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57
| type
stringclasses 4
values | title
stringlengths 0
159
| context
stringlengths 121
17.2k
| questions
listlengths 1
584
|
|---|---|---|---|---|
1204f208-92ff-4fee-bf62-190ef07d1004
|
생명LA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전달법 확립
|
<h1>재료 및 방법</h1><h2>사용균주 및 plasmids</h2><p>본 연구에 사용된 방선균은 대구지역에서 분리된 S. platensis YK-2로 TGase를 생산하며 본 균주의 포자는 접합전달의 수용체로서 사용하였다. E. coli XL-10-Gold는 클로닝을 위한 숙주로 사용하였으며 메틸화가 결손된 E. coli ET12567/pUZ8002를 접합전달의 DNA 공여균주로 사용하였다. phiC31유래의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pSET152 \( (5.7 \mathrm{~kb}) \)를 접합전달의 부위-특이적 재조합(site-specific recombination) 벡터로 사용하였다. 본 벡터가 접합전달을 통해 숙주세포 내로 전달되면 integrase의 도움으로 방선균 chromosome의 attB site로 삽입되어 유전자 재조합 (recombination)이 이어서 일어나기 때문에 본 논문의 결과들은 접합전달효율(transconjugation frequency)로 나타냈다.</p><h2>배지 및 배양조건</h2><p>S. platensis ATCC 49173의 포자생산용 배지는 ISP2 한천배지(yeast extract \( 4 \mathrm{~g} / \mathrm{l} \), malt extract \( 10 \mathrm{~g} / \mathrm{l} \), glucose \( 4 \mathrm{~g} / \mathrm{l} \), agar \( 20 \mathrm{~g} / \mathrm{l}, \mathrm{pH} 7.0 \sim 7.4\))를 사용하였으며 접합전달을 위한 배지로는 AS-1 (yeast extract \( 1 \mathrm{~g} / \mathrm{l}, \mathrm{L} \)-alanine \( 0.2 \mathrm{~g} / \mathrm{l} \), L-arginine \( 0.2 \mathrm{~g} / \mathrm{l} \), L-asparagin \( 0.5 \mathrm{~g} / 1 \), soluble starch \( 5 \mathrm{~g} / 1, \mathrm{NaCl} 2.5 \) \( \mathrm{g} / 1, \mathrm{Na}_{2} \mathrm{SO}_{4} 10 \mathrm{~g} / \mathrm{l} \), agar \( 20 \mathrm{~g} / \mathrm{l}, \mathrm{pH} \) 7.5), ISP4 (soluble starch \( 10 \mathrm{~g} / \mathrm{l}, \mathrm{K}_{2} \mathrm{HPO}_{4} 1 \mathrm{~g} / \mathrm{l}, \mathrm{Mg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1 \mathrm{~g} / \mathrm{l}, \mathrm{NaCl} 1 \mathrm{~g} / \mathrm{l} \), \( (\mathrm{NH} 4)_{2} \mathrm{SO}_{4} 2 \mathrm{~g} / 1, \mathrm{CaCO}_{3} 2 \mathrm{~g} / \mathrm{l}, \mathrm{Fe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0.001 \mathrm{~g} / \mathrm{l} \), \( \mathrm{MnCl}_{2} \cdot 4 \mathrm{H}_{2} \mathrm{O} 0.001 \mathrm{~g} / \mathrm{l}, \mathrm{Zn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0.001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 / \mathrm{l} \), pH 7.0 7.4), MS배지(mannitol \( 20 \mathrm{~g} / \mathrm{l} \), soya flour \( 20 \mathrm{~g} / \mathrm{l} \), agar \( 20 \mathrm{~g} / \mathrm{l}) \) 를 사용하였다. 또 E. coli의 일반배양 및 형질전환을 위해 Luria Bertani (LB)배지를 이용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 180 \mathrm{rpm} \)으로 진탕배양 하였다.</p><h2>DNA 조작 및 분리</h2><p>대장균에서의 DNA 조작은 Sambrook 등[19]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S. platensis 에서의 DNA 조작은 Kieser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 platensis 접합전달체의 total DNA는 Rao 등의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위해 DIG High Prime DNA Labeling and Detection Starter Kit II (Roche Applied Science, Tokyo, Japan)와 pSET152의 \( 0.5 \mathrm{~kb} \) apramycin-resistant 유전자 단편을 probe로 사용하였다. DNA 염기서열 결정은 pSET152의 attP site에서 \( 100 \mathrm{bp} \) 떨어진 부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ATTPR primer (5'-CTGGGTGGGTTACACGACGCCCCT-3')를 제작하여 진행하였다.</p><h2>접합전달방법</h2><p>E. coli에서 S. platensis으로 plasmid의 접합전달은 Kieser 등이 확립한 방법에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pSET152를 포함하는 공여균주 E. coli ET12567/pUZ8002은 apramycin (50\( \mu \mathrm{g} / \mathrm{ml} \); 이하 Apr), chloramphenicol \( (25 \mu \mathrm{g} / \mathrm{ml} \); 이하 Cm), kanamycin (\( 50 \mu \mathrm{g} / \mathrm{ml} \); 이하 Km) 이 첨가된 \( \mathrm{LB} \) 배지에 접종한 후, optical density 600에서 0.4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S.platensis의 생육에 저해가 되는 첨가된 항생제를 제거하기 위해 동량의 LB 배지로 두 번 세척한 후 0.1 배의 LB 배지로 재현탁하여 S. platensis 와의 접합전달을 위한 공여균주로 사용하였다. 열처리하지 않은 \( 1 \times 10^{7} \)의 S. platensis 포자를 \( 2 \times YT \) 배지 \( 0.5 \mathrm{ml} \)로 현탁한 후 준비된 공여균주의 현탁액 \( 0.5 \mathrm{ml} \)\( \left(2.5 \times 10^{7}\right) \)와 잘 혼합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한 뒤 얻어진 pellet을 \( 10 \mathrm{mM} \)의 \( \mathrm{MgCl}_{2} \) 를 포함한 4 종류(AS-1, ISP2, ISP4, MS)의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 28^{\circ} \mathrm{C} \)에서 \( 16 \sim 20 \)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형질전환체의 선별을 위해 \( 1.5 \mathrm{ml} \)의 살균수에 \( 0.5 \mathrm{mg} \)의 nalidixic acid (이하 Nal)와 \( 1 \mathrm{mg} \)의 Apr을 첨가하여 배지위에 중첩시킨 후, \( 28^{\circ} \mathrm{C} \)에서 6일간 더 배양하였다. 선발된 접합전달체를 Nal\((25 \mu \mathrm{g} / \mathrm{ml}) \) 및 Apr( \(25 \mu \mathrm{g} / \mathrm{ml}) \)이 함유된 선택 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얻어진 균주들의 chromo-some DNA를 추출하고 PCR에 의해 형질전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모든 접합전달효율(transcon-jugation frequency)은 접합전달실험에 사용된 포자수 대비 획득된 접합전달체수의 비율로 나타내었다.</p><h2>염기서열의 accession number</h2><p>본 논문에 보고된 S. platensis ATCC 49173의 attB site의 염기서열은 GeneBank에 accession number AB531501로 등록되었다.</p>
|
[
"DNA 조작 및 분리에서 S. platensis 접합전달체의 total DNA는 어떤 방법으로 회수하였는가?",
"DNA 조작 및 분리에서 S. platensis 에서의 DNA 조작은 무슨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DNA 조작 및 분리에서 대장균에서의 DNA 조작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DNA 조작 및 분리에서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열처리하지 않은 \\( 1 \\times 10^{7} \\)의 S. platensis 포자를 \\( 2 \\times YT \\) 배지 얼마만큼으로 현탁하였는가?",
"DNA 조작 및 분리에서 DNA 염기서열 결정은 어떻게 ATTPR primer (5'-CTGGGTGGGTTACACGACGCCCCT-3')를 제작하여 진행하였는가?",
"ATTPR primer (5'-CTGGGTGGGTTACACGACGCCCCT-3')를 제작하여 DNA 염기서열 결정을 할 때 어떤 방법을 사용했어?",
"E. coli XL-10-Gold는 무엇을 위한 숙주로 사용하였는가?",
"E. coli XL-10-Gold가 숙주로 이용되어지는것은 무엇을 위한것이야?",
"phiC31유래의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pSET152 \\( (5.7 \\mathrm{~kb}) \\)는 접합전달의 무슨벡터로 사용하였는가?",
"접합전달의 어떤 벡터로 phiC31유래의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pSET152 \\( (5.7 \\mathrm{~kb}) \\)가 이용되었니?",
"본 벡터가 접합전달을 통해 숙주세포 내로 전달되면 무엇의 도움으로 방선균 chromosome의 attB site로 삽입되는가?",
"본 벡터가 접합전달을 통해 숙주세포 내로 전달될 때 방선균 chromosome의 attB site로 삽입되는것은 무엇의 도움 때문이야?",
"메틸화가 결손된 E. coli ET12567/pUZ8002는 접합전달의 무엇으로 사용하였는가?",
"접합전달을 위해 메틸화가 결손된 E. coli ET12567/pUZ8002를 무엇으로 이용했니?",
"S. platensis 접합전달체의 total DNA는 무슨 방법으로 회수하였는가?",
"어떤 방법으로 S. platensis 접합전달체의 total DNA를 회수하였어?",
"S. platensis 에서의 DNA 조작은 무슨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방법으로 S. platensis 에서의 DNA 조작을 하였니?",
"S.platensis의 생육에 저해가 되는 첨가된 항생제를 제거하기 위해 동량의 LB 배지로 두 번 세척한 후 몇배의 LB 배지로 재현탁하였는가?",
"본 연구에 사용된 방선균은 대구지역에서 분리된 S. platensis YK-2로 무엇을 생산하는가?",
"Sambrook등의 방법은 어디에서의 DNA 조작에 사용되었는가?",
"어디에서 Sambrook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DNA 조작을 하였니?",
"무엇을 접합전달의 DNA 공여균주로 사용하였는가?",
"대장균에서의 DNA 조작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무슨 방법으로 대장균에서의 DNA 조작을 하였니?",
"E. coli의 일반배양 및 형질전환을 위해 무슨 배지를 이용하였는가?",
"어떤 배지가 E. coli의 일반배양과 형질전환을 위해 사용되었니?",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한 뒤 얻어진 pellet을 얼마의 MgCl 2를 포함한 4 종류(AS-1, ISP2, ISP4, MS)의 고체배지에 도말하였는가?",
"E. coli의 일반배양 및 형질전환을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어떤것을 이용하여 E. coli의 일반배양 및 형질전환을 하였니?",
"Kieser 등의 방법은 어디에서의 DNA 조작에 사용되었는가?",
"어디에서 Kies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DNA 조작을 하였니?",
"Rao 등의 방법은 무엇의 total DNA를 회수하였는가?",
"어떤것의 total DNA를 Rao 등의 방법으로 회수하였어?",
"본 균주의 포자는 무엇으로서 사용하였는가?",
"어떤것으로 본 균주의 포자를 이용하였니?",
"접합전달방법에서 E. coli에서 S. platensis으로 plasmid의 접합전달은 어떻게 수행하였는가?",
"어떤 절차로 E. coli에서 S. platensis으로 plasmid의 접합전달이 진행되었어?"
] |
e9d050ba-b7a5-48a0-bdfc-389a5b9d4d65
|
생명LA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전달법 확립
|
<h1>서 론</h1><p>식품단백질의 물성과 유연성을 개선하고 식품단백질 중의 lysine 보호, 내열성과 보수성 강화, 저온에서의 겔화, 탄력성과 수분함유 능력 향상, 가용성과 기능성 향상 등의 특성 변화를 도와주는 transglutaminase (TGase, protein-glutamine \( \gamma \)-glutamyltransferase: E.C.2.3.2.13)는 포유동물의 모발, 뇌, 간장 등의 생체 내에 널리 존재하며 조류, 어류, 식물 등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포유동물 유래와 다르게 미생물 유래의 TGase는 칼슘 비의존성, 열안정성, 활성의 넓은 \( \mathrm{pH} \) 범위 등의 반응특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하기 쉽기 때문에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미생물 유래의 microbial transglutaminase (MTG)는 방선균인 Streptoverticillium sp. S-8112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우수한 TGase생산 균주를 획득하기 위한 연구는 끝임 없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대구지역에서 새로운 MTG를 생산하는 방선균, Streptomyces platensis YK-2가 신규로 분리되어 연구되었다. 하지만 S. platensis YK-2가 생산하는 MTG는 우수한 특성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의 한계로 산업적인 활용이 쉽지 않기 때문에 분자 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한 생산균주의 개량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방선균은 외부 유전자에 대한 강력한 제한계,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의 부재, 재조합체의 불안전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분자생물학적인 연구가 쉽지 않다.</p><p>지금까지 방선균의 형질전환에는 주로 protoplast법과 electroporation법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형질전환율이 높지 않거나 적용되는 방선균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를 공여체로 사용하여 단일가닥 DNA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접합전달(transconjugation)이 도입되었다. 접합 전달법은 E. coli 내에서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구축 및 조작이 가능하며 구축된 플라스미드를 방선균으로 직접 전달할 수 있어 유전자 클로닝 및 유전자 파괴, 변이유전자 회복 등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E. coli를 이용한 접합전달이 Mazodier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어진 이후, 방선균에 존재하는 메틸화된 DNA의 제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DNA의 공여균주 (donor)로 메틸화가 결손된 E. coli ET12567/pUZ8002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속(genus)의 방선균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접합전달을 위한 벡터들 가운데 방선균의 chromosome에 존재하는 attB site로 integration되는 phC31유래의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벡터들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벡터들은 접합전달을 통해 E.coli로부터 방선균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벡터의 attP site는 in-tegrase에 의해 방선균 chromosome의 attB site로 삽입된다. 그러나 새로운 MTG를 생산하는 S. platensis YK-2에 대한 형질 전환방법은 아직 연구된 봐 없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MTG를 생산하는 신규 방선균, S. platensis YK-2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해 접합전달법을 이용한 고효율 형질전환방법을 구축하였으며 attP site가 삽입되는 S. platensis YK-2의 genomic attB sit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p>
|
[
"식품단백질의 물성과 유연성을 개선해주고 탄력성과 수분함유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물질은 뭐야?",
"식품단백질의 물성과 유연성, 탄력성과 수분함유 능력을 높이려면 어떤 물질을 써야해?",
"본 연구에서 포유동물과 미생물의TGase의 차이는 뭐야?",
"본 실험에서 포유동물과 미생물의 TGase에는 어떤 차이가 있어?",
"방선균인 Streptoverticillium sp. S-8112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미생물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은 뭐야?",
"Streptoverticillium sp. S-8112라는 방선균에서 처음 분리되어 미생물에서 나온 물질이 뭐야?",
"현재까지 방선균의 형질전환시 사용된 방법은 뭐야?",
"지금까지 방선균의 형질전환을 위해 어떤 방법이 쓰였어?",
"protoplast법과 electroporation법의 단점을 극복한 Escherichia coli를 공여체로 사용하여 단일가닥 DNA를 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은 뭐야?",
"protoplast법과 electroporation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scherichia coli를 공여체로 단일가닥 DNA를 세포에 넣는 방법이 뭐야?",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벡터들이 접합전달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니?",
"어떤 과정을 통해 Attachment site (attP)와 integrase (int) 기능을 가진 벡터들이 접합전달을 통해 전달돼?",
"방선균의 형질전환에 사용되는 protoplast법과 electroporation법의 한계점은 뭐야?",
"방선균의 형질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protoplast법과 electroporation법에 어떤 한계가 있어?",
"방선균에 존재하는 메틸화된 DNA의 제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 것은 뭐야?",
"방선균 내의 메탈화된 DNA의 제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사용해?"
] |
883dc291-8f4d-4609-8035-899752223c48
|
생명LA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전달법 확립
|
<h1>결과 및 고찰</h1><h2>접합전달을 위한 최적배지</h2><p>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한 최적배지를 조사하기 위해 지금까지 접합전달법에 사용된 배지 4종(AS-1, ISP2, ISP4, MS)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미 수행된 연구들을 보면 접합 전달에 사용되는 고체배지에 따라 접합전달효율이 크게 영향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MS와 AS-1배지는 방선균의 접합전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지이며, ISP2배지는 S. lavendulae FRI-5 에, ISP4는 희소방선균 Kitasatospora setae [4]의 접합전달에 사용된 최적배지이다. Table 1과 같이 4 종의 배지를 각각 S. platensis의 접합전달실험에 적용해 본 결과 AS-1, ISP4, MS의 경우에는 접합전달체가 형성되어 본 실험에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그러나 ISP2의 경우에는 S. platensis의 포자생산용 최적배지임에도 불구하고 접합전달체를 전혀 형성하지 못해 S. platensis의 접합전달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형질전 환체가 형성된 3종의 배지 중에서 접합전달효율은 MS가 가장 높았고 ISP4와 AS-1의 순서였지만 ISP4의 경우 MS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MS와 ISP4는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해 모두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가장 낮은 접합전달효율을 보인 AS-1의 경우에는 MS보다 35배나 낮은 효율을 보여 배지간의 차이가 대단히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MS배지를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한 최적배지로 선정하고 이후 실험에 계속 사용하였다.</p><h2>포자의 열처리 효과</h2><p>방선균 포자에 일정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였을 경우 접합 전달효율이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현상은 열처리가 포자의 발아를 유도하여 접합전달의 효율이 향상 되거나 방선균이 가진 제한계를 일시적으로 약화시킴으로써 효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 pla-tensis포자에 대한 최적 열처리 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 60^{\circ} \mathrm{C} \)까지 \( 5^{\circ} \mathrm{C} \)간격으로 각각 10분간 열처리하고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열처리에 대한 포자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Fig. 1 과 같이 열처리 온도가 올라갈수록 포자의 생존율이 떨어졌으며 \( 45^{\circ} \mathrm{C} \)부터는 급격하게 떨어져 \( 60^{\circ} \mathrm{C} \)에서는 전혀 생존하지 못했다. 접합전달을 위한 열처리조건으로는 \( 50 \% \) 이상의 생존율이 보장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 56 \% \) 의 생존율을 보인 \( 45^{\circ} \mathrm{C} \)까지 접합전달을 위한 열처리 온도에 포함하여 접합전달효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열처리를 한 모든 실험군에서 접합 전달효율이 떨어졌으며 특히 \( 45^{\circ} \mathrm{C} \)의 열처리에서는 접합전달체가 전혀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S. platensis YK-2의 경우에는 포자에 대한 열처리가 오히려 접합전달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h2>DNA 공여체수와 수용체수의 관계</h2><p>접합전달효율이 낮은 방선균의 경우 plasmid DNA의 공여체로 사용되는 E. coli수와 수용체인 포자수의 비율이 접합전달효율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S. platensis의 경우 다른 방선균에 비해 접합전달효율이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접합전달에 필요한 최적공여체수를 조사하기 위해 Table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여체인 E. coli수를 \( 2.5 \times 10^{6} \)에서 \( 2.5 \times 10^{8} \)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하였으며 수용체인 포자의 수도 \( 5 \times 10^{6} \)에서 \( 1 \times 10^{8} \)까지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DNA 공여체의 수와 수용체의 수가 모두 증가할 수록 접합전달의 효율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포자수가 \( 5 \times 10^{6} \)일 때 E. coli수가 \( 2.5 \times 10^{6} \)이하이면 접합전달이 일어나지 않지만 E. coli수가 \( 5 \times 10^{7} \) 이상이면 모든 포자수의</p><p>조건에서 접합전달효율이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E. coli수가 5 배 많은 \( 5 \times 10^{8} \)에서는 \( 5 \times 10^{7} \)와 크게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한 최적 E. coli수는 \( 5 \times 10^{7} \)이며 \( 2.5 \times 10^{7} \)이상의 공여체가 접합전달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도 확인하였다.</p>
|
[
"S. platensis의 포자생산용 최적배지임에도 불구하고 접합전달체를 전혀 형성하지 못하는 배지는 뭐야?",
"접합전달체를 전혀 만들지 못하는 배지가 S. platensis의 포자생산용 최적배지이기도 하는데 이 배지는 무엇인가?",
"방선균 포자의 접합 전달효율이 상승하려면 어떻게 해야돼?",
"방성균 포자를 대상으로 접합 전달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방선균 포자에 일정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였을 경우 접합 전달효율이 상승하는데 이런 현상은 어떻게 일어나는거야?",
"접합 전달효율은 방선균 포자에 일정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였을 때 올라가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는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것인가?",
"열처리가 포자의 발아를 유도하여 접합전달의 효율이 향상 되거나 방선균이 가진 제한계를 일시적으로 약화시킴으로써 효율이 증가되는데 그래서 어떤식으로 조사를 했어?",
"열처리가 포자의 발아를 유도하여 접합전달의 효율이 상승하거나 방선균이 가진 제한계를 일시적으로 약화시키면 효율이 상승하는데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결과가 나왔어?",
"\\( 30^{\\circ} \\mathrm{C} \\)에서 \\( 60^{\\circ} \\mathrm{C} \\)까지 \\( 5^{\\circ} \\mathrm{C} \\)간격으로 각각 10분간 열처리를 한 결과가 어떻게 나왔어?",
"\\( 30^{\\circ} \\mathrm{C} \\)에서 \\( 60^{\\circ} \\mathrm{C} \\)까지 \\( 5^{\\circ} \\mathrm{C} \\) 간격으로 열처리를 통해 어떠한 결론이 나타났는가?",
"접합전달효율이 낮은 방선균의 경우 뭐가 접합전달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 어떤 것이 접합전달효율이 낮은 방선균의 경우의 접합전달효율에 큰 영향을 끼치는가?",
"접합전달을 위한 최적배지의 종류에는 어떤게 있어?",
"최적배지의 종류 중에 접합전달을 위한 것은 무엇이 있는가?",
"방선균의 접합전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지 두 개는 뭐야?",
"방선균의 접합전달에 배지 두 개가 가장 많이 이용되는데, 이는 각각 무엇인가?",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지는 뭐가 있어?",
"S. platensis의 접합전달에 이용할 수 있는 배지는 무엇인가?",
"왜 MS배지를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한 최적배지로 선정했어?",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하여 최적배지로 MS 배지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 |
0cc25f47-bba4-42ff-9da6-6756a5ab6907
|
생명LA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전달법 확립
|
<h1>초록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 전달법 확립</h1><p>식품단백질의 물성과 기능성을 개선시켜 산업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TGase를 생산하는 S. platensis YK-2의 분자 유전학적인 연구를 위해 형질전환방법을 확립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도입된 방법은 대장균을 plasmid DNA의 공여체로, S. platensis의 포자를 수용체로 사용하는 접합전달법이다.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은 \( 50 \mathrm{mM} \)의 \( \mathrm{MgCl}_{2} \)를 첨가한 MS배지에 열처리를 하지 않은 포자와 \( 5 \times 10^{7} \)의 plasmid DNA 공여체인 E. coli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접합전달체의 attB site에 대한 분석을 통해 S. platensis chromosome 의 pirin 상동체를 코드하는 ORF내에 attB site가 단일위치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미 밝혀진 다른 방선균유래 attB site의 염기서열에 대해 \( 77.8 \% \sim 96.3\%\)의 상동성을 나타냈다.</p>
|
[
"TGase가 산업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이유가 뭐야?",
"왜 TGase가 산업적인 가치가 매우 높아?",
"TGase를 생산하는 균주의 이름이 뭐야?",
"어떤 균주가 TGase를 생산해?",
"S. platensis YK-2의 분자 유전학적인 연구를 위해 형질전환방법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대장균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었어?",
"대장균은 형질전환방법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용도로 S. platensis YK-2의 분자 유전학적인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어?",
"S. platensis YK-2의 분자 유전학적인 연구를 위한 형질전환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S.platensis를 왜 사용하였어?",
"S. platensis YK-2의 분자 유전학적인 연구를 위한 형질전환방법을 확립하기 위해서 S.platensis를 사용한 이유가 무엇이야?",
"S. platensis을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에서 어떤 배지를 이용해야해?",
"S. platensis을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에서 이용한 배지는 무엇을 첨가한 어떤 배지야?",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에서 열처리를 하였을 때 포자가 주로 사용돼?",
"열처리를 하였을 때 포자가 주로 사용될 때는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일 때야?",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을 위해 E.coli 몇개를 사용해야해?",
" E.coli는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조건을 위해 몇 개를 사용해야해?",
"얻어진 접합전달체의 attB site에 대한 분을 통해 S.platensis 염색체의 무엇을 알 수 있어?",
"얻어진 접합전달체의 attB site에 대한 분석을 통해 S.platensis 염색체에 관련된 어떤 정보를 얻을 수있어?",
"S. platensis chromosome 의 pirin 상동체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뭐라고 불러?",
"S. platensis chromosome 의 pirin 상동체를 코드하는 것은 어떤 유전자야?",
"밝혀진 다른 방선균유래 attB site의 염기서열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접합전달체의 attB site 간의 상동성은 얼마야?",
"접합전달체의 attB site 간의 얼만큼의 상동성이 밝혀진 다른 방선균유래 attB site의 염기서열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졌어?"
] |
c125ff3d-4563-4cc9-9b27-8a602c309384
|
생명LA
|
Transglutaminase를 생산하는 Streptomyces platensis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한 접합전달법 확립
|
<h2>배지에 첨가되는 \( \mathrm{MgCl}_{2} \)의 최적농도</h2><p>배지에 \( \mathrm{MgCl}_{2} \) 의 첨가유무는 접합전달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 10 \mathrm{mM} \)의 \( \mathrm{MgCl}_{2} \)가 일반적으로 배지에 첨가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K. setae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ISP4배지에 \( 50 \mathrm{mM} \)의 \( \mathrm{MgCl}_{2} \)가 첨가되었 때 무첨가와 \( 10 \mathrm{mM} \) 첨가의 경우에 비해 각각 3.8배와 3.3배 높은 접합전달효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방선균의 종류에 따라 최적농도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S. platensis에 대한 \( \mathrm{MgCl}_{2} \)의 최적 첨가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최적배지로 선정된 MS배지에 \( 0 \sim 60 \mathrm{mM} \)까지 다양한 농도의 \( \mathrm{MgCl}_{2} \)를 첨가하여 접합전달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Table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 \mathrm{MgCl}_{2} \)를 첨가 하지 않은 실험군에 비해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접합전달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 50 \mathrm{mM} \)의 \( \mathrm{MgCl}_{2} \)를 첨가했을 때 \( 6.4 \times 10^{-6} \)로 가장 높은 접합전달효율을 보였는데 무첨가군에 비해 183배나 높았으며 \( 10 \mathrm{mM} \) 첨가에 비해서도 3.2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K. setae의 연구결과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S. platensis의 접합전달을 위해서는 MS배지에 \( 50 \mathrm{~mM} \)\( \mathrm{~MgCl}_{2} \)을 첨가하는 것이 최적 농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p>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 조건들은 접합전달용 배지로 \( 50 \mathrm{~mM} \mathrm{~MgCl}_{2} \)가 첨가된 MS배지를 사용하고 열처리하지 않은 \( 1 \times 10^{8} \) 포자와 DNA공여체로써 \( 5 \times 10^{7}\) E. coli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조건들을 모두 적용한 결과 \( 9.4 \times 10^{-4} \)이라는 높은 접합전달효율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것은 Table 1과 같은 초기조건에 비해 400배 이상 향상된 결과로써 특히 부위-특이적 재조합보다 100배 이상 높은 형질전환효율을 요구하는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에도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p><h2>attB site의 특징</h2><p>본 연구에 사용된 pSET152벡터는 phiC31 유래의 attP site를 포함하고 있어 접합전달에 의해 방선균 내로 도입된 벡터는 integrase에 의해 chromosome의 attB site로 삽입되어 안정하게 유지된다.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에 의하면 attP site가 삽입되는 곳은 단일 attB site만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attP site가 삽입되는 S. platensis의 attB site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chromosome DNA를 각각 추출한 뒤 KpnI으로 절단하고 pSET152의 Apr 내성유전자를 probe로 사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동일한 단일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S.platensis의 chromosome내에 pSET152벡터가 삽입되는 곳이 한곳만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 attB site의 chromosome내의 위치와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pSET152가 삽입된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chromosome DNA를 각각 추출하여 KpnI으로 처리한 뒤 agarose 전기영동을 통해 Southern blot에 확인된 단일밴드부근의 DNA단편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DNA는 self-ligation을 거쳐 E. coli XL10-Gold로 형질전환되었고, Apr \( (50 \mu \mathrm{g} / \mathrm{ml}) \)가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형질전환체를 선별하여 attB site의 일부가 포함된 chromosome단편을 클로닝하였다. 얻어진 chromosome 단편의 염기 서열은 ATTPR prim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얻어진 attB site의 right-region은 모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으며 accession number AB531501로 GeneBank에 등록되었다. 또 이미 밝혀진 다른 방선균 유래 attB site의 right-region 염기서열에 대해 \( 77.8 \% \sim 96.3 \% \)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attB site의 chromosome내 위치는 S. platensis chromosome의 pirin 상동체를 코드하는 ORF내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attB site의 left-region에 대한 염기 서열은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다른 연구에서도 보고된 봐 있다. attB site의 계통학적인 분석에서는 S. longisporoflavus의 attB site와 가장 가까웠으며 S.aureofaciens와 가장 멀었다. 또한 S. platensis chromosome의 attB site에 pSET152벡터만의 삽입으로 S. platensis의 표현형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위해 접합전달체와 야생주에 대하여 TGase 생산량과 형태분화를 확인해 보았으나 어떤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다(자료 미제시).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접합전달시스템은 S. platensis YK-2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해 대단히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형질전환방법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p>
|
[
"접합전달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의 첨가유무인가?",
"무엇의 첨가유무가 접합전달효율에 큰 영향을 줄까?",
"\\( \\mathrm{MgCl}_{2} \\)를 배지에 첨가하면 무엇에 큰 영향을 주는가?",
"\\( \\mathrm{MgCl}_{2} \\)를 배지에 첨가하면 큰 영향을 받는 것은 무엇이지?",
"일반적으로 얼마만큼의 \\( \\mathrm{MgCl}_{2} \\)이 첨가되는가?",
"얼마만큼의 \\( \\mathrm{MgCl}_{2} \\)이 보통 첨가되지?",
"누가 ISP4배지에서의 접합전달효율 연구하였는가?",
"ISP4배지에서의 접합전달효율 누가 연구했지?",
"어떤 배지에 다른 용량의 \\( \\mathrm{MgCl}_{2} \\)을 첨가하였는가?",
"\\( 10 \\mathrm{mM} \\) 첨가에 비해 5배 많은 양을 넣었을 때 몇 배 높은 접합전달효율을 보이는가?",
"\\( \\mathrm{MgCl}_{2} \\) 무첨가와 \\( 10 \\mathrm{mM} \\) 중 더 높은 접합전달효율을 보이는 것은?",
"최적농도는 무엇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가?",
"무엇의 종류에 따라 최적농도가 변해?",
"\\( \\mathrm{MgCl}_{2} \\)의 무엇에 대한 최적첨가농도를 확인하였는가?",
"어떤배지가 최적배지로 선정되었는가?",
"최적배지로 선정된 것은 어떤 배지야?",
"어떠한 농도 등의 다양한 농도를 사용하여 \\( \\mathrm{MgCl}_{2} \\)의 최적 첨가농도를 확인해보았는가?",
"\\( \\mathrm{MgCl}_{2} \\)를 더 첨가할 수록 접합전달효율은 어떠한 경향을 보이는가?",
"\\( \\mathrm{MgCl}_{2} \\)를 더 첨가할 수록 접합전달효율은 어떻게 변하지?",
"\\( 6.4 \\times 10^{-6} \\)의 접합전달효율은 \\( \\mathrm{MgCl}_{2} \\) 얼마만큼을 첨가하였을 때인가?",
"무첨가에 비해 \\( 50 \\mathrm{mM} \\) \\( \\mathrm{MgCl}_{2} \\)를 첨가했을 때 접합전달효율은 몇 배 높은가?",
"얼마정도의 첨가에 비해 \\( 50 \\mathrm{mM} \\)의 첨가가 3.2배의 접합전달효율을 보이는가?",
"\\( 50 \\mathrm{~mM} \\)\\( \\mathrm{~MgCl}_{2} \\)을 첨가하는 것이 최적 농도라는 것은 누구의 연구결과와 유사한가?",
"MS배지에 \\( 50 \\mathrm{~mM} \\)\\( \\mathrm{~MgCl}_{2} \\)을 첨가하는 것은 무엇의 접합전달을 위한 것인가?",
"최적농도는 얼마만큼의 \\( \\mathrm{~MgCl}_{2} \\)을 MS배지에 첨가하여야 하는가?",
"열처리하지 않은 어떤 포자가 S. platensis를 위한 최적 접합전달 조건인가?",
"DNA공여체로 무엇을 사용하는가?",
"무엇을 DNA공여체로 이용해?",
"조건들을 전부 적용하였을 때 얼마만큼의 접합전달효율을 보이는가?",
"형질전환효율을 부위-특이적 재조합보다 100배 이상 높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초기의 조건에 비해 몇 배이상 향상되었는가?",
"phiC31 유래의 attP site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에 의해 chromosome의 attB site로 들어가는가?",
"무엇에 의해 벡터는 방선균 안으로 도입되는가?",
"벡터는 안정하게 유지되기 위해 chromosome의 어디로 삽입되는가?",
"어떤 attB site만이 attP site가 삽입되는 곳이 아닌가?",
"몇개의 접합전달체를 연구를 통해 얻었는가?",
" 연구를 통해 몇개의 접합전달체를 획득하지?",
"접합전달체 4개로부터 각각 무엇을 추출하였는가?",
"무엇으로 chromosome DNA를 절단하였는가?",
"chromosome DNA를 무엇을 이용해서 절단하지?",
"probe로 무엇의 Apr 내성유전자를 사용하였는가?",
"무엇의 Apr 내성유전자를 probe로 이용해?",
"무엇을 수행하기 위하여 chromosome DNA를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추출하였는가?",
"동일한 무엇을 4개의 접합전달체로부터 확인하는가?",
"ET152벡터가 삽입되는 곳은 S.platensis의 chromosome안에서 몇 곳인가?",
"왜 Southern blot에 확인된 단일밴드부근의 DNA단편을 회수하였는가?",
"어떤 전기영동을 chromosome DNA에 하였는가?",
" chromosome DNA에 어떤 전기영동을 실시했어?",
"무엇을 거쳐 DNA는 E. coli XL10-Gold로 형질전환되는가?",
" DNA는 E. coli XL10-Gold로 형질전환될 때 무엇을 거치나?",
"무엇으로 형질전환되기 위하여 DNA가 self-ligation을 거치게 되는가?",
"형질전환체를 선별하기 위해 무엇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는가?",
"무엇이 첨가된 배지를 활용해서 형질전환체를 고를까?",
"attB site의 일부가 포함된 chromosome단편을 클로닝 하기위해 무엇을 선별하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chromosome 단편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는가?",
" chromosome 단편의 염기 서열을 분석시 이용하는 것은 무엇이지?",
"모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인것은 attB site의 무엇인가?",
"attB site의 무엇이 모두 동일한 염기서열을 나타내지?",
"accession number AB531501로 어디에 등록되었는가?",
"얼마만큼의 상동성을 다른 방선균 유래 attB site의 염기서열에 대해 보였는가?",
"어디서 S.platensis chromosome의 pirin 상동체를 코드하는가?",
"S.platensis chromosome의 pirin 상동체를 어디에서 코드하지?",
"어떤 상동체를 코드하는 ORF내에 attB site가 있는가?",
"attB site의 무엇에 대한 염기 서열은 확인이 안됐는가?",
"S. platensis의 무엇이 pSET152벡터만의 삽입으로 바뀌는 지 확인하였는가?",
"TGase 생산량과 형태분화를 접합전달체와 무엇에 대하여 확인하였는가?",
"attP site는 무엇의 attB site에 삽입되는가?",
"S. attB site의 계통학적인 분석에서 attB site와 가장 가까운 것은?",
"무엇과 S. attB site의 계통학적인 분석이 가장 멀게 나왔는가?",
"무엇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위해 접합전달시스템을 사용하였는가?",
"접합전달 시스템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무엇인가?"
] |
559a2d8e-5561-4bbd-ad35-428772c99c65
|
생명LA
|
황칠나무 추출물의 고지혈증 완화 효과 스크리닝
|
<h2>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주요 flavonoid 분석</h2><p>황칠나무에는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rutin등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Ecklonia cava에서 분리한 폴리페놀 추출물인 Seapolynol \( ^{\mathrm{TM}} \) 과 Dieckol이 유의적으로 HMGCR 억제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폴리페놀 성분 중 caffeic acid, ellagic acid, gallic acid, ferulic acid이 HMGCR 억제효과가 있다는 연구와 HMGCR 억제제로 천연물질인 폴리페놀 성분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Sechium edule shoots의 폴리페놀물 추출물은 HMGCR 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 함랑을 감소시켰다. 황칠나무의 HMGCR 억제능도 황칠나무 잎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의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지질축적 억제 기능을 비교한 결과 황칠나무의 연생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황칠나무 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flavonoid 함량은 10년생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추출조건 및 채취시기에 따른 flavonoid 함량을 확인하였다. Figure 5와 Table 1에서 보여지는 결과와 같이 황칠나무 잎의 열수와 주정 추출물에서는 rutin과 chlorogen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rutin의 함량이 chlorogenic acid에 비해 약 5배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성분의 함량은 추출용매에 주정의 비율이 높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8월이나 11월에 채취한 잎보다는 5월에 채취한 잎에 rutin과 chlorogenic acid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주정추출물이 황칠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용매라고 판단되며 이는 지질축적 억제 활성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Rutin과 chlorogenic acid 성분들 이외에 황칠나무 추출물들에 함유되어 있는 다른 성분들의 차이와 활성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성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p>
|
[
"본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폴리페놀 성분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황칠나무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Ecklonia cava에서 분리한 폴리페놀 추출물은 무엇인가?",
"caffeic acid, ellagic acid, gallic acid, ferulic acid은 어떤 성분인가?",
"Ecklonia cava에서 분리한 폴리페놀 추출물인 Seapolynol \\( ^{\\mathrm{TM}} \\) 과 Dieckol은 어떤 효과를 보였는가?",
"HMGCR 억제제로 어떤 것이 효과적인가?",
"어떤 성분이 HMGCR 억제제로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었는가?",
"HMGCR 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 함랑을 감소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황칠나무의 HMGCR 억제능은 어떤 성분의 효과인가?",
"무엇을 비교한 결과 황칠나무의 HMGCR 억제능이 황칠나무의 연생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는가?",
"황칠나무의 HMGCR 억제능이 황칠나무의 연생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다는 사실을 무엇을 비교하여 알 수 있었는가?",
"황칠나무 잎에는 어떤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어떤 성분이 황칠나무 잎에서 다량 검출되는가?",
"flavonoid는 어디에 함유되어 있는가?",
"황칠나무 잎의 열수와 주정 추출물에서 무엇이 확인되었는가?",
"무엇을 황칠나무 잎의 열수와 주정 추출물에서 발견할 수 있었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추출조건 및 채취시기에 따른 flavonoid 함량을 확인하였는가?",
"rutin이 chlorogenic acid에 비해 얼마나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rutin 함량은 chlorogenic acid 함량에 비해 몇 배 더 큰가?",
"rutin과 chlorogenic acid 성분의 함량은 추출용매에 주정의 비율이 높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언제 채취한 잎에서 rutin과 chlorogenic acid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가?",
"주정추출물은 어떤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용매인가?",
"주정추출물은 어떤 성분을 추출하는 데에 효과적인가?",
"8월이나 11월에 채취한 잎보다는 5월에 채취한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어떤 성분인가?",
"추가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무엇이 지질축적 억제 활성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가?"
] |
c04c14f2-6ac0-4f54-b6eb-78e3be8a110b
|
생명LA
|
강화 약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
<h1>결과 및 고찰</h1><p>강화 사자발약쑥의 \(50\%\)\((\mathrm{v} / \mathrm{v}) \)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20.6 \pm \) \( 1.2 \% \) 였고,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물 \( \mathrm{g} \) 당 각각 \( 106.9 \pm 3.3 \mathrm{mg} \) gallic acid equivalents (GAE) 및 \( 34.1 \pm 0.4 \) \( \mathrm{mg} \) quercetin equivalents (QE)로 나타났다(Table 1). 식물의 주된 생리활성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녹차잎 추출물의 \(85.6 \mathrm{mg} / \mathrm{g} \)과 두충잎 추출물의 \(64.1 \mathrm{mg} / \mathrm{g} \) 보다 높았고, 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두충잎 추출물의 \(24.0 \mathrm{mg} / \mathrm{g} \) 과 물엉겅퀴잎 추출물의 \(13.3 \mathrm{mg} / \mathrm{g} \)보다 높게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은 ABTS 양이온라디칼과 DPPH 유리라디칼을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하였다(Fig. 1A).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인 약쑥 추출물의 \( \mathrm{EC}_{50} \) 값은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226.1 \mu \mathrm{g} / \mathrm{mL} \) 이었고, DPPH라디칼에 대해서는 \(297.1 \mu \mathrm{g} / \mathrm{mL} \) 이었다. 양성대조군인 L-ascorbic acid의 \( \mathrm{EC}_{50} \) 값은 ABTS라디칼에 대해서는 \( 63.0 \mu \mathrm{g} / \mathrm{mL} \) 인 것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38.4 \mu \mathrm{g} / \mathrm{mL} \) 인 것에 비해 약쑥 추출물의 \( \mathrm{EC}_{50} \) 값이 높았으나 단일 성분이 아닌 혼합물인 것을 고려하면 약쑥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사자발쑥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 값이 약 \(200 \mu \mathrm{g} / \mathrm{mL} \)로 보고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p><p>또한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진 두충잎 추출물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 값이 각각 560.6 및 \(574.2 \mu \mathrm{g} / \mathrm{mL} \) 인 것에 비해 약쑥 추출물의 \( \mathrm{EC}_{50} \) 값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주었다.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환원력도 증가하였다(Fig. 1B). 환원력에서 흡광도가 0.5에 되는데 필요한 농도인 \( \mathrm{EC}_{50} \) 값은 약쑥 추출물에서 \(178.6 \mu \mathrm{g} / \mathrm{mL} \) 이었고, L-ascorbic acid에서는 \(35.5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다. 두층잎 추출물과 복분자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 값이 각각 \(319.9 \mu \mathrm{g} / \mathrm{mL} \)과 \( 871.0 \mu \mathrm{g} / \mathrm{mL} \) 인 것에 비해 약쑥 추출물의 \( \mathrm{EC}_{50} \) 값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역시 환원력도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은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근원이 되는 아질산염을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허였다(Fig. 2A). 아질산염을 50% 소거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 값은 약쑥 추출물에서 \(976.1 \mu \mathrm{g} / \mathrm{mL} \) 이었고, L-ascorbic acid에서는 \(505.0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다. 두충잎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 값은 \(2,329.2 \mu \mathrm{g} / \) \( \mathrm{mL} \) 로 보고된 바 있어 약쑥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우수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사자발 약쑥 추출물은 지질 산화의 산물인 과산화물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Fig. 2B)불포화 지방산이 72 시간 산화되는 동안 약쑥 추출물은 \(56.5 \mu \mathr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과산화물의 생성을 \(67.9 \%\) 억제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은 \(74.8 \mu \mathr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과산화물의 생성을 \(70.0\%\) 억제한다는 보고와 비교해서도 약쑥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높은 수준이었다. 강화사자발약쑥 추출물의 라디칼과 아질산염에 대한 우수한 소거활성, 높은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그 추출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응고의 공통경로를 저해하는 혈장 항응고 활성을 보여주었다(Fig. 3). 약쑥 추출물은 내인성 경로인 aPTT와 외인성 경로인 PT에서 혈장 응고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통경로인 TT에서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혈장응고 시간을 현저히 지연시킴을 알 수 있었다. 약쑥 추출물은 \(1.61 \mathrm{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TT 를 \(157.5\%\) 지연시켰고, \(3.22 \mathrm{mg} \mathrm{mL} \) 의 농도에서 \(182.0\%\) 지연시켰다. 혈액응고는 내인성 경로와 외인성 경로를 거치면서 활성화된 응고인자 \( \mathrm{Xa} \) 가공통경로에서 연쇄 작용으로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활성화시키고 이에 의해 fibrin 중합체인 혈전이 생성되는 과정을 거친다. 약쑥 추출물에 의한 TT에서의 높은 지연효과는 그 추출물이 thrombin에 의해 매개되는 fibrin 응고괴의 형성을 현저히 저해함으로써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쑥 계통의 식물에 들어있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eupatilin과 jaceosidin이 혈장 항응고 및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내고, 폴리페놀 화합물이 혈장 항응고 활성을 가진다는 보고로 보아 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p><p>이상의 결과로부터 강화 사자발약쑥의 \(50\%\) 에탄을 추출물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었고, 우수한 항산화 및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 향후 사자발약 쑥 추출물에서 생리활성 성분을 확인하고, 항산화 및 혈장 항응고 활성의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 진다.</p>
|
[
"폴리페놀은 식물의 주된 생리활성 물질인가?",
"식물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에 폴리페놀이 포함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을 저해하는가?",
"항산화 활성을 방해하는 것이 플라보노이드의 기능 중 하나야?",
"약쑥, 녹차잎, 두충잎 추충물 중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것은 약쑥, 녹차잎, 두충잎 추충물 중 뭐야?",
"약쑥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은 무엇인가?",
"무엇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해 약쑥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을 측정했어?",
"\\( \\mathrm{EC}_{50} \\)의 의미는 무엇인가?",
"\\( \\mathrm{EC}_{50} \\)은 무엇을 나타내는 지표야?",
"사자발약쑥 추출물이 발암을 억제하는 기작은 무엇인가?",
"어떤 방법으로 사자발약쑥 추출물이 발암을 저해해?",
"약쑥, 두충잎, 물엉겅퀴잎 추출물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가장 많은 플라보노이드를 가지는 것은 약쑥, 두충잎, 물엉겅퀴잎 추출물 중 뭐야?",
"약쑥 추출물에서 혈장 항응고 및 항혈소판 효과를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어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약쑥 추출물에서 혈장 항응고 및 항혈소판 효과를 보여?",
"강화사자발약쑥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추출물의 함유 물질 중 어떤 물질의 효과로 나타나는 활성인가?",
"추출물의 함유 물질 중 어떤 물질이 강화사자발약쑥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효과에 영향을 미쳐?",
"혈액응고의 과정은 무엇인가?",
"어떤 과정을 통해 혈액이 응고돼?",
"약쑥 추출물은 두충잎에 비해 환원력이 우수한가?",
"두충잎에 비해 약쑥 추출물은 환원력이 뛰어나지?",
"약쑥 추출물은 외인성 경로인 PT에서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가?",
"외인성 경로인 PT에서 약쑥 추출물이 혈장 항응고 활성을 보여?",
"약쑥 추출물의 항혈소판 효과는 jaceosidin로부터 기인하는가?",
"쑥 계통 식물이 가진 eupatilin과 jaceosidin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어떤 효능이 쑥 계통 식물에 포함된 eupatilin과 jaceosidin에서 보여?",
"쑥 계통 식물이 가진 jaceosidin 물질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 |
4e99db61-9e43-45c1-b45d-eee1db9004ee
|
생명LA
|
강화 약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
<h1>서 론</h1><p>강화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는 강화 사자발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은 ITS 염기서열 분석에서 참쑥(Artemisia codonocephala)보다는 황해쑥(Artemisia argyi)과 유사한 종으로 분류되었다. 사자발약쑥은 황해쑥과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에 비해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항균,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정유 성분인 cineole, camphor, borneol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eupatilin, jaceosidin, eupafolin, epiogenin 등이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식물성 스테롤인 sitosterol, ergosterol, stigmasterol노 함유하고 있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은 우수한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주었고, Gram (\(+\))의 피부상재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in vitro에서 사람의 간암, 폐암, 위암, 유방암 및 자궁암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사자발 악쑥 추출물은 염증성 T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었고,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먹인 쥐에서 당화 혈색소의 함량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사자발 악쑥 고유의 생리활성을 기능성 식품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노화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강화 사자발약쑥을 \(50 \%(\mathrm{v} / \mathrm{v}) \)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항산화 활성과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강화 사자발약쑥을 다양한 생리활성 소재로 용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p>
|
[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자발약쑥이 황해쑥과 인진쑥에 비해 높은 편인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중에서 cineole, camphor, borneol은 어떤 성분에 해당하는가?",
"Cineole, camphor, borneol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중 어떤 성분에 해당하는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정 물질 중에 eupatilin, jaceosidin, eupafolin, epiogenin 등은 어떤 물질에 속하는가?",
"eupatilin, jaceosidin, eupafolin, epiogenin 등이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정 물질 중에 속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중 sitosterol, ergosterol, stigmasterol 등은 어떤 물질에 해당하는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sitosterol, ergosterol, stigmasterol 등은 어떤 종류의 물질인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중 식물성 스테롤에 해당하는 물질들은 무엇인가?",
"식물성 스테롤에 해당하는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은 무엇인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은 그람양성인 피부상재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높게 가지고 있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이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어떤 것을 확인하여 알아냈는가?",
"사자발약쑥의 생리활성 물질 중 정유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들은 무엇인가?",
"황해쑥과 인진쑥은 사자발약쑥에 비해 항균,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은 시험관 내에서 사람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보여줬는가?",
"강화 사자발약쑥은 ITS 염기서열 분석에서 황해쑥보다 참쑥과 유사한 종으로 분류되었는가?",
"강화 사자발약쑥은 ITS 염기서열 분석에서 어떤 종과 유사한 종으로 분류되었는가?",
"ITS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강화 사자발약쑥은 어떤 종과 유사하게 분류되었는가?"
] |
c38159c3-accc-4d37-b8d9-75547acce861
|
생명LA
|
강화 약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
<h1>초 록</h1><p>강화 사자빌약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으로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였다. 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 106.9 \pm 3.3 \) 및 \( 34.1 \pm 0.4 \mathrm{mg} / \mathrm{g} \)-추출물로 나타났다.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리라디칼, 양이온라디칼 및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우수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약쑥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혈액응고의 공통경로를 저해하는 혈장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다.</p>
|
[
"약쑥 추출물 농도가 높을수록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커지는가?",
"본 실험에서 사용된 약쑥의 종명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는 어떤 종명의 약쑥을 사용했는가?",
"약쑥 추출물에서 검출된 폴리페놀의 함량은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높은가?",
"약쑥 추출물에서 검출된 함량은 플라보노이드보다 폴리페놀이 더 높은가?",
"약쑥 추출물은 유리라디칼의 생성을 활성화하는가?",
"약쑥 추출물이 유리라디칼이 생성되도록 하는가?",
"약쑥 추출물은 양이온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가?",
"약쑥 추출물이 양이온라디칼을 소거하나요?",
"약쑥 추출물의 활성효과는 무엇인가?",
"약쑥 추출물이 가지는 활성 효과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약쑥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혈액의 응고가 활성화되는가?",
"혈액 응고의 활성화 정도는 약쑥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는가?"
] |
d1b1c5d4-6154-4ffd-a2e4-629bcd881856
|
생명LA
|
강화 약쑥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응고 활성
|
<h1>재료 및 방법</h1><h2>강화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제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h2><p>강화산 사자발약숙(Isthere사, Ilsan, South Korea)의 분말에 \(50 \%\)\( (\mathrm{v} / \mathrm{v}) \) 에탄올 용액을 10 배 \( (\mathrm{w} / \mathrm{v}) \) 넣고 \(50{ }^{\circ} \mathrm{C} \) 항온진탕조에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 (\(3,000 \times g \), 10 분)하여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얻었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Folin과 Denis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약쑥 추출물과 Folin 용액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 반응시킨 후 \(10\%\) \( \mathrm{Na}_{2} \mathrm{CO}_{3} \) 용액을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다음 \(725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악쑥 추출물에 diethylene glycol과 \(1 \mathrm{N}\) \(\mathrm{NaOH} \) 용액을 가하고 \(37 ^{\circ} \mathrm{C} \) 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420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h2>강화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h2><p>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ABTS) 양이온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Re 등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악쑥 추출물에 \(7.5 \mathrm{mM}\) ABTS 용액(\(\text{흡광도} =1.500 \pm 0.02 \)) 을 넣고 실온에서 90 분 반응시킨 후 \( 414 \mathrm{nm}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유리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Blois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약쑥 추출물에 \( 0.2 \mathrm{mM} \) DPPH 용엑을 넣고 실온에서 30 분 반응시킨 후 \(517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p>또한, 사자발약숙 추출물의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활성은 Gray와 Dugan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0.2 \mathrm{M} \) citrate 완충엑 (\( \mathrm{pH} 1.2\)) 에 약쑥 추출물과 \( 1 \mathrm{mM} \) sodium nitrite을 혼합하여 \(37 ^{\circ} \mathrm{C} \) 에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키고 \( 2\%\) acetic acid와 Griess 시약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5 분 정치한 후 \(520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기능(\(\%\))은 \([1-(\text{실험군의 흡광도}/\text{대조군의 흡광도}) ] \times 100 \) 로 계산하였다.</p><p>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은 Oyaizu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0.2 \mathrm{M} \) phosphate 완충액 (\( \mathrm{pH} 6.68\))에 약쑥 추출물과 \(1\%\) potassium ferricyanide (III)를 혼합하여 \(50 { }^{\circ} \mathrm{C} \) 에서 20분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액에 \(10\%\) trichloroacetic acid를 처리하여 원심분리 (\( 3,000 \times g \), 10 분 ) 한 후, 상등엑에 0.1% ferric chloride를 넣고 \(700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Nakatani와 Kikuzaki의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50 \mathrm{mM} \) phosphate 완충액 (\( \mathrm{pH} 7.0\))에서 약쑥 추출물과 \(2.5 \mathrm{mg} / \mathrm{mL} \) linoleic acid를 혼합하여 \(45 ^{\circ} \mathrm{C} \) 에서 72 시간 산화시키고 \(30\%\) ammonium thiocyanate와 혼합하여 5 분 정치시킨 후 \(20 \mathrm{mM} \) ferrous chloride 용액을 넣어 \(500 \mathrm{nm}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h2>강화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h2><p>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은 Fox 등의 방법에 따라 blood coagulation analyzer (CM2, Behnk Elektronik, Norderstedt, Germany)를 사용하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aPTT), prothrombin time (PT) ) 및 thrombin time (TT)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람의 표준 혈장, thromboplastin, aPTT-XL 용액 및 thrombin은 Thermo Fisher Scientific사(Middletown, VA, USA)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PT는 사람의 표준 혈장에 약쑥 추출물을 넣고 \(37 ^{\circ} \mathrm{C} \) 에서 3분 정치시킨 후 thromboplastin 용액을 넣어 측정하였고, aPTT 는 사람의 표준 혈장에 약쑥 추출물과 aPTT-XL 용액을 넣고 \( 37^{\circ} \mathrm{C} \) 에서 3 분 정치시킨 후 \(20 \mathrm{mM}\) \(\mathrm{CaCl} \) 를 넣어 측정하였다. TT는 사람의 표준 혈장에 약쑥 추출물과 \(20 \mathrm{mM}\) \(\mathrm{CaCl}{ }_{2} \) 를 넣고 \(37 ^{\circ} \mathrm{C} \) 에서 3분 정치시킨 후 \(0.5 \mathrm{U} \) thrombin을 넣어 측정하였다.</p>
|
[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는데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어떤 방법을 이용해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알아 보았니?",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어떤 방법으로 확인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통해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알아 보았니?",
"강화산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얻기 위해 항온진탕조에서 추출할 때 온도는 몇 도로 맞췄는가?",
"몇 도의 온도로 항온진탕조에서 강화산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을까?",
"강화산 사자발약쑥 분말로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얻을때 \\(50 \\%\\)\\( (\\mathrm{v} / \\mathrm{v}) \\) 에탄올 용액을 몇 배 넣어야 하는가?",
" \\(50 \\%\\)\\( (\\mathrm{v} / \\mathrm{v}) \\) 에탄올 용액을 강화산 사자발약쑥 분말로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해 몇 배나 넣어야 할까?",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알기 위해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에 약쑥추출물에 어떤 처리를 하여야 하는가?",
"약쑥추출물에 어떤 처리과정을 거쳐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알기 위한 흡광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니?",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할때 흡광도 측정은 둘 다 같은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는게 옳은가?",
"같은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는 것이 나은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유리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 어떤 반응을 시켜야 하는가?",
" 흡광도를 측정하기 전 어떤 반응을 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야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유리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관찰할 수 있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ABTS) 양이온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흡광도 측정 전 처리과정에서 \\(7.5 \\mathrm{mM}\\) ABTS 용액을 넣고 몇 분 반응시켜야 하는가?",
"흡광도 측정 전 처리과정에서 \\(7.5 \\mathrm{mM}\\) ABTS 용액을 넣고 몇 분간 반응을 시켜보아야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ABTS) 양이온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관찰해 볼 수 있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을 관찰할 수 있나?",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을 확인할때와 지질과산화억제활성을 확인할때 사용한 phosphate 완충액은 같은 몰농도의 용액을 사용하였는가?",
"같은 몰농도의 용액을 이용한 Phosphate 완충액으로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과 지질과산화억제활성 관찰을 하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을 확인하기 위한 처리과정에서 원심분리를 시행하였는가?",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환원력을 확인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시행하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측정하였는가?",
"무엇을 측정함으로써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을 관찰할 수 있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 확인을 위해 aPTT를 측정할때는 사람의 표준 혈장에 약쑥 추출물을 넣고 \\(37 ^{\\circ} \\mathrm{C} \\) 에서 3분 정치시킨 후 thromboplastin 용액을 넣어 측정해야 하는가?",
"사람의 표준 혈장에 약쑥 추출물을 넣고 \\(37 ^{\\circ} \\mathrm{C} \\) 에서 3분동안 정치시킨 후 thromboplastin 용액을 넣어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 확인을 위해 aPTT를 관찰해야 하는가?",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TT를 측정할때, \\(0.5 \\mathrm{U} \\) thrombin을 넣기 전에 사람의 표준혈장에 어떤 처리를 해야 하는가?",
"\\(0.5 \\mathrm{U} \\) thrombin을 넣기 전 사람의 표준혈장에 어떠한 처리를 한 후 사자발약쑥 추출물의 혈장 항응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TT를 관측해야 하는가?"
] |
e30a17e6-6c27-4214-8a15-adbbbaae85dc
|
생명LA
|
인체혈구암세포 U937의 D-Ala2-Leu5-enkephalin처리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 효과
|
<h1>서 론</h1><p>암은 여러 다양한 치료 기술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정복되지 못하고 있는 치사율 높은 질병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도 높은 사망률을 가진 질병이다. 다양한 방법으로 암의 치료와 예방에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을 쏟고 있으며, 이 중 세포 사멸은 중요한 접근방법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세포 사멸은 DNA 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유전적 조절 하에서 일어나는 정교한 방어기전이며, 개체보존의 수준에서 손상된 세포들의 제거 수단이기도 하다. 세포 사멸의 유발에는 Bcl-2 family, IAP family 등 여러 중요한 인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여러 신호들에 의해 활성화되고 또한 그 신호를 표적 단백질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신호전달체계를 전달하는 것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p><p>암의 증식과 발생 측면에서 세포 주기 조절의 교란은 중요한 치료 및 예방의 한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세포 주기에 대한 개념은 Swift 및 Howard에 의해 G1, S, G2/M기에 대한 정의가 내려지면서 성립되었으며, 그 후 진보된 실험 방법에 의해 cyclin과 cdk가 동정 되었고, 이들이 세포주기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여러 복합체를 이루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cdk들은 cdk inhibitor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며 이들 inhibitor는 선택적으로 세포주기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앝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주기의 조절은 특정 물질의 항암성 기전 해석의 기초적인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p><p>일부 포유류들 즉, 다람쥐, 박쥐, 곰 등은 추운 겨울을 동면이라는 특이한 적응 형태로 생존하고 있다. 동면의 주된 목적은 온도의 감소, 먹이의 부족 등으로 인한 생존의 위협을 받을 때 체내 생리적 조절에 의한 물질대사의 감소 및 에너지 요구량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Enkephalin family에 속하는 D-Ala2-Leu5-enkephalin (DADLE)라는 peptide는 동면을 유도하는 요소(hibernation induction factor)로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유사 동면 상태를 야기한다. 또한 DADLE는 조직, 신경 그리고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며, 외부 자극으로부터 간을 보호하거나 신경을 세포 죽음으로부터 보호하기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p><p>본 연구에서는 동면 개시 인자로 알려진 DADLE의 처리에 의한 U937 인체혈구암세포의 세포 사멸 및 세포 주기에 대한 영향을 MTT assay, DNA flow cytometer 그리고 RT-PCR등을 이용하여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DADLE가 항암조절 연구에서 유의적인 물질로써 life-time 증가와 연관성을 알아보았다.</p>
|
[
"손상된 세포들의 제거 수단은 무엇인가?",
" 손상 세포들의 제거는 어떻게 해?",
"세포 주기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 사람은 누구인가?",
"누가 세포 주기에 대한 개념을 규정했지?",
"Bcl-2 family, IAP family 이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Bcl-2 family, IAP family 은 둘다 어떤 일을 하니?",
"cdk가 활성이 억제되면 세포주기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가?",
"cdk가 활성이 억제될시 어떤 변화가 세포주기에 발생되지?",
"다람쥐, 박쥐, 곰과 같은 일부 포유류들은 동면을 언제 하는가?",
"다람쥐, 박쥐, 곰과 같은 일부 포유류들은 언제 동면에 들어갈까?",
"동면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동면은 왜할까?",
"DADLE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이 DADLE의 특성일까?",
"동면 개시 인자는?",
"어떤 것이 동면 개시 인자인가?"
] |
68bf6361-6259-41cf-bc2b-855246947baf
|
생명LA
|
인체혈구암세포 U937의 D-Ala2-Leu5-enkephalin처리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 효과
|
<h1>요 약</h1><p>동면 개시인자로 알려진 DADLE는 여러 연구에 의해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유사 동면 상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인체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주의 세포 사멸과 세포 주기 등에 대한 DADL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DADLE 가 처리된 U937 세포는 8~10\( \mu \mathrm{M} \) 의 높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이 감소하였으며, 0~6\( \mu \mathrm{M} \) 의 낮은 농도에서 영향이 없었다. DNA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주기를 분석해본 결과 DADLE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가 관찰되었다. DADLE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률 감소 및 세포 주기 억제효과를 전사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Bcl-XL, c-IAP-2 의 발현 및 survivin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COX-2 의 발현 역시 COX-1 의 변화 없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yclin E와 cdk-2,-4 그리고 -6 의 발현 역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elomere 조절 관련 유전자의 경우도 c-myc과 TERT의 감소, 그리고 TEP-1가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DADLE 를 U937 암세포주에 처리했을 때 세포 주기의 억제를 통하여 life-time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p>
|
[
"본 연구에서 사용된 U937는 어떤 세포야?",
"본 연구에서 어떤 세포가 U937 중 사용된 세포야?",
"U937 세포의 농도가 몇 \\( \\mu \\mathrm{M} \\)일 때 세포증식이 줄어들었지?",
"세포의 증식은 U937 세포의 농도가 몇 \\( \\mu \\mathrm{M} \\)일 때 줄어드나요?",
"U937 세포의 농도가 어떨 때 DADLE의 영향을 받지 않아?",
"DADLE는 U937 세포의 진하기가 어떨 때 영향을 받지 않아?"
] |
34b2afa0-d47e-4595-a05c-ea954ae6db02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2>질소 고정능과 siderophore 생성능</h2><p>질소 고정능과 siderophore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5\)균주에서 모두 질소 고정능과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DDP\(346\)은 가장 높은 질소 고정능을 나타내었다. 질소 비료는 사용한 비료의 \( 50 \% \) 이하만 식물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나머지는 휘발성 분해로 인하여 손실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5\)균주 모두 질소 고정능과 siderophore 생성능을 가짐으로써 질소와 철 이용률을 높여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속성이 낮은 화학 비료의 대체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iderophore의 경우에는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의 철 경쟁을 통해 병원체의 생장과 병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통해 DDP\(346\)에 의해 생성된 siderophore가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데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p><h2>IAA 생성능, ACC deaminase 생성능 조사</h2><p>본 연구는 환경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IAA와 ACC deaminase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식물 생장 호르몬으로 알려진 IAA 측정 결과, \(5.80-64.15 \mu \mathrm{g} / \mathrm{mL} \)의 IAA 생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DDP\(346\), DDP\(398\) 및 DDP\(406\) 균주에서 비교적 높은 IAA 생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C deaminase 생성능은 \(5\)균주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내었다. Danish 등은 건조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ACC deaminase 활성을 가진 균주를 접종하여 옥수수를 재배한 결과, shoot length와 shoot dry weight가 각각 최대 \( 1.5 \)배와 \( 1.4 \)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염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에 PGPR 균주를 처리했을 때, 식물 내의 \( \mathrm{Na}^{+} \)이온 공급을 줄여 \( \mathrm{Na}^{+} / \mathrm{K}^{+} \)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염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AA와 ACC deaminase 생성능을 가진 균주가 외부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이온의 항상성을 유지해 줌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서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작물 재배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p><h2>미생물 동정</h2><p>미네랄 가용화능,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항진균 활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다목적 기능을 가진 미생물 제제로써 가장 적합한 DDP\(346\) 균주를 선정하였다. DDP\(346\)을 동정하기 위해서 \(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 Blast에서 비교한 결과, Acinetobacter pittii DSM \(21653\) (NR_\(117621.1\))과 \( 99.9 \% \)로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16\)S rR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Acinetobacter pittii와 높은 유연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Bootstrap 값도 \( 77 \% \)로 높은 수치를 보여 Acinetobacter sp.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p>
|
[
"어떠한 생성능을 가진 균주가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가?",
"질소 비료의 단점은 \\(50\\)%만 식물에 효과적으로 흡수되고 나머지는 휘발성 분해로 인하여 손실되는 것인가?",
"\\(5\\)균주는 어떻게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는가?",
"다음 중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생성균은 무엇인가?"
] |
9698f936-ad55-4206-9cf0-313ff1db3b91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2>DDP\(346\)의 효소활성 측정</h2><p>근권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외 효소는 식물과 병원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식물병을 억제하며, 미생물의 근권 정착 및 식물의 면역반응 등을 통해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DP\(346\)의 세포 외 효소활성 측정 결과, amylase, cellulase, protease, xylanase 활성은 각각 \(16.91,10.49,19.70,49.85 \mathrm{mg}/100 \mathrm{mL} \)로 \(4\)가지 가수분해효소 중에서는 xylanase 활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DDP\(346\)은 \(4\)가지의 세포 외 효소를 가짐으로써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외에도 DDP\(346\)이 갖는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API ZYM kit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esterase (C\(4\)), esterase (C\(8\)),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naphtol-AS-BI-phosphohydrolase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도 leucine arylamidase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DDP\(346\) 균주는 siderophore 생성능과 세포 외 효소(amylase, cellulase, protease, xylanase) 및 다양한 효소활성을 가짐으로써 식물 생장 촉진뿐만 아니라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p>본 연구는 다목적 기능을 가진 미생물 제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미생물 제제로써 활용 가능성은 미네랄 가용화능, 항진균 활성, 항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으로 평가하였다. 먼저 분리된 \(13\)균주 중에서 미네랄 가용화능(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을 모두 가진 \(5\)균주(ANG\(37\), DDP\(77\), DDP\(346\), DDP\(398\), DDP\(406\))를 \(1\)차적으로 선별하였다. 그 다음으로 항진균 활성과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ANG\(37\)와 DDP\(346\) 균주는 각각 \(1\)종과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2\)종의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은 \(5\)균주 모두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DDP\(346\)은 질소 고정능과 IAA 생성능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 가용화능,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 및 질소고정능, siderophore, IAA, ACC deaminase 생성능을 가진 Acinetobacter sp. DDP\(346\)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DDP\(346\)의 생장조건을 확인한 결과, 다양한 온도\( \left(10-40{ }^{\circ} \mathrm{C}\right), \mathrm{pH} \)\((5-11)\) 및 염농도\( (0-5 \%) \)에서 생장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음의 상관계수 \( \left(r^{2}=-0.913\right. \), \( p<0.01 \))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배양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미네랄 가용화능, 항진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를 통해 Acinetobacter sp. DDP\(346\) 균주의 미생물 제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제형 연구 및 최적화, 작물 재배를 통해 미생물 제제로써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p>
|
[
"근권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외 효소는 식물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아?",
"esterase (C\\(4\\)), esterase (C\\(8\\)),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naphtol-AS-BI-phosphohydrolase 중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요?",
"DDP\\(346\\)이 갖는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API ZYM kit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소활성을 확인한 결과,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요?",
"미네랄 가용화능에 해당되는 원소는?",
"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은 미네랄 가용화능에 해당되는 원소 인가요?",
"미네랄 가용화능에 해당되는 원소는 무엇인가요?",
"DDP\\(346\\)은 어떻게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는가?",
"균주 ANG\\(37\\)는 몇 종, DDP\\(346\\)는 몇 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보였는가?",
"ANG\\(37\\)와 DDP\\(346\\) 균주는 각각 \\(1\\)종과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보였나요?",
"미네랄 가용화능(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을 모두 가진 균주 5가지는 무엇인가요?",
"ANG\\(37\\)와 DDP\\(346\\) 균주가 항진균 활성을 띈 병원성 곰팡이는 각각 몇 종인가요?",
"DDP\\(346\\)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인 특성은 질소 고정능과 IAA 생성능인가요?",
"DDP\\(346\\)는 온도\\( \\left(10-40{ }^{\\circ} \\mathrm{C}\\right), \\mathrm{pH} \\)\\((5-11)\\) 및 염농도\\( (0-5 \\%) \\)에서 생장 가능한가요?",
"DDP\\(346\\)가 생장가능한 온도나 pH 염농도 조건은 무엇인가요?",
"ANG\\(37\\)와 DDP\\(346\\) 균주는 항균 활성을 나타낸 식물 병원성 세균은 몇 종인가요?",
"DDP\\(346\\)는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상관계수는 무엇인가요?",
"근권 미생물에 의해 분비되는 세포 외 효소는 식물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가수분해효소 중 활성도가 가장 높은 효소는 무엇이야?",
"DDP\\(346\\)은 \\(4\\)가지의 세포 외 효소를 가짐으로써 곰팡이의 생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는가?",
"DDP\\(346\\)이 갖는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무슨 kit를 이용하는가?",
"미네랄 가용화능(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을 모두 가진 균주는 5개인가요?",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원인은 DDP\\(346\\)의 어떠한 작용 때문인가요?",
"API ZYM kit를 이용를 이용하여 DDP\\(346\\)이 갖는 효소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가?",
"DDP\\(346\\)은 비교적 높은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보인 것은 무엇인가요?",
"amylase, cellulase, protease, xylanase 효소중 활성이 가장 높은 효소는 무엇인가요?",
"ANG\\(37\\)와 DDP\\(346\\) 균주는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보인건 \\(3-4\\)종이였나요?",
"DDP\\(346\\)의 pH와 인산함량간에 어떠한 관계가 성립하나요?",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보이는 ANG\\(37\\)와 DDP\\(346\\) 균주는 몇 종인가요?",
"DDP\\(346\\)는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양의 상관계수가 성립하나요?"
] |
c2ddf54b-fe42-4690-a447-f1e1f7d35b6d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1>서 론</h1><p>무분별한 화학비료 및 농약의 사용은 토양의 비옥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식물의 생장저해와 더불어 농업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외에도 화학비료 및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과 식품 안전상의 문제에 대한 대처 수단으로써 미생물 제제가 주목받아 왔지만 아직까지도 비료 시장에서 미생물 제제는 극히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주요 미생물 제제는 질소 고정 비료와 인산 가용화 비료로 각각 \( 80,14 \% \)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p><p>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필요한 대부분의 영양소들은 토양에서 불용성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서 식물이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식물은 뿌리 삼출물을 분비함으로써 근권의 미생물을 이용한다. 식물 생장 촉진 근권 미생물(PGPR,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은 식물의 근권에 존재하면서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미생물로 직접적으로는 질소고정능, siderophore 생성능, 미네랄 가용화능 및 환경스트레스와 관련된 indole-\(3\)-acetic acid (IAA)와 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aminase를 생성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소는 식물과 미생물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의 생장에 필수적인 중요한 영양소 중 하나로 대부분의 PGPR은 질소 고정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철이 결핍된 조건에서 PGPR은 철을 흡수하기 위해 siderophore라는 철 이온 결합 물질을 분비하여 철의 이용률을 높임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의 철 경쟁을 통해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생장을 억제하여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PGPR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 유기산과 유기 화합물은 불용성 인산, 규소, 아연과 같은 미네랄을 가용화하여 식물에 유효도(availability)를 증가시킴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PGPR은 식물 뿌리 주변에 서식하면서 식물에 의해 삼출되는 트립토판을 이용하여 IAA를 생성하며, 생성된 IAA는 ACC를 합성함으로써 식물 내에 에틸렌 수준을 증가시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IAA 및 외부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에틸렌의 수준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뿌리 신장의 저해 및 노화와 세포의 손상이 가속화되어 식물의 생장을 저해한다. 이러한 문제는 근권 미생물이 ACC deaminase를 생성함으로써 에틸렌의 전구체인 ACC를 ammonia와 alpha-ketobutyrate로 분해하여 식물 내의 에틸렌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간접적으로는 영양분의 경쟁, 암모니아, cyanogens, alcohols, 세포벽 분해 효소, 이차대사산물 등을 통하여 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줌으로써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미네랄 영양분 공급과 식물 생장 촉진,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항균 활성을 동시에 가진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서 근권 토양과 뿌리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미네랄 가용화능,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항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하였다.</p>
|
[
"철이 식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식물에게 있어서 철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대부분의 식물 생장 촉진 근권 미생물에는 무슨 고정능을 가지는가?",
"대부분의 식물 생장에 꼭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로 대부분의 PGRP가 가지고 있는 것은?",
"미생물 제제는 어떤 수단으로 주목받았는가?",
"미생물 제제가 주목받게 된 이유는?",
"무분별한 화학비료 및 농약의 사용은 어떤 결과를 불러왔는가?",
"농약 및 화학비료의 무분별한 사용은 어떤 부작용을 가져왔나?",
"현재 판매 중인 주요 미생물 제제는 무엇인가?",
"주요 미생물 제제 중, 현재 판매 중인 것들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들은 어떤 형태로 토양에 있는가?",
"토양에 있는 영영소 중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들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유기산과 유기 화합물은 식물에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PGPR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산과 유기 화합물은 식물에게 있어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
"생성되는 에틸렌의 수준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식물의 성장을 저하시킬까?",
"에틸렌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한다.",
"식물 생장 촉진 근권 미생물은 철이 부족할 때 어떤 물질을 분비하는가?",
"PGPR은 철이 부족할 때 철의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무슨 물질을 분비하는가?"
] |
642fd75c-c8a0-421a-bfd0-5d11400aa964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1>초록</h1><p>본 연구는 근권 토양 및 뿌리에 존재하는 근권 미생물 중 미생물 제제로 적합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서 미네랄 가용화능,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불용성 인산, 탄산칼슘, 규소 및 아연 가용화능과 질소고정능, siderophore, indole-\(3\)-acetic acid와 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deaminase 생성능 및 \(7\) 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갖는 DDP\(346\)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DDP\(346\)은 Acinetobacter pittii DSM\(21653\) (NR_\(117621.1\))와 \( 99.9 \% \)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Acinetobacter pittii와 높은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DDP\(346\)의 생장 조건은 온도\( \left(10-40^{\circ} \mathrm{C}\right)\), \( \mathrm{pH} (5-11) \) 염농도\( (0-5 \%) \) 범위로 확인하였다. 또한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음의 상관계수 \( \left(r^{2}=-0.913\right. \), \( p<0.01) \)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배양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미네랄 가용화능,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 평가를 통해 Acinetobacter sp.DDP\(346\)을 다목적 미생물 제제로써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p>
|
[
"DDP\\(346\\)의 생장 조건에서 알맞은 pH는 얼마인가요?",
"미네랄 가용화능,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근권 미생물의 미네랄 가용화능,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하는가?",
"근권 미생물의 미네랄 가용화능,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하는 목적은 미생물 제제로 적합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서인가요?",
"선별된 DDP\\(346\\)은 Acinetobacter pittii DSM\\(21653\\) (NR_\\(117621.1\\))와 \\( 9.9 \\% \\) 이하의 상동성을 보였나요?",
"선별된 DDP\\(346\\)은 Acinetobacter pittii DSM\\(21653\\)와 몇 \\(\\% \\)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나요?",
"선별된 DDP\\(346\\)는 \\(16\\)S rR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무엇과 높은 유연관계를 가지나요?",
"선별된 DDP\\(346\\)는 Acinetobacter pittii와 높은 유연관계 가지지 않는가?",
"DDP\\(346\\)의 생장 조건에 알맞은 온도는 얼마인가요?",
"DDP\\(346\\)의 생장에 알맞은 온도는 몇 \\(^{\\circ} \\mathrm{C}\\)입니까?",
"DDP\\(346\\)의 생장 조건 중 알맞은 \\( \\mathrm{pH}\\)는 12에서 14정도인가?",
"근권 미생물의 미네랄 가용화능,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은 무엇인가요?",
"DDP\\(346\\)의 생장에 알맞은 염농도는 얼마인가요?",
"DDP\\(346\\)의 생장 조건 중 염농도는 얼마가 적절한가요?",
"DDP\\(346\\)의 생장에 적절한 염농도는 \\( 0-5 \\% \\)입니까?",
"선별된 DDP\\(346\\)은 Acinetobacter pittii DSM\\(21653\\)와 몇 \\( \\% \\)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나요?",
"DDP\\(346\\)에서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음의 상관계수를 나타내는 것은 배양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가?",
"DDP\\(346\\)의 생장 조건에서 온도는 \\( 10-40^{\\circ} \\mathrm{C}\\)입니까?",
"DDP\\(346\\)의 생장 조건 중 염농도는 얼마정도가 적절한가?",
"DDP\\(346\\)에서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 음의 상관계수를 갖는 결과는 무엇으로부터 나타난 결과로 추측해 볼 수 있나요?",
"DDP\\(346\\)의 생장에 알맞은 \\( \\mathrm{pH} \\)는 얼마인가요?",
"얼마의 \\( \\mathrm{pH} \\)가 DDP\\(346\\)의 생장에 적절한가요?"
] |
eb648efa-97fc-4c42-8113-3e22544c8e57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1>재료 및 방법</h1><h2>미생물 분리</h2><p>토양 및 뿌리 채취는 부산 다대포(DDP) 해변, 부산 삼락공원(SN)의 갈대밭, 제주도 해변(ANG) 및 토마토 밭(ANG)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시료 \( 1 \mathrm{g} \)을 멸균된 생리식염수에 연속으로 희석하여 \( \left(10^{-1}-10^{-7}\right) \) 현탁 후 bennet agar (BA, glucose \(10\)\( \mathrm{g}/\mathrm{L} \), peptone \( 2 \mathrm{g}/\mathrm{L} \), beef extract \( 1 \mathrm{g}/\mathrm{L} \), yeast extract \( 1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mathrm{L} \)), tryptic soy agar (TSA, Difco\( {}^{\mathrm{TM}} \)), humic-vitamin(HV) agar (humic acid \( 1 \mathrm{g} / \mathrm{L}\), \(\mathrm{KCl} ~0.5 \mathrm{g} / \mathrm{L}\), \(\mathrm{Na}_{2} \mathrm{HPO}_{4} ~0.5 \mathrm{g} / \mathrm{L} \), \( \mathrm{MgSO}_{4} ~0.5 \mathrm{g} / \mathrm{L}\), \(\mathrm{CaCO}_{3} ~0.02 \mathrm{g} / \mathrm{L}\), \(\mathrm{FeSO}_{4} ~0.02 \mathrm{g} / \mathrm{L}\), \(\mathrm{V}_{\mathrm{B}} \) stock solution \( 1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 / \mathrm{L}) \) plate에 도말하여 균을 분리하였다. 채취한 뿌리는 근권 미생물의 분리를 위해서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표백제인 perchloric acid \((1\%)\)를 처리하여 표면 미생물을 제거한 후 BA, TSA, HV 배지에 \( 30{ }^{\circ} \mathrm{C} \)에서 \(2\)일간 배양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토양의 염농도\((\%)\)는 전기전도계(STARTER \(3100\)C, OHAU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전기전도도 EC를 측정한 후 계산식(염농도\((\%)=\mathrm{EC}(\mathrm{ds} / \mathrm{m})\times0.064)\)에 따라 환산하였다.</p><h2>미네랄 가용화능</h2><p>인산과 탄산칼슘, 규소, 아연 가용화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 Pikovskaya agar (calcium phosphate \( 5.0 \mathrm{g} / \mathrm{L} \), yeast extract \( 0.5 \mathrm{g} / \mathrm{L} \), glucose \( 10 \mathrm{g} / \mathrm{L}\), \(10 \mathrm{CaO}\cdot3 \mathrm{P}_{2} \mathrm{O}_{5}\cdot\mathrm{H}_{2} \mathrm{O} 5 \mathrm{g} / \mathrm{L}\), \(\left(\mathrm{NH}_{4}\right)_{2} \mathrm{SO}_{4} \) \( 0.5 \mathrm{g} / \mathrm{L}\), \(\mathrm{KCl} ~0.02 \mathrm{g} / \mathrm{L}\), \(\mathrm{Mg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0.1 \mathrm{g} / \mathrm{L}\), \(\mathrm{MnSO}_{4} \cdot 5 \mathrm{H}_{2} \mathrm{O} \) \( 0.0001 \mathrm{~g} / \mathrm{L}\),\(\mathrm{Fe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0.0001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 / \mathrm{L}\), \(\mathrm{pH} 6.8 \) 배지, Deveze-Bruni agar (D-glucose \( 5 \mathrm{g} / \mathrm{L} \), yeast extract \( 1.0 \mathrm{g} / \mathrm{L} \), peptone \( 1.0 \mathrm{g} / \mathrm{L}\),\(\mathrm{K}_{2} \mathrm{HPO}_{4} ~0.4 \mathrm{g} / \mathrm{L}\), \(\mathrm{MgSO}_{4} ~0.01 \mathrm{g} / \mathrm{L} \), \( \mathrm{NaCl} ~5 \mathrm{g} / \mathrm{L}\), \(\left(\mathrm{NH}_{4}\right)_{2} \mathrm{SO}_{4} ~0.05 \mathrm{g} / \mathrm{L}\), \(\mathrm{CaCO}_{3} ~5 \mathrm{g} / \mathrm{L} \), agar \(15 \mathrm{g} / \mathrm{L} \), \( \mathrm{pH} 6.8 \) 배지, silicate agar (D-glucose \( 10\mathrm{g} / \mathrm{L} \), magnesium trisilicate \( 2.5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 / \mathrm{L}\), \(\mathrm{pH} 6.8 \) 배지 및 Tris-minimal salt (D-glucose \( 10 \mathrm{g} / \mathrm{L} \), tris-\( \mathrm{HCl} \) \( 6.06 \mathrm{g} / \mathrm{L}\),\( \mathrm{NaCl} \) \( 4.68 \mathrm{g} / \mathrm{L}\), \(\mathrm{KCl} ~1.49 \mathrm{g} / \mathrm{L}\), \(\mathrm{NH}_{4} \mathrm{Cl} ~1.07 \mathrm{g} / \mathrm{L}\), \(\mathrm{Na}_{2} \mathrm{SO}_{4} ~0.43 \mathrm{g} / \mathrm{L} \), \( \mathrm{MgCl}_{2} \cdot 2 \mathrm{H}_{2} \mathrm{O} ~0.2 \mathrm{g} / \mathrm{L}\), \(\mathrm{CaCl}_{2} \cdot 2 \mathrm{H}_{2} \mathrm{O} ~0.03 \mathrm{g} / \mathrm{L}\), \(\mathrm{Zn}_{3}\left(\mathrm{PO}_{4}\right)_{2} \cdot 4 \mathrm{H}_{2} \mathrm{O} \) \( 1.9982 \mathrm{g} / \mathrm{L} \), agar \( 15 \mathrm{g} / \mathrm{L}\), \(\mathrm{pH} 7.0\) 배지를 이용하였다. 배지 중앙에 cork borer를 이용하여 잘라낸 뒤, 선별된 균주의 상둥액을 주입하여 \( 30{ }^{\circ} \mathrm{C} \)에서 \(4\)일간 배양하면서 clear zone의 형성 유무를 확인하였다.</p>
|
[
"토양 및 뿌리 채취 어디에서 채취하였나요?",
"채취한 뿌리는 무슨 배지에서 배양하여 순수 분리하였나요?",
"토양의 염농도\\((\\%)\\)를 구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나요?",
"전기전도도를 무엇으로 측정하여 토양의 염농도로 환산하였나요?",
"배지 중앙에 cork borer를 이용하여 잘라낸 뒤, 무엇의 형성유무를 확인하였나요?",
"채취한 뿌리에서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무엇을 처리하였나요?",
"인산과 탄산칼슘, 규소, 아연 가용화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 어떤 배지를 이용하였나요?"
] |
fde90321-9f30-4a38-8659-73f0ccd976a1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2>DDP346의 생장특성</h2><p>DDP\(346\)의 생장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온도와 \( \mathrm{pH} \) 및 염 농도에서 배양하였다. 먼저, \( 0-50{ }^{\circ} \mathrm{C} \)의 온도에서 배양한 결과, DDP\(346 \) 균주는 온도는 \( 10-40{ }^{\circ} \mathrm{C} \) 범위에서 생장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온도 범위 중에서도 \( 30^{\circ} \mathrm{C} \)에서 DDP\(346\)의 생장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후 \( 30{ }^{\circ} \mathrm{C} \)의 \( \mathrm{pH} \mathrm{4-13} \) 범위에서 측정한 결과 \( \mathrm{pH} \mathrm{5-11} \) 범위에서 생장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염 농도 \( (\% \mathrm{~NaCl}) \)는 \( 0-5 \% \)의 범위에서 생장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 30^{\circ} \mathrm{C}\), \(\mathrm{pH} 6-7\), \( 0 \% \mathrm{~NaCl} \)에서 최적 생장조건임을 확인하였다.</p><h2>DDP\(346\)의 인산 가용화능</h2><p>DDP\(346\)를 배양하는 동안 배양 배지 내에 남아있는 glucose 함량의 변화 및 배양 과정 중에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Glucose 함량은 배양 \(48\)시간까지 크게 감소하였으며,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 4 \mathrm{mg} / \mathrm{mL} \)까지 꾸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용화된 인의 함량은 배양을 시작한지 \(24\)시간 동안 \( 144.41 \mu \mathrm{g} / \) \( \mathrm{mL} \)로 증가하였으며, \(48\)시간에서 \( 200.80 \mu \mathrm{g} / \mathrm{mL} \)로 가장 높은 인의 함량을 나타낸 후 \(72\)시간까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 \mathrm{pH} \)는 배양을 시작한지 \(72\)시간까지는 지속적으로 떨어졌으며 \(72\)시간 이후부터 \( \mathrm{pH} \)가 다시 증가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배양 중에 생성되는 lactic, isovaleric, isobutyric, acetic, gluconic, citric, oxalic, tartaric, succinic 및 \( \alpha\)-ketogluconic acid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에 의해 토양과 근권 토양 내 불용성 인산이 가용화 되며, 대부분의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glucose dehydrogenase 효소활성을 나타냄으로써 glucose를 gluconic acid로 산화시켜 인산 가용화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DDP\(346\) 균주가 배양과정 중에 glucose를 gluconic acid로 산화시킴으로써 \( \mathrm{pH} \)가 낮아지고 생성된 gluconic acid에 의해 인산이 가용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 \mathrm{pH} \)가 감소됨에 따라 가용화된 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 \mathrm{r}^{2}=-0.913 \) \( (* * p<0.01) \)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El-Gibaly 등의 연구에서도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직접적으로 산 생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DDP\(346\)의 인산 가용화능은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인산 이외에도 미네랄 가용화능은 대부분 유기산에 의해 기인되는 것으로 보아 탄산칼슘, 규소, 아연 가용화능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p>
|
[
"최적 조건에서 배양을 진행한 결과 가용화된 인의 함량은 언제 가장 높았는가?",
"언제 가용화된 인의 함량이 최고치를 달성하였나요?",
"대부분의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무엇을 나타냄으로써 glucose를 gluconic acid로 산화시켜 인산 가용화능을 나타내는가?",
"많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는 인산 가용화능을 나타내기 위해 무엇을 타내내나요?",
"어떤 방법을 통해 DDP\\(346\\) 균주가 배양과정 중에 \\( \\mathrm{pH} \\)가 낮아지게 할 수 있는가?",
"DDP\\(346\\) 균주를 배양하는 과정 중 \\( \\mathrm{pH} \\)를 어떻게 낮출 수 있을까?",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은 어떤 상관관계인가?",
"어떤 상관관계가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의 관계인가?",
"DDP\\(346\\)의 최적 생산조건은 무엇인가?",
"무엇이 DDP\\(346\\)의 가장 좋은 생산조건인가요?",
"Glucose 함량은 배양 DDP\\(346\\)의 배양 과정에서 증가하였는가?",
"배양 DDP\\(346\\)의 배양 과정에서 Glucose 함량이 높아졌나요?",
"DDP346346의 인산 가용화능 및 미네랄 가용화능은 무엇에 의해 기인된 것인가?",
"무엇이 DDP346346의 인산 가용화능 및 미네랄 가용화능을 기인시킨 것인가?",
"온도가 \\( 30^{\\circ} \\mathrm{C} \\)인 경우 어느 범위의 \\( \\mathrm{pH} \\)에서 생장가능한가?",
"온도가 \\( 30^{\\circ} \\mathrm{C} \\)인 조건에서 균주가 생장할 수 있는 \\( \\mathrm{pH} \\) 조건은 어느 범위 인가요?",
"DDP\\(346\\)의 생장이 가장 활발한 것 어느 온도에서인가?",
"몇도에서 DDP\\(346\\)의 생장이 가장 활발하나요?"
] |
15d13c21-dd40-4f0a-8f2a-c38f87b957d0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2>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h2><p>선별된 균주들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Alternaria alternata KACC \(40019\), Botrytis cinerea KACC \(40573\), Colletotrichum acutatum KACC \(40042\), Corynespora cassiicola KACC \(44719\), Fusarium oxysporum f.sp. lactucae KACC \(42795\), Fusarium solani KACC \(41092\), Fusarium tricinctum KACC \(42097\), Phytophthora capsici KACC \(40180\), Rhizoctonia solani AG-\(2\)-1 KACC \(40124\), Sclerotinia sclerotiorum KACC \(41065\) 등 총 \(10\) 종을 사용하였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PDA에서 agar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분리 균주를 접종하여 \(5\)일간 검정 균주와 \( 25^{\circ} \mathrm{C} \)에서 대치 배양하였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미생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억제율로 환산하였다.</p><p>억제율\( (\%)=((\mathrm{R}-\mathrm{r}) / \mathrm{R})^{*} 100\)</p><p>\( \mathrm{R}\): 식물병원성 곰팡이와 분리 균주 사이의 거리\( (\mathrm{mm}) \)</p><p>\( \mathrm{r}\):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성장 반경\((\mathrm{mm})\)</p><h2>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h2><p>선별된 균주들의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ectobacterium carotovorum KACC \(10227\), Psendomonas syringae pv. sesami KACC \(18460\), Pseudomonas syringae pv. syringae KACC \(18392\), Xanthomonas campestris KACC \(16358\), Xanthomonas euvesicatoria KACC \(18723\) 등 총 \(5\)종을 사용하였다.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TSA에서 agar diffusion법을 이용하여 분리 균주를 접종하여 \(1\)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clear zone 형성 유무에 따라 항균 활성 정도를 평가하였다.</p><h2>질소고정능, siderophore 생성능</h2><p>질소 고정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질소원이 결핍된 nitrogen free bromothymol blue (NFB) 배지를 이용하였다. NFB 배지에 loop를 이용하여 전배양된 균주를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4\)일간 배양하면서 배지 색이 푸른색으로 변한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chrome azurol S blue agar plate assay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선별된 균주를 접종하여 \( 30{ }^{\circ} \mathrm{C} \)에서 \(4\)일간 배양한 후 orange halo zone 형성 유무에 따라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하였다.</p><h2>IAA 생성능</h2><p>IAA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배양된 균주를 King's B 배지(proteose peptone \( 20 \mathrm{g} / \mathrm{L}\), \(\mathrm{K}_{2} \mathrm{HPO}_{4} ~2.5 \mathrm{g} / \mathrm{L}\), \(\mathrm{MgSO}_{4} ~6 \mathrm{g} / \mathrm{L} \), glycerol \( 15 \mathrm{mL} / \mathrm{L} \), tryptophan \( 1 \mathrm{g} / \mathrm{L}\), \(\mathrm{pH} ~7.2 \)에 \( 0.1 \% \)를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Salkowski's reagent \(35\%\) \(\mathrm{HClO}_{4} ~50 \mathrm{mL}\), \( 0.5 \left.\mathrm{MFeCl}_{3} ~1 \mathrm{mL}\right) \)와 \( 1:2(\mathrm{v} / \mathrm{v}) \)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분홍색으로 발색되는 동안 상온에서 \(30\)분간 정치하였다. 이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Multiskan GO, Thermo Scientific, Vantaa, Finland)를 이용하여 \( 53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IAA를 이용하여 작성된 검량선에 따라 시료의 농도를 환산하였다.</p>
|
[
"선별된 균주들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몇 종을 사용하였나요?",
"총 몇 종의 균주들을 사용하여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나요?",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미생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무엇으로 환산하였나요?",
"미생물과 식물 병원성 곰팡이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무엇으로 환산하고 있어?",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PDA에서 무엇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나요?",
"무엇을 이용하여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PDA에서 배양하였나요?",
"선별된 균주들의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엇을 사용하였나요?",
"무엇을 통해 선별된 균주들의 식물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했어?",
"무엇의 형성 유무에 따라 항균 활성 정도를 평가하였나요?",
"항균 활성 정도는 무엇을 통해 평가하였나?",
"질소 고정능에서 배지 색이 무슨 색으로 변한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나요?",
"배지 색이 질소 고정능에서 무슨 색으로 변한 경우를 양성으로 판단하였나?",
"무엇의 형성 유무에 따라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하였나요?",
"siderophore 생성능을 무엇의 형태 유무로 확인하였나요?",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이용하였나요?",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 Siderophore 생성능을 확인했어?",
"IAA 생성능을 확인하는 실험에서 무엇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나요?",
"IAA 생성능을 확인하는 실험에서 흡광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것은 뭐야?"
] |
10322f42-4653-45c8-a823-31c91905ec2a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1>결과 및 고찰</h1><h2>미생물의 분리</h2><p>근권(rhizosphere)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부산 다대포 해변(DDP), 부산 삼락공원(SN)의 갈대밭, 제주도 해변(ANG) 및 토마토 밭(ANG)에서 토양과 뿌리를 채취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형태학적으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13\)종을 선별하였다. 이후 분리된 균주들의 미네랄 가용화능, 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항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조사하였다.</p><h2>미네랄 가용화능</h2><p>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 가용화능을 확인한 결과, ANG\(37\), DDP\(77\), DDP\(346\), DDP\(398\), DDP\(406\) 균주에서 \(4\)종의 미네랄 가용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미네랄 가용화는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2\)-ketogluconic acid, polysaccharides, alkali 등과 같은 많은 유기 화합물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분리된 균주들에 의해 다양한 미네랄 가용화 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 등을 공급해줌으로써 대사 과정, 세포벽과 세포막의 구조적 안정성, 식물의 생장과 발달, 질병에 대한 저항성 등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작물재배를 통해 불용성 미네랄 가용화능을 가진 균주를 이용하여 미네랄의 흡수에 따른 식물 생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연구부터는 \(4\)종의 미네랄에 대해 가용화능을 가진 \(5\)균주를 선별하여 진행하였다.</p><h2>식물 병원성 곰팡이와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및 항균 활성 조사</h2><p>대표적인 식물 병원성 곰팡이 \(10\)종과 식물 병원성 세균 \(5\)종을 시험균으로 사용하여 조사한 분리주의 항진균 활성 및 항균 활성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항진균과 항균 활성 확인 결과, DDP\(77\), DDP\(398\), DDP\(406\) 균주들에서는 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ANG\(37\) 균주는 Fusarium tricinctum과 Pseudomonas syringae pv. sesami, Xanthomonas campestris에서 약하게 활성이 보였다. DDP\(346\) 균주는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서 항진균 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olletotrichum acutatum과 Corynespora cassiicola에 대해서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 syringae에 대해서도 약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진균 활성과 항균 활성은 근권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생물질, 휘발성 물질, siderophore, 세포 외 효소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DDP\(346\)은 \(7\)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과 항균 활성을 가짐으로써 검은무늬병, 잿빛곰팡이, 탄저병, 잎마름병, 시듦병, 역병 및 세균성 점무늬병 등을 유발하는 곰팡이 및 세균에 취약한 작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p>
|
[
"왜 부산 다대포 해변(DDP), 부산 삼락공원(SN)의 갈대밭, 제주도 해변(ANG) 및 토마토 밭(ANG)에서 토양과 뿌리를 채취하였는가?",
"부산 다대포 해변(DDP), 부산 삼락공원(SN)의 갈대밭, 제주도 해변(ANG) 및 토마토 밭(ANG)에서 토양과 뿌리를 수집한 이유가 뭐야?",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가용화반응을 일으키는 유기 화합물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미생물에서 생성되는 어떤 유기 화합물이 가용화반응을 유도해?",
"균주들의 미네랄 가용화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화합물은 무엇이 있는가?",
"어떤 화합물이 균주들의 미네랄 가용화능을 분석하는데 이용되었어?",
"미생물에 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 등을 공급하면 무엇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인산, 탄산칼슘, 규소, 아연 등이 미생물에 공급되면 무엇이 영향을 받아?",
"작물재배를 통해 불용성 미네랄 가용화능을 가진 균주를 이용해 무엇에 관련한 영향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어?",
"작물재배를 통해 불용성 미네랄 가용화능을 가진 균주로 어떤 것에 관한 영향을 추가 연구해야 할까?",
"DDP\\(77\\), DDP\\(398\\), DDP\\(406\\) 그리고 ANG\\(37\\) 균주 중 활성을 보인 균주는 무엇인가?",
"DDP\\(77\\), DDP\\(398\\), DDP\\(406\\) 그리고 ANG\\(37\\) 중에 어떤 균주가 활성을 보였습니까?",
"DDP346346 균주는 무엇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는가?",
"무엇에 대해 DDP346 균주가 높은 항진균 활성을 보였지?",
"항진균 활성과 항균 활성은 어떤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생물질, 휘발성 물질, siderophore, 세포 외 효소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어떤 미생물이 만든 항생물질, 휘발성 물질, siderophore, 세포 외 효소 등이 항진균 활성과 항균 활성을 유도해?",
"어떤 균주가 검은무늬병, 잿빛곰팡이, 탄저병, 잎마름병, 시듦병, 역병 및 세균성 점무늬병 등을 유발하는 곰팡이 및 세균에 취약한 작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가?",
"검은무늬병, 잿빛곰팡이, 탄저병, 잎마름병, 시듦병, 역병 및 세균성 점무늬병 등을 유발하는 곰팡이 및 세균에 취약한 작물에 적용할 수 있는 균주는 뭐야? ",
"Table \\(3\\)에는 어떤 결과를 표시하였는가?",
"Table \\(3\\)에 나타낸 결과가 뭐지?"
] |
b77bd3c1-aea8-4f74-bda6-30b4e6a965ed
|
생명LA
|
미네랄 가용화능을 갖는 Acinetobacter sp. DDP\( 346 \) 의생화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
|
<h2>pH, 잔류당 측정</h2><p>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 \mathrm{pH} \) 변화와 glucose 함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 \mathrm{pH} \)와 잔류당을 측정하였다. \( \mathrm{pH} \)는 \( \mathrm{pH} \) meter (ST\(2100\)-F, OHAU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배지 내 잔류당 분석은 DNS (\(3, 5\)-dinitrosalicylic acid)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등액과 DNS를 \(1:3\)으로 혼합한 뒤 \(100{ }^{\circ} \mathrm{C} \)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실온에서 냉각시킨 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 55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잔류당 측정의 표준물질로는 glucose (Junsei Chemical Co., Ltd.)를 이용하였다.</p><h2>가수분해 효소활성 측정</h2><p>Amylase 활성은 Miller의 방법을 응용하였으며, 배양 상등액과 \( 1 \% \) starch solution을 \( 1: 1(\mathrm{v} / \mathrm{v}) \)로 상온에서 \(3\)분 동안 반응시킨 후 DNS와 혼합하였다. 이후 \( 100^{\circ} \mathrm{C} \)에서 \(15\)분 동안 열처리 한 뒤 얼음에 냉각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4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ellulase와 xylanase의 활성은 Shin과 Cho의 방법을 응용하였으며, 배양 상등액과 각 \( 1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solution과 \( 1 \% \) xylan solution을 \( 1: 1(\mathrm{v} / \mathrm{v}) \)로 혼합하여 \( 50^{\circ} \mathrm{C} \)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DNS를 첨가하여 \( 100^{\circ} \mathrm{C} \)에서 열처리 한 뒤 얼음에 냉각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 54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rotease 활성은 Oh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 상등액과 \( 0.65 \% \) casein 용액을 \( 1: 5(\mathrm{v} / \mathrm{v}) \)로 혼합한 뒤 \(37 { }^{\circ} \mathrm{C} \)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 0.44 \mathrm{M} \) trichloroacetic acid를 첨가하여 \( 37{ }^{\circ} \mathrm{C} \)에서 \(10\)분간 단백질을 응고시킨 뒤 \( 0.45 \mu \mathrm{m} \)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과 \( 1\)N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를 혼합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흡광도는 \( 660 \mathrm{nm} \)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DDP\(346\)이 생산하는 여러 효소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API ZYM kit (bioMérieux, France)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진행하였다.</p><h2>통계분석</h2><p>모든 분석은 \(3\)회 이상 수행하였으며, 평균 \( \pm \) 표준편차 \( (M e a n \pm \mathrm{SD}) \)로 표현하였다. 평균값의 유의한 차이는 SPSS (version \( 20.0 \)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의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유의성 검증은 신뢰구간 \( p<0.05 \)에서 분석하였다. \( \mathrm{pH} \) 변화와 가용화된 인산 함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 (p<0.01) \) 로 분석하였다.</p>
|
[
"본문에서는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 \\mathrm{pH} \\) 변화와 glucose 함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무엇과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만들어지는 유기산에 의한 \\( \\mathrm{pH} \\) 변화와 glucose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계측이 필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배지 내 잔류당 분석을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배지 내 잔류당 분석을 위해 어떤 방법이 시행되어야 하는가?",
"본문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장비는 무엇인가?",
"흡광도 계측을 위해 필요한 장비는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잔류당 측정의 표준물질로는 무엇을 사용했는가?",
" 잔류당 측정의 표준물질로 실험에서 활용된 물질은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API ZYM kit (bioMérieux, France)를 이용한 이유는 왜인가?",
" API ZYM kit (bioMérieux, France)이 실험에서 활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본문에서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사용하였는가?",
"본문의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토대로 계측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무엇에 의해 \\( \\mathrm{pH} \\)가 변해?",
"\\( \\mathrm{pH} \\)가 변화하기 위해선 배양의 전개에 따라 형성되는 무엇이 필요한가?"
] |
85514b7e-46ae-4915-a993-8d8961d18d3d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두충잎 분말은 그린내츄럴(Jindo,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Folin-Ciocalteu reagent, gallic ac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erric ferricyanide, \( \alpha \)-tocopherol 및 indole-\(3\)-carbinol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인체 비소세포폐암세포(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A549), 결장암세포(human colon cancer cell, SNU-C4), 자궁경부암세포(human cervical cancer cell, HeLa) 및 인체 배아 폐 상피세포(human embryonic lung epithelial cell, L132)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 VA, USA)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RPMI-1640,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streptomycin 및 trypsin-EDTA는 HyClone (Logan, UT, USA)의 제품을, Cell Counting Kit-8 (CCK-8)은 Dojindo (Kumamoto, Japan)의 제품을 사용하였다.</p><h2>아세톤 추출물 제조</h2><p>두충잎 분말은 \( 60^{\circ} \mathrm{C} \)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재분쇄하여 \(100\)-\(300\)\( \mu \mathrm{m} \) 크기의 입자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두충잎 분말에 \(10\)배 \( (\mathrm{w} / \mathrm{w}) \)의 아세톤을 넣고 항온진탕조(Jeio Tech,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온에서 원심 분리 \( (2,000 \times g,~ 5 \) 분 \( ) \)하여 상징액을 얻고 \( 60^{\circ} \mathrm{C} \)에서 아세톤을 증발시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p><h2>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에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 10 \% ~\mathrm{Na}_{2} \mathrm{CO}_{3} \) 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1\)시간 정치시킨 후 \( 725 \mathrm{~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 \mathrm{mg} \) gallic acid equivalent (GAE)/\(\mathrm{g}\)-추출물로 나타내었다.</p><h2>In vitro 항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CCK-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뒤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이때 에탄올의 최종 농도가 \( 0.1 \% \)\( (\mathrm{v} / \mathrm{v}) \)이 초과되지 않도록 하였다. 암세포(A549, SNU-C4, HeLa) 와 정상세포(L132)는 \( 5 \% \) FBS와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서 \( 5 \%\ ~\mathrm{CO}_{2}, ~37^{\circ} \mathrm{C} \)의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신선한 배지로 교체한 뒤 희석한 두 충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인 indol-3-carbino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각 CCK-8 용액과 serum-free RPMI-1640을 첨가하여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 \mathrm{CA}, \mathrm{USA}) \)로 \( 45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times 100 \)으로 계산하였다.</p><h2>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0.15 \) \( \mathrm{mM}\) DPPH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52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 \)은 \( ( \) 무첨가군의 흡광도 - 첨가군의 흡광도 \( ) \)/무첨가군의 흡광도 \( \times 100 \)으로 계산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ferric ferricyanid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1 \% \) \( \mathrm{K}_{3} \mathrm{Fe}(\mathrm{CN})_{6} \)과 \( 0.2 \mathrm{M} \) 인산 완충용액 \( \left(\mathrm{pH}\right. \) 6.6)을 첨가하여 \( 50^{\circ} \mathrm{C} \)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 10 \% \)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하고 \( 2,000 \times \mathrm{g}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징액을 얻어 \( 0.1 \% \) \( \mathrm{FeCl}_{3} \) 용액을 가한 후 \( 70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2.52 \mathrm{mg} / \mathrm{mL} \) linoleic acid와 \( 50 \mathrm{mM} \) 인산 완충액\( (\mathrm{pH} 7.0) 4.0 \mathrm{~mL} \)을 혼합하여 \( 45^{\circ} \mathrm{C} \)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료를 채취하여 \( 30 \% \) ammonium thiocyanate와 함께 \( 75 \% \) ethanol 용액에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간 정치시키고 \( 20 \mathrm{mM} \) ferrous chloride를 첨가하여 \( 500\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정도는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h2>통계처리</h2><p>두충잎 아세톤 추룰물을 처리한 시료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세 번의 반복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평균 \( \pm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 p<0.05 \)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p>
|
[
"두충잎 분말을 구매한 곳은 어디인가요?",
"Folin-Ciocalteu reagent를 구매한 곳은 어디인가요?",
"gallic acid는 그린내츄럴에서 구입하였나요?",
"indole-\\(3\\)-carbinol은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 \\alpha \\)-tocopherol은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ferric ferricyanide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인체 비소세포폐암세포은 어느 회사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나요?",
"DPPH는 어떤 회사에서 구매 하였나요?",
"자궁경부암세포는 어느 회사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나요?",
"인체 배아 폐 상피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나요?",
"fetal bovine serum은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나요?",
"RPMI-1640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penicillin-streptomycin은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나요?",
"trypsin-EDTA는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나요?",
"Cell Counting Kit-8은 어느 회사에서 구매하였나요?",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두충잎 분말을 몇 시간 건조하였나요?",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몇 배의 아세톤을 넣고 추출하였는가?",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항온진탕조에서 몇 시간 동안 추출하였는가?",
"아세톤 추출물을 얻기 위해 항온진탕조를 사용하여 추출한 온도는 4도인가요?",
"상징액을 얻은 후 아세톤을 증발시키기 위한 온도는 몇 도인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무엇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가?",
"두충잎 추출물에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하여 상온에서 몇 분간 반응시켰나요?",
"두충잎 추출물에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 10 \\% ~\\mathrm{Na}_{2} \\mathrm{CO}_{3} \\) 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몇 시간 정치 하였나요?",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 10 \\% ~\\mathrm{Na}_{2} \\mathrm{CO}_{3} \\) 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1\\)시간 정치시킨 후 몇 \\(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나요?",
"총 폴리페놀 함량은 \\( \\mathrm{mg} \\) gallic acid equivalent (GAE)/\\(\\mathrm{g}\\)-추출물로 나타내었나요?",
"DPPH를 사용하여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나요?",
"DPPH 용액의 처리 농도는 얼마인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ferric ferricyanid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나요?",
"환원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사용된 양성대조군은 무엇인가?",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물질은 무엇인가?",
"모든 실험은 몇 번 반복실험 되었는가?",
"통계처리를 위해 \\( p<0.1 \\)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나요?",
"결장암세포는 어느 회사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나요?",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분쇄하여 사용한 시료의 크기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CCK-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나요?",
"두충잎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DPPH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후 몇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나요?",
"In vitro 항암 활성 실험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기위해 두충잎 분말은 몇 도에서 건조하였나요?",
"두충잎 분말 건조를 위해 필요한 온도는?",
"DPPH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몇 분 반응시켰나요?",
"DPPH 용액의 상온 처리 시간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나요?",
"과산화물 측정법을 통해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는가?"
] |
0f9a7679-a16b-496a-98dc-ae7fdcec08a5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결과 및 고찰</h1><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 및 층 페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은 \( 1.13 \pm\)\( 0.033 \%~(\mathrm{w} / \mathrm{w}) \)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을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당류, 무기질 및 단백질 등의 극성 분자들이 잘 추출되지 않아 수율이 낮아진다. 인삼과 홍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 \mathrm{n} \)-헥산으로 추출하였을 때도 수율이 \( 20.78\)에서 \( 0.41 \% \)까지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 \( \mathrm{g} \) 당 \( 36.7 \pm1.96 \mathrm{mg} \mathrm{GAE}\)로 기존에 알려진 두충잎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인 \( 75.8-110 \mathrm{mg} \) \( \mathrm{GAE}/ \mathrm{g} \)에 비해서 2배 이상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극성 용매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이 잘 되고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수율이 낮아진다는 보고와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p><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h2><p>사람의 비소세포폐암(A549), 결장암(SNU-C4) 및 자궁경부암(HeLa) 세포를 대상으로 두충잎 아세론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앙성대조군으로는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인 indole-3-carbinol을 사용하였고,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배아 폐상피세포(L132)를 사용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 견장 암세포(SNU-C4) 및 자긍경부암세포(HeLa)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인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3.4 \mu \mathrm{g} / \mathrm{mL} \)였고, 결장암세포(SNU-C4)에서 \( 53.8 \mu \mathrm{g} / \mathrm{mL} \)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매우 높았지만,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 88.3 \mu \mathrm{g} / \mathrm{mL} \)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인 indole-3-carbinol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대한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2.4 \mu \mathrm{g} / \) \( \mathrm{mL} \), 견장암세포(SNU-C4)에서 \( 30.3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서 \( 64.7 \mu \mathrm{g} / \mathrm{mL} \) 으로 두충잎 추출물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단일 성분인 indole-3-carbinol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여러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인 점을 고려한다면 항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의 비소세포폐암 추출물은 \( 20.0 \mu \mathrm{g} / \mathrm{mL} \)이었고, 유근피 아세론 추출물 은 \( 74.3 \mu \mathrm{g} / \mathrm{mL} \) 이었다. 또한 12 종의 중국산 약용 식물의 수용성 추출물들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 대한 \( \mathrm{GI}_{5}\)값은 \(161- \) \( 1,456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친연 추출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in vitro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p><p>또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정상세포인 베아 폐 상피세포(L132) 에 대한 \( \mathrm{GI}_{50}\) 값이 \(153.9 \mu \mathrm{g} / \mathrm{mL} \)로 높게 나타나, 정상 세포에 대한 돗성이 상대적으로 낫으면서도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식물로부터 얻어진 페눌성 화합물은 뛰어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고, 페놀성 화합물의 항암 활성은 세포자산 유도, 세포주기 진행 억제, 신생혈관 생성 억제 및 전이 억제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페놀성 화합물 중 픈라보니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저 있다. 두충잎에는 뛰어난 항암활성을 가진 rutin과 quercetin이 플라보노이드계 페눌화합물의 주 성분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중 물 보다는 유기용매에 잘 추출되는 소수성 페놀화합물인 quercetin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p>
|
[
"\\( \\mathrm{GI}_{50} \\)값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천연물을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면 극성 분자들이 잘 추출되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물 추출물의 함량보다 많은가요?",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앙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물질은 무엇인가요?",
"인삼과 홍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 \\mathrm{n} \\)-헥산으로 추출하면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수율이 점점 감소하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은 어떤 세포에서 확인하였나요?",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는 \\( \\mathrm{GI}_{50} \\)값이 높게 나타났나요?"
] |
cd25b4dd-86b9-4e88-9b03-6b82ae5364ee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재료 및 방법</h1><h2>실혐 재료</h2><p>두충잎 분말은 그린내츄럴(Jindo,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Folin-Ciocalteu reagent, gallic ac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erric ferricyanide, \( \alpha \)-tocopherol 및 indole-3-carbinol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인체 비소세포폐암세포(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A549), 결장암세포(human colon cancer cell, SNU-C4), 자궁경부암세포(human cervical cancer cell, HeLa) 및 인체 배아 폐 상피세포(human embryonic lung epithelial cell, L132)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 VA, USA)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RPMI-1640,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streptomycin 및 trypsin-EDTA 는 HyClone (Logan, UT, USA)의 제품을, Cell Counting Kit-8 (CCK-8)은 Dojindo (Kumamoto, Japan)의 제품을 사용하였다.</p><h2>아세톤 추출물 제조</h2><p>두충잎 분말은 \(60^{\circ} \mathrm{C} \) 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재분쇄하여 \(100-300 \mu \mathrm{m} \) 크기의 입자만을 시로로 사용하였다. 두충잎 분말에 10배(\(\mathrm{w/w}\))의 아세톤을 넝고 항온진탕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온에서 원심분리 \( (2,000 \times g,\) 5분\( ) \) 하여 상징액을 얻고 \(60 ^{\circ} \mathrm{C} \) 에서 아세톤을 증발시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p><h2>총 폐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에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허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10\%~\mathrm{Na}_{2} \mathrm{CO}_{3} \) 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1시간 정치시킨 후 \(725\mathrm{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g gallic acid equivalent \( (GAE)/ \mathrm{g} \)-추출물로 나타내었다.</p><h2>In vitro 항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CCK-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뒤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이때 에탄올의 최종 농도가 \(0.1\%(\mathrm{v/v}\))이 초과되지 않도록 하였다. 암세포(A549, SNU-C4, HeLa) 와 정상세포(L132)는 \(5\%\) FBS와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RPMI-1640 배지에서 \(5\%~\mathrm{CO}_{2}, 37^{\circ} \mathrm{C} \) 의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허였다. 이후 배양액을 신선한 배지로 교체한 뒤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앙성대조군인 indol-3-carbinol을 농도별로 처리허여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후 실힘군과 대조군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각 CCK-8 용엑과 serum-free RPMI-1640을 첨가하여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45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times 100 \) 으로 계산하였다.</p>
|
[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여 무엇의 함량을 측정하였나요?",
"어느 정도 크기의 두충잎 분말이 재료로 사용되었나요?",
"두충잎 분말을 판매한 회사는 어디인가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을 만들 때 원심분리한 상징액에서 아세톤을 증발시키기 위한 온도는 몇 도인가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암세포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요?",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배양시킨 배지는 어떤 물질을 포함하고 있나요?"
] |
a00fe74b-79a0-48d8-90c7-deed9a9e041f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즉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지용성의 친연 항산화제인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허는 농도인 \( \mathrm{EC}_{\mathrm{s}} \) 값이 ~\( 2 \mathrm{mg} / \mathrm{mL} \)로 높게 나타나 소거 효과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 tocopherol의 \( \mathrm{EC}_{50} \)값인 \( 85.1 \mu \mathrm{g} / \mathrm{mL} \) 에 비해서 크게 높았고, 다른 식물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하여도 모시잎 에탄을 추출물의 \( 688 \mu \mathrm{g} / \mathrm{mL} \), 곤드레잎의 물과 메탄을 추출물의 \( 87.1-111.19\mathrm{\mu g} / \mathrm{mL} \), 고구마잎 에탄올 추출물의 \(109-168 \mu \mathrm{g} / \mathrm{mL}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 36.7 \) \( \mu \mathrm{g} / \mathrm{mL} \) 및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133.51 \mu \mathrm{g} / \mathrm{mL} \) 보다도 매우 높게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에 대한 진자공여 능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반응액의 흡광도가 0.5일 때의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75.8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 값과 비교하였을 때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 44.39 \mu \mathrm{g} / \mathrm{mL} \)과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 53.2 \mu \mathrm{g} / \mathrm{mL} \) 에 비해서는 높았으나,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250 \mu \mathrm{g} / \mathrm{mL} \)과는 비슷하였고, 오디 아세톤 추출물의 \( 746 \mu \mathrm{g} / \mathrm{mL} \),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의 \( 871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의 \( 236 \mu \mathrm{g} / \mathrm{mL} \)보다는 낮은 값을 가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57.9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126.7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역시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 값이 \( \sim 500 \mu \mathrm{g} / \mathrm{mL} \)인 것과 비교하여노 두층잎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우수허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존재하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유리라디칼의 소거보다는 세포막 지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여겨지며, 이는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인 quercetin이 유리라디칼 소거보다는 기름의 산화억제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보고와 유사성을 보여주었다.</p><p>이상의 결과에서 두충잎의 아세본 추출물은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뛰어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환원력과 지질과산화 억제 능력이 우수하여 항암 및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p>
|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나요?",
"농도에 비례하여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나요?",
"두충잎 아세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물질은 무엇인가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비극성 페놀성 화합물은 어디에 효과적이라 알려져있나요?"
] |
4f0dcefb-1c68-4ada-a433-fef218c420a0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서 론</h1><p>두충(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은 잎, 껍질, 줄기 및 열매의 뛰어난 약리 활성으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진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재이다. 두충에는 bisepoxylignan, monoepoxylignan 등의 리그닌 성분과 ir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 으로는 quercetin, rutin, astragalin, geniposid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p><p>두충잎차는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혈압을 낮추는 활성이 있었다.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간에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지혈증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체중 감량과 백색 지방 조직 감소 등의 항비만 효과가 있었다. 민간에서 두충껍질의 물 추출물은 골다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되어 왔는데 실제로 동물 실험에서 두충껍질 추출물이 조골세포를 활성화하고 파골세포를 감소시킴으로써 뼈의 용해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두충껍질의 물과 매탄올 추출물은 항균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고, 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acetylcholinesterase 활 성 억제를 통한 신경보호 작용과 함께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간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p><p>특히 두충잎은 낍질, 꽃, 열매에 비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두충잎의 rutin,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네는 주요 물질로 보고되었다. 두충잎 물 추출문은 낍질에 비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제 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서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밎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을 낫추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두충의 잎, 껍 질 및 씨앗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두충잎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랑이 가장 높았고, 이와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포 두층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충잎의 물 추출물이 DNA와 같은 생체 고분자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항암 효과를 나타낼 것 으로 보고되었다.</p><p>일반적으로 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되는 지용성 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가 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도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견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어,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떠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p>
|
[
"두충의 잎, 껍 질 및 씨앗 중 어떤 물질이 폴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나요?",
"두충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성분은 무엇이 있나요?",
"두충의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으로 어떤 것들이 있나요?",
"두충(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은 생약재로서 활용되나요?",
"제 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 두충잎 물 추출물을 적용했을 때 어떤 물질들의 활성을 촉진시켰나요?",
"두충잎 물 추출물에 의해 제 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서 어떤 물질들의 활성이 촉진되었나요?",
"두충에는 어떤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나요?",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어떤 효과가 있었나요?",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써 어떤 물질을 주로 사용하나요?",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어떤 특성이 있나요?",
"두충잎 물 추출물은 껍질보다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나요?",
"두충껍질의 물 추출물은 어떤 방법으로 골다공증을 완화시키나요?",
"두충잎에서 어떤 물질들이 항산화 활성에 도움을 주나요?",
"천연물의 지용성 추출물에서도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나요?"
] |
6663bae2-2ea8-4a11-8f04-9b5d06f531be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서 론</h1><p>두충(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은 잎, 낍질, 줄기 및 열매의 뛰어난 약리 활성으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재이다. 두충에는 bisepoxylignan, monoepoxylignan 등의 리그넌 성분과 ir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quercetin, rutin, astragalin, geniposid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p><p>두충잎차는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젔고,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혈압을 낮추는 활성이 있었다.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간에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지혈증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체중 감량과 백색 지방 조직 감소 등의 항비만 효과가 있었다. 민간에서 두충껍질의 물 추출물은 골다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되어 왔는데 실제로 동물 실험에서 두충껍질 추출물이 조골세포를 활성화하고 파골세포를 감소시킴으로써 뼈의 용해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두충껍질의 물과 메탄을 추출물은 항균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고, 물과 에탄을 추출물은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억제를 퐁한 신경보호 작용과 함께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간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p><p>특히 두충잎은 껍질, 꽂, 열매에 비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두충잎의 rutin,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 보고되었다. 두충잎 물 추출물은 껍질에 비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서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을 낮추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두충의 잎, 껍질 및 씨앗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두충잎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이와 비례하여 유리라디칸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도 두충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나타났다. 두충잎의 물 추출물이 DNA와 같은 생체 고분자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항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되었다.</p><p>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되는 지용성 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가 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노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결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저 있어,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퐁해 항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잎의 아세론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p>
|
[
"민간에서는 주로 두충껍질을 어떠한 질병을 완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했는가?",
"두충껍질의 물 추출물은 민간에서 어떠한 질병을 완화하는데 사용되었는가?",
"본 연구에 따르면 두충잎의 항산화 활성을 통해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두충잎의 항산화 활성을 이용하면 어떤 효과를 누릴 수 있는가?",
"리그넌 성분과 Ie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동아시아 전역에서 생약재로 널리 사용되왔던 약재는 무엇인가?",
"약재 중에서 bisepoxylignan, monoepoxylignan 등의 리그넌 성분과 ir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된 것은 무엇인가요?",
"도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무엇을 억제함으로써 체중 감량 및 백색 지방 조직 감소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사용되는 2가지 물질은 무엇인가?",
"천연물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2가지 용매는 무엇인가?"
] |
59001133-5c77-435b-934f-818cc7a3092a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결과 및 고찰</h1><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은 \( 1.13 \pm \) \( 0.033 \% \) \(\mathrm{(w/w)}\)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을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당류, 무기질 및 단백질 등의 극성 분자들이 잘 추출되지 않아 수율이 낮아진다. 인삼과 홍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 \mathrm{n} \)-헥산으로 추출하였을 때도 수율이 \( 20.78 \)에서 \( 0.41 \% \)까지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 \( \mathrm{g} \)당 \( 36.7 \pm 1.96 \mathrm{mg} \) GAE로 기존에 알려진 두충잎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인 \(75.8\)-\(110\)\(\mathrm{mg}\) \( \mathrm{GAE} / \mathrm{g} \)에 비해서 \(2\)배 이상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극성 용매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이 잘 되고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수율이 낮아진다는 보고와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p><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h2><p>사람의 비소세포폐암(A549), 결장암(SNU-C4) 및 자궁경부암(HeLa) 세포를 대상으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을 확인하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인 indole-3-carbinol을 사용하였고,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배아 폐상피세포(L132)를 사용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 결장 암세포(SNU-C4) 및 자궁경부암세포(HeLa)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인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3.4 \mu \mathrm{g} / \mathrm{mL} \)였고, 결장암세포(SNU-C4)에서 \( 53.8 \mu \mathrm{g} / \mathrm{mL} \)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매우 높았지만,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서는 \( 88.3 \mu \mathrm{g} / \mathrm{mL} \)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인 indole-3-carbinol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대한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2.4 \mu \mathrm{g} \) \( \mathrm{mL} \), 결장암세포(SNU-C4)에서 \( 30.3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서 \( 64.7 \mu \mathrm{g} / \mathrm{mL} \)으로 두충잎 추출물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단일 성분인 indole-3-carbinol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여러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인 점을 고려한다면 항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 대한 \( \mathrm{GI}_{50} \)값을 비교하였을 때, 인삼의 \( \mathrm{n} \)-헥산 추출물은 \( 20.0 \mu \mathrm{g} / \mathrm{mL} \)이었고(In 등, 2014),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 74.3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또한 \(12\)종의 중국산 약용 식물의 수용성 추출물들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 대한 \( \mathrm{GI}_{50} \)값은 \(161- \) \( 1,456 \mu \mathrm{g} / \mathrm{mL} \)로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천연 추출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in vitro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p><p>또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정상세포인 배아 폐 상페 세포 \( (\mathrm{L} 132) \)에 대한 \( \mathrm{GI}_{50} \)값이 \( 153.9 \mu \mathrm{g} / \mathrm{mL} \)로 높게 나타나,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식물로부터 얻어진 페놀성 화합물은 뛰어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고, 페놀성 화합물의 항암 활성은 세포자살 유도, 세포주기 진행 억제, 신생혈관 생성 억제 및 전이 억제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페놀성 화합물 중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두충 잎에는 뛰어난 항암활성을 가진 rutin과 quercetin이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중 물 보다는 유기용매에 잘 추출되는 소수성 페놀화합물인 quercetin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p>
|
[
"비극성 용매로 추출 시, 극성 분자가 잘 추출되지?",
"극성 분자는 비극성 용매로 추출할 때 잘 추출되지?",
"천연물은 비극성 용매로 잘 추출되지 않지?",
"두충잎은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지?",
"두충잎이 암 치료에 효과가 있지?",
"식물에서 얻어진 페놀성 화합물은 암을 촉진시키지?",
"식물에서 얻어진 페놀성 화합물이 암을 촉진시킬 수 있지?",
"아세톤으로 두충잎을 추출하였을 때,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은 얼마였어?",
"아세톤을 사용하여 추출된 두충잎으로부터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은 얼마였어?",
"비극성 용매로 천연물을 추출하면 수율이 높아져?",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천연물을 추출하면 수율이 높아지지?",
"아세톤으로 두충잎을 추출했을 때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1\\mathrm{g}\\)당 얼마였어?",
"아세톤을 사용하여 두충잎에서 페놀성 화합물을 추출할 때 \\(1\\mathrm{g}\\)당 함량은 얼마였어?",
"인삼과 홍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 \\mathrm{n} \\)-헥산으로 추출했을 때 가장 낮은 수율은 얼마였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 \\mathrm{n} \\)-헥산으로 인삼과 홍삼을 추출했을 때 가장 낮은 수율은 얼마였어?",
"rutin이 quercetin보다 항암 효과가 높지?",
"Quercetin과 비교해서 rutin의 항암 효과는 높지?",
"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했을 때 \\(1\\mathrm{g}\\) 당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얼마였어?",
"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한 결과, \\(1\\mathrm{g}\\) 당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얼마였어?",
"실험에서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확인할 때 in vivo 방식을 사용했지?",
"본 연구에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확인할 때 in vivo 방식이 사용되었지?",
"실험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것으로, 항암 효과가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실험에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으로, 항암 효과가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두충잎을 물로 추출하면 아세톤으로 추출했을 때보다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2배 이상 높아지지?",
"두충잎을 아세톤보다 추출했을 때보다 물로 추출했을 때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2배 이상 높아지지?",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는 얼마였어?",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한 농도는 얼마인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결장 암세포가 잘 증식했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낮아질수록 결장 암세포가 잘 증식하지 않는지?",
"실험에서 정상세포에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세포는 무엇인가?",
"연구에서 정상세포에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세포는 무엇인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함 활성은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가장 높았지?",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함 활성이 가장 높았지?",
"indole-3-carbinol은 결장암보다 자궁경부암을 더 잘 억제하지?",
"indole-3-carbinol은 결장암을 억제하기 보다 자궁경부암을 억제하는데 더 큰 도움을 주지?",
"indole-3-carbinol이 결장암 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려면 어느 농도여야 해?",
"indole-3-carbinol이 결장암 세포의 증식을 절반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농도를 필요로 하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결장암보다 자궁경부암을 더 잘 억제하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결장암을 억제하기 보다 자궁경부암을 억제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되지?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indole-3-carbinol보다 암세포를 잘 억제시키지 못하므로 항암 활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
"Indole-3-carbinol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보다 암세포를 더 잘 억제하기 때문에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항암 활성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
"인삼의 \\( \\mathrm{n} \\)-헥산 추출물이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는 얼마였어?",
"인삼의 \\( \\mathrm{n} \\)-헥산 추출물이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절반으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농도는 얼마였어?",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이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는 얼마였어?",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이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절반으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농도는 얼마였어?",
"유군파 아세톤 추출물이 인삼의 \\( \\mathrm{n} \\)-헥산 추출물보다 A549을 더 잘 억제시키지?",
"인삼의 \\( \\mathrm{n} \\)-헥산 추출물보다 유군파 아세톤 추출물이 A549을 더 잘 억제시키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항암 활성이 좋지 않은 편이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항암 활성이 나쁜 편이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얼마일 때 배아 폐 상페 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배아 폐 상페 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기 위해서 얼마의 농도가 필요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indole-3-carbinol보다 암세포를 더 잘 억제하지?",
"Indole-3-carbinol보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암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요 성분으로,항암활성이 뛰어난 것 두가지는 무엇이야?",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중 항암활성이 뛰어난 주요 성분 두가지는 어떤 것이야?",
"quercetin은 극성 용매보다는 비극성 용매로 추출했을 때 더 잘 추출되지?",
"quercetin은 비극성 용매로 추출했을 때 극성 용매보다 더 잘 추출되지?",
"중국산 약용 식물을 수용성 물질로 추출했을 때,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반 억제하는 농도는 얼마였어?",
"중국산 약용 식물을 수용성 물질로 추출했을 경우, 비소세포폐암세포의 증식을 반으로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농도는 얼마야?",
"식물에서 얻은 페놀성 화합물은 어떻게 암을 억제시킬 수 있어?",
"식물에서 얻은 페놀성 화합물은 암을 어떻게 억제시킬 수 있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에 독성이 전혀 없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정상 세포에 독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지?"
] |
0c91b499-4820-4eaa-a83c-a44b590790fe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초 록</h1><p>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은 \( 1.13 \pm 0.033 \%(\mathrm{w} / \mathrm{w}) \)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 36.7 \)\( \pm 1.96 \mathrm{mg} \) gallic acid equivalents/g-추출물로 나타났다. 세포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추출물의 농도인 \( \mathrm{GI}_{50} \)값은 사람의 암세포인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3.4 \mu \mathrm{g} / \mathrm{mL} \), 결장암세포(SNU-C\(4\))에서 \( 53.8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 88.3 \mu \mathrm{g} / \mathrm{mL} \)이었고, 사람의 정상세포인 배아 폐 상피세포 \( (\mathrm{L} 132) \)에서는 \( 153.9 \mu \mathrm{g} \) \( \mathrm{mL} \)로 나타났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정상세포에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와 결장암세포(SNU-C\(4\))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추출물의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 \mathrm{mg} / \mathrm{mL}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환원력의 \( \mathrm{EC}_{50 }\)값은 \( 275.8 \mu \mathrm{g} / \mathrm{mL} \),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 \mathrm{EC}_{50}\)값은 \( 257.9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우수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p>
|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해서 어떤 효과를 보여주었나요?",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이 농도에 비례하여 보여준 효과는 무엇인가요?",
"\\( \\mathrm{GI}_{50} \\)값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 \\mathrm{GI}_{50} \\)값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은 무엇인가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농도에 비례하여 어떤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농도에 따라 무슨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가?",
"\\( \\mathrm{GI}_{50} \\)값이 가장 큰 물질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가장 높은 \\( \\mathrm{GI}_{50} \\)값을 가지고 있는가?"
] |
28d116c4-ed8c-4272-8bfd-ed3abe06ffdf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서 론</h1><p>두충(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은 잎, 껍질, 줄기 및 열매의 뛰어난 약리 활성으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재이다. 두충에는 bisepoxylignan, monoepoxylignan 등의 리그닌 성분과 ir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quercetin, rutin, astragalin, geniposid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p><p>두충잎차는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젔고,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혈압을 낮추는 활성이 있었다. 두충잎과 껍질의 물 추출물은 간에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고지혈증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 실험에서 체중 감량과 백색 지방 조직 감소 등의 항비만 효과가 있었다. 민간에서 두충껍질의 물 추출물은 골다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되어 왔는데 실제로 동물 실험에서 두충껍질 추출물이 조골세포를 활성화하고 파골세포를 감소시킴으로써 뻐의 용해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두충껍질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항균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고, 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acetylcholinesterase 활성 억제를 통한 신경보호 작용과 함께 간의 지방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간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p><p>특히 두충잎은 껍질, 꽃, 열매에 비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두충잎의 rutin,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 보고되었다. 두충잎 물 추출물은 껍질에 비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서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을 낮추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두충의 잎, 껍질 및 씨앗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두충잎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이와 비례하여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도 두충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충잎의 물 추출물이 DNA와 같은 생체 고분자의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으로 항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보고되었다.<p>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되는 지용성 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가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도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결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어,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p>
|
[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아시아 곳곳에서 잎이나 껍질, 열매 등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생약재의 이름은 무엇인가?",
"잎, 껍질, 줄기 및 열매의 뛰어난 약리 활성을 활용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서 널리 사용된 생약재는 무엇인가?",
"두충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은 무엇인가?",
"두충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 되어 있는가?",
"두충이 가지고 있는 요긴한 생리활성 성분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어떤 요긴한 생리활성 성분들이 두충에 포함되어 있나요?",
"두충잎차는 에너지 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체지방을 어떻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두충잎 차는 체지방에는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을까요?",
"두충의 껍질과 잎에서 추출한 물질은 무엇을 낮게 해?",
"무엇을 낮추기 위해 두충의 껍질과 잎에서 추출한 물질을 이용해?",
"두충의 껍질로부터 얻은 물질은 어디에서의 콜레스테롤 및 지방의 생성을 막아?",
"어디의 콜레스테롤 및 지방 생성을 막기 위해 두충의 껍질에서 얻은 물질을 이용해?",
"두충잎 추출물에서 나타난 체중 감량 효과와 백색 지방 조직 감소 효과를 통틀어서 무엇이라고 불러?",
"체중 감량 효과와 백색 지방 조직 감소 효과가 두충잎 추출물에서 나타났는데 이 효과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은?",
"실험에서 두충껍질로부터 추출한 물질은 어떤 과정을 통해 뼈가 녹는 것을 방해해?",
"두충껍질에서 실험을 통해 추출된 물질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뼈의 용해를 억제하나요?",
"실험결과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을 보이는 물질은 두충껍질과 무엇의 추출물인가?",
"실험결과 두충껍질과 무엇의 추출물이 항염증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인가?",
"에탄올과 물의 추출물은 어떻게 신경을 보호하는 기능을 해?",
"에탄올과 물의 추출물의 신경 보호 작용 기작이 뭐야?",
"두충에서 어떤 것들과 비교했을 때 이파리가 큰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가?",
"두충의 이파리를 어떤 것들과 비교 했을 때 항상화 활성을 강하게 나타냈는가?",
"두충잎에서의 항산화 활성에 큰 기여를 하는 페놀성 화합물들의 명칭은 무엇인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두충잎의 페놀성 화합물의 주요 물질에는 어떤 것이 있나?",
"두충잎의 물 추출물은 어디에서 적혈구의 catalase 활성을 크게 하는 역할을 했어?",
"두충잎의 물 추출물이 적혈구의 catalase 활성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한 곳은 어디야?",
"본 논문에서는 비극성 용매를 써서 두충잎의 무엇을 획득하고 생리활성을 관찰하려고 했어?",
"본 논문에서는 무엇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비극성 용매를 사용했어?"
] |
a9c6d10b-e433-4346-8abc-c5c03c1f0ea1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2>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0.15mM DPPH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525\mathrm{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무첨가군의 훕광도 - 첨가군의 훕광포)/무첨가군의 훕광또 \( \times 100 \) 으로 계산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시용하였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환원력은 ferric ferricyanid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회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1 \% \) \( \mathrm{~K}_{3} \mathrm{Fe}(\mathrm{CN})_{6} \) 과 \( 0.2 \mathrm{~M} \) 인산 완충 용액 (\( \mathrm{pH}6.6 \))을 첨가하여 \( 50^{\circ} \mathrm{C} \)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 10 \% \)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하고 \( 2,000 \times g \)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징액을 얻어 \( 0.1 \% \) \( \mathrm{FeCl}_{3} \) 용엑을 가한 후 \( 700 \mathrm{~nm} \)에서 흡광노를 즉정하였다. 환원력은 흡광노 값으로 나타네었고, 앙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2.52 \mathrm{mg} / \mathrm{mL} \) linoleic acid와 \( 50 \mathrm{mM} \) 인산 완충액 (\( \mathrm{pH~} 7.0 \)) \(4.0 \mathrm{~mL} \) 을 혼합하여 \( 45^{\circ} \mathrm{C} \) 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료를 채취하여 \( 30 \% \) ammonium thiocyanate와 함께 \( 75 \% \) ethanol 용액에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간 정치시키고 \( 20 \mathrm{mM} \) ferrous chloride를 첨가하여 \( 500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정도는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h2>통계처리</h2><p>두충잎 아세본 추출물을 처리한 시료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세 번의 반복실힘을 동해 얻어진 결과를 평균\( \pm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p>
|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무엇을 이용해 알 수 있었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알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게 있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DPPH를 사용하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DPPH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나?",
"DPPH용액을 사용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흡광도를 DPPH용액을 이용해 측정하는 과정은 뭐야?",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ferric ferricyanide인가요?",
"Ferric ferricyanide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량할 때 사용되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구하는 식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식일까?",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푸풀물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려면 DPPH 용액을 사용해야 하는 데 몇 mM의 용액을 첨가해야 하나요?",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푸풀물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려면 몇 mM의 DPPH 용액을 넣어야해?",
"흡광도를 사용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구하는 식은 (무첨가군의 흡광도 -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times 100 \\)인가요?",
"(무첨가군의 흡광도 -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times 100 \\)을 통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구할 수 있니?",
"환원력을 측정할 때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환원력을 측정할 때 양성대조군으로 이용되었어?",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하고 원심분리를 한 시간은 몇분인가?",
"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한 후 얼마 동안 원심분리하였는가?"
] |
8c5727a1-adcf-4def-b1f5-61ad27d65afb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결과 및 고찰</h1><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 및 충 페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은 \( 1.13 \pm \)\( 0.033 \%(\mathrm{w} / \mathrm{w}) \) 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을 비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당류, 무기질 및 단백질 등의 극성 분자들이 잘 추출되지 않아 수율이 낮아진다. 인삼과 홍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및 n-헥산으로 추출하였을 때도 수율이 \( 20.78 \)에서 \( 0.41 \% \)까지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물 \( \mathrm{g} \) 당 \( 36.7 \pm 1.96 \mathrm{mg} \) GAE로 기존에 알려진 두충잎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인 \( 75.8-110 \mathrm{mg} \)\( \mathrm{GAE} / \mathrm{g} \) 에 비해서 2 배 이상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극성 용매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이 잘 되고 비극성 용매로 갈수록 수율이 낮아진다는 보고와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p><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활성</h2><p>사람의 비소세포폐암(A549), 결장암(SNU-C4) 및 자궁경부암(HeLa) 세포를 대상으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인 indole-3-carbinol을 사용하였고,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의 배아 폐상피세포(L132)를 사용하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 결장암세포 \( (\mathrm{SNU}-\mathrm{C4}) \)및 자궁경부암세포 \( (\mathrm{HeLa}) \)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암세포의 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농도인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3.4 \mu \mathrm{g} / \mathrm{mL} \)였고, 결장암세포(SNU-\( \mathrm{C4}) \)에서 \( 53.8 \mu \mathrm{g} / \mathrm{mL} \) 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매우 높았지만, 자궁경부암세포 \( (\mathrm{HeLa}) \)에 대해서는 \( 88.3 \mu \mathrm{g} / \mathrm{mL} \)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인 indole-3-carbinol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대한 \( \mathrm{GI}_{50} \)값은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 52.4 \mu \mathrm{g} / \) \( \mathrm{mL} \), 결장암세포 \( (\mathrm{SNU}-\mathrm{C4}) \) 에서 \( 30.3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서 \( 64.7 \mu \mathrm{g} / \mathrm{mL} \)으로 두충잎 추출물에 비해 낮았다. 따라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단일 성분인 indole-3-carbinol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여러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인 점을 고려한다면 항암 활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의 비소세포폐암 세포(A549)에 대한 \( \mathrm{GI}_{50} \) 값을 비교하였을 때, 인삼의 n-헥산 추 출물은 \( 20.0 \mu \mathrm{g} / \mathrm{mL} \)이었고,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 74.3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또한 12 종의 중국산 약용 식물의 수용성 추출물들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 대한 \( \mathrm{GI}_{50} \)값은 \( 161- 1,456 \mu \mathrm{g} / \mathrm{mL} \)로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인삼의 지용성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친연 추출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in vitro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p><p>또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정상세포인 배아 폐 상피세포(L132)에 대한 \( \mathrm{Gl}_{50} \)값이 \( 153.9 \mu \mathrm{g} / \mathrm{mL} \) 로 높게 나타나,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도 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식물로부터 얻어진 페놀성 화합물은 뛰어난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고, 페놀성 화합물의 항암 활성은 세포자살 유도, 세포주기 진행 억제, 신생혈관 생성 억제 및 전이 억제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페놀성 화합물 중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두충잎에는 떠어난 항암활성을 가진 rutin과 quercetin이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을 이루고 있는데 이들 중 물 보다는 유기용매에 잘 추출되는 소수성 페놀화합물인 quercetin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에 크게 기여하는것으로 사료된다.</p>
|
[
"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형분의 수율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두충잎을 아세톤으로 추출해 획득한 고형분의 수율이 낮아?",
"인산과 홍삼을 어떤 용매로 추출했을 때 수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나요?",
"어떤 용매로 인산과 홍삼을 추출하면 수율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두충잎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보다 큰가요?",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두충잎 물 추출물에서보다 커?",
"극성 용매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이 잘되나요?",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은 극성 용매에서 잘 진행돼?",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활성은 어떤 세포에 대해서 확인하였나요?",
"어떤 세포에 대해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활성을 확인했어?",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군으로 무엇을 사용하였나요?",
"무엇을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했는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세포는 무엇인가?",
"어떤 세포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는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나요?",
"암세포의 증식은 두충잎 아래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지면 억제되는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낮은 세포는 무엇인가요?",
"어떤 세포에서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낮았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indole-3-carbinol보다 크게 나타났나요?",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indole-3-carbinol보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서 크게 보였는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암활성을 띄는 물질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암활성을 보였는가?",
"식물로부터 얻어진 페놀성 화합물은 어떤 작용으로 항암 활성에 효과적인가?",
"어떤 작용으로 식물에서 추출한 페놀성 화합물이 항암 활성에 효과를 나타내는가?",
"페놀성 화합물 중 특히 어떤 물질이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우수한가요?",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우수한 페놀성 화합물은 무엇인가?",
"두충잎의 성분 중 어떤 물질이 유기 용매에 잘 추출되나요?",
"어떤 물질이 두충잎의 성분 중 유기 용매에 잘 추출되는 물질인가?",
"두충잎의 성분 중 항암 활성을 가진 물질은 무엇인가요?",
"두충잎의 성분 중 무엇이 항암 활성을 가지는가?"
] |
bd2ee40d-24f5-45d7-acdf-806daa732146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두충잎 분말은 그린내츄럴(Jindo,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Folin-Ciocalteu reagent, gallic ac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erric ferricyanide, \( \alpha \)-tocopherol 및 indole-3-carbinol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었다. 인체 비소세포폐암세포(human non-small celllung cancer cell, A549), 결장암세포(human colon cancer cell, SNU-C4), 자궁경부암세포(human cervical cancer cell, HeLa) 및 인체 배아 폐 상피세포(human embryonic lung epithelial cell, L132)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 VA, USA)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RPMI-1640, fetal bovine serum (FBS), penicillin-streptomycin 및 trypsin-EDTA 는 HyClone (Logan, UT, USA)의 제품을, Cell Counting Kit-8 (CCK-8)은 Dojindo (Kumamoto, Japan)의 제품을 사용하였다.</p><h2>아세톤 추출물 제조</h2><p>두충잎 분말은 \( 60^{\circ} \mathrm{C} \) 에서 4시간 건조한 후 재분쇄하여 \(100-300 \mu \mathrm{m} \) 크기의 입자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두충잎 분말에 10 배(\(\mathrm{w/w}\))의 아세톤을 넣고 항온진탕조(Jeio Tech, Dacjeon, Korea)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온에서 원심 분리 (\( 2,000 \times g\), 5 분 )하여 상징엑을 얻고 \( 60^{\circ} \mathrm{C} \)에서 아세톤을 증발 시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p><h2>총 폐놀성 화합물 함량</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총 페놀성 화합문 함량은 Folin-Ciocalteu reagen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에 Folin-Ciocalteu 시약을 부가하여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 10 \%\) \(\mathrm{Na_{2} CO_{3}} \) 용엑을 넣고 상온에서 1 시간 정치시킨 후 \( 725 \mathrm{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풀리페놀 함량은 \( \mathrm{mg} \) gallic acid equivalent \((\mathrm{GAE})/\mathrm{g}\)-추출물로 나타내었다.</p><h2>In vitro 항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은 CCK-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충잎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뒤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이때 에탄올의 최종 농도가 \( 0.1 \% \) \( (\mathrm{v} / \mathrm{v}) \) 이 초과되지 않도록 하였다. 암세포(A549, SNU-C4, HeLa) 와 정상세포(L132)는 \( 5 \% \) FBS와 penicillin-streptomycin이 포함된 RPMI-1640 배지에서 \( 5 \% \mathrm{CO}_{2}, 37^{\circ} \mathrm{C} \) 의 조건으로 24 시간 배양하었다. 이후 배양액을 신선한 배지로 교체한 뒤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인 indol-3-carbino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24시간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양 액을 제거한 후 각각 CCK-8 용액과 serum-free RPMI-1640을 첨가하여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 450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암세포 증 식억제 활성(\%)은 (대조군의 흡광도-실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times 100 \) 으로 계산하였다.</p><h2>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0.15 \)\( \mathrm{mM} \) DPPH 용액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52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무첨가군의 흡광도 -첨가군의 흡광도) (무첨가군의 흡광도 \( \times 100 \)으로 계산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ferric ferricyanid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1 \% \) \( \mathrm{K}_{3} \mathrm{Fe}(\mathrm{CN})_{6} \)과 \( 0.2 \mathrm{M} \) 인산 완충용엑 \( (\mathrm{pH} \mathrm{6.6}) \)을 첨가하여 \( 50^{\circ} \mathrm{C} \) 에서 20 분간 반응시킨 후 \( 10 \% \)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하고 \( 2,000 \times \mathrm{g} \) 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징액을 얻어 \( 0.1 \% \) \( \mathrm{FeCl}_{3} \)용액을 가한 후 \( 70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고, 양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두충잎 추출물에 \( 2.52 \mathrm{mg} / \mathrm{mL} \) linoleic acid와 \( 50 \mathrm{mM} \)인산 완충액 \( (\mathrm{pH} 7.0) 4.0 \mathrm{~mL} \) 을 혼합하여 \( 45^{\circ} \mathrm{C} \)에서 4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시료를 채취하여 \( 30 \% \) ammonium thiocyanate와 함께 \( 75 \% \) ethanol 용액에 혼합한 후 실온에서 5분간 정치시키고 \( 20 \mathrm{mM} \) ferrous chloride를 첨가하여 \( 50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 정도는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었고, 앙성대조군으로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p><h2>통계처리</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을 처리한 시료에 대해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세 번의 반복실험을 통해 언어진 결과를 평균 \( \pm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 p<0.05 \) 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p>
|
[
"두충잎 분말은 어디서 구입해서 사용했나요?",
"어디서 두충잎 분말을 구매했나?",
"두충잎 분말은 어떤 과정을 거쳐 시료로 사용되었나요?",
"두충잎 분말을 시료로 사용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쳐?",
"두충잎 분말은 어떤 크기의 입자만을 시료로 사용하였나요?",
"시료로 사용된 두충잎 분말은 어떤 크기의 입자인가?",
"두충잎 분말을 통해 아세톤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어떤 과정을 거쳤나요?",
"어떤 과정을 통해 두충잎 분말로 아세톤 추출물을 만들었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무엇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나요?",
"무엇을 사용하여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서 페놀성 화합물 총 함량을 측정했나?",
"어떤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나요?",
"흡광도를 측정한 파장은 어느 정도인가?",
"CCK-8을 이용하여 무엇을 측정하였나요?",
"무엇을 측정하려고 CCK-8을 사용했나?",
"두충잎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뒤 배지에 희석하여 사용할 때 에탄올의 최종 농도를 몇 아래로 조절하였나요?",
"에탄올의 최종 농도를 어느 정도로 조절해 두충잎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배지에 희석해 이용했나?",
"암세포(A549, SNU-C4, HeLa) 와 정상세포(L132)는 어떤 배지에서 배양하였나요?",
"어떤 배지에서 암세포(A549, SNU-C4, HeLa)와 정상세포(L132)를 배양했어?",
"DPPH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했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계산할 때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물질을 무엇인가요?",
"양성 대조군으로 무엇을 이용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계산했나?",
"ferric ferricyanide는 무엇을 측정하는데 이용되었나요?",
"무엇을 측정하는데 ferric ferricyanide가 사용되었나?",
"상징액에 무엇을 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나요?",
"무엇을 가한 후 상징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무엇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나요?",
"무엇에 의해 생성되는 과산화물의 측정법으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했나?"
] |
11179d28-ce78-47e7-8c02-420609d68f6c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지용성의 천연 항산화제인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이 ~\( 2 \mathrm{mg} / \mathrm{mL} \)로 높게 나타나 소거 효과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 tocopherol의 \( \mathrm{EC}_{50} \)값인 \( 85.1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서 크게 높았고, 다른 식물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 하여도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 688 \mu \mathrm{g} / \mathrm{mL} \), 곤드레잎의 물 과 메탄올 추출물의 \( 87.1-111.19 \mu \mathrm{g} / \mathrm{mL} \), 고구마잎 에탄올 추출물의 109-168 \( \mu \mathrm{g} / \mathrm{mL}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 36.7 \) \( \mu \mathrm{g} / \mathrm{mL} \) 및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133.51 \mu \mathrm{g} / \mathrm{mL} \)보다도 매우 높게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에 대한 진자공여 능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p>두충잎 아세본 추출물의 환원력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반응액의 흡광도가 \( 0.5 \)일 때의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75.8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앙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식물 추출물 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표하였을 때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 44.39 \mu \mathrm{g} / \mathrm{mL} \)과 유근피 아세론 추출물의 \( 53.2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서는 높았으나,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250 \mu \mathrm{g} / \mathrm{mL} \)과는 비숫허였고, 오디 아세론 추출물의 \( 746 \mu \mathrm{g} / \mathrm{mL} \), 복분자 아세본 추출물의 \( 871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의 \( 236 \mu \mathrm{g} / \mathrm{mL} \)보다는 낮은 값을 가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57.9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126.7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역시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이 \( \sim 500 \mu \mathrm{g} / \mathrm{mL} \) 인 것과 비교하여노 두층잎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우수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존재하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유리라디칸의 소거보다는 세포막 지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여겨지며, 이는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인 quercetin이 유리라디칼 소거보다는 기름의 산화억제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보고와 유사성을 보여주었다.</p><p>이상의 결과에서 두충잎의 아세론 추출물은 사람의 비소세포 폐암세포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떠어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환원력과 지질과산화 억제 능력이 우수허여 항암 및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p>
|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어떻게 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항산화 활성을 판단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는 물질은 무엇입니까?",
"어떤 물질을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문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했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높으면 소거 효과는 크지 않은가?",
"소거 효과는 작으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이 낮은가?",
"양성대조군인 \\( \\alpha- \\) tocopherol의 \\( \\mathrm{EC}_{50} \\)값은 \\( 688 \\mu \\mathrm{g} / \\mathrm{mL} \\)인가?",
"\\( \\mathrm{EC}_{50} \\)값은 \\( 688 \\mu \\mathrm{g} / \\mathrm{mL} \\)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 tocopherol에서 측정된 값이야?",
"다른 식물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 중 \\( 50 \\) \\( \\mu \\mathrm{g} / \\mathrm{mL} \\)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은?",
"어떤 식물 추출물이 \\( 50 \\) \\( \\mu \\mathrm{g} / \\mathrm{mL} \\)보다 작은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을 가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은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 이 \\( \\mathrm{EC}_{50} \\)값보다 낮아?",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이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보다 크지만 환원력이 우수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가?",
"linoleic acid의 과산화는 농도의존적으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의해 제한돼?",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인 quercetin이 유리라디칼 소거보다는 기름의 산화억제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가?",
"유리라디칼 소거보다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인 quercetin이 기름의 산화억제에 대한 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져?",
"사람의 비소세포 폐암세포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뛰어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고 항암 및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있는 식물 추출물은 무엇인가?",
"어떤 식물 추출물이 항암 및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이고 사람의 비소세포 폐암세포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우수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 반응액의 흡광도가 \\( 0.5 \\)일 때의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얼마인가?",
"흡광도 \\( 0.5 \\)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 반응액은 어느 정도 농도의 \\( \\mathrm{EC}_{50} \\)값을 가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이 커지는 값은 농도의존적이야?",
"다른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하였을 때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의 \\( \\mathrm{EC}_{50} \\)값은 얼마인가?",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은 다른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의 \\( \\mathrm{EC}_{50} \\)값을 가져?",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 값이 오디 아세톤 추출물 값보다 높은가?",
"오디 아세톤 추출물 값은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 값보다 낮아?",
"각종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을 비교할 때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은?",
"각종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을 비교할 때 어떤 추출물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는 얼마인가?",
"얼마의 \\( \\mathrm{EC}_{50} \\)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값을 가지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에 비해 높은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mathrm{EC}_{50} \\)값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보다 작아?",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가지는가?",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서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존재하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무엇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가?",
"무엇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들어 있어?",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은 무엇인가?",
"어떤 성분이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을 주로 구성해?",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무엇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이는가?",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은 어디에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는가?",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어떤 세포에 대한 뛰어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는가?",
"사람의 어떤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에서 보이는가?",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산화력과 지질과산화 억제 능력이 우수한가?",
"우수한 산화력과 지질과산화 억제 능력이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에서 나타나?"
] |
24d2fb48-6839-44fe-ab25-e9c1dd02ed2c
|
생명LA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
<h2>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h2><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리라디칸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즉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지용성의 천연 항산화제인 \( \alpha \)-tocopherol을 사용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이 \( 2 \mathrm{mg} / \mathrm{mL} \)로 높게 나타나 소거 효과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 - tocopherol의 \( \mathrm{EC}_{50} \)값인 \( 85.1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서 크게 높았고, 다른 식물 추출물의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하여도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 688 \mu \mathrm{g} / \mathrm{mL} \) , 곤드레잎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87.1\)-\(111.19\) \( \mu \mathrm{g} / \mathrm{mL} \), 고구마잎 에탄올 추출물의 \(109\)-\(168\) \( \mu \mathrm{g} / \mathrm{mL} \),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 36.7 \) \( \mu \mathrm{g} / \mathrm{mL} \) 및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133.51 \mu \mathrm{g} / \mathrm{mL} \)보다도 매우 높게 나타나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유리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 능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 역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반응액의 흡광도가 \( 0.5 \)일 때의 농도인 \( \mathrm{EC}_{50} \) 값은 \( 275.8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71.9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두충잎 추출물이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 \mathrm{EC}_{50} \)값과 비교하였을 때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 44.39 \mu \mathrm{g} / \mathrm{mL} \)과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 53.2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서는 높았으나,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 250 \mu \mathrm{g} / \mathrm{mL} \)과는 비슷하였고, 오디 아세톤 추출물의 \( 746 \mu \mathrm{g} / \mathrm{mL} \),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의 \( 871 \mu \mathrm{g} / \mathrm{mL} \) 및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의 \( 236 \mu \mathrm{g} / \mathrm{mL} \)보다는 낮은 값을 가져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p><p>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 \mathrm{EC}_{50} \)값은 \( 257.9 \mu \mathrm{g} / \mathrm{mL} \)이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은 양성대조군인 \( \alpha \)-tocopherol의 \( 126.7 \mu \mathrm{g} / \mathrm{mL} \)에 비해 높았으나 역시 혼합물인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지질과산화 억제에 대한 \( \mathrm{EC}_{50} \)값이 ~\(500 \mu \mathrm{g} / \mathrm{mL} \)인 것과 비교하여도 두충잎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우수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존재하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유리라디칼의 소거보다는 세포막 지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여겨지며, 이는 두충잎의 플라보노이드계 페놀화합물의 주 성분인 quercetin이 유리라디칼 소거보다는 기름의 산화억제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보고와 유사성을 보여주었다.</p><p>이상의 결과에서 두충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비소세포 폐암세포 및 결장암세포에 대한 뛰어난 증식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환원력과 지질과산화 억제 능력이 우수하여 항암 및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p>
|
[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환원력이 증가하지?",
"환원력이 커진다는 것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는거지?",
"두충잎은 항산화능이 존재해?",
"항산화능이 두충잎의 효능이야?",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한 양성대조군으로는 무엇을 사용했어?",
"양성대조군으로 무엇을 이용해서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했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얼마일 때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없앨 수 있어?",
"DPPH 유리라디칼의 반을 소거하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는 어느 정도인가?",
"\\( \\alpha \\) - tocopherol이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농도는 얼마야?",
"유리라디칼을 절반 없앨 때의 \\( \\alpha \\) - tocopherol의 농도는 어느 정도인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이 유리라디칼을 반 소거하는 농도는 얼마야?",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이 유리라디칼을 반 소거하기 위해서 어느정도의 농도가 필요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유리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 능력이 높아?",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고구마잎 에탄올 추출물보다 유리라디칼을 더 잘 소거하지?",
"고구마잎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이 유리라디칼을 더 많이 소거하는가?",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은 \\( \\alpha \\) - tocopherol보다 유리라디칼을 더 잘 소거하지?",
"\\( \\alpha \\) - tocopherol에 비해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이 유리라디칼을 더 잘 소거하지?",
"다음 중 같은 농도일 때 유리라디칼을 가장 잘 소거하는 것은?",
"유리라디칼이 가장 잘 소거되는 것은 같은 농도에서 무엇인가?",
"반응액의 흡광도가 0.5일 때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는 얼마야?",
"흡광도가 0.5일 때의 \\( \\alpha \\)-tocopherol 농도는 얼마야?",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양성대조군보다 환원력이 좋지?",
"양성대조군에 비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이 환원력이 나은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흡광도가 0.5일 때 농도는 얼마야?",
"반응액의 흡광도가 0.5일 때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는 얼마야?",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은 같은 농도일 때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보다 화원력이 우수하지?",
"같은 농도에서 복분자 아세톤 추출물에 비해 자색고구마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이 더 좋은가?",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오디 아세톤 추출물보다 환원력이 낮지?",
"오디 아세톤 추출물에 비해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의 환원력이 낮은가?",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보다 환원력이 좋지?",
"백연수잎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이 더 나은가?",
"다음 중 같은 농도일 때 가장 환원력이 우수한 것은 무엇인가?",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는 얼마였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몇 일 때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를 하는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촉진시켰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인가?",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 \\alpha \\)-tocopherol의 농도는 얼마였어?",
"\\( \\alpha \\)-tocopherol의 농도가 몇일 때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가?",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있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은 세포막 지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보다는 유리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지?",
"세포막 지질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것에 비해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에 있는 비극성의 페놀성 화합물이 유리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이 더 좋은가?",
"두충잎은 항산화 소재로서 활용이 불가능하겠지?",
"항산화 소재로 두충잎을 이용할 수는 없겠지?"
] |
1a20765b-58ee-4328-b782-3d9535f145a2
|
생명LA
|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h1>III. 결 과</h1><p>관여도는 특정 상황에서 제품에 대한 중요성이나 관심을 나타낸다. 연구 대상 집단에서 구매하려는 실용재를 중심으로 여러 제품 속성에 대한 관여도 설문자료를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위치를 축소된 \(2\)차원에서 표시하여 대상을 결정했다(Fig. \(2\)). 차원을 축소하기 위헤서 교차분석표를 작성하고, 대응일치분석을 했다. 자료 행렬에서 요인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요인을 축으로 하여 요인적재량을 계산한 후에, 요인들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제시했다. 이 Fig. \(2\)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할 고관여도(high involvement, HIN)제품으로는 스마트폰이, 저관여도(low involvement, LIN) 제품으로는 볼펜이 선정되었다.</p><p>사용하는 배경음악이나 압축 정도의 영향으로 총 청각 작업기억 용량의 변화가 있다면 연구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배경음악을 과도한 형태로 압축 변형하여 사용하지 않는다면 전체 청각 작업기억 용량은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확인하는 숫자확장 검사를 하고 이 결과를 Fig. \(3\)에 제시했다. 총 작업기억량의 측정은 \(50\)회 한글 숫자를 무작위로 제시한후에 정답률을 \(\%\)로 측정했다. 이 정답률이 \( 50 \% \)인 경우의 인덱스 값을 역치로 하여 총 작업기억량을 결정하였다. 분석된 \(4\)가지 조건에서 단음절 숫자 확장 자극에 의한 평균 총작업기억용량은 약 \(8\) 정도의 인덱스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전체 평균 숫자확장 기억은 \( 7.74 \) 인덱스였고, 이는 정상 성인 젊은이의 수준(평균 인덱스 \(8.06\))과 허용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고, 유의한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 자료에서 사용된 배경음악의 유무, 사용된 \(4\)가지 압축률 조건에서 총 청각 작업기억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이 일정하였다 \( (\mathrm{p}>0.05) \).</p><p>청각 작업기억은 배경음악과 함께 제시된 제품의 속성 중에서 의사결정에 사용한 제품 속성의 회상 갯수로 표시되며 \(4\)가지 배경음악 조건별로 Fig. \(4\)에 제시했다.</p><p>이 자료에서 \( \left({ }^{*}\right)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품 속성 수 변화차이를 보인 경우이다 \( (\mathrm{p}<0.05) \). 의사결정에 사용된 제품 속성의 수는 저관여도 제품보다 고관여도 제품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관여도에서 청각 작업기억 자원의 실제 사용이 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관여도와 저관여도 제품에서 무배경 음악 조건과 비교하여 배경음악을 사용하거나 그 변화가 클수록(압축이 높을수록) 작업기억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관여도 제품에서는 nb와 cr\(1\),nb와 cr\(0.5\)인 경우에, 저관여도 제품에서는 nb와 cr\(0.5\), cr\(1\)과 cr\(0.5\)인 경우에서 유의하게 작업기억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mathrm{p}<0.05) \).</p><p>\(4\)가지 배경음악 조건에서 구매의사 결정이 조사되었고 그 결과가 Fig. \(5\)에 정리되었다.</p><p>Fig. \(5\)에서 \( \left(^{*}\right) \)는 사후 검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조합을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압축 수준에 따른 차이는 고관여 제품에서만 나타나고, 저관여도 제품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고관여도 제품에서 배경음악의 압축률이 \( 0.5 \)인 (고압축) 경우에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사 변화는 배경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부정적인 의사결정 방향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배경음악을 사용하고 그 압축 정도가 클수록 소구 메시지에 대한 청각 작업기억 사용량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제시된 구매의사 결정자료와 비교해보면 사용한 작업기억 자원의 증가와 직접 상응하는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
|
[
"스마트폰이 볼펜보다 더 많은 청각작업기억을 사용하는가?",
"단음절 숫자 확장 자극에 대한 작업기억용량의 평균 값은 몇인가?",
"본 실험에 사용한 고관여도 제품은 무엇이지?",
"청각작업기억량은 배경음악 압축률 조건에 따라 제각기 달랐나?",
"다차원데이터를 2차원으로 축소하기 위해서 무엇을 작성했지?",
"총 작업기억량의 역치기준을 넘기려면 총 50회 자극 중 적어도 25번 이상 정답을 맞춰야하나?"
] |
8844bc46-5ef0-4715-b557-7c981948d3e5
|
생명LA
|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h1>초 록</h1><p>배경 음악은 소비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목표 메시지와 동시에 제시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주요 정보를 일정 시간 유지해야하고, 이러한 정보의 유지에는 청각 작업기억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배경음악은 그 제시 시간의 제약을 받는다. 이때 배경음악의 시간적 압축이 가능하지만 이 시간적 압축이 작업기억과 구매 의사 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이 알러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배경음악의 압축 비율의 변화가 청각 작업기억과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대상은 정상 청각기능이 확인된 이십대 초반 동질 집단 남녀 \(37\)명으로 하였다. 이 집단의 구매성향을 다차원 분석으로 분석하여 고관여도와 저관여도 제품을 선정하였다. 자극 제시 조건은 배경 음악이 없는 조건, 무압축 조건, 저압축 조건, 고압축 조건 으로 구분하였다. 구매에 필요한 청각정보를 전산 합성하여 배경음악과 관련된 \(4\)가지 조건에서 무작위로 제시했다. 이 반응 결과를 반복측정분산으로 분석하여 유의수준 \( 0.05 \)에서 판단했다. 결과에서 여러 배경음악 조건에서 청각 작업기억의 가용 총량은 변화가 없었지만, 고관여도인 경우에 저관여도 제품보다 청각 작업기억 자원을 더 사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항상 상응하는 최종 구매의사 변화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이러한 분석은 구매의사 결정과정에서 배경음악의 압축이나 청각 작업기억의 역할을 살펴보는 유용한 접근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
|
[
"배경음악의 압축 비율은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필연적으로 배경음악의 압축비율이 영향을 미치는가?",
"배경음악정보를 고압축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소비자의 청각기억 향상에 더 도움이 되는가?",
"배경음악정보를 고압축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소비자의 청각기억이 향상되는 것에 도움이 되는가?"
] |
aaafd9ec-64b4-4a6e-b1a1-5a72aed279a6
|
생명LA
|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h1>V. 결 론</h1><p>배경음악과 그 시간 압축율 조절을 포함하는 소구 메시지로 청각 작업기억과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가 있었다. 본 과정에서 시행한 분석은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어, 서비스 영역에서 청각 작업기억의 역할을 보다 정교하게 살펴보는 정량적 접근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은 메시지 차이에서도 구매의사 결정이 나타나거나, 사용 시간이 제한되는 방송광고 등에서도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
|
[
"서비스 영역에서 청각 작업기억의 역할을 보다 정교하게 살펴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법은 뭘까?",
"배경음악과 그 시간 압축율 조절을 포함하는 소구 메시지가 구매의사 결정과 무엇에 영할을 미칠까?",
"청각 작업기억이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는 분야는 뭘까?"
] |
8767aaa2-57f0-45eb-877a-d902a1c32abb
|
생명LA
|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h1>IV. 분 석</h1><p>결과 자료에서 총 작업기억 용량은 \(4\)가지 조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배경음악의 사용 유무나 배경음악의 압축율 수준에 대한 총 청각 작업기억 능력에서의 변화는 없었다.</p><p>배경음악 사용유무와 관련된 \(4\)가지 조건에서 실제 사용된 청각 작업기억 수와 구매의사 결정에서는 일부 변화가 있었다. 고관여도 제품의 경우는 실제 사용한 청각 작업기억량이 저관여도 제품의 경우보다 모든 조건에서 높았다. 일반적으로 고관여도 제품의 구매의사 정보를 처리할 때는 저관여 제품인 경우보다 청각 작업기억을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관여도에 따른 중심 및 주변 처리 과정 경로의 차이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청각 작업기억은 집중 과정과 반복 훈련에 의해서도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대부분 실험 조건에서 배경음악의 존재와 압축의 증가는 청각 작업기억량의 사용을 증가시켰다. 동일한 조건에서의 구매의사 결정은 청각 작업기억 사용량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저관여도 제품에서 작업기억 사용량의 변화가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로 연결되지 못했다. 고관여도 제품에서는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가 보이는 경우가 일부 있었고 부정적인 방향이었다. 즉, 소구 메시지에 사용하는 배경음악의 존재와 압축률이 클수록 구매의사 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p>작업기억 수와 구매의사 결정 내용의 비교에서 작업기억 정보가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과정에서 중간 처리 단계가 더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배경 음악의 사용과 압축 조건의 변화가 청각 작업기억의 사용을 증가시키지만 구매의사 결정에는 직접적 상응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 가중치는 결과에 양의 효과와 음의 효과 사이의 값을 취하게 되고, 이 중간 처리 과정의 가중치가 어떤 형태로 결정되는가에 따라서 구매의사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결론된다. 본 실험에서는 실용재가 대상이라는 점과 구매의사 결정은 청각작업기억 과정보다 보다 상위의 인지기능이라는 점을 고려했다. 이러한 점은 의사 결정과정이 다른 요인들을 작업기억과 어떻게 가중치를 두어 결합하는지를 추후 분석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p><p>소비자와 관련된 배경음악 반응 자료는 여러 센서로 이루어진 소비자와 접촉하는 엣지노드에서 수집될 수있다. 이런 소비자가 포함된 노드 구축은 비교적 용이한 편이다. 관련 센서 제품이 휴대폰 등으로 생활 주변에 다양하게 퍼져 있고, 부품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고 있다. 이 노드에 운영자는 사전 분석이나 의사결정 도구 일부를 탑재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얻어진 자료를 전처리하여 보다 처리가 용이한 형태로 클라우드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어 배경음악 결과처리를 응용할 수가 있다. 즉, 적절한 배경음악의 시간 압축과 해당 소비자 그룹을 인지하고 해당 조치 내용을 지정하여 개별 매장이나 사이트로 보낼 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시간 압축 자료가 실시간으로 수집되면 온오프라인 실시간 마케팅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p>
|
[
"\\(4\\)가지 조건에서 배경음악 사용유무와 관련하여 실제 사용된 청각 작업기억 수에서만 대폭 변화가 있었다.",
"일정하게 지속된 총 작업기억용량은 몇가지이지?",
"총 작업기억용량의 몇가지가 일정하게 지속되었나?",
"4가지 조건에 대해서 전체 작업기억 용량이 결과자료에서 일정하게 지속되었지?",
"전체 작업기억 용량이 4가지 조건에 대해서 결과자료에서 일정하게 지속되었나?",
"\\(4\\)가지 조건에서 무엇의 사용유무와 관련하여 청각 작업기억 수와 구매의사 결정에서 변화가 보였지?",
"무엇의 사용유무와 관련하여 \\(4\\)가지 조건에서 청각 작업기억 수와 구매의사 결정에서 변화가 보였나요?",
"실제 사용된 두 가지로 배경음악 사용유무과 관련해서 일부 변화가 나타난 것은 무엇이지?",
" 배경음악 사용유무과 관련해서 실제 사용된 두 가지로 일부 변화가 나타난 것은?",
"저관여도 제품보다 고관여도 제품에서 더 높이 나타나는 작업기억량은 무엇이지?",
"고관여도 제품에서 저관여도 제품보다 더 높이 나타나는 작업기억량은?",
"모든 조건에서 실제 사용한 청각 작업기억량은 고관여도 제품에서 더 높았지?",
"실제 사용한 청각 작업기억량은 모든 조건에서 고관여도 제품에서 더 높았나?",
"고관여도 제품이 청각 작업기억량이 저관여 제품보다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을 더 많이 사용해서이지?",
"청각 작업기억량이 저관여 제품보다 고관여도 제품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을 더 많이 사용해서인가?",
"고관여도 제품이 저관려 제품보다 청각작업기억량이 더 높은 것은 무엇을 처리할 때에 큰 차이를 나타나지?",
"저관려 제품보다 고관여도 제품이 청각작업기억량이 더 높은 것은 무엇을 처리할 때에 큰 차이를 나타내나?",
"고관여 저관여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서 청각작업이 차이 나는 것은 어떤 차이에 따라서 일어나지?",
"청각작업이 고관여 저관여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 차이 나는 것은 어떤 차이 때문인가?",
"관여도에 따른 청각 작업기억은 바뀌는 것으로 알려진 두가지 과정은 무엇이지?",
" 두가지 과정은 관여도에 따라 청각 작업기억이 바뀌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무엇인가?",
"집중 과정뿐 아니라 청각 작업 기억은 반복 훈련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지?",
"청각 작업 기억은 집중 과정뿐 아니라 반복 훈련에 의하여 변화 가능해?",
"중심보다 주변 처리 과정의 경로차이가 관여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
"관여도에 중심보다 주변 처리 과정의 경로차이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
"압축의 증가와 더불어 청각작업기억량의 사용 증가를 시키는 요인은 무엇이지?",
"압축의 증가와 함께 청각작업기억량의 사용 증가를 시키는 요인은?",
"배경음악의 존재와 더불어 대부분의 실험조건에서 보이는 청각 작업기억량 사용 증가를 보이는 것은 무엇이지?",
"무엇이 배경음악의 존재와 더불어 대부분의 실험조건에서 보이는 청각 작업기억량 사용 증가를 보이나?",
"배경음악의 존재 그리고 압축의 증가가 대부분의 조건에서 청각 작업기억량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보이지?",
"배경음악의 존재 그리고 압축의 증가가 대부분의 조건에서 청각 작업기억량을 많이 사용하게 되나?",
"관여도에 따른 청각작업기억 사용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은 무엇이었지?",
"무엇이 관여도에 따른 청각작업기억 사용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나?",
"조건이 같다면 청각작업기억 사용량은 구매의사 결정과 같은 양상을 보였지?",
"청각작업기억 사용량은 조건이 같다면 구매의사 결정과 같은 양상을 보였나?",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는 고관여도 제품에서 조금 있었지만 그 방향은 어떤 양상이었지?",
"고관여도 제품에서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는 조금 있었지만 그 방향은 어떤 양상이었나?",
"저관여도 제품에서는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로 연결되지 못햇지만 고관여도 제품에서는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가 보였고, 그 방향도 긍정적이었지?",
"저관여도 제품에서는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로 연결되지 못한데 반해 고관여도 제품에서는 구매의사 결정의 변화가 보이고 그 방향도 긍정적이었나?",
"작업기억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하는 과정을 보면서 그 중간처리 과정의 존재한다는 것은 작업기억의 수와 무엇을 비교했을 때 알 수 있었지?",
"작업기억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 중간처리 과정의 존재한다는 것은 작업기억의 수와 무엇을 비교하면 알 수 있었나?",
"작업기억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과정에서 중간처리 과정의 무엇이 어떠한 형태로 결정되는가에 따라서 구매의사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되지?",
"중간처리 과정의 무엇이 어떠한 형태로 결정되는가에 따라서 작업기억 정보를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과정에서 구매의사 결과가 달라질 것으로 생각되나?",
"청각작업기억 과정이 구매의사 결정보다 하위의 인지기능단위이지?",
"구매의사 결정보다 청각작업기억 과정이 하위의 인지기능단위이지?",
"청각작업기억보다 구매의사결정의 인지기능이 어떠한 단계이지?",
"구매의사결정의 인지기능이 청각작업기억보다 어떠한 단계이지?",
"소비자의 배경음악 반응 자료는 소비자와 접촉하는 무엇으로 수집할 수 있지?",
"소비자와 접촉하는 무엇으로 소비자의 배경음악 반응 자료를 수집할 수 있지?",
"배경음악 반응자료는 누구와 접촉하는 엣지노드에서 수집할 수 잇지?",
"누구와 접촉하는 엣지노드에서 배경음악 반응자료는 수집하나?",
"생산자와 접촉하는 엣지노드에서 소비자와 관련된 배경음악 반응 자료를 모을 수 있지?",
"소비자와 관련된 배경음악 반응 자료를 생산자와 접촉하는 엣지노드에서 모을 수 있지?",
"여러 센서로 되어 있는 소비자와 접촉하는 노드의 구축은 용이한 편이지?",
"소비자와 접촉하는 여러 센서로 되어 있는 노드의 구축은 용이한 편이지?",
"소비자와 관련된 노드구축은 생활 전반적으로 있고 그 부품비용은 상대적으로 어떠하지?",
"소비자와 관련된 노드구축은 생활 전반적으로 있는데 그 부품비용은 상대적으로 어떠한가?",
"소비자관련 노드 구축은 용이하고, 그 부품의 비용도 저렴한 편이지?",
"소비자관련 노드 구축은 용이하고, 그 부품의 비용도 저렴하지?"
] |
a8f6f3f8-1cc4-4e33-b28d-b529061252b0
|
생명LA
|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
|
<h1>II. 실험 설계 및 분석 방법</h1><p>연구 집단은 \(20\)대 초반의 성인으로 구성원이 동질성을 갖는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절차는 한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아 진행했다. 배경음악의 압축에 의한 청각 반응 변화가 감지되어야 하는 조건 때문에 정상 청각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첬다. 참여자에 대한 기본 청각 검사를 평가한 후에 남성 \(17\)명, 여성 \(20\)명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 22.1 \) 세였다.</p><p>피검자는 관련된 제품의 관여도에 따라서 의사 결정 과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비교 제품을 선정하기 위해 관여도에 따른 다양한 제품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후에 응답 자료를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으로 분류하여 결정하였다 (SPSS, IBM). 이러한 분석 과정을 거처서 고관여도 제품으로 스마트폰과 저관여도 제품으로 볼펜이 선정되었다.</p><p>피검자의 작업기억 총 용량 측정은 한글 단음절 숫자확장검사를 실시하여 측정했다. 숫자의 제시 간격이 달라지면 청각 작업기억이 직집 영향을 받게 되어 간격을 전산처리하여 일정하게 유지했다. 실험 환경은 Fig. \(1\)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했다. 청각작업기억과제에서 구매정보를 포함하는 청각 메시지는 젊은 여성 목소리로 전산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자극의 변형/제시와 반응기록은 전산 소프트웨어(PSYCHO \(2.0\), ARICS)로 처리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청각으로 제시되는 제품 구매에 관한 정보는 무작위로 중복없이 \( 800 \mathrm{~ms} \) 간격으로 일정하게 조합하여 제시하도록 했다. 이 배경음악과 청각자극의 제시 강도는 소음이 통제된 방음실에서 각각 크기가 \(50\)\( \mathrm{dBHL}\),\(60 \mathrm{~dBHL} \)이 되도록 유지하였다(신호대배경음비 \( +10 \mathrm{~dB}) \). 최종 메시지와 배경음악이 혼합된 청각 자극은 음압이 보정된 헤드폰(ONIO-\(300\), Sudio Technica)을 통하여 피검자에게 제시되었다.</p><p>주요 실험 내용은 시간적 압축 정도가 상이한 배경음악이 대상자의 청각작업기억의 변화와 관련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비교적 제품의 용도가 분명한 제품으로 한정하였다. 피검자들이 구매를 고려하는 실용재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관련 구매 정보도 정서적 내용은 배제하고 실용적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했다.</p><p>배경음악은 기존에 광고 음악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곡 중에서 선곡하였다. 모차르트 심포니 \(40\)번 (K\(550\))의 \(1\)악장 주제를 압축비를 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청각자극은 일정 간격으로 무작위로 제시되도록 제공하였다. 시간 압축은 단순 압축으로 압축 정도는 고압축(\(2\)배 가속)과 저압축(\(1.3\)배 가속) 두 가지를 선택했다.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조건은 배경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nb, 주 메시지만 있는 경우), 압축 변형이 없는 배경음악이 동시에 제시된 경우(cr\(1\), 주 메시지+배경음악), 배경음악이 고압축된 경우(cr\(0.5\), 주 메시지 + 고압축 배경음악), 배경음악이 저압축된 경우(cr\(0.75\), 주 메시지+저압축 배경음악)의 \(4\)가지 경우로 분류했다.</p><p>피검자의 청각 작업기억 검사 도구로 한국어 숫자 확장을 사용했다. 일반적으로 발성 음절 수가 늘어나면 작업기억 용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한글의 경우는 단음절 숫자로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음절 수를 통일하여 사용했다. 청각 작업기억은 구매의사 결정과정에서 무작위로 제시된 \(10\)개의 청각정보 중에서 피실험자가 의사결정 과정에 사용한 제품 속성의 수로 측정했다. 구매의사 결정자료는 구매와 비구매의사 정도를 \(7\)점 Likert 스케일로(\(-3 \sim 3\))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분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 0.05 \)에서 판단했다. 최종 선정된 고관여도와 저관여도 실용재에 대하여 제품 속성에 연관된 소구 메시지와 시간 압축된 배경음악이 청각 작업기억과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된 \(4\)가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이 자료를 분석하여 배경음악의 시간 압축이 청각작업 기억과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효과 및 한계를 검증하고자 했다.</p>
|
[
"본 연구에서 고관여도 제품은 무엇일까?",
"분석 과정을 거쳐 선정된 고관려도 제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저관여도 제품은 무엇일까?",
"본 연구에서 선정된 저관여도 제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 총 용량을 어떻게 측정했지?",
"피검자의 작업기억 총 용량은 어떤 방법으로 측정했는가?",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청각자극세기의 신호대배경음비는 어떻게 되지?",
"청각자극의 제시 강도에서 신호대배경음비는 얼마인가?",
"본 연구에서는 배경음악으로 어떤 곡을 사용하였지?",
"본 연구에서 배경음악으로 사용한 곡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배경음악을 최대 몇배로 압축했지?",
"본 연구에서 시간 압축은 어느 정도로 진행했는가?",
"본 연구는 피험자에게 총 2종류의 자극조건을 제시했니?",
"연구에서 피험자에게 제시한 자극조건은 총 2가지인가?",
"발성 음절 수가 증가하면 작업기억 용량도 증가하니?",
"발성 음절 수와 작업기억 용량은 비례해 증가하는가?",
"본 연구는 통계결과의 유의미한 정도를 얼마로 정했어?",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 판단은 어느 수준에서 진행했는가?"
] |
13a86426-2e49-43f4-98fa-34b3bbbd87d7
|
생명LA
|
시판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균 함량 및 생리기능성
|
<h1>서 론</h1><p>최근 소주와 맥주 등의 주류 소비는 주춤하고 있으나 막걸리 소비는 급증하여 2010년 막걸리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 20 \% \)까지 급성장하고 있고 수출량 역시 일본을 중심으로 2010년에 연간 약 \( 9000 \mathrm{~kL} \) 이상에 도달하고 있다. 이러한 막걸리 해외 수출증대와 국내 소비의 급증은 그동안 막걸리 기피의 주요인이었던 숙취 해소 등의 품질과 기호성이 개선되었고 더불어 저장성 연장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4주 이상까지 저장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p><p>지금까지 전통주에 대해서는 약주를 중심으로 원료 및 술덧 중의 각종 이화학적 성분 분석, 전통주 제조용 최적 발효제와 주모의 개발, 전통 증류주의 특성 분석, 민속주 발효 중의 미생물과 효소의 분포, 일부 저장성 연장과 품질 개선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각종 약용식물을 첨가한 고품질의 전통주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고 전국 시판 전통주의 품질특성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와 일부 지역 대표 전통주들의 생주와 저온살균 시판주 들의 영양성과 생리활성 및 숙취 원인물질에 관한 연구 등이 실시되었다.</p><p>그러나 다른 주류와는 달리 다양한 발효제와 주모, 쌀과 밀가루 등의 주원료와 일부 전분 보충제등을 이용하여 제조 되는 대표적인 전통주인 막걸리에 관한 연구로는 이들의 이화학적성질과 비타민과 아미노산, 유기산, 식이섬유 등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또한 막걸리 발효중의 젖산균등의 미생물 분포와 저장 및 품질 고급화를 위한 파네졸 등의 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최근 김 등은 시판 막걸리들의 저장 중 효모와 젖산균 등의 미생물 다양성 등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약주에 비해 막걸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고 특히 전국 각지에서 생산,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막걸리들의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품질특성과 생리활성 연구는 자세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p><p>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막걸리의 품질 우수성을 발굴하여 고품질 막걸리의 산업화를 위한 자료를 얻고자 전보에서 국내 시판 막걸리를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로 구분, 수집하여 이들 가운데 항고혈압성등이 우수한 막걸리들을 선발하여 이들의 미생물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Pichia burtonii 등의 효모와 Lactobacilus harbinensis, Lacto-bacilus fermentum 등의 젖산균들이 우점균임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시판 막걸리들의 고부가가치의 품질특성으로 주요 이화학적 성질과 젖산균 생균수 및 항고혈압활성 등을 포함하는 생리기능성 등을 측정하였다.</p>
|
[
"지금까지 수행되었던 전통주에 대한 연구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최근 주류 소비에 대한 특징으로 옳은 것은?",
"최근 주류 소비에서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고 있어?",
"어떻게 막걸리는 해외 수출이 증대되었고 국내 소비도 급증하게 되었는가?",
"막걸리의 해외 수출이 증대와 국내 소비가 급증하게된 이유는 뭐야?",
"지금까지 어떻게 전통주에 대해서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지금까지 전통주에 대한 연구는 어떤 방식으로 행해졌어?",
"막걸리는 어떻게 제조되는가?",
"막걸리를 만드는 방식은 뭐야?",
"막걸리에 관한 연구 항목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막걸리에 관한 연구 항목은 어떤 게 있어?",
"막걸리 품질 고급화를 위한 연구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막걸리 품질 고급화를 위해 보고한 연구는 뭐야?",
"왜 다양한 막걸리의 고부가 가치화는 현재 어려운가?",
"현재 막걸리의 고부가 가치화가 어려운 원인은 뭐야?",
"어떻게 우리나라 막걸리의 품질 우수성과 우수한 막걸리의 산업화를 위해 활동을 수행했는가?",
"우리나라 막걸리의 품질 우수성과 우수한 막걸리의 산업화를 위해 진행한 활동은 어떤 게 있어?",
"우수 막걸리에 포함되어있는 젖산 우점균으로 옳은 것은?",
"우수 막걸리 속에 어떤 젖산 우점균이 들어가있어?",
"국내 시판 막걸리들의 고부가가치 품질특성으로 측정된 항목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어떤 항목이 국내 시판 막걸리들의 고부가가치 품질특성으로 측정되었어?",
"어떻게 막걸리의 해외 및 국내 소비가 늘어날 수 있었는가?",
"막걸리의 해외 및 국내 소비가 증가될 수 있었는 방법은 무엇인가?"
] |
c4fc452e-a770-41d5-b2c6-11426e82849e
|
생명LA
|
시판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균 함량 및 생리기능성
|
<h1>요 약</h1><p>본 연구는 우리나라 막걸리의 우수성을 발굴하고자 60종의 시판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를 수집하여 이들의 주요 이화학적 성질과 젖산균 및 항고혈압활성 등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 3.6 \% \sim 9.6 \% \)이었고 이들의 잔당 함량은 \( 0.20 \% \)에서 \( 4.52 \% \),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 3.50 \sim 101.9 \mathrm{~mg} \% \)로 다양하였다. 저온살균 막걸리의 경우 에탄올 함량은 \( 4.0 \% \sim 7.0 \% \)로 생 막걸리와 비슷하였으나 잔당함량은 \( 0.98 \% \sim 7.57 \% \)로 생 막걸리보다 높았다. 또한 시판 생 막걸리의 젖산균 생균수는 평균 \( 2.0 \times 10^{8} \mathrm{~CFU} / \mathrm{mL} \)이었다. 여러가지 생리기능성 중 시판 EDS-14 생 막걸리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이 각각 \( 89.0 \% \)와 \( 87.0 \% \)로 매우 높았으나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 30 \% \) 미만으로 낮았다. 또한 \( \beta \)-Glucan 함량은 생 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가 각각 건조고형물 \( \mathrm{g} \)당 평균 \( 14.1 \% \)와 \( 14.6 \% \)을 보였다.</p>
|
[
"본 연구에서 막걸리의 우수성을 알기 위해 어떻게 하였는가?",
"막걸리의 우수성을 알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하였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을 말하시오.",
"본 연구는 몇 종의 막걸리를 연구했는가?",
"본 연구는 몇 종의 막걸리를 연구했나?",
"본 연구는 막걸리의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본 연구는 막걸리의 무엇을 조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의 잔당 함량은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의 잔당 함량은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얼마인가?",
"생 막걸리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본 연구에서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 막걸리와 달리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연구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생 막걸리와 달리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되지 않은 것이 무엇인가?",
"연구된 저온살균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얼마였는가?",
"에탄올 함량은 연구된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저온살균 막걸리의 잔당함량은 얼마였는가?",
"저온살균 막걸리의 잔당함량은 본 연구에서 얼마였는가?",
"본 연구에서 생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잔당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 얼마이니?",
"생막걸리와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본 연구 결과 잔당함량이 가장 낮은 것은 얼마인가?",
"시판 생 막걸리의 평균 젖산균 생균수는 몇 \\({~CFU} / \\mathrm{mL} \\) 인가?",
"시판 생 막걸리의 평균 젖산균 생균수는 몇 \\({~CFU} / \\mathrm{mL} \\) 인가?",
"막걸리의 여러 생리기능성 중 특별히 높은 기능은 무엇인가?",
"막걸리의 여러 생리기능성 중 특별히 높은 기능은 무엇인가?",
"시판 EDS-14 생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 몇 \\( \\% \\)인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은 시판 EDS-14 생 막걸리에서 몇 퍼센트인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의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은 몇 \\( \\% \\)인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은 PWR-12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몇 퍼센트인가?",
"시판 생 막걸리의 건조고형물 g당 \\( \\beta \\)-Glucan 평균 함량은 얼마인가?",
"건조고형물 g당 \\( \\beta \\)-Glucan 평균 함량은 시판 생 막걸리에서 얼마인가?",
"저온살균 막걸리의 건조고형물 \\( \\mathrm{g} \\)당 평균 \\( \\beta \\)-Glucan 함량은 얼마인가?",
"건조고형물 \\( \\mathrm{g} \\)당 평균 \\( \\beta \\)-Glucan 함량은 저온살균 막걸리에서 얼마인가?"
] |
612ccaed-5dcc-48bb-a4e6-7f279d8a7729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1>요 약</h1><p>이 연구는 양파즙을 이용한 알코올 음료의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양파는 당, 아미노산과 다양한 영양분에 기인하여 알코올 음료 개발을 위해 적절한 원료로 고려된다. 양파에서 알코올 발효를 위한 효모를 선별하기 위해 시판중인 효모를 양파배지에서 순화시켰다. 양파배지에서 성장하는 19균주를 사용하여 알코올 생성능을 확인해 본 결과 OJ-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의 특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냄새를 제거한 결과 열을 가하거나 활성탄을 처리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액량에 대해 \( 20 \% \) 활성탄을 30분간 처리하고 \( 100^{\circ} \mathrm{C} \) 40분간 열처리를 하면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즙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발효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의 검사 결과는 \( 5 \% \) 접종량으로 \( 25^{\circ} \mathrm{C}\) 5일 동안 정치배양하면 최대의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p>
|
[
"양파냄새를 제거할때 활성탄을 어떻게 처리하면 효과적인가요?",
"본 연구는 왜 수행되었을까요?",
"이 연구가 실행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본 연구는 무엇을 이용해 수행되었을까요?",
"본 연구에서는 무엇이 이용되었나요?",
"양파가 왜 알코올 음료 개발에 적절한 원료일까요?",
"왜 알코올 음료 개발에 양파가 적합한 원료일까요?",
"양파배지에서 무엇을 순화시켰나요?",
"양파배지를 통해 무엇을 순화했나요?",
"19균주를 사용하여 검사해본 결과 무엇이 가장 높았나요?",
"19균주를 사용하여 무엇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나요?",
"양파의 냄새를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양파 냄새 제거 방법은 무엇인가요?",
"액량에 대해 어떻게하면 냄새를 더욱 잘 제거시킬 수 있나요?",
"액량에 대해 냄새를 잘 제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양파즙 발효에 있어 최고의 수율을 얻을 수 있는 기간은 언제일까요?",
"양파즙 발효에서 최고의 수율을 얻기 위해 정치배양을 얼마나 해야하나요?"
] |
492491f6-daab-48d2-bade-e28195918e4b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3>활성탄에 의한 효과</h3><p>과립형 활성탄에 양파즙 배지를 침지시켜 시간별로 냄새를 측정한 결과 30분 처리한 것부터 냄새가 줄었으며 1시간 처리 한 것에서는 냄새가 많이 제거되었다. 활성탄을 제거한 뒤 그 배지에 주모를 접종하여 발효하였고 활성탄을 처리하지 않은 양파즙 배지에 발효한 것과 알코올 생성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p>본 연구에서는 단지 불쾌취를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진행했으나, 차후에 활성탄 처리로 제거된 불쾌취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상실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h3>유기산에 의한 효과</h3><p>구연산의 농도를 5, 10, 15, 20, 25, 30 \(\mathrm{mM} \)로 하여 생 양파를 침지한 후 24시간이 지난 후 냄새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냄새가 조금은 줄어들었지만 양파 특유의 독한 냄새가 없어지지는 않았다. 또한 구연산에 침지한 양파를 착즙하여 발효배지로 사용하였더니 알코올 생성량이 구연산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감소하였다.</p><p>양파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들을 실험한 결과 과산화수소수의 처리와 구연산 처리는 큰 효과가 없었고 양파를 겹겹이 떼어 내어 \( 100^{\circ} \mathrm{C} \)에서 40분간 멸균한 후 착즙한 것과 활성탄을 \( 20 \% \) 첨가하여 30분 이상 반응시킨 것은 냄새가 많이 제거되었다.</p><p>위의 실험 결과에 따라서 이후 실험에는 양파를 겹겹이 떼어내어 활성탄을 총 중량의 \( 20 \% \)가 되게 첨가하여 30분 동안 처리하고 난 후 \( 100^{\circ} \mathrm{C} \)에서 40분간 멸균하여 착즙하는 탈취과정을 거친 후 양파즙 배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p><h2>알코올 생성 최적 조건 검토</h2><h3>온도에 의한 영향</h3><p>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를 양파즙 배지의 \( 5 \% \)농도로 접종하여 4, 15, 25, 30, 37, 45, 55\(^{\circ} \mathrm{C} \)에서 각각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p><p>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15에서 \( 30^{\circ} \mathrm{C} \)사이에서 에탄올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온도 범위에서 잔존당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 25^{\circ} \mathrm{C} \)에서 환원당은 가장 낮았고 알코올 생성량은 가장 많았다.</p><h3>배양 시간에 의한 영향</h3><p>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를 양파즙 배지의 \( 5 \% \) 농도로 접종하여 9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 5일째에 가장 많은 알코올을 생성하였다. \(\mathrm{pH}\) 변화는 초기 \( \mathrm{pH} 5.13 \)에서 30시간이 되면서 \( \mathrm{pH} 4.0 \)이 되었고, 그 이후 계속 비슷하게 유지되었다.</p>
|
[
"잔존당의 양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어느 온도범위인가?",
"어떤 온도에서 잔존당 함량이 크게 감소하는가?",
"처음 냄새가 줄어들기 시작한 것은 양파즙 처리 후 몇 분이 경과된 다음인가?",
"실험에서 무엇에 양파즙 배지를 첨가하였나?",
"불쾌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인된 것은 무엇인가?",
"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물질은 이름이 뭐야?",
"어떤 물질을 농도별로 구분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나?",
"차후 활성탄 처리와 관련하여 필요한 연구로 언급된 것은 무엇인가?",
"제거하지 못한 냄새는 무엇인가?",
"실험에서 어느정도 줄이는 데는 성공했지만, 무엇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였나?",
"활성탄을 넣은 다음 어느정도 시간이 흘러야 양파 냄새가 없어져?",
"양파즙 배지에 접종한 것은 이름이 뭐야?",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양파즙 배지에서 무엇을 배양시켰는가?",
"실험에서 유지시킨 7가지 온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주모 접종 후 며칠 간 배양하였나?",
"에탄올의 양이 늘어난 것은 온도가 어느 범위일 때인가?",
"알코올이 가장 많이 만들어진 온도는 몇 도인가?",
"몇 도일 때 환원당의 양이 가장 적었나?",
"주모를 접종한 농도는 몇 퍼센트인가?",
"몇일째에 알코올 생성량이 최고치를 기록했나?",
"산성도는 4.0이 되기까지 몇 시간이 걸렸나?",
"활성탄 제거 이후 따른 절차는 무엇인가?",
"본 연구가 실시된 이유는 무엇이었나?",
"해당 연구는 애초에 왜 시작됐었나?",
"구연산에 담가 적신 양파를 발효배지에 사용하기 위해 어떻게 처리하였나?",
"양파에 구연산을 처리하면 무엇을 만들어내는 데 영향을 미쳐?",
"양파 냄새를 없애려면 활성탄을 어느 정도 첨가해야 해?",
"양파즙 배지를 제작하려면 겹겹이 떼어낸 양파에 가장 먼저 어떤 절차를 거쳐?",
"양파를 100도 이상에서 몇 분간 멸균처리해?",
"양파 침지 후 경과된 시간은 얼마인가?",
"주모를 접종한 농도는 얼마인가?",
"배양한 일수는 얼마인가?",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얼마동안 정치 배양하였는가?"
] |
81649dd9-ab49-4123-87c5-afc77f750c29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1>서 론</h1><p>양파(Onion, Allium cepa L.)는 둥근파, 옥파 또는 옥총이라고도 하며 백합과의 파와 같은 속에 속해 있는 인경 식물로서 재배 역사가 아주 오래된 식물 중의 하나이다. 양파의 원산지는 이란, 파키스탄, 지중해 부근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선시대 말엽에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우리나라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파 품종은 밑이 굵어지는데 필요한 일조 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조만생이 결정되며 주요 품종으로는 용인화, 천주황, 대왕황 등이 있고 특히 천주황은 저장성이 뛰어나고 재배가 용이하다. 양파 재배의 장점은 병충해가 적고 재배 방법이 용이하다는 것이다.</p><p>양파의 성분 중에는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의 flavonoid계 색소와 황함유 화합물인 allyl propyl disulfide 등이 함유되어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파의 구성 성분 중 수분이 약 \( 90 \% \)이고 탄수화물은 \( 6.8 \sim 8.0 \% \)로서 과당이 많고 포도당과 설탕은 거의 같은 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비타민과 무기질은 다소 적게 포함되어 있다. 특히 비타민 C는 양파가 성숙함에 따라 감소되는데 저장 중에도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양파에는 또한 alliin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는데 양파를 자르거나 짓찧을 때 allinas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된 다음 allicin이라는 자극 성분으로 변화된다. 양파는 알칼리성 식품이고 음양 구분에서는 음성 식품이라고 볼 수 있으며 중금속 해독 능, 항균 효과, 혈당저하 효과, 산화 작용, 항암 효과 등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다.</p><p>양파 내에는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양파 내의 아미노산 조성은 재배되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일본에서 가장 많은 양파가 생산되는 Hokkaido의 Okhotsk에서 재배되는 양파는 glutamic acid, serine, arginine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고 우리나라 경상남도 창녕군의 양파는 glutamic acid, ornithine, lysine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p><p>효모가 발효 시 쉽게 이용하는 탄소원으로는 glucose, galactose, maltose, sucrose, lactose, trehalose, melibiose, raffinose 등이 있다. 효모가 이용하는 질소원으로는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보통 urea, ammonium ion, 아미노산은 효모에 의해 쉽게 이용되는 질소원으로 알려져 있다. Glucose등의 당은 facilitated diffusion에 의해서 효모 균체 내로 uptake된 후 EM pathway를 통과하면서 2분자의 pyruvate는 2분자의 \( \mathrm{CO}_{2} \)와 2분자의 acetaldehyde로 전환된다. 이 2분자의 acetaldehyde는 alcohol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2분자의 alcohol로 전환된다. 효모는 질소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 70 \% \)의 glucose를 alcohol로 전환할 수 있다. 발효 조건 하에서는 glucose의 \(95\%\)가 ethanol (\(48.4\%\))과 \( \mathrm{CO}_{2}\)\((46.6 \%) \)로 전환되며 S. cerevisiae에서는 미량의 glycerol, succinic acid, 높은 alcohol, 2,3-butanediol, acetaldehyde, acetic acid, lactic acid가 부산물로 생성된다.</p><p>효모는 인류 역사와 함께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양조와 제빵에 사용되어 왔다. Jeong 등에 의한 감, 사과, 포도등을 이용한 과실 식초 생산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고, Shim 등에 의해 적포도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에 관해서도 보고가 되어 있는데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파에 순화시킨 효모를 이용하여 양파즙을 배지로 한 알코올 발효를 통하여 기능성 발효주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p><p>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수요 확대 및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하여 양파즙을 발효 기질로 하여 알코올 발효 조건을 검토하고 보다 나아가 발효주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여 산업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양파즙을 발효 기질로 한 발효주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먼저 양파의 독특한 매운 성분에 기인된 불쾌취를 없애고자 여러 가지 방법들을 시도하였고 양파즙을 발효 기질로 하여 알코올 발효의 최적 조건을 살펴보았다.</p>
|
[
"둥근파, 옥파 또는 옥총으로 불리며 백합과의 파와 같은 속에 속해 있는 인경식물은 무엇인가?",
"백합과의 파와 같은 속에 속해 있는 인경식물이며 둥근파, 옥파 또는 옥총으로 불리는 식물은 뭐야?",
"양파의 조만생을 결정하는 요소가 어떻게 돼?",
"양파의 조만생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양파 품종 중 저장성이 뛰어나고 재배하기 좋은 품종은 무엇인가?",
"저장성이 뛰어나고 재배하기 좋은 양파 품종은 뭐야?",
"양파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구성 성분이 어떻게 돼?",
"양파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구성 성분이 무엇인가?",
"양파가 성숙해지거나 저장 과정에서 줄어드는 구성 성분은 무엇인가?",
"무슨 구성 성분이 양파의 성숙과 저장과정에서 줄어들어?",
"양파를 자르거나 짓찧을 때 allinase라는 효소에 의해 alliin는 성분이 뭐로 변해?",
"양파를 자르거나 짓찧을 때 allinase라는 효소에 의해 alliin는 어떤 성분으로 변화하는가?",
"양파가 미국, 일본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언제로 추정되나?",
"언제 양파가 일본과 미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됐어?",
"당이 효모 균체 내 uptake되는 방법이 어떻게 돼?",
"당이 효모 균체 내 uptake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Glucose는 facilitated diffusion 방식에 의해 효모 균체 내로 uptake된 후 EM pathway를 통과하여 어떻게 전환되는가?",
"양파가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곳은 일본에서 어디야?",
"일본에서 가장 많은 양파가 생산되는 지역은 어디인가?"
] |
687b2552-3577-40e6-9cd7-e54c3cb63d78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2>알코올 생성 최적 조건 검토</h2><h3>온도에 의한 영향</h3><p>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를 양파즙 배지의 \( 5 \% \)농도로 접종하여 4, 15, 25, 30, 37, 45, 55 \(^{\circ} \mathrm{C} \)에서 각각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h3>발효 시간에 의한 영향</h3><p>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를 양파즙 배지의 \( 5 \% \)농도로 접종하여 9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h3>당 종류에 따른 영향</h3><p>공시균주의 알코을 생성 최적 당 종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당을 종류별로 각각 \( 10 \% \)씩 첨가한 후 \( 25^{\circ} \mathrm{C} \),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h3>보당에 의한 영향</h3><p>공시균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알코올 생성에 최적인 당을 1, 5, 10, 15, 20, 25, 30 \(\% \)씩 보당한 후 \( 25^{\circ} \mathrm{C} \),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h3>접종량에 의한 영향</h3><p>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접종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 접종량을 각각 1, 3, 5, 7, 9 \(\% \)씩 접종한 뒤 \( 25^{\circ} \mathrm{C}\), \(5 \)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
|
[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떤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진행한 실험 방법은 무엇인가?",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진행한 실험 방법은 무엇인가?",
"공시균주의 알코을 생성 최적 당 종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떤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시간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행한 실험방법은 무엇인가?",
"공시균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공시균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조사하기 위한 실험은 무엇인가?",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접종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했어 ?",
"공시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접종량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
e0fe404b-e2c0-496f-834a-022286235a42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3>활성탄에 의한 효과</h3><p>\( 50 \mathrm{ml} \)의 양파즙에 과립형 활성탄(Sigma Co., USA)을 10 \( \mathrm{g} \)을 넣고 10, 20, 30, 40, 50, 60분 동안 각각 반응시킨 후 냄새를 비교한 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하여 알코을 생산량을 측정하였다.</p><h3>유기산에 의한 효과</h3><p>양파 등 Allium 속의 식물체는 자체로 매운맛을 함유하기보다는 탈피나 절단 과정 중 세포가 파괴되면서 양파에 함유된 화합물에 효소가 작용하여 매운 향미 성분이 생성된다. 그래서 그 효소의 작용을 방해하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양파의 매운 향미 성분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산도가 높으면 효소의 반응성이 낮아지고 극한 \( \mathrm{pH} \)에서는 효소의 불활성화가 일어나므로 본 실험에서는 양파를 구연산 용액에 침지하여 탈취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때 구연산의 농도는 5, 10, 15, 20, 25, 30 \( \mathrm{mM} \)로 정하여 각각을 최종 부피 \( 500 \mathrm{ml} \) 이 되게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생 양파의 양은 전체 용액의 \( 1 / 3 \)이 되게 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양파를 꺼내어 착즙하고 그 착즙액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하여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다.</p><h3>주모의 제조</h3><p>알코올 발효를 위한 주모는 \( 100 \mathrm{ml} \) 플라스크에 sucrose를 \( 5 \% \) 첨가한 양파즙을 \( 50 \mathrm{ml} \)를 넣고 \( 110^{\circ} \mathrm{C} \)에서 10분 동안 멸균 하여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양파즙 배지에 \( 30^{\circ} \mathrm{C}\), \(200 \mathrm{rpm}\), 24시간 동안 전배양한 효모를 \( 5 \% \) 접종한 후 \( 30^{\circ} \mathrm{C}\), \(200 \mathrm{rpm} \),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주모로 사용하였다.</p><h3>균주의 알코올 생산 확인</h3><p>1차로 분리한 균주의 알코올 생산을 확인하기 위하여 당발효 실험을 하였다. YM 액체 배지 \( 10 \mathrm{ml} \)을 cap tube에 넣고 그 cap tube에 Durham fermentation tube를 넣어 멸균하였다. 1차로 분리한 colony를 YM 액체 배지에 키워서 그 배양액을 cap tube에 \( 100 \mu \mathrm{l}\) 접종한 후 \( 25^{\circ} \mathrm{C} \)에서 정치 배양하면서 기포가 형성되는지 관찰하였다.</p><h3>발효 산물의 성분 분석</h3><p>균 생육도는 균 배양액을 10배 희석하여 spectrophotometer (Techne Co., England)로 O.D. \(_{660}\)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양파즙 및 발효액의 \( \mathrm{pH} \)는 \( \mathrm{pH} \) meter (Corning Co., USA)로 측정하였다. 초기 양파즙의 당도 및 발효 과정에서의 당도는 당도계(Atago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발효 과정에서 발효액의 환원당은 발효가 끝난 발효액을 \( 7,000 \mathrm{rpm} \), 20분간 원심분리(Bechman Co., USA)하여 얻은 상등액을 \( 10^{3} \)배 희석한 후 Somogyi-Nelson 방법을 이용하여 spectro-photometer로 O.D.\(_{540}\)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p><p>발효액을 \( 7,000 \mathrm{rpm}\), 2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을 membrane filter ( \( 0.45 \mu \mathrm{m} \), Sartorius Co., Australia)로 여과하여 여과액 \( 1 \mu \mathrm{l}\) 를 GC [gas chromatography (Hewlett Packard Co., USA)]로 Table 1과 같은 조건 하에서 loading하였고 standard (absolute ethanol)의 면적과 비교하여 생성된 알코올의 양을 계산하였다.</p>
|
[
"\\( 50 \\mathrm{ml} \\)의 양파즙에 과립형 활성탄(Sigma Co., USA)을 몇 \\( \\mathrm{g} \\)을 넣고 발효해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했어 ?",
"양파즙\\( 50 \\mathrm{ml} \\)에 립형 활성탄(Sigma Co., USA)을 몇\\( \\mathrm{g} \\)을 넣고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했나요?",
"자체로 매운맛을 함유하기보다는 탈피나 절단 과정 중 세포가 파괴되면서 양파에 함유된 화합물에 효소가 작용하여 매운 향미 성분이 생성되는 식물체는 어떤 종류야 ?",
"식물체 중 매운맛을 함유하기보다는 탈피나 절단 과정 중 세포가 파괴되면서 양파에 함유된 화합물에 효소가 작용하여 매운 향미 성분이 생성되는 건 어느 종류인가요?",
"알코올 발효를 위한 주모는 어떤방법으로 준비했어 ?",
"어떤 방법으로 알코올 발효를 위한 주모가 준비되지",
"균생육도는 어떤방법으로 측정했어 ?",
"어떤 방법으로 균생육도가 측정되지",
"양파즙의 발효과정에서의 당도는 어떤 방법으로 측정했어 ?",
"양파즙의 발효과정에서의 당도는 어떻게 측정했어 ?"
] |
641d8704-a316-4f5e-a834-9a8894a71c50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3>당 종류에 의한 영향</h3><p>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 종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당을 종류별로 각각 \( 10 \% \)씩 첨가한 후 \( 25^{\circ} \mathrm{C} \),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당 발효성에 있어서 OJ-8은 여러 가지 당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특히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등을 이용하였을 때 잔당이 적었고 알코올 생성능도 높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sucrose를 이용하였을 때 더 많은 알코올(\(9\%\))이 생성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sucrose을 양파즙 배지에 첨가하는 당으로 이용하여 알코올 생성을 수행하기로 하였다.</p><h3>보당에 의한 영향</h3><p>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알코올 생성에 최적인 sucrose를 1, 5, 10, 15, 20, 25, 30 \(\% \) 씩 보당 한 후 \( 25^{\circ} \mathrm{C} \),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sucros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알코올이 많이 생산되었지만 \(25\%\)이후부터는 알코올 생성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양조법 상 약주의 알코올 함량이 \( 13 \% \)이하인 것을 감안하여 알코올 함량이 \( 13 \% \)가 되게 최적 보당 농도를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다음 식의 계산에 의해서 보당하였다.</p><p>\( S=\frac{w(b-a)}{100-b} \)</p><p>\(w\) \( (\mathrm{kg}) \) : 양파즙의 무게</p><p>\(a\) (\(\%\)) : 양파즙의 당도</p><p>\(b\) (\(\%) \) : 요구하는 양표즙의 당도</p><p>\(S\) (\(\mathrm{kg}) \) : 첨가할 당의 양</p><p>본 실험에서 사용한 양파의 당도는 \( 6^{\circ} \mathrm{brix} \)였고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당도는 \( 20^{\circ} \mathrm{brix} \)였다. 위의 식에 의한 계산 결과 \( 17.5 \% \)의 sucrose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하였다.</p><h3>접종량에 의한 영향</h3><p>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량에 대하여 접종량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 접종량을 각각 1-8\(\%\)까지 조절한 후 \( 25^{\circ} \mathrm{C}\),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전술한 분석 방법에 따라 환원당의 변화 및 알코올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p><p>주모의 접종량에 따른 알코올 생성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모접종량을 각각 \(1-8\% \)까지 조절하여 발효한 뒤 알코올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3-8\%\)의 범위 내에서는 유사한 정도의 알코올 생성량을 보였다. 그러므로 이 범위 내에서 접종을 한다면 알코올 생성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p><p>이상의 결과와 같이 알코올 생성을 위한 최적 조건을 선정해 본 결과 \( 6^{\circ} \mathrm{brix} \)의 양파즙에 \( 17.5 \% \)의 sucrose를 첨가하여 \( 5 \% \)주모를 접종하여, 25에서, 5일 동안 정치 배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 종류를 조사하기 위하여 어떻게 실험을 진행했어?",
"어떤 방법으로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 종류를 계측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했어?",
"무엇을 이용하였을 때 더 많은 알코올(9\\%9%)이 생성될까?",
"더 많은 알코올(9\\%9%)을 만들려면 사용해야 하는 것은 뭐지?",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을 어떻게 진행했어?",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시행해서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 최적 당도를 알아보았어?",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량에 대하여 접종량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려고 주모 접종량을 어떻게 조절했어 ?",
"접종량이 사용 균주의 알코올 생성량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해 어떤 방법으로 주모 접종량 조절했을까?",
"주모접종시 알코올 생성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범위는 어떻게 돼?",
"어떤 범위에서 주모접종시 알코올 생성량이 균등하게 유지되지?",
"알코올 생성시 최적 조건은 어떻게 될까?",
"무엇이 알코올을 만들기 위한 최적 조건이지?"
] |
ead52ca3-1e43-4a41-a57a-d321d1ea17d2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1>결과 및 고찰</h1><h2>사용 균주의 선별</h2><p>양파에서 생존 능력과 알코올 생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판 중인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양파즙 배지에 접종하여 순화시킨 것을 YM한천 배지에 3분 도말하여 나타난 colony 19개를 1차 분리하여 OJ-1\(\sim\)OJ-19로 각각 명명하였다. 1차로 분리한 19개의 colony를 액체 배지에 배양하여 그 배양액을 Durham fermentation tube를 거꾸로 넣어서 멸균한 cap tube에 \( 100 \mu \mathrm{l} \) 접종한 후 \( 25^{\circ} \mathrm{C} \)에서 정치 배양하였다. 그 결과 48시간이 지난 후 효모에 의해 발생한 이산화탄소 가스로 인해 Durham fermentation tube 안에 기포가 포집되는 데, 이산화탄소를 생산한 균주는 16개였다. 16개의 균주를 YM 액체배지에 전배양하여 주모를 만든 후 양파즙 배지에 \( 5 \% \) 접종하여 \( 25^{\circ} \mathrm{C} \)에서 5일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그 중 OJ-8은 발효 후 잔당이 가장 적었고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뛰어나서 OJ-8을 실험 균주로 선택하여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p><p>효모는 통성호기성 균주로서 산소가 존재하면 당을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하는 방향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목적하는 에탄올의 생성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따라서 산소와 접촉을 적게 만들어 발효가 진행이 잘 되도록 정치배양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혐기성 상태로 조건을 설정하면 실험실 규모뿐만 아니라 산업화 시 그 비용적인 측면에서 알코을 생성 감소분을 초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p><h2>양파의 냄새 제거 효과</h2><h3>열처리에 의한 효과</h3><p>먼저 양파를 믹서기로 갈아서 착즙한 뒤 \( 100^{\circ} \mathrm{C} \)에서 30분 멸균한 것과 양파를 겹겹이 떼어 내어 \( 100^{\circ} \mathrm{C} \)에서 시간별로 멸균한 뒤 착즙한 것의 냄새를 비교하였더니 후자의 것이 냄새 제거 효과가 뛰어났다. 특히 40분 이상 멸균하면 냄새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이렇게 다르게 멸균 처리한 배지에 sucrose를 \( 5 \% \)보당하여 각각을 발효한 후 알코올 생성량을 측정하였을 때 열처리에 대한 조건은 알코올 생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p>양파를 수작업으로 겹겹이 떼어내는 것은 산업화 측면에서 보면 경제적인 방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큰 조각 조각으로 쵸핑을 실시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쾌취 제거가 감소되더라도 완전히 쵸핑하는 것이 산업적 방법으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p><h3>과산화 수소수 \( \left(\mathrm{H}_{2} \mathrm{O}_{2}\right) \) 에 의한 효과</h3><p>과산화수소수를 1, 5, 10, 15, 20, 25 \(\% \)의 농도로 첨가하여 양파의 매운 향미 성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향미 성분이 조금 감소하였을 뿐 많은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수를 첨가한 배지에 주모를 접종하여 발효하여 알코올 생성을 과산화수소수를 처리하지 않은 것과 비교한 결과 과산화수소수를 처리하지 않은 것에 비해 알코올 생성량이 적었다. 이는 과산화수소수가 균의 생육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p>
|
[
"실험에서 사용한 효모의 이름은 무엇인가?",
"어떤 이름의 효모가 실험에서 쓰였지?",
"효모를 양파즙 배지에 접종시킨 뒤, 어떻게 처리하였나?",
"양파즙 배지에 효모를 접종시킨 후 다음 처리는 어떻게 되나?",
"순화시킨 것을 어디에 3분 동안 도말했나?",
"순화시킨 것을 3분 간 어디에서 도말했나?",
"colony 19개를 1차 분리한 후 각각 붙여준 이름은 무엇인가?",
"어떤 이름을 1차 분리한 colony 19개에 명명하였나?",
"colony 19개를 어디에 배양했나?",
"어느 곳에 colony 19개를 배양했니?",
"Durham fermentation tube를 거꾸로 넣어 멸균한 튜브의 이름은 무엇인가?",
"어떤 튜브에 Durham fermentation tube를 거꾸로 넣어 멸균처리 하였나?",
"배양액을 접종한 양은 얼마인가?",
"어느 정도의 배양액을 접종했는가?",
"배양액을 흔들지 않고 놓아둔 채로 배양할 때, 온도를 몇 도로 유지하였나?",
"몇 도로 온도를 유지한 채 배양액을 흔들지 않고 놓아두었나?",
"효모가 발생시킨 기체의 종류는 이름이 뭐야?",
"어떤 기체가 효모에 의해 생성되었나?",
"48시간 경과 후, Durham fermentation tube 안에서 발견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무엇이 Durham fermentation tube 안에서 48시간 경과 후 나타났나?",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낸 균주는 몇 개인가?",
"몇 개의 균주가 이산화탄소를 생성했나?",
"주모를 만드는 방법은 뭐야?",
"어떤 방법으로 주모를 생성하니?",
"주모를 어디에 접종시켰어?",
"어느 곳에 주모를 접종시켰어?",
"주모를 접종시킨 양은 얼마야?",
"몇 프로의 주모를 접종시켰니?",
"16개의 균주를 어디에 전배양했어?",
"어디에 16개의 균주를 전배양했어?",
"주모를 접종한 양파즙 배지는 며칠 동안 정치 배양되었어?",
"며칠 간 주모를 접종한 양파즙 배지를 정치 배양했어?",
"양파즙 배지는 몇 도 상태를 유지했어?",
"몇 도의 온도로 유지된 양파즙 배지가 5일 동안 배양되었니?",
"colony 19개를 1차 분리해서 8번째로 붙여준 이름이 뭐야?",
"1차 분리된 colony 19개 중 8번째로 명명한 이름은 무엇이지?",
"OJ-8은 무슨 물질을 많이 만들어낼 수 있어?",
"어떤 물질을 OJ-8로 많이 생성해 낼 수 있니?",
"다음 실험의 실험 균주로 고른 것은 이름이 뭐야?",
"어떤 것을 다음 실험 균주로 선택했니?",
"OJ-8이 실험균주로 선택된 이유는 뭐야?",
"실험균주로 OJ-8가 왜 채택되었는지 알고 있니?",
"효모는 어떤 기체가 있어야 분해될 수 있어?",
"어떤 기체로 효모를 분리할 수 있을까?",
"효모는 균주의 종류 중 어느 것에 해당돼?",
"균주의 종류 중 효모가 관련되는 것은 무엇이니?",
"에탄올 생성량이 확연하게 줄어드는 이유는 효모의 어떤 성질 때문이야?",
"효모의 어떤 특성 때문에 에탄올 생성량이 확연하게 감소되는 걸까?",
"발효 진행을 돕기 위해 제한한 기체의 이름은 뭐야?",
"발효 진행을 돕기 위해 어떤 기체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였니?",
"양파 착즙에 사용된 기계의 이름은 뭐야?",
"어떤 기계를 활용하여 양파 착즙을 하였니?",
"멸균처리한 온도와 시간은 어떻게 돼?",
"얼마의 온도와 시간에서 멸균처리를 시행하였니?",
"본문에서 후자는 무엇을 의미해?",
"본문에서 후자가 뜻하는 것은 무엇이니?",
"몇 분 이상 멸균처리를 해야 냄새가 뚜렷하게 줄어들어?",
"냄새가 확실하게 감소되려면 몇 분 이상 멸균처리를 하면 되니?",
"sucrose를 어디에 추가해줬어?",
"어디에 sucrose를 더해줬어?",
"sucrose 보당 후 어떤 과정을 거쳤어?",
"sucrose 보당 이후 거친 과장은 어떻게 되니?",
"알코올 생성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조건은 뭐야?",
"알코올 생성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조건은 어떤 게 있니?",
"본문에서 경제적인 방법이 아닌 것으로 본 것은 뭐야?",
"경제적인 방법이 아닌 것으로 확인 된 것은 논문상에서 어떤게 있을까?",
"부분적으로 불쾌취 제거가 감소되더라도 어떻게 하는 것이 산업적 방법으로 타당해?",
"부분적으로 불쾌취 제거가 낮아지더라도 산업적 측면에서 어떤 방법이 나을까?",
"양파의 매운 향미 성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어떤 물질을 사용했어?",
"어떤 물질을 이용하여 양파의 매운 향미 성분 변동을 확인할 수 있을까?",
"주모를 어디에 접종했어?",
"어느 곳에 주모를 접종했니?",
"과산화수소수는 균의 생육에 어떤 영향을 끼쳐?",
"균의 생장에 과산화수소수가 끼치는 영향은 어떤게 있니?"
] |
a6c1d14b-97bd-428d-98e3-6f1e96d49d18
|
생명LA
|
양파즙을 사용한 알코올 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 검토
|
<h1>재료 및 방법</h1><h2>사용 균주 및 배지의 조성</h2><p>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탁주 생산에 이용되는 시판 중인 효모 S. cerevisiae를 구입하여 양파즙 배지에 넣고 \( 30^{\circ} \mathrm{C} \)에서 순화시킨 후 한 백금이 떠서 \( 0.01 \mathrm{~g} / \mathrm{ml} \)의 chloramphenicol (Sigma Co., USA)을 함유한 YM 한천 배지에 도말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배양한 후 나타나는 단일 colony들을 1차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colony들을 YM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200 \mathrm{rpm} \)에서 배양한 후, 균 생육도와 알코을 발효도가 가장 뛰어난 균주를 2차로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p><p>양파즙 배지는 생 양파 무게 대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파쇄한 후 착즙하고 \( 5 \% \) sucrose를 보당하고 \( 110^{\circ} \mathrm{C} \)에서 10분간 멸균된 액을 사용하였다. 효모의 분리용 평판 배지의 구성 성분은 \( 0.3 \% \) yeast extract, \( 0.3 \% \) malt extract, \( 0.5 \% \) peptone,\( 1.0 \% \) glucose, \( 1.5 \% \) agar 이며 모두 일급 시약을 사용하였다. 또한 배양용 액체 배지는 분리용 평판 배지의 성분 중에서 agar를 제외한 것을 사용하였다.</p><h2>양파즙의 냄새 제거</h2><p>본 실험에 사용한 양파는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생산된 영산 오사리 종을 원료로 하여 상부와 하부 뿌리 부분을 제거하고 양파의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믹서기로 파쇄한 후 착즙하여 사용하였다. 양파는 절단했을 때 나오는 독특한 냄새로 인해 상품화시키기에 미흡한 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p><h3>열처리에 의한 효과</h3><p>양파를 착즙 후 \( 100^{\circ} \mathrm{C} \)에서 30분 멸균한 것과 겹겹이 떼어내어 시간별로 \( 100^{\circ} \mathrm{C} \)에서 멸균한 뒤 착즙한 것들의 냄새를 비교하고 그것을 배지로 하여 \( 25^{\circ} \mathrm{C} \)에서 5일 동안 발효한 후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은 양파를 \( 100^{\circ} \mathrm{C} \)에서 삶아도 양파의 성분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p><h3>과산화수소수 \( \left(\mathrm{H}_{2} \mathrm{O}_{2}\right) \)에 의한 효과</h3><p>탈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과산화수소수를 1, 5, 10, 15, 20, 25\( \% \)의 농도로 양파즙 배지에 첨가하여 냄새를 비교한 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하여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다.</p>
|
[
"시험에 사용한 균주는 어디에 이용되는 시판 중인 효모 S. cerevisiae를 구입하였는가?",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탁주 생산에 이용되는 시판 중인 효모 S. cerevisiae를 구입하여 무엇에 넣고 \\( 30^{\\circ} \\mathrm{C} \\)에서 순화시켰는가?",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탁주 생산에 이용되는 시판 중인 효모 S. cerevisiae를 구입하여 양파즙 배지에 넣고 \\( 몇^{\\circ} \\mathrm{C} \\)에서 순화시켰는가?",
"chloramphenicol (Sigma Co., USA)을 함유한 무엇에 도말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배양한 후 나타나는 단일 colony들을 1차로 분리하였는가?",
"YM 한천 배지는 무엇을 함유하였는가?",
"배지에 넣고 \\( 30^{\\circ} \\mathrm{C} \\)에서 순화시킨 후 한 백금이 떠서 \\( 0.01 \\mathrm{~g} / \\mathrm{ml} \\)의 chloramphenicol (Sigma Co., USA)을 함유한 YM 한천 배지에 도말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배양한 후 나타나는 단일 무엇들을 1차로 분리하였는가?",
"chloramphenicol (Sigma Co., USA)을 함유한 YM 한천 배지에 도말하여 \\( 30^{\\circ} \\mathrm{C} \\)에서 배양한 후 나타나는 단일 colony들을 몇 차로 분리하였는가?",
"분리한 colony들을 무엇에 접종하였는가?",
"분리한 colony들을 YM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 몇^{\\circ} \\mathrm{C}\\)에서 배양하였는가?",
"분리한 colony들을 YM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몇 \\mathrm{rpm} \\)에서 배양하였는가?",
"분리한 colony들을 YM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200 \\mathrm{rpm} \\)에서 배양한 후, 무엇이 가장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는가?",
"양파즙 배지는 생 양파 무게 대비 몇 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였는가?",
"양파즙 배지는 무엇 대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였는가?",
"양파즙 배지는 생 양파 무게 대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파쇄한 후 착즙하고 \\( 몇 \\% \\) sucrose를 보당하였는가?",
"양파즙 배지는 생 양파 무게 대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파쇄한 후 착즙하고 \\( 5 \\% \\) 무엇을 보당하였는가?",
"양파즙 배지는 생 양파 무게 대비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파쇄한 후 착즙하고 \\( 5 \\% \\) sucrose를 보당하고 \\( 몇^{\\circ} \\mathrm{C} \\)에서 10분간 멸균된 액을 사용하였는가?",
"착즙하고 \\( 5 \\% \\) sucrose를 보당하고 \\( 110^{\\circ} \\mathrm{C} \\)에서 몇 분간 멸균된 액을 사용하였는가?",
"배양용 액체 배지는 분리용 평판 배지의 성분 중에서 무엇을 제외한 것을 사용하였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양파는 어디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였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양파는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생산된 어떤 종을 원료로 사용하였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양파는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생산된 영산 오사리 종을 원료로 하여 어떤 부분을 제거하였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양파는 양파의 몇 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믹서기로 파쇄한 후 착즙하여 사용하였는가?",
"양파의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무엇으로 파쇄한 후 착즙하여 사용하였는가?",
"양파는 절단했을 때 나오는 무엇으로 인해 상품화시키기에 미흡한 점이 있는가?",
"양파는 절단했을 때 나오는 독특한 냄새로 인해 무엇을 시키기에 미흡한 점이 있는가?",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무엇을 제거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는가?",
"양파를 착즙 후 \\( 몇^{\\circ} \\mathrm{C} \\)에서 30분 멸균한 것과 겹겹이 떼어냈는가?",
"양파를 착즙 후 \\( 100^{\\circ} \\mathrm{C} \\)에서 몇 분 멸균한 것과 겹겹이 떼어냈는가?",
"시간별로 \\( 몇^{\\circ} \\mathrm{C} \\)에서 멸균한 뒤 착즙한 것들의 냄새를 비교하였는가?",
"멸균한 뒤 착즙한 것들의 냄새를 비교하고 그것을 배지로 하여 \\( 몇^{\\circ} \\mathrm{C} \\)에서 5일 동안 발효한 후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는가?",
"\\( 25^{\\circ} \\mathrm{C} \\)에서 몇 일 동안 발효한 후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는가?",
"착즙한 것들의 냄새를 비교하고 그것을 배지로 하여 \\( 25^{\\circ} \\mathrm{C} \\)에서 5일 동안 발효한 후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이 실험은 양파를 \\( 몇^{\\circ} \\mathrm{C} \\)에서 삶아도 양파의 성분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는가?",
"이 실험은 양파를 \\( 100^{\\circ} \\mathrm{C} \\)에서 삶아도 양파의 무엇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는가?",
"탈취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무엇을 1, 5, 10, 15, 20, 25\\( \\% \\)의 농도로 양파즙 배지에 첨가하여 냄새를 비교한 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효하여 알코올 생산량을 측정하였는가?",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탁주 생산에 이용되는 시판 중인 효모 무엇을 구입하였는가?"
] |
c1471950-55de-4cf2-8a31-e617f7a0b472
|
생명LA
|
Melanin 생성 인자 억제 효과를 통한 Mangifera indica L. Peel의 미백효과 연구
|
<h1>요 약</h1><p>본 연구의 목적은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및 \( 70 \% \)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 1,000 \mu \mathrm{g} / \mathrm{ml} \)에서 열수 추출물은 \( 9 \% \), 에탄올 추출물은 \( 35 \% \)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세포를 통해 미백효과를 측정하고자 멜라노마 세포인 B16-F10을 이용해 세포 생존율을 MTT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각각 \( 95.64 \%\), \( 103.36 \% \)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후 실험은 세포 생존율이 \( 95 \% \) 이상 나타난 농도인 \( 100 \mu \mathrm{g} / \mathrm{ml} \) 이하의 농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백 효과는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인자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에 대한 단백질 발현은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에 의해 \( 59 \%\), \(65 \%\), \(26 \%\), \(18 \% \) 감소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 64 \%\), \(40 \%\), \(18 \%\), \(52 \% \) 감소하였다. MITF, Tyrosinase, TRP-1 및 TRP- 2의 mRNA 발현은 RT-PCR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 100 \mu \mathrm{g} / \mathrm{ml} \)에서 열수 추출물에 의해 \( 27 \%\), \(44 \%\), \(40 \%\), \(22 \% \) 감소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 9 \%\), \(51 \%\), \(11 \%\), \(52 \% \) 감소하였다. 따라서 애플망고 껍질 추출물이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p>
|
[
"본 연구는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 70 \\% \\) 에탄올 추출물의 어떤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지?",
"애플망고 껍질의 열수, \\( 70 \\% \\) 에탄올 추출물의 어떤 효과의 증명을 위해 본 연구를 실시했어?",
"본 연구에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는 이유는 뭐야?",
"왜 본 연구에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계측했어?",
"애플망고 껍질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값은 최종 농도인 \\( 1,000 \\mu \\mathrm{g} / \\mathrm{ml} \\)에서 각각 얼마의 저해 효과를 보였지?",
"애플망고 껍질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값은 최종 농도인 \\( 1,000 \\mu \\mathrm{g} / \\mathrm{ml} \\)에서 보인 억제 효과는 각각 얼마였어?",
"B16-F10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효과는 무엇이지?",
"어떤 효과를 계측하기위해서 B16-F10 세포를 사용했어?",
"본 연구에서 세포를 통한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할 때 어떤 분석을 사용했지?",
"세포를 통한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할 때 본 연구에서 어떤 분석을 이용했지?",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율은 열수 및 \\( 70 \\%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얼마를 나타내었지?",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각각 얼마의 세포 생존율이 열수 및 \\( 70 \\% \\) 에탄올 추출물에서 드러났어?",
"\\( 100 \\mu \\mathrm{g} / \\mathrm{ml} \\)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몇 퍼센트 이상 나타나지?",
"\\( 100 \\mu \\mathrm{g} / \\mathrm{ml} \\) 이하의 농도에서는, 몇 퍼센트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주었니?",
"멜라닌 합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의 무엇이 나타나는 것을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결정했지?",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기술을 이용했지?",
"어떤 기술을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했어?",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측정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에 대한 단백질 발현은 열수 추출물에 의해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각각 얼마로 감소했지?",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측정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에 대한 단백질의 발현이 열수 추출물에 의해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줄어들은 양은 각각 얼마니?",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 단백질 발현에서는 각각 몇 퍼센트 감소했지?",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2 단백질 발현의 감소량은 각각 몇 퍼센트인가?",
"mRNA 발현 측정은 무엇을 통하여 확인했어?",
" 무엇을 통하여 mRNA 발현 측정을 검사했어?",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 2의 mRNA 발현은 열수 추출물에 의해 각각 얼마씩 감소했어?",
"\\( 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및 TRP- 2의 mRNA 발현은 각각 얼마씩 열수 추출물에 의해 줄었어?",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미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이 추출물은 무엇이지?",
"무슨 추출물이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미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니?",
"애플망고 껍질 추출물은 어떤 소재로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어지지?",
"어떤 소재로서 애플망고 껍질 추출물의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지지?"
] |
9666197c-58e0-4e78-9810-2bfd1e2b0dc6
|
생명LA
|
복합운동처치가 태권도 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h1>요 약</h1><p>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등장성운동과 등척성 \(\cdot\) 등장성운동을 혼합하여 복합 훈련을 실시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등속성 근 기능 중 최대 우력, 동측근력비율, 양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나타내었다. 첫째, 최대우력은 좌우측 신굴근 모두에서 등장성 운동집단에 비하여 복합 훈련집단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양측근력비율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력 증가를 위한 주요 체력요소인 평형능력, 근 지구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등장성 운동과 복합훈련 중 어떠한 방법으로 실시하여도 근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운동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최대우력이 등장성운동을 실시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보면 태권도 발차기의 파워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운동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p>
|
[
"평형능력, 근 지구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실시해야 근 기능이 향상될까?",
"본 연구에서 누구를 대상으로 하여 최대 우력, 동측근력비율, 양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을 분석하였는가?",
"본 연구는 등장성운동과 어떤 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인가?",
"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등속성 근 기능 중 무엇을 분석했는가?",
"복합 훈련집단이 좌우측 신굴근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무엇인가?",
"최대우력은 어디에서 복합훈련집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어?",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근 기능은 무엇인가?",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한 근 기능은 무엇인가?",
"태권도 발차기의 파워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
] |
164640f1-3add-4c5f-b678-d185054515e1
|
생명LA
|
복합운동처치가 태권도 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h2>동측근력비율의 변화</h2><h3>좌측동측 근력비율의 변화</h3><p>슬관절 좌측동측근력 비율의 변화는 Table 12, Table 13 과 같다. Table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68.62 \pm 4.36 \% \), 사후 \( 76.07 \pm 4.22 \% \), 등장성운동집단은 사전 \( 67.69 \pm 7.10 \% \), 사후 \( 71.84 \pm 4.38 \% \) 로 나타났다.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0.997,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으며( \( \left.\mathrm{F}_{1,12}=35.969,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2.889, \mathrm{p}>0.05\right) \).</p><h3>우측동측 근력비율의 변화</h3><p>슬관절 우측동측근력 비율의 변화는 Table 14 , Table 15 와 같다. Table 14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67.78 \pm 3.98 \% \), 사후 \( 75.11 \pm 6.28 \%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68.01 \pm 3.84 \% \), 사후 \( 71.83 \pm 3.00 \) 로 나타났다.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0.647,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으며( \( \left(\mathrm{F}_{1,12}=15.12,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1.496, \mathrm{p}>0.05\right) \).</p><h2>양측근력비율의 변화</h2><h3>신근 양측근력비율의 변화</h3><p>슬관절 신근 양측근력비율의 변화는 Table 16 , Table 17과 같다. Table 16 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9.36 \pm 2.53 \% \), 사후 \( 13.90 \pm 4.28 \%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20.02 \pm \) \( 2.64 \% \), 사후 \( 15.27 \pm 3.54 \% \) 로 나타났다.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0.469,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고 \( \left(\mathrm{F}_{1,12}=45.104,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0.220, \mathrm{p}>0.05\right) \).</p><h3>굴근 양측근력비율의 변화</h3><p>슬관절 굴근 양측근력비율의 변화는 Table 18, Table 19와 같다. Table 18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21.24 \pm 1.18 \% \), 사후 \( 13.71 \pm 2.27 \%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22.16 \pm 3.27 \% \), 사후 \( 15.68 \pm 3.32 \% \), 로 나타났다.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1.935,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고 \( \left(\mathrm{F}_{1,12}=52.088,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0.291, \mathrm{p}>0.05\right) \).</p>
|
[
"본 논문에서 슬관절 좌측동측근력 비율의 변화에서 복합운동집단의 사전 비율은 얼마인가?",
"본 논문에서 좌측동측 근력의 비율 변화를 살펴볼 때 등장성운동집단의 사전 비율은 얼마인가?",
"본 논문의 슬관절 좌측동측근력의 비율 변화에서 사전 \\( 67.69 \\pm 7.10 \\% \\)를 나타내는 집단은 어느 집단인가?",
"본 논문에서 슬관절 좌측동측근력의 사후 비율은 얼마인가?"
] |
0ff54413-9d27-4fae-8353-ea1da271972a
|
생명LA
|
복합운동처치가 태권도 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
<h2>근 지구력 변화</h2><h3>좌측 신근의 근지구력 변화</h3><p>슬관절 좌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는 Table 20, Table 21과 같다. Table 20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1781.85 \pm 110.58 \mathrm{~J} \), 사후 \( 1924.35 \pm 163.97 \mathrm{~J}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1806.57 \pm 165.55 \mathrm{~J} \), 사후 \( 1880.28 \pm 138.89 \mathrm{~J} \) 로 나타났다.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0.215,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으며 \( \left(\mathrm{F}_{1,12}=8.50,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1.598, \mathrm{p}>0.05\right) \).</p><h3>좌측 굴근의 근지구력 변화</h3><p>슬관절 좌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는 Table 22, Table 23과 같다. Table 2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 1590.85 \pm 50.16 \mathrm{~J} \), 사후 \( 1782.14 \pm 103.37 \mathrm{~J}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1608.14 \pm 95.83 \mathrm{~J} \), 사후 \( 1708.57 \pm 94.82 \mathrm{~J} \) 로 나타났다.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 \left(\mathrm{F}_{1,12}=0.453,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고( \( \left.\mathrm{F}_{1,12}=43.054,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4.177, \mathrm{p}>0.05\right) \).</p><h3>우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h3><p>슬관절 우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는 Table 24 , Table 25 와 같다. Table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운동 집단은 사전 \( 2169.14 \pm 141.67 \mathrm{~J} \), 사후 \( 2247.71 \pm 122.59 \mathrm{~J} \),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전 \( 2131.42 \pm 111.21 \mathrm{~J} \), 사후 \( 2184.85 \pm 122.44 \mathrm{~J} \)로 나타났다.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 \left.\mathrm{F}_{1,12}=0.602,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으며 \( \left(\mathrm{F}_{1,12}=11.39,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0.413, \mathrm{p}>0.05\right) \).</p><h3>우측굴근 근지구력의 변화</h3><p>슬관절 우측굴근 근지구력의 변화는 Table 26, Table 27과 같다. Table 26 에서 보는바와 같이 복합운동 집단은 사전 \( 1991.00 \pm 81.27 \mathrm{~J} \), 사후 \( 2061.71 \pm 112.93 \mathrm{~J} \), 등장성 운동집단은 사전 \( 2006.57 \pm 115.02 \mathrm{~J} \), 사후 \( 2072.42 \pm 125.41 \mathrm{~J} \), 집단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 \left(\mathrm{F}_{1,12}=0.052, \mathrm{p}>0.05\right) \), 시점별 유의차는 나타났다 \( \left(\mathrm{F}_{1,12}=37.00, \mathrm{p}<0.05\right) \).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left(\mathrm{F}_{1,12}=0.047, \mathrm{p}>0.05\right) \).</p>
|
[
"슬관절 좌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Table은 무엇인가?",
"어떤 Table이 슬관절 좌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를 보여주지?",
"Table 20에서 복합운동집단은 사전 몇 \\(\\mathrm{~J} \\)로 나타났는가?",
"복합운동집단은 Table 20에서 사전 몇 \\(\\mathrm{~J} \\)로 표기되어 있지?",
"Table 20에서 등장성운동 집단은 사후 몇 \\(\\mathrm{~J} \\)로 나타났는가?",
"등장성운동 집단은 Table 20에서 사후 몇 \\(\\mathrm{~J} \\)로 표기되어 있지?",
"Table 20에서 사전 \\( 1806.57 \\pm 165.55 \\mathrm{~J} \\)로 나타난 집단은 무엇인가?",
"어떤 집단이 Table 20에서 사전 \\( 1806.57 \\pm 165.55 \\mathrm{~J} \\)로 표가되어 있지?",
"슬관절 우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Table은 뭐야?",
"어떤 Table에 슬관절 우측신근 근지구력의 변화가 표시되지?",
"Table 22 에서 사전 \\( 1608.14 \\pm 95.83 \\mathrm{~J} \\), 사후 \\( 1708.57 \\pm 94.82 \\mathrm{~J} \\) 로 나타난 집단은 무슨 집단이야?",
"사전 \\( 1608.14 \\pm 95.83 \\mathrm{~J} \\), 사후 \\( 1708.57 \\pm 94.82 \\mathrm{~J} \\) 로 Table 22 에 표시된 집단은 어떤 집단이야?",
"슬관절 우측굴근 근지구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는 무엇인가?",
"어떤 표에서 슬관절 우측굴근 근지구력의 변화를 볼 수 있지?",
"우측굴근 근지구력 변화를 나타낸 결과에서 \\( \\left(\\mathrm{F}_{1,12}=37.00, \\mathrm{p}<0.05\\right) \\)는 복합운동 집단과 등장성 운동 집단의 무엇을 의미하는가?",
"복합운동 집단과 등장성 운동 집단이 우측굴근 근지구력 변화를 나타낸 결과에서 \\( \\left(\\mathrm{F}_{1,12}=37.00, \\mathrm{p}<0.05\\right) \\)로 나타는 것이 뜻하는 바는 머야?",
"Table 20에서 어떤 유의차가 나타났어?",
"어떤 유의차가 Table 20에 표시됐지?",
"좌측 신근의 근지구력 변화에서 나타난 \\( \\left(\\mathrm{F}_{1,12}=8.50, \\mathrm{p}<0.05\\right) \\)의 의미는 어떤 유의차가 나타났다는 의미야?",
"어떤 유의차가 좌측 신근의 근지구력 변화에서 \\( \\left(\\mathrm{F}_{1,12}=8.50, \\mathrm{p}<0.05\\right) \\)으로 표시됐다는 것을 뜻하는 거지?",
"우측신근 근지구력 변화에서 복합운동 집단과 등장성 운동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떻게 되었는가?",
"복합운동 집단과 등장성 운동 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는 우측신근 근지구력 변화에서 확인됐나?"
] |
cb4a4d6b-d12a-4dfd-9991-5c2759a5a8a0
|
생명LA
|
자세와 수면 박탈이 심박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
<h1>Ⅲ. 결 과</h1><h2>1. 자세와 수면 박탈과의 독립성</h2><p>수면 박탈과 자세에 대한 독립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 분석 (crosstabs)의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수면 박탈과 자세는 \( \mathrm{p}=0.002 \)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심박 변이도를 분석함에 있어 수면 박탈은 자세에 영향을 받는 변수로서, 자세만을 변수로 사용하여 심박 변이도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 다. 표 2에서와 같이 수면 박탈 횟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누운 자세가 앉은 자세보다 수면 박탈 횟수가 많았다 \( (\mathrm{p}<0.05) \).</p><table border><caption>표 2. 자세에 따른 stage 별 수면 박탈 횟수 및 paired t-test 통계 분석 결과</caption><tbody><tr><td rowspan=2>stage</td><td colspan=2>자세</td><td rowspan=2>p-vaue</td></tr><tr><td>앉은 자세 (회, \( \mathbf{n}=52 \)명)</td><td>누운 자세 (회, \( \mathbf{n}=52 \)명)</td></tr><tr><td>1</td><td>3</td><td>16</td><td>0.096</td></tr><tr><td>2</td><td>10</td><td>32</td><td>\(<0,0001\)</td></tr><tr><td>3</td><td>14</td><td>33</td><td>0.001</td></tr><tr><td>4</td><td>14</td><td>32</td><td>0.008</td></tr><tr><td>5</td><td>14</td><td>34</td><td>0.001</td></tr><tr><td>6</td><td>6</td><td>26</td><td>\(<0.0001\)</td></tr><tr><td>총계</td><td>61</td><td>173</td><td>·</td></tr></tbody></table><h2>2. 자세와 LF/HF</h2><p>그림 5는 52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LF/HF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이틀에 걸쳐 실험하였고, 각각 6 개의 stage로 구성되어있다.</p><p>자세가 LF/HF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repeated measure ANOVA test 통계 분석 결과, 자세는 LF/HF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mathrm{p}=0.033) \). 이러한 통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에서의 stage 별 차이를 보기 위해 sub group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림 6은 앉은 자세에서의 stage 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stage 1을 기준으로 하여 stage 4, 5, 6에서 LF/HF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mathrm{p}<0.01) \). 그림 7은 누운 자세에서의 stage 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stage 1을 기준으로 했을 때 모든 stage에서 LF/HF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 (\mathrm{p}<0.05) \).</p>
|
[
"본 실험에서 자세와 수면 박탈과의 독립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는가?",
"본 실험에서 자세와 수면 박탈과의 독립성을 알아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는가?",
"LF/HF에 자세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지?",
"LF/HF에 자세가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나?",
"자세가 LF/HF에 미치는 결과값을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는가?",
"자세가 LF/HF에 미치는 결과값을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의 차이를 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나?",
"본문의 표 2에서 stage 1의 앉은 자세에 따라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본문의 표 2에서 stage 1의 앉은 자세에 따른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본문의 표 2 중 stage1에서 누운 자세에 따라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본문의 표 2 중 stage1에서 누운 자세에 따른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본문의 표 2 중 stage 2에서 누운 자세에 따라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본문의 표 2 중 stage 2에서 누운 자세에 따른 수면 박탈 횟수는 얼마야?"
] |
94ae42bc-148c-4ee1-9576-3b58aaa57180
|
생명LA
|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
<h1>요 약</h1><p>안동호와 임하호의 수환경내 중금속의 오염정도와 서식 어종간의 중금속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호수의 수질,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 수질과 저니내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 \mathrm{As} \)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속 함량의 경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 \mathrm{Cr} \), \( \mathrm{Cu}, \mathrm{Cd} \) 및 \( \mathrm{As} \) 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늘, 근육, 뼈 조직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가 크며,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과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의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임하호보다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동호의 경우 안동호 상류 지점의 폐광산과 농경지로부터 하상퇴적물이 유입되어 하상퇴적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붕어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p>
|
[
"안동호에 서식중인 붕어는 무엇의 함량 차이가 큰 가?",
"안동호의 붕어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온 원인은 무엇인가?",
"안동호는 중금속 함량도 높을뿐만 아니라 임하호에 비해 무엇이 큰 가?",
"안동호와 임하호의 어떤 오염과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는가?",
"수환경의 중금속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어디를 조사하였는가?",
"본 논문의 실험 목적은 무엇인가?",
"안동호가 임하호 보다 어떤 것이 함량의 차이가 큰 가?",
"중금속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어떤 서식어종을 사용하였는가?",
"안동호의 하상퇴적물은 어디로부터 유입되는가?"
] |
61b82645-09f3-478e-8ae1-46f4148d38c7
|
생명LA
|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
<h1>결과 및 고찰</h1><p>최근 수질오염에 의한 환경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금속은 생활하수를 비롯하여 폐광산, 농업하수 및 각종 산업 활동을 통하여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중금속이 토양이나 하천 및 지하수로 유입되면 수중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인간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커다란 폐해를 끼치게 된다. 특히 수중 생태계나 인간에 나쁜 영향을 주는 중금속이 우리 몸속에 유입되면 쉽게 배출이 되지 않고 주로 간, 지방 및 배 속에 농축된다. 따라서 수생생태계로 유입된 중금속의 독성적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질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만으로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이는 다양한 물질이 용존되어 있는 수질의 정확한 분석이 쉬운 일이 아니며 이들 물질의 혼합에 따른 상호작용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C. auratus)를 이용하여 수중 환경 내 중금속의 오염정도와 서식 어종간의 중금속 축적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p><p>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 내 중금속 함량의 경우 \( \mathrm{Cr}, \mathrm{Cd} \) 와 As의 함량은 안동호에서 임하호 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며, \( \mathrm{Zn} \) 과 \( \mathrm{Pb} \) 의 함량은 안동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 \mathrm{Cu} \)함량의 경우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평균함량에서는 같으나 양호 지점들 간의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mathrm{As} \)의 평균함량은 안동호에서 임하호 보다 4배 정도 높은 함량을 보이며, 수질 내 중금속 함량의 차이는 지점들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able 1). 안동호와 임하호의 저니를 채취하여 용출된 중금속 함량을 측정한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 저니 내 중금속 평균함량의 경우 \( \mathrm{Cu}, \mathrm{Zn}, \mathrm{Pb} \) 및 \( \mathrm{As} \) 의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mathrm{As} \)의 평균함량은 안동호에서 5배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 \mathrm{Cr} \) 의 함량은 안동호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지점들 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Cd의 함량은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 6.0 \mathrm{mg} / 1 \) 으로 나타났으나 안동호에서 표준편차의 함량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안동호와 임하호의 저니에 대 한 원소 함량과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SEM-ED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의 저니 대부분의 원소는 \( \mathrm{Al} \) (알루 미늄), \( \mathrm{Si} \) (규소), \( \mathrm{K} \) (칼륨), \( \mathrm{Fe} \) (철)로 이루어 졌으며, \( \mathrm{Si} \) 가 전체 \(26 \)~\(28 \% \) 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안동호에서 \( \mathrm{Al} \), \( \mathrm{Si} \) 성분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 \mathrm{K} \) 과 \( \mathrm{Fe} \) 은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수질과 저니의 중금속 함량이 안동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안동호 상류지역 에 휴◦폐광산이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휴◦폐광산을 통한 하천의 침출수 유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p><p>어류의 부위에 따른 중금속 축적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가미, 신장, 뼈, 비늘, 근육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조직의 중금속 \( (\mathrm{Cr}, \mathrm{Cu}, \mathrm{Zn}, \mathrm{Cd}, \mathrm{Pb}, \mathrm{As}) \)함량을 비교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조직 내 \( \mathrm{Cr} \)의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 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며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 \mathrm{Cr} \)의 함량이 안동호의 뼈 조직에서 \( 0.545 \pm 0.0133 \mu \mathrm{g} / \mathrm{g} \)으로 높은 반면 임하호의 경우 아가미 조직에서 \( 0.24 \pm 0.055 \mu \mathrm{g} / \mathrm{g} \)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입하호의 탁수입자와 함께 중금속이 아가미에 부착되어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 \mathrm{Cr} \)함량이 아가미 조직에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p>
|
[
"중금속이 토양이나 하천 및 지하수로 유입될 경우 발생하는 피해는 무엇인가?",
"어류의 부위에 따른 중금속 축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무엇을 비교하였는가?"
] |
b773d354-e6d2-43d5-b535-48c52675bced
|
생명LA
|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
<h1>서 론</h1><p>안동댐과 임하댐은 대형 인공호로서 경상도 지역에 식수, 농업용수 및 공업용수로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안동호의 경유 유역은 2개시 3개군으로 태백시, 안동시, 봉화군, 영양군 및 울진군에 걸쳐있다. 유역내의 주요 경제 활동은 농·축산업이며, 태백시의 경우 광산업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석탄 산업합리화 정책으로 대부분 폐광되었다. 봉화군은 여러 개의 휴◦폐광된 납, 아연, 금, 은, 동 광산이 존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폐광산의 침출수 등이 하천으로 유입 됨으로써 안동호는 총인, 총질소 및 엽록소 농도로 볼 때 중영양호에서 부영양호 사이에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임하호 유역은 1개시 2개군으로 안동시, 영양군, 청송군을 포함하여 \( 1,361 \mathrm{~km}^{2} \) 의 유역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영양군의 경우 채굴이 중단되었던 금, 은, 동, 아연 폐광산이 있으며, 청송군 지역에도 폐광된 금, 은, 동, 아연 광산이 존재하고 있으나 안동호 유역에 비해서는 매우 미비한 숫자에 지나지 않고 있는 청정 수역에 해당한다. 그러나 지질학적 구조에 영양지역은 고화가 덜 된 동화치층과 도계동충의 적갈색과 적색의 셰일과 알코스 사암 등이 호층을 이루며 점토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풍화가 쉽게 일어나 탁수의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p><p>금속광산의 선광시설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오염물질들은 널리 산재되어 있고 휴◦폐광산에 방치된 광재는 토양을 산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유해 중금속의 이온화를 촉진시킨다. 더불어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광산배수는 낮은 \( \mathrm{pH} \)를 가 지며, \( \mathrm{As}, \mathrm{Cd}, \mathrm{Cu}, \mathrm{Zn}, \mathrm{Pb} \)와 같은 독성이 높은 중금속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광산배수는 하천에 유입되어 수생태 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생물농축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인간의 건강을 해치게 된다. 또한 광산배수의 중금속은 공침 또는 침전되어 퇴적물로 쌓이거나, 유입 하천 퇴적물에 농축된 중금속은 수중 저서생물에 지속적인 독성을 미치고 있으며, 퇴적물의 중금속 용출로 인한 대형 수질오염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p><p>Kim과 Han 은 서해안 지역의 오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전북지역의 강과 저수지에 서식하고 있는 븡어에서 뼈, 근육, 어피를 이용하여 \( \mathrm{Pb}, \mathrm{Cd}, \mathrm{Cu}, \mathrm{Zn} \) 등의 중금속을 측정한 결과 \( \mathrm{Zn} \)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고 \( \mathrm{Cd} \)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90년도에 비하여 오염도가 매우 증가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Kim 등은 입도와 유기물의 상관관계에서 유기물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 영양염류와 중금속 역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고 하였다. 수생태계로 유입된 중금속의 독성적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질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만으로는 여러가지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는 다양한 물질이 용존되어 있는 수질의 정확한 분석이 쉬운 일이 아니며 이들 물질의 혼합에 따른 상호작용 측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물체들을 대상으로 한 오염평가 기법들은 생물에 대한 독성기전 및 과거 오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상대적인 장점들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유용성을 인식하고 최근에는 다양한 생물체들을 대상으로 효율적 수계오염평가를 위한 지표생물 및 지표생체물질의 개발을 위한 연구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산배수에 의해 비교적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안동호와 이에 비해 영향을 덜 받고 있는 임하호의 수질,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Carassius auratus)에 축적된 중 금속의 함량을 측정하여 광산배수가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p>
|
[
"본 논문에서 서해안 지역의 오염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어디를 조사하였는가?",
"여러 휴광이나 폐광은 현재 어디에 있는가?",
"현재 봉화군에는 어떤 광산들이 있는가?",
"광산배수는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태백시의 광산업이 침체된 이유는 무엇인가?",
"임하호 유역에는 어떤 지역이 있는가?",
"독성이 높은 중금속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안동호 유역에는 어느 지역이 있는가?",
"금속광산의 광재는 어떤 영향을 주는가?",
"안동댐과 임하댐은 어디서 주로 이용하는가?",
"안동댐과 임하댐은 무엇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폐광산에서 나오는 광산배수는 낮은 무엇을 가지는가?",
"임하호 유역 면적은 얼마나 되는가?",
"안동댐과 임하댐은 무엇인가?"
] |
adc71db7-3866-45e0-b3d2-ccdc74276e38
|
생명LA
|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
<p>\( \mathrm{Cu} \)의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비늘 조직에서 \( 0.693 \pm \) \( 0.025 \mu \mathrm{g} / \mathrm{g} \)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아가미 조직에서 \( 0.04 \pm 0.015 \mu \mathrm{g} / \mathrm{g} \) 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p><p>조직 내 \( \mathrm{Zn} \)의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함량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mathrm{Zn} \)의 함량은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근육 조직에서 \( 53 \mu \mathrm{g} / \mathrm{g} \) 과 아가미 조직에서 \( 27 \mu \mathrm{g} / \mathrm{g} \) 으로 표준편차 차이만을 보일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 \mathrm{Cu} \)의 함량은 비늘과 뼈 조직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고 \( \mathrm{Zn} \)은 근육 조직에서 높은 축적량을 나타냈고 아가미 조직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치어나 자어의 경우에는 아가미 조직이나 간장 조직 등에서 급성적 축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자연 상태에서 5년 이상 자란 붕어는 중금속이 비늘과 뼈 및 근육 조직 등에 만성적으로 축적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p><p>\( \mathrm{Cd} \) 의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비늘 조직이 \( 0.943 \pm 0.125 \mu \mathrm{g} \) \( / \mathrm{g} \)를 나타냈다. 또한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신장 조직에서 \( 0.013 \pm 0.003 \mu \mathrm{g} / \mathrm{g}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Park 등은 수중에서 \( \mathrm{Cd} \)이 어류에 축적되는 기전의 경우 주로 아가미 호흡이나 체표면의 점막을 통해 흡수된다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 \mathrm{Cd} \)의 함량이 비늘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 \mathrm{Cd} \) 의 흡수 기전과 매우 밀접할 것으로 생각된다.</p><p>\( \mathrm{Pb} \)의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가 높은 함량을 보이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근육 조직은 \( 1.065 \pm 0.152 \mu \mathrm{g} / \mathrm{g} \)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임하호에 서식하는 븡어의 아가미 조직은 \( 0.218 \pm 0.008 \mu \mathrm{g} / \mathrm{g} \)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함량의 차이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mathrm{Pb} \)는 어류조직에 비교적 축적이 덜되고 축적되더라도 조직 간에 함량 차이가 없는 것은 \( \mathrm{Pb} \)가 조직에서 친화력이 낮고 용해도도 낮아 쉽게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설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근육과 비늘 조직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조직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 \mathrm{Pb} \)가 붕어 조직에 축적이 덜되고 체내에 들어온 \( \mathrm{Pb} \)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설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 \mathrm{Zn} \)과 \( \mathrm{Pb} \)의 함량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과 저니에서 다른 중 금속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는 안동호 와 임하호 상류지점에 아연과 납의 휴◦폐광산이 많았던 것으 로 보아 지반 특성의 영향으로 \( \mathrm{Zn} \)과 \( \mathrm{Pb} \)를 포함한 하상퇴적물 이 하천에 유입되어 수질과 저니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또 한 이를 먹이로 섭취하는 어류에서도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 으로 생각된다.</p><p>\( \mathrm{As} \) 함량은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며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 0.001 \sim 0.008 \mu \mathrm{g} / \mathrm{g} \)의 함량으로 아주 미량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이는 \( \mathrm{As} \)의 성질이 산과 반응이 잘 일어나며 수증기와 함께 잘 휘발하는 것으로 보아 어류 조직의 전처리 과정 등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해 보면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며, 조직에 따라 함량의 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수질과 저니 및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하상퇴적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붕어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붕어 체내의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p>
|
[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에게 납과 아연성분 함량이 높게 측정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안동호와 임하호중 붕어에서 Pb함량이 적게 측정되는 곳은 어디인가?",
"본 연구조사에서 Cu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객체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Cu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객체가 서식하고 있나?",
"Cu의 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난 개채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Cu의 함량이 가장 적게 나타난 개체가 살고있나?",
"Zn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개체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Zn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개체가 서식하고 있나?",
"Zn 함량은 붕어의 어떤 부위에서 높게 측정 되었는가?",
"붕어의 어떤 부위에서 Zn 함량이 높게 측정 되었나?",
"본 연구에서 Cu는 붕어의 어떤 조직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가?",
"붕어의 어떤 조직에서 Cu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나?",
"Cu성분이 붕어의 비늘과 뼈 조직에 높게 함량된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이유로 붕어의 비늘과 뼈 조직에 Cu성분의 함량이 높은가?",
"Cd성분은 붕어의 어떤 조직에서 주로 함량되어있는가?",
"붕어의 어떤 조직이 Cd성분의 함량이 높은가?",
"Cd의 함량이 가장 적은 개체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Cd의 함량이 가장 적은 개체가 살고있나?",
"카드뮴은 어류의 어떤 기전으로 축적이 되는가?",
"어떤 기전으로 어류에 카드뮴이 축적되는가?",
"어류의 아가미 호흡이나 체표면의 점막을 통해 원소 성분이 흡수되면 어떤 조직에 축적이 되는가?",
"원소 성분이 어류의 아가미 호흡이나 체표면의 점막을 통해 흡수되어 축적되는 조직은 어디인가?",
"Pb의 함량은 붕어의 어떤 조직에서 높게 측정되는가?",
"붕어의 Pb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는 조직은 어디인가?",
"붕어의 어떤 조직에서 Pb 함량이 가장 적게 측정되었어?",
"붕어의 Pb 함량이 가장 적게 측정된 조직은 어디인가?",
"왜 납성분이 어류 체내에 축적이 잘 되지 않는거야?",
"어류 체내에 납성분이 잘 축적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납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붕어의 조직은 무엇인가?",
"붕어의 조직 중 납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As함량이 높게 나타난 붕어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As함량이 높게 나타난 붕어가 서식하고 있나?",
"본 연구조사에서 중금속 함량이 더 높게 측정된 개채의 서식지는 어디인가?",
"어디에서 중금속 함량이 더 높게 측정된 개체가 살고있나?",
"본 연구조사에서 측정된 붕어 체내의 중금속중 산과의 반응으로 휘발성을 띄는것은 무엇인가?",
"산과의 반응으로 휘발성을 띄는것은 본 연구에서 측정된 붕어 체내의 중금속 중 무엇인가?",
"본 연구조사 어느 서식지의 붕어가 평균적으로 중금속 함량이 적었어?",
"붕어의 중금속 함량이 평균적으로 적은 서식지는 어디인가?",
"본 연구의 붕어 채네의 중금속이 축적된 주 기전은 무엇인가?",
"어떤 주 기전으로 중금속이 붕어의 체내에 축적되었나?"
] |
c102aa6c-4c70-47df-85f7-03ee7b11bdb4
|
생명LA
|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어류 및 시료 채추</h2><p>실험에 사용된 붕어(C. auratus)는 안동호 2개의 지점과 임하호 2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5월, 7월, 9월(2005넌 3회)와 8월, 9월, 10월(2006년 3회)에 걸쳐 2년간 채집하였다(Fig. 1). 채집은 3중자망 (망목 \( 10 \times 10 \mathrm{~mm}, 25 \times 25 \mathrm{~mm} \) )을 사용하여 설치 48시간 정치 후 수거하였다. 채집된 어류 중 붕어는 현장에서 Kim과 Park 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동정 후, 즉시 실험실로 운반하여 외부 형태적 손상이 나타나지 않은 약 5 년생 붕어 (전장 \( 272 \pm 20.22 \mathrm{~mm} \), 체중 \( 466.33 \pm 13.30 \mathrm{~g} \) ) 30마리씩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저니는 어류의 채집 장소와 시기가 동일하며 저니의 채취는 보트를 이용하여 각 지점 호소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Ponar Grab (196-B12, Wildco, USA)을 이용하여 지점 내 3곳을 취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저니 채취 시 같은 지역에서 11무균 채수병을 이용하여 호소수를 채수하였고 채수 후 분석까지의 운반과 저장은 아이즈박스와 차량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저온상태를 유지하였다.</p><h2>분석 방법</h2><h3>수질 분석</h3><p>호소수의 중금속 함량 분석은 \( \mathrm{GF} / \mathrm{C} \) 유리섬유여과지로 필터 후 \( \mathrm{Cu} \) (구리), \( \mathrm{Cd} \) (카드뮴), \( \mathrm{Cr}^{6+} \) (크롬) 및 \( \mathrm{Zn} \) (아연)은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Flame Modula S, Spectro, Germany)에서 분석하였으며, \( \mathrm{Pb} \) (납)과 As (비소)의 함량은 원자 흡수 분광계(SpectrAA-220FS, Varian, Australi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p><h3>저니 분석</h3><p>채취한 저니의 전처리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각각 유리접시 위에 균일한 두께로 펼쳐 \( 110^{\circ} \mathrm{C} \) 의 오븐에서 8시간 건조하여 완전히 수분을 제거 하였다. 수분을 제거한 후 건조된 시료는 막자사발로 실험에 필요한 일정한 양을 1차 분쇄하여 \( 2 \mathrm{~mm} \) 표준망체(#8)에 통과시킨 후 통과된 시료를 다시 막자사발과 막자를 이용하여 2 차분쇄하였다. 분쇄한 시료는 눈금간격 \( 0.16 \mathrm{~mm} \) 표준망체(#100)를 통과시켜 균일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저니의 중금속 총 함량은 상기에서 전 처리한 시료 \( 0.1 \mathrm{~g} \) 을 취하여 혼합산( \( \mathrm{HCl}: \mathrm{HNO}_{3}=9: 3 \), Merck) \( 4 \mathrm{ml} \) 에 넣고, 이를 \( 120^{\circ} \mathrm{C} \) 의 초단퐈 용해장치(Microdigestion 3, Prolabo, France)에서 20분간 분해하였다. 분해 된 시료는 \( 50 \mathrm{ml} \) 정량병에 희석하여 \( \mathrm{Cu}, \mathrm{Cd}, \mathrm{Cr}^{6+} \) 및 \( \mathrm{Zn} \) 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에서 분석하였으며, \(\mathrm{Pb} \)과 \(\mathrm{As} \)의 함량은 원자 홉수 분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저니의 성분 분석은 에너지 분산형 X-선 측정기(JSM-6300, Jeol, Japan)를 이용하여 저니에 함유되어 있는 원소를 분석하였다.</p><h2>어류 분석</h2><p>채집한 어류는 개체별로 비늘, 아가미, 근육, 빼, 신장 조직을 적출하였으며, 증류수로 세척한 후 초음파 세척기(5210, Branson, USA)로 최대한 조직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각 시료는 \( -80^{\circ} \mathrm{C} \) 에서 동결시킨 후 냉동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초음파 용해장치(Ethos Plus, Milestone, USA)를 이용하여 전처리하였다. 전처리 후 분해 된 시료는 \( 50 \mathrm{ml} \) 정량 병에 희석한 후 측정하고자 하는 중금속 중 \( \mathrm{Cu}\), \(\mathrm{Cd}\), \(\mathrm{Cr}^{6+} \) 및 \( \mathrm{Zn} \) 은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기에서 측정하였으며, \( \mathrm{Pb} \) 과 \(\mathrm{As} \)의 분석은 원자 흡수 분광계를 이용하였다.</p><h2>통계처리</h2><p>각 실험에서 얻어진 자료에 대하여 통계 프로그램 패키지 (SPSS Inc., ver 12.0K, USA)를 이용하여 Levene의 등분산 검정과 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검정을 통하여 각 실험 사이에 \( \mathrm{p}<0.05 \) 를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유의적인 차이를 조사하였다.</p>
|
[
"채집한 붕어 중 어떤 붕어만 실험에 사용했어?",
"본 실험에서는 실험에 어떤 조건의 붕어를 이용했는가?",
"저니의 채취는 어떻게 했어?",
"저니의 채취를 어떻게 사용했어?",
"저니의 운반과 저장은 어떻게 했어?",
"저니의 저장과 운반은 어떻게 했어?",
"호소수의 중금속 함량 분석은 어떻게 했어?",
"어떻게 호소수의 중금속 함량을 검토 했어?",
"채집한 어류의 분석을 위해 전처리는 어떻게 했어?",
"전처리는 어떻게 채집한 어류의 검사를 위해 했어?",
"실험에서 발생한 차이점을 어떤 프로그램을 통해 조사했어?",
"어떤 프로그램을 통해 실험에서 발생한 차이점을 관찰했어?",
"실험에 사용된 붕어는 어떻게 채집했어?",
"붕어는 검사에 사용되기 위해 어떻게 채집되었어?"
] |
87275b0f-73b3-486f-9b40-bbcc9154ed06
|
생명LA
|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
<h1>서 론</h1><p>현대의 정밀사업 및 화학합성산업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합성의약품, 합성첨가물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보다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의약품, 식품첨가물의 개발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자생 약용 및 자생식용자원을 이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 소재로 이용하려는 연구는, 석유자원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한약계 및 의약품 원료의 공급 역시 안정적이지 못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육성하여야 할 분야이다.</p><p>산사자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산사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이가위, 이가배, 적좌지, 산과자, 찔광이, 질구배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일본의 각지에서 많이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지리산 이북의 전북, 경북, 강원 등에서 생산된다. 산사자는 시고 단맛을 가지며, \(8\%\)의 조단백질과 \(5\%\)의 조지질을 함유하여, 국내에서는 떡, 잼, 청량음료 및 전통발효주의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음식을 잘 소화하게 하여, 혈압을 낮추는 작용, 혈액순환을 도와 어혈을 없애는 작용 및 지질 용해작용을 한다고 알려져있다. 국내에서는 조충구제 및 세균성이질 치료용으로 다양한 제품이 제약회사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제증상 완화 및 현기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의약품으로서의 산사, 은행 및 마늘유 혼합제품이 개발, 판매되고 있다.</p><p>산사자의 약리성분으로는 ursolic acid, corosolic acid, euscapic acid, oleanolic acid, cratagolic acid, hyperin, vitexin, caffeic acid, procatechuic acid 및 pyrogallol 등의 다양한 패놀성 화합물들이 보고되어 있으며, 생리활성으로는 항세균 활성,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활성, 고지혈증 개선 및 항 우울증 효과, 항염증효과 및 알콜성 장해 간보호 효과, 세포사별 활성, 항산화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또한 chitin synthase Ⅱ 저해활성, HIV-Ⅰ protcase 지해활성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저해활성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산사자 뿐만 아니라, 산자나무 잎에서도 유사한 악리성분이 보고되어 있으며, quercetin 배당체, myricetin 배당체, apigcnin 배당체와 epicatechin 등이 함유되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어 있다.</p><p>본 연구에서는, 산사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이 저해활성 및 aPTT 증가활성을 평가하여, 산사자 추출물의 butanol 분획물에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트롬빈 저해 활성물질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 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치료제로 사용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p>
|
[
"산사자는 얼마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산사자의 조단백질 함유량은 얼마니?",
"다양한 합성의약품, 합성첨가물들이 현대의 정밀사업 및 화학합성산업의 발달로 인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어?",
"다양한 합성의약품, 합성첨가물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것은 현대의 정밀사업 및 화학합성산업의 발달때문이야?",
"본문에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이 저해활성 및 aPTT 증가활성을 평가한 이유가 뭐야?",
"산사자 추출물의 butanol 분획물에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할 수 있어?",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산사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무엇이라고 해?",
"낙엽교목이며 장미과에 속하는 산사나무의 열매를 뭐라고 해?",
"무엇이 보다 우수한 새로운 의약품, 식품첨가물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어?",
"의약품과 식품첨가물의 개발은 무엇이 우수한것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있니?",
"한국은 석유자원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한약계 및 의약품 원료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 해?",
"대한민국은 한약계, 의약품 원료의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석유자원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가 맞니?",
"중국과 일본에서는 산사자가 생산되지 않아?",
"산사자는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되지 않니?",
"이가위, 이가배, 적좌지는 산사자를 가리키는 말이야?",
"산사자의 다른 이름은 이가위, 이가배, 적좌지가 맞니?",
"한국에서는 주로 어디에서 산사자가 생산돼?",
"대한민국에서 산사자가 주로 생산되는 곳은 어디니?",
"산사자가 함유하고 있는 조지질은 얼마야?",
"산사자의 조지질 함유량은 얼마니?",
"산사자는 어떻게 어혈을 없애는 작용을 해?",
"어떻게 산사자가 어혈을 없애는 기능을 하니?",
"음식을 잘 소화하게 하여, 혈압을 낮추는 작용, 지질 용해작용은 무엇의 효능이야?",
"무엇이 음식을 잘 소화하게 하여 혈압을 낯추고 지질 용해작용이 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니?",
"산사자는 한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아?",
"한방에서 산사자는 잘 이용되지 않니?",
"한국에서 조충구제 및 세균성이질 치료용으로 산사자를 이용한 제품들을 어디에서 판매하고 있어?",
"대한민국은 산사자를 이용한 조충구제, 세균성이질 치료용 제품들을 어디에서 판매하고 있니?",
"corosolic acid, euscapic acid는 산사자의 약리성분이야?",
"산사자의 약리성분중 corosolic acid, euscapic acid가 있니?",
"산사자의 생리활성으로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활성이 있어?",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 활성은 산사자의 생리활성중 하나야?",
"quercetin 배당체, myricetin 배당체, apigcnin 배당체는 무엇의 약리성분이야?",
"quercetin 배당체, myricetin 배당체, apigcnin 배당체를 약리성분으로 가지고 있는것은 무엇이야?",
"산자나무 잎에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유가 뭐야?",
"왜 산자나무 잎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어?",
"트롬빈은 혈액내의 무엇의 생성에 직접 관여해?",
"트롬빈이 관여하는것은 혈액내의 무엇의 생성이야?",
"본문에서 산사자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어떻게 확인했어?",
"어떤 방법으로 산사자 추출물에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니?",
"본문의 연구는 혈액 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치료제로 무엇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본문의 연구는 무엇이 혈액 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치료제로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니?",
"chitin synthase Ⅱ 저해활성, HIV-Ⅰ protcase 지해활성은 무엇의 생리활성이야?",
"무엇의 생리활성이 chitin synthase Ⅱ 저해활성, HIV-Ⅰ protcase 지해활성 으로 알려져 있니?",
"산사, 은행 및 마늘유 혼합제품이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제증상 완화 및 현기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의약품으로서 개발되어지고 있어?",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제증상 완화 및 현기증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의약품은 산사, 은행 및 마늘유 혼합제품으로 만들어 개발되니?",
"한국에서는 산사자를 떡, 잼, 청량음료 및 전통발효주의 원료로 이용하고 있어?",
"대한민국에서의 산사자 이용 방법 중 하나는 떡, 잼, 청량음료, 전통발효주의 원료로 이용되는 것이야?"
] |
1b389a6d-737e-4383-9e1d-aed5f9ed07a0
|
생명LA
|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
<h1>결과 및 고찰</h1><p>산사자를 메탄올 및 증류수로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 100^{\circ} \mathrm{C} \) 및 \( 30^{\circ} \mathrm{C} \)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 효율은 각각 \( 48.1 \% \) 및 \( 36.7 \% \)로 산사자가 많은 수용성 물질을 포함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TT와 aPTT의 증가가 비례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 5 \mathrm{mg} / \mathrm{ml} \) 농도의 \( 10^{\circ} \mathrm{C} \) 및 \( 30^{\circ} \mathrm{C} \) 물 추출물에서 각각 \( 136 \% \), \( 149 \% \)의 TT 증가 및 \( 123\% \), \( 164\% \)의 aPTT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편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농도의존적인 트롬빈 저해 활성과 aPTT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 2.5 \mathrm{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 164\% \)의 TT 증가, \( 164\% \)의 aPTT 증가를 나타내었고, \( 5 \mathrm{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는 각각 \( 1,390\% \) 및 \( 450\% \) 이상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는 항혈전제로 이용되는 아스피린이 \( 1.25 \mathrm{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 287\% \)의 TT 증가를 나타냄을 고려할 때 산사자의 항혈전 활성이 매우 강력함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된 우산나물, 참나물, 붉나무 잎 등의 약용 및 식용 산채류 추출물보다도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p><p>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Hexane, ethylacetate, butanol 각 분획물의 회수율은 각각 \( 1.0\% \), \( 5.1\% \), \( 20.9\% \)이었으며, 물 잔류물이 \( 72.2\% \)를 차지하여 대부분이 수용성 물질로 확인하였다. 각 분획물의 농도별 활성 측정 결과 대부분의 활성은 butanol 분획에서 나타났으며, \( 1.25 \mathrm{mg} / \mathrm{ml} \)의 농도에서 \( 835\% \)의 TT 증가, \( 315\% \)의 aPTT 증가를 보여 아스피린보다 훨씬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ethylacetate 분획에서는 \( 2.5 \mathrm{mg} / \mathrm{ml} \) 의 고농도에서 \( 625 \% \) 의 TT 증가 및 \( 210 \% \) 의 aPTT 증가를 나타내어 butanol 분획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어, 산사자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물질이 ethylacetate 분획 및 butanol 분획에 다양하게 존재하며, 특히 butanol 분획물이 주요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이러한 결과는, 최근 항트롬빈 활성이 보고된 메밀종자 주정 추출물의 활성물질이 ethyl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나타나며, 특히 butanol 분획물에서 강력한 활성이 나타나는 것과 그 특성이 유사하였다.</p><p>산사자의 메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총당을 분석한 결과, 분석 물질들과 트롬빈 저해 활성의 특이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Ethylacetate 분획에서는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폴리페놀 함량,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butanol 분획에서는 ethylacetate 분획 다음으로 높은 폴리페놀 및 총당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 1.3 \mu \mathrm{g} / \mathrm{g} \)의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butanol 분획은 강한 anthrone 반응과 약한 ninhydrin반응을 나타내어, 그 주성분이 당 함유 고분자 물질로 추측되었다. 이미 보고한 메밀종자 추출물의 butanol 분획물의 활성 성분은 \( 30 \mathrm{kD} \) 이상의 고분자 다당체로 확인되었으나, 환원당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산사자의 butanol 분획물은 ethylacetate 분획물보다 환원당 함량은 낮았으나, 여전히 높은 \( 169 \mathrm{mg} / \mathrm{g} \) 의 환원당 함량을 나타내어 다당류보다는 당이 결합된 고분자 구조로 추측되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항혈액 응고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헤파린이 뮤코다당체임을 고려할 때, 산사자의 butanol 분획물의 활성물질이 헤파린과 유사한 구조 및 유사한 항응고 작용기작을 나타내리라 추측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산사자의 주요 활성물질로 보고된 quercetin, myricetin 등이 산사자의 항트롬빈 활성에 관여하지 않음을 제시하며, 실제 butanol 분획물의 항트롬빈 활성을 측정 결과, 기존의 보고된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및 rutin 등의 혈관계 질환의 예방효과가 보고된 물질들과는 트롬빈 저해활성에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TLC에 의한 분석 결과 butanol 분획에서 다양한 물질들이 검출되었으나,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및 rutin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 산사자의 항혈전 활성이 기존의 산사자 및 산사잎에서 보고된 물질에 의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p><p>산사자의 항혈전 활성성분의 식품가공 적성 평가를 위해 butanol 분획물의 산 안정성과 열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 100^{\circ} \mathrm{C}\), 30분 열처리에도 \( 85\% \) 이상의 활성소실이 나타난 반면, \( 0.5 \mathrm{~N} \mathrm{HCl} \) 처리에는 120분 이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혈전제로 사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이 뛰어난 산안정성 및 열 안정성을 나타냄을 고려할 때, 산사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에는 비가열처리가 필수적인 젓으로 판단되며, 고온 추출은 부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산사자와 유사하게 강력한 항트롬빈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메밀 종자 추출물의 butanol 분획물의 경우, \( 0.5 \mathrm{~N} \mathrm{HCl} \) 1시간 처리 및 \( 100^{\circ} \mathrm{C}\), 30분의 열처리시 급격히 항트롬빈 활성을 소실하여, 식품가공 공정 개발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산사자의 경우 우수한 내산성이 있어, 소화 흡수에 용이하리라 생각되며, 산사 발효주와 같은 효모 발효식품에 첨가 시에 우수한 활성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 추측된다. 현재 산사자 추출물의 butanol 분획 활성성분의 정제와, 비열 처리의 산사자 가공공정 및 식품형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p>
|
[
"산사자를 메탄올 및 증류수로 추출한 추출물 모두 농도에 비례하는 TT와 aPTT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TT, 와 aPTT가 증가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의 각 분획물 중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물질은 무엇인가요?",
"왜 산사자의 항혈전 활성이 강력하다고 볼 수 있는 있는가?",
"메밀 종자 추출물에 비해 산사자가 식품가공 공정 개발에서 가지는 이점이 뭐야?",
"산사자의 물 추출물로 산사자의 수용성 물질 포함 여부를 알 수 있어?"
] |
bb121338-eb9d-4c9c-bc73-e86a67ab143e
|
생명LA
|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
<h1>요 약</h1><p>식용 및 약용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산사자의 유용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의 thrombin time(TT)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증가 활성을 측정하여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산사자의 항혈전 물질은 물 추출보다는 메탄올 추출이 적합하며(추출효율 \( 40.4 \% \) ), butanol 분획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사자의 butanol 분흭물은 \( 1.25 \mathrm{mg} / \mathrm{ml} \) 의 농도에서 \( 835 \% \) 의 TT 증가, \( 315 \% \) 의 aPTT 증가를 보여 아스피린보다 2.9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혈전 활성은 기존의 보고된 quercetin, kaempferol, myricetin 및 rutin과는 무관하였다. 또한 산사자의 활성물질은 \( 0.5 \mathrm{~N} \mathrm{HCl} \) 처리시 120분 이상 안정하였으나, \( 100^{\circ} \mathrm{C},\) 30분 열처리에는 \( 85 \% \) 이상의 활성소실이 나타나 열에 매우 민감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열 처리와 적합한 가공 공정이 가능하다면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p>
|
[
"산사자는 식용과 약으로 이용되지 않고 공업용으로 사용되지?",
"식용과 약이 아닌 공업용으로 산사자가 쓰이는가?",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내의 혈전 생성에 직접 관여하는 인간 트롬빈의 thrombin time(TT)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증가 활성을 측정하여 항혈전 활성을 평가했는데 왜 그랬어?",
"무슨 목적으로 산사자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약하고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는가?",
"산사자의 생리활성 검토를 목적으로 항혈전 활성을 평가했는데 어떤것을 측정해서 평가했어?",
"본 논문에서는 무엇을 측량하여 산사자의 생리활성을 검토하기 위한 항혈전 활성 평가를 수행했는가?",
"산사자의 항혈전 물질을 추출할 땐 메탄올 추출보단 물 추출이 더 적합하지?",
"메탄올보다 물을 추출하는 것이 산사자의 항혈전 물질을 추출에서 알맞지?",
"산사자의 butanol 분흭물은 아스피린과 비슷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냈지?",
"항혈전 활성에서 산사자의 butanol 분흭물과 아스피린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는가?",
"산사자의 butanol 분흭물은 아스피린보다 2.9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었는데 기존에 보고된 quercetin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
"기존에 보고된 quercetin은 산사자의 butanol 분흭물이 아스피린보다 2.9배 이상의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난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지?",
"산사자의 활성물질은 열에 둔감한 물질이라 활성소실이 없지?",
"열에 무딘 물질이기 때문에 산사자의 활성물질은 활성소실이 안 나타나는가?",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해?",
"어떤 공정이 가능해야 산사자 추출물이 혈액순환 장해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가?"
] |
8662427c-2c7b-46bf-bb56-025a424ed9d0
|
생명LA
|
산사자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활성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재료 및 시료의 조제</h2><p>실험에 사용한 산사자는 경북 안동에서 건조된 한국산 산사자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수분함량은 \( 18 \%(\mathrm{w} / \mathrm{w}) \)이었으며, \( 4^{\circ} \mathrm{C} \) 에서 냉장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산사자 메탄올 추출물의 조제는 시료 \( 200 \mathrm{~g} \)에 메탄올 1리터를 가하여 24시간 상온 추출하였으며, 3회 반복한 후 추출액은 \( 50^{\circ} \mathrm{C} \) 에서 1시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 전까지 저온 밀봉 보관하였다. 산사자 물 추출물 조제는 시료 \( 200 \mathrm{~g} \)에 증류수 1리터를 가하고, \( 30^{\circ} \mathrm{C} \) 실온에서 24시간 추출하거나, \( 100^{\circ} \mathrm{C} \) 에서 1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을 \( 50^{\circ} \mathrm{C} \) 에서 1시간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물에 현탁한 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물 잔류물을 회수하였다. 준비된 시료는 DMSO(dimethylsulfoxide)에 녹인 후 적당한 농도로 회석하여 thrombin time (TT) 측정,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측정, 열 및 산 안정성 평가에 사용하였다. 혈장은 최근 1개월동안 약물투여를 받지 않은 지원자의 전혈로부터 조제하였으며, 채혈 후 즉시 \( 4^{\circ} \mathrm{C} \) 에서 \( 5,000 \mathrm{~g} \)로 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냉동한 상태로 보관하였으며 (신선동결혈장), 필요시 상온에서 해동하여 사용하였다.</p><h2>항혈전 활성</h2><p>항혈전 활성은 시료의 TT 및 aPTT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트롬빈 저해 활성은 기존의 보고한 Amelung coagulometer KC-1A (Japan)를 이용하여 혈액 응고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 37^{\circ} \mathrm{C} \) 에서 \( 0.5 \mathrm{U} \) 트롬빈 (Sigma Co., USA) \( 50 \mu \mathrm{l} \) 와 \( 20 \mathrm{mM}\) \( \mathrm{CaCl} \) \( 50 \mu \mathrm{l} \),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 10 \mu \mathrm{l} \)를 coagulometer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 100 \mu \mathrm{l} \)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시료 대조군으로는 아스피린(국산화학, Japan) 과 heparin (Sigma Co.)을, 용매 대조군으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평균 33.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열 안정성 평가의 경우에는 \( 1 \mathrm{mg} / \mathrm{ml} \) 의 산사자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 100^{\circ} \mathrm{C} \) 에서 일정시간 열처리한 후, \( 40^{\circ} \mathrm{C} \) 에서 냉각하여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산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는, \( 0.5 \mathrm{~N}\) \(\mathrm{HCl} \) 용액에 일정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 1 \mathrm{~N} \) \(\mathrm{NaOH} \) 용액으로 \( \mathrm{pH} 7 \)로 보정하여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트롬빈 저해 활성은 3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 \pm\) 평균치표준오차 (mean \( \pm\) SD)로 나타내었다. 한편 aPTT측정의 경우에는, 혈장 \( 100 \mu\mathrm{l} \) 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 10 \mu\mathrm{l} \) 를 Amelung coagulometer KC-1A (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 37^{\circ} \mathrm{C} \) 에서 3분간 가온한 후, \( 50 \mu \mathrm{l} \)의 aPTT reagent (Sigma, ALEXIN\( {}^{\mathrm{TM}} \) )를 첨가하고 다시 \( 37^{\circ} \mathrm{C} \)에서 3분간 반응하였다. 이후 \( 50 \mu\mathrm{l}\) \(\mathrm{CaCl}_{2}\)\((35 \mathrm{mM}) \) 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군으로는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2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 의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 \pm\)표준오차 (mean \( \pm\)SD)로 나타내었다.</p><h2>기타 분석</h2><p>총 flavonoid의 함량 측정은 Davis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검액 \( 400 \mu \mathrm{l} \) 에\( 90 \% \) diethylene glycol \( 4 \mathrm{~mL} \)를 첨가하고 다시 \( 1 \mathrm{~N}\) \(\mathrm{NaOH} 40 \mu \mathrm{l} \) 를 넣고 \( 37^{\circ} \mathrm{C} \) 에서 1시간 반응 후 \(420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Singleton 등의 방법에 따라 추출검액 \( 400 \mu \mathrm{l} \) 에 \( 50 \mu \mathrm{l} \) 의 Folin-ciocalteau, \( 100 \mu \mathrm{l} \) 의 \( \mathrm{Na}_{2} \mathrm{CO}_{3} \)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 725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TLC의 경우에는, silica gel plate (Silica gel 60\(\mathrm{F}_{254} \), Merck, Darmstadt.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클로로포름: 메탄올:물 (\( 52: 28: 8 \mathrm{v} / \mathrm{v} / \mathrm{v} \)) 을 전개용매로 하여 전개 후, \( 10 \% \) 황산용액을 분무하여 확인하였다.</p>
|
[
"메탄올 추출물에서 물 잔류물을 분리 시키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이 아닌것은 뭐야?",
"어떤 화학물질이 메탄올 추출물에서 물 잔류물을 분획하는 데 이용되지 않았어?",
"실험에서 쓰이는 혈장은 1년이상 약물을 를복용하지 않는 지원자의 혈액에서 추출하나요?",
"1년 이상 약물을 먹지 않은 지원자의 혈액에서 실험에서 쓰이는 혈장을 추출했어?",
"채혈한 혈장은 어떤 과정을 통해 보관하게돼?",
"어떤 과정을 거쳐서 채혈한 혈장을 보관해?",
"용매 대조군으로 사용된 물질은 뭐야?",
"어떤 물질을 용매 대조군으로 이용했어?",
"전개용매 시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의 비율은 몇인가요?",
"몇 대 몇의 비로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을 전개용매에 전개했어?",
"열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산사자에서 분리한 부탄올 분획물을 몇도에서 열처리 하나요?",
"열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 산사자에서 추출한 부탄올 분획물의 열처리는 몇 도에서 진행돼?",
"아스피린은 용매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나요?",
"용매 대조군으로 이용한 게 아스피린이야?",
"열 안정성을 평가할때 몇도에서 냉각 후 잔존활성을 측정하나요?",
"열 안정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잔존활성을 재는 게 몇 도야?"
] |
1eb30931-0878-4635-bb2c-fea5c33239b1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1>결과 및 고찰</h1><h2>세포 생존율</h2><p>마키베리 추출물들이 HaCaT cell과 B16F10 cell에 대해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기 전에 추출물들의 세포들에 대한 독성 여부를 알아 보았다. 그 결과, 마키베리 \( \mathrm{CHCl_{3}} \)층과 EtOAc층, DW층의 추출물들은 HaCaT cell의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B16F10 cell도 마키베리 추출물들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 \( (100 \%) \)에 비해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HaCaT cell과 B16F10 cell의 생존율 실험에 사용되었던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농도와 동일한 농도인 \( 10,20,40 \mu \mathrm{g} / \mathrm{mL} \)의 농도로 항산화와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1).</p><p>본 연구의 결과는 Kang과 Jung의 연구에서 마키베리 조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는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를 통해서 마키베리가 안전한 천연물일 것으로 판단되었다.</p><h2>항산화 효과</h2><p>마키베리 추출물들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각질형성세포인 HaCaT cell에 대해 추출물들이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Fig. 2). 특히, EtOAc층 추출물들이 산화스트레스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53 \)-\( 55 \% \) 감소되었다. DW층과 \( \mathrm{CHCl_{3}} \)층 추출물들도 산화스트레스를 각각 \( 36\)-\( 54 \%, 36\)-\( 47 \% \) 감소시켰다. 본 결과를 통해서 판단할 때, 마키베리 추출물들이 양성대조군인 glutathione \( (58 \%) \)과 항산화 능력이 유사할 정도로 우수한 항산화 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p><p>항산화 효과에 대한 기존의 연구 중에 Jung의 연구에서 마키베리 \( 99 \% \) 에탄올 조추출물 \( 50,1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고 했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획한 3가지 층의 마키베리 추출물이 모든 농도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난 것과 일치한 결과이다. 덧붙여, 분획할 경우 낮은 농도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3가지 용매를 통해서 분획되면서 활성물질들이 분리, 농축되었기에 낮은 농도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hung의 연구에서는 \( 60 \% \) 마키베리 에탄올 추출물이 아로니아, 블랙커런트에 비해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환원력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고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비해서도 우수하다고 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마키베리 EtOAc층 추출물이 glutathione (10 \( \mu \mathrm{g} / \) \( \mathrm{mL} \) )에 비견할 만한 항산화 능력을 보인 것과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서 마키베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원료로 생각된다.</p>
|
[
"본문의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산화스트레스 감소능력이 \\( \\mathrm{H_{2}O_{2}} \\) 대조군의 \\( 58 \\% \\) 를 나타내는 것은 뭐였어?",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36 \\)-\\( 54 \\% \\) 감소된 것은 어떤 층의 추출물이었어?",
"마키베리 추출물을 분획할 경우 활성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물질들이 부족하여 항산화 효과가 떨어지게 돼?",
"마키베리 추출물들이 세포들에 대한 항산화 및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있는지와 독성이 있는지를 실험하기 위해 사용한 세포는 뭐야?",
"마키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및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 사용된 세포는 뭐야?",
"실험 결과 HaCaT cell의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았던 마키베리 추출물들은 어떤 층에서 얻은 것들이야?",
"HaCaT cell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마키베리 추출물들은 어느 층에서 얻었는가?",
"마키베리 추출물들을 B16F10 cell에 처리한 결과 생존율이 대조군의 절반으로 나타났어?",
"B16F10 cell에 마키베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생존율이 대조군의 절반으로 나타났는가?",
"HaCaT cell과 B16F10 cell의 생존율 실험에 쓰인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농도 값들은 얼마였어?",
"HaCaT cell과 B16F10 cell의 생존율 실험에 사용된 마키베리 추출물의 농도 값은 얼마인가요?",
"본문에서 다룬 연구 결과는 Kang과 Jung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마키베리 조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음을 보여 준 거야?",
"Kang과 Jung의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본문에서 다룬 연구 결과는 마키베리 조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음을 보",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추출물들이 HaCaT cell에 대해 농도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과를 보여주었어?",
"HaCaT cell에 대한 마키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농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효과가 나타",
"각질을 형성하는 세포이자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실험을 위해 사용된 세포는 뭐야?",
"뭐야? 세포가 각질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 실험에 사용되었는가?",
"EtOAc층 추출물들로 B16F10 cell에 대해 실험한 결과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53 \\)-\\( 55 \\% \\) 줄어들었어?",
"B16F10 cell에 대해 EtOAc 층 추출물을 실험한 결과,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53 \\)-\\( 55 \\% \\) 감소하",
"마키베리 EtOAc층 추출물들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어떤 대조군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53 \\)-\\( 55 \\% \\) 감소했어?",
"어떤 대조군에 비해 마키베리 EtOAc층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산화스트레스가 \\( 53 \\)-\\( 55 \\% \\) 감소했는가?",
"EtOAc층, DW층, \\( \\mathrm{CHCl_{3}} \\)층 추출물들 중 산화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가장 컸던 것은 어떤 층의 추출물이었어?",
"산화스트레스 감소 효과가 가장 컸던 추출물은 EtOAc층, DW층, \\( \\mathrm{CHCl_{3}} \\)층 중 어느 층의 추출물이었어?",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36 \\)-\\( 47 \\% \\) 감소된 것은 어떤 층의 추출물이었어?",
"어떤 층의 추출물이었던지, \\( \\mathrm{H_{2}O_{2}} \\) 대조군(\\( 100\\% \\))에 비해 산화스트레스가 \\( 36 \\)-\\( 47 \\% \\) 감소됐는지를 보여",
"본문에서 다룬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glutathione의 역할은 뭐였어?",
"실험을 통해 본문에서 언급한 항산화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glutathione이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Jung의 선행연구에서 마키베리 \\( 99 \\% \\) 에탄올 조추출물은 어떤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어?",
"Jung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99% 에탄올 조추출물은 어떤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는가?",
"본문의 실험에서 마키베리 추출물들을 2가지 층으로 분획하여 실험했어?",
"본문의 실험에서 마키베리 추출물들을 2가지 층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마키베리 추출물들을 3가지 용매를 통해 3가지 층으로 분획하였을 때 낮은 농도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던 이유는 뭐야?",
"마키베리 추출물을 3가지 용매를 통해 분획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다는 이유는 무엇일까?",
"Chung의 선행연구에서 \\( 60 \\% \\) 마키베리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환원력이 아로니아보다 높고 ascorbic acid보다 낮았어?",
"Chung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 60 \\% \\) 마키베리 에탄올 추출물은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환원력이 아로니아보다 높고 ascorbic acid",
"Chung의 연구에서 \\( 60 \\% \\) 마키베리 에탄올 추출물은 어떤 측면에서 아로니아, 블랙커런트보다 활성이 높았어?",
"Chung의 연구에 따르면, \\( 60 \\% \\) 마키베리 에탄올 추출물은 아로니아와 블랙커런트보다 활성이 어느 측면에서 더 높",
"Chung의 선행연구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것은 뭐야?",
"Chung의 선행연구에서 무엇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나요?",
"마키베리 EtOAc층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은 어떤 농도의 glutathione과 비슷했어?",
"마키베리 EtOAc층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과 어떤 농도의 glutathione은 얼마나 비슷했어?",
"본문에서 다룬 마키베리 추출물은 합성 항산화제로 그 가능성이 충분함이 확인되었어?",
"본문에서 다룬 마키베리 추출물의 합성 항산화제로의 가능성이 충분함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본문의 연구에서 10 \\( \\mu \\mathrm{g} / \\) \\( \\mathrm{mL} \\) glutathione에 견줄 만한 항산화 능력을 보여준 것은 어떤 층의 마키베리 추출물이었어?",
"10 \\( \\mu \\mathrm{g} / \\) \\( \\mathrm{mL} \\) glutathione의 항산화 능력을 입증한 본문의 연구에서, 어떤 층의 마키베리 추출물이 사용되었는가?"
] |
a80b0efd-26c5-41ed-be2e-45943cf7ff18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1>서 론</h1><p>천연물들 중에서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는 과일을 손꼽을 수 있다. 과일에는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풀리페놀, 카로티노이드, 토코페롤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free radical로 인해서 증가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방과 완화에도 영항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과일 중에서도 베리류는 한 개의 과실이 작은 열매들의 합체 형태로 형성된 장과류로서 풀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색소, 유기산 및 탄닌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이서 항산화, 항염, 항암, 심혈관계 질환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베리에 포함된 중요한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은 고등식물의 꽃, 잎, 줄기, 과실, 뿌리 등의 식물체 부위들에 함유되어 있는 청색, 자색 및 적색으로 나타내는 색소인데 식물체의 각 부위별 특성에 따라 변형된 구조와 양으로 다르게 발현된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뛰어난 항산화성을 지니고 있는 기능성 물질로서 항암, 항염, 항노화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안토시아닌 색소를 포함한 천연 색소들은 항산화 효과와 함께 항균 작용도 탁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안토시아닌은 3-hydroxyanthocyanidins, 3-deoxy-anthocyanidins, O-methylated anthocyanidins, anthocyanidin glycosides, acylated anthocyanins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체내에서 생리활성물질로서의 중요성 때문에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키베리(Aristotelia chilensis)열매가 열리는 나무는 칠레, 안데스 산맥의 파타고니아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지만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등지에서도 볼 수 있다. 마키베리 나무는 주로 야생에서 볼 수 있기에 그 열매는 채집의 형태로 수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과실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최근 세계인에게 관심을 받게 되어 재배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열매는 짙은 보라색으로 직경이 \( 4 \)-\( 6 \mathrm{mm} \)이고 맛은 단맛과 함께 떫은 맛이 나며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강력한 항산화력을 가진 베리에 속한다. 또한, 26종의 파이토케미컬도 있는데 이를 통해 각종 해충과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비타민 C, 필수지방산, 칼륨 등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기미와 주름 등의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되는 요소의 활성을 억제한다. 이 외에도 순환계, 면역계에 작용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말초 냉증과 혈색 개선 등에 도움을 주고 염증과 당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키베리 추출물은 독성이 없는 추출물로서 항산화와 항염 효과가 우수하며 퍼머넌트 시술 과정의 전처리, 중간, 후처리에 사용하였을 때 모발 손상을 완화시키기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또한, 조추출물이 피부세포에 대해서 항산화 효과가 있고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 등의 균주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p><p>기존에 진행되었던 마키베리에 대한 많은 연구는 식품의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지 여부에 집중되어 있다. 마키베리의 다양한 활성성분이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좀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의 원료로서 가능성에 집중하여 살펴보고자, 마키베리를 에탄올로 1차 추출하고 이를 3가지 용매로 분획한 후 인간 유래의 피부각질 세포주(HaCaT)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색소 침착 세포주(B16F10)에 대한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4가지 박테리아 균주들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24시간 동안 추적하여 방부제로서의 가능성도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p>
|
[
"안토시아닌은 어떤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나요?",
"안토시아닌이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에는 무엇이 있는가?",
"천연물들 중에서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무엇을 꼽을 수 있나요?",
"천연물 중 항산화능이 가장 뛰어난 것의 예로는 무엇이 있나요?",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풀리페놀, 카로티노이드, 토코페롤 등는 어떤 효능이 있나요?",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풀리페놀, 카로티노이드, 토코페롤 등이 가지는 효능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요?",
"베리에 포함된 중요한 항산화 성분이 무엇인가요?",
"베리에는 어떤 중요한 항산화 성분이 포함되어 있나요?",
"베리에 포함된 중요한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은 식물체의 각 부위별 특성에 따라 변형된 구조와 양으로 다르게 발현되나요?",
"베리의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의 구조와 양의 발현은 식물체의 다양한 부위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과일 중에서도 베리류 어떤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나요?",
"베리류 과일에는 어떤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나요?",
"26종의 파이토케미컬은 어떤 효능이 있나요?",
"26종의 파이토케미컬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효능은 무엇인가요?",
"마키베리 추출물은 독성이 있나요?",
"마키베리 추출물이 독성을 가지는가?",
"마키베리의 열매는 무슨 색인가요?",
"마키베리나무는 어떤 색의 열매를 가지고 있나요?",
"안토시아닌 색소는 어떤 효과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나요?",
"안토시아닌 색소는 무엇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마키베리(Aristotelia chilensis)열매가 열리는 나무는 어떤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나요?",
"마키베리(Aristotelia chilensis)열매가 열리는 나무가 주로 자생하는 지역은 어디인가요?",
"마키베리 나무는 재배지가 왜 증가하고 있나요?",
"마키베리 나무 재배지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색소 침착 세포주의 어떤 부분에 대해서 조사하였나요?",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것은 멜라닌색소 침착 세포주에 대한 어떤 효과인가?",
"기존에 진행되었던 마키베리에 대한 많은 연구는 어떤 여부에 집중되어 있나요?",
"기존의 많은 마키베리 연구는 무엇에 집중된 연구인가?"
] |
029011a6-821f-4679-8b0e-f0066dcb5113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1>초 록</h1><p>본 연구는 마키베리 추출물이 화장품의 신규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는지를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마키베리 조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 증류수층으로 분리하였다. 먼저,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독성 여부를 피부각질세포주인 HaCaT 세포와 색소형성세포주인 B16F10 세포를 통해 확인하였다. 항산화 효과 실험에서 클로로포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그리고 증류수층 추출물들은 모두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를 보였고 그 중에 에틸아세테이트층 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글루타치온에 비해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키베리 추출물들은 \( \alpha \)-MSH에 의한 멜라닌 합성도 저해하였다. 또한, 마키베리 추출물들은 그람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과 표피포도상구균, 그람음성균인 녹농균에 대해서도 항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층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마키베리 추출물들이 화장품의 항산화나 미백 기능성 원료로서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천연방부제 원료로서도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p>
|
[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독성 여부를 무엇을 통해 확인하였나요?",
"마키베리 추출물들의 독성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였나요?",
"클로로포름층, 에틸아세테이트층, 그리고 증류수층 추출물은 어떤 효과를 보였나요?",
"증류수층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층, 그리고 클로로포름층은 어떤 효과가 나타났나요?",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는가?",
"마키베리 추출물들은 어떤 균에 대해서 향균효과를 보였나요?",
"어떤 균에 대해 마키베리 추출물이 향균효과를 보였는가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무엇인가요?",
"어떤 추출물이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뛰어난 항균 효과를 보이는가?"
] |
40b1b554-3ce8-4b50-80f0-9667bd026850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키베리(Maqui Berry, Chile)는 2016년에 페루에서 재배된 것을 약초판매업체인 두손애약초를 통해 2017년에 동결건조 분말의 형대로 구입하였다. 시료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세포주은행(Korea Cell Line Bank, Seoul, Korea)에서 분양받은 HaCaT cell (keratinocyte)과 B16F10 cell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세포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들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 Logan, UT, USA) 배지에 \( 10 \% \) 우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과 \( 1 \% \) 항생제(AB, Antibiotics,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를 첨가한 영양배지로 incubator (\( 37^{\circ} \mathrm{C}, 5 \% \mathrm{~CO}_{2} \))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세척에는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가 사용되었다. 시료의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MTS assay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시행하였고 CellTiter \( 96^{Ⓡ} \)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Promega, Madison, WI, USA)를 통해 진행하였다. 시료의 세포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한 후 항산화 실험을 시행하였는데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DA)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Detection Assay Kit (Abcam, Bristol, UK)로 진행하였다. 양성대조군은 glutathion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멜라닌 합성 저해 실험은 \( \alpha \)-MSH (Simga-Aldrich)를 처리하여 진행하였다. 그리고 Arbutin (Simga-Aldrich)을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여 효과 정도를 관찰하였다. 항균 실험에 사용된 박테리아에는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KCTC 1927;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orea), Staphylococcus epidermidis ( S. epidermidis, KCTC 1917;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orea), Pseudomonas aeruginosa (P. aeruginosa, KCTC 2004;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orea), Escherichia coli (E. coli, KCTC 2571;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orea) 등이 있는데 이를 Luria-Bertai (LB) 액체 배지에 접종한 뒤 shaking incubator \( \left(37^{\circ} \mathrm{C}, 200 \mathrm{rpm}\right) \)에서 배양하였다. LB배지의 조성은 \( 1 \mathrm{L} \) 기준으로 증류수 \( 950 \mathrm{~g} \), sodium chloride ( \( NaCl \); Sigma-Aldrich) \( 10 \mathrm{~g} \), tryptone (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 \( 10 \mathrm{~g} \), yeast extract (Duchefa Biochemie, Haarlem, Netherlands) \( 5 \mathrm{~g} \)이다. 그 외 ethanol, ethyl-acetate, chloroform, dimethyl sulfoxide (DMSO), hydrogen peroxide \( \mathrm{H_{2}O_{2}} \) 등은 대정화금의 1급 시약을 사용하였다.</p>
|
[
"HaCaT cell (keratinocyte)과 B16F10 cell (melanoma cell)은 어디에서 분양받았나요?",
"\n분양받은 HaCaT cell (keratinocyte)과 B16F10 cell (melanoma cell)은 어디에서 받았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키베리(Maqui Berry, Chile)는 어떠한 형태를 구입했나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마키베리(Maqui Berry, Chile)의 구입 형태는 무엇인가?",
"세포들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 Logan, UT, USA) 배지에 무엇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나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Hyclone \\( { }^{TM} \\), GE Healthcare Life Sciences, Logan, UT, USA) 배지에 어떤 첨가물을 사용하여 세포들을 배양하였는가?",
"MTS assay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목적으로 MTS assay를 시행하는 것인가?",
"LB배지의 조성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LB배지의 조성인가?",
"멜라닌 합성 저해 실험은 무엇을 처리하여 진행하였나요?",
"멜라닌 합성 저해 실험은 무엇을 처리하여 진행 되는 것인가?",
"항균 실험에 사용된 박테리아는 어디에서 배양하였나요?",
"실험에 사용된 박테리아가 배양된 곳은 어딘가?"
] |
9b224ab1-64aa-484f-a5df-6800ca4c6940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2>기기</h2><p>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기에는 auto clave (DAE HAN BIO LINK Co., Ltd., Eumseong, Korea), \(\mathrm{CO_2} \) incubator (MCO-175; SANYO Electric Co., Ltd., Osaka, Japan), shaking incubator (VS-8480SF; Vision Scientific Co., Ltd., Daejeon, Korea), rotary evaporator (Rotavapor R-114; B\( \ddot{\mathrm{U}} \)CHI AG, Flawil, Switzerland), micro high speed centrifuge (Micro 17TR;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 Gimpo, Korea), centrifuge (Union 32R; Hanil Science Industrial Co., Ltd.), shaker (BF-350SK; Korea), microplate reader (Synergy HT; BioTek Instruments, Winooski, VT, USA) 등이 있다.</p><h2>시료의 추출</h2><p>본 연구의 시료인 동결 건조 분말인 마키베리 \( 100 \mathrm{~g} \)에 \( 85 \% \) 에탄올 \( 1 \mathrm{~L} \)를 더한 후 빛을 차단하여 \( 24 \mathrm{~h} \) 동안 보관하고 이를 감압 여과와 농축 과정을 걸쳐 추출물을 얻었다. 이를 3회 반복하고 얻은 물질을 1차 추출물로 하였다. 1차 추출물에 클로로포름 \( \mathrm{CHCl_{3}} \)과 증류수(DW)를 \( 300 \mathrm{~mL} \)씩 가한 후 분획 깔때기로 \( \mathrm{CHCl_{3}} \)층과 DW층으로 분리하고 DW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 300 \mathrm{~mL} \) 더해 다시 분획을 시행하여 EtOAc층과 DW층을 얻었다.</p><h2>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 실험</h2><p>HaCaT cell과 B16F10 cell을 각각 96 well plate에 \( 1.5 \times 10^{4} \mathrm{cells/well} \)으로 분주하고 incubator \( \left(37^{\circ} \mathrm{C}, 5 \% ~\mathrm{CO}_{2}\right) \)에서 \( 24 \mathrm{~h} \)동안 배양하였다. DMSO에 분획된 추출물을 용해한 후 \( 10, 20, 40 \mu \mathrm{g} / \mathrm{mL} \)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고 incubator에서 \( 24 \mathrm{~h} \)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가 있는 상대에서 MTS시약을 \( 20 \mu \mathrm{L} \) 씩 더하고 \( 3 \mathrm{~h} \) 동안 incubator에 보관하면서 formazan의 상태를 관찰한 후 microplate reader의 흡광도 모드 \( 495 \mathrm{~nm} \)에서 값을 구하였다. Cell viability 값은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처리군들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p><p>Cell viability \( (\%)=(\mathrm{A}/\mathrm{B}) \times 100 \)</p><ul><li>\( A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li><li>\( B \): 시료 무처리된 DMSO 용매 대조군 흡광도</li></ul>
|
[
"본 연구의 시료인 동결 건조 분말인 마키베리 \\( 100 \\mathrm{~g} \\)에 \\( 85 \\% \\) 에탄올 \\( 1 \\mathrm{~L} \\)를 더한 후 빛을 차단하여 \\( 24 \\mathrm{~h} \\) 동안 보관하고 어떠한 과정을 걸쳐 추출물을 얻었나?",
"본 연구에서는 동결 건조 분말인 마키베리 100 \\mathrm{~g}100 g에 85 \\%85% 에탄올 1 \\mathrm{~L}1 L를 더한 후 빛을 차단하여 24 \\mathrm{~h}24 h 동안 보관한 후 어떤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얻어냈어?",
"배지가 있는 상대에서 MTS시약을 \\( 20 \\mu \\mathrm{L} \\) 씩 더하고 \\( 3 \\mathrm{~h} \\) 동안 incubator에 보관하면서 formazan의 상태를 관찰한 후 microplate reader의 흡광도 모드 몇에서 값을 구하였는가?",
"배지가 있는 상대에서 MTS시약을 20 \\mu \\mathrm{L}20μL 씩 더하고 3 \\mathrm{~h}3 h 동안 incubator에 보관하여 formazan의 상태를 관찰한 후 microplate reader의 흡광도 모드 몇에서 값을 도출 하였는가?"
] |
124eae5d-0a71-4e62-b57f-d0eeb21764d8
|
생명LA
|
마키베리 추출물의 화장품 신규 원료로서의 가능성
|
<h2>항산화 효능 실험</h2><p>HaCaT cell을 96 well plate에 \( 1.5 \times 10^{4} \mathrm{cells/well} \)로 분주한 후 incubator에서 \( 24 \mathrm{~h} \) 동안 배양하였다. PBS로 2회 세척하여 phenol red를 제거한 후 \( 20 \mu \mathrm{M} \) 의 DCFDA를 well마다 처리한 다음 \( 45 \mathrm{~min} \) 간 incubator에서 보관하였다. PBS로 다시 세척하고 \( 500 \mu \mathrm{M}~H_{2}O_{2} \) (hydrogen peroxide)와 \( 10, 20, 40 \mu \mathrm{g} / \mathrm{mL} \)농도의 시료 추출물을 더한 후 \( 45 \mathrm{~min} \) 동안 다시 incubator에서 보관하였다. Microplate reader의 \( 485 / 528 \mathrm{~nm} \)에서 형광값을 구하여 대조군에 대한 시료 처리군들의 값을 계산하고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p><p>Relative activity \( (\%)=(\mathrm{A} / \mathrm{B}) \times 100 \)</p><ul><li>\( A \): 시료 처리군의 형광값</li><li>\( B \): 시료 무처리된 DMSO 용매 대조군 형광값</li></ul><h2>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실험</h2><p>B16F10 cell을 6 well에 \( 1 \times 10^{5} \mathrm{cells/well} \)로 분주한 다음 incubator에서 \( 24 \mathrm{~h} \)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 외의 시료 처리군들에 \( \alpha \)-MSH \( (100 \mathrm{nM}) \)를 용해한 DMEM (serum free)을 \( 30 \mathrm{min} \) 동안 처리하였다. 배지를 교체하지 않고 시료 처리군들에 시료를 \( 2X \)로 더한 후 incubator에서 \( 48 \mathrm{~h} \) 동안 배양하였다. 각 well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다음 세포를 원심분리 \( \left({4}^{\circ} \mathrm{C}, 12,000 \mathrm{rpm}, 3 \mathrm{~min}\right) \)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세포 pellet에 RIPA lysis buffer (Tris-HCl ( \( \mathrm{pH~} 7.5 \)) \( 50 \mathrm{mM} \), NP-\( 40~1 \% \),\( \mathrm{NaCl}~50\mathrm{mM} \), SDS \( 0.1 \% \), sodium deoxycholate \( 0.5 \% \), 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Basel, Switzerland))를 처리하고 ice box에서 \( 30 \mathrm{~min} \) 간 보관하였다. 이를 다시 원심분리 \( \left(4^{\circ} \mathrm{C}, 14,000 \mathrm{rpm}, 10 \mathrm{~min}\right) \)한 다음 상층액을 제거하여 pellet만 남겨 \( 60^{\circ} \mathrm{C} \) oven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pellet에 \( 20 \% \) DMSO와 \( 2 \)N \( \mathrm{NaOH}~200 \mu \mathrm{L} \)를 첨가하여 섞어주고 \( 60^{\circ} \mathrm{C} \) oven에서 pellet을 용해시켰다. 용해물을 \( 96 \) well에 \( 100 \mu \mathrm{L} \)씩 담고 microplate reader의 \( 40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p>Relative activity \( (\%)=(\mathrm{A} / \mathrm{B}) \times 100 \)</p><ul><li>A: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li><li>B: 시료 무처리된 DMSO 용매 대조군 흡광도</li></ul><h2>항균 활성 실험</h2><p>액체 배지(LB 배지)를 시험관에 \( 5 \mathrm{~mL} \)씩 담고 Auto clave에서 멸균하였다. 균주들은 \( 24 \mathrm{~h} \) 동안 액체 배지에서 배양된 후 이를 고체 배지에 처리하여 \( 24 \mathrm{~h} \) 동안 다시 배양하고 그 중에서 single strain를 따서 액체 배지에서 \( 18 \mathrm{~h} \) 동안 배양하여 얻었다. 멸균 처리된 시험관 마다 배양된 균주들을 \( 5 \mu \mathrm{L} \)씩 처리하였다. 시료들은 \( 0.1,0.2,0.5 \mathrm{mg} / \mathrm{mL} \)의 농도로 처리되었다. 처리된 균주와 시료를 고루 섞은 후 시험관의 배지를 \( 100 \mu \mathrm{L} \)씩 96 well에 담고 microplate reader의 \( 600 \mathrm{~nm} \)에서 \( 0 \mathrm{~h} \) 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시험관들은 shaking incubator에서 보관하고 접종한 균주가 성장하는 \( 6 \mathrm{~h} \) 부터 \( 3 \mathrm{~h} \) 간격으로 \( 24 \mathrm{~h} \) 동안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균 효과는 \( 0 \mathrm{~h} \)의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각 시간대 별 시료 처리군들의 흡광도로 나타내어 농도와 시간대별에 대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측정된 흡광도 값을 대조군 값에 대해 계산하되, 시료들의 색채값을 제한 값을 효과값으로 하였다.</p><p>Relative activity \( (\%)=\left(A_{1}-\left[A_{0}-B_{0}\right] / B_{0}\right) \times 100 \)</p><ul><li>\( A_{1} \) : 시료 처리군(균 접종 후 시간별 상태)의 흡광도</li><li>\( B_{0} \) : 시료 무처리된 DMSO 용매 대조군의 흡광도 \( (0 \mathrm{~h}) \)</li><li>\( A_{0} \) : 시료 처리군(균이 없는 상태)만의 흡광도 \( (0 \mathrm{~h}) \)</li></ul><h2>통계 분석</h2><p>본 실험들은 3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그래프는 각 실험들의 횟수에 따르는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통해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검증하고 유의미한 판정 범위를 \( p<0.05\left({ }^{*}<0.05,{ }^{* *}<0.01,{ }^{* * *}<0.001\right) \) 으로 정하였다.</p>
|
[
"항균 효과의 측정은 어떻게 이루어져?",
"어덯게 항균효과의 측정을 하나요?"
] |
aca53e70-d1fd-4e45-a9dc-0f2ada636686
|
생명LA
|
BrMT\(3\) 고발현에 의한 애기장대의 카드뮴 저항성 증진
|
<h1>적 요</h1><p>B. rapa로부터 분리한 BrMT3 유전자를 도입시킨 효모와 애기장대가 카드뭄을 비롯한 중금속에 저항성을 보이는 것이 확인 되었고 이 결과를 토대로 이 유전자가 중금속 흡착을 통한 환경 정화 및 스트레스에 내성을 갖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p>
|
[
"B. rapa로부터 분리한 BrMT3 유전자를 도입시킨 효모와 애기장대에서 확인된것이 무엇인지 알아?",
"위 연구를 통해 기대 되느것이 무엇인가요?",
"BrMT3 유전자를 도입시킨 효모와 애기장대가 저항성을 보이는 요소로 옳은것은 뭐야?"
] |
57fa902d-2cb6-4d35-b911-e7656e483fcb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1>재료 및 방법</h1><h2>공시동물</h2><p>우리나라의 한우품종은 고유품종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유전자원이 도입되지 않는 폐쇄된 집단이며, 한우 수소의 개량은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를 통해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95\%\) 이상의 대부분의 한우개체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생산된 종모우의 반형매 집단이며, 수소의 개량은 암소의 개량보다 효율적인 측면에서 높기 때문에 본 연구의 공시동물은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 소의 46-47차 후보종모우 35두 및 이들 후보종모우의 자손인 후대검정우 253두를 포함해 총 288두의 혈액정보를 이용하여 연관불평형 및 한우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하였다.</p><h2>유전자형분석</h2><p>공시동물로부터 얻어진 288두의 혈액은 Bovine SNP 50 DNA Chip 을 이용하여 유전자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유전자형 원시자료는 Illumina회사의 GenomeStudio software v. 1.0.2.20706를 이용하여 시각화 및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였다. 본 연구에서 A, T, G, C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유전자형을 소수대립유전자(Minor allele)가 동형일 경우 0, 이형 대립유전자는 1, 다수대립유전자(Major allele)의 동형에서 2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각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정보에 대한 결측률이 \( 10 \% \) 이상이거나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Monomorphic marker)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거하였으며, 남아있는 표지인자의 결측데이터는 fastPHASE 1.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추정 후 보정을 실시하여 염색체별 표지 인자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였다.</p><h2>연관불평형 추정</h2><p>일반적으로 연관불평형의 크기는 서로 다른 두 대립유전자가 서로 연관되어 유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D\)를 표준화시킨 \(D^{\prime} \) 또는 \(r^{2} \)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 D^{\prime} \)을 통한 연관불평형 추정은 집단의 크기가 작거나 대립유전자빈도가 적을 경우 과대추정(Overestimate)될 수 있기 때문에 \( r^{2} \)를 이용하여 연관불평형을 추정하였다.</p><p>동일 염색체에 존재하는 두 개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하는(biallelic) 서로 다른 두 좌위 \(A, B\) 의 연관불평형 크기 (\(r^{2}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p><p>\[ r^{2}=\frac{D^{2}}{p\left(A_{1}\right) \times p\left(A_{2}\right) \times p\left(B_{1}\right) \times p\left(B_{2}\right)} \]</p><p>여기서, \( p\left(A_{1}\right) \) 과 \( p\left(A_{2}\right) \) 및 \( p\left(B_{1}\right) \) 과 \( p\left(B_{2}\right) \) 는 집단 내 \(A\) 또는 \(B\) 두 좌위의 각 대립유전자 빈도를 나타내며, \(D\) 는 다음과같다.</p><p>\[ D=p\left(A_{1} B_{1}\right) \times p\left(A_{2} B_{2}\right)-p\left(A_{1} B_{2}\right) \times p\left(A_{2} B_{1}\right) \]</p><p>여기서, \( p\left(A_{1} B_{1}\right) \) 과 \( p\left(A_{2} B_{2}\right) \) 및 \( p\left(A_{1} B_{2}\right) \) 과 \( p\left(A_{2} B_{1}\right) \) 는 집단내 \( \mathrm{A} \) 및 \( \mathrm{B} \) 두 좌위의 각 대립유전자로 구성된 일배체형 (Haplotype)의 빈도를 나타낸다.</p><p>두 좌위가 각각 동형이거나 두 좌위 중 하나의 유전자형이 동형일 경우 일배체형의 빈도를 계산할 수 있으나, 두 좌위 모두 이형일 경우(double heterozygotes)는 DNA chip의 분석결과로는 상인상태 \( \left(A_{1} B_{1} / A_{2} B_{2}\right) \), 상반상태 \( \left(A_{1} B_{2} / A_{2} B_{1}\right) \) 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EM algorithm (Expectation Maximization Algorithm)를 이용하여 \( p\left(A_{1} B_{1}\right) / p\left(A_{2} B_{2}\right) \) 와 \( p\left(A_{1} B_{2}\right) / p\left(A_{2} B_{1}\right) \)의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여 변화량이 일정량 이하 (\( 10^{-5} \)) 감소할 때까지 반복 연산하여 연관불평형의 값을 추정하였다.</p>
|
[
"대한민국의 한우품종은 외부로부터의 무엇이 도입되지 않는 폐쇄된 집단이지?",
"외부로부터 이것이 도입되지않은 대한민국의 한우품종은 폐쇄된 집단으로, 이것이 의미하는것은?",
"한우 수소의 개량은 어느 기관을 통하여 대한민국에서 실시하고 있어?",
"대한민국에서 어느 기관을 통하여 한우 수소의 개량이 실시되고 있나요?",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를 통해 국가에서 개량 되는 대한민국의 고유품종인 이것은 무엇이지?",
"국가에서 개량되는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대한민국 고유품종이 무엇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생산된 종모우의 반형매 집단인 대한민국의 한우개체는 얼마 이상이 사육되고 있지?",
"대한민국의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생산된 종모우의 반형매 집단인 한우개체의 사육률은 얼마이상 인가요?",
"대한민국에서 사육되고 있는 대부분의 한우들은 어디에서 생산된 종모우의 반형매 집단이지?",
"대한민국에서 사육되고 있는 대부분의 한우들은 종모우의 반형매 집단이며 어디에서 생산되었느가?",
"수소를 개량하는 이유는 무엇이지?",
"수소를 개량하는 장점은 무엇인가요?",
"본 연구에서의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46-47차 후보종모우는 얼마나 돼?",
"농협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의 46-47차 후보종모우는 이 연구에서 얼마나 돼?",
"본 연구에서의 공시동물은 총 288두의 혈액정보를 이용하여 진행됐는데, 이 중 후대검정우는 몇마리지?",
"본 연구에서의 후대검정우는 총 288두 중 몇마리인가?",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추정하기 위해 한우 288두의 혈액정보를 이용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우 288두의 혈액정보를 이용하여 무엇을 추정하고 있는가?",
"공시동물로부터 얻어진 288두의 혈액의 유전자형분석은 무엇을 이용하여 실시했어?",
"288두의 혈액을 공시동물로부터 얻어진 것에 대한 유전자형분석은 무엇을 이용하여 실시했습니까?",
"공시동물의 288두의 혈액을 유전자형분석을 실시한 후 얻어진 유전자형 원시자료는 무엇을 통해 시각화 및 수치 데이터로 변환했지?",
"288두 공시동물의 혈액의 유전자형 분석 결과로 얻어진 원시자료를 시각화 및 수치 데이터로 변환 시킨것은 무엇인가요?",
"288두의 혈액에서 얻어진 유전자형 원시자료를 시각화 및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GenomeStudio software v. 1.0.2.20706는 어느 회사의 장치야?",
"GenomeStudio software v. 1.0.2.20706는 288두의 혈액에서 얻어진 유전자형 원시자료를 시각화 및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사용했는데 어느 회사의 장치일까?",
"본 연구에서의 염기서열은 무엇으로 구성됐어?",
"본 연구에서 구성된 염기서열은 무엇인가?",
"유전자형에서 소수대립유전자가 동형일 경우는 몇으로 변환하여 사용했지?",
" 소수대립유전자가 동형일 경우 유전자형은 몇으로 변환하였나요?",
"본 연구에서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정보에 대한 결측률이 몇 퍼센트 이상이면 제거하게 돼?",
"결측률이 몇 퍼센트 이상 일 때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정보를 연구에서 제거했을까?",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의 경우와 각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정보에 대한 결측률이 \\( 10 \\% \\) 이상인 경우에 이 표지인자들은 어떻게 돼지?",
"결측률이 \\( 10 \\% \\) 이상인 표지인자의 유전자형 정보와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일 때 표지인자들은 어떻게 처리 했나요?",
"제거 된 데이터를 제외한 남아있는 표지인자 결측데이터는 무엇을 통하여 염색체별 표지 인자간 연관불평형을 추정했지?",
"염색체별 표지 인자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기 위해 남아있는 표지인자 결측데이터는 무엇을 통하여 추정했을까?",
"어떤 것을 추정하기 위해 fastPHASE 1.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남아있는 표지인자의 결측데이터를 추정 후 보정을 실시했지?",
"fastPHASE 1.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남아있는 표지인자의 결측데이터를 추정 후 보정은 어떤 것을 추정하기 위해 실시 했어?",
"\\( r^{2} \\)를 통하여 연관불평형을 추정했던 이유는 무엇이지?",
" 연관불평형을 추정하기위해 \\( r^{2} \\)를 이용한 이유는 뭐야?",
"동일 염색체 안에 존재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두 좌위 \\(A, B\\) 의 연관불평형 크기 (\\(r^{2} \\))를 계산 할 때 사용되는 공식은 무엇이지?",
"동일 염색체 안에 존재하는 연관불평형 크기 (\\(r^{2} \\))를 계산 할 때 두 개의 서로 다른 두 좌위 \\(A, B\\)를 이용하는 공식이 무엇인가요?",
"\\( r^{2} \\)을 구하는 공식에서 \\( p\\left(A_{1}\\right) \\) 과 \\( p\\left(A_{2}\\right) \\) 및 \\( p\\left(B_{1}\\right) \\) 과 \\( p\\left(B_{2}\\right) \\) 는 어떤 빈도를 나타내지?",
" \\( p\\left(A_{1}\\right) \\) 과 \\( p\\left(A_{2}\\right) \\) 및 \\( p\\left(B_{1}\\right) \\) 과 \\( p\\left(B_{2}\\right) \\) 는 \\( r^{2} \\)을 구하는 공식에서 어떤 빈도를 나타내나요?",
"\\(D\\)를 구하는 식에서 \\( p\\left(A_{1} B_{1}\\right) \\) 과 \\( p\\left(A_{2} B_{2}\\right) \\) 및 \\( p\\left(A_{1} B_{2}\\right) \\) 과 \\( p\\left(A_{2} B_{1}\\right) \\) 는 무엇의 빈도를 나타내?",
" \\( p\\left(A_{1} B_{1}\\right) \\) 과 \\( p\\left(A_{2} B_{2}\\right) \\) 및 \\( p\\left(A_{1} B_{2}\\right) \\) 과 \\( p\\left(A_{2} B_{1}\\right) \\)는 \\(D\\)를 구하는 식에서 어떤 빈도를 나타내나요?",
"상인상태와 상반상태는 DNA chip의 분석결과로는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 p\\left(A_{1} B_{1}\\right) / p\\left(A_{2} B_{2}\\right) \\) 와 \\( p\\left(A_{1} B_{2}\\right) / p\\left(A_{2} B_{1}\\right) \\)의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지?",
"상인상태와 상반상태는 DNA chip의 분석결과로는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 p\\left(A_{1} B_{1}\\right) / p\\left(A_{2} B_{2}\\right) \\) 와 \\( p\\left(A_{1} B_{2}\\right) / p\\left(A_{2} B_{1}\\right) \\)의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나요?",
"EM algorithm을 이용하여 \\( p\\left(A_{1} B_{1}\\right) / p\\left(A_{2} B_{2}\\right) \\) 와 \\( p\\left(A_{1} B_{2}\\right) / p\\left(A_{2} B_{1}\\right) \\)의 조건부 확률을 계산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이야?",
"\\( p\\left(A_{1} B_{1}\\right) / p\\left(A_{2} B_{2}\\right) \\) 와 \\( p\\left(A_{1} B_{2}\\right) / p\\left(A_{2} B_{1}\\right) \\)의 조건부 확률을 계산할 때 EM algorithm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
95322a46-3bbf-4663-9b1a-6f2f4c49e16a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2>한우의 유효집단 추정</h2><p>본 연구에서 연관불평형을 이용한 유효집단 추정 방법은 서로 먼 좌위 사이에서 세대가 지나갈수록 연관불평형이 빠르게 줄어드는 현상으로 인하여 먼 거리 좌위쌍 사이의 연관불평형은 최근의 유효집단 크기를 반영하며, 가까운 거리의 경우에서는 먼 선조 세대의 유효집단 크기를 반영하는 현상을 수식화한 Sved 수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 및 세대당 변화율에 대하여 Fig. 3에 나타내었다. 현재 한우의 유효집단의 크기의 추정치는 84두로 나타났으며,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는 1150두로 추정되어 현재세대에 가까울수록 유효집단의 크기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Sargolzaei 등의 북아메리카에 홀스타인종에서 강선발로 인해 유효집단의 크기가 줄어든 것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강한 선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서아프리카의 소는 최근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유효집단이 큰 것으로 보고되어 본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p><p>가축에서 인공수정이 처음 도입된 1960년대, 약 50년 전(5-1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와 비교해보면 217두에서 84두로 세대당 \( 17.3 \% \)의 큰 감소율을 보였다. 이는 인공수정기술의 발달로 개량의 속도가 가속화된 반면에 인공수정 기술을 활용하기 이전보다 적은 두수의 종축이 후대축을 생산함에 따라 한우의 유효집단크기가 감소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현재 한우개량은 대부분 종모우의 인공수정에 크게 의존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정 종모우의 선호로 인한 근친 및 유전적 다형성의 소실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기관 및 대학에서 암소검정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앞으로 암소검정을 통해 특정 종모우 선호가 아닌 맞춤형 교배조합 실시하여 유전적 다형성에 대한 소실을 최소화하고 유전적 부동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
|
[
"본 연구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효집단 추정 방법을 도출해내는가요?",
"본 연구에서 유효집단 추정 방법을 알아내는 방식은 무엇인가요?",
"한우에 대하여 수식화한 Sved 수식을 이용하여 어떤 내용을 분석하나요?",
"어떤 내용을 한우에 대하여 수식화한 Sved 수식을 사용하여 검토하나요?",
"서로 먼 좌위 사이에서 세대가 지나갈수록 연관불평형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인하여 먼 거리 좌위쌍 사이의 연관불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무엇이 서로 먼 좌위 사이에서 세대가 지나갈수록 연관불평형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인하여 먼 거리 좌위쌍 사이의 연관불평형에 영향을 끼치나요?",
"먼 거리 좌위쌍 사이의 연관불평형에 요소는 무엇인가요?",
"어떤 요소가 먼 거리 좌위쌍 사이의 연관불평형인가요?",
"현재 한우의 유효집단의 크기는 얼마나 되나요?",
"어느 정도의 유효집단의 크기를 현재 한우가 가지고 있나요?",
"한우의 유효집단 추정치를 기반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는 몇 두로 나타나나요?",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는 한우의 유효집단 추정치를 기반으로 하였을 때 몇 두로 추정되나요?",
"국내 한우의 과거와 현재의 세대간 규모 결과와 비슷하게 나온 미국 지역은 어디인가요?",
"어떤 미국 지역이 국내 한우의 과거와 현재의 세대간 규모 결과와 유사하게 보이나요?",
"한우의 유효집단 추정 결과가 본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온 지역은 어디인가요?",
"어떤 지역이 본 연구결과와 한우의 유효집단 추정 결과가 다르게 측정되었나요?",
"북아메리카에 홀스타인종과 서아프리카 소들 간에 최근 세대와 이전세대의 비교에서 양상이 차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세대와 이전세대의 비교에서 북아메리카의 홀스타인종과 서아프리카 소들 간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강선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는 소는 최근 세대와 이전 세대의 비교 결과는 어떤양상을 나타내는가요?",
"강선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짐작되는 소는 최근 세대와 이전 세대의 비교 결과는 어떤 양상을 보여주나요?",
"강한 선발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최근세대와 1960년대, 약 50년 전(5-1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와 비교 결과가 217두에서 84두로 세대당 \\( 17.3 \\% \\)의 큰 감소율을 나타낸 것으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
"강한 선발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최근세대와 1960년대, 약 50년 전(5-1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크기와 비교 결과가 217두에서 84두로 세대당 \\( 17.3 \\% \\)의 큰 감소율을 나타낸 것으로 도출할 수 있는 건 무엇인가요?",
"최근 세대와 비교하여 1960년대에서 줄어든 유효집단은 어떤 요소로인해 영향을 받았나요?",
"1960년대에서 줄어든 유효집단은 최근 세대와 비교하였을 때 어떤 이유로 변화되었나요?",
"현재 한우개량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어떤 방식의 한우개량이 현재 사용되나요?",
"한우의 인공수정으로 생기는 문제로 제기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한우의 인공수정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요?",
"근친 및 유전적 다형성의 소실이 가능성을 가진 한우 개량 방법은 무엇인가요?",
"어떤 방법이 근친 및 유전적 다형성의 소실이 가능성을 가진 한우 개량 방법으로 사용되나요?",
"인공수정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어떻게 인공수정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나요?",
"암소검정사업은 어디에서하나요?",
"어디에서 암소검정사업이 진행되나요?",
"종모우 선호로 생기는 문제 해결책으로 암소검정사업을 하면 어떤 효과가 있나요?",
"종모우 선호로 생기는 문제 해결책으로 암소검정사업을 하면 어떤 결과가 생기나요?",
"현재 한우 개량 방법으로 옳은 것은?",
"현재 한우 개량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본 논문의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 변화율은 어디에서 나타나있나요?",
"본 논문의 어디에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 변화율이 작성되어 있나요?"
] |
f5fad402-f373-45c8-88c2-549d68ca0fb5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2>유효집단크기 추정</h2><p>연관불평형은 돌연변이 및 재조합(Recombination)에 의해 발생되며, 재조합의 경우 염기서열간의 거리가 먼 좌위쌍(locus pair)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거리와 연관불평형의 값(\(\mathrm{r}^{2}\))을 안다면 돌연변이가 없다는 가정하에 Sved가 제안한 아래 공식을 통해 세대에 따른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게 \( 1 \mathrm{cM} \)(물리적 거리)과 \( 1 \mathrm{Mb} \)(유전적 거리)와 동일하다라고 가정하여 분석하였다.</p><p>\[ E\left(r_{c}^{2}\right)=\frac{1}{1+4N_{e, t}c} \]</p><p>여기서, \(t\)는 이전세대(Generation ago), \( N_{e} \)은 유효집단 크기, \(c\)는 Morgan 단위에서 표지인자간 거리(distance)이며, 세대별 \(N_{e} \) 추정은 \(t=\frac{1}{2 c} \) 의 함수식으로 추정하였다. 즉, 표지인자 간 거리가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한 연관불평형 값은 보다 더 오래전 세대에 발생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는 세대의 간격을 설정하고 해당 세대의 \( r^{2} \)값의 평균값으로 유효집단의 크기 추정하였으며, 아래의 계산식에 의해 세대(Generation)당 감소율을 계산하였다.</p><p>\(\text{세대당 감소율(Decreasing rate / generation)} =100-100 \times \sqrt[n]{\frac{b}{a}} \)</p><p>여기서 \(a\) 는 이전세대의 유효집단 크기이고 \(b\)는 \(a\)세대에서 \(n\)세대 지난 후의 유효집단의 크기이며 \(n\)는 \(a\)와 \(b\)간의 세대간격이다.</p>
|
[
"연관불평형은 무엇에 의해 발생해?",
"연관불평형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재조합의 경우 어디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아?",
"재조합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곳은 어디인가?",
"본 연구에서 어떻게 가정을 해서 분석을 시행했어?",
"본 연구에서 분석을 시행할 때 사용한 가정은 무엇인가?",
"지문에 언급된 공식에서 , \\(t\\)가 가리키는 것은 뭐야?",
"지문에 언급된 공식에서 \\(t\\)의 의미는 무엇인가?",
"세대별 \\(N_{e} \\)은 무엇을 통해 추정했어?",
"무엇을 통해 세대별 \\(N_{e} \\)을 추정했는가?",
"표지인자 간 거리가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한 연관불평형 값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표지인자 간 거리가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한 연관불평형 값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지문에 언급된 계산식에 의해 무엇을 계산할 수 있는가?",
"지문의 계산식으로 무엇이 계산 가능한가?",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는 어떻게 추정했어?",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한 방법은 무엇인가?"
] |
ea284d59-135d-4799-a443-01dc6934ee6f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1>초 록</h1><p><p>본 연구는 한우 유전체 전장에 존재하는 고밀도 단일염기다형을 DNA chip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전자형을 구명하고, 동일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성 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상염색체에서 추정하여 물리적 거리별 연관불평형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개량사업소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후대검정에 공시된 후보종모우 및 후대검정우 288두에 대해 혈액을 채취하고 Bovine SNP 50 DNA Chip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분석하였으며, 총 51,582 표지인자 중 결측률이 \( 10 \% \) 이상인 표지인자 1개 및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 10,730개에 대해 사전제거를 실시하고 남은 40,851개의 SNP표지인자를 본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 염색체를 제외한 상 염색체의 총 SNP표지인자의 길이는 \( 2,541.6 \mathrm{Mb} \)였으며, 염색체별 평균 SNP표지인자간 거리는 \( 0.55\)에서 \( 0.74 \)로 분포하였으며, EM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해 보았을 때, 기존의 보고된 연구와 유사하게 표지인자 간 거리가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지수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냈으며,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를 보면, \(0 \mathrm{Mb} \)에서 \( 0.1 \mathrm{Mb} \)일 때 0.136, \(0.1 \sim 0.2 \mathrm{Mb} \)에서 0.06로 나타넜다. Luo의 연구결과를 한우에 적용시켰을 때, 전체분산의 \( 5 \% \) 이상 설명하는 양적형질좌위 발굴을 위해서 약 2,000두의 표현형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한우의 세대별 유효집단 크기에 대해 추정해 본 결과, 현재 한우의 유효집단크기는 84두로 추정되었고,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 크기는 1,150두로 추정되었다. 가축에서 인공수정이 도입(1960년대)된 이 후 개량의 가속화로 인해 한우의 유효집단 크기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사료되었다.</p>
|
[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나요?",
"어떠한 방식을 이용할 때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할 수 있나요?",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한우 유전체 전장에 무엇을 조사하나요?",
"한우 유전체 전장의 무엇을 조사할 때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예측할 수 있나요?",
"한우에 대한 유전형 연구에 사용되는 고밀도 단일염기다형은 어디에 존재하나요?",
"한우에 대한 유전형 연구에서 이용되는 고밀도 단일염기다형이 있는 곳은 어디인가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연구하는데 무엇을 사용하나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한우에 대한 연구에서 동일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성 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상염색체에서 추정하여 무엇을 얻어내나요?",
" 성 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상염색체에서 추정되는 한우에 대한 연구에서 동일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각 표지인자쌍의 연관불평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한가요?",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측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실제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된 대상은 무엇인가요?",
"실제 한우 집단의 유효집단 크기를 예측하고자 할 때 활용된 것은 무엇인가요?",
"한우 유효집단 크기 추정을 위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후대검정에 공시된 후보종모우 및 후대검정우 288두에 대해 혈액을 채취는 어디에서 이루어졌나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후대검정에 공시된 후보종모우 및 후대검정우 288두에 대한 혈액을 활용한 한우 유효집단 크기 추정을 위한 혈액 채취는 어디에서 진행되었나요?",
"한우개량 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에서 채취한 후 유전자형을 분석할 때 이용되는 이것은 무엇인가?",
"유전자형을 분석하기 위해 한우개량 사업소에서 채취된 혈액과 이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에서 분석한 표지 인자를 전부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을 활용하여 얻어낸 표지 인자가 일부만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 유전자형의 표지 인자는 몇 개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 유전자형의 표지 인자는 수량은 얼마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 유전자형 분석에서 얻은 표지 인자에서 실제로 사용한 것은 몇 개인가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채취한 혈액 유전자형 분석에서 추출되고 사용된 표지 인자의 수량은 얼마일까요?",
"한우개량사업소에서 분석으로 얻은 총 51,582 표지인자 중 결측률이 \\( 10 \\% \\) 이상이며, 표지인자 1개 및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는 몇 개인가요?",
" 총 51,582 표지인자 중 결측률이 \\( 10 \\% \\) 이상으로 표지인자 1개 및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의 수량은 얼마인가요?",
"40,851개의 SNP표지인자를 본 분석 결과 분석에 활용하여 계측하면 총 SNP표지인자의 길이는 몇인가요?",
"40,851개의 SNP표지인자를 본 분석 결과 분석에 따라 계산했을 때의 총 SNP표지인자의 길이는 얼마인가요?",
"SNP표지인자의 염색체별 평균 SNP표지인자간 거리는 몇인 가요?",
"SNP표지인자의 염색체별 평균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분포는 얼마나 되나요?",
"SNP표지인자간의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는데 이용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SNP표지인자간의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예측하기 위해 활용된 것은 무엇인가요?",
"EM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구와 유사하게 결과를 나타낸 실험은 무엇인가요?",
"EM알고리즘을 활용한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보고된 연구는 무엇인가요?",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는 실험처럼 높게 나타나는 지수형태의 그래프는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는 실험과 유사하게 나타나는 높은 지수형태의 그래프는 어느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표지인자를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해 보았을 때,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염색체별 연관불평형을 추정하기 위해 표지인자를 활용할 때 결과는 어떻게 도출되었나요?",
"표지인자 간 거리가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지수형태의 그래프를 나타낸 논문에 제시된 실험 결과는 무엇인가요?",
"표지인자간 거리와 반비례하게 나타나는 지수형태의 그래프가 담긴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실험 결과는 무엇인가요?",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를 보면 \\(0.1 \\sim 0.2 \\mathrm{Mb} \\)에서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를 볼 때 \\(0.1 \\sim 0.2 \\mathrm{Mb} \\)에서의 값은 어떻게 도출되나요?",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이 0.136으로 나타난 r의 길이는 몇인가요?",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이 0.136일 때 r의 길이는 얼마인가요?",
"전체분산의 \\( 5 \\% \\) 이상 설명하는 양적형질좌위 발굴을 위해서 약 2,000두의 표현형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 근거는 무엇인가요?",
"약 2,000두의 표현형 자료가 전체분산의 5 \\%5% 이상 설명하는 양적형질좌위 발굴을 위해 필요할 때 그 근거는 어떤 연구에서 비롯된 것인가?",
"전체 genome 중 양적형질과 관련된 중요한 경제형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와 관련된 염색체 위치를 발굴하기 위해 몇 두가 필요한가요?",
"양적형질과 관련된 중요한 경제형질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와 연관된 염색체 위치를 찾아내려면 몇 두가 요구되나요?",
"한우에 대한 연구에서 Luo의 연구결과를 한우에 적용시켰을 때, 약 2000두의 표현형 자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Luo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표현형 자료로 약 2000두가 요구되는 것은 무엇때문인가?",
"현재와 과거 유효집단 추정에서 전체분산의 \\( 5 \\% \\) 이상 설명하는 양적형질좌위 발굴에 보다 적절했던 세대는 언제인가요?",
"전체분산의 \\( 5 \\% \\) 이상을 나타내는 양적형질좌위 발굴의 적용이 효과적이었던 세대는 언제인가요?",
"현재 한우의 유효집단크기의 크기는 얼마로 추정되나요?",
"추정된 한우의 유효집단크기의 크기는 얼마인가요?",
"지금으로부터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 크기는 얼마로 추정되나요?",
"추정할 수 있는 약 50세대 이전의 유효집단 크기는 얼마인가요?",
"가축에서 인공수정이 도입이 된 시기는 언제인가요?",
"가축의 인공수정의 도입 시기는 언제인가요?",
"유효집단 크기가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급격하게 감소된 유효집단 크기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 |
ccffad62-4e93-4ddf-bc31-e1b30db51a11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2>연관불평형 추정</h2><p>일반적으로 연관불평형의 크기는 유효집단의 크기가 적을수록, 집단 내 근친도가 높을수록, 집단의 유전자 빈도가 뚜렷하게 다를 경우 \( r^{2} \)값이 커지게 되며, 가축의 육종에 있어서 연관불평형 정도 및 범위는 마커도움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 및 QTL의 fine mapping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p><p>한우에서 성염색체를 제외한 29개의 상염색체내 SNP표지 인자쌍간 물리적 거리별 \(r^{2} \)값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에 대해 Table 3에 제시하였으며, 한우의 염색체내별 물리적 거리가 \( 0.0 \sim 0.5 \mathrm{Mb} \)인 표지인자쌍에 대해 표지인자거리별 \(r^{2} \)를 Fig. 2 에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연관불평형(\(r^{2}\))은 기존의 보고된 연구와 유사하게 표지인자간 거리가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지수분포 형태를 보였다. SNP표지인자간 거리에 따른 \(r^{2} \)를 보면, \( 0 \sim 0.1 \mathrm{Mb} \)일 때 \(r^{2} \)는 \(0.136\), \(0.1 \sim 0.2 \mathrm{Mb}\)에서 \(r^{2} \)는 0.06로 나타났다. Sargolzaei 등은 북아메리카에 홀스타 인종에 대한 연구에서 \( 0 \sim 0.1 \mathrm{Mb}, 0.1 \sim 0.2 \mathrm{Mb} \)일 때 \(r^{2} \)의 값은 각각 0.58과 0.15로 본 연구의 추정치 보다 상당히 높게 났으며, Stephanie 등의 전장의 유전정보를 활용해 앵거스, 홀스타인, 일본화우 등 8개 축우에 대해 연관불평형을 추정한 결과, \( 0.1 \mathrm{Mb} \)에서 \( 0.15 \sim 0.2 \)의 \(r^{2} \)값을 보였으며, 독일 홀스타인에 대한 연관불평형을 측정한 Qanbari 등의 연구 결과, \( 0.1 \mathrm{Mb} \)에서 \( 0.21 \)의 값을 보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Lee 등은 한우에서 4,525개 표지인자를 이용하여 연관불평형을 추정하였는데 그 결과 \( 0.1 \mathrm{Mb} \)에서 \(r^{2} \)값이 약 0.1로 본 연구의 결과와 가장 흡사한 연관불평형의 값을 나타냈다.</p><p>연관불평형의 값으로 나타나는 \(r^{2} \)은 또한 양적형질좌위(QTL) 발굴에 대한 검정력에 영향을 미친다. Luo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표지인자와 양적형질좌위 간의 \(r^{2} \)이 0.15이고, 표현형 데이터를 갖는 개체수가 250두일 때, 전체분산의 \( 5 \% \)를 설명하는 QTL을 찾는 것에 대한 검정력이 약 \( 20 \% \)였으며, \( 0.15 \)의 \(r^{2} \)에서 \( 95 \% \) 이상의 검정력을 갖기 위해선 약 2,000두의 검정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Luo의 연구결과를 유추하여 해석한다면 한우의 개량에 있어서 유전체 정보를 이용할 경우, \( r^{2} \)의 증가에 의한 검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밀도의 SNP정보를 이용하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 Bovine SNP 700 DNA Chip이 개발됨에 따라 기존보다 더 고밀도로 개체유전정보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이를 양적형질좌위 발굴에 활용한다면,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두수로 보다 높은 검정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
|
[
"연관불평형의 크기의 경우 언제 \\( r^{2} \\)값이 커지나?",
"언제 연관불평형의 크기의 r²값이 커지는 건 언제야?",
"가축 육종에 관련해 연관불평형 정도와 범위가 중요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어디인가?",
"가축 육종에 관련해 연관불평형 정도와 범위가 어디에 중요 정보를 제공해?",
"본 연구에서 연관불평형은 표지인자간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어떤 형태로 보였니?",
"본 연구에서 연관불평형은 표지인자간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어떤 형태로 나타났어?",
"Sargolzaei가 각각 0.58과 0.15로 본 연구 추정치 보다 높은 결과를 얻은 연구는 무엇인가?",
"어떤 연구에서 Sargolzaei가 각각 0.58과 0.15로 본 연구 추정치 보다 높은 결과를 얻었어?",
"북아메리카에 홀스타 인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사람은 누구인가?",
"누가 북아메리카에 홀스타 인종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어?",
"Stephanie 등이 연관불평형을 추정하기 위해 활용한 축우는 무엇인가?",
"연관불평형을 추정하기 위해 Stephanie 등이 활용한 축우는 뭐야?",
"전장의 유전정보를 이용해 8개 추구에 대한 연관불평형을 추정한 사람은 누구인가?",
"누가 전장의 유전정보를 이용해 8개 추구에 대한 연관불평형을 추정했어?",
"기존과 대비해 더욱 더 고밀도로 개체유전정보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 것은 무엇이야?",
"무엇이 기존과 대비해 더욱 고밀도로 개체유전정보를 분석할 수 있니?"
] |
bf0d0ebe-9360-42cf-b398-7d008c68815f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1>서 론</h1><p>가축에서 소득과 연관되어 있는 경제형질의 선발은 전통적으로 개체의 표현형자료 및 혈연관계에 근거하여 분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연구 및 분석기법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분석비용이 감소하고 단기간에 대용량의 유전체 분석이 가능해져 가축의 개체별 유전능력 평가에 유전체 정보를 활용하는 기법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국내·외 육우 및 젖소의 경우 50K Illumina Bovine Bead chip을 이용하여 유전체 전장에 존재하는 약 5만개의 단일염기다형(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표지인자에 대한 유전자형 자료를 통한 유전체선발(Genomic Selection) 및 양적형질좌위(Quantitative Trait Loci) 탐색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p><p>가축에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LD)의 추정은 동일품종 또는 이품종 간 유전적 다형성의 정도를 나타내 줄 수 있으며, 이는 SNP 또는 MS (Microsatellite) 표지인자를 통해 다양하게 측정 가능하다. 또한 연관불평형 추정은 가축에서 경제형질에 영향하는 양적형질좌위(QTL)의 발굴 및 유전체 선발의 타당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도구로 사용된다.</p><p>실제 가축의 양적형질에 영향하는 유전자 수는 무수히 많고 각각의 유전자 효과는 비교적 적으며 이들간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발현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유전자를 탐색하여 그 효과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표지인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간접추정으로 가능하며, 이 때의 QTL과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 크기는 표지인자가 QTL효과의 분산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도로 나타내기 때문에, QTL 발굴에 앞서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 크기의 추정은 상당한 의미가 있는 사전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이용하여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우집단의 다양성 변화에 대해 간접예측이 가능하다고 하겠다.</p><p>본 연구는 이러한 견지에서 한우의 유전체 선발 및 마커도움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에 대한 사전작업의 일환으로 고밀도의 단일염기다형 DNAchip을 이용하여 성 염색체를 제외한 모든 상염색체 단위에서 각 표지인자간 연관 불평형의 크기를 추정하였으며, 더불어 현재 및 선조세대의 한우에 대한 유효집단의 크기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p>
|
[
"전통적으로 소득과 연관되어 있는 경제형질 선발은 무엇에 근거해서 분석되었는가?",
"경제형질 선발은 전통적으로 소득과 연관되어 있는데, 분석되는 근거는 무엇에 있는가?",
"전통적으로 개체의 현형자료 및 혈연관계를 분석하여 소득과 연관하여 선발하는 것은 무엇인가?",
"소득과 연관하여 전통적으로 개체의 현형자료 및 혈연관계를 분석하여 무엇을 선발하는 것인가요?",
"전통적으로 개체의 혈연관계와 무엇을 근거하여 소득과 연관되어 있는 경제형질 선발을 분석하였는가?",
"소득과 연관되어 있는 경제형질 선발을 분석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개체의 혈연관계와 무엇에 근거하여 있는가?",
"전통적인 경제형질의 선발은 가축 개체의 표현형자료와 어떤것을 근거로 분석하였는가?",
" 가축 개체의 표현형자료와 연관된 경제형질의 선발은 전통적으로 무엇을 근거하여 분석 되었는가?",
"최근 경제형질 선발 분석에 사용되는 개체별 유전능력 평가는 무엇을 활용하여 연구할까?",
"무엇을 사용하여 경제형질 선발 분석에 사용되는 개체별 유전능력 평가를 연구하나요?",
"표지인자에 대한 유전자형 자료를 통한 유전체선발(Genomic Selection) 및 양적형질좌위(Quantitative Trait Loci) 탐색에 이용되는 단일염기다형 표지인자는 대략 몇만개일까?",
"단일염기다형 표지인자는 표지인자에 대한 유전자형 자료를 통한 유전체선발(Genomic Selection) 및 양적형질좌위(Quantitative Trait Loci) 탐색에 이용되는데, 얼마나 될까요?",
"약 5만개의 단일염기다형(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표지인자에 대한 유전형 자료를 통하여 국내·외 육우 및 젖소의 유전체선발과 무엇을 연구하는가?",
"단일염기다형(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표지인자 약 5만 개에 대한 유전형 자료를 국내·외 육우 및 젖소의 유전체 선발과 연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유전체 정보를 통하여 가축에서 동일품종 또는 이품종 간 유전적 다형성의 정도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추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축에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무엇으로 동일품종 또는 이품종 간 유전적 다형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추정하는가?",
"유전체 정보를 활용하여 가축에서 연관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LD)의 추정은 이품종 간 다형성 정도와 무엇을 나타낼 수 있을까?",
"가축에서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Linkage Disequilibrium; LD)의 추정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다형성 정도와 또 무엇인가?",
"동일품종 또는 이품종 간 유전적 다형성의 정도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연관불평형의 추정은 무엇을 통해 측정가능할까?",
"연관불평형의 추정은 동일품종 또는 이품종 간 유전적 다형성의 정도를 나타내 줄 수 있는데, 이것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가축에서 경제형질에 영향되는 연관불평형 추정은 유전체 선발과 더불어 무엇의 타당성을 증명해주는 도구로 사용될까?",
"연관불평형 추정은 가축에서 경제형질에 영향되는 유전체 선발과 무엇의 정당성을 증명해주는가?",
"실제 가축의 모든 유전자를 탐색하여 효과를 추정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때문일까?",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실제 가축의 모든 유전자를 탐색하는 것은 왜 어려운가?",
"표지인자의 정보를 활용한 가축의 양적형질의 추정은 어떤 방식으로 추정될까?",
"가축의 양적형질의 추정은 표지인자의 정보를 활용하는데 무슨 방식을 사용하는가?",
"가축의 양적형질에 연관된 표지인자의 정보는 어떤 방식으로 판단되어 질까?",
"표지인자의 정보는 가축의 양적형질에 연관되는데 무엇을 근거로 판단하는가?",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이용하면 가축의 세대별 어떤 것을 추정할 수 있을까?",
"가축의 세대별로 무엇을 추정할때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이용하는가?",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이용한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하게 되면 한우집단의 어떤 부분도 간접예측이 가능할까?",
"세대별 유효집단의 크기를 추정할 때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활용하는데, 간접예측이 가능한 것은 한우집단의 어떤 부분인가?",
"한우의 유전체 선발 및 마커도움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에 대한 사전작업에서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추정할때 사용한 것은 무엇일까?",
"한우의 유전체 선발 및 마커도움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에 대한 사전작업에서 무엇을 사용하여 표지인자간 연관불평형의 크기를 추정하는가?"
] |
fd6201ad-e227-4e1a-ab21-74a1b7a3b9c9
|
생명LA
|
한우에서 전장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연관불평형 및 유효집단크기 추정에 관한 연구
|
<h1>결과 및 고찰</h1><p>Table 1의 결과를 보면, SNP 표지인자 유전자형의 결측률이 \( 10 \% \) 이상인 것은 한 개의 표지인자에서 나타났으며(15번 염색체),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의 경우 유전체 전장에서 총 10,730개로 나타났으며, Hardy-Weinberg chi-square value 가 600 미만인 표지인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연관불평형의 추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사전에 제거하여 총 40,851개의 표지인자가 본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염색체별로 동일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모든 표지인자쌍(Syntenic SNP pairs)간의 연관불평형 정도(\(r^{2}\))를 계산하였다. 또한 Table 1에 보면 다형성이 나타나지 않은 표지인자의 비율이 전체 표지인자의 약 \( 20 \% \)를 차지하였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①실제 SNP가 아닌 경우, ②국내 한우 집단의 집단유전학적 특성으로 다른 품종에서는 다형성이 존재하나 한우에서는 다형성이 없는 경우, ③소수의 대립유전자(Minor allele)의 빈도가 매우 낮을 경우, ④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두수 부족으로 인한 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연구에 사용된 표본집단의 근친도가 높을 경우 등으로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되며, 한우품종에서만 변이성이 없는 표지인자가 존재한다면 DNA chip 제조 시 앵거스, 헤어포드, 홀스타인등의 여러 품종에 대한 유전변이를 총체적으로 수집하여 제조하였으므로, 동일한 DNAchip을 이용하였을 경우 다른 품종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한우와 타육우품종을 구별하는 표지인자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관련하여 Dadi 등은 Illumina 50K SNP chip을 이용하여 한우와 6개의 다른 소 품종과 다형성을 비교 연구를 하였는데 그 결과 한우에서 6개의 다른 품종에 다형성이 없는 7개의 표지인자를 찾았다고 보고하였다.</p><h2>SNP표지인자 정보</h2><p>염색체별 SNP표지인자 정보에 대한 요약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성염색체를 제외한 상염색체에서 서로 거리가 가장 먼 표지인자쌍의 총합으로 계산된 총 길이는 \( 2,541.6 \mathrm{Mb} \)이며, 염색체별로는 25번 염색체가 \( 43.3 \mathrm{Mb} \)로 가장 짧았으며, 1번 염색체가 \( 161 \mathrm{Mb} \)로 가장 길이가 길게 나타났다. 또한 염색체별 SNP표지인자간의 평균 거리는 \( 0.055 \sim 0.074 \mathrm{Mb} \)로 분포하였으며, 표지인자간 거리에 대한 표준편차에서도 알 수 있듯이 표지인자간 거리가 균일하지 않게 나타났고, 이 중 5번 염색체에서 \( 0.074 \mathrm{Mb} \)로 표지인자간 거리가 가장 긴 것으로 추정되었다.</p><p>Fig. 1은 40,851개의 SNP 표지인자에 대해 소수 대립유전자 빈도(Minor allele frequency, MAF)를 나타냈다. MAF는 표지인자의 변이성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며, MAF가 0.2보다 적은 표지인자의 비율이 전체의 약 \( 40 \% \)를 차지하였는데, 이 낮은 지역의 MAF로 인해 전체적인 연관불평형의 값을 축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p>
|
[
"단일 염기 다형성 표지인자 유전자형의 결측률이 \\( 10 \\% \\) 이상인 것은 어디에 나타냈어?",
"단일 염기 다형성 표지인자 유전자형의 결측률이 \\( 10 \\% \\) 이상으로 나타난 곳은 어디야?",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의 경우 유전체 전장에서 총 몇 개 나타났어?",
"다형성이 없는 표지인자의 경우 몇 개로 유전체 전장에서 나타났어?",
"Table 1을 통해 나타난 결과들을 보면 이러한 요인들은 어디에 영향을 끼치는가?",
"Table 1의 결과를 통해 나타난 요인들은 어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LD의 추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총 몇 개의 표지인자가 본 분석에 사용됐어?",
"LD의 추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본 분석에 사용된 표지인자는 총 몇 개야?",
"염색체별로 동일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무엇을 계산했어?",
"본 분석에서는 염색체별로 동일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무엇과 무엇을 계산하였나?",
"Table 1에 보면 polymorphism이 나타나지 않은 표지인자의 비율이 전체 표지인자의 얼마를 차지하는가?",
"전체 표지인자에서 polymorphism이 나타나지 않은 표지인자의 비율은 얼마로 Table 1에 나타나있지?",
"Dadi 등은 무엇을 이용해서 한우와 6개의 다른 소 품종과 다형성을 비교 연구를 했어?",
"한우와 6개의 다른 소 품종과 다형성을 비교 연구하는데 Dadi 등이 이용한 것은 무엇이야?",
"동일한 유전자칩을 이용하였을 경우 어떤 결과를 보이는가?",
"동일한 유전자칩을 이용하였을 때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
"Dadi 등이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나왔어?",
"Dadi 등 다형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는 어떻게 보고되었어?",
"Table 2는 무엇을 나타내는 거야?",
"Table 2에는 무엇을 설명하고 있어?",
"성염색체를 제외한 상염색체에서 서로 거리가 가장 먼 표지인자쌍의 총합으로 계산된 총 길이는 얼마야?",
"성염색체를 제외한 상염색체에서 계산된 길이는 서로 거리가 가장 먼 표지인자쌍의 총합했을 때 얼마나되?",
"MAF는 표지인자의 변이성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MAF는 어떻게 표지인자의 변이성을 나타내나?"
] |
02484ce9-096a-4985-82d5-b79d35950b98
|
생명LA
|
중간크기 탄소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촉진
|
<h1>결과 및 고찰</h1><h2>크기가 다른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의 효과</h2><p>Tolaasin에 의한 세포독성은 세포막에서 pore른 형성함으로써 일어나며, tolaasin의 pore 형성작용에 미치는 다양한 인지질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지질은 탄소의 길이가 다른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것을 선택하였으며, 인지질 DDPE는 \( 2 \)개의 decanoic acid \( (\mathrm{C} 10: 0) \)를, DMPE는 myristic acid \( (\mathrm{C} 14: 0) \)를, DSPE는 stearic acid \( (\mathrm{C} 18: 0) \)를 각각 포함하는 phosphatidylethanolamine이며,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tolaasin의 용혈활성 특성을 측정하였다(Fig. 1). DMPE와 DSPE를 첨가하였을 경우, tolaasin의 활성은 인지질을 넣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DDPE를 첨가한 경우에는 \( 5 \)분 이내에 적혈구의 용혈이 모두 일어나 tolaasin의 세포독성이 크게 증가하였다.</p><p>이러한 결과는 쥐의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이 탄수 \(18 \)개를 중심으로 \( 16\)-\(20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DMPE와 DSPE는 세포막의 인지질들과 탄소사슬 길이에 큰 차이가 없어 tolaasin의 활성에 큰 영향이 없음을 보여준다. 반면, DDPE는 tolaasin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켜,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을 촉진하거나 형성된 pore를 안정화시킴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tolaasin이 형성하는 pore의 길이가 적혈구 세포막의 두께보다 짧아,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의 주변에 결합하여 pore 뿐만 아니라 주변 막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h2>DDPE의 사전처리에 따른 tolaasin의 용혈활성</h2><p>적혈구를 다양한 농도의 DDPE에 \( 10 \)분간 사전 배양하여 적혈구 세포막에 DDPE를 결합시킨 후, tolaasin 처리에 의한 용혈활성은 대조실험에 비하여 빠르게 일어났다. DDPE 사전처리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처리농도에 따라 다르나 \( 5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 5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최대로 나타났다. 특히 \( 50 \mu \mathrm{M} \) 이상의 DDPE와 적혈구가 사전 배양된 경우에는 tolaasin 첨가 후 \( 10 \)분 이내에 용혈이 완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간크기 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이 tolaasin 분자의 빠른 pore 형성을 촉 진하여 tolaasin pore의 활성증가를 유발함을 알 수 있다.</p>
|
[
"세포막에서 pore를 형성하면서 Tolaasin에 의한 세포독성이 발생하는 거야?",
"인지질을 선택할 때 포화지방산의 어떤 차이점을 기준으로 했어?",
"어디에서 pore가 형성되면서 Tolaasin에 의한 세포독성이 발생해?",
"인지질 DDPE는 \\( 3 \\)개의 decanoic acid를 포함하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이야?",
"본문에서 미리스트산을 포함하는 phosphatidylethanolamine는 뭐야?",
"인지질에 stearic acid가 포함된 것은 뭐야?",
"본문에서 다른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에 반응 용액을 첨가하여 측정하려고 하는 게 뭐야?",
"DMPE를 첨가한 경우, tolaasin의 세포독성이 크게 증가하였어?",
"무엇을 첨가하였을 때 \\( 5 \\)분 이내에 적혈구의 용혈이 반응하니?",
"DDPE를 첨가한 경우에 적혈구의 용혈이 모두 발생했어?",
"DDPE를 첨가한 경우, 몇 분 이내에 적혈구 용혈이 모두 일어났어?",
"첨가했을 때 tolaasin의 활성이 인지질을 넣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던 인지질 2개가 뭐야?",
"쥐의 어떤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이 탄수 \\(18 \\)개를 중심으로 \\( 16\\)개에서 \\(20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들로 구성되어있어?",
"쥐의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이 \\( 16\\)개에서 \\(20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들로 구성되어 있어?",
"쥐의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은 최소 몇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지방산들로 구성되어 있어?",
"DMPE는 세포막의 인지질들과 탄소사슬 길이에 큰 차이가 있어?",
"본문에서 DMPE와 DSPE는 세포막의 인지질들과 탄소사슬 길이에 큰 차이가 없어 어떤 활성에 큰 영향이 없어?",
"DMPE와 DSPE는 세포막의 인지질들과 어떤 길이에 큰 차이가 없어?",
"본문에서 tolaasin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인지질이 뭐야?",
"DDPE는 tolaasin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는 인지질이야?",
"본문에서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을 촉진하거나 형성된 pore를 안정화시킴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인지질이 뭐야?",
"DDPE는 tolaasin에 의한 무엇의 형성을 촉진시켜?",
"DDPE는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을 촉진하거나 형성된 pore의 안정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해?",
"tolaasin이 형성하는 pore의 길이가 무엇의 두께보다 짧으면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의 주변에 결합할 수 있어?",
"tolaasin이 형성하는 pore의 길이가 적혈구 세포막의 두께보다 짧으면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의 주변에 결합할 수 있어?",
"tolaasin이 형성하는 pore의 길이가 적혈구 세포막의 두께보다 짧으면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무엇의 주변에 결합할 수 있어?",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의 주변에 결합하면 주변 막의 어떤 것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어?",
"중간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의 주변에 결합하면 pore와 주변 막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어?",
"본문에서 무엇을 다양한 농도의 DDPE에 \\( 10 \\)분간 사전 배양했어?",
"적혈구를 다양한 농도의 DDPE에 몇 분간 배양했어?",
"본문에서 tolaasin 처리에 의한 용혈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적혈구 세포막에 결합시킨 인지질이 뭐야?",
"DMPE와 DSPE는 tolaasin의 활성에 큰 영향이 없어?",
"DDPE를 첨가한 경우 어디의 용혈이 일어나 tolaasin의 세포독성이 크게 증가하였어?",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처리농도가 \\( 5 \\mu \\mathrm{M} \\) 이상일 때 감소했어?",
"적혈구 세포막에 다양한 농도로 사전배양한 DDPE를 결합시키면 대조실험에 비해 tolaasin 처리에 의한 용혈활성이 빠르게 발생해?",
"본문의 실험에서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무엇에따라 다르게 나타났어?",
"DDPE의 처리농도가 몇 이상일때 tolaasin의 용혈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해?",
"DDPE와 적혈구가 어느 농도 이상으로 사전 배양되었을 때 tolaasin 첨가 후 10분 이내에 용혈이 완결돼?",
"\\( 50 \\mu \\mathrm{M} \\) 이상의 DDPE와 적혈구가 사전 배양된 경우 무엇을 첨가하면 용혈이 \\( 10 \\)분 이내에 완결돼?",
"중간크기 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은 tolaasin pore의 활성을 증가시켜?",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처리농도가 \\( 5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최대로 발생해?",
"\\( 50 \\mu \\mathrm{M} \\) 이상의 DDPE와 적혈구가 사전 배양된 경우에는 tolaasin 첨가 후 몇 분 이내에 용혈이 완결돼?",
"어떤 크기 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이 tolaasin 분자의 빠른 pore 형성을 촉진해?",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처리농도가 몇 이상일 때 최대야?",
"tolaasin의 용혈활성 증가는 DDPE의 처리농도가 몇 이상일 때 증가하기 시작해?",
"적혈구 세포막에 결합시킨 DDPE의 처리농도에 따라 \\( 5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기 시작하는 것은 뭐야?",
"중간크기 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이 tolaasin 분자의 빠른 pore 형성을 촉진하면 무엇의 활성증가를 유발할 수 있어?",
"\\( 50 \\mu \\mathrm{M} \\) 이상의 DDPE와 적혈구가 사전 배양된 경우에 tolaasin 첨가 후 \\( 10 \\)분 이내에 용혈이 완결돼?"
] |
d8b70b0c-cc93-4b1b-8aa3-f221123756a7
|
생명LA
|
중간크기 탄소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촉진
|
<h1>서 론</h1><p>갈반병은 세계적으로 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을 포함한 버섯 재배에 큰 해를 끼치는 질병으로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 농가에서 세균성 갈반병이 한번 발생하면 이를 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빠르게 재배농장 전체로 번지거나 다른 버섯 농가로 펴져 나가게 되어, 버섯 농가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p><p>버섯의 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병원균은 세포독성을 갖는 펩티드 독소인 tolaasin을 생성한다. Tolaasin은 \( 18 \)개의 아미노산과 \( \mathrm{N} \)-말단의 작은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lipodepsipeptide 독소로서, 분자량은 \( 1,985 \) Da이다. Tolaasin의 \( 1 \)차 구조는 \( 1991 \)년 Nutkins 등에 의해 밝혀져, 펩티드의 \( \mathrm{N} \)-말단이 acylation에 의해 \( \beta \)-hydroxyoctanoic acid와 결합하고 있고, C-말단의 lysine 잔기는 \( 14 \)번째에 있는 D-allo-threonine과 lactone ring을 형성하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후, tolaasin의 다양한 동위체(analogue)들이 발견되었으며 주로 한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치환되어 만들어 지나, 이들의 세포독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P. tolaasii 병원균에 의한 tolaasin의 생성은 양분의 결핍이 일어나는 정체기에 도달하면 증가하며, tolaasin은 직선형태의 peptide 전구체로 생성된다. 이후, 전구체는 특이적인 다양한 효소작용에 의하여 환상구조로 변환되며, 리보솜의 작용과 무관한 \( 2 \)차대사산물이다.</p><p>Tolaasin의 작용기작은 숙주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버섯 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pore-forming 독소임이 일찍부터 제안되었다. 이 종류의 펩티드 독소들은 수용성을 갖는 양친매성으로, target 세포의 막에 도달하면 세포막에 쉽게 삽입된다. 세포막에서 펩터드들은 다중체를 형성하여 비선택성 양이온채널을 생성함으로써 삼투압교란을 통한 세포막의 파괴를 유발한다. 현재까지 tolaasin은 좌선성 \( \alpha \)-나선구조로 생체막과 상호작용함이 알려져있고, 농도에 따라 낮은 농도에서는 pore 형성이, 높은 농도에서는 계면활성제 특성으로 버섯의 세포막 구조를 붕괴시키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P. tolaasii의 배양액에서 분리한 tolaasin은 인공지질이중막에서 두 가지 형테의 이온 채널을 형성함이 확인되어 pore-forming 펩티드 독소로서의 작용기작이 확립되었다.</p><p>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펩티드 독소는 일반적으로, 세포막 결합, 분자다중체 형성에 의한 비선택성 pore 형성, 세포막 안팎의 전기화학전위 차이에 의한 막의 유동성 증가, 삼투압 변화에 의한 세포의 파괴 단계로 독성을 나타낸다. Tolaasin에 의한 세포의 붕괴 또한 이러한 과정을 따를 것으로 알려저 있으며 지질이중막에서 tolaasin의 이온 채널 형성을 확인함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tolaasin의 pore는 불안정하였고, 이러한 문제가 tolaasin 분자에 의해 생성되는 pore의 길이와 지질막 두께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Tolaasin 분자는 용액상에서 \( 4 \)회전을 하는 좌선성의 \( \alpha \)-나선을 형성하는데, 이는 tolaasin에 의해 생성되는 pore의 길이가 \( 20 \mathring{A} \) 에 가까워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포막의 두께보다 짧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olaasin에 의해 생성되는 pore의 안정성과 이에 따른 세포독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탄소수로 이루어진 인지질을 첨가하고 tolaasin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p>
|
[
"세계적으로 느타리와 양송이버섯을 포함한 버섯 재배에 큰 해를 끼치는 질병으로 오래 알려진 병은 무엇인가?",
"버섯 농가에서 세균성 갈반병이 발생하면 이것을 통제하는 것은 쉬운가?",
"갈반병은 동물에서 발생하는 질병인가?",
"전 세계적으로 갈반병은 어떤 버섯을 재배하는데 큰 해를 끼치는 질병으로 알려져 왔는가?",
"버섯 농가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세균성 갈반병이 버섯 농가에 발생하면 이것은 어떻게 재배농장 전체로 번지는가?",
"세균성 갈반병이 버섯 농가에 한번 발생하면 그 농가의 소득은 어떻게 되는가?",
"버섯의 갈반병은 어떤 병원균에 의해서 발생하는가?",
"버섯의 갈반병은 병원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인가?",
"세포 독성을 갖는 펩티드 독소로 병원균 Pseudomonas tolaasii로부터 생성되는 것은 무엇인가?",
"Tolaasin의 분자량은 \\( 2,000 \\) Da 이상인가?",
"Tolaasin의 \\( 1 \\)차 구조는 2000년대 이후에 밝혀졌는가?",
"\\( \\mathrm{N} \\)-말단의 작은 지방산과 \\( 18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lipodepsipeptide 독소는 무엇인가?",
"펩티트 독소인 tolaasin는 어떤 독성을 가지는가?",
"버섯의 갈반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펩티드 독소를 생성할 수 있는가?",
"Tolaasin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Tolaasin의 \\( 1 \\)차 구조는 펩티드의 \\( \\mathrm{N} \\)-말단이 D-allo-threonine과 lactone ring을 형성하고 있는가?",
"Tolaasin은 2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가?",
"Tolaasin의 1차 구조에서 펩티드의 C-말단의 lysine 잔기는 14번째에 있는 D-allo-threonine과 어떤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가?",
"Tolaasin의 \\( 1 \\)차 구조에서 \\( \\beta \\)-hydroxyoctanoic acid와 결합하는 것의 펩티드의 어느 말단인가?",
"Tolaasin의 1차 구조에서 펩티드의 \\( \\mathrm{N} \\)-말단이 무엇에 의해 \\( \\beta \\)-hydroxyoctanoic acid와 결합하고 있는가?",
"Tolaasin \\( 1 \\)차 구조에서 C-말단의 lysine 잔기는 몇 번째 있는 D-allo-threonine과 lactone ring을 형성하는가?",
"Tolaasin의 1차 구조에서 펩티드의 C-말단에는 어떤 잔기가 있는가?",
"tolaasin은 다양한 동위체를 가지는가?",
"tolaasin의 다양한 동위체들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세균성 갈반병이 버섯 농가에서 한번 발생하면 빠르게 재배농장 전체로 번지거나 어디로 퍼져 나가게 되는가?",
"tolaasin의 다양한 동위체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두 밝혀졌는가?",
"P. tolaasii 병원균에 의해 생성된 tolaasin는 언제 증가하는가?",
"tolaasin은 곡선형태의 peptide 전구체로 생성되는가?",
"전구체는 무엇에 의하여 환상구조로 변환되는가?",
"전구체는 리보솜의 작용과 연관이 있는 1차대사산물인가?",
"숙주세포막에 Tolaasin의 작용기작은 무엇을 형성하는 것인가?",
"tolaasin은 어떤 전구체로 생성되는가?",
"Tolaasin은 pore-forming 독소인가?",
"Tolaasin은 어디에 pore를 형성하여 버섯 세포를 파괴하는 것인가?",
"Tolaasin의 작용기작은 무엇인가?",
"pore-forming 독소가 target 세포막에 도달하면 쉽게 삽입되는 이유는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가?",
"펩티드 독소는 어디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가?",
"tolaasin은 높은 농도에서 pore가 형성되는가?",
"펩티드 독소의 독성을 나타내는 단계 중 무엇의 형성에 의해서 비선택성 pore가 형성되는가?",
"tolaasin에 의해 생성되는 pore의 길이는 얼마에 가까운가?",
"세포막에서 펩티드들은 무엇을 형성하여 비선택적 양이온채널을 생성하는가?",
"삼투압교란을 통한 세포막의 파괴를 유발하기 위해 세포막에서 펩티드들은 무엇을 생성하는가?",
"세포막에서 펩터드들이 비선택성 양이온채널을 생성하면 삼투압을 교란 시키는가?",
"삼투압교란은 세포막의 무엇을 유발하는가?",
"tolaasin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tolaasin은 무엇과 상호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가?",
"tolaasin은 높은 농도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tolaasin은 농도에 따라 버섯의 세포막 구조를 붕괴시키는 요인이 다른가?",
"tolaasin은 무엇의 배양액으로 부터 분리되었을까요?",
"인공지질이중막에서 분리한 tolaasin은 몇 가지 형태의 이온 채널을 형성하는가?",
"분리된 tolaasin은 어디에서 두 가지 형태의 이온 채널을 형성하는가?",
"두 가지 형태의 이온 채널이 인공지질이중막에 형성됨이 확인되면 무엇으로서의 작용기작이 확립되는가?",
"펩티드 독소는 독성을 어떻게 나타내는가?",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펩티드 독소의 마지막 단계는 무엇인가?",
"세포막 안팎의 무엇의 차이에 의한 막의 유동성 증가를 통해 펩티드 독소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가?",
"tolaasin의 이온 채널 형성이 지질이중막에서 확인 가능한가?",
"Tolaasin에 의한 세포 붕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질이중막에서 무엇의 형성을 확인해야 하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tolaasin의 pore는 불안정한가?",
"tolaasin 분자에 의해 생성되는 pore 길이와 어떤 것이 불일치하면 tolaasin의 pore가 불안정할 가능성이 있는가?",
"tolaasin 분자에 의해 생성되는 pore 길이와 지질막 두께 사이가 불일치하면 tolaasin의 pore가 불안정할 수 있는가?",
"용액상에서 Tolaasin 분자는 우선성의 \\( \\alpha \\)-나선을 형성하는가?",
"tolaasin에 의해 생성되는 무엇에 따른 세포독성 변화를 측정하였는가?",
"용액상에서 Tolaasin 분자는 몇 회전하는 좌선성의 \\( \\alpha \\)-나선을 형성하는가?",
"펩티드 독소는 일반적으로 4개의 단계로 독성을 나타내는가?",
"tolaasin의 세포독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탄소수로 이루어진 무엇을 첨가해야 하는가?",
"tolaasin에 의해 생성되는 pore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포막의 두께보다 짧은가?",
"무엇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을 첨가하여 tolaasin의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는가?"
] |
55bd092c-085a-4ef3-8617-b2bf066deea5
|
생명LA
|
중간크기 탄소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촉진
|
<h1>재료 및 방법</h1><h2>Tolaasin의 분리</h2><p>Tolaasin의 분리는 Nutkins 등에 의한 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이루어졌다. P. tolaasii \( 6264 \) 균주를 PAF 액체배지에서 접종한 후, \( 25^{\circ} \mathrm{C} \)에서 \( 18 \)시간 동안 정체기에 도달하도록 진탕배양하였다. 배양액은 상온에서 \( 8,000 \mathrm{rpm}(10,000 \times \mathrm{g}) \)으로 \( 3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세균을 제거하고 얻은 배양여액으로부터 crude tolaasin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tolaasin 액에 \( 30 \% \)가 되도록 ammonium sulfate를 가하고 \( 4^{\circ} \mathrm{C} \)에서 \( 1 \)시간 동안 정치한 후, \( \mathrm{SW} 28 \) rotor (Beckman Instruments,Inc.,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 20,000 \mathrm{rpm} \) \((60,000 \times \mathrm{g} \))에서 \( 1 \) 시간 동안 초고속 원심분리하였다. 침전으로 얻은 crude tolaasin은 HBS 완충액( \( \mathrm{pH} 7.0 \)) 또는 \( 10 \mathrm{mM} \) sodium phosphate 완충액 ( \( \mathrm{pH} 7.0 \))으로 녹이고, 실온에서 같은 용액으로 \( 4 \)시간 투석하여 Glass-Teflon 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aliquot을 만들어 액체질소로 급랭시키고 사용 전까지 \( -60^{\circ} \mathrm{C} \)의 초저온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p><h2>적혈구 분리</h2><p>Diethyl ether를 이용하여 마취한 쥐를 개복하여 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한 후, 멸균된 glass bead가 담긴 삼각 플라스크에 옮겨 약 \(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fibrin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혈액은 \( 150 \mu \mathrm{L} \) 씩 분주하여 \( 4^{\circ} \mathrm{C} \)에서 보관하였으며, 사용시에는 HEPES-buffered saline (HBS; \( 150 \mathrm{mM} \mathrm{NaCl}\), \(5 \mathrm{mM}\) \(\mathrm{KCl}\), \(5 \mathrm{mM} \) HEPES, \( 1 \mathrm{mM} \mathrm{MgSO}_{4} \), \( \mathrm{pH} 7.4 \)) 용액으로 \(10 \)배 희석하여 원심분리로 온전한 적혈구만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채취한 혈구는 약 \( 3 \)주간 실험에 사용하였다.</p><h2>용혈활성 측정</h2><p>Tolaasin의 용혈활성은 Rainey 등의 방법에 따라 쥐의 적혈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혈활성 측정에 사용한 적혈구는 사용직전에 멸균한 HBS 완충액으로 \( 10 \)배 희석하였고, 이것을 최종 반응 용액의 \( 10 \% \)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용혈활성 측정시 \( 1 \% \) 적혈구를 \( 37^{\circ} \mathrm{C} \)에서 \( 30 \)분 이내에 모두 용혈 시키는 톨라신의 농도를 \( 1 \mathrm{HU} \)으로 정하여 사용하였다. 용혈활성은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 600 \mathrm{~nm} \)에서 흡광도 변화로 측정하였다.</p><h2>인지질의 효과 측정</h2><p>Chloroform에 용해되어 있는 \( 1 \),\( 2 \)-didecanoyl-sn-glycero-\( 3 \)-phospho-ethanolamine (DDPE)와 \( 1 \),\( 2 \)-dimyristoyl-sn-glycero-\( 3 \)-phospho-ethanolamine (DMPE), \( 1 \),\( 2 \)-distearoyl-sn-glycero-\( 3 \)-phosphocthanolamine(DSPE)는 \( \mathrm{N}_{2} \) gas를 이용하여 chloroform을 제거하고, 증류수에 용해하여 약 \( 2 \mathrm{mM} \)의 stock solution으로 만들어젔다. 용혈활성 측정시, 제조한 lipid 용액을 전체 반응부피의 \( 10 \% \)가 되도록 첨가하여 \( 200 \mu \mathrm{M} \) 농도가 되게 하였다. \( 600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지질이 tolasin의 용혈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p>
|
[
"Nutkins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무엇을 분리하였나요?",
"PAF 액체배지에 접종한 균주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P. tolaasii \\( 6264 \\) 균주를 PAF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몇 시간 동안 진탕배양했나요?",
"\\( \\mathrm{SW} 28 \\) rotor는 미국에서 만들어졌나요?",
"HBS 완충액은 중성인가요?",
"Rainey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것은 톨라신의 무엇인가요?",
"용혈활성은 어떤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나요?",
"용혈활성을 측정할 때, 만든 lipid 용액을 전체 반응부피의 얼마가 되로록 첨가했나요?",
"각각의 지질이 톨라신의 용혈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어떤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나요?",
"배양여액으로부터 분리한 것은 무엇인가요?",
"배양액은 몇 분 동안 원심분리했나요?",
"tolaasin 액에 \\( 30 \\% \\)가 되도록 ammonium sulfate를 가하고 \\( 4^{\\circ} \\mathrm{C} \\)에서 \\( 1 \\)시간 동안 정치한 후에 무엇으로 초고속 원심분리하였나요?",
"Tolaasin의 분리과정에서 \\( 10 \\mathrm{mM} \\) sodium phosphate 완충액의 \\( \\mathrm{pH}\\)는 얼마인가요?",
"tolaasin을 액체질소로 급랭시키고 사용 전까지 어디에서 보관했나요?",
"쥐를 마취할 때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요?",
"적혈구는 쥐의 어디에서 채혈하여 분리했나요?",
"쥐에서 혈액을 추출한 뒤 무엇을 제거했나요?",
"얻은 혈액은 어느 온도에서 보관했나요?",
"혈액을 사용할 때는 어떤 용액으로 10배 희석하나요?",
"채취한 혈구의 사용기간이 1달인 것은 올바른가?",
"\\( 1 \\mathrm{HU} \\)은 무엇을 나타내나요?",
"용혈활성을 측정할 때 사용한 기기는 무엇인가요?",
"클로로폼에 녹아 있는 DDPE와 DMPE, DSPE는 무엇을 이용해 클로로폼을 제거했나요?"
] |
d940e76b-ec1d-415f-888e-302e9fad586f
|
생명LA
|
중간크기 탄소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촉진
|
<h2>DDPE의 농도변화에 따른 tolaasin의 용혈활성</h2><p>DDPE \( 200 \mu \mathrm{M} \)을 tolaasin과 동시에 처리할 경우 tolaasin의 용혈활성을 촉진하였고(Fig. 1), DDPE를 적혈구에 사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tolaasin의 용혈활성은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DDPE를 tolaasin과 사전배양을 한 경우에는 tolaasin의 용혈활성이 크게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적혈구 세포막에 결합한 DDPE는 tolaasin의 pore 형성을 촉진하나, 사전배양을 통하여 DDPE와 tolaasin이 결합하면 적혈구 세포막에 미치는 tolaasin의 용혈활성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DDPE 의 농도 변화가 tolaasin의 용혈활성에 미치는 영항을 측정하였다.</p><p>다양한 농도의 DDPE를 tolaasin과 사전 배양 없이 적혈구 용액에 동시 첨가하였을 경우, \( 0.2-1 \mu \mathrm{M} \) 범위에서 용혈활성이 증가하였으나, \( 5 \mu \mathrm{M} \)과 \( 10 \mu \mathrm{M} \) 농도에서는 용혈활성이 감소하였고, 이보다 높은 DDPE 농도에서는 모두 용혈이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DDPE와 tolaasin을 \( 10 \)분간 사전 배양하여 적혈구에 처리하였을 경우, 용혈활성이 저해되는 DDPE 농도가 약 \( 20 \) 배정도 높아진 \( 100 \mu \mathrm{M} \)과 \( 200 \mu \mathrm{M} \)에서 나타났으나, 이것은 용혈활성 측정이 최종농도가 \( 10 \)배 희석되므로 \( 10-20 \mu \mathrm{M} \)에 해당하여 동시 처리 조건과 크게 다르지 않다(Fig. 6).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특정 농도의 DDPE는 오히려 tolaasin에 의한 용혈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p><p>이상의 결과는 decanoic acid를 함유하는 인지질이 tolaasin의 용혈활성에 미치는 다양한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DDPE에 의해 일어난 빠른 용혈현상은 인지질의 계면활성제 폭성에 의해서 나타날 수도 있겠으나, 실제 DDPE의 계면환성제로서 작용은 크지 않았다. Tolaasin을 제외 하고 DDPE 만을 처리한 경우 적혈구의 용혈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자료 미제시), DDPE의 효과는 인지질 자체가 적혈구에 영항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tolaasin의 이온채널 형성이나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tolaasin과 같은 펩티드 독소들도 계면활성제 특성을 가지나, 이것은 높은 농도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본 결과에는 해당하지 않는다.</p><p>이상의 결과들은 tolaasin이 적혈구 세포막에서 형성하는 pore의 길이가 세포막을 관통할 만큼 충분히 길지 않으며, 짧은 길이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을 첨가할 때, 인지질 분자들은 tolaasin 분자들에 의해 생성된 pore의 주위에서 막의 두께를 감소시켜 pore 자체를 안정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리포솜에서 합성된 이온채널의 길이에 따라 탄소수가 다른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이 이온채널의 활성을 최적화함은 제시된 바 있어, tolaasin에 의해 생성된 pore도 주변에 몇 분자의 DDPE 결합에 의해 최적화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p><p>한편, \(5-10 \mu \mathrm{M} \)의 DDPE는 오히려 용혈을 저해하였으며, 이것은 DDPE와 tolaasin의 사전배양 시에도 유사하게 관측되었다. DDPE가 저해효과를 보이는 것은 이 농도에서 DDPE가 micelle을 형성하고 여기에 tolaasin이 결합하여 안정화된다면, 적혈구막에 결합하는 tolaasin의 유효 농도가 감소하고 이것은 pore 형성을 저해하여 결국 적혈구의 용혈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짧은 지방산을 구성분으로 하는 인지질은 micelle 형성농도인 cmc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이며, 인지질의 지방산 부위와 전하를 갖는 부위의 특성에 따라 다름이 밝혀져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특정농도의 DDPE가 반응용액 내에서 micelle을 형성하여 tolaasin 분자와 결합함으로써 유효농도를 감소시켜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p>
|
[
"어떤 경우에 tolaasin의 용혈활성이 크게 저해되니?",
"tolaasin 분자들에 의해 생성된 pore 자체를 안정화할 수 있는 분자는 뭐니?",
"DDPE를 tolaasin과 사전배양을 한 경우 무엇의 용혈활성이 크게 저해되니?",
"특정 농도의 DDPE 는 tolaasin에 의한 용혈을 증가시키니?",
"tolassin 과 같은 펩티드 독소들은 계면활성제 특성을 가지니?",
"DDPE의 효과는 인지질 자체가 적혈구에 영항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tolaasin의 이온채널 형성이나 활성을 촉진하는게 맞니?",
"tolaasin에 의해 생성된 pore가 주변 분자의 무슨 결합에 의해 최적화 되니?"
] |
183e7049-137e-407e-acf1-45ea0da87b90
|
생명LA
|
중간크기 탄소사슬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 의한 tolaasin의 용혈활성 촉진
|
<h1>초 록</h1><p>Tolaasin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생성되어 pore를 형성하는 펩티드 독소이며, 인공재배 버섯의 막 구조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Tolaasin이 막에서 pore를 형성하는 기작이나 특성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인공 지질이중막에서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은 제시되었다. Tolaasin에 의한 지질막에서의 pore 형성은 드물게 나타났고, 형성된 pore는 불안정하기에 tolaasin pore의 길이와 지질막의 두께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이 제안되었다. 그러므로, 탄소수가 다른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들을 첨가하여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decanoic acids (C\( 10:0 \), \(1,2 \)-didecanoyl-sn-glycero-\( 3 \)-phosphoethanolamine; DDPE)와 myristic acids (C\( 14:0 \), \( 1,2\)-dimyristoyl-sn-glycero-\( 3 \)-phosphoethanolamine), stearic acids (C\( 18:0 \), \( 1,2\)-distearoyl-sn-glycero-\( 3 \)-phosphoethanolamine)로 이루어진 phosphatidylethanolamine들을 적혈구와 tolaasin 펩티드가 포함된 반응용액에 가했을 때, DDPE만이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을 촉진하였으며, 나머지 두 인지질은 효과른 보이지 않았다. DDPE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중간길이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은 tolaasin pore 구조와 막지질 사이에 결합하여 pore 주변의 막을 얇게 함으로써 tolaasin pore른 안정화시킬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간 크기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이 tolaasin pore를 막 구조에서 안정화시킴으로써 활성을 증가시키며, 이것은 적혈구 막에서 tolaasin pore의 길이가 막의 두께보다 조금 짧을 것이라는 사실을 제안한다.</p>
|
[
"무엇이 Tolaasin을 생성하는가?",
"Tolaasin은 무엇으로 만들어져?",
"Pseudomonas tolaasii이 생성한 Tolaasin은 무엇을 형성하는가?",
"무엇을 Pseudomonas tolaasii이 생성한 Tolaasin이 만들어?",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만들어지며 pore를 형성하는 펩티드 독소는 무엇인가?",
"pore를 형성하는 펩티드 독소는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가?",
"Tolaasin은 어떻게 갈반병을 일으키는가?",
"어떻게 Toaasin이 갈반병을 발생시키는가?",
"Tolaasin에 의해 발생한 갈반병은 인공재배 버섯의 무엇을 파괴하는가?",
"갈반병은 Tolaasin에 의해 발생하는데 인공재배 버섯의 무엇을 훼손하는가?",
"Tolaasin이 막에서 pore를 형성하는 기작은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밝혀져 있는가?",
" pore를 형성하는 기작은 Tolaasin이 막에서 나오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밝혀져 있는가?",
"지질막에서의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은 자주 나타났어?",
"자주 지질막에서의 Tolaasin에 의한 pore 형성이 보였어?",
"지질막에서 Tolaasin이 형성한 pore의 구조는 불안정한가?",
"Tolaasin이 형성한 pore의 구조는 지질막에서 불안한가?",
"지질막의 두께와 tolaasin pore의 길이가 불일치할 수 있다고 제안된 근거는 무엇인가?",
"무엇이 지질막의 두께와 tolaasin pore의 길이가 불일치할 수 있다고 제시된 근거야?",
"실험에서 사용된 phosphatidylethanolamine은 무엇들로 이루어져 있는가?",
"무엇들로 실험에서 이용된 phosphatidylethanolamine은 이루어져 있는가?",
"phosphatidylethanolamine을 가한 반응용액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어떤 것들이 phosphatidylethanolamine을 가한 반응용액에 내포되어 있는가?",
"반응용액에 phosphatidylethanolamine를 가했을 때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을 촉진한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반응용액에 phosphatidylethanolamine를 첨가했을 때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을 촉진하는가?",
"decanoic acids와 myristic acids의 탄소 수는 서로 다른가?",
"탄소 수는 decanoic acids와 myristic acids에서 각각 다른가?",
"stearic acids의 탄소 수는 myristic acids의 탄소 수보다 많은가?",
"myristic acids의 탄소 수보다 stearic acids의 탄소 수가 더 있어?",
"탄소 수가 18개인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서 용혈활성 촉진 효과가 나타났어?",
"용혈활성 촉진 효과가 탄소 수가 18개인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인지질에서 보였어?",
"다양한 농도로 DDPE를 처리했을 때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은 어떻게 됐어?",
"tolaasin에 의한 용혈활성은 여러가지 농도로 DDPE를 처리했을 때 어떻게 됐어?",
"tolaasin pore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인지질은 어느 정도 길이의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을까?",
"어느 정도 길이의 지방산으로 tolaasin pore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인지질이 만들어져 있을까?",
"중간 길이의 지방산으로 구성된 인지질은 어떻게 tolaasin pore를 안정화시키는가?",
"어떻게 중간 길이의 지방산으로 만들어진 인지질은 tolaasin pore를 안정화시키는가?",
"tolaasin pore 주변의 막이 얇아지면 pore은 더욱 불안정해지는가?",
"pore은 tolaasin pore 주변의 막이 얇아지면 많이 불안정해지는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혈구 막에서 tolaasin pore의 길이는 어느 정도일까?",
"적혈구 막에서 실험 결과에 따르면 tolaasin pore의 길이는 어느 정도일까?"
] |
22ccbc9a-2a28-4c87-aa6d-8baefc97586a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2>V. parahaemolyticus의 세척효과</h2><p>시중의 횟집에서 횟감용 생선회나 패류 등의 기타 해산물을 구입시 사용하는 세척방법에 추가적으로 흐르는 수돗물에서 1~5분 동안 세척하여 추가적인 감소율을 조사하여, Fig. 6에 나타내었다.</p><p>시중의 세척방법에 따라 세척시 세척을 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어 약 \( 10 \% \) 정도로 감소되었으나, 흐르는 수돗물로 2~3분 가량 세척을 추가시킬 시, 다시 2배 이상의 감소를 보여 염분이 없는 물로써의 세척이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위험성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V. parahaemolyticus가 염분이 없는 민물에서의 저항성이 약하다는 기존의 연구논문 결과와도 일치하였다.</p>
|
[
"해산물을 구입시 사용하는 세척방법에 추가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세척 했어 ?",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위험성을 상당히 저하시킬 수 있는 방법은 뭐야 ?",
"V. parahaemolyticus가 염분이 없는 민물에서의 저항성이 약하다는 내용은 어떻게 알 수 있었어 ?"
] |
b117752d-49dc-4660-936b-f6f9882aabf6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2>보관온도에 따른 생육특성 분석</h2><h3>B. cereus 의 쟁육툭성</h3><p>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육 특성의 분석을 위해 생선회로부터 분리한 B. cereus 균주를 TSB에서 하룻밤동안 전 배양한 배양액에 생선(광어)회 시료를 첨가하여 다시 20 분간 배양시킨 후. 각 온도별 \( \left(4{ }^{\circ} \mathrm{C}, 10^{\circ} \mathrm{C}, 20^{\circ} \mathrm{C}\right. \) 및 \( \left.30^{\circ} \mathrm{C}\right) \)로 보관하면서 일정한 배양시간별 (4시간, 7시간 및 24시간 후)로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균수의 측정은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한 액을 Pour plate method로서 MYP agar에 접종한 후,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혼탁한 환을 가지는 분홍색의 전형적인 집락의 수를 측정하였다.</p><h3>V. parahaenolyticus의 생육특성</h3><p>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생육 특성의 분석을 위해 생선회로부터 분리한 V. parahaemolyticus 균주를 \( 2 \% \mathrm{~NaCl} \)이 첨가된 펩톤수에서 하룻밤동안 전 배양한 배양액에 생선(광어)회 시료를 첨가하여 다시 20분간 배양시킨 후, 각 온도별 \( \left(4^{\circ} \mathrm{C}, 1\right. \) \( { }^{\circ} \mathrm{C}, 20^{\circ} \mathrm{C} \) 및 \( \left.30^{\circ} \mathrm{C}\right) \) 로 보관하면서 일정한 배양시간별 (4시간, 7시간 및 24시간 후)로 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균수의 측정은 멸균된 \( 3 \% \)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하여 균질화한 후, 단계별로 희석한 액을 TCBS agar에 접종한 후, \( 35^{\circ} \mathrm{C} \) 에서 18~24 시간 배양하여 녹색의 전형적인 집락의 수를 측정하였다.</p><h3>세적효과</h3><p>생선회로부터 분리한 V. parahaemolyticus 균주를 \( 2 \% \mathrm{~NaCl} \)이 첨가된 펩톤수에서 하룻밤동안 전 배양한 배양액에 생선(광어)회 및 멍게 시료를 첨가하여 다시 20 분간 배양시킨 후, 각 시료를 시중의 횟집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세척 방법 (20배의 수돗물로 10 초간 2반복 세척)으로 세척한 후 앞의 방법에 따라 균수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수돗물 세척의 가시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흐르는 수돗물로 15분간 세척한 후의 균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p>
|
[
"B. cereus 균주는 어디로부터 분리한 거야?",
"무엇에 따른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가?",
"생육 특성의 분석을 위해 생선회로부터 분리한 것은 뭐야?",
"균수의 측정에 사용한 식염수는 뭐야?",
"균수의 측정은 단계별로 희석한 액을 Pour plate method로서 어디에 접종했어?",
"어떤 형태의 집락의 수를 측정했어?",
"펩톤수에 무엇을 첨가했어?",
"수돗물 세척의 가시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 것은 뭐야?",
"균수의 측정은 멸균된 \\( 3 \\% \\)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하여 균질화한 후, 단계별로 희석한 액을 어디에 접종했어?"
] |
84331955-4943-4afc-b688-34e21bed160f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2>항생제 감수성</h2><p>V. parahaemolyticus 및 B. cereus로 확인된 분리균에 대해 디스크법에 따라 항생제 감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Mueller-Hinton broth (Difco)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 시간 배양시킨 균을 멸균된 액체배지로 희석하여 표준탁도액(McFarland No. 0.5)의 농도와 같도록 한 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Mueller-Hinton agar (Difco)에 균등하게 도말하였다. 곧이어 항생제 감수성 실험용 disc (Oxoid)들을 도말된 배지위에 놓고 가볍게 밀착시킨 후, \( 32^{\circ} \mathrm{C} \)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한 항생제는 Amikacin (\( 30 \mu \mathrm{g}) \), Amoxycillin/calvulanic acid (2:1, \( 3 \mu \mathrm{g}) \), Ampicillin \( (10 \mu \mathrm{g}) \), Bacitracin (10 units), Cefepime \( (30 \mu \mathrm{g}) \), Cefotaxime \( (30 \mu \mathrm{g}) \), Chloramphenicol \( (30 \mu \mathrm{g}) \), Ciprofloxacin (5 \( \mu \mathrm{g}) \), Erythromycin \( (15 \mu \mathrm{g}) \), Gentamicin \( (10 \mu \mathrm{g}) \), Kanamycin \( (30 \mu \mathrm{g}) \), Penicillin \( G \) (10 units), Rifampicin \( (5 \mu \mathrm{g}) \), Strepto-mycin \( (10 \mu \mathrm{g}) \),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19:1, \( 25 \mu \mathrm{g}) \), Tetracycline \( (30 \mu \mathrm{g}) \) 및 Vancomycin \( (30 \mu \mathrm{g}) \) 이며, 결과의 판독은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법에 준하였다.</p>
|
[
"Oxoid를 도말한 배지를 사용한 이유가 뭐야?",
"분리균에 대해 실시한 검사는 뭐야?",
"균의 배양 온도 조건은 어떻게 돼?",
"어떤 온도 조건에서 균이 길러지는가?",
"Difco에 도말할 떄 사용한 도구의 이름이 뭐야?",
"어떤 도구를 Difco에 도말할 때 이용하는가?",
"배양 후의 과정은 뭐야?",
"어떤 과정이 배양 후에 진행되는가?",
"결과 판독의 기준이 되는 것이 뭐였어?",
"어떤 기준으로 결과를 해석하는가?"
] |
1097a03f-4e99-4bca-bfd5-d235110d604b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p>지구온난화와 난방시설의 확대 보급, 위생관념의 결여, 집단급식 및 즉석조리식품의 증가, 식 · 습관의 변화 등 많은 이유로 식중독 사고의 발생이 증가하고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표한 우리나라의 식중독 발생현황 통계에 따르면 2003년도 식중독 발생현황은 2002년도 대비 건수로는 \( 73 \% \) 증가하였으나, 환자수로는 \( 265 \% \) 증가하여 식중독 사고의 대형화 추세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중독의 발생은 식품의 종류 및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식품유형별 식중독 발생현황은 김밥, 햄버거 등 도시락류가 속한 복합조리식품, 어패류 및 그 가공품, 육류 및 알가공품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균으로는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등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정확한 오염경로 및 그 원인은 대부분 명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p>특히 여름철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식품이며 동시에 국민 다소비 식품인 생선회, 패류 등의 해산물의 경우는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해산물의 주요 공급처인 횟집이나 수산물 시장의 영세하고 낙후된 시설과, 조리종사자의 위생의식 부족 및 관리부처의 다원화 등의 이유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어렵기 때문이다.</p><p>현행 식품공전에는 최종 소비자가 더 이상의 가공, 가열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물의 경우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 살모넬라(Salmonella spp.),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가 음성으로, 그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위생 처리하여 용기 포장에 넣은 경우는 세균수가 \( \mathrm{g} \) 당 100,000 이하, 대장균군이 \( \mathrm{g} \) 당 10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실제 유통되고 있는 이들 식품들을 대상으로 총균수, 대장균군 등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가 이용할 때에 이미 허용 기준치를 넘어섰으며, 이들 세균오염이 주요 원재료보다는 이들을 가공 조리 및 유통할 때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p>생선회, 패류 등의 해산물에서 주요 위해세균인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우리나라 연안에서도 해수 및 어패류에서 흔히 검출되고 있고 여름철에는 이러한 세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식품 위생상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의한 감염은 창상 등 피부를 통하는 경우도 일부 있으나, 대부분 어패류의 생식 즉 경구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저 있다. 따라서 수산물을 많이 섭취하고 또 생선회 등 어패류를 날 것으로 즐겨먹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이 식품위생 측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하겠다.</p><p>이번 연구는 이러한 해산물에 의한 식중독의 발생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부산 및 경남일대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 패류 등의 해산물을 대상으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S. aureus 및 L. monocytogenes 뿐만 아니라 검출사례가 보고된 E. coli O157:H7, Campylobacter jejuni와 Bacillus cereus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감소방안을 모색하여 식중독 예방에 활용하고자 한다.</p>
|
[
"2003년도 식중독 발생현황은 2002년도 대비 건수로 %인가?",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의한 감염 경로는?",
"본문에 주제는?",
"국내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균?",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의한 감염은 대부분 어디서 일어나는가",
"국내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균의 경로는 어떻게 되는가?",
"식중독 발생현황 중 제일 높은 것은?",
"2003년 식중독 환자 발생은 2002년 대비 %증가 하였는가?",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위생 처리하여 용기 포장에 넣은 경우 세균수가 g당 몇 이하인가?",
"우리의 식생활에서 식품위생 측면에서 비중이 높은 것은?",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위생 처리하여 용기 포장에 넣은 경우대장균군이 g당 몇 이하로 해야하나?",
"해산물에 의한 식중독의 발생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주된 유통된 곳은?",
"병원성 비브리오균 대부분 언제 빈번하게 나타나는가?",
"소비자가 유통식품에 있어서 식중동이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해산물 주요 위해세균 인 것은?",
"이번 연구를 통해 무엇을 하려하는가?"
] |
d17ce7d9-5ea9-482b-934e-58342c0f3af4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1>결과 및 고찰</h1><h2>식중독균별 검출율</h2><p>총 213 건의 시료를 대상으로 7종의 식중독 균에 대한 조사 결과, V. parahaemolyticus가 65건에서 검출되어 \( 30.5 \% \) 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B. cereus가 21건 \( (9.9 \%) \), S. aureus가 8건 \( (3.8 \%)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L. mono-cytogenes가 2건, C. jejuni 가 1건에서 검출되었으나, Salmonella spp.과 E. coli O157:H7 은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p><h3>월별 검출율</h3><p>매월 25여건의 시료에 대해 조사대상 식중독균의 월별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 Fig. 1에서 볼 수 있듯이 7~10월 사이의 하절기에 매우 높은 검출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높은 검출율이 대부분 V. parahaemolyticus에 기인됨을 알 수 있었다. B. cereus의 경우, 3월에서 11월까지 조사한 모든 달에서 비교적 일정한 검출율을 나타내어 기온에 크게 민감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V. parahaemolyticus의 경우는 3,4월에는 검출되지 않다가, 5월에 \( 6.3 \% \), 6월에 \( 9.1 \% \) 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7 월에서 10 월 사이에는 \( 50 \% \) 이상의 높은 검출율을 보여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검출율이 급격히 증가하 는 경향을 보였다.</p><p>실제 V. parahaemolyticus가 검출된 해산물의 대부분이 \( 100 \mathrm{cfu} / \mathrm{g} \)이하로 검출되어(data not shown) 이들 해산물 섭취로 인하여 식중독이 바로 발생한다고는 볼 수 없으나,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철저한 위해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 cereus도 조사한 모든 달에서 \( 10 \% \) 정도의 비쿄적 일정한 검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초밥의 어패류 부위 105건 중 11건 \( 10.5\%\)이 B. cereus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한 박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B. cereus는 물, 토양, 공기 등 자연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상재세균으로 식품에 흔입될 기회가 많아서, 이 균의 오염을 완전히 차단시키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B. cereus에 대한 좀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 한 것으로 판단된다.</p><h3>검채유형별 검출율</h3><p>검체유형별로 전체 식중독균의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 Fig. 2에서 보듯이 생선회에서 \( 28.9 \% \) 의 검출율을 보인 반면, 패류 등의 기타 수산물에서는 \( 49.2 \% \) 의 월등히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생선회에서는 V. parahaemolyticus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기타 해산물에서는 V. parahaemolyticus 뿐만 아니라 B. cereus도 비교적 높은 비율로 검출되어 전체 해산물에서의 주요 위해균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어패류에 있어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은 어종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으나, 패류가 어류보다 높았고, 특히 굴 등은 주위 해수보다 20~30배 가량 높다고 보고한 장 등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p><h3>판매업소별 검출율</h3><p>시료의 구입시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는 대형마트나 횟집을 대형 전문매장으로,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지 않고서 생선회 등을 판매하는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수산물시장의 경우를 소규모 영세업소로 구분하여 식중독균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Fig. 3에서 볼 수 있듯이, 대형 전문매장보다는 소규모 영세업소의 경우 월등히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횟감용 해산물에 기인한 식중독 사고의 감소를 위해 소규모 영세업소를 중심으로 지도 및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p>
|
[
"총 몇 건의 시료를 대상으로 했어?",
"7종의 식중독 균에 대한 조사에 사용된 시료의 갯수는 총 몇 가지인가요?",
"V. parahaemolyticus가 몇 건에서 검출됐어?",
"V. parahaemolyticus가 검출된 시료는 몇 가지인가요?",
"Salmonella spp.과 E. coli O157:H7 은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됐어?",
"모든 시료에서 Salmonella spp.과 E. coli O157:H7이 검출되었는가?",
"시료에 대해 조사대상 식중독균의 월별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 Fig. 2에서 볼 수 있는가?",
"Fig. 2를 통해 시료에 대해 조사대상 식중독균의 월별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를 볼 수 있는가?",
"동절기에 매우 높은 검출율을 보이고 있는가?",
"식중독균의 검출율은 동절기에 높은 수치를 보이나요?",
"B. cereus의 경우, 3월에서 11월까지 조사한 모든 달에서 불규칙적인 검출율을 나타내는가?",
"3월부터 11월까지 B. cereus는 비교적 들쑥날쑥한 검출율을 보이나요?",
"실제 V. parahaemolyticus가 검출된 해산물의 대부분이 어떻게 검출됐어?",
"V. parahaemolyticus가 검출된 해산물의 대부분은 어느 정도의 수치로 검출되었어?",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필요한 것은 뭐야?",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을 방지하려면 무엇을 준비해두어야 할까?",
"B. cereus도 조사한 모든 달에서 \\( 20 \\% \\) 정도의 비교적 일정한 검출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어?",
"조사한 모든 달에서 B. cereus는 \\( 20 \\% \\) 정도의 비교적 고른 검출율을 보였어?",
"검체유형별로 전체 식중독균의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는 어디에 나타냈어?",
"검체유형별로 전체 식중독균의 검출율을 조사한 결과는 무엇을 보고 알 수 있을까?",
"어패류에 있어서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은 어종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가?",
"어패류의 경우 V. parahaemolyticus의 검출 여부는 어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는 대형마트나 횟집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식중독균의 검출율을 비교하기 위해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는 대형마트나 횟집을 무엇으로 분류하였어?",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지 않고서 생선회 등을 판매하는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수산물시장의 경우를 가리키는 말은 뭐야?",
"활어수조를 갖추고 있지 않고서 생선회 등을 판매하는 재래시장이나 소규모 수산물시장을 무엇으로 분류하였을까?",
"더운 여름에 해산물을 먹고,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 필요한 절차는뭐야?",
"하절기 해산물 섭취 시,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필요한 것이 뭘까?",
"물, 토양, 공기 등 자연환경에서 흔히 발견되는 균은 뭐야?",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환경에서 쉽게 발견되는 균을 뭐라고 불러?"
] |
7c429f8e-9120-4d83-89e2-1f8d774b03aa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1>재료 밎 방법</h1><h2>실험재료 및 시료의 전처리</h2><p>2004년 3월부터 11월까지 부산 밎 경남일대의 횟집, 재래 시장, 대형유통점 등에서 광어(넙치), 우럭 등의 생선회 83건과 해삼, 우렁쉥이(멍게), 굴 등의 기타해산물 130 건(총 213건)을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구입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포장된 경우를 제외한 모돈 시료들은 sterile sampling bag을 사용하여 채춰하였고, \( 4^{\circ} \mathrm{C} \) 를 워지한 ice box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으며, 도착 즉시 실험에 사용하였다.</p><h2>식중독 원인균 분리시험</h2><p>식중독 원인균의 검출방법은 기본적으로 식품공전, 제7. 일반시험법, 8. 미생물시험법에 준하여 실험하였으며, 아울러 최종확인은 VITEK 32 system (bioMérieux, Marcy l'Etoile, France) 및 각종 API kit (bioMérieux)를 사용하였다. 각 균주 별 자세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p><h3>Salmonella spp. 분리</h3><p>검체 \( 25 \mathrm{~g} \)을 취하여 \( 225 \mathrm{ml} \)의 Buffered peptone water (Oxoid, England)에 가하여 \( 35^{\circ} \mathrm{C} \)에서 18시간동안 1차 증균시킨 후, 이 액 \( 1 \mathrm{ml} \)를 Selenite broth (Difco, U.S.A.)에 첨가하여 \( 35^{\circ} \mathrm{C} \)에서 18~24시간동안 2차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SS agar (Oxoid)에 접종하여 \( 35^{\circ} \mathrm{C} \)에서 18~24시간동안 배양한 후, 검은색의 전형적인 집락을 선택하여 혈액한천 배지(아산제약, Korea)에 이식하였다. 확인시험은 그람염색, 미생물자동동정기(VITEK 32 system) 및 혈청형 응집반응을 통해 최종 확인하였다.</p><h3>S. aureus 분리</h3><p>검체 \( 25 \mathrm{~g} \)을 \( 10 \% \mathrm{~NaCl} \)이 첨가된 Tryptic soy broth (TSB; BD, U.S.A.) \( 225 \mathrm{ml} \)에 가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18~24시간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난황을 첨가한 Mannitol salt agar(Difco)에 접종하여 \( 37^{\circ} \mathrm{C} \)에서 24~48시간 배양한 후, 혼탁한 백색환에 황색을 띄는 전형적인 집락을 선택하여 혈액한천 배지에 이식하였다. 그람염색 결과 포도상배열을 갖는 그람 양성 구균을 확인한 후, coagulase test 및 미생물자동동정기를 사용하여 최종 확인하였다.</p><h3>V. parahaemolyticus 분리</h3><p>검체 \( 25 \mathrm{~g} \) 을 취하여 \( 2 \% \mathrm{~NaCl} \) 이 첨가된 \( 1 \% \) 펩톤수 \( 225 \mathrm{ml} \)에 가하여 \( 35^{\circ} \mathrm{C} \) 에서 18~24시간 동안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Thiosulfate Citrate Bile Salt Sucrose (TCBS) agar (Difco)에 접종하여 \( 35^{\circ} \mathrm{C} \)에서 18~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녹색의 전형정인 집락을 선택하여 \( 3 \% \mathrm{~NaCl} \) 이 첨가된 Nutrient agar (Difco)에 이식하였다. 확인시험은 oxidase 반응 및 미생물자동동정기를 사용하여 최종 확인하였다.</p><h3>E. coli O157:H7 분리</h3><p>검체 \( 25 \mathrm{~g} \)을 취하여 novobiocin을 첨가한 mEC broth (Difco) \( 225 \mathrm{ml} \)에 가하여 \( 35^{\circ} \mathrm{C} \)에서 18~24시간 동안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Sorbitol MacConkey agar (Difco)에 접종하여 \( 35^{\circ} \mathrm{C} \) 에서 18~24시간 배양한 후, 맥젹의 전형적인 집락을 선택하여 혈액한천배지에 이식하였다. 미생물자동동정기를 사용하여 대장균임을 확인한 후, 혈청형 응집반응을 통해 최종 확인하였다.</p><h3>L. monocytogenes 분리</h3><p>검체 \( 25 \mathrm{~g} \)을 취하여 \( 225 \mathrm{ml} \)의 Listeria enrichment broth (Difco)에 가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동안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Oxford agar (Difco)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회색의 의심집락이 확인되면 \( 0.6 \% \) yeast extract (Difco)가 포합된 Tryptic soy agar (TSA; BD)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확인시험은 CAMP test 및 API Listeria (bioMérieux)를 통해 확인하였다.</p><h3>C. jejuni 분리</h3><p>검체 \( 25 \mathrm{~g} \)을 취하여 \( 5 \% \) horse blood와 항생제가 포함된 Bolton broth (Oxoid) \( 225 \mathrm{ml} \) 에 가하여 \( 35^{\circ} \mathrm{C} \) 에서 3 시간동안 미호기적으로 1차 증균 배양한 뒤, \( 42^{\circ} \mathrm{C} \)에서 24~48시간 미호기적으로 2차 증균 배양하였다. 증균 배양액을 Abeyta-Hunt agar (Oxoid)에 접종하여 \( 42^{\circ} \mathrm{C} \)에서 \( 24~48시간 미호기적으로 배양한 후에 원형 또는 불규칙적한 형태로써 반투명한 흰색 또는 투명한 전형적인 집락울 선별하여, 항생제를 넣지 않은 Abeyta-Hunt agar에 배양하였다. Catalase와 oxidase test 및 API Campy (bioMérieux)를 통해 확인하였다.</p><h3>B. cereus 분리</h3><p>B. cereus의 검출은 Kim 등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시료 \( 25 \mathrm{~g} \)을 취하여 \( 100 \mathrm{IU} / \mathrm{ml} \) 의 Polymyxin B를 첨가한 \( \mathrm{TSB} \) 배지 \( 225 \mathrm{ml} \) 에 가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증균 배양한 후, Mannitol egg yolk polymyxin (MYP) agar (Oxoid)에 접종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MYP Agar에서 분홍색의 혼탁한 환을 갖는 전형적인 집락들을 선별하여 혈액한천배지에 이식하였고, \( 30^{\circ} \mathrm{C} \)에서 24시간 배양 후 그람을 실시하여 그람양성의 긴 간균으로, oxidase 음성 및 \( \beta \)- 용혈성을 보이며 rhizoid growth를 보이지 않는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은 61개의 생화학적 시험들을 통해서 동정 되었으며, data는 APILAB Plus software V3.3.3.로서 처리되었다. API 50 CHB를 사용하여 49개의 당발효능을 조사하였고, API 20E를 사용하여 12가지의 생화학적 시험(ONPG, ADH, LDC, ODC, CIT, \( \mathrm{H}_{2} \mathrm{S} \), URE, TDA, IND, VP, GEL and NIT) 을 행하였으며, 실험은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다. 혈액한천배지에 배양함으로써 rhizoid growth 및 \( \beta \)-he-molysis 유 · 무를 확인하였고, oxidase test는 filter paper상에서 Oxidase reagent (bioMérieux)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운동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 0.1 \% \) beef extract를 첨가한 Motility test medium (Difco)를 사용하여 \( 30^{\circ} \mathrm{C} \)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관찰하였다.</p>
|
[
"실험재료로 사용할 생선회와 기타해산물을 구입한 시기는 언제인가?",
"실험을 위해 생선회와 기타해산물을 구매한 시기는 언제인가?",
"실험에 사용되는 재료를 구매한 지역은 어디인가?",
"실험에 사용되는 재료는 어느 지역에서 구입했는가?",
"실험재료로 구입한 213건 중 생선회와 기타해산물 중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생선회와 기타해산물 중 실험재료로 구입한 213건에서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다음 중 기타해산물이 아닌 생선회로 분류되는 것은 무엇인가?",
"기타해산물이 아닌 생선회로 분류되는 것을 쓰시오.",
"실험재료를 구입한 곳은 어느 판매점인가?",
"어느 판매점에서 실험재료를 구입했는가?",
"포장되지 않은 모든 실험재료는 어떠한 방식을 통해 실험실로 운송되었는가?",
"어떤 방식을 통해 포장되지 않은 시료들을 채취하고 실험실로 배송했는가?",
"시료 운반시 사용한 ice box의 온도는 얼마인가?",
"시료를 운송할 때 ice box의 온도는 몇도로 유지되었는기?",
"포장되지 않은 시료는 무엇을 통해 채취하였는가?",
"무엇을 사용해 포장되지 않은 시료를 채취했는가?",
"다음 중 포장되지 않은 시료가 실험실까지 운반되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실험실까지 포장되지 않은 시료를 옮기는 과정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식중독 원인균의 검출방법의 기반이 된 시험법으로 옳은 것은?",
"식중독 원인균의 검출방법은 어떠한 시행법을 기반으로 하는가?",
"식품공전, 제7. 일반시험법, 8. 미생물시험법을 통해 무엇을 실험하였는가?",
"식품공전, 제7. 일반시험법, 8. 미생물시험법을 통해 실험한 것은 무엇인가?",
"식중독 원인균 검출의 최종확인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식중독 원인균 검출은 무엇을 사용해 최종확인하는가?",
"Salmonella spp.분리 과정에서 1차 증균시킬 때, 검체를 취하여 어디에 가하는가?",
"Salmonella spp.분리 과정에서 1차 증균시킬 때, 검체를 취해 가하는 곳은 어디인가?",
"Salmonella spp.분리 과정에서 Selenite broth를 사용하는 것은 몇 번째 증균 배양인가?",
"elenite broth를 사용하는 것은 Salmonella spp.분리 과정 중 몇 번째 증균 배양인가?",
"증균 배양액을 SS agar (Oxoid)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에는 어디에 이식해야 하는가?",
"증균 배양액을 SS agar (Oxoid)에 접종하여 배양한 후 이식하는 곳은 어디인가?",
"증균 배양액을 혈액한천 배지에 이식할 때, 어떠한 집락을 선택해야 하는가?",
"증균 배양액을 혈액한천 배지에 이식할 때 선택해야하는 집락은 어떤 것인가?",
"Salmonella spp.분리 과정에서 확인시험을 진행할 때, 옳지 않은 확인 방식은 무엇인가?",
"Salmonella spp.분리 과정에서 확인시험을 실행할 때 틀린 확인 방식은 무엇인가?",
"Salmonella spp. 분리에서 증균 배양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Salmonella spp. 분리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증균 배양을 하는가?",
"증균 배양액을 SS agar에 접종해 배양한 후 혈액한천 배지에 이식하게 되는데, 이때 배양하는 온도는 어떻게 되는가?",
"증균 배양액을 SS agar에 접종해 배양한 후 혈액한천 배지에 이식할 때 어떠한 온도에서 배양을 진행하는가?",
"Salmonella spp.분리 확인시험은 무엇을 통해 진행하게 되는가?",
"Salmonella spp.분리 확인시험은 어떠한 반응을 통해 시행되는가?",
"S. aureus 분리 과정에서 검체를 무엇이 첨가된 Tryptic soy broth에 가하는가?",
"S. aureus 분리 과정에서 무엇이 첨가된 Tryptic soy broth에 검체를 첨가하는가?",
"S. aureus 분리 과정 중 검체를 10%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액체에 가한 뒤, 몇 도에서 몇 시간 증균 배양하는가?",
"S. aureus 분리 과정 중 검체를 10% 염화나트륨이 첨가된 액체에 가한 후 증균 배양하는 시간과 온도는 무엇인가?",
"본문 속 TSB는 무엇의 약자인가?",
"본문 속 TSB는 무엇의 줄임말인가?",
"S. aureus 분리를 하고자 할 때, 검체를 증균 배양한 후에는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S. aureus 분리 시, 검체를 증균 배양한 후에는 어떤 단계를 거치는가?",
"S. aureus 분리에서는 증균 배양액을 어디에 접종하는가?",
"S. aureus 분리에서는 증균 배양액을 접종하는 곳은 어디인가?",
"S. aureus 분리 결과 중 그람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람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S. aureus 분리 결과는 무엇인가?",
"S. aureus 분리의 최종 결과를 확인할 때 어떠한 것을 사용하는가?",
"S. aureus 분리의 최종 결과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에서는 검체를 취해 어디에 가하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에서 검체를 무엇에 가해 증균 배양하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의 증균 배양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 시 어떻게 증균 배양하는가?",
"TCBS는 무엇의 약자인가?",
"TCBS는 무엇의 줄임말인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에서 증균 배양액을 Difco에 접종하여 배양한 뒤, 어떠한 집락을 선택해 Difco에 이식하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에서 증균 배양액을 Difco에 접종하여 배양한 뒤 어떤 집락을 Difco에 이식하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의 최종 확인은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V. parahaemolyticus 분리는 무엇으로 최종 확인하는가?",
"novobiocin을 첨가한 mEC broth (Difco) \\( 225 \\mathrm{ml} \\)에 검체를 가하여 증균 배양하는 분리법은 무엇인가?",
"검체를 novobiocin을 첨가한 mEC broth (Difco) \\( 225 \\mathrm{ml} \\)에 가해 증균 배양하는 분리법은 무엇인가?",
"E. coli O157:H7 분리에서 증균 배양한 것을 혈액한천배지에 이식할 때, 어떠한 과정을 거친 것인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E. coli O157:H7 분리에서 증균 배양한 것을 혈액한천배지에 이식하는가?",
"미생물자동동정기를 사용하여 대장균임을 확인하는 방법은 어떤 분리법인가?",
"어떤 분리법을 사용해 미생물자동동정기를 사용하여 대장균임을 확인하는가?",
"L. monocytogenes 분리에서 검체를 증균 배양할 때 몇 도의 온도에서 진행하는가?",
"L. monocytogenes 분리에서 검체를 증균 배양할 때의 온도는 얼마인가?",
"L. monocytogenes 분리에서는 증균 배양액을 어떤 것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회색 의심집락이 발견되면 어떤 것에 접종하여 또 배양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L. monocytogenes 분리에서는 증균 배양액을 어떤 것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회색 의심집락이 발견되면 어떤 것에 접종하여 또 배양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어떻게 되는가?",
"CAMP test 및 API Listeria (bioMérieux)를 통해 확인시험을 진행하는 것은 어떤 분리인가?",
"CAMP test 및 API Listeria (bioMérieux)를 통해 무엇을 확인시험하는가?",
"C. jejuni 분리에서는 검체를 두 번에 걸쳐 배양하는데, 이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C. jejuni 분리에서는 검체를 두 번에 걸쳐 배양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C. jejuni 분리로 배양한 증균에서 선별하는 집락은 어떠한 집락인가?",
"C. jejuni 분리로 배양한 증균에는 어떤 집락을 선별하는가?",
"C. jejuni 분리는 어떤 방법을 통해 확인시험을 진행하는가?",
"C. jejuni 분리 확인실험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가?"
] |
5667fb51-f534-447a-b29f-eafa8508e72e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2>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육 pattern 분석</h2><p>다양한 횟감용 수산물에서의 미생물 위해 관리를 위해 온도와 시간의 요소는 실제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중요한 관리요소(critical control point)라는 판단에서 V. parahaemolyticus 및 B. cereus로 동정된 분리균을 대상으로 광어회와 멍게에 직접 spiking하여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육 pattern을 조사하였다.</p><p>Fig. 4는 V. parahaemolyticus의 생육 pattern으로 하절기 실온인 \( 20^{\circ} \mathrm{C} \)와 한낮의 외기온도인 \( 30^{\circ} \mathrm{C} \)에서는 V. parahaemolyticus의 급격한 생육을 보인 반면, \( 4^{\circ} \mathrm{C} \) 에서 배양시는 오히려 균수에서 감소를 보였으며, 식품공전상의 냉장온도인 \( 10^{\circ} \mathrm{C} \) 에서 보관시는 약한 생육이 관찰됨에 따라 V. parahaemolyticus의 생육은 특히 저온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Lee 등은 \( 4^{\circ} \mathrm{C} \)에서 \( 66 \sim 81 \% \) 의 감소율을, \( -20^{\circ} \mathrm{C} \) 이하의 냉동보관에서는 \( 90 \% \) 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내어, 해산물의 저온보관 및 유통이 장염비브리오 식중독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Fig. 5는 B. cereus의 생육 pattern으로, B. cereus는 조사대상 온도범위에서 7시간까지는 전(全) 온도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균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름철 실내은도인 \( 20^{\circ} \mathrm{C} \)와 한낮의 외기온도인 \( 30^{\circ} \mathrm{C} \)에서 보관시에는 B. cereus의 급속한 증식이 나타나, B. cereus의 생육도 온도와 시간에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p><p>이러한 결과들은 생선회 및 패류 등의 기타 해산물이 식중독 세균에 좋은 생육배지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주요 위해세균들의 생육이 보관온도와 시간에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특히 여름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높아질 때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가능성이 상재하고 있어 식중독 예방을 위해선 보존 및 유통과정에서의 \( 10^{\circ} \mathrm{C} \)이하의 저온보존이 팔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p>
|
[
"횟감용 수산물에서의 미생물 위해 관리를 위해 온도와 시간의 요소는 어떤 방법으로 조사했어 ?",
"어떠한 방법으로 횟감용 수산물에서의 미생물의 관리를 위한 온도 및 시간 요소로 조사가 이루어졌어 ?",
"parahaemolyticus가 어떤 환경에서 배양됐을때 균수 감소효과를 보였어 ?",
" 어떤 환경에서 parahaemolyticus가 배양됐을때 균수 감소효과를 나타냈는가 ?",
"\\( -20^{\\circ} \\mathrm{C} \\)이하의 냉동보관에서는 V. parahaemolyticu의 생육 패턴이 어떻게 돼 ?",
" V. parahaemolyticu는 −20∘C이하의 냉동보관하에서의 생육 패턴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B. cereus의 급속한 증식이 나타나는 온도는 몇도야 ?",
"몇도의 온도에서 B. cereus의 급속한 증식이 보여지는가?",
"식중독 예방을 위해 보존 및 유통과정에서 온도를 어떻게 설정해야해 ?",
"어떻게 온도를 설정하여야 식중독 예방을 위해 보존 및 유통과정이 가능한거니?",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육 pattern은 어떤 방법으로 조사됐어 ?",
"어떤 방법을 통하여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육 pattern의 조사가 이루어 진거니?",
"7시간까지는 전(全) 온도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균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균은 뭐야?",
"7시간까지는 전(全) 온도 범위내에서 대부분 일정한 균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어떤 균이니?",
"\\( 4^{\\circ} \\mathrm{C} \\) 에서 배양시 균수에서 감소를 보인 균주는 뭐야?",
"4∘C 에서 배양할 때 균수에서 감소를 보인 것은 어떤 균주인 거니?"
] |
cd3db671-953c-4c3a-a41b-bc2b3e3a1b1f
|
생명LA
|
해산물식품 중 식중독원인균의 오염패턴 및 저감화 방안
|
<h1>요 약</h1><p>부산 및 경남일대에서 널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 패류 등의 횟감류 213건을 대상으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57:H7, Bacillus cereus, Listeria onocytogenes 및 Campylobacter jejuni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V. parahaemolyticus가 65건 (\( 30.5 \% \)), B . cereus가 21건(\( 9.9\% \)), S. aureus가 8건 (\( 3.8 \% \)) 및 기타 식중독균이 3건에서 검출되었다.이를 월별 검출율로 비교해 보면, 7~10월에서 식중독균의 높은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높은 검출율은 주로 V. parahaemolyticus에 기인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생선회에서의 검출율(\( 28.9 \% \))보다는 패류 등의 기타 횟감류에서 더욱 높은 검출율 (\(49.2 \% \)) 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Ampicillin (96.9\%), Amikacin (\(29.2\% \)) 및 Tetracycline (\(27.7 \%\))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의 경우는 Ampicillin (\(100\% \)), Penicillin G (\( 100 \% \)) 및 Rifampicin (\(71.4\% \))에 대해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arahaemolyticus와 B. cereus의 생육은 보관온도 및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 세척이 해산물에 잔존하는 V. parahaemolyticus의 균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예방을 위해서 \( 10^{\circ} \mathrm{C} \) 이하의 저온보관과 수돗물로써의 철저한 세척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p>
|
[
"가장 많이 검출된 식중독균은 무엇이야?",
"어떤 식중독균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나?",
"V.parahaemolyticus와 B.cereus 모두에서 내성을 나타낸 물질은 무엇인가?",
"V.parahaemolyticus와 B.cereus 에서 전부 내성을 나타낸 물질은 어떤 물질인가?",
"해산물에 잔존하는 V.parahaemolyticus의 균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해산물에 잔존하는 V.parahaemolyticus의 균수를 어떤 방법으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가?",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해 적절한 보관온도는 몇 도 이하인가?",
"여름철 해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 발생 예방을 위해 몇 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적절한가?",
"가장 식중독균이 높게 검출되기 시작하는 월은 몇 월인가?",
"식중독균이 가장 높게 검출되기 시작한 것은 몇 월인가?",
"생선회에서 검출된 V.parahaemolyticus의 비율은 몇 퍼센트인가?",
"생선회에서 V.parahaemolyticus 비율 몇 퍼센트가 검출되었나?"
] |
merge_la_8a2ae4d1-ce4e2ce5-18c7-4683-b584-84df91194818_04
|
생명LA
|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재조합 Helicobacter pylori urease의 분리 정제
|
<h1>결과 및 고찰</h1> <p>의약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Helicobacter pylori urease를 재조합 plasmid를 이용하여 다량의 고 순도의 재조합 효소를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크로마토그라피 과정을 통하여 효소를 고도 정제하기 위하여 항원-항체 간의 상호 작용 또는 기질-효소 간의 결합 친화력를 바탕으로 한 affinity column을 이용한 간편한 정제 방법의 개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p> <p>먼저, 정제한 rabbit anti-H. pylori urease IgG를 CNBr-activated Sepharose 수지에 coupling시켜서 제조한 column에 핵산성분 등 기타 세포 내 고분자를 제거하기위해 DEAE-Sepharose column으로 1차 정제한 재조합H. pylori urease 함유 시료를 적용시켜 보았을 때, 항원-항체 반응이 매우 강력하게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즉, col-umn을 초기 적용 완충액인 PED ( \( \mathrm { pH } 7.2 \))로 충분히(4배 col-umn 부피) 세척한 후에 \( 1 \mathrm { ~M } \) KCI, \(20 \% \) DMSO를 각각 함유하는 PED( \( \mathrm { pH } ~7.2 \)) 완충액, 냉 초순수 (Milipore 급) 등으로 각각 용출시켜 보았으나 urease활성이나 단백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 1 \mathrm { ~N } \) NaOH 용액을 가하였을 때에야 높은 \( \mathrm { pH } \)에 의해 활성이 소실된 H. pylori urease가 용출되어 나옴을 분획의 SDS-polyacrylamide 전기 영동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출 용매의 \( \mathrm { pH } \) 변화에 의거하여 항체 affinity chromatography column에흡착된 urease를 분리할 수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ED ( \( \mathrm { pH } ~7.2 \))완충액으로 시료를 다시 적용한 후 \( 100 \mathrm { ~mM } \) glycine HCl ( \( \mathrm { pH } ~3.2 \)) 및 \( 100 \mathrm { ~mM } \) 탄산 ( \( \mathrm { NaHCO } _ { 3 } - \mathrm { Na } _ { 2 } \mathrm { CO } _ { 3 } \), \( \mathrm { pH } ~10.5 \)) 완충액으로 각각 용출한 결과 \( 100 \mathrm { ~mM } \) 탄산 완충액에서 Fig. 1의 \( 12 \% \) SDS- polyacrylamide 전기 영동의 결과에 제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순수한 urease효소가 분리됨을 확인 하였다(lane 4). 그러나 정제된 효소는 column에서 분리된 직후, 다량의 중성 인산 완충액으로 즉시 투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비활성 (specific activity)이 \( 35.8 \mathrm { ~U } / \mathrm { mg } \)으로서 외견상 정제된 정도에 비하여 다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높은 \( \mathrm { pH } \)에의 노출이 효소 활성의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항원-항체 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는 그 해리 상수가 \( 10 ^ { -8 } \sim 10 ^ { -12 } \mathrm { ~M } \)로 매우 높아서 통상적으로 꽤 혹독한 조건 하에서만 용출되는 예가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DEAE-Sepharose column으로 1차 정제한 시료를 urease효소의 기질인 urea를 epoxy- activated Sepharose 6B에 coupling시킨 epoxy-urea affinity column에 적용하여 기질-효소 간의 친화력을 이용하여 호소를 정제하고자 하였다. Epoxy-activated Sepharose 6B는 Sepharose 6B resin에 1,4bis-(2, 3-epoxypropxy-) butane과 같은 비교적 긴 친수성 spacer arm을 함유하고 있으며, -OH, -SH 혹은 \(- \mathrm { NH } _ { 2 } \) 기를 함유한 저 분자량의 리간드를 coupling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앞의 항체-affinity chromatography에서와는 대조적으로, 결합되었던 효소가 본래의 기질을 함유한 \( 100 \mathrm { ~mM } \) urea-HEB ( \( \mathrm { pH } ~7.5 \)) 완충액으로 용이하게 용출되었는데 비교적 높은 순도와 비활성 ( \( 87.9 \mathrm { ~U } / \mathrm { mg } \)) 의 urease 효소를 얻을 수 있었다 (Table 1). 단지 이 경우에는 urease의 smaller subunit인 UreA peptide band의 강도가 다소 감소한 것이 관찰되었으나 그 이유는 분명치 않다 (Fig. 2, lane 4).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이 항체 및 기질을 이용한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의약학적으로 중요한 H. pylori urease를 간단한 방법으로 정제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는데 항체 affinity chromatography의 경우 효소의 천연 활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좀더 온화한 용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p> <table border><caption>Table 1. Affinity purification of the recombinant H. pylori urease from E. coli BL21(pHU1013).</caption> <tbody><tr><td>Purification steps</td><td>Specific activity ( \( \mathrm { ~U } / \mathrm { mg } \))</td><td>Purification (fold)</td></tr><tr><td>Crude extract</td><td>5.7</td><td>1.0</td></tr><tr><td>DEAE-Sepharose</td><td>28.9</td><td>5.1</td></tr><tr><td>CNBr-Sepharose-Anti-urease-IgG *</td><td>35.8</td><td>6.3</td></tr><tr><td>Epoxy-Sepharose-Urea *</td><td>87.9</td><td>15.4</td></tr></tbody></table>
|
[
"Crude extract인 경우 Specific activity ( \\mathrm { ~U } / \\mathrm { mg } U/mg)는 뭐야?",
"Crude extract의 Specific activity 값은?",
"Crude extract일때 Purification (fold)는 무엇일까?",
"Crude extract의 Purification값은?",
"Purification steps가 DEAE-Sepharose이면 Specific activity ( \\mathrm { ~U } / \\mathrm { mg } U/mg)값은 뭐야?",
"Purification steps의 DEAE-Sepharose 경우, Specific activity값은?",
"DEAE-Sepharose이면 Purification (fold)의 값은 뭐지?",
"DEAE-Sepharose의 Purification 값은?",
"Purification steps가 CNBr-Sepharose-Anti-urease-IgG *일때 Specific activity ( \\mathrm { ~U } / \\mathrm { mg } U/mg)의 값은 몇이야?",
"Purification steps의 CNBr-Sepharose-Anti-urease-IgG *경우 Specific activity 값은?",
"Purification steps가 CNBr-Sepharose-Anti-urease-IgG *인 경우 Purification (fold)는 뭐야?",
"Purification steps의 CNBr-Sepharose-Anti-urease-IgG *인 경우 Purification값은?",
"Epoxy-Sepharose-Urea *의 Specific activity ( \\mathrm { ~U } / \\mathrm { mg } U/mg)값은 몇인가?",
"Epoxy-Sepharose-Urea *의 Specific activity 값은?",
"Epoxy-Sepharose-Urea *일때 Purification (fold)의 값은 무엇인가?",
"Epoxy-Sepharose-Urea *의 Purification 값은?"
] |
b1cb943f-feb5-48d5-9db1-9966f77f7f2d
|
생명LA
|
능이버섯에서의 lanosterol과 ergosterol의 확인
|
<h1>결과 및 고찰</h1><p>Fig. 1에서와 같이 능이의 methanol 추출한 성분을 1차 TLC로 분석한 결과, 9가지의 분획으로 나뉘어젔고 이 중 band의 수가 많은 2 와 3 의 분획에 대한 2차 TLC분석을 한 결과, 2분획과 3분획에서 각각 6개의 새로운 분획을 관찰할 수 있었다.</p><p>또한 mass spectrophotometer에서 확인된 분자들로서 ergost-7-en-3-ol( \( \left.\mathrm{C}_{28} \mathrm{H}_{18} \mathrm{O}\right) \) 과 27,28-dihydrolanosterol( \( \left.\mathrm{C}_{30} \mathrm{H}_{52} \mathrm{O}\right) \)이 확인되었고(Fig. 2 and 3), 그들의 분자량은 lanosterol이 413 이고 ergosterol이 400이었다.</p><p>능이버섯의 성분 분석은 Park에 의하여 아미노산과 mineral분석이 이루어진 것 외에는 주로 능이의 pro-tease에 관한 연구들이다. Park에 의한 아미노산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리아미노산이 21증, 산가수분해물의 전아미노산이 22종이었으며 희 귀아미노산으로 ornithine, \(\alpha\)-amino-butric acid가 확인되었다. 또한 단백질함량은 \(31.5\%\)였고 다당류의 함량은 \( 25 \%, 52.8 \% \) 였다. mineral분석에서 \( \mathrm{Ca} \), \( \mathrm{Mg}, \mathrm{Fe}, \mathrm{Ca} \) 등 11종이 함유되어 있음이 밦혀젔다. 최근에는 능이에서 암세포의 괴사를 일으키는 TNF-\(\alpha\) 를 생성케하는 fucogalactan이라는 mitogen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Ergosterol은 맥각, 버섯 등에서 발견되며 이들에게서 생체막의 구성성분이 된다. 이들에게서 보고된 ergosterol은 분자식이 \( \mathrm{C}_{28} \mathrm{H}_{44} \mathrm{O} \)이나 능이는 \( \mathrm{C}_{28} \mathrm{H}_{48} \mathrm{O} \)이고 이중결합의 수나 위치 등에 차이를 나타내어 이성질체로 보여진다. Er-gosterol과 lanosterol은 진균류에서 2차대사산물로 isopre-noid 대사경로를 거쳐 합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능이의 경우도 같은 2차대사 산물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에 lanosterol은 버섯의 독소나 냄새 등의 성분합성의 전구물질이 되기 때문에 능이에서의 독특한 향기나 색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ergosterol은 비타민 \( \mathrm{D}_{2} \)의 모체가 되는 깃으로 인체의 골격, 치아, 내장의 발욱에 관계하며, 칼슘과 인의 홉수를 촉진하며 골연화증의 개선, 혈당강하효과가 있고 ergosterol산화유도체 1종은 항암작용(Hella 세포증식억제작용)과 세포독성에 의한 세포종 식저지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현재 능이에서 확인된 ergost-7-en-3-ol( \( \left.\mathrm{C}_{28} \mathrm{H}_{48} \mathrm{O}\right) \) 과 27,28-dihydrola-nosterol \( \left(\mathrm{C}_{30} \mathrm{H}_{52} \mathrm{O}\right) \)에 대하여 다른 약리기능효과의 검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p>
|
[
"능이버섯에서 추출한 성분을 1차로 분석한 도구는 무엇인가?",
"어떤 도구를 사용하여 능이버섯 추출 성분을 1차로 분석하였는가?",
"9가지 분획 중 밴드의 수가 여러개인 2와 3의 분획에 대해 몇 차 분석을 실행했어?",
"2와 3 분획 중 밴드의 수가 여러개인 것에 대해 9가지 분획 중 몇 차 분석을 실행했습니까?",
"2분획에서만 발견된 새로운 분획의 개수는 몇 개인가?",
"2분획에서만 발견되는 새로운 분획은 몇 개인가?",
"mass spectrophotometer에서 확인된 lanosterol의 분자량은 몇 개인가?",
"mass spectrophotometer에서 lanosterol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anosterol과 ergosterol의 분자량을 비교하면 어느쪽이 더 많은가?",
"anosterol과 ergosterol중 어느 쪽에 분자량이 더 많은가?",
"능이버섯 성분 중 아미노산과 mineral 성분을 분석한 사람은 누구인가?",
"능이버섯 성분 중 아미노산과 mineral 성분을 분석한 사람의 이름은 무엇인가?",
"기존에 이루어진 능이버섯에 관한 분석은 대다수가 어떤 물질을 연구했나?",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능이버섯 분석 중 어떤 물질에 대해 연구했나?",
"유리아미노산은 총 몇 종이 존재하나?",
"아미노산 분석결과에 따르면 유리아미노산은 몇 종이 발견되었는가?",
"산가수분해물의 전아미노산 종의 수는 어느 물질보다 많은가?",
"산가수분해물의 전아미노산 종류는 어느 물질보다 수가 많나요?",
"희귀아미노산에 속하는 것들의 이름은 무엇인가?",
"어떤 것들이 희귀아미노산에 속하는가?",
"단백질 함량은 얼마로 조사되었나?",
"단백질 함량은 몇 퍼센트인가?",
"다음 중 미네랄 종류인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미네랄 종류인가?",
"fucogalactan은 어느 물질 종류에 속하는가?",
"fucogalactan이 속하는 물질 종류는 무엇인가요?",
"fucogalactan는 무엇을 생성시킬 수 있나?",
"fucogalactan이 어떤 것을 생성하나요?",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물질의 이름은 뭐야?",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맥각의 생체막을 이루는 구성 성분의 이름이 뭐야?",
"맥각의 생체막을 구성하는 성분은 무엇인가요?",
"Ergosterol은 어디에서 찾아낼 수 있어?",
"Ergosterol은 어디에서 얻을 수 있어?",
"\\( \\mathrm{C}_{28} \\mathrm{H}_{44} \\mathrm{O} \\) 분자식은 어느 물질의 것인가?",
"\\( \\mathrm{C}_{28} \\mathrm{H}_{44} \\mathrm{O} \\) 분자식은 어느 물질에 해당하는가?",
"ergosterol는 능이와 비교 시, 무엇으로 추정되나?",
"ergosterol을 능이와 비교하면, 어떤 것으로 보여지나요?",
"Er-gosterol과 lanosterol이 합성되는 방법은 뭐야?",
"Er-gosterol과 lanosterol이 어떻게 합성되나요?",
"2차 대사 산물로 추측되는 것의 이름은 뭐야?",
"무엇이 2차 대사 산물로 추측되나요?",
"버섯의 독소 성분합성의 전구물질로 쓰이는 것은 이름이 무엇인가?",
"버섯의 독소 성분합성에 사용되는 전구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독특한 향이나 색소와 유관할 것으로 추측되는 물질의 이름은 뭐야?",
"독특한 향과 색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골격, 치아, 내장 발육과 연결되는 물질은 이름이 무엇인가?",
"골격, 치아 및 내장 발육과 관련된 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혈당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는 물질로 언급된 것은 뭐야?",
"혈당을 떨어트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어떤 물질이 언급되었나요?",
"ergosterol산화유도체 1종의 효능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ergosterol산화유도체 1종의 효능인가?",
"능이버섯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된 두 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능이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두 물질의 이름은 무엇인가?",
"ergost-7-en-3-ol에 향후 기대되는 기능은 무엇인가?",
"ergost-7-en-3-ol의 향후에 예상되는 기능은 무엇인가?",
"맥각, 버섯 등에서 발견되는 성분은 분자식이 무엇인가?",
"맥각, 버섯 등에서 발견되는 성분의 분자식은 무엇인가?",
"Park은 어떻게 능이버섯에서 유리아미노산 21종을 발견할 수 있었어?",
"Park이 능이버섯에서 유리아미노산 21종을 발견할 수 있었던 방법은 무엇인가?",
"lanosterol이 2차대사산물로 합성되려면 어떻게 해야 돼?",
"lanosterol을 2차대사산물로 합성하려면 어떤 방법을 거치나요?"
] |
0c6a7e58-e1a8-40f6-93a6-9ecb68895952
|
생명LA
|
능이버섯에서의 lanosterol과 ergosterol의 확인
|
<h1>요약</h1><p>능이버섯의 methanol추출물에 대한 TLC와 gas chro-matography, 그리고 mass spectrophotometer분석을 실시하였다. 1차 methanol추출물에서 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1 차분석에 의한 분획물 중 두번째 분획과 세번째 분획에 대한 2 차 TLC 분석 결과, 각각에서 6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2차분석물에 대한 mass spectrophotometer에 의하여 27, 28-dihydrolanosterol \( \left(\mathrm{C}_{30} \mathrm{H}_{52} \mathrm{O}\right) \) 과 ergost-7-en-3-ol \( \left(\mathrm{C}_{28} \mathrm{H}_{48} \mathrm{O}\right) \)이 확인되었다. 27, 28-dihydrolanosterol \( \left(\mathrm{C}_{30} \mathrm{H}_{52} \mathrm{O}\right) \) 과 ergost-7 -en-3-ol \( \left(\mathrm{C}_{28} \mathrm{H}_{48} \mathrm{O}\right) \) 의 분자량은 각각 413과 400 이었다.</p>
|
[
"실험은 어느 식물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
"다음 실험은 어떤 식물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
"능이버섯에서 추출한 어느 성분에 대해 분석한 실험인가?",
"능이버섯에서 어느 성분을 추출해 분석한 실험인가?",
"methanol추출물에 실시한 세 가지 분석 방법은 무엇인가?",
"능이버섯의 methanol추출물에 실시한 세 가지 분석 방법은 무엇인가?",
"1차 methanol 추출물에서 발견된 분획의 개수는 몇 개인가?",
"1차 methanol 추출물에서 발견된 분획의 개수는 몇 개인가?",
"두 번째 분획과 세 번째 분획에 대해 2차로 어떤 분석을 거쳤나?",
"두 번째 분획과 세 번째 분획은 어떤 방법으로 분석하였나?",
"두 번째 분획에서 발견된 분획의 개수는 몇 개인가?",
"두 번째 분획에서 발견된 분획의 개수는 몇 개인가?",
"2차 분석물에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2차 분석물에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ergost-7 -en-3-ol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ergost-7 -en-3-ol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413은 어느 물질의 분자량을 의미하나?",
"413은 어떤 물질의 분자량을 말하는 것인가?"
] |
bbf9b183-9554-4d1d-bf33-70d6693f777f
|
생명LA
|
능이버섯에서의 lanosterol과 ergosterol의 확인
|
<h1>서 론</h1><p>근래 버섯에서 항암성, 항균성, cholesterol저하, 고혈압 치료, 면역강화 등 다양한 약리기능물질들이 발견됨에 따라 버섯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992여종의 버섯 중, 능이는 민무늬주름버섯목, 굴뚝버섯과에 속하며 9~10 월초에 걸쳐 주로 활엽수림에서 자생하고 있는 버섯으로 식용과 악용으로 같이 사용하던 버섯이다. 민간과 한방에서는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이를 복용하여 왔다. 이러한 능이의 약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Lee는 능이버섯 중에 다량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밝혀내었다. Eun 등은 능이버섯 중에 함유된 단백질 소화 활성이 다른 수종의 식용버섯에 비하여 월등하게 강하고, 그 특성은 alkaline protease임을 확인하였다. Park은 능이버섯에서 효소분획을 추출한 후 casein을 위시하여 수종의 식품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실험을 시행한 결과, 여러 기질에 대해 표준 pepsin과 거의 동일한 역가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Yang 등은 proteolytic enzyme의 안정성과 순수분리에 관한 연구를, Eun 등은 아미노산배열을, Ryu와 Kim은 serine protease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밖에 복수암세포에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또한 식물병원성진균에 항진균효과 및 항돌연변이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그 이외의 특성에 관한 것으로는 아미노산과 무기염류구성 등에 관한 보고와 최근 암세포의 괴사물질인 TNF-\(\alpha\)를 유도 생성케 하고 fucogalactan을 확인한 연구 뿐이다. 본 연구에서는 능이버섯에서도 이외에 다양한 생리 혹은 약리활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p>
|
[
"근래 버섯에서 다양한 무슨 물질이 발견되었는가?",
"최근 버섯에서 발견된 물질은 무엇인가?",
"근래 버섯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왜 활발하게 이루어지는가?",
"최근에 버섯의 성분 분석에 대한 연구들이 왜 활발하게 이루어 진 이유는?",
"한국에서 저절로 생겨 번식하고 있는 버섯의 종류는 몇 종류인가?",
"한국에서 저절로 생겨 번식하고 있는 버섯은 몇 종류입니까?",
"주로 능이버섯은 활엽수림에서 언제 자생하는가?",
"능이버섯은 주로 활엽수림에서 언제 자생하나요?",
"식용과 악용으로 같이 사용하던 버섯은 무슨 버섯인가?",
"버섯중 식용과 악용으로 같이 사용하던 건 무슨 버섯인가요?",
"능이는 무슨 목에 속하는 버섯인가?",
"능이는 무슨 목에 속하는 버섯입니까?",
"식용과 악용으로 같이 사용하던 버섯인 능이는 민간과 한방에서 언제 복용되어 왔는가?",
"능이는 식용과 악용으로 같이 사용하던 버섯이며, 간과 한방에서 언제 복용됩니까?",
"민간과 한방에서는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복용한 버섯은 무슨 버섯인가?",
"민간과 한방에서는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복용되는 버섯은 무엇인가요?",
"Lee는 능이버섯에 무엇이 함유되어 있다고 밝혔는가?",
"능이버섯에 무엇이 함유되어 있다고 Lee가 밝혔나요?",
"누가 능이버섯에 다량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밝혀냈는가?",
"누가 능이에 다량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찾아냈습니까?",
"Eun 등이 확인한 능이버섯에 함유된 단백질 소화 활성의 특성은 무엇인가?",
"Eun 등이 확인한 능이버섯에 함유된 단백질 소화 활성의 특성은 무엇인가요?",
"Eun 등은 능이버섯이 다른 수종의 식용버섯에 비하여 월등하게 무엇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는가?",
"Eun 등은 능이버섯이 다른 식용버섯 수종의 비하여 무엇이 월등하게 강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까?",
"능이버섯의 alkaline protease을 확인한 사람은 누구인가?",
"능이버섯의 alkaline protease을 확인한 사람은 누굴까요?",
"누가 수종의 식품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실험을 시행했는가?",
"수종의 식품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실험을 누가 시행했나요?",
"능이버섯에서 효소분획을 추출한 후 casein을 위시하여 수종의 식품단백질에 대한 가수분해실험을 시행한 결과로 무엇을 나타내었는가?",
"능이버섯에서 가수분해실험을 실행하여 어떤 결과를 얻었나?",
"Park은 능이버섯에서 어떻게 여러 기질에 대해 표준 pepsin과 거의 동일한 역가를 나타내었음을 알았는가?",
"어떻게 능이버섯에서 여러 기질이 표준 pepsin과 거의 동일한 역가를 보였음을 알았지?",
"proteolytic enzyme의 안정성과 순수분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사람은 누구인가?",
"순수분리와 proteolytic enzyme의 안정성의 관련된 연구를 한 사람은 누굴까요?",
"Ryu와 Kim은 함께 무엇의 특성을 연구했어?",
"Ryu와 Kim은 함께 무엇의 특성을 연구했나요?",
"능이버섯의 아미노산배열은 누가 연구했어?",
"능이의 아미노산배열은 누가 연구했습니까?",
"능이는 복수암세포에 어떤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는가?",
"복수암세포에 능이는 어떤 효과가 밝혀졌나요?",
"능이는 무엇에 대해 항진균효과 및 항돌연변이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는가?",
"무엇에 대해 항진균효과 및 항돌연변이효과가 능이에 있다고 밝혀졌나요?",
"암세포의 괴사물질은 무엇인가?",
"무엇이 암세포의 괴사물질을 칭하는 말인가?",
"복수암세포에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음이 밝혀진 버섯은 무슨 버섯인가?",
"무슨 버섯이 복수암세포에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나요?"
] |
ea7807a5-8663-4edd-858b-6cd85c2beb75
|
생명LA
|
능이버섯에서의 lanosterol과 ergosterol의 확인
|
<h1>재료 및 방법</h1><p>능이는 전북 진안의 농가에서 구입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것을 motor로 완전히 갈아 재료로 하였다. \( 100 \% \) me-thanol을 시료의 3-4배가 되게 넣고 3-4시간 \( 60^{\circ} \mathrm{C} \)로 가열하여 끓인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Methanol로 추출한 용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다음 분획하였다.</p><h2>분획</h2><p>능이농축액에 데하여 ethyl ether, ethyl acetate, butanol 분획을 하였고, 이 중 ethyl ether 분획물을 농축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분석을 실시하였다. 분획깔때기에 능이의 methanol 추출액과 ethyl ether를 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상충의 ethyl ether와 하층의 methanol층으로 분획하였다. 상층의 ethyl ether에 대하여 흡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 \mathrm{Na}_{2} \mathrm{SO}_{4} \)를 미리 넣고 이를 농축하여 일차 TLC 분석재료로 하였다.</p><h2>TLC분석</h2><p>Silica gel을 흡착제로 한 유리판을 이용하여 TLC분석을 하였다. Chloroform과 methanol의 비를 5:1로 하여 TLC chamber에 넣은 다음 silica gel을 입힌 유리판에 ethyl ether 농축액을 모세관으로 spot하였다. 유리관을 TLC chamber에 넣고 용매가 다 올라가면 이를 꺼내 hexane과 ethylacetate를 2:1로 넣은 TLC chamber에 넣었다. 이를 꺼내어 황산으로 발색하여 관찰하였다. 2차 TLC분석은 1차 분석에서 분획이 뚜렷하게 이루어진 2번과 3번 분획을 추출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시 분획하였다. 또한 2차 TLC분석에서 2-2 와 2-4 분획에 대하여 gas chromatography 와 mass spectrophotometer 분석을 실시하였다.</p>
|
[
"전북 진안에서 구입한 이 연구 재료는 무엇이지?",
"연구 재료로 전북 진안에서 구입한 게 뭐지?",
"본 연구에 필요한 재료인 능이는 어디에서 구입했지?",
" 연구 재료인 능이를 구입한 곳이 어디지?",
"능이를 재료로 한 본 연구의 분획 과정은 어떻게 돼?",
"본 연구에서 \\( 100 \\% \\) 메탄올은 시료의 몇 배가 되게 첨가했지?",
"본 연구에서 \\( 100 \\% \\) me-thanol을 시료를 첨가한 후 \\( 60^{\\circ} \\mathrm{C} \\)로 가열하여 몇 시간 동안 끓였지?",
"본 연구에서는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무엇으로 추출한 용액을 농축시킨 후 분리했어?",
"능이 농축액에서 분리된 여러가지 물질 중에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실시한 물질은 무엇이지?",
"능이 농축액을 통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재료로 농축하기까지의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지?",
"어떻게 능이 농축액을 통해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재료로 농축하기까지의 과정이 시행되지?",
"본 분석에서는 흡착제로 실리카겔을 사용한 어떤 판을 이용했지?",
"TLC 실험에서 클로로폼과 메탄올의 비율은 얼마로 했지?",
"1차 박층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의 과정은 어떻게 돼?"
] |
0e6cb100-0312-4c52-a029-dd90d6288aa5
|
생명LA
|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
<h1>서 론</h1><p>운동수행력 증진과 관련된 연구는 스포츠 과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과제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운동생리학 분야에서는 운동에 따른 피로를 지연시킴으로써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 방법 중 하나로 영향학적 측면의 에너지 보충제 (ergogenic aid) 섭취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직 \( \cdot \) 간접적으로 에너지 기질 동원 및 활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여 피로를 지연시킴과 동시에 운동수행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포츠 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조금 더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운동수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에너지 보충제를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p><p>국내의 경우 민간 및 한방요법을 비롯한 전래의학에 바탕을 두고 생약 및 자연식품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통해서 운동 시 에너지 보충제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 이라는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 이에 근거하여 인삼, 가시오가피, 홍삼 등을 대상으로 이러한 성분들의 산소운반능력 및 운동피로 회복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시도되어 왔다. 최근 이러한 기존의 성분들과 함께 국내 전래의학에서 널리 알려진 매실의 에너지 보충제로서의 효과에 대해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p><p>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이며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이 나무의 핵과를 매실이라 한다. 원산지는 중국의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원래 매실은 행매라 하여 신맛이 약한데, 우리나라에 건너온 후 독특한 계절과 풍토의 영향으로 신맛이 강한 산매로 변했다. 이것은 매실의 생명인 구연사의 함유량이 훨씬 많은 좋은 매실로 변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매실은 한국산이 최고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매실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각종 한의서에 만성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 오래된 학질, 만성 설사, 치질, 혈변, 혈뇨,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갈고리촌충 구제를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까지 매실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 효과 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기전을 바탕으로 매실은 활력유지, 피로회복 등에 효과를 가진 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강력한 알칼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매실은 풍부한 citric acid (구연산)를 중심으로 한 유기산, 무기질 등을 함유함으로서 운동수행 시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노폐물 제거, 젖산생성 억제, 헤모글로빈과의 산소친화력 향상 등에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어 대사 기능 촉진 및 피로회복 활성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p>이러한 매실의 기능과 관련된 연구로는 장거리 종목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혈액 성분 변화에 대한 매실섭취효과가 분석된 바 있으며, Park 등은 여자 배드민턴 선수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감소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그리고 Kim 등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 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 섭취시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면서, 올아웃에 이르는 최대 운동지속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다고 보고하였다.</p><p>이와 같이 많은 연구들에서 운동수행 시 매실섭취에 따른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에 관한 효과가 입증되었지만 매실의 함량정도와 섭취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실험들이 매실 외의 다른 물질이 함유된 음료를 섭취하거나, 섭취기간 중에 트레이닝 등의 운동수행이 동시에 이뤄짐으로써 입증된 효과가 매실 자체만의 효과라고 확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보여진다.</p><p>이에 본 연구에서는 6주간 다른 함유물질의 첨가 없이 매실 추출물만을 섭취하고, 6주간 특별한 운동처치를 하지 않음으로써 6주간 매실의 섭취만으로 운동수행 시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6주간의 매실추출물 섭취가 에너지 기질 및 피로 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p>
|
[
"본 연구에서는 6주간 매실만을 섭취하였을 때 운동수행 시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운동처치를 6주간 하지않았는가?",
"본 연구에서는 몇 주간 다른 함유물질의 첨가 없이 매실 추출물만을 섭취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운동처치를 몇 주간 하지않았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를 섭취 할 때 보다 올아웃에 이르는 어떤 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는가?",
"본 연구에서는 6주간 무엇만을 섭취하였을 때 운동수행 시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다른 함유물질을 첨가하지않은 매실 추출물만을 몇 주간 섭취하였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를 섭취 할 때 보다 올아웃에 이르는 최대 운동지속시간이 유의하게 어떠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몇 주간 특별한 운동처치를 하지않았는가?",
"매실의 무엇과 섭취량에 따라 운동수행 시 매실 섭취에 따른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의 효과는 차이를 보이는가?",
"매실의 함량정도와 무엇에 따라 운동수행 시 매실 섭취에 따른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의 효과는 차이를 보이는가?",
"매실을 섭취하며 운동을 할 때 운동수행력 향상 및 무엇의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6주간 매실만을 섭취하였을 때 무엇을 수행할 때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가?",
"매실의 함량정도와 섭취량에 따라 운동수행 시 매실 섭취에 따른 운무엇의 향상에 차이를 보이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를 섭취 할 때 보다 무엇에 이르는 최대 운동지속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는가?",
"본 연구에서는 6주간 매실만을 섭취하였을 때 운동수행 시 무엇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다른 함유물질을 첨가하지않은 매실 추출물만을 6주간 섭취하였는가?",
"매실을 섭취하며 운동수행 시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
"매실의 함량정도와 섭취량에 따라 운동수행 시 매실 섭취에 따른 무엇의 회복에 차이를 보이는가?",
"매실의 함량정도와 섭취량에 따라 운동수행 시 매실 섭취에 따른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의 효과는 차이를 보이는가?",
"매실을 섭취하며 운동을 할 때 무엇의 향상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
"무엇을 섭취하며 운동수행 시 운동수행력 향상 및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는가?",
"운동에 따른 피로를 지연시킴으로써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 보충제(ergogenic aid)를 섭취하는 것은 효과적인가?",
"영양학적 측면의 에너지 보충제(ergogenic aid)를 섭취하는 것은 운동에 따른 무엇을 지연시킴으로써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가?",
"운동에 따른 피로를 지연시킴으로써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운동에 따른 피로를 지연시키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운동에 따른 피로를 지연시킴으로써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에너지 보충제(ergogenic aid)를 섭취는 어떤 측면의 효과를 기대하고 시행하는 것인가?",
"운동생리학 분야에서는 어떤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가?",
"운동생리학 분야에서 어떤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직 \\( \\cdot \\) 간접적으로 에너지 기질 동원 및 활용에 긍정적인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가 에너지 기질 동원 및 활용에 대해 직접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무엇의 투여는 직 \\( \\cdot \\) 간접적으로 에너지 기질 동원 및 활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직 \\( \\cdot \\) 간접적으로 무엇의 동원 및 활용에 긍정적인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어떤 동원과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미치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간접적으로 에너지 기질 동원 및 활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낼 수 없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피로를 지연시키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가 피로를 지연시킬 수 있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운동수행력을 증진시키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가 운동수행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는 무엇을 증진시키는가?",
"에너지 보충제 투여가 어떤 것을 증진시키는가?",
"삼, 가시오가피, 홍삼 등을 대상으로 산소운반능력 및 운동피로 회복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는가?",
"삼, 가시오가피, 홍삼 등을 대상으로 어떤 능력 및 운동피로 회복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는가?",
"삼, 가시오가피, 홍삼 등을 대상으로 산소운반능력 및 어떤 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는가?",
"무엇을 대상으로 산소운반능력 및 운동피로 회복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는가?",
"산소운반능력 및 운동피로 회복효과에 대한 실제적인 분석이 무엇의 비교에 의해 이루어졌는가?",
"매실은 무엇의 열매인가?",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인가?",
"매화나무의 열매가 매실인가?",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가?",
"장미과에 매화나무가 속하는가?",
"매화나무는 어느 과에 속하는가?",
"어느 과에 매화나무가 속하는가?",
"매화나무는 낙엽활엽교목인가?",
"매화나무는 무슨 교목에 속하는가?",
"무슨 교목에 매화나무가 속하는가?",
"매실은 매화나무의 핵과인가?",
"매화나무의 핵과는 매실인가?",
"매실은 매화나무의 무엇인가?",
"매화나무에서 매실은 무엇인가?",
"매화나무의 핵과는 무엇인가?",
"매실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가 맞는가?",
"매실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과 어디의 산간지인가?",
"중국 사천성과 어디의 산간지가 매실의 원산지인가?",
"매실의 원산지는 중국 어디와 호북성의 산간지인가?",
"매실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과 호북성의 어디에서 재배되는가?",
"매화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인가?",
"매화나무가 원산지로 할당된 곳은 중국 사천성과 호북성의 산간지가 맞는가?",
"매화나무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중국의 어디 지역이 매화나무의 원산지인가?",
"매화나무는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에 널리 분포되어있는가?",
"매화나무는 어디 나라들에 널리 분포되어있는가?",
"매실은 본래 행매라 하였는가?",
"원래 매실은 신맛이 약해서 뭐라고 불렀는가?",
"매실은 본래 무엇이라 하였는가?",
"매실의 원래 명칭은 무엇이었는가?",
"매실은 본래 신맛이 약하였는가?",
"매실은 본래 어떤 맛이 약하였는가?",
"매실의 원래 맛 중 약한 맛은 무엇인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산매로 변한 것은 대한민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 때문인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산매로 변한 이유가 대한민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 때문이 맞는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무엇으로 변한 것은 대한민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 때문인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계절과 풍토로 인해 어떤 것이 변하였는가? 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산매로 변한 것은 대한민국의 독특한 무엇과 풍토 때문인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산매로 변한 것은 대한민국의 독특한 계절과 무엇 때문인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어떤 맛이 강해졌는가?",
"매실이 대한민국에 건너온 후 신맛이 강해졌는가?",
"신맛이 약한 매실을 행매라 하는가?",
"매실이 신맛이 약한 것을 행매라 하는가?",
"신맛이 약한 매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매실이라고 하면 어떻게 신맛이 약한지 묻는가?",
"무엇이 약한 매실을 행매라 하는가?",
"신맛이 약한 무엇을 행매라 하는가?",
"신맛이 강한 매실을 산매라 하는가?",
"매실이 신맛이 강한 것을 산매라고 하는가?",
"신맛이 강한 매실을 무엇이라 하는가?",
"어떤 맛이 강한 매실을 산매라 하는가?",
"신맛이 강한 무엇을 산매라 하는가?",
"매실이 한국에 건너와 산매로 변한 것은 한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의 영향으로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가?",
"매실이 한국에 건너와 산매로 변한 것은 한국의 독특한 무엇과 풍토의 영향으로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가?",
"매실이 한국에 건너와 산매로 변한 것은 한국의 독특한 계절과 무엇의 영향으로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가?",
"매실이 한국에 건너와 산매로 변한 것은 한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의 영향으로 무엇의 함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가?",
"매실이 한국에 건너와 행매에서 무엇으로 변한 것은 한국의 독특한 계절과 풍토의 영향으로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아졌기 때문인가?",
"한국 매실의 신맛이 강한 것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 매실의 신맛이 강한 것인가?",
"한국 매실의 신맛이 강한 것은 무엇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무엇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 매실의 신맛이 강한 것인가?",
"한국 매실의 어떤 맛이 강한 것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 매실의 어떤 맛이 강한 것인가?",
"한국 매실이 최고품으로 알려진 것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구연산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 매실이 최고품으로 알려졌는가?",
"한국 매실이 최고품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한국 매실이 최고품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인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서 매실이 혈변, 혈뇨,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갈고리촌충 구제를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어떤 한의서에서 매실이 만성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 오래된 학질, 만성 설사, 치질, 혈변, 혈뇨,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갈고리촌충 구제를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는 무엇이 만성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 오래된 학질, 만성 설사, 치질, 혈변, 혈뇨,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갈고리촌충 구제를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는 매실이 무엇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한의서에 나타난 매실이 어떤 것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을 치료할 수 있는지 기록되어 있는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는 매실이 무엇에 의한 급성복통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한의서로부터 매실이 어떤 것에 의해 급성복통을 치료하는지 기록되어 있는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는 매실이 회충에 의한 무엇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는가?",
"한의서 중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에는 매실이 회충에 의해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지 기록되어 있는가?",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명의별록 등의 한의서에 따르면 매실은 만성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을 치료할 수 있는가?",
"매실의 항혈전에 대한 효능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 효과 등에 관한 무엇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무엇의 개선 효과 등에 관한 매실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항산화성에 관한 매실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매실은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 효과 등을 바탕으로 활력유지, 피로회복 등에 효과를 가진 약제로 이용되었는가?",
"매실은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 효과 등을 바탕으로 피로회복과 무엇 등에 효과를 가진 약제로 이용되었는가?",
"매실의 효능은 어떻게 되는가?",
"매실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한 효능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었는가?",
"과학적 증거로 매실의 아질산염 소거 효능이 검증되었는가?",
"매실의 항혈전 능력은 과학적으로 연구되었는가?",
"과학적 연구로 매실의 항혈전 능력이 입증되었는가?",
"매실은 어떻게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가?",
"매실이 피로회복에 어떻게 도움을 주는가?",
"매실은 구연산을 중심으로 어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가?",
"구연산을 중심으로 매실이 함유하고 있는 어떤 성분들은 무엇인 가?",
"매실은 풍부한 citric acid를 가지는가?",
"매실이 풍부한 citric acid를 가지고 있는가?",
"매실은 풍부한 무엇을 가지는가?",
"매실이 가진 풍부한 물질은 무엇일까?",
"매실은 유기산과 무기질을 갖는가?",
"유기산과 무기질은 매실과 관련이 있니?",
"매실은 구연산을 중심으로 무엇과 무기질을 갖는가?",
"구연산을 중심으로 매실은 무기질과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
"매실은 구연산을 중심으로 무엇과 유기산을 갖는가?",
"구연산을 중심으로 매실은 무엇과 유기질을 가지고 있는가?",
"매실은 운동수행 시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에 효과가 높은가?",
"매실이 운동수행과 관련해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가?",
"매실은 체내 노폐물을 제거해주는가?",
"체내 노폐물을 매실이 제거해주는가?",
"매실은 체내의 무엇을 제거해주는가?",
"매실이 체내에서 무엇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졌는가?",
"매실은 젖산의 생성을 억제하는가?",
"젖산의 생성을 매실이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가?",
"매실은 체내의 무엇의 생성을 억제하는가?",
"체내의 무엇의 생성을 매실이 억제하는가?",
"매실은 체내의 헤모글로빈과의 산소친화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매실이 체내의 헤모글로빈과의 산소친화력을 향상시킬 때 효과가 있는가?",
"매실은 체내의 무엇과의 산소친화력 향상에 효과가 높은가?",
"체내의 무엇과의 산소친화력 향상에 매실이 효율이 높은가?",
"매실은 체내의 헤모글로빈과의 무엇 향상에 효과가 높은가?",
"매실은 운동을 수행할 때 채내의 무엇을 활성화 시키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를 섭취하여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무엇을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무엇을 섭취하여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무엇의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어떤 물질의 혈중 축적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의 어떤 현상이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가 어떻게 감소하였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 섭취 후 혈중 젖산농도의 축적 현상이 어떻게 되었는가?",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매실 엑기스를 섭취한 후, 어떻게 혈중 젖산농도가 축적되었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와 생수음료를 섭취 할 때, 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는 경우는 무엇인가?",
"어떤 온도에서의 점증적인 운동 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 섭취시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는가?",
"고온에서의 어떤 운동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 섭취시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무엇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 섭취시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무엇을 섭취할 때 보다 동일 시기에서 낮은 심박수를 나타내는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와 생수음료를 섭취를 비교할 때, 매실음료의 섭취로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인가?",
"고온에서의 점증적인 운동을 하는 조건에서 매실음료의 섭취시가 전반적으로 생수음료를 섭취 할 때 보다 올아웃에 이르는 최대 운동지속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는가?"
] |
8f75a6cb-8cef-4f2d-902f-c19bccdb961d
|
생명LA
|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
<h1>고 찰</h1><p>인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 음식을 섭취하고, 섭취된 음식은 신체내로 흡수되어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신체 내에서는 여러 화학적 작용을 거치게 되며,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이러한 화학 작용들 중 citric acid cycle을 거치게 된다. 이 citric acid cycle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는데,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필수적인 것이 citric acid이다. 만약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혈중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p><p>젖산 생성은 운동시 근육 피로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로 간주되어 오고 있으며, 운동으로 인한 근육에서의 젖산 축적이 \( \mathrm{pH} \)를 감소시켜 피로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p><p>본 연구에서 피로물질인 혈중 젖산 농도는 매실 섭취 전에 비해 매실 섭취 후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Kim 등이 12주간의 매실음료를 섭취시킨 그룹이 섭취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혈중 젖산 농도를 보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임을 입증한 연구와 Min 등이 매실음료와 스포츠음료를 비교해본 결과, 혈중 젖산 농도가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포츠음료보다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는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 것은 매실 중에 포함된 citric acid가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젖산의 과잉생성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 시켜 체외로 배설시킴으로 조기에 피로물질을 없앤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매실에 다량 함유된 citric acid가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뿐만 아니라, 매실이 운동 후 갈증을 감소시킨다는 효능이 있는데, 운동 시 발생하는 갈증을 감소시켜 에너지대사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젖산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로를 회복시켜 새로운 에너지 생성을 더한 것으로 보인다.</p><p>근육에서의 피로를 유발시키는 또 다른 인자인 암모니아는 젖산의 생성을 유발하고 글리코겐의 빠른 저하를 가져와 근육의 피로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혈중 암모니아 농도는 매실 투여 전이 매실 투여 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매실 투여 전이 매실 투여 후에 비해 근육 세포막의 표면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을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 발생을 저하시키며, 그 결과 해당 작용에 있어서 주요 효소인Phosphofructokinase (PFK)의 활동을 자극하고 citric acid cycle과 gluconeogenesis를 저해하여 mitochondria 산화를 제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젖산의 축적을 가중시키고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 고갈을 가속화시켰고, ATP 재생성을 손상시켜 AMP 축적을 가져와 암모니아 생성을 일으켰으며, 그 결과 피로 유발과 관련이 있는 산성화가 시작될 가능성을 제공했다고 본다. 반면 매실이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함으로써 \( \mathrm{pH} \) 감소의 시작을 더디게 하여 속근 섬유의 동원 비율보다 지근 섬유가 운동에 관여하게 되어 암모니아의 적은 축적을 가져온 것 같으며, 결과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의 적은 생성을 가져온 것이라 생각된다.</p><p>무기인산은 힘의 소멸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힘 발현은 무기인산의 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초기의 피로 관련 연구가 근육 피로의 원인을 산성화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세포내 무기인산(\(\mathrm{Pi}\)) 축적이 피로를 이끈다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p>
|
[
"생명유지와 신체활동을 위해 인체가 섭취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체으가 생명유지와 신체활동을 위한 에너지 생성을 위해 먹는 것은 무엇?",
"섭취된 음식은 신체내로 흡수되어 무엇을 생성하게 되는가?",
"섭취된 음식은 무엇을 생성하기위해 신체내로 흡수 되는가?",
"인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 음식을 섭취하는가?",
"인체는 신체활동과 생명 유지를 위해 음식을 섭취하는게 맞아?",
"인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 음식을 섭취하고, 섭취된 음식은 신체내로 흡수되는가?",
"인체는 음식을 섭취하여 신체내로 흡수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며,그 에너지로 생명 유지와 신체활동을 하는게 맞아?",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신체 내에서는 여러 화학적 작용을 거치는가?",
"섭취된 음식은 신체 내에서 여려 화학적 작용을 거쳐 에너지를 생성하는가?",
"탄수화물은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인가?",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 중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어?",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에 지방도 포함될까?",
"영양소 중 지방은 신체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근원이 되는 영양소가 맞아?",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중에 단백질도 있어?",
"단백질은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에 포함이 되는가?",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이러한 화학 작용들 중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가?",
"신체 내에서의 여러 화확적 작용중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어떤 작용을 거치게 되는가?",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신체 내에서는 어떤 작용을 거치게 되는가?",
"섭취된 음식은 어떤 작용을 통해 신체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가?",
"citric acid cycle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는데,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게 하는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은 무엇?",
"citric acid cycle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는가?",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은 citric acid cycle을 통해서인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필수적인 것이 citric acid인가?",
"citric acid는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이 맞아?",
"무엇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을 때 축적되는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으면 축적되는 것으로 피로유발의 원인이 되는것은 무엇?",
"무엇의 원인으로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아 혈중 젖산이 축적되는 것을 꼽을 수 있는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아서 혈중 젖산이 축적되므로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갈 경우 혈중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를 유발할 수 있는가?",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인 혈중 젖산의 축적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서가 맞는가?",
"운동을 할 때 근육 피로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로 간주되는 것은 무엇인가?",
"운동을 할때 무엇이 근육을 피로하게 만드는 주요 인자인가?",
"젖산 생성은 운동을 할 때 무엇을 발생시키는 핵심 인자로 간주되는가?",
"운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젖산은 주로 무엇을 발생시키는 인자로 간주되는가?",
"젖산 축적으로 인한 무엇의 감소가 피로를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는가?",
"운동으로 인한 젖산 생성과 축적은 무엇을 감소시켜 피로를 유발시키는가?",
"운동으로 인해 근육에서 젖산 축적이 \\( \\mathrm{pH} \\)를 증가시키면 피로가 유발되는가?",
" 운동시 발생하는 젖산의 축적이 \\( \\mathrm{pH} \\)를 증가시켜 근육의 피로를 유발하는가? ",
"\\( \\mathrm{pH} \\)를 감소시켜 피로를 유발하는 것은 무엇인가?",
"운동시 피로를 유발하는 물질로 \\( \\mathrm{pH} \\)를 감소시켜 주는 것은 무엇인가?",
"매실 섭취 전후로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매실 섭취 후 더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은 무엇인가?",
"매실 섭취 전후로 큰 차이는 없지만 매실 섭취 후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혈중 젖산 농도는 매실 섭취 후가 더 높았는가?",
"매실 섭취 후가 매실 섭취 전보다 혈중 젖산 농도가 더 높았는가?",
"혈중 젖산 농도는 매실 섭취 전이 더 낮은 수치를 보이는가?",
"매실 섭취 전이 매실 섭취 후보다 혈중 젖산 농도의 수치가 더 낮은가?",
"혈중 젖산 농도는 매실 섭취 후 더 낮은 수치를 보이는가?",
"매실 섭취 후가 매실 섭취 전보다 혈중 젖산 농도의 수치가 더 낮은가?",
"매실음료와 스포츠음료 중 혈중 젖산 농도가 더 높은 것은 스포츠음료인가?",
"매실음료와 스포츠음료 중 스포츠음료가 혈중 젖산 농도가 더 높은가요?",
"매실음료를 섭취했을 때에 비해 스포츠 음료를 섭취했을 때 혈중 젖산 농도가 더 높은가?",
"혈중 젖산 농도가 더 높은 것은 매실음료보다 스포츠 음료를 섭취했을 때가 맞는가?",
"젖산의 과잉생성을 억제하는 매실에 함유된 물질은 무엇인가?",
"매실에 함유된 물질로 젖산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 시켜 체외로 배설시켜 피로물질을 없애는 것은 무엇?",
"citric acid은 젖산의 어떤 작용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가?",
"매실이 가지고 있는 citric acid은 젖산의 어떤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가?",
"citric acid가 어떤 물질을 물로 분해시켜 몸밖으로 배설시키는가?",
"물로 분해 시켜 체외로 배설시키는데 citric acid가 사용하는 물질은?",
"매실 중에 포함된 citric acid가 탄산가스를 무엇으로 분해시키는가?",
"매실이 가지고 있는 citric acid는 탄산가스를 무엇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하게 하는가?",
"젖산의 과잉생산 억제 및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키는 것은 citric acid의 효능인가?",
"매실의 citric acid가 젖산의 과잉생산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는가?",
"운동을 함에 따라 인체는 어떻게 변해가는가?",
"인체는 운동을 함으로 어떻게 되는가?",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매실에 함유된 citric acid로 인해 어떤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가?",
"인체는 운동을 함으로 산성화되어 가는데 어떤 상태로 유지하기위해 매실의 citric acid가 작용하는가?",
"운동 후 어떤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매실의 효능인가?",
"매실의 효능으로 운동 후에 어떤 증상을 감소시키는가?",
"매실은 갈증을 감소시켜 어떤 작용을 촉진시키는가?",
"매실의 citric acid가 신체의 운동 후 갈증을 감소시켜 무엇을 증진시키는가?",
"매실은 무엇을 억제하여 피로를 회복시키는가?",
"매실에 함유된 citric acid가 신체의 피로를 회복시키기위해 억제하는 것은 무엇인가?",
"갈증을 심화시키는 것은 매실의 효능 중 하나인가?",
"매실의 여러가지 효능 중에 갈증을 더 심하게 하는것이 맞아?",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약산성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매실에 함유된 citric acid 때문인가?",
" 매실에 다량 함유된 citric acid가 산성화 되어 가는 인체를 약산성으로 유지하게 해주는가?",
"매실이 에너지대사를 억제하기 위해 갈증을 감소시키는가?",
"매실의 효능 중 갈증을 감소시키는 것은 에너지대사를 억제하기 위해서가 맞아?",
"매실은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해 운동시 갈증을 감소시키고 젖산의 생성을 촉진하는가?",
"매실은 운동 시 일어나는 갈증을 감소시키고 전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로를 회복시키는 기능을 하는가?",
"젖산의 생성과 근육의 피로를 유발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물질이 젖산 생성 및 근육 피로를 유발하나요?",
"암모니아의 영향으로 빠르게 저하되는 것은 무엇인가?",
"피로를 유발시키는 인자 중 암모니아로 인해 저하를 가져오는 것은 뭐야?",
"암모니아는 근육의 피로를 유발시키는 인자인가?",
"근육의 피로를 가져오는 인자중 암모니아도 있어?",
"젖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은 암모니아에 의한 현상인가?",
"암모니아가 젖산의 생성을 막는 것이 맞아?",
"암모니아의 영향으로 글리코겐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가?",
"글리코겐의 저하를 억제하는 인자 중 암모니아가 있어?",
"매실 투여 전이 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농도는 무엇인가?",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보다 혈중 농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은 뭐야?",
"매실 투여 전보다 후가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는가?",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매실 투여 후보다 전이 높게 나타났는가?",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보다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높은가?",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매실 투여 전보다 투여 후가 더 높게 나타났는가?",
"매실 투여 전, 근육의 장력 발생을 저하시키기 위해 근육 세포막 표면에 작용하는 무엇을 변화시켰는가?",
" 근육 세포막 표면에 작용하는 어떤 자극을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 발생을 저하시키는가?",
"근육의 장력 발생 저하는 어떤 효소의 활동을 자극하는가?",
"매실 투여 전, 궁극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무엇인가?",
"매실 투여 전, 근육 세포막의 표면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의 변화로 근육의 장력 발생이 저하되면 저해되는 것은 무엇인가?",
"매실 투여 전이 투여 후에 비해 근육 세포막의 표면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의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 발생을 저하시키며,그것으로 인해 무엇을 저해하는가?",
"근육 세포막의 전기적 자극을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 발생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매실 투여 전이 투여 후에 비해 활발한가?",
"매실 투여 전이 투여 후에 비해 근육 세포막의 전기적 자극을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 발생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더 활발한가?",
"매실 투여 전에 근육의 장력 발생 저하는 PFK 활동 저해로 이어지는가?",
"PFK 활동 저해는 매실 투여 전에 근육 장력 발생 저하로 인해 일어나는가?",
"citric acid cycle과 gluconeogenesis를 촉진하는 것은 매실 투여 후에 비해 투여 전이 더 활발한가?",
" 매실 투여 후에 비해 투여 전이 citric acid cycle과 gluconeogenesis를 촉진하는가?",
"매실 투여 전이 후에 비해 주요 효소인 PFK의 활동 자극과 mitochondria 산화가 유도되는가?",
"주요 효소인 PFK의 활동 자극과 mitochondria 산화는 매실 투여 전이 후에 비해 더 잘 일어나는가?",
"젖산 축적으로 인해 어떤 작용이 가속화되었는가?",
"젖산 축적을 가중시킴으로 무엇을 가속화시켰는가?",
"젖산 축적, 글리코겐 고갈 가속화로 인해 손상된 것은 무엇인가?",
"젖산 축적 가중화와 글리코겐 고갈 가속화로 인해 손상된 것은 뭐야?",
"암모니아 생성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ATP 재생성을 손상시키므로 무엇을 가져와 암모니아 생성을 일으켰는가?",
"AMP 축적은 어떤 현상을 발생시켰는가?",
"AMP 축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은 뭐야?",
"피로 유발과 관련있는 작용은 무엇인가?",
"어떤 작용이 피로 유발과 관련이 있나요?",
"mitochondria 산화가 젖산의 축적을 억제시키는가?",
"젖산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이 mitochondria 산화가 맞아?",
"젖산의 축적은 글리코겐의 생성을 가속화시켰는가?",
"글리코겐의 생성 가속화는 젖산 축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맞아?",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은 ATP 재생성을 촉진하였는가?",
"ATP 재생성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이 맞아?",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은 결과적으로 AMP의 소모를 가져왔는가?",
"AMP의 소모의 원인은 젖산 축적와 글리코겐의 고갈이 맞아?",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은 결과적으로 암모니아의 생성을 억제하였는가?",
"암모니아 생성을 억제하는 원인으로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이 맞아?",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 등은 피로 유발과 관련있는 산성화가 종료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공한 것인가?",
"피로 유발과 관련있는 산성화가 종료될 가능성을 제공한 것은 젖산의 축적과 글리코겐의 고갈 가속화로 인한 것이 맞아?",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여 \\( \\mathrm{pH} \\) 감소가 가속되는 것은 매실로 인해 발생하는 것인가?",
"매실은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여 \\( \\mathrm{pH} \\) 감소를 가속화시키는가?",
"암모니아의 많은 축적은 지근섬유가 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인가?",
"속근 섬유보다 지근 섬유가 더 많이 운동에 관여하게 되어 암모니아의 많은 축적은 가져오는가?",
"혈중 젖산 농도가 높아지는 것은 지근 섬유가 운동에 관여하기 때문인가?",
"속근 섬유보다 지근 섬유가 운동에 더 관여하므로 혈중 젖산 농도가 높아지는가?",
"속근 섬유의 동원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매실이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기 때문인가?",
"매실이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므로 지근 섬유보다 속근 섬유의 동원 비율이 높아지는가?",
"지근 섬유가 운동에 관여하는 것은 매실이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고 \\( \\mathrm{pH} \\) 감소의 시작을 더디게 하기 때문인가?",
"매실이 인체의 산성화를 억제하고 \\( \\mathrm{pH} \\) 감소의 시작을 더디게 하므로 속근 섬유보다 지근 섬유가 운동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되는가?",
"매실이 \\( \\mathrm{pH} \\) 감소의 시작을 더디게 하여 어떤 섬유가 운동에 관여하게 하는가?",
"매실이 \\( \\mathrm{pH} \\) 감소의 시작을 더디게 하여 운동에 관여하게 하는 섬유는 어떤 섬유인가?",
"매실이 결과적으로 어떤 농도가 적게 생성되게 하였는가?",
"결과적으로 어떤 농도가 적게 생성되게 만드는 것을 매실을 통해 연구했는가?",
"힘의 소멸과 관련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물질이 힘의 소멸과 관련이 있나요?",
"어떤 작용과 무기인산 사이에 연관이 있는가?",
"무기인산은 무엇과 관련이 있나요?",
"무기인산의 농도와 연관이 있는 작용은 무엇인가?",
"어떤 작용이 무기인산의 농도와 관련이 있지?",
"어떤 물질의 농도가 힘 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힘 발현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힘의 소멸과 무기인산은 연관이 있는가?",
"무기인산은 힘의 소멸과 관련이 있어?",
"힘의 소멸과 연관이 있는 것은 유기인산인가?",
"유기인산이 힘의 소멸과 관련이 있어?",
"무기인산은 힘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가?",
"힘의 생성과 연관이 있는것은 무기인산이야?",
"힘의 소멸은 무기인산과 관련이 있고 유기인산의 농도는 힘 발현과 연관이 있는가?",
"힘의 발현은 유기인산의 농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힘의 소멸은 무기인산과 연관이 있어?",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 어떻게 피로가 유발되는가?",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을 때 피로가 유발되는 원인이 무엇이야?",
"매실은 어떻게 혈중 젖산 농도를 낮출 수 있는가?",
"혈중 젖산 농도를 낮추기 위해 매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암모니아는 어떻게 피로를 유발시키는가?",
"근육의 피로를 유발시키는 암모니아의 기능은 무엇인가?"
] |
39156622-f1e9-4e21-9af3-3954ef17e361
|
생명LA
|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
<h1>재료 및 방법</h1><h2>연구 대상</h2><p>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은 Table 1에 나타나 있다.</p><h2>실험 절차</h2><p>본 실험의 절차는 Table 2와 같다.</p><h2>매실 추출물 및 위약 투여방법</h2><p>투여 전 테스트가 끝난 후, 매실 투여군은 매실추출물을, 위약 투여군은 위약을 6주간 일일 2회 섭취하였다. 매실 구성성분은 Table 3과 같다.</p><h2>최대산소섭취량 \( 75 \% \) 산정 및 테스트</h2><p>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 은 가스분석기 (Monographic사, USA, CPXsystem) 을 이용하여, breath by breath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Bruce protocol을 채택하여 트레드밀 (Quinto사, USA, Q65) 에서 실시하였다. \(75 \%\) \(\mathrm{VO}_{2}\)max 테스트를 위하여 테스트 전 각 피험자들의 \(\mathrm{VO}_{2}\)max를 바탕으로 그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의 \(75 \%\) (\(75 \% \) \(\mathrm{VO}_{2}\)max)를 산정하였다. 6주간의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 전과 섭취 후 모두, Bruce protocol로 운동을 시작하여 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운동 강도가 증가되도록 하다가, 각 피험자들의 산소섭취량이 미리 산정해 놓은 (\(\mathrm{VO}_{2}\)max)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트레드밀의 protocol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30 분간 트레드밀 달리기를 실시하였다.</p><h2>혈액채취 및 분석방법</h2><p>혈액 채취는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전과 섭취 후(0주 및 6주) 에 각각 4회(안정 시, 종료 시, 회복 30분, 회복 1시간) 실시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2,500~3,000 \(\mathrm{rpm} \) 에서 15~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어 혈중 피로요소(젖산, 암모니아,무기인산)과 에너지 기질(글루코스, 유리지방산)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건식 생화학분석기(Kodak사, USA, EKTACHEM DT60 Ⅱ)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글루코스는 면역분석기(Bayer사 USA, ADVIA 1650)를 이용하여 enzymatic 검사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리지방산은 자동생화학 분석기(Hitachi사, Japan, Hitachi 71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h2>자료 처리</h2><p>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는 SPSS 통계 package (v. 12.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혈중 피로요인 및 에너지 기질 변화 형태 비교는 투여조건과 시기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2(투여조건; 매실투여전, 매실투여후) \( \times 4 \) (시기; 안정 시, 운동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요인설계하에 이루어졌으며, 투여조건과 시기를 반복 측정하는 이원 분산분석법(two-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부분은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p>
|
[
"투여 전 테스트가 끝난 후, 매실 투여군은 매실추출물을, 위약 투여군은 위약을 6주간 일일 1회 섭취하였는가?",
"매실 투여군은 매실추출물을 투여전 테스트 이후, 위약 투여군은 6주간 매일 1회씩 섭취하였는가?",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 은 가스분석기 (Monographic사, USA, CPXsystem) 을 이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측정하였는가?",
"스분석기 (Monographic사, USA, CPXsystem)을 바탕으로 어떤 방법을 통해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을 관찰하였는가?",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 은 무엇을 채택하여 트레드밀 (Quinto사, USA, Q65) 에서 실시하였는가?",
"트레드밀 (Quinto사, USA, Q65) 에서 시행한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은 무엇을 선택하였는가?",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 은 Bruce protocol을 채택하여 어디에서 실시하였는가?",
"Bruce protocol을 선택하여 최대산소섭취량 (\\(\\mathrm{VO}_{2}\\)max)이 실시된 곳은 어디인가?",
"\\(75 \\%\\) \\(\\mathrm{VO}_{2}\\)max 테스트를 위하여 테스트 전 각 피험자들의 \\(\\mathrm{VO}_{2}\\)max를 바탕으로 무엇을 산정하였는가?",
"테스트 전 각 피험자들의 \\(\\mathrm{VO}_{2}\\)max은 \\(75 \\%\\) \\(\\mathrm{VO}_{2}\\)max 테스트를 위하여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6주간의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 전과 섭취 후 모두,무엇으로 운동을 시작하였는가?",
"6주간의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 전후 운동을 하기 위해 무엇을 활용하였는가?",
"각 피험자들의 산소섭취량이 미리 산정해 놓은 (\\(\\mathrm{VO}_{2}\\)max)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몇 분간의 트레드밀 달리기를 실시하였는가?",
"미리 산정해 놓은 (\\(\\mathrm{VO}_{2}\\)max) 산소섭취량을 유지하기 위해 트레드밀 달리기는 몇 분간 진행되는가?",
"각 피험자들의 산소섭취량이 미리 산정해 놓은 (\\(\\mathrm{VO}_{2}\\)max)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트레드밀의 protocol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20분간 트레드밀 달리기를 실시하였는가?",
"미리 산정해 놓은 (\\(\\mathrm{VO}_{2}\\)max)은 산소섭취량을 유지하기 위해 수동으로 맞춰진 protocol을 통해 트레드밀 달리기는 20분간 진행되었는가?",
"혈액 채취는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전과 섭취 후(0주 및 6주) 에 각각 3회 실시하였는가?",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전후 각각 3회간 혈액 채취가 시행되었는가?",
"혈액 채취는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전과 섭취 후(0주 및 6주) 에 각각 몇 회 실시하였는가?",
"매실추출물과 위약 섭취전후 혈액 채취는 몇회에 걸쳐 시행되었는가?",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으로 분석하는 혈중 피로요소에는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이 있어?",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확보한 혈중 피로요소에 속하는가?",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으로 분석하는 혈중 피로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혈액의 원심분리를 통해 확보된 혈중 피로요소 3가지는 무엇인가?",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으로 분석하는 혈중 에너지 기질 2가지는 무엇인가?",
"원심분리된 혈액을 통해 확보된 혈중 에너지 기질의 2가지는 무엇인가?",
"채취된 혈액은 2,500~3,000 \\(\\mathrm{rpm} \\) 에서 원심분리하는 시간은 얼마인가?",
"2,500~3,000 \\(\\mathrm{rpm} \\)의 혈액의 원심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은 얼마인가?",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무엇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무엇을 통해 분되되는가?",
"혈중 글루코스는 무엇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혈중 글루코스의 분리를 위해선 무엇을 활용해야 하는가?",
"혈중 글루코스는 어떤 검사법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검사법을 이용하여 혈중 글루코스를 분석할 수 있는가?",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면역분석기(Bayer사 USA, ADVIA 1650)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는가?",
"면역분석기(Bayer사 USA, ADVIA 1650)를 통해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을 분석할 수 있는가?",
"혈중 글루코스는 생화학분석기(Kodak사, USA, EKTACHEM DT60 Ⅱ)를 사용하였는가?",
"생화학분석기(Kodak사, USA, EKTACHEM DT60 Ⅱ)를 통해 혈중 글루코스 분석할 수 있는가?",
"유리지방산은 어떤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유리지방산을 검사하기 위해서 어떤 분석기를 활용해야 하는가?",
"유리지방산은 면역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면역분석기를 활용할 때 유리지방산의 검사가 가능한가?",
"유리지방산은 무엇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무엇을 활용할 때 유리지방산을 검사할 수 있는가?",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은 무엇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가?",
"혈중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을 검사하기 위해 무엇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글루코스는 무엇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무엇을 활용할 때 글루코스를 검사할 수 있는가?",
"SPSS 통계 package (v. SPSS 통계 package (v. 12.0)를 이용한 기술통계량 산출과정은 뭐야?",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해 SPSS 통계 package (v. SPSS 통계 package (v. 12.0)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모든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부분은 무엇을 실시하였는가?",
"실험에서 뚜렷한 결과를 보인 부분은 어느 부분인가?",
"본 연구에서 얻은 자료는 무엇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는가?",
"기술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해 어떤 것을 활용했는가?",
"혈중 피로요인 및 에너지 기질 변화 형태 비교는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활용할 때 혈중 피로요인 및 에너지 기질 변화 형태를 대조할 수 있는가?",
"혈중 피로요인 및 에너지 기질 변화 형태 비교는 일원 분산분석법(on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나요?",
"일원 분산분석법(one-way ANOVA)을 활용하면 혈중 피로요인 및 에너지 기질 변화 형태 대조가 가능한가?",
"모든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부분의 사후검증을 통한 검사의 유의수준은 얼마인가?",
"사후검증의 실시를 통해 확인된 유의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
234764f5-1e1c-47f4-adb2-f5e731087eec
|
생명LA
|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
<h1>결 과</h1><p>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젖산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와 투여조건의 주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 \( [F(3,42)=133.780, p=0.000] \)의 주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시기의 사후검증 결과, 운동종료 시 \( (M=6.843)\) 가 안정 시 \((M=1.176) \), 회복30분 \( (M=2.210) \), 회복60분\( (M=1.216)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 (p=0.000) \), 또한 회복 30분 \( (M=2.210) \)이 회복 60분 \( (M=1.216)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0.000) \).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 2.03 \%\), \(5.57 \% \), \( 5.95 \% \) 적은 수치를 보여 매실 투여가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p><p>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 [F(3,36)=3.387, p< \)\( 0.05] \). 이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매실 투여 조건에 대한 시기별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매실 투여 전, 운동 종료시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안정 시, 회복 30분, 회복 60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0.000) \). 매실 투여 후에도 운동 종료시점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안정시, 회복 30분, 회복 60분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0) \).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15.69 \%\), \(17.23 \%\), \(19.62 \% \) 적은 수치를 보여 매실 투여가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 또한, 투여조건 \( [F(1,12)=21.844, p<0.01] \) 과 시기 \( [F(3,36)=178.256, p=0.000] \)의 주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투여조건의 사후검증 결과, 매실 투여 전 \( (M=67.73) \) 이 매실 투여 후 \( (M=55.70) \)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 (p<0.01) \), 시기의 경우, 운동 종료 시 \( (M=104.31) \)가 안정 시 \( (M=48.08) \), 회복 30분 \( (M=48.35) \), 회복 60분 \( (M=46.12)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00) \).</p><p>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무기인산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와 투여조건의 주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 \( [F(3,30)=73.248, p=0.000] \)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시기의 사후검증 결과, 운동 종료 시\( (M=5.068) \)가 안정 시 \( (M=3.714) \), 회복 30분 \( (M=8.905) \), 회복 60분 \( (M=3.627)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 (p=0.000) \), 또한 회복 30분 \( (M=3.905) \) 이 회복 60분 \( (M=3.627)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0.000) \).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 3.35 \% \), \( 3.88 \%\), \(4.89 \% \) 적은 수치를 보여 매실 투여가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p><p>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글루코스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투여조건과 시기의 주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p>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 2.54 \%\), \(0.6 \%\), \( 3.11 \% \) 적은 수치를 보였다.</p><p>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FFA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와 투여조건의 주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 \( [F(3,36)=14.9444, p=0.000] \)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시기의 사후검증 결과, 안정 시\( (M=236.192) \)가 회복30분 \( (M=501.154) \)과 회복60분 \( (M=496.077)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 (p<0.01) \), 운동 종료 시\( (M=390.769) \)가 안정 시 \( (M=236.192) \) 와 회복 30분 \( (M=501.154)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 (p<0.01) \).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33.78\%\)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였다.</p>
|
[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젖산 농도 변화를 위해 어떻게 했어?",
"매실의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젖산 농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떻게 실험을 진행하였는가?",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와 투여조건의 주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게 맞아?",
"이원변량분석을 시행한 후 그 결과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능과 투여조건의 주효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것이 맞는것인가?",
"이원변량분석은 어떤 변화를 알기 위해 실시한거야?",
"어떠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시행한 것인가?",
"회복 30분 \\( (M=2.210) \\)이 회복 60분 \\( (M=1.216) \\)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난게 맞아?",
"회복 30분 (M=2.210)이 회복 60분 (M=1.216) 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보여지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위해 어떤 방법을 통해서 했어?",
"어떤 방법을 통해서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파악하였는가?",
"사후검증으로 매실 투여 조건에 대한 시기별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하게 나타난 수치는 언제보다 높게 나타난 것인가?",
"사후검증을 통하여 매실 투여 조건에 대한 시기별 차이 분석을 위하여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미하게 보여지는 값은 어느때 보다 더 높게 표출된 것인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으로 실시한 것은 무엇인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 암모니아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힌 후 사후검으로 무엇을 시행한 것인가?",
"매실 투여 후에 운동 종료시점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매실 투여 전에는 운동 종료시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낸게 맞아?",
"매실 투여 후에 운동 종료시점이 제일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는데 매실 투여 전에는 운동 종료시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여준 것이 올바른 것인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각각의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보인 수치는 뭐야?",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미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각각의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보인 수치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적은 수치를 보이므로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게 뭐야?",
"운동 종료, 회복 30분, 회복 60분에 각각 매실을 투여 한 후가 매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작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것인가?",
"투여조건 \\( [F(1,12)=21.844, p<0.01] \\) 과 시기 \\( [F(3,36)=178.256, p=0.000] \\)의 주 효과는 무의미하게 나타난게 맞아?",
"투여조건 [F(1,12)=21.844,피<0.01] 과 시기 [에프(3,36)=178.256,피=0.000]의 주요 효능이 무의미하게 나타난것이 올바른 것인가?",
"시기의 경우, 운동 종료 시 \\( (M=104.31) \\)가 안정 시 \\( (M=48.08) \\), 회복 30분 \\( (M=48.35) \\), 회복 40분 \\( (M=46.12) \\)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게 맞아?",
"시기의 경우, 운동 종료 시 (M=104.31)가 안정 시 (M=48.08), 회복 30분 (M=48.35), 회복 40분 (M=46.12)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것이 올바른 것인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에 대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무엇을 위해 했어?",
"무엇을 알아보기 위하여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에 대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가?",
"시기 \\( [F(3,36)=14.9444, p=0.000] \\)의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게 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이유가 뭐야?",
"시기[에프(3,36)=14.9444,피=0.000]의 주요 효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게 한 이원변량분석으로 조사한 이유가 무엇인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의 어떤 농도 변화를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가?",
"매실 투여 조건 간, 시기 간 혈장의 어떠한 농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시행하였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시작,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 2.54 \\%\\), \\(0.6 \\%\\), \\( 3.11 \\% \\) 적은 수치를 보인게 맞아?",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미한 차는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 시작, 회복 3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2.54%, 0.6%, 3.11% 적은 수치를 나타난것이 올바른 것인가?",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어떤효과와 투여조건과 시기의 주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가?",
"매실 투여 조건과 시기의 어떠한 효능과 투여조건과 시기의 주요 효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여지지 않았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10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 2.54 \\%\\), \\(0.6 \\%\\), \\( 3.11 \\% \\) 적은 수치를 보인게 맞아?",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해 보면, 유의미한 차이는 보여지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회복 100분, 회복 60분 각각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2.54%, 0.6%, 3.11% 작은 수치를 나타냈는데 이것이 올바른 것인가?",
"시기의 사후검증 결과, 안정 시가 몇 분들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는가?",
"시기의 사후검증 결과, 안정 시가 몇 분들 보다 더 유의미하게 낮게 보여주었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42.78\\%\\)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인게 맞아?",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해 보면,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지만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42.78% 높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33.78\\%\\)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무엇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과 비교하여 33.78% 높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어떤것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고 보이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였을때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33.78\\%\\)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써 어떤 부분을 위한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였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였을때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33.78% 높은 수치를 나타냄으로써 어떠한 부분을 위하여 유리지방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나타내었는가?",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고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유리지방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인게 맞아?",
"매실 투여 전과 매실 투여 후를 비교하고 운동 종료 시 매실 투여 후가 매실 투여 전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임으로써 운동수행 증진을 위한 에너지 기질인 유리지방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난것이 올바른 것인가?",
"투여조건의 사후검증 결과 시기의 경우는 어떻게 했어?",
"\n어떻게 투여조건의 사후검증 결과 시기가 시행되었나요?"
] |
Subsets and Splits
No community queries yet
The top public SQL queries from the community will appear here once avail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