 있어?",
"allium속 식물류가 어떤 상태일 때 인슐린 분비 증가과 혈당을 감소시키는가?",
"고당질 식이를 섭취할 때, 양파와 마늘의 효능은 무엇이지?",
"양파와 마늘의 고당질 식이를 섭취시 볼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 |
de0abc33-d3a7-4a83-9d1a-eac3e518fdb3
|
생명LA
|
식물류 혼합물과 마늘의 복합 조성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
<h1>서론</h1><p>식생활이 풍요롭고 다양해짐으로써 동물성 식품 및 가공 식품의 섭취 기회가 빈번해지고 체내 지방의 함량이 증가되어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및 고혈압 등 심장 순환기계 질환의 발병율이 크게 증가되었다. 순환기계 질환에 의한 사망은 2007년 기준으로 남자에서 \( 22.9 \% \)로 악성신생물 다음으로 높고, 여자는 \( 28.9 \% \)로 가장 높은 사망원인이 되며, 이는 2006년에 비해 남녀 각각 \( 0.5 \% \) 및 \( 1.4 \% \) 증가된 결과이다. 순환기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고지혈증은 체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로 식이요인이 혈액 내 지질 성분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이후 약물보다 민간요법에 따라 천연식물로부터 체내 지질 함량 저하 효능이 있는 생리활성 성분을 찾고자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상용 식품으로부터 혈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p><p>마늘(Garlic, Allium sativum L.)은 체내 지질 저하 및 혈압 강하 등의 활성이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자주 사용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마늘 섭취와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고 있다. 마늘은 질병에 대한 치료보다는 예방효능이 더 뛰어난 것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관련하여 혈압 저하, 섬유소 용해 강화, 혈소판 응집 저해 및 혈장의 점도 저하 등의 기작을 통하여 그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 3 \% \sim 5 \% \)의 생마늘 건조 분말 또는 \( 1 \% \sim 2 \% \)의 마늘 즙을 혼합 급이할 경우 체내 지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가열처리한 마늘도 \( 3 \% \) 수준으로 급이 할 경우 체내 지질 함량이 감소되었다는 보고가 있다.</p><p>본 연구에서는 마늘의 체내 지질 개선 효능을 증강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항산화 및 체내 지질 개선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류(결명자, 하수오, 영지, 산사육)와 혼합하여 고콜레스테롤 유발 흰쥐에 급이하였을 때 체내 지질 저하에 미치는 마늘의 유효 농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p>
|
[
"옛날에 비해 심장 순환기계 질환의 발병율이 증가한 이유가 뭐야?",
"옛날에 비해 심장 순환기계 질환의 발병율은 왜 증가한거지?",
"심장 순환기계 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어?",
"심장 순환기계 질환으로는 무엇이 있지?",
"2007년 기준 남자의 사망 원인 2위는 뭐야?",
"2007년 기준 무엇이 남자의 사망 원인 2위이지?",
"2007년 여자의 사망원인 1위는 뭐야?",
"2007년 무엇이 여자의 사망원인 1위이지?",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은 뭐야?",
"무엇이 순환기계질환의 주요 원인이지?",
"고지혈증이 뭐야?",
"고지혈증의 정의는 뭐지?",
"체내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로 순환기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이 뭐야?",
"어떤 질환이 체내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로 순환기계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지?",
"대한민국에서 민간요법으로 자주 사용되어졌으며 체내 지질 저하, 혈압 강하 등에 효과가 있는 식품은 뭐야?",
"대한민국에서 민간요법으로 자주 사용되어졌으며 어떤 식품이 체내 지질 저하, 혈압 강하 등에 효과가 있지?",
"마늘의 효능으로 맞는 것은 뭐야?",
"맞는 마늘의 효능은 어떤거지?",
"질병의 치료와 예방 중 마늘의 효과가 더 좋은 것은 뭐야?",
"질병의 치료와 예방 중 마늘의 효과는 어떤 것에 더 좋지?",
"심혈관계 질환에 작용하는 마늘의 효과는 뭐야?",
"심혈관계 질환에 작용하는 마늘은 무슨 효과가 있어?",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 1 \\% \\sim 2 \\% \\)의 마늘 즙 또는 \\( 3 \\% \\sim 5 \\% \\)의 생마늘 건조 분말을 혼합 급이했을 대는 결과가 뭐야?",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 1 \\% \\sim 2 \\% \\)의 마늘 즙 또는 \\( 3 \\% \\sim 5 \\% \\)의 생마늘 건조 분말을 혼합 급이했을 대는 어떤 결과가 나타나?",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익힌 마늘을 얼마나 섭취 시켰을 때 체내 지질 함량이 감소되었어?",
"체내 지질 함량은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익힌 마늘을 얼마나 섭취 시켰을 때 줄어들었어?",
"이 연구를 통해 마늘에서 확인하고자하는 것이 뭐야?",
"이 연구를 통해 마늘에서 무엇을 확인하고자 하는 거지?",
"이 연구에 사용한 것으로 체내 지질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네가지 식물이 뭐야?",
"이 연구에 사용한 것으로 네가지의 체내 지질 개선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식물은 뭐지?"
] |
0f586c65-edec-49c8-b91c-32cc7205671e
|
생명LA
|
Glucose dehydrogenase 유전자의 Aeromonas hydrophila DA33으로의 도입에 따른 인산가용화 균주의 개량
|
<h1>요 약</h1><p>생물비료의 개발을 위하여 분리된 난용성 인산염의 가용화능이 우수한 균주인 Aeromonas hydrophila DA33의 분자육종을 위해 인산가용화 관련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E. coli의 gdh 유전자를 도입한 A. hydrophila DA33은 GDH 활성이 증가하여 유전자가 발현됨을 확인하였으며, wild type에 비해 GDH 활성이 약 \( 40 \% \)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입된 gdh 유전자의 발현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 균주는 인산가용화에 기여하는 유기산인 gluconate의 생성도 증가하였다. A. hydrophila DA33의 wild type과 gdh 유전자를 도입한 A. hydrophila pGHS/DA33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을 실험한 결과, gdh 유전자를 도입한 균주의 인산 가용화능이 약 1.4배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지금까지의 결과로 비춰볼 때 앞으로 생물 비료로서의 A. hydrophila DA33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며, 분자육종균 A. hydrophila pGHS/DA33은 생물비료로서의 효율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p>
|
[
"생물비료의 개발을 위해 들여온 것은 뭐야?",
"생물비료의 개발을 목적으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산가용화 관련 유전자를 도입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것은 뭐야?",
"인산가용화 관련 유전자 도입의 목적은 무엇을 개발하기 위함인가?",
"지문에서 언급한 난용성 인산염의 가용화능이 좋은 균주는 뭐야?",
"난용성 인산염의 가용화능이 뛰어난 균주는 무엇인가?",
"A. hydrophila DA33은 GDH 활성을 어떻게 하는가?",
"GDH 활성을 위해 A. hydrophila DA33은 어떻게 되는가?",
"wild type에 비해 GDH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A. hydrophila DA33에 무엇을 도입했기 때문이야?",
"A. hydrophila DA33은 무엇의 영향을 받을 때 wild type에 비해 GDH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가?",
"A. hydrophila DA33은 어떤 물질의 생성을 증가시켰어?",
"A. hydrophila DA33으로 인해 생성도가 높아진 물질은 무엇이야?",
"실험 결과를 통해 글루타민산탈수소효소유전자를 들인 균주의 인산 가용화능이 몇 배 더 효과가 있다고 말하는가?",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글루타민산탈수소효소유전자가 도입된 균주는 몇 배의 인산 가용화능을 확인할 수 있는가?",
"실험결과를 통해 보면 A. hydrophila pGHS/DA33은 무엇으로서 이득을 얻는다고 보는가?",
"실험결과를 통해 볼 때 A. hydrophila pGHS/DA33이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무엇으로서 이용이 되어야 하는가?"
] |
af809eee-eb28-46ae-ae27-142a1f3ec8ed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1>서 론</h1><p>최근 고도화된 산업화와 환경오염, 식생활의 서구화 등 많은 원인들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이 점점 만연해가고 있다. 알레르기성 질환은 무해한 항원에 대해 면역계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체에 과량의 면역글로블린 E(Immunoglobulin E, IgE)를 생성시키고, 이에 따라 활성화된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히스타민(histamine) 같은 여러 매개 물질들이 유리되면서 염증세포를 침윤시키고 복합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을 유발시킨다. 히스타민 같은 매개 물질과 더불어 염증과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과 류코트리엔(leukotrien)의 생합성을 매개하는 효소인 싸이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 등이 있다. 이들 중 COX-2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산함으로써 염증과 통증을 야기하여 염증성 질환 발병 및 종양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IgE에 매개되어 생성되는 히스타민 같은 물질의 유리를 방해하거나 COX-2를 억제하는 것은 알레르기나 과민반응에 의해 유도된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 된다. 현재까지 이러한 알레르기성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로는 스테로이드, 항류코트리엔, 아드레날린 등 많은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약물들은 대부분 인체 내 호르몬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물질이기 때문에 과량의 약물 투여 시 부신의 기능을 약화시켜 면역력 감소, 구토, 설사, 저혈당, 빈혈, 심혈관계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고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최근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 사용한 울금 (Curcuma longa)은 생강목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성 초본식물로서 중국 남부와 인도, 오키나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생, 재배되며 우리나라 남부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울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으로 커큐민이 있으며 그 유도체로서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이 있다. 또한 정유성분으로 타메론, 시네올, 알파 크루크멘 등이 있으며 미네랄로는 칼슘, 칼륨, 철, 마그네슘, 인 등이 포함되어 있고 그 밖에 여러 가지 후라보노이드와 식물성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울금의 약리 효과로는 살균, 해독, 항염, 간기능 개선, 항암, 항산화 효능 등이 알려져 있으며 맵고 뜨거운 성질이 있어서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막힌 것을 잘 뚫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유의 진한 색과 쓴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부터 천연 염색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한방에서도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나와있는 울금 관련 제품들은 대부분 울금 착즙액이나 울금 분말로 만든 환 그리고 울금에서 추출한 커큐민을 함유한 차와 음료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울금 착즙액이나 울금 분말은 특유의 쓴 맛과 향 때문에 복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유용한 기능을 가지는 커큐미노이드는 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생체 이용률이 매우 떨어지고 이로 인해 다양한 제형 개발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울금의 생리활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 바실러스 나토균(Bacillus natto)을 이용해 울금을 발효시킨 예가 있고, 황국균을 이용해 발효시켜 울금 특유의 쓴맛과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소비자의 음용 거부반응을 해소시킨 바도 있지만 커큐미노이드의 생체이용률과 생리활성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상황이다.</p><p>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으로 울금을 발효하여 울금의 유효성분인 비스디메톡시커큐민과 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비를 증가시키고 수용액상으로 커큐민의 추출율을 높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킴으로써 다량의 외부 항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
|
[
"산업화와 환경오염, 식생활의 서구화 등 많은 원인들로 인해 어떤 질환이 만연해가는가?",
"무해한 항원에 대해 면역계가 민감하게 반응하여 신체에 무엇을 과량으로 생성시키는가?",
"활성화된 비만세포(mast cell)로부터 여러 매개물질들이 유리되면서 어떤 세포를 침윤시키는가?",
"염증세포를 침윤시키고 복합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어떤 질환을 유발시키는가?",
"어떤 효소가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산함으로써 염증과 통증을 야기하는가?",
"COX-2는 어떤 성분을 생산하여 염증과 고통을 유발하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생강목 생강과에 속하는 이 물질은 무엇인가?",
"울금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울금은 특유의 진한 색과 쓴 맛을 가지고 있어 과거에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가?",
"울금은 과거 한방에서 어떠한 용도로써 사용되었는가?",
"본 연구에서는 울금을 어떠한 물질로 발효하여 유효성분 함량비를 증가시켰는가?",
"무엇을 사용하여 울금을 발효시켜 울금의 생리활성을 강화하였는가?"
] |
ee50e493-3cf2-45f2-b84b-57eea44deab4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2>Western blot assay</h2><p>염증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COX-2와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에 미치는 발효 울금 배양액 및 원료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주는 6-well에 \( 5 \times 10^{5} \mathrm{cell} / \mathrm{mL} \)로 분주한 뒤 하루 동안 배양했고,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 2 \mu \mathrm{g} / \mathrm{mL} \)의 LPS(lipopolysaccharide, Sigma)를 처리하여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배양액을 이용해서 제조한 1, 2차 분석시료는 \( 20 \mu \mathrm{L} \)씩 처리하였고, 발효 및 비발효 울금 원료는 각각 62.5, 125, 250 \(\mu \mathrm{g} / \mathrm{mL} \)의 농도로 DMSO에 현탁하여 처리하였다. 18시간 배양 후 세포를 회수하여 lysis buffer \( (50 \mathrm{mM} \) Tris-\(\mathrm{HCl}\), \(\mathrm{pH} 7.6 \), \(150 \mathrm{mM} \mathrm{NaCl}\), \(0.1 \mathrm{mM} \) EDTA)로 세포를 파쇄하였고 세포 파쇄액은 \( 8 \% \) SDS-PAGE를 통해 전기영동한 후 PVDF membrane에 transfer하고 COX-2(Cell Signaling Technology), iNOS(Cell Signaling Technology) antibody로 immunoblotting하여 각각의 발현양을 비교 분석했다.</p><h2>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h2><p>울금 발효물의 소염활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역전사 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세포의 준비 및 활성화는 western blot assay에서와 동일하게 준비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 8 \mathrm{uM} \) dexamethasone(Sigma)을 사용하였고 비발효 울금 시료와 함께 효능을 평가하였다.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주정침전법을 이용해서 제조한 울금 2차 분석시료 \( (20 \mu \mathrm{L} / \)well)를 처리한 뒤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회수하였다. 그 후 TRIsure reagent(Bioline)로 각 세포의 total RNA를 회수한 뒤 oligo-dT primer(Promega)와 MMLV reverse transcriptase(Super-Bio)를 이용해서 역전사 반응을 진행하였다. PCR분석에 사용한 각 cytokine의 primer는 다음과 같다. GAPDH(F: 5'-CAT-GAC-CAC-AGT-CCA-TGC-CAT-CAC-3', R: 5'-TGA-GGT-CCA-CCA-CCC-TGT-TGC-TGT-3'), TNF- \( \alpha \) (F: 5'-GGC-AGG-TCT-ACT-TTG-GAG-TCA-TTG-3', R: 5'-ACA-TTC-GAG-GCT-CCA-GTC-AAT-TCG-G'3'), IL-6(F: 5'-AAT-GAT-GGA-TGC-TAC-CAA-AC-3', R: 5'-TAG-CCA-CTC-CTT-CTG-TGA-CT-3'). PCR반응은 \( 94^{\circ} \mathrm{C} \)에서 2분간 pre-denaturation 후 GAPDH와 TNF-\(\alpha \)는 \( 94^{\circ} \mathrm{C} \)에서 30초, \( 60^{\circ} \mathrm{C} \)에서 45초, \( 72^{\circ} \mathrm{C} \)에서 45초 반응을 진행시켰고 IL-6는 \( 94^{\circ} \mathrm{C} \)에서 30초, \( 61^{\circ} \mathrm{C} \)에서 45초, \( 72^{\circ} \mathrm{C} \)에서 45초 반응시켜 총 25회 증폭시킨 다음 \( 72^{\circ} \mathrm{C} \)에서 1분 동안 마지막 extension을 실시하였다. PCR 결과는 GelRed가 포함된 \( 1.5 \% \)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한 뒤 확인하였다.</p>
|
[
"염증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은 무엇인가?",
"무엇이 염증반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인가?",
"평가에 사용된 방법은 뭐야?",
"무엇이 평가에 사용된 방법인가?",
"무엇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가?",
"평가하려는 효능은 무엇의 효능인가?",
"원자재 264.7 세포주는 어떻게 분주했는가?",
"어떤 방식으로 원자재 264.7 세포주를 분주했는가?",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한 것은 무엇인가?",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무엇을 시행하였는가?",
"배양액을 통해 제조한 1, 2차 분석시료는 얼마씩 처리했는가?",
"제조한 1, 2차 분석시료를 얼마씩 배양액을 통해 처리했을까?",
"배양 후 세포를 회수하여 용해 완충액으로 세포를 어떻게 했는가?",
"용해 완충액으로 배양 후 세포를 회수하여 세포를 어떻게 처리했는가?",
"세포 파쇄액은 무엇을 통해 전기영동했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세포 파쇄액을 전기영동했는가?",
"울금 발효물의 소염활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 것은 무엇인가?",
"울금 발효물의 소염활성 정도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무엇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했는가?",
"raw 264.7 세포주에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울금 2차 분석시료를 제조했는가?",
"raw 264.7 세포주로부터 울금 2차 분석시료를 어떤 방법으로 제조했는가?",
"raw 264.7 세포주에 주정침전법을 이용해서 제조한 울금 2차 분석시료를 처리하고 얼마동안 배양했는가?",
"Raw 264.7 세포주로부터 제조한 울금 2차 분석시료를 처리한 후, 얼마동안 배양했는가?",
"중합효소 연쇄반응분석에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중합효소 연쇄반응분석에 사용했는가?"
] |
fc9b152b-46a1-4635-875a-d1dd1c2fe19e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1>요 약</h1><p>인도산 울금 분말을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i를 포함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발효한 시료들의 소염활성 정도를 세포 내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양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중 L.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시료의 소염 활성이 가장 뛰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울금 분말을 포함한 본배양 배지에서 L. johnsonii IDCC 9203으로 21시간 동안 배양 후 얻은 상등액으로 발효 울금 원료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발효 울금 원료에 대한 소염활성 효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하고 COX-2와 iNOS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발효 울금 원료 250 \( \mu \mathrm{g} / \mathrm{mL} \)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COX-2와 iNOS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그 저해 활성은 동일 농도의 비발효 울금 원료보다 강하였다.</p><p>NC/Nga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과 PCA 동물모델에서 발효 울금 원료의 효능 확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아토피 피부염의 초기 증상 개선효과와 급작형 과민반응에 대한 예방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했을 때 커큐민의 함량은 비발효 울금 원료에 비해 2.5배 증가했으며, 수용성 커큐민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한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이나 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도 증가되었을 뿐 아니라 전체 커큐미노이드 중에서 이들 유도체의 비중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p><p>모든 결과들을 종합하면, 울금 분말을 L. johnsonii IDCC 9203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유효성분인 커큐미노이드들의 성분비가 변화하고 수용성 커큐미노이드의 증가에 의한 생체 이용율 증가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활성이 증가된다. 본 연구를 통해 L.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 원료는 급성기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p>
|
[
"본 실험은 어떤 방식을 통해서 세포 내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확인했지?",
"본 실험에서 세포 내 염증성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방식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어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발효한 시료의 경우가 소염 활성이 가장 높은가?",
"본 실험에서 소염 활성이 가장 뛰어난 시료는 어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발효했는가?",
"본 실험에서 발효 울금 원료를 LPS로 염증반응을 일으킨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해서 COX-2와 iNOS의 발현정도를 관찰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어떤 이유로 발효 울금 원료를 LPS로 염증반응을 일으킨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해서 COX-2와 iNOS의 발현정도를 확인했어?",
"본 연구에서 만든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어떤 세포주에 처리했는가?",
"본 연구에서 만든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리해야 하는 세포주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만든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어떤 물질의 발현정도를 확인했는가?",
"본 논문에서 만든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발현정도를 확인해야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얻어진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얻어진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실험을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효과를 NC/Nga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과 PCA 동물모델로부터 알아보았을 때 대조군에 비해서 어떤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는가?",
"NC/Nga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과 PCA 동물모델로부터 발효 울금 원료의 효능을 알아보았을 때 대조군에 비해 확인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발효 울금 원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동물모델을 사용해서 실험을 진행했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실험에서 이용한 동물모델은 무엇인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경우에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한 경우에서 커큐민의 함량정도는 발효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몇 배 증가했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때 발효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늘어나는 커큐민의 함량정도는 몇 배인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경우에 발효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용성 커큐믄의 함량은 어떻게 되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때 수용성 커큐민의 함량은 발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확인했을 때, 발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비스디메톡시커큐민과 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은 어떻게 되는가?",
"발효 울금 원료의 유효성분 함량을 조사했을 때, 비스디메톡시커큐민과 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은 발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논문에서 실험을 통해서 확인한 전체 내용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실험을 통해 어떤 내용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가?",
"본 실험을 통해서 내린 결론은 무엇인가?",
"본 실험을 통해서 어떤 결론은 확인할 수 있었는가?",
"본 논문에서 발효 울금 원료를 만드는 방법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됬는가?",
"본 논문에서 발효 울금 원료는 어떻게 제조하는가?"
] |
3d049ad2-df16-4feb-bc33-8d24ef378594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2>즉각형 과민반응의 억제 및 예방효과</h2><p>발효 울금 원료의 즉각형 과민반응에 대한 억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PCA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모델을 확립하였다. 실험을 위해 5주령 자성 ICR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였고 1주일 동안 계류하였다. 실험동물은 PCA를 유발하지 않은 PCA 음성군, PBS를 경구투여한 vehicle군, \( 340 \mathrm{mg} / \mathrm{kg} \)의 양으로 비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대조 실험군, \( 340 \mathrm{mg} / \mathrm{kg} \) 의 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등 총 4군으로 구성하였다. 계류 후 2주일 동안 시료를 전투여했고, 전투여 종료일에 PCA를 유발시켰다. 유발 1일차에는 유발군 마우스의 양쪽 귀에 \( 10 \mu \mathrm{g} / \mathrm{mL} \)의 anti-dinitrophenyl(DNP)-IgE를 \( 20 \mu \mathrm{L} \) 씩 피내 투여하였고, 24시간 후 DNP-human serum albumin(HSA)과 \( 1 \% \) evans blue를 동량으로 혼합한 항원용액 \( 200 \mu \mathrm{L} \)를 마우스의 정맥에 투여하여 PCA를 유발시켰다. 항원 투입 30분 후 마우스를 치사하여 귀를 적출하고, 1 N KOH를 이용해 적출한 귀 조직으로부터 evans blue를 침출시킨 후 \(62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정량은 evans blue 표준곡선을 이용하였다.</p><h2>커큐민 및 유도체의 함량분석</h2><p>발효 울금 원료에 함유된 커큐민과 그 유도체인 디메톡시커큐민,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커큐민을 추출하기 위해서 발효 및 비발효 울금원료 \( 2 \mathrm{~g} \)을 \( 10 \mathrm{~mL} \)의 DW에 현탁한 후 \( 2.5 \)배의 ethyl acetate로 3회 추출하였다. 그 후 감압농축기로 ethyl acetate를 제거한 뒤 methanol에 \( 1,000 \mathrm{ppm} \)의 농도로 용해시켜 HPLC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기기는 Thermo Separation Product HPLC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HPLC 조건으로 column은 ODS-H80( \( 150 \times 4.6 \mathrm{~mm}, 4 \mathrm{um}) \)를 사용하였고, \( 100 \% \)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여 \( 1 \mathrm{~mL} / \mathrm{min} \) 유속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시료는 \( 10 \mu \mathrm{L} \)를 injection하였고 UV \( 450 \mathrm{~nm}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정량에 사용한 커큐민 표준품은 Sigma에서 구입하였다.</p><h2>통계처리</h2><p>실험으로부터 얻은 모든 결과는 mean \( \pm\) SEM으로 나타내었고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한 후 \( p< \) \( 0.05 \) 이하에서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p>
|
[
"발효 울금 원료의 즉각형 과민반응에 대한 억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모델을 확립했어?",
"어떤 모델을 확립하여 발효 울금 원료의 즉각형 과민반응에 대한 억제 및 예방효과를 알아냈어?",
"실험을 위해 중앙실험동물로부터 무엇을 구입했어?",
"중앙실험동물에서 실험을 위해 구매한 것은 무엇인가?",
"PCA가 유발된 것은 계류 후 얼마나 지난 후야?",
"계류 후 얼마나 지나서 PCA를 초래시켰는가?",
"유발 1일차에 유발군 마우스의 양쪽 귀에 무엇을 \\( 20 \\mu \\mathrm{L} \\) 씩 투여했어?",
"유발 1일차에 \\( 20 \\mu \\mathrm{L} \\) 씩 유발군 마우스의 양쪽 귀에 주입한 것은 무엇인가?",
"정량은 어떤 표준곡선을 이용했어?",
"어떤 표준곡선이 정량에 사용되었는가?",
"커큐민을 추출하기 위해 비발효 울금원료 \\( 2 \\mathrm{~g} \\)을 무엇에 현탁했어?",
"비발효 울금원료 \\( 2 \\mathrm{~g} \\)이 커큐민을 추출하기 위하여 무엇에 섞이었는가?",
"커큐민을 추출하기 위해 감압농축기로 무엇을 제거한 뒤 HPLC 분석을 진행했어?",
"HPLC 분석을 진행하기 전에 커큐민을 추출하기 위하여 감압농축기로 없앤 것은 무엇인가?",
"HPLC 분석을 하기 위해 분석기기로 무엇을 사용했어?",
"분석기기는 무엇을 이용하여 HPLC 분석을 하였어?",
"분석시료는 UV 몇 \\( \\mathrm{~nm} \\) 파장에서 분석했어?",
"UV 몇 \\( \\mathrm{~nm} \\) 파장에서 분석시료를 해석했어?",
"실험으로부터 얻은 모든 결과는 어떻게 나타내?",
"어떤 방식으로 실험으로부터 얻은 모든 결과를 알리는가?",
"실험결과를 통계처리 하기 위해 이용한 test는 뭐야?",
"어떤 test가 실험결과를 통계 처리하는 데에 사용되는가?",
"쥐의 귀를 적출시키기 위해 어떻게 했어?",
"어떤 방식으로 쥐의 귀를 끄집어냈니?",
"적출한 귀 조직으로부터 evans blue를 침출한 다음 어떻게 침출물을 측정했어?",
"끄집어낸 귀 조직에서 침출한 evans blue는 어떻게 측정했어?"
] |
3eafe15e-325c-4e26-8cdb-0b6d5e21d0cd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1>재료 및 방법</h1><h2>균주 및 분석시료</h2><p>실험에 사용한 울금 분말은 인도산 울금을 건조시켜 분쇄한 것으로 서울 제기동 소재의 산들약초에서 구입하였고, 5종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Bifidobacterium longum IDCC 4101, Lactobacillus gasseri IDCC 9206, Lactobacillus plantarum IDCC 9205, Lactobacillus rhamnosus IDCC 3201,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IDCC, ILDONG Culture Collection). 각 유산균은 de Man-Rogosa-Sharpe(MRS, Difco) 배지를 이용하여 전배양과 중간배양을 실시한 뒤 울금 분말 \( 5 \% \), glucose (Samchun chemical) \( 1 \% \), bacto peptone(Difco) \( 0.5 \% \)가 함유된 배지 \( 40 \mathrm{~mL} \)에 \( 5 \%(\mathrm{v} / \mathrm{v}) \) 접종하여 본배양을 진행하였다.</p><p>소염활성 측정에 사용한 시료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배양 종료 후 \(\mathrm{pH}\)를 7.0으로 보정한 뒤 원심분리를 통해 상등액을 회수하였고 감압 농축기(EYELA, OSB-2100)를 이용해 상등액을 10배 농축하여 1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였다. 2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1차 분석 시료에 주정을 처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고, 상등액을 다시 회수해 감압 농축기로 시료를 농축하였다. 농축된 시료는 phosphate based saline(PBS, \( \mathrm{Na}_{2} \mathrm{HPO}_{4} 10 \mathrm{mM}\), \(\mathrm{NaCl} 137 \mathrm{mM}\), \(\mathrm{KH}_{2} \mathrm{PO}_{4} 2 \mathrm{mM}\), \(\mathrm{KCl} 2.7 \mathrm{mM} \))를 이용해 10배 농축액을 만들어 2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시료는 울금 분말 \( 5 \% \), glucose \( 1 \% \), bacto peptone \( 0.5 \% \)가 함유된 본배양 배지를 \( 121^{\circ} \mathrm{C} \)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여 열수추출 하였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한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감압농축 및 주정 침전을 실시하여 제조하였다.</p><h2>세포배양</h2><p>본 실험에서 이용한 Raw 264.7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의 배양은 \( 10 \% \) fetal bovine serum(FBS)과 \( 0.2 \% \) gentamycin \( (25 \mathrm{mg} / \mathrm{mL}) \)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을 사용하였으며, \( 37^{\circ} \mathrm{C} \), \( 5 \% \mathrm{CO}_{2} \)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세포주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 2 \mu \mathrm{g} / \mathrm{mL} \)의 LPS(lipopolysaccharide, Sigma)를 처리하였으며 여러 가지 농도 62.5, 125, 250 \(\mu \mathrm{g} / \mathrm{mL} \)의 시료와 양성 대조군을 처리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p>
|
[
"실험에 사용된 울금 분말은 어떻게 만드니?",
"울금 분말은 어떻게 만들어서 실험에 사용되니 ?",
"본 연구에서 발효를 진행시킬 때 사용한 것은 뭐야?",
"본 연구에서 무엇를 발효를 진행시킬 때 이용했니?",
"본 연구에서 1차 분석 시료는 어떻게 제조했니?",
"본 연구에서 어떻게 제조한 1차 분석 시료를 사용했니?",
"본 연구에서 2차 분석 시료는 어떻게 제조했니?",
"본 연구에서 어떻게 제조한 2차 분석 시료를 사용했니?",
"본 연구에서 실험군과 차이를 둔 대조군의 배지가 함유한 물질은 뭐야?",
"본 연구에서 어떤 물질이 실험군과 차이를 둔 대조군의 배지를 함유했니?",
"본 연구에서 2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기 위해 centrifuge를 수행했을 때 사용하는 부분은 어떤 부분이야?",
"본 연구에서 2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기 위해 centrifuge를 수행했을 때 어떤 부분을 이용해?",
"본 연구에서 세포배양시 세포주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질은 뭐야?",
"본 연구에서 세포배양시 세포주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슨 물질을 사용해?",
"2차 분석 시료 제조시 1차 분석 시료에 주정을 처리하는 이유는 뭐야?",
"2차 분석 시료 제조시 1차 분석 시료에 무슨 이유로 주정을 처리해?"
] |
45428de6-74a3-4d07-b1a6-09c1c15d8458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2>발효 울금 원료의 아토피 피부염 저해효과</h2><p>Mite extract 연고를 이용해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NC/Nga 마우스 모델에서 발효 울금 원료의 아토피 피부염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전체 실험기간 중 총 8회에 걸쳐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기록하였다. 실험결과 아토피 피부염 비유발군은 실험기간 중 아토피증상이 심화되지 않은 반면 mite extract를 처리하여 아토피 유발 후 PBS를 투여한 vehicle군은 4차, 6차 유발 종료 후 증상이 심하게 악화되다가 완화되었다. 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아토피 증상이 완만하게 증가되다가 29일째부터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dexamethasone 투여군은 4번의 유발이 끝날 때까지 증상이 악화되다가 16일째부터 증상이 호전되어 실험 종료시 비유발군과 동일한 수준으로 아토피 증상이 개선되었다. 발효 울금 원료 투여군은 vehicle군과는 달리 증상의 기복이 발생하지 않았고 아토피 피부염의 초기 증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는 발효 울금 원료 투여 시 다량의 외부 항원에 노출되어 발생되는 급성기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p><p>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혈청 내 IgE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아토피 피부염 유발 종료시점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IgE 농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발효 울금 투여군에서는 mite extract에 의한 IgE의 증가를 비유발군 수준으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에 반해 양성 대조군인 dexamethasnone 투여군은 발효 울금 투여군에 비해 IgE증가 억제력이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울금 발효물의 투여가 급성기 피부염에서 급격하게 늘어나는 IgE를 감소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초기억제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dexamethasone의 투여는 아토피 피부염 초기에 증가되는 IgE 감소 효과가 떨어지므로 Fig. 4A의 결과와 같이 초기 증상 개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p><h2>발효 울금 원료의 급작형 과민반응 저해효과</h2><p>단시간 내 과량의 항원에 노출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급작형 과민반응에 대한 발효 울금 원료의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CA assay를 실시하였다. Anti-DNP IgE를 마우스의 양쪽 귀에 투여 후 미정맥을 통해 과량의 항원을 투여하여 급작형 과민반응을 유발함으로써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켰다. 항원으로 사용한 DNP-HSA과 evans blue 혼합물은 증가된 혈관 투과성으로 인해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에 존재하던 anti-DNP IgE와 결합함으로써 조직이 파란색을 띄게 되고 이를 정량함으로써 급작형 과민반응 정도를 확인하였다. 발효 울금 원료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인 evans blue 농도 감소가 관찰된 반면 비발효 울금 원료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발효 울금 원료는 비발효 울금 원료와 비교했을 때 외부로부터 유입된 다량의 항원에 대해 유발될 수 있는 즉각형 과민반응을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것으로 예상된다.</p>
|
[
"NC/Nga 마우스 모델에서 발효 울금 원료의 아토피 피부염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했니?",
"어떤 것을 사용하여 NC/Nga 마우스 모델에서 발효 울금 원료의 아토피 피부염 저해효과를 관찰할 수 있을까?",
"NC/Nga 마우스 모델은 어떤 질병을 유발시켰니?",
"어떤 질병을 NNC/Nga 마우스 모델이 발생시켰지?",
"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양성 대조군으로는 어떤 실험집단이 쓰였어?",
"어떤 실험집단이 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어?",
"아토피 증상이 완만하게 증가되다가 29일째 부터 증상이 호전된 실험군은 뭐니?",
"어떤 실험군에서 아토피 증상이 완만하게 증가되다가 29일째 부터 증상이 좋아졌니?",
"vehicle군은 어떤 조건을 겪은 실험집단이야?",
"실험집단 중 vehicle군은 어떤 조건을 경험했니?",
"급성기 피부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뭐야?",
"왜 급성기 피부염이 생길까?",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혈청 내 IgE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혈액을 채취한 시점은 언제야?",
"언제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혈청 내 IgE의 양을 비교하기 위해 혈액을 뽑았지?",
"IgE 증가 억제력에 비유발군 수준으로 유의적 감소시킨 군은 무엇이니?",
"어떤 군이 IgE 증가 억제력에 비유발군 수준으로 의미있게 감소를 시켰는가?",
"PCA assay는 무엇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했니?",
"무엇을 확인하기 위해 PCA assay가 시행됐어?",
"급작형 과민반응에 대한 발효 울금 원료의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어떻게 쥐 모델에 임의의 급작형 과민반응을 유발시켰어?",
"급작형 과민반응에 대한 발효 울금 원료의 저해효과 관찰실험에서 임의의 급작형 과민반응을 쥐 모델에 유발시킨 방법은 어떻게 되니?",
"쥐 모델에 급작성 과민반응을 유발하는데 사용된 항원은 뭐야?",
"어떤 항원을 이용하여 쥐 모델에 급작성 과민반응을 유발시켰니?",
"DNP-HSA과 evans blue 혼합물이 증가된 혈관 투과성으로 인해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에 존재하던 anti-DNP IgE와 결합하게 되면 조직은 어떤 색을 띄어?",
"DNP-HSA과 evans blue 혼합물이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에 있던 anti-DNP IgE와 만나게 되면 어떤 색의 조직이 관찰되는가?",
"항원으로 사용한 DNP-HSA과 evans blue 혼합물이 증가된 혈관 투과성으로 인해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에 존재하던 anti-DNP IgE와 결합함으로써 조직이 띄는 파란색을 일컫는 말은 뭐야?",
"항원으로 사용한 DNP-HSA과 evans blue 혼합물이 조직으로 침투하여 조직에 있던 anti-DNP IgE와 합쳐짐으로써 파란색으로 보이는 조직을 무엇이라고 하니?",
"즉각형 과민반응을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하려면 울금에 어떤 처리가 필요해?",
"울금에 어떤 처리를 하면 즉각형 과민반응을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까?"
] |
87a5460d-1a31-4040-bfa2-f3c6bcae9e7d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2>발효공정</h2><p>울금 발효를 위해 유산균 L. johnsonii IDCC 9203을 사용하였다. 유산균 발효는 총 3단계 배양을 통해 진행되었다. 우선 MRS broth를 이용해서 전배양과 중간배양을 진행하였고 배양액에 포함되어 있는 유산균이 대수증식기에 이르렀을 때 본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최종 발효하였다. 울금 본배양 배지는 유산균이 울금을 최대한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 1 \% \) glucose와 \( 0.5 \% \) Bacto peptone이 포함된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을 \( 3 \% \)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배양액의 \(\mathrm{pH}\)는 보정하지 않았다. 대수증식기에 이른 중간배양액을 본배양 배지가 들어있는 \( 5 \mathrm{~L} \) jar fermentor에 \( 5 \% \) 접종 후 \(50\mathrm{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2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p><h2>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울금 원료의 제조</h2><p>울금 발효 종료 후 배양액을 이용해서 발효 울금 원료를 제조하였다. 울금 배양액에서 유효성분만 따로 추출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발효 울금 원료를 제조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발효 울금 원료 제조공정은 Fig. 1과 같다.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발효 울금은 울금 발효를 위한 본배양 배지를 열수추출 후 Fig. 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다.</p><h2>Mite extract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의 저해효과</h2><p>발효 울금 원료의 아토피 피부염 저해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NC/Nga 마우스(중앙실험동물)를 이용해서 동물실험을 진행하였다. 5주령 자성 NC/Nga 마우스는 1주일 계류 후 각 시료를 1주일 동안 전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은 비유발군, PBS를 경구투여한 vehicle군, \( 5 \mathrm{mg} / \mathrm{kg} \)의 dexamethasone을 경구투여한 양성 대조군, \( 340 \mathrm{mg} / \mathrm{kg} \)의 발효 울금 원료를 경구투여한 시료 투여군으로 나누어 총 4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전투여가 종료된 후 5주 동안 주 5회 시료투여를 지속하면서 마리당 \( 100 \mathrm{mg} \)의 mite extract ointment(AD Biostir)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은 주 2회로 총 3주 동안 실시하였다. 전투여 기간을 포함해서 총 6주의 실험기간 중 8회에 걸쳐 증상을 기록했는데, 아토피 피부염 유발 전 최초 1회 증상을 기록하였고 4번째 유발 뒤부터 7회에 걸쳐 증상 변화를 기록하였다. 증상의 점수는 홍반/출혈, 건조/상처, 부종, 짓무름/찰과상, 태선화로 구분하여 각 평가항목에 \(0 \sim 3\)점의 점수를 부과하여 채점하였다.</p><p>마우스의 혈청 내에 IgE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아토피 피부염 유발 종료 시점에서 안와채혈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혈액은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IgE ELISA kit(Shibayagi)를 이용해서 혈중 IgE의 농도를 정량 하였다.</p>
|
[
"무엇을 발효하기 위해 유산균 L. johnsonii IDCC 9203를 사용했지?",
"유산균 L. johnsonii IDCC 9203은 무엇을 발효하기 위해 쓰여?",
"울금을 발효하기 위해 사용한 장치는 무엇이지?",
"어떤 장치가 울금을 발효하기 위해 쓰여?",
"유산균 발효는 총 몇 단계로 진행됐어?",
"총 몇 단계로 유산균 발효가 일어났어?",
"울금 발효에서 유산균 발효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진행됐지?",
"울금 발효에서 어떤 절차로 유산균 발효가 진행됐지?",
"본 실험에서 \\( 1 \\% \\) glucose와 무엇이 포함된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 \\( 3 \\% \\) 첨가하여 울금 본배양 배지를 제조했지?",
"\\( 1 \\% \\) glucose와 무엇이 포함된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 \\( 3 \\% \\) 더하여 울금 본배양 배지를 본 실험에서 제조했지?",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을 몇 퍼센트 첨가하여 제조했지?",
"몇 퍼센트의 울금 분말을 최소배지에 더하여 제조했지?",
"울금 본배양 배지를 \\( 1 \\% \\) glucose와 \\( 0.5 \\% \\) Bacto peptone이 포함된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을 \\( 3 \\% \\) 첨가하여 제조하는 이유는 무엇이지?",
"어떤 이유로 울금 본배양 배지를 \\( 1 \\% \\) glucose와 \\( 0.5 \\% \\) Bacto peptone이 포함된 최소배지에 울금 분말을 \\( 3 \\% \\) 더하여 제조하지?",
"본배양 배지가 들어있는 \\( 5 \\mathrm{~L} \\) jar fermentor에 무엇을 \\( 5 \\% \\) 첨가하지?",
"무엇을 본배양 배지가 들어있는 \\( 5 \\mathrm{~L} \\) jar fermentor에 \\( 5 \\% \\) 더하지?",
"본배양 배지가 들어있는 \\( 5 \\mathrm{~L} \\) jar fermentor에 대수증식기에 이른 중간배양액을 \\( 5 \\% \\) 접종 후 \\(50\\mathrm{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몇 시간 동안 배양하였지?",
"몇 시간 동안 본배양 배양기가 들어있는 5 \\mathrm{~L}5 L jar fermentor에 대수증식기에 이른 중간배양액을 5 \\%5% 접종 후 50\\mathrm{rpm}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지?",
"배양액을 이용하여 발효 울금 원료를 제조한 것은 언제지?",
"언제 배양액을 이용하여 발효 울금 원료를 만들어?",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발효 울금 원료는 울금 배양액에서 무엇만 선별하여 만들어졌어?",
"울금 배양액에서 무엇만 선별하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발효 울금 원료가 만들어지지?",
"본 논문에서 사용한 대조군은 무엇이지?",
"본 논문에서 어떤 대조군이 이용되었지?",
"NC/Nga 마우스를 통해 동물실험을 실행한 것은 왜인가?",
"왜 NNC/Nga 마우스를 통해 동물실험을 추진하였는가?",
"발효 울금 원료로 아토피 피부염 저해 및 예방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했어?",
"발효 울금 원료로 무엇을 아토피 피부염 저해 및 예방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어?",
"몇 주령의 자성 NC/Nga 마우스를 1주일 계류 시킨 후 각 시료를 1주일 동안 투여했지?",
"1주일 계류 시킨 후 각 시료를 1주일에 걸쳐 투여한 자성 NC/Nga 마우스는 몇 주령이지?",
"실험동물은 총 4개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는데, 이 중 양성 대조군은 얼마의 dexamethasone을 주입했지?",
"실험동물의 4개의 실험군에서 얼마의 dexamethasone이 양성 대조군에 투여되었나?",
"실험 과정에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물질은 무엇이지?",
"어떤 물질이 실험 과정에서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켰지?",
"전투여 종료 후 5주 동안 주 몇 회의 시료투여를 지속했지?",
"전투여 종료 이후 5주 동안 시료투여는 주 몇 회 이루어졌나?",
"주 2회로 총 3주 동안 실시한 것은 무엇이지?",
" 총 3주 동안 주 2회로 실행한 것은 무엇이지?",
"전투여 기간을 포함해서 총 6주의 실험기간 중에 증상 기록을 몇 회에 걸쳐서 했지?",
"증상 기록을 전투여 기간을 포함해서 총 6주의 실험기간 동안 몇 회에 걸쳐서 했지?",
"증상을 각 평가항목에 따라 점수를 부과하였는데, 각 평가항목에는 무엇들이 있지?",
"증상을 각 평가항목에 따라 점수를 주는데, 어떤 평가항목들이 있지?",
"아토피 피부염 유발 종료 시점에서 안와채혈을 실시한 이유는 무엇이지?",
"어떤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 유발 종료 시점에서 안와채혈을 실행했지?",
"안와채혈을 실시한 후 회수한 혈액은 어떻게 하여 혈청을 분리했지?",
"안와채혈을 실행한 후 어떻게 하여 회수한 혈액을 분리했지?",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혈청은 무엇을 이용해서 혈중 IgE의 농도를 정량했어?",
"무엇을 이용하여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혈청의 혈중 IgE의 농도를 측정했어?"
] |
e4d1e315-cac4-4bb6-b9a2-e9137fafbefd
|
생명LA
|
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한 울금의 소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
|
<h1>결 과</h1><h2>유산균 선별</h2><p>발효를 통해 울금 분말이 가지고 있는 소염활성을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mathrm{pH} 7.0\)으로 보정한 5종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배양 상등액을 10배 농축하여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B. longum을 제외한 나머지 Lactobacillus속 균주들은 비발효 울금 시료를 처리한 control군에 비해 COX-2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그 중 L. johnsonii IDCC 9203 균주로 배양한 시료에서 가장 높은 iNOS 및 COX-2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위 분석 결과에서 COX-2 저해능이 비교적 우수했던 4가지 배양액은 주정 침전법을 이용해서 2차 분석 시료를 제조하였고 2차 western blot assay를 진행하였다. 주정 침전법을 이용해서 제조한 모든 시료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강한 COX-2 저해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 L. johnsonii IDCC 9203 배양액으로 제조한 시료는 iNOS 저해능도 높았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L. johnsonii IDCC 9203을 이용한 울금 발효물의 소염활성이 가장 강하므로 이를 울금 발효를 위한 유산균주로 선정하였다.</p><p>발효 유산균주로 선정된 L. johnsonii IDCC 9203은 유아 분변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간균으로써,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하고 Salmonella paratyphi A의 생육을 저해하며 인체에 유용한 folic acid를 생산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장 정착능이 우수하여 유해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항생제 복용 후 불안정한 장내 균총을 정상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발효유 등에 활용되고 있다.</p><h2>울금 배양액의 소염활성</h2><p>울금 배양액과 울금 열수추출물의 소염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주정 침전법으로 제조한 발효 울금 시료와 비발효 시료를 각 \( 20 \mu \mathrm{L} \) 씩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전염증성 cytokine인 TNF- \( \alpha \) 와 IL-6의 mRNA level을 측정하였다. Dexamethasone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서와 같이 발효 울금 시료를 처리했을 때 LPS에 의해 증가된 TNF-\(\alpha \)와 IL-6의 mRNA level이 감소되었다. 하지만 비발효 울금 시료를 처리했을 때에는 두 cytokine의 발현 감소가 보이지 않았다. 발효 울금 원료와 비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두 원료는 DMSO에 현탁한 뒤 LPS를 이용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주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염증 매개인자인 COX-2와 iNOS의 발현양을 측정하여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평가하였다. 비발효 울금 원료 처리시에는 음성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COX-2와 iNOS의 발현을 저해하지 못하였다. 반면 발효 울금 원료를 처리했을 때에는 농도 의존적인 COX-2와 iNOS의 발현양 감소를 확인하였다. COX-2의 발현 저해는 발효 울금 원료를 \( 125 \mu \mathrm{g} / \mathrm{mL} \) 농도로 처리했을 때부터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 250 \mu \mathrm{g} / \mathrm{mL} \) 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에는 COX-2, iNOS 모두를 강력하게 저해하였다.</p><p>앞선 결과들을 종합하면 울금 분말을 L. johnsonii IDCC 9203으로 발효함으로써 비발효 울금 원료에 비해 소염활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p>
|
[
"본 논문은 울금 분말의 어떤 효능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나요?",
"본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건 울금 분말의 어떤 효능인가?",
"유산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실시했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유산균주를 선별하였는가?",
"실험에 사용된 5종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pH는 얼마인가?",
"얼마의 pH를 가진 5종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실험에 사용했는가?",
"활성화된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COX-2발현된 유산균은 무엇인가?",
"활성화된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어떤 유산균이 COX-2발현되었나?",
"가장 높은 iNOS와 COX-2 저해능이 확인된 유산균주는 무엇인가?",
"어떤 유산균에서 제일 높은 iNOS와 COX-2 저해능이 관찰되었나?",
"실험에서 2차로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한 대상은 무엇인가요?",
"실험에서 어떤 배양액에 2차로 western blot assay를 진행하였나?",
"2차 분석 시료는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 되었나요?",
"2차 분석 시료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울금 열수추출물과 울금 배양액의 소염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나요?",
"울금 열수추출물과 울금 배양액의 소염활성은 어떤 방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나?",
"RT-PCR의 세포주로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요?",
"어떤 세포주가 RT-PCR에게 사용되었는가?",
"TNF- α와 IL-6의 mRNA level의 감소를 보인것은 발효 울금 시료인가요 비발효 울금 시료인가요?",
"발효 울금 시료와 비발효 울금 시료 중 mRNA level의 감소를 보인것은 어느 것인가요?",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된 염증 매개자는 무엇인가요?",
"어떤 염증 매개자를 활용해서 발효 울금 원료의 소염활성을 평가하였나?",
"비발효 울금 원료와 발효 울금을 western blot assay하기 위해 어디에 현탁하였나요?",
"어디에 현탁하여서 비발효 울금 원료와 발효 울금에 대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나?",
"발효 울금 원료는 얼마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부터 COX-2, iNOS를 저해하나요?",
"발효 울금 원료가 COX-2, iNOS를 저해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농도가 되어야하나?",
"발효 울금 원료가 강력하게 COX-2, iNOS를 저해하기 시작하는 농도는 얼마인가요?",
"COX-2, iNOS의 발현이 가장 저해되는 때에 발효 울금 원료의 농도는 얼마인가요?",
"울금 분말이 가진 소염활성을 극대화 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1, 2 차 western blot assay에서 모두 iNOS 및 COX-2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산균주은 무엇인가?",
"1, 2 차 western blot assay에서 어떤 유산균주에서 iNOS 및 COX-2 저해능을 관찰할 수 있었나?",
"L. johnsonii IDCC 9203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L. johnsonii IDCC 9203을 나타내는 특징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 따르면 발효된 울금이 가지는 효과는 무엇인가요?",
"RT-PCR 수행에 필요하지 않은 재료는 무엇인가요?",
"RT-PCR를 수행하는데에 어떤 재료가 불필요한가?",
"본 논문에 의하면 울금 분말의 소염활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발효 울금 원료 처리를 했을 때, COX-2와 iNOS의 발현양 감소를 확인함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발효 울금 원료 처리를 했을 때, COX-2와 iNOS의 발현양 감소하는 결과를 통해 어떤 것을 확인할 수 있는가?"
] |
69646580-8efe-46e8-b6e8-dea669ae5573
|
생명LA
|
옥수수(Zea mays) 뿌리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CsCl의 영향
|
<h1>초 록</h1><p>본 연구에서는 발아 후 2일된 옥수수 유식물의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5 \mathrm{mM} \)에서 \( 30 \mathrm{mM} \)에 이르는 \(\mathrm{CsCl}\)을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뿌리와 자엽초 마디 위쪽 shoot의 생중량이 감소하였다. 뿌리의 길이 생장도 역시 동잍한 농도 범위의 \(\mathrm{CsCl}\)에 의하여 감소하였는데 \(\mathrm{CsCl}\)을 처리할 때 \( 60 \mathrm{mM}\)의 \(\mathrm{KCl}\)을 함께 처리하면 \(\mathrm{CsCl}\)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신장 생장이 일부 회복되었다. \(\mathrm{CsCl}\)과 \(\mathrm{KCl}\)의 관계를 Lineweaver-Burk plot으로 분석한 결과 \( 10 \mathrm{mM} \sim 30 \mathrm{mM}\) \(\mathrm{CsCl}\)은 \(\mathrm{KCl}\)과 경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 5 \mathrm{mM}\) \(\mathrm{CsCl}\)은 경쟁관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주변의 \(\mathrm{CsCl}\) 농도에 따라 \(\mathrm{KCl}\)의 작용 모드가 다른 또 하나의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mathrm{CsCl}\)의 농도에 따라서 \(\mathrm{KCl}\)과의 상호작용 모드가 달라지는 현상은 \(\mathrm{CsCl}\)에 의하여 유도되는 옥수수 뿌리 정단 하부의 횡축 팽창에서도 관찰되었다. 또한, \(\mathrm{CsCl}\)은 \(10 \mathrm{mM}\) 이상에서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 \mathrm{K}^{+} \) transporter인 ZmKUP1의 발현을 유도하였지만 \( 5 \mathrm{mM}\) \(\mathrm{CsCl}\)의 ZmKUP1 발현 효과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mathrm{CsCl}\) 존재 하에서도 근단 분열 조직의 수축은 관찰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외부에서 처리된 \(\mathrm{CsCl}\)은 2일된 옥수수 유식물의 뿌리의 생중량과 신장을 감소시켰으며 정단 하부의 횡축 팽창을 유도하고 ZmKUP1의 발현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근단 분열조직의 수축은 없었으므로 \(\mathrm{CsCl}\)의 효과는 주로 세포 팽창과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 \mathrm{Cs}^{+} \)와 \( \mathrm{K}^{+} \)의 경쟁 및 비경쟁적 상호작용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p>
|
[
"\\(\\mathrm{CsCl}\\)을 처리할 때 \\( 60 \\mathrm{mM}\\)의 무엇을 함께 처리하면 \\(\\mathrm{CsCl}\\)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신장 생장이 일부 회복될 수 있는가?",
" \\( 60 \\mathrm{mM}\\)의 무엇을 함께 처리하면 \\(\\mathrm{CsCl}\\)에 의하여 감소된 신장 생장을 일부 회복될 수 있는가",
"\\( 5 \\mathrm{mM} \\)에서 \\( 30 \\mathrm{mM} \\)에 이르는 \\(\\mathrm{CsCl}\\)을 처리하였을 때 옥수수 뿌리와 자엽초 마디 위쪽 shoot의 무엇이 감소하는가?",
"옥수수 뿌리와 자엽초 마디 위쪽 shoot의 생중량이 감소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무엇을 처리했을 때 자엽초 마디 위쪽 shoot의 생중량이 감소하는가",
"\\(\\mathrm{CsCl}\\)의 효과는 주로 어떤 것과 관련되어 있는가?"
] |
edadf7b3-c748-45f9-bd87-297b96f6cb51
|
생명LA
|
옥수수(Zea mays) 뿌리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CsCl의 영향
|
<h1>서 론</h1><p>세슘(Caesium: Cs)이 식물체에 훕수되거나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형태는 이온(\(\mathrm{Cs}^{+}\)) 상태이며. \( \mathrm{Cs}^{+} \)는 그 특성이 \( \mathrm{K}^{+} \)와 유사하여 \( \mathrm{Rb}^{+} \)와 마찬가지로 \( \mathrm{K}^{+} \)를 세포 내로 흡수하는 고친화도 경로(high affinity pathway)와 저친화도 경로(low affinity pathway) 모두를 통하여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 \mathrm{K}^{+} \) 흡수 경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도 활용되었다. \( \mathrm{Cs}^{+} \)는 세포 내로의 흡수 및 식물체에서의 이동 특성이 \( \mathrm{K}^{+} \)와 유사하지만 \( \mathrm{K}^{+} \)의 기능을 대신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여러 효소 단백질에서 음전하를 띄고 있는 \( \mathrm{K}^{+} \) 결합부위에 \( \mathrm{K}^{+} \) 대신 결합하여 효소 기능을 방해함으로써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실제로 \( \mathrm{Cs}^{+} \)에 무감한 Arabidopsis 돌연변이체 csi52는 \( \mathrm{K}^{+} \) uptake에 이상이 있으며 고친화도 흡수경로와 저친화도 흡수 경로의 기능이 모두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p>\( \mathrm{Cs}^{+} \)을 인위적으로 외부에서 처리하면 Arabidopsis, 콩, 토마토 등에서 생장이 감소하며, \( \mathrm{K}^{+} \)처리에 의하여 그 독성 피해가 일부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mathrm{Cs}^{+} \)은 식물에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이기는 하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그 농도가 매우 낮고, 식물이 흡수하는 비율도 \( 3 \% \) 이하에 불과하여 비정상적으로 \( \mathrm{Cs}^{+} \) 농도가 높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 \mathrm{Cs}^{+} \) 독성이 나타나는 일은 드문 편이다. 그러나 인공적인 핵분열의 주요 부산물 중 하나인 방사성 동위원소 \( { }^{134} \mathrm{Cs}^{+} \)와 \( { }^{137} \mathrm{Cs}^{+} \)는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되고 지상부로 이동한 다음 생태계의 먹이 사슬에 편입된다. 그. 결과 이를 섭취한 포식자에 생물 농축을 잍으키기 때문에 방사성 \( \mathrm{Cs}^{+} \)의 흡수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이 연구는 방사성 \( \mathrm{Cs}^{+} \)가 먹이 사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식물의 방사성 \( \mathrm{Cs}^{+} \) 흡수 기능을 활용하여 방사성 \( \mathrm{Cs}^{+} \) 오염을 제거하고자 하는 환경정화의 목적도 있어 응용 가능성이 기대되는 분야이기도 하다.</p>
|
[
"세슘(Caesium: Cs)이 식물체에 훕수되거나 수용액 중에 존재하는 형태는 어떤 상태인가요?",
"인공적인 핵분열의 방사성 동위원소134Cs+와 137Cs+ 는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되고 이를 섭취한 포식자에 생물 농축을 잍으키기 때문에 방사성 Cs+의 흡수에 관한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K+ 흡수 경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도 활용되는 이유 무엇인가요?",
"인공적인 핵분열의 주요 부산물 중 하나인 방사성 동위원소는 무엇인가요?",
"Cs+을 인위적으로 외부에서 처리하면 Arabidopsis, 콩, 토마토 등K+처리에 의해 그 독성 피해가 어떻게 일부 회복되는가요?",
"Cs+ 대하여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Cs+을 인위적으로 외부에서 처리하면 Arabidopsis, 콩, 토마토 등무엇이 감소하는가요?"
] |
d2aa6ed5-1a8b-410d-8fbf-2c01adb7a3d7
|
생명LA
|
옥수수(Zea mays) 뿌리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CsCl의 영향
|
<h2>근단 분열조직의 크기 불변</h2><p>\(\mathrm{CsCl}\)에 의한 뿌리의 생중량과 길이생장 감소가 세포분열의 감소에 의한 것인지 학인하기 위하여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Fig. 4). 그 결과 \(\mathrm{CsCl}\)에 의하여 뿌리의 길이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조건에서도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뿌리에서 \(\mathrm{CsCl}\)의 효과는 세포분열을 감소시킨다기 보다는 세포의 팽창 방향을 종에서 횡으로 바꾸거나 세포 신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의 자엽초 등에서는 세포의 신장에 \( \mathrm{K}^{+} \)이 필요하다는 보고와 같이 뿌리에서도 \( \mathrm{K}^{+} \)가 세포의 크기 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p><h2>CsCl에 의한 ZmKUP1 유전자의 발현 유도</h2><p>\(\mathrm{CsCl}\)의 뿌리 생장 억제 효과가 \( \mathrm{K}^{+} \)의 기능적 결핍 때문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Arabidopsis에서 \( \mathrm{K}^{+} \)결핍시 발현이 유도되는 \( \mathrm{K}^{+} \)Uptake Permase(KUP) 유전자의 옥수수 homologue인 ZmKUP1(GeneBank FN257301)의 발현에 대한 \(\mathrm{CsC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 10 \mathrm{mM} \) 이상의 \(\mathrm{CsCl}\) 이상의 농도에서 ZmKUP1의 발현이 \(\mathrm{CsCl}\)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5). 그리고 \(\mathrm{CsCl}\)에 의한 ZmKUP1의 발현은 \( 60 \mathrm{mM} \) \(\mathrm{KCl}\)에 의하여 완화되었다. 발아 2일된 유식물은 생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배유(endosperm)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영양분 결핍증이 나타나는 시기가 아니지만 \(\mathrm{CsCl}\)에 의하여 \( \mathrm{K}^{+} \)가 제 작용을 못하여 기능적으로 결핍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뿌리 생장을 억제하는 \(\mathrm{CsCl}\)의 영향은 상당 부분 \( \mathrm{K}^{+} \)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 5 \mathrm{mM} \)의 \(\mathrm{CsCl}\)은 뿌리의 생장에 현저한 영향을 주면서도 ZmKUP1의 발현은 약하게만 유도하므로 저농도에서 \(\mathrm{CsCl}\)의 영향은 단순히 \( \mathrm{K}^{+} \)의 결핍만으로는 설명되지 않았다.</p><p>한편 본 실험에서 고농도의 \(\mathrm{CsCl}\)을 처리하면 경쟁에 의하여 \( \mathrm{K}^{+} \)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기눔적으로 결핍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 \mathrm{K}^{+} \)결핍증을 볼 수 없는 어린 식물에서 \(\mathrm{CsCl}\)을 이용하여 기능적으로 \( \mathrm{K}^{+} \)결핍증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법은 식물체의 초기 발달에 미치는 \( \mathrm{K}^{+} \)의 영향을 조사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
|
[
"CsCl에 의한 뿌리의 생중량과 길이생장 감소로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어떤것에 의하여 측정 했을까?",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를 측정했는데 CsCl에 의한 뿌리의 생중량과 길이생장 감소 측정 했을까?",
"CsCl에 의한 뿌리의 생중량과 길이생장 감소가 세포분열의 감소에 의한 것인지 학인하기 위하여 어떻게 했을까?",
"세포분열의 감소에 의해 CsCl에 의한 뿌리의 생중량과 길이생장 감소가 나타났는지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했을까?",
"CsCl에 의하여 뿌리의 길이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조건에서도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에는 결과가 어떻게 나왔습니까?",
"근단 분열조직의 길이는 CsCl에 의하여 뿌리의 길이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조건에서는 어떤 결과가 나왔습니까?",
"뿌리에서 \\mathrm{CsCl}CsCl의 효과는 세포분열을 감소시킨다기 보다는 세포의 팽창 방향을 종에서 횡으로 바꾸거나 무엇을 억제하기 때문에 나타 났을까?",
"세포분열을 감소시킨다기 보다 세포의 팽창 방향을 종에서 횡으로 바꾸거나 무엇을 억제하기 때문에 뿌리에서 \\mathrm{CsCl}CsCl의 효과가 나타 났을까?",
"뿌리에서 \\mathrm{CsCl}CsCl의 효과는 세포분열을 감소시킨다기 보다는 세포의 팽창 방향을 종에서 횡으로 바꾸거나 세포 신장을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 것입니까?",
"세포분열을 감소시킨다기 보다는 세포의 팽창 방향을 종에서 횡으로 바꾸거나 세포 신장이 뿌리에서 \\mathrm{CsCl}CsCl의 효과인데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 것입니까?",
"옥수수의 자엽초 등에서는 세포의 신장에 무엇이 세포의 크기변화에 관여 할까?",
"세포의 신장은 옥수수의 자엽초 등에서 어떤것이 세포의 크기변화에 관여 할까?",
"옥수수의 자엽초 등에서는 세포의 신장에 \\( \\mathrm{K}^{+} \\)이 필요하다는 보고와 같이 뿌리에서도 \\( \\mathrm{K}^{+} \\)가 어떻게 생각 되는 것일까?",
"뿌리에서 \\( \\mathrm{K}^{+} \\)는 옥수수의 자엽초 등에서는 세포의 신장에 \\( \\mathrm{K}^{+} \\)이 필요하다는 보고가 어떻게 간주 되는 것일까?",
"그 결과 \\( 10 \\mathrm{mM} \\) 이상의 \\(\\mathrm{CsCl}\\) 이상의 농도에서 ZmKUP1의 발현이 \\(\\mathrm{CsCl}\\)의 농도에 어떻게 되는 것을 확인했을까?",
" ZmKUP1의 발현이 \\(\\mathrm{CsCl}\\)의 농도에 어떻게 되는지 \\( 10 \\mathrm{mM} \\) 이상의 \\(\\mathrm{CsCl}\\) 이상의 농도에서 체크했을까?",
"발아 몇일 된 유식물은 생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배유(endosperm)로부터 공급받고 있어?",
"성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배유(endosperm)로부터 공급받는 것은 발아 몇일 된 유식물이야?",
"일반적으로 발아 2일된 유식물은 영양분 결핍증이 나타나는 시기가 아니지만 \\(\\mathrm{CsCl}\\)에 의하여 \\( \\mathrm{K}^{+} \\)가 제 작용을 못하여 기능적으로 어떻게 된 것을 확인 할수 있어?",
"\\(\\mathrm{CsCl}\\)에 의하여 \\( \\mathrm{K}^{+} \\)가 제 작용을 못하여 기능적으로 어떻게 된 것을 일반적으로 발아 2일된 유식물이 영양분 결핍증이 나타나는 시기가 아니지만 알 수 있어?",
"발아 2일된 유식물은 생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무엇으로 공급 받고 있어?",
"성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발아 2일된 유식물은 무엇으로 공급 받고 있어?"
] |
49b03f4f-d5f4-445f-bf4b-a212250833a7
|
생명LA
|
옥수수(Zea mays) 뿌리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CsCl의 영향
|
<h2>CsCl에 의한 옥수수 뿌리의 횡축 팽창(radial expansion)</h2><p>\(\mathrm{CsCl}\) 처리에 의하여 생중량 및 길이는 감소하였지만 뿌리의 직경은 오히려 증가하였다(Fig. 3). \(\mathrm{CsCl}\)에 의한 횡축 팽창 양상은 \( 5 \mathrm{mM} \)에서 \( 1.958 \pm 0.128 \mathrm{mm} \)이었는데 반해 \( 10 \mathrm{mM} \)에서 \( 1.844 \pm 0.318 \mathrm{mm} \)로 약간 작게 나타났다가 다시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이면성(biphasic)을 나타내었다. 이는 농도에 따라 일관되게 감소하는 생중량이나(Fig. 1A, closed circles) 길이생장 감소(Fig. 2A)에서 나타난 것과는 확연히 다른 특징으로 \( 5 \mathrm{mM} \)의 \(\mathrm{CsCl}\)과 그 이상의 농도에서 \(\mathrm{CsCl}\)이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길이생장에 \( 5 \mathrm{mM} \) \(\mathrm{CsCl}\)이 \(\mathrm{KCl}\)과의 경쟁에서 벗어나 있다는 결과(Fig. 2B)와 \( 5 \mathrm{mM} \)에서 특히 뿌리의 횡축 팽창이 두드러진다는 사실 사이에 어떠한 분자생물학적 상관관계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p><p>\(\mathrm{CsCl}\) 처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뿌리의 횡축 팽창이 \(\mathrm{KCl}\)에 의하여 회복되는지 확인하였는데 \(\mathrm{KCl}\) 처리는 \(\mathrm{CsCl}\)에 의한 횡축 팽창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두드러지던 \( 5 \mathrm{mM} \) \(\mathrm{CsCl}\)에 의한 횡축 팽창\( (1.958 \pm 0.128 \mathrm{mm}) \)이 \(60 \mathrm{mM}\) \(\mathrm{KCl}\)에 의하여 \( 1.425 \pm 0.176 \mathrm{mm} \)까지 감소하여 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인 \( 1.354 \pm 0.145 \mathrm{mm}~(\mathrm{pP}=0.146, \mathrm{n}=23) \)까지 감소하여 완전히 회복되는 양상을 나바내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5 \( \mathrm{mM} \) \(\mathrm{CsCl}\) 존재 하에서는 \(\mathrm{KCl}\) 회복 효과가 고농도 \(\mathrm{CsCl}\) 존재 하에 작용하는 기작과는 다른 기작을 통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Arabidqusis에서는 세포 주변에 \( \mathrm{K}^{+} \)가 저농도(\(<0.3 \) \( \mathrm{mM} \))로 존재할 때 고친화도의 carrier가 작용하고, 고농도\( (0.5 \sim 1 \mathrm{mM}) \)의 \( \mathrm{K}^{+} \)가 존재할 때에는 저친화도의 channel이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생리 반응 수준에서 \( \mathrm{Cs}^{+} \)와 \( \mathrm{K}^{+} \)의 상호작용이 \( \mathrm{Cs}^{+}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 \mathrm{K}^{+} \)의 절대 농도가 아닌 \( \mathrm{Cs}^{+} \)에 대한 상대 농도에 따라 \( \mathrm{K}^{+} \)의 uptake나 작용이 달라지기 때문일 가능성이 분자 수준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p>
|
[
"뭐의 처리에 의하여 생중량 및 길이가 감소했어?",
"생중량 및 길이가 감소한 것은 뭐의 처리로 인한거야?",
"횡축 팽창 양상은 \\( 10 \\mathrm{mM} \\)에서 약간 감소했다가 다시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나?",
"\\( 10 \\mathrm{mM} \\)에서 약간 감소했다가 다시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횡축 팽창 양상을 일컫는 말은?",
"\\(\\mathrm{CsCl}\\)이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결과를 어떻게 뒷받침 해?",
"어떤 뒷받침을 통해 \\(\\mathrm{CsCl}\\)이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결과를 알 수 있지 ?",
"\\(\\mathrm{CsCl}\\) 처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뿌리의 횡축 팽창이 뭐로 회복되는지 확인했어?",
"뭐로 \\(\\mathrm{CsCl}\\) 처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뿌리의 횡축 팽창이 회복되는지 알았어?",
"횡축 팽창 양상은 이면성을 어떻게 나타냈어?",
"이면성을 횡축 팽창 양상은 어떻게 보였어?",
"\\(\\mathrm{CsCl}\\)에 의한 횡축 팽창을 감소시키는걸 어떻게 알 수 있어?",
"어떻게 \\(\\mathrm{CsCl}\\)에 의한 횡축 팽창을 감소시키는걸 확인할 수 있지?",
"획축 팽창이 회복이 어떻게 돼?",
"어떻게 획축 팽창은 회복돼?",
"\\( \\mathrm{Cs}^{+}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는걸 어떻게 검토해야해?",
"어떻게 \\( \\mathrm{Cs}^{+}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내는걸 확인해?"
] |
merge_la_8a2ae4d1-912a47a8-3b34-45ec-8995-206c482d6132_02
|
생명LA
|
<h2>유전자 분석 및 유전자 다형성 검사</h2> <p>유전자 분석을 위해서 Applied Biosystems 7300 Real Time PCR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였다. PCR 반응 조건은 pre-denaturation 반응을 \( 95 ^ {\circ } \mathrm { C } \)에서 10분, denaturation 반응을 \( 95 ^ {\circ } \mathrm { C } \)에서 30초, annnealing 반응을 \( 56 ^ {\circ } \mathrm { C } \)에서 30초, extension 반응을 \( 72 ^ {\circ } \mathrm { C } \)에서 30초로 설정하여 35 cycle 반복하여 DNA를 증폭시킨 후 마지막으로 extension 반응을 \( 72 ^ {\circ } \mathrm { C } \)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p> <h2>통계학적 분석</h2> <p>통계분석을 위해 SPSS versio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관상동맥질환 환자군 사이의 대립형질(allele)의 빈도와 유전자형(genotype) 빈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변수는 평균 \( \pm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각의 단일 염기 다형성이 Hardy-Weinberg 평형을 따르는지 알아보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Odds Ratio (OR)과 신뢰구간( \(95 \% \) Confidence Interval: Cl)를 구하였고, 연령, 성별, 허리둘레 등의 교란변수들을 보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 \mathrm { p }<0.005 \)로 하였다.</p> <h1>결과 및 고찰</h1> <h2>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태</h2> <p>본 연구에 참여한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관상동맥질환 환자군 100명과 대조군 100명의 임상적 특징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관상동맥질환 환자군 대상자와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각각 63.3과 63.8세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비는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에서는 남성이, 대조군에서 여성이 유의하게 많았다. 대조군의 경우에는 전체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게 나왔으나, 환자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오히려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환자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기 때문에 전체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다고 하여도 관상동맥질환이 없는 대조군으로서는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흡연상태는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나, BMI, 중성지방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p> <table border><caption>Table 1. Clinical data of patients and controls</caption> <tbody><tr><td>Variables</td><td>Control \( (n=100) \)</td><td>Case \( (n=100) \)</td><td>P</td></tr><tr><td>Age \( ( \mathrm { yr } ) \)</td><td>\( 63.83 \pm 2.79 \)</td><td>\( 63.34 \pm 10.69 \)</td><td>0.658</td></tr><tr><td>Sex</td><td></td><td></td><td></td></tr><tr><td>Male</td><td>36</td><td>63</td><td></td></tr><tr><td>Female</td><td>64</td><td>37</td><td></td></tr><tr><td>BMI \( { } ^ {\mathrm { a } } \) \( ( \mathrm { kg } / \mathrm { m } ^ { 2 } \))</td><td>\( 23.51 \pm 2.89 \)</td><td>\( 23.78 \pm 4.75 \)</td><td>0.633</td></tr><tr><td>Total cholesterol ( \( \mathrm { mmol } / \mathrm { l } \))</td><td>\( 192.21 \pm 32.88 \)</td><td>\( 179.48 \pm 39.75 \)</td><td>0.014</td></tr><tr><td>HDL-cholesterol \( ^ {\mathrm { b } } \) ( \( \mathrm { mmol } / \mathrm { l } \))</td><td>\( 46.76 \pm 11.37 \)</td><td>\( 42.80 \pm 8.57 \)</td><td>0.006</td></tr><tr><td>LDL-cholesterol \( ^ {\mathrm { c } } \) ( \( \mathrm { mmol } / \mathrm { l } \))</td><td>\( 123.52 \pm 29.27 \)</td><td>\( 117.31 \pm 36.13 \)</td><td>0.184</td></tr><tr><td>Triglyceride ( \( \mathrm { mmol } / \mathrm { l } \))</td><td>\( 109.66 \pm 48.07 \)</td><td>\( 137.78 \pm 64.95 \)</td><td>0.001</td></tr><tr><td>Diabetes ( \( \% \))</td><td>1.5</td><td>35.4</td><td>0.000</td></tr><tr><td>Hypertension ( \( \% \))</td><td>22</td><td>48</td><td>0.043</td></tr><tr><td>FBS ( \( \mathrm { mmol } / \mathrm { l } \))</td><td>\( 89.09 \pm 5.89 \)</td><td>\( 125.08 \pm 50.36 \)</td><td>\(<0.001 \)</td></tr><tr><td>Smoking ( \( \% \))</td><td>20</td><td>54.5</td><td>0.000</td></tr><tr><td>HbA1C</td><td>\( 5.31 \pm 0.31 \)</td><td>\( 6.78 \pm 1.70 \)</td><td>\(<0.001 \)</td></tr><tr><td>\( \mathrm { hsCRP } ^ {\mathrm { d } } \)</td><td>\( 1.55 \pm 3.13 \)</td><td>\( 0.75 \pm 1.72 \)</td><td>0.027</td></tr></tbody></table>
|
[
"PCR 반응 조건은 어떻게 돼?",
"어떤 상태이어야 PCR 반응 요건이 되는 거야?",
"표에서 관상동맥질환 환자군은 몇 명인가?",
"표에서 몇 명의 환자군이 관상동맥질환을 갖고 있어? ",
"표에 따르면 대조군은 몇 명으로 보이는가?",
"대조군이 몇 명인지 표를 보면 알 수 있어? ",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얼마인가?",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표에서 살펴보면 얼마인거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어떻게 돼?",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표를 살펴보면 어떻게 돼?",
"표에 따르면 대조군 중 남성은 몇명인가요?",
"표를 살펴보면 몇 명의 남성이 대조군에 포함돼 있어?",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여성은 얼마인가요?",
"표를 살펴보면 여성은 대조군에 어느정도 포함돼 있어?",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남성은 얼마인가?",
"환자군의 남성은 표를 살펴보면 몇 명이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여성은 얼마나 돼?",
"표를 살펴보면 여성은 환자군에서 몇 명이야?",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BMI은 무엇인가요?",
"대조군의 BMI는 표를 살펴보면 무엇이라고 되어 있어?",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BMI은 얼마나 돼?",
"환자군의 BMI는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 돼? ",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전체 콜레스톨은 무엇인가요?",
" 대조군의 전체 콜레스테롤은 표를 살펴보면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전체 콜레스톨은 얼마나돼?",
"환자군의 전체 콜레스테롤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 돼?",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HDL콜레스테롤은 어떤가?",
"대조군의 HDL콜레스테롤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HDL콜레스테롤은 얼마나 돼?",
"환자군의 HDL콜레스테롤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LDL콜레스테롤은 어떻습니까?",
"대조군의 LDL콜레스테롤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LDL콜레스테롤은 얼마나 되나요?",
"환자군의 LDL콜레스테롤은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 되나요?",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중성지방은 무엇인가?",
"대조군의 중성지방은 표를 살펴보면 무엇인가?",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중성지방은 어떻습니까?",
"환자군의 중성지방은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입니까?",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당뇨병은 무엇인가?",
"대조군의 당뇨병은 표를 들여다보면 어떻습니까?",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당뇨병은 얼마인가?",
"대조군의 당뇨병은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인가?",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고혈압 수치는 어떠한가?",
"대조군의 고혈압 수치는 표를 들여다보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고혈압 수치는 얼마나 돼?",
"환자군의 고혈압 수치는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FBS는 얼마나 돼?",
"대조군의 FBS는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FBS는 무엇입니까?",
"환자군의 FBS는 표를 들여다보면 어떤것입니까?",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흡연비율은 어떠한가?",
"대조군의 흡연비율은 표를 들여다보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흡연비율은 무엇인가?",
"환자군의 흡연비율은 표를 들여다보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HdA1C 값은 얼마나 돼?",
"대조군의 HdA1C 값은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HdA1C 값은 무엇인가요?",
"환자군의 HdA1C 값은 표를 들여다보면 얼마인가요?",
"표에 따르면 대조군의 hsCRP는 얼마나 돼?",
"대조군의 hsCRP는 표를 들여다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환자군의 hsCRP는 어떻게 돼?",
"환자군의 hsCRP는 표를 들여다보면 얼마나 돼?",
"표에 따르면, 흡연비율은 어떤 군이 더 높은가?",
"흡연비율은 어떤 군이 더 높다고 표에 나와있어?",
"표에 다르면 당뇨병은 어느 군이 더 낮은가?",
"당뇨병은 어느 군이 더 낮다고 표에 나와있어? ",
"표에 따르면, 고혈압은 어느 군이 더 많은가요?",
"고혈압은 어느 군이 더 많다고 표에 나와있어?",
"표에 따르면, 연령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얼마인가?",
"연령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인가?",
"표에 따르면, BMI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얼마나 돼?",
"BMI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나 돼?",
"표에 따르면, 전체 콜레스테롤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어떻습니까?",
"전체 콜레스테롤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나 됩니까?",
"표에 따르면, HDL콜레스테롤의 유의수준은 어떻습니까?",
"HDL콜레스테롤의 유의수준은 표를 살펴보면 어느정도입니까?",
"표에 따르면, LDL콜레스테롤의 유의수준은 무엇인가?",
"LDL콜레스테롤의 유의수준은 표를 살펴보면 얼마인가?",
"표에 따르면 유의수준이 가장 높은 항목은 무엇인가?",
"유의수준이 가장 높은 항목은 표를 살펴보면 어떤 것인가?",
"표에 따르면 흡연율과 동일한 유의수준은 어떤 항목인가?",
"흡연율과 같은 유의수준을 가진 항목은 표 안에서 무엇인가?"
] |
|
4fc4a274-cc4c-4e8b-984e-6bcacf4b2a6b
|
생명LA
|
<h1>재료 및 방법</h1><h2>홍해삼 시료에서 게놈 DNA 분리 및 서열 분석 준비</h2><p>홍해삼 시료는 제주, 남해, 울주, 울진, 울릉도 양식(일반) 및 토착종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포획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p><p>홍해삼의 게놈 DNA 추출은 QuickGene DNA Whole Blood Kit S, (KURABO, Osaka, Japan)을 사용하여 분리하였고, 이 DNA를 DNA-Seq (DNA sequencing)에 사용하였다.</p><h2>DNA Library 구축 및 sequencing</h2><p>분리된 DNA는 Covaris S2 ultra sonicator system을 이용하여 fragmentation 단계를 거친 후, Truseq Nano DNA sam-ple prep kit (Illumina, Inc., San Diego, CA)을 이용하여 \( 350\mathrm{bp} \)의 DNA 단편으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최종 산물은 2100 BioAnalyze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DNA 단편들은 blunt end로 제작되었고, 인산화한 후에, single "A" 뉴클레오티드가 single "T" overhang을 가지는 어뎁터에 라이게이션을 위해 3-말단에 추가되었다. 게놈 DNA 단편의 양 말단에 어뎁터 라이게이션은 게놈 단편에 각 가닥의 5'-와 3'-말단에 다른 서열을 제공했다. 라이브러리의 질은 capillary electrophoresis (Bioanalyzer, Agilent)에 의해 입증되었다.</p><p>구축된 라이브러리는 QX200 Droplet Digital PCR System (Bio-Rad)에 의해 정량 후에, Whole-genome se-quencing을 Illumina NovaSeq 6000 system (Illumina)에 의해 수행하였다.</p><h2>유전체 정보 확보를 위한 생물정보학 분석</h2><p>확보된 sequence reads은 sickle (v1.33)와 BWA ver.0.7.12.을 사용하여 고품질의 reads만 필터하여 얻었고, 이것은 홍해삼에 대해 mapping 및 genome assembly을 하는데 사용되었다. Mapping이후, local realignment는 GATK ver. 3.1-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duplicates는 Picard ver.1.98 (http://picard.sourceforge.net)을 사용하였다. 서열상의 변이들은 GATK ver 3.1-1을 통해 calling이 이루어 졌으며, 변이에 대한 annotation은 SnpEff (v.4.1)에 의해서 수행되었다.</p>
|
[
"연구에 사용할 홍해삼 재료는 어떻게 구했어?",
" 어떻게 연구에 이용할 홍해삼 재료를 구했어?",
"홍해삼의 게놈 DNA는 어떻게 추출할 수 있어?",
"어떻게 홍해삼의 게놈 DNA는 뽑을 수 있어?",
"DNA를 어떻게 활용했어?",
"어떻게 DNA를 이용했어?",
"분리시킨 DNA에 어떤 절차를 거쳤어?",
"어떤 절차를 분리시킨 DNA에 적용했어?",
"DNA 단편으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는 어떻게 구축해?",
"어떻게 DNA 단편으로 구성된 라이브러리는 만들어?",
"최종 산물은 어떻게 확인해?",
"어떻게 최종 산물은 알아봐?",
"DNA 단편은 어떻게 만들 수 있어?",
"어떻게 DNA 단편을 낼 수 있어?",
"blunt end로 제작한 DNA 단편들은 어떻게 처리해?",
" 어떻게 blunt end로 제작한 DNA 단편들을 다루지?",
"라이브러리의 품질은 어떻게 입증가능한가?",
"어떻게 라이브러리의 품질을 검증가능한가?",
"구축된 라이브러리는 어떻게 정량할 수 있어?",
"어떻게 구축된 라이브러리는 양을 정할 수 있어?",
"Whole-genome se-quencing은 어떻게 수행할 수 있어?",
"어떻게 Whole-genome se-quencing이 실천할 수 있어?",
"sequence reads 중에서 어떻게 고품질의 reads를 필터링 할 수 있어?",
"어떻게 고품질의 reads를 sequence reads 중에서 골라낼 수 있어?",
"서열상의 변이들은 어떻게 calling이 이루어졌지?",
"어떻게 서열상의 변이들은 calling이 만들어졌지?",
"변이를 대상으로 한 annotation은 어떻게 수행되었어?",
"어떻게 변이를 대상으로 한 annotation은 이행되었어?",
"local realignment를 수행하려고 어떻게 했어?",
"어떻게 local realignment를 이행하려고 했어?"
] |
|
d9fed8b3-647e-4f09-a2be-bb0392be5ef8
|
생명LA
|
<h1>초록 : 홍해삼 유전체 분석에 의한 microsatellite의 분포도 연구</h1><p>본 연구는 홍해삼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홍해삼의 유전자 마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울릉도_일반과 울릉도_토착으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inucleotide repeat 서열이 \(81.3\sim 81.4\%\)로 가장 많이 차지 되었으며, 반복서열 개수가 증가퇼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microsatellite는 5~10 반복수 사이에 집중적으로 존재하였으며, 반복 서열의 크기가 클수록 반복수가 적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Di, tri, tetra-nucleotides 반복에서 각각 \( (\mathrm{AT})_{5},(\mathrm{AAT})_{5},(\mathrm{AAAT})_{5} \) 등이 가장 높은 것들로 나타났다. (CG), (CCG) 등은 동일 반복 단위의 다른 반복 단위에 비교하여 매우 낮게 관찰되었다. Di-와 tri-nucleotide는 반복수가 각각 35와 32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 다음에 비연속적으로 44와 43 반복까지 계수 되었다. Tetra-, penta- 및 hexa-nucleotide는 각각 25, 21 및 14까지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에 따르면 microsatellite는 특이서열반복에 대해 편중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해삼의 microsatellite 분석에서 고유의 반복 서열과 반복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p><p></p>
|
[
"울릉도일반과 울릉도토착으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한 결과로 나타나는 경향은 무엇인가?",
"울릉도 일반과 울릉도 토착으로 microsatellite marker 분석한 결과로 나타나는 경향은 무엇인가?",
"Di-와 tri-nucleotide의 반복수는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어떤 방식으로 Di-와 tri-nucleotide의 반복수가 나타나는가?",
"dinucleotide repeat 서열은 어떻게 경향을 보이는가?",
"일반적으로 microsatellite은 어떻게 양상을 보일까?",
"Di-와 tri-nucleotide는 반복수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어떻게 Di-와 tri-nucleotide는 반복수가 보여지는가?"
] |
|
3c4587b8-1cbf-48c5-887a-97997d275307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1>요 약</h1><p>본 연구는 감귤박 급여가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시료는 감귤박을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TMR-0)과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TMR-1)으로 하였다. TMR-0는 비육우용 배합사료와 건초를 분리 급여하면서 관행적으로 사육하였으며, TMR-1은 육성기 및 비육전기 일부(약 17개월)는 TMR-0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한 후 나머지 10개월(비육전기 및 후기) 동안은 감귤부산물 TMR 사료를 급여하였다. 한우등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mathrm{pH} \) 는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VBN함량, TBARS값 및 EDA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mathrm{p}<0.05) \). 한우등심의 보수력, 동결감량 및 가열감량은 TMR-0 및 TMR- 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해동감량은 TMR-0 \((7.35\%\))가 TMR-1 \((3.04\%\))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 (\mathrm{p}<0.05) \). 한우등심의 경도는 TMR-0가 TMR-1보다 높고, 탄성은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장 중 \( \mathrm{pH} \) 및 VBN 함량은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TBARS값은 저장 4 주째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 (\mathrm{p}<0.05) \). 생육의 색깔 및 향기는 TMR-0 및 TMR- 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열육의 풍미 및 연도는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으며, 맛, 다즙성 및 전 체적인 기호도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 (p<0.05) \).</p>
|
[
"TMR-0, TMR-1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것은 무엇이야?",
"한우등심의 경도는 TMR-1이 TMR-0보다 높았다.",
"본 연구는 어떤 목표로 수행되었어?",
"어떤 목적으로 이 연구가 수행되었는가?",
"본 연구는 무엇이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어?",
"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 연구에서 탐구한 것은 무엇인가?",
"시료는 뭐였어?",
"무슨 검체였나요?",
"시료의 종류는 세 가지야?",
"세 가지 종류의 검체인가요?",
"TMR-0은 어떤 시료야?",
"시험감 중 TMR-0은 어떤 것인가?",
"TMR-0는 무엇을 분리 급여했어?",
"TMR-0는 분리 급여한 것은 무엇인가요?",
"비육우용 배합사료와 건초를 분리 급여하면서 관행적으로 사육한 것은 무엇인가?",
"관행적으로 사육한 것은 비육우용 배합사료와 건초를 분리 급여를 했는데 어떤 것인가요?",
"TMR-1은 언제 TMR-0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해?",
"TMR-0와 TMR-1은 동일한 방법으로 언제 사육하나요?",
"TMR-1의 비육전기 및 후기는 몇 개월이야?",
"몇 개월이 TMR-1의 비육전기 및 후기인가?",
"TMR-0와 TMR-1은 같은 방식으로 사육되는 시기가 있어?",
"동일한 방식으로 TMR-0와 TMR-1은 사육되는 시기가 있나요?",
"TMR-1의 비육전기 및 후기에는 무엇이 급여되었어?",
"비육전기 및 후기에 TMR-1은 급여된 것이 무엇인가?",
"TMR-1은 육성기에 감귤부산물 TMR 사료가 급여되었어?",
"감귤부산물 TMR 사료가 TMR-1은 육성기에 급여 되었나요?",
"TMR-1은 사료가 어떻게 급여되었어?",
"어떻게 사료가 TMR-1에게 급여 되었나요?",
"한우등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TMR-0 및 TMR-1 사이에 한우 등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유의미가 차이가 있나요?",
"TMR-0와 한우등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것은 무엇인가?",
"한우등심의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서 TMR-0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무엇인가?",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작았던 것은 무엇인가?",
"유의적으로 작았던 것은 TMR-1이 TMR-0보다 어떤 것인가요?",
"TMR-1, TMR-0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던 것이 아닌 것은?",
"유의적 차이가 TMR-1, TMR-0 사이에 없었던 것이 아닌 것은?",
"TMR-0, TMR-1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것은 무엇인가?",
"유의미한 차이가 TMR-0, TMR-1 간에 무엇이 있었나요?",
"TMR-0가 TMR-1보다 높았던 것은 무엇인가?",
"TMR-1보다 TMR-0이 무엇이 높았나요?",
"TMR-0, TMR-1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유의미한 차이를 TMR-0, TMR-1 간에 보인 것이 아닌 것은?",
"TMR-1의 TBARS값이 TMR-0보다 낮게 나온 것은 언제야?",
"TMR-0보다 TMR-1의 TBARS값이 언제 낮게 나온 것인가요?"
] |
bd5cf718-3c28-4b96-a049-cb672728392e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2>표면 색깔</h2><p>한우 등심의 표면 색깔의 측정은 색차계(Chromameter CR-200b, Minolta Camera Co., Japan)를 이용하여 \( \mathrm{L}^{*}\) (명도), \( \mathrm{a}^{*} \) (적색도) 및 \( \mathrm{b}^{*} \) (황색도)로 나타내었으며, 이때 색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표준 백색판의 \( \mathrm{L}^{*}\), \(\mathrm{a}^{*}\), \(\mathrm{~b}^{*} \) 값은 각각 97.6, -6.6, 6.3이었다.</p><h2>pH, VBN 함량, TBARS 값 및 전자공여능 측정</h2><p>한우등심의 \( \mathrm{pH} \) 측정은 \( \mathrm{pH} \) meter(ATI Orion 370, USA)의 유리전극을 고기에 직접 꽂아 측정하였으며, VBN (volatile basic nitrogen) 함량은 식품공전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그리고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값은 시료를 perchloric acid 및 BHT와 함께 균질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물에 TBA 시약을 가하고 \( 531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나타난 값을 시료 \( \mathrm{kg} \) 당 반응물 \( \mathrm{mg} \) malonaldehyde로 계산하였다.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의 측정은 Blois의 방법에 따라 각 추출물의 DPPH (1,1-de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 공여효과로서 시료들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EDA 측정을 위하여 DPPH (1,1-dephenyl-2-picrylhydrazyl) 시약은 \( 59 \mathrm{mg} \) 을 정확히 취하여 ethanol \( 1,000 \mathrm{~mL} \) 에 녹여 사용하였다. 소정 농도의 시료에 DPPH 용액 \( 1 \mathrm{~mL} \) 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의 시료에 DPPH 용액 \( 1 \mathrm{~mL} \) 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ice bath에서 반응을 종료시켜 \( 520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p><p>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100-\)(시료 흡광도/대조구 흡광도 \( \times 100 \) )</p><h2>보수력 및 감량율</h2><p>보수력은 Hofman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planimeter(X-plan, Ushikata 360d Ⅱ, Japan)로 면적을 구하고 육의 표면적을 수분의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동결 감량은 \( -18^{\circ} \mathrm{C} \) 에서 27 일간 동결하였을 때 동결 전후의 무게, 해동 감량은 \( 4^{\circ} \mathrm{C} \) 에서 20시간 해동하였을 때의 해동 전후의 무게, 가열 감량은 시료의 중심온도 \( 75^{\circ} \mathrm{C} \) 가 되도록 가열하였을 때 가열 전후의 무게 차이를 각각 백분율로 나타내었다.</p><h2>기계적 물성</h2><p>한우등심의 기계적 물성은 근섬유와 평행하게 가로, 세로, 높이를 각각 40, 15 및 \( 5 \mathrm{~mm} \) 로 자른 시료에 대해서 rheometer (CR-200D, SUN scientific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에 전단력은 전단력 칼날(angle adapter 10번)을 이용하여 table speed \( 120 \mathrm{~mm} / \mathrm{min} \), graph interval \( 30 \mathrm{m} / \mathrm{sec} \), load cell(Max) \( 10 \mathrm{~kg} \) 의 조건에서 측정하고, 경도(hardness), 탄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점탄성용(round adapter 25번)을 이용하여 table speed \( 120\mathrm{mm} / \mathrm{min} \), graph interval \( 30 \mathrm{~m} / \mathrm{sec} \), load cell(Max) \( 2 \mathrm{~kg} \)의 조건으로 하였다. 뭉침성(gumminess)은 peak max \(\times\) cohesiveness 값으로, 저작성(chewiness)은 (peak max \( \div \) distance) \( \times \) cohesiveness \( \times \) springiness 값으로 나타내었다.</p><h2>기호성 및 통계처리</h2><p>한우등심의 기호성을 위한 고기의 준비는 \( 200^{\circ} \mathrm{C} \) 의 가열판 위에서 중심부의 온도가 \( 75^{\circ} \mathrm{C} \) 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기호성은 관능평가원에 의하여 맛,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에 대하여 가장 좋다(like extremely)를 7점, 가장 나쁘다(dislike extremely)를 1점으로 하는 7점 기호척도법으로 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결과의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법으로 \( 5 \% \)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p>
|
[
"한우 등심 표면 색깔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은 뭐야?"
] |
d4003920-7ffe-43d2-b411-f5a2ac5e212e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1>재료 및 방법</h1><h2>재료</h2><p>한우는 제주도 소재 5 개 농장에서 각각 거세한 수컷 20두씩 100두를 27개월간 사육하였으며, 모든 농장에서 동일하게 대조구와 감귤박 TMR(total mixed ration) 사료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여 각각 6두씩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증체율, 사료효율 등이 좋은 처리구를 선택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이때 생체중량은 \( 715 \pm 35 \mathrm{~kg} \) 이었다. 분석용 시료는 감귤박 TMR 사료를 급여하지 않은 한우 등심(TMR-0), 그리고 육성기 및 비육전기의 일부(17개월)는 대조구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한 후 나머지 10개월(비육전기의 일부 및 후기)은 감귤박 TMR 사료를 급여한 한우등심 (TMR-1)으로 하였다. 도축 후 측정한 한우등심의 등지방 두께는 TMR-0 및 TMR-1이 각각 \( 10.30 \pm 1.74 \) 및 \( 8.03 \pm 0.35 \mathrm{~mm} \)였고, 배최장근 단면적은 각각 \( 76.10 \pm 8.82 \) 및 \( 78.68 \pm 9.12 \mathrm{~cm}^{2} \)이었다. 도축 후 12 시간 예비 냉각한 지육에서 등심을 분할하여 진공포장하고 실험실로 이동하여 도축 후 2 일이 될 때 까지 \( 3 \pm 1^{\circ} \mathrm{C} \) 에서 냉장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p><p>감귤박은 제주개발공사 감귤공장에서 감귤 농축액을 제조 한 후 발생한 부산물로 수분함량은 \( 85 \sim 92 \% \) 의 것을 이용하였다. 잔류농약 검사결과 유기인계, 유기염소계 및기타 계열 23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감귤박 TMR 사료는 비육한우 영양 요구량이 맞도록 감귤박을 첨가하여 (주)신일의 TMR 배합기로 제조하였다. TMR 사료의 배합비율은 TMR-0의 경우 비육전기에는 사료 \( \mathrm{kg} \) 당 옥수수 \( 267 \mathrm{~g} \), 단백질 \( 115 \mathrm{~g} \), 혼합사료 \( 267 \mathrm{~g} \), 건초 \( 343 \mathrm{~g} \), premix \( 8\mathrm{g} \) 을 급여하였으며, 비육후기는 사료 \( \mathrm{kg} \) 당 옥수수 \( 96 \mathrm{~g} \), 보리 \( 255 \mathrm{~g} \), 혼합사료 \( 478 \mathrm{~g} \), 건초 \( 159 \mathrm{~g} \), premix \( 12 \mathrm{~g} \) 을 급여하였다. 그리고 TMR-1은 비육전기에 사료 \( \mathrm{kg} \) 당 감귤박 \( 340 \mathrm{~g} \), 옥수수 \( 171 \mathrm{~g} \), 단백질 \( 114 \mathrm{~g} \), 혼합사료 \( 142 \mathrm{~g} \), 건초 \( 227 \mathrm{~g} \), premix \( 6 \mathrm{~g} \) 을 급여하였으며, 비육후기에는 사료 \( \mathrm{kg} \) 당 감귤 박 \( 120 \mathrm{~g} \), 옥수수 \( 60 \mathrm{~g} \), 보리 \( 240 \mathrm{~g} \), 혼합사료 \( 419 \mathrm{~g} \), 건초 \( 150\mathrm{g} \), premix \( 11 \mathrm{~g} \) 을 급여하였다. Premix는 비타민 A, K, B1, B2, B12, 인산칼슙, 나이아신, 엽산, 망간, 아연, 철, 구리, 코발트 및 BHT로 구성되었다.</p>
|
[
"제주도 소재 5 개 농장에서 각각 거세한 수컷 20두씩 100두를 27개월간 사육한 것은 무엇인가?",
"제주도에 위치한 5개 농장에서 거세한 수컷 20두씩 총 100두를 27개월동안 사육한 것은 무엇입니까?",
"한우를 어디에서 각각 거세한 수컷 20두씩 100두를 27개월간 사육하였나?",
"어느 곳에서 거세한 한우를 수컷 20두씩 총 100두를 27개월동안 사육하였니?",
"한우는 제주도 소재 5 개 농장에서 각각 거세한 수컷 20두씩 100두를 얼마나 사육하였나?",
"얼마 동안 거세한 한우를 수컷 20두씩 100두를 제주도에 위치한 5개 농장에서 사육하였습니까?",
"각각 거세한 수컷 20두씩 100두를 27개월간 사육한 것은 한우인가?",
"각기 거세한 수컷 20두씩 총 100두를 27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사육된 것은 한우입니까?",
"TMR의 약자는 무엇인가?",
"TMR의 반자는 무엇입니까?",
"모든 농장에서 동일하게 대조구와 어떤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였나?",
"전 농장에서 똑같이 대조구와 어떠한 급여 조건이 딴 처리구를 정하였습니까?",
"대조구와 감귤박 TMR(total mixed ration) 사료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여 각각 얼마씩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하였나?",
"얼마만큼 배치해 대조구와 감귤박 TMR(total mixed ration) 사료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해 사양시험을 치루었나?",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여 각각 6두씩 배치하여 무엇을 하였나?",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선정해 6두씩 배정하여 무슨 일을 했습니까?",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여 각각 6두씩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하여 그 후로 어떻게 하였나?",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선정해 6두씩 배정한 다음 사양시험을 한 후에는 어떻게 하였습니까?",
"그 결과 무엇이 좋은 처리구를 선택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나?",
"어떤 부분이 더 나은 처리구를 선택하여 분석용 시료를 하였습니까?",
"그 결과 증체율, 사료효율 등이 좋은 처리구를 선택하여 무엇으로 하였는가?",
"그 결과 증체율과 사료효율 등이 더 나은 처리구를 정하여 어떤 것으로 사용하였습니까?",
"각각 6두씩 배치하여 사양시험을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정하여 하였으며 좋은 처리구를 선택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나?",
"6두씩 배치한 사양시험을 급여조건이 다른 처리구를 결정하여 더 나은 처리구를 선택해 분석용 시료로 하였습니까?",
"분석용 시료로 할 때 생체중량은 몇 \\( \\mathrm{~kg} \\) 였나?",
"분석용 시료를 이용하였을 때 생체중량의\\( \\mathrm{~kg} \\) 의 값은 무엇입니까?",
"분석용 시료로 \\( 715 \\pm 35 \\mathrm{~kg} \\)은 어떤 무게인가?",
"분석용 시료로 \\( 715 \\pm 35 \\mathrm{~kg} \\)은 무슨 무게입니까?",
"분석용 시료의 비육전기의 일부는 몇 개월인가?",
"분석용 시료 중 비육전기의 부분의 기간은 얼마입니까?",
"육성기 및 비육전기의 일부(17개월)는 무엇과 같은 방법으로 사육하였나?",
"어떤 방법으로 육성기 및 비육전기의 일부(17개월)을 사육하였습니까?",
"분석용 시료에 관련하여 TMR 사료를 급여한 한우등심은 몇개월동안 대조구와 같은 방법으로 사육한 나머지 기간인가?",
"얼마 동안 분석용 시료와 연관되어 대조구와 같은 방법으로 TMR 사료를 준 한우등심을 사육한 남은 기간입니까?",
"분석용 시료에서 감귤박 TMR 사료를 급여한 어떤 것으로 사용하였나?",
"무엇을 사용해 분석용 시료에서 감귤밥 TMR 사료를 급여했습니까?",
"한우등심 (TMR-1)은 10개월(비육전기의 일부 및 후기)은 감귤박 TMR 사료를 급여한 것인가?",
"한우등심 (TMR-1)은 10개월(비육전기의 일부 및 후기)동안 감귤박 TMR 사료를 준 것인가요?",
"\\( 10.30 \\pm 1.74 \\) 및 \\( 8.03 \\pm 0.35 \\mathrm{~mm} \\)은 TMR-0 및 TMR-1에 대해 어떤 부분을 잰 것인가?",
"\\( 10.30 \\pm 1.74 \\) 및 \\( 8.03 \\pm 0.35 \\mathrm{~mm} \\)은 TMR-0 및 TMR-1에 대한 무슨 부분을 측정한 것이니?",
"TMR-0 및 TMR-1은 한우등심에 관련된 것인데 이 종류들의 등지방 두께는 몇 \\( \\mathrm{~mm} \\)로 측정되는가?",
"한우등심과 관련된 TMR-0 및 TMR-1의 등지방 두께는 몇 \\( \\mathrm{~mm} \\)로 계산할 수 있나요?",
"각각 \\( 76.10 \\pm 8.82 \\) 및 \\( 78.68 \\pm 9.12 \\mathrm{~cm}^{2} \\) 이 수치는 무엇인가?",
" \\( 76.10 \\pm 8.82 \\) 및 \\( 78.68 \\pm 9.12 \\mathrm{~cm}^{2} \\)의 수치는 무엇을 나타냅니까?",
"한우를 도축한 이후 진공포장 할 때 몇시간동안 예비 냉각을 진행하는가?",
"얼마동안 한우를 도축한 후 진공포장을 할 때 예비 냉각을 실행합니까?",
"도축 후 12 시간 어디에서 등심을 분할하여 진공포장하였나?",
"어디서 도축 후 12시간 등심을 나누어 진공포장하였습니까?",
"한우를 도축한 후에 등심을 어떻게 포장하였나?",
"어떤 방식으로 한우를 도축한 후 등심을 포장하였습니까?",
"등심을 분할하여 진공포장하고 어디로 이동하였나?",
"등심을 분할해 진공포장 후 어느 곳으로 옮겼니?",
"실험실로 이동 후 \\( 3 \\pm 1^{\\circ} \\mathrm{C} \\)로 얼마동안 보관하는가?",
"실험실로 움직인 후 \\( 3 \\pm 1^{\\circ} \\mathrm{C} \\)로 얼마나 보관하나요?",
"실험실로 이동하여 도축 후 2 일이 될 때 까지 몇 \\( \\mathrm{C} \\) 에서 냉장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나?",
"도축 후 2일까지 몇 \\( \\mathrm{C} \\) 에서 냉장 후 실험에 쓰였습니까?",
"도축 후 \\( 3 \\pm 1^{\\circ} \\mathrm{C} \\) 에서 무엇을 한 후에 실험에 사용하였나?",
"도축 후 \\( 3 \\pm 1^{\\circ} \\mathrm{C} \\)에서 어떤 일을 한 후에 실험에 이용됐습니까?",
"감귤공장에서 감귤 농축액을 제조 한 것은 무엇인가?",
"감귤공장에서 감귤 농축액을 생산한 것은 무엇입니까?",
"감귤박은 어디에서 감귤 농축액을 만들었나?",
"어느 곳에서 감귤박은 감귤 농축액을 생성하였습니까?",
"\\( 85 \\sim 92 \\% \\)의 수분함량은 감귤 농축액을 만든 후 생긴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
"\\( 3 \\pm 1^{\\circ} \\mathrm{C} \\)의 수분함량을 가진 감귤 농축액을 제조 후 발생한 것은 무엇인가?",
"본문에서 부산물에 대한 \\( 85 \\sim 92 \\% \\)은 어떤 수치인가?",
"부산물에 대한 \\( 85 \\sim 92 \\% \\)의 값은 무엇인가?",
"수분함량 몇 \\( \\% \\) 의 부산물을 사용하였나?",
"사용한 부산물의 수분함량 값은 무엇인가?",
"23개의 계열 분석 결과 성분이 검출 되지 않은 것은 어떤 검사 결과를 말하는 것인가?",
"계열 23개 분석 결과 성분이 검출 되지 않은 검사 결과는 무엇인가요?",
"잔류 농약 검사에 관련한 2가지 계열은 무엇이 있는가?",
"잔류 농약 검사에 관계된 2가지 계열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유기인계, 유기염소계를 포함한 잔류농약 검사는 몇 가지 계열이 있었나?",
"몇 가지 계열의 유기인계, 유기염소계를 포함한 잔류농약 검사가 있습니까?",
"감귤박 TMR 사료에 감귤박을 섞을 때 어떤 기준으로 첨가하였나?",
"무슨 기준으로 감귤박을 섞을 때 감귤박 TMR 사료를 더하였니?",
"감귤박을 이용하여 감귤박 TMR 사료를 만들 때 어떤 배합기로 제조하였나?",
"무슨 배합기로 감귤박을 사용하여 감귤박 TMR 사료를 제조하였습니까?",
"TMR 사료의 배합비율에 관련하여 비육전기에 사료 \\( \\mathrm{kg} \\) 당 옥수수는 몇 \\( \\mathrm{~g} \\)이 들어가는가?",
"TMR 사료의 배합비율에 관련한 비육전기에 옥수수는 사료\\( \\mathrm{kg} \\) 당 몇 \\( \\mathrm{~g} \\)이 들어가나요?",
"비육전기에 해당하는 TMR 사료의 배합비율은 사료 \\( \\mathrm{kg} \\) 당 \\( 115 \\mathrm{~g} \\)이 들어가는 것은 어떤 재료가 들어가는가?",
"어떤 재료가 비육전기에 들어맞는 TMR 사료의 배합비율에 사료 \\( \\mathrm{kg} \\) 당 \\( 115 \\mathrm{~g} \\)이 들어가나요? ",
"비육전기의 혼합사료는 몇 \\( \\mathrm{~g} \\)인가?",
"비육전기 혼합사료의 값은 무엇인가요?",
"비육후기는 사료 \\( \\mathrm{kg} \\) 당 건초는 몇 \\( \\mathrm{~g} \\)이 첨가되는가?",
"비육후기에 사료 \\( \\mathrm{kg} \\) 당 건초는 얼마나 들어가나요?",
"비육후기의 보리의 양은 얼마나 되는가?",
"비육후기의 보리 양은 얼마인가요?",
"사료에 관련하여 비타민 A나 나이아신 같은 구성들을 언제 맞춰 놓는가?",
"언제 비타민 A나 나이아신 같은 구성들을 사료와 관련해 맞춰 놓습니까?"
] |
a242e021-073d-4af9-aa2a-0e48ad6f54f7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2>한우등심의 보수력 및 감량율</h2><p>감귤박을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TMR-0) 및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TMR-1)의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에 대한 결과롤 Table 3 에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TMR-0 및 TMR-1이 각각 53.06 및 \( 59.37 \% \) 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십이 높았다. 동결감량은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해동감량은 TMR-0 및 TMR-1이 각각 7.35 및 \( 3.04 \% \) 로 TMR-1이 유의하게 낮았다 \( (\mathrm{p}<0.05) \). 그리고 열탕 가열감량은 TMR-0 및 TMR-1이 각각 22.03 및 \( 20.89 \% \), 팬 가열감량은 각각 26.54 및 \( 22.33 \% \) 로 유의성은 없었지만 TMR-1의 가열감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보수력이 낮으면 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Moon 등은 가열감량은 육즙이 유출되면서 발생하고 보수력이 낮으면 가열감량은 증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Jung은 단백질 변성으로 보수력이 감소하면 해동 감량이 증가한다고 하여서,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p><h2>한우등심의 기계적 물성</h2><p>한우등심의 기계적 물성으로 경도, 탄성,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Table 4 에 나타내었다. 감귤박을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TMR-0) 및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TMR-1)의 경도는 각각 822.83 및 707.00 dyne\( / \mathrm{cm}^{2} \) 으로 TMR-1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탄성은 각각 82.17 및 \( 91.64 \% \) 로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oon 등 및 Song등은 식품의 물성은 수분함량, 지방함량, 원료 및 단백질의 변성정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이 급여하지 않은 것보다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은 것은 육질은 부드러우면서 탄력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감귤박의 어떤 성분이 근육에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p><h2>저장 중 한우등심의 \( \mathrm{pH}\), VBN 함량 및 TBARS값의 변화</h2><p>한우등심을 3, 30 및 45 일 동안 저장하면서 실험한 \( \mathrm{pH} \), VBN함량 및 TBARS값의 변화에 대한 결과는 Table 5 와 같다. 한우등심을 45 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에 TMR- 0 의 \( \mathrm{pH} \) 는 \( 5.60 \sim 5.8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MR-1은 \( 5.61 \sim 5.83\)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저장기간별 TMR-0 및 TMR-1 사이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 (\mathrm{p}<0.05) \). 한우등심의 VBN 함량은 TMR-0가 저장 중 \( 10.31 \sim 18.90 \mathrm{mg}\%\)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MR-1은 \( 10.53 \sim 17.87 \mathrm{mg}\% \) 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 (\mathrm{p}<0.05) \). 그러나 저장기간별 TMR-0 및 TMR-1 사이에는 VBN함량의 차이가 없었고 식품공전(2002)에서 신선도로 규정한 \( 20 \mathrm{mg} \% \) 이하를 유지하고 있었다. VBN은 단백질이 분해되어 peptone, polypeptide 및 아미노산 등으로 된 후 세균의 환원작용으로 생성된 저분자 무기태질소로서 그 함량에는 미생물의 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p><p>한우등심 저장 중 TBARS값은 TMR-0가 \( 0.13 \sim 0.20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으로 증가하였고, TMR-1은 \( 0.12 \sim 0.17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장 45 일째의 TBARS값은 TMR-0가 TMR-1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 (\mathrm{p}<0.05) \). TBARS값을 이용한 지방의 산화지수에 대하여 Turner 등은 TBARS 값이 \( 0.46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이하이면 가식권이고, \( 1.2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이상이면 완전부패라는 기준과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하여 볼 때에 저장 45 일까지는 지방산화에 의한 안전성은 확보되었으며, 감귤박의 급여가 한우등심의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p><h2>한우등심의 기호성</h2><p>감귤박의 급여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육의 색깔 및 향기, 가열육의 맛, 풍미,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Table 6 에 나타내었다. 생육의 색깔 및 향기는 TMR-0 및 TMR-1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p>그리고 가열육의 맛,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유의성은 없지만 TMR-1이 TMR-0보다 우수하였고, 풍미 및 연도는 TMR-1이 TMR-0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 (\mathrm{p}<0.05) \). 고기의 기호성은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ATP관련 화합물, 산, 당, 펩티드 등 많은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데, 이 중 맛은 유리아미노산, 펩티드, 아민, 단백질, 당, 유기산, 핵산 등의 비휘발성 화합물들에 의하고, 풍미는 유리아미노산, 저분자 펩티드, IMP 등의 흔합물이 가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생육의 색깔과 향기는 유의성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가열육의 기호도가 우수 한 것은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에 축적되어 있는 어떤 기호도 향상성분이 가열에 의하여 발현되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p><p>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의 보수력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장성이 좋으며, 기호성이 우수하여서 감귤박을 소에게 급여하는 것은 감귤박 폐기물의 재이용과 기능성 소고기 생산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었다. 다만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은 감귤박 급여로 어떤 성분들이 근육에 축적되어 품질 및 기호성을 더 우수하게 하는지에 대한 것이다.</p>
|
[
"Table 3은 한우등심에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라 어떤 결과를 나타내었어?",
"우등심에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른 결과는 Table 3에서 무엇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가?",
"Table 3은 한우등심에 무엇을 급여하거나 하지 않았을 때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니?",
"보수력, 동결감량, 해동감량 및 가열감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Table 3은 한우등심에 무엇을 제공하지 않았는가?",
"보수력은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이 더 높았니?",
"감귤박을 제공한 한우등심이 더 높은 것은 보수력인가?",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의 해동감량 수치는 무엇이니?",
"한우등심의 해동감량 수치는 감귤박을 급여했을 때 얼마가 되어 나타나는가?",
"TMR-1 열탕 가열감량은 \\( 22.03 \\% \\)가 맞아?",
"22.03%은 TMR-1 열탕 가열감량의 수치인가?",
"열탕 가열감량이 낮은 경향인 것은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이니?",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은 열탕 가열감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결과와 보수력이 낮을 때 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은 일치하였어?",
"보수력이 낮을 때 감량이 증가하는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동일한가?",
"Table 4에 나타낸 결과는 한우등심의 기계적 물성의 무엇을 측정하였어?",
"한우등심의 기계적 물성은 무엇을 측정하기 위해 Table 4에 나타난 것인가?",
"감귤박의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과 급여한 한우등심의 경도값은 각각 얼마이니?",
"감귤박 급여 여부에 따른 한우등심의 경도값은 각각 얼마가 되는가?",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른 탄성은 TMR-0이 TMR-1보다 낮은게 낮아?",
"TMR-0이 TMR-1와 비교해볼 때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른 탄성이 낮은 편이야?",
"TMR-0과 TMR-1은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니?",
"TMR-0과 TMR-1간의 차이를 만들어내는건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이야?",
"Moon 등 및 Song등은 무엇에 따라 식품의 물성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 하였어?",
"Moon 등 및 Song등의 식품의 물성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원인은 뭐야?",
"향후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연구는 무엇인가?",
"앞으로 어떤 연구가 이어져야 해?",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어떻게 설명 가능해?",
"한우등심을 45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른 저장기간별 유의성은 없었니?",
"한우등심을 45일 동안 저장하고자 할 때 감귤박 급여 유무에 대한 저장기간별 발견점은 부재했나?",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라 한우등심의 VBN 함량이 증가하였는지를 나타내었어?",
"한우등심의 VBN 함량 증가여부는 감귤박 급여 유무에 따라 나타났는가?",
"신선도는 식품공전(2002)에서 규정한 \\( 20 \\mathrm{mg} \\% \\) 이하를 유지하였어?",
"식품공전(2002)에서 제시하는 20 \\mathrm{mg} \\%20mg% 이하의 규정에 따라 신선도가 유지되었는가?",
"VBN의 정의는 무엇이니?",
"VBN가 무슨 뜻이야?",
"저장 45 일째의 TBARS값은 TMR-1가 TMR-0보다 높은 경향이었어?",
"TMR-1가 TMR-0보다 고경향일 땐 저장 45일째의 TBARS값을 지녔을 때야?",
"TBARS 값이 \\( 1.2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이상이면 어떤 상태야?",
"TBARS 값이 \\( 1.2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이상이 되면 어떻게 돼?",
"지방산화에 의한 안정성은 저장 후 며칠까지 확보되었어?",
" 저장 이후 시간이 얼마가 경과될 때 지방산화에 의한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어?",
"감귤박의 급여로 한우등심의 지방산화를 억제하였어?",
" 한우등심의 지방산화를 제한하기 위해선 감귤박의 급여가 중요해?",
"Table 6은 감귤박의 급여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무엇을 나타내었어?",
"감귤박의 급여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Table 6을 활용하면 무엇이 나타나?",
"감귤박의 급여 유무는 생육의 색깔 및 향기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니?",
" 생육의 색깔 및 향기의 의미있는 차이는 감귤박의 급여유무와 상광없지?",
"풍미 및 연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은 무엇이니?",
"무엇의 경우, 풍미 및 연도가 유의적으로 높아?",
"고기의 기호성은 어떤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니?",
"어떤 성분들이 다양하게 작용할 때 고기의 기호성을 확인할 수 있어?",
"고기의 풍미는 어떤 혼합물의 가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니?",
"어떤 혼합물이 가열될 때 고기의 풍미가 되는 것인가?",
"본 연구에서 생육의 색깔과 향기는 유의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열육의 기호도가 우수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생육의 색깔과 향기는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음에도 가열육의 기호도가 뛰어난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도출한 내용은 무엇이니?",
"무슨 내용을 본 연구에서 도출했어",
"향후 연구 과제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가?",
"앞으로의 연구 과제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 |
c7775748-42a8-4d56-ba32-da9e377304c7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1>걸과 및 고찰</h1><h2>한우등심의 표면색깔</h2><p>감귤박을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TMR-0) 및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TMR-1)의 표면색깔은 Table 1과 같다. 그 결과 \( \mathrm{L}^{*} \) 값(명도)은 TMR-0 및 TMR-1이 각각 38.97 및 37.93, \( \mathrm{a}^{*} \) 값(적색도)은 각각 15.87 및 18.85, 그리고 \( \mathrm{b}^{*} \) 값(황색도)은 각각 6.96 및 9.57로서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기의 색깔은 myoglobin, oxymyoglobin 및 metmyoglobin의 농도와 화학적 상태에 따라서 결정되고, 소고기의 경우 근육 내의 지방축적이 우수할수록 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조성 외에는 같은 조건으로 사육하였고, 사료 중의 감귤박에 함유된 carotenoid계 색소나 이들의 갈변물질이 근육에 축적되어 색깔이 다를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은 감귤 펄프의 급여량이 \( 340 \mathrm{~g} / \mathrm{kg} \) 으로 펄프 상태로는 \( 34 \% \) 에 해당되지만 건조 물(감귤 펄프의 수분함량 \(85 \sim 92\%\))로는 \( 2.7 \sim 5.1 \% \) 에 불과하기 때문에 급여량이 적고, 또 사육기간 27 개월 중 감귤박 사료의 급여기간이 10 개월로 급여기간이 적었던 것에서 오는 결과로 판단된다.</p><h2>한우등심의 \( \mathrm{pH}\), VBN 함량, TBARS값 및 EDA</h2><p>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의 \( \mathrm{pH}\), VBN 함량, TBARS값 및 EDA를 실험하고 그 결과를 Table 2 에 나타내었다. 한우등심의 \( \mathrm{pH} \) 는 TMR-0 및 TMR-1이 각각 5.56 및 5.64로 TMR-1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 \mathrm{p}<0.05)\), VBN함량은 각각 10.19 및 11.47 \( \mathrm{mg} \%\)로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TBARS값은 TMR-0 및 TMR-1이 \( 0.13 \mathrm{mg} \mathrm{MA} / \mathrm{kg} \) 으로 같았고,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 즉 EDA는 각각 \( 38.56 \) 및 \( 43.07 \% \)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EDA의 경우 TMR-1이 TMR-0보다 높아 항산화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감귤박 급여량을 증가시킨 실험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식품에 대한 항산화력 지표의 하나로 EDA 측정 결과가 이용된다. 항산화제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생물 의학적 반응을 촉매하면서 유해한 변화나 손상을 주지 않으며, 유해한 활성산소를 이동시키거나 안정적인 상태로 만들고, 식품성분 중에서는 vitamin, mineral, flavonoid 및 polyphenol 등이 이러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 이용한 감귤박은 vitamin, flavonoid 및 polyphenol 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항산화력이 있지만 급여된 감귤박의 유효성분들이 근육 중에 일부만 축적되거나 급여량 또는 급여기간이 적은데서 오는 결과로 인하여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p>
|
[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과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의 명도값은 각각 얼마인가요?",
"어떤 값이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심과 급여하지 않은 한우등심의 명도값이야?",
"TMR-0과 TMR-1의 적색도는 각각 얼마인가요?",
"어떤 값이 TMR-0과 TMR-1의 적색도야?",
"감귤박 급여가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 차이에서 많이 차이 나나요?",
"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 차이에서 많이 차이 나는게 감귤박 급여야?",
"소고기는 근육 내 지방축적이 낮을수록 명도가 높나요?",
"소고기는 명도가 높을수록 근육 내 지방축적이 낮아?",
"감귤박을 급여한 한우등신의 VBN함량은 차이가 큰가요?",
"한우등심의 VBN함량의 차이가 이 감귤박을 급여한 것과 관련이 있어?",
"감귤박 급여 한우등심의 TBARS값은 다른가요?",
"감귤박 급여 한우등심의 TBARS값은 다른 경향을 가지고 있어?",
"TMR-1의 EDA는 38.56%인가요?",
"38.56%이 TMR-1의 EDA야?",
"식품의 항상화력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식품의 항산화력을 드러내는 전자공여능일까",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는 식품성분은 무엇인가요?",
"식품성분중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이야?",
"항산화제는 무해한 활성산소를 이동시키나요?",
"무해한 활성산소를 항상화제가 이동시키나요 ?"
] |
83a308b5-363d-4177-bcf3-d34b5ba6b4dd
|
생명LA
|
한우등심의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감귤박의 영향
|
<h1>서 론</h1><p>육류의 소비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축산업의 발전에 따른 대량 사육으로 인하여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 소고기는 수입에 따른 공급확대와 소고기를 주원료로 하는 전문 외식산업이 발달하면서 소비량이 증가하여 왔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육류의 과다 섭취와 육류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인체 유해물질로 인하여 비만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의 발병건수가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안전한 육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건강 지향적 육류의 생산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육류가 생산되어야 하겠고, 아직은 기능성을 가진 소고기를 계획 생산하기는 어렵지만 여기에 대한 기초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Kook과 Kim은 죽초액 급여수준이 우육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Park 등은 유기 셀레늄 강화버섯 폐배지를 급여한 소 채끝육의 육질 특성에 관하여, 그리고 Kim등은 거정석과 비타민 A급여에 의한 성장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Choi등은 n-3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급여가 근육과 지방조직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Robbins 등은 비타민 E의 급여가 연도, 풍미, 다즙성 등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또 Reverte 등은 항산화제롤 급여하였을 경우 소 재구성 스테이크의 지질산화가 감소되고, 동결저장 중의 산패가 억제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국내외의 연구들은 대부분 특정 성분만을 소의 사료에 배합하여 급여하는 형식으로서 과일 또는 그 부산물을 사료와 함께 직접 급여하여 생산된 소고기의 품질특성을 연구한 결과들은 매우 드물다. 특히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감귤박을 급여하여 사육한 우육의 품질특성을 연구한 것은 거의 없다.</p><p>감귤박은 밀감 주스, 통조림, 잼 등의 가공품을 제조하고 남은 부산물로서 외피, 내피, 씨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비타민, 유기산, 유리당, 섬유질 등을 포함한 유효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건강식품의 소재로서 이용되기도 한다. 감귤박에는 naringin, hesperidin 등의 flavonoid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항산화 작용이 있고, citric acid를 포함한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의 유기산이 풍부하며, pinene, linalool 등의 휘발성 풍미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이 있고, 씨에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등의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껍질과 펄프에는 cryptoxanthin, violaxanthin 등의 carotenoid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niacin, ascorbic acid같은 비타민이 많아 영양가치도 높다. 따라서 감귤박의 이용범위가 넓을 것 같지만 사용량은 대단히 적어 대부분 폐기 하고 있는 실정이다.</p><p>그러므로 여러 가지 유용성분을 가진 감귤박을 효과적으 로 이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 방법 의 하나로 가축의 사료에 감귤박을 첨가하여 이용하는 기술 이 필요하며, 이젓을 소에게 급여하여 얻어진 고기의 차별성 이 인정된다면 감귤박의 효과적 처리와 축산업 활성화에 크 게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존자원을 이용 한 사료비 절감과 기능성 한우육 생산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감귤박을 한우에게 급여하고 이화학적 성질 및 관능특성을 검토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p>
|
[
"육류의 가격이 저렴해진 이유가 뭐야?",
"무슨 이유로 육류 가격이 저렴해진 거야?",
"국민소득의 증가와 축산업의 발전으로 인해서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게 맞아?",
"육류 소비가 국민 소득의 증가와 축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증가한 거야?",
"소고기의 소비량이 증가한 것은 수입에 따른 공급확대가 영향을 미친게 맞아?",
"수입에 따른 공급확대로 소고기의 소비량 증가에 영향을 끼친 거야?",
"육류의 과다 섭취가 성인병의 증가과 상관이 있어?",
"성인병의 증가와 육류의 과다 섭취에 연관성이 있는가?",
"Kook과 Kim은 어떤 것이 우육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 했나?",
"우육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어떤 것이 영향을 끼치는 치 Kook과 Kim이 연구했는가?",
"Kim등은 거정석과 무엇을 급여 했을 때의 성장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에 대해 연구 했는가?",
"성장성, 혈액성상과 도체 측성에 대해 Kim 등은 거정석과 무엇을 급여했을 경우에 대해 연구했지?",
"Park 등이 소에게 유기 셀레늄 강화버섯 폐배지를 급여한 후에 소 채끝육의 육질 특성에 대해서 연구한게 맞아?",
"소 채끝육의 육질 특성에 대해서 Park 등이 소에게 유기 셀레늄 강화버섯 폐배지를 급여한 후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했는가?",
"Choi등은 n-3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급여가 어떤 것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했어?",
" n-3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의 급여가 어떤 것에 영향을 끼치는 가에 대해 Choi 등이 연구 하였는가?",
"Robbins 등은 비타민 E의 급여가 소의 연도, 풍미 다즙성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는데, 그게 맞아?",
"비타민 E의 급여가 소의 연도, 풍미 다즙성을 향상시킨다고 Robbins 등이 연구했는가?",
"항산화제롤 급여하였을 때, 소 재구성 스테이크의 지질산화가 감소되고, 동결저장 중의 산패가 억제된다고 보고한 것은 누구야?",
"누가 항산화제 급여시, 소 재구성 스테이크의 지질산화가 감소되고 동결저장 중의 산패가 억제된다고 보고했는가?",
"감귤박에는 어떤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어떤 물질이 감귤박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감귤박에 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성분은 무엇?",
"어떤 성분이 감귤박에 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가?",
"감귤박은 가공품을 제조하고 남은 어떤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공품을 제조하고 남은 감귤박 부산물의 구성은 어떤 것들이 있어?",
"감귤박은 비타민, 유기산, 유리당, 섬유질등들 많이 함유하고 있는게 맞아?",
"비타민, 유기산, 유리당, 섬유질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게 감귤박인가?",
"감귤박에는 naringin, hesperidin 등의 flavonoid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어떤 작용을 하지?",
"naringin, hesperidin 등의 flavonoid류가 많이 함유된 감귤박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감귤박에 포함된 유기산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떤 것이 감귤박에 포함된 유기산의 종류가 아닌가?",
"감귤박에 포함된 pinene, linalool 등의 휘발성 풍미물질은 어떤 작용을 하지?",
"어떤 작용이 감귤박에 포함된 pinene, linalool 등의 휘발성 풍미물질에 발생하지?",
"감귤의 씨에 포함된 불포화지방산은 무엇?",
"무슨 불포화지방산이 감귤의 씨에 함유되어 있는가?",
"cryptoxanthin, violaxanthin 등의 carotenoid류가 다량 함유된 것은 감귤박의 어떤 부분이지?",
"감귤박의 어떤 부분에 cryptoxanthin, violaxanthin 등의 carotenoid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 |
262c0573-6977-486d-a3a6-e06b69ec9e4a
|
생명LA
|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 뿌리 추출물의 효과
|
<p>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보습 효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water channel인 aquaporin-\(3\) (AQP-\(3\))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AQP-\(3 \)의 발현양이 증가함에 따라 수분의 공급이 원활해져 피부의 보습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real time PCR로 AQP-\(3\)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 1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 1.5 \)배 정도 증가시켰고 \( 5 \% \) 농도에서는 발현양을 \(2 \)배까지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4\)).</p><p>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미백 효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elanin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의 발현양을 확인하였다. Melanin은 피부의 색소 물질로 자외선 같은 자극에 피부세포가 노출 되었을 때 tyrosinase 같은 효소 등에 의해 melanin이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melanin의 형성이 억제되면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B\( 16\)F\( 10\) 세포에 \( \alpha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 (\alpha\)-MSH를 처리하여 melanin 색소 생성을 유도한 뒤, 딱지꽃 부리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변화하는 melanin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 5 \% \) 농도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처리했을 경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 16 \mu \mathrm{M} \) 농도의 kojic aicd 보다 \( 10 \% \) 더 낮은 양의 melanin이 검출되었다. 즉, 대조군과 비교시 약 \( 60 \% \) 의 melanin양만이 검출됨에 따라 미백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5\)).</p><p>요약하면, 그 동안 좋은 활성에도 불구하고 산업적응용이 거의 되지 않았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함에 따라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 30 \% \) 정도 COX-\(2\) 발현양을 조절함에 따라 염증억제효과를 확인하였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발현을 \( 40 \% \) 정도 저해하고 엘라스틴 발현양을 \(3 \)배 정도 증가시킴으로써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보습에 주요한 막 단백질인 AQP-\(3 \) 발현양을 \(2 \)배 증가시킴으로써 보습효과를 확인하였고 melanin 양을 \( 40 \% \) 정도 감소시킴에 따라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딱지꽃 뿌리 추출물이 항염증, 주름개선, 보습 그리고 미백 효과를 보임에 따라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
"AQP-\\(3 \\)의 발현양이 증가가 어떻게 작용하여 피부의 보습효과를 기대할수 있어?",
"어떤 세포에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피부가 담당했니?",
"AQP-\\3\\) 발현양을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최초로 이용하여 확인한 것은 뭐야?",
"AQP-\\3\\) 발현양을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최초로 이용하여 확인한 것은 뭐야?",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몇 배 정도 증가시킨 건 실험 결과 \\( 1 \\% \\) 추출물을 처리했어?",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melanin의 형성이 억제되어야 하는가?",
"\\( 5 \\% \\) 농도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과 비교시 약 몇 % 의 melanin양만이 검출되었어?",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 30 \\% \\) 정도 COX-\\(2\\) 발현양을 조절하여 얻을수 있는 효과는 무엇이야?",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 30 \\% \\) 정도 COX-\\(2\\) 발현양을 조절함에 따라 무슨 효과를 확인할수 있어?",
"\\( 5 \\% \\) 농도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처리했을때 대조군과 비교시 약 \\( 60 \\% \\) 의 melanin양만이 검출되었나?",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 엘라스틴 발현양을 \\(3 \\)배 정도 증가시키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보습에 주요한 막 단백질인 AQP-\\(3 \\) 발현양을 \\(2 \\)배 증가시킴으로써 어떠한 효과를 볼수 있나?",
"\\( 5 \\% \\) 농도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대조군과 비교시 얼마의 melanin양이 검출될까?",
"염증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 30 \\% \\) 정도 COX-\\(2\\) 발현양을 조절하면 되는가?",
"melanin 색소 생성을 유도하려면 B1616F1010 세포에 무엇을 처리해야 할까?",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발현을 \\( 40 \\% \\) 정도 저해하고 엘라스틴 발현양을 \\(3 \\)배 정도 증가시키는 이유는 무엇일까?",
"B\\( 16\\)F\\( 10\\) 세포에 \\( \\alpha \\)-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를 처리하면 melanin 색소 생성을 유도할수 있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발현을 \\( 40 \\% \\) 정도 저해하고 엘라스틴 발현양을 \\(3 \\)배 정도 증가시킴으로써 어떠한 효과를 볼수 있어?",
"실험 결과 \\( 5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 1.5 \\)배 정도 증가 되는가?",
"피부의 색소물질로 잘 알려진건 무엇이야?",
"자외선 같은 자극에 피부세포가 노출 되었을 때 melanin이 형성되는 이유는 무엇이야?",
"미백효과를 볼려면 melanin의 형성이 어떻게 되야 될까?",
"피부의 색소 물질을 Melanin이라고 하는가?",
"자외선 같은 자극에 피부세포가 노출 되었을 때 tyrosinase 같은 효소 등에 의해 melanin이 형성되는가?",
"melanin의 형성이 어떻게 되야 미백효과를 볼수 있어?",
"실험 결과 \\( 5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몇 배 정도 증가시켰어?",
"피부의 색소물질을 무엇이라고 해?",
"자외선 같은 자극에 피부세포가 노출 되었을 때 무엇에 의해 melanin이 형성되는가?",
"실험 결과 \\( 5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몇 배 정도 증가됨을 알수 있어?",
"피부세포에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많이 퍼져야 하는 water channel인 무엇을 판단할 수 있는가?",
"피부세포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water channel인 aquaporin-\\(3\\) (AQP-\\(3\\))의 발현양을 확인하여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할수 있는가?",
"AQP-\\(3 \\)의 발현양이 증가하게 작용하여 보습효과를 기대할수 있는 건 뭐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water channel인 무엇을 확인해야하는가?",
"AQP-\\(3\\) 발현양을 확인하므로써 피부의 보습효과를 기대할수 있는가?",
"실험 결과 \\( 1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 2.5 \\)배 정도 증가되는가?",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real time PCR를 통해서 AQP-\\(3\\) 발현양을 확인할수 있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후 무엇을 이용하여 AQP-\\(3\\) 발현양을 확인했어?",
"실험 결과 \\( 1 \\% \\)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대조군에 비해 AQP-\\(3 \\) 발현양을 몇 배 정도 증가시켰어?",
"어떠한 목적으로 AQP-\\(3 \\) 발현양을 \\(2 \\)배 증가시켰을까?",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피부의 어떤 세포에 처리했어?",
"어떠한 효과를 이유로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melanin 양을 \\( 40 \\% \\) 정도 감소시킬까?",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melanin 양을 \\( 40 \\% \\) 정도 감소시키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보습에 주요한 막 단백질인 AQP-\\(3 \\) 발현양을 \\(2 \\)배 증가시키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 처리시 melanin 양을 \\( 40 \\% \\) 정도 감소시킴에 따라 어떠한 효과를 확인할수 있어?",
"AQP-\\(3 \\)의 발현양이 감소함에따라 수분의 공급이 원활해져 피부의 보습효과가 기대할수 있다",
"B1616F1010 세포에 무엇을 처리하여 melanin 색소 생성을 유도할수 있어?"
] |
efd97a09-ea6c-499f-bd23-87ced0d1060d
|
생명LA
|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 뿌리 추출물의 효과
|
<h1>서 론</h1><p>최근 자연친화적인 천연식물을 활용하여 질병의 예방 및 치료로 건강을 지키려는 경향이 증가하는 추세로 화장품 시장에서도 화학성분에 기초한 기존 화장품과 달리 국내의 자연친화적인 원료를 사용한 한방 화장품이 큰 영향력을 보이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p><p>다양한 약재식물 중 장미과에 속하는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은 산야의 양지에 자라는 다년초로 위릉채로도 알려져 있다. 노란 꽃이 피며 높이가 \( 30 \sim 60 \mathrm{cm} \)로 자라며 근육통, 지혈, 해독, 해열 등에 효능을 가진다. 딱지꽃의 전초와 부리는 다량의 flavonoid를 함유하고 saponin, kaempferol, cyanidin, catechin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딱지꽃에 들어있는 polyphenol 물질들은 티푸스막대균, 적리막대균, 포도알균에 대한 살균작용이 있고 항염증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딱지꽃 전초는 지혈제, 진통진정제, 염증약으로 쓰이고 있다.</p><p>그러나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는 반면 이를 이용한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산업적 응용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특히, 딱지꽃의 뿌리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많은 약리 활성 효과를 보이지만 이를 활용한 사례는 거의 없다. 또한, 다른 부위의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연구가 된 반면 부리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딱지꽃의 뿌리를 methanol로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화장품 소재로서 필요한 활성들을 테스트 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염증, 미백효과, 주름개선 그리고 보습 효과를 피부세포에서 테스트함에 따라 화장품소재로써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
|
[
"기존 화장품과 달리 국내의 자연친화적인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은 무엇인가요?",
"국내의 자연친화적인 원료로 만들어 기존 화장품과 다른 화장품은?",
"한방 화장품은 어떤 원료를 사용하나요?",
"한방 화장품은 기존 화장품과 원료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기존 화장품들은 무엇에 기초하여 제조되는가?",
"국내의 자연친화적인 원료를 사용한 한방 화장품과 달리, 기존 화장품의 주 원료는?",
"딱지꽃은 \\(1 \\mathrm{m}\\)이상 자라는 장미과의 식물인가?",
"딱지꽃은 산야의 음지에서 자라는가?",
"딱지꽃은 한해살이 식물인가?",
"딱지꽃은 장미과에 속하지 않는가?",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의 다른 이름은 무엇인가?",
"딱지꽃은 주로 어떤 이름으로 알려져있는가? ",
"근육통, 해독, 해열 등과 함께 보이는 딱지꽃의 효과는 무엇인가?",
"딱지꽃의 효능 중 출혈을 멎게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부리와 함께 다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딱지꽃의 부위는 어디인가?",
"딱지꽃의 부위 중 하나로, 부리와 함께 다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부위는?",
"딱지꽃에는 사포닌과 카테킨이 포함되어 있는가?",
"딱지꽃은 다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가?",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딱지꽃의 성분은 무엇인가?",
"딱지꽃에 들어있는 물질로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이것은?",
"flavonoid, saponin, cyanidin, catechin과 함께 딱지꽃에 포함되어있는 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딱지꽃에 포함되어있는 물질 중 flavonoid, saponin, cyanidin, catechin 외의 이름은?",
"살균작용과 항염증작용을 갖는 polyphenol은 무엇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는가?",
"polyphenol은 살균작용, 항염증작용 외 무엇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는가?",
"딱지꽃은 피를 멎게하는 약으로써 효과가 있는가?",
"딱지꽃은 지혈 효능이 있는가?",
"지혈제, 진통진정제와 함께 딱지꽃이 쓰이는 약의 종류는 무엇인가?",
"딱지꽃 전초는 지혈제, 진통진정제와 함께 어떤 약으로 쓰이는가?",
"딱지꽃은 몸에 이로운 여러 작용을 하고 약으로도 쓰이고 있어 식품이나 화장품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가?",
"몸에 이로운 여러 작용을 하고 약으로도 쓰이는 딱지꽃이 식품이나 화장품 등으로도 쓰이는가?",
"살균작용, 항염증작용,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가장 활발한 딱지꽃의 부위는 무엇인가?",
"딱지꽃의 부위 중 가장 많은 약리 활성 효과가 있는 부위는?",
"무엇을 연구하기 위해 추출물을 얻는가?",
"어떤 연구를 위해 추출불을 활용했는가?",
"딱지꽃의 뿌리 성분을 추출하는 용매는 무엇인가?",
"연구를 위해 딱지꽃의 뿌리를 무엇으로 추출하였나?",
"딱지꽃 추출액의 활성성분은 무엇의 소재로 쓰이는가?",
"연구에서 딱지꽃의 뿌리 추출액을 어떤 용도로 테스트하였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효과는 어떤 세포에서 확인하는가?",
"연구를 통해 알게된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활용 가능 세포는?",
"추출하고자 하는 딱지꽃의 부위는 무엇인가?",
"딱지꽃의 어떤 부위를 추출하였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통해서 피부가 하얗게 되는 미용 목적을 달성하는지 확인하고자 하는가?",
" 피부가 하얗게 되는 미용 효과 가능성을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가?"
] |
b7385f2f-44e1-47a0-8303-3c001f1ed9ec
|
생명LA
|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 뿌리 추출물의 효과
|
<h1>결과 및 고찰</h1><p>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독성평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여러가지 활성을 확인하기 전에 세포독성에 대한 평가를 먼저 실행하였다. MTT assay를 통해서 추출물을 \(1\), \(2.5\), \(5\), \(10\), \(20 \% \)로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 10 \% \) 이상의 추출물 농도부터 약한 독성 \( (80 \% \) of cell viability)이 확인됨에 따라 그 이하의 농도에서만 나머지 활성테스트를 수행하였다(Fig. \(1\)).</p><p>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딱지꽃 뿌리 추추물의 항염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인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양을 real 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HaCaT 세포에 UV를 조사함에 따라 염증반응을 유도하여 COX-\(2\) 발현이 증가 할 때, 딱지꽃 뿌리 추추물의 처리 여부에 따라 HaCa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COX-\(2 \) 발현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 2.5 \% \) 이상의 추출물 농도 처리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 30 \% \) 정도 COX-\(2 \) 발현양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이는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 10 \mu \mathrm{M} \) 농도의 dexamethasone (dex)이 COX-\(2\)의 발현양을 저해하는 수준과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p>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피부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로 이들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주름형성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증가하거나 유지가 되면 주름개선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Procollagen C-endopeptidase enhancer (PCOLCE)의 발현양과 엘라스틴 발현양을 real 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콜라겐 합성양을 판단하는 실험이 여러 문헌에서 시도된 적이 있다. 또한, 콜라겐 분해에 중요한 Matrix Metallopeptidase-\(1\) (MMP-\(1\))의 발현양을 확인함으로써 추출물이 콜라겐 분해억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CCD\(986\)sk 세포에 처리시 콜라겐 형성에 작용하는 PCOLCE 발현양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콜라겐 분해에 관여하는 MMP-\(1 \)의 발현량이 대조군과 비교 시 \( 2.5 \% \) 이상 농도에서 \( 40 \% \) 정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Fig. \(3\)A, B). 이는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양이 억제됨에 따라 콜라겐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출물 \( 1 \% \) 이상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3 \)배정도의 엘라스틴 발현양이 증가됨을 확인되었다(Fig. \(3\)C). 따 라서 MMP-\(1\) 발현양을 억제시키고 엘라스틴 발현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p>
|
[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여러가지 활성을 확인하기 전에 먼저 무엇을 해야 해?",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다양한 활성을 파악하기 이전에 무엇을 먼저 시행해야 하는것인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여러가지 활성을 확인하기 전에 해야 하는 작업은 무엇인가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다양한 활성을 파악하기 이전에 무슨 작업을 먼저 해야 하는것인가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여러가지 활성을 확인하기 전에 세포독성에 대한 평가를 먼저 해야 하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여 다양한 활성을 파악하기 이전에 세포독성의 평가를 먼저 시행해야 하는 것인가?",
"무엇을 통해서 추출물을 \\(1\\), \\(2.5\\), \\(5\\), \\(10\\), \\(20 \\% \\)로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할수 있어?",
"어떤것을 통하여 추출물을 1, 2.5, 5, 10, 20%로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할수 있는 것인가?",
"추출물을 \\(1\\), \\(2.5\\), \\(5\\), \\(10\\), \\(20 \\% \\)로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하기위해 작업은 무엇인가요?",
"어떤 작업을 통하여 추출물을 1, 2.5, 5, 10, 20%로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인가요?",
"MTT assay를 통해서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보이는 독성을 평가할 수 있는가?",
"MTT assay를 통하여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각각 처리함에 따라 나타나는 독성을 평가가 가능한 것인가?",
"몇 퍼센트 이상의 추출물 농도부터 약한 독성 \\( (80 \\% \\) of cell viability)이 확인이 돼?",
"몇 퍼센트 이상의 추출물 농도에서 약한 독성 (80% of cell viability)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인가?",
"약한 독성 \\( (80 \\% \\) of cell viability)이 확인되는것은 몇 퍼센트 이상의 추출물부터인가요?",
"약한 독성 (80% of cell viability)의 파악은 몇 퍼센트 이상의 추출물에서 부터 알 수 있는 것인가요?",
"실험결과 \\( 2\\% \\) 이상의 추출물 농도부터 약한 독성 \\( (80 \\% \\) of cell viability)이 확인할수 있는가?",
"실험결과 2% 이상의 추출물 농도에서 약한 독성 (80% of cell viability)을 파악할 수 있는가?",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이 무엇이야?",
"염증에 반응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은 어떤 것이 있는가?",
"무슨 단백질이 염증반응을 발현시키는가?",
"염증반응을 발현시키는 것은 어떤 단백질인가?",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은 cyclooxygenase-\\(2\\) (COX-\\(2\\))이 맞는가?",
" 사이클로옥시게나제-22 (콕스-22)이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인가?",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인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양을 무엇을 통해서 확인할수 있어?",
"무엇을 통하여 염증반응의 대표적인 단백질인 cyclooxygenase- (COX-)의 발현양을 알 수 있는가?",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양을 확인하기 위한 도구는 무엇인가요?",
"어떤 도구로 cyclooxygenase- (COX-)의 발현양을 파악할 수 있는가요?",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양을 real time PCR을 통하여 확인할수 있는가?",
"실시간 PCR을 통하여 cyclooxygenase- (COX-)의 발현양을 파악할 수 있는가?",
"추출물의 농도와 COX-\\(2 \\) 발현양사이에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어?",
"추출물의 농도와 COX- 발현양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가?",
"추출물의 농도와 COX-\\(2 \\) 발현양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알수있는 상관관계는 무엇인가요?",
"추출물의 농도와 COX- 발현양과의 관계를 통해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나요?",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COX-\\(2 \\) 발현양도 높아지는가?",
"COX- 발현양은 추출물의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는가?",
"무엇을 통하여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수 있나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어떻게 확인할수 있습니까?",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해야 하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세포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야 하는가?",
"피부를 구성하는 주된 요소는 무엇이야?",
"피부의 주된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어떻게 되야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주름개선의 효능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증가하거나 유지가 되면 주름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볼수 있는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량이 증가 또는 유지할 경우에 효과적인 주름개선이 된다고 할 수 있는가?",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하는 단백질은 무엇이야?",
"어떤 단백질이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할 수 있는가?",
"무슨 단백질이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하나요?",
"어떤 단백질이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까?",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하는 단백질은 Procollagen C-endopeptidase enhancer이 맞나요?",
" Procollagen C-endopeptidase enhancer이 콜라겐 합성양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맞는 건가요?",
"콜라겐 분해에 중요한 물질은 무엇이야?",
"콜라겐을 분해함에 있어서 어떤 물질이 중요한가?",
"어떠한 물질이 콜라겐 분해에 중요한가요?",
"어떤 물질이 콜라겐 분해하는 것에 중요하게 작용하나요?",
"콜라겐 분해에 중요한 물질은 Matrix Metallopeptidase-\\(1\\) 인가요?",
"Matrix Metallopeptidase-11이 콜라겐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 인가요?",
"MMP-\\(1\\) 발현양을 어떻게 해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볼수 있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위하여 MMP-11 발현양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보기위하여 MMP-\\(1\\) 발현양에 어떠한 변화를 주어야 하나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위하여 MMP-11 발현양을 어떻게 조절해야 합니까?",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보려면 MMP-\\(1\\) 발현양을 증가시키면 되나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위해서는 MMP-11 발현양을 증가시키면 되는건가요?",
"엘라스틴 발현양을 어떻게 해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볼수 있어?",
"딱지꽃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능을 위하여 엘라스틴 발현양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가?",
"딱지꽃 뿌리 추출물를 통해 주름개선 효과를 보기위해서 엘라스틴 발현양에 어떠한 변화를 생성시켜야 하나요?",
"딱지꽃 뿌리 추출물를 통한 주름개선 효능을 얻기 위해서 엘라스틴 발현양에 변화를 어떻게 생성시켜 줘야 하나요?"
] |
f4dc297c-5b5c-4925-814e-ba2adf6dfb3d
|
생명LA
|
화장품 소재로써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 뿌리 추출물의 효과
|
<h1>초 록</h1><p>천연물을 이용한 산업이 증가됨에 따라 전통약재식물들의 화장품소재로 사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약재식물 중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역시도 다양한 약리 활성이 알려짐에 따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약리활성을 지닌 반면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을 이용한 산업적 응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소재로서의 딱지꽃 뿌리 추출물에 관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이유는 딱지꽃의 뿌리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약리활성을 지녔다는 보고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얻어낸 뒤 항염증, 주름개선, 보습 그리고 미백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딱지꽃 뿌리 추출물을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한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elastin과 aquaporin-\(3\) 증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cyclooxygenase-\(2\), metallopeptidase-\(1\) 그리고 melanin 합성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p>
|
[
"딱지꽃 뿌리 추출물은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나?",
"딱지꽃 뿌리 추출물은 어떤 효과로 화장품 소재로 응용가능한가?"
] |
71d9a339-eb48-451d-a9d5-12a94dbc4eb5
|
생명LA
|
TGIF에 의한 Human cervical cancer oncogene (HCCR) 발현 조절
|
<h1>서 론</h1><p>원암유전자(Proto-oncogene)는 정상세포에서는 세포성장 및 분화의 신호전달계를 조절하여 그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한다. 그러나, 원암유전자의 돌연변이나 생체환경요인에 의한 과발현 유도는 발암유전자(oncogene)로 전환하여, 암(cancer)의 전형적인 특성인 연속적인 증식과 전위 활성을 보인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암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찾기 위하여 수십년 동안 발암 혹은 원암유전자의 유전자 발현 기전을 연구해 왔으나, 암유발에서 유도 가능한 수많은 세포증식 신호전달매체들이 존재하여 이로부터 치료적 단서를 도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p><p>TG-interacting factor (TGIF)는 Three amino acid loop extension (TALE) 계열의 단백질로 homeodomain을 포함하고 있는 전사억제인자이다. 이 homeobox 단백질은 발생과정에서 배아와 성체세포와 조직에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특정유전자 군집의 발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TGIF는 Smad 단백질과 직접적으로 관계하여 Smad가 매개하는 전사활성을 억제하다. 즉, Transforming growth factor-b (TGF-b)에 의해 활성화된 Smad 복합체가 TGIF와 histone deacetylases (HDACs)를 모집하여 Smad target promoter의 활성을 억제한다.</p><p>HCCR은 인간의 자궁경부암세포에서 발암 유전자로 분리하였고, 발암원인으로는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의 발암억제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HCCR단백질에 대한 세포내 분포 실험에서 미토콘드리아사립체(mitochondria)의 내막(inner membrane)에 위치한다.</p><p>본 연구에서는 HCCR의 발현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promoter 영역을 분리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p>
|
[
"원암유전자는 어떤 방법을 통해서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고있어?",
"원암유전자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쓰는가?",
"정상세포에서 원암유전자는 세포성장의 어떤 부분을 조절해?",
"원암유전자는 정상세포에서 세포성장의 어떤 부분에 관여하는가?",
"생체환경요인에 의한 과발현 유도는 무엇으로 전환해?",
"어떤 것이 생체환경요인에 기반한 과발현 유도를 전환하는가?",
"전형적인 특성으로 증식과 전위 활성을 보이는것은 뭐야?",
"증식과 전위 활성이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는 것은 무엇인가?",
"연구자들은 치료법을 찾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었어?",
"연구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는가?",
"연구자들이 유전자 발현 기전을 연구해 온 이유는 뭐야??",
"유전자 발현 기전을 연구자들이 연구해 온 목적은 뭐야??",
"homeobox 단백질이 활성화 되어 무엇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활을 할까?",
"homeobox 단백질은 어떤 것을 조율하기 위해 활성화하는가?",
"homeobox 단백질은 발생과정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homeobox 단백질은 중요한 역할을 맡기 위해 발생과정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Smad가 매개하는 전사활성을 어떻게 하고 있어?",
"전사활성은 Smad가 매개하면 어떻게 되는가?",
"HCCR은 인간의 어떤세포에서 발암 유전자로 분리 아였어?",
"HCCR이 발암 유전자로 분류된건 인간의 어떤 세포를 통해서였는가?",
"HCCR은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의 발암억제기능을 어떻게 하는것으로 알려졌어?",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의 발암억제기능에 HCCR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
"HCCR의 발현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어떻게 분석했어?",
"무엇을 통해 HCCR의 발현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가?"
] |
465cbaa6-3a23-48e7-9093-e6f2774420ce
|
생명LA
|
TGIF에 의한 Human cervical cancer oncogene (HCCR) 발현 조절
|
<h1>요 약</h1><p>원암단백질로 알려진 Human cervical cancer oncogene (HCCR)은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과 작용하여 다양한 암조직에서 암의 유발을 촉진한다. 그러나, 아직 정확한 발암 유도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HCCR의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HCCR5' 쪽의 promoter 영역을 분리하여 Luciferase assay법을 이용하여 K562, HEK293, A549 세포에서 분석하였고, Promoter의 -370에서 -406사이 \( 36 \mathrm{bp} \)의 첨가로 promoter활성이 의미 있게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또한, \( 36 \mathrm{bp} \)만을 포함하는 probe를 이용한 mobility shift assays (EMSA)에서 핵단백질이 결합함을 관찰하였고,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에서 TG-interacting factor (TGIF)에 대한 consensus sequences 존재함을 관찰하였다. TGIF 만을 포함하는 probe (TG)와 돌연변이를 유발한 probe (mTG)를 이용한 EMSA에서 이 자리에 TGIF가 결합함을 보였다. 또한, TGIF 자리에 돌연변이를 유발하면(pGL3-mTGIF) 발현의 억제가 회복됨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CCR promoter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390에서 -366 사이에 TGIF 전사인자가 결합하여 전사활성을 조절함을 증명하였다.</p>
|
[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과 작용하여 다양한 암조직에서 암 유발을 촉진시키는 원암단백질로 알려진 이것은 무엇이지?",
"원암담백질이면서, 발암억제 단백질인 p53과 작용하여 다양한 암조직에서 암 유발을 촉발시키는 것은?",
"원암단백질인 HCCR과 작용하여 다양한 암조직에서 암의 유발을 촉진시키는 발암억제 단백질은 무엇이지?",
"발암억제 단백질이면서, 원암단백질인 HCCR과 작용하여 다양한 암조직에서 암의 유발을 촉진시키는 것은?",
"HCCR은 아직 정확한 발암 유도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무엇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조사했지?",
"HCCR의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무엇을 분리했지?",
"무엇을 분리하여 HCCR의 발현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였는가?",
"HCCR의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에 대해서 HCCR5' 쪽의 promoter 영역을 분리한 후 K562, HEK293, A549 세포에서 분석한 방법이 어떻게 돼?",
"HCCR의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에 대해서 HCCR5' 쪽의 promoter 영역을 분리한 후 K562, HEK293, A549 세포에서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분석했지?",
"promoter활성이 의미 있게 억제됨을 관찰하기 위해 Promoter의 -370에서 -406사이 얼마를 첨가했지?",
"Promoter의 -370에서 -406사이에서 어느 정도를 추가하여 promoter 활성이 의미 있게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고자 하였는가?",
"무엇을 이용한 EMSA에서 핵단백질이 결합되는 것을 관찰했지?",
"EMSA에서 핵단백질이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에서 무엇에 대한 공통염기배열이 존재한다는 것을 관찰했지?",
"TGIF 만을 포함하는 probe와 어떤 probe를 이용한 EMSA에서 이 자리에 TGIF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줬지?",
"EMSA에서 이 자리에 TGIF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TGIF 만을 포함하는 probe와 어떤 probe를 사용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무엇의 특성을 분석했지?",
"무엇의 특성을 본 연구에서 분석했어?",
"본 연구에서는 HCCR promoter의 특성 분석 과정에서 -390에서 -366 사이에 어떤 인자가 결합하여 전사활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증명했지?",
"본 연구에서는 HCCR promoter의 특성 분석 과정에서 전사활성을 조절한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390에서 -366 사이에 결합한 인자는 무엇인가?",
"HCCR promoter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얼마 사이에 TGIF 전사 인자가 결합했지?",
"HCCR promoter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TGIF 전사 인자가 합쳐진 곳은 얼마 사인인가?"
] |
591bfc09-5851-4568-95c1-ef136c760a9a
|
생명LA
|
효모에서 활성형의 곤충유래 항균펩티드 defensin의 발현
|
<h1>요 약</h1><p>효모 glucoamylase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 그리고 MF \( \alpha 1 \)의 prosequence를 이용하여 곤충 defensin을 S. cerevisiae 2805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발현 및 분비하는데 성공하였다. 발현된 defensin의 대부분이 세포외로 분비되어 거의 모든 항균활성이 배양 상등액에 존재하였다. 이것은 S. cerevisiac에서 발현된 defensin이 glucoamylase의 분비신호서열과 MF \( \alpha 1 \)의 prosequence에 의해 효율적으로 processing되어 분비됨을 시사한다. Defensin의 다른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균인 St. aureus와 L. monocytogenes 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이 존재하였다.</p>
|
[
"발현된 defensin의 대부분이 세포외로 분비되어 거의 모든 항균활성이 배양 상등액에 존재하였나요?",
"효모 glucoamylase의 어떤 것을 이용하여 곤충 defensin을 S. cerevisiae 2805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발현 및 분비하는데 성공하엿나요?",
"S. cerevisiac에서 발현된 defensin이 glucoamylase의 분비신호서열과 MF α1이 무엇에 의해 효율적으로 processing되어 분비됨을 시사하였나요?",
"Defensin의 다른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균인 St. aureus와 L. monocytogenes 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이 존재하나요?",
"이것은 발현된 defensin이 glucoamylase의 분비신호서열과 MF \\( \\alpha 1 \\)의 prosequence에 의해 효율적으로 processing되어 분비되는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효모 glucoamylase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 그리고 MF α1의 prosequence를 이용하여 곤충 defensin을 S. cerevisiae 2805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발현 및 분비하는데 성공하였나요?",
"Defensin의 다른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어떤 병원균도 항균활성이 존재하나요?",
"Defensin의 다른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어떠한 병원균의 향균활성이 존재했나? ",
"효모 glucoamylase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 그리고 MF \\alpha 1α1의 prosequence를 이용하여 무엇을 S. cerevisiae 2805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발현 및 분비하는데 성공하였나요?",
"효모 glucoamylase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 그리고 MF \\alpha 1α1의 prosequence를 이용하여 S. cerevisiae 2805에서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발현 및 분비하는데 성공한 것은? "
] |
e7dcfd48-6137-4e5e-af2e-a10ef8d0db5c
|
생명LA
|
효모에서 활성형의 곤충유래 항균펩티드 defensin의 발현
|
<h1>서 론</h1><p>최근에 새로운 항생물질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항균펩티드[antibacterial peptide]는 곤충, 갑각규, 양서류, 포유동물, 식물 및 세균 등과 같은 자연계의 다양한 생물체로부터 합성되어 병원성 세균의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항균펩티드는 항균활성이 없는 prepropeptide의 큰 전구체로 합성된 후 proteolytic processing을 통해 pre-sequence인 분비신호서열과 prosequence가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활성이 있는 C-말단의 완성된 항균팹티드가 생성된다. 이러한 사실은 활성형의 재조합 항균팹티드 생산을 위한 숙주세포로서 대장균의 사용을 제약하는 요인이 된다.</p><p>미생물의 감염이나 상처 등에 반응하여 fat body 및 hemocyte에서 합성이 유도되는 곤충 항균팹티드는 지금까지 약 150종 이상 발견되었으며 이중 곤충 defensin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진행되었다. 곤충 defensin은 포유 동물의 defensin과 아미노산 서열은 비숫하지만 2, 3차 구조는 완전히 다르다. 분자내에 6개의 cysteine이 존재하여 3개의 disulfide bond를 이루고 있다. 특히 Micrococcus,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Listeria, Conymebacterium, Stre-ptomyes 속의 미생물 중에 더 강력한 항균활성을 보인다.</p><p>한편 효모 Sacharomyces 속은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Generally Regarded As Safe) 진핵 단세포 미생물로서 고등세포의 연구를 위한 model system으로서 장기간 연구가 진행되어 유전학, 생리학 및 배양공학에 관한 풍부한 기슬 과 지식이 축적되어 있다. 또한 S. cerevisiae는 고등세포와 거의 동일한 단백질의 분비계가 존재하여 대장균, 고초균 등의 세균과는 달리 진핵세포의 분비단백질에서 특이적으로 일어나는 proteolytic processing, glycosylation 및 disulfide bond formation 등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수행할 수 있어 분비계를 지나면서 proteolytic processing에 의해 항균활성을 갖는 형태로 전환되는 항균팹티드나 기타 고등세포 유래의 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한 숙주로 적합하다. S. cerevisiae를 숙주세포로 사용한 제조합 항균팹티드의 발현에 관한 보고로서 Reichhart 등과 Kang 등은 MF \( a \) 1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을 이용하여 Phonmia terranoviae의 defensin을 분비하였으며 Pang 등은 전갈의 곤충독소를 효모에서 발현, 분비에 성공하였으나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없는 형태로 소량 분비되었다. 또한 Martin-Eauclaire 등도 PGK promoter와 \( \mathrm{MF} a 1 \) preprosequence를 이용하여 전갈의 신경독소를 활성적인 형태로 분비한 것을 보고하였다. \( \mathrm{MF} \alpha 1 \) 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을 이용하여 무에서 유래한 5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고 사상형의 곰팡이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유한 항진균팹티드의 성공적인 발현 및 분비가 Alves 등에 의해 보고되었다. 효모에서 재조합 항균팹티드의 발현은 대부분 효모 \( \mathrm{MF} a \) 1의 promoter와 preprosequence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glucoamylase 유전자를 이용한 항균팹티드의 발현과 분비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p><p>본 논문에서는 S. cerevisiae에서 효모 glucoamylase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을 이용하여 곤충 항균팹비드의 일종인 defensin을 항균활성이 있는 형태로 분비하는 것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p>
|
[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항생물질이 뭐야?",
"최근 주목을 받는 항생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향균펩티드의 효과가 뭐야?",
"항균펩티드는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항균펩티드는 하나의 생물로부터 합성되는 것이 옳아?",
"항균펩티드는 하나의 생물로부터 합성되는가?",
"향균펩티드는 대부분 prepropeptide의 큰 전구체로 합성되는 것이 옳아?",
" 대부분 prepropeptide의 큰 전구체로부터 향균펩티드가 합성되는가?",
"항균펩티드는 전구체로 합성된 후 proteolytic processing을 통해 어떤 것이 제거돼?",
"전구체로 합성된 후 향균펩티드는 proteolytic processing을 통해 무엇이 제거되는가?",
"곤충 항균펩티드는 어떤 것에 반응하여 합성이 유도돼?",
"어떤 것에 반응해 곤충 항균펩티드의 합성이 유도되는가?",
"곤충 항균팹티드는 어디에서 합성이 유도돼?",
"곤충 항균팹티드의 합성이 유도되는 곳은 어디인가?",
"곤충 항균팹티드는 지금까지 약 어느정도의 종류가 발견되었어?",
"지금까지 발견된 곤충 항균펩티드는 총 몇가지인가?",
"곤충 항균팹티드는 이중 곤충 defensin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된 것이 옳아?",
"곤충 항균 팹티드 중 이중 곤충 defensin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는가?",
"최근 새로운 항생물질로 주목받는 것이 뭐야?",
"새로운 항생물질로 최근 관심 받는 것은 무엇인가?",
"곤충 defensin은 조류의 defensin과 아미노산 서열이 비슷해?",
"조류의 defensin과 곤충 defensin은 비슷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가?",
"곤충 defensin은 분자내에 어느정도의 cysteine이 존재해?",
"곤충 defensin 분자 내에 존재하는 cysteine은 몇 개인가?",
"곤충 defensin은 어느정도의 disulfide bond를 이루고 있어?",
"곤충 defensin이 가지고 있는 disulfide bond는 몇 개인가?",
"효모 Sacharomyces 속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 옳아?",
"효모 Sacharomyces 속은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가?",
"인체에 무해한 효모 Sacharomyces은 뭐야?",
"효모 Sacharomyces 중 인체에 무해한 것은 무엇인가?",
"효모 Sacharomyces 속은 어떤 것을 위해 장기간 연구가 진행되었어?",
"어떤 것을 위해 효모 Sacharomyces 속을 장기간 연구하였는가?"
] |
ac1a7b4e-c265-4d3f-816c-d3f7111140ec
|
생명LA
|
효모에서 활성형의 곤충유래 항균펩티드 defensin의 발현
|
<h1>재료 및 방법</h1><h2>미생물 및 plasmids</h2><p>본 연구에 사용한 대장균은 Escheridria coli DH5 a \( \mathrm{coli} \mathrm{DH} a \) [supE44 Dlacul169 ( \( \varphi \) 80tacZ \( \triangle M 15 \) ) hsdR17 recA1 endA1 gyrA96thi-1 reiA1]로서 plasmid DNA의 분리를 위한 숙주로 사용하였다. Micrococcus luters IAM 1056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defens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균으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l]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S. cerevisiac 2805[a, ara3-52 pep4:HIS3 Aprb1 Shis3 can1]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상기박사 연구팀에서 제공받아서 defensin 발현, 분비형 숙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효모 MF \( a 1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S. cerevisiae의 MF \( a 1 \)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폴라스미드[plasmid] \( \mathrm{YEp} 70 \alpha \mathrm{T} \)를 동일 연구팀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S. diastaticus glucoamlase 유전자[STA1]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을 함유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pYEG27을 사용하였다.</p><h2>배지 및 배양조건</h2><p>대장균은 LB 배지[\( 1 \% \) Bacto-tryptone, \( 0.5 \% \) Bacto-yeast extract, \( 1 \% \mathrm{NaCl} \) 에서 배양하였으며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대장균은 항생제 ampicilin릅 \( 75 \mu \mathrm{g} / \mathrm{m} \ell \) 의 농도로 침가하였다. 효모형질전환체의 1차 선별을 위한 최소배지로 YNBD 한천배지 \( [0.67 \% \) Bacto-yeast ritrogen base without amino acids, \( 20 \% \) dextrose, \( 0.002 \% \) L-His, \( 2.0 \% \) agar]를 사용하였다. M. inieus는 NB 배지[1.25\% Bacto-heart infusion, \( 0.5 \% \) Bacto-nutrient broth, \( 0.25 \% \) yeast extract]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의 측정에 사용하였다.</p><h2>Defensin 유전자의 합성 및 재구성</h2><p>Mature defensin 유전자를 새 부위로 나누어 합성하였다. 이때 합성 항균팹티드 유전자의 \( 5^{\prime} \)과 \( 3^{\prime} \) 말단에는 제한 효소인식부위 Xbal과 Sall이 각각 함유되게 합성하였다. Defensin의 아미노말단 앞에는 분비단백질이 골지체를 통가할 때 Kex2 endopeptidase에 의해 잘라지는 부위이고 MF \( a 1 \) prosequence의 C-말단인 아미노산 Lys-Arg을 첨가함으로써 defensin 본래의 아미노 말단이 생기도록 하였다. 합성한 defensin 유전자 oligomer 6 개중 중간 부위에 해당되는 oligomer \( (+) /(-) \) 가닥 [F2, R2]을 동시에 인산화시키고 모든 oligomer를 같은 농도[\( 200 \mathrm{nM} \) ]로 섞은 후 annealing하고 이중 \( 1_{\mu \mu \ell} \)를 취하여 20ul에서 5시간 ligation한 후 다시 \( 5^{\prime} \) 말단을 인산화시켰다.</p><h2>효모 형질전환</h2><p>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숙주인 효모에 도입하기 위해 Dohmen 등의 방법으로 효모의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p><h2>Defensin을 분비하는 효모의 선별</h2><p>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하고 하룻밤 배양한 후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us IAM1056 빼양역[\( 1 \% \)]을 함유한 top agar[\( 1.25 \% \) Bacto-heart infusion,\( 0.5 \% \) Bacto-nutrient broth, \( 0.25 \% \) Bacto-yeast extract, \( 0.8 \% \) agar] \( 10 \mathrm{m \ell} \) 을 붓고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험균의 생육이 저해되어 균채주위에 생기는 투명환의 생성여부를 조사하여 활성형의 defensin이 분비되는 형질전환체를 선별하였다.</p><h2>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h2><p>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M. Lutetis IAM1056 이외 임의의 10종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시험균 벼양액 \( 1 \% \)를 함유한 \( 0.8 \% \) top agar로 overlay된 NB plate에 구멍을 만든 후 배양농축액 \( 50 \mu \) 를 loading하고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하였다. 구멍 주위에 생긴 투명환의 지름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p>
|
[
"본 연구에 사용한 대장균이 어떻게 돼?",
"어떤 대장균을 본 연구에 이용했어?",
"본 연구에 사용한 대장균은 왜 숙주로 사용했지?",
"어떤 이유로 본연구에 사용한 대장균을 숙주로 이용했지?",
"Micrococcus luters IAM 1056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defens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균으로 어디에서 분양받았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defens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rs IAM 1056은 어떤 곳에서 분양받았지?",
"Micrococcus luters IAM 1056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균이지?",
"시험균 중 Micrococcus luters IAM 1056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어떤 것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지?",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defens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균이 어떻게 돼?",
"무슨 시험균으로 재조합 효모가 분비하는 defensin의 항균활성을 측정할 수 있을까?",
"defensin 발현, 분비형 숙주로 사용한 균주는 뭐지?",
"어떤 균주를 defensin 발현, 분비형으로 활용했지?",
"왜 S. cerevisiae의 MF \\( a 1 \\)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폴라스미드[plasmid] \\( \\mathrm{YEp} 70 \\alpha \\mathrm{T} \\)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상기박사 연구팀에서 제공받아 사용했지?",
"S. cerevisiae의 MF \\( a 1 \\)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폴라스미드[plasmid] \\( \\mathrm{YEp} 70 \\alpha \\mathrm{T} \\)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상기박사 연구팀에서 어떤 이유로 제공받아 사용했지?",
"효모 MF \\( a 1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무엇을 제공받았지?",
"효모 MF \\( a 1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제공받은 것은 어떤 물질이야?",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S.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어떤 유전자의 promoter를 사용했지?",
"Defensin 분비와 S. Defensin 분비를 위해 어떤 유전자의 promoter를 활용하여 저조하 풀라스미드를 제작하였나요?",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S.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어떤 플라스미드를 사용했지?",
"어떤 플라스미드를 활용하여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은 위해 S. Defensin 분비를 위한 저조하 풀라스미드 제작을 하였나요?",
"대장균은 어떤 배지에서 배양했지?",
"어느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했어?",
"대장균은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대장균은 어떤 항생제를 첨가했지?",
"어떤 항생제를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대장균에 부가하였을까?",
"대장균은 LB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대장균은 항생제 ampicilin를 몇 농도로 첨가했지?",
"어떤 농도의 항생제 ampicilin를 플라스미드를 함유한 대장균에 첨가하였나요?",
"효모형질전환체의 1차 선별을 위한 최소배지로 어떤 배지를 사용했지?",
"효모형질전환체의 1차 선별을 하기 위해 최소배지로 사용한게 어떤 배지야?",
"M. inieus는 NB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무엇을 측정했지?",
"M. inieus는 \\( 37^{\\circ} \\mathrm{C} \\)에서 NB 배지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어떤 것을 측정했을까?",
"M. inieus는 NB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몇 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의 측정에 사용했지?",
"M. inieus는 NB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항균활성의 측정에 활용할 때 몇 시간 배양했을까?",
"M. inieus는 어떤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의 측정에 사용했지?",
"M. inieus는 15시간 동안 어떤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배양하고 나서 항균활성의 측정에 활용했을까?",
"NB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의 측정에 사용한 균주는 뭐지?",
"NB 배지에서 \\( 37^{\\circ} \\mathrm{C} \\)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어떤 균주를 활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했을까?",
"M. inieus는 NB 배지에서 몇 도에서 15시간 배양한 후 항균활성의 측정에 사용했지?",
"M. inieus는 몇 도에서 NB 배지에서 15시간 배양하고 나서 항균활성의 측정에 활용했을까?",
"Defensin의 아미노말단 앞에는 분비단백질이 어디를 통과할 때 Kex2 endopeptidase에 의해 잘라지는 부위이고 MF \\( a 1 \\) prosequence의 C-말단인 아미노산 Lys-Arg을 첨가했지?",
"Defensin의 아미노말단 앞에는 분비단백질이 골지체를 통과할 때 무엇에 의해 잘리는 부위인가?",
"Defensin의 아미노말단 앞에는 분비단백질이 골지체를 통과할 때 잘리는 부위가 있는데 무엇에 의해 절단되는가?",
"왜 Dohmen 등의 방법으로 효모의 형질전환을 수행했지?",
"Dohmen 등의 방법으로 효모의 형질전환을 수행한 이유가 뭐야?",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숙주인 효모에 도입하기 위해 어떻게 효모의 형질전환을 수행했지?",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숙주인 효모에 도입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수행하여 효모의 형질전환을 했지?",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숙주인 효모에 도입하기 위해 Dohmen 등의 방법으로 무엇을 수행했지?",
"Dohmen 등의 방법으로 어떤 것을 수행하여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숙주인 효모에 도입하였지?",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어떤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했지?",
"어떤 완충 용액 \\mid \\mathrm{pH} 7.01∣pH7.01 을 포함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tooth-picking했을까?",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어떤에 tooth-picking했지?",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어떤 물질에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tooth-picking했을까?",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하고 하룻밤 배양한 후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us IAM1056 빼양역[\\( 1 \\% \\)]을 함유한 top agar \\( 10 \\mathrm{m \\ell} \\) 을 붓고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험균의 생육이 저해되어 균채주위에 생기는 무엇을 조사했지?",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하고 하룻밤 배양한 후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us IAM1056 빼양역[\\( 1 \\% \\)]을 함유한 top agar \\( 10 \\mathrm{m \\ell} \\) 을 붓고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험균의 생육이 저해되어 무엇이 균채주위에 생성되었는지 조사했을까?",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하고 하룻밤 배양한 후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us IAM1056 빼양역[\\( 1 \\% \\)]을 함유한 top agar \\( 10 \\mathrm{m \\ell} \\) 을 붓고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험균의 생육이 저해되어 균채주위에 생기는 투명환의 생성여부를 조사하여 무엇을 선별했지?",
"일차 선별한 효모 형질전환체를 \\( 0.1 \\mathrm{M} \\) phosphate 완충 용액 \\( \\mid \\mathrm{pH} 7.01\\) 을 함유하고 uracilo 없는 YNBD 한천배지에 tooth-picking하고 하룻밤 배양한 후 시험균인 Micrococcus luteus IAM1056 빼양역[\\( 1 \\% \\)]을 함유한 top agar \\( 10 \\mathrm{m \\ell} \\) 을 붓고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시험균의 생육이 저해되어 균채주위에 생기는 투명환의 생성여부를, 어떤 것을 선별하기 위해 조사하였을까?",
"무엇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M. Lutetis IAM1056 이외 임의의 10종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했지?",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M. Lutetis IAM1056 이외 임의의 10종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어떤 것을 통해 조사했을까?",
"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M. Lutetis IAM1056 이외 어떤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했지?",
"M. Lutetis IAM1056 이외 어떤 세균에 대해서 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적용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했을까?",
"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M. Lutetis IAM1056 이외 임의의 10종 세균에 대한 무엇을 조사했지?",
"M. Lutetis IAM1056 이외 임의의 10종 세균에 대해 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삼등액을 사용하여 어떤 것을 조사했을까?"
] |
7c232c96-c941-417f-87d6-a787e1838f02
|
생명LA
|
효모에서 활성형의 곤충유래 항균펩티드 defensin의 발현
|
<h1>결과 및 고찰</h1><h2>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h2><p>Mature defensin의 분자량이 너무 작아서 이것을 효모에서 직접 발현시키기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 2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lucoamylase signal sequence 및 MF \( \alpha 1 \)의 prosequence와 융합단백질로 발현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MF \( \alpha 1 \)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BamHI 인식부위를 함유한 \( 5^{\prime} \) end primer와 Xba I 인식부위를 함유한 \( 3^{\prime} \) end primer를 사용하여 PCR로써 플라스미드 \( \mathrm{YEp} 70 \) \( \alpha \mathrm{T} \)를 template로 사용하여 MF \( \alpha 1 \) 의 prosequence \( 180 \mathrm{bp} \) DNA 단편을 증폭하여 \( \mathrm{pUC19} \) 의 BamHI과 Xba I 인식 부위에 삽입하였다.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제한효소 mapping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정확한 클론을 선별한 후 시험관에서 재구성한 합성 defensin 유전자를 \( \mathrm{MF} \alpha 1 \mathrm{pro-} \) sequence의 \( 3^{\prime} \) 말단에 삽입하고 염기서열분석을 하여 정확히 합성되고 제작된 클론을 선별하였다. 정확히 재구성된 defensin 합성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유추된 아미노산서열을 Fig. 1에 나타내었다. 이 풀라스미드를 BamHI과 SalI을 처리하여 \( \mathrm{MF} \alpha 1 \) prosequence와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 320 \mathrm{bp} \) DNA 단편을 분리하여 pYEG27의 BamHI/Sal I 부위에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pSMF11을 제작하였다[Fig. 2].</p><h2>Defensin의 발현 및 분비</h2><p>재조합 프라스미드 pSMF11로 형질전환된 효모를 대상으로 활성형의 defensin을 세포외로 분비하는지를 재료 및 방법에 기술한 대로 조사한 결과를 Fig. 3 에 나타내었다. 제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효모균체에는 투명환이 관찰되었으나 PYEG27로 형질전환된 숙주 효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곤충에서 유래한 항균팹티드 defensin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MF \( \alpha \) 1의 prosequence에 의해 효모세포에서 processing이 되어 항균활성이 있는 형태로 분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p><p>또한 액체배양 시에도 활성형의 defensin이 분비되는지 조사하기 위해 형질전환체를 \( 5 \mathrm{~m} \)의 YPD broth에서 3일간 배양하고 배양 상등엑 \( 50 \mathrm{~ul } \)를, NB 한천배지에 시험균 \( 1 \% \)를 함유한 \( 5 \mathrm{~m} \in \)의 \( 0.8 \% \) top agar가 깔린 plate에 만든 well [\( 5 \mathrm{~mm} \) 지름]에 loading하고 \( 37 \mathrm{C} \)에서 24시간 배양한 결과 well 주위에 투명환이 생기는 것을 관찰하였다.</p><p>Defensin이 pSMF11의 형질전환체 S. cerevisiae 2805에서 분비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액을 상등액, periplasmic space 및 cytosolic region의 세 부위로 분획한 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효모 배양액을 원십분리하여 상등액과 균체를 분리하고 균체에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yase를 처리하여 periplasmic fraction을 얻고 glass bead로써 sphaeroplast를 파괴하여 cytosolic fraction을 얻었다. 배양 상등액 원액, periplasmic과 cytosolic fraction의 104 농축액 \( 50 \mu \)을 각각, \( 0.5 \% \mathrm{M} \). luteus를 함유한 \( 0.8 \% \) top agare overlay된 NB plate[\( 1.25 \% \) brain heart infusion, \( 0.54 \% \) mutrient broth, \( 0.25 \% \) yeast extract, \( 1.5 \% \) agar|에 만든 well에 loading하고 배앙한 후 inthibition zone을 관찰한 결과 발현된 defensin이 내부분 세포 외로 분비되어 거의 모든 항균활성이 배양 상등액에 존재하였다 [Fig, 4].</p><h2>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h2><p>황산암모늄으로 농축한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여 M. tutetis 이외 임의의 10종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시험균 배양액 \( 0.5 \% \)를 함유한 \( 0.8 \% \) top agar 로 overlay된 NB plate에 well을 만는 후 배양농축액 \( 50 \mathrm{~ul} \)를 loading하고 \( 37 \mathrm{C} \) 에서 배양하였다.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과 Salmonella typhimurium에는 항균활성이 없었으나 병원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 등에 비교적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Table 1].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곤충 defensin은 그람 음성셰균에는 항균활성이 없으나 그람 양성세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Table 1 에서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과 젖산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것은 defensin의 specific activity가 낮기 때문으로 풀이된다.</p><p>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유한 곤충 defensin을 호모세포에서 분비가 가능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곤중 defensin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MF \( \alpha 1 \) prosequence와의 융합 팹티드로 합성된 후 효모의 분비경로를 지나면서 이들 서열들이 signal peptidase와 Kex2 endoprotease 등의 순차적인 작용에 의해 잘려져 최종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mature defensin 서열만 성공적으로 분비되기 때문이다.</p>
|
[
"Defensin 분비벡터를 제작하면서 2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lucoamylase signal sequence 및 MF α1의 prosequence와 융합단백질로 발현을 시도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 2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lucoamylase signal sequence 및 MF α1의 prosequence와 융합단백질로 Defensin 분비벡터를 제작하면서 발현을 시도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논문에 의하면 Mature defensin의 분자량은 매우 큰가?",
"Mature defensin의 분자량은 논문에 의하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가?",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glucoamylase signal sequence는 몇 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가?",
"glucoamylase signal sequence는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 것인데 몇 개의 아미노산을 가지는가?",
"Defensin 분비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융합을 시도한 것은 무엇인가?",
"Defensin 분비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무엇과 glucoamylase signal sequence를 융합 시도한 것은 무엇인가?",
"pUC19 의 BamHI과 Xba I 인식 부위에 삽입한 것은 무엇인가?",
"무엇을 pUC19 의 BamHI과 Xba I 인식 부위에 삽입하였는가?",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정확한 클론을 선별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는가?",
"정확한 클론을 선별하기 위해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무엇을 진행했는가?",
"합성 defensin 유전자는 어디에서 합성되었는가?",
"어디에서 합성 defensin 유전자가 합성되었는가?",
"합성 defensin 유전자를 MF α1 pro− sequence의 3 ′ 말단에 삽입한 이유는 무엇인가?",
"말단에 합성 defensin 유전자를 MF α1 pro− sequence의 3 ′를 삽입한 이유는 무엇인가?",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하면서 수행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무엇을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하면서 수행하지 않았는가?",
"이 풀라스미드를 BamHI과 SalI을 처리하여 MFα1 prosequence와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320bp DNA 단편을 분리하여 pYEG27의 BamHI/Sal I 부위에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제작한 것은 무엇인가?",
"이 풀라스미드를 BamHI과 SalI을 처리하여 MFα1 prosequence와 defensin 유전자를 함유한 320bp DNA 단편을 분리하여 pYEG27의 BamHI/Sal I 부위에 삽입하여 무엇을 최종적으로 제작하였는가?",
"활성형의 defensin을 세포외로 분비하는지 알기 위한 실험 대상은 무엇인가?",
"세포외로 활성형의 defensin을 분비하는지 알기 위한 실험 대상은 무엇인가?",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효모균체에는 투명환이 관찰되었는가?",
"투명환이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효모균체에 관찰되었는가?",
"PYEG27로 형질전환된 숙주 효모에서는 투명환이 관찰되었는가?",
"투명환이 PYEG27로 형질전환된 숙주 효모에서 관찰 되었나요?",
"본 연구를 통해 식물에서 유래한 항균팹티드 defensin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MF α 1의 prosequence에 의해 효모세포에서 processing이 되어 항균활성이 있는 형태로 분비됨을 확인할 수 있는가?",
"효모세포에서 processing이 되어 항균활성이 있는 형태로 분비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식물에서 유래한 항균팹티드 defensin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MF α 1의 prosequence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는가?",
"액체 배양시에도 투명환이 발생하는가?",
"투명환이 액체 배양 시에도 발생되나요?",
"효모 배양액을 원십분리하여 상등액과 균체를 분리하고 균체에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yase를 처리하여 무엇을 얻었는가?",
"무엇을 효모 배양액을 원십분리하여 상등액과 균체를 분리하고 균체에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인 zymolyase를 처리한 것으로부터 얻었나요?",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하기 위한 배양은 몇 도에서 실시되었는가?",
"몇 도에서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하기 위한 배양이 실시되나요?",
"실험 결과 비교적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비교적으로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실험 결과에서 어떻게 나타났나요?",
"실험 결과 향균활성이 없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실험 결과 향균활성이 없었나요?",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는 병원성균인가?",
"병원성균에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포함되나요?",
"곤충 defensin은 그람 음성셰균에는 항균활성이 없으나 그람 양성세균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가?",
" 곤충 defensin은 그람 양성세균에는 그람 음성셰균과 다르게 항균 활성이 있고, 그람 양성 세균에는 항균활성을 나타내는가?",
"곤충 defensin은 그람 음성셰균에 항균활성이 활발한가?",
"곤충 defensin은 향균활성이 그람 음성셰균에 활발한가?",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과 젖산균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고초균과 젖산균에 대해서 그람 양성균이 향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균활성을 보유한 곤충 defensin을 호모세포에서 분비가 가능한가?",
"항균활성을 보유한 곤충 defensin을 호모세포에서 분비가 가능하다고 연구 결과에서 나왔는가?",
"항균활성을 보유한 곤충 defensin은 호모세포에서 분비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곤충 defensin은 항균활성을 보유했는데 이 호모세포에서 분비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Mature defensin를 효모에서 직접 발현시키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이유 때문에 Mature defensin를 효모에서 직접 발현시키지 않은 것인가?",
"glucoamylase signal sequence는 몇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나요?",
"몇 개의 아미노산으로 glucoamylase signal sequence가 구성되는가?",
"MF α1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MF α1 의 prosequence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닌가?",
"MF α1 의 prosequence 180bp DNA 단편을 증폭하기 위해 template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template를 사용하여 MF α1 의 prosequence 180bp DNA 단편을 증폭시켰는가?",
"MF α1 의 prosequence 180bp DNA 단편을 증폭하여 어디에 삽입하였는가?",
"어디에 삽입하고 MF α1 의 prosequence 180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는가?",
"본 실험이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하면서 Mature defensin대신 이용한 것은 무엇인가?",
"무엇을 Defensin 분비벡터의 제작할 때 Mature defensin대신 이용했는가?",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정확한 클론을 선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해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정확한 클론을 선별하였는가?",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클론을 제작, 선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해 플라스미드 DNA 분리 후 클론을 제작, 선별하였는가?",
"실험에서 최종적으로 재조합한 플라스미드는 무엇인가?",
"최종적으로 실험에서 재조합을 한 플라스미드는 어떤 것인가요?",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효모균체에는 나타났지만, PYEG27로 형질전환된 숙주 효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재조합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효모균체에는 나타났지만, PYEG27로 형질전환된 숙주 효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는가?",
"곤충에서 유래한 항균팹티드 defensin이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와 MF α 1의 prosequence에 의해 효모세포를 거치면 어떤 형태로 분비되는가?",
"곤충에서 유래한 항균팹티드 defensin이 MF α 1의 prosequence와 glucoamylase signal sequence에 의해 효모세포를 거치게 되면 어떤 형태로 분비가 돼?",
"형질전환체를 액체배양한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때문에 형질전환체를 액체배양 하였는가?",
"형질전환체를 액체배양한 뒤, well 주위에서 무엇을 관찰할 수 있었나요?",
"무엇을 형질전환체를 액체배양한 뒤, well 주위에서 관찰 할 수 있었는가?",
"Defensin이 S. cerevisiae 2805에서 분비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분획된 구역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Defensin이 S. cerevisiae 2805에서 분비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분획된 구역이 아닌가?",
"실험에 사용된 효모세포벽 분해효소는 무엇인가?",
"무엇이 실험에 사용된 효모세포벽 분해효소인가?",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에 사용된 배양상등액은 무엇으로 농축되었는가?",
"무엇으로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에 사용된 배양상등액이 농축되었는가?",
"M. tutetis균을 대상으로 어떤 실험이 수행되었는가?",
"어떤 실험을 M. tutetis균을 대상으로 수행했는가?",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 결과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낸 균은 무엇인가?",
"어떤 균이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 결과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냈는가?",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결과 향균활성을 보이지 않은 세균은 무엇인가?",
"어떤 세균이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 결과 강한 향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는가?",
"앞선 연구에 의하면, 곤충 defensin이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균이 앞선 연구에 의해 봤을 때, 곤충 defensin이 강한 향균활성을 나타내는가?",
"실험에서 defensin이 고초균과 젖산균에 대해 향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왜 defensin이 고초균과 젖산균에 대해 향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는가?",
"Defensin이 pSMF11의 형질전환체 S. Defensin이 pSMF11의 형질전환체 S. cerevisiae 2805에서 분비되는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해 Defensin이 pSMF11의 형질전환체 S. Defensin이 pSMF11의 형질전환체 S. cerevisiae 2805에서 분비되는 정도를 조사하나요?",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하기 위한 실험 대상은 무엇인가?",
"무엇이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하기 위한 실험 대상이 되나요?",
"배양 상등액, periplasmic space , cytosolic region의 세 부위 중, 대부분의 향균활성이 어디에 존재하는가?",
"어디에 배양 상등액, periplasmic space , cytosolic region의 세 부위 중, 대부분의 향균활성이 존재하는가?",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는 세균 몇 종에 대해 실시되었는가?",
"세균 몇 종에 대해 Defensin의 항균범위조사가 이루어졌는가?"
] |
ce51a208-0970-46ea-962e-a3c86d36cb9a
|
생명LA
|
레지오넬라균 출현위해도에 대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적합성 분석
|
<h1>요 약</h1><p>온난화, 고령화, 세계화로 인하여 변화하는 국내 보건환경에 현행 수질기준이 적합할 지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총대장균군 만으로 규정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타당성을 환경유래 내열성세균인 레지오넬라균 오염도를 검출로 평가하였다. 온천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한 7개의 논문에 보고된 미생물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의 오즈비는 총대장균군과 유의한 상관도를 보였다[odds ratio (OR), 3.1 (1.5-6.4, \( 95 \% \) CI), \( p=0.002 \)]. 그러나, 레지오넬라균 오염을 분변성 중온균인 총대장균군 지표가 감지할 수 있다는 점은 단순히 설명되지 않기에, 그 기작을 검토하였다.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는 일반세균수와 더 높은 오즈비를 보였고[4.0(2.2-7.2), \( p<0.001 \)], \( 40^{\circ} \mathrm{C} \) 미만의 수온범위에서 수온과 강한 상관도 [OR, 4.3(1.4-13.6), \( p=0.011 \)], \( 50^{\circ} \mathrm{C} \) 이상에서는 수온과 음의 상관도를 보였다 [OR, 0.2(0.1-0.4), \( p<0.001 \)]. 따라서, 수온에 의하여 세균의 현존량이 결정되는 현상 때문에 총대장균군수와 레지오넬라균 유무가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르면, 총대장균군보다 일반세균수가 더 직접적으로 비분변성 병원체의 증감을 반응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일반세균수를 단일 수질관리 기준으로 사용하거나, 현행 기준에 일반세균수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p>
|
[
"환경에 따라 생성되는 내열성세균인 이것은 무엇이지?",
"내열성세균이 환경에 따라 생성되는데 이것은 무엇인가요?",
"국내 보건환경이 변해가는 원인들에는 무엇이 있지?",
"무엇이 국내 보건환경을 변해가게 하는 원인일까?",
"여러가지 환경들에 의해 변화하는 국내 보건환경에 평가가 필요한 기준항목이 무엇이지?",
"국내 보건환경이 여러가지 환경들에 의해 변화함에 따라, 평가가 필요한 기준항목이 무엇인가요?",
"현재 온천수 수질기준은 어떤 군으로만 규정되어 있지?",
"현재 온천수의 수질기준은 어느 군에 한해 규정되어 있나요?",
"본 연구에서는 어떤 균의 오염도 검출로 온천수 수질기준의 타당성을 평가했지?",
"본 연구에서는 온천수 수질 기준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균의 오염도 검출로 평가했는가?",
"레지오넬라균을 온천수에서 검출했던 논문 7개에서 보고된 미생물 자료에 대한 무엇을 실시했지?",
"7개의 논문에서 보고된 레지오넬라균 온천수에서 검출된 미생물 자료에 대해 무엇을 실시했습니까?",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의 odds ratio는 무엇과 의미있는 상관도를 보였지?",
"무엇이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의 odds ratio와 의미있는 상관도를 보여주는가?",
"총대장균군 지표가 감지할 수 있는 오염은 무엇이지?",
"총대장균군 지표가 감지할 수 있는 오염을 무엇으로 알고 있나요?",
"레지오넬라균은 얼마의 수온에서 수온과 강한 상관도를 나타냈어?",
" 얼마의 수온에서 레지오넬라균이 수온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나?",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에서 수온과 음의 상관도를 보였던 온도는 얼마였지?",
"몇 도에서 레지오넬라균의 검출 유무에서 수온과 음의 상관도를 보였지?",
"레지오넬라균의 유무가 총대장균군수와 연관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 이유는 무엇이지?",
"총대장균군수와 레지오넬라균의 유무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세균수가 더 직접적으로 무엇의 증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지?",
"일반세균수가 어떤 것의 증감에 더 직접적으로 반응할 것으로 사료되는가?",
"이러한 결과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질관리 기준에 무엇을 추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고있지?",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질관리 기준에 무엇을 추가하는 것이 타당한가?"
] |
87732fde-a1b3-4b63-9dcb-551d09c16961
|
생명LA
|
레지오넬라균 출현위해도에 대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적합성 분석
|
<h1>결 론</h1><p>본 연구의 결과, 온천수에서 분변성 오염의 지표인 총대장균군수가 3군 법정전염병으로 규정되고 환경유래 내열성 병원체인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위해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분변성 병원체인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위해도를 분변성 오염지표인 총대장균군이 현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은 알려진 생물학적 현상에 의하여 단순하게 설명되지 않기에, 본 연구는 그 기작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레지오넬라균도 일반적인 중온성 종속영양세균과 총대장균군 세균들과 마찬가지로 \( 40^{\circ} \mathrm{C} \) 이하의 온천수에서 온도에 비례하여 생존하고, \( 50^{\circ} \mathrm{C} \) 이상의 온천수에서 사망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공통적으로 가지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대장균군은 레지오넬라균과 수온에 의하여 두 세균의 오염도가 결정되는 현상때문에 간접적 연관성을 가졌다. 이 기작에 따르면, 총대장균군보다 일반세균수가 더 직접적으로 온천수의 레지오넬라균을 비롯한 비분변성 병원체의 증감에 반응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총대장균군 보다 일반세균수를 단일 수질관리 기준으로 사용하거나, 현행 기준에 일반세균수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 본 연구에서 고려된 병원체는 세균에 국한되며, 바이러스와 원생동물 등의 여타 종류의 병원체에 대하여 별도의 분석이 필요하다.</p>
|
[
"온천수에서 분변성 오염의 지표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온천수내에서 분변성 오염의 지표로 어떤것이 사용되는가?",
"본 연구의 결과로 환경유래 내열성 병원체인 이것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조사에서 환경유래 내열성 병원체인 이것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이것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 연구에서 말하고자 하는 기작에 대해 옳은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조사의 초점에 대한 기작으로 올바른 것은 어떤 것인가?",
"레지오넬라균은 특정 온도 이하의 온천수에서 온도에 비례하여 생존하는데, 이 온도는 무엇인가?",
"레지오넬라균은 일정 온도 이하의 온천수에서 온도와 비례하여 생존하게 된다. 이때 온도는 몇도인가?",
"레지오넬라 균은 특정 이상의 온천수에서 사망률이 높아지는데, 이 온도는 무엇인가?",
"레지오넬라 균은 특정한 온천수에서 몇도의 온도에서 사망률이 커지는가?",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레지오넬라균과 총대장균군 세균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조사에서 살펴본 레지오넬라균과 총대장균군 세균들은 어떠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가?",
"비분변성 병원체인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위해도를 분변성 오염지표인 총대장균군이 현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은 대장균과 레지오넬라균의 이것에 따라 생존 및 사망률이 변화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설명할수 있는데, 여기서 이것은 무엇인가?",
"비분변성 병원체인 레지오넬라균에 따른 위해도를 분변성 오염지표인 총대장균군이 현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것은 대장균과 레지오넬라균의 이것에 의하여 생존 및 사망률이 변화한다는 것을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총대장균군 보다 일반세균수를 단일 수질관리 기준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총대장균군 보다 일반세균수를 단일 수질관리 기준으로 사용해야 하는가?",
"현행 기준에 일반세균수를 추가하는 것이 타당한 이유는 무엇인가?",
"왜 현행 기준에 일반세균수를 더하는 것이 타당한가?"
] |
bf618d21-d95f-478e-8bd0-8f7ca9b7b715
|
생명LA
|
레지오넬라균 출현위해도에 대한 현행 온천수 수질기준의 적합성 분석
|
<h1>재료 및 방법</h1><h2>자료수집</h2><p>기존의 레지오넬라균 분포에 대한 환경조사를 국내외 논문과 보고서에서 검색한 결과 약 1997−2015년간 35개의 연구가 레지오넬라균을 자연수 또는 시설 용수에서 체계적으로 검출한 것으로 나타났고, 22개 연구에서 총대장균군과의 관계가 분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중 온천수를 대상으로한 조사를 취합한 결과, Table 1에서 게시된 바와 같은 7개의 환경조사 논문이 본 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으로 채택되었다. 국내 온천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는 없었으나, 대만, 일본, 중국으로 한국에 근접한 국가들의 화산지역의 온천수들이 주요 조사 대상이었다. 해당 연구들은 Fisher’s exact test,logistic regression, chi-square test, Mann-Whitney U-test 등을 통하여 레지오넬라균 검출 유무를 총대장균군수등의 수질변수에 대한 오즈비(odds ratio)로 보고하였거나, 환산 가능한 검출 빈도 자료를 게시하였으므로, 그 자료들에 기초하여 레지오넬라균 검출에 대한 오즈비로 여러 수질변수가 레지오넬라균 분포와 상관관계가 있는 지를 메타분석할 수 있었다. 7개의 연구에서 레지오넬라균과 오즈비를 계산할 수 있는 공통된 자료로는 총대장균군수(TC)와 일반세균수(HPC), 수온이 있었다.</p><h2>메타분석</h2><p>'체계적 고찰’이라고도 불리는 메타분석(meta analysis)은 기 발표된 연구의 결과에 나타난 특정변수들간의 수리적 관계의 측정량(효과크기: effect size)들에 연구들간의 차이점에 대한 무선효과(random effect)를 도입하여 종합함으로써 효과크기의 정도와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는 분석방법이다. 여러 수체(water body)에서 나타나는 효과크기의 일관된 경향성의 유무를 파악하거나, 각 수체별 또는 연구별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정량할 수 있으므로, 수질기준과 같이 다양한 수체에 대하여 적용되어야 하는 역치의 유효성을 검정함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적 계산은 통계프로그램밍 환경인 R에서 작동하는 ‘metafor’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검정에서 사용한 유의수준은 \( p<0.05 \)이었다.</p>
|
[
"1997년부터 2015년 까지 18년간 레지오넬라균을 자연수 또는 시설 용수에서 체계적으로 검출한 연구는 몇개인가?",
"몇 개의 연구가 1997년부터 2015년 까지 18년간 레지오넬라균을 자연수 또는 시설 용수에서 조직적으로 검출했어?",
"18년간 레지오넬라균을 자연수 도는 시설 용수에서 체계적으로 검출한 연구가 35개에 이르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었나?",
"35개의 연구가 18년간 레지오넬라균을 자연수 도는 시설 용수에서 조직적으로 검출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지?",
"기존의 레지오넬라균 분포에 대한 환경조사 논문과 보고서 검색 결과 총대장균군과의 관계가 분석된 조사는 모두 몇 개였나?",
"모두 몇 개의 조사가 기존의 레지오넬라균 분포에 대한 환경조사 논문과 보고서 검색 결과 총대장균군과의 관계를 연구했어?",
"어떻게 Table 1에서 게시된 바와 같은 7개의 환경조사 논문이 본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으로 채택되었는가?",
"Table 1에서 게시된 것처럼 어떻게 7개의 환경조사 논문이 본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으로 선택되었어?",
"레지오넬라균 분포에 대한 주요 조사 대상은 국내가 아닌 다른 나라 화산지역의 온천수들이었는데, 주로 어떤 나라들이었나?",
"주로 어떤 다른 나라들의 화산지역의 온천수들이 레지오넬라균 분포에 대한 주요 조사 대상으로 채택되었어?",
"해당. 연구들은 레지오넬라균 검출 유무를 어떻게 총대장균군수등의 수질변수에 대한 오즈비로 보고하였는가?",
"어떻게 해당 연구들은 레지오넬라균 검출 유무를 총대장균군수등의 수질변수에 관한 오즈비로 보고했어?",
"메타분석은 무엇을 검정하기 위하여 특정변수들간의 수리적 관계의 측정량들에 연구들간의 차이점에 대한 무선효과를 도입하여 종합한 분석방법인가?",
"무엇을 검정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은 특정변수들간의 수리적 관계의 측정량들에 연구들간의 차이점에 대한 무선효과를 채택하여 종합한 분석방법인가?",
"다음중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적 검정에서 사용한 유의수준으로 올바른 수식을 고르시오",
"다음중 어떤 수식이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적 검정에서 사용한 유의수준으로 알맞은가?"
] |
bd70ae7b-3634-4293-ab17-456ae8104292
|
생명LA
|
<h1>서 론</h1><p>지방조직은 과잉 된 에너지를 저장하고 대사를 조절하는 등 생체의 중요한 기관이다. 지방조직의 이상은 지방세포의 에너지를 저장 및 지질 형성 기능을 손상시킴으로써 인슐린저항성과 당뇨 등의 이상 증상을 유발한다. 지방세포형(adipogenesis)은 세포 형태의 변화, 호르몬 민감성의 변화, 유전자 발현의 변화 그리고 단백질 발현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일어나는 특이적인 과정이다. 이러한 지방세포형성의 유도는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C/EBPs)와 peroxidas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gamma \) (PPAR \( \gamma) \)라는 주요 전사인자들에 의해 조절된다. 여러 호르몬들과 세포분화 유도물질 등에 의해 분화가 시작되면 C/EBP\( \beta\) 와 C/EBP\( \delta\)를 포함한 초기 지방세포형성 조절자(adipogenic reg-ulator)들이 발현되면서 후기 분화를 유도한다. C/EBP\( \beta\)와 C/EBP\( \delta\)에 의해 발현되는 C/EBP\( {a}\)와 PPAR\( \gamma \) 는 후기 분화에서 adiponectin (ADIPOQ), lipoprotein lipase (LPL) 및 fatty acid binding protein4 (FABP4)와 같은 최종마커(terminal marker)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p><p>수 만개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할 수 있는 cDNA/oligonucleotide microarray 기술은 생명과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microarray 기술은 3T3-L1 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형성 연구에도 적용되었는데, 수백 혹은 수천 개의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가 유의적으로 지방세포형성에 관여함이 여러 그룹들에 의해 밝혀졌다. Microarray 실험의 초기 데이터가 수집되면, 표준화 작업을 거친 후 유의유전자(DE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분석, 유전자 정보(GO, Gene Ontology) 분석, 신호전달(pathway) 분석 그리고 군집(clustering) 분석 등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유효한 정보로 전환된다.</p><p>SH21B는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행인(Prunus armeniaca Maxim), 마황(Ephedra sinica Stapf),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 포황(Typha orientalis Presl),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 하엽(Nelumbo nucifera Gaertner)의 혼합(비율 \(3:3:3:3:3:2:2\))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물로 한의학에서 비만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 그 분자적 메커니즘은 거의 연구되어있지 않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결과 SH21B는 3T3-L1세포 및 고지방식이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지방세포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 조절 및 지방축적 억제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microarray 분석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시 SH21B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고 군집 분석을 통해 유전자 발현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p>
|
[
"본 연구에서 지방세포 분화 시 SH21B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는 어떻게 확인되는가?",
"지방 조직의 이상이 유발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문에서 언급한 것은 무엇인가?",
"지방세포형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C/EBP\\( {a}\\)와 PPAR\\( \\gamma \\)가 후기 분화에서 발현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SH21B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보기 중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화합물은 무엇인가?",
"Microarray 실험에서 수집된 초기 데이터는 표준화 작업 후 어떤 과정을 거쳐 유효한 정보로 전환되는가?",
"SH21B이 지방세포 형성 및 유전자 발현 조절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세포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궁극적으로 무엇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살펴보려는 것인가?",
"지방조직의 이상이 당뇨 등의 이상 증상을 유발하는 과정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지방세포형성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C/EBP\\( \\beta\\)와 C/EBP\\( \\delta\\)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분화가 시작된 후 후기 분화는 어떻게 유도되는가?",
"과잉된 에너지를 저장하고 대사를 조절하는 생체 기관은 무엇인가?",
"SH21B이 주로 활용된 학문은 무엇인가?",
"cDNA/oligonucleotide microarray 기술이 적용된 지방세포형성 연구에서 활용된 세포는 무엇인가?"
] |
|
38b69f9d-4748-4c8e-a065-ec216972794d
|
생명LA
|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이 생산하는 혈전분해 효소의 정제 및 특성
|
<h1>요 약</h1><p>식품으로서 안전하게 섭취하여 혈전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혈전분해 효소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 - 동정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이라 명명하였다. 선발미생물이 생산하는 혈전분해 효소를 분리 및 정제한 결과, 50.7배의 정제도와 \( 5.5 \% \) 의 수율을 나타내었고, 혈전분해 효소단백질의 분자량은 \( 22.3 \mathrm{kDa} \)이었으며, N-terminal 아미노산 서열은 Ala-Gln-Ser-Val-Pro-Tyr-Gly-Val-Ser-Gln-Ile-Lys-Ala-Pro-Ala로 분석되었다. 효소의 최적반응 \( \mathrm{pH} \) 와 온도는 \( \mathrm{pH} 8.0 \) 과 \( 40^{\circ} \mathrm{C} \) 로 나타났으며, \( \mathrm{pH} 6.0-8.0 \)과 \( 20-40^{\circ} \mathrm{C} \) 사이에서 효소가 비교적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 2 \mathrm{mM} \) 과 \( 5 \mathrm{mM} \) 농도의 \( \mathrm{CoCl}_{2} \) 와 \( \mathrm{CaCl}_{2} \) 의 금속이온이 존재할 때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inhibitor로서 EDTA와 PMSF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므로 청국장에서 분리한 B. amyloliquefaciens HC188가 생성한 혈전분해 효소는 metallo-serine protease로 사료되었다.</p>
|
[
"어떻게 식품으로서 안전하게 섭취하여 혈전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연구했어?",
"식품으로서 안전하게 섭취하여 혈전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어떻게 연구했어?",
"어떻게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을 동정할 수 있었어?",
"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을 동정하기 위해 어떻게 했어?",
"혈전분해효소는 금속이온에 대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어?",
"혈전분해효소는 금속이온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니?",
"혈전분해 효소활성 우수미생물 분리하기 위해 청국장은 어떻게 제조되었어?",
"청국장을 어떻게 제조해서 혈전분해 효소활성 우수미생물을 분리했어?",
"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돼?",
"어떻게 효소 활성을 유도해?",
"효소가 안정하려면 \\( \\mathrm{pH} \\)와 온도를 어떻게 설정해야돼?",
"pH와 온도를 어떻게 설정해야 효소가 안정돼?",
"효소가 최적의 반응을 보이려면 \\( \\mathrm{pH} \\)와 온도는 어떻게 설정 해야돼?",
"pH와 온도는 어떻게 설정해야 효소가 최적의 반응을 보여?"
] |
01e293ba-ff8c-4490-8bf5-d9ed31120cf9
|
생명LA
|
레이저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macelignan과 한약제 열수 추출물의 병용효과
|
<h1>재료 및 방법</h1><h2>Macelignan과 한약재(CTH) 복합물의 준비</h2><p>본 연구에 사용된 인도네시아산 Myristica fragrans Houtt(macelignan)은 연세대 생명공학과 황재관교수 연구실에서 얻었으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의 조수인교수 연구실에서 Panax ginseng C.A.Meyer (인삼), Pueraria lobata (칡), Dioscorea batatas Decaisne (마), Rehmannia glutinosa (지황) ,Amomum cadamomum Linné (백두구), Poncirus fructus (지실), Evodia officinalis (오수유)을 구입 후 각 한약재를 \(1:1:1:1:1:1:1\)의 비율로 열수 추출하여 동결건조 후 분말화한 것 (CTH, \( 15 \mathrm{mg} / \mathrm{kg} \) BW)을 macelignan (\(150 \mathrm{mg} / \mathrm{kg} \) BW)과 함께 DMSO에 녹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약용식물들의 voucher specimens는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본초학 연교실에 보관하였다.</p><h2>실험동물 및 사육</h2><p>28마리의 5주령 수컷 C57BL/KsJ-db/db (db/db) 마우스를 (주)오리엔트바이오를 통해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로부터 구입하였다. db/db 마우스는 2주간 고형식이로 적응시킨 후, 당뇨실험군으로 하여 난괴법에 의해 당뇨대조군(db/db-control), roiglitazone군(db/db-rosi), macelignan군(db/db-Mace), macelignan+CTH군(db/db-Mace+CTH)으로 나누어 3 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기간에는 식이와 물을 자유롭게 먹도록 하였으며 KGLP (비임상시험관리기준)에 근거하여 동물사육실의 환경은 항온 \( \left(20 \pm 2^{\circ} \mathrm{C}\right) \), 항습\( (50 \pm 4 \%) \), 12 시간 간격(08:00-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고 동물들은 polycarbonate cage에 한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기본식이는 AIN-76 semi-synthetic diet 의 식이조성으로 만들어진 고형식이를 (주)중앙실험동물에서 구입하여 사육기간에 냉장 보관하여 급여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rosiglitazone, macelignan과 CTH는 각각 \( 10 \mathrm{mg} / \mathrm{kg} \) BW, \( 15 \mathrm{mg} / \mathrm{kg} \) BW, 그리고 macelignan (\( 15 \mathrm{mg} / \mathrm{kg} \) BW)과 CTH (\( 150 \mathrm{mg} / \mathrm{kg} \) BW)를 같이 섞어 3주간 경구 투여한 후에 희생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감독하에 진행되었다.</p><h2>시료 채취</h2><p>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희생 전 12 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으로부터 공복혈액을 채취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 조직은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여 칭량하였으며, 즉시 액체질소로 급냉시켜 \( -70^{\circ} \mathrm{C} \)에 보관하였다.</p><h2>공복혈당, 당화혈색소 \( (\mathrm{HbA1c}) \) 측정 및 혈장 분석</h2><p>실험기간에 6 일마다 1 회 12 시간 공복시킨 후에 그 혈당을 실험 동물의 꼬리를 자른 후 얻은 정맥혈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Glucometer (GlucoDr, Allmedicus, Anyang, Gyeonggi-do, Korea) 를 사용하였다. 당화혈색소( \( \mathrm{HbA1c}) \) 의 경우 희생 후 전혈을 이용하여 MicroMatTM II Hemoglobin \( \mathrm{A}_{1 c} \) Tes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로 측정하였다. 희생 후 전혈을 \( 4^{\circ} \mathrm{C}, 1,000 \times g \) 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후 혈장을 얻었으며, 분리된 혈장으로 insulin, glucagon, C-peptide (Mouse ELISA Kit, ALPCO Diagnostics, Salem, NH, USA)를 EILSA ki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p><p>이 밖에도 혈장으로부터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함량을 아산제약(주)의 kit로 측정하였으며, free fatty acids 농도는 Wako Chemicals USA Inc. (Richmond, VA, USA)로부터 kit를 구입하여 측정하였다.</p><h2>내당능(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IPGTT)) 검사 및 인슐린 민감도(intraperitoneal insulin tolerance test (IPITT) 측정</h2><p>실험기간 중 희생 전에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내당능 및 인슐린 민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내당능 검사는 실험동물을 12 시간 공복시킨 후 glucose \( (0.5 \mathrm{~g} / \mathrm{kg} \) BW)를 복강주사하고 0,30,60,120분마다 실험동물의 꼬리 정맥혈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2일 후, 인슐린 민감도를 알아 보기 위해, 다시 12시간 공복시킨 후 insulin ( \( 2 \mathrm{unit} / \mathrm{kg} \) BW) 을 복강 주사 하여 0,30,60,90분 동안의 혈당 변화를 살펴 보았다.</p><h2>통계처리</h2><p>실험결과는 SPSS package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 \( 11.5 \) version)을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 \( \pm \) 표준오차로 표시하였고, 각 군간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다군간의 차이는 \( \mathrm{p}<0.05 \)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p>
|
[
"내당능 검사에서 실험동물의 복강에 어떤 물질을 주입하는 거야?",
"인삼, 칡, 마, 지황, 백구두, 지실, 오수유는 분말화한 뒤에 무엇과 함께 DMSO에 녹여 사용한 거야?",
"본문의 실험에서 사용된 rosiglitazone는 얼마나 사용했어?",
"본문에서 사용된 Myristica fragrans Houtt은 어디 연구실에서 구할 수 있었어?",
"본문의 연구는 부산대 어느 위원회의 감독하에 진행된 거야?",
"마우스는 당뇨대조군, roiglitazone군, macelignan군, macelignan+CTH군으로 나누어서 몇 주간 사육한 거야?",
"인삼, 칡, 마, 지황, 백구두, 지실, 오수유는 어디 연구실에서 구입한 거야?",
"본문에서 사용된 Myristica fragrans Houtt은 어느 나라 거야?",
"사육 기간에 물과 식이는 정량을 지키면서 먹도록 했어?",
"마우스는 고형식이로 몇 주간 적응 시켰어?",
"사육 기간에 동물들은 어떤 케이지에서 사육한 거야?",
"인삼, 칡, 마, 지황, 백구두, 지실, 오수유는 각 몇 대 몇의 비율로 열수 추출한 거야?",
"본문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약용식물들의 voucher specimens는 어디에 보관했어?",
"사육 기간에 동물 사육실의 광주기는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설정한 거야?",
"사육 기간에 동물 사육실의 광주기는 몇 시간 간격을 유지했어?",
"28마리의 5주령 수컷 마우스는 어떤 회사에서 구입한 거야?",
"사육 기간에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몇 도를 유지했어?",
"사육 기간에 동물들은 케이지당 한 마리씩 분리해서 사육한 거지?",
"사육 기간에 동물 사육실의 습도는 몇 퍼센트를 유지했어?",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들을 마취시키기 위해서 어떤 물질을 흡입시켰어?",
"본문의 실험에서 사용된 고형식이는 어떤 식이조정으로 인해서 만들어진 거야?",
"본문의 실험에서 사용된 CTH는 얼마나 사용한 거야?",
"인삼, 칡, 마, 지황, 백구두, 지실, 오수유는 열수 추출해서 따로 동결건조는 했나요?",
"본문의 실험에서 사용된 macelignan는 얼마나 사용한 거야?",
"희생 전에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들은 몇 시간 동안 절식 시켰어?",
"rosiglitazone, macelignan과 CTH를 같이 섞어서 경구에 몇 주간 투여했어?",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의 공복 혈액은 어디에서 채취했어?",
"실험기간에 공복 혈당은 어떤 혈액을 이용해서 측정한 거야?",
"혈액채취 후에 실험동물들의 장기 조직을 바로 적출했나요?",
"사육 기간에 동물사육실 환경은 어떤 기준에 근거해서 사육한 거야?",
"실험동물들의 적출한 장기 조직을 여러 번 행군 용액은 뭐야?",
"실험동물들의 적출한 장기 조직을 액체질소로 급냉시킨 뒤에 몇 도에 보관했어?",
"당화혈색소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장비는 뭐야?",
"혈장은 얻기 위해서 전혈을 \\( 4^{\\circ} \\mathrm{C}, 1,000 \\times g \\) 에서 몇 분간 원심분리했어?",
"Glucometer는 어느 회사 거로 사용한 거야?",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함량은 어떤 회사의 kit로 측정한 거야?",
"공복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기간 동안에 며칠마다 1회씩 공복 시킨 거야?",
"free fatty acids 농도는 어느 회사 kit로 측정한 거야?",
"MicroMatTM II Hemoglobin \\( \\mathrm{A}_{1 c} \\) Tes 장비는 어느 나라 거야?",
"사용한 Glucometer의 제조국은 어디야?",
"당화혈색소는 어떤 혈액을 이용해서 측정한 거야?",
"본문의 실험결과의 실험군당 평균 표준오차는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표시했어?",
"MicroMatTM II Hemoglobin \\( \\mathrm{A}_{1 c} \\) Tes 장비는 어느 회사 거야?",
"혈장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것들은 뭐가 있어?",
"내당능 검사 실험을 하기 위해서 실험동물은 몇 시간 공복 시켰어?",
"공복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기간 동안에 1회 당 몇 시간 동안 공복시킨 거야?",
"인슐린 민감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12시간 공복 시킨 실험동물 복강에 주사한 물질은 뭐야?",
"\\( \\mathrm{p}<0.20 \\) 수준에서 다군간의 차이를 Duncan's multiple test로 사후 검정한 거지?",
"내당능 검사는 12 시간 공복 시킨 실험동물에게 glucose를 주입한 뒤에 실험동물의 어떤 혈액을 이용해서 혈당을 측정한 거야?",
"각 군간의 평균치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어떤 방법으로 실시한 거야?",
"인슐린 민감도 및 내당등 검사는 실험동물의 희생 후에 실시한 거지?",
"실험동물들의 적출한 장기 조직을 여러 번 헹군 후에 표면의 수분은 따로 제거하지 않고 칭량한 거야?",
"2일 후에 다시 혈당의 변화를 살펴본 이유가 뭐야?",
"정맥혈은 실험동물의 어디에서 추출할 수 있어?",
"EILSA kit을 이용해서 분리된 혈장으로 측정한 것은 어떤 것들이야?"
] |
d268cc96-81c7-4f92-83e4-ea95e3910062
|
생명LA
|
레이저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macelignan과 한약제 열수 추출물의 병용효과
|
<h1>결과 및 고찰</h1><h2>Macelignan과 CTH 복합물 투여가 db/db 마우스의 공복 혈당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h2><p>투여했을 때의 공복혈당 변화를 Fig. 1에 나타내었다. 실험 전 난괴법에 의해 정해진 각 군별 평균 혈당은 \( 295 \pm 25 \mathrm{mg} / \mathrm{dl} \) 로 확실하게 당뇨가 발병된 상태였으며, 실험물질 투여 첫날의 공복혈당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나타났다. Rosiglitazone을 경구 투여한 군의 공복혈당은 실험시작 시점과 비교해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그 상태로 유지되었다. 당뇨 대조군의 경우 실험기간 동안 계속해서 공복혈당이 상승한데 비해, macelignan 투여군과 CTH를 병용 투여한 군들은 3 주간의 투여를 통해 공복혈당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macelignan 단독 투여군의 경 우는 약 \( 27 \% \), 그리고 CTH를 병용 투여한 군은 약 \( 35 \% \) 유의적으로 낮아져 공복혈당의 상승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p><p>Macelignan을 단독 투여군과 CTH 병용하여 투여한 군간의 공복혈당 차이를 비교하면, CTH를 maclignan과 병용 투여 한 군에서 조금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두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실험물질인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하여 실험동물에 적용한 결과, 제2형 당뇨병에서 고혈당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유의적으로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p><p>희생 후 전혈을 이용하여 실시한 당화혈색소(HbA1c) 측정 결과에서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한 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 1 \% \) 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p>HbA1c는 적혈구 생존시기인 약 3개월 동안에 일어나는 당화 반응의 변화에 따른 것이므로 약 3 개월간의 혈당조절 상태를 나타내며 정상인 내지 비당뇨인은 \( 7 \% \) 이하, 당뇨병 환자의 경우 \( 10 \% \)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 진행을 나타내는 의미있는 지표로써 HbA1c가 \( 2 \% \) 증가할 때마다 당뇨 합병증의 하나인 망막병증의 발병 위험이 2 배 정도 증가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Tuner 등 은 The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에서 HbA1c의 수치가 증가할수록 \( \beta \)-세포의 기능이 약화된다고도 보고하였다. 본 실험결과, macelignan을 단독 투여한 군에서는 당뇨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celignan의 단독투여보다는 CTH 와의 병용 투여하는 것이HbA1c를 개선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p>
|
[
"실험 전 난괴법에 의해 정해진 각 군별 평균 혈당은 얼마인가요?",
"실험 전 난괴법에 의해 얼마의 각 군별 평균 혈당이 측정되었나요?",
"Rosiglitazone을 경구 투여한 군의 공복혈당은 실험시작 시점과 비교해 변화가 거의 없었는가?",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한 군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공복혈당이 얼마나 감소하나요?",
"macelignan과 CTH를 함께 투여하면 공복혈당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얼마나 줄어드나요?",
"실험물질인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하여 실험동물에 적용할 때 어떠한 효과를 보였는가?"
] |
922167e1-87ad-488c-a794-74fb6c8c3165
|
생명LA
|
레이저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macelignan과 한약제 열수 추출물의 병용효과
|
<h2>Macelignan과 CTH 복합물 투여가 db/db 마우스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h2><p>본 연구에서는 심한 당뇨병의 경우에 glucose를 대신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체내 포도당 이용을 억제하게 하는 혈중 free fatty acids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실험물질군 모두가 당노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rosiglitazone를 투여한 경우가 가장 낮았다.</p><p>혈중 free fatty acids 함량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므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연결인자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macelignan을 단독 투여한 경우와 CTH를 병용 투여한 경우 모두 당뇨병에서의 혈중 지질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p>앞서 언급한 free fatty acids와 마찬가지로 당뇨병이 심화될수록 혈중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진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본 연구에서 실험 전·후를 비교한 결과, 당뇨대조군의 경우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macelignan 단독 투여군과 함께 CTH를 병용 투여한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p>혈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은 실험 전에는 모든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종료 시점인 희생 후 측정한 결과에서는 다른 변화를 보였는데, 당뇨대조군에 비해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acelignan 단독투여 및 CTH를 함께 병용 투여한 군들에서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p>당뇨병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는 지질대사이상은 혈중 triglyceride와 cholesterol의 증가, 그리고 HDL-cholesterol의 감소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실험물질을 투여한 경우 당대사 및 지질대사를 개선시켜 실험동물의 혈중 지질농도 저하경향을 보여준 것으로 짐작되며, 특히, macelignan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보다는 CTH를 병용 투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혈중 지질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혈중 HDL-cholesterol 함량은 실험종료 후 측정한 결과 군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항동맥경화 지수인 total cholesterol에 대한 HDL-cholesterol의 비율인 HTR은 당뇨대조군과 약물 투여군(rosiglitazone)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macelignan 단독 투여군과 CTH를 함께 병 용 투여한 군에서 \( 20 \% \) 이상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맥경화지수 (AI)는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았으나, macelignan 단독 투여군과 CTH를 함께 병용 투여한 군들에서는 당뇨대조군 및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p>본 연구에서는 macelignan 단독투여 및 CTH 병용 투여군 모두가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HTR 과 AI의 상관관계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p><p>혈중 HDL-cholesterol의 증감은 cholesterol의 역수송을 통해 체내 cholesetrol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 LDL의 산화적 변형으로부터의 보호역할 역시 그 중요성이 알려져 있다. AI를 통해 동맥경화를 비롯한 심혈관계 질환 유발의 위험을 미리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macelignan의 단독 투여 또는 CTH와의 병용 투여는 당뇨병 합병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p>
|
[
"free fatty acids함량의 증가가 발생시키는 질병은 무엇인가?",
"당요병의 증상 중 지질대사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데 macelignan와 병용되는것은 무엇인가?",
"혈중에서 triglyceride와 cholesterol를 증가 시키고 HDL-cholesterol는 감소시키는것은 무엇인가?",
"본문에서 가르키는 AI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혈중에서 포도당 사용을 억제시키는것은 무엇인가?",
"당요병의 증상으로 옳은것은 무엇인가?",
"체내 포도당 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것은 무엇인가?",
"당뇨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것은 무엇인가?"
] |
54dea32d-1762-4e4d-ad86-46d26d9f1110
|
생명LA
|
레이저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macelignan과 한약제 열수 추출물의 병용효과
|
<h2>Macelignan과 CTH 복합물이 db/db 마우스의 내당능 및 인슐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h2><p>Macelignan과 CTH 복합물을 db/db 마우스에 3 주간 경구 투여한 결과 내당능 및 인슐린 민감도에 변화가 생겼으며 Fig.3A 와 Fig.3B에 나타내었다.</p><p>식후혈당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내당능 검사에서 당뇨대조군의 경우 glucose를 복강 주사한 후 상승된 혈당은 주사 후 60 분이 경과되었을 때, 가장 고혈당 상태를 보였다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혈중 당이 적절하게 제거되지 못해 고혈당이 계속 유지되는 현상을 보였다. 나마지 군들에서는 glucose 복강주사 후 30 분에 가장 높은 혈당치를 보인 후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2 시간이 경과한시점에서는 glucose 주사 전 혈당에는 미치지 못하나 당뇨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 중에서도 macelignan과 CTH을 병용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혈당이 상승되는 정도가 macelignan군에 비해 더 완만했으며, 이미 60분이 지난 시점에서 당뇨대조군을 비롯한 나머지 군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을 보여 m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macelignan과 CTH의 병용 투여가 식후혈당 조절 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p>식후혈당은 섭취하는 식품의 양뿐 아니라 식품의 종류와도 관련이 있으며, 포도당으로 소화 흡수가 느릴 경우 혈당의 증가반응이 느리게 나타나고, 빠른 경우에는 혈당이 급격히 증가하여 insulin 분비도 그만큼 더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내당능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지 않으면 심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 유발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므로 macelignan과 CTH의 병용 투여는 당뇨병 합병증의 유발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p><p>이와 함께 분비된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의 효과적인 작용 여부를 알 수 있는 인슐린 민감도 역시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한 경우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을 보임으로써, macelignan의 단독 투여보다는 상대적으로 인슐린 수용체를 통한 세포 내 유입이 더 효과적으로 일어나 체내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p><h2>Macelignan과 CTH 복합물 투여가 db/db 마우스의 당뇨병 관련지표들에 미치는 영향</h2><p>고혈당 조절 및 당뇨병의 주요 지표인자로 알려진 insulin 등을 비롯한 호르몬들과 adipokines의 혈중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 Table 1에 나타내었다.</p><p>혈중 insulin 농도는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았고, 나머지 군들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glucagon 농도는 ma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서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경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는 없었다.</p><p>앞서, Han 등은 macelignan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 혈중 insulin 농도가 낮아졌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혈중 insulin 농도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고 glucagon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체내의 glycogen 합성을 촉진하고 당신생을 억제하는 insulin 과는 달리 glucagon은 glucokinase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고 glucose-6-phospha-tase (G-6-Pase) 활성 및 mRNA 발현, 그리고 PEPCK의 전사를 촉진시켜 당 신생 증가를 유도하므로 macelignan을 적용 할 경우 체내 혈당조절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macelignan과 CTH의 병용 투여가 macelignan의 단독 투여에 비해 더 개선 된 효과를 볼 수는 없었다.</p><p>혈중 C-peptide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실험물질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 C-peptide는 인슐린의 전구 물질로서 인슐린의 반감기보다 더 길며, 심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췌장의 insulin 분비능에 대해 insulin보다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병의 진단뿐 아니라 병형을 판별하는데도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macelignan을 단독 투여했을 때 보다 CTH와 함께 투여한 경우 비록 insulin 함량 그 자체는 개선의 변화를 볼 수 없었으나 C-peptid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보아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이 개선되거나 보호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further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p><p>혈중 leptin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군에서 rosiglitazone군과 함께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macelignan을 단독 투여했을 때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혈중 leptin농도는 체중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도 본 연구결과로 확인되었다.</p><p>Leptin은 일반적으로 식욕억제에 관여하면서 insulin 작용을 향상시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혈당조절에 관여하기도 한다. Table 2에 의하면, 실험시작 전과 후의 각 군별 실험동물의 체중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이 종료된 시점에서 당뇨대</p><p>조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노병이 심화되면 나타나는 증상들인 다음, 다식, 다다의 증상을 보이며 오히려 체중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여 비만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macelignan과 CTH를 함께 병용한 군에서는 체중에서 변화를 찾을 볼 수는 없었다(Table 2).</p><p>따라서, 체중의 변화 없이 혈중 leptin 함량이 증가한 것은 당뇨병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짐작되며, macelignan 단독으로 투여한 것보다는 CTH와 병용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p><p>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그 발현량이 증가되는 adiponectin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관련 지을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로 당뇨병이 발병된 동물이나 사람에게서 현저히 낮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hizolinidione계 약물인 rosiglitazone의 경우 당뇨대조군에 비해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월등이 높게 나타났다. Macelignan 및 CTH와 병용하는 군들의 경우에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
"내당능 검사에서 당뇨대조군이 가장 고혈당 상태를 보이다 감소하기 시작하는 때는 언제인가?",
"내당능 검사에서 어느 시점에 당뇨대조군이 최고로 고혈당 상태를 보이다가 감소하기 시작하는가?",
"내당능 검사에서 당뇨대조군의 경우 glucose를 복강 주사하고 2시간이 지났음에도 고혈당이 유지되는 현상을 보였어?",
"당뇨대조군은 내당능 검사에서 glucose를 복강 주사한 뒤 2시간이 지나고 나서도 고혈당이 유지되었는가?",
"나머지 군들에서는 glucose 복강주사 후 30 분에 가장 높은 혈당치를 보이고 2시간 후에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낮았어?",
"나머지 군들에서 glucose 복강 주사를 한 뒤 30분 후에 최고로 높은 혈당치를 보이고 2시간 후에는 당뇨대조군에 비교하여 상당히 낮았는가?",
"무엇을 병용 투여했을 때 혈당이 상승되는 정도가 macelignan군에 비해 더 완만해?",
"혈당의 상승량이 macelignan군에 비교했을 때 어떤 것을 병용 투여하였을 때 완만하였는가?",
"m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macelignan과 무엇의 병용 투여가 식후혈당 조절 에 더 효과적이야?",
"macelignan과 어떤 것의 병용 투여가 m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식후혈당 조절에 더 큰 효과를 보였는가?",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 시 혈당 상승 정도가 당뇨대조군과 그외 나머지 군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혈당을 보이는게 맞아?",
"혈당 상승 정도가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하였을 때 당뇨대조군과 그외 나머지 군들에 비교하였을 때 더 낮은 혈당을 보여주었는가?",
"식후 혈당은 섭취하는 식품의 양뿐만 아니라 무엇과도 관련 있어?",
"섭취하는 식품의 양을 제외하고 식후 혈당과 관련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혈당의 증가반응이 느리게 나타날 때는 어떤 경우야?",
"어떤 경우에 혈당의 증대반응이 느리게 나타나니?",
"포도당으로 소화 흡수가 빠를 경우에 insulin 분비가 왜 증가하였어?",
"insulin 분비가 포도당으로 소화 흡수가 신속히 일어났을 때 왜 증가하였는가?",
"내당능이 개선되지 않을 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뭐야?",
"내당능이 회복되지 않을 때 일어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당뇨병 합병증의 유발 위험성을 어떤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나요?",
"어떤 방법을 통해 당뇨병 합병증이 일어날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가?",
"macelignan의 단독 투여보다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한 경우에 어떻게 되었어?",
"macelignan과 CTH를 병용 투여한 경우에는 macelignan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와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가?",
"혈중 insulin 농도는 어떤 군에서 제일 높았는가?",
"어떤 군에서 혈중 insulin 농도가 가장 높았지?",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는 혈중 insulin 농도가 가장 높았는데, 나머지 군들도 농도가 높았어?",
"나머지 군들도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와 마찬가지로 혈중 insulin 농도가 가장 높았는가?",
"ma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서 혈중 glucagon 농도는 당뇨대조군에 비해 어때?",
"당뇨대조군에 비교하였을 때 macelignan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의 혈중 glucagon 농도는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경우에서의 혈중 glucagon 농도는 macelignan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해서 어때?",
"macelignan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해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경우에서의 혈중 glucagon 농도는 어떻게 다른가?",
"체내의 glycogen 합성을 촉진하고 당신생을 억제하는 insulin의 특성과는 달리 glucagon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어?",
" glucagon은 체내의 glycogen 합성을 유발하고 당신생을 방해하는 insulin의 특성과는 달리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glucagon은 PEPCK의 전사를 촉진시켜 당 신생 증가를 유도하는데, 이때 무엇을 적용하면 체내 혈당 조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glucagon이 PEPCK의 전사를 촉진시켜 당 신생이 증가되도록 할 때 어떤 것을 적용해야 체내 혈당 조절이 잘 이루어 질 수 있게 하는가?",
"체내의 glycogen 합성을 촉진하고 당신생을 억제하는 insulin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glucagon의 특징은 뭐야?",
"glucagon이 가지고 있는 체내의 glycogen 합성을 촉진하고 당신생을 억제하는 insulin과 차별화되는 특징은 무엇인가?",
"인슐린의 전구 물질로 인슐린의 반감기보다 더 길며, 심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췌장의 insulin 분비능에 대해 insulin 보다 더 잘 반영하는 이 물질은 뭐야?",
"인슐린의 전구 물질이며 인슐린보다 긴 반감기를 가지고, 심한 당뇨병 환자에게는 췌장의 insulin 분비능에 관해 insulin 보다 크게 반영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C-peptide는 당뇨병의 진단뿐 아니라 병형을 판별하는데도 중요한 인자인가?",
"당뇨병의 진단뿐 아니라 병형을 판단할때에도 C-peptide 인자가 중요하게 쓰이는가?",
"본 연구결과에서 macelignan을 CTH와 병용 투여 한 경우 insulin 함량의 개선의 변화는 볼 수 없었지만 어떠한 현상으로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의 개선을 알 수 있어?",
"해당 연구에서 macelignan을 CTH와 병용 투여 하였을 때 insulin 함량의 긍정적 변화는 관찰하지 못하였지만 어떠한 현상을 통해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의 긍정적 변화를 알 수 있는가?",
"본 연구결과에서 C-peptide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봤을 때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뭐야?",
"해당 연구에서 C-peptide 함량이 증가한 것을 보고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당뇨대조군에 비해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군에서 rosiglitazone군과 함께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농도는 무엇인가?",
"macelignan과 CTH를 병용한 군에서 당뇨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rosiglitazone군과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농도는 무엇인가?",
"혈중 leptin농도는 macelignan을 단독 투여했을 때에 어떠한 현상을 보이는가?",
"macelignan을 홀로 투여했을 때에 혈중 leptin농도는 어떻게 되는가?",
"혈중 leptin농도는 섭취량과 무엇의 상관관계를 갖는가?",
"섭취량과 혈중 leptin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식욕억제 뿐만 아니라 insulin 작용을 향상시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혈당조절에 관여하기도 하는 이 호르몬은 무엇인가?",
"어떤 호르몬이 식욕억제에 더해 insulin 작용을 증진시켜 다양한 경로로 혈당조절에 관여하는가?",
"당뇨대조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뇨병 심화 시 나타나는 증상 후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시간이 지나 당뇨병이 심해졌을 때 보이는 증상후에 당뇨대조군의 경우에는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당뇨대조군과 달리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에서는어떠한 결과가 나오는가?",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이 당뇨대조군과의 다른 점은 무엇인가?",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과 달리 체중에서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던 군은 어느군인가?",
"어떤군에서 rosiglitazone을 투여한 군과 다르게 체중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가?",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 체중 변화 없이 당뇨병 개선에 도움이 되는가?",
"체중 변화 없이 당뇨병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은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야?",
"당뇨병에 걸린 동물이나 사람에게서 매우 낮게 나타나는 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물질이 당뇨병에 걸린 동물이나 사람에게서 매우 적게 나타나는가?",
"adiponectin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을 관련 지을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이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그 발현량이 증가되는 물질이 맞아?",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독립적인 인자이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그 발현량이 늘어나는 물질이 adiponectin인가?",
"thizolinidione계 약물인 rosiglitazone의 경우에 당뇨대조군에 비해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어떻게 나타났는가?",
"당뇨대조군과 비교했을때 thizolinidione계 약물인 rosiglitazone은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어떠한가?",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월등히 높게 나타나게 된 경우는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hizolinidione계 약물인 rosiglitazone를 투여했기 때문이야?",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는 thizolinidione계 약물인 rosiglitazone을 투여했기에 혈중 adiponectin 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인가?",
"Macelignan 및 CTH와 병용하는 군들의 경우는 adiponectin는 현상이 어떻게 나타났어?",
"adiponectin는 Macelignan 및 CTH와 병용하는 군들의 경우에서는 어떤 경향을 보였는가?",
"당뇨병이 심화되면서 드러나는 증상들은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이 심화되면 무슨 증상들이 나타나는가?"
] |
e411970d-518c-4d9e-bdae-67b82eca7173
|
생명LA
|
레이저 제2형 당뇨동물모델에서 macelignan과 한약제 열수 추출물의 병용효과
|
<h1>서 론</h1><p>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 및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장애로 인해 고혈당이 유지되는 대사성 만성질환이며, 경제발전이 가속화되고 생활이 서구화 및 간편화되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미 2003년에는 전세계적으로 2 억 명 가까이 당뇨병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2025년에는 3억 명을 넘어 성인인구(20 세 이상 기준)의 \( 6 \% \)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 역학연구를 통해 살펴 보면,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1970년대에는 약 \( 2 \% \)였던 것이 점차 증가하여 90년대 초부터는 약 \(7\%\)에 육박하는 결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아직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들까지 고려한다면 실질적인 당뇨병 환자 수는 그 이상으로 생각되며 2030년대에는 \( 10 \% \) 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합병증 발병이 높은 당뇨병의 특성상 의료비용, 인력손실 및 사회적 파급효과 또한 클것으로 생각된다. 성인(20-79세) 당뇨병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전체 성인 총 진료비의 약 \(20\%\) 를 차지하였고, 일인당 총 진료비는 전 국민의 성별과 연령차이를 감안하여 3.0배나 높았다고 보고되었다. 당뇨병 환자의 사망률 또한 비당뇨병 환자인 일반인에 비해 \(2.2 \sim 7.3\)배나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당뇨병을 치료하거나 그 병세를 호전시키기 위해 효능이 우수한 경구용 약물(혈당강하제)을 비롯한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약물복용에 따른 부작용과 환자의 내성이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천연물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제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p><p>육두구(Myristicae Semen, nutmeg)는 육두구과(Myristicae)인 육두구나무(Myristica fragrans Houttuyn)의 성숙과 껍질을 벗기고 석회유에 1일간 담근 후 말린 생약이다. 육두구에는 myristic acid와 trimyristin (myristic acid triglyceride)가 풍부하게 존재하며 지방산 원료로서 마요네즈 등의 가공식품에 이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향신료, 소화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육두구를 중국,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다마스카르 등에서 연간 12톤 정도 수입하고 있다.</p><p>Macelignan은 육두구의 약용성분으로 이미 보고된 바 있는 약 30여 종의 lignan 중의 하나이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항박테리아 및 항염증 효과, 그리고 항균 및 항산화 등의 약리작용이 보고되었다. 특히, Han 등은 macelignan이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를 감소시키고 당뇨병 치료제 개발 target중 하나인 PPAR-\(\alpha\)/ \( \gamma \)-dual agonist로서의 항당뇨 효능을 세포주 실험과 제2형 당뇨동물모델 (db/db 마우스)을 이용하여 증명하였다. 그들은 macelignan을 db/db 마우스에 적용했을 때 serum glucose를 비롯한 insulin, triglycerides, free fatty acids 등과 skeletal muscle과 liver에서는 triglyceride가 감소함을 보고하였다.</p><p>이 밖에도, 선진국으로부터 시작된 대체의료 개념이 부각되면서 대체의료 소재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항당뇨 의약대체소재로 Lagerstroemia speciosa (바나바), Gymmem sylvestre (김네마), Mori folium (상엽), Psidium guajava (구아바잎), Oenothera odorat a(달맞이꽃)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 추출물 소재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실제 당뇨병 개선을 위해 한방치료에서 사용하는 약용식물들 중 Panax ginseng C.A.Meyer (인삼), Pueraria lobata (칡), Dioscorea batatas Decaisne (마), Rehmannia glutinosa (지황), Amomum cadamomum Linné (백두구), Poncirus fructus (지실), Evodia officinalis (오수유)을 열수 추출하여 복합 한약제를 만들었으며, 이 복합 한약재(Chienes traditional herbs, CTH)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macelignan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항당뇨 효능 역시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Han 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바 있는 식욕항진으로 인한 비만, 고혈당, 인슐린 저항성, 고렙틴혈증, 고인슐린혈증 등의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유사한 임상적 특징을 지닌 C57BL/KsJ-db/db 마우스를 이용하여 macelignan과 복합 한약제(CTH) 열수 추출물의 첨가 후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함으로써 항당뇨 효과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p>
|
[
"인슐린의 분비 장애로 체내 고혈당이 유지되는 대사성 만성질환은 뭐야?",
"대사성 만성질환 중 인슐린의 분비 장애로 몸 속 고혈당이 유지되는 것은 무엇이지?",
"당뇨병이 발병하는 원인은 뭐야?",
"어떤 것이 당뇨병을 일으키니?",
"육두구나무를 성숙 후에 껍질을 벗기고 석회유에 1일간 담근 후 말린 생약은 뭐야?",
"성숙한 육두구나무의 껍질을 벗긴 후 석회유에 1일간 담궈 말려서 만든 생약의 이름은 무엇일까?",
"육두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지방산은 뭐야?",
"지방산 중 육두구에 많이 있는 것은 무엇일까?",
"14개의 탄소를 갖고 있는 물질로 육두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지방산은 뭐야?",
"육두구에 많이 존재하는 지방산 중 14개의 탄소를 지닌 물질은 어떤 게 있을까?",
"육두구는 마요네즈 등의 가공식품에 이용되니?",
"마요네즈 등의 가공식품에 육두구가 사용되니?",
"항균 및 항산화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육두구의 약용성분은 뭐야?",
"육두구의 어떤 약용성분이 항균 및 항산화 등의 약리작용을 보이니?",
"macelignan을 db/db 마우스에 적용시키면 triglyceride가 감소하니?",
"db/db 마우스에 macelignan을 사용하면 triglyceride가 감소할까?"
] |
67b181af-60dc-429d-a0a7-10ad3b508be5
|
생명LA
|
<h1>서 론</h1><p>Streptococcus suis (S. suis)는 Gram 양성의 연쇄구균으로 면양혈액 \( 5 \% \) 첨가배지에서 주로 \(\alpha\)-용혈을 일으키고 상부호흡기관(특히 편도 및 비강), 생식기계 및 소화기계통에 상재하며 돼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동물에 감염되어 질병을 일으킨다. 또한 사람에서는 도축장, 양돈장, 식육점 등의 종사자와 수의사에게 주로 감염되는 인수공통의 전염병이다. 대부분의 S. suis는 \( 6.5 \% \mathrm{~NaCl} \) 첨가배지에서는 성장하지 않으며, Voges-Proskauer (VP) test 음성을 나타내고, trehalose와 salicin 첨가 배지에서 산을 생성한다. 1951년, 네덜란드의 Jansen과 Van Dorssen에 의해 S. suis 감염이 보고된 이후 1956년, de Moor가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새로운 \(\alpha\)-용혈형성 연쇄구균군을 보고하여 Lansfield group D에 속하는 새로운 연쇄구균으로 제안된 이후 현재까지 35종의 협막혈청형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협막형 표준균주는 인체분리유래 14형, 건강한 돼지에서 분리한 17, 18, 19, 21 형, 그리고 이환된 송아지에서 분리한 31형, 이환된 양에서 분리한 33형을 제외하고 대부분 환돈에서 분리되었다. S. suis의 질병 유발인자로는 균외막을 형성하는 \( 136 \mathrm{~kDa} \) 크기의 muramidase released protein (MRP), \( 110 \mathrm{~kDa} \) 의 extracellular protein factor (EF),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hemolysin인자, capsule 등이 알려져 있다. 환돈에서 분리된 S. suis의 경우 병원성인자인 MRP와 EF인자를 대부분 가지고 있으며 건강한 자돈 분리주는 대부분 MRP와 EF인자를 유전자 내 포 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돼지에서 S. suis는 주로 16주령 이하에서 발생하며 아급성의 경우 뚜렷한 임상증상 없이 폐사하거나 대부분 뇌막염에 의한 운동실조, paddling, 안구진탕 등의 신경증상을 동반한 전구증상을 나타내고 관절염, 패혈증, 폐렴 등의 병변을 나타내며 드물게는 심내막염, 비염, 유산, 질염 등을 유발한다. S. suis는 사람 감염 예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나 돼지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며 주로 뇌막염을 일으키고 패혈증과 심내막염을 동반하여 심각한 상황에 이르게 되며 북유럽과 동남아 지역에서 증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p><p>돼지의 경우 35형의 협막혈청형 중에서 질병발생의 양상에 따라 분리균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형의 경우 이유자돈에서 패혈증과 뇌막염을 주로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네덜란드에서 병변별로 폐렴, 뇌막염, 내심근염, 다발성장 막염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각각 \( 42 \%\), \(18 \%\), \(18 \%\), \(10 \% \)의 비율로 협막 2형이 분리되었으며, 일본의 경우 뇌막염과 폐렴 병변의 이환돈에서 각각 \( 38 \% \)와 \( 33 \% \)의 2형 분리율을 보고한 바 있다. 환돈에서 분리한 대부분의 S suis는 1형에서 8형 사이의 제한적인 협막혈청형을 가지고 이중에서 2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도축 출하돈의 폐 병변과 건강한 자돈의 편도 등에서 S. suis를 분리하여 혈청형을 조사한 바 있다.</p><p>S. suis는 새로운 혈청형이 지속적으로 추가되었고 혈청형별 생화학적 특성에 다소 차이가 있어 분리주의 동정에 어려움이 있다. 건강한 돼지에서도 정상적으로 존재하므로 분리주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성상검사의 지표를 제시하여 동정에 이용하고 있으며 상용화된 세균동정킷트를 이용한 방법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질병발생의 역학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병원성인자의 확인과 더불어 PFGE (Pulsed Field Gel Electrophresis), ribotyping 등의 유전학적 분석방법을 동원하여 균의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기도 한다. 최근에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하여 균의 동정과 혈청형별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p><p>S. suis는 뇌막염 등의 질병발생 시 치료적인 항균제 처치가 곤란하나 기회감염균으로 체내에 상재되어 있는 균에 대한 예방적인 처치나 호흡기발생 시 처치를 목적으로 감수성 항균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항균제에 대한 내성양상을 관찰하기위해 지속적인 균분리 및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가검물에서 분리한 S. suis를 대상으로 PCR에 의한 균의 동정, 생화학적 성상 및 항균제 감수성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p>
|
[
"최초로 S. suis 감염이 보고된 것은 언제야?",
"몇년도에 S. suis 감염이 처음으로 보고됐어?",
"언제 처음으로 S. suis 감염이 보고되었어?",
"S. suis 감염이 최초로 보고된 날은 언제인가?",
"어느 나라 사람이 S. suis 감염을 처음 학계에 보고했어?",
"S. suis 감염을 학계에 처음 보고한 사람의 국적은 무엇인가?",
"누가 최초로 S. suis 감염을 보고했어?",
"S. suis 감염을 처음으로 보고한 사람은 누구인가?",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새로운 \\(\\alpha\\)-용혈형성 연쇄구균군이 보고된 해는 언제야?",
"언제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새로운 \\(\\alpha\\)-용혈형성 연쇄구균군이 알려졌어?",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새로운 \\(\\alpha\\)-용혈형성 연쇄구균군을 보고한 사람은 누구야?",
"어떤 사람이 생화학적 및 혈청학적으로 새로운 \\(\\alpha\\)-용혈형성 연쇄구균군을 알렸어?",
"De Moor가 1956년에 보고한 내용은 무엇이지?",
"1956년에 De Moor에 의해 어떤 것이 알려졌어?",
"현재까지 알려진 협막혈청형은 몇 종류일까?",
"현재까지 협막혈청형은 몇 종류가 보고되었을까?",
"어느 정도 기간에서 돼지의 경우 S. suis가 발생해?",
"돼지의 경우 S. suis가 일어나는 기간은 어느 정도야?",
"S. suis의 경우, 분리주의 동정이 어려운 요인은 뭐지?",
"S. suis의 경우, 어떤 이유로 분리주의 동정이 어려운가?",
"S. suis를 분리주의 동정할 경우, 어떤 방법을 많이 사용해?",
"S. suis를 분리주의 동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균의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해?",
"균의 유전학적 특서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균의 동정과 혈청형별을 위한 연구에서 최근에 사용되는 방법은 무엇이지?",
"최근에 균의 동정과 형청형별을 위한 연구에서 어떤 방법을 이용하니?",
"국내에서 도축 출하돈의 폐 병변시 어떤 방법으로 혈청형을 파악해?",
"국내에서 도축 출하돈의 폐 병변시 혈청형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얼마나 많은 종류의 협막혈청형이 현재까지 알려졌어?",
"몇 주령 이하의 기간에 S. suis가 돼지에게 발생해?",
"본 연구는 어느 지역의 양돈장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
|
d3a76816-0fc5-4a3a-bffb-16df7e24defe
|
생명LA
|
<h1>결 과</h1><h2>균의 분리 및 동정</h2><p>2004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가검물에서 분리한 S. suis의 연도별 농장별 분리내역은 Table 1과 같다. 40개 양돈장에서 61주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2005년과 2006년 분리주가 각각 22주 및 15주로 가장 많았다.</p><p>분리한 S. suis의 생화학적 성상을 검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리주 61 주 모두에서 pyruvate (VP) 음성이었고, hippurate (HIP), esculin (ESC), pyrrolidonyl 2-naphthylamide (PYRA), \(\alpha\)-D-galactopyranoside (\(\alpha\)GAL), \( \beta \)-D-glucuronate \( (\beta \) GUR), \( \beta \)-D-galactopyranoside (\( \beta \)GAL), 2-naphthyl phosphate (PAL), L-leucine-2-naphthylamide (LAP), Decarboxylation of arginine반응에서 모두 양성을 나타내었다. 당 분해능은 ribose, arabinose는 분해능이 없었으며, lactose는 모든 균주가 분해능이 있고 trehalose, inulin, raffinose, starch, glycogen은 균주마다 분해능에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전용동정프로그램 (apiweb, API 20 STREP ver 7.0)으로 동정한 결과 모두 S. suis로 동정되었다. 당 분해능의 차이에 따라 분류한 결과는 Table3 과 같다. 분리한 61주는 11개의 생물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에서 lactose, trehalose, raffinose, starch, glycogen 분해능이 있는 균주가 19주로 가장 많았으며, 모든 균주가 lactose 분해능이 있으나 mannitol과 sorbitol에 대해서 공시균주 중 각각 1주 만이 분해능이 인정되었다.</p><p>61주의 S. suis에 대하여 PCR을 이용한 16S-rRNA 유전자부위를 증폭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PCR 후 증폭산물을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자외선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 304 \mathrm{bp} \) 에서 DNA 분절이 검출되었다.</p><h2>항균제 감수성 시험</h2><p>디스크확산법에 의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Penicillin, ampicillin, amoxacillin/clablanic acid에 각각 \( 55.7 \%\), \(80.3 \%\), \(98.4 \% \)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cephalosporin 계열 중에서는 cefopherazone에 60주(\(98.4\%\))가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quinolone 계열 항균제인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에는 각각 32주(\(52.5\%\)), 39주(\(63.9\%\)), 30주(\(49.2\%\))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Aminoglycoside 계열 중에서는 spectinomycin에 35주(\(57.4\%\))가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kanamycin, amikacin, neomycin, streptomycin에는 모든 균주가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etracycline 계열인 doxycycline과 tetracycline에는 각각 10주와 1주만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p>
|
[
"PCR 후 증폭산물을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어떤 조사를 거쳐 DNA를 검출하였어?",
"PCR 후 증폭산물을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DNA를 검출한 것은 어떤 검사를 통해서야?",
"PCR 후 증폭산물을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자외선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어디에서 DNA 분절이 검출되었어?",
"PCR 후 증폭산물을 젤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자외선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DNA 분절이 나온 곳은 어느 곳이야?",
"Table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이야?",
"Table 4에서는 어떤 결과를 알 수 있어?",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는 Penicillin, ampicillin, amoxacillin/clablanic acid에 각각 몇 % 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어?",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는 Penicillin, ampicillin, amoxacillin/clablanic acid에서 보여지는 감수성은 각각 몇 %인가?",
"어느 계열 중에서 cefopherazone에 60주(\\(98.4\\%\\))가 감수성을 나타내었어?",
"cefopherazone에 60주(\\(98.4\\%\\))가 감수성을 드러낸 것은 어느 계열이야?",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 은 어느 계열 항균제이니?",
"항균제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은 계열 중 어디에 속하나?",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에는 각각 몇 \\(\\%\\) 가 감수성을 나타내었어?",
"norfloxacin, ciprofloxacin, enrofloxacin에서 보여진 감수성은 각각 몇 \\(\\%\\) 인가?",
"Aminoglycoside 계열 중에서는 spectinomycin에 몇 주가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어?",
"Aminoglycoside 계열 중에서 spectinomycin에 감수성이 드러난 것은 몇 주인가?",
"모든 균주가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물질은 무엇이야?",
"어떤 물질이 모든 균주가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는가?",
"doxycycline과 tetracycline 은 어느 계열이니?",
"Tetracycline과 doxycycline은 어느 계열이야?",
"항균제 감수성 시험에서 doxycycline과 tetracycline에는 각각 몇 주만 감수성을 나타내었어?",
"doxycycline과 tetracycline에는 항균제 감수성 시험에서 감수성이 드러난 것은 각각 몇 주인가?",
"Table 1 에 나타낸 것은 무엇이야?",
"무엇이 Table 1 에 있어?",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S. suis를 분리한 기간은 언제야?",
"언제 S. suis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나뉘었어?",
"40개 양돈장에서 몇 주가 분리 동정되었어?",
"몇 주가 40개 양돈장에서 나뉘어졌어?",
"2005년과 2006년 분리주가 각각 몇 주로 가장 많았어?",
"2005년과 2006년 가장 많은 분리주는 각각 몇 주인가?",
"분리한 S. suis의 생화학적 성상을 검사한 결과는 어느 표에서 확인할 수 있어?",
" 어느 표에서 분리한 S. suis의 생화학적 성상 검사결과를 알 수 있는가?",
"분리주 61주 모두는 반응이 어떻게 나왔어?",
"분리주 61주 모두는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분리주 61주 모두는 hippurate (HIP), esculin (ESC), pyrrolidonyl 2-naphthylamide (PYRA), \\(\\alpha\\)-D-galactopyranoside (\\(\\alpha\\)GAL), \\( \\beta \\)-D-glucuronate \\( (\\beta \\) GUR), \\( \\beta \\)-D-galactopyranoside (\\( \\beta \\)GAL), 2-naphthyl phosphate (PAL), L-leucine-2-naphthylamide (LAP), Decarboxylation of arginine반응에서 모두 무엇을 나타내었어?",
"분리주 61주 모두는 hippurate (HIP), esculin (ESC), pyrrolidonyl 2-naphthylamide (PYRA), \\(\\alpha\\)-D-galactopyranoside (\\(\\alpha\\)GAL), \\( \\beta \\)-D-glucuronate \\( (\\beta \\) GUR), \\( \\beta \\)-D-galactopyranoside (\\( \\beta \\)GAL), 2-naphthyl phosphate (PAL), L-leucine-2-naphthylamide (LAP), Decarboxylation of arginine반응에서 모두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균주마다 분해능에 차이를 나타낸 물질은 무엇이야?",
"균주마다 어떤 물질이 분해능에 차이가 났는가?",
"전용동정프로그램으로 동정한 결과 모두 무엇으로 동정되었어?",
"전용동정프로그램으로 동정한 결과 모두 동정된 것은 어떤거지?",
"Table3 은 무엇을 나타내었니?",
"Table3에서 보여주는 것은 무엇이니?",
"분리한 61주는 몇 개의 생물형으로 분류되었어?",
"분리한 61주는 생물형 몇 개로 구분되었지?",
"분리한 61주 중에서 lactose, trehalose, raffinose, starch, glycogen 분해능이 있는 균주가 몇 주로 가장 많았어?",
"분리한 61주 중에서 lactose, trehalose, raffinose, starch, glycogen 분해능이 있는 균주는 가장 많을 때가 몇 주야?",
"모든 균주에 어떤 분해능이 있어?",
"무슨 분해능이 모든 균주에 있지?",
"mannitol과 sorbitol에 대해서 공시균주 중 각각 1주만 무엇이 인정되었어?",
"mannitol과 sorbitol에 대해서 공시균주 중 승인된 각각 1주는 어떤거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어느 지방 양돈장에서 S. suis를 분리하였어?",
"2004년부터 2009년까지 S. suis는 어느 지방 양돈장에서 나뉘어졌어?",
"61주의 S.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PCR을 이용한 16S-rRNA 유전자부위를 증폭한 결과는 어떤 그림에서 확인 가능하니?",
"61주의 S.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PCR을 이용한 16S-rRNA 유전자부위를 증폭한 결과를 알 수 있는 그림은 무엇이니?"
] |
|
73227695-3a25-47ea-a3a2-89da2f19a593
|
생명LA
|
<h1>고 찰</h1><p>S. suis는 양돈산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국가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질병의 원인체이며 주로 3주에서 12주령 사이에 감염되어 뇌막염, 관절염, 심내막염, 패혈증, 폐렴, 급사 등 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최근까지 35종의 혈청형으로 분류되며 생화학적 성상이 다양하여 기존의 혈청형에 따른 균의 분류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실험에서는 상용화 균동정 킷트인 API 20 STREP과 특이 유전자부위인 16S-rRNA에 대한 PCR을 실시하여 균을 동정하고 당 및 starch의 분해능의 차이에 따른 phenotype을 조사한 바 11개의 phenotype으로 나누어졌으며 이 중에서 lactose, trehalose, raffinose, glycogen 및 starch 분해능을 가진 균주가 19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 등은 도축돈의 폐 병변에서 분리한 S. suis 50주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결과 모든 균주가 ribose(\(-\)), lactose(\(+\))이었으며, trehalose (\(93.3\%\)), inulin (\(93.3\%\)), raffinose (\(93.3\%\))라고 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inulin (\(63.9\%\))과 raffinose (\(68.9\%\)) 분해능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적은 소 등이 도축돈에서 분리한 S. suis의 생화학적 성상시험 결과와도 다소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Han 등이 도축돈에서 분리한 55주의 S. suis를 대상으로 조사한 lactose (\(96\%\)), trehalose (\(96\%\)), sorbitol (\(4\%\))의 성적과는 유사하였으며 mannitol ( \(24\%\))의 성적은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p>전 세계적으로 S. suis는 혈청형 2형이 주로 감염되어 발생하며 그 외 다른 혈청형의 분포에 대한 조사도 많이 이루어졌고, 추가로 병원성 인자인 MRP와 EF에 대한 유전자 유무를 검출하여 병원성유무를 조사하기도 하나 일부 연구에서 환돈 유래 분리주의 경우에도 MRP와 EF의 불검출 균주가 다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환돈 유래 분리주에서 MRP와 EF에 대한 유무를 조사하지는 않아 추후에 분리 장기에 따른 병원성 인자의 유무 등을 조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p><p>Aarestrup 등은 1995년에서 1996년 사이 덴마크에서 병성감정 의뢰된 돼지가검물에서 분리된 S. suis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대부분의 균주가 ampicillin 등 8종의 항균제에 감수성이 있으나 일부 균주가 tetracycline, lincomycin 및 spiramycin에는 저항성이 있다고 보고하면서 혈청형별로 감수성 약제에 차이가 있으며 분리 연도별 연쇄상구균의 혈청형에 다소 변화가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penicillin 계열과 cephalosoporin 계열 항균제에는 대부분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tetracycline 계열과 aminoglycocide 계열에는 대부분의 균주가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quinolone 계열의 항균제인 norploxacin, enrofloxacin, ciprofloxacin에도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가 다수 조사되어 Wisselink 등과 Zhu 등의 다른 연구자들의 항균제 감수성 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Marie 등은 프랑스에서 분리한 사람 및 돼지 유래 S. suis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발표하면서 \( \beta \)-lactam 계열에 대한 치료목적으로 우선 사용을 언급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도 cephalothin, cefoperazone, cefepime 및 ceftiofur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 cefepime을 제외하고 대부분 높은 감수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ams 등은 1985년부터 1989년 사이에 분리한 256주의 S. suis를 대상으로 혈청형별 항균제 감수성 양상을 조사하여 보고하면서 다소 혈청형별 차이는 있으나 tetracycline을 제외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및 ampicillin 등 8종의 항균제에 대하여 감수성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16주(\(26.2\%\))만이 감수성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설파제에 대한 내성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neomycin의 경우 전균주가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광범위한 항생제 오,남용에 의한 상재균인 S. suis의 내성획득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치료 목적 및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시에 투약제의 선정에 더욱더 신중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S. suis가 혈청형별에 따른 항균제의 감수성 차이가 여러 연구자에 의해 보고된 바있으므로 PCR 등을 이용한 S. suis의 혈청형별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혈청형 동정이 약제선정과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p>
|
[
"S. suis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어떤 산업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질병의 원인체인가?",
"어떤 산업과 관련이 높은 국가에서 S. suis라는 세균성 질병의 원인체가 생겨?",
"양돈산업의 중요한 세균성 질병의 원인체인 S. suis에 감염되면 증상이 어떻게 돼?",
"어떤 증상들이 양돈산업의 중요한 세균성 질병의 원인체인 S. suis에 감염되는 증상들이야?",
"S. suis는 기존의 혈청형에 따른 균의 분류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데 최근까지 어떻게 분류되었나?",
"혈청형에 따른 균의 분류는 최근에 어떻게 나뉘었어?",
"본 실험에서는 어떤 것들에 대한 PCR을 실시하여 균을 동정하였는가?",
"본 실험에서 PCR 검사를 하여 균을 동정한 것은 무엇인가?",
"구 등은 무엇에서 분리한 S. suis 50주를 대상으로 생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는가?",
"구 등은 생화학적 성상을 분석하기 위해 S. suis 50주를 어디에서 추출하였는가?",
"구 등은 도축돈의 폐 병변에서 분리한 S. suis 50주를 대상으로 어떤 조사를 하여 모든 균주가 ribose(\\(-\\)), lactose(\\(+\\))이었다고 했나?",
"도축돈의 폐 병변에서 분리한 S. suis 50주를 대상으로 구 등은 어떤 검사를 하여 모든 균주가 ribose(\\(-\\)), lactose(\\(+\\))임을 밝혔나?",
"전 세계적으로 S. suis는 주로 어떤 것이 감염되어 발생하는가?",
"S. suis는 전 세계적으로 어떤 것에 주로 감염되어 나타나?",
"Marie 등이 프랑스에서 분리한 사람 및 돼지 유래 S. suis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발표하면서 우선 사용을 언급한 것은 무엇인가?",
"프랑스에서 Marie 등이 분리한 사람 및 돼지 유래 S. suis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발표하면서 가장 먼저 무슨 목적으로 사용하자고 했어?",
"실험 결과 치료 목적 및 예방적 항균제의 사용시에 투약제 선정에 신중을 기울이지 않으면 어떻게 돼?",
"투약제 선정에 조심을 가하지 않고 실험 결과 치료 목적 및 예방적 항균제를 사용 시 무슨 결과가 발생해?"
] |
|
ea0dcd46-780e-4cae-8c07-2144732318ae
|
생명LA
|
<h1>초록</h1><p>Streptococcus suis는 사람과 돼지에서 다양한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체이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성상, 약제감수성 시험 및 PCR을 이용한 동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개 농장에서 분리한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생화학적 성상시험 결과 모두 S.suis로 동정되었으며, VP 음성, hippurate, esculin, arginine decarboxylase 양성, lactose 분해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rehalose와 starch 분해능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생화학적 성상에 따른 phenotype은 11형으로 나누어졌다.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대부분의 균주가 amoxicillin/clavulanic acid, ampicillin, cephalothin, cefoperazone, florfenicol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지만 amikacin,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erythromycin, clindamycin, tetracycline에는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16S-rRNA 특이유전자 부위를 이용한 PCR 결과 공시균주 모두 304 bp에서 증폭산물이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돼지에서 S. suis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p>
|
[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성상, 약제감수성 시험 및 PCR을 이용한 동정을 실시하였을때 비교적 높게 나타난 분해능은 무엇인가?",
"본문 연구결과를 통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과 돼지에서 다양한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체은 무엇인가?",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성상, 약제감수성 시험 및 PCR을 이용한 동정은 어디에서 실시 하였는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성상, 약제감수성 시험 및 PCR을 이용한 동정은 몇 년도에 진행되었는가?",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경북지방 양돈장에서 병성감정 의뢰한 돼지 가검물을 대상으로 S. suis를 분리할때여 동정으 실시할때 이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40개 농장에서 분리한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생화학적 성상시험 결과 모두 S.suis로 동정되었는데 이때 이용된 방법은 무엇인가?",
"40개 농장에서 분리한 61주의 S. suis에 대하여 생화학적 성상시험 결과에서 나타난것은 무엇인가?",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에서 높은 감수성을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높은 내성을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16S-rRNA 특이유전자 부위를 이용한 PCR 결과 증폭산물이 관찰된 곳은 어디인가?"
] |
|
59bf73bd-ea27-44fb-b70e-a1e5e4e2b5de
|
생명LA
|
DMPT(dimethy|\(\beta\)-propiothetin)첨가가 조피볼락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
<h2>실험어 체성분 분석</h2><h3>1) 분석 대상어 선정</h3><p>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 선정은 먼저 사육 개시시점에 무작위로 30마리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사육 개시 4주 및 8주 후에는 각 실험구별로 1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분석과정 중 모든 시료는 냉동 보관 (\( -30^{\circ} \mathrm{C} \))하였다.</p><h3>2) 일반성분의 분석</h3><p>일반 성분은 상법에 따라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단백질은 semi-micro Kjeldahl법, 지방은 Soxhlet법, 회분은 직접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p><h3>3) 구성 아미노산 분석</h3><p>시료 \( 0.5 \mathrm{g} \)을 취하여 유리 ample에 넣고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질소가스로 충진한 뒤 \( 110^{\circ} \mathrm{C} \)의 sand bath에서 24시간 가수분해하였다. 분해액을 glass filter로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여 \( \mathrm{HCl} \)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증류수 \( 10 \mathrm{~m} \ell \)를 가하여 다시 감압 건조하였다. 이어서 \( \mathrm{pH} 2.2 \)의 구연산 완충액으로 \( 100 \mathrm{~m} \ell \)로 정용한 다음 아미노산 자동분석기(Pharmacia, Biochrom 20, Cambridge, England)로 분석하였다.</p><h3>4) 지방산 분석</h3><p>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Bligh & Dyer법에 따라 총지질을 추출하여 혼합지방산을 제조하였고, \( 3 \% \) 황산메탄올로써 지방산 methylester로 조제하여 GC (gas chromatography, shimadzu GC-17A, Kyoto, Japan)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는 capillary column (\( 0.25 \mu \mathrm{m} \) DB-wax fused silica, \( 0.32 \mathrm{~mm} \) I.D., \(30\mathrm{m}\))을 사용하여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8분간 유지시킨 후 \( 3^{\circ} \mathrm{C} / \mathrm{min} \) 속도로 \( 230^{\circ} \mathrm{C} \)까지 승온하였고, injector와 detector 온도는 \( 250^{\circ} \mathrm{C} \)였다. 이동상은 \( \mathrm{He} \) gas를 \( 1 \mathrm{ml} / \mathrm{min}\)로 흘렸으며 FID detector로 검출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산 정량을 위하여 외부표준폼으로 14:0, 16:0, 18:0, 20:0, 22:0, 24: 0, 14:1, 16:1n-7, 18:1n-7, 18:1n-9, 20:1n-9, 22:1n-9, 18:2n-6, 20:2n-6, 18:3n-3, 20:3n-6, 20:3n-3, 18:4n-3, 20:4n-6, 20:4n-3, 22:4n-6, 20:5n-3, 22:5n-6, 22:5n-3 및 22:6n-3 (Sigma, 순도 \( 99 \% \) 이상)을 사용하였고, 정량은 data system CLASS-GC10 (Shimadzu Seisakusha Co. Ltd. Kyoto, Japan)을 이용하여 시료 건조물에 대한 각 지방산의 \( \mathrm{mg} / 100 \mathrm{~g} \)으로 나타내었다.</p><h2>통계분석</h2><p>모든 실험결과는 SPSS professional statistics Ver. 7.5 (SPSS Inc, 1997)를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평균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 p<0.05 \) 수준에서 행하였다.</p>
|
[
"시료 몇 \\( \\mathrm{g} \\)을 취하여 유리 ample에 넣었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 선정은 먼저 사육 개시시점에 무작위로 몇마리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는가?",
"분석과정 중 모든 시료는 냉동 보관을 몇 (\\( ^{\\circ} \\mathrm{C} \\))에서 진행하였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의 사육 개시 4주 및 8주 후에는 각 실험구별로 몇 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의 사육 개시 4주 및 8주 후에는 각 실험구별로 2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 선정은 먼저 사육 개시시점에 무작위로 20마리 사용하였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 선정은 먼저 사육 개시시점에 무작위로 30마리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사육 개시 5주후에 각 실험구별로 1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는가?",
"성분분석에 사용한 실험어 선정은 먼저 사육 개시시점에 무작위로 30마리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사육 개시 몇 주후에 각 실험구별로 10마리씩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는가?",
"일반 성분은 상법에 따라 수분은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일반 성분은 상법에 따라 지방은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일반 성분은 상법에 따라 단백질은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수분은 semi-micro Kjeldahl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일반 성분은 상법에 따라 회분은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였는가?",
"시료 \\( 0.5 \\mathrm{g} \\)을 취하여 유리 ample에 넣고 \\( 6 \\mathrm{~N} \\mathrm{~HCl} \\) 몇 \\( \\mathrm{m} \\ell \\)을 가하였는가?",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한 후 어떤 가스를 이용하여 충전하였는가?",
"시료 \\( 0.5 \\mathrm{g} \\)을 취하여 어디에 넣었는가?",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질소가스로 충전한 뒤 몇 \\( ^{\\circ} \\mathrm{C} \\)의 sand bath에서 24시간 가수분해하였는가?",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질소가스로 충전한 뒤 \\( 110^{\\circ} \\mathrm{C} \\)의 온도에서 24시간 가수분해한 곳은 어디인가?",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질소가스로 충진한 뒤 \\( 110^{\\circ} \\mathrm{C} \\)의 sand bath에서 24시간동안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질소가스로 충진한 뒤 \\( 110^{\\circ} \\mathrm{C} \\)의 sand bath에서 몇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는가?",
"분해액을 무엇으로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였는가?",
"시료 \\( 0.5 \\mathrm{g} \\)을 취하여 유리 ample에 넣고 \\( 6 \\mathrm{~N} \\mathrm{~HCl} \\) \\( 3 \\mathrm{m} \\ell \\)을 가하여 수소가스로 충진하였는가?",
"무엇을 glass filter로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였는가?",
"\\( \\mathrm{HCl} \\)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어떤 용액 \\( 10 \\mathrm{~m} \\ell \\)를 가하였는가?",
"\\( \\mathrm{HCl} \\)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증류수 몇\\( \\mathrm{~m} \\ell \\)를 가하였는가?",
"분해액을 glass filter로 여과하고 감압 건조하여 어떤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였는가?",
"\\( \\mathrm{HCl} \\)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증류수 \\( 10 \\mathrm{~m} \\ell \\)를 가한 후 어떤 과정을 수행하였는가?",
"분해액을 glass filter로 여과하고 어떤 과정을 진행하였는가?",
"분해액을 감압 건조한 후 glass filter로 여과하였는가?",
"\\( \\mathrm{pH} 2.2 \\)의 어떤 용액 \\( 100 \\mathrm{~m} \\ell \\)을 사용하여 정용하였는가?",
"\\( \\mathrm{pH} 2.2 \\)의 구연산 완충액으로 몇\\( \\mathrm{~m} \\ell \\)로 정용한 다음 아미노산 자동분석기(Pharmacia, Biochrom 20, Cambridge, England)로 분석하였는가?",
"\\( \\mathrm{HCl} \\)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감압 건조를 진행하고 그 후에 증류수를 가하였는가?",
"\\( \\mathrm{pH} 2.2 \\)의 구연산 완충액으로 \\( 100 \\mathrm{~m} \\ell \\)로 정용한 다음 어떤 장치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는가?",
"분석조건으로는 capillary column (\\( 0.25 \\mu \\mathrm{m} \\) DB-wax fused silica, \\( 0.32 \\mathrm{~mm} \\) I.D., \\(30\\mathrm{m}\\))을 사용하여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몇 분간 유지시켰는가?",
"\\( 3 \\% \\) 황산메탄올을 사용하여 무엇을 조제하였는가?",
"\\( 3 \\% \\) 황산메탄올로써 지방산 methylester로 조제하고 이것을 어떤 방식으로 분석하였는가?",
"아미노산 자동분석기(Pharmacia, Biochrom 20, Cambridge, England)로 분석을 진행한 후 \\( \\mathrm{pH} 2.2 \\)의 구연산 완충액으로 \\( 100 \\mathrm{~m} \\ell \\)로 정용하였는가?",
"\\( \\mathrm{pH} 2.2 \\)의 구연산 완충액으로 \\( 100 \\mathrm{~m} \\ell \\)로 정용한 다음 아세트산 자동분석기로 분석하였는가?",
"Bligh & Dyer법에 따라 총지질을 추출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8분간 유지시킨 후 \\( 3^{\\circ} \\mathrm{C} / \\mathrm{min} \\) 속도로 몇 \\( ^{\\circ} \\mathrm{C} \\) 까지 승온하였는가?",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8분간 유지시킨 후 \\( 3^{\\circ} \\mathrm{C} / \\mathrm{min} \\) 속도로 \\( 230^{\\circ} \\mathrm{C} \\)까지 승온하였을 때 무엇의 온도가 \\( 250^{\\circ} \\mathrm{C} \\)였는가?",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8분간 유지시킨 후 \\( 3^{\\circ} \\mathrm{C} / \\mathrm{min} \\) 속도로 \\( 230^{\\circ} \\mathrm{C} \\)까지 승온하였다. 이때 injector와 detector 온도는 몇 \\( ^{\\circ} \\mathrm{C} \\)였는가?",
"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어떤 방법에 따라 총지질을 추출하였는가?",
"\\( 3 \\% \\) 황산메탄올로써 지방산 methylester로 조제하고 어떤 분석조건 하에서 GC (gas chromatography, shimadzu GC-17A, Kyoto, Japan)로 분석하였는가?",
"분석조건으로는 capillary column (\\( 0.25 \\mu \\mathrm{m} \\) DB-wax fused silica, \\( 0.32 \\mathrm{~mm} \\) I.D., \\(30\\mathrm{m}\\))을 사용하여 몇 \\( ^{\\circ} \\mathrm{C} \\)로 승온하였는가?",
"\\( 180^{\\circ} \\mathrm{C} \\)로 승온하여 8분간 유지시킨 후 몇 \\( ^{\\circ} \\mathrm{C} / \\mathrm{min} \\) 속도로 \\( 230^{\\circ} \\mathrm{C} \\)까지 승온하였는가?",
"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Bligh & Dyer법에 따라 무엇을 추출하였는가?",
"무엇을 제조하기 위해 Bligh & Dyer법에 따라 총지질을 추출하였는가?",
"몇 \\( \\% \\)의 황산메탄올을 이용하여 지방산 methylester을 조제하였는가?",
"\\( 3 \\% \\)의 어떤 시약을 사용하여 지방산 methylester를 조제하였는가?",
"이동상은 어떤 기체를 \\( 1 \\mathrm{ml} / \\mathrm{min}\\)의 속도로 흘려 검출하였는가?",
"이동상은 \\( \\mathrm{He} \\) gas를 몇 \\( \\mathrm{ml} / \\mathrm{min}\\)로 흘려 검출하였는가?",
"이동상은 \\( 1 \\mathrm{ml} / \\mathrm{min}\\)속도로 흘린 \\( \\mathrm{He} \\) gas를 무엇을 통해 검출하였는가?",
"무엇을 알아내기 위하여 외부표준폼을 참고하였는가?",
"본 글에 해당하는 모든 실험은 어떤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가?",
"모든 실험결과는 SPSS professional statistics Ver. 7.5 (SPSS Inc, 1997)를 사용하였고 이를 통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어떤 테스트를 통해 각 평균간의 유의성 검정이 \\( p<0.05 \\) 수준에서 행하였는가?",
"각 평균간의 유의성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어떠한 기준 하에서 행하였는가?"
] |
9495bcb4-28ec-4b33-9c26-dcdfdbe9a6e0
|
생명LA
|
DMPT(dimethy|\(\beta\)-propiothetin)첨가가 조피볼락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
<h1>재료 및 방법</h1><h2>DMPT 조제</h2><p>DMPT (dimethyl- \( \beta \)-propiothetin)의 합성은 DMS (dimethyl sulfide)와 3-bromopropionic acid를 등량의 mol로 하여 \( 40^{\circ} \mathrm{C} \)에서 12시간 환류하여 합성시켰다. 그리고 냉각된 ether로 수세하여 정제하고 methanol에서 결정화시켰다. DMPT의 정량은 \( 10 \mathrm{m \ell} \) vial에 표준품을 넣고 포화 NaOH를 \( 5 \mathrm{m \ell} \)를 첨가하여 \( 50^{\circ} \mathrm{C} \)에서 3분간 가온해서 headspace gas를 gas tight syringe로 GC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Data system으로 CLASS-GC10 (Shimadzu, Kyoto, Japan)을 이용하여 DMPT로부터 분해되어 발생한 DMS의 양에 2.1을 곱해서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합성하여 얻어진 결정을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 99 \% \) 였다.</p><h2>실험 사료 제조</h2><p>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사료는 Table 1과 같이 제조하였다. 즉, 실험 사료 1은 실험용 배합사료에 DMPT를 무첨가한 대조구와 실험 사료 2, 3, 4, 5는 각각 DMPT를 \( 3 \mathrm{mM}\), \(5 \mathrm{mM}\), \(7 \mathrm{mM}, 10 \mathrm{mM} \)씩 첨가하였다. 실험용 배합사료의 단백질원으로서는 어분을, 지질원으로는 대구간유를, 탄수화물원으로는 덱스트린을 사용하였다. 혼합 원료들을 잘 혼합한 후 원료 \( 100 \mathrm{~g} \)당 물 \( 40 \% \)를 첨가하여 모이스트펠렛 제조기로 실험 사료를 압출 성형하였으며 제조된 실험 사료는 \( -30^{\circ} \mathrm{C} \)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제조된 총 5 가지 실험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 50.7 \% \), 조지방은 \( 6.6 \% \) 및 조회분은 \( 13.2 \% \) 였다.</p><h2>실험어 및 사육관리</h2><p>실험에 사용한 조피볼락은 전라남도 수산시험연구소 수산종합관 종묘배양장에서 생산된 것을 시판배합사료로 4주간 예비사육을 시킨 다음 주 사육 실험전 실험사료의 적응을 위해 2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사료의 적응이 끝난 후 주 사육 실험을 위해 전일 절식시킨 후 어체를 측정하고 \( 100 \ell \) 수조에 30마리씩 5개 수조에 수용하여 1998년 9월 11일부터 11월 6일까지 8주간 사육 실험을 하였다.</p><p>평균체중 \( 5.5 \mathrm{~g} \) 내외로 먹이는 1일 2회(오전 9시, 오후 5시)에 만복에 가깝게 급여하였으며, 사육수는 여과 해수를 사용하여 유수량은 \( 5 \ell / \mathrm{min} \)로 조절하였고 적절한 산소 공급을 위해 각 실험수조에 에어스톤을 설치하였다. 사육기간 중의 수온은 \( 19.5^{\circ} \mathrm{C} \sim 24.5^{\circ} \mathrm{C} \)였으며, 비중은 1.024~1.026 범위였다.</p><h2>실험어 성장 측정</h2><p>실험어의 체장과 체중은 사육개시전과 사육 2주, 4주, 6주 및 8주 후에 미리 24시간 절식시킨 후 무작위적으로 10마리를 취하여 MS-222(3-Aminobenzoic acid ethyl ester) \( 100 \mathrm{~ppm} \)으로 마취시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측정하였다.</p>
|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사료는 무엇과 같이 제조했어?",
"DMPT의 합성은 얼마동안 환류하여 합성시켰는가?",
"지문에서 언급한 무엇을 통해 수세하여 정제했어?",
"합성하여 얻어진 결정을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순도는 얼마야?",
"냉각된 ether로 수세하여 정제하고 어디에서 결정화시켰어?",
"사육수는 여과 해수를 사용하여 유수량을 얼마로 했어?",
"적절한 산소 공급을 위해 각 실험수조에 설치한 것은 뭐야?",
"실험에 사용한 조피볼락은 어디에서 생산된 거야?",
"Data system으로 무엇을 이용했어?",
"제조된 총 5 가지 실험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몇 %야?",
"실험어로 몇 마리를 취하했어?",
"DMPT 합성은 \\( 45^{\\circ} \\mathrm{C} \\)에서 시행했는가?",
"실험사료의 적응이 끝난 후 주 사육 실험을 위해 무엇을 했어?"
] |
95acce7c-801c-42b0-8ddc-c1d4b61bc3bb
|
생명LA
|
DMPT(dimethy|\(\beta\)-propiothetin)첨가가 조피볼락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
<h1>요 약</h1><p>수산물 중에 다량으로 분포하는 섭이촉진물질로 알려진 DMPT의 추출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DMPT를 \( 3 \mathrm{mM}\), \(5 \mathrm{mM}\), \(7 \mathrm{mM}\), \(10 \mathrm{mM} \)로 첨가한 실험용 사료로 8주간 사육한 조피볼락의 성장효과 및 어체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p><ol type=1 start=1><li>DMPT를 첨가하지 않은 데조구의 체중중가율은 약 1.2배였으나 \( 10 \mathrm{mM} \)을 첨가한 사료의 경우는 약 1.4배로 성장효과가 크게 증가하였고, 사료효율 및 사료 섭취량도 많아 DMPT가 사료 섭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li><li>일반성분 변화를 보면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은 감소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었다.</li><li>아미노산 함량의 변화에서는 대조구가 \( 3286.3 \mathrm{mg} \% \)에 비하여 \( 10 \mathrm{mM} \) 첨가구에서는 \( 3568.3 \mathrm{mg} \)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DMPT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는 서로 비슷한 경향이었다.</li><li>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개시전과 대조구에 비하여 DMPT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지방산의 함량도 증가하여 지방의 함량 변화와 일치하였다.</li></ol>
|
[
"DMPT는 사료 섭이를 촉진을 막지?",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개시전과 대조구에 비하여 DMPT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지방산의 함량도 증가하여 지방의 함량 변화와 일치하지 않지?",
"일반성분 변화를 보면 DMPT의 농도가 낮을수록 수분 함량은 감소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야?",
"DMPT는 8주간의 데조구 성장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
"수산물 중에 다량으로 분포하는 섭이촉질물질을 뭐라고 해?",
"어떤 섭이촉질물질이 수산물 중에 다량으로 분포하지?",
"8주간의 대조구의 체중증가률을 통해 DMPT는 대조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어?",
"DMPT가 대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8주간의 대조구의 체중증가률을 통해 알 수 있어?",
"일반성분 변화에서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어떤 함량이 감소해?",
"어떤 함량이 일반성분 변화에서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줄어들까?",
"일반성분 변화를 보면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 함량은 감소하고 어떤 두 가지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일반성분 변화를 보면 DMPT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두 가지의 함량은 무엇이 있을까?",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에서는 대조구가 \\( 3286.3 \\mathrm{mg} \\% \\)에 비하여 \\( 10 \\mathrm{mM} \\) 첨가구에서는 \\( 3568.3 \\mathrm{mg} \\)로 낮게 값을 나타내어 DMPT 첨가구가 낮게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는 서로 비슷한 경향이야?"
] |
4bfba3ab-1cb4-47bf-8482-1e6b9e07b5c9
|
생명LA
|
DMPT(dimethy|\(\beta\)-propiothetin)첨가가 조피볼락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
<h1>서 론</h1><p>섭이촉진물질은 미량으로 첨가되기 때문에 영양원으로서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지만 동일 사료군의 사료효율을 크게 증진할 뿐만 아니라 허실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사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양식기간이 길어지면 값비싼 사료의 양이 많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료 확보의 어려움도 뒤따르고, 시설비 및 시설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며 질병이나 재해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양식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어종별 섭이촉진물질 또는 성장촉진제의 활용은 해산어 양식용 배합사료의 합리적인 가공 최적화 및 양식산업의 대내외 경쟁력 확보를 위해도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p><p>물고기의 섭이유인물질로서 패류나 갑각류 등에 많이 함유된 \( \alpha \)-alanine과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이 유효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수산생물에서 많이 존재하는 DMPT와 유사화합물인 dimethylthetin, diprophylthetin, dibuthylthetin이나 dimethyl- \( \gamma \)-buthylothetin, diethyl propiothetin 등의 sulfonium 화합물에서 높은 유인성이 확인되고 있고, 뿐만 아니라 성장촉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작용기작에 대하여는 DMPT가 vitamin 또는 hormone과 유사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 되고 있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물 중에 다량으로 축적되는 DMPT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MPT의 농도를 달리 첨가한 사료를 조피볼락에 투여하여 어체의 성장 및 체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p>
|
[
"동일 사료군의 사료효율을 크게 증진하고 사료비 부담을 줄이고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는 물질은 뭐야?",
"어떤 물질이 동일 사료군의 사료효율을 크게 증진하고 사료비 부담을 경감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미량 첨가된 섭이촉진물질은 영양원으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영양원으로서의 극소량 첨가된 섭이촉진 물질은 효과적인가?",
"섭이촉진물질의 기대 효과는 무엇인가?",
"섭이촉진물질은 어떤 기대 효과를 가지고 있어?",
"미량으로 첨가된 섭이촉진물질은 동일 사료군의 사료효율을 증진 시킬수 있는가?",
"동일 사료군의 사료효율은 미량으로 첨가된 섭이촉진물질를 이용해서 증진이 가능해?",
"섭이촉진물질 첨가로 사료비 부담이 줄어드는 이유는 뭐야?",
"어떤 이유에서 섭이촉진물질을 첨가했을 때 사료비 부담이 경감될까?",
"양식기간이 길어지면 생기는 현상은 뭐야?",
"양식기간이 길어지면 무슨 현상이 생겨나니?",
"양식기간이 길어져서 생기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은 뭐야?",
"양식기간이 길어져서 생기는 단점은 어떤 방식으로 보완이 가능해?",
"고기의 섭이유인물질로 유효한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고기의 섭이유인물질로 유효할까?",
"물고기의 섭이유인물질로 유효한 아미노산은 어디에 많은가?",
"어디에 물고기의 섭이유인물질로 유효한 아미노산이 풍부해?",
"DMPT가 많이 존재하는 생물은 뭐야?",
"어떤 생물에 DMPT가 많이 함유되었있어?",
"DMPT와 sulfonium 화합물에서 확인되는 유인성의 정도는 어때?",
"유인성은 DMPT와 sulfonium 화합물에서 어느정도로 관찰 돼?",
"성장촉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것은 뭐야?",
"어떤 물질이 성장촉진에도 효과가 있어?",
"DMPT와 유사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물질이 DMPT와 비슷한 기능을 할 가능성이 있어?",
"어체의 성장 및 체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토로 알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체의 성장 및 체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어떤 것 알 수 있어?",
"DMPT의 효과적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인가?",
"어떤 방식을 통해서 DMPT를 효과적 활용할 기초 자료를 제작할 수 있어?"
] |
aa47a790-9a31-41b8-923b-b26434799a41
|
생명LA
|
DMPT(dimethy|\(\beta\)-propiothetin)첨가가 조피볼락의 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
|
<h1>결과 및 고찰</h1><h2>실험어의 성장효과</h2><p>DMPT의 농도에 따른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DMPT를 첨가한 사료를 섭이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DMPT 첨가 농도를 높임에 따라서 높은 성장효과를 나타내었다.</p><p>실험 8주 후 체중증가율은 대조구에 비해 \( 5 \mathrm{mM} \) DMPT 첨가구는 약 1.2배, \( 10 \mathrm{mM} \) 첨가구는 약 1.4배로 DMPT 첨가 실험구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Nakajima 등이 참돔의 경우 \( 5 \mathrm{mM} \) 농도로 DMPT를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인 결과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어종에 따른 첨가 농도의 차이로 생각되어진다.</p><p>사료 섭취량도 DMPT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나, DMPT가 섭이자극을 일으켜 사료섭취량이 증가하므로서 체중증가율도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p><h2>실험어의 성분변화</h2><p>실험개시전과 실험종료후 일반성분 변화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실험개시전 수분 함량이 \( 78.1 \% \)에서 실험종료 후 DMPT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체중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이 줄어든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DMPT 농도가 증가할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회분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DMPT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p><p>실험사료의 아미노산 조성과 실혐어의 아미노산 조성의 변화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실험사료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lysine, alanine, leuc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의 함량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cystine과 histidine이 낮은 함량을 보였다.</p><p>실험개시전 실험어의 아미노산 함량은 어육 \( 100 \mathrm{~g} \)당 \( 3637.8 \mathrm{mg} \% \)였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alanine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종료후 대조구와 비교해 조성에 있어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한편, 실험종료후 각 실험구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가 \( 3286.3 \mathrm{mg} \% \)인데 비해서 \( 5 \mathrm{mM} \) 첨가구가 \( 3544.2 \mathrm{mg} \% \), \( 10 \mathrm{mM} \) 첨가구가 \( 3568.3 \mathrm{mg} \% \)로 나타나 DMPT 첨가 농도가 클수록 증가하였고, 실험구간의 조성비는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DMPT의 섭이촉진 및 성장효과에 의한 체내 단백질 함량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p><p>실험사료의 지방산 조성과 실험어의 실험개시전과 실험종료후의 지방산 변화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포화지방산이 \( 844.4 \mathrm{mg} \% \), 모노엔산이 \( 1415 \mathrm{mg} \% \), 폴리엔산이 \( 2361.3 \mathrm{mg} \% \)로 폴리엔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n-3계 지방산 함량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탄소수로 보면 C18 지방산이 \( 1659.8 \mathrm{mg} \%\), C22 지방산이 \( 1233.6 \mathrm{mg} \% \)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사료의 총 지방산 함량은 \( 4620.7 \mathrm{mg} \% \) 였다. 실험개시전의 총 지방산 함량은 \( 1414.5 \mathrm{mg} \)였으며, 지방산 조성을 보면 C18 지방산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n-6계 지방산의 함량이 n-3계 지방산보다 높은 함량이었다. 실험종료후 대조구와 DMPT를 첨가한 실험구간의 총 지방산 함량을 보면 대조구에 비하여 DMPT 첨가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DMPT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방산 조성을 보면 실험구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실험구 모두에서 사료의 지방산 조성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p><p>담수어인 무지개송어는 linolenic acid를 잉어는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한다. 그러나 해산어인 참돔과 방어는 EPA와 DHA 같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한다. 조피볼락에서도 EPA 및 DHA와 같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이 필수지방산으로 역할을 하며, DHA}가 EPA보다 필수지방산으로서의 효과가 우수하다. 실험사료에서 지질원으로 사용된 대구간유에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럄 첨가되어 실험어의 지방산 조성의 사료의 영향으로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값을 보였다. 또 DMPT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EPA 및 DHA의 함량이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증가를 보였고 지방의 함량 변화와 일치하였다.</p><p>이상과 같이 DMPT의 농도를 각각 \( 3 \mathrm{mM}\), \(5 \mathrm{mM}\), \(7 \mathrm{mM} \) 그리고 \( 10 \mathrm{mM} \)로 사료에 첨가하여 조피볼락을 8주간 사육한 결과, 체중증가율, 사료 섭취율 및 사료효율이 DMPT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보여 DMPT가 섭이유인물질 및 성장촉진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효과에 대한 작용기구에 대해서는 DMPT가 비타민이나 에너지원 또는 호르몬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이 검토중에 있다. 따라서, 수산물 중에 다량으로 분포하는 DMPT를 경제적으로 추출 정제하여 어종에 따라 적정투여 함량을 결정하고, 사육기간을 단축시키며 양식수산물의 맛과 육질개선 등의 품질향상에도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p>
|
[
"성장의 차이는 무엇의 첨가 농도에 따라 달라지니?",
"무엇의 첨가 농도에 따라 성장이 차이나?",
"DMPT 첨가 농도를 다르게 하여 무엇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거야?",
"DMPT 첨가 농도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험한 것인가?",
"실험에서 높은 성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DMPT의 무엇을 높였지?",
"DMPT의 무엇을 높여 높은 성장 효과를 확인하였는가?",
"실험구에게 높은 농도의 DMPT를 첨가한 무엇을 먹인 거야?",
"무엇에 높은 농도의 DMPT를 첨가해 실험구에게 먹였는가?",
"무엇이 DMPT가 첨가된 사료를 먹었지?",
"DMPT가 첨가된 사료를 먹은 것은 무엇인가?",
"실험구는 DMPT가 첨가된 사료를 먹였고 무엇은 DMPT가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먹었니?",
"DMPT가 첨가된 사료를 먹은 것이 실험구일 때, DMPT가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먹은 것은 무엇인가?",
"대조구는 DMPT를 첨가한 사료를 먹고 성장효과를 보았니?",
"DMPT가 들어간 사료를 먹고 대조구는 성장효과를 보였나?",
"DMPT는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게 맞니?",
"성장에 DMPT가 영향을 미치는 게 맞지?",
"사료에 DMPT 첨가를 높이면 성장 효과도 높아지는 게 맞니?",
"사료에 DMPT를 더 첨가하면 성장 효과도 증가하는가?",
"체중증가율 조사는 실험을 시작하고 얼마의 시간이 지나고 한거야?",
"실험을 시작하고 얼마 후에 체중증가율 조사를 하였는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더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은 무엇이지?",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더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은 무엇이지?",
"무엇이 대조구보다 약 1.2배 높은 체중증가율을 보여 주었어?",
"대조구보다 약 1.2배 높은 체중증가율을 보여준 것은 무엇인가?",
"\\( 10 \\mathrm{mM} \\) DMPT첨가구는 8주 후 체중증가율이 얼마로 나왔지?",
"8주 후 체중증가율은 \\( 10 \\mathrm{mM} \\) DMPT첨가구에서 얼마인가?",
"\\( 5 \\mathrm{mM} \\) 농도로 DMPT를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가 대조구보다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인 어종은 무엇이지?",
"어떤 어종에서 \\( 5 \\mathrm{mM} \\) 농도로 DMPT를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가 대조구보다 약 2.5배의 증가율을 가졌는가?",
"DMPT를 첨가하여 사육한 참돔은 대조구에 비하여 약 5배의 증가율을 보여준 게 맞니?",
"대조구에 비하여 DMPT를 첨가하여 사육한 참돔이 약 5배의 증가율을 보여줬는가?",
"Table 3는 실험 개시 전후의 일반성분 변화를 나타내는 게 맞니?",
"Table 3는 실험 개시 전후의 일반성분 변화를 보여주는 게 맞니?",
"실험개시전보다 실험종료 후 DMPT 농도가 증가하면 무엇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지?",
"실험종료 후 실험개시전보다 DMPT 농도가 증가하면 무엇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지?",
"수분 함량은 실험 개시 전보다 실험 종료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니?",
"실험 개시 전보다 실험 종료 후에 수분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가졌나?",
"DMPT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분함량은 실험 개시 전에 얼마였어?",
"실험 개시 전에 DMPT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분함량은 얼마였는가?",
"이 결과는 체중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이 늘어난다는 보고와 일치하니?",
"이 결과는 체중이 증가할수록 수분 함량이 늘어난다는 보고와 부합하나?",
"DMPT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무엇이야?",
"무엇이 DMPT에 영향을 받지 않는가?",
"DMPT에 영향을 받고 DMPT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무엇이지?",
"무엇이 DMPT에 영향을 받고 DMPT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가?",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은 DMPT 농도가 증가할수록 대조구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니?",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은 DMPT 농도가 높아질수록 대조구보다 다소 많아지는 경향을 가지는가?",
"실험사료의 아미노산인 cystine과 histidine은 다른 아미노산의 함량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게 맞아?",
"다른 아미노산의 함량에 비해 실험사료에서 아미노산인 cystine과 histidine이 높은 값을 가지는가?",
"실험 종료 후의 대조구와 비교해 조성에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고, 실험어의 어육 \\( 100 \\mathrm{~g} \\)당 \\( 3637.8 \\mathrm{mg} \\% \\)를 함량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이지?",
"무엇이 험 종료 후의 대조구와 비교해 조성에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고, 실험어의 어육 \\( 100 \\mathrm{~g} \\)당 \\( 3637.8 \\mathrm{mg} \\% \\)를 함량하고 있지?",
"실험어는 실험 개시 전후 대조구와 비교에서 아미노산의 무엇이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은 거야?",
"실험어는 실험 시작 전후 대조구와 비교에서 아미노산의 무엇이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은 거야?",
"실험어의 실험 시작 전 아미노산 함량은 어육 무게 얼마일 때 \\( 3637.8 \\mathrm{mg} \\% \\)이지?",
"실험어의 실험 시작 전 아미노산 함량이 \\( 3637.8 \\mathrm{mg} \\% \\)일 때 어육 무게는 얼마지?",
"대조구와 실험어의 실험 종료 전후 비교는 아미노산 조성에 큰 변화가 나타난다는 게 맞니?",
"실험어와 대조구의 실험 종료 전후를 비교했을 때 아미노산 조성 변화가 큰가?",
"DMPT 첨가 농도가 클수록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 하였니?",
"아미노산 함량은 DMPT 첨가 농도가 클수록 감소하였나?",
"이 실험으로 각 실험구의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아미노산 함량이 달라지는 것과 무엇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니?",
"이 실험으로 무엇과 각 실험구의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아미노산 함량이 달라지는 것이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나?",
"Table 5는 실험사료의 지방산 조성 외에 실험 개시 전과 종료 후의 무엇의 지방산 변화를 보여주는 거지?",
"Table 5는 실험 개시 전과 종료 후의 무엇의 지방산 변화를 실험사료의 지방산 조성 외에 보여주는가?",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지방산 조성 중에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이지?",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지방산 조성 중에 최고 함량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 4620.7 \\mathrm{mg} \\% \\)은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총 지방산 함량이 맞니?",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총 지방산 함량은 \\( 4620.7 \\mathrm{mg} \\% \\)인가?",
"n-3계 지방산은 n-6계 지방은 함량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니?",
"n-6계 지방산 함량보다 n-3계 지방산이 높은 값을 보여주니?",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지방산 조성 중 하나인 폴리엔산은 얼마의 함량을 가지고 있어?",
"실험에 사용한 사료의 지방산 조성 중 하나인 폴리엔산의 함량은 얼마인가?",
"C18지방산은 실험개시전의 지방산 조성의 주종이니?",
"실험개시전의 지방산 조성의 주종은 C18지방산인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DMPT 첨가구에서 무엇의 함량이 모두 높아진다는 걸 실험종료 후 알게 되었어?",
"DMPT 첨가구에서 무엇의 함량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두 높아진다는 걸 실험종료 후 알게 되었는가?",
"모든 실험구는 사료의 지방산 조성과 비슷하게 나타났어?",
"사료의 지방산 조성은 모든 실험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는가?",
"잉어와 무지개송어는 민물에 사는 무엇이지?",
"무엇인 잉어와 무지개송어는 민물에 사는가?",
"민물에 사는 잉어는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를 무엇으로 요구하지?",
"민물에 사는 잉어는 무엇으로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를 요구하는가?",
"linolenic acid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하는 담수어는 무엇이지?",
"어떤 담수어가 linolenic acid를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하는가?",
"민물에 사는 잉어는 필수지방산으로 linolenic acid를 요구 하는 게 맞아?",
"민물에 사는 잉어는 필수지방산으로 linolenic acid를 필요하는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하는 방어와 참돔은 바다에사는 무엇이지?",
"바다에 사는 무엇인 방어와 참돔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하는가?",
"바다에사는 어종인 방어와 참돔은 필수지방산으로 무엇을 요구하지?",
"바다에사는 어종인 방어와 참돔이 필수지방산으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해수어이면서, 필수지방산으로 DHA와 EPA 같은 n-3 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요구하는 어종은 무엇이지?",
"수지방산으로 DHA와 EPA 같은 n-3 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을 요구하는 해산어는 무엇인가?",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DMPT 첨가구가 EPA 및 DHA의 함량이 증가하니?",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DMPT 첨가구가 EPA 및 DHA의 함량이 높아지는가?",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지방의 함량과 EPA 및 DHA의 함량의 변화가 일치하니?",
"DMPT 첨가 농도에 따라 지방의 함량과 EPA 및 DHA의 함량의 변화가 같은가?",
"DMPT의 섭이유인물질 및 성장촉진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무엇을 사육하여 알아보았지?",
"무엇을 사육해 DMPT의 섭이유인물질 및 성장촉진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지?",
"DMPT의 농도를 각각 다르게 하여 사료를 먹인 조피볼락을 사육하여 무엇이 대조구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는 걸 실험한 거야?",
"DMPT의 농도를 각각 다르게 하여 사료를 먹인 조피볼락을 사육하여 대조구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여준 것은 무엇이었는가?",
"비타민이나 호르몬에 DMPT가 작용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 중이니?",
"DMPT가 비타민이나 호르몬에 작용하는지에 대한 가능성이 검토중인가?"
] |
141bde55-cd02-45de-8998-a014a0fcd0b8
|
생명LA
|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
<h1>재료 및 방법</h1><h2>267B1 세포의 배양 및 TSA의 처리</h2><p>본 연구에 사용된 267B1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는 Georgetown 대학의 Dr. Jung에게 제공받았으며, 선행연구 방법에 제시된 바와 같이, \( 90 \% \) 의 RPMI-1640 (Gibco BRL, Grand Island, NY) 에 \(10\%\) fetal bovine serum (FBS), \( 1 \% \)의 penicillin 및 streptomycin (Biofluids, Rockville, MD)과 \( 0.7 \mu \mathrm{g} / \mathrm{mL} \) geneticin (G418 sulfate, Sigma Chemical Co., St. Luis, MO)이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 37^{\circ} \mathrm{C}, 5 \% \mathrm{~CO}_{2} \)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TSA는 Sigma에서 구입하였으며,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에 용해하여 \( -20^{\circ} \mathrm{C} \)에 보관하였고, 매회 처리 전 배지에 희석 후 사용하였다.</p><h2>Flow cytometer에 의한 sub-G1 세포의 빈도 측정</h2><p>TSA가 함유된 배지에서 적정시간 동안 배양시킨 267B1 세포들을 모아 고정시킨 후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형광물질인 propidium iodide (Pl, concentration, \( 50 \mu \mathrm{g} / \mathrm{ml} \); Sigma)와 10kunit의 RNase (Sigma)를 처리하여 암실, \( 4^{\circ} \mathrm{C} \)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다시 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DNA flow cytometry (Becton Dickinson, San Jose, CA)에 적용시켜 형광반응에 따른 histogram을 ModiFit LT (Becton Dickinson)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p><h2>DAPI 염색에 의한 핵의 형태 변화 관찰</h2><p>준비된 세포를 \( 3.7 \% \) formaldehyde 용액으로 10분 동안 고정 후, cytospin으로 slide glass 위에 부착시켰다. PBS로 수세 후 \( 0.2 \% \)의 Triton X-100 (Amresco)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고정하였다. 그 후 다시 PBS로 수세하고 4',6-dia-midino-2-phenylindole (DAPI, Sigma) 용액으로 암하에서 15분 정도 염색시킨 후, PBS로 DAPI 용액을 충분하게 세척하고 absolute alcohol을 이용하여 탈수 및 slide glass 위에 mounting solution을 처리한 후 형광 현미경(Carl Zeiss)을 이용하여 400 배의 배율로 각 조건에 따른 암세포 핵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p><h2>DNA 단편화 분석을 위한 agarose gel 전기영동</h2><p>Apoptosis가 유발된 세포에서 관찰될 수 있는 DNA 단편화 분석을 위하여 준비된 세포에 lysis buffer [\( 5 \mathrm{mM} \) tris-\( \mathrm{HCL}(\mathrm{pH} \) 7.5), \( 5 \mathrm{mM} \) EDTA, \( 0.5 \% \) triton X-100]를 \( 4^{\circ} \mathrm{C} \)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그 후 \( 14,000 \mathrm{rpm} \) 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상층액에 proteinase K (sigma)를 \( 0.5 \mathrm{mg} / \mathrm{ml}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여기에 phenol:chloroform:isoamylalcohol 혼합 용액(\(25:24:1\), Sigma)을 첨가하고 30분간 rotate시킨 다음 \( 14,000 \mathrm{rpm} \)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상층액에 적정량의 isopropanol과 \( 5 \mathrm{M} \mathrm{~NaCl} \)를 첨가하였다. 24시간 정도 냉장 보관 후, \( 14,000 \mathrm{rpm}\left(4^{\circ} \mathrm{C}\right) \)에서 3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상층액을 버리고, RNase \( \mathrm{A} \)를 이용하여 pellet을 녹이고 여기에 \( 5 X \) gel loading dye (Bioneer, Daejeon, Korea)를 섞어 주었다. 준비된 시료를 \( 1.0 \% \) agarose gel을 이용하여 1시간 가량 \( 50 \mathrm{~V} \)로 전기영동 시킨 후 ethidium bromide (EtBr, Sigma)로 염색하여 ultra violet (UV) 하에서 사진 촬영하였다.</p><h2>Western blot 분석</h2><p>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하여 준비된 세포들을 lysis buffer [25 mM Tris-Cl (pH 7.5), \( 250 \mathrm{~mM} \mathrm{~NaCl}, 5 \mathrm{~mM} \) EDTA, \( 1 \% \) NP-40, \( 1 \mathrm{mM} \) phenymethylsulfonyl fluoride (PMSF), \( 5 \mathrm{mM} \) dithiothreitol (DTT)]로 용해한 후(세포질과 핵 내 단백질 추출은 아래 참고), 정량하고 동량의 단백질을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nitrocellulose membrane (Schleicher and Schuell, Keene, NH)으로 electroblotting에 의해 전이시킨 후, 특정 단백질에 대한 항체와 그에 따른 이차 항체 반응을 실시한 후 enhanced chemiluminoesence (ECL) 용액(Amersham Life Science Corp., Arlington Heights, IL)을 적용시킨 다음 암실에서 X-ray film에 감광시켜 특정 단백질의 양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항체들은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및 Calbiochem (Cambridge, MA)에서 구입하였으며, 2차 항체로 사용된 peroxidase-labeled don-key anti-rabbit 및 peroxidase-labeled sheep anti-mouse im-munoglobulin은 Amersham Life Science에서 구입하였다.</p><h2>In vitro caspase 활성의 측정</h2><p>준비된 세포들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정량하여 각각 \( 150 \mu \mathrm{g} \)의 단백질을 fluorogenic peptide 기질 \( 100 \mu \mathrm{M} \)이 함유 된 extraction buffer [\(40 \mathrm{~mM}\) HEPES (\(\mathrm{pH} 7.4\)), \(20\%\) glycerol \( (\mathrm{v} / \mathrm{v})\), \(1 \mathrm{~mM}\) EDTA, \( 0.2 \% \) NP-40 and \( 10 \mathrm{mM} \) DL-DTT] \( 50 \mu \mathrm{l} \)에 혼합하였으며, microtiter plate에 다시 extraction buffer에 희석하여 각 sample 당 총 volume이 \( 100 \mu \mathrm{l} \)가 되게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기질[caspase-1, Z-Val-Ala-Asp (Z-VAD)-p nitroaniline (pNA); caspase-3, Asp-Glu-Val-Asp (DEVD)-pNA; caspase-8, lle-Glu-Thr-Asp (IETD)-pNA; caspase-9, Leu-Glu-His-Asp (LEHD)-pNA] 및 caspase 특이적 저해제 (caspase-1, Ac-AAVALLPAVLLALLAP-IETD-CHO; caspase-2, Ac-YVAD-CMK; caspase-3, Ac-DEVD-CHO 및 Z-DEVD-FMK)는 Calbiochem에서 구입하였다. 제공된 실험 방법에 의하여 준비된 plate를 \( 37^{\circ} \mathrm{C} \) 에서 3시간 동안 incubation 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홉광도에 따른 반응의 정도를 비교하였다.</p><h2>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h2><p>NF-\(\kappa\)B 활성 측정을 위한 EMSA를 위하여 \( 100 \mathrm{~mm} \) dish에 \( 1 \times 10^{7} \)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안정화시키고 다양한 농도의 TSA를 적정 시간 동안 처리한 후, PBS로 수세하고 pellet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pellet을 ice-cold lysis buffer (10 \( \mathrm{mM} \) Tris-Cl, \(\mathrm{pH} 7.4\), \( 3 \mathrm{~mM} \mathrm{~CaCl}_{2}\), \(2 \mathrm{~mM} \mathrm{~MgCl}_{2}\), \(0.5 \mathrm{~mM} \) PMSF, \( 5 \mu \mathrm{g} / \mathrm{ml} \) of leupeptin, pepstatin, and aprotinin, re-spectively)로 resuspend하고 일정 간격으로 vortexing하면서 \( 4^{\circ} \mathrm{C} \) 에 15분 정도 방치하였다. \( 35,000 \mathrm{rpm} \)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핵을 수거 후, washing buffer \(10 \mathrm{~mM}\ \mathrm{HEPES}-\mathrm{KOH}\) , \(\mathrm{pH} 7.9\), \(10 \mathrm{~mM} \mathrm{~KCl}\), \(1.5 \mathrm{~mM} \mathrm{~MgCl}_{2}\), \(0.5 \mathrm{mM} \) DTT, \( 5 \mu \mathrm{g} / \mathrm{ml} \) of leupeptin, pepstatin, and aprotinin, re-spectively)를 5분간 처리하고 적정양의 hypertonic buffer (\( 20 \mathrm{~mM}\ \mathrm{HEPES}-\mathrm{KOH}\), \(\mathrm{pH} 7.9\), \(25\%\) Glycerol, \( 420 \mathrm{~mM} \mathrm{~NaCl}\), \(1.5 \mathrm{~mM} \mathrm{~MgCl}_{2}\), \(0.2 \mathrm{~mM} \) EDTA, \( 0.5 \mathrm{mM} \) DTT, \( 5 \mu \mathrm{g}/\mathrm{ml} \) of leupeptin, pepstatin, and aprotinin, respectively)를 첨가하여 40분간 반응시켰다. \( 14,000 \mathrm{rpm} \)로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얻은 핵 단백질을 정량하여 각각의 sample에 대한 \( 5 \mu \mathrm{g} \)을 EMSA에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된 oligonucleotide NF-\(\kappa\)B probe \( \left(5^{\prime}\right. \)-CAAAACAGGGGCTTTCCCTCCTCA-3')는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에서 구입하였으며, binding re-action 후 \( 6 \% \) native 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분리 후 autoradiography에 적용하였다.</p><h2>NF-\(\kappa\)B luciferase assay</h2><p>NF-\(\kappa\)B 전사활성의 정량적 비교를 위하여 NF-\(\kappa\)B promoter의 활성에 미치는 TSA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 1 \times 10^{6} \)개의 세포를 대상으로 \( 2 \mu \mathrm{g} \) NF-\(\kappa\)B-luciferase reporter plasmids (BD Sciences, San Jose, CA)를 Lipofectamine (Gibco BRL)을 이용하여 주어진 방법에 준하여 transfection을 실시하였다. DNA-Lipofectamine mixtures로 적정 시간 반응시킨 후, 관찰 대상 세포들에 다양한 농도의 TSA를 적정 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준비된 세포들을 모아 수세하고 lysis 시켜 microplate luminometer LB96V (Perkin Elmer, Foster City, CA)를 이용하여 Promega사의 Luciferase Assay System kit를 이용하여 luciferase 활성을 분석하였다.</p>
|
[
"Flow cytometer에 의한 sub-G1세포의 빈도 측저은 어떻게 하니?"
] |
e5baebfb-41e1-4997-9d28-72a2f85a8dca
|
생명LA
|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
<h1>서 론</h1><p>Histone deacetylases (HDACs) 저해제 중, Streptomyces에서 유래된 trichostatin A (TSA)는 항균제로서 처음 개발된 것이었으나 저농도 처리 조건에서 포유동물 세포 histone 단백질의 acetylation 유도효과가 매우 높았으며, HDAC의 활성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후 대표적인 HDAC 억제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HDAC 저해제는 약 20여 가지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HDAC 저해제의 대부분은 암세포를 포함한 형질 전환된 세포들에서 세포주에 따른 다소 약간의 감수성 차이는 있으나, 세포주기 교란 및 apoptosis 유발과 동물 모델에서 종양 증식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Apoptosis는 개체의 발생이나 항상성 유지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상적인 생리학적 현상이다. 최근 apoptosis 조절에는 많은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들 유전자 산물들의 기능과 특징을 조사함으로서 apoptosis 현상의 분자생물학적 설명이 가능해 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암의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세포나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은 많은 치료제의 표적이 되고 있다. Apoptosis는 세포주기 교란 의존적 및 비의존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apoptosis의 현상으로 세포질 및 염색질 응축, 세포막 수포화 현상, DNA 단편화 등이 수반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세포내부의 정교한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된다. Apoptosis 조절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Bcl-2/Bax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들로서 apoptosis의 유도와 억제를 동시로 조절하는 인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caspase라고 이름 붙여진 protease 역시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정상적으로 증식 중인 세포에서는 proenzyme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은 apoptosis 유도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 내 존재하는 많은 표적 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한다. 이외에도 apoptosis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 중에서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들은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 내 anti-apoptotic 활성을 지닌다. 이들 중 몇몇 IAPs는 caspase와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하여 그들의 apoptotic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한편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신호전달계는 암의 발생, 세포의 증식, 분화 apoptosis, 염증반응 및 세포 내 신호전달계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학적 반응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사조절인자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NF-\(\kappa\)B 활성의 차단으로 발암원에 의한 암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NF-\(\kappa\)B 저해제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으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NF-\(\kappa\)B는 종양 억제인자로서 작용함이 알려져 NF-\(\kappa\)B의 활성으로 인하여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거나 apoptosis가 촉진될 수 있다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어 암에서 NF-\(\kappa\)B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HDACs 저해제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연관된 apoptosis 유도에서도 NF-\(\kappa\)B 활성 조절에 대한 상반된 결과들이 많이 보고되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HDAC 저해제인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기본적인 apoptosis 경로를 조사하고 여기에 NF-\(\kappa\)B의 활성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형질 전환된 267B1 전립선 상피세포가 사용되어 졌으며,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증식억제에 따른 apoptosis 유도에 IAP family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연관된 caspase 활성 증가뿐만 아니라 NF-\(\kappa\)B 역시 TSA 처리에 따라 활성화되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p>
|
[
"처음엔 향균제로서 개발되었지만 이후 HDAC 억제제로 사용되는 물질이 뭐야?",
"처음엔 향균제로서 개발되었지만 이후 HDAC 억제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저농도 처리 조건에서 trichostatin A (TSA)는 포유동물 세포 histone 단백질의 acetylation 유도효과가 뛰어났어?",
"농도 처리 조건에서 trichostatin A (TSA)는 포유동물 세포 histone 단백질의 acetylation 유도효과가 뛰어났는가?",
"trichostatin A (TSA)는 무엇으로부터 유래됐어?",
"trichostatin A (TSA)는 무엇으로부터 유래됐는가?",
"현재까지 보고된 HDAC 저해제는 10가지 밖에 없어?",
"재까지 보고된 HDAC 저해제는 10가지 밖에 없는가?",
"대부분의 HDAC 저해제는 종양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어?",
"대부분의 HDAC 저해제는 종양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는가?",
"생리학적 현상 중에 항상성 유지를 조절하거나 개체의 발생에 관여하는 현상이 뭐야?",
"생리학적 현상 중에 항상성 유지를 조절하거나 개체의 발생에 관여하는 현상이 무엇인가?",
"Apoptosis는 비정상적인 생리 현상이야?",
"Apoptosis는 비정상적인 생리 현상인가?",
"Apoptosis는 항상성 유지를 조절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이야?",
"Apoptosis는 항상성 유지를 조절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인가?",
"apoptosis 조절에 관해 점점 적은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어?",
"apoptosis 조절에 관해 점점 적은 유전자들이 관여하고 있는가?",
"apoptosis 현상의 분자생물학적 설명을 어떤 방법을 통해 설명할 수 있어?",
"apoptosis 현상의 분자생물학적 설명을 어떤 방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가?",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은 암의 효과적인 치료에 있어서 필요해?",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은 암의 효과적인 치료에 있어서 필요한가?",
"apoptosis의 현상은 세포내부에서의 섬세한 신호전달에 의해서 조절돼?",
"apoptosis의 현상은 세포내부에서의 섬세한 신호전달에 의해서 조절되는가?",
"apoptosis에 의해서 DNA 간편화가 수반돼?",
"apoptosis에 의해서 DNA 간편화가 수반되는가?",
"Apoptosis의 현상으로 수반되는 현상이 맞는 것은 뭐야?",
"Apoptosis의 현상으로 수반되는 현상이 맞는 것은 무엇인가?",
"Apoptosis를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제일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자는 뭐야?",
"Apoptosis를 조절하는 것에 있어서 제일 중요하게 작용하는 인자는 무엇인가?",
"Bcl-2/Bax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은 apoptosis를 유도할 순 있지만 억제할 수는 없어?",
"Bcl-2/Bax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은 apoptosis를 유도할 순 있지만 억제할 수는 없는가?",
"protease는 정상적인 세포 내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해?",
"protease는 정상적인 세포 내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protease는 비정상 세포 내에서 proenzyme 형태로 존재해?",
"protease는 비정상 세포 내에서 proenzyme 형태로 존재하는가?",
"protease는 뭐라고 이름 붙여졌어?",
"protease는 뭐라고 이름 붙여졌는가?",
"protease는 apoptosis 유발에 있어 중요해?",
"protease는 apoptosis 유발에 있어 중요한가?",
"protease는 apoptosis 유도 신호에 의해서 세포 내 표적 단백질 합성애 간섭해?",
"protease는 apoptosis 유도 신호에 의해서 세포 내 표적 단백질 합성애 간섭하는가?",
"caspase는 어떻게 단백질이 분해되는데 간섭해?",
"caspase는 어떻게 단백질이 분해되는데 간섭하는가?",
"protease는 직접적으로만 세포 내 표적 단백질 분해에 간섭할 수 있어?",
"protease는 직접적으로만 세포 내 표적 단백질 분해에 간섭할 수 있는가?",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은 apoptosis에 관여해?",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은 apoptosis에 관여하는가?",
"외부 신호에 의해 anti-apoptotic 활성을 지니는 단백질들은 무엇에 속해?",
"외부 신호에 의해 anti-apoptotic 활성을 지니는 단백질들은 무엇에 속하는가?",
"모든 IAPs는 caspase와 결합해 apoptotic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모든 IAPs는 caspase와 결합해 apoptotic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가?",
"일부 IAPs는 caspase와 직접 결합해서 apoptotic활성을 증가시켜?",
"일부 IAPs는 caspase와 직접 결합해서 apoptotic활성을 증가시키는가?",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신호전달계는 생물학적 반응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조절인자야?",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신호전달계는 생물학적 반응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사조절인자인가?",
"NF-\\(\\kappa\\)B 활성의 차단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할 수 있어?",
"NF-\\(\\kappa\\)B 활성의 차단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할 수 있는가?",
"NF-\\(\\kappa\\)B 활성을 차단하는건 암세포의 증식을 유발하기 위해서야?",
"NF-\\(\\kappa\\)B 활성을 차단하는건 암세포의 증식을 유발하기 위해서인가?",
"NF-\\(\\kappa\\)B 활성을 차단하는 앞선 연구들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뭐야?",
"NF-\\(\\kappa\\)B 활성을 차단하는 앞선 연구들의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항암제의 내성을 넘어설 수단으로써 NF-\\(\\kappa\\)B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어?",
"항암제의 내성을 넘어설 수단으로써 NF-\\(\\kappa\\)B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는가?",
"IAPs는 어떤 방법으로 apoptotic 활성을 억제해?",
"IAPs는 어떤 방법으로 apoptotic 활성을 억제하는가?",
"caspase가 직접, 간접적으로 표적 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해?",
"caspase가 직접, 간접적으로 표적 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하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가?"
] |
fbb0fc8c-1c76-4169-8617-656c608f27c4
|
생명LA
|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
<h1>요 약</h1><p>본 연구에서는 인체전립선 상피세포인 267B1 세포에서 HDAC 저해제인 TSA에 의한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에는 c-IAP-1 및 c-IAP-2와 같은 IAP family의 발현 감소가 동반되었으나 Bax 및 Bcl-2와 같은 Bcl-2 family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는 caspase의 활성에 의한 표적 단백질들의 분해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세포질에서 NF-\(\kappa\)B의 핵 내로의 이동에 따른 전사활성의 증가 현상에 의한 것임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TSA와 같은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NF-\(\kappa\)B의 활성 증가가 동반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HDAC 저해제의 항암활성에 대한 NF-\(\kappa\)B의 새로운 역할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p>
|
[
"본 연구에서 267B1 세포에서 TSA에 의한 증식억제가 어떤 현상에 의한 것임을 증명했어?",
"267B1 세포에서 일어나는 TSA에 의한 증식억제가 왜 일어나는가?",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에는 IAP family와 Bcl-2 family 모두에서 발현감소를 가져왔어?",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에는 IAP family와 Bcl-2 family 모두에서 발현감소가 동반되었는가?",
"267B1 세포의 apoptosis는 어떤 물질의 활성도와 연관성이 높아?",
"무슨 물질의 활성도가 267B1 세포의 apoptosis와 관련성이 높은가?",
"NF-\\(\\kappa\\)B의 활성이 증가한 원인은 무엇이라고 할 수 있어?",
"어떤 현상에 의해 NF-\\(\\kappa\\)B의 활성이 증가하였는가?"
] |
959044e8-1686-4f1b-90cc-c22bca5a8965
|
생명LA
|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
<h2>Caspase의 활성에 미치는 HDAC 지해제 TSA의 영향</h2><p>Caspase protease 역시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로, 이들은 세포 내에서 핵과 mitochondria의 외막에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며, Bcl-2 family 발현의 변화에 따라 이들의 활성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들은 proenzyme 형태로 존재하다가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protease로 전환되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내에 존재하는 많은 표적 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는 크게 3가지의 부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inflammatory mediator에 속하는 caspase- 1 , activa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8 및 -9 그리고 executione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을 대상으로 TSA 처리에 따른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Fig. 3A에나타낸 바와 같이 caspase-1의 경우 TSA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비활성형의 감소나 활성형 caspase-1의 발현 증가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나머지 조사된 caspase-8, -9 및 -3은 모두 TSA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증가되거나 비활성형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Western blot 분석에 의한 결과의 재확인을 위하여 각 caspase에 해당되는 기질을 이용한 in vitro caspase 활성을 측정결과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caspase-3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aspase-8 및 -9는 서로 유사한 활성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TSA 처리에 따른 caspase-3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poly(ADP-ribose)-polymerase, \( \beta \)-catenin 및 laminin B]의 분해 현상도 TSA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리고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3 및 -8은 활성을 다양한 caspase 선택적 저해제들에 의하여 다시 감소되었으나, caspase-9는 큰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caspase-9와는 달리, caspase-3의 경우 caspase-1 및 -2의 저해제에 의하여서도 활성이 감소된 결과와, caspase-8의 경우 다양한 저해제들에 의하여 활성이 모두 감소된 결과에 대한 의문의 해결을 위하여 각각의 caspase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더 해야 할 필요성을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caspase-8의 활성에 대한 결과로 미루어 267B1 세포에서 TSA에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death receptor 경로가 관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여 주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잘 뒷받침하여 주는 것이다.</p><h2>NF-\(\kappa\)B의 활성에 미치는 HDAC 저해제 TSA의 영향</h2><p>최근까지 전사조절인자 NF-\(\kappa\)B는 apoptosis가 유도된 많은 경우에 활성이 저하될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다. 이는 아마도 NF-\(\kappa\)B가 대부분의 세포증식 촉진이나, anti-apoptotic 인자들의 발현 조절을 전사수준에서 조절가능하다는 보고들에 기초를 둔 것이며, 많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appa\)B의 활성 감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들에 의하면 NF-\(\kappa\)B는 오히려 종양억제인자로서 작용할 가능성도 있으며, HDAC 저해제를 포함한 항암제 후보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B 활성의 증가에 대한 관한 구체적 증거들이 제시되어져 오고 있다. 따라서 특정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는 대상 세포 및 약물의 종류에 따라 NF-\(\kappa\)B 활성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음을 의미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267B1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appa\)B의 활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NF-\(\kappa\)B의 핵내 이동 여부를 Western blot 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Fig.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NF-\(\kappa\)B 이동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이와는 반대로 I\(\kappa\)B-\(\alpha\) 의 발현은 상대적으로 분해가 많이 일어나 발현의 경도가 매우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핵 내로 전이된 NF-\(\kappa\)B의 전사활성 정도를 조사하기 이하여 EMSA 및 NF-\(\kappa\)B promoter assay를 실시한 결과, Fig. 4B 및 C에서 알 수 있듯이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NF-\(\kappa\)B의 binding의 정도나 promoter의 활성이 매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거나 유사한 경향성이기도 하기 때문에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p>
|
[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에서 핵과 mitochondria의 외막에 어떤 상태로 존재하니?",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에서 핵과 mitochondria의 외막에 어떠한 상태로 나타나는가?",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인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 어디에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니?",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인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의 어디에서 불활성 상태로 있는가?",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가 맞니?",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 인가?",
"Caspase protease는 Bcl-2 family 발현의 변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뭐야?",
"Caspase protease는 Bcl-2 family 발현의 변화에 따라 무엇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인가?",
"Caspase protease는 무엇에 의해 활성도가 조절될 수 있니?",
"Caspase protease는 무엇으로 인하여 활성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가?",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의 어디에 불활성 상태로 있니?",
"Caspase protease는 세포 내의 어디에서 불활성 상태로 존재하는가?",
"Caspase protease는 proenzyme 형태로 존재하다가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무엇으로 전환되니?",
"Caspase protease는 proenzyme 형태로 존재하다가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하여 무엇으로 변화되는 건가?",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protease로 전환되어서 세포내 무엇의 분해에 관여하니?",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된 protease로 전환되어 세포내 어떤것에 대한 분해에 관여하는 것인가?",
"Caspase protease는 원래 어떤 형태로 존재하다가 protease로 전환되니?",
"Caspase protease는 본래 어떤 형태로 존재하다가 protease로 전환되는 것인가?",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인 Caspase protease는 무슨 신호에 의해서 활성화된 protease로 전환되지?",
"apoptosis 유발에 중요한 조절인자인 Caspase protease는 어떤 신호에 의하여 활성화된 protease로 전환되는 것인가?",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무엇으로 전환되니?",
"Caspase protease는 apoptosis 유도를 활성화시키는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진 어떤 것으로 전환되는건가?",
"현재까지 알려진 카스파제는 몇 종이야?",
"지금까지 알려진 카스파제는 몇 종인가?",
"지금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inflammatory mediator에 속하는 것은 뭐야?",
"현재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염증 매개체에 속하는 것은 무엇인가?",
"크게 3가지의 부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caspase-8 및 -9는 어디에 속하니?",
"크게 3가지의 부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caspase-8 및 -9는 어디에 속하는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inflammatory mediator에 속하는 caspase- 1 , activa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8 및 -9 그리고 executione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을 대상으로 무엇을 조사하였니?",
"본 조사연구에서는 염증 매개체에 속하는 caspase- 1, activa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8 및 -9 그리고 executione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을 대상으로 어떤 조사를 시행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대상으로 TSA 처리에 따른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어?",
"본 조사연구에서는 어떤것을 대상으로 TSA 처리에 의한 활성 변화를 연구하였는가?",
"현재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inflammatory mediator에 속하는 것은 뭘까?",
"지금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 중에서 염증 매개체에 속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는 크게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질 수 있니?",
"지금까지 알려진 약 14 종의 caspase는 크게 몇 가지 부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건가?",
"현재까지 알려진 caspase는 약 20 종이 맞니?",
"지금까지 알려진 caspase는 약 20 종이 맞는건가?",
"본 연구에서는 inflammatory mediator에 속하는 caspase- 1 , activa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8 및 -9 그리고 executione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을 대상으로 TSA 처리에 따른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것이 맞아?",
"본 조사연구는 염증 매개체에 속하는 caspase- 1, activato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8 및 -9 그리고 executioner caspase에 속하는 caspase-3을 대상으로 TSA 처리에 의한 활성 변화를 연구한 것이 맞는건가?",
"Fig.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spase-1가 TSA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관찰할 수 없었던 것은 뭐야?",
"Fig. 3A에 제시된 바와 같이 caspase-1가 TSA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관찰할 수 없었던 것은 무엇인가?",
"TSA 처리에 따른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TSA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증가되거나 비활성형의 발현이 감소된 것은 어떤 게 있어?",
"TSA 처리에 의하여 활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TSA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모두 증가되거나 비활성형의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는 어떤것이 있는가?",
"본 논문에서 TSA 처리에 따른 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caspase-8, -9 및 -3을 관찰한 결과 어떻게 변화하였니?",
"본 논문에서 TSA 처리에 의한 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caspase-8, -9 및 -3을 관찰한 결과는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가?",
"caspase-8, -9 및 -3은 TSA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었니?",
"caspase-8, -9 및 -3은 TSA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인가?",
"Western blot 분석에 의한 결과의 재확인을 위하여 각 caspase에 해당되는 기질을 이용하여 측정한 것은 뭐지?",
"Western blot 분석에 따른 결과의 재확인을 위하여 각 caspase에 해당되는 기질을 사용하여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Western blot 분석에 의한 결과의 재확인을 위하여 각 caspase에 해당되는 기질을 이용한 in vitro casp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뭐지?",
"Western blot 분석에 따른 결과의 재확인을 위하여 각 caspase에 해당하는 기질을 이용한 in vitro casp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
"각 caspase에 해당되는 기질을 이용한 in vitro casp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서로 유사한 활성도를 보여준 것은 뭘까?",
"각 caspase에 해당하는 기질을 이용한 in vitro casp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서로 비슷한 활성도를 보여주는 것은 무엇인가?",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poly(ADP-ribose)-polymerase, \\( \\beta \\)-catenin 및 laminin B]의 분해 현상이 TSA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한 이유는 뭐야?",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poly(ADP-ribose)-polymerase, Betaβ-catenin 및 laminin B]의 분해 현상이 TSA 처리 농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TSA 처리에 따른 caspase-3 활성의 증가로 인해서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의 분해 현상은 어떻게 나타났니?",
"TSA 처리에 의하여 caspase-3 활성의 증가로 인해서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의 분해 현상은 어떻게 보여지는가?",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은 뭐가 있니?",
"caspase-3의 기질 단백질들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TSA 처리에 따른 caspase-3의 활성은 어떻게 됐니?",
"TSA 처리에 의한 caspase-3의 활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3 및 -8은 활성을 다양한 caspase 선택적 저해제들에 의하여 어떻게 변했니?",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3 및 -8은 활성을 다양한 caspase 선택적 저해제들에 의하여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3 및 -8 활성은 무엇에 의해 다시 감소되었니?",
"TSA에 따라 증가된 caspase-3 및 -8 활성은 무엇에 의하여 재 감소가 되었는가?",
"본 논문에서는 어떤 결과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더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니?",
"본 논문은 어떤 결과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더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는가?",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caspase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더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니?",
"본 논문은 각각의 caspase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더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는가?",
"caspase-8의 활성에 대한 결과로 미루어 어디에서의 TSA에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death receptor 경로가 관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해 주었니?",
"caspase-8의 활성에 따른 결과로 미루어 어디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death receptor 경로가 관여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을 제시하였는가?",
"caspase-8의 활성에 대한 결과로 미루어 267B1 세포에서 TSA에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어떤 경로가 관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였니?",
"caspase-8의 활성에 대한 결과로 짐작하여 267B1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어떤 경로가 관여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음을 제시하였는가?",
"최근까지 전사조절인자 NF-\\(\\kappa\\)B는 apoptosis가 유도된 많은 경우 활성이 어떻게 될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니?",
"지금까지 전사조절인자 NF-κB는 apoptosis가 유도된 많은 경우에 활성이 어떻게 될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는가?",
"본 논문에서 말하는 전사조절인자는 뭐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전사조절인자는 무엇인가?",
"최근까지 전사조절인자 NF-\\(\\kappa\\)B는 어떤 경우에 활성이 저하될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니?",
"현재까지 전사조절인자 NF-κB는 어떤 경우에 활성이 저하될 것으로 알려져 왔는가?",
"최근까지 전사조절인자 NF-\\(\\kappa\\)B는 apoptosis가 유도된 많은 경우에 활성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니?",
"현재까지 전사조절인자 NF-B는 apoptosis가 유도된 대부분의 경우에 활성이 증가할 것으로 알려져 왔는가?",
"최근까지 전사조절인자 NF-\\(\\kappa\\)B는 apoptosis가 유도된 많은 경우에 활성이 저하될 것으로 보고되어져 온 것은 무엇에 기초를 둔 것이니?",
"현재까지 무엇에 기초를 두고 전사조절인자 NF-B는 apoptosis가 유도된 대부분의 경우에 활성이 저하될 것으로 제시 되어져 왔는가?",
"NF-\\(\\kappa\\)B는 어떤 인자들의 발현 조절을 전사수준에서 조절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었니?",
"NF-B는 어떤 인자들의 발현 조절이 전사수준에서 조정이 가능하다는 보고가 되어 왔는가?",
"많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보고되었니?",
"많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시되어져 왔는가?",
"많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appa\\)B의 활성 감소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니?",
"많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약물들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κB의 활성 감소에 대한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가?",
"최근 연구에서는 NF-\\(\\kappa\\)B가 어떤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니?",
"현재 조사연구는 NF-κB의 가능성이 어떠한지 제시하고 있는가?",
"최근 연구들에서는 무엇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B 활성의 증가에 대한 관한 구체적 증거들이 제시되어져 오고 있니?",
"현재 연구들은 어떤것에 의하여 apop-tosis 유도에 NF-kB 활성의 증가에 따른 구체적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는가?",
"특정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는 무엇을 의미하니?",
"특정 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도에서 NF-κB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특정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는 무엇에 따라 NF-\\(\\kappa\\)B 활성은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음을 의미 하니?",
"특정 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도에서 NF-κB는 무엇에 의하여 NF-κB 활성은 정반대의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시하는가?",
"특정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는 대상 세포 및 약물의 종류에 따라 NF-\\(\\kappa\\)B 활성은 비슷한 결과를 보여 줄 수 있음을 의미 하니?",
"특정 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도에서 NF-κB는 대상 세포 및 약물의 종류에 따라 NF-κB 활성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인가?",
"267B1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appa\\)B의 활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NF-\\(\\kappa\\)B의 핵내 이동 여부를 어떤 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니?",
"267B1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κB의 활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NF-κB의 핵내 이동 여부를 어떠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였는가?",
"Western blot 분석 방법으로 조사한 것은 뭐지?",
"웨스턴 블롯 분석 방법으로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어떤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kappa\\)B의 활성 변화 여부를 조사하였니?",
"본 조사연구는 어떤 세포에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NF-κB의 활성 변화 여부를 연구하였는가?",
"Fig. 4A를 통해 어떤 정보 알 수 있니?",
"Fig. 4A를 통하여 어떠한 정보를 알 수 있는가?",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NF-\\(\\kappa\\)B 이동은 감소하니?",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에 따라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NF-κB 이동은 감소하는가?",
"Fig.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이 증가한 것은 뭐야?",
"Fig. 4A에 제시한 바와 같이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이동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I\\(\\kappa\\)B-\\(\\alpha\\) 의 발현은 경도가 매우 감소된 이유가 뭐야?",
"κB-α 의 발현의 경도가 상당히 감소한 원인이 무엇인가?",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NF-\\(\\kappa\\)B 이동은 어떻게 되었니?",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세핀질에서 핵으로의 NF-κB 이동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본 논문에서 EMSA 및 NF-\\(\\kappa\\)B promoter assay를 실시한 이유는 무엇을 하기 위해서야?",
"본 조사논문에서 EMSA 및 NF-κB 프로모터 assay를 시행한 이유는 무엇을 얻기 위해서인가?",
"핵 내로 전이된 NF-\\(\\kappa\\)B의 전사활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한 것은 뭐야?",
"핵 내로 전이된 NF-κB의 전사활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엇을 시행하였는가?",
"Fig. 4B 및 C에서는 무엇을 알 수 있니?",
"Fig. 4B 및 C에서는 어떤것을 알 수 있는가?",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은 어떤 게 있지?",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NF-\\kappaκB의 binding의 정도나 promoter의 활성은 어떻게 되니?",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NF-kappaκB의 binding의 정도나 프로모터의 활성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NF-\\(\\kappa\\)B의 binding의 정도나 promoter의 활성은 감소하니?",
"TSA의 처리 시간 및 농도가 증가할수록 NF-κB의 binding의 정도나 promoter의 활성은 줄어드는가?",
"본 논문에서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이유는 뭐야?",
"해당 논문에서 HDAC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κB의 활성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핵 내로 전이된 NF-\\(\\kappa\\)B의 전사활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EMSA 및 NF-\\(\\kappa\\)B promoter assay를 실시한 결과는 일부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는 게 있니?",
"핵 내로 전이된 NF-κB의 전사활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EMSA 및 NF-κB promoter assay를 조사한 결과는 일부 선행연구의 결과와 서로 상반되는 점이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어떤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kappa\\)B의 활성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니?",
"본 조사논문에서는 어떤 저해제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NF-κB의 활성에 대하여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고 보여지는가?",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9의 활성은 다양한 caspase 선택적 저해제들에 의하여 다시 감소되었니?",
"다양한 caspacse 선택적 저해제들로 TSA에 의하여 증가된 caspase-9 활성은 다시 줄어들었나요?",
"Fig. 3A에서 나타내는 정보는 뭐야?",
"Fig. 3A에서 알려주는 정보는 무엇인가?"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