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stringlengths
36
57
type
stringclasses
4 values
title
stringlengths
0
159
context
stringlengths
121
17.2k
questions
listlengths
1
584
1621ded4-4e02-472b-80e7-737a49dd0f03
생명LA
인체 전립선 상피세포에서 HDAC 저해제 trichostatin A의 caspase 및 NF-\(\kappa\)B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도
<h1>결과 및 고찰</h1><h2>HDAC 저해제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 유발</h2><p>HDAC 저해제인 TSA의 처리에 의한 267B1 세포의 증식 억제가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조건에 준하여 적정시간 또는 다양한 농도의 TSA를 처리하여 267B1 세포의 증식억제 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조건에서도 선행연구의 결과에서와 유사하게 \( 400 \mathrm{ng} / \mathrm{ml}\) TSA의 24 시간 동안 처리에 의하여 정상 배지에서 배양된 대조군에 비하여 약 \( 50 \% \) 이상의 증식억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data not shown). 이러한 TSA 처리에 따른 267B1 세포의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기 위하여 apoptosis 일어난 세포에서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염색질의 응축 및 DNA 단편화 현상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 및 400 \(\mathrm{ng} / \mathrm{ml} \) 의 TSA가 24시간 처리된 세포를 대상으로 DAPI 염색을 실시하여 핵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서 TSA가 처리된 배지에서 배양된 세포들의 핵 내 DNA를 분리하여 DNA 단편화 여부 조사를 위하여 agarose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Fig. 1A 및 B에서 알 수 있듯이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염색질의 응축에 의한 핵의 깨짐 현상 및 DNA 단편화의 증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TSA 처리에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 유발의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flow cytometry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Fig. 1C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TSA에 의한 267B1 세포의 증식 억제가 apoptosis 유발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 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p><h2>Bcl- 및 IAP family 인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HDAC 저해제 TSA의 영향</h2><p>이상에서 관찰된 TSA 처리에 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기전 해석의 시도를 위하여 먼저 Bcl-2 및 IAP family에 속하는 몇 가지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Bcl-2 family에 속하는 몇 가지 인자들은 apoptosis 유발 조절에 가장 대표적인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데, 그중 Bcl-2는 anti-apoptotic 분자로서 apoptosis의 유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Bax는 pro-apoptotic 분자로 Bax 단백질 발현의 증가는 apoptosis의 유발을 유도한다. 이들 두 유전자는 세포 내 소기관 중 mitochondria로부터의 cytochrome c를 유리시켜 cysteine-related protease인 caspase,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 DNA의 단편화와 연관된 endonuclease 등의 활성을 상호 조절한다. 이들은 서로 dimer의 형태로 존재하며 그들의 발현 수준에 변화가 초래되면 apoptosis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험의 조건에서 TSA의 처리에 따라 Bax 및 Bcl-2의 단백질 발현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그리고 IAP family에 속하는 여러 유전자 산물은 세포 내 anti-apoptotic 활성을 지니는데, 이들은 caspase와의 직◦간접적인 결합을 통하여 그들의 apoptotic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밝혀져 있다. 특히 이들 IAP family의 발현은 전사 조절인자인 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에 의해 조절 받는 것으로 밝혀져 apoptosis의 신호전달 연구에서 많은 표적인자로 관심을 받고 있다. Bcl-2 family와는 달리, TSA 처리 농도 및 시간의 증가에 따라 조사된 두 가지 IAP family 중, c-IAP-1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c-IAP-2의 발현도 다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TSA 처리에 따른 267B1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Bax 및 Bcl-2의 발현 변화보다는 IAP family 인자의 발현 감소가 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을 것 같으며, IAP family의 발현 감소는 caspase 활성을 유도할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그러나 Bax 및 Bcl-2의 경우 총 단백질에 대한 발현의 양적 변화만을 조사한 것이므로 미토콘드리아로의 이동과 관련된 세포 내에서의 분포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p>
[ "본 연구는 어떤 물질을 처리한 267B1 세포의 증식 억제가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는지 조사했어?", "본 연구에서 얼마만큼의 TSA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했어?", "본 연구에서 \\( 400 \\mathrm{ng} / \\mathrm{ml}\\) TSA의 24 시간 동안 처리햔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몇 프로 이상의 증식 억제를 보였어?", "TSA 처리에 따른 267B1 세포의 증식억제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해서 무엇의 여부를 조사했어?", "염색질의 응축 및 DNA 단편화 현상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 TSA가 24시간 처리된 세포를 대상으로 어떤 염색을 했어?", "TSA가 처리된 배지에서 배양된 세포들의 DNA 단편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 어떤 전기영동을 사용했어?", "Fig. 1A 및 B를 종합해 보았을 때, TSA의 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 수록 DNA 단편화가 증가해?", "TSA 처리에의한 267B1 세포의 apoptosis 유발의 정도를 정량화 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은 뭐야?", "apoptosis 유발 조절에 가장 대표적인 유전자는 어떤 그룹에 속한 인자들이야?", "Bcl-2 family에 속하는 분자로써 apoptosis의 유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분자는 뭐야?", "Bcl-2 family에 속하는 인자로서 apoptosis의 유발을 유도하는 물질은 뭐야?", "Bcl-2와 Bax는 mitochondria로부터 무엇을 유리시켜서 DNA의 단편화와 연관된 endonuclease 등의 활성을 상호 조절을 해?", "Bcl-2 와 Bax 두 인자는 단편화와 연관된 어떤 현상의 활성을 상호 조절해?", "apoptosis를 유발시키는 Bcl-2와 Bax는 서로 어떤 형태로 존재해?", "Fig. 2를 분석해 보았을 때 TSA의 처리에 따라 Bax 및 Bcl-2의 단백질 발현 변화는 유의미한 결과값을 보여줘?", "IAP family에 속하는 여러 유전자 산물들은 세포내에서 어떤 활성을 지녀?", "IAP family의 발현은 무엇에 의해서 조절 받는다고 할 수 있어?", "IAP family의 유전자 산물은 TSA처리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성을 가져?", "Bax 및 Bcl-2의는 단백질 발현 변화만 조사 한 것이기 때문에 세포소기관 중 어느 곳으로의 이동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해?" ]
403078ba-de1b-48b6-9492-258961aeee81
생명LA
식품폐수처리 RABC system의 생물막과 포기조 대사지문 비교
<h1>요 약</h1><p>돈◦도축 식품폐수를 처리하는 생물막 시스템인 RABC(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공정의 생물막과 점감식으로 운영되는 포기조의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Biolog \( \mathrm{GN}2 \) plate를 이용한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응표본 상관관계 분석과 pairs \( t \)-test를 통하여 매일 측정값보다 일별변화량이 전반적인 군집구조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생물막이 포기조 시료들에 비해 높은 탄소원 이용도를 보여 \( (p<0.01) \) 생물막의 높은 유기물 제거 능력을 알 수 있었고 포기조 시료사이는 이용된 탄소원의 상관관계가 높았고(\(78\%\)) 활성정도도 비슷하였다( \(p=0.287 \)). 셋째 활발하게 이용된 탄소원의 종류는 시료별로 차이를 보여 활성을 보이는 군집이 각 처리단계 별로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료라도 호기/혐기 조건에 따라 대사지문에 차이를 보여 미호기성 및 혐기성 군집구성원에 의한 활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대사지문(metabolic fingerprinting)을 통한 활성군집 비교에 일별변화량과 혐기조건 분석을 병행하면 더욱 풍부한 분석이 가능할것이다.</p>
[ "본문에서 공정 중 식품폐수를 처리하는 생물막 시스템은 무엇인가?", "본문에서 식품폐수를 관리하는 생물막 시스펨은 무슨 공정인가?", "본문에서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을 하기위해서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본문에서 무엇을 이용하여 호기/혐기 대사지문을 검토하였나요?", "본문에서 Biolog \\( \\mathrm{GN}2 \\) plate를 사용해서 어떤 것을 분석하고자 했는가?", "본문에서 어떤 것을 검토하기 위해 Biolog \\( \\mathrm{GN}2 \\) plate를 이용하였나요?", "본문에서 실험의 결과값을 얻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는가?", "본문에서 어떤 방법으로 실험을 시행하여 실험의 결과값을 거두었나요?", "일별변화량을 보는 것이 매일 측정값을 측정하는 것보다 전반적인 군집 구조의 비슷함을 보이는 것을 어떻게 확인했찌?", "측정값을 매일 관측하는 것보다 일별변화량을 보는 것이 보편적인 군집 구조와 더 유사하다는 것을 어떤 방법을 통해 알게됐나요?", "본 실험에서 대응표본 상관관계 분석과 pairs \\( t \\)-test을 가지고 어떤 결과를 알아냈는가?", "본 실험에서 어떤 결과가 대응표본 상관관계 분석과 pairs \\( t \\)-test을 바탕으로 도출됐나요?", "포기조 시료들과 비교했을 때 생물막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생물막은 포기조 시료들과 견주어볼 때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나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 결과를 보았을 때, 포기조 시료사이에 사용한 탄소원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 되는가?", "포기조 시료사이에 이용된 탄소원의 상관관계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 결과 어떤 수치로 측정되었나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의 결과에서 포기조 시료의 특징은 무엇인가?", "포기조 시료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의 결과에서 어떤 성격을 보이나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의 결과에서 같은 시료라고 어떤 조건의 변화에 따라 대사지문에 차이를 나타내는가?",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어떤 조건을 변동시킬 때 같은 시료라도 대사지문 차이를 드러내나요?",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에 의한 결과 중 호기/혐기 조건에 따라서 같은 시료의 경우도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어떤 것을 확인했는가?",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 결과 같은 시료라도 호기/혐기 조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점을 보고 무엇을 판명하였나요?", "본문에서 진행한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말고 추후 어떤 연구를 더 진행해야 분석에 용이할 것으로 보이는가?", "수월한 분석을 위해 본문에서 수행한 호기/혐기 대사지문 분석 외에 무슨 연구를 더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 ]
9452f9d2-edce-4d62-bac7-9cc95ccefe3a
생명LA
식품폐수처리 RABC system의 생물막과 포기조 대사지문 비교
<h1>서 론</h1><p>폐수처리에 이용되는 활성슬러지법은 단위부피당 낮은 처리효율 및 이로 인한 넓은 부지 면적 외에 슬러지 처리 문제 등이 있어 이의 극복과 함께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영양염류의 제거 등을 위한 고도처리공법으로 생물막(biofilm)을 이용한 공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등 생물막을 이용하는 부착미생물법은 유량과 유기물 농도 변동에 대한 저항성과 공정설치에 작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Bacillus 등 포자형성균의 우점화를 이용한 생물막 공법인 RABC (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공법은 RBC 공법의 변형으로 부착미생물법의 장점 외에 Bacillus 종 등과 같은 포자형성균 혼합종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물과 악취성분 제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p>미생물 군집의 조성 조사와 비교를 위한 방법으로 배양법과 비배양법이 있는데 배양법은 전체 군집구조를 파악할 수 없고 비배양법은 활성을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다양한 탄소원이 함유된 Biolog plate를 이용한 대사지문(metabolic fingerprinting)은 미생물군집 각 구성원들이 이용하는 탄소원의 정성적, 정량적 비교를 하는 것으로 군집구성원들의 개별적 파악은 어렵지만, 빠른 분석속도와 간편하고 재현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CLPP (community level physiology profile)라고도 하며 공간과 시간에 따른 군집비교에 이용되고 있다.</p><p>한편 Röling 등은 침출수로 오염된 수역의 대사지문을 조사하면서 혐기 조건이 혐기성 군집의 활성에 필수적이라고 하였으며 Anderson 등은 플라크(plaque) 생물막의 혐기조건 대사지문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RBC에서는 혐기성 및 미호기성 미생물의 존재가 확인되는데도 대사지문은 주로 호기성 군집에 적용되어 왔고 혐기성 군집의 대사지문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p><p>이에 본 논문에서는 Biolog GN2 plate를 이용하여 RABC 공정 각 단계별로 미생물 군집의 활성과 대사지문을 호기성군집과 혐기성군집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p>
[ "활성슬러지법은 무엇을 처리하는 데 이용돼?", "무엇을 처리하는데 활성슬러지법이 사용돼?", "활성슬러지법은 슬러지 처리 문제뿐만 아니라 어디에 또 다른 단점이 존재하는가?", "활성슬러지법의 단점으로는 슬러지 처리 문제 외에 무엇이 있는가?", "활성슬러지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고도처리공법으로 무엇을 이용한 공법을 사용해?", "활성슬러지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한 고도처리공법을 활용해?", "영양염류는 무엇을 일으켜?", "영양염류는 어떤 현상을 야기시키는가?" ]
801c97b0-ca0e-49cd-891e-cf3007831158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1>서 론</h1><p>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인공재배에 의해 주로 생산되며, 가장 높은 소득을 보장하는 식물중의 하나로, 최근 성인병과 관련한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서의 가치가 높디. 또한, 버섯이 갖고 있는 항산화 물질은 높은 활력을 보여 DNA 손상과 암을 일으키는 자유라디칼의 생성을 감소시켜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느타리버섯의 재배면적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이것의 주요 원인은 세균성 갈반병의 잦은 발병이다. 갈반병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발생하는 세균병으로 수분함량이 녹고 부드러운 조직을 가진 모든 버섯에서 나타난다. 갈반병의 보고는 1915년 Tolaas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느타리버섯뿐만 아니라 양송이 버섯(Agaricus bisporus) 및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등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어, 유럽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앙송이버섯 재배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p><p>갈반병의 발생은 주로 버섯 자실체 형성 초기에 P. tolaasii가 감염되어 나타난다. 일단 병이 발생하면 어린 버섯의 경우 조직 전체가 괴사하여 녹아 내리며, 성장한 버섯에는 갓 조직에 갈색반점을 형성하여 버섯 조직을 진한 갈색으로 변화시키고 악취를 발생시켜 상품성을 없앤다. 갈반병은 발병의 예측이 어려우며, 병이 발생하면 재배상과 재배단지 전체에 빠르게 번져 수확이 불가능하게 된다. 국내에서 갈반병에 대한 연구는 피해 규모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다만, 병원균의 분리 및 동정, 특성연구에서 느타리버섯과 팽이버섯을 대상으로 갈반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을 흰색침강선형성검정법(white line test)과 버섯조직함몰검정법(pitting test) 등으로 P. tolaasii와 P. agarici를 분리하였으며, P. tolaasii가 갈반병의 원인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이 균주가 분비하는 톨라신은 버섯 세포막을 파괴하여 갈반병의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톨라신의 버섯 세포막 파괴에 대한 명확한 기작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톨라신 펩티드의 세포막 결합 및 유입, 막에서의 다중화결합을 통한 pore 형성, 형성된 pore를 퉁한 용질의 이동으로 삼투압 교란을 일으켜 버섯 세포의 파괴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p><p>톨라신은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으로, 이 펩티드의 독성 평가에는 앙송이버섯을 이용한 버섯조직함몰검정법(pitting test)이 알려져 있으나, 이 방법은 관측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독성의 정량적 평가가 어렵다. 반면, 적혈구를 이용한 용혈활성검정법(hemolysis)은 측정 시간이 빠르며, 독성의 정량 및 정성평가에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혈활성검정법을 이용하여 강한 금속이온의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 특성을 조사하던 중 기존에 저해효과가 알려진 \( \mathrm{Zn}^{2+} \) 에 더하여 \( \mathrm{Ni}^{2+} \)이 툴라신의 세포독성을 저해함을 발견하고, pH 변화에 따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작용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두 이온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세포독성 저해 효과 상승작용을 확인하였다.</p>
[ "느타리버섯은 주로 야생에서 생산되는가?", "느타리버섯은 시장성이 없는 작물인가?", "느타리버섯은 성인병에 효과적인가?", "버섯은 자유라디칼의 생성을 촉진시키는가?", "최근 느타리버섯의 재배면적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가?", "버섯은 항암효과를 가지는가?", "최근 느타리버섯의 재배면적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느타리버섯에는 세균성 갈반병이 발생 할 수 있는가?", "본문에 의하면 갈반병의 원인은 무엇인가?", "갈반병은 수분함량이 적은 버섯에서 주로 발생하는가?", "갈반병은 어떤 버섯에서 발생하는가?", "갈반병은 양송이 버섯에서도 나타나는가?", "본문에 의하면 갈반병의 연구는 주로 느타리버섯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는가?", "갈반병을 처음 보고한 사람은 Tolaas인가?", "갈반병은 버섯의 성장과정에서 언제 주로 감염되는가?", "어린 버섯이 갈반병을 가지게 되면 어떻게 진행되는가?", "성장한 버섯에서 갈반병이 발생하면 어떤 병징을 가지는가?", "성장한 버섯에서 갈반병이 발생하면 조직 전체가 괴사하여 녹아버리는가?", "성장한 버섯에 갈반병이 발생하면 어떤 색의 반점을 형성하는가?", "갈반병의 병징으로 악취는 발생하지 않는가?", "갈반병은 어느 정도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가?", "본문에 의하면, 버섯 재배시 갈반병이 발생하더라도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한가?", "갈반병은 확산 속도가 점진적인가?", "국내 갈반병의 연구는 활발한가?", "병원균을 분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갈반병원균은 무엇과 무엇으로 분리될 수 있는가?", "갈반병의 원인균주는 P. agarici인가?", "버섯 세포막을 파괴하며 갈반명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갈반병의 직접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톨라신의 버섯 세포막 파괴에 대한 기작은 밝혀졌는가?", "톨라신은 버섯 세포막을 어떻게 파괴하는가?", "앙송이버섯을 이용한 버섯조직함몰검정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톨라신 펩티드 독성평가에는 어떤 검정법이 사용되는가?", "버섯조직함몰검정법은 독성의 정량적 평가에 용이한가?", "용혈활성검정법은 백혈구를 이용하는가?", "용혈활성검정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버섯조직함몰검정법을 사용하는가?", "본 연구가 용혈활성검정법을 이용하여 강한 금속이온의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 특성을 조사하던 중 발견한 것은 무엇인가?", "\\( \\mathrm{Zn}^{2+} \\) 와 \\( \\mathrm{Ni}^{2+} \\)는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저해한가?", "본 연구는 \\( \\mathrm{Zn}^{2+} \\) 와 \\( \\mathrm{Ni}^{2+} \\)를 함께 처리하여 무엇을 밝히고자 하였는가?", "본 연구는 어떤 실험을 하였는가?", "갈반병이 처음 보고된 것은 언제인가?", "톨라신은 antimicrobial peptide의 일종인가?", "갈반병은 팽이버섯에서는 발생하지 않는가?", "버섯은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는가?", "본 연구는 \\( \\mathrm{Ni}^{2+} \\)이 툴라신의 세포독성을 저해함을 발견하였는가?" ]
e90aacca-c8bf-45fb-96b6-f0266a9db0f2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1>초 록</h1><p>Pseudomonas tolaasii에 의해 분비되는 톨라신은 펩티드 독소로서, 버섯 자실체 구조와 세포를 파괴하여 갈반병을 일으킨다. 톨라신의 독성은 용혈활성을 측정함으로서 평가하며, 이는 톨라신 분자가 적혈구 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 구조를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전 연구에서, \( \mathrm{Zn}^{2+} \) 뿐만 아니라 \( \mathrm{Ni}^{2+} \) 이 톨라신의 세포독성에 억제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 \mathrm{Ni}^{2+} \) 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을 저해하였으며, 이의 \(\mathrm{K}_{\mathrm{i}} \) 값은 \( 1.8 \mathrm{mM} \) 이었다. 용혈활성은 \( 10 \mathrm{mM} \) 이상의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 \mathrm{Ni}^{2+} \)의 효과는 \( \mathrm{pH} \)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mathrm{Zn}^{2+} \)의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 효과는 염기성 \( \mathrm{pH} \) 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완충액의 \( \mathrm{pH} \) 를 \(7\)에서 \(9\)로 증가시키면, \( 50 \% \) 용혈작용이 일어나는 시간인 \( \mathrm{T}_{50} \)은 \( 1 \mathrm{mM}\) \( \mathrm{Ni}{ }^{2+} \)에 의해 조금 증가하였으나 \( 100 \mu\) \(\mathrm{Mn}^{2+} \)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 \mathrm{Zn}^{2+} \)와 \( \mathrm{Ni}^{2+} \)을 반응용액에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두 양이온의 상승효과는 모든 \( \mathrm{pH} \) 에서 나타났다. 서로 다른 \( \mathrm{pH} \) 의존성을 보이는 두 금속이온의 분자적 설명은 톨라신의 pore 형성과 세포 독성에 관한 기작의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p>
[ "톨라신의 독성 작용은 일부 이온에 의해서 활성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이 옳은가?", "톨라신은 어떤 종류의 독소인가?", "버섯에서 톨라신을 생산하여 갈반병을 일으키는 것이 옳은가?", "버섯의 균사체 부분에서 톨라신에 의해서 갈반병이 발생하는 사실이 옳은가?", "팹티드 독소는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 독소가 맞는다?", "톨라신의 독성 능력은 세포 구조를 삼투압을 통해 파괴하는 것이 옳은가?", "톨라신 저해 활성 분자인 2가 니켈 이온이 농도 의존적인 저해 활성능을 보여주는 것이 맞는가?", "2가 아연 이온은 pH 13인 환경에서 톨라신의 세포독성의 억제능이 매우 뛰어나는 것이 맞는가?", "2가 니켈 이온은 pH에 따라서 급격한 톨라신 저해 활성능 차이를 보이는 것이 맞는가?", "니켈 2가 이온이 톨라신에 의한 용혈작용을 저해할 때 \\(\\mathrm{K}_{\\mathrm{i}} \\) 값은 얼마인가?", "톨라신이 버섯에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가?", "톨라신 독소는 진균류에만 독성을 보이는것이 맞는가?", "톨라신은 인지질막에 부착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이 옳은가?", "톨라신 분자는 적혈구에 어떻게 독성 작용을 나타내는가?", "니켈 2가 이온과 아연 2가 이온을 동시에 톨라신이 들어있는 반응용액에 처리시 pH의 변화에 의해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 효과가 단일제제보다 감퇴되는 것이 맞는가?" ]
29910299-87da-44ef-8769-f813b97e716b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2>\( \mathrm{pH} \) 변화에 따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상승효과</h2><p>\(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각각을 단독 처리하였을 때보다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톨라신의 용혈활성 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하였다(Fig. 1). 또한, \( \mathrm{Zn}^{2+} \) 는 알칼리 조건에서 용혈활성 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Fig. 4).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동시 처리에 의한 상승효과와 용액의 \( \mathrm{pH} \) 변화의 상관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 \mathrm{pH} \mathrm{6-9} \)의 범위에서 \( 100 \mu \mathrm{M}\) \( \mathrm{Zn}^{2+} \) 와 \( 1 \mathrm{mM} \) \(\mathrm{Ni}{ }^{2+} \) 을 동시에 처리하여 용혈활성을 측정하면서 \(20\) 분 후에 용혈정도를 측정하였다.</p><p>앞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 \mathrm{Zn}^{2+} \) 만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 용액의 \( \mathrm{pH} \) 가 증가함에 따라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 \mathrm{Zn}^{2+} \) 는 \( \mathrm{pH} \) 에서 \( 20 \% \) 미만, \( \mathrm{pH}7 \) 에서는 약 \( 50 \% \) 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 \mathrm{pH} 8 \) 에서는 저해가 크게 증가하여 약 \( 75 \% \) 의 용혈활성을 저해하였으며, \( \mathrm{pH} 9 \) 에서는 \( 90 \% \) 이상 저해하였다(Fig. 5). 반면, \( \mathrm{Ni}^{2+} \) 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는 \(\mathrm{pH}6-9 \)에서 약\( 5-25 \% \) 를 저해하였으며 \( \mathrm{pH} \) 7에서 가장 큰 저해효과를 보였다. 두 이온을 동시에 첨가하였을 때, 상승효과는 모든 \( \mathrm{pH} \) 에서 크게 관측되었다. \( \mathrm{pH} 6\)과 \(7\)에서는 각각 이온의 단독 저해효과가 크지 않았음에도, 용혈활성 저해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동시처리시에 상승효과가 관측되었다. 또한, \( \mathrm{pH} 8\) 과 \(9\)에서도 \(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동시처리가 큰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알칼리 조건에서는 \( \mathrm{Zn}^{2+} \) 의 단독처리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나 동시처리시에 얻어진 저해효과 상승작용도 주로 \( \mathrm{Zn}^{2+} \) 에 의해 기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p>
[ "용액의 \\( \\mathrm{pH} \\) 가 증가함에 따라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저해하는 것 어떤 경우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동시에 처리했을 때 톨라신의 용혈활성 억제 효과가 증가하는게 맞아?", "\\( \\mathrm{Zn}^{2+} \\) 만을 단독 처리한 경우, 뭐가 증가해야 톨라신의 용혈활성이 저해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어떻게 처리했을 때 모든 \\( \\mathrm{pH} \\)에서 톨라신의 용혈활성 억제 상승효과가 크게 관측돼?", "\\( \\mathrm{Ni}^{2+} \\)와 \\( \\mathrm{Zn}^{2+} \\)중 동시처리 시 저해효과 상승작용에 주로 기여하는 인자가 뭐야?", "\\( \\mathrm{Ni}^{2+} \\) 을 단독 처리한 경우 \\( \\mathrm{pH} \\) 7에서 가장 큰 저해효과를 보인다는게 맞아?", "\\( \\mathrm{Zn}^{2+} \\) 와 함께 처리했을 때 톨라신의 용혈활성 억제 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인자는 뭐야?", "동시에 처리했을 때 톨라신의 용혈활성 억제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두 인자는 뭐야?" ]
e8218f1f-f6b4-49c8-9074-9cce2eef5d50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1>고 찰</h1><p>본 연구실에서는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물질의 작용기작을 확인하였다. \( \mathrm{Zn}^{2+} \) 는 펩티드성 pore-forming toxin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톨라신 독소의 경우 세포막 결합보다는 세포막에 형성된 pore의 통로를 막아 세포독성을 저해한다고 보고하였다. Tolaasin inhibitory factor로 불리는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의 계면활성제는 톨라신과 같은 pore-forming 펩티드의 작용 과정 중 분자다중체 형성 단계를 저해함으로써 버섯 세포막에 pore 형성을 막아 갈반병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허젔다. 또한, \( \mathrm{Ni}^{2+} \) 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도 적혈구 세포막에 생성된 톨라신 pore의 이온 통로를 막아서 나타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p><p>같은 \( +2 \) 가 전이금속 이온임에도 염기성 \( \mathrm{pH} \) 에서 \( \mathrm{Zn}^{2+} \) 와 \(\mathrm{Ni}^{2+} \)의 용혈활성 저해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들이 \( \mathrm{pH} \) 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이온형태로 존재하여, 톨라신이 막에 형성한 pore와의 결합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연 이온은 \( \mathrm{pH}6 \) 과 \(7\)에서 \( \mathrm{Zn}^{2+} \) 의 형태가 대부분인 반면, \( \mathrm{pH} 8\) 에서는 주로 \( \mathrm{Zn}^{2+} \) 와 \( \mathrm{Zn}(\mathrm{OH})^{+}, \mathrm{pH} 9\) 에서는 \( \mathrm{Zn}^{2+} \) 형태는 거의 없고 \( \mathrm{Zn}(\mathrm{OH})^{+} \)와 \( \mathrm{Zn}(\mathrm{OH})_{2} \) 의 형태로 존재한다. 중성 \( \mathrm{pH} \) 에서는 톨라신의 C말단에 있는 amine기의 양전하와 \( \mathrm{Zn}^{2+} \) 가 상대적으로 반발력을 가질 수 있으나, 염기성 \( \mathrm{pH} \) 에서는 톨라신의 양전하도 감소하고, 아연 이온도 \( +2 \) 가가 아넌 \( +1 \) 가의 \( \mathrm{Zn}(\mathrm{OH})^{+} \)이온형태를 띠어 톨라신과의 결합력이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니켈 이온은 \( \mathrm{pH} 6\) 과 \(7\)에서 \( \mathrm{Ni}^{2+}, \mathrm{NiOH}^{+} \)의 형태 중 주로 \( \mathrm{Ni}^{2+} \) 형태로 존재하며, \( \mathrm{pH}8 \) 과 \(9\) 에서는 \( \mathrm{Ni}^{2+}\), \(\mathrm{NiOH}^{+}\), \(\mathrm{Ni}(\mathrm{OH})_{2} \)의 형태로 존재하나 \( \mathrm{Ni}(\mathrm{OH})_{2} \) 가 주된 화학종이다. 이와 같이 두 금속이온은 염기성 \( \mathrm{pH} \) 에서 \( \mathrm{OH}^{-} \)와 결합하며 다양한 이온 형태가 되지만, 아연 이온은 염기성 \( \mathrm{pH} \) 에서 약 \( 50 \% \) 가 \( \mathrm{Zn}(\mathrm{OH})^{+} \)의 형태로, 니켈 이온은 주로 \( \mathrm{Ni}(\mathrm{OH})_{2} \) 의 형태로 존재하며 \( 1 \mathrm{mM} \) 의 \( \mathrm{Ni}^{2+} \) 을 용해하였을 때 염기성 \( \mathrm{pH} \) 에서는 \( \mathrm{Ni}^{2+} \) 은 \( 10^{-5}-10^{-7} \mathrm{M} \), \( \mathrm{Ni}(\mathrm{OH})^{+} \)은 \( 10^{-7}-10^{-8} \mathrm{M} \) 까지 감소하여 톨라신 용혈활성 억제 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p>
[ "ph 8에서에서는 주로 Zn 2가와 Zn(OH)1가 이온형태를 가지고 있는 아연이온은 ph6과 7에서는 어떻게 존재하는가?", "ph 8인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Zn 2가와 Zn(OH)1가 이온형태를 띠고 있는 아연이온이 ph6과 7인 환경에서는 어떤 식으로 존재하는가?", "톨라신과 같이 pore forming 펩티드의 작용 과정 중 분자 다중체 형성 단계를 저해해 버섯 세포막에 pore 형성을 막아 갈반병 발생을 억제하고 Tolaasin inhibitory factor로 불리는 것은 무엇인가요?", "Tolaasin inhibitory factor로 불림과 동시에 pore forming 펩티드의 작용 과정 중에서 톨라신처럼 분자 다중체 형성 단계를 저해함으로써 버섯 세포막에 pore 형성을 차단하여 갈반병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ph 6과 7에서에서는 주로 Ni 2가와 Ni(OH)1가 이온형태를 가지고 있는 이온은 아연이온이 맞는가?", "아연이온은 ph 6과 7에서 일반적으로 Ni 2가와 Ni(OH)1가 이온형태를 띠고 있는가?", "ph 6과 7에서는 주로 Zn 2가 이온형태를 가지고 있는 이온은 니켈이온이 맞는가?", "ph 6과 7에서 니켈이온이 주로 Zn 2가 이온형태를 띠고 있는 이온인가?", "아연이온이 pH 6과 7에서 주로 띠는 형태로 옳은 것은?", "pH 6과 7에서 아연이온의 존재 형태로 옳은 것은?", "니켈이온이 pH 6과 7에서 주로 띄는 형태로 옳은 것은?", "pH 6과 7 사이에서 니켈이온의 존재 형태로 가장 정확한 것은?" ]
f5e4030d-e36e-4034-9ffb-341d31b6494a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1>재료 및 방법</h1><h2>톨라신의 분리 및 정제</h2><p>P. tolaasii 6264 균주를 PAF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 25^{\circ} \mathrm{C} \) 에서 18시간 이상 정체기에 도달하도록 진탕배양하였다. 균주 배양액을 \( 8,000 \mathrm{rpm} \) 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균을 제거한 후, 배양여액을 취하여 \( 30 \% \) 의 ammonium sulfate를 가하고, \( 4^{\circ} \mathrm{C} \) 에서 1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이 후에 SW28 rotor (Beckman Instruments Inc.,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여 \(20,000 \mathrm{rpm}\)에서 1시간 동안 초원심분리하여 침전을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로 침전시킨 톨라신을 완충액으로 재현탁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투석하여 glass-teflon으로 균질화한 후 분액으로 만들어 \( -80^{\circ} \mathrm{C} \) 에서 보관하며 사용하였다.</p><h2>톨라신의 용혈활성 측정</h2><p>톨라신의 용혈활성은 쥐의 적혈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혈활성 측정에 사용한 적혈구는 HBS 완충액으로 \(10\)배 희석한 후 반응용액에 \( 1 \%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 37^{\circ} \mathrm{C} \) 에서 \( 1 \% \) 적혈구액을 \(30\)분 이내에 모두 용혈시키는 톨라신의 농도를 \( 1 \mathrm{HU} \) (Hemolytic unit)로 정하여 사용하였다. 용혈활성은 UV/Vis 분광광도계(U-2000, Hitach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 600 \mathrm{~nm} \)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 \mathrm{pH} \)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 \mathrm{pH} \) \(6\) 과 \(7\) 완충액은 \( 10 \mathrm{mM} \) HEPES 완충액에 생리식염수 \( (150 \mathrm{mM}\) \(\mathrm{NaCl}\), \(5 \mathrm{mM}\) \(\mathrm{KCl} \), \( 1 \mathrm{mM}\ \mathrm{MgSO}_{4} \)) 성분을 가하여 만들었고, \( \mathrm{pH} \) \(8\)과 \(9\)는 \( 10 \mathrm{mM} \) Tris 완충액으로 제조하였다.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농도에 따른 용혈활성은 기존의 톨라신 용혈활성 측정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 \mathrm{Zn}^{2+} \)와 \( \mathrm{Ni}^{2+} \) 을 HBS 완충액에 \( 10 \%(\mathrm{v} / \mathrm{v}) \) 가 되도록 첨가하여 측정하였다.</p>
[ "HBS 완충액으로 10배 희석한 후 반응용액에 1퍼센트가 되도록 첨가한 쥐의 적혈구를 이용하여 톨라신의 A를 측정하였는 데, A는 무엇인가?", "pH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완충액을 사용했는 데 그 완충액은 pH 6과7, pH8과 9이다. pH6과 7 완충액은 10mM HEPES 완충액에 생리식염수성분을 가하여 만들었고 pH8과 9는 A를 사용하여 제조했다. A는 무엇인가?", "pH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완충액을 사용했는 데 그 완충액은 pH 6과7, pH8과 9이다. pH6과 7 완충액은 10mM Tris 완충액으로 만들었고 pH8과 9는 HEPES 완충액에 생리식염수성분을 가하여 제조한 것이 옳은가?", "pH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완충액을 사용했는 데 그 완충액은 pH 6과7, pH8과 9이다. pH8과 9를 제조할 때 사용된 것은?", "pH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완충액을 사용했는 데 그 완충액은 pH 6과7, pH8과 9이다. pH 6과7을 제조할 때 사용된 것은?", "톨라신을 침전을 분리할 때 20,000rpm에서 1시간 동안 초원심분리를 하는 데 이 때 사용한 기계는?", "톨라신을 침전을 분리할 때 SW28 rotor을 사용한다. 이 기계를 어떤 조건으로 작동시켜 침전을 분리한 것인가?", "pH 변화에 따른 활성변화를 축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완충액을 사용했는 데 그 완충액은 pH 6과7, pH8과 9이다. pH8과 9는 10mM Tris 완충액 제조하였고 pH6과 7 완충액은 HEPES 완충액에 생리식염수성분을 가하여 만들것이 맞는가?" ]
c7b2fbd2-7e47-4c17-b62e-3ddc1426de18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p>톨라신 분자의 C-말단은 lactone ring 구조를 가지며, 여기에는 amine기를 가진 두 개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이들의 전하량은 반응용액의 \( \mathrm{pH} \) 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근거로 Kim 등은 톨라신 펩티드가 중성 \( \mathrm{pH} \) 보다 염기성 \( \mathrm{pH} \) 에서 amine기의 양전하 감소로 인한 세포막 결합력 증가로 pore 형성이 용이하여 용혈활성이 증가한다고 제안하였다.</p><p>\( \mathrm{Zn}^{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는 염기성 \( \mathrm{pH} \)에서 크게 나타났다. 반면,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는 반응용액의 \( \mathrm{pH} \) 변화와 무관하였다(Figs. 3과 4). 이는 \( \mathrm{pH} \) 변화에 따른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에 \( \mathrm{Zn}^{2+} \) 가 크게 기여하였음에도 \( \mathrm{Ni}^{2+} \) 에 의한 저해가 작지만 모든 \( \mathrm{pH} \)에서 나타났기에 이들에 의한 상승작용은 모든 \( \mathrm{pH} \) 에서 관측되었다. \( \mathrm{Ni}^{2+} \) 은 T-형 \( \mathrm{Ca}^{2+} \) 이온통로의 효과적인 저해제로서, 막에 형성된 pore와 결합하여 이온의 이동을 막는다. Pore-forming 펩티드인 톨라신에서도 마찬가지로 분자다중체 결합을 통해 형성된 톨라신 pore에 \(\mathrm{Ni}^{2+} \)이 결합하여 용혈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두 금속이온이 모두 톨라신 pore를 막아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저해하기에 동시 처리시 각각의 저해활성이 더해져 상승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쉽게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측정된 톨라신 세포독성의 저해효과는 이들의 단순 가산치보다 더 커져 상승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톨라신에 의헤 세포막에 형성된 pore를 \( \mathrm{Zn}^{2+} \) 와 \( \mathrm{Ni}^{2+} \)이 함께 작용하여 저해하나 상호간에 서로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또 다른 작용이 있음을 의미한다.</p>
[ "Zn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는 산성 pH에서 크게 나타났고 Ni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는 반응용액이 염기성일 때 크게 나타났다는 것이 옳아?", "Zn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가 산성 pH에서 크게 나타나며 Ni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는 반응용액이 염기성일 때 크게 나타났어?", "lactone ring 구조를 가지고 amine기를 가진 두 개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톨라신 분자의 C-말단의 전하량은 반응용액의 pH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문장을 근거로 Kim 등이 주장한 내용은 무엇인가?", "lactone ring 구조를 가지고 amine기를 가진 두 개의 염기성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톨라신 분자의 C-말단의 전하량이 반응용액의 pH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문장을 근거로 하여 Kim 등이 주장한 내용은 무엇입니까?", "Zn 2가 이온과 Ni 2가이온이 모두 톨라신 pore를 막아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처리 시 각각의 저해활성이 더해져 상승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실제 측정된 톨라신 세포독성의 저해 효과는 상승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Zn 2가 이온과 Ni 2가이온 모두 톨라신 pore를 막아서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저해하므로 처리 시 상승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 측정된 톨라신 세포독성의 저해 효과의 상승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Zn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를 실험해 본 결과 pH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는가?", "Zn 2가 이온에 의한 톨라신의 용혈활성 저해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pH 차이에 따른 영향이 있었는가?" ]
750687ca-b232-4e6e-800c-44cd04b1fbab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2>\( \mathrm{pH} \) 에 따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활성억제 효과</h2><p>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은 반응용액의 \( \mathrm{pH} \) 변화에 따라 좌우된다. 용액의 \( \mathrm{pH} \) 가 증가할 때 톨라신의 세포독성이 커져 \( \mathrm{T}_{50} \)이 \(15\)분에서 \(10\)분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응용액의 \( \mathrm{pH} \) 변화에 따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저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 \mathrm{pH} \) 별 반응용액을 만들어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첨가하고 용혈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Fig. 3). 먼저, \( 100 \mu \mathrm{M}\) \(\mathrm{Zn}{ }^{2+} \) 를 처리한 경우에 \( \mathrm{pH} 6 \) 에서는 대조실험에 비하여 톨라신의 용혈에 큰 변화가 없었다(Fig. 3A). \( \mathrm{pH} 7 \)에서는 \( \mathrm{Zn}^{2+} \) 가 용혈작용을 지연시켰으나, \( 30\) 분이내에 용혈이 \( 90 \% \) 이상 완료되었고 \( \mathrm{T}_{50} \) 은 약 \( 5.5 \) 분 증가하여 톨라신의 독성이 저해되었다. 반면, 염기성인 \( \mathrm{pH} 8\) 과 \(9\)에서는 \( \mathrm{Zn}^{2+} \) 에 의해 톨라신의 용혈활성이 각각 \( 40 \% \) 와 \( 90 \% \) 까지 크게 저해되었다. 한편, \( 1 \mathrm{mM}\) \(\mathrm{Ni}{ }^{2+} \) 을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톨라신 용혈활성의 저해가 \( 10-15 \% \)로 작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저해효과가 모든 \( \mathrm{pH} \) 에서 고르게 나타나 \( \mathrm{pH} \) 변화에 의한 효과는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Fig. 3B).</p><p>\( \mathrm{pH} \) 변화에 따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곡선에서 \( \mathrm{T}_{50} \) 을 측정하여 보면 같은 \( +2 \) 가 전이금속 이온이라도 \( \mathrm{Zn}^{2+}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활성저해가 용액의 \( \mathrm{pH} \) 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Fig. 4). 먼저, \( 1 \mathrm{mM}\) \( \mathrm{Ni}{ }^{2+} \) 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 \mathrm{T}_{50} \) 이 모든 \( \mathrm{pH} \) 에서 약 \(1.9-3.1\)분의 차이를 보이며 \(11.9-16.8\)분으로 측정되었다. 이것은 대조실험에 비하여 용혈활성이 약 \( 10-15 \% \) 저해된 것으로, \( \mathrm{Ni}^{2+} \) 의 효과는 \( \mathrm{pH} \) 변화에 좌우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 \mathrm{Zn}^{2+} \) 의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는 알칼리 조건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 \mathrm{Zn}^{2+} \) 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 \mathrm{pH} 6\) 과 \( \mathrm{pH} 7\) 에서는 \( \mathrm{T}_{50} \) 이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 \mathrm{pH} \) 가 증가할수록 \( \mathrm{Zn}^{2+} \) 에 의한 저해정도가 크게 나타났고, 특히 \( \mathrm{pH} 9 \) 에서는 \( \mathrm{T}_{50} \) 이 약 \(80\) 분으로 증가하였다. 같은 전이금속의 \(2\)가 양이온임에도 톨라신의 세포독성 저헤효과는 알칼리 조건에서 매우 큰 차이가 있었다.</p>
[ "용액의 \\( \\mathrm{pH} \\) 가 증가할 때 톨라신의 세포독성이 커져 \\( \\mathrm{T}_{50} \\)이 기존대비 몇 분으로 감소되는가?", "용액의 \\( \\mathrm{pH} \\) 가 증가할 때 톨라신의 세포독성이 커져 \\( \\mathrm{T}_{50} \\)이 감소되는 시간은 몇 분인가?", "반응용액의 \\( \\mathrm{pH} \\) 변화에 따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저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 \\mathrm{pH} \\) 별 반응용액을 만들어 \\( \\mathrm{Zn}^{2+} \\) 과 같이 첨가하는 것은 무엇인가?", "\\( \\mathrm{pH} \\) 에 따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활성억제 효과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 \\mathrm{Ni}^{2+} \\) 의 효과는 \\( \\mathrm{pH} \\)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참인가?", "\\( \\mathrm{pH} 7 \\)에서는 \\( \\mathrm{Zn}^{2+} \\) 가 용혈작용을 지연시켰으나, \\( 30\\) 분이내에 용혈이 \\( 90 \\% \\) 이상 완료되었고 \\( \\mathrm{T}_{50} \\) 은 약 \\( 5.5 \\) 분 증가하여 톨라신의 독성이 저해되었다. 상기의 내용은 pH 에 따른 톨라신 활성억제 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참인가?", "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은 반응용액의 어떠한 변화에 따라 좌우되는가?", "톨라신에 의한 용혈활성은 반응용액이 바뀌는데 주요한 작용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 1 \\mathrm{mM}\\) \\(\\mathrm{Ni}{ }^{2+} \\) 을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톨라신 용혈활성의 저해가 몇 %의 수준으로 작게 나타나는지 옳은 것은 다음중 무엇인가?", "\\( \\mathrm{pH} \\) 가 증가할수록 저해정도가 크게 나타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mathrm{pH} \\) 에 따른 톨라신 활성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물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
6a95f879-f4fe-4aa1-83f8-5c305685b2ea
생명LA
\( \mathrm{Zn}^{2+} \)와 \( \mathrm{Ni}^{2+} \)에 의한 톨라신 용혈활성 저해효과의 \(\mathrm{pH}\) 의존성
<h1>결 과</h1><h2>\(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동시 첨가에 따른 상승효과</h2><p>톨라신은 세포막에 pore를 형성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 \mathrm{Zn}^{2+} \)와 같은 \(2\)가 금속이온에 의헤 가역적으로 저해됨이 보고되었다. 적혈구를 이용한 용혈활성 측정에서 톨라신의 작용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2\)가 양이온인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톨라신 저해 농도를 조사하였을 때, \( \mathrm{Zn}^{2+} \) 는 \( 100\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용혈활성을 저해하기 시작하여 \( 50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용혈활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그러나 \( \mathrm{Ni}^{2+} \) 은 \( 10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저해하기 시작한 것은 \( \mathrm{Zn}^{2+} \) 와 같으나, \( 10 \mathrm{mM} \) 이상의 농도가 되어야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Fig. 1).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 \mathrm{K}_{\mathrm{i}} \) 값은 각각 \( 170 \mu \mathrm{M} \) 과 \( 1.8 \)\( \mathrm{mM} \) 로 \( \mathrm{Zn}^{2+} \) 보다 \( \mathrm{Ni}^{2+} \) 이 농도기준으로 약 \( 10 \)배 낮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p><p>용혈활성에 대한 금속이온의 저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 \mathrm{Zn}^{2+} \)와 \( \mathrm{Ni}^{2+} \) 을 톨라신과 함께 적혈구에 처리하였다. 금속이온의 농도는 톨라신의 활성을 \( 20-30 \% \) 저해하는 농도로,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각각 \( \mathrm{K}_{\mathrm{i}} \) 값보다 낮은 농도인 \( 100 \mu \mathrm{M} \) 과 \( 1 \mathrm{mM} \) 이 되도록 반응용액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은 \(20\)분 후에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각각 \( 50 \% \) 와 \( 25 \% \) 저해하였으나, 두 금속이온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용혈활성이 약 \( 90 \% \) 이상 저해되어 톨라신의 세포독성이 거의 완전히 저해되었다(Fig. 2). 각 저해실험에서 톨라신에 의해 용혈활성이 \( 50 \% \) 일어나는 시간인 \( \mathrm{T}_{50} \) 을 비교해보면, 톨라신만을 처리한 대조구는 \( 14.5 \) 분, \( \mathrm{Zn}^{2+} \) 의 경우는 \(19.9\) 분, \( \mathrm{Ni}^{2+} \) 을 추가한 경우는 \(16.7\) 분으로 대조실험 조건에 비하여 각각 \( 5.4 \) 분과 \( 2.2 \) 분의 시간이 지연되어 용혈작용이 이 두 금속이온에 의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같은 농도의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동시에 첨가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적혈구의 용혈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 \mathrm{T}_{50} \) 을 측정할 수 없었다. 이는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이들에 의한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효과가 크게 증가하는 상승작용이 있음을 보인다.</p>
[ "톨라신은 무엇에 의해 저해돼?", "톨라신을 저해시키는 이온이 뭐야?", "용혈활성에 대한 금속이온의 저해효과를 측정하려면 무엇을 톨라신과 함께 적혈구에 처리해야 해?", "용혈활성에 대한 금속이온의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톨라신과 함께 적혈구에 처리한 이온이 뭐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를 각각 첨가하는 것보다 함께 첨가하는 것이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더 많이 저해해?", "금속이온 두 가지를 한번에 처리하는 경우 각각 첨가할 때보다 톨라신의 세포독성이 거의 완전히 저해되었어?", "\\( \\mathrm{Zn}^{2+} \\) 는 얼마 이상의 농도에서 용혈활성을 저해하기 시작하는가?", "\\( \\mathrm{Zn}^{2+} \\) 가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방해하기 시작하는 농도가 얼마야?", "\\( \\mathrm{Zn}^{2+} \\) 와 \\( \\mathrm{Ni}^{2+} \\) 의 동시 첨가에 따른 상승효과가 어떻게 돼?", "두 이온은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가 뭐야?", "톨라신은 세포독성을 어떻게 나타내?", "톨라신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방법이 뭐야?", "\\( \\mathrm{Zn}^{2+} \\) 는 \\( 50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용혈활성을 완전히 저해하는가?", "\\( \\mathrm{Zn}^{2+} \\)는 \\( 500 \\mu \\mathrm{M} \\) 이상의 농도에서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완전히 막았어?", "\\( \\mathrm{Ni}^{2+} \\) 는 \\( 50 \\mathrm{mM} \\) 이상의 농도가 되어야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완전히 저해하는가?", " \\( \\mathrm{Ni}^{2+} \\)가 완전히 톨라신의 용혈활성을 막아내는 것은 농도가 \\( 50 \\mathrm{mM} \\) 이상일 때야?", "\\( \\mathrm{Ni}^{2+} \\) 가 \\( \\mathrm{Zn}^{2+} \\) 보다 약 몇 배 낮은 저해 효과를 보였는가?", "\\( \\mathrm{Ni}^{2+} \\)와 \\( \\mathrm{Zn}^{2+} \\)의 저해 효과는 몇 배 정도 차이가 나?", "용혈활성에 대한 금속이온의 저해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 \\mathrm{Zn}^{2+} \\)와 \\( \\mathrm{Ni}^{2+} \\)을 톨라신과 함께 어디에 처리하는가?", "용혈활성에 대한 금속이온의 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톨라신과 금속이온을 어떤 세포에 처리했어?", "같은 농도의 \\( \\mathrm{Zn}^{2+} \\) 와 \\( \\mathrm{Ni}^{2+} \\)을 동시에 첨가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적혈구의 용혈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가?", "같은 농도의 두 금속이온을 동시에 첨가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큰 폭으로 적혈구의 용혈이 증가하는가?", "어떻게 하면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효과가 크게 증가하는가?", "톨라신 세포독성 억제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려면 어떤 처리를 하면 될까?" ]
687e326d-fbe3-42f6-a43e-d302948e827a
생명LA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 효과
<h1>결과 및 고찰</h1><h2>Priming 과정중 수분흡수율</h2><p>건조종자를 물에 침지하면 1 시간 이내에 종자는 급속하게 수분을 유입하게 되고 \( 100 \mathrm{MPa} \) 의 압력이 가해지면서 세포막이 파열되어 저장양분이 누출하게 된다. 따라서 priming 처리과정중 수분흡수 속도는 처리종자의 활력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종자의 수분홉수는 3단계로 구분되는데,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의 기본개념이 수분흡수의 2 단계인 유도기 기간을 연장시켜 유근이 돌출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발아준비를 위한 여러 가지 대사활성을 촉진시켜 생리적 발아를 완성시키는 종자처리이다.</p><p>종자처리를 가하지 않은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함수율은 \(7.6\%\)였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중인 종자는 수분을 홉수하여 함수율이 증가되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한지 1 시간만에 급속한 수분흡수가 이루어졌고(수분흡수 1단계), 두 작물 모두 osmotic priming이 SMP 처리보다 종자의 수분흡수 속도가 빨랐다. 종자처리를 시작하여 1 시간이 경과하면 osmotic priming 처리된 고추종자는 \( 20 \% \) 의 함수율을 보여 SMP의 \( 14.8 \% \) 보다 \( 5 \% \) 높은 수분홉수율을 보였고, 토마토에서도 osmotic priming이 SMP 처리보다 수분홉수율이 \( 2.3 \% \) 높았다. 이러한 현상은 종자처리 후 12 시간째까지 유지되었다. 그 후 두 작물 모두 처리 최종일까지 수분흡수율이 완만해지는 수분흡수의 유도기를 보였다(수분흡수 2 단계).</p><p>고추에서는 처리최종일인 7일째에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종자 모두 \( 45 \% \) 의 동일한 수분흡수율을 보였으나, 토마토에서는 처리최종일인 4일째에는 osmotic priming 종자의 함수율이 \( 46.5 \% \) 로 SMP 처리종자보다 \( 2.4 \% \)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였다. 따라서 osmotic priming보다 수분흡수 속도를 지연시키는 SMP 처리는 급속한 수분홉수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막의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p><h2>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종자의 발아성</h2><p>고추종자에서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를 가하더라도 발아율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또한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및 종자처리 후 건조방법에 따라서도 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 50 \% \)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 \( \left(\mathrm{T}_{50}\right) \) 및 평균발아소요일수(MDG)는 종자처리와 무처리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p>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된 종자는 최종발아율에 대해 \( 50 \% \) 발아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즉 \( \mathrm{T}_{50} \) 이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15^{\circ} \mathrm{C} \) 에서 6 일, \( 20^{\circ} \mathrm{C} \) 에서는 5 일, \( 25^{\circ} \mathrm{C} \) 에서는 \( 4.6 \)일, \( 30^{\circ} \mathrm{C} \) 에서는 4 일 빨랐다. 또한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된 종자는 평균발아소요일수(MDG)도 단축되어 발아균일성이 향상되었는데, \( 15^{\circ} \mathrm{C} \) 에서는 \( 6.3 \) 일, \( 20^{\circ} \mathrm{C} \) 에서는 \( 4.7 \) 일, \( 25^{\circ} \mathrm{C} \) 에서는 \( 4.4 \) 일, \( 30^{\circ} \mathrm{C} \) 에서는 \( 4.5 \) 일 정도 빨랐다. 그러나 osmotic priming 및 SMP 두 처리간에는 발아율, \( \mathrm{T}_{50} \) 및 \( \mathrm{MDG} \) 에는 현저한 차이는 볼 수 없으나, 대체적으로 SMP 처리가 osmotic priming 처리보다는 발아촉진 효과가 높았고, 이러한 경향은 적정발아 조건을 벗어난 \( 15^{\circ} \mathrm{C} \) 의 저온에서 뚜렷하였다. 이는 고추 및 사탕수수 종자를 SMP 처리하여 직파하면 무처리 종자보다 빠른 묘출현을 보였고 출현율도 향상되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p>
[ "priming 처리과정중 수분흡수 속도는 처리종자의 활력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이 맞나요?", "priming 처리과정중 처리종자의 활력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요?", "건조종자를 물에 침지하면 몇 시간 이내에 종자는 급속하게 수분을 유입하게 되나요?", "건조종자를 물에 침지하면 1 시간 이내에 종자는 급속하게 수분을 유입하게 되고 \\( 몇 \\mathrm{MPa} \\) 의 압력이 가해지면서 세포막이 파열되어 저장양분이 누출되나요?", "건조종자를 물에 침지하면 1 시간 이내에 종자는 급속하게 수분을 유입하게 되는게 맞나요?", "토마토에서는 처리최종일인 4일째에는 osmotic priming 종자의 함수율이 \\( 46.5 \\% \\) 로 SMP 처리종자보다 몇%의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였나요?", "종자처리를 시작하여 1 시간이 경과하면 osmotic priming 처리된 고추종자는 몇% 의 함수율 보였나요?", "종자의 수분홉수는 어떻게 구분되나요?" ]
480553e1-3708-40cf-b431-91c4dfea66f7
생명LA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 효과
<h1>요약</h1><p>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 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후 3 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수분을 홉수하였다. 최종처리일의 두 처리간 종자함수율은 고추종자에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토마토에서는 osmotic priming이 SM보다 \( 2.4 \% \) 높았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가 고추와 토마토에서 발아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평균발아소요일수(MDG) 및 \( 50 \% \)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 \(\left(\mathrm{T}_{50}\right) \) 는 단축되어 조기발아를 유도하였다.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15^{\circ} \mathrm{C} \) 에서 약 6 일, \( 20^{\circ} \mathrm{C} \) 에서는 약 5 일, \( 25^{\circ} \mathrm{C} \) 에서는 약 \( 4.6 \) 일, \( 30^{\circ} \mathrm{C} \) 에서는 약 4 일 정도 단축되었고, 토마토 종자에서는 \( 15^{\circ} \mathrm{C} \) 에서 \( 3.3^{3} \) 일, \( 20^{\circ} \mathrm{C} \) 에서는 \( 1.7 \) 일, \( 25^{\circ} \mathrm{C} \) 에서는 1 일, \( 30^{\circ} \mathrm{C} \) 에서는 \( 0.5 \) 일 정도 단축되었다. 이러한 발아촉진 효과는 불량발아 조건인 저온에서 뚜렷하였으나, 발아적온에 근접할수록 미약해지는 경향이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상호처리간 발아촉진 효과는 고추에서는 SMP 처리가 좋았고, 토마토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종자처리 후 건조방법은 고추는 완전건조가 토마토에서는 표면건조가 조기발아 하는 경향이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고추와 토마토 종자는 포장조건에서 묘출현을 향상시키지는 못했지만 출현속도를 단축시켜 신속한 묘출현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파종 후 35 일 생육시킨 유묘의 초기생육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향상되는 경향이었으나 그 효과는 미약하였다.</p>
[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15^{\\circ} \\mathrm{C} \\) 에서 얼마나 단축되었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15^{\\circ} \\mathrm{C} \\) 에서 약 5일 정도 단축되었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25^{\\circ} \\mathrm{C} \\) 에서 약 6일 정도 단축되었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30^{\\circ} \\mathrm{C} \\) 에서는 약 며칠 정도 단축되었는가?", "토마토 종자에서는 \\( 20^{\\circ} \\mathrm{C} \\)에서 얼마나 단축 되었는가?", "발아촉진 효과는 불량발아 조건은 고온에서 뚜렷한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 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후 몇 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수분을 흡수하였는가?", "최종처리일의 두 처리간 종자함수율은 토마토에서 SM이 osmotic priming보다 \\( 2.4 \\% \\) 높았다.", "종자처리 이후에 토마토는 완전건조 단계에서 조기 발아하는 경향을 찾아볼 수 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 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후 2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수분을 흡수하였다.", "최종처리일의 두 처리간 종자함수율은 토마토에서 무엇이 SM보다 \\( 2.4 \\% \\) 높았는가?", "발아촉진 효과는 무엇에 근접할수록 미약해지는 경향이 있는가?", "종자처리 후 고추는 어떤 건조방법에서 조기발아 하는 경향이 있는가?", "토마토 종자에서는 \\( 25^{\\circ} \\mathrm{C} \\)에서 얼마나 단축되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가 고추와 토마토에서 무엇을 향상시키지 못했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25^{\\circ} \\mathrm{C} \\)에서 약 몇 일 정도 단축되었는가?", "종자처리 후 고추는 표면건조에서 조기발아 하는 경향이 있는가?", "파종 후 얼마나 생육시킨 유묘의 초기생육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향상되는 경향이 있었는가?", "최종처리일의 두 처리간 종자함수율은 고추종자에서는 큰 차이가 있었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20^{\\circ} \\mathrm{C} \\) 에서 약 몇 일 정도 단축되었는가?", "최종처리일의 두 처리간 종자함수율은 토마토에서 osmotic priming이 SM보다 얼마나 높았는가?", "파종 후 45일 생육시킨 유묘의 초기생육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향상되는 경향이 있었는가?", "발아촉진 효과는 무엇에 근접할수록 미약해지는 경향이 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고추와 토마토 종자는 어떤 조건에서 묘출현을 향상시키지 못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상호처리간 발아촉진 효과는 고추에서는 Osmotic priming가 좋았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 중 작물별 수분흡수율은 처리 후 얼마 이내에 대부분의 수분을 흡수하였는가?", "고추종자에서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하여 \\( \\mathrm{T}_{50} \\) 이 \\( 20^{\\circ} \\mathrm{C} \\) 에서 약 4일 정도 단축되었는가?", "파종 후 얼마나 생육시킨 유묘의 초기생육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향상되는 경향이 있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상호처리간 발아촉진 효과는 고추에서는 무엇이 좋았는가?", "종자처리 후 토마토는 어떤 건조방법에서 조기발아 하는 경향이 있는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과정 중 무엇을 처리 후 3시간 이내에 대부분의 수분을 흡수하였는가?" ]
2b61fc0e-1cab-4374-ba81-77c361584d17
생명LA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 효과
<p>수분흡수 조절에 근거한 종자처리인 osmotic priming과 SMP는 처리 과정중 종자가 수분을 홉수하여 함수율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춴급의 용이하고 저장을 위해서는 처리전의 함수율이 되도록 다시 건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 후 건조에 의해 세포막이 손상될 수 있고 처리로부터 얻어진 발아 촉진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p><p>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 종자는 함수율이 \( 29 \% \) 였고, 완전건조시킨 종자는 함수율이 7.9였다(결과 미제시).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된 종자는 높은 함수율로 인해 장기간 저장이 불가능하며, 처리전의 초기함수율로 재건조되어야만 장기간 저장과 산업적 이용이 가능하다.</p><p>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한 종자와 초기함수율로 완전건조된 종자간 발아력은 유의차는 인정된다고는 볼 수 없으나, 대체적으로 완전건조된 종자에서 조기발아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종자처리 후 완전 건조된 종자가 표면건조된 종자보다 발아가 촉진되었던 결과들은 priming 종자의 산업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p><p>Table 2는 토마토 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 \mathrm{T}_{50} \) 및 MDG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발아온도에서 조사한 것이다. 종자처리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 86 \% \) 상회하여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토마토에서 발아율을 증진시키지 못했다. 또한 osmotic priming과 SMP 종자처리 및 종자처리 후 건조방법을 달리하더라도 발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p><p>그러나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전 발아온도에서 \( \mathrm{T}_{50} \) 및 MDG를 크게 단축시켜 발아가 촉진되었다.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된 종자는 \( \mathrm{T}_{50} \) 이 무처리에 비해 \( 15^{\circ} \mathrm{C} \) 에서 \( 3.3 \) 일, \( 20^{\circ} \mathrm{C} \) 에서는 \( 1.7 \) 일, \( 25^{\circ} \mathrm{C} \) 에서 는 1 일, \( 30^{\circ} \mathrm{C} \) 에서는 \( 0.5 \) 일 빠른 발아를 보였다.</p><p>종자처리 후 건조방법에 따라 발아율과 \( \mathrm{T}_{50} \) 및 MDG 에는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표면건조시킨 종자가 처리전의 함수율로 완전건조시킨 종자보다 신속하게 발아하였다.</p><p>고추와 토마토 종자를 공시하여 osmotic priming과 SMP효과를 상호 비교한 결과 고추종자에서는 SMP 처리가 osmotic priming 보다 발아력 증진에 좋았고, 토마토 종자에서는 두 종자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h2>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가 묘출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h2><p>Osmotic priming과 SMP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가 포장 조건까지 이어지는지를 검정하고자 플러그 시스템에서 묘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고추와 토마토 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묘출현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했지만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는 단축되어 신속한 묘출현을 유도하였다. 이는 실내에서 발아율을 검정한 경우와 유사하였다.</p><p>고추의 무처리 종자는 \( \mathrm{E}_{50} \) 이 9.8일 소요되었으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종자는 4.7일과 4.4일 소요되어 약 5.5일의 빠른 묘출현 속도를 보였다. 토마토에서도 무처리 종자는 \( E_{50} \) 이 5.85일이 소요되었으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종자는 무처리보다는 묘출현속도가 2.5일 빨랐다.</p><p>묘출현에 이어 유묘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효과를 검정하고자 파종 후 35일간 생육시킨 유묘의 초장, 경직경,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을 조사하였다. 고추종자를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한 후 직파하면 경직경, 근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다. 토마토에서도 고추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종자는 신속한 묘출현에 이어 현저한 수준은 아니지만 생체중과 건물중 등이 무처리에 비해 향상되었다.</p><p>이러한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한 초기생육촉진 효과는 osmotic priming 처리제 및 SMP에 사용된 고체 carrier들이 자체적으로 생육촉진을 유발했다기보다는 묘출현속도가 무처리에 비해서 빨랐던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p><p>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명된 SMP 최적조건에서 생장활성을 촉진하는 유용 미생물, 살균제, 살충제 및 생장조절제 등을 첨가한다면 입묘율 향상과 더불어 초기생육 향상에도 현저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p>
[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된 종자는 높은 함수율로 인해 장기간 저장이 불가능하지?", "수분흡수 조절에 근거한 종자처리인 osmotic priming과 SMP는 처리 과정중 종자가 수분을 홉수하여 어떤 값이 증가되었지?", "종자처리 후 완전 건조된 종자가 표면건조된 종자보다 발아가 촉진되었던 결과들은 어떤 종자의 산업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한 종자와 초기함수율로 완전건조된 종자간 발아력은 유의차는 인정된다고는 볼 수 없으나, 대체적으로 완전건조된 종자에서 어떤 경향이었지?", "종자처리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 86 \\% \\) 상회하여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는 토마토에서 발아율을 증진 시킬 수 있었지?", "osmotic priming과 SMP 종자처리 및 종자처리 후 건조방법을 달리하더라도 어떤것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 "Table 2는 토마토 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 \\mathrm{T}_{50} \\) 및 MDG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발아온도에서 조사한 것인데 종자처리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몇\\( \\% \\) 상회하였지?", "표면건조 종자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함수율이 몇 \\( \\% \\) 이지?", "본 연구에서 구명된 SMP 최적조건에서 생장활성을 촉진하는 어떤 것을 첨가한다면 입묘율 향상과 더불어 초기생육 향상에도 현저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지?", "고추와 토마토 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에 의해 묘출현율을 향상시키지는 못했지만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는 단축되어 신속한 묘출현을 유도하였는데 토마토에서 무처리 종자는 \\( E_{50} \\) 이 5.85일이 소요되었으나,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된 종자는 무처리보다는 묘출현속도가 몇일 빨랐지?", "SMP 최적조건에서 유용 미생물, 살균제, 살충제 및 생장조절제 등을 첨가한다면 입묘율 향상과 더불어 초기생육 향상에도 현저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 물질들은 어떤 효과를 나타내지?",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 후 표면건조 종자는 함수율 값이 얼마였지?",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전 발아온도에서 \\( \\mathrm{T}_{50} \\) 및 MDG를 크게 단축시켜 발아가 촉진되었는데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된 종자는 \\( \\mathrm{T}_{50} \\) 이 무처리에 비해 \\( 20^{\\circ} \\mathrm{C} \\) 에서는 몇 일 빠른 발아를 보였지?", "Table 2는 어떤 종자를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 \\mathrm{T}_{50} \\) 및 MDG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발아온도에서 조사한 것이지?", "묘출현에 이어 유묘의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과 SMP 처리효과를 검정하고자 파종 후 35일간 생육시킨 유묘의 어떤 것을 조사하였지?", "어떤 처리를 했을 때 무처리에 비해 전 발아온도에서 \\( \\mathrm{T}_{50} \\) 및 MDG를 크게 단축시켜 발아가 촉진되었지?",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로부터 얻어진 발아 촉진 효과가 반감될 수 있고 처리 후 건조에 의해 어떤현상이 나타날 수 있지?", "osmotic priming과 SMP은 어떤 것에 근거한 종자처리 방법인가?" ]
15e50f57-183c-46b7-9729-75ef441a542e
생명LA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 효과
<h1>재료 및 방법</h1><h2>공시작물 및 종자처리</h2><p>본 실험의 공시작물 및 품종은 신젠타(주)의 '거성' 고추와 '세계' 토마토 종자였다. 실험에 사용된 종자는 \( 5^{\circ} \mathrm{C} \) 에서 6개월간 보관중인 종자를 이용하였다. Osmotic priming OP처리는 예비실험을 거쳐 발아촉진의 최적조건을 구명하여 고추는 \( 200 \mathrm{mM} \) 의 \( \mathrm{K}_{3} \mathrm{PO}_{4} \) 용 액으로 \( 20^{\circ} \mathrm{C} \) 에서 7 일간, 토마토는 \( 15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용액으로 \( 20^{\circ} \mathrm{C} \) 에서 4 일간 처리하였다. Osmotic priming 처리 방법은 내경 \( 9 \mathrm{~cm} \) 의 페트리디쉬에 종자 \( 1 \mathrm{~g} \) 을 넣고 처리제를 \( 15 \mathrm{ml} \) 공급한 후 밀봉하여 암상태에서 처리하였다.</p><p>Solid matrix priming(SMP)에 사용된 고체 carrier는 Micro-Cel E(synthetic calcium silicate, Celite Crop., USA)였다. SMP 처리는 플라스틱 용기(내경 \( 3 \mathrm{~cm} \) 길이 \( 10 \mathrm{~cm} \) )에서 처리하였는데, 작물에 따라 종자: Micro-Cel E: 증류수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다. 고추는 종자: Micro-Cel E: 증류수를 중량비로 4: \( 1.2: 8(\mathrm{w} / \mathrm{w}) \) 로 혼합하여 \( 20^{\circ} \mathrm{C} \) 에서 7일간 처리하였고, 토마토는 종자: Micro-Cel E: 증류수를 4: \( 1.2: 7(\mathrm{w} / \mathrm{w}) \) 의 비율로 혼합하여 \( 20^{\circ} \mathrm{C} \) 의 . 암조건에서 4 일간 처리하였다. SMP 처리 중 종자와 고체 carrier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1 일 간격으로 처리용기를 흔들어 주었다. Os-motic priming과 SMP 후 종자표면에 부착된 처리제를 제거하기 위해 종자를 증류수로 2 분간 수세하였다.</p><p>건조방법에 따른 처리종자의 활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osmotic priming 및 SMP 후 수세한 처리종자를 상대습도가 \( 30 \% \) 인 \( 20^{\circ} \mathrm{C} \) 에서 3 시간 표면건조(surface dried) 및 \( 20^{\circ} \mathrm{C} \)에서 48 시간 완전건조(dried back)시켜 발아력을 평가하였다.</p><h2>Priming 과정중 수분흡수율</h2><p>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 과정중 종자의 수분흡수율 조사는 처리 12 시간째까지는 1 시간 간격으로 그 후부터 처리최종일(고추 7일, 토마토 4일)까지는 24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Priming 과정중 수분흡수율의 조사 방법은 100립의 종자를 3반복으로 채취하여 ISTA[6]의 고온항온건조방법 \( \left(130^{\circ} \mathrm{C}\right. \) 에서 1 시간 건조)에 준하여 생체 단위중(fresh weight basis)으로 산출하였다</p><p>발아시험은 페트리디쉬(내경 \( 9 \mathrm{~cm} \) )에 흡습지(Whatman No. 2) 2매를 깐후 100 립의 종자를 완전임의배치 3 반복으로 치상하여 \( 15^{\circ} \mathrm{C}, 20^{\circ} \mathrm{C}, 25^{\circ} \mathrm{C} \) 및 \( 30^{\circ} \mathrm{C} \) 로 각각 조절된 암조건의 항온기에서 발아력을 검정하였다. 발아조사는 종자를 치상한 후 10 일까지는 12 시간 간격으로 그 후 18 일까지는 1일 간격으로 하였으며, 유근이 \( 1 \mathrm{~mm} \) 이상 신장된 것을 발아한 것으로 하였다.</p><h2>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가 묘출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h2><p>Osmotic priming과 SMP 처리가 발아에 이은 묘출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72공의 플러그 트레이에 상토(초록이, 농우그린텍)를 넣은 후 priming 처리된 종자를 파종하여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생육 조사는 파종 후 35 일 경과된 유묘의 초장, 경직경, 근장,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을 조사하였다.</p>
[ "본 실험의 공시작물로 사용된 '거성' 고추는 어느 회사 작물인가?", "본 실험의 공시작물로 사용된 '거성' 고추는 어느 회사의 작물인가요?", "본 실험에 사용된 품종으로 이용된 신젠타(주)의 토마토 종자는 무엇인가요?", "본 실험에서는 어떤 신젠타(주)의 토마토 종자를 사용했나요?", "실험에 사용된 종자는 6개월간 보관되었는데 이때 온도는 몇 도로 유지되었나?", "실험에서 6개월간 보관된 종자의 온도는 몇 도로 유지되었어?", "고추의 발아촉진 최적조건으로 \\( 200 \\mathrm{mM} \\) 의 \\( \\mathrm{K}_{3} \\mathrm{PO}_{4} \\) 용액으로 7일간 몇 도에서 처리되었니?", "고추 발아를 촉진하기 위한 최적 조건으로서 200mM의 K3PO4 용액을 몇 도로 7일간 처리했어? ", "\\( 15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용액으로 4일간 \\( 20^{\\circ} \\mathrm{C} \\) 에서 처리된 작물은 무엇인가요?", "어떤 작물을 150mM의 KNO3 용액으로 4일간 20°C에서 처리했어?", "Osmotic priming 처리는 밀봉하여 어떤 환경에서 처리되었나?", "어떤 환경에서 Smotic priming이 밀봉 처리되었나?", "고체 carrier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나?", "어떤 용도로 고체 carrier가 이용 되었지?",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 하는 중에 처리 12 시간 때까지 1시간 간격으로 한 것은 무엇인가?", "Osmotic priming 및 SMP 처리 하는 중에 12시간째까지는 1시간 간격으로 무엇을 했어? ", "Priming 과정 중 수분흡수율 조사 방법 중 사용된 건조방법은 무엇인가?", "Priming 과정에서 수분흡수율 조사 방법 중 어떤 건조방법을 사용했어?", "수분흡수율은 고온항온건조방법을 사용하여 어떤 기준을 따라 산출되었나?", "고온항온건조방법을 사용한 수분흡수율은 어떤 기준을 따라 산출되었어?", "발아력을 확인하기 위해 암조건에서 사용된 것은 무엇인가?", "발아력을 확인하기 위해 암조건에서 무엇을 사용했어?", "묘출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플러그 트레이에 넣은 상토는 무엇인가?", "묘출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플러그 트레이에 어떤 상토를 넣었어?", "생육 조사는 파종 후 며칠이 경과된 유묘를 사용하였나?", "파종 후 며칠이 경과된 유묘를 사용해 생육 조사를 했어?", "유묘의 경직경, 근장, 엽수 등의 조사는 무엇을 위함인가?", "무엇을 위해 유묘의 경직경, 근장, 엽수 등의 조사를 했어?", "생육 조사를 하기 위해 사용된 유묘는 파종 후 50일이 경과된 것이 맞아?", "파종 후 50일이 경과된 유묘로 생육 조사를 했어?", "Micro-Cel E는 고체 carrier로 어느 회사 제품인가?", "고체 carrier인 Micro-Cel E는 어느 회사 제품이야?" ]
06b4137f-80de-403f-b663-2c2afa6e19d9
생명LA
고추와 토마토 종자의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Osmotic Priming 및 Solid Matrix Priming 처리 효과
<h1>서론</h1><p>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는 원예작물에서 신속한 묘출현율과 묘출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일반적인 종자 처리법으로 제시되고 있고, 특히 저온과 같은 불량한 발아조건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priming 처리 효과는 토양전염성 병에 대한 종자의 내병성을 증진함과 동시에 초기생육이 촉진되어 조기수확으로 이어진다는 보고가 대체적이다.</p><p>지금까지 종자 priming은 액체용액으로 실시되는 osmotic priming이 대부분 이였으나, 대립종자를 대규모로 priming 처리할 경우 처리용액내의 용존산소가 부족하여 종자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EG와 같은 고가인 priming 처리제는 처리단가를 상승시키고 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들은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p><p>Solid matrix priming(SMP)은 고체 미세분말, 물, 종자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적정기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며, osmotic priming 과 같이 발아력 향상을 위한 종자처리의 기술이다. SMP 처리과정중 수분흡수는 고체 carrier의 메트릭포텐셜에 의해 조절되며,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유근이 돌출되는 수준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수분과 산소 및 온도조절을 최적화하면 종자의 발아력이 극대화된다.</p><p>SMP 시스템의 특성은 처리과정 중 인위적인 산소공급 장치를 할 필요가 없으며, 유용 미생물과의 혼합처리가 용이하여 소립과 대립종자 모두 대량처리가 가능하. 또한 SMP 처리된 종자를 건조시켜 저장하더라도 발아촉진 효과가 지속된다.</p><p>SMP에 적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는 종자발아를 저해하지 않고, 높은 수분보유력을 지니면서, 처리 후 종자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이 적합한데, Micro-Cel E를 비롯한 특수 가공처리된 vermiculite 등이 사용되고 있다.</p><p>본 연구는 고추와 토마토 종자를 무기염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여 발아력을 증진시키는 osmotic priming 처리와 일반적인 종자처리에 비해 처리제의 취급이 간단하고 종자발아와 관련된 화학물질의 첨가가 용이한 SMP를 처리하여 두 처리간 발아력 증진과 초기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p>
[ "일반적인 종자 처리법으로 신속한 묘출현율과 묘출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처리방법은 무엇인가?", "일반적인 종자 처리법 중, 어떤 처리방법이 신속한 묘출현율과 묘출현의 균일성을 향상시켜?", "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의 가장 큰 효과는 무엇인가?", "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를 했을 때, 무슨 효과가 가장 크니?", "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를 하므로 얻어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를 하면 어떤 장점이 있니?", "종자 priming 처리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종자 priming 처리에 대해 틀린 설명은 무엇인가?", "priming 처리로 초기생육이 촉진되어 조기수확으로 이어진다는 게 옳아?", "priming 처리로 초기생육이 촉진되어 조기수확으로 이어진다는 게 맞는 말이니?", "종자 priming 처리의 효과는 무엇인가?", "종자 priming 처리는 어떤 효과를 보이니?", "종자 priming 처리는 언제 실시하는가?", "언제 종자 priming 처리를 실시하니?", "온과 같은 불량한 발아조건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촉진되는 것은 종자 priming 처리를 했기때문이라는 게 옳아?", "저온과 같은 불량한 발아조건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촉진되는 것은 종자 priming 처리를 했기때문이라는 게 합당해?", "토양 내부에 토양전염성 병원균이 존재할 때 종자에 어떤 처리를 하게 되면 내병성이 커지는가?", "무슨 처리법을 토양 내부에 토양전염성 병원균이 존재할 때 종자에 사용하면 내병성이 증진하는가?", "내병성이 높아지고 발아촉진 효과 발생시 초기 생육이 촉진되므로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내병성이 증진하고 발아촉진 효과 발현시 초기 생육이 촉진되므로 무슨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지금까지의 종자 priming은 액체,고체,기체 중 어떤 형태로 실시되었는가?", "액체, 고체, 기체 중 어떤 형태로 종자 priming은 지금까지 실시되었는가?", "osmotic priming의 방법을 무엇인가?", "어떤 방법으로 osmotic primin를 실시하는가?", "많은 수의 대립종자를 priming 처리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많은 수의 대립종자를 priming 처리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많은 수의 대립종자를 priming 처리시 종자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자활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다수의 대립종자를 priming 처리시 종자활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어떤 원인 때문에 종자활력이 감소되는가?", "대규모의 대립종자를 priming처리할 시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해 종자활력이 저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규모의 대립종자를 priming처리할 시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해 종자활력이 저하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종자의 크기가 큰 종자들을 한꺼번에 osmotic priming방식으로 처리시 처리용액 내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큰 종자들을 한꺼번에 osmotic priming방식으로 처리 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처리용액 내에 발생하는가?", "priming 처리제 중 PEG는 단가 상승뿐 아니라 처리 후 무슨 문제가 있는가?", "PEG priming 처리제는 단가 상승과 더불어 처리 후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PEG와 같은 priming 처리제는 가격이 저렴해서 처리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게 옳아?", "가격이 싼 PEG와 같은 priming 처리제는 처리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게 합당해?", "PEG와 같은 priming 처리제는 고가라 처리단가를 상승시킬 뿐 아니라 처리 후 무엇을 발생시키는가?", "처리단가를 높이는 PEG같은 고가의 priming 처리제가 처리 이후 발생시키는 것은 무엇이니?", "osmotic priming의 처리제는 액체이므로 종자처리시 액체내 존재하는 산소양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게 옳아?", "종자처리시에 액체인 osmotic priming의 처리제는 액체내 존재하는 산소양에 영항을 받을 수 밖에 없니?", "종국에는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는 고가의 priming 처리제는 무엇인가?", "고체 미세분말, 물, 종자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적정기간 동안 처리하는 priming방법은 무엇인가?", "SMP와 osmotic priming의 공통 점은 무엇인가?", "SMP의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SMP 처리과정중 수분흡수는 무엇에 의해 조절되는가?", "SMP 처리과정중 혼합물의 수분함량은 유근이 돌출되는 수준과 비교해 어떻게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가?", "SMP 처리과정중 수분과 산소 그리고 무엇을 최적화하면 발아력이 극대화 발아력이 극대화되는가?", "SMP 처리과정중 종자의 발아력을 극대화시키는 보건은 무엇인가?", "어떻게해야 SMP 처리과정중 종자의 발아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가?", "SMP 시스템의 특성 중 하나로 처리과정 중 무엇이 필요 없는가?", "처리과정 중 무엇을 안 해도되는 것이 SMP 시스템의 특성 중 하나인가?", "SMP 시스템은 유용 미생물과의 혼합처리가 쉽지않다는 게 옳아?", "유용 미생물과의 혼합처리가 어렵다는 게 SMP 시스템의 특징인 게 옳아?", "SMP 시스템은 유용 미생물과의 혼합처리가 쉬워서 어떤 종자에 대량처리가 가능한가?", "무슨 종자가 SMP 시스템의 유용 미생물과의 혼합처리가 쉽다는 장점으로인해 대량처리가 가능해?", "SMP 처리된 종자는 건조 후 저장하면 발아 촉진 효과가 어떻게 되는가?", "건조 후 저장된 SMP 처리된 종자의 발아 촉진 효과는 어떠한가?", "SMP 시스템의 특성은 무엇인가?", "무슨 특성이 SMP 시스템에 있는가?", "SMP에 적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의 조건은 무엇인가?", "고체 carrier의 어떤 조건이 SMP에 적용될 수 있는가?", "SMP에 적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로는 어떤 것이 사용되고 있는가?", "어떤 고체 carrier가 SMP에 적용될 수 있는가?", "SMP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무슨 설명이 SMP에 대한 것이 아니지?", "SMP에 적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는 종자발아를 저해하지 않고 처리 후 쉽게 분리만 되면 되기때문에 수분보유력과는 관련이 없다라는 게 옳아?", "종자발아를 늦추지 않고 처리 후 쉽게 분리만 되면 된다는 이유로 SMP에 적용되는 고체 carrier가 수분보유력과는 관련이 없다는 게 맞니?", "osmotic priming 처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무슨 설명이 osmotic priming 처리에 관한 것이 아니지?", "SMP 시스템은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인위적인 산소공급 장치가 꼭 필요하다는 게 옳아?", "SMP 시스템은 인위적인 산소공급 장치가 용존산소의 결여로 인해 필수적이라는 게 옳아?", "SMP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는처리 후 종자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처리 후 폐기물 발생이 많다는 게 옳아?", "종자에서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처리 후 발생하는 폐기물이 SMP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carrier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게 옳아?", "종자 priming 처리는 원예작물에서 묘출현의 균일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라는 게 옳아?", "원예작물 묘출현의 균일성과 신속성 향상을 위하여 종자 priming 처리하는게 맞나요?", "파종하기 전에 종자 priming 처리는 저온과 같은 불량한 발아조건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게 옳아?", "발아 조건이 불량한 경우 priming 처리는 발아촉진 효과가 현저희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나요?", "priming 처리 효과는 토양전염성 병에 대한 종자의 내병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게 옳아?", "토양전염성 병에 대한 종자의 내병성을 priming 처리가 약화시키고 있나요?" ]
a58320ab-5292-4ee8-831b-20d1ec1c12a3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1>서 론</h1><p>Helicobacter pylori (H. pylori)는 우측 나선형 몸통과 \( 4 \sim 8 \) 개의 유초성 편모(flagella)를 가진 그람 음성 단간균으로서 위 점막세포 사이사이에서 urease를 분비하면서 서식하고 있다.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Marshall과 Warren에 의해 최초로 활동성 위염환자에서 분리 동정된 이후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1994년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H. pylori가 확실한 발암물질로 발표되었다. 이처럼 H. pylori 감염은 상부 위장관 질환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인식되고 있는데 선진국에서는 감염률이 낮은 반면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지역적 또는 인종간의 큰 차이를 보여 경제 수준이나 위생 및 환경 상태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H. pylori가 비침습성 세균임에도 불구하고 위 점막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직접적 기전은 H. pylori에서 분비되는 여러 세포독성인자가 위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는 것과 urease에 의하여 생성된 암모니아가 위 점막 손상을 일으키는 것, H. pylori로부터 호중구를 끌어들일 수 있는 화학구성 인자가 점막 내로 흡수되어 혈액 내 호중구의 점막침윤을 유도하는 것 등이다. 간접적 기전으로는 위 상피세포에서 IL-8 등의 chemokine의 분비가 증가되어 염증세포가 침윤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H. pylori의 병원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균주의 다양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현재 CagA (cytotoxin-associated protein, 110~128 kDa protein) 및 VacA (vacuolating cytotoxin, 87 kDa protein)는 일부 균주에서만 발현되지만 H. pylori에 의한 임상적 질환에 관여하는 병리인자로 보고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생산과 더불어 면역기법에 응용할 동물용 백신개발에 기초자료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방법으로 H. pylori 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분리된 항원으로부터의 항체생산 및 H. pylori에 대한 응집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p>
[ "면역기법에 관련하여 백신개발을 어떤 자료로 확인하려고 했습니까?", "그람 음성 단간균으로서 위 점막세포 사이사이에서 urease를 분비하면서 서식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디에서 최초로 Helicobacter pylori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나요?", "언제 H. pylori가 확실한 발암물질로 발표되었나?", "위 점막세포 사이에서 urease를 분비하면서 살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Helicobacter pylori (H. pylori)는 어디에서 urease를 분비하면서 살고 있나?", "Helicobacter pylori (H. pylori)는 위 점막세포 사이에 무엇을 분비하나요?", "오스트레일리아의 Marshall과 Warren에 의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진 것은 몇년도인가?", "1994년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는 무엇을 발암물질이라고 확정하였나?", "Helicobacter pylori (H. pylori)는 우측 나선형 몸통과 무엇을 가졌나?",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누가 H. pylori가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을 일으키는 것을 밝혔나?",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Marshall과 Warren은 H. pylori이 분리 동정된 이후 무엇을 일으키는 것을 밝혔나?", "IARC는 무엇의 약자인가?", "1994년 H. pylori를 확실한 발암물질로 발표한 곳은 어디인가?", "1994년 IARC에서 H. pylori이 무엇이라고 발표하였나?", "상부 위장관 질환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인식되고 있는것은 무엇인가?",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에서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는 반면 감염률이 낮은 곳은 어디인가?", "H. pylori가 위 점막에 어떤 반응을 일으키나요?", "H. pylori에서 분비되는 여러 세포독성인자가 어디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가?", "위 점막에 손상을 주는 것은 어떤 암모니아인가요?", "위 점막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직접적 원인 중 하나는 urease에 의해 생성된 이것 때문에 위 점막에 손상이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무엇인가?", "어디로부터 호중구를 끌어들여 점막침윤을 유도하려 하는가?", "무엇을 끌어들여 혈액 내 호중구의 점막침윤을 유도하는가?", "점막 내로 흡수된 화학구성 인자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IL-8 등의 chemokine의 분비가 증가되는 것은 어디에서 나타나는가?", "H. pylori의 병원성에 대한 연구로 무엇이 밝혀지고 있나요?", "chemokine의 분비로 무엇이 침윤하나요?", "균주의 다양성이 밝혀지고 있는 것은 무엇으로 인한 것인가?", "간접적 원인에는 위 상피세포에서 무엇이 증가하여 염증세포가 침윤하는 경우가 있는가?", "현재 일부 균주에서만 발현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CagA 및 VacA는 어디에서 발현되는가?", "CagA 및 VacA는 어떻게 보고 되고 있나?", "본 연구에서는 무엇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물용 백신개발에 기초자료를 확인하고자 하였나?",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하였나요?", "H. pylori는 어떤 세균인가요?", "위 상피세포에 손상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
fb8a8496-43e9-42bc-8ef9-5aa9995a5b0b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1>요 약</h1><p>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는 세균성감염에 의한 설사병 치료와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고, 특히 계란을 이용한 IgY (Immunoglobulin Yolk)는 비교적 산과 열에 안정하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어 있다. 식품분야에 특이항체를 식품 소재로 산업화에 활용한 빈도는 아직 미미한 상태에 있으나, 최근 면역학, 단백질공학, 생명공학 동의 발전과 기술 향상으로 식품 소재로써의 활용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p><p>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였다.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분리된 항원에 대한 항체생산 및 H. pylori의 응집정도를 알아보았다.</p><p>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은 WC, OMP, crude urease, LPS 각각 12개, 7개, 3개, 1개 종류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리된 항원의 IgG 항체 생성은 동일한 항원농도인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에서 각각 WC(L) \( 77.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OMP \( 84.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crude urease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 로 crude urease 항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IgA 항체 생성은 WC (L) \( 2.5 \pm 0.32 \mu \mathrm{g} / \mathrm{ml}\), OMP \( 2.0 \pm 0.43 \mu \mathrm{g} / \mathrm{ml} \), crude urease \( 1.3 \pm 0.25 \mu \mathrm{g} / \mathrm{ml} \) 로 IgA 항체 생성은 WC (L) 항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 알아본 결과 WC 10 종류, OMP 6종류, crude urease 3종류의 주요 항원성 물질을 확인 할 수 있었다.</p><p>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응집가는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crude urease 항혈청에서 각각 \( 2^{5}, 2^{5}, 2^{6}, 2^{7} \) 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anti-crude urease 항혈청이 가장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었다.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의 urease활성 억제에 대한 흡광도 \( (\mathrm{OD}=550 \mathrm{~nm}) \) 는 WC (H) \( 0.14 \pm 0.01 \), WC (L) \( 0.16 \pm 0.01 \), OMP \( 0.18 \pm 0.03 \), Urease \( 0.18 \pm 0.04 \) 로 대조구 \( 0.26 \pm 0.02 \) 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p>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H. pylori 항원의 분리와 분리된 항원의 항체 생성능, H. pylori의 응집가, urease 활성억제 측면에서 WC 및 crude urease항원 모두 높은 항체역가를 나타내었다.</p>
[ "세균성감염에 의한 설사병 치료와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는 이 항체는 뭐야?", "세균성감염에 의한 설사병 치료와 충치예방에 효과가 있는 이 항체는 무엇인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는 인체에 어떤 효과가 있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는 인체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 중 특히 계란을 이용한 IgY는 비교적 무엇에 안정하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어 있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 중 특히 계란을 이용한 IgY는 비교적 무엇에 안정하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어 있는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의 실험 중 특히 계란을 이용한 IgY 는 비교적 산과 열에 대해 어떻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어 있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의 실험 중 특히 계란을 이용한 IgY 는 비교적 산과 열에 대해 어떻다는 실험결과가 보고되어 있는가?", "어느 분야의 특이항체를 식품 소재로 산업화에 활용한 빈도가 아직 미미한 상태야?", "어느 분야의 특이항체를 식품 소재로 산업화에 활용한 빈도가 아직 미미한 상태인가?", "식품분야에 특이항체를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에는 아직 미미하나, 최근 어떤 공학등의 발전과 기술 향상으로 인해 차 후 식품소재로써의 활용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기대돼?", "식품분야에 특이항체를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에는 아직 미미하나, 최근 어떤 공학등의 발전과 기술 향상으로 인해 차 후 식품소재로써의 활용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는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가 식품 소재로써의 활용이 점점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이지?", "축산물을 이용하여 생산된 특이항체가 식품 소재로써의 활용이 점점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식품분야에 특이항체를 식품소재로 산업화에 활용한 빈도는 어때?", "식품분야에 특이항체를 식품소재로 산업화에 활용한 빈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했지?", "본 연구에서는 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무엇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해?", "본 연구에서는 무엇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하여 어떤 것을 생산하고자 했지?",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하여 어떤 것을 생산하고자 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쳐서 H. pylori의 응집정도를 알아봤지?",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의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포유동물을 통한 피동면역용 항체를 생산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쳐서 H. pylori의 응집정도를 알아봤는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분리된 항원에 대한 항체생산 및 H. pylori의 응집정도를 알아보았는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WC의 band 수는 몇 개로 확인 됐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분리된 항원에 대한 항체생산 및 H. pylori의 응집정도를 알아보았는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WC의 band 수는 몇 개로 확인 됐는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응집정도를 알아본 결과에서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에 7개 종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던 항원 단백질은 무엇이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응집정도를 알아본 결과에서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에 7개 종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던 항원 단백질은 무엇인가?",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crude urease라는 항원 단백질은 몇 종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지?",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crude urease라는 항원 단백질은 몇 종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는가?",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1개의 band를 가지는 항원 단백질은 무엇이지?",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 중 1개의 band를 가지는 항원 단백질은 무엇인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응집정도를 알아본 결과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은 무엇이지?", "H. pylori로부터 항원을 분리하고, 응집정도를 알아본 결과 H. pylori로부터 분리된 주요 항원 단백질은 무엇인가?", "분리된 항원 중 WC의 IgG 항체 생성은 동일한 항원농도인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에서 얼마로 나타났지?", "분리된 항원 중 WC의 IgG 항체 생성은 동일한 항원농도인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에서 얼마로 나타났는가?", "분리된 항원 중 OMP의 IgG 항체 생성은 동일한 항원농도인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에서 얼마로 나타났지?", "분리된 항원 중 OMP의 IgG 항체 생성은 동일한 항원농도인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에서 얼마로 나타났는가?", "분리된 항원의 IgG 항체 생성에서 가장 많이 항체를 생성한 것으로 나타난 이 항원은 무엇이지?", "분리된 항원의 IgG 항체 생성에서 가장 많이 항체를 생성한 것으로 나타난 이 항원은 무엇인가?", "분리된 항원 중 WC의 IgA 항체 생성은 얼마로 나타났지?", "분리된 항원 중 WC의 IgA 항체 생성은 얼마로 나타났는가?", "분리된 항원 중 OMP의 IgA 항체 생성은 얼마로 나타났지?", "분리된 항원 중 OMP의 IgA 항체 생성은 얼마로 나타났는가?", "분리된 항원의 IgA 항체 생성에서 어떤 항원이 항체 생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 "어떤 항원이 항체 생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리된 항원의 IgA 항체 생성에서 나타났는가?", "어떤 방법을 통하여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알아봤지?",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어떤 방법을 통하여 알아봤는가? ", "단백질흡입법을 통하여 항원 단백질의 어떤 것을 알아봤지?", "항원 단백질의 어떤 것을 단백질흡입법을 통하여 알아봤는가?", "단백질흡입법을 통해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알아본 결과 WC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성 물질을 확인했지?", "WC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성 물질을 단백질흡입법을 통해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알아본 결과 확인했는가?", "단백질흡입법을 통해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알아본 결과 OMP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성 물질을 확인했지?", "OMP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성 물질을 단백질흡입법을 통해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알아본 결과 확인했는가?",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단백질흡입법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crude urease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물질을 확인했지?", "crude urease는 몇 종류의 주요 항원물질을 항원 단백질의 면역원성을 단백질흡입법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확인했는가?",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crude urease는 무엇이라고 불리지?",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crude urease는 무엇이라고 불리는가?", "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응집가는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crude urease 항혈청에서 각각 얼마로 나타났지?",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crude urease 항혈청에서 각각 얼마로 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응집가는 나타나는가?", "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가의 결과를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는 항혈청은 무엇이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는 항혈청은 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가의 결과를 보았을 때 무엇인가?",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의 요소분해효소활성 억제에 대한 흡광도에서 OMP의 흡광도 값은 얼마지?", " OMP의 흡광도 값은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의 요소분해효소활성 억제에 대한 흡광도에서 얼마인가?",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의 요소분해효소활성 억제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나타난 흡광도 값들이 무엇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어?",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의 요소분해효소활성 억제에 대한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나타난 흡광도 값들이 무엇과 비교하였을 때 나타났는가?" ]
d96283e1-d6ee-47c3-9e5c-ffb5d0b14519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1>결과 및 고찰</h1><h2>Whole cell 분리</h2><p>세균항원은 일반적으로 항혈청 제조와 분석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태가 사용되어 왔다. 한 가지 형태는 정제된 항원과 세균세포(bacterial cell), 편모(flagellum) 또는 협막(capsule) 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있고, 또 다른 형태는 일반적으로 열, formalin, acetone 또는 alcohol로 사멸된 whole cell이 있다.</p><p>본 연구에서는 H. pylori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균체 단백질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 중 면역원성(immunogen)을 나타내는 항원성 단백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H. pylori의 WC 단백질은 SDS-PAGE로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12 종류의 주요단백질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1).</p><h2>Crude outer membrane protein 분리</h2><p>세균의 OMP는 백신항원으로 많이 개발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H. pylori로부터 분리된 OMP 는 분자량이 다른 7종류의 주요 단백질로 분리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1).</p><h2>Crude urease 분리</h2><p>Urease는 짧은 chain의 urease A 와 긴 chain의 urease B 로 두 가지의 subunit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성 urease 효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5개의 추가 단백질을 더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학적 연구에서 urease에서 정제된 urease B 는 높은 면역원(immunogenic)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p>H. pylorir로부터 분리정제된 urease에서도 분자량이 32 \( \mathrm{kDa} \) 인 urease A와 \( 62 \mathrm{kDa} \) 인 urease B 두 가지 subunit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 실험방법에 의해 분리된 crude urease는 25,36,64 \( \mathrm{kDa} \) 의 분자량을 갖는 3종류의 단백질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Fig. 1).</p><h2>Lipopolysaccharide 분리</h2><p>LPS는 그람음성균의 외막에 존재하는 성분으로써 체내에 들어오면 혈압을 저하시키며, 발열, 호중구 감소증, 혈액 응고, 쇼크 등의 endotoxin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LPS에 의하여 대식세포가 IL-1과 TNF를 분비하거나, LPS가 보체의 대체경로를 활성화 시키거나, B 임파구를 형질세포로 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p><p>Pasteurella haemolytica에서 분리된 LPS는 \( 20 \sim 24 \mathrm{kDa} \) 정도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본 실험에서 H. pylori로부터 분리된 LPS는 \( 20 \mathrm{kDa} \) 부위에 한 종류의 band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Fig. 1).</p><h2>IgG 항체생성</h2><p>IgG 는 감마 \( (\gamma) \) 사슬을 가진 immunoglobulin으로 포유동물의 3/4 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항체의 작용 중에서 독성물질이나 바이러스에 결합하여 그것을 무해화하는 작용 및 백혈구의 식살균 작용의 보조기능을 하는 중화항체, 옵소닌항체 대부분은 IgG 에 속한다. H. pylori로부터 분라된 각항원에 대한 IgG 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 Fig. 2 와 같이 나타났다. 항원의 종류에 따라 생성된 IgG 항체 생성량은 WC (H) \( 113.5 \pm 0.4 \mu \mathrm{g} / \mathrm{ml} \), WC(L) \( 77.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OMP \( 84.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Urease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으며, 동일 항원농도에서의 IgG 항체 생성은 urease 항원이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 으로 가장 많은 양을 생산하였다.</p>
[ "세균항원이 항혈청 제조와 분석을 위하여 whole cell의 형태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야 돼?", "항혈청 제조와 분석을 위하여 세균항원이 whole cell의 형태로 이용될 때 어떤 과정을 거치는 게 일반적이야?", "세균의 OMP는 주로 어떤 개발을 위해 사용되어 왔는가?", "세균의 OMP가 사용된 건 대부분 어떤 개발을 위해서야?", "Urease가 활성 urease 효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몇 개의 추가 단백질이 더 필요한가?", "Urease가 활성 urease 효소를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추가 단백질은 몇 개야?", "LPS가 체내에 들어오면 일어나는 endotoxin 증상인 것은 무엇인가?", "LPS가 체내에 들어오면 어떤 endotoxin 증상이 발생할까?", "LPS가 체내에 들어오면 혈압을 저하시키며, 발열, 호중구 감소증, 혈액 응고, 쇼크 등의 exotoxin으로 작용합니까?", "몸 안으로 LPS가 들어오면 혈압을 낮추며, 발열, 호중구 감소증, 혈액 응고, 쇼크 등의 exotoxin으로 작용합니까?", "LPS는 그람양성균의 세포벽 구성요소입니까?", "그람양성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요소가 LPS입니까?", "LPS에 의하여 일어나는 현상이 맞는 것은?", "LPS에 의하여 발생한는 올바른 현상은?", "감마 \\( (\\gamma) \\) 사슬을 가졌으며, immunoglobulin으로 포유동물의 3/4 를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감마 (\\gamma)(γ) 사슬을 가졌으며, immunoglobulin으로 포유동물의 3/4 를 차지하는가?", "Immunoglobulin의 종류 중에서 중화항체와 옵소닌항체 대부분에 속해서 항체 작용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 "Immunoglobulin의 종류 중에서 어떤 것이 중화항체와 옵소닌항체 대부분에 포함되어 항체 작용을 하는가?", "항체 중에서 독성물질이나 바이러스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저해하거나 무해화하는 작용을 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항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어떤 항체가 독성물질이나 바이러스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막거나 무해화하는 작용을 하여 세포를 보호하는가?", "IgG 항체에 속하며 백혈구의 식살균 작용을 보조하는 작용을 하는 항체는 무엇인가?", "어떤 항체가 IgG 항체에 포함되며 백혈구의 식살균 작용을 돕는 작용을 하는가?", "그람음성균의 외막에 존재하는 성분으로써 체내에 들어오면 endotoxin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것이 그람음성균의 외막에 있는 성분으로써 체내에 들어오면 endotoxin으로 기능할 수 있을까?", "H.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항원 중에 동일 항원농도에서 IgG 항체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은 무엇이가?", "H.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 중에 어떤 것이 똑같은 항원농도에서 IgG 항체 생산을 가장 많이하는가?" ]
967276dd-7caa-4d8e-bee2-730eecf47cd1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p>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L) 에서의 IgG 항체 생성량이 각각 \( 113.5 \pm 0.4 \mu \mathrm{g} / \mathrm{ml} \), \( 77.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다. 따라서 같은 항원에서 3 배의 농도인 WC (H) 가 WC (L)에 비해 항체생성량에 있어서는 항원 농도에 비례하여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urease 항원은 동일한 농도의 다른 항원들보다 가장 많은 IgG항체를 생성하였고, 항원농도가 3 배인 WC (H) 항원의 항체생성량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많은 항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p>따라서 각 항원에 대한 IgG 항체 생성측면에서 urease 항원이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 로 가장 많은 항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볼 때 면역원성이 가장 큰 것으로 사료된다.</p><h2>lgA 항체생성</h2><p>IgA 항체는 소화기관 혹은 장관, 호흡기, 생식관 등의 상피에서 분비되어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의 부착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IgA의 주합성 장소와 작용 부위는 신체의 점막이며, IgA를 분비하는 형질세포는 주로 상피의 기저막 아래에 있는 고유판(Lamina propria)이라 부르는 결체조직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IgG가 신체내의 세포외 방어인 반면에 IgA 의 주 기능은 상피세포로 침입하는 감염원을 방어하는 것이다. IgA 항체는 세균 또는 독소가 상피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일차방어 작용을 나타낸다.</p><p>위염환자에서 위조직의 세균 감염으로 IgA가 코팅되며,<p>그 다음으로 위염이 활발해진 감염환자에서 IgG와 IgM이 코팅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한 각각의 항체반응으로 감염을 치료할 수는 없지만, H. pylori 분리된 urease A 와 B 로 면역된 mouse 혈청이 면역되지 않은 mouse에 비해 10 배 이상의 IgA 항체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Salmonella vaccine에 의한 urease A 와 B 는 체액성과 점막성 면역반응을 유발하고, 동시에 H. pylori 감염에 대한 방어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p><p>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H.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에 대한 IgA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생성된 IgA 함량은 같은 항원농도 \( 20 \mu \mathrm{g} / 100 \mu \) 에서 WC (L) \( 2.5 \pm 0.32 \mu \mathrm{g} / \mathrm{ml} \), OMP \( 2.0 \pm 0.43 \mu \mathrm{g} / \mathrm{ml} \), Urease \( 1.3 \pm 0.25 \mu \mathrm{g} / \mathrm{ml} \) 로 IgA 항체 생성은 WC (L) 항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원농도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 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L) 의 IgA 항체 생산에 있어서는 각각 \( 2.5 \pm 0.18 \mu \mathrm{g} / \mathrm{ml} \) 과 \( 2.5 \pm 0.32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으며, 항원 농도에 따른 IgA 항체에는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crude urease 항원이 \( 1.3 \pm 0.25 \mu \mathrm{g} / \mathrm{ml} \) 으로 가장 적은 IgA 항체 생성량을 나타내었다(Fig. 3).</p>
[ "항원 투여농도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L))에서의 IgG 항체 생성량은 얼마니?", "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의 IgG 항체 생성량은 얼마입니까?", "IgA 항체는 어떤 작용을 하니?", "IgA 항체는 무슨 작용을 하는가?", "H. pylori 분리된 urease A 와 B 로 면역된 mouse 혈청이 면역되지 않은 mouse에 비해 몇 배 이상의 IgA 항체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니?", "H. pylori 분리된 urease A 와 B 로 면역된 mouse 혈청이 면역되지 않은 mouse에 비해 몇 배 이상의 IgA 항체반응을 나타내는가?",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에 대한 IgA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 어느 항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니?",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에 대한 IgA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에서 어느 항원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가?", "다른 항원과 비교 했을 때 crude urease 항원이 가장 적은 IgA 항체 생성량을 나타내었다고 하는데, 수치가 얼마니?", "다른 항원과 비교 했을 때 crude urease 항원이 가장 적은 IgA 항체 생성량을 나타내었다고 하는데, 그 수치는 얼마인가?", "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의 IgG 항체 생성량은 얼마니?", "얼마의 IgG 생성량을 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는 가지고 있나요?", "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L) 에서의 IgG 항체 생성량이 각각 \\( 113.5 \\pm 0.4 \\mu \\mathrm{g} / \\mathrm{ml} \\), \\( 77.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해?", " IgG 항체 생성량이 각각 \\( 113.5 \\pm 0.4 \\mu \\mathrm{g} / \\mathrm{ml} \\), \\( 77.9 \\pm 6.4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났다는 것은 항원 투여농도가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L) 에서의 무슨 의미가 있나요?", "동일한 농도의 다른 항원들보다 가장 많은 IgG항체를 생성한 항원은 어떤 항원이니?", "어떤 항원이 동일한 조건의 항원들 보다 가장 많은 lgG 항채를 생성했나요?", "urease 항원은 항원농도가 3 배인 WC (H) 항원의 항체생성량과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떤 특성이 있다고 조사되었어?", "어떤 특성이 urease 항원은 항원농도가 3 배인 WC (H)과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있나요?", "urease 항원이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 로 가장 많은 항체를 생산하는 것은 각 항원에 대한 IgG 항체 생성측면에서 무엇으로 사료되니?", "\\( 123.8 \\pm 2.9 \\mu \\mathrm{g} / \\mathrm{ml} \\)으로 urease 항원이 가장 많은 항체를 생산하는 것이 IgG 항체 생성에서 무슨 의미가 있나요?", "소화기관 혹은 장관, 호흡기, 생식관 등의 상피에서 분비되어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의 부착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항체는 무엇이니?",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의 부착을 방지하는 큰 역활을 하는 소화기관, 장관, 호흡기 생식관의 상피에서 분비되는 항체는 무엇인가요?", "IgA 항체는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의 부착을 방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데, 어디에서 분비되니?", "어디에서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병원체의 부착을 방지하는 lgA 항체가 분비되나요?", "IgA 항체는 소화기관 혹은 장관, 호흡기, 생식관 등의 상피에서 분비되는데, IgA 항체가 하는 큰 역할은 무엇이니?", "IgA 항체의 큰 역할로 소화기관, 장관, 호흡기, 생식관의 상피에서 분비되어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IgA의 주합성 장소와 작용 부위는 신체의 어느 부위야?",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 IgA의 주합성과 작용이 이루어지나요?", "IgA를 분비하는 형질세포는 고유판이라 부르는 결체조직에 있는데, 그것은 신체의 어느 부분에 주로 있어?", "주로 신체의 어느 부위에 IgA를 분비하는 결체조직 고유판이 있나요?", "IgG의 주기능은 무엇이니?", "무엇이 lgG의 주기능 인가요?", "IgG가 신체내의 세포외 방어인 반면에 IgA 의 주 기능은 무엇이니?", "무엇이 lgA의 주기능 인가요?", "위염환자에게서 lgA와 lgG, lgM은 어떤 절차로 코팅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니?", "어떤 절차를 통하여 위염환자의 lgA와 lgG, lgM가 코팅된다고 보고되고 있나요?", "Salmonella vaccine에 의한 urease A 와 B 는 어떤 반응을 유발하니?", "어떤 반응이 urease A 와 B가 Salmonella vaccine에 의하여 나타나나요?", "항원농도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 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L) 의 IgA 항체 생산은 각각 몇 \\(\\mu \\mathrm{g} / \\mathrm{ml} \\) 로 나타나?", "각각 몇 \\(\\mu \\mathrm{g} / \\mathrm{ml} \\) 로 항원농도 \\( 6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H) 와 \\( 20 \\mu \\mathrm{g} / 100 \\mu \\mathrm{l} \\) 인 WC (L) 의 IgA 항체 생산이 나타나나요?\n\n", "H.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에 대한 IgA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자세히 알려줄래?", "H. pylori로부터 분리된 각 항원에 대한 IgA항체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무엇인가?" ]
12a6e0f8-7dfd-4180-856c-c124fbebb5c6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2>면역원성 확인</h2><p>항원인 H. pylori의 WC, OMP, crude urease를 SDS-PAGE로 분자량 측정결과 각각 12 개, 7 개, 3 개의 주요 단백질 band 를 확인할 수 있었다(Fig. 7). 각 항원단백질에 대한 면역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산된 각 항혈청으로 Western blotting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항체에 대한 항원성 물질은 WC 항원 10종류, OMP 항원 6종류, crude urease 항원 3종류의 단백질이 면역원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4).</p><p>툭히, H. pylori urease는 subunit A 와 B로 나누어지며, 각 각 \( 30.5 \mathrm{kDa} \) 과 \( 62.5 \mathrm{kDa} \) 의 분자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 단클론(monoclonal) 항체에서 면역성이 urease B 는 약하나, urease A 는 강한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방법에 의해 분리된 crude urease는 \( 25, 36,64 \mathrm{kDa} \) 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모두가 면역원성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 36, 64 \mathrm{kDa} \)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band가 urease A, B subunit인 젓으로 사료된다.</p><h2>항균활성</h2><h3>Anti-H. pylori 항체에 의한 H. pylori 응집반응</h3><p>특이 항혈청에 의한 박테리아의 응집은 미생물의 세포표면, 협막 또는 편모 항원에 의해 유래된 항혈청의 유무에 의해 기인된다. 응집반응은 박테리아 항원성 조성, 감염성질병의 진단을 위한 임상실험, 박테리아 분류를 위한 분류학상으로 기본연구를 위한 연구실험으로 사용된다. 응집반응은 항체를 첨가하여 특정 항원(세균)을 응집시키는 것을 뜻한다. 육안 또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항원 또는 항체 측정에도 사용된다. 현재는 세포나 입자 표면에 항원기만 있으면 대부분의 항체는 응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 백신으로 미리 면역된 mouse에서 질병예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균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위염 염증과 관련된 균체의 colonization의 감소와 제거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p>본 실험에서는 H. pylori에서 분리된 각 항원으로 생성된 항혈청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Fig. 5). 각 항혈청을 단계별로 희석하<p>여 H. pylori과 반응시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절반 이상 응집반응을 나타내는 희석배수를 응집가로 결정 하였다. 따라서 면역되지 않은 항혈청에서는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WC, OMP, crude urease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에 대해 모두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응집가 이상의 항혈청 희석에서도 응집정도는 약했으나 균의 활동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응집가(Agglutination value)는 anti-WC (H), anti-WC (L), anti-OMP, anti-urease 항혈청에서 각각 \( 2^{5}, 2^{5}, 2^{6}, 2^{7} \) 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anti-urease 항혈청이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었다(Table 2).</p>
[ "생산된 각 항혈청으로 Western blotting 을 실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왜 생산된 각 항혈청으로 Western blotting 을 진행했지?", "각 항원단백질에 대한 면역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산된 각 항혈청으로 무엇을 실시하였나?", "각 항원단백질에 대한 면역원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산된 각 항혈청으로 Western blotting 을 실시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항혈청에 의한 박테리아의 응집은 무엇에 의해 기인되는가?", "무엇이 항혈청에 의한 박테리아의 응집을 야기하니?", "항혈청에 의한 박테리아의 응집은 무엇의 항원에 의해 유래된 항혈청의 유무에 의해 기인되는가?", "응집반응은 어떤 연구실험에 사용되는가?", "어느 연구 실험에 응집반응이 이용되니?", "응집반응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무엇이 응집반응의 정의일까?", "응집반응은 어떻게 관찰할수 있는가?", "어떤 방식으로 응집반응을 관측할 수 있지?", "응집반응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어디에 응집반응이 활용 가능해?", "현재는 어떤경우레 대부분의 항체가 응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미리 면역된 mouse에서 질병예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균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위염 염증과 관련된 균체의 colonization의 감소와 제거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백신은 무엇인가?", "H. pylori 백신으로 미리 면역된 mouse에서 질병예방 효과를 나타내는가?", "각 항혈청을 단계별로 희석하<p>여 H. pylori과 반응시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무엇을 응집가로 결정 하였나?", "면역되지 않은 항혈청에서는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나?", "면역되지 않은 항혈청의 경우, 응집반응이 발생하지 않았어?", "면역되지 않은 항혈청에서는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WC, OMP, crude urease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에 대해서도 모두 낮은 응집가를 나타내었는가?", "응집가 이상의 항혈청 희석에서의 응집도와 균의 활동성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항체의 H. pylori에 대한 응집정도를 나타내는 응집가(Agglutination value) 중 가장 높은 응집가를 나타내는 항혈청은 무엇인가?" ]
cea3c11c-7176-44da-8d58-9c5ae28a1258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2>Whole cell 항원분리</h2><p>Whole cell (WC) 항원은 먼저 액체 배양된 균주를 \( 4^{\circ} \mathrm{C} \), \( 4,000 \times g \) 로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회수한다. 회수된 균주는 \( 10 \mathrm{mM} \) Tris \( \mathrm{HCl}\left(\mathrm{pH}\right. \) 8.5)-2 mM EDTA로 \( 4^{\circ} \mathrm{C}, 4,000 \times g \) 로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1회 세척 후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킨다. 세척된 균은 얼음물에서 30초간 4 회 sonicate (pulse 20 , duty cycle 50)한 다음 syringe filter \( (0.45 \mu \mathrm{m}) \) 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WC 의 농도는 Lowry법을 이용한 단백질정량 kit로 측정하여 사용 전까지 \( -70^{\circ} \mathrm{C} \) 에 냉동 보관하였다.</p><h2>Outer membrane protein 항원분리</h2><p>액체 배양된 균주를 \( 10 \mathrm{mM} \) Tris HCl (pH 8.5) - \( 2 \mathrm{mM} \) EDTA로 \( 4^{\circ} \mathrm{C}, 4,000 \times g \) 로 30분간 원심분리로 1회 세척한 후 차가운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강하게 vortex \( (2,500 \mathrm{rpm}, 1 \mathrm{min}) \) 한 후 원심분리 \( \left(25,000 \times g, 15 \mathrm{~min}, 4^{\circ} \mathrm{C}\right) \) 된 침전물을 얼음물에서 30초간 4 회 sonicate (pulse 20, duty cycle 50)한다. 파쇄된 균은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 한 다음 상층액을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 로 1시간동안 원심분리한다. 침전물을 \( 1 \%(\mathrm{w} / \mathrm{v}) \) sodium laurylsarcosine이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 (pH 8.0)로 현탁시킨 후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1회 반복한다. 최종 침전물은 \( 10 \mathrm{mM} \) Tris-HCl buffer ( \( \mathrm{pH} \) 8.0)로 현탁시키고 syringe filter \( (0.45 \mu \mathrm{m}) \) 로 여과한다. 여과된 OMP 항원은 sodium dodesyl sulfate-polyacrylamide gel clectrophoresis (SDS-PAGE, \( 12 \%) \) 로 분자량을 확인하였고, 농도는 Lowry법을 이용한 단백질정량 kit로 정량하여 사용 전 까지 \( -70^{\circ} \mathrm{C} \) 에 냉동 보관하였다.</p><h2>Crude urease 항원분리</h2><p>액체 배양된 균주를 \( 10 \mathrm{mM} \) Tris \( \mathrm{HCl}(\mathrm{pH} \) 8.5)-2 mM EDTA로 \( 4^{\circ} \mathrm{C}, 4,000 \times g \) 로 30 분간 원심분리로 1 회 세척한 후 차가운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강하게 vortex \( (2,500 \mathrm{rpm}, 1 \mathrm{min}) \) 한 후 원심분리 \( \left(25,000 \times 8,15 \mathrm{~min}, 4^{\circ} \mathrm{C}\right) \) 된 상층액을 crude urease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분리된 crude urease는 SDS-PAGE \( (12 \%) \) 로 분자량을 확인하였고, 항원 농도는 Lowry법을 이용한 단백질정량 kit로 정량하여 사용 전까지 \( -70^{\circ} \mathrm{C} \) 에 냉동보관 하였다.</p>
[ "Whole cell 항원은 액체 배양된 균주를 어떤 조건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시켰어?", "Whole cell 항원이 액체 배양된 균주를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어떤 조건에서 시켰어?", "Whole cell 항원이 우선적으로 \\( 4^{\\circ} \\mathrm{C} \\), \\( 4,000 \\times g \\) 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균주는 무엇인가?", " \\( 4^{\\circ} \\mathrm{C} \\), \\( 4,000 \\times g \\) 로 30분 동안 Whole cell 항원이 먼저 원심분리한 균주는 무멋이야?", "Whole cell 항원이 액체 상태로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 하는데 시간은 얼마나 걸렸어?", "액체 상태로 배양된 균주가 Whole cell 항원에 의해 원심분리 되는데 걸린 시간은 얼마야?", "액체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해서 회수한 항원은 뭘까?", "액체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하여 다시 가져온 항원은 뭐야?",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회수된 균주를 한번 더 원심분리한 뒤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키기 전에 몇 회 세척해?", "30분간 원심분리 하여 회수된 균주를 한번 더 원심분리한 뒤 몇 회 세척 후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켜?", "30분간 원심분리한 뒤 1회 세척한 균주는 그 후 어떤 과정을 거치니?", "30분간 원심분리한 뒤 1회 세척한 균주는 다음에 어떻게 돼?",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켜 세척된 균은 30초간 4회 어디에서 sonicate했어?",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켜 세척된 균은 30초간 4회 sonicate한 곳이 어디야?", "얼음물에서 4 회 30초 동안 sonicate한 균은 무엇으로 여과했어?", "4 회 30초 동안 얼음물에서 sonicate한 균을 무엇으로 여과했어?", "깨끗이 씻긴 균을 sonicate한 뒤 여과할 때 사용한 syringe filter의 크기는 얼마인가?", "깨끗이 씻긴 균을 sonicate한 뒤 어떤 크기의 syringe filter에 여과했어?", "세척된 균을 sonicate한 뒤 \\( (0.75 \\mu \\mathrm{m}) \\)의 syringe filter에 여과하였니?", "\\( (0.75 \\mu \\mathrm{m}) \\)의 syringe filter에 세척된 균을 sonicate한 뒤 여과했어?", "세척된 균을 sonicate 할 때 30초간 몇 회 했어?", "30초간 몇 회 세척된 균을 sonicate했어?", "여과된 WC 의 농도를 계량하는데 사용한 단백질정량 kit는 어떤 방법을 이용한 것이야?", "단백질정량 kit는 어떤 방식을 이용하여 여과된 WC 의 농도를 계량헀어?", "syringe filter로 여과된 WC는 농도 측정을 위하여 어떠한 도구가 활용되었니?", "어떤 도구를 활용하여 syringe filter로 여과된 WC는 농도 측정을 하였어?", "여과된 WC는 사용 전까지 어떻게 보관했어?", "여과된 WC는 어떻게 보관했다가 사용해?", "여과된 WC는 농도 측정 후 사용 전까지 몇 도의 온도에서 냉동 보관 되었니?", "여과된 WC는 농도 측정 후 몇 도의 온도에서 냉동 보관되었다가 사용해?", "\\( 10 \\mathrm{mM} \\) Tris HCl (pH 8.5) - \\( 2 \\mathrm{mM} \\) EDTA로 액체 배양된 균주를 30분간 원심분리할 때의 조건은 뭐야?", "액체 배양된 균주를 \\( 10 \\mathrm{mM} \\) Tris HCl (pH 8.5) - \\( 2 \\mathrm{mM} \\) EDTA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할 때 어떤 조건이야?", "액체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 하는 데 이용한 물질은 어떤 것인가?", "액체 배양된 균주는 어떤 물질을 이용하여 원심분리해?", "액체 배양된 균주를 원심분리 하는 데 걸린 시간은 10분이니?", "액체 배양된 균주를 몇 분간 원심분리했어?", "원심분리된 침전물은 얼음물에서 30초간 몇 회 sonicate했어?", "얼음물에서 30초간 몇 회 원심분리된 침전물을 sonicate했어?", "강하게 소용돌이 친 후 원심분리 할 때의 속도, 시간, 온도는 어떻게 되니?", "강하게 소용돌이 친 후 어떤 속도, 시간, 온도에서 원심분리 해?", "강하게 vortex한 후 원심분리된 침전물을 얼음물에서 몇 초간 4 회 sonicate했지?", "강하게 vortex한 후 얼음물에서 몇 초간 4 회 원심분리된 침전물을 sonicate했어?", "원심분리된 침전물을 얼음물에서 sonicate하여 파쇄된 균을 10분간 원심분리할 때의 온도와 속도는 어떻게 될까?", "원심분리된 침전물을 얼음물에서 sonicate하여 파쇄된 균을 어떤 온도와 속도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해?", "원심분리한 뒤의 상층액은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로 몇 시간동안 원심분리해?",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로 몇 시간동안 원심분리한 뒤의 상층액을 원심분리해?",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 분 동안 파쇄된 균을 원심분리 한 뒤에, 상층액을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로 원심분리할 때 30분 걸렸니?",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 분 동안 파쇄된 균을 원심분리 한 뒤에 상층액을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로 30분간 원심분리했어?", "상층액을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 로 1시간동안 원심분리한 뒤 침전물을 어떤 걸로 현탁시키니?", " \\( 4^{\\circ} \\mathrm{C}, 100,000 \\times g \\) 로 1시간동안 상층액을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무엇을 통해 현탁시켰어?", "침전물을 현탁시킬 때 \\( 10 \\mathrm{mM} \\) Tris-HCl buffer에 함유된 것은 뭐야?", "어떤 것에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로 침전물을 현탁시켜?", "침전물을 \\( 1 \\%(\\mathrm{w} / \\mathrm{v}) \\) sodium laurylsarcosine이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로 현탁시킨 후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니?", "\\( 4^{\\circ} \\mathrm{C}, 10,000 \\times g \\) 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침전물을 \\( 1 \\%(\\mathrm{w} / \\mathrm{v}) \\) sodium laurylsarcosine이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로 현탁시킨 후 3회 반복해?", "침전물을 \\( 1 \\%(\\mathrm{w} / \\mathrm{v}) \\) sodium laurylsarcosine이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 (pH 8.0)로 현탁시킨 후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1회 반복하는 데 몇 분 걸려?", "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침전물을 \\( 1 \\%(\\mathrm{w} / \\mathrm{v}) \\) sodium laurylsarcosine이 함유된 \\( 10 \\mathrm{mM} \\) Tris-HCl buffer (pH 8.0)로 현탁시킨 후 1회 반복하는데 몇 분 걸려?", "최종 침전물은 Tris-HCl buffer 몇 \\(\\mathrm{mM} \\)로 현탁시키지?", "Tris-HCl buffer 몇 \\(\\mathrm{mM} \\)로 최종 침전물을 현탁시켜?", "최종 침전물을 현탁시킨 뒤 여과하기 위해 활용하는 도구는 어떤 것이니?", "최종 침전물을 현탁시킨 뒤 어떤 도구를 활용하여 여과해?", "최종 침전물은 \\(0.85 \\mu \\mathrm{m} \\)의 syringe filter로 여과하는 게 맞아?", "\\(0.85 \\mu \\mathrm{m} \\)의 syringe filter로 최종 침전물을 여과해?", "최종 침전물을 syringe filter로 여과한 뒤, 여과된 OMP 항원은 분자량을 확인하는 데 어떤 장비를 사용했어?", "최종 침전물을 syringe filter로 여과한 뒤, 어떤 장비를 사용하여 여과된 OMP 항원은 분자량을 확인했어?", "여과된 OMP 항원을 sodium dodesyl sulfate-polyacrylamide gel clectrophoresis로 확인한 것은 뭐야?", "sodium dodesyl sulfate-polyacrylamide gel clectrophoresis을 통해 여과된 OMP 항원의 무엇을 확인했어?\n", "syringe filter로 여과된 OMP 항원의 농도를 정량하기 위해 활용한 방법은 어떤 걸까?",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 syringe filter로 여과된 OMP 항원의 농도를 정량했어?", "여과된 OMP 항원은 분자량 확인 및 농도 정량 후 사용 전까지 어떻게 보관했니?", "여과된 OMP 항원을 분자량 확인 및 농도 정량 후 어떻게 보관했다가 사용해?", "여과된 OMP 항원은 사용 전까지 \\( 10^{\\circ} \\mathrm{C} \\) 에 냉장 보관하였어?", " \\( 10^{\\circ} \\mathrm{C} \\) 에 여과된 OMP 항원을 사용 전까지 냉장보관하였어?", "강하게 vortex한 후 원심분리된 상층액을 어떻게 사용했을까?", "무엇으로 강하게 vortex한 후 원심분리된 상층액을 사용했어?\n", "나누어진 crude urease의 분자량은 무엇으로 확인해?", "무엇을 통해 나누어진 crude urease의 분자량을 확인해?", "분리된 crude urease가 SDS-PAGE을 사용해서 확인한 것이 분자량일까?", "SDS-PAGE을 사용해서 분리된 crude urease가 분자량을 확인했어?", "분리된 crude urease를 사용하기 전까지 보관한 방법은 무엇인가?", "분리된 crude urease를 어떻게 보관했다가 사용해?" ]
2e9c09fc-efd4-4378-abfb-c70bd3c47d80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2>Lipopolysaccharide 항원분리</h2><p>LPS는 그람음성 균의 외막에 존재하는 성분이다. 일반적인 추출법으로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복잡한 방법의 hot phenol-water extraction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H. pylori의 LPS 추출을 위하여 LPS extraction kit를 이용하였다. 분리된 LPS는 SDS-PAGE ( \(12\%\) ) 은염색법으로 분자량을 확인하였다.</p><h2>Anti-H. pylori 항체에 의한 urease 활성억제 효과검색</h2><p>H. pylori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으로 H. pylori의 urease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Urease 활성억제능은 H. pylori 현탁액[OD=1.0 \( (405 \mathrm{~nm}) \), saline] \( 50 \mu \mathrm{l} \) 에 \( 2^{6} \) 배 희석된 각각의 항혈청 \( 50 \mu l \) 와 2시간 동안 반응 후 urea broth (Yeast extract \( 0.1 \mathrm{mg} / \mathrm{ml} \), monopotassium phosphate \( 9.1 \mathrm{mg} / \mathrm{ml} \), dipotassium phosphate \( 9.5 \mathrm{mg} / \mathrm{ml} \), urea \( 20 \mathrm{mg} / \mathrm{ml} \), phenol red \( 0.01 \mathrm{mg} / \mathrm{ml}) 100 \mu l \) 가 들어있는 immunoglobulin 96 well plate에 놓고 30 분경과 후 urea의 분해에 따른 phenol red의 color intensity의 변화를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 550 \mathrm{~nm} \) 에서 측정하였다.</p><h2>통계화적 분석</h2><p>본 실험에서 얻은 측정치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SPSS 12.0KO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유의성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 \mathrm{p}<0.05 \) 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p>
[ "그람음성 균의 외막에 어떤 성분이 존재해?", "어떤 성분을 그람음성 균의 외막에서 찾아볼 수 있어?", "LPS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인 hot phenol-water extraction법은 간단하며 시간이 적게 걸려?", "시간이 덜 들고 간단한 방법이 LPS를 추출하기 위한 hot phenol-water extraction법이야?", "LPS의 추출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추출법이 뭐야?", "어떤 추출법이 LPS의 추출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니?", "이 실험에서 LPS 추출을 위해 사용한 키트의 이름이 뭐야?", "이 실험에서 어떤 키트를 LPS 추출에 이용했어?", "분리된 LPS의 분자량 확인을 위해 SDS-PAGE ( \\(12\\%\\) ) 은염색법을 이용할 수 있어?", "SDS-PAGE(12%) 은염색법은 분리된 LPS의 분자량 확인에 쓰일 수 있어?", "LPS의 분자량은 어떤 방법을 통해서 알 수 있을까?", "어떤 방법을 이용해서 LPS의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지?", "H. pylori의 urease활성 억제능을 이용해 H. pylori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을 측정한 것이 맞아?", "H. pylori 각 항원에 의해 생성된 항혈청을 측정할 때 H. pylori의 urease활성 억제능을 사용한 게 맞아?", "H. pylori의 ure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할 때 가장 먼저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H. pylori의 ure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할 때 가장 먼저 거쳐야 하는 단계는 어떤 거야?", "urease활성 억제능 측정 시 urea의 합성에 따른 phenol red의 color intensity의 변화를 측정한 것이 맞아?", "urease활성 억제능을 잴 때 측정한 게 urea의 합성에 따른 phenol red의 color intensity의 변화야?", "표준편차와 평균치는 본 실험에서 무엇을 사용해서 계산되었어?", "본 실험에서 표준편차와 평균치는 무엇을 통해 구해졌는가?", "이 실험의 결과로 유의수준 \\( \\mathrm{p}<0.05 \\)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고 할 수 있어?", "유의수준 p < 0.05에서 귀무가설은 유의성이 없다고 본 실험 결과는 판정하는가?", "그람음성 균의 어디에 LPS가 존재하는가?", "LPS가 있는 곳은 그람음성 균의 어디인가?",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어떻게 H. pylori의 LPS 추출을 진행했어?", "H. pylori의 LPS 추출을 진행할 때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어떤 방법을 이용했어?", "Urease 활성억제능 측정을 위해 H. pylori 현탁액에 항혈청과 2시간 동안 반응 후 어디에 놓고 30분을 기다려?", "Urease 활성억제능 측정을 위해 H. pylori 현탁액에 항혈청과 2시간 동안 반응 후 30분을 대기할 땐 어디에 둬야해?", "phenol red의 urea 분해가 야기한 color intensity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하였지?", "어떤 방법을 phenol red의 urea 분해가 야기한 color intensity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했어?" ]
4ff962c2-cf36-466f-b8cd-fa3affa75d33
생명LA
Helicobacter pylori로부터 유래된 항원의 anti-H. pylori 항체에 관한 연구
<h1>재료 및 방법</h1><h2>재료 및 시약</h2><p>본 실험에 사용한 H. pylori는 한국유전자은행 (KCTC 12083)에서 분양받아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배지에 사용된 항생제는 H. pylori selective supplement (Oxoid, SR0147E, England), 그람염색에 사용된 시약은 crystal violet (Becton Dickinosn, USA), carbol fuchsin (Becton Dickinosn, USA)를 구입하였다.</p><p>H. pylori의 outer membrane protein (OMP) 분리에는 so-dium laurylsarcosine (Sigma L9150, USA), lipopolysaccharide (LPS) 분리는 LPS extra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 분리된 항원의 농도측정은 단백질정량 Kit (Sigma 690-A), 분자량 측정 maker는 SeeBlue \( { }^{\circledR} \) Plus2 Pre-stained standard (Invitrogen, LC5925, USA)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p><p>항체 생산에 이용된 adjuvant는 Freund's complete ad-juvant (FCA, Sigma F-5506), Freund's incomplete adjuvant (FIA, Sigma F-5881)를 사용하였으며, 항체분석을 위하여 2 차 항체는 anti-mouse IgG (whole molecul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Sigma A2418)와 anti-mouse IgA (whole molecul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Sigma A4937)를 이용하였고, 항체함량 측정을 위한 표준품으로 mouse IgG (Sigma I5381)를 사용하였다. 발색 기질용액은 \( 10 \% \) dieth-anolamine buffer, \( 1\% \) phosphatase substrate (Sigma N2765) 를 이용하였고, Western blotting에 사용된 시약은 NC mem-brane (Nitrocellulose, Gelman Sciences Co., USA)과 Lumi-Phos WB (PIERCE 34150, USA) substrate를 사용하였다. 기타 연구에 사용된 용매 및 시약은 특급으로 사용하였다.</p><h2>H. pylori 배양 및 균주확인</h2><p>한국유전자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H. pylori는 \( 37^{\circ} \mathrm{C}, \mathrm{CO}_{2} \) 농도 \( 10 \% \) 환경에서 \( 5 \% \) 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 (H. pylori selective supplement)가 포함된 Brucella agar plate에서 2~3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였다. 계대배양으로 활성화된 균주는 Brucella broth에서 48~72시간동안 액체배양 하였다. 균주확인을 위한 Gram 염색법은 4단계 순서로 진행되는데 우선 crystal violet으로 1 분간 염색한 후 gram iodine으로 1 분간 염색한다. Ethanol에 1 분간 세척한 후 carbol fuchsin으로 10 분간 염색한다. 모든 과정이 끝난 후 건조하여 광학 현미경 \( (\times 1,000) \) 으로 morphology를 관찰하여 균주 및 오염상태를 확인하였다. Urease 활성검사는 urea broth \( (\mathrm{pH} \) 6.8, Yeast extract \( 0.1 \mathrm{mg} / \mathrm{ml} \), monop-otassium phosphate \( 9.1 \mathrm{mg} / \mathrm{ml} \), dipotassium phosphate \( 9.5 \) \( \mathrm{mg} / \mathrm{ml} \), urea \( 20 \mathrm{mg} / \mathrm{ml} \), phenol red \( 0.01 \mathrm{mg} / \mathrm{ml} \) )를 \( 1 \mathrm{ml} \) 씩 Eppendorf-tube에 분주하여 냉장 보관하였고, tube에 H. pylori를 접종시켜 색이 붉게 변화는 것으로 균주를 확인하였다.</p>
[ "본 실험에 사용한 H. pylori는 어디에서 분양받았어?", "어디에서 본 실험에 이용한 H. pylori를 분양받았어?", "H. pylori는 어떻게 사용했어?", "어떻게 H. pylori를 이용했어?", "분리된 항원의 농도측정은 무엇을 이용했어?", "무엇을 분리된 항원의 농도측정으로 사용했어?", "항체 생산에 이용된 것은 뭐야?", "무엇을 항체 생산에 사용했니?", "기타 연구에 사용된 용매 및 시약은 일반으로 사용했어?", "일반으로 기타 연구에 사용된 용매 및 시약을 이용했어?", "계대배양으로 활성화된 균주는 Brucella broth에서 얼마 동안 배양했어?", " Brucella broth에서 계대배양으로 활성화된 균주를 얼마 동안 육성했어?", "Ethanol에 1 분간 세척한 후 carbol fuchsin으로 몇 분간 염색해?", "Ethanol에 1 분간 씻은 후 몇 분간 carbol fuchsin으로 염색해?", "모든 과정이 끝난 후 건조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무엇을 관찰했어?", "무엇을 모든 절차가 끝난 후 건조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했어?", "tube에 H. pylori를 접종시켜 색이 푸르게 변화는 것으로 균주를 확인했어?", "H. pylori를 tube에 접종시켜 색이 푸르게 변화는 것으로 균주를 검사했어?", "그람염색에 사용된 시약은 뭐야?", "무슨 시약을 그람염색에 이용했어?" ]
f2a4846d-4b96-4eb4-878d-c6562fff9aa2
생명LA
들깨 \(gamma\)-TMT형질전환 담배의 색소성분 변화 및 염 스트레스 내성 증가
<h1>재료 및 방법</h1><h2>식물재료 및 성장조건</h2><p>담배 (Nicotiana tabacum cv. Xanthi)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담배종자는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2분간 표면살균한 다음,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10분간 살균하고 멸균수로 3회 세척하였다. 살균된 종자는 \( 2 \%(\mathrm{v} / \mathrm{v}) \) sucrose가 포함된 1/2 MS 기본배지 (Murashige and Skoog 1962)에 파종하고, 파종 후 4주 기내배양된 담배식물체의 엽절편체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유전자 도입 및 발현이확인된 형질전환체 종자는 1/2 MS 기본배지에 파종하였다. 파종된 종자는 \( 26^{\circ} \mathrm{C} 16 \mathrm{~L} / 8 \mathrm{D} \) 광주기에서 2 주간 배양 후 0, 100, 200, 300, 400 \(\mathrm{mM} \)의 NaCl 및 sorbitol이 각각 포함된 1/2 MS배지에 옮겨 치상하거나 이후의 색소 및 토코페롤 함량 분석실험을 위한 온실재배를 위해 토양으로 이식하였다.</p><h2>유전자</h2><p>들깨로부터 분리한 \( \gamma \)-TMT 유전자 (Kim et al. 2002)를 형질전환 벡터제조를 위해 사용하였다. \( \gamma \)-TMT 유전자는 nopaline synthase terminator (nos-T)와 함께 식물형질전환 벡터인 pBI121의 변형벡터인 pHF 벡터내로 도입하여 CaMV \( 35 \mathrm{S} \) promoter에 의한 \( \gamma \)-TMT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구축된 식물발현용 운반체인 pHFT는 freeze-thaw 방법으로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1에 도입하였다.</p><h2>형질전환</h2><p>벡터 pHFT로 형질전환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1을 YEP (hygromycin)액체배지에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Agrobacterium 배양액에 담배 엽절편체를 20분 간 감염시킨 다음, \( 1 \mathrm{mg} / \mathrm{L} \) NAA, \(1 \mathrm{mg} / \mathrm{L}\) BA, \(20 \mathrm{g} / \mathrm{L} \) sucrose, \( 8 \mathrm{g} / \mathrm{L} \) agar가 첨가된 MS배지에서 2일간 공동배양하였다. 형질전환된 재분화 식물체를 얻기 위하여 \( 1 \mathrm{mg} / \mathrm{L} \) NAA, \(1 \mathrm{mg} / \mathrm{L} \) BA, \(300 \mathrm{mg} / \mathrm{L} \) carbenicillin, \( 10 \mathrm{mg} \) hygromycin, \( 20 \mathrm{g} / \mathrm{L} \) sucrose, \( 8 \mathrm{g} / \mathrm{L} \) agar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3주마다 계대배양 하였다. 재분화된 신초는 \( 300 \mathrm{mg} / \mathrm{L} \) carbenicillin, \( 10 \mathrm{mg} \) hygromycin, sucrose \( 20 \mathrm{g} / \mathrm{L} \) sucrose, \( 8 \mathrm{~g} / \mathrm{L} \) agar가 첨가된 MS 배지로 옮겨 발근을 유도하였다. 발근된 개체는 순화 후 화분으로 이식하여 온실에서 생육시켰다.</p><h2>형질전환체 검정</h2><p>형질전환체에서 형질전환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 방법이 이용되었다. Genomic DNA 추출은 형질전환체의 잎조직 \( 1 \mathrm{g} \) 을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방법으로 추출하였다 (Jones and Walker 1963), PCR 분석을 위한 반응액은 i-star taq PCR pre-mix (Intronbio, 한국)를 사용하였고, CaMV 35S 프로모터와 \( \gamma \)-TMT 유전자 부위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제작한 primer (forward primer 5'-GGAC CTAACAGAACTCGCCGTAAAGAC-3'/ reverse primer 5'-CCACCCGGTGGTGCAGATACCT-3')와 하이그로마이신 저항성 유전자 내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primer (forward primer 5'-CCGTCAACCAAGCTCTGATAGAGTTG-3'/ reverse primer 5'-CTGATCGAAAAGTTCGACAGCGTCT-3')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은 \( 95^{\circ} \mathrm{C} \)에서 5분간 pre-denaturation 시킨 후 \( 94^{\circ} \mathrm{C} \) 1분, \( 60^{\circ} \mathrm{C}\) 1분, \( 72^{\circ} \mathrm{C}\) 1분으로 30회 반응시킨 후 \( 72^{\circ} \mathrm{C} \) 에서 10분간 extension하였다.</p><p>도입된 \( \gamma \)-TMT 유전자의 발현확인은 RT-PCR 방법을 사용하였다. 형질전환체 및 대조구로부터의 total RNA는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식물조직을 완전히 분쇄한 후 RNeasy Mini Kit (Qiagen, Valencia, CA)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total RNA lug은 SuperScript \( { }^{\mathrm{TM}} \) ll Reverse Transcriptase (Invitrogen, Carlsbad, CA)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 \gamma \)-TMT의 염기서열 일부를 이용하여 제작한 프라이머 (forward primer 5'-AGGTATCTGCACCACCGGGTGGC-3'/ reverse primer 5'-GATAGGTCOCTGTGGCACCATGTAACGAT-3')를 이용하여 \( 94^{\circ} \mathrm{C} \) 30초, \( 60^{\circ} \mathrm{C}\) 30초, \( 72^{\circ} \mathrm{C}\) 1분을 1회 반응주기로 하여 28주기 동안 증폭하였다. 최종 PCR 산물은 \( 1 \% \) agarose gel 상에서 전기영동으로 분리하여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p><h2>토코페롤 합성 유전자의 발현분석을 위한 RT-PCR</h2><p>담배 HPT, TC 유전자의 cDNA 클로닝은 이미 보고된 감자 (Solanum tuberosum) TC 유전자(accession no. AY536918)와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HPT 유전자 (accession no. AF324344)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였다. 담배에서 클로닝된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서 TC (forward primer 5'-ATGTACTCTGTAGAGAATCCTGCATTTCCCAAG-3' reverse primer 5 'TCCTGCTGTAGACTTCTGCTTTGAGTTAACGT-3')유전자와 HPT (forward primer 5'-GCAACAGGTGAGCTCCACTGAAAGCTTAG-3'/ reverse primer 5'-TACGTGGAACAGCATTAGGATCCCTCTCA-3') 유전자에 대한 primer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rime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체 및 대조구에서 추출된 total RNA lug을 모형으로 하여 제조한 cDNA를\( 94^{\circ} \mathrm{C}\) 30초, \( 60^{\circ} \mathrm{C}\) 30초, \( 72^{\circ} \mathrm{C}\) 1분을 1회 반응주기로 하여 25주기 동안 증폭하였다. 증폭된 DNA의 정량화를 위한 ternal standard는 actin (forward primer 5'-CTATTCTCCGCTTTGGACTTGGCA-3'/ reverse primer 5'-AGGACCTCAGGACAACGGAAACG-3')유전자를 이용하였다.</p><h2>토코페롤 추출 및 분석</h2><p>토코페롤 추출은 Panfili 등 (2003)의 방법에 따라, 대조체와 형질전환체 식물체의 잎을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쇄 후 건조 중량 \( 0.5 \mathrm{g} \)의 시료에 internal standard (a-tocopherol acetate, \( 50 \mathrm{ppm} \) )와 추출용매 \( 100 \mathrm{ml} \) (Methanol: Ethylacetate: Ether= 1: 1: 1)을 넣어 혼합한 후 1시간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4)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 50 \mathrm{ml} \) ethyl acetate로 녹여 삼각 flask에 옮겨 담은 후 \( 1.5 \mathrm{ml} \) Potassium hydroxide 포화용액을 넣어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은 분액여두에 옮겨서 동량의 증류수로 용매 분획한 상등액 (ethyl acetate)을 모았다. 같은 방법으로 3회 추출한 ethyl acetate용액에 sodium sulfate anhydrous 를 넣어 수분을 제거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으며, 여액은 회전농축기로 농축 후 \( 2 \mathrm{ml}\)MeOH (\(1\%\) BHT; Butylated Hydroxy Toluene)에 완전히 녹여 Polyfluortetraethylene (PTFE) syringe filter로 재 여과한 후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량분석에 사용된 HPLC는 Shimadzu (Japan)사 제품으로 두개의 펌프(LC-10ADvp)와 SPD-M10 Avp PDA (photodiode array) detector에 Class-vp software를 사용하였고 파장은 \( 290 \mathrm{nm} \) 에서, 컬럼은 COSMOSIL packed column \( (4.60 \times 150 \mathrm{mm}, 5 \mu \mathrm{m}) \) 이며 injection volume은 \( 40 \mu \mathrm{l} \), 유속은 \( 2 \mathrm{mL} / \mathrm{min} \) 이었다.</p><h2>클로로필과 카르테노이드 정량</h2><p>파종 후 5주 후 대조구와 형질전환체의 완전 전개된 상위 2, 3엽면체를 Lichtenthaler (1987)의 방법에 따라 \( 80 \%(\mathrm{v} / \mathrm{v}) \)acetone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 663,647,470 \mathrm{nm} \)에서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여 정량화 하였다.</p>
[ "색소 및 토코페롤 함량 분석실험을 위한 온실재배를 위해 어디로 이식하였는가?", "무엇을 제조하기 위해 \\( \\gamma \\)-TMT 유전자를 들깨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는가?", "형질 전환 벡터를 제조하기 위해 어떤 유전자를 들깨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는가?", "pHF 벡터내로 \\( \\gamma \\)-TMT 유전자와 함께 도입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벡터 안에서 \\( \\gamma \\)-TMT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가?", "본 논문의 실험에서 무엇이 \\( \\gamma \\)-TMT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EHA101에 운반체인 pHFT가 도입하였는가?", "YEP (hygromycin)액체배지에 접종한 것은 무엇인가?", "담배 엽절편체를 몇 분간 Agrobacterium 배양액 감염시키는가?", "CTAB 방법을 사용하여 형질전환체의 잎조직에서 무엇을 추출하였는가?", "무엇을 Agrobacterium 배양액에 감염시키는가?", "\\( \\gamma \\)-TMT 유전자의 발현은 어떤 방법으로 확인했어?", "SuperScript로 cDNA를 합성하기 위해 어떤 물질을 사용했어?", "재분화 식물체를 얻기 위해 몇 주마다 계대배양 하는가?", "재분화 식물체를 얻기 위해 어떤 실험과정을 3주마다 하는가?", "여러 물질이 첨가된 MS 배지로 옮겨 발근을 유도하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배지로 재분화된 신초가 옮겨졌는가?", "freeze-thaw 방법을 통해 EHA101에 도입한 운반체는 무엇인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발근된 개체가 화분으로 이식되는가?", "무엇을 유도하기 위해서 신초를 MS 배지로 옮겼어?", "SuperScript의 방법에 따라 total RNA lug를 처리했을 때 무엇을 합성할수 있는가?", "프라미어를 제작하기 위해 cDNA와 무엇의 염기서열의 일부가 필요한가?", "기존에 이미 보고된 유전자들을 사용하여 담배 HPT, TC 유전자의 어떤 과정을 진행하였는가?", "어떤 gel를 이용하여 전기영동 처리 후 최종 PCR 산물을 분리하는가?", "Panfili 등의 방법을 참고하여 어떤 물질을 추출하였는가?", "분리된 최종 PCR 산물을 무엇을 통해 염색했어?", "pre-denaturation은 \\( 95^{\\circ} \\mathrm{C} \\)의 온도에서 몇 분간 진행하였는가?", "PCR 반응의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 "PCR반응 중 extension 단계는 \\( 72^{\\circ} \\mathrm{C} \\)의 온도에서 몇 분간 진행하였는가?",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어떤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는가?", "합성된 cDNA는 어떻게 증폭하였는가?", "최종 PCR 산물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가?", "total RNA lug을 모형으로 하여 제조한 cDNA를 어떻게 증폭하는가?", "freeze-thaw 방법을 통해 pHFT을 무엇에 도입하였는가?", "발근된 개체를 순화 시킨 다음 어디에 이식하였는가?", "발근된 개체를 화분으로 이식한 후에 어디에서 생육하였는가?", "PCR 방법을 이용하여 무엇에서 형질전환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하고자 하였는가?", "YEP 액체배지에 접종한 형질이 전환된 EHA101을 몇 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는가?", "어떤 배지에 형질이 전환된 EHA101을 접종하였는가?", "PCR 방법을 이용하여 무엇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형질전환유전자의 도입을 확인했어?", "어떤 반응액을 사용하여 PCR분석을 하였는가?", "pre-denaturation은 몇 도에서 진행하였는가?",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어떤 유전자를 추출하였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식물조직을 파괴한 후 total RNA를 얻었는가?", "어떤 조직을 액체질소를 사용하여 분쇄한 후 total RNA를 얻었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분쇄된 식물조직으로 부터 total RNA를 추출하였는가?", "cDNA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에 따라 total RNA lug를 처리해야하는가?", "살균된 종자는 어떻게 파종하는가?", "재분화 식물체를 얻기 위해서 어떤 배지에 배양했어?",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1은 어떻게 배양하는가?", "어떻게 PCR 반응을 진행하였는가?", "어떻게 Genomic DNA 추출을 하였는가?", "total RNA는 어떻게 추출하였는가?", "형질전환된 재분화 식물체를 얻기 위하여 어떻게 배양하였는가?", "토코페롤 추출은 어떻게 하였는가?", "YEP 액체배지에 형질이 전환된 EHA101을 접종 후 어떤 처리를 해주는가?", "어떤 배양액에 담배 엽절편체를 20분 간 감염시키는가?", "여러 물질이 첨가된 MS배지에 배양하여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가?", "CTAB방법에서 형질전환체의 잎조직을 몇 g 추출하였는가?",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는가?", "무엇을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는가?", "본 실험에서 식물재료로 이용한 것은 뭐야?", "담배종자는 어느 용액에서 2분간 표면살균하는가?", "어떤 용액을 사용하여 담배종자를 2분간 표면살균해?", "담배종자는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몇 분간 표면살균하는가?", "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몇 분간 담배종자를 표면살균 해?", "담배종자는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2분간 어떤 조치를 취하는가?", "2분간 담배종자를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어떻게 하는가?", "담배종자는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2분간 표면살균한 다음, 어떤 용액에서 10분간 살균하는가?", " \\( 70 \\%(\\mathrm{v} / \\mathrm{v}) \\) 에탄올에서 2분간 표면살균된 담배종자는 10분간 어떤 용액을 사용하여 살균되는가?", "담배종자를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몇 분간 살균하는가?",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담배종자를 몇 분간 살균시켜?", "담배종자를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10분간 무엇을 하는가?", "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담배종자는 10분간 무슨 과정을 거치는가?", "담배종자를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10분간 살균하고 무엇으로 3회 세척하는가?",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담배종자를 살균한 다음 어떤 물질로 세척해?",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서 10분간 살균하고 멸균수로 몇 회 세척하는가?", " 10분간 \\( 2.5 \\%(\\mathrm{v} / \\mathrm{v}) \\) sodium hypochlorite 용액 살균 후 멸균수로 몇 번 세척하는가?", "살균된 종자는 어떤 물질이 포함된 1/2 MS 기본배지에 파종하는가?", "어떤 물질을 지닌 1/2 MS 기본배지에 살균된 종자를 파종해?", "살균된 종자는 어떤 배지에 파종하는가?", "어떤 배지에 살균된 종자가 파종되는가?", "파종 후 몇 주 기내배양된 담배식물체의 엽절편체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는가?", "실험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파종 후 몇 주 기내배양된 담배식물체의 엽절편체를 이용했어?", "파종 후 4주 기내배양된 담배식물체의 무엇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는가?", "실험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파종 후 4주 기내배양된 담배식물체의 어떤 부분을 활용했어?", "유전자 도입 및 발현이확인된 형질전환체 종자는 어떤 배지에 파종하였는가?", "어떤 배지에 유전자 도입 및 발현이 나타난 형질전환체 종자를 파종시켰어?", "파종된 종자는 어떤 광주기에서 2 주간 배양하는가?", "무슨 광주기로부터 파종된 종자가 2주간 배양되는가?", "색소 및 토코페롤 함량 분석실험을 위한 무엇을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가?", "색소 및 토코페롤 함량 분석실험을 위해서 어떤 실험과정이 필요한가?" ]
e675d8d4-22f6-4f1d-b1b7-629fb01ba1e4
생명LA
들깨 \(gamma\)-TMT형질전환 담배의 색소성분 변화 및 염 스트레스 내성 증가
<h1>서 론</h1><p>자연환경에서 식물체는 병원체, 과도한 온도, 한발, 염과 같은 생물 및 비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노출되게 된다. 스트레스 환경하에서 생체 내 산소분자로부터 만들어진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은 식물체의 잎에 축적되어 단백질, 지방성분 등의 세포구성성분을 산화시켜 생체 내 생리장애 발생 및 심할 경우 세포 사멸을 가져오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체들은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superoxide dismutase (POD), peroxidase (POD)등의 효소에 의한 해독과 ascorbate, tocopherol, cartenoid 등의 항산화물질에 의한 해독의 두 가지 방어 기작을 가지고 있다 (Dat et al. 2000; Alscher and Heath 2002).</p><p>토코페롤 (tocopherol)과 토코트리에놀 (tocotrienol) 이라고 알려져 있는 vitamin E는 수용성 지질 항산화물질로 광합성 세균과 식물 등에서 만들어지며, 토코페롤은 분자의 aromatic ring에 치환되는 메틸기의 위치와 수에 따라 \( \alpha\)-, \(\beta\)-, \(\gamma \)-, \( \delta \)-토코페롤의 4가지 isoform으로 분류된다 (Hirschberg 1999).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생합성의 첫 단계는 homogentisate phytyltransferase (HPT/VTE2)와 homogentisate geranylgeranyl transferase 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며, homogentisic acid (HGA) 에 phytyl diphosphate (PDP)또는 geranylgeranyl diphosphate가 프레닐화 (prenylation)되어 2-methy-6-phytyl-benzoquinol(2M6PBQ) 또는 2-metyl-6-geranylgeranylbenzoquinol (2M6GGBQ)이 생성되게 된다 (Valentin and Qi 2005). 이 두 화합물 2M6PBQ, 2M6GGBQ는 다음 단계에서 tocopherol cyclase (TC/VTE1)와 \( \gamma \)-tocopherol methyltransferase \( (\gamma \)-TMT/VTE4)의 활성과 기질특이성에 따라 여러 isoform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로 생합성된다 (DellaPenna and Last 2006; DellaPenna and Pogson 2006; Savidge et al. 2002). 식물체에서 토코페롤 성분/함량은 종 (species) 및 조직 (tissues)에 따라 다른데, 일반적으로 \( a \)-토코페롤은 잎에 \( \gamma \)-토코페롤은 종자에 풍부하며 \(\beta\)-, \( \delta \) - 형태의 토코페롤은 대부분의 식물체내에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Grusak and DellaPenna 1999).</p><p>토코페롤은 잎의 엽록체에 존재하며 (Soll et al. 1985), 기내 (in vitro) 실험에서 토코페롤의 redox-activated quinone ring이 활성산소종 (ROS)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Fryer 1992)토코페롤은 산화적 분해로부터 membrane의 지질 성분을 보호하는 중요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 \alpha\)-토코페롤은 모든 형태의 토코페롤 중 가장 높은 vitamin E 활성을 나타내었고(Kamal-Eldin and Appelquist 1996), 기내의 리포좀 (liposome)에서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는 가장 높은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다 (Fukuzawa et al. 1982). 그러나 4가지 다른 토코페롤 isoform이 식물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작용에 대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애기장대에서 \( \gamma \)-TMT결핍돌연변이 vte4-1은 생화학적 분석에서 여러 스트레스 환경에서 정상 식물체에 비교하여 구별될 정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 반면 (Bergmuller et al. 2003), dsRNAi 기술을 이용하여 \( \gamma \)-TMT 유전자의 전사 후 과정 (post-transcription)을 차단한 담배에서는 정상 담배에 비교하여 salt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고 sorbitol-매개로 인한 삼투압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고 sorbitol-매개로 인한 삼투압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Abbasi et al. 2007).</p><p>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 \gamma\)-TM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들깨에서 분리한 \( \gamma \)-TMT 유전자가 항시발현 cauliflower mosaic virus (CaMV) 35S promoter에 의해 과발현되는 담배 형질전환체를 제조하여 \( \gamma \)-TMT가 토코페롤 생합성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들의 발현, 색소성분의 변화, 염류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코자 하였다.</p>
[ "식물체의 잎에 쌓여 세포구성성분을 산화시켜 생체 내 생리장애를 발생시키며 심할 경우 세포를 죽일수도 있는 세포 생체 내 산소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은 뭐야?", "생체 내 산소분자로 부터 만들어지고 식물체의 잎에 쌓여 세포구성성분을 산화하여 생리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식물체가 산화스트레스를 막기 위한 방어 기작 중 효소에 의한 작용으로 맞는 것은뭐야?", "효소가 식물체의 방어 기작 중 산화스트레스를 막기 위해 역할하는 것은 무엇일까?", "식물체들의 peroxidase (POD), tocopherol, cartenoid 등은 무엇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용이야?", "POD, tocopherol, cartenoid 등은 식물체는 무엇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인가?", "식물체들의 산화스트레스의 해독을 위해 사용하는 황산화 물질이 뭐야?", "황산화 물질 중 식물체들의 산화스트레스의 해독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수용성 지질 항산화물질로 광합성 세균과 식물 등에서 만들어지며 vitamin E로 알려져 있는것은 뭐야?", "vitamin E로 알려진 광합성 세균과 식물 등에서 만들어는 수용성 지질 항산화물질은 무엇일까?", "토코페롤은 분자의 aromatic ring에 치환되는 메틸기의 위치와 수에 따라 분류되는 4가지 isoform이 뭐야?", "토코페롤은 분자의 aromatic ring에 치환되는 메틸기의 위치와 수를 기준으로 4가지 isoform으로 나뉘는데, 이것이 무엇인가?",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생합성의 첫 단계는 무엇에 의해 이루어져?", "무엇이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생합성의 시작을 이루어내고 있는가?", "2M6PBQ와 2M6GGBQ는 어떻게 생성돼?", "2M6PBQ와 2M6GGBQ는 생성 과정은 무엇일까?", "식물체에서 토코페롤 성분은 무엇에 의해 달라져?", "토코페롤 성분이 식물체에서 변하는데, 무엇이 영향을 끼치는가?", "\\( \\gamma \\)-토코페롤은 어디에 풍부하게 있어?", "어디에서 \\( \\gamma \\)-토코페롤이 풍부하게 발견되나?", "일반적으로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코페롤은 뭐야?", "토코페롤 중 어떤 토코페롤이 일반적으로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일반적으로 종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코페롤은 뭐야?", "토코페콜 중 일반적으로 종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토코페콜은 무엇일까?", "다음 중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된 토코페롤은 뭐야?",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된 토코페롤의 종류는 무엇일까?", "종자에 가장 많이 함유된 토코페롤은 무엇이야?", "어떤 토코페롤이 종자에 가장 많이 포함되었지?", "식물체 내에 많이 존재하지 않는 토코페롤은 뭐지?", "토코페롤 중 식물체에 많이 존재하지 않는 토코페롤은?", "토코페롤은 잎의 어디에 존재해?", "토코페롤은 잎 안에서 어디에 존재합니까?",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이 첫 생합성되는 과정이 어떻게 돼?", "토코페롤과 토코트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첫 생합성 되나요?", "기내 실험에서 토코페롤의 redox-activated quinone ring이 무엇에 영향을 줘?", "토코페롤의 redox-activated quinone ring이 기내 실험 안에서 어디에 영향을 끼칠까?", "토코페롤은 무엇으로부터 membrane의 지질 성분을 보호해?", "membrane의 지질 성분을 보호하는 토코페롤은 무엇으로부터 보호하는가?", "모든 형태의 토코페롤 중 가장 높은 vitamin E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뭐야?", "vitamin E 활성을 나타내는 모든 형태의 토코페롤 중 제일 많은 것은?", "기내의 리포좀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물질인 토코페롤의 종류는 뭐야?", "토코페롤의 종류 중 기내의 리포좀에서 제일 높은 항산화물질은?", "정상 담배와 비교하여 dsRNAi 기술을 이용하여 \\( \\gamma \\)-TMT 유전자의 전사 후 과정을 차단한 담배에 대한 결과는 뭐야?", "dsRNAi 기술을 이용한 \\( \\gamma \\)-TMT 유전자의 전사 후 과정을 차단한 담배에 대한 결과는 무엇인가?", "소금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된 것은 어떤 기술을 이용해 \\( \\gamma \\)-TMT 유전자의 전사 후 과정 (post-transcription)을 차단한 담배에서 일어났어?", "\\( \\gamma \\)-TMT 유전자의 전사 후 과정 (post-transcription)을 차단한 담배에서 일어났는데 소금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된 것은 무슨 기술을 이용한 것인가?", "이 실험에서 들깨에서 분리한 \\gammaγ-TMT 유전자가 토코페롤 생합성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이유가 뭐야?", "들깨에서 분리한 \\gammaγ-TMT 유전자가 토코페롤 생합성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 실험에 사용되는 \\( \\gamma \\)-TMT 유전자는 어디서 추출한 것이야?", "이 실험에 사용되는 \\( \\gamma \\)-TMT 유전자는 무엇에서 나왔을까요?",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 \\gamma\\)-TMT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항목을 조사했어?",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 \\gamma\\)-TMT의 역할을 확인하는 이유로 무슨 조건을 적용하였나요?", "활성산소종은 어떻게 만들어져?", "활성산소종의 생성 과정은 무엇인가요?", "활성산소종은 어디에 축적돼?", "어느 곳에 활성산소종이 쌓이나요?", "\\( a \\)-토코페롤은 어디에 많이 존재해?", "\\( a \\)-토코페롤은 어디에 많이 생성되는 곳은 어디인가요?", "토코페롤이 산화적 분해로부터 세포막의 지질 성분을 보호하는 중요인자인 이유가 뭐야?", "산화적 분해로부터 세포막의 지질 성분을 보호하는 중요인자, 토코페롤인 이유가 뭐야?", "\\( \\alpha\\)-토코페롤은 어디서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는 가장 높은 항산화물질이야?",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는 가장 높은 \\( \\alpha\\)-토코페롤은 어느 곳에서의 항산화물질이야?", "식물체들은 산화스트레스를 어떤 방법으로 방어해?", "식물체들의 산화스트레스를 방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스트레스를 받은 생체 내 산소분자로부터 만들어진 활성산소종은 어떻게 생체 생리장애를 발생시켜?", "스트레스를 받은 생체 내 산소분자로부터 만들어진 활성산소종이 생체 생리장애를 만들어내는 과정은 무엇일까?",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생합성 과정의 첫번째 방법이 뭐야?", "생합성 과정 중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의 첫번째 방법이 무엇일까?", "이 연구에서 식물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 \\gamma\\)-TMT의 역할은 어떤 방법으로 조사했어?", "식물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 \\gamma\\)-TMT의 역할을 이 연구에서 무슨 방법으로 알아내었는가?" ]
438f5e70-6776-4cfb-ba59-7053f5373a18
생명LA
들깨 \(gamma\)-TMT형질전환 담배의 색소성분 변화 및 염 스트레스 내성 증가
<h1>결과 및 고찰</h1><h2>\( \gamma \)-TMT 형질전환체의 분자생물학적 분석</h2><p>배양 후 shooting 및 rooting과정에서 선발된 담배 형질전환체는 대조체와 비교하여 형태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재분화된 식물체의 genome에 \( \gamma \)-TMT 유전자가 도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식물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 증폭을 실시한 결과, Figur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MV 35S 프로모터 부위와 \( \gamma \)-TMT 유전자에 대한 primer 조합에서 예상크기와 일치하는 \( 0.4 \mathrm{kb} \) 의 PC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증폭산물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미제시)을 통해서 형질전환된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담배에서 도입된 \( \gamma\)-TMT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분석을 실시한 바, 대조구 개체에서는 보이지 않는 예상크기의 형질전환된 들깨 \( \gamma \)-TMT에 대한 RT-PCR 산물이 모든 형질전환체에서 증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대조구 담배의 total RNA에서 \( \gamma \)-TMT에 대한 RT-PCR 산물이 증폭되지 않은 것은 담배 내에 존재하는 \( \gamma\)-TMT 유전자 서열이 형질전환 되어진 들깨 \( \gamma\)-TMT 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이 낮거나 발현량이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p><h2>토코페롤 함량 분석 및 다른 토코페롤 합성 유전자의 발현 분석</h2><p>토코페롤 함량 및 농도의 분석을 위해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의 토코페롤 함량과 성분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 \alpha \)-토코페롤 이외의 다른 형태의 토코페롤은 거의 검출되어지지 않았다. 담배의 경우 잎조직 뿐 아니라 종자에서도 토코페롤은 대부분 (\(>95\%\)) \( \alpha \)-토코페롤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Abbasi et al. 2007), \( \gamma \)-TMT 효소는 토코페롤 합성단계의 최종단계에 관여하여 gamma-type의 토코페롤을 alpha type 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형질전환 담배의 a-토코페롤 함유량이 대조 식물과 유사한 점은 담배내 \( \gamma \)-토코페롤 함유량이 매우 낮아 \( \alpha \)-토코페롤로 변환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 \gamma \)-TMT 형질전환 식물체내에서 과발현된 \( \gamma \)-TMT효소가 상위 단계의 토코페롤 합성과정에 관여하는 HPT, TC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대조구와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RT-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 식물체와 비교해서 형질 전환체의 토코페롤 합성 관여 유전자인 HPT, TC의 발현량 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h2>색소 분석</h2><p>토코페롤 합성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 phytyldiphosphate (phytyl-DP)는 다른 중요한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카로테로이드와 클로로필의 생합성 대사 전구물질로도 사용된다 (Rise et al. 1989; Shintani 2006). 담배 식물체내의 \( \gamma \)-TMT 발현이 클로로필 및 카로테노이드 합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T1 형질전환 식물체내 농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 \gamma\)-TMT 형질전환체에서 클로로필-b 함유량은 대조 식물체와 거의 비슷했지만, 클로로필-a는 대조 식물체와 비교하여 형질전환담배 No. 2 line에서는 \( 45 \%(\mathrm{P}<0.01) \) 함량이 증가하였고,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 39 \%(\mathrm{P}<0.02) \)증가하였다. 이러한 색소의 변화현상은 \( \gamma \)-TMT RNAi 실험에서도 관찰되어졌는데 (Abbasi et al. 2007), \( \gamma \)-TMT 효소의 발현량 증가로 phytyl-DP의 생성이 증가되었지만 토코페롤 합성의 첫단계 효소인 HPT 효소의 제한된 활성으로 인하여 토코페롤 합성이 증가되지 않았고 남은 phytyl-DP가 카로테노이드와 클로로필 생합성과정에 이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p><h2>형질전환 식물체의 염 스트레스 저항성</h2><p>최근에 토코페롤 생합성 관련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건조나 염과 같은 산화 스트레스 저항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Liu et al. 2008; Abbasi et al. 2007). \( \gamma\)-TMT 발현 담배를 이용하여 염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고자 종자파종 후 2 주된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를 각기 다른 농도의 NaCl 이 함유된 1/2 MS 배지에 치상하여 4주간 배양 후 형태적인 특징을 관찰하였다. 형질 전환 식물체의 생육정도는 대조 식물체와 비교하여 \( 100 \mathrm{mM} \) NaCl 배지에서는 거의 비슷했지만, \( 200 \mathrm{mM} \) 이상에서는 잎의 크기나 생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400 \mathrm{mM} \) 이상의 NaCl 배지에서는 두 종류의 식물체 모두 생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bbasi 등(2007)이 \( \gamma \)-TMT RNAi 방법을 사용하여 담배 내 \(\alpha\)-토코페롤 합성이 감소되었을 때 염 저항성이 감소하였다는 보고와 일치하지만, 식물체내 토코페롤 성분의 변화 없이 염 저항성이 나타났다는 점은 \(\alpha\)-토코페롤이 염 저항성에 관여한다는 기존의 보고와는 다른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이러한 염 저항성의 증가는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다른 산화스트레스에 관련된 항산화성물질의 증가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며, 염 저항성에 \(\alpha\)-토코페롤이 필수적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p>
[ "배양 후 shooting 및 rooting과정에서 선발된 어떠한 것이 대조체와 비교하여 형태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는가?", "배양 후 대조체와 비교하여 형태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은 것이 뭘까?", "배양 후 shooting 및 rooting과정에서 선발된 담배 형질전환체는 대조체와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가?", "배양 후 선발된 담배 형질전환체는 대조체와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어?", "재분화된 식물체의 genome에 어떤 유전자가 도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재분화된 식물체의 게놈에 대한 무엇을 확인하기 위해 PCR 분석을 시행했어?", "재분화된 식물체의 genome에 \\( \\gamma \\)-TMT 유전자가 도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엇을 실시하였는가?", "재분화된 식물체의 게놈에 필요한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한 실험이 뭐야?", "재분화된 식물체의 어디에 \\( \\gamma \\)-TMT 유전자가 도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TMT 유전자가 무엇에 도입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분석을 시행했을까?", "형질전환식물체로부터 분리한 무엇을 주형으로 하여 PCR 증폭을 실시하였는가?", "PCR 증폭을 할 때 주형으로 한 유전체가 뭘까?", "형질전환식물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무엇을 실시하였는가?", "형질전환식물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한 실험이 뭐야?", "CaMV 35S 프로모터 부위와 \\( \\gamma \\)-TMT 유전자에 대한 primer 조합에서 예상크기와 일치하는 \\(몇 \\mathrm{kb} \\) 의 PCR 증폭산물을 얻었는가?", "PCR 증폭을 실시하여 얻어낸 PCR 증폭산물의 크기가 얼마야?", "어떻게 하여 형질전환된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는가?", "형질전환된 유전자임을 확인한 방법은 뭐지?", "형질전환 담배에서 도입된 어떠한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T-PCR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RT-PCR 분석을 하여 형질전환 담배에서 무엇이 발현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었어?", "형질전환 담배에서 도입된 \\( \\gamma\\)-TMT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어떤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형질전환 담배에서 도입된 \\( \\gamma\\)-TMT 유전자가 발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시행한 실험이 뭘까?", "대조구 개체에서는 보이지 않는 예상크기의 형질전환된 들깨 \\( \\gamma \\)-TMT에 대한 RT-PCR 산물이 모든 형질전환체에서 어떻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가?", "형질전환된 들깨 \\( \\gamma \\)-TMT에 대한 RT-PCR 산물이 모든 시료에서 어떤 상태로 관찰되었어?", "무엇의 함량 및 농도의 분석을 위해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한 것은 어떤 화합물의 함량 및 농도를 분석하기 위함이었어?", "토코페롤 속 무엇의 분석을 위해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HPLC 분석을 통해 토코페롤에 대한 어떤 정보를 알아내려고 했어?", "토코페롤 함량 및 농도의 분석을 위해 무엇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토코페롤에 대한 분석을 위해 사용한 시료는 무엇이 확인된 거야?", "토코페롤 함량 및 농도의 분석을 위해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어떻게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토코페롤 함량 및 농도의 분석을 위해 유전자의 도입이 확인된 두 종류의 형질전환체 및 대조 식물체 잎으로 실시한 분석법이 뭘까?", "담배의 경우 잎조직 뿐 아니라 종자에서도 토코페롤은 대부분 어떻게 존재하는가?", "담배의 종자에서 또한 토코페롤은 어떤 형태로 존재해?", "형질전환 담배의 a-토코페롤 함유량이 대조 식물과 유사한 점은 담배내 어떤 토코페롤 함유량이 매우 낮아 \\( \\alpha \\)-토코페롤로 변환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는가?", "형질전환 담배의 a-토코페롤 함유량이 대조 식물과 비슷한 점은 담배 내의 어떤 화합물 함유량이 낮아 \\( \\alpha \\)-토코페롤로 바뀌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는 걸까?", "대조 식물체와 비교해서 형질 전환체의 토코페롤 합성 관여 유전자인 무엇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가?", "대조 식물체에 비해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수치가 뭐야?", "토코페롤 합성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 phytyldiphosphate (phytyl-DP)는 다른 중요한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무엇의 생합성 대사 전구물질로도 사용되는가?", "phytyldiphosphate는 어떤 항산화물질의 생합성 대사 전구물질로 사용될까?", "토코페롤 합성의 전구물질로 사용되는 phytyldiphosphate (phytyl-DP)는 다른 중요한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카로테로이드와 클로로필의 생합성 대사 무엇으로도 사용되어 지는가?", "phytyldiphosphate는 카로테로이드와 클로로필의 생합성 대사를 하는 어떤 물질로 사용되는가?", "phytyldiphosphate의 전구물질로서 담배 식물체내의 \\( \\gamma \\)-TMT 발현이 무엇의 합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는가?", "phytyldiphosphate의 전구물질로서 담배 식물체내의 \\( \\gamma \\)-TMT 발현이 영향을 주는 합성이 무엇일까?", "담배 식물체내의 \\( \\gamma \\)-TMT 발현이 클로로필 및 카로테노이드 합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무엇을 측정하였는가?", "담배 식물체내의 \\( \\gamma \\)-TMT 발현이 클로로필 및 카로테노이드 합성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측정한 수치가 뭐야?" ]
fe6d9be2-d194-437c-8e65-d523a459a736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2>항옥신류 처리 유래 체세포배의 발아</h2><p>표 3은 PCIB 및 TIBA 첨가로 유도된 체세포배를 발아시켰을 때 신초, 하배축, 발근유도 및 식물체전환율 등의 기관발생 정도를 조사한 것으로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구에서 각각 88.2, 93.5, 79.2 및 \( 67.9 \% \)로 가장 높은 기관유도율을 보였으며 이는 표 1의 최대 체세포배 유도수를 보인 처리구와 일치한다. 또한 대조구인 \( 15.8 \mathrm{mg} / \mathrm{L} \) ABA 단독처리구의 식물체 재분화율 (\(48.8\%\)) 비교시 보다 높은 수치를 보여 \( 5.0 \mathrm{mg} / \mathrm{L} \) PCIB첨가로 건전한 자엽단계의 체세포배 유도뿐 만 아니라 차후 식물체 전환과 같은 체세포배 발아 형성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체세포배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항옥신류에 대한 보고는 Choi 등 (2001)은 TIBA를 처리하여 항옥신류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생된 체세포배로부터 유래한 발아식물체에서는 신초 및 뿌리의 정단분열조직 및 유관속발달을 억제하여 비정상적으로 발달되는 형상을 보였으며 결국에는 신초 및 뿌리가 없는 식물체의 발생으로 기인된다고 보고하고 있어 항옥신류 첨가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p><p>배발생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에는 항옥신류의 처리로 더욱 체세포배 형성이 촉진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몇몇 수종에서 확인되었다 (Chen et al. 2004; Finf et al. 2002). 특히 낙엽송의 경우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에서 가장 높은 자엽단계 체세포배의 유도가 가능하였으며 (Table 1,2) 대조구인 ABA 단독처리구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아 식물체내의 옥신수송을 억제함으로써 체세포배 유도가 더욱 촉진됨을 알 수 있고, PCIB 농도는 2.0 혹은 \( 5.0 \mathrm{mg} / \mathrm{L} \) 정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IBA의 경우 ABA와 함께 첨가 시에는 체세포배 발생 수가 그리 높지 않아 PCIB 가 TIBA 보다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옥신상승제인 phloroglucinol를 첨가 시에도 저조한 체세포배 유도 수를 보여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에는 옥신생성을 저해하는 PCIB가 필요한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체세포배 발아 시에도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구에서 유래된 체세포배에서 가장 높은 기관 형성율 및 식물체 전환율을 보여 초기 건전한 체세포배 유도가 차후 식물체 전환과도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p><p>이상의 결과는 항옥신제 처리로 고빈도의 체세포배 발생을 달성하고 나아가 클론식물체 대량생산뿐만 아니라 신품종의 개발연구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p>
[ "표 3에서의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으로 옳은 내용은 무엇인가?", "옥신생성을 저해하는 이것은, 본 논문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체세포배의 발아를 보여주었다. 이것의 이름은 무엇인가?", "체세포배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항옥신류에 대한 보고에서 항옥신류 첨가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사람은 누구인가?", "낙엽송의 경우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에서 대조구인 ABA 단독처리구보다 효과적인 것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었나?", "어떻게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에는 옥신생성을 저해하는 PCIB가 필요한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는가?", "Finf가 언제 배발생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에는 항옥신류의 처리로 더욱 체세포배 형성이 촉진됨을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를 밝혔는가?", "본 논문의 결과로 인해 추후에 나타날 영향이라고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배발생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에는 항옥신류의 처리로 어떤 것을 확인할 수 있었나?", "세 가지 이성질체 벤젠트리올 중 하나로 의약품 및 폭발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이것은, 본 논문에서 옥신상승제로 사용되었다. 이것의 이름은 무엇인가?", "식물의 뿌리와 새싹 끝에서 분열하고 성장할 수 있는 세포 영역과 고등 식물에서 볼 수 있는 분비관으로 유액이 들어 있는 관 모양으로 된 조직의 발달의 억제는 TIBA를 처리하여 항옥신류가 첨가된 배지에서 발생된 체세포배로부터 유래한 발아식물체에서 어떤 형상을 보이는가?", "식물체내의 옥신수송을 억제함으로써 어떤 것을 알 수 있었나?", "체세포배 발아 시에도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구에서 유래된 체세포배에서 가장 높은 기관 형성율 및 식물체 전환율을 보인 것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대조구인 15.8 \\mathrm{mg} / \\mathrm{L}15.8mg/L ABA 단독처리구의 식물체 재분화율은 얼마인가?", "왜 PCIB 가 TIBA 보다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고 판단하였는가?", "표 3이 해당하는 바는 무엇인가?", "어떤 점이 표 3에 적합하는가?", "표3에서 나타난 가장 높은 기관유도율은 표1의 어떤 결과와 일치하는가?", "표1의 어떤 결론과 표3에서 나타난 가장 높은 기관유도율이 일치하는가?" ]
b9579b03-bba0-4286-b18b-686fa348f1c3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1>서 론</h1><p>낙엽송 [Larix leptolepis (Sieb. et Zucc.) Gordon]은 낙엽침엽교목으로 1904년에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으며, 수고 \( 30 \mathrm{~m} \), 직경 \( 1 \mathrm{~m} \)까지 자라는 주요한 조림 수종중의 하나로 유시생장이 빨라 수령이 30년생이면 약 \(\mathrm{ha}\) 당 \( 259 \mathrm{~m}^{3} \)의 목재를 생산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용재수종중의 하나이다 (임업연구원, 1992).</p><p>낙엽송의 클론증식은 삽목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삽목에 사용되는 삽수는 모수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근율은 현저히 감소하며, 유령목의 삽수를 이용할 경우 그 삽목묘는 몇 년 간 사향성 생장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구영본, 1995). 또한 클론간에 따라 발근율 차이를 크게 보여 일정한 양의 클론묘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배양 기술을 통한 우량개체의 대량번식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중 체세포배 발생방법을 이용한 식물체생산이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다.</p><p>Larix속 수종의 체세포배 유도에 관한 연구는 Nagmani와 Bonga (1985)가 유럽낙엽송 (L. decidua)의 배유 (female gametophyte)조직으로부터 배발생조직을 처음으로 유도한 이후로 L. laricina (Klimaszewska et al. 1997), L.xleptoeuropaea(Lelu et al. 1994), L. occidentalis (Thompson and von Aderkas, 1992) 등의 수종에서 이루어졌으며 낙엽송의 경우 Kim 등(1999; 2007) 의 체세포배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연구가 있다.</p><p>체세포배 발생의 재료가 되는 배발생조직을 증식하고 생장을 지속하기 위해선 2,4-D와 같은 옥신류 첨가가 필수적이다. 그러고 배발생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시에는 옥신류를 제거하고 대신에 abscisic acid (ABA) 첨가하여 체세포배 발생 을 촉진하게 된다. 그러나 배발생조직을 2,4-D 및 NAA와 같은 옥신류 첨가배지에서 오랫동안 증식하게 되면 더 이상 배지에 옥신류를 첨가하지 않아도 배발생조직 자체내에서 내생 (endogenous) 옥신류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발생조직내의 옥신류 잔존은 ABA 활성을 저해하여 체세포배 발생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주요 요인이 된다 (Find et al. 2002). 따라서 배발생조직내의 이러한 내생 옥신류 활성을 억제시키는 항옥신류를 첨가하여 체세포배 발생을 더욱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p><p>항옥신류중 하나인 2,3,5-triiodobenzoic acid (TIBA)는 Nordmanns 전나무의 체세포배 발생시에 유효하였으며 (Findet al. 2002), Chen 등 (2004)은 Oncidium의 엽조직 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한편 다른 종류의 항옥신류인 2-(ρ-chlorophenoxy)-2-methylpropionic acid (PCIB)는 Brassica juncea의 소포자배양시 배발달 촉진을 보고하고 있고 (Agarwal et al. 2006), 또한 Liao 등 (2008)에 따르면 가문비나무류인 Picea morrisonicola의 체세포배 유도 시에도 PCIB 및 TIBA 처리로 발달단계 2의 체세포배 생산에 효과적임을 보고하고 있어 항옥신류와 체세포배 발생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옥신synergist로 알려진 phloroglucinol의 경우 Find 등(2002)에 의하면 이 물질을 Nordmanns 전나무의 배발생조직에 첨가 시 조직증식율은 증가하였으나 체세포배 발생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고하고 있어 PCIB와 같은 항옥신류의 첨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증명하였다.</p><p>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낙엽송 체세포배 유도 시 항옥신류인 TIBA 및 PCIB 농도별 첨가 및 옥신상승제 (synergist)인 phloroglucinol을 첨가하여 체세포배 발생효과를 비교 및 조사하였으며 또한 항옥신류 첨가배지에서 유래된 체세포배를 발아시켜 신초 등의 기관분화 및 식물체 전환율에 관한 데이터를 얻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p>
[ "낙엽송의 클론증식의 단점은 뭐야?", "체세포배 발생시에는 무엇을 제거해?", "체세포배 발생시에 무엇을 첨가하면 체세포배 발생이 촉진돼?", "체세포배 발생의 재료로는 필수로 무엇을 첨가해야 돼?", "유시생장이 빨라 수령이 30년생이면 약 \\(\\mathrm{ha}\\) 당 \\( 259 \\mathrm{~m}^{3} \\)의 목재를 생산하는 우리나라의 주요 용재수종중의 하나인 낙엽송은 어디에서 왔어?", "일정한 양의 클론묘를 왜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어?", "낙엽송 [Larix leptolepis (Sieb. et Zucc.) Gordon]은 언제 일본으로부터 우리나라로 왔어?", "Nordmanns 전나무의 체세포배 발생시에 유효한 항옥신류는 뭐야?",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술이 뭐야?" ]
f533b771-7805-4b5b-9e6f-8c9ec8067fbb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2>항옥신 류 및 옥신 상승제 처리에 의한 체세포배 유도 효과</h2><p>표 1의 결과를 토대로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가 체세포배 유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이 되어 PCIB를 1.0, 2.0 및 \( 5.0 \mathrm{mg} / \mathrm{L} \) 농도별, 그리고 옥신상승제인 \( 5.0 \mathrm{mg} / \mathrm{L} \) phloroglucinol를 단독 혹은 \( 15.8 \mathrm{mg} / \mathrm{L} \) ABA와 혼합 처리하여 PCIB와 비교하였다 (Table 2).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체세포배 유도는 \( 109.3 \) 개의 체세포배 유도를 보인 \( 15.8 \mathrm{mg} \) ABA\(+2.0 \mathrm{mg} / \mathrm{L} \) PCIB에서 가장 높았으며 \( 15.8 \mathrm{mg}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103.7개)의 처리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옥신상승제인 phloroglucinol를 ABA와 혼합처리 경우 \( 40.7 \) 개로 저조하게 나타났으며 \( 5.0 \mathrm{mg} / \mathrm{L} \) phloroglucinol 처리시에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ABA의 첨가 유무에 따라 그 유도수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ABA 무첨가 인 경우 3.0개의 체세포배 유도로 \( 15.8 \mathrm{mg} / \mathrm{L} \) ABA 처리구보다 훨씬 저조한 결과를 보여 (Table 2) 표 1에서와 마찬가지로 ABA 첨가는 낙엽송의 체세포배 유도 시에는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옥신상승제인 phloroglucinol첨가 효과에 대한 연구보고는 매우 드문데 대개 배발생조직 유도 및 증식의 경우 2,4-D 및 NAA와 같은 옥신첨가가 필요하지만 장기간의 옥신 첨가는 배발생조직의 증식 단계에서 체세포배 성숙단계로의 전환 시에는 외래공급(exogenous)의 옥신은 더 이상 필요치 않으며 배발생조직내에 존재하고 있는 내생(endogenous) 옥신으로 인해 오히려 체세포배 발생에 억제효과를 보인다. 이것은 표 1의 \( 15.8 \mathrm{mg} \) ABA\( +5.0 \mathrm{mg} / \mathrm{L} \) PCIB (177.7개)와 표 2의 \( 15.8 \mathrm{mg} \) ABA\(+5.0 \) \( \mathrm{mg} / \mathrm{L} \) phloroglucinol (40.7개)의 비교에서 옥신상승제가 체세포배 발생을 억제하는 이유이다. 특히 \( 5.0 \mathrm{mg} / \mathrm{L} \) 농도의 단독 PCIB, TIBA 및 phloroglucinol를 첨가 시에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유도되지 않았는데 아마도 \( 5.0 \) \( \mathrm{mg} / \mathrm{L} \) 이상의 농도에서는 체세포배 발생에 오히려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1,2).</p>
[ "표1의 결과에 의하면 어떤 처리가 체세포배 유도에 효과적인가?", "항옥신 류 및 옥신 상승제 처리는 어떤 효과를 가지는가?" ]
7934bc51-d5a6-4042-a78d-37368ca24b52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1>재료 및 방법</h1><h2>식물재료</h2><p>낙엽송의 배발생조직 획득을 위해 충북 충주에 위치한 국립품종관리센터 내의 낙엽송 클론 채종원에서 7월초 미숙구과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구과로부터 종자분리는 인편을 뒤로 젖힌 후 상처가 나지 않도록 종자를 조심스럽게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종자표면 살균은 먼저 \( 70 \% \) 에탄올로 1분간 처리 후 \( 2 \% \mathrm{NaClO} \)로 10분정도 침적한 다음 멸균증류수로 수차례 세척하였다.</p><h2>배발생조직 유도</h2><p>배발생조직 유도를 위해 LM (Litvay et al. 1985)배지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 2.0 \mathrm{mg} / \mathrm{L} \) 2,4D, \( 1.0 \mathrm{mg} / \mathrm{L}\) BA, \(1,000 \mathrm{mg} / \mathrm{L} \) L-glutamine (배지 열소독 후 첨가) 및 \( 3.0 \% \) sucrose를 첨가하였고 \( 0.4 \% \) gellan gum (Sigma)을 첨가시켜 반고형배지로 만들어 사용했다. 종자내의 미숙배 적출은 수술용 메스 (Feather, No 11)를 이용하여 종자를 양분 후 이루어졌으며 배양은 \( 25 \pm 1^{\circ} \mathrm{C} \), 암소에서 8주 동안 새로운 배지교환 없이 수행되었다.</p><h2>배발생조직 증식</h2><p>미숙배로부터 유도한 배발생조직의 증식은 염류의 양을 반으로 줄인 \( 1 / 2 \mathrm{LM} \) 배지에 \( 2.0 \mathrm{mg} / \mathrm{L} \) 2,4D, \( 1.0 \mathrm{mg} / \mathrm{L}\) BA, \( 1,000 \mathrm{mg} / \mathrm{L}\) L-glutamine 및 \(2.0 \% \)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 2주 간격으로 계대배양 하여 체세포배 유도에 필요한 조직을 \( 25 \pm 1^{\circ} \mathrm{C} \), 암소에서 증식이 이루어졌다.</p><h2>체세포배 유도</h2><p>배발생조직을 \( 1 / 2 \mathrm{LM} \) 배지에 \( 250 \mathrm{mg} / \mathrm{L} \) L-glutamine, \( 250 \mathrm{mg} / \mathrm{L} \) casein, \( 0.2 \mathrm{M} \) sucrose, \( 15.8 \mathrm{mg} / \mathrm{L}\) ABA (배지 열소독 후 따로 첨가)가 첨가된 액체배지에 현탁배양 한 후 \( 5.5 \) \( \mathrm{cm} \) 크기의 종이필터 (Whatman)위로 \( 90 \mathrm{mg} \) 세포가 포함된 \( 3 \mathrm{ml} \) 정도의 세포현탁액을 깔아준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약 5초간 액체배지만을 제거한 다음 배발생조직이 포함된 종이필터를 \( 0.6 \% \) gellan gum을 첨가한 배지에 치상하는 식으로 체세포배를 발생시켰다. 배양조건은 \( 25 \pm \) \( 1^{\circ} \mathrm{C} \), 암소에서 8주간 새로운 배지로의 교환 없이 연속배양법으로 이루어졌다. 항옥신류인 PCIB, TIBA 및 옥신상승제 phloroglucinol의 농도별 처리에 의한 체세포배 유도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 15.8 \mathrm{mg} / \mathrm{L} \) ABA 를 대조구로 설정하고 5.0, 20.0 \(\mathrm{mg} / \mathrm{L} \) 각각의 PCIB 및 TIBA를 ABA와 혼합 혹은 단독으로 첨가하였으며 (Table 1) 또한 옥신 synergist인 phloroglucinol를 \( 5.0 \mathrm{mg} / \mathrm{L} \) 농도로 ABA와 공조처리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처리 (Table 2) 하여 체세포배 발생 시 항옥신류 혹은 옥신 synergist의 첨가효과를 배양 8주 후 자엽단계 체세포배의 발생정도를 비교 및 조사하였다.</p><h2>체세포배 발아</h2><p>PCIB 등의 항옥신류 처리 유래의 체세포배 발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각 처리구의 배발생조직으로부터 유도된 자엽단계 체세포배만을 분리하여 \( 1 / 2 \mathrm{LM} \) 배지에 \( 2.0 \% \) sucrose 및 \( 0.4 \% \) 의 gellan gum을 첨가한 발아배지 위로 평행으로 배양하였고 발아조건은 \( 25 \pm 1^{\circ} \mathrm{C}, 18 / 6 \) 광주기를 가진 광조건 \( \left(50 \mu \mathrm{Em}^{-2} \mathrm{~s}^{-1}\right. \), Philips, F40CW, 40 watt) 하에서 6주 배양 후 신초 등의 기관 분화율 및 식물체 전환율을 조사하였다 (Table 3).</p>
[ "왜 국립품종관리센터 안에 있는 갑엽송 클론 채종원에서 미숙구과를 수집하였어?", "국립품종관리센터의 갑엽송 클론 채종원에서 미숙구과를 왜 모은거야?", "실험에서 채취한 구과의 종자분리는 어떻게 했어?", "실험에서 얻은 구과의 종자는 어떻게 분리했니?", "실험에서 채취한 구과를 분리한 다음, 그 표면은 어떻게 살균했어?", "채취한 구과를 분리한 후, 구과 표면을 살균한 방법은 뭐야?", "본 논문에서 분리한 종자표면을 소독하는 과정에서 세척에 사용한 것은 뭐야?", "본 연구에서 분리한 종자표면을 세척할 때 무엇을 사용했어?", "실험에서 분리한 종자표면의 살균을 위해 침적시킬 때 사용한 시료는 뭐야?", "실험에서 종자표면을 살균시키는 과정에서 침적에 사용된 물질은 뭐야?", "왜 반고형배지를 만들 때 LM배지를 기본으로 하였나요?", "반고형배지를 제작할 때 LM배지를 기반으로 한 이유가 있나요?", "반고형배지를 만들 때 배발생조직을 유도하고자 기본으로 사용한 배지는 뭐야?", "반고형배지 제작과정에서 배발생조직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 기본 배지는 뭐야?", "실험에서 반고형배지를 제작할 때 들어가는 gellan gum의 농도는 어떻게 돼?", "실험에서 반고형배지를 제작할 때 gellan gum의 농도는 어느 정도야?", "종자 안의 미숙배를 적출할 때 사용하는 도구는 뭐야?", "종자 내부의 미숙배를 빼낼 때 무엇으로 빼내? ", "실험에서 메스를 이용해 종자를 양분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은 무엇이지?", "실험에서 메스로 종자를 나눈 다음에 어떤 과정이 발생해?", "실험에서 종자 안에 있는 미숙배를 꺼내고 난 다음, 배양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실험에서 종자 내부의 미숙배를 꺼낸 후 배양은 어떻게 했어?", "본 논문에서는 배발생조직의 증식을 위해 몇 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해?", "본 연구에서 배발생조직을 늘리기 위해 계대배양을 하는 주기는 어떻게 돼?", "본 실험에서 배발생조직의 증식을 위해 배지에 첨가한 L-glutamine의 농도는 어떻게 되나요?", "본 실험의 배발생조직 증식을 위해 어느 농도의 L-glutamine을 배지에 첨가했어?", "체세포배를 유도하는 과정 중에서 배발생조직이 존재하는 종이필터를 치상한 곳은 어디야?", "체세포배를 유도할 때 어디에 배발생조직이 있는 종이필터를 치상했어?", "실험에서 체세포배를 발생시키기 위해 종이필터 위에 세포현탁액을 깔아준 뒤에 어떻게 해?", "실험에서 체세포배를 발생시키려면 종이필터 위에 세포현탁액을 뿌린 뒤 무엇을 해야해?", "본 실험에서 체세포배를 어떤 과정을 통해서 배양하였어?", "본 연구에서 체세포배를 배양한 과정은 어떻게 돼?", "실험에서 체세포배 유도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처리된 시료는 뭐야?", "실험에서는 어떤 물질을 처리해서 체세포배 유도효과를 비교했어?", "왜 실험에서 자엽단계 체세포배를 발아배지에 배양하였어?", "실험에서 자엽단계 체세포배를 발아배지에서 키운 이유가 뭐야?", "실험에서 항옥신류를 처리했을 때의 체세포배 발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배발생조직으로부터 분리한 게 뭐야?", "실험에서 항옥신류를 넣었을 때 체세포배 발아 정도를 파악하려고 뭘 배발생조직에서 분리했어?" ]
72dd792a-7579-422d-9e3d-8656f1c90168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1>결과 및 고찰</h1><h2>항옥신류 (auxin antagonist)처리에 의한 체세포배 유도 효과</h2><p>표 1 은 PCIB 및 TIBA처리에 따른 체세포배 유도 효과에 관한 것으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는 \( 15.8 \mathrm{mg} / \mathrm{L} \) ABA \(+ 5.0 \mathrm{mg} / \mathrm{L} \) PCIB 처리구 \( (177.7 \) 개 \( / 90 \mathrm{mg} \) ESM)에서 나타났으며 \( 15.8 \mathrm{mg} / \mathrm{L} \) ABA \(+ 5.0 \mathrm{mg} / \mathrm{L} \) TIBA 처리구 (40.7개) 보다도 훨씬 높아 PCIB 첨가 시 TIBA보다는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그러나 \( 5.0 \mathrm{mg} / \mathrm{L} \) PCIB 혹은 TIBA 단독 처리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유도되지 않아 ABA 첨가 없이는 그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지만 \( 15.8 \mathrm{mg} / \mathrm{L} \) ABA와 함께 첨가 시 체세포배 발생효과는 높은 것으로 보여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에는 ABA 첨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테다소나무 (Pullman 등, 2003), 리기테다소나무 (Kim et al. 2007) 및 낙엽송 (Kim et al. 2007)등의 침엽수종 체세포배 유도 시에도 ABA 첨가는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실험에서도 PCIB 혹은 TIBA 첨가보다는 ABA 첨가가 이루어진 처리구 에서만 체세포배 유도되었다.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항옥신류인 PCIB 및 TIBA 효과에 대한 보고는 다양한데 Oncidium 의 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에는 0.05 와 \( 0.25 \mathrm{mg} / \mathrm{L} \) TIBA 첨가로 가장 높은 체세포배 발생율을 보고하고 있고 (Chen and Chang, 2004), Agarwal 등 (2006)은 Brassica juncea의 미소포자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시에도 \( 10 \mathrm{mg} / \mathrm{L} \) PCIB 첨가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고하고 있어 체세포배 유도를 위한 항옥신류의 첨가효과를 증명하고 있다. 또한 Nordmanns전나무의 체세포배 유도 시에도 TIBA 및 PCIB 첨가로 높은 유도율을 보고하고 있어(Find et al. 2002) 수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보이나 항옥신류의 첨가가 유리한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항옥신제 첨가 시 억제현상 또한 보고되는데 Choi 등 (2001)은 가시오갈피의 체세포배 유도 및 유도된 체세포배의 신초/뿌리 분화를 억제하며, 또한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 10 \mathrm{mg} / \mathrm{L} \) TIBA첨가 시에는 그 형성이 완전히 억제되었고 \( 2.5-5.0 \mathrm{mg} / \mathrm{L} \)의 농도에서는 체세포배가 자엽절편체 표면에 산발적으로 발생이 되었으나 그 형태는 항아리형태를 보이는 다소 기형적임을 보고하고 있어 TIBA첨가로 모든 수종의 체세포배 발생이 유리한 것 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p><p>본 실험의 경우에서도 \( 15.8 \mathrm{mg} / \mathrm{L}\) ABA\(+ 20.0 \mathrm{mg} / \mathrm{L} \) PCIB 혹은 TIBA의 첨가로 발생되는 체세포배의 형태는 대체로 하배축 길이가 짧고 그 크기가 작으며 \( 5.0 \mathrm{mg} / \mathrm{L} \) PCIB 혹은 TIBA 첨가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 유도 대신에 하배축이 길게 신장되며 자엽은 발달되지 않고 대신 뿌리만 짧게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체세포배의 발아형태를 보였다 (Fig. 1)</p>
[ "표 1 은 PCIB 및 TIBA처리에 따른 체세포배 유도 효과에 관한 것으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는 어느 것을 첨가했을 때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가?", "PCIB 및 TIBA처리에 체세포배 유도 효과에 관한 것으로 최대의 체세포배 유도는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니?", "표 1 에 따르면 자엽단계의 체세포배가 전혀 유도되지 않은 쪽은 어느쪽인가?", "자엽단계의 체세포배가 전혀 유도되지 않은 것은 어떤 것이니?", "표1에 따르면 \\( 5.0 \\mathrm{mg} / \\mathrm{L} \\) PCIB 혹은 TIBA 단독 처리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유도되지 않았는데 무엇을 첨가했을때 체세포배 발생효과가 높아졌는가?", "PCIB 혹은 TIBA 단독 처리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무엇을 첨가했을때 체세포배 발생효과가 높아졌니?", "표1에 따르면 \\( 5.0 \\mathrm{mg} / \\mathrm{L} \\) PCIB 혹은 TIBA 단독 처리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유도되지 않다가 ABA와 함께 첨가 시 체세포 발생효과가 높았다.이때 첨가한 ABA의 농도는 어떻게 되는가?", "PCIB 혹은 TIBA 단독 처리구에서는 자엽단계의 체세포배는 전혀 유도되지 않는데, 이때 첨가한 ABA의 농도는 어떻게 되니?", "표 1에 따르면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에는 무엇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는가?", "표 1에 따르면,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에 필수적인 요소는 무엇이니?",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본 논문에서 연구되고 있는 항옥신류는 무엇과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체세포배 발생을 위해 연구되고 있는 항옥신류는 무엇과 무엇있니?", "침엽수종 체세포배 유도 시에도필수적인 것으로 PCIB 혹은 TIBA 첨가보다는 체세포배 유도에 더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 "PCIB 혹은 TIBA 첨가보다 더 효과적인 침엽수종 체세포배 유도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니?", "Oncidium 의 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에는무엇을 첨가했을때 가장 높은 체세포배 발생율이 보고되고 있는가?", "Oncidium의 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에는 무엇을 첨가했을때 가장 높은 체세포배 발생율이 보고되고 있나요?", "Chen and Chang 는 Oncidium 의 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이고 있는 TIBA의 농도는 어떻게 되는가?", "Chen과 Chang이 Oncidium의 엽조직으로부터 체세포 배양할 때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이는 TIBA의 농도는 어떻게 되니?", "Agarwal 등 (2006)은 Brassica juncea의 미소포자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시에도 PCIB 첨가시 높은 발생율을 보고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로 첨가하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이는가?", "Brassica juncea의 미소포자로부터 체세포배 발생시에도 PCIB 첨가시 높은 발생율을 보고하고 있는데 어느 정도로 첨가하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이나요?", "Choi 등에 따르면 항옥신제 첨가 시 억제현상 또한 보고되고 있는데 어떤 식물체에 첨가시 체세포배 유도 억제시키는가?", "Choi 등에 따르면 항옥신제 첨가 시 억제현상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어떤 식물체에 첨가하여 유도 억제를 시키나요?",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 10 \\mathrm{mg} / \\mathrm{L} \\) TIBA첨가 시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TIBA첨가 시 \\( 10 \\mathrm{mg} / \\mathrm{L} \\)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에 대해 어떤 변화가 일어나나요?",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체세포배가 자엽절편체 표면에 산발적으로 발생이 되었으나 다소 기형적임을 보이는 것은 어느 정도의 TIBA를 첨가했을 때인가?",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다소 기형적임을 보이는 것은 어느 정도의 TIBA를 첨가했을 때인가요?", "Choi 등의 보고 따른 TIBA첨가와 체세포배 유도의 관계가 바른 것은 어느것인가?", "TIBA첨가와 체세포배 유도 간의 관계가 보고한 Choi 등에 의해 어느 정도 바른 것인가요?",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 유도 시 \\( 2.5-5.0 \\mathrm{mg} / \\mathrm{L} \\) TIBA첨가하면체세포배가 군데군데 발생은 되지만 그 형태가 어떠한가?", "TIBA첨가를 통해 \\( 2.5-5.0 \\mathrm{mg} / \\mathrm{L} \\) 인삼의 자엽절편체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하면, 그 형태는 어떻게 될까요?", "본 실험의 경우 \\( 15.8 \\mathrm{mg} / \\mathrm{L}\\) ABA\\(+ 20.0 \\mathrm{mg} / \\mathrm{L} \\) PCIB 첨가시 체세포배는 어떤 형태를 띄게 되는가?", "ABA\\(+ 20.0 \\mathrm{mg} / \\mathrm{L} \\) PCIB 첨가시 본 실험의 경우 어떤 형태의 체세포배를 띄게 되나요?", "본 실험의 경우 ( 5.0 \\mathrm{mg} / \\mathrm{L} \\) PCIB 첨가시엔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5.0 \\mathrm{mg} / \\mathrm{L} \\; PCIB 첨가했을 때, 본 실험에서 어떤 현상이 발생하나요?", "테다소나무,리기테다소나무,낙엽송등의 체세포배 유도시에도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리기테다소나무, 테다소나무, 낙엽송등의 체세포배 유도시에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
aef918e7-7ab4-4cd2-8236-116e36846ba3
생명LA
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TIBA, PCIB 및 phloroglucinol의 효과
<h1>적 요</h1><p>낙엽송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항옥신제 (auxin antagonist) (TIBA 및 PCIB) 혹은 옥신상승제 (auxinsynergist) (phloroglucinol)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세포배 발생 비교에는 \( 15.8 \mathrm{mg} / \mathrm{L}\) ABA \(+5.0 \mathrm{mg} / \mathrm{L}\) PCIB의 첨가시 가장 많은 자엽단계의 체세포배 (\(177.7/90 \mathrm{mg}\) ESM) 유도가 가능하였으나 \( 5.0 \mathrm{mg} / \mathrm{L} \) PCIB or \( 5.0 \mathrm{mg} / \mathrm{L} \) TIBA 첨가시에는 체세포배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체세포배 발생을 위해서는 PCIB 혹은 TIBA의 단독처리만으로는 안되고 ABA첨가 또한 필수적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 5.0 \mathrm{mg} / \mathrm{L} \) PCIB 이하의 농도 비교실험에서는 \( 15.8 \mathrm{mg} / \mathrm{L} \) ABA\(+2.0 \mathrm{mg} / \mathrm{L} \) PCIB (\( 109.3 / 90 \mathrm{mg} \) ESM) 혹은 \( 15.8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103.7 / 90 \mathrm{mg} \) ESM)의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체세포배 유도수를 보였다. 그러나 \( 5.0 \mathrm{mg} / \mathrm{L} \) phloroglucinol (\(0/90 \mathrm{mg} \) ESM)혹은 ABA 무첨가구 (\(3/90 \mathrm{mg} \) ESM)에서는 체세포배 발생효과가 거의 없었다. 체세포배의 발아실험에서는 가장 높은 식물체 전환율은 \( 15.8 \)\( \mathrm{mg} / \mathrm{L} \) ABA\(+5.0 \mathrm{mg} / \mathrm{L} \) PCIB (\( 67.9 \%\))의 처리구에서 나타난 반면 \( 5.0 \mathrm{mg} / \mathrm{L} \)PCIB 혹은 \( 5.0 \mathrm{mg} / \mathrm{L} \)TIBA 처리구 유래 체세포배로부터는 식물체로 전혀 전환되지 않았다.</p>
[ "무엇의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 항옥신제의 효과를 조사했는가?", "무엇이 체세포배 발생 및 발아에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했는가?", "낙엽송의 무엇에 대해 조사했는가?", "낙엽송을 대상으로 어떤 효과에 대해 조사했는가?", "언제 체세포가 발생되지 않았는가?", "체세포가 발생되지 않은 것은 언제인가?", "체세포배 발생을 위한 필수 요소는 무엇인가?", "무엇을 첨가해야 체세포배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가?", "농도 비교실험시 어디에서 가장 높은 체세포배 유도수를 보였는가?", "농도 비교실험 시 제일 높은 체세포배 유도수를 보인 것은 어디인가?" ]
f8be7552-bdb2-429e-a595-a484157f91c3
생명LA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h1>요 약</h1><p>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근 추출물을 제조하여 in vitro 에서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BHT와의 비교 측정하기 위하여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각 분획별 항산화력 활성을 검토하였다. 연근 분획물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 Rancimat에 의한 항산화지수, 아질산염소거능,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등을 측정하였고, 총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 9.14 \% \) 이었고,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계통 분획한 수율은 n-butanol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water, eth-ylacetate, chloroform, n-hexane 순이었다.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은 \( 0.306 \mathrm{mg} / \mathrm{ml} \) 이었고, 각 분획물중 ethylacetate 분획물이 \( 0.843 \mathrm{mg} / \mathrm{ml} \) 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이 \( 15.69 \mu \mathrm{g} / \mathrm{ml} \) 로 가장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합성항산화제 BHT의 \( 15.38 \mu \mathrm{g} / \mathrm{ml} \) 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ancimat의 지질 산패도 유도기간에 따른 항산화력 비교에서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길었으 나 양성대조군인 BHT의 유도기간에 비하여 짧게 나타났다.아질산염 소거능은 \( \mathrm{pH} 1.2 \) 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 \mathrm{pH} 1.2 \) 에서 ethylacetate 분획물이 \( 88.33 \% \) 로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도 ethylacetate 분획물이 \( 87.23 \% \) 로 가장 우수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근 ethylacetate 분획물은 BHT와 유사한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연근 추출물은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p>
[ "본 연구는 뭐의 유용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려고 했어?", "무엇이 유용자원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인가?", "본 실험에서 합성항신화제로 알려진 뭐와 비교하기 위해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력활성을 검토하였어?", "연근 추출물의 항산화력활성을 검증하는 것은 합성항신화제로 알려진 무엇과의 비교를 위한 것인가?", "본 실험에서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분획별 항산화력활성을 어떻게 검사했어?", "각 분획별 항산화력활성을 어떤 방식으로 검증할 때 연근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가?",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얼마였어?",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어느 정도인가?", "연근 에탄올 추출물의 계통 분획한 수율은 뭐가 가장 높았어?", "가장 높은 계통 분획 수율을 지닌 연근 에탄올 추출물은 무엇인가?", "각 분획물중 뭐의 분획물이 \\( 0.843 \\mathrm{mg} / \\mathrm{ml} \\) 로 가장 많이 함유됐어?", "\\( 0.843 \\mathrm{mg} / \\mathrm{ml} \\)로 가장 많은 분획물이 포함된 분획물은 무엇인가?", "뭐의 생성 억제효과에 ethyl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했어?", "ethylacetate 분획물은 무엇의 생성 제한에 효과 있는가?", "연근 추출물이 어떻게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암시했어?", "연근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어떤 잠재성을 지니는가?" ]
6f435a99-e996-4274-bad9-cf61cd866f5e
생명LA
Bacillus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특성과 생산조건의 최적화
<h1>결과 및 고찰</h1><h2>토양 미생물의 특성</h2><p>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를 Gram 염색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운동성이 있는 Gram 양성의 간균임을 확인하였고, glucose fermentation test, catalase test, oxydase test, 그리고 casein hydrolysis test 등을 실시한 결과, 포도당을 기질로 사용하여 발효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catalase test와 oxydase test 결과를 통하여 호기성 미생물임을 확인하였다. Casein hydrolysis test에서는 casein을 분해하는 caseinase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균주를 API-50 CH/B kit를 사용하여, API lab. program (bioMerieus Co., France)으로 분석한 결과, \( 99 \% \) 이상의 유사성을 가지는 Bacillus coagulans로 확인되어 B. coagulans DL-1으로 명명하였다. 포도당을 포함한 50종류의 탄소원에 대한 이용도를 확인한 결과 20 종류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p><h2>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성</h2><p>탄소원의 종류가 B. coagulans DL-1의 생장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탄소원들의 농도는 \( 2 \%(\mathrm{w} / \mathrm{v}) \) 였으며 질소원은 \( 0.25 \% \) \( (\mathrm{w} / \mathrm{v})\) yeast extract이었다. 사용한 탄소원은 단당류인 포도당, fructose, mannose와 이당류인 sucrose, maltose 그리고,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사용하였다. 배양온도는 \( 30^{\circ} \mathrm{C} \) 였으며, 배양시간은 3 일이었다. 단당류인 포도당을 사용한 경우에 생산량은 \( 4.50 \pm 0.14 \mathrm{~g} / \mathrm{l} \) 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당류인 sucrose은 \( 4.30 \pm 0.14 \mathrm{~g} / \mathrm{l} \) 의 생산량을 보여 glucose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시에 배양액 중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정확한 균체량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고분자 중합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에 유기 용매를 첨가할 때, 이들 탄소원이 고분자 중합체와 동시에 침전되는 문제점이 확인되어 실험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포도당이 균체의 생장 및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을 위한 B. coagulans DL-1의 우수한 탄소원 임을 알 수 있었다.</p><h2>탄소원의 농도에 따른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성</h2><p>탄소원으로 \( 0 \sim 20 \% (\mathrm{w} / \mathrm{v})\)의 포도당을 사용하여 B. coagulans DL-1의 생장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포도당의 농도가 \( 2 \% \) 일 때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량은 \( 5.10 \pm 0.14 \mathrm{~g} / \mathrm{l} \) 로 가장 높았다.이 후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탄소원인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과는 달리 균체의 건조중량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균체의 생산 수율 \( \left(Y_{x / s}\right) \) 은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 수율 \( \left(Y_{p / s}\right) \) 과 같이 감소하였다. 이는 미생물 배양에 의한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있어서 일반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 catabolite repression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며 토양에서 분리한 B. coagulans DL-1도 포도당에 대한 catabolite repression 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 coagulans DL-1를 배양하여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도당에 대한 cataboliterepression을 극복한 변이주를 획득하거나 유가식 및 연속배양과 같은 배양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p>
[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를 Gram 염색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Gram 염색과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를 관찰한 결과, 무엇을 확인할 수 있는가?", "glucose fermentation test, catalase test, oxydase test, 그리고 casein hydrolysis test 등을 실시할 때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glucose fermentation test, catalase test, oxydase test 및 casein hydrolysis test를 실시할 경우 어떤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가 호기성 미생물임을 확인하기위해 실시한 검사는 무엇인가?",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의 호기성 미생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검사는 무엇인가?", "casein을 분해하는 caseinase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검사는?", "검사를 통해 caseinase의 분해 casein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것은 무엇인가?", "분리한 균주를 API-50 CH/B kit를 사용하여 API lab. program으로 분석한 결과 확인한 것은 무엇인가?", "API-50 CH/B kit을 사용하여 분리한 균주를 API lab. program으로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포도당을 포함한 50종류의 탄소원에 대한 이용도를 확인한 결과에서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50종류의 탄소원 중 포도당을 포함한 것에 대해 기질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본 실험에서 사용된 탄소원 중에서 다당류에서 사용한 종류는 뭐야?", "본 실험에서 다당류 탄소원이 어떤 종류로 사용되었는가?", "본 실허멩서 사용한 탄소원 중에서 무엇을 사용할 때 가장 생산량이 높았는가?", "무엇을 사용할 때 가장 높은 생산량을 보인 탄소원은 이 실험에서 사용된 것 중에서 무엇인가?", "본 실험에서 이당류인 sucrose와 glucose의 생산량 차이는 얼마인가?", "본 실험에서 sucrose과 glucose의 생산량 차이는 얼마인가?", "사용한 탄소원의 생산량을 비교할 때, 단당류인 포도당과 이당류인 sucrose의 생산량을 비교한다면 둘 중 높은 생산량을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단당류인 포도당과 이당류인 sucrose의 생산량을 비교할 때, 사용한 탄소원의 생산량 중 높은 것은 무엇인가?",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했을 때, 정확한 균체량을 얻을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보다 정확한 균체량을 얻기 위해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했을 때, 이에 무슨 제한이 있었던가?",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시 얻은 결과값을 실험 결과에서 제외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험 결과에서 다당류인 dextrin과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한 결과값을 제외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실험을 통해서 균체의 생장 및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을 위한 B. coagulans DL-1의 우수한 탄소원은 무엇인가?", "B. coagulans DL-1이 어떤 탄소원이 본 실험을 통해 균체의 생장 및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우수한지 알아볼 수 있는가?",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이 가장 높을 때의 포도당의 농도는?",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이 가장 높을 때 포도당의 농도는 얼마인가요?", "본 실험을 통해서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본 실험으로 포도당 농도의 증가에 따른 결과는 무엇인가?", "탄소원인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균체의 건조 중량도 같은 결과를 보이는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원인 포도당으로부터 생산되는 고분자 중합체의 양이 감소하는 것과 마찬가지", "균체의 생산 수율이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 수율과 같이 감소한 이유는 무엇인가?", "균체의 생산 수율이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 수율과 마찬가지로 감소한 원인은 무엇인가?", "B. 따라서, B. coagulans DL-1를 배양하여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개발해야 할 것은 B. coagulans DL-1 배양을 통해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인가?", "탄소원의 종류가 B. 탄소원의 종류가 B. coagulans DL-1의 생장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양한 기간은 얼마간인가?", "B. coagulans DL-1의 생장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배양해야 하는 기간은 얼마간인가?" ]
6acda314-3b0c-4e2d-b4e7-642b35e7ac82
생명LA
Bacillus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특성과 생산조건의 최적화
<h1>재료 및 방법</h1><h2>토양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h2><p>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에서 수집한 토양 시료를 멸균된 생리식염수 \( (0.85 \%\) \(\mathrm{NaCl}\), \(\mathrm{w} / \mathrm{v}) \) 로 희석한 후 nutrient agar 배지를 사용하여 평판 도말법으로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Gram 염색 및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균주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glucose fermentation test, catalase test, oxydase test, 그리고 casein hydrolysis test 등과 같은 생화학적 검사를 통하여 분리한 미생물의 기초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균주의 동정은 미생물의 생육정도에 따른 탄소원의 이용도를 비교하여, Bacillus 속 균주를 동정하는 API-50 CH/B kit (bioMerieus Co., France)를 사용하였다.</p><h2>배지 및 시약</h2><p>분리한 균주의 생육 및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의 조성은 \( 5.0 \mathrm{~g} / \mathrm{l}\) \(\mathrm{K}_{2}\mathrm{HPO}_{4} \), \( 1.0 \mathrm{~g} / \mathrm{l}\) \(\mathrm{NaCl} \), \(0.2 \mathrm{~g} / \mathrm{l} \) \( \mathrm{MgSO}_{4} \cdot 7\mathrm{H}_{2} \mathrm{O}\), \(0.6 \mathrm{~g} / \mathrm{l}\), \((\mathrm{NH}_{4})_{2}\) \(\mathrm{SO}_{4} \) 와 \( 2.5 \mathrm{~g} / \mathrm{l} \) yeast extract 이었다. 배지의 탄소원은 \( 2 \%(\mathrm{w} / \mathrm{v}) \) 의 포도당을 사용하였으며 \( 121^{\circ} \mathrm{C} \) 에서 별도로 멸균한 후 배지에 첨가하였다.</p><p>배지에 사용한 시약 및 Gram 염색 시약들을 비롯하여 glucose fermentation test, catalase test, oxydase test, 그리고 casein hydrolysis test용 시약 및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분석용 시약 등은 Sigma사 (Sigma Chemical C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생육을 위한 유기질소원으로써 이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간장박은 간장의 대량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써 (주)오복식품에서 수급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간장박의 주요 구성성분은 탄수화물 (약 \( 17 \% \))과 단백질 (약 \( 33 \% \))이었다.</p><h2>고분자 중합체의 생산</h2><p>고체 배지에서 자란 균주의 콜로니를 한 백금이 취하여 \( 250 \mathrm{~m} \mathrm{l}\) 플라스크에 멸균시킨 \( 50 \mathrm{~m} \mathrm{l} \) 의 배양액에 접종한 후, \( 200 \mathrm{rpm} \) 의 교반 속도로 \( 30^{\circ} \mathrm{C} \) 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탄소원의 농도는 \( 2 \%(\mathrm{w} / \mathrm{v}) \) 이었으며, 초기 배양액의 \( \mathrm{pH} \) 는 멸균 전에 6.5~6.8로 조절하였다.</p><p>본 배양은 전 배양과 동일한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 500 \mathrm{m} \mathrm{l} \) 플라스크에 멸균시킨 \( 100 \mathrm{~m} \mathrm{l} \) 의 배양액에 전 배양액을 \( 5 \%(\mathrm{v} / \mathrm{v}) \) 농도로 접종하여 전 배양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지의 초기 \( \mathrm{pH} \) 는 멸균 전에 6.8로 조절하였고, 실험 목적에 따라 탄소원 및 질소원은 그 조성과 농도의 조건을 달리하여 실험하였다.</p><p>고분자 중합체의 대량생산은 \( 7 \mathrm{l} \) 생물배양기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초기 \( \mathrm{pH} \) 를 6.8로 조절한 \( 5 \mathrm{l} \) 의 배지를 \( 7 \mathrm{l} \)생물배양기에 주입하고 멸균한 후 전 배양액을 \( 5 \%(\mathrm{v} / \mathrm{v}) \) 농도로 접종하였다. 배양온도는 \( 30^{\circ} \mathrm{C} \) 이었으며 통기량과 교반속도는 각각 \( 1.0 \mathrm{vvm} \) 과 \( 500 \mathrm{rpm} \) 이었다. 5 일간 회분식 배양하면서 일정한 시간마다 무균적으로 배양액을 취하여 배지의 \( \mathrm{pH} \), 균체의 건조중량 및 생물고분자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p><p>일정시간 배양된 균주의 배양액을 \( 8,000 \times \mathrm{g} \) 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에 2배의 isopropyl alcohol을 첨가하고 \( 4^{\circ} \mathrm{C} \) 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된 물질에 일정한 부피의 isopropyl alcohol을 재 첨가 후 voltex mixer를 사용하여 섞어주었다. 본 과정을 2회 반복 실시하여 고분자 중합체를 세척하고, 다시 증류수에 녹인 다음 dialysis membrane (Spectrum Co., USA)을 이용하여 저분자물질과 염 성분을 제거한 후, \( -55 \) \( { }^{\circ} \mathrm{C} \) 에서 \( 0.06 \mathrm{mTorr}\)의 진공압력으로 24시간동안 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p><h2>고분자 중합체의 조성당 측정</h2><p>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물질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표준 시료를 포함한 시료의 전처리 과정은 \( 0.5 \mathrm{mg} \) 의 시료에 methanol과 acetyl chloride를 20:1\((\mathrm{v} / \mathrm{v}) \) 의 비율로 혼합 한 용매를 \( 300 \mu \mathrm{l} \) 을 가하고 교반 하면서 \( 70^{\circ} \mathrm{C} \) 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 t \)-buthanol \( 30 \mu \mathrm{l} \) 을 첨가하여 분해반응을 정지시켰다. 실온에 30 분간 방치시킨 후,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시료를 건조하고, \( 100 \mu \mathrm{l} \) 의 Tri-Sil Z (Pierce Co., USA)를 가하여 실온에 2시간 방치한 뒤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종은 HP 5890 series II (Hewlett Packard Co., USA)이었으며, 검출기는 flame-ionization을 사용하였고, HP 7673 injector를 사용하여 시료를 주입하였다. 사용한 컬럼은 \( 5 \% \) 의 phenylmethyl siliconed로 표면에 처리된 실리카 컬럼 (Supelco, Bellefont, Pa)으로 크기는 \( 30 \mathrm{~m} \times \) \( 0.32 \mathrm{~mm} \) 이었다. 운반가스는 산소가 제거된 질소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 2.9 \mathrm{ml} / \mathrm{min} \) 이었다. 분석 온도는 \( 140^{\circ} \mathrm{C} \)에서 분당 \( 7^{\circ} \mathrm{C} \) 씩 상승시켜 \( 260^{\circ} \mathrm{C} \) 까지의 범위에서 분석하였다.</p><h2>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측정</h2><p>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사용하여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가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측정하였다. TSL PW XL 컬럼 (Viscotek, USA)을 장착한 Vis-coteck 사(USA)의 GP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RI detec-tor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동 상으로 \( 1.0 \mathrm{ml} / \) \( \mathrm{min} \) 유속의 증류수를 이용하였고, 시료의 농도는 \( 5.0 \mathrm{mg} / \) \( \mathrm{ml} \) 이었으며 주입 전에 \( 0.45 \mu \mathrm{m} \) (pore-size) filter로 거른 후, 1 회 분석에 \( 100 \mu \mathrm{l}\) 를 주입하였다. 표준 곡선은 분자량 \( 5.8 \times 10^{3} \) 에서 \( 1.0 \times 10^{6} \) 까지의 pullulan (Sigma Co., USA)을 사용하여 작성하였다.</p><h2>균체량의 측정</h2><p>건조균체량은 일정시간 배양한 배양액을 \( 8,000 \times \mathrm{g} \) 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침전물을 배양액과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2회 세척한 후, \( 105^{\circ} \mathrm{C} \) 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측정하였다.</p>
[ "시료를 어디에서 수집했어?", "어디에서 시료를 구했습니까?", "수집한 토양 시료를 무엇으로 희석했어?", "무엇을 사용하여 토양 시료를 묽게했어?", "토양 시료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어떤 방법으로 미생물을 분리했어?", "미생물을 추출할 때 토양 시료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어떤 절차를 진행했어?", "토양시료를 분리하는데 사용한 배지는 뭐야?", "무엇으로 제작된 배지를 이용하여 토양시료를 나누고 있나요?", "토양 시료를 희석하고 무엇을 분리해냈어?", "희석한 토양 시료에서 어떤 것이 나왔어?", "균주의 형태적 특성을 무엇으로 관찰했어?", "균주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기위해 무엇을 사용했어?", "균주에 대해 어떤 검사들을 했어?", "어떤 종류의 생화화적 검사를 균주에 행하였나?", "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서 무엇을 확인했어?", "어떤 사실을 알고 싶어서 생화학적 검사를 균주에 진행했어?", "배지의 탄소원으로 사용한 것은 뭐야?", "어떤 것이 배지의 탄소원으로 이용되었나요?", "배지에 사용한 시약은 어디에서 산거야?", "어디에서 구매한 시약을 배지에 이용했나요?", "균주의 유기질소원으로써 이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이 균주의 유기질소원으로써 이용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됐나요?", "간장박은 간장의 어떤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가?", "간장의 어떤 과정을 통해 간장박이 부산물로 생성되나요?", "균주의 생육을 위한 이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간장박은 어디에서 수급해온거야?", "어느 곳에서 공급해온 간장박을 균주의 생육을 위한 이용성을 알아보는데 이용했어?", "간장박의 주된 구성성분은 뭐야?", "간장박은 주로 무엇으로 이루어져있어?", "고체 배지에서 자란 균주의 콜로니를 어디에 접종했어?", "어떤 곳에 주입하려고 고체 배지에서 균주의 콜로니를 키웠어?",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과정중에 탄소원의 농도는 얼마야?", "탄소원의 농도는 고분자 중합체의 생성과정에서 몇 퍼센트야?",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중 배양에서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이 고분자 중합체의 생성 과정에서 배양에 이용되었나요?",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과정에서 실험 목적에 따른 탄소원 및 질소원은 어떻게 했는가?", "실험의 취지에 따라 탄소원과 질소원은 고분자 중합체의 생성과정에서 어떻게 실험하였는가?", "고분자 중합체의 대량생산에 사용한 것은 뭐야?", "대량생산을 위해 이용한 것은 고분자 중합체에서 어떤 것인가?",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가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측정에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이용해서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가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을 계량했어?", "저분자물질과 염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이용하여 저분자물질과 염 성분을 제거했나요?", "일정시간 배양된 균주의 배양액을 20분 동안 무엇을 했어?", "20분에 걸쳐서 일정시간 배양된 균주의 배양액에 어떤 처리를 했어?", "일정한 부피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재첨가 후에 섞는데 이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사용하여 일정한 부피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재 첨가한 후에 교반했나요?",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물질을 확인하는데 사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이용하여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이 생성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나요?", "시료를 건조시키는데 이용한 것은 뭐야?", "무엇을 사용하여 시료를 건조시켰나요?" ]
12ec183f-f2a4-4bef-b77b-00223ba66b05
생명LA
Bacillus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특성과 생산조건의 최적화
<h1>서론</h1><p>미생물이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고분자 중합체는 포식자의 식균작용과 사멸을 야기하는 급격한 건조 및 온도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 수단의 역할을 한다. 토양 중에는 이러한 미생불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가 함유되어 있어 토양 집합의 안정성과 보수성에 관여한다. 고분자 중합체의 생산은 여러 종류의 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 몇 종류의 조류 그러고, 다수의 균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p><p>세포외 다당류(exopolysaccharides)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어 세포의 외부로 배출되는 수용성 혹은 불용성인 다당류의 총칭으로 특이한 화학적 구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이다. 이러한 세포외 다당류는 물리적인 특성이 다양하므로 유화제, 안정제, 접합제, 응고제, 응결제, 윤활제, 필름 형성제, 농후제, 현탁제 등으로 식품, 화장품, 화학공업 및 환경산업에서 그 응용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현재 이들의 산업적인 이용성의 증가로 인해 덱스트란, 잔탄검, 풀루란, 커드란과 미생물생산 섬유소 및 알긴산 등 미생물 배양에 의하여 생산되는 다당류성 생물고분자의 대량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거나 이미 개발되어 식품 및 의약품을 포함한 화학공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Agrobacterium 속의 균주가 생산하는 커드란을 분리◦정제한 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얻은 유도체는 human immunodeficency virus(HIV)의 생육을 억제하는 성질이 있으며 Aureobasidium 속 균주가 생산하는 \( \beta-1,3 / 1,6 \) 글루칸은 면역체계의 활성 및 항암제로서의 효과가 보고되어 의약 분야에까지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토양에서 분리하고 형태학적 및 생리적 검사와 API-50CH/B kit를 사용하여 동정하였고, 이 미생물의 배양액에서 고분자 중합체를 분리◦정제하고, 그 구성성분 및 분자량 등을 분석하여 미생물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에 대한 기초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분자 중합체 생산의 최적 탄소원 및 질소원 등과 같은 배양조건을 확립하여 산업적인 이용을 위한 대량생산의 기본적인 자료를 확보하였다.</p>
[ "화학적 고분자 물질로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지며 세포의 외부로 배출되는 역할을 하는 다당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여러 종류의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지며 세포의 외부로 배출되는 화학적 고분자 물질을 뭐라고 불러?", "면역체계의 활성과 항암제로서 효과가 있어 의약 분야에까지 적용되고 있는 Aureobasidium 속 균주 생산물질은 무엇인가?", "Aureobasidium 속 균주가 만들어내는 것으로 면역체계의 활성 및 항암제로의 기능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 뭐야?", "분리, 정제 후 화학적 처리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유도체로 human immunodeficency virus의 생육을 억제하는 Agrobacterium 속균주는 무엇인가?", "화학적 처리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물질로 uman immunodeficency virus의 생장을 억제하는 성질이 있는 Agrobacterium 속 균주가 뭐야?",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동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키트는 무엇인가?", "어떤 키트를 사용하여 수용성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동정했어?",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 고분자의 구성성분과 분자량 등을 분석하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거쳤는가?", "어떤 과정을 통해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 얻은 물질의 구성성분과 분자량 등을 분석했어?", "미생물이 체외로 분비하는 물질로서 포식자의 식균작용과 사멸을 야기하는 외부환경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포식자의 식균작용과 죽음을 야기하는 외부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물질은 무엇인가?" ]
21923fef-43e1-46ea-a024-30435d35b8cb
생명LA
Bacillus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특성과 생산조건의 최적화
<h1>요약</h1><p>고분자 중합체를 생산 능력이 있는 균주를 토양에서부터 분리하여 형태학적 및 생화학적인 특성을 확인하고 Bacillus 속 균주를 동정하는 API-50 CH/B kit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coagulans로 확인되어 B. coagulans DL-1으로 명명하였며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플라스크 실험을 통하여 고분자 중합체 생산을 위한 B. coagulans DL-1의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 및 각각의 최적 농도는 \( 2 \%(\mathrm{w} / \mathrm{v}) \) 포도당과 \( 0.25 \% \) \( (\mathrm{w} / \mathrm{v}) \) yeast extract임을 확인하였다. 플라스크 실험에서 확립한 최적 배지조건과 \( 1.0 \mathrm{vvm} \) 의 통기량 및 \( 500 \mathrm{rpm} \) 의 교반속도로 \( 7 \mathrm{l} \) 생물배양기를 사용하여 수행한 회분식 배양에서의 최대 고분자 중합체 생산량은 \( 5.00 \pm 0.15 \mathrm{~g} / \mathrm{l} \) 이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B. coagulans DL-1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포도당과 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도당과 람노오스의 구성 비율은 약 9:1 이었다. 또한 평균 분자량을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결과, \( 2.80 \times 10^{5} \) 이었다.</p>
[ "본 연구에서 토양에서 분리한 strain은 어떤 능력이 있어?", "strain을 토양에서 빼냈을 때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B. coagulans DL-1가 macromolecular polymer를 형성하기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최적 농도값은 얼마야?",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값 중 B. coagulans DL-1가 macromolecular polymer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값은 무엇인가?", "B. coagulans DL-1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한 실험방법은 뭐야?", "실험방법 중 B. coagulans DL-1이 만든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실행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gas chromatography는 왜 사용된거야?", "gas chromatography이 본 연구에서 실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B. coagulans DL-1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 했을때 포도당과 람노오스의 구성 비율은 어떻게 되었니?", "포도당과 람노오스을 구성할 때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B. coagulans DL-1이 만든 고분자 중합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율이 어떻게 되는가?", "B. coagulans DL-1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평균 molecular weight은 얼마야?", "B. coagulans DL-1이 만든 고분자 중합체의 molecular weight 평균 값은 얼마인가?", "B. coagulans DL-1이 생산한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뭐야?", "방법 중 B. coagulans DL-1이 만든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을 분석하기 위해 쓴 것은?", "Macromolecular polymer를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균주는 뭐야?", "균주 중 Macromolecular polymer를 만들어 체외로 내보내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고분자 중합체를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균주는 뭐야?", "균주 중 고분자 중합체를 만들어 체외로 내보내는 것은 무엇인가?" ]
dd3e5d32-d6d3-4257-8329-6414d2688d06
생명LA
Bacillus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특성과 생산조건의 최적화
<h2>고분자 중합체 조성당의 분석</h2><p>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분리.정제하여 고분자 중합체를 구성하는 성분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고분자 중합체의 주요 구성성분은 \( \alpha \) 형과 \( \beta \) 형 아노머 (animer)를 나타내는 피크의 re-tention time과 피크의 넓이 비율을 표준 물질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17.40 분에 나타난 피크는 람노오스(rhamnose)로 확인되었으며 \( \alpha \) 형 아노머와 \( \beta \) 형 아노머 포도당에 해당하는 피크는 각각 21.65 분과 21.94 분에서 확인되었다. 각 피크의 넓이를 비교한 결과,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구성하는 포도당과 람노오스의 구성 비율은 약 9:1 이었다. 기능성 고분자 중합체의 한 종류인 젤란(gellan)은 포도당과 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젤란의 대체 물질로 개발중인 heteropolysaccharide-7(PS-7)은 포도당과 람노오스가 4.5:1 에서 4.7:1 정도의 비율로 구성되어있다. 젤란은 1988년 일본에서 식품 첨가물로 승인을 받았으며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와 증점제로서 1992년 미국 식품의약품 안정청의 승인을 반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로 국내에도 많은 양 수입하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 미국의 NeutraSweet 사에서 독점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p><h2>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분석</h2><p>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각각 \( 2 \%(\mathrm{w} / \mathrm{v}) \) 의 포도당과 \( 0.25 \%(\mathrm{w} / \mathrm{v}) \) 의 yeast extract를 사용하여 72시간 배양한 B. coagulans DL-1의 배양액에서 분리.정제한 고분자 중합체의 평균 분자량은 약 \( 2.80 \times 10^{5} \) 이었다. 현재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젤란의 평균 분자량은 약 \( 1.00 \times 10^{5} \) 이며 pullulan의 평균 분자량은 배양 조건 및 사용한 균주에 따라 \( 1.50 \times 10^{4} \) 에서 \( 1.00 \times 10^{7} \) 정도이다.</p><p>토양에서 분리한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는 구성 당의 종류와 구성 당의 비율 및 분자량 등으로 미루어 보아 현재 알려진 기능성 고분자 중합체와는 다른 새로운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나, 구성 당의 종류와 구성 당의 비율로 미루어 보아 젤란과 PS-7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는 젤란 및 PS-7의 대체 물질로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젤란과 PS-7 등과 같은 기능성 고분자 중합체로 개발하기 위하여 각 구성성분을 연결하는 결합구조 등과 같은 화학 구조적 정보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물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배양학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p>
[ "고분자 중합체의 주요 구성 성분은 뭘까?", "무엇이 고분자 중합체의 주요 구성 성분일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17.40 분에 나타난 피크는 무엇일까?", "어떤 피크가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17.40 분에 드러났을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람노오스란 물질은 몇 분에 나타났을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넣은 후 몇 분에 람노오스란 물질이 나타났니?",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 \\alpha \\) 형 아노머 포도당에 해당하는 피크는 몇 분에 확인되었어?",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몇 분에 \\( \\alpha \\) 형 아노머 포도당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났어?",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 \\beta \\) 형 아노머 포도당에 해당하는 피크는 몇 분에 확인 되었을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몇 분에 \\( \\beta \\) 형 아노머 포도당에 해당하는 피크가 나타났을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 \\alpha \\) 형 아노머와 \\( \\beta \\) 형 아노머 포도당 중 먼저 확인 된 포도당은 무엇일까?",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 시료를 주입한 후 먼저 확인 된 포도당은 \\( \\alpha \\) 형 아노머와 \\( \\beta \\) 형 아노머 포도당 중 어떤 것일까?", "각 피크의 넓이를 비교한 결과 고분자 중합체를 구성하는 포도당과 람노오스의 구성 비율은 어떻게 될까?", "각 피크의 넓이를 비교한 결과 고분자 중합체를 구성하는 포도당과 람노오스는 어떠한 구성 비율을 가졌을까?", "포도당과 람노오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성 고분자 중합체의 한 종류는 무엇일까?", "기능성 고분자 중합체의 한 종류로 포도당과 람노오스로 구성된 물질은 어떤 것인가?", "heteropolysaccharide-7(PS-7)의 포도당과 람노오스 비율은 어떻게 될까?", "heteropolysaccharide-7(PS-7)의 포도당과 람노오스는 어떤 비율을 가지고 있을까?", "젤란의 대체 물질로 개발 중인 물질은 무엇일까?", "현재 개발 중인 물질 중 젤란의 대체 물질은 어떤 것일까?", "젤란은 일본에서 식품 첨가물로 승인 받은 년도는 언제일까?", "어떤 년도에 젤란이 일본에서 식품 첨가물로 허가 받았을까?", "젤란을 1988년도에 식품 첨가물로 승인해 준 나라는 어느 나라일까?", "어떤 나라가 젤란을 1988년도에 식품 첨가물로 승인해 주었을까?", "젤란은 몇 년도에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와 증점제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의 승인을 받았어?", "몇 년도에 젤란이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와 증점제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의 허가를 받았어?",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와 증점제로 승인해 준 미국의 국가기관 명은 뭘까?", "미국의 국가기관 중 젤란을 식품에 첨가하는 안정제와 증점제로 승인해 준 곳은 어디일까?", "현재 젤란을 독점 생산 하는 업체 명은 무엇일까?", "어떤 업체가 현재 젤란을 독점 생산하고 있을까?", "NeutraSweet 사의 본사는 어디일까?", "어느 나라에 NeutraSweet 사의 본사가 있을까?", "현재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젤란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일까?", " 어느 정도의 젤란의 평균 분자량이 현재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을까?", "풀루란의 평균 분자량은 얼마일까?", "어느 정도의 평균 분자량을 풀루란이 가지고 있을까?", "토양에서 분리한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는 구성 당의 종류와 구성 당의 비율로 미루어 보아 무엇과 유사할까?", "토양에서 분리한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는 구성 당의 비율과 구성 당의 종류로 볼 때 어떤 것과 유사한가?", "고분자 중합체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하는 장치는 무엇일까?", "어떤 장치로 고분자 중합체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할까?", "GPC의 풀네임은 무엇일까?", "무엇이 GPC의 전체 이름일까?",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사용하여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분석 시 절차를 설명해볼까?",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 분석을 하고자 할 때,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석한 절차는 어떻게 될까?",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석 시 고분자 중합체 평균 분자량은 얼마일까?",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B. coagulans DL-1이 생산하는 고분자 중합체의 분자량을 분석할 때 고분자 중합체 평균 분자량은 어느 정도인가?" ]
15eeb03d-b06c-4097-a410-eeeb3d2d4d18
생명LA
화살나무(Euonymus alatus)로 부터 α-glucosidase 저해 물질의 분리 및 동정
<p>소장의 미세 융모 표면에 위치한 \( \alpha \)-glucosidase 효소는 탄수화물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섭취된 모든 탄수화물은 소장에서 흡수되기 위해서는 \( \alpha \)-glucosidase에 의해 단당류로 분해되어야 하므로 \( \alpha \)-glucosidase 활성 저해는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type Ⅱ 인슐린 비 의존성 당뇨병과 비만 치료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 \alpha \)-glucosidase 저해제는 항바이러스 효과와 항암 등의 다수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다중 질병 치료제로서 뿐만 아니라, 최근 치료 보조제로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천연물 기원의 \( \alpha \)-glucosidase 효소 저해제에 대한 연구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들을 대상으로 하여 \( \alpha \)-glucosidase 효소 저해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화살나무 추출물로부터 강한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다. 예로부터 화살나무는 민간에서 진통제, 구충제, 지혈제 등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혈당을 낮추고 당뇨병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아직 활성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결정 및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p><p>화살나무 가지를 경동 한약제 시장에서 잘게 잘린 형태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화살나무 가지 \( (1 \mathrm{~kg}) \)을 \( 50 \% \) 메탄올 용액 \( (4 \mathrm{~L}) \)으로 상온에서 48시간씩 3회 교반 추출한 추출액을 rotary evaporator (EYELA, Japan)로 감압 농축한 후 증류수에 현탁시켜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용매 추출하였다. 모든 용매 추출 분획에서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나, 그 중에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이는 n-butanol 층 \( (13.5 \mathrm{~g}) \)으로부터 chromatography 방법을 사용하여 activity-based fractionation에 의해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n-butanol 층을 감압 농축 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60, \(4.5 \times 50 \mathrm{~cm} \), Merck, Germany)를 chloroform: methanol (\(10:0- 2: 8 \)) 용매 조건으로 실시하여 활성 분획 F3와 F6을 획득하였다. 활성 분획 F3 \( (2.3 \mathrm{~g}) \)을 다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 (3 \times 40 \mathrm{~cm}) \)을 \( \mathrm{CH}_{3} \mathrm{Cl}: \mathrm{MeOH}\) \((2: 1) \)로 실시하여 활성이 있는 분획을 모아 감압 농축한 다음 \( \mathrm{CH}_{2} \mathrm{Cl}_{2} \) : \( \mathrm{MeOH} \) \((7:3)\)을 용매로 하여 Sephadex LH-20 (Pharmacia, Sweden) column chromatography을 행한 후 HPLC (Waters, MA, USA, \( \mathrm{C}_{18} ~\mu \) Bondapak, \(\mathrm{MeOH}: \mathrm{CH}_{3} \mathrm{CN}: \mathrm{H}_{2} \mathrm{O}=40: 15: 45 \), UV \(254 \mathrm{nm} \) detection)에 의해 활성 물질 compound 1 \(\left(\mathrm{t}_{\mathrm{R}}\right. \) \( 11.6 \mathrm{~min}\), \(35 \mathrm{mg}) \)과 compound 2 \((\mathrm{t}_{\mathrm{R}} 10.1 \mathrm{~min}\), \( 87 \mathrm{mg}) \) 을 분리하였다. 활성 분획 F6 (\(1.9 \mathrm{g}\))을 한번 더 chloroform: methanol (\(10:5-5:10\), stepwise elution)을 용매로 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을 실시하여 얻은 활성 분획을 감압 건조시킨 다음, \( 70 \% \) methanol을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을 행하여 활성 peak을 얻었으며 최종 분리과정으로 HPLC (Waters, \( \mathrm{C}_{18} \)\( \mu \) Bondapak, \( \mathrm{CH}_{3} \mathrm{CN}: \mathrm{H}_{2} \mathrm{O}: \mathrm{TFA}=30: 70: 1 \), isocratic solvent system, UV \( 254 \mathrm{~nm}) \)을 행하여 compound 3 \((\mathrm{t}_{\mathrm{R}} 33.1 \mathrm{~min}\), \( 15.3 \mathrm{mg}) \)와 compound 4 \((\mathrm{t}_{\mathrm{R}} 38.0 \mathrm{~min}\), \(9.7 \mathrm{mg}) \)를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한 활성 물질의 순도는 여러 solvent system에서 수행된 TLC plate (silicagel \( 60 \mathrm{GF}_{254} \), Merck) 상에 single band와 HPLC의 단일 peak로 확인하였다. Compound 1-4은 노란색의 무정형 가루 형태로 모두 UV \( 254 \mathrm{~nm} \) 또는 \( 365 \mathrm{~nm} \)에서 흡수를 보이고 ferric chloride spray 시 blue-black 색을 나타내어 flavonoids임을 알 수 있었다.</p>
[ "어디에 위치한 \\( \\alpha \\)-glucosidase 효소는 탄수화물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 "탄수화물 소화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 \\alpha \\)-glucosidase 효소는 어디에 위치하는가?", "소장의 미세 융모 표면에 위치한 어떤 효소가 탄수화물 소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가?", "탄수화물 소화에 필수적 역할을 하며 소장의 미세 융모 표면에 위치한 효소는 무엇인가?", "소장의 미세 융모 표면에 위치한 \\( \\alpha \\)-glucosidase 효소는 무엇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가?", "무엇에 소장의 미세 융모 표면에 위치한 \\alphaα-glucosidase 효소가 필수적 역할인가?", "섭취된 모든 탄수화물은 어디에서 흡수되는가?", "어디에서 섭취된 모든 탄수화물이 흡수되는가?", "\\( \\alpha \\)-glucosidase 활성 저해는 어떻게 type Ⅱ 인슐린 비 의존성 당뇨병과 비만 치료 등에 효과가 있지?", "type Ⅱ 인슐린 비 의존성 당뇨병과 비만 치료 등에 어떻게 효과가 있는가?", "섭취된 모든 탄수화물은 소장에서 흡수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어떤 과정을 거쳐야 섭취된 모든 탄수화물이 소장헤서 흡수되는가?",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들을 대상으로 하여 어떤 물질을 탐색했는가?", "어떤 물질을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들을 대상으로 탐색했나?",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들을 대상으로 하여 \\( \\alpha \\)-glucosidase 효소 저해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어떤 추출물로부터 강한 활성 물질을 분리했지?", "어떤 추출물로부터 안전성이 확보된 생약들을 대상으로 하여 \\( \\alpha \\)-glucosidase 효소 저해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강한 활성 물질을 분리했는가?", "예로부터 화살나무는 민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지?", "어떤 방식으로 화살나무는 민간에서 사용되었나?",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결정 및 특성조사를 실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무슨 이유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결정 및 특성조사를 실시했는가?",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결정 및 특성조사를 실시한 이유는 뭐지?", "무슨 이유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결정 및 특성조사를 실시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어디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했지?", "어디로부터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 동정을 위해서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했지?",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어떤 물질을 분리했는가?", "어떤 물질을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분리했나?", "본 연구에서는 화살나무의 혈당 강하 기능의 유효 성분을 동정하기 위해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무엇을 했지?",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실행한 것은 무엇인가?", "화살나무 가지를 어디에서 구매했는가?", "어디에서 화살나무 가지를 구매했는가?", "화살나무 가지에서 어떤 방법으로 용매를 추출했지?", "어떤 방법으로 화살나무 가지로부터 용매를 추출했는가?", "모든 용매 추출 분획에서 어떤 활성이 나타났는가?", "어떤 활성이 모든 용매 추출 분획에서 나타났나?", "모든 용매 추출 분획 중 가장 강한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모든 용매 추출 분획중 가장 강한 \\( \\alpha \\)-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보이는가?", "n-butanol 층에서 활성물질을 어떻게 분리했지?", "어떻게 n-butanol 층에서 활성물질을 분리하는가?", "n-butanol 층에서 어떤 방법으로 활성 분획 F3와 F6을 획득했는가?", "어떤 방법으로 n-butanol 층에서 활성 분획 F3와 F6을 얻었나?", "활성 분획 F3에서 어떻게 활성 물질 compound 1과 활성 물질 compound 2를 분리했지?", "어떻게 활성 분획 F3에서 활성 물질 compound 1과 활성 물질 compound 2를 분리했는가?", "활성 분획 F6에서 어떻게 compound 3과 compound 4로 분리했는가?", "어떻게 활성 분획 F6에서 compound 3과 compound 4로 분리했나?", "Compound 1-4은 어떤 형태를 보이는가?", "어떤 형태로 Compound 1-4가 보이나?", "Compound 1-4은 ferric chloride spray 시 어떤 색을 띄는가?", "ferric chloride spray 시 어떤 색상이 Compound 1-4 는 나타나는가?", "Compound 1-4은 ferric chloride spray 시 blue-black 색을 나타내어 무엇임을 알 수 있지?", "무엇이 ferric chloride spray 시 blue-black 색을 나타내는 Compound 1-4 를 나타내는가?" ]
e2bbbdff-0d8e-4bf6-ba25-646f4c4d0933
생명LA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재료</h2><p>실험재료의 꾸지뽕나무 수피는 1999년 5월 경남 김해시 근교의 야산에서 직접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음지에서 잘 건조시켜 잘게 자른 후 10 배량의 증류수로 수조상에서 3시간 추출을 2회 반복 실시하여 혼합한 용액을 진공 농축한 후 \( -80^{\circ} \mathrm{C} \)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 시켜 수용성 추출물을 얻어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p><h2>실험동물, 사육조건 및 식이 조성</h2><p>실험동물로서는 4 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스테인레스 개별 케이지에 한 마리씩 넣어 사육실 온도 \( 22 \pm 2^{\circ} \mathrm{C} \), 습도 \( 50 \pm 5 \% \), 명암주기 12시간 (명주기: 07:00~19:00)이 자동 설정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본 실험의 식이 조성은 Table 1 과 같다. 즉,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Control군)에 \( 0.5 \% \) 수준으로 첨가하여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CTSB군)으로 하였다. 대조군 식이로 3일간 적응시킨 후 평균 체중이 동일하도록 군당 6마리씩 나누고, 식이와 옴료수(탈이온수)를 14일간 자유급여 시켰다. 사육 기간 중 식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고, 체중은 이틀에 한번씩 측정하여 기록하였다.</p><h2>분석시료의 조제</h2><p>실험 최종일 실험동물을 8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탈혈사 시켰다. 이때 얻어진 혈액은 약 30분간 실온에서 방치시킨 후 \( 3,000 \mathrm{~rpm} \) 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혈청으로부터 지질농도를 측정하였다. 간장 조직은 적출 한 후 주사위를 이용하여 냉각된 생리식염수로 충분히 관류하여 탈혈시키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조직 무게를 측정하고, \( -80^{\circ} \mathrm{C} \) 에서 보존하면서 실험분석에 제공하였다.</p><h2>혈청지질 및 간장 지질 분석</h2><p>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Cholesterol C-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 혈청 HDL-cholesterol은 HDL-cholesterol E-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 혈청 triglyceride는 Triglyceride E-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 혈청 인지질은 Phospholipid C-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 혈청 glucose 농도는 glucose oxidase 법에 따라 조제된 시판 kit(Wako Junyaku,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장 총 지질은 Folch 등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였다. 간장 중성지질 농도는 Triglyceride E-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를 이용하여 GPO-DAOS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간장 총 콜레스테롤은 Cholesterol C-test kit(Wako Junyaku, Osaka, Japan) 를 이용하여 cholesterol oxidase-DAOS법으로 측정하였다. 간장 인지질 농도는 Bartlett의 방법으로 정량하였다.</p><h2>간장 및 혈청의 지질 과산화물 정량</h2><p>실험 최종일 8시간 절식시칸 동물에서 적출 한 간장을 일정량 취하여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 (\( \mathrm{pH~} 7.4 \))를 첨가한 후 균질화 시켜 homogenate 분획으로 하여, 간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전보의 방법에 준하여 정량하였다. 즉, 각 조직 \( 0.1 \mathrm{~ml} \) 에 증류수 \( 0.9 \mathrm{~ml} \) 를 첨가한 용액 \( 1 \mathrm{~ml} \) 에 thiobarbituric acid(TBA) 시약 \( 2 \mathrm{~ml} \) 을 가하여 잘 혼합하고, 끓는물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족시 실온에서 방냉 하였다. 이 반응액을 \( 3,000 \mathrm{~rpm} \)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을 흡광도 \( 535 \mathrm{~nm} \) 에서 측정하였다.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혈청 과산화지질 측정 kit (Wako Junyaku, Osaka, Japan)를 이용하여 thiobarbituric acid 와 반응하는 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간장 및 혈청 중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malondialdehyde 를 \( \mathrm{nmol} / \mathrm{g} \) 및 \( \mathrm{nmol} / \mathrm{ml} \) 로 각각 나타내었다.</p><h2>비헴철 및 아연 함량 측정</h2><p>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 함량 측정은 Woo와 Ryu의 방법에 따라 전처리 한 후 원자홉수 분광분석기(Perkin Elmer AAnalyst 300, U.S.A.)로 측정하였다.</p><h2>통계처리</h2><p>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치는 평균치와 표준오차(mean \( \pm \) S.E.)로 표시하고,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test로 하였다.</p>
[ "4 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는 실험 식물인가?", "채취한 시료는 어디에서 건조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는 음지에서 어떻게 하였는가?", "채취한 시료에 어떤 처리를 행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는 건조 후 어떻게 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를 건조 후 어떤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는 건조 후 몇 배량의 증류수로 추출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는 10배량의 증류수를 어디에서 추출하였는가?", "어디에서 채취한 시료에서의 10배량의 증류수 추출은 진행하였는가?", "채취한 시료는 건조 후에 잘게 자르지 않는가?", "채취한 시료는 수조에서 얼마동안 증류수로 추출하는가?", "채취한 시료의 전처리 과정에서 3시간 추출 후 무엇을 진공농축하는가?", "채취한 시료를 추출 후 혼합한 용액을 어떻게 하는가?", "추출 후 혼합된 용액에 어떤 처리를 진행하는가?", "동결건조에 사용하는 동결건조기는 \\( -180^{\\circ} \\mathrm{C} \\) 동결건조기인가?", "전처리 과정에서 채취한 시료는 3시간동안 추출을 3회 반복하는가?", "진공농축 후에 \\( -80^{\\circ} \\mathrm{C} \\) 동결건조기에서 무엇하는가?", "동결건조시킨 후에는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일련의 과정들을 거친 후 마지막으로 동결건조를 진행하면 어떤 것을 얻을 수 있나?", "동결건조 후에 얻은 지용성 추출물은 동물실험에 사용하는가?", "동결건조를 통해서 얻은 추출물은 식물실험과 동물실험 모두에 사용되는가?", "실험동물로 사용된 흰쥐의 성별은 무엇인가?", "실험동물로 사용 된 흰쥐는 몇 주령인가?", "갈색 쥐가 실험동물로서 사육되었나?", "흰쥐를 어디에 한마리씩 넣었는가?", "실험에 사용된 흰쥐는 나무로 만든 케이지에서 사육되었는가?", "흰쥐의 사육 케이지의 소재는 무엇인가?", "사육실 습도는 얼마로 설정하였는가?", "사육실의 무엇이 12시간인가?", "사육실의 명암주기는 몇시간으로 설정된 상태인가?", "사육 조건 중 명주기는 언제를 나타내는가?", "사육실의 암주기는 07:00~19:00인가?", "사육실의 온도, 습도, 명암주기가 어떻게 설정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는가?", "채취한 시료의 3시간 추출을 몇 회 반복하는가?", "동결건조를 진행하면 지용성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가?", "실험용 흰 쥐의 사육장은 수동설정인가?", "본 실험의 어떤 조건을 Table 1에 나타냈는가?", "경남 김해 근교의 야산에서 채취한 실험재료는 무엇인가?", "실험재료는 언제 채취하였는가?", "무엇의 추출물을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에 \\( 0.5 \\% \\)정도 첨가하였는가?", "본문에서 대조군과 Control군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는가?",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어느 수준으로 추가하였는가?",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 5 \\% \\)수준으로 첨가하였는가?",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에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을 첨가해 무엇으로 명명하였는가?", "본문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을 CTSB군으로 표현하였는가?", "CTSB군은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어디에 첨가되어 만들어진 물질인가?", "사육기간 중 무엇은 이틀에 한번 측정했는가?", "실험에서 대조군 식이를 얼마동안 적용하였는가?", "실험 진행 시 우선적으로 대조군 식이로 5일간 적응시켰는가?", "진공농축 후에는 어떤 동결건조기를 사용하는가?", "그룹을 구분할 때, 평균 크기가 동일하도록 나누었는가?", "그룹당 평균체중을 동일하게 각 몇 마리로 설정하였는가?", "평균체중이 동일하도록 6개의 군으로 나누었는가?", "실험동물을 평균체중이 동일하게 군당 8마리씩 나누었는가?", "추출 후의 혼합한 용액의 농축은 진공에서 일어나는가?", "군으로 나눈 후 무엇과 음료수를 14일간 자유급여하였는가?", "그룹을 나누어 식이 외 무엇을 자유급여하였는가?", "실험에서 자유급여한 음료수는 무엇인가?", "실험에서 어떤 종류의 음료를 자유급여하였는가?", "본 실험에서는 자유급여는 40일간 진행했는가?", "언제 식이 섭취량을 매일 측정했는가?", "본 실험에서 급여는 자유롭게 이루어졌는가?", "식이 섭취량은 3일에 한번 측정했는가?", "개별케이지에 실험 흰쥐를 몇 마리씩 넣었는가?", "사육실 온도는 얼마인가?", "체중은 매일 측정하였는가?", "언제 실험동물을 8시간 절식시켰는가?", "혈액을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액에서 무엇을 분리하고자 하였는가?", "생쥐는 조건이 자동설정된 어디에서 사육하였는가?",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무엇 식이에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첨가하였는가?", "무엇을 함유한 대조군 식이에 꾸지뽕나무 수피의 추출물을 \\( 0.5 \\% \\) 첨가하였는가?", "무엇으로 3일간 적응시켰는가?", "채취한 시료는 양지에서 건조시켰는가?", "대조군 식이로의 적응 후 무엇이 동일하도록 군당 6마리로 나눴는가?", "대조군 식이 적용 후, 군당 6마리로 맞추기 위해 무슨 기준을 일치시켰는가?", "대조군 식이로의 적응 후 평균 체중이 어떻도록 군당 6마리로 나눴는가?", "6마리씩 각각의 평균무게가 똑같도록 무엇으로 설정하였는가?", "실험동물은 마취 이후에 절식되었는가?", "실험동물의 절식은 1시간동안 진행되었는가?", "실험동물의 마취에는 에탄올이 사용되었는가?", "실험 과정 중 에테르를 이용해 실험동물을 어떻게 하는가?", "자유급여는 얼마동안 진행했는가?", "실험동물의 절식 후에는 에테르로 어떻게 마취시켰는가?", "마취 전 채혈을 먼저 진행했는가?", "채혈은 복부 대동맥에서 이루어졌는가?", "본 실험에서 대조군 식이 3일 진행 후, 그룹을 나누어 14일간 무엇을 시켰는가?", "실험동물의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한 후 어떻게 했는가?", "마취 후에 실험 동물의 어디에서 피를 얻는가?", "얻은 수용성 추출물은 무엇에 사용되는가?", "채혈 된 쥐는 사망하였는가?", "식이섭취량은 얼마 간격으로 측정했는가?", "혈액의 채취는 복부 폐동맥에서 이루어졌는가?", "채혈을 진행한 혈관은 복부의 정맥인가?", "무엇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였는가?", "지질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혈액을 얼마정도 실온에 방치하였는가?", "혈액을 실온에 방치한 목적은 무엇인가?", "혈액은 한시간 동안 방치되었는가?", "앞의 과정에서 얻어진 혈액이 30분동안 방치된 곳은 냉장고인가?", "무엇으로 4 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는가?", "4 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어떤 목적으로 활용하였는가?", "혈액을 어떤 속도로 15분간 원심분리 하였는가?", "혈액을 \\( 30,000 \\mathrm{~rpm} \\)으로 원심분리하였는가?", "혈액은 \\( 3,000 \\mathrm{~rpm} \\)의 속도로 15분간의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되었는가?", "실험동물로 사용된 흰쥐는 어느계인가?", "혈액에 150분동안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는가?", "혈액은 \\( 3,000 \\mathrm{~rpm} \\) 으로 얼마동안 원심분리 되었는가?",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기 위해서 무엇을 진행하였는가?", "본문의 실험에서 혈액을 원심분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실험에서 혈액의 원심분리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였는가?", "체중은 얼마에 한번 측정하였는가?", "지질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얻은 혈액을 실온에서 30분간 어떻게 하였는가?", "원심분리의 목적은 혈청의 분리인가?", "혈액의 원심분리를 통해 혈청이 결합되는가?", "원심분리함으로써 혈장은 어떤 상태가 되는가?", "무기질의 농도를 혈청으로부터 측정하였는가?", "분리된 혈청에서 아미노산의 농도도 측정하였는가?", "무엇을 적출 후 생리식염수로 씻어 냈는가?", "지질농도는 혈액의 어떤 성분을 통해 구할 수 있었는가?", "간장조직은 적출 전 피를 씻어냈는가?", "실험분석을 위해 간장조직을 어떻게 하였는가?", "간장조직의 탈혈에 사용된 생리식염수는 어떻게 되어있었는가?", "간장조직의 탈혈에는 냉각된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적출시킨 간장조직을 어떤 도구를 이용해 탈혈시켰는가?", "간장조직을 탈혈할 때, 생리식염수를 주사위로 어떻게 하여 진행하였는가?", "간장조직에 연결된 도관을 통해서 생리식염수를 혈관내에 끊임없이 흘려 보내 무엇을 하고자 하였는가?", "탈혈에는 에탄올이 사용되었는가?", "실험재료는 어디에서 채취하였는가?", "실험 첫날에 실험동물을 절식시켰는가?", "실험 동물을 얼마나 절식시켰는가?", "간장 조직의 탈혈에는 어떤 물질이 사용되었는가?", "실험동물의 절식 후에는 무엇으로 마취시켰는가?", "실험동물은 실험 최종일에 무엇을 하게 되었는가?", "탈혈을 하기 위해서 데워진 생리식염수로 관류하였는가?", "본 실험의 식이조성은 Table2와 같은가?", "탈혈 후에 무엇을 제거하여 조직 무게를 측정하였는가?", "간장 조직을 탈혈하고 무엇을 추가로 진행한 후 무게를 측정하는가?", "실험분석에 사용하기 위한 조직은 탈혈 전 먼저 물기를 제거하는가?", "실험재료는 물기제거와 무게측정 후에는 몇 도에서 보존하는가?", "실험재료의 보존은 \\(-4^{\\circ} \\mathrm{C} \\) 에서 진행되는가?", "실험분석에 사용하기 위해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어떤 결과값을 측정하는가?", "결과적으로 무엇의 무게를 조사하는가?", "조직 무게 측정 후에는 \\( -80^{\\circ} \\mathrm{C} \\) 에서 무엇을 하는가?", "Cholesterol C-test kit은 어느 국가에서 생산되었는가?", "무엇이 Cholesterol C-test kit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는가?", "간장 조직에 다양한 처리를 한 결과물을 무엇에 활용하고자 하는가?", "무엇을 이용하여 혈청 HDL-cholesterol을 측정하였는가?", "어떤 것을 Triglyceride E-test kit로 측정하였는가?", "무엇을 HDL-cholesterol E-test kit을 이용해 측정하였는가?",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무엇을 통해 측정되었는가?", "무엇으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를 측정했니?", "사육기간 중 매일 측정하여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체중은 사육 기간 중 이틀에 몇 번 간격으로 측정하여 기록하였는가?", "식이 섭취량과 체중은 측정 후 어떻게 했는가?", "사육 기간 중 체중은 측정하지 않았니?", "앞의 실험 과정에서 얻은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으로부터 무엇을 측정하고자 하였는가?", "무엇으로부터 지질농도를 측정하였는가?", "누가 실험 최종일에 절식할 수 밖에 없었는가?", "어떤 성분을 Phospholipid C-test kit을 활용하여 알고자 하였는가?", "혈청 인지질은 무엇을 이용해 측정되었는가?", "glucose oxidase 법에 따라 만들어진 시판kit는 어디에서 제조되었나?", "glucose oxidase 법에 따라 조제된 시판 kit를 이용해 무엇이 측정되었는가?", "혈청 glucose 농도 측정을 위해 어느 법에 따라 조제된 시판kit를 이용하였는가?", "혈청 glucose 농도를 위해 glucose oxidase 법에 따라 조제된 무엇을 이용하였는가?", "간장 총 지질은 어떤 방법으로 추출되었는가?", "Folch 등의 방법으로 무엇이 추출되었는가?", "Triglyceride E-test kit를 이용해 무엇의 농도를 조사하였는가?", "glucose oxidase법의 일부를 활용한 실험용 kit를 이용하여 혈청 glucose 농도를 측정하였는가?", "간장 총 지질은 Folch 등의 방법에 따라 어떻게 되었는가?", "어떤 법을 이용하여 간장 중성지질 농도를 알고자 하였는가?", "간장 중성지질 농도는 어떤 kit를 사용해 측정되었는가?", "무엇이 Cholesterol C-test kit을 이용해 측정되었는가?", "무엇을 Bartlett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는가?", "간장 총 콜레스테롤은 Cholesterol C-test kit에서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었는가?", "간장 총 콜레스테롤을 무엇을 통해 조사할 수 있었는가?",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 (\\( \\mathrm{pH~} 7.4 \\))를 첨가한 간장은 언제 8시간 절식시킨 동물에서 적출하였는가?", "간장 인지질 농도의 정량에는 Bartlett의 방법이 사용되지 않았는가?", "간장 인지질 농도를 어떻게 하기 위해 Bartlett의 방법을 사용하였나?",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 를 첨가한 간장을 제작하기 위해 얼마동안 절식시킨 후 적출하였는가?", "간장 인지질 농도를 알기 위해 어떤 방법을 활용하였는가?", "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 함량 측정은 어떤 기구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니?", "간장에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를 첨가하기 전 시간 어떤 과정을 거친 동물에서 적출하였는가?", "적출한 간장에는 \\( 10.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를 취했는가?", "적출한 간장에 취한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는 pH가 3인가?", "적출한 간장에 취한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는 강한 염기성을 띄는가?", "간장에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를 첨가한 후에 어떤 처리를 하였는가?", "군질화 후에 무엇으로 분획하여 간장내의 성분을 정량화하였는가?", "homogenate 분획하여, 무엇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정량했는가?", "전보의 방법을 통해 간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어떻게 했는가?", "간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무엇에 준하여 정량했는가?", "간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방법에 따랐나?", "각 무엇 \\( 0.1 \\mathrm{~ml} \\) 에 증류수 \\( 0.9 \\mathrm{~ml} \\) 를 첨가하였는가?", "어떤 물질 \\( 0.9 \\mathrm{~ml} \\)를 각 조직에 첨가하여 \\( 1 \\mathrm{~ml} \\)의 용액을 만들었나?", "실험 최종일에 동물에게서 적출한 간장은 실험에 활용하기 위해 얼마만큼 취했는가?", "각 조직 \\( 0.1 \\mathrm{~ml} \\)에 얼마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는가?", "각 조직과 증류수를 혼합한 얼마의 용액에 thiobarbituric acid(TBA) 시약 \\( 2 \\mathrm{~ml} \\) 을 가했는가?", "각 조직 \\( 0.1 \\mathrm{~ml} \\) 에 증류수 \\( 0.9 \\mathrm{~ml} \\) 를 첨가한 용액 \\( 1 \\mathrm{~ml} \\) 에 thiobarbituric acid시약 \\( 3 \\mathrm{~ml} \\) 을 혼합했는가?", "조직과 증류수를 혼합한 용액에서 증류수가 \\( 9 \\mathrm{~ml} \\)의 양을 가지는가?", "각 조직 \\( 0.1 \\mathrm{~ml} \\) 에는 증류수를 첨가한 용액 \\( 3 \\mathrm{~ml} \\)를 혼합하는가?", "각 조직 \\( 0.1 \\mathrm{~ml} \\) 에는 thiobarbituric acid(TBA) 시약 \\( 0.2 \\mathrm{~ml} \\) 가 사용되는가?", "thiobarbituric acid와 TBA는 동일한 시약인가?", "조직에 시약을 혼합한 후 무엇에서 30분간 가열하였는가?", "조직과 증류수 혼합용액에 시약을 추가한 후 끓는물에서 얼마나 가열하였는가?", "실험에 사용되는 모든 용액을 혼합한 후에는 30분간 어떻게 하였는가?", "시약 혼합 후에는 끓는 물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는가?", "시약 혼합한 후 바로 얼음물에서 냉각하는가?", "가열 이후에는 실온에서 무엇하는가?", "마지막에 실온에서 혼합된 용액을 방냉 후에 가열하는가?", "위 과정에서 언급된 방냉은 얼음물에서 이루어지는가?", "반응액을 10분간 어떤 속도로 원심분리하는가?", "각 조직과 증류수, TBA 시약의 혼합하여 처리한 용액을 원심분리 한 후 무엇을 측정하고자 하였나?", "흡광도 측정을 위해 반응액을 \\( 3,000 \\mathrm{~rpm} \\)에서 얼마나 원심분리하는가?", "3,000 rpm 에서 10분간 원심분리 시, 상등액에서의 흡광도는 얼마로 나타났는가?", "원심분리 이후에 상등액은 흡광도 \\( 232 \\mathrm{~nm} \\) 에서 측정되는가?", "혈청 과산화지질 측정 kit로 무엇을 정량하였는가?", "무엇과 반응하는 물질을 butanol로 추출하여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는가?",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을 구하기 위해 thiobarbituric acid 와 반응하는 물질을 무엇으로 추출하였는가?", "어디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malondialdehyde 를 \\( \\mathrm{nmol} / \\mathrm{g} \\) 로 나타내었는가?", "혈청 과산화지질 측정 kit을 이용해 thiobarbituric acid 와 반응하는 물질을 ethanol로 추출하여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을 측정하였는가?", "무엇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malondialdehyde 를 \\( \\mathrm{nmol} / \\mathrm{ml} \\)로 나타내었는가?", "무엇의 비헴철은 전처리 한 후 원자흡수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는가?", "간장 및 혈청의 무엇은 malondialdehyde 를 \\( \\mathrm{nmol} / \\mathrm{g} \\) 및 \\( \\mathrm{nmol} / \\mathrm{ml} \\) 로 각각 표현하는가?", "간장에 존재하는 무엇을 원자홉수 분광분석기로 정량하였는가?",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은 어떤 방법을 이용하여 알아내었나?", "간장의 비헴철과 무엇을 전처리 한 후 원자홉수 분광분석기로 함량을 측정하였는가?", "간장 중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malondialdehyde를 \\( \\mathrm{nmol} / \\mathrm{ml} \\)로 나타내었는가?", "어떤 처리를 거친 후 원자흡수 분광분석기로 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의 함량을 측정하였는가?", "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 함량은 누구의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는가?", "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 함량을 원자흡수 분광분석기로 측정한 뒤 후처리를 진행하였는가?", "간장의 비헴철 및 아연 함량 측정은 Woo와 Ryu의 방법과는 다르게 전처리 후에 원자홉수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는가?", "간장과 혈청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무엇을 \\( \\mathrm{nmol} / \\mathrm{g} \\) 및 \\( \\mathrm{nmol} / \\mathrm{ml} \\) 로 각각 나타냈니?",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실험결과에 무엇을 하고자 하였는가?", "적출한 간장을 일정량 취한 후 무엇을 첨가했는가?", "실험값에 대한 유의성 검정은 어떤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했어?",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치는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는가?", "Student's t-test는 표준오차의 측정에 사용되었는가?", "사용한 \\( 1.15 \\% \\) \\( \\mathrm{KCl} \\)-\\( 10 \\mathrm{~mM} \\) phosphate buffer의 pH는 얼마인가?", "mean \\( \\pm \\) S.E.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치를 나타냈는가?",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i-test를 사용했는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치는 평균치만을 표시하였는가?", "간장과 혈청의 지질 과산화물량은 malondialdehyde 를 모두 \\( \\mathrm{nmol} / \\mathrm{L} \\) 로 나타내었는가?", "무엇을 이용해 thiobarbituric acid 와 반응하는 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비색법으로 혈청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을 정량하였는가?",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malondialdehyde를 \\( \\mathrm{nmol} / \\mathrm{ml} \\)로 표현하였는가?", "각 조직 \\( 0.1 \\mathrm{~ml} \\) 에 증류수 \\( 0.9 \\mathrm{~ml} \\) 를 첨가한 용액 \\( 1 \\mathrm{~ml} \\) 에 thiobarbituric acid(TBA) 시약 얼마를 가했는가?", "원심분리 후 상등액에서 무엇을 측정하였을 때, \\( 535 \\mathrm{~nm} \\)값을 얻었는가?", "반응액을 원심분리하고 어디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는가?", "반응액을 이용해 흡광도 측정을 하기 위해 반응액에 10분간 무엇을 진행하는가?", "혼합용액을 가열한 후에는 어디에서 방냉하는가?", "반응액은 \\( 30,000 \\mathrm{~rpm} \\) 에서 원심분리하는가?", "반응액을 원심분리하는 이유는 투명도를 측정하기 위해서인가?", "실험 진행을 위해 각 조직에 증류수를 얼마씩 추가하였는가?", "각 조직과 증류수 혼합 용액에 어떤 시약을 \\( 2 \\mathrm{~ml} \\) 추가했는가?", "무엇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치는 평균치와 표준오차로 표시하였는가?",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무엇으로 나타냈는가?", "평균치와 표준오차로 표시한 것은 무엇인가?", "실험결과값을 나타낸 값으로 맞는 것은 어떤 것인가?", "실험을 거쳐 결과적으로 간장 조직의 무엇을 정량했는가?", "각 조직 얼마에 증류수와 thiobarbituric acid시약을 첨가했는가?" ]
997a7ca8-6ca3-483a-9bff-764d22611dd0
생명LA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h1>서 론</h1><p>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한 뇌혈관계 질환, 심장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혈관 순환기계 질환 및 악성종양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들의 증가는 생체내 지질대사와 깄은 관련성을 가지며, 또한 생체내의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서 생성된 과산화지질의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 최근, 이러한 질환들의 증가에 의한 사회적 문제점과 함께 건강 증진을 위한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 재료 중에서도 지질 개선효과가 있는 천연물 중의 성분이 다수 보고됨으로써 꾸지뽕을 비롯한 한방 자원식물의 추출물에도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존재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생체 내에서 free radical 형성에 의한 체내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이 있다면 이는 순환기계 질환 등 만성 퇴행성 질환의 발병률을 낮추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p><p>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꾸지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는 습진, 폐결핵, 만성 요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등의 한방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민간에서 열매와 수피는 악창, 강장, 중풍, 이뇨, 진해 등의 치료약으로도 사용되어 오고있다. 또한, 이 식물에 의한 항염증 및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 당뇨병 개선작용, 고지혈증 억제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이 보고되어 왔다. 특히 뽕나무류에는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생체 내 지질과산화 억제 및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한편, 저자들은 뽕나무 및 꾸지뽕나무의 수용성 추출물을 콜레스테롤 식이중에 \( 1 \% \)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식이를 급여한 횐쥐에서 혈청 충성지질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생체조직의 과산화지질 농도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특히,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식이중에 \( 1 \% \) 수준으로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간장 조직중의 과산화지질 함량이 증가하고, 이러한 증가의 원인으로 조직내의 철분 함량 증가와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꾸지뽕나무 수피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추출물을 전 실험보다 낮은 \( 0.5 \% \) 수준으로 실험식이중에 첨가하여 SD계 수컷 흰쥐에 투여하여 혈청과 간장 조직중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어떤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p>
[ "혈관 순환기계 질환 및 만성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 때문에 혈관 순환기계 질환 및 만성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는가?", "식생활 패턴이 변해감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나는 혈관 순환기계 질환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혈관 순환기계 질환으로 식생활 패턴이 변해감에 따라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인가?", "뇌혈관계 질환과 악성종양과 같은 질환이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일까?", "악성종양과 뇌혈관계 질환이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은 무엇인가?", "전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은 무엇인가?", "어떤 증상에 꾸지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부위가 사용될까?", "꾸지뽕나무의 잎, 줄기, 뿌리 부위가 어떤 증상에 사용될까?", "꾸지뽕나무의 열매와 수피는 어떤 질병의 치료약으로 이용되고 있어?", "어떤 질병의 치료약으로 꾸지뽕나무의 열매와 수피는 이용되고 있는가?", "어떤 화합물이 뽕나무류에 많이 들어있어?", "뽕나무류에 어떤 화합물이 많이 들어있는가?", "뽕나무류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은 어떤 효능이 있어?" ]
3fbc6ad1-bb0b-4930-acea-8bafd46832c7
생명LA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h1>결과 및 고찰</h1><h2>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식이 효율 및 조직 중량에 미치는 영향</h2><p>콜레스테롤 식이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 수준으로 첨가하여 흰쥐에 2주간 섭취시킨 결과,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호율은 실험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뽕나무와 꾸지뽕나무 잎 및 수피 수용성 추출물 \( 1 \% \) 투여에 의해서도 체중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뽕잎분말을 흰쥐에 4주간 섭취시킨 결과에서도 체중 증가량 및 식이 섭취량에서 무첨가의 대조군과 전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간장 중량도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전의 실험에서도 꾸지뽕나무 잎 및 수피 추출물 투여에 의한 흰쥐 각 조직의 중량에 대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p><h2>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h2><p>혈청 지질 농도의 변화는 Table 3과 같이,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교해서 CTSB군에서 유의적( \( \mathrm{p}<0.01 \) ) 으로 감소하였다. 이전의 실험에서 콜레스테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뽕나무 및 꾸지뽕나무 잎과 줄기껍질 수용성 추출물의 병합 투여에 의해서 혈청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하여, 뽕나무류 각종 부위의 수용성 추출물에는 혈중 중성지질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혈중의 지질량은 십혈관계 질환인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중 등의 진단지표로 사용되고 있는데, 고콜레스테롤혈증과 함께 고중성지질혈증 및 저HDL-콜레스테롤혈증도 이들 질환의 위험 인자로 주목 받게되어 유럽과 미국 등에서 임상 지침이 새롭게 설정되었다. 최근 천연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혈중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시도가 다방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감자 추출물, 뽕잎 및 꾸지뽕잎 추출물, 감귤류 과피, 옻나무, 치커리 등에서 이들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 및 동물실험에서도 뽕잎 분말 및 용매 추출물의 투여로 혈중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된 바 있다. 뽕나무로부터 셍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quercetin, kaempferol, chlorogenic acid, arthocarpesin, caffeic acid 등 polyphenol계 화합물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에 의한 혈장 중성지질 농도의 감소도 이들 polyphenol계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p><p>혈청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실험적 고지혈증 상태에서 뽕잎 메탄올 추출물의 병합투여는 흰쥐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킨 것으로 보고되었다. 간장에서의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각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p>혈중 포도당 농도는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정상 흰쥐의 혈청 포도당 농도는 \( 98 \sim 152 \mathrm{~mg} / 100 \mathrm{~ml} \) 이며, 식이성 콜레스테롤 섭취에 의해 유발된 고지혈증 상태에서는 \( 170 \sim 190 \mathrm{~mg} / 100 \mathrm{~ml} \) 정도로 이보다 약간 높게 보고된 바 있다. 전보에서 꾸지뽕나무 줄기껍질 수용성 추출물 \( 1 \% \) 투여군에서 \( 180 \pm 4 \mathrm{~mg} / 100 \mathrm{~ml} \),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 \( 1 \% \) 투여군에서 \( 207.4 \mathrm{~mg} / 100 \mathrm{~ml} \) 로 본 실험의 \( 193.6 \mathrm{~mg} / 100 \mathrm{~ml} \) 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한편, 강원도 상엽으로부터 추출된 물 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 \alpha \)-glucohydrol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현재 당뇨병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chloropropamide가 \( 91 \% \) 의 활성을 저해시켰으나 물 추출물에서는 \( 25 \% \) 정도의 저해활성을 보인 반면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 85 \% \)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추출시의 용매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추출 음료수를 db/db 마우스에 음용시킨 후 공복시의 혈당치가 2주일 째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5주 후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 조건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 0.5 \% \) 투여에 의한 혈청 포도당 농도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던 것은 비교적 활성이 약한 수용성 추출물인 동시에 혈당치가 저하되기 시작하는 2주간의 실험기간과 인위적 또는 유전적으로 고혈당을 유발시키는 상태가 아닌 정상적 상태에서의 혈당치를 측정한 결과로서 크게 영향을 받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p>
[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콜레스테롤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어떤 동물에 주입했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콜레스테롤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어떤 동물에 주입했나요?",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호율에 대한 실험중 흰쥐에 2주간 섭취시킨건 뭐야?",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호율에 대한 실험중 흰쥐에 2주간 무엇을 섭취시켰나?", "2주간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몇프로 수준으로 콜레스트롤 식이에 첨가하여 흰쥐에 섭취시켰어?", "2주간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몇프로 수준으로 콜레스트롤 식이에 첨가하여 흰 쥐에 섭취시켰나요?", "흰쥐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 수준으로 첨가한 콜레스테롤을 섭취시켰을때 체중이 증가 했어?", "흰쥐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 수준으로 첨가한 콜레스테롤을 섭취시켰을 때 체중이 증가했나요?", "4주간 뽕잎분말을 섭취시킨 흰쥐는 무첨가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어떤것이 전혀 차이가 없는것으로 보고됐어?", "4주간 뽕잎분말을 섭취시킨 흰쥐는 무첨가의 대조군과 비교하여 어떤 것이 전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와 \\( 1 \\% \\)를 섭취시킨 흰쥐의 체중변화는 달랐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와 \\( 1 \\% \\)를 섭취시킨 흰쥐의 체중변화는 달랐나요?", "콜레스테롤 식이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흰쥐에게 섭취 시켰을때 실험군의 간장 중량은 차이가 있었어?", "콜레스테롤 식이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흰쥐에게 섭취 시켰을때 실험군의 간장 중량은 차이가 있었나요?", "흰쥐 각 조직의 중량의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어떤것을 섭취 시켰어?", "흰쥐 각 조직의 중량의 변화를 실험하기 위해 무엇을 섭취시켰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흰쥐에게 섭취 시켰을시 감소한것은 뭐야?",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흰쥐에게 섭취시켰을 때 감소한 것은?", "중성지질 농도가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섭취시킨 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성지질이 얼마나 감소했어?", "중성지질 농도가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섭취시킨 쥐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중성지질이 얼마나 감소했나요?", "콜레스트롤만 투여한 쥐는 다른 대조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했어?", "다른 대조군에 비해 콜레스트롤만 투여한 쥐는 혈청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했나?", "혈중 중성지질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 나무류는 뭐야?", "혈중 중성지질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나무류는 무엇인가?", "혈청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한 것은 뽕나무와 어떤나무의 잎과 줄기껍질이야?", "뽕나무와 어떤 나무의 잎과 줄기껍질이 혈청 중성지질 농도가 감소했나?", "십혈관계 질환인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중 등의 진단지표인 것은뭐야?", "십혈관계 질환인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중 등의 진단지표인 것은 무엇인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어떠한 질환을 유발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어떤 질환을 유발하나?",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중등 위험인자로 고콜레스테롤혈증외에 진단지표는 뭐가 있어?", "고콜레스테롤혈증 외에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중등 위험인자로 진단지표에는 무엇이 있나?", "고중성지질혈증은 유럽과 미국 등에서 동맥경화의 임상지침으로 설정되었어?", "유럽과 미국 등에서 동맥경화의 임상지침으로 고중성지질혈증이 설정되었어?", "천연자원식물인 감자 추출물은 혈중 무엇의 농도를 감소시켜?", "혈중 무엇의 농도는 천연자원식물인 감자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나?", "혈중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실험중 천연 자원식물의 섭취는 포함시키지 않아?", "혈중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실험 중 천연 자원식물의 섭취는 포함 안하나요?", "혈중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천연 자원식물은 무슨 식물이 있어?", "혈중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천연 자원식물은 무엇이 있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뽕잎 분말 및 용매 추출물의 투여하였을때 혈중지질량의 중성지질은 변화가 없었어?",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뽕잎 분말 및 용매 추출물의 투여했을 때 혈중지질량의 중성지질이 변했나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뽕나무 성분은 뭐야?",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뽕나무 성분은 무엇인가요?", "polyphenol계 화합물인 것으로 동정된 뽕나무 성분으로는 뭐야?", "뽕나무 성분으로 polyphenol계 화합물인 것으로 동정된 것은 무엇인가?", "뽕나무의 polyphenol계 화합물은 어떠한 것을 감소 시켰어?", "뽕나무의 polyphenol계 화합물은 무엇을 감소시켰나?", "꾸지뽕나무의 성분중 혈장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킨것은 뭐야?", "혈장 중성지질 농도를 감소시킨 것은 꾸지뽕나무의 성분 중 무엇인가?",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섭취시에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어?",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섭취했을 때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나요?", "뽕잎 메탄올 추출물의 병합투여에 의한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는 어떠한 상태의 쥐를 통해 실험했어?", "뽕잎 메탄올 추출물의 병합투여에 의한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는 어떤 상태의 쥐로 실험했나?", "고지혈증상태의 쥐에 뽕잎 메탄올 추출물의 병합투여하였을때 간장의 상태는 어땠어?", "간장의 상태는, 고지혈증상태의 쥐에 뽕잎 메탄올 추출물의 병합투여하였을 때 어땠나요?", "혈청 포도당 농도는 정상흰쥐에게서 얼마에 범위로 나타나?", "혈청 포도당 농도는 얼마의 범위로 정상흰쥐에게서 나타나나?", "고지혈증 상태의 흰쥐에서 혈청 포도당의 농도는 얼마의 범위로 보고 됐어?", "고지혈증 상태의 흰쥐에서 얼마의 범위로 혈청 포도당의 농도는 보고 됐나?", "정상 흰쥐와 고지혈증 상태 흰쥐는 평균 혈청 포도당의 농도가 같아?", "정상 흰쥐와 고지혈증 상태 흰쥐의 평균 혈청 포도당의 농도가 같은가요?", "정상 흰쥐의 혈청 포도당 농도는 고지혈증 흰쥐보다 높아?", "고지혈증 흰쥐보다 정상 흰쥐의 혈청 포도당 농도가 높은가?", "본 실험에서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을 투여하였을때 얼마의 결과가 나왔어?", "꾸지뽕잎 수용성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본 실험에서 얼마의 결과가 나왔나?", "꾸지뽕의 잎과 줄기껍질 투여결과 큰 차이가 있었어?", "큰 차이가 꾸지뽕의 잎과 줄기껍질 투여결과 있었나요?",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 \\alpha \\)-glucohydrolase 활성을 강원도 상엽으로부터 추출된 물 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결과 어떤것의 \\( 91 \\% \\) 의 활성을 저해시켰어?", " 강원도 상엽으로부터 추출된 물 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한 결과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 \\alpha \\)-glucohydrolase 활성을 측정했을 때, 어떤 것의 \\( 91 \\% \\) 의 활성을 저해시켰어?",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물질은 뭐야?", "당뇨병의 직접적인 원인 물질은 무엇인가?", "뽕잎 추출 음료수를 실험군에 섭취시켰을때 혈당치가 감소했어?", "실험군에 뽕잎 추출 음료수를 섭취시켰을 때 혈당치가 감소했나?", "db/db 마우스에 뽕잎 추출 음료수를 섭취시켰을씨 몇주부터 감소되기 시작했어?", "db/db 마우스에 뽕잎 추출 음료수를 섭취시켰을 때 몇 주부터 감소되기 시작했나요?", "정상적 상태에서의 혈당치를 측정한 결과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 0.5 \\% \\) 투여는 크게 영향을 받지 못했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 0.5 \\% \\) 투여는 정상적 상태에서의 혈당치를 측정한 결과, 크게 영향을 받지 못했나요?", "혈당치가 2주일 째부터 감소되기 시작한 것은 어떠한 방법이야?", "어떠한 방법으로 혈당치가 2주일 째부터 감소되기 시작했나?" ]
47072ba6-d7ac-4187-b886-7d9aae8f6926
생명LA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h2>흰쥐 각 조직중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h2><p>지질 과산화 반응은 여러 가지 독성 화합물이나 약물 또는 당뇨병 둥에 의한 병태 생리학적 현상이나 조직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는 초직내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와 생체내 항산화적 방어력의 감소로 인해 야기된다. 동물 체내에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정도의 지표로 알려져 있는 TBARS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간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내에서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 원인으로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 저하, glutathione 농도 감소 및 과산화 촉진 인자의 증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천연에 존재하는 펼수 미량원소로 지방산화를 촉진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철은 체내 \( \mathrm{H}_{2} \mathrm{O}_{2} \) 를 제거하는 catalase의 구성성분이며, 체내의 비타민 C의 함량과 \( \mathrm{H}_{2} \mathrm{O}_{2} \) 의 농도차에 의해서 지질 과산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내에서 지질 과산화 반응을 촉매하는 인자로서 보고된 바 있어 생체내 지질과산화 반응을 조사하는데 있어서 비헴철 함량 측정은 중요하다. 본 실험에서도 간장의 비헴철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 0.63 \mathrm{~ppm} \) 에 비해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군에서 \( 1.12 \mathrm{~ppm} \) 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어 상관관계가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뽕나무류 추출물의 투여 흰쥐의 간장에서 비헴철 함량과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동시에 증가한 이전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간장중의 아연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간장중의 지질 과산화 반응에는 아연 성분이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Table 5. 따라서,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군에서 간장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의 증가 원인으로 조직내 철분성분의 증가가 시사되어진다. 간장 조직 내에서 지질 과산화물의 다른 증가 원인으로서, 본 실험에 사용한 추출물은 가장 보편적인 식용방법인 열수 추출물로서 다른 유기 용매 추출물보다 과산화물 생성 억제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꾸지뽕나무 성분인 naringenin 7-O-\( \beta \)-O-glucopyranoside는 항산화 실험계에서 다른 플라보니이드 성분에 비교해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고, 또한 식이중의 첨가량이 비교적 소량인 관계로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이 생체내에 홉수된 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일정량 이하의 낮은 농도일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실제로 흰쥐 간장microsome막을 이용한 in vitro 실험계에서 꾸지뽕나무 줄기 껍질의 클로로포롬과 에탄올 추출물을 반응액 \( \mathrm{ml} \) 당 \( 1 \mathrm{mg} \) 의 농도로 첨가하여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TBARS 농도가 대조군보다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p>이상의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 0.5 \% \) 수준에서 식이중 첨가는 혈청 중성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지만, 한편 간장 조직중의 지질 과산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실제적 임상 적용에서는 보다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다.</p>
[ "어떤 반응이 여러 가지 독성 화합물이나 약물 또는 당뇨병 둥에 의한 병태 생리학적 현상이나 조직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인정되고 있는가?", "당뇨병이나 여러가지 독성 화합물 등에 의한 병태 생리학적 현상 혹은 조직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인정 되는 반응은 무엇인가?", "지질 과산화 반응은 여러 가지 독성 화합물이나 약물 또는 당뇨병 둥에 의한 병태 생리학적 현상이나 조직의 어떤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인정되고 있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은 여러 가지의 독성 화합물, 약물 혹은 당뇨병 등에 의한 병태 생리학적 현상과 조직의 \"이것\"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기전으로 인정되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어떤 스트레스의 증가가 지질 과산화 반응에 의해 야기되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에 의해 어떤 스트레스가 증가하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에 의해 생체내 무엇이 감소되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에 의해 생체 내에서 감소되는 것은 무엇인가?", "지질 과산화물 생성 정도의 지표인 무엇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는가?",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의 지표에서로 알려진 무엇을 측정 하여 실험 결과를 얻었는가?",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것은 어떤 조직의 실험결과인가?", " 대조군에 비해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증가한 것은 어떤 조직인가?", "어떤 군에서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가?",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어떤 군에서 보였는가?", "무엇의 활성 저하가 지질 과사화물의 증가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가?",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 원인이 무엇의 활성 저하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가?", "조직 내 어떤성분의 농도 감소가 지질 과산화 촉진 인자 증가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가?", "지질 과산화 촉진 인자 증가 원인으로 조직 내 어떤 성분의 농도 감소를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가?",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원인엔 어떤 것들이 있어?", "어떤 것이 지질 과산화물의 증가원인이 되는가?", "지방산화를 촉진시키는 천연 물질은 무엇인가?", "천연 물질로서 지방 산화를 촉진 시킬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가?", "철로 구성되어 있는 catalase은 무엇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인가?", "어떤 것을 철로 구성되어 있는 catalase가 제거 하는가?", "\\( \\mathrm{H}_{2} \\mathrm{O}_{2} \\) 를 제거하는 어떤 성분은 무엇인가?", "어떤 성분이 H2O2를 제거하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은 어떤 물질의 함량과 \\( \\mathrm{H}_{2} \\mathrm{O}_{2} \\) 의 농도차에 영향을 받는가?", "어떤 물질의 함량과 \\( \\mathrm{H}_{2} \\mathrm{O}_{2} \\)의 농도차에 의해 지질 과산화 반응이 영향을 받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은 비타민 C의 함량과 어떤 물질의 농도 차에 영향을 받는가?", "비타민 C의 함량과 어떤 물질의 농도차에 지질 과산화 반응이 영향을 받는가?", "비타민 C의 함량과 \\( \\mathrm{H}_{2} \\mathrm{O}_{2} \\) 의 농도는 어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어떤 반응에 비타민 C의 함량과 \\( \\mathrm{H}_{2} \\mathrm{O}_{2} \\)의 농도차가 영향을 주는가?", "무엇을 측정하는 것이 생채내 지질과산화 반응을 조사하는 데 중요한가?", "생체 내의 지질 과산화 반응을 조사하는데 무엇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가?", "대조군 간장의 비헴철 함량은 어느정도로 측정되었는가?", "어느정도로 대조건 간장의 비헴철 함량이 측정되었는가?",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을 투여한 간장의 비헴철 함량은 얼마로 측정되었는가?", "간장의 비헴철 함량을 측정한 결과 꾸지뽕 나무의 수피 추출물에서는 얼마가 나왔는가?", "간장의 비헴철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무엇이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는가?", "무엇이 있음을 간장의 비헴철 함량 측정 결과가 암시해 주고 있는가?", "흰쥐의 간장에 뽕나무류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증가한 함량은 지질 과산화물과 어떤 물질인가?", "뽕나무류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는 어떤 함량이 증가했는데 지질 과산화물과 무엇인가?", "흰 쥐의 간장에서 뽕나무류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증가한 함량은 비헴철 함량과 어떤 물질의 함량인가?", "뽕나무류 추출물을 투여한 흰쥐는 비헴철 함량과 어떤 물질 증가했는데 어떤 물질 무엇인가?", "간장중 성분 분석에서 실험군간의 차이가 없던 것은 무엇인가?", "간장 중의 어떤 함량은 실험군간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함량은 무엇인가?", "간장중의 지질 과산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성분은 무엇인가?", "무엇이 간장중의 지질 과산화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성분일까?", "지질 과산화물 함량의 증가로 인해 어떤 성분의 조직내 증가가 시사되어지는가?", "조직내 어떠한 성분의 증가가 지질 과산화물의 함량으로 시사되어지는데 어떤 성분이 무엇일까요?", "철은 어떻게 지질 과산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지질 과산화 반응에 철은 어떻게 영향을 주나요?" ]
48c1b25f-94fb-412d-9235-a769b9732968
생명LA
꾸지뽕나무 수피 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급여 흰쥐의 지질 농도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h1>요 약</h1><p>콜레스테롤 함유식이(대조군)에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을 \( 0.5 \% \) 수준에서 첨가하여 흰쥐 수컷에 2주간 급여시킨 후 혈청 및 간장 지질 농도와 과산화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교해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인지질 농도 및 간장 지질 농도는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간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의 지표인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혈청에서는 실험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간장의 비헴철 함량은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간장 지질 과산화물 증가와 깊이 관련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상의 결꽈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의 식이중 \( 0.5 \% \) 수준의 첨가에서도 혈청 중성지질 농도의 저하작용이 인정되었으나, 간장 조직에서 과산화지질 농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p>
[ "본 연구에서 혈중지질농도를 감소시켜주는 물질은 뭐야?", "본 연구에서 어떤 물질이 혈중지질농도를 낮춰주니?",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로 감소하는 것은 뭐야?",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로 줄어드는 건 무엇이야?",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에 의해 증가한 물질은 뭐야?", "어떤 물질이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로 늘어났어?", "간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마커는 뭐야?", "어떤 마커가 간장 조직의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니?", "본 실험에서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이 혈성 중성지질 농도를 저하시킨 농도는 얼마야?", " 본 실험에서 얼마나 꾸지뽕나무 수피 수용성 추출물이 혈성 중성지질 농도를 낮췄니?", "본 실험에서 간장의 지질 과산화물이 증가할 때 간장에서 증가하는 물질은 뭐야?", "본 실험에서 어떤 물질이 간장의 지질 과산화물이 증가할 때 간장에서 높아져?" ]
8ad5788b-7234-4cc4-90d3-389456ac8837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1>결과 및 고찰</h1><h2>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h2><p>생장조절제의 종자처리는 많은 작물에서 발아촉진과 휴면 타파를 위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생장조절제 중 지베렐린 처리는 배 발육이 불완전하거나 종피의 기계적 저항이 높은 종자에서 발아를 촉진시키며, 광발아성 종자에서는 광처리 효과를 대체하여 암조건에서도 발아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p><p>Table 1은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 종자를 고온 발아성을 증진시켜 여름철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의 최적 종자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생장조절제 중 \( \mathrm{GA}_{3} \) 에 처리된 종자는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BAP에 비해 높았다.</p><p>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종자는 \( 15^{\circ} \mathrm{C} \) 의 발아 온도에서 \( 34.6 \% \) 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 \mathrm{GA}_{3} \) 로 처리된 종자는 \( 1000 \mu \mathrm{M} \) 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들이 무처리보다 \(5\sim 10\%\)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최종발아율에 대해서 \( 50 \% \)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 \( \left.\mathrm{T}_{50}\right) \) 도 \( \mathrm{GA}_{3} \) 처리에 의해 단축되었다.</p><p>\( 25^{\circ} \mathrm{C} \) 에 치상된 종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발아율이 \( 15^{\circ} \mathrm{C} \) 에 비해 \(5\sim 7\%\) 높았고, \( \mathrm{T}_{50} \) 은 4일 정도 단축되어 조기발아 하였다.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은 \( 15^{\circ} \mathrm{C} \) 와 유사하여 \( \mathrm{GA}_{3} \) 처리된 종자에서 발아율이 높았고, 발아소요일수는 단축되었다. 반면 BAP 처리는 무처리 종자에 비해 발아율이 약간 향상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p><p>\( 30^{\circ} \mathrm{C} \) 에서는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이 \( 15 \% \) 에 불과하여 \( 32 \% \) 발아한 \( 25^{\circ} \mathrm{C} \) 와 비교한다면 발아율이 \( 17 \% \) 감소하여 금어초는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저온발아성 종자임이 증명되었다.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 종자를 BAP 단독처리나 \( \mathrm{GA}_{3}+\mathrm{BAP} \) 혼용처리를 하더라도 고온발아력을 증진시키지는 못했다. 반면 \( \mathrm{GA}_{3} \) 처리에 의해 고온발아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 250 \mu \mathrm{M} \) 처리는 무처리보다 \( 5 \% \) 의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발아소요일수는 생장조절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무처리 종자는 \( \mathrm{T}_{50} \) 이 3.98일 소요된 반면 \( \mathrm{GA}_{3} \) 처리된 종자들은 \( \mathrm{T}_{50} \) 이 단축하여 조기발아 하였다. 그러나 발아촉진 효과는 \( 15^{\circ} \mathrm{C} \) 나 \( 25^{\circ} \mathrm{C} \) 에 비해 낮았다.</p><p>금어초에서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은 \( \mathrm{GA}_{3} 250 \mu \mathrm{M} \) 였고, 무처리구에 비해 \( 15^{\circ} \mathrm{C} \) 에서는 \( 11.4 \%, 25^{\circ} \mathrm{C} \) 에서는 \( 15 \%, 30^{\circ} \mathrm{C} \) 에서는 \( 5 \% \) 의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종자발아는 발아촉진 물질과 억제물질의 양적 농도에 의해 결정되며, \( \mathrm{GA}_{3} \) 처리에 의해 발아가 촉진된 것은 ABA 등과 같은 발아억제 물질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저장양분의 분해를 활성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BAP 처리는 \( \mathrm{GA}_{3} \) 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낮았는데, 이는 사이토카아닌은 발아억제 요인 제거 등 발아에 간접적으로 관여하지만 지베렐린은 발아촉진에 직접 관여한다는 Khan의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p>그러나 종자 발아촉진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는 지베렐린과 사이토카아닌의 혼용처리는 두 물질간의 상조작용에 의해 발아성이 극대화 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 \mathrm{GA}_{3} \) 단독처리보다는 발아증진 효과가 낮았다.</p>
[ "종자발아의 발아율을 촉진 항상시킬 수 있는 요인 2가지는 무엇일까요?", "식물호르몬으로 세포 분열에 있어 유도조직 분화의 조절, 노화방지, 엽록소 형성촉진 등의 기능이 있다. 이 물질을 가리키는 용어늠 무엇인가요?", "고온 발아성을 증진시켜 여름철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생장조절제의 최적 종자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던것은 ?", "종자 발아촉진 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는 두 물질간의 상조작용에 의해 발아성이 극대화 효과를 보고자 했다. 그러나 GA3 단독처리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낮았다, 두물질은 무엇인가?", "GA 3로 처리된 종자는 1000 \\mu \\mathrm{M}1000μM 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들이 무처리보다 5\\sim 10\\%5∼10%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그리고 GA 3 처리 종자의 다른 효과 한가지는 무엇인가?", "생장조절제 중 \\( \\mathrm{GA}_{3} \\) 에 처리된 종자는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높았던 것은?", "GA 3로 처리된 종자는 1000 \\mu \\mathrm{M}1000μM 을 제외한 모든 처리구들이 무처리보다 최종발아율에 대해서 50 \\%50%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 \\left.\\mathrm{T}_{50}\\right)T 50 ) 도 \\mathrm{GA}_{3}GA 3처리에 의해 단축되었다. 그리고 GA3 다른효과 한가지는 무엇인가?", "금어초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하고 종자발아는 발아촉진 물질과 억제물질의 양적 농도에 의해 조절하여 발아율을 높이는 물질 두가지는 무엇인가요?", "생장조절제로 식물의 키, 줄기 성장, 발아 ,성장 호르몬 물질은 무엇인가?", "고온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 종자를 고온발아성이 향상 시킬 수 있는 처리 방법은 무엇인가요?", "생장조절제의 종자처리는 많은 작물의 무엇을 위해 폭넓게 시행되었니?", "많은 작물의 무엇을 위해 생장조절제의 종자처리가 시행되었나?", "Table 1은 어느 계절의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종자처리 조건을 살펴본 것이니?", "어느 계절의 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종자처리 조건을 살펴보기 위해 Table 1을 마련하였니?", "광발아성 종자는 광처리 효과 대신 어떤 효과를 통해 발아가 가능할까?", "광처리 효과 이외에 어떤 효과를 통해 광발아성 종자가 발아할 수 있을까?", "작물에서 발아촉진과 휴면 타파를 위해 널리 시행된 방법은 뭐니?", "발아촉진과 휴면 타파를 위하여 작물에서 폭넓게 시행된 방법은?", "배 발육이 불완전하거나, 종피의 기계적 저항이 높은 종자에서 발아를 촉진하는 처리 방식은 무엇이니?", "배 발육이 불완전하거나, 종피의 기계적 저항이 높은 종자에서 어떤 방식을 통해 발아를 촉진할 수 있니?", "금어초는 어떤 종자로 증명되었니?", "금어초는 무슨 특성을 가진 종자니?",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 종자의 경우, BAP 단독처리를 통해 고온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니?", "BAP 단독처리를 통해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 종자의 고온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 "금어초에서 발아력을 증진하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 뭐니?", "생장조절제의 어떤 조건 하에서 금어초의 발아력이 가장 잘 증진될 수 있니?", "지베렐린과 사이토카아닌은 종자 발아촉진 물질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니?", "지베렐린과 사이토카아닌은 종자 발아촉진 물질로서의 효과가 거의 없니?", "지베렐린과 사이토카아닌에 어떠한 처리를 가하였니?", "어떤 처리를 지베렐린과 사이토카아닌에 했니?",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종자의 경우, \\( 15^{\\circ} \\mathrm{C} \\) 의 발아 온도에서 \\( \\% \\)가 발화하였니?", "15∘C 의 발아 온도에서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종자의 몇 %가 발화하였어?", "최종발아율의 경우 무엇에 의해 단축되었을까요?", "무엇에 의해 최종발아율이 단축되었어?", "사이토카이닌과 지베렐린에 대한 보고를 작성한 사람은 누구니?", "누가 사이토카이닌과 지베렐린에 대한 보고를 작성하였니?", "저온발아성 종자는 식물은 무엇인가요?", "어떤 식물이 저온발아성 종자인가요?", "생장조절제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이니?", "무엇이 생장조절제에 해당 돼?", "빛에 의해 발아가 촉진되는 특성을 무엇인가?", "무화과.담배는 발아에 빛이 필요한 종자로 광처리 효과를 대체하여 암조건에서도 발아가 가능하다.이것을 무슨 종자라고 하나요?" ]
49ba44b6-6c25-4e06-8271-ce4c74b8cb68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1>재료 및 방법</h1><h2>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h2><p>본 실험에 사용된 공시품종은 富士/雪('Fujinoyuki' 중앙 화훼종묘)로서 2002년 6월중에 채종된 종자를 \( 5^{\circ} \mathrm{C} \) 의 냉장고에서 2개월간 저장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p><p>생장조절제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gibberellic acid \( \left(\mathrm{GA}_{3}\right) \) 및 6-benzylamino-purine(BAP)를 사용하였고, 처리농도는 \( 50 \mu \mathrm{M}, 100 \mu \mathrm{M}, 250 \) \( \mu \mathrm{M}, 500 \mu \mathrm{M} \) 및 \( 1000 \mu \mathrm{M} \) 였다. 또한 생장조절제 혼용처리에 의한 발아촉진 효과를 검정하고자 \( \mathrm{GA}_{3} \) 와 \( \mathrm{BAP} \) 를 각각 \( 50 \mu \) \( \mathrm{M}, 100 \mu \mathrm{M}, 250 \mu \mathrm{M}, 500 \mu \mathrm{M} \) 및 \( 1000 \mu \mathrm{M} \) 의 농도로 혼용된 용액을 조성하였다.</p><p>생장조절제의 종자처리 방법은 \( 2 \mathrm{~g} \) 의 종자를 petridish (\(9 \mathrm{cm} \) )에 넣고, 생장조절제 용액을 \( 20 \mathrm{~mL} \) 공급한 후 밀봉하여 적색광이 설치된 \( 20^{\circ} \mathrm{C} \) 에서 1 일간 처리하였다. 처리 후 종자를 증류수에 2 분간 수세하여 실온에서 12 시간 건조시킨 다음 적색광이 부여된 \( 15^{\circ} \mathrm{C}, 25^{\circ} \mathrm{C} \) 및 \( 30^{\circ} \mathrm{C} \) 의 항온기에서 발아성을 검정하였다.</p><h2>Priming 조건구명과 발아촉진 효과</h2><p>금어초 종자의 발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priming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제는 \( \mathrm{Ca}\left(\mathrm{NO}_{3}\right)_{2}, \mathrm{KNO}_{3} \), \( \mathrm{K}_{3} \mathrm{PO}_{4}, \mathrm{KCl}, \mathrm{MgSO}_{4} \) 및 PEG 6000 이었으며, 처리농도는 \(100 \mathrm{mM}, 200 \mathrm{mM} \) 및 \( 300 \mathrm{mM} \) 였다. PEG 용액의 수분포텐셜은 Michel과 Kaufmann 방법에 따라 \( -0.5 \mathrm{MPa} \) 와 \( -0.75 \mathrm{MPa} \)로 조절하였다. Priming 처리는 petridish \( (9.0 \mathrm{~cm}) \) 에 종자 2 \( \mathrm{g} \) 을 넣고 priming 화학제를 \( 20 \mathrm{~mL} \) 공급하여 적색광이 부여된 \( 20^{\circ} \mathrm{C} \) 에서 처리기간을 2 일 및 4 일간 처리하였다. Priming 처리 후 종자는 증류수에 2 분간 수세하여 '실온에서 12 시간 건조시킨 다음 적색광 처리된 \( 20^{\circ} \mathrm{C} \) 의 항온기에서 발아성을 검정하였다.</p><h2>광조건에 따른 발아성</h2><p>발아 과정중에 주어지는 광에 따른 발아양상을 조사하고자 빛이 없는 암처리와 \( 660 \mathrm{~nm} \) 의 적색광을 방사하는 light emitting diode(LED) plate(GF-520S)를 설치한 15,20,25 및 \( 30^{\circ} \mathrm{C} \) 의 항온기에서 발아성을 검정하였다. 발아실험은 pet-\( \operatorname{ridish}(9.0 \mathrm{~cm}) \) 에 흡습지 (Whatman No. 2) 2장을 펴고 각 처리 당 100 립의 종자를 3 반복으로 치상하여 실시하였다. 발아 조사는 종자를 치상한 후 18 일까지 12 시간 간격으로 하였으며, 발아 판정은 유근이 종피를 뚫고 \( 1.0 \mathrm{~mm} \) 이상 신장된 것을 기준 하였다. 최종발아율과 평균발아소요일수(MDG)는 Hartmann과 Kester 공식을 이용하였고, 최종발아율에 대한 \( 50 \% \) 발아에 소요되는 일수 \( \left(\mathrm{T}_{50}\right) \) 는 Coolbear[2] 공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그 밖의 발아실험은 ISTA[5] rule에 근거하여 시행하였다.</p><h2>묘출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종자치리 효과</h2><p>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생장조절제 처리 및 priming 처리로 분리되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각의 종자처리들은 조합처리에 비해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금어초 재배농가가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종자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생장조절제의 최적조건 \( \left(\mathrm{GA}_{3} 250 \mu \mathrm{M}, 20^{\circ} \mathrm{C}\right. \) 1일 처리)과 priming 의 최적조건( \( \mathrm{KNO}_{3} 200 \mathrm{mM} \), 2일 처리)을 조합( \( \left(\mathrm{KNO}_{3} 200 \mathrm{mM}\right. \) \( +\mathrm{GA}_{3} 250 \mu \mathrm{M}, 20^{\circ} \mathrm{C} \), 2일 처리)하여 그 효과가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으로 이어지는가를 검토하였다.</p><p>육묘시험은 파종 전처리된 종자를 상토(초록이, 농우그린택)로 채워진 105 구 트레이의 각 셀에 1립씩 파종한 후 묘출현과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묘출현율 판정은 자엽이 지면 위로 완전히 전개된 것을 기준 하였다. 생육조사는 파종한 후 40 일 생육시킨 유묘를 10 주씩 3반복으로 채취하여 생체 중, 건물중, 초장 및 엽수를 조사하였다.</p>
[ "본 실험에 사용된 공시품종은 뭐야?", "본 실험에서 활용된 공시품종은 어떤 것인가?", "실험에 사용한 종자는 언제 채종했어?", "어떤 시점에 채종된 종자가 실험에 활용되었는가?", "어떤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는가?", "어떤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는가?", "생장조절제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뭐야?", "생장조절제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고자 활용된 것은 무엇인가?", "생장조절제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처리농도는 얼마로 했어?", "처리농도를 얼마로 했을 때 생장조절제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priming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용한 화학제는 뭐야?", "금어초 종자의 발아력의 극대화를 위한 priming 조건에 사용된 화학제는 무엇인가?", "PEG 용액의 수분포텐셜은 Michel과 Kaufmann 방식에 의해 어떻게 조절했어?", "Michel과 Kaufmann 방식으로 PEG 용액의 수분포텐셜은 어떻게 조절이 이루어졌는가?", "마중물 실험에 대해서 페트리디쉬에 종자 4 \\( \\mathrm{g} \\) 을 투입시킨거야?", "페트리디쉬에 종자 4g을 투입할 때 마중물 실험이 진행되는가?", "어떤것을 탐구하기위해서 \\( 660 \\mathrm{~nm} \\) 의 적색광을 내뿜는 발광 다이오드 plate를 설치한 항온기에서 발아성을 확인한거야?", " 660 \\mathrm{~nm}660 nm 의 적색광을 내뿜는 발광 다이오드 plate를 설치한 항온기는 무엇을 통해 발아성을 검정할 수 있는가?", "발아에 대한 탐구는 종자를 치상한 후 18 일동안 얼마를 주기로 한거야?", "종자 치상 후 18 일동안 몇 시간을 간격으로 둘 때 발아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는가?", "최종발아율과 평균발아소요일수에 사용한 식은 뭐야?", "최종발아율과 평균발아소요일수를 위해 활용한 식은 무엇인가?", "광조건에 따른 발아성에 대해서 그 밖의 발아실험은 어떤것을 근거로 수행했어?", "광조건에 따른 발아성을 제외한 발아실험 시행을 위해 기반이 된 것은?",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을 확대하기 위해 이용한 방법은 뭐야?", "금어초 종자의 발아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식은 무엇인가?" ]
3373aca0-4149-44da-aeb2-528b5987c0c7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1>서 론</h1><p>현삼과에 속하는 금어초는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고 유럽에서는 주로 화단용으로 미국에서는 절화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금어초는 식물학상으로는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개화하는 추식 숙근초이지만 실용적으로는 일년초로 취급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초화류 중에서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작물이다. 소비형태는 국화에 이어 화환용으로 연중 소비되고 있다.</p><p>금어초는 장일성으로 꽃눈분화에 12 시간 이상의 일장을 필요로 하며, 개화특성에 따라 하계종과 동계종으로 나눈다. 하계종은 5월부터 9월경까지 재배하는 노지형으로 장일에서 개화가 원활한 중 - 만생종 품종들이 적합하다. 동계종은 일시개화성이 좋으며, 일장에 둔감한 조생계 품종이 적합하나, 최근에는 단일이나 장일 동 일장조건에 관계없이 개화가 잘 되는 촉성용인 1대잡종 품종들이 겨울철 시설재배에 각광을 받고 있다.</p><p>꽃색은 백색, 황색, 분홍, 오렌지, 진홍, 선적색 등 색채가 다양하나,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크고 화려하면서 절화가 가능한 butterfly type의 백색계통을 선호하고 있다. 반면 파스텔 계통들은 백색계통보다는 선호도가 낮으나 외국에서 소비가 급증하는 추세로 보아 국내에서도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며, 최근에는 겹꽃종과 3 배체 품종도 육성되어 보급되는 단계에 있다.</p><p>금어초는 가격이 비싼 12 월에 출하하기 위해서는 8 월의 고온기에 파종해야만 고수익을 올릴 수 있으나, 금어초는 저온발아성으로 고온에서는 저조한 묘출현율이 문제되고 있다. 금어초의 재배형태는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한 묘를 본포에 정식하는 작형을 취하고 있으나, 기계화 파종하기에는 종자크기가 미세(천립중 \( 0.16 \mathrm{~g} \) )하기 때문에 손파종에 의존하고 있다. 손파종은 기계화 파종에 비해 파종균일도가 떨어지고 묘출현 후 보식과 이식을 해야 하며, 이에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고 있다.</p><p>따라서 금어초가 농가소득 작물로 부각되기 위해서는 기계파종이 가능한 코팅종자의 이용과 아울러 고온에서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p><p>원예작물에서 발아증진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로는 생장조절제 처리, priming 처리, 광 처리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금어초에 관한 연구는 절화 수명 연장과 절화품질 향상에 국한되어 있을 뿐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종자처리 방법을 모색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는 금어초가 화훼류 중에 서 주된 소득작물이 아닌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 절화용과 조경화초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 따라 앞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p><p>본 연구는 고온에서 발아가 불량한 금어초의 발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의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 파종전 종자처리에 의한 유용효과가 묘출현과 초기생육으로 이어지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p>
[ "금어초는 어느과에 속하는가?", "금어초가 포함되어있는 과는 무엇인가?", "현삼과에 속하는 무엇이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는가?", "현삼과에 속하며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은 무엇인가?", "현삼과에 속하는 금어초의 원산지는 어디라고 알려져 있는가?", "현삼과에 속하는 금어초가 처음으로 발견된 곳은 어디인가?", "현삼과에 속하는 금어초는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고 어느 지역에서는 주로 화단용으로 이용되고 있는가?", "현삼과에 속하는 금어초는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는데 화단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나라는 어디인가?", "금어초는 어떤 용도로 유렵에서 주로 이용되는가?", "금어초가 유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도는 무엇인가?", "금어초를 절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지역은 어디인가?", "어떤 나라에서 금어초를 절화용 널리 사용하는가?", "금어초를 어떤 용도로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는가?", "미국에서는 어떤 목적으로 금어초를 사용하는가?", "금어초는 헌삼과에 속하는가?", "헌삼과에 금어초가 포함되는거야?",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금어초의 원산지인가?", "금어초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의 남부유럽과 북아프리카가 맞니?", "유럽에서 절화용으로 금어초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가?", "유럽에서 금어초는 절화용을 목적으로 잘 이용되고 있어?", "미국에서 절화용으로 금어초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가?", "금어초는 미국에서 절화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어?", "어느 계절에 금어초는 식물학상 파종하는가?", "식물학상 금어초를 파종하는 계절은 언제야?", "식물학상 가을에 파종하는 금어초는 어느 계절에 개화하는가?", "식물학상 금어초르 가을에 파종하는데, 개화시기는 언제야?", "식물학상 가을에 파종하고 봄에 개화하는 금어초는 무엇이라 하는가?", "금어초는 식물학상 가을에 파종하고 봄에 개화하는데, 이를 뜻하는 단어는 무엇인가?", "실용적으로 금어초는 무엇으로 취급 돼?", "실용적으로 금어초를 취급할 때는 뭐라고 해?", "식물학상 금어초는 가을에 파종하여 봄에 개화하는 추식 숙근초인가?", "식물학에서 가을에 파종하고 봄에 개화하는 금어초는 추식 숙근초가 맞는가?", "어떤 꽃에 이어 금어초는 화환용으로 연중 소비되고 있는가?", "금어초는 화환용으로 연중 소비되고 있는데, 금어초보다 소비량이 더 많은 건 무엇인가?", "어떤 용도로 금어초가 연중 소비되고 있는가?", "금어초가 연중 사용되는 용도는 무엇인가?", "금어초는 국화에 이어 절화용으로 연중 소비되는가?", "국화다음으로 금어초가 소비되는 방식은 절화용이 맞는가?", "꽃눈분화에 12시간 이상의 일장을 필요로 하는 금어초의 특징은 무엇인가?", "꽃눈분화에 12시간 이상의 일장을 필요로 하는데 금어초의 어떤 특징 때문일까?", "금어초는 꽃눈분화에 몇 시간 이상의 일장이 필요한가?", "금어초는 꽃눈분화에 일장을 몇 시간 이상 해야할까?", "무엇에 따라 금어초를 하계종과 동계종으로 나눌 수 있는가?", "금어초를 하계종과 동계종으로 구분지을 수 있는 건 무엇일까?", "금어초는 16시간 정도의 일장이 필요한가?", "금어초의 일장 시간은 16시간인가?", "개화특성에 따라 금어초를 2개종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 "금어초는 개화특성에 따라서 2개종으로 나눌 수 있는가?", "5월부터 9월까지 재배하는 노지형이 특징인 종은 무엇인가?", "어떤 종이 5월부터 9월까지 재배하는 노지형의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노지형이 특징인 하계종은 어떤 품종들에 적합한가?", "어떤 품종이 노지형이 특징인 하계종에 알맞은가?", "10월에 하계종을 재배할 수 있는가?", "하계종은 10월에 재배가 가능해?", "일시개화성이 좋다는 특징을 가진 종은 무엇인가?", "어떤 종이 일시개화성에 장점이 있어?", "동계종은 어떤 특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는가?", "동계종이 가지는 특징 중 장점은 뭐야?", "어떤 품종들이 동계종으로 적합한가?", "동계종으로 알맞은 품종들은 뭐야?", "겨울철 시설재배에 각광을 받고 있는 품종은 무엇인가?", "겨울철 시설재배에는 어떤 품종들이 인기가 있어?", "일장에 둔감한 것이 동계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가?", "동계종은 일장에 둔감한 편이야?", "중 - 만생종 품종은 동계종 중 하나인가?", "동계종 중에 중 - 만생종 품종이 포함되니?", "우리나라에서 선호하는 꽃의 계통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계통의 꽃을 좋아해?", "금어초는 색채의 다양성이 특징인가?", "색채의 다양성은 금어초의 특징이 맞아?", "금어초의 크기가 작을 수록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많은가?", "우리나라에서는 금어초의 크기가 소형일수록 인기가 많은 편이야?",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금어초 계통은 무엇이 가능한가?",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금어초 계통에서 가능한 건 어떤 거야?", "외국에서 소비가 급증하는 계통은 어떤 계통인가?", "어떤 계통이 해외에서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최근에 육성되어 보급되는 품종은 무엇인가?", "어떤 품종이 최근에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어?", "백색계통의 선호도가 파스텔 계통보다 높은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인가?", "우리나라는 백색계통을 파스텔 계통보다 더 좋아하는가?", "외국에서 소비가 급증하는 파스텔 계통은 우리나라에서 선호도가 백색계통보다 낮은가?", "외국에서 소비가 급증하는 파스텔 계통은 우리나라에서 인기가 백색계통보다 적어?", "국내에서 수요가 감소될 것이라고 예측되는 계통은 파스텔 계통인가?", "파스텔 계통은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되는가?", "금어초는 언제 가장 가격이 비싸?", "금어초의 가격이 가장 높을 때는 언제야?", "가격이 비싼 12월에 출하하기 위해 언제 파종해야하는가?", "파종은 언제 해야 가격이 높은 12월에 출하가 가능해?", "고온에서 묘출현율이 저조한 것은 금어초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금어초의 어떤 특성때문에 고온에서 묘출현율을 저조하게 만들어?", "금어초의 특성인 저온발아성으로 인해 무엇이 저조해지는가?", "금어초의 특징인 저온발아성으로 저조해지는 건 어떤 거야?", "금어초의 가격이 가장 저렴할 때는 12월인가?", "12월에 금어초의 가격이 제일 저렴해?", "고온에서 묘출현율이 높다는 것은 금어초의 특징인가?", "금어초의 특징 중에 고온에서 묘출현율이 높다는 것도 맞아?", "어디에서 육묘한 묘를 본표에 정식하는 방법으로 금어초를 재배하는가?", "금어초 재배 시, 본표에 정식하기 위해서 묘를 어디에서 육묘해야할까?", "금어초는 종자크기가 미세하여 어떤 파종에 적합하지 않은가?", "종자크기가 미세한 금어초에 알맞지 않은 파종방식은 무엇인가?", "금어초의 종자크기가 미세하기 때문에 어떤 파종에 의존하는가?", "종자크기가 미세한 금어초는 어떤 방식으로 파종을 해야하는가?", "금어초의 종자크기가 커서 기계화 파종에 어려움을 겪는가?", "금어초의 기계화 파종이 어려운 이유는 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인가?", "파종균일도는 손\u0010파종에 비해 어떤 파종법이 더 높아?", "손파종보다 파종균일도가 더 높은 파종법은 뭐야?", "기계화 파종에 비해 순 파종은 많은 무엇이 요구되는가?", "기계화 파종보다 순 파종에서 많이 요구되는 건 뭐야?", "파종균일도가 낮은 것이 순파종의 특징인가?", " 순파종의 특징 중 파종균일도가 낮다는 점도 맞아?", "적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것은 순파종의 특징인가?", "순파종의 특징은 적은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거야?", "고온에서 발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금어초는 어떤 작물로 부각될 수 있는가?", "고온에서 발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생긴다면, 어떤 작물로서 금어초가 부각될 수 있을까?", "기계 파종이 가능한 종자를 무엇으로 부르는가?", "어떤 종자가 기계 파종을 할 수 있어?", "고온에서 발아율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마련된다면 금어초는 농가소득 작물로 부각될 수 있는가?", "금어초가 농가소득 작물로서 부각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발아율을 낮추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한다.", "생장조절제 처리, priming 처리 등의 방법은 무엇을 위해 제안된 방법이야?", "어떤 이유로 생장조절제 처리, priming 처리 등의 방법을 제안했어?", "생장조절제 처리, priming 처리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어떤 작물의 파종 전 종자처리를 할 수 있는가?", "생장조절제 처리, priming 처리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파종 전 종자처리가 가능한 건 어떤 작물이야?", "생장조절제 처리 방법은 원예작물의 발아증진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로 제안되는가?", "원예작물의 발아증진을 위한 파종전 종자처리로 제시하는 것은 생장조절제 처리 방법이야?", "기존의 연구는 금어초의 어떤 특징에 국한되어있는가?", "금어초에 대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
11fef56e-bed4-4a04-9438-810c2588e856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2>Priming 처리에 의한 발아증진 효과</h2><p>종자 priming은 낮은 수분압을 가진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여 발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자처리이지만 아직까지 금어초에서 priming 효과를 검정한 연구는 없었다.</p><p>Table 2 는 금어초 종자에서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최적 priming 처리기간과 화학제를 설정하기 위하여 \( \mathrm{KNO}_{3} \) 비롯한 6종의 화학제로 priming 처리하여 발아성을 조사한 것이다. 금어초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소요일수에는 priming 처리기간, 화학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p><p>Priming 화학제의 종류와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2일간 priming 처리가 4 일간 처리된 종자보다 발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발아가 촉진되었다.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 53.3 \% \) 였으나,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 \mathrm{K}_{3} \mathrm{PO}_{4} \) 를 제외한 모든 화학제에서 무처리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 \mathrm{K}_{3} \mathrm{PO}_{4} \) 로 priming 처리된 종자는 \( 36 \% \) 이하의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는데, 이러한 현상은 priming 처리기간이 길어지고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뚜렷하였다.</p><p>Priming 화학제 가운데 \( \mathrm{KNO}_{3} \) 용액으로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높은 발아율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발아속도도 빨랐다. 비활성 화학제인 PEG로 priming 처리하면 처리기간에 관계없이 비교적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 \mathrm{KNO}_{3} \) 보다는 발아증진 효과가 낮았다.</p><p>발아력 증진시킬 수 있는 priming 조건은 작물에 따라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금어초에서 발아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priming 조건은 \( 20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용액으로 \(20^{\circ} \mathrm{C} \) 에서 2일간 처리였으며,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은 \( 14 \% \) 증진되었고, 발아일수는 3.5일 단축되었다.</p><h2>광조건에 따른 발아성</h2><p>광발아성 종자의 발아에는 광질이 관여하며, 발아과정 중에 주어지는 광조건에 따른 금어초 종자의 발아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금어초를 암조건에서 발아시키면 발아율이 저조하였으나 적색광이 주어지면 암조건에 비해 발아율이 \( 15 \sim 20 \% \) 향상되었다. 발아속도 또한 적색광을 부여하면 조기발아하여 금어초는 광발아성 종자였다.</p><p>광발아성 종자의 발아는 서로간의 광가역 반응이 일어나는 phytochrome red(Pr)와 phytochrome far-red(Pfr)로 이루어진 phytochrome의 기작에 지배되며 Pr에 비해 Pfr의 비율이 높은 상태에서 발아가 촉진된다. 발아중에 적색광을 처리한 금어초는 암조건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였는데, 이는 암조건에서는 \( \operatorname{Pr} \) 상태로 존재하던 phytochrome이 적색광 처리에 의해 Pfr 상태로 전환되어 발아율을 향상시킨 것으로 함축된다.</p><p>따라서 금어초 종자의 발아 및 묘출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종이 이루어진 넓은 면적의 포장에서 인위적으로 빛을 조절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적색광 처리를 한 후 파종하는 방법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p>
[ "종자 priming은 어떻게 발아력을 향상시켜?", "어떻게 종자 priming은 발아력을 증진시켜?", "종자 priming은 낮은 수분압을 가진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여 어떤 장점을 가져?", "어떤 이점이 종자 priming은 낮은 수분압을 가진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면 생겨?", "금어초에서 priming 효과를 검정한 연구는 이전까지는 없었어?", "이전까지는 금어초에서 priming 효과를 검정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어?", "낮은 수분압을 가진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여 발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자처리방법은 어떤 방법이야?", "어떤 종자처리방법으로 낮은 수분압을 가진 용액에 종자를 침지하여 발아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 "\\( \\mathrm{KNO}_{3} \\)는Table 2에 priming 처리하여 발아성을 조사할 때, 사용되었어?", "Table 2에 priming 처리하여 발아성을 조사할 때 \\( \\mathrm{KNO}_{3} \\)가 사용되었어?", "Table 2에서 \\( \\mathrm{KNO}_{3} \\) 비롯한 6종의 화학제로 priming 처리하여 발아성을 왜 조사한거야?", "Table 2에서 왜 \\( \\mathrm{KNO}_{3} \\) 비롯한 6종의 화학제로 priming 처리하여 발아성을 알아본거야?", "금어초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소요일수에는 어떤 요인들이 작용해?", "어떤 요인들이 금어초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소요일수에 영향을 미쳐?", "priming 처리기간, 화학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는 어떤 것에 영향을 줘?", "화학제의 종류, 처리농도와 priming 처리기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뭐야?", "priming 처리기간이 2배로 늘어나더라도 금어초 종자의 발아율에는 영향이 없어?", "금어초 종자의 발아율에 priming 처리기간이 2배로 걸리더라도 영향이 없어?",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발아소요일수가 동일한 금어초 종자는 priming 처리기간, 화학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어?", "발아소요일수가 동일한 금어초 종자는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priming 처리기간, 화학제의 종류 및 처리농도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어?", "priming 처리를 길게할수록 종자의 발아율이 증가해?", "종자의 발아율이 증가하려면 priming 처리를 오래 해야 할까?", "2일간 priming 처리가 4 일간 처리된 종자보다 발아율이 전반적으로 낮았어?", "4일간 priming 처리가 2일간 처리된 종자보다 발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어?", "Priming 화학제의 종류와 처리농도가 달라지면 2일간의 priming 처리가 4 일간 처리된 종자보다 발아율이 낮을 수 있어?", "2일간의 priming 처리가 Priming 화학제의 종류와 처리농도가 바뀌면 4 일간 처리된 종자보다 발아율이 낮을 수 있어?", "무처리 종자의 발아율은 얼마야?", "무처리 종자는 어느 정도의 발아율을 보이지?",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모든 화학제에서 발아율이 \\( 53.3 \\% \\)보다 높았어?", "모든 화학제에서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발아율이 \\( 53.3 \\% \\)을 넘었어?", "\\( \\mathrm{K}_{3} \\mathrm{PO}_{4} \\) 를 사용한 화학제에서의 종자 발아율은 \\( 53.3 \\% \\)보다 낮아?", "종자 발아율은 \\( \\mathrm{K}_{3} \\mathrm{PO}_{4} \\) 를 사용한 화학제에서 \\( 53.3 \\% \\)을 넘지 못해?", "\\( 36 \\% \\) 이하의 저조한 발아율을 보인 종자는 어떤 종자야?", "어떤 종자가 \\( 36 \\% \\) 이하의 저조한 발아율을 나타냈어?", "\\( \\mathrm{K}_{3} \\mathrm{PO}_{4} \\) 로 priming 처리된 종자는 priming 처리기간이 길어지고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낮아지는 현상은 줄어들었어?", "priming 처리기간이 길어지고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 \\mathrm{K}_{3} \\mathrm{PO}_{4} \\) 로 priming 처리된 종자에서 덜 나타났어?", "Priming 화학제 가운데 어떤 용액으로 처리된 종자가 높은 발아율과 발아속도를 보였어?", "Priming 화학제로 처리된 종자 중에서 어떤 용액이 높은 발아율과 발아속도를 나타냈어?", "\\( \\mathrm{KNO}_{3} \\) 용액으로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처리 농도에 따라서 발아율과 발아속도가 달랐어?", "처리 농도에 따라서 \\( \\mathrm{KNO}_{3} \\) 용액으로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발아율과 발아속도에 차이점이 생겼어?", "\\( \\mathrm{KNO}_{3} \\) 용액으로 어떤 과정을 거치면 높은 발아율과 발아 속도를 보여?", "어떤 과정을 \\( \\mathrm{KNO}_{3} \\) 용액으로 거치면 높은 발아율과 발아 속도를 나타내?", "Priming 화학제 가운데 \\( \\mathrm{KNO}_{3} \\) 용액으로 2일간 priming 처리된 종자는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은 높았지만 발아 속도는 낮았어?", "2일간 Priming 화학제 가운데 \\( \\mathrm{KNO}_{3} \\) 용액으로 priming 처리된 종자는 처리농도에 상관없이 발아율은 높았지만 발아 속도는 낮았어?", "발아력 증진시킬 수 있는 priming 조건은 뭐에 따라 달라져?", "무엇에 따라 발아력 증진시킬 수 있는 priming 조건이 바뀌나?", "작물에 따라 달라지는 조건은 무슨 조건이야?", "무슨 조건이 작물에 따라 바뀌는 조건이야?", "PEG는 비활성 화학제야?", "비활성 화학제로 PEG가 있어?" ]
25e1f14e-7713-40be-9bfd-a2a43d4ff49c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1>요약</h1><p>금어초에서 발아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생장조절제 최적 처리조건은 \( \mathrm{GA}_{3} 250 \mu \mathrm{M} \) 처리였다. 생장조절제 종류 중 \( \mathrm{GA}_{3} \) 가 BAP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 \mathrm{GA}_{3}+\mathrm{BAP} \) 혼용하면 발아촉진의 상승작용은 크지 않았다. 금어초에서 발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적 priming 조건은 \( 20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화학제로 2 일간 처리였는데,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은 \( 14 \% \) 증진되었고, 발아일수는 3.5일 단축되었다. 금어초의 발아적온은 \( 15 \sim 25^{\circ} \mathrm{C} \) 였고, \( 30^{\circ} \mathrm{C} \) 이상의 온도에서는 발아율이 \( 20 \% \) 이하로 저하되어 금어초는 저온발아성 종자였다. 금어초는 발아중에 주어지는 광조건에 따라 발아율이 달랐다. 암상태에서는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으나 발아과정중에 적색광이 주어지면 암조건에 비해 발아율이 \(15\sim 20\%\) 상승되었다. 금어초에서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종전 종자처리는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보다는 priming과 \( \mathrm{GA}_{3} \) 조합한 처리였다.</p>
[ "금어초의 생장조절체 최적 처리조건은 무엇인가?", "금어초의 생장조절체에 대한 최적 처리조건으로 무엇이 있지?", "생장조절체 최적 처리조건으로 \\( \\mathrm{GA}_{3} 250 \\mu \\mathrm{M} \\) 처리를 갖는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생장조절체 최적 처리조건으로 \\( \\mathrm{GA}_{3} 250 \\mu \\mathrm{M} \\) 처리를 갖고 있지?", "\\mathrm{GA}_{3} 250 \\mu \\mathrm{M} \\) 처리조건은 금어초에서 무엇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건인가?", "\\mathrm{GA}_{3} 250 \\mu \\mathrm{M} \\) 처리조건은 금어초에서 무엇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거지?", "BAP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던 생장조절제는 무엇인가요?", "BAP보다 발아증진 효과가 높았던 것은 어떤 생장조절제지?", "\\( \\mathrm{GA}_{3} \\)가 BAP대비 높았던 것은 뭐야?", " BAP대비 \\( \\mathrm{GA}_{3} \\)가 컷던 것은 뭐지?", "\\( \\mathrm{GA}_{3} \\)는 생장조절제 종류 중 하나니?", "생장조절제 종류 중 하나가 \\( \\mathrm{GA}_{3} \\)니?", "\\( \\mathrm{GA}_{3}와 \\mathrm{BAP} \\)를 혼용했을 때 효과가 크지 않았던 것은 무엇인가요?", "\\( \\mathrm{GA}_{3}와 \\mathrm{BAP} \\)를 혼용했을 때 어떤 효과가 크지 않았죠?", "금어초에서 발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어떤 화학제인가?", "어떤 화학제가 금어초에서 발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지?", "금어초에서 \\( 20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화학제로 2일간 처리했을 때 무처리 대비 증진된 발아율은 몇 퍼센트인가요?", "금어초에서 \\( 200 \\mathrm{mM} \\) 의 \\( \\mathrm{KNO}_{3} \\) 화학제로 2일간 처리했을 때 발아율은 무처리 대비 몇 퍼센트 증가했지?", "금어초는 \\( 30^{\\circ} \\mathrm{C} \\) 이상의 온도에서 발아율이 몇 퍼센트 이하로 감소되었나?", "금어초는 발아율이 \\( 30^{\\circ} \\mathrm{C} \\) 이상의 온도에서 몇 퍼센트 이하로 줄어들었지?", "금어초는 저온발아성 종자가 맞아?", "저온발아성 종자에는 금어초도 있어?", "금어초의 발아율이 달랐던 조건은 무엇이 있는가?", "어떤 조건으로 인해 금어초의 발아율이 달랐지?", "금어초는 광조건에 따라 발아율이 달라지는데 저조한 발아율을 보인 환경은 무엇인가?", "금어초는 광조건에 따라 발아율이 달라지는데 발아율이 저조했던 환경으론 어떤 것이 있지?", "금어초의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이 향상되는 파종전 종자처리는 뭐야?", "금어초의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을 개선시키는 파종전 종자처리는 어떤 거지?", "priming과 \\( \\mathrm{GA}_{3} \\) 조합한 처리는 금어초의 무엇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처리 방법인가?", "금어초의 무엇이 priming과 \\( \\mathrm{GA}_{3} \\) 조합한 처리로 개선되지?",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는 파종전 종자처리 방법 중 하나인 게 맞니?",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는 파종전 종자처리 방법에 포함되는 것이 맞아?" ]
311dcf38-1734-43fd-8890-8a5033a8f52e
생명LA
식물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가 금어초 종자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h2>묘출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종자처리 효과</h2><p>금어초에서 묘출현율은 파종될 때의 환경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한발, 과습, 저온 등은 입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지금까지 입묘율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실내에서 종자처리를 한 후 파종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고, 실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발아촉진 효과들이 포장조건에서 그대로 재현되지 않아 영농현장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일련의 실험을 통해서 확립된 단독 생장조절제 및 priming 처리와 두 종자처리의 조합이 포장조건에서도 묘출현과 초기생육 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p><p>종자처리를 가하지 않은 무처리 종자는 \(52\%\)의 묘출현율을 보였고,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5 9\%\) 향상되었다. 묘출현율의 증진효과는 \( \mathrm{GA}_{3} \) 및 priming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는 두 처리를 조합한 처리에서 높았다.</p><p>\( 50 \% \)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도 무처리 종자는 16 일이 소요된 반면 \( \mathrm{GA}_{3} \) 처리된 종자는 무처리보다 1 일 빨랐고, priming 처리 및 priming과 \( \mathrm{GA}_{3} \) 처리를 조합하면 무처리보다 2일 빨랐다. 생장조절제와 priming의 조합처리 효과는 선행 연구에 의해서도 증명된 바 있고, Kang 등은 들깨에서 priming 화학제에 \( \mathrm{GA}_{3} \) 를 첨가하면 휴면타파 뿐만 아니라 발아가 증진된다고 하였다. 또한 Khan과 Saminy는 priming 화학제에 \( \mathrm{GA}_{3} \) 를 첨가하여 priming 처리된 상추종자는 ABA와 같은 발아억제 물질이 존재하더라도 높은 발아력을 보였다고 하였다.</p><p>금어초에서 파종전 종자처리는 묘출현율 향상뿐만 아니라 초기생육도 촉진하였다. 무처리 종자를 파종하여 40 일간 생육시킨 유묘의 생체중은 \( 852 \mathrm{mg} \) 였고, 건물중은 \( 66 \mathrm{mg} \) 였다. 파종전에 단독 \( \mathrm{GA}_{3} \) 와 priming 처리를 한 후 파종하면 무처리보다 유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priming과 \( \mathrm{GA}_{3} \) 를 조합한 처리는 단독 \( \mathrm{GA}_{3} \) 처리나 priming 처리에 비해 유의성은 인정된다고는 볼 수 없으나 건물생산량이 높았다.</p><p>Priming 처리 후 40 일간 생육시킨 유묘의 초장은 \( 3.9 \mathrm{~cm} \)였고, 대조구도 \( 3.9 \mathrm{~cm} \) 였다. 따라서 priming 처리는 금어초 의 길이생장을 향상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priming 과정중 \( \mathrm{GA}_{3} \) 첨가하면 유묘의 길이생장은 향상되었으나 현저한 수준은 아니었다. 일반적으로 \( \mathrm{GA}_{3} \) 처리된 종자는 묘출현 후 부피 생장이 동반되지 않은 과다한 길이 생장으로 묘가 연약해 질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묘가 연약해지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p><p>무처리 종자를 파종하여 40 일간 생육시킨 유묘의 엽수는 7.8개 였으나, 단독 \( \mathrm{GA}_{3} \) 와 priming 처리 및 priming \( +\mathrm{GA}_{3} \)를 조합처리 한 후 생육시킨 묘는 엽수가 8.5개로 대조구보다 0.6개 더 많았다.</p><p>따라서 금어초에서는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보다는 priming과 \( \mathrm{GA}_{3} \) 조합한 처리가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이는 곧 정식 활착율과 절화의 품질향상에도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
[ "금어초에서 묘출현율은 무엇에 영향을 받게 되는가?", "입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지금까지 입묘율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어떤 방법이 제안되었는가?", "실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발아촉진 효과들이 영농현장에 적용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포장조건에서도 묘출현과 초기생육 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실험으로 어떤 것들을 하였는가?", "묘출현율의 증진효과가 높은 방법은 무엇인가?", "묘출현에 소요되는 일수는 처리 방법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나?", "Kang 등은 들깨에서 무엇을 첨가하면 휴면타파, 발아 증진이 된다고 하였는가?", "금어초에서 묘출현율 향상과 초기생육 촉진을 가져오는 방법은 무엇인가?", "priming 처리는 금어초 의 길이생장을 향상시키는가?", "금어초에서 묘출현율과 초기생육을 향상 시킬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종자처리를 가하지 않은 무처리 종자의 묘출현은 얼마인가?", "단독 \\( \\mathrm{GA}_{3} \\) 및 priming 처리된 종자는 묘출현율이 무처리에 비해 몇 % 향상되었나?" ]
d9963651-57d0-458c-84ce-293bc917932a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1>서 론</h1><p>오늘날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은 자신의 잠재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식이요법과 과학적인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운동보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보조물은 운동수행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흔히 사용하고 있다.</p><p>보조물에 대한 효과들이 보고되면서 운동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운동향상보조물 사용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중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이 옥타코사놀인데 옥타코사놀은 쌀겨와 밀의 씨눈, 사탕수수 등에 극소량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향상, 스트레스 저항 강화, 기초대사율 향상, 심폐지구력 향상, 피로감 감소, 지방 이용률 증가, 글리코겐 축적과 촉진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며 계절에 따라 1회의 휴식 없이 수천 킬로를 서식지로 이동하는 철새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옥타코사놀 섭취는 최대산소섭취량 증가 및 심장에 대한 부담감 감소와 혈액응고 작용과 심장기능을 강화시켜 지구력을 향상시키고,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을 감소시키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농도를 증가시켜 고지혈증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심장질환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태권도 운동과 옥타코사놀 섭취가 태권도 선수의 혈중 피로물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p><p>옥타코사놀 섭취는 훈련된 쥐의 근육에서 산화능력과 근글리코겐 저장능력이 증가하여 운동전에 옥타코사놀을 섭취하는 경우 글리코겐 축적량이 약 \( 30 \% \) 향상시키며, 특히 에너지원으로 근육 내 지방세포로부터 유리지방산 동원을 증가시켜 근육의 지방분해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p><p>운동수행 시 피로물질과 면역은 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과 신체활동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중 백혈구아형과 면역글로불린은 인체를 방어하는 면역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피부, 폐, 혈액, 근육 등, 여러 부분에서 발생하여 수면 부족, 정신적 스트레스, 영양 부족, 체중 감소 등의 감염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p><p>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체급경기 선수를 대상으로 철분과 크레아틴 섭취에 따른 운동능력, 혈액성분, 피로요인, 면역세포 등에 관한 선행연구는 있으나 체급경기 선수들이 자신의 한계체중에서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단기간 체중감량에 따른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p><p>이에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감량 시 옥타코사놀 섭취가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과학적 체중감량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p>
[ "옥타코사놀 섭취가 고지혈증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심장질환에 도움을 주는 이유가 뭐야?", "운동수행 시 피로물질과 면역은 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건강과 신체활동에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중 백혈구아형과 면역글로불린이 부족하면 어떤 위험을 증가시켜?", "선행연구에서 태권도 운동과 옥타코사놀 섭취가 태권도 선수에게 어떤 효과를 주는 거야?", "옥타코사놀은 누구의 중요한 에너지원이야?", "인체를 방어하는 면역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두가지는 뭐야?", "훈련된 쥐의 근육에서 산화능력과 근글리코겐 저장능력이 증가하여 운동전에 옥타코사놀을 섭취하는 경우에 글리코겐 축적량이 얼마나 증가해?", "옥타코사놀의 효과는 뭐야?", "옥타코사놀 섭취가 근육의 지방분해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 "쌀겨와 밀의 씨눈, 사탕수수 등에 극소량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은 뭐야?" ]
37b4cd41-cf46-43e1-b9fa-6c1862dc0702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2>실험 방법</h2><h3>체중 감량</h3><p>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과 비섭취 감량군은 6일간 \( 5 \% \) 이상 감량하였으며 감량은 식사제한과 운동을 통해 2일 간격으로 야간훈련 실시 전에 자신의 체중을 체크하여 선수들이 일반적으로 행하는 태권도 훈련을 실시하였다. 합숙기간 동안 훈련내용은 오전 운동(09:30\(\sim\)11:30)과 오후 운동(2:30\(\sim\)5:30) 및 야간 운동(7:30\(\sim\)9:30)으로 구분해서 실시하였다. 식사는 평소에 섭취하는 칼로리량을 계산하여 2일 간격으로 점차적으로 줄이는 식사제한을 적용하였다.</p><h3>식사 처방</h3><p>식사 처방의 총에너지는 실험 전 3일 동안의 체급별로 칼로리량을 산출하여 섭취열량 및 비율을 한국영양학회에서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CAN-P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일 에너지 소요랑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계산방식은 "1일 기초 대사량+(1일 기초대사량×생활 활동지수)+특이동적 작용에 의하여 쓰이는 에너지"를 사용하였으며 에너지 배분비율은 사전 측정치에 의거하여 1일 에너지 섭취열량을 실험군은 체급별로 키와 몸무게를 산출하였으며 탄수화물 \( 60 \% \), 지질 \( 20 \% \), 단백질 \( 20 \% \) 비율로 하였으며 통제그룹은 평소 칼로리량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전문영양사로 하여금 합숙훈련기간 식사조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수들의 감량 전 3일간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 \mathrm{kcal} \)량을 계산하여 산출된 섭취열량을 기준으로 체급별, 2일 간격으로 \( 200 \mathrm{kcal} \)씩 점차적으로 줄였으며 식사섭취량은 3단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식사량은 전자천칭(HANA instrument CO., LTD. made in Korea)을 이용하여 1일 3식을 기준으로 반복처치(repeated treatment)를 통해 배급하였다.</p><h3>운동 강도</h3><p>운동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목표심박수(THR)와 주관적 운동강도(RPE)를 적용하였다. 합숙훈련 운동시간은 준비 운동 15분, 본 운동, 1시간 40분, 정리 운동 5분으로 총 2시간을 기준으로 오전과 오후 및 야간 운동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 측정은 선수들의 운동직후에 하였으며, 오전 \( 76.0 \% \) HRR, 오후 \(78.0\% \) HRR, 야간 운동 \( 81.5\% \) HRR으로 1분 단위로 총 3회를 측정하여 평균 심박수를 산출하였다.</p><h3>옥타코사놀 복용기간 및 복용량</h3><p>S바이오텍에서 개발한 순수 자연계에서 추출한 \( 100 \% \) 정재된 옥타코사놀 분말가루를 [19] 의 연구를 참고하여 하루 2캡슐 \( (20 \mathrm{mg} \times 2 / \mathrm{day}) \)을 6일 동안 오전 및 오후, 식후 30분에 각각 \( 20 \mathrm{mg} \)씩 섭취시켰다. 감량군과 통제군은 위약(placebo)을 동일한 시간과 방법으로 섭취시켰으며 복용량은 기준으로 하루 \( 40 \mathrm{mg} \)을 섭취시켰다.</p><h2>자료 처리</h2><p>SPSS Ver. 12.0 을 이용하여 모든 변인에 대한 평균값 \( (M) \)과 표준편차 \((S.D)\)를 산출하였으며 집단내 변화는 paired t-test와 평균치 검증을 위해 집단간 차이는 공분산분석(ANCOVA)으로 하였다. 사후 검정은 Bonferroni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검정의 유의 수준은 \( \alpha=0.05 \)로 설정하였다.</p>
[ "체중 감량 실험 방법에서 무엇의 섭취를 기준으로 하였어?", "본 실험은 무엇의 섭취를 기준으로 그룹을 구분하였어?", "식사제한과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을 하면서 일반적으로 무슨 훈련을 하였어?", "본 실험에서 어떤 훈련을 실시하였어?", "옥타코사놀 비섭취 감량군은 6일간 몇 \\( \\% \\) 이상 감량하였어?", "6일 동안 옥타코사놀 비섭취 감량군이 감량한 체중은 몇 \\( \\% \\) 이상이야?", "야간훈련 실시 전에 며칠 간격으로 자신의 체중을 체크하였어?", "야간 훈련 실시 전 체중 체크는 며칠 간격으로 진행되었어?", "합숙기간 동안 훈련내용은 오전 운동, 오후 운동 그리고 무슨 운동으로 구분해서 실시하였어?", "합숙기간 내 훈련은 오전, 오후 운동과 뭐로 구분해서 했어?", "식사는 평소에 섭취하는 무엇의 양을 계산하여 적용하였어?", "평소 섭취하는 식사의 무엇을 계산하여 적용하였어?", "컴퓨터 프로그램(CAN-Pro)은 어디에서 개발하였어?", "컴퓨터 프로그램(CAN-Pro)을 개발한 곳은 어디야?", "식사 처방의 총 에너지는 어떻게 분석했어?", "식사 처방의 총에너지는 무엇을 이용해서 분석했어?", "식사 처방의 총에너지는 실험 전 며칠 동안의 칼로리량을 산출한 것이야?", "실험 전 며칠 동안의 칼로리량으로 식사 처방의 총에너지를 계산하였어?", "1일 에너지 소요랑을 어떻게 산출했어?", "어떻게 1일 에너지 소요랑을 산출했어?", "에너지 배분비율은 1일 에너지 섭취열량을 실험군은 체급별로 무엇을 산출하였어?", "실험군에서 체급별로 산출한 것은 뭐야?", "실험군은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의 비율을 어떤 비율로 하였어?", "실험군이 섭취한 탄수화물과 지질, 단백질의 비율은 얼마야?", "실험군의 섭취열량은 탄수화물 \\( 60 \\% \\), 지질 \\( 20 \\% \\), 단백질 \\( 20 \\% \\) 비율인데 반해 통제그룹은 칼로리량을 어떻게 섭취하였어?", "실험군의 섭취열량과 비교하여 통제그룹의 섭취는 어때?", "섭취열량을 기준으로 체급별, 2일 간격으로 몇 \\( \\mathrm{kcal} \\)씩 점차적으로 줄였어?", "섭취열량 기준 체급별 2일 간격으로 얼마큼씩 점차 줄였어?", "선수들의 식사섭취량은 몇 단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어?", "몇 단계 프로그램을 선수들의 식사섭취량에 이용했어?", "운동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무엇을 적용하였어?", "운동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적용한 것은 뭐야?", "합숙훈련 운동시간 중 준비 운동은 몇 분이야?", "합숙훈련 운동시간 중에서 준비 운동은 몇 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준비 운동, 본 운동, 정리 운동으로 이루어진 합숙훈련 운동시간은 총 몇 시간 기준이야?", "합숙훈련 운동시간의 총 시간은 몇 시간 기준이야?", "선수들의 운동 강도는 언제 측정하였어?", "언제 선수들의 운동 강도를 측정했어?", "운동 강도 측정은 1분 단위로 총 몇 회를 측정하여 평균 심박수를 산출하였어?", "평균 심박수 산출을 위해 1분 단위로 몇 회 측정했어?", "옥타코사놀을 개발한 곳은 어디야?", "옥타코사놀의 개발사가 어디야?", "옥타코사놀 분말가루의 섭취는 어떻게 했어?", "어떤 방법으로 옥타코사놀 분말가루를 섭취했어?", "감량군과 통제군의 복용량은 하루 몇 \\( \\mathrm{mg} \\)을 섭취시켰어?", "감량군과 통제군의 하루 복용량은 몇 \\( \\mathrm{mg} \\)이야?", "무엇을 이용하여 모든 변인에 대한 평균값 \\( (M) \\)과 표준편차 \\((S.D)\\)를 산출하였니?", "모든 변인에 대한 평균값 \\( (M) \\)과 표준편차 \\((S.D)\\)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된 툴의 이름이 뭐야?", "왜 집단간 차이 검증을 공분산분석(ANCOVA)으로 했어?", "공분산분석(ANCOVA)으로 집단간 차이 검증을 한 이유가 뭐야?", "사후 검정은 무엇을 실시하였어?", "어떤 사후 검정 방법을 실시했어?", "모든 통계적 검정의 유의 수준은 무엇으로 설정하였어?", "모든 통계적 검정의 유의 수준의 설정값은 얼마야?", "식사량은 무엇을 이용하여 배급하였어?", "무엇을 이용해서 식사량을 배급했어?", "식사는 어떤 방식으로 배급하였어?", "어떤 방식으로 식사를 배급했어?" ]
d85db61c-7e09-40b5-8b06-d92a59a8f4fe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1>고 찰</h1><h2>혈중 피로물질</h2><p>트레이닝은 운동자극에 대한 인체의 적응성을 이용하여 체력을 높이려는 경향이 것이므로 피로는 트레이닝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생리적 현상이다. 운동피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피로유발 물질인 젖산(lactic acid), 암모니아,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에너지 대사과정을 바탕으로 생리적인 운동능력, 피로양상 분석의 지표이며,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트레이닝의 효과 분석, 과도한 트레이닝 정도 및 운동 강도의 조절 기준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점증적 운동 시 심폐기능 평가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는 젖산 역치 및 회복 양상 분석의 근거로 활용된다. 선행연구에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8주간의 옥타코사놀을 하루 \( 40 \mathrm{mg} \)을 섭취시킨 결과 혈중 젖산농도는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 측정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p>본 연구에서 옥타코사놀 섭취군의 경우 사후결과에서 젖산농도가 낮은 이유는 에너지의 저장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소비시간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반응시간을 단속시켜 민첩성 향상과 근육의 지방 이용률 증가, 심폐지구력 향상과 운동 중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옥타코사놀이 생리활성물질의 에너지 사용 증가로 인한 영향이라 생각되며 또한, 회복기에 선수들의 채혈을 하였기 때문에 젖산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사료된다.</p><p>LDH는 무산소 해당계에 의해 ATP를 생산하는 필수 효소로서 무산소 해당의 최종단계에서 피루브산을 이용하여 당질의 이화 및 동화작용의 평형을 이루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무산소성 작업 능력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LDH의 활성도는 에너지대사 과정 중 ATP-PC 시스템의 동원 능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트레이닝 효과 분석, 과도한 트레이닝 정도 및 운동수행의 강도 조절 등 운동처방의 기준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젖산탈수소효소는 운동 후 증가하며 운동단위의 동원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마이오신을 더 빠르게 수축시키지만, 식이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p><p>선행연구에서 8주간 옥타코사놀을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에게 하루 \( 40 \mathrm{mg} \)을 섭취시킨 결과 LDH 농도는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 측정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측정기간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p><p>본 연구에서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이 비섭취 감량군보다 감소한 것은 옥타코사놀이 최대산소 섭취량을 증가시키며 지구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 사료되며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은 야간 운동 시 웨이트 트레이닝과 선수들의 합숙훈련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p><p>암모니아는 암모늄 이온이 방출되면서 근육 세포막의 표면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을 변화시켜 근육의 장력발생이 저하됨에 따라 근 섬유는 전기적 자극에도 흥분을 일으키지 못하며 이러한 이유로 암모늄 이온이 운동 중 상대적으로 높게 생성되는 것이 운동수행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피로의 시점에서 암모니아의 축적이 높아진다는 것과 이와 함께 운동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요인과 관련이 있는 물질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운동수행 시 암모니아 농도변화는 아미노산 농도의 변화와 함께 에너지원의 저장상태, 동원양상 등과 관련성을 가지며 운동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근 글리코겐을 고갈시킬 정도의 장시간 운동 중에는 암모니아의 정도가 상당히 증가한다. 선행연구에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에게 옥타코사놀을 하루 \( 40 \mathrm{mg} \)을 섭취시킨 결과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연구결과와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3일간의 단기간 자기체중 \( 5 \% \) 감량 시 최대산소 섭취량의 \( 85 \% \sim 90 \% \) 기준으로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실시한 결과, 운동직후와 회복기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감소되었다는 결과와 유사하였다. 피로물질 축적은 운동강도, 시간, 형태,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며 지구성 종목의 경기수행 시 피로지연은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p><p>본 연구에서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이 혈중 피로물질 중, 젖산과 암모니아 농도 감소는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단기간 체중감량 시 운동보조물 섭취를 함으로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체급경기 선수들 대상으로 단기간 감량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p>
[ "트레이닝에 무조건 동반되는 생리적 현상은 무엇인가요?", "어떤 생리적 현상이 트레이닝에 필연적으로 함께 발생해?", "운동자극에 대한 적응성으로 체력을 높이는 행동은 무엇인가요?", "어떤 행동이 운동자극에 대한 적응성을 이용해 체력을 증가시켜?", "젖산, 암모니아, 젖산 탈수소효소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어떤 점을 젖산, 암모니아, 젖산 탈수소효소가 똑같이 지녀?", "운동 능력 분석의 지표로 사용되는 물질로, lactic acid가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요?", "lactic acid가 대표적이며 운동 능력 분석의 지표로 사용되는 성분은 뭐야?", "심폐 기능의 중요한 지표로 간주되는 물질은 뭔가요?", "어떤 성분이 심폐 기능의 중요 지표로 인식돼?", "선행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에게 옥타코사놀을 얼마간 섭취시켰나요?", "선행연구에서 어느 기간 동안 옥타코사놀을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섭취시켰어?", "선행 연구에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가 하루에 먹은 옥타코사놀의 양은 얼마인가요?", "선행연구에서 하루 어느정도 양의 옥타코사놀을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에게 복용시켰어?", "선행 연구에서 실험을 위해 태권도 선수에게 무엇을 먹였나요?", "어떤 것을 선행 연구에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에게 복용하도록 시켰어?",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에게 일정량의 옥타코사놀을 먹인 결과 운동 능력에서의 측정 시간이 갈수록 혈중 젖산 농도는 어떻게 변하나요?", "옥타코사놀을 일정 기간 동안 섭취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혈중 젖산 농도는 측정 시간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였니?",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에게 일정량의 옥타코사놀을 먹인 결과 운동 능력에서의 측정 시간이 갈수록 무엇이 변하나요?", "옥타코사놀을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한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은 측정 시간에 따라 무엇이 감소했어?", "본 연구에서 젖산 낮은 집단은 무엇을 먹었나요?", "젖산이 낮은 집단은 본 연구에서 어떤 것을 복용했어?", "선수들의 채혈 시기는 언제예요?", "어떤 시기에 선수들이의 채혈이 이루어졌어?", "무산소 해당계에 의해 ATP를 생산하는효소는 무엇인가요?", "어떤 효소가 무산소 해당계에 의해 ATP를 만들어?", "LDH는 무산소 해당계에 의해 무엇을 생산하는 효소예요?", "무산소 해당계에 의해 LDH는 어떤 것을 만드는 효소야?", "LDH는 무산소 해당과정의 최종 단계에서 무엇을 이용해서 당질의 평형을 이루나요?", "어떤 것을 사용해 LDH는 무산소 해당의 최종 단계에서 당질의 평형을 만들어?", "무산소 해당과정에서 피부르산을 이용해 당질의 평형을 이루게 돕는 효소의 이름은 뭘까요?", "피부르산을 사용해 무산소 해당 최종 단계에서 당질의 평형을 이루는 기능을 하는 효소는 뭐야?", "LDH는 한국어로 뭐라고 하나요?", "한국어로 LDH를 어떻게 불러?",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의 LDH 농도가 증가한 원인은 어떤 운동 때문인가요?", "무슨 활동으로 인해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의 LDH 농도가 높아졌어?",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의 LDH 농도가 감소한 원인은 무엇일까요?", "어떤 요인에 의해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의 LDH 농도가 줄어들었어?", "암모니아는 암모늄 이온으로 바뀌면서 어디에 작용하는 전기적 자극으로 바꾸나요?", "암모늄 이온이 방출되면서 암모니아가 변화시키는 전기적 자극은 어디에 작용하니?", "암모니아는 근육 세포에 영향을 주어 어떤 결과를 초래하나요?", "근육 세포막의 표면에 작용하는 암모니아가 미치는 결과는 무엇이니?", "근육의 장력발생을 낮춰 근 섬유가 전기적 자극에 흥분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 물질은 무엇일까요?", "근 섬유가 전지적 자극에도 흥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육의 장력발생을 조절하는 물질이 무엇이니?", "피로는 어떤 물질과 관련 있나요?", "어떤 성분이 피로와 연관성이 있니?", "암모늄 이온은 휴식 또는 운동 수행 중 어느 상황에서 더 높게 측정될까요?", "휴식 또는 운동 수행 중 어느 경우에 암모늄 이온이 더 많이 측정될까?", "암모니아의 축적량이 높아지면 무엇을 유발하나요?", "높은 암모니아 축적량은 어떤 결과로 이어지니?", "암모니아는 어떤 물질과도 함께 영향을 주나요?", "어떤 물질과 암모니아가 관련성을 가지며 영향을 미치니?", "장시간 운동 시 무엇이 고갈되나요?", "어떤 것이 장시간 운동에 의해 소모되니?", "암모니아와 아미노산의 농도는 어떤 요소와 관련되어 있나요?", "무엇과 암모니아와 아미노산의 농도가 관련성을 갖니?", "지구력 종목에서 피로 지연은 어떤 것에 영향을 줄까요?", "피로지연은 지구력 종목 경기 수행시 무엇에 작용하니?", "피로물질 축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무엇이 피로물질 축적에 변화를 주지 않니?", "단기간 체중 감량 시 무엇을 먹으면 도움이 될까요?", "무엇을 섭취해야 단기간 체중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까?" ]
ca0cff50-5004-430b-a4c2-5bb3e4782c3d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1>결 과</h1><h2>혈중 피로물질</h2><p>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Table 2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WOG는 유의하게 \((p<0.01) \) 감소하였으며 WG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G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는 WG와 CG 보다 WOG에서 유의하게 \( (p<0.01)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p>젖산탈수소효소는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WOG는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WG, CG는 각각 유의하게 \( (p<0.01) \) 증가하였으나 집단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p>암모니아농도는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집단내 WOG는 \( (p<0.01)\), WG는 유의하게 \( (p<0.05) \) 각각 감소하였다. CG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는 WG와 CG 보다 WOG에서 유의하게 \( (p<0.001)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h2>면역글로불린</h2><p>IgA는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WOG \( (p<0.001) \) 와 WG \( (p<0.05) \)는 유의하게 각각 증가하였다. CG는 유의하게 \( (p<0.01) \)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p>IgG는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Table 3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WOG는 유의하게 \( (p<0.001) \) 증가하였으며 WG는 유의하게 \( (p<0.001) \)증가하였다. CG는 유의하게 \( (p<0.01) \) 증가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p>IgM은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집단 내 변화에서 WOG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WG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CG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무엇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유의하게 \\((p<0.01) \\) 감소하였는가?",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유의하게 \\((p<0.01) \\) 감소한 물질은 어떤거야?", "WO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얼마나 감소하였는가?", "집단 내 변화에서 WO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얼마나 줄어들었어?", "WO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p<0.01) \\)만큼 어떻게 되었는가?", "집단 내에서 WOG의 혈중 젖산 농도는 \\((p<0.01) \\)만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W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어떻게 되었는가?", "WTO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에서 어떻게 변화됐지?", "W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내 변화에서 유의한 무엇을 보이지 않았는가?", "집단 내에서 W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유의미한 무엇이 나타나지 않았니?", "C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간 차이에서 어떻게 되었는가?", "집단 간에 C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WG와 무엇보다 WOG의 혈중 젖산 농도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는가?", "집단 간 차이에서 WG와 무엇보다 WOG의 혈중 젖산 농도가 유의하게 줄어들었어?", "혈중 젖산 농도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감소한 실험군은 무엇인가?", "집단 간 차이에서 혈중 젖산 농도가 제일 많이 줄어든 실험군은 어떤거야?", "무엇의 젖산탈수소효소는 집단 내 변화에서 \\( p<0.01 \\) 증가하였는가?", "집단 내 변화에서 무엇의 젖산탈수소효소가 \\( p<0.01 \\) 증가했어?", "무엇의 암모니아농도는 \\( p<0.01\\) 감소하였는가?", " \\( p<0.01\\) 줄어든 건 무엇의 암모니아농도야?", "무엇의 암모니아농도는 \\( p<0.05\\)만큼 감소하였는가?", " \\( p<0.05\\)만큼 줄어든 건 무엇의 암모니아농도야?", "WOG의 암모니아농도는 \\( p<0.01\\) 어떻게 되었는가?", "WOG의 암모니아농도는 \\( p<0.01\\)만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WG의 암모니아농도는 \\( p<0.05\\)만큼 어떻게 되었는가?", " \\( p<0.05\\)만큼의 WG의 암모니아농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암모니아 농도의 차이는 WG와 CG 보다 무엇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가?", "WG와 CG 보다 어떤 물질에서 암모니아 농도의 차이가 유의적으로 줄어들었나?", "WOG의 IgA은 어떻게 되었는가?", "WOG의 IgA에서 변화는 어떠한가?", "WOG의 IgA은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WOG의 IgA가 증가한 양은 얼마인가?", "WG의 IgA은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WG의 IgA가 증가한 양은 어느정도인가?", "WOG의 IgA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WOG의 IgA는 변화가 어떠한가?", "CG의 IgA은 어떻게 변동되었는가?", "CG의 IgA의 변화는 어때?", "집단 내에서 WOG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WOG는 집단 내에서 어떻게 변화했어?", "집단 내의 WG IgG는 어떻게 되었는가?", "WG IgG는 집단 내의 어떻게 변화했어?", "집단 내의 CG IgG값은 얼만큼 증가하였는가?", "CG IgG값은 집단 내에서 어느정도 증가하였는가?", "집단 내 IgM에서 WOG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WOG는 집단 내 IgM에서 어떻게 됐어?", "본문에서 WG은 어떻게 되었는가?", "WG은 본문에서 어떻게 결과를 보여?", "본 논문에서 CG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본 논문에서 알 수 있는 CG의 변화는 뭐야?", "젖산탈수소효소의 집단 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집단간 비교에서 어떤 차이는 없었는가?", "젖산탈수소효소의 집단 내에서와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어떤 차이점이 집단간 비교에서 나타나?" ]
11807ae2-42b8-4152-b319-8ca850b9506b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1>요 약</h1><p>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자태권도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옥타코사놀 섭취에 따른 단기간 체중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6일간 동일한 합숙훈련을 하였으며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과 비섭취 감량군은 점차적으로 칼로리를 줄이는 식사제한을 통해 자기체중의 \( 5 \% \) 이상 감량하였다. 옥타코사놀은 오전-오후로 나누어 식후 30분에 \( 20 \mathrm{mg} \)씩 섭취시켰으며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은 같은 방법으로 위약을 섭취시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ol type= start=1><li>젖산과 암모니아는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는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li><li>젖산탈수소효소는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이 감량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li><li>면역글로불린 IgA, IgG는 모든 집단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li></ol></p>
[ "본 연구의 대상은 누구야?", "본 연구의 대상은 어떤 사람들이니?", "단기간 체중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며칠 간 합숙훈련 했어?", "단기간 체중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며칠 간 합숙훈련을 했지?", "고등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옥타코사놀은 어떻게 섭취시켰어?", "고등학교 남자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어떻게 옥타코사놀을 먹였니?", "본 연구에서 식사제한을 통한 자기체중의 몇 % 이상 감량했지?", "자기체중의 몇 % 이상을 식사제한을 통하여 감량 했나요?" ]
a5b62a65-3486-445c-8d5e-d2bd1cc09bf3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1>재료 및 방법</h1><h2>연구 대상</h2><p>대상은 전국규모 대회에 출전 경력이 있는 남자고등학교 태권도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활동한 경력이 4년 이상이었기 때문에 동일한 운동경험을 해온 것으로 간주하였다. 특정한 식이요법이나 약물 투여의 경험이 없는 선수를 의도적 추출법으로 하였다. 합숙기간 동일한 태권도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체중 \( 5 \% \) 이상 감량한 옥타코사늘 섭취감량군 7명, 체중 \( 5 \% \) 이상 비섭취 감량군 7명, 감량을 하지 않는 통제군 7명, 총 21명으로 신체적 특징은 Table 1과 같다.</p><h2>채혈 및 분석</h2><p>6일간 합숙훈련을 실시하였으며, 감량기간 중 운동보조물인 옥타코사놀을 이중맹검법(double blind test)을 적용하여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만 섭취하였으며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은 위약을 섭취시켰다. 음료섭취는 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를 이용하였다. 합숙훈련기간 동안 평균 온도는 \( 27.6^{\circ} \mathrm{C} \)였으며, 습도는 \( 68.2 \% \)였다. 신장과 체중은 자동 측정 장비 (Jenix)를 이용하였고, 신체조성은 전기저항을 이용한 In body 33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채혈은 감량 2일 전 오전 9~10시에 12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채혈을 하였으며, 사후검사는 감량 후 7일째 오전 9~10시에 동일한 방법으로 채혈을 하였다. 모든 채혈은 항응고제인 헤파린이 처리된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완주정맥에서 채혈한 후, 혈액분석은 S임상 실험 센터에 의뢰하였다. 혈중 피로물질은 glutamate dehydrogen-ase를 이용한 효소법을 적용하여 lactic acid, LDH, ammonia는 NH3L 시약을 사용하여 COBAS Integra 800 (Roche Diagnostics, Switzerland)으로 분석하였다. 면역글로불린은 면역혼탁도 측정법(immunoturbidmetric)으로 IgA, IgG, IgM은 Antibody pack 시약을 이용하여 COBAS Integra 800 (Roche Diagnostics, Switzerland)으로 분석하였다.</p>
[ "연구를 할때 누구를 대상으로 연구를 했어?", "연구를 진행하는 대상은 누구인가?", "연구 대상인 남자 태권도 선수들을 고를때 사용한 방법은 뭐야?", "남자 태권도 선수들을 연구 대상으로 뽑을 때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 "6일간 합숙훈련을 진행하면서 감량기간 중 옥타코사놀을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적용했니?", "6일간의 합숙훈련을 통한 감량기간 중 옥타코사놀을 적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음료섭취를 위해 사용한 정수기는 어디에 있어?", "음료섭취를 위해 이용한 정수기는 어느 장소에 있는가?", "합숙기간 중 평균 온도는 어떻게 돼?", "합숙훈련기간의 평균적인 온도는 무엇인가?", "신체조성을 측정할 때 사용한 장비는 뭐야?", "신체조성 측정을 위해 어떤 장비를 사용했는가?", "채혈을 실시할 때 피험자들은 어떤 상태에서 채혈을 했을까?", "피험자들은 어떤 상태에서 채혈이 실시되었는가?", "채혈을 진행할때 사용한 주사기는 어떤 주사기야?", "채혈시 어떤 종류의 주사기를 사용하였는가?", "채혈을 상완주정맥에서 채혈한 후 혈액분석을 의뢰한 곳은 어디야?", "상완주정맥에서 채혈한 혈액 분석은 어디에 의뢰했는가?", "혈중 피로물질을 분석할 때 사용한 시약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어?", "어떤 시약을 혈중 피로물질 분석에 사용했는가?", "혈중 피로물질을 분석할 때 적용한 방법은 뭐야?", "혈중 피로물질 분석에 어떤 방법을 적용했나요?", "면역글로불린을 분석할 때 사용한 방법은 뭘까?", "면역글로불린에 사용한 분석방법은 무엇인가요?", "면역글로불린을 분석할 때 사용한 시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니?", "어떤 시약들을 면역글로불린 분석을 위해 사용했는가?", "연구대상으로 정한 대상은 어떤 종목의 선수를 연구대상으로 꼽았어?", "어떤 종목의 선수가 연구대상으로 뽑혔는가?", "6일간 합숙훈련을 실시하면서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에게 섭취 시킨것은 뭐야?", "6일간의 합숙훈련동안 비섭취 감량군과 통제군은 무엇을 섭취했는가?", "사후검사를 진행한 날은 언제야?", "사후검사는 언제 진행했는가?", "피실험자들에게 채혈을 실시한 곳은 어디야?", "피실험자들의 채혈은 어디서 실시되었는가?", "lactic acid, LDH, ammonia는 NH3L 시약을 사용하여 분석한 것은 어떤 것을 분석하기 위해서야?", "lactic acid, LDH, ammonia에 NH3L 시약을 사용한 것은 무엇의 분석을 위함인가?", "면역혼탁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것은 어떤거야?", "무엇을 면역혼탁도 측정법으로 분석했는가?", "연구 대상을 고를때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골랐을까?", "어떤 방법을 사용해 연구 대상을 선정했는가?", "6일간 합숙훈련을 실시하면서 옥타코사놀을 어떻게 사용했어?", "6일간의 합숙훈련에서 옥타코사놀을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가?", "합숙훈련을 실시하면서 측정한 온도와 습도는 어떻게 돼?", "함숙훈련동안 측정된 온도 및 습도는 얼마인가요?", "채혈을 진행할 때 피실험자들이 어떤 상태에서 채혈을 진행될 수 있도록 했어?", "채혈시 피실험자들은 어떤 상태에서 채혈되었는가?", "채혈을 진행한 후 혈액분석은 어떻게 했어?", "채혈 후 혈액분석은 어떻게 진행하였는가?", "혈중 피로물질을 분석할 때 lactic acid, LDH, ammonia는 NH3L 시약을 사용하여 어떻게 분석했어?", "lactic acid, LDH, ammonia는 NH3L 시약으로 혈중 피로물질 분석을 진행할 때 어떻게 하였는가?" ]
5ab1dcec-bdca-4aee-8f0e-66fdcfc6f65a
생명LA
옥타코사놀 투여가 태권도 선수의 단기간 체중 감량 시 혈중 피로물질, 면역글로불린에 미치는 영향
<h2>면역글로불린</h2><p>항체는 많은 체액 속에서 호흡기계통의 분비물, 타액, 장 내용물, 요 그리고 우유 등에서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아주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특히 분석을 위한 많은 양의 항체는 주로 혈청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다. 항체 활성을 가지고 있는 특별한 단백질을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이라 부르며 Ig로 표기한다. 기본구조에 따라 Ig는 IgA, IgD, IgE, IgG, IgM 5개의 종류가 있으며 혈청에는 IgG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다. 면역글로불린 IgM은 최초 면역단계에서 분비되는 주요 Ig 아이소타입이며 항체 중에서 분비형 IgA가 가지고 있는 역할은 바이러스가 호흡기 표피세포에 붙은 후 표피층을 통과하여 세포 내로 침입한 뒤 번식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중강도 운동을 했을 경우에는 타액 속에 분비되는 IgA와 혈청 IgG 수준에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매우 심한 강도로 운동을 했을 경우에는 타액과 콧물 속에 분비되는 IgA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냈다고 하였으며, 장시간의 강도 높은 훈련 중에는 혈청과 침속에 포함된 면역 글로불린은 모두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운동에 대한 혈청 Ig 농도는 점증적 최대운동과 최대하운동에서 증가하지만 매우 격렬한 운동과 탈진적 훈련에서는 면역글로불린이 감소를 한다. 유도선수의 경우, 운동만을 수행한 집단보다 식이제한과 운동수행을 동반한 집단이 면역글로불린의 저하 정도가 높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체중을 감량하며 강도 높은 운동과 식이제한으로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은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중감량에 따른 면역글로불린 기전은 본 연구에서 규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호르몬의 상호작용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운동수행 시 시상하부의 뇌하수체 축에서 활성화되어 부신피질 자극호르몬(adrenocrticortopic hormone)과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이 분비되어 면역기능의 억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면역기능에 필수적인 주요한 연료인 글루타민의 경우 골격근에서 합성되며 혈중으로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체급경기 선수들의 체중감량과 체중감량을 위한 고강도의 운동은 글루타민의 부족현상을 가속화 시켰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IgM이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결과 회복기에 있어서 IgA와 IgG가 감량 전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증가하였으며 이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으며 특히, IgA의 경우, 옥타코사놀 섭취감량군이 비섭취 감량군보다 다소 증가한 것은 옥타코사놀이 기초대사율 향상과 글리코겐 축적 및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감량에 따른 점증적 식사제한은 선수들에게 심리적 부담이 적었다고 생각되며 합숙훈련 후 12시간 경과한 회복기 시점에서 채혈을 하였기에 IgA, IgG가 증가하였다고 추정된다. IgM의 경우 \( 5 \% \)의 감량정도와 관계없이 피험자들 모두가 태권도 선수이며 평소에 훈련으로 인한 면역반응의 강화 현상이 이러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p>
[ "많은 양의 항체를 주로 어디에서 획득할까?", "주로 어디에서 다량의 항체를 얻니?", "항체 활성을 가지고 있는 특별한 단백질을 뭐라고 부를까?", "무엇을 항체 활성을 가지고 있는 특수한 단백질로 부르니?", "기본구조에 따라 Ig는 몇 개의 종류가 있어?", "기본구조에 따라, 몇 개의 종류가 Ig에 존재하니?", "IgA, IgD, IgE, IgG, IgM 중 혈청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건 무엇일까?", "무엇이 IgA, IgD, IgE, IgG, IgM 중 혈청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니?", "최초 면역단계에서 분비되는 주요 Ig 아이소타입은 무엇일까?", "무엇이 제일 처음의 면역단계에서 분비되는 주요 Ig 아이소타입일까?", "분비형 IgA가 가지고 있는 역할을 무엇일까?", "무엇이 분비형 IgA가 가지고 있는 기능일까?", "혈청과 침속에 포함된 면역 글로불린은 모두 하는 훈련 강도는 무엇일까?", "운동수행 시 뇌 부분에서 활성화 되는 곳은 어디일까?", "어디가 운동수행 시 뇌 부분에서 활성화 되는 장소일까?", "시상하부의 뇌하수체가 활성화 되면 자극 받는 호르몬은 무엇일까?", "무엇이 시상하부의 뇌하수체가 촉진되면 자극을 받을까?", "기초대사율 향상과 글리코겐 축적 및 촉진에 효과가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무엇이 기초대사율 향상과 글리코겐 축적 및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까?" ]
cefbc0de-120c-46f0-b64d-e77526f218d5
생명LA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h1>결 과</h1><h2>일반적 특성</h2><p>대상자는 25세 미만이 \( 39.2 \%\), 25세 이상 30세 미만이 \( 28.8 \% \), 30세 이상이 \( 32.0 \% \) 으로 평균( \( 29.3 \pm 9.05 \))세이었다. 대상자의 출신지는 베트남이 \( 48.4 \% \)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국이 \( 24.1 \% \), 필리핀이 \( 13.1 \%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태국, 일본, 러시아, 페루, 칠레, 몽골이었다. 한국에 거주한 기간은 1년 미만이 \( 26.8 \% \), 1년 이상 2년 미만은 \( 26.1 \% \), 2년 이상 3년 미만은 \( 18.3 \% \), 3년 이상은 \( 28.8 \% \)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 86.9 \% \)로 가장 많았으며, 불교는 \( 2.6 \% \), 기독교는 \( 3.9 \% \), 천주교는 \( 6.5 \% \)이었다. 결혼상태는 \( 100.0 \% \)가 기혼이었으며, 1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경우가 \( 66.7 \% \)이었다(Table 1).</p><h2>생식건강상태</h2><p>월경 전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 57.5 \% \)이었으며, 월경통이 있는 대상자는 \( 59.5 \% \)이었다. 지난 1년간 월경이 규칙적이었던 대상자는 \( 48.4 \% \)이었으며, 생식기 감염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7.8 \% \)였다. 생식기 가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 21.6 \% \)이었고, 질 분비물이 증가하였다는 대상자는 \( 17.0 \% \)이었다. 질 분비물에서 냄새가 난다는 대상자는 \( 20.9 \% \)이었으며,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있는 대상자는 \( 2.0 \% \)이었으며, 현재 생식기 질병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 7.8 \% \)이었다.</p><p>현재 임신 중인 대상자는 \( 7.8 \% \)였고, 임신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75.2 \% \), 임신경험이 없는 대상자는 \( 24.8 \% \)이었다. 체외수정 시술경험은 \( 5.9 \% \)가 있었고 유산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22.9 \% \)이었다. 분만경험은 \( 61.4 \% \)가 있었고, \( 1.3 \% \)가 조산경험이 있었다. 산욕기 합병증이 있었던 대상자는 \( 8.5 \% \), 모유수유를 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46.5 \% \)이었다(Table 2).</p><h2>체성분 조성</h2><p>대상자의 \( 68 \% \)가 체단백질량 표준범위인 8.1-9.9이었고, \( 81.7 \% \)가 체무기질량 표준범위인 2.79-3.41에 있었다. 체지방률의 경우 \( 53.6 \% \)가 표준범위인 \( 18.0-28.0 \% \)인 반면 \( 16.3 \% \)가 표준 이하인 \( 17.9 \% \) 이하, \( 30.1 \% \)가 표준이상인 \( 28.1 \% \) 이상이었다. 대상자의 \( 61.4 \% \)가 BMI 표준범위인 18.5-23.0인 반면 \( 17.0 \% \)가 저체중이었다. 복부비만에 대한 판단기준으로 사용되는 허리와 엉덩이 둘레의 비는 \( 41.8 \% \)가 표준범위인 0.7-0.8인 반면 0.81 이상이 \( 58.2 \% \)로 표준 이상이었다(Table 3).</p><h2>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상태</h2><p>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상태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체외수정 경험(\(\mathrm{X}^{2} =6.60\), \(\mathrm{p}=0.037 \)), 임신경험(\( \mathrm{X}^{2}=6.35\), \(\mathrm{p}=0.042 \))과 유산경험(\( \mathrm{X}^{2} =14.72\), \(\mathrm{p}=0.001 \) )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체외수정 경험은 25-30세가 많았고, 임신과 유산경험은 30세 이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았다.</p><p>대상자의 국적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x^{2}=10.84\), \(\mathrm{p}=0.028\)), 지난 1년간 월경의 규칙성(\( x^{2}=9.94\), \(\mathrm{p}=0.041 \)), 질 분비물에서의 냄새(\( x^{2}=11.68\), \(\mathrm{p}=0.020 \)), 체외수정 시술경험(\( x^{2}=11.76\), \(\mathrm{p}=0.019 \)), 분만경험(\( x^{2}=13.71\), \(\mathrm{p}=0.008 \)), 모유수유경험(\( \mathrm{x}^{2}=16.59\), \(\mathrm{p}=0.035 \))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경 전 증후군, 질 분비물 냄새 및 체외수정 시술경험과 베트남 출신의 대상자가 다른 국가 출신 대상자 보다 많았다. 또한 지난 1년간 월경의 규칙성, 분만경험과 모유수유경험도 배트남 출신의 대상자가 다른 국적 출신의 대상자 보다 많았다.</p><p>대상자의 한국 내 체류기간에 따라 체외수정 시술경험, 임신경험(\(X^{2}=58.64\), \(\mathrm{p}<0.001 \)), 분만 경험\( \left(X^{2}=49.36, \mathrm{p}<0.001\right) \)과 모유수유경험 (\(X^{2}=44.89\), \(\mathrm{p}<0.001 \))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종교유무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 X^{2}=13.23\), \(\mathrm{p}<0.001 \)), 생식기감염 치료경험(\( x^{2}=4.70\), \(\mathrm{p}=0.030 \))과 모유수유경험(\( X^{2}=7.87 \), \( \mathrm{p}=0.020 \))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외수정 시술경험은 한국 내 체류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임신경험, 분만경험, 모유수유경험 또한 한국 내 체류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p><p>대상자의 자녀유무에 따라 월경통(\( x^{2}=5.42\), \(\mathrm{p}=0.020 \)), 임신 경험(\( \mathrm{x}^{2}=85.78\), \(\mathrm{p}<0.001 \)), 분만경험(\( \mathrm{x}^{2}=114.23\), \(\mathrm{p}<0.001 \)), 출산 합병증(\( \mathrm{x}^{2}=7.10\), \(\mathrm{p}<0.008 \))과 모유수유경험(\(\mathrm{x}^{2}=66.24\), \(\mathrm{p}<0.001 \))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녀가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월경통이 많았다.</p><h2>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성분 조성</h2><p>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성분 조성은 Table 5와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단백질과 체무기질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체지방률은 국적(\( \mathrm{x}^{2}=32.27\), \(\mathrm{p}<0.001 \))과 종교유무(\( \mathrm{x}^{2}=9.17\), \(\mathrm{p}=0.010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표준이하 혹은 표준이상의 체지방률은 베트남 출신, 종교가 없는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체질량지수는 연령(\( x^{2}=15.60\),\( \mathrm{p}=0.004 \)), 국적(\( \mathrm{x}^{2}=25.08\), \(\mathrm{p}=0.002 \)) 및 체류기간(\( x^{2}=17.06\), \(\mathrm{p}=0.009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질량지수가 표준이하인 경우는 25-30세, 베트남 출신, 한국 거주 기간이 13-24개월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으며, 체질량지수가 표준이상인 경우는 30세 이상, 중국 출신, 거주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는 연령(\(\mathrm{x}^{2}=26.71\), \(\mathrm{p}<0.001 \)), 국적(\( \mathrm{x}^{2}=12.04\), \(\mathrm{p}=0.017 \)) 및 종교유무(\( \mathrm{x}^{2}=4.51\), \(\mathrm{p}=0.034 \))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가 표준 이상인 경우는 연령 30세 이상, 베트남 출신, 한국 거주 기간이 37개월 이상, 종교가 없는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p>
[ "본 실험의 대상자 중 25세 미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 중 25세 미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25세 이상 30세 미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 중 25세 이상 30세 미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나이를 분류할 때, \\( 32.0 \\% \\)에 해당하는 범위는 무엇인가?", "\\( 32.0 \\% \\)에 해당하는 범위는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나이를 구분할 때 무엇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몇인가?", "몇이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머문 기간을 구분할 때 어느 범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을 체류 기간으로 분류하면 어느 범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를 나이로 구분할 때 어느 나이의 범위가 가장 적었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를 나이로 나누면 어느 나이의 범위가 가장 적은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머문 기간을 구분할 때 어느 범위가 가장 적게 나타났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을 체류 기간으로 분류하면 어느 범위가 가장 적게 나타났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을 살펴볼 때 어느 종교를 믿는 사람이 많았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을 관찰했을 때 어느 종교를 믿는 사람이 많았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불교를 믿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의 사람이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불교를 믿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천주교를 믿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의 사람이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천주교를 믿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기독교를 믿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의 사람이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기독교를 믿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을 종교로 구분 지을 때, 어느 게 가장 많았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어느 종교가 가장 많은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을 종교로 구분 지을 때, 어느 게 가장 적었는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어느 종교가 가장 적은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베트남인에 해당하는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있는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들 중 몇 퍼센트 정도가 베트남 사람인가요?", "본 실험의 대상자를 나이로 구분할 때 어느 나이의 범위가 가장 많았는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를 나이로 분류할 때 어느 나이의 범위가 가장 많은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한국에 머문 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몇 퍼센트가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1년 미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한국에 머문 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인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몇 퍼센트가 한국에 체류한 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한국에 머문 기간을 기준으로 분류할 때, \\( 28.8 \\% \\)에 해당하는 범위는 무엇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한국에 머문 기간을 기준으로 나누면 28.8%에 해당하는 범위는 무엇인가? ",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어느 국가에 태어난 사람이 많았는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들 중 어느 국가 출신이 가장 많은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의 출신지를 볼 때 포함되는 나라는 어디인가?", " 대상자들의 출신지를 볼 때 이번 실험에 해당하는 나라는 어디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들 중 필리핀인에 해당하는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있는가?", "이번 실험의 대상자들 중 몇 퍼센트 정도가 필리핀 사람인가요?", "본 실험의 대상자 중 기혼은 몇 퍼센트 차지하는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기혼을 차지하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1명 이상의 자식을 가진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1명 이상의 자녀를 가진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생리통을 겪는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들 중 생리통을 겪는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월경 전 증후군을 겪는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월경 전 증후군을 겪는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지난 1년간 월경이 일정한 질서가 있었던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지난 1년간 월경이 일정하 질서가 있었던 사람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생식기가 가렵다고 대답한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가 이번 연구의 참여자 중 생식기가 가렵다고 답변한 사람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 중 규칙적이지 않은 질 출혈이 일어난다고 대답한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연구의 참여자 중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일어난다고 응답한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임신 상태인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임신 상태인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생식기 감염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질 분비샘에서 나오는 물질이 전보다 많아졌다고 대답한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연구의 참여자 중 질 분비샘에서 나오는 물질이 전보다 많아졌다고 응답한 사람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 중 질 분비샘에서 나오는 물질에서 냄새가 난다고 대답한 사람은 몇 퍼센트 정도 되는가?", "몇 퍼센트 정도가 이번 연구의 참여자 중 질 분비샘에서 나오는 물질에서 냄새를 맡았다고 대답한 사람인가?", "생식건강상태에 대한 조사를 할 때 어느 부문에서 \\( 7.8 \\% \\)의 결과가 나왔는가?", "\\( 7.8 \\% \\)의 결과가 나온 생식건강상태에 대한 조사를 할 때 어는 분야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임신을 한 적이 없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임신을 하지 않은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조산을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조산을 경험한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아이에게 모유를 먹인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모유 수유를 한 적이 있는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산욕기 합병증을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산육기 합병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인가?", "본 연구의 실험 대상자 중 몇 퍼센트가 체단백질량 표준범위에 들었는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체단백질량 표준 범위에 속하는 사람인가?", "체지방률 면에 있어 표준범위에 속하는 대상자는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체지방률 부분에 있어 표준 범위에 속하는 대상자인가?", "체지방률에 있어 대상자들 중 표준 이하는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체지방률에 있어 참여자들 중 표준 이하인가?", "BMI 표준범위에 있어 표준인 대상자는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BMI 표준범위에 들어 표준인 참여자인가?", "BMI 표준범위에서 저체중의 비율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BMI 표준범위에서 저체중의 비율인가?", "대상자의 보편적 특징에 따른 생식건강상태를 검토할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났는가?", "어떤 결과가 참여자의 일반적 특징에 따른 생식건강상태를 검토할 때 나타나는가?", "체외수정 경험과 관련해서 대상자들의 나이의 범위를 나눌 때, 어떤 범위가 가장 경험이 많았는가?", "참여자들을 나이로 분류할 때 체외수정 경험과 관련해서 어떤 범위가 가장 많았는가?", "대상자들의 나이의 범위를 나눌 때 어떤 범위가 가장 유산 경험이 많았는가?", "참여자들을 나이로 분류할 때 가장 유산 경험이 많은 범위는 어디인가?", "본 연구에 따르면 무엇에 따라 분만경험, 체외수정 시술 경험 등에 차이가 나타났는가?", "이번 연구에 따르면 무엇에 따라 체외수정 시술 경험, 분만 경험 등에 따른 차이가 발생했는가?", "본 연구에 따르면 월경 전 증후군을 겪는 대상자 중 어느 나라의 사람이 가장 많았는가?", "이번 연구에 따르면 어느 나라의 사람이 월경 전 증후군을 경험하는 참여자가 가장 많았는가?", "본 논문에 따르면 무엇에 따라 분만경험과 모유수유경험에 차이가 나타났는가?", "이번 논문에 의하면 모유수유 경험과 분만경험이 무엇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가?", "어떤 것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과 모유수유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가?", "체류기간을 나눠서 대상자들을 살펴볼 때 체위수정 시술을 겪은 사람들 중 어느 분류가 다른 분류보다 많았는가?", "어느 분류가 체류기간을 분류해서 참여자들을 살펴볼 때 체위수정 시술을 겪은 사람들이 다른 분류보다 많았는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체위수정 시술을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체위수정 시술을 경험한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유산 경험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유산을 한 사람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분만을 겪은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분만을 경험한 사람인가?", "체성분 조성 면에 있어 \\( 81.7 \\% \\)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가?", "\\( 81.7 \\% \\)는 체성분 조성 면에 있어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가?", "대상자들의 체지방률이 표준 이상인 경우는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대상자들의 체지방률이 표준 이상인 경우인가?", "본 실험의 대상자 중 임신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은 몇 퍼센트인가?", "몇 퍼센트가 이번 실험의 참여자 중 임신을 한 사람인가?" ]
e200f6ab-935f-47b2-8be3-e130cd43c221
생명LA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h1>재료 및 방법</h1><h2>연구설계</h2><p>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p><h2>연구대상</h2><p>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앞서 부산대학교 병원 임상시험센터의 IRB심사를 받았다. 2008년 7월 21일부터 2009년 7월 25일까지 B광역시 간호사회에서 주최한 S구, J구, B구와 N구 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결혼이주여성 중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과 자료의 결과는 연구의 목적 이외에서는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고, 원할 때 언제든지 연구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 후 설문지 작성과 체성분검사 및 각종 검사에 대해 동의한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p><h2>연구도구</h2><p>자료 수집을 위해 일반적 특성과 생식건강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자가 문헌을 토대로 구성하여 간호학과 교수 2인과 산부인과 전문의 1인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였다.</p><p>체성분 분석은 Inbody 720 (주 바이오스페이스, 한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된 체성분은 body protein mass, body mineral mass, percent body fat, body mass index와 waist-hip ratio이었다.</p><h2>자료수집 방법</h2><p>설문지 내용은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로 번역하였으며, B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자조모임을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 필리핀 자원봉사자, 베트남 자원봉사자, 중국 자원봉사자와 함께 검토, 분석하면서 부적절한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조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들이 외부인의 접근에 대해 경계한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개별방문보다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함께 하였다. 설문지 자료 수집을 위해 연구자는 필리핀어 자원봉사자, 베트남어 자원봉사자와 중국어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아 설문 문항을 설명하면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혈압, 맥박측정, 혈당검사, 소변검사 및 체성분 검사를 하였다. 이후 연구자는 대상자와 1:1 면담을 통해 검사결과를 반영한 건강상담을 하고 검사결과지를 개인별로 제공하였다.</p><h2>자료분석</h2><p>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상태 및 체성분 조성의 차이는 \( \chi^{2} \)-test를 이용하였다.</p>
[ "연구대상의 거주지는 어디야?", "일반적 특성과 생식건강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목적은 뭐지?", "어디에 사는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어?", "본 연구의 목적은 뭐지?", "교수 몇 명이 자문했어?", "자문을 맡은 교수는 무슨과였어?", "자료수집하기 전에 어떤 심사를 받았어?", "얼마나 많은 인원이 실험에 참가했어?", "Inbody 720을 사용해서 계측한 것은 무엇이야?", "실험 기간은 어느 정도야?", "몇 명의 교수가 자문에 참여했지?", "실험대상의 인원수는 얼마야?", "어떤 설문지를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했어?", "몇 명의 의사가 자문해 주었나?", "무엇을 사용해서 체성분을 분석을 실시했어?", "누가 연구자에서 설문 조사 과정에서 도움을 주었어?", "실험에서 어떤 체성분을 분석했어?", "설문지 자료 수집시 계측한 사항은 무엇이야?", "연구자료수집 전단계로 어느 기관의 심사를 받았어?", "어떤 언어로 설문지가 번역되었어?", "검사결과지를 제공한 방법은 무엇이지?", "자문에 참여한 의사는 몇 명이야?", "어떻게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를 분석했어?", "개인차에 의한 생식건강상태 및 체성분 조성의 차이는 무엇을 이용했어?", "건강상담을 진행할 때 어떻게 했어?", "어떤 프로그램을 써서 자료 분석을 진행했어?",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무엇을 했어?" ]
9103e46d-5674-4edb-86e4-ee0be288b353
생명LA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h1>초록</h1><p>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54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7월 21일부터 2009년 7월 25일까지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인 특성, 생식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신체계측과 체성분 검사를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체외수정 경험, 임신경험과 유산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대상자의 국적에 따라 월경, 월경 전 증후군, 지난 1년간 월경의 규칙성, 질 분비물에서의 냄새, 체외수정 시술경험, 분만경험,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한국 내 체류기간에 따라 체외수정 시술경험, 임신경험, 분만경험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상자의 종교유무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 생식기감염 치료경험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자녀유무에 따라 월경통, 임신경험, 분만경험, 출산합병증과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체지방률은 국적과 종교유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는 연령, 국적 및 체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는 연령, 국적 및 종교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연령과 출신국가 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건강관리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p>
[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뭐야?", "무엇이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 "대상자의 체지방률은 무엇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어?", "무엇에 따라 대상자의 체지방률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니", "이 연구는 어느 지역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했어?", "어느 지역의 결혼이주여성을 이 연구가 대상으로 했지", "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기초자료 제공함으로써 이주여성들의 무엇을 도모하고자 하는가?", " 본 연구에서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기초자료 제공함으로 이주여성들의 무엇을 도모하고자 합니까?",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어떻게 돼?", "얼마동안이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이지", "대상자의 월경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게 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무엇 때문에 월경통에서 대상자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나요?", "다음 중 대상자의 월경통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대상자의 월경통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건 뭐지",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무엇을 고려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해?",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무엇을 고려하여 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나요?", "본 연구는 설문 외에 어떤 자료를 수집했어?", "설문 외에 본 연구는 어떤 자료를 모았어" ]
4b90d99b-a587-4646-925f-89e08d91fe85
생명LA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h1>고 찰</h1><p>여러 국가에서 온 여성결혼 이주자와 한국 남성간의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여성결혼 이주자의 사회 문화적 문제 및 인권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새로운 간호대상자로서 이들에 대한 관심과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은 자신 뿐 아니라 다음 세대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실질적인 건강문제를 파악하는 것은 여성결혼 이주자들을 위한 간호영역에서의 중재 방안 모색을 위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베트남 국적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중국과 필리핀이 많았는데 이는 결혼 중개업자를 통한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간의 결혼이 급증한 최근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p><p>본 연구에서 생식기 가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 21.6 \% \)이었고, 질 분비물이 증가했다는 대상자는 \( 17.0 \% \)였으며, 질 분비물에서 냄새가 난다는 대상자는 \( 20.9 \% \),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있는 대상자가 \( 2.0 \%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내국 20-30대 기혼 여성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추후연구를 할 필요가 있겠다.</p><p>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신 중인 대상자가 \( 7.8 \% \)였으나, 임신 중이거나 자녀를 가진 자 중 아직 단산을 하지 않은 국제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과 Koh의 연구결과에서 임신 중인 경우가 \( 58 \% \)였다. 이는 결혼이주 여성의 출산관련 교육과 출산지원에 대한 우선적인 요구를 반영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p><p>한편, 임신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 24.8 \% \), 체외수정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 5.9 \% \)였는데 이는 Seol 등의 연구에서 결혼 이주 여성의 \( 11.4 \% \)가 임신을 위하여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한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여 그 원인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대해서는 조사하지 않았지만 추후 이들 변인과 임신과의 관계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p><p>유산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22.9 \% \)였는데 이는 유산경험이 \( 20.2 \% \)로 나타난 Seol 등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산욕기 합병증이 있었던 대상자는 \( 8.5 \% \), 모유수유를 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 46.5 \% \)로 전남 M군, Y군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Kim의 연구와 비교할 때 산욕기 합병증의 경우 \( 6.9 \% \)로 유사하였으나 모유수유 경험의 경우 Kim의 연구에서 \( 58.8 \% \)로 본 연구 결과보다 높았다.</p><p>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의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극히 드문 현 시점에서 실제 계측을 통해 결혼이주 여성의 영양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다만,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결혼이주 여성의 체성분 조성을 보고한 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에는 제한이 있다. 더불어 한국 내 국 20-30대 여성의 체성분 조성을 보고한 연구도 드물어 국민 건강영양조사 결과 및 여대생의 체성분 조성을 보고한 Chung과 Chang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자의 \( 32.0 \% \)가 체단백질량 부족이었고, \( 18.3 \% \)가 체무기질량 부족이었다. 이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성분 조성을 측정한 Chung과 Chang의 연구에서 여대생의 \( 13.2 \% \)가 체단백질량 부족, \( 16.8 \% \)가 체무기질량 부족인 결과와 비교할 때 결혼이주여성의 심각한 단백질 섭취 부족을 보여주었다.</p><p>결혼이주여성의 체질량지수를 측정한 결과 우리나라 20대 일반 여성의 경우 25이상이 \( 14.3 \% \)인데 반해 연구대상자는 \( 21.6 \% \)로 나타나 우리나라 20대 보다 비만도가 낮았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 17 \% \)가 저체중으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20세 이상 여성의 \( 5.7 \% \)가 저체중인 것과 비교할 때 두 배 이상 높았다. 또한, 체지방률의 경우 모든 여대생이 표준범위 이상의 체지방률을 보여 체지방률 저하인 대상자가 \( 0 \% \)인 Chung과 Chang의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대상자의 \( 16.3 \% \)가 표준범위보다 낮은 체지방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체지방의 축적과 달리 \(30 \sim 50\%\) 체지방의 감소는 영양실조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고, 각 개인의 기초대사량은 제지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영양관리에 대한 보건학적 접근과 효율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p><p>대상자의 국적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 지난 1년간 월경의 규칙성, 질 분비물에서의 냄새, 체외수정 시술경험, 분만경험, 모유수유경험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이한 점은 배트남 출신의 대상자가 다른 국가 출신 대상자 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포가 민족 특성에 따른 차이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p><p>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체단백질과 체무기질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표준이하 혹은 표준이상의 체지방률은 베트남 출신이 다른 국가 출신의 대상자보다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질량지수가 표준이상인 경우는 30세 이상, 중국 출신, 거주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가 표준이상인 경우는 연령 30세 이상, 베트남 출신, 한국 거주 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많았다. 즉, 전체적으로 볼 때 30세 이상, 베트남 출신, 체류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의 비만도 지수가 다른 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고려한 관리방안 모색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p><p>본 연구는 B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이 조사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대표성 확보의 제한으로 인한 결과 해석의 제한점이 있지만, 기존 연구의 대부분이 농어촌 지역 및 중소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정신, 심리건강을 조사한 반면 본 연구는 대도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거의 연구된 바 없는 여성생식건강을 포함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조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p>
[ "외국인 이주자와 한국 남성간의 국제 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외국인 이주자와 한국 남성간의 국제 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관심을 크게 가져야 하는 이유로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 것인가?", "결혼이주여성의 실질적인 건강 문제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의 실질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어떤 연유에서 인가?", "본 연구에서 반영한 최근의 추세는 무엇인가?", "무엇이 본 조사연구에서 반영되어진 최근의 추세인 걸까?", "본 연구 대상자들의 비율로 볼 때, 어느 국적이 가장 많았는가?", "본 연구 대상자들의 비율로 살펴볼 때, 어느나라 국적이 제일 많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일어난 대상자는 몇 \\( \\% \\)인가?", "본 연구에서 몇 %의 대상자가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일어났나?", "본 연구에서 부인과 건강 관련하여 가장 높은 응답률을 얻은 결과는 무엇인가?", "본 조사연구에서 부인과 건강과 관련하여 어떤 결과가 제일 많은 응답률을 나타냈는가?", "본 연구에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신 중인 대상자는 얼마를 차지하고 있는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연구에서는 현재 임신 중인 대상자는 몇 %를 나타내고 있는가?", "Kim과 Koh의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 이주 여성의 출산 관련하여 반영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Kim과 Koh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결혼 이주 여성의 출산과 관련하여 어떤 부분을 반영해야 하는 것인가?", "결혼 이주 여성의 \\( 11.4 \\% \\)가 임신을 위하여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것과 관련하여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 이주 여성의 11.4%가 임신을 하기 위하여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것과 관련하여 확인해봐야 하는 사항으로는 어떤것이 있는가?", "결혼 이주 여성의 경우 임신을 위하여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비율을 어느 정도 인가?", "결혼 이주 여성의 경우 임신을 위하여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되지 않는 비율은 약 몇 % 인가?", "본 연구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실제 계측한 것은 무엇인가?", "본 조사연구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무엇을 구체적으로 실제 계측하였는가?", "본 연구가 기존의 선행된 연구와 비교하여 직접 비교함에 있어 어려움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가 기존의 선행된 연구와의 직접적으로 비교하는데에 힘든점은 어떤것이 있는가?",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성분 조성을 측정한 연구와 결혼 이주 여성의 영양상태를 비교할 때 알 수 있는 것은 뭐야?", "여대생을 대상으로 체성분 구성을 측정한 조사와 결혼 이주 여성의 영양상태를 비교할 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 이주 여성과 대한민국 20대 여성의 체질량 지수를 비교할 때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 이주 여성과 대한민국 20대 여성의 체질량 지수를 비교할 경우 무엇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인가?", "결혼 이주 여성과 대한민국 20세 이상 여성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비교할 때 저체중 비율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결혼 이주 여성과 대한민국 20세 이상 여성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비교할 경우 저체중의 비율에 대한 차이는 어느정도 인가?", "체지방률의 경우 표준범위보다 낮은 비율을 얻은 결혼 이주 여성의 비율은 얼마인가?", "체지방률의 경우 표준범위보다 낮은 비율을 획득한 결혼 이주 여성의 비율은 몇% 인가?", "\\(30 \\sim 50\\%\\) 체지방의 감소는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사람에게 30∼50%의 체지방 감소는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가?", "기초대사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요소는 무엇인가?", "어떤 요소가 기초대사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가?", "결혼이주여성의 부족한 영양상태 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무엇인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핍된 영양상태의 결과는 어떤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인가?", "대상자 국적에따 부인과 건강 관련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를 확실히 알기 위해 필요한 연구는 무엇인가?", "대상자 국적에따라 부인과 건강 관련 특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떤 연구를 통하여 이를 보다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는가?", "부인과 관련하여 다른 국가 출신 대상자 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국가는 어디인가?", "어느나라가 부인과 관련하여 다른 국가 출신 대상자 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가?", "본 연구의 대상자들 중에서 표준이하 혹은 표준이상의 체지방률 방면에서 다른 국가 출신들 대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국가는 어디인가?", "본 연구의 대상자들 중에서 어느 나라가 표준이하 또는 표준이상의 체지방률 방면에서 다른 국가 출신들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가?", "체질량 지수가 표준 이상인 이주 여성의 경우 어느 국가 출신이 가장 높았는가?", "어느 나라가 체질량 지수가 표준 이상인 이주 여성이 제일 높게 나타났는가?", "30세 이상, 중국 출신, 거주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보다 많았던 경우는 무엇인가?", "30세 이상, 중국 출신, 거주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보다 많았던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가 표준이상인 경우 어느 군이 가장 많았는가?", "어느 군이 허리와 엉덩이 둘레 비가 표준이상인 경우가 제일 많이 분포하고 있는가?", "전체적으로, 30세 이상, 베트남 출신, 체류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것은 무엇인가?", "다른 군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30세 이상, 베트남 출신, 체류기간이 37개월 이상인 군에서 무엇이 높은가?", "본 연구가 대표성을 확보하기에 제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가 무엇 때문에 대표성에 있어서 제한적인가?",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달리 의의를 갖는 이유는 뭐야?",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무엇인가?" ]
829cf077-aa64-4943-ab9d-f1d6b71f7eff
생명LA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h1>서 론</h1><p>1990년대 이후 한국 남성들이 아시아 여러 나라 또는 구소련 출신의 여성과 결혼하여 한국에서 사는 현상이 급증하여 2001년부터 5년간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연평균 \( 43.9 \% \)로 증가하였고 2020년에는 국제결혼이 한국 사회 전체 결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 32 \% \)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p><p>특히 출산율 최저 도시로 발표된 부산지역은 저출산, 고령화와 노동인구의 감소 등과 맞물려, 부산의 전체 결혼건수는 감소하는데 반해, 국제결혼은 증가 추세에 있다. 이는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자와 그 출생아동 비율의 급속한 증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건강문제의 발생이 어느 지역 보다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간호현장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자로 접하게 되는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건강상태 파악과 효율적인 간호 제공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p><p>결혼이주 여성의 출신국은 최근 2-3년 사이에 중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태국, 몽골,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등 점차 다양해지고 있어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한 효율적인 건강관리가 어려운데, 결혼이주여성의 약 \( 20 \% \)가 인공임신중절을 택하고 있으며, 여성 질환, 임신기간과 산후조리기간의 건강 문제, 빈혈, 불임 등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부인과 질환의 경우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이 부인과 검진을 받아본 경험이 없으며, 질병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잘 받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임신, 출산, 양육과 함께 가족건강을 책임 질 이들 결혼이주여성의 실질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p><p>이에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보건소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으로 포함시켜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 부족으로 아직까지 구체적인 실무지침이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p><p>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국제결혼 가정의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을 뿐, 결혼이주자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보건의료지원을 위한 대안 마련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및 심리적 건강에 대한 연구와 건강상태에 불과하다. 기존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결혼이주여성의 연령이 20-30대로 임신중이거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으며, 여성 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를 잘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여성생식건강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언한 바 있으나 실제 가임기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연구된 바 없다.</p><p>또한,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 세 명 중 한명이 저체중이며, 가장 높은 이환율을 보이는 질환이 빈혈임을 감안할 때 이들의 영양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체성분 조성 측정은 신체구성 성분의 함량과 분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영양상태 평가 및 비만, 심장질환과 순환계 질환 평가 그리고 반복측정을 통한 질환의 진행 속도를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한다.</p><p>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일반적 특성,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 결혼이주 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였다.</p>
[ "2001년부터 5년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증가율은 연평균 몇%인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2001년부터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몇%지?", "본 논문에서는 한국 사회 전체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2020년에는 몇 %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는가?", "본 논문에서는 2020년에 한국 사회 전체에서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율이 몇 %가 될 것이라고 추정하지?", "2001년부터 5년간 국제결혼 이주여성은 연평균 몇 %로 증가하였는가?", "2001년부터 5년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증가율은 연평균 몇 %지?", "출산율 최저 도시로 발표된 지역으로서 전체 결혼건수는 감소하는데 반해, 국제결혼은 증가 추세에 있는 곳은 어디인가?", "출산율 최저 도시로 발표된 지역으로서 전체 결혼건수는 감소하는데 반해, 국제결혼은 증가율을 보이는 곳은 어디지?", "전체 결혼건수는 감소하는데 반해, 국제결혼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출산율이 최저로 발표된 도시는 어디인가?", "전체 결혼건수는 감소하는데 반해, 국제결혼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출산율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낸 도시는 어디지?", "최근 결혼이주 여성의 출신국이 다양해지면서 간호현장에서는효율적인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것은 어떤 차이에 기인한 것인가?", "최근 결혼이주 여성의 출신국이 다양해지면서 간호현장에서는효율적인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어떤 차이가 이것을 유도한거지?", "결혼이주여성들 중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는 비율은 몇 %인가?", "결혼이주여성들 중 몇 %가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지?", "결혼이주여성의 실질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가?", "결혼이주여성의 실질적인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어떤 노력을 보이고 있지?",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어떤 사업 대상으로 포함시켰는가?",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결혼이주여성을 포함시칸 사업 대상은 뭐야?",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무지침이나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무지침이나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뭐지?", "결혼이주여성들 중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는 비율은 몇 %인가?", "결혼이주여성들 중 몇 %가 인공임신중절을 선택하지?",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을 어떤 사업 대상으로 포함시켰는가?",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결혼이주여성을 포함시킨 사업 대상은 뭐지?",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무지침이나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정책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무지침이나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데, 무엇떄문에 그런거지?", "본문을 참고할 때, 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어떤 문제를 다루고 있는가?", "본문을 참고할 때, 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 대한 선행연구가 주로 다룬 문제는 어떤거지?", "기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결혼이주여성은 가임기에 있으며 여성 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무엇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언했는가?", "기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결혼이주여성은 가임기에 있으며 여성 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후속연구는 무엇에 대해 제언했지?", "기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결과에서 결혼이주여성은 가임기에 있으며 여성 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무엇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언했는가?", "기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결과에서 결혼이주여성은 가임기에 있으며 여성 질환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면서 후속연구를 무엇에 대해 제언했지?", "선행연구에서 가장 높은 이환율을 보이는 질환은 무엇이었는가?", "선행연구에서 무슨 질환이 가장 높은 이환율을 보이지?",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 중 저체중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 중 저체중을 가진 사람은 그 비율이 어떻지?",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개인의 영양상태 및 질환의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을 활용하여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개인의 영양상태 및 질환을 평가하지?", "신체구성 성분의 함량과 분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체성분 조성 측정은 어떻게 건강관리에 이용될 수 있는가?", "신체구성 성분의 함량과 분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체성분 조성 측정은 건강관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지?",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역은 어디인가?",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곳은 어떤 지역이지?", "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무엇을 파악하고자 하였는가?", "본 연구는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무엇을 고찰하고자 한거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가장 높은 이환율을 보이는 질환은 무엇이었는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무슨 질환이 가장 높은 이환율을 보이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 중 저체중을 가진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본 연구에서 살펴본 선행연구에서 결혼이주 여성 중 얼마의 비율로 저체중을 가지고 있지?",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개인의 영양상태 및 질환의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조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개인의 영양상태 및 질환의 평가에 무엇이 활용될 수 있지?",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도시 어디인가?", "결혼이주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건강상태와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은 어느 도시지?" ]
3de7bcbe-5071-4f04-a82a-44a2832a4e69
생명LA
NIH3T3 세포에서 UVB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옻 추출물과 fisetin의 효과
<h1>재료 및 방법</h1><h2>세포배양</h2><p>실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은 mouse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로를 이용하였고, 이 세포들은 plastic petri dishes상에서 \( 37^{\circ} \mathrm{C} \) \( \mathrm{CO}_{2} \) humidified incubator 에서 \( 10 \% \) fetal bovine serum, penicillin \( (100 \mathrm{U} / \mathrm{ml}) \) 및 strep-tomycin \( (100 \mu \mathrm{g} / \mathrm{ml}) \) 이 존재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Life Technologies, 미국) 조건에서 배양하였고, expo-nential phase의 세포들을 \( 0.025 \% \) trypsin-EDTA를 이용하여 계대배양하였다.</p><h2>옻 추출물(RVSE)의 제조와 성분 분석 및 fisetin의 이용</h2><p>옻추출물은 생명의 나무(주)로부터 제공받았는데 그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옺나무의 목재부를 \( 10 \mathrm{~cm} \)의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1개월 정도 건조한 다음, \( 400 \mathrm{~g} \)의 건조된 옻나무에 \( 99.9 \% \)의 아세톤 1 liter를 가하고 \( 40^{\circ} \mathrm{C} \) 에서 5 일간 방치하여 노란색을 띤 추출물을 얻었다. 이 추출물에 동량의 물을 가하고 \( 40^{\circ} \mathrm{C} \)에서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식히고 No. 2 여과지(Whatman, 미국)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물을 회전식 진공증발기(Resona Co., 스위스)로 농축한 후 원심진공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얻었는데 수율은 \( 1.1 \% \) 였다. 이 추출물을 DMSO로 녹여 \( 100 \mathrm{mg} / \mathrm{ml} \) 의 농축용액을 만들고 \( -20^{\circ} \mathrm{C} \)에 보관하여 필요한 농도만큼 의석하여 사용하였다. HPLC 분석 결과 이 추출물에는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urusiol이 존재하지 않고, fisetin, butein, fustin, sulfretin등 의 flavonoid가 포함되어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들 flavonoid 성분들은 Sigma (미국)에서 구입하여 각각 적정 용매로 농축 용액을 만들어 \( -20^{\circ} \mathrm{C} \) 에 보관하여 실험을 수행할 때 필요한 양만큼 희석하여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 목표인 UVB에 의한 세포고사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fisetin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본 연구팀에 의해 선정되었다.</p><h2>세포 형태 분석</h2><p>세포를 \( 35 \mathrm{~mm} \) 배양접시에 동일 양을 분주하여 하루를 배양한 후 UVB \( \left(200 \mathrm{~J} / \mathrm{m}^{2}\right) \)를 처리한 후 조건에 맞는 농도의 옻 추출물 및 fisetin을 처리하였다.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들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현미경 \( (\times 200) \)으로 관찰하였다.</p><h2>Trypan blue 배제 분석</h2><p>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은 세포들을 대상으로 옻추출물 또는 fisetin을 적정시간 처리한 후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 150 \mathrm{mM}\ \mathrm{NaCl}, 3\ \mathrm{mM}\ \mathrm{KCl}, 12\ \mathrm{mM} \) \( \mathrm{Na}_{2} \mathrm{HPO}_{4}, 2\ \mathrm{mM}\ \mathrm{KH}{ }_{2} \mathrm{PO}_{4} \) )로 세척하고 trypsin-EDTA를 이용하여 수확하였다. 수확한 세포를 PBS \( 200 \mu l \)로 희석하고 같은 양의 \( 0.8 \% \) trypan blue (Sigma)를 첨가하였다. Hemocy-tometer를 사용하여 약 200개 정도의 세포에 대해 trypan blue가 세포로 흡입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세포의 수를 세어 trypan blue가 흡입된 세포 수 \(/\) total 세포의 수의 퍼센트를 구해 세포의 생존율을 알아보았다.</p><h2>4, 6-diamidino-2-phenylindole (DAPI) 염색에 의한 핵 분절 분석</h2><p>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은 세포들을 대상으로 옻추출물 또는 fisetin을 적정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수확하고, 수확한 세포를 PBS \( 200 \mu l \)로 희석한 후 DAPI를 첨가하였다. DAPI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20 분간 염색한 후에 핵의 분절 정도를 형광현미경(Zeiss Axioskop 2 Plus)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p><h2>Annexin V 결합분석</h2><p>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은 세포들을 대상으로 옺추출물 또는 fisetin을 적정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수확하고, 수확한 세포를 PBS \( 200 \mu 1 \) 로 희석한 후 Annexin V (BM Roche, 독일)를 첨가하였다. Annexin V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염색한 후에 Annexin V 결합 정도를 형광현미경 (Zeiss Axioskop 2 Plus)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p>
[ "건에 맞는 농도의 옻 추출물 및 fisetin을 처리하기위해 어떤방법을 사용했어 ?", "mouse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로는 어떤 조건에서 배양되었어 ?", "fisetin의 효과가 제일 우수한것으로 선정됐는데 무슨효과를 말하는거야 ?", "추출물을 얻었는데 수율이 \\( 1.1 \\% \\) 나왔을때 어떤방법으로 진행했을까 ?", "노란색을 띤 추출물을 얻기위해 어떤방법으로 진행했어 ?", "수확한 세포에 DAPI를 첨가하기전에 어떤 처리를 진행했어 ?", "핵의 분절 정도를 관찰하기위해 어떤물건을 사용했어 ?", "\\( 100 \\mathrm{mg} / \\mathrm{ml} \\) 의 농축용액은 추출물에 어떤 용제를 사용해서 만들어낸거야 ?", "옻추출물을 제공받은곳은 어디야 ?", "fisetin을 어떤 방법으로 세척했어 ?", "핵의 분절 정도를 형광현미경(Zeiss Axioskop 2 Plus)을 사용하여 관찰하기전에 실온에서 몇분간 염색했어 ?", "추출물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urusiol이 존재하지않음은 어떻게 알 수 있었어 ?", "Hemocy-tometer를 사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할때 어떤 방법을 사용했어 ?", "수확한 세포에 PBS \\( 200 \\mu l \\)로 희석하고 후에 첨가한게 뭐야 ?", "mouse 섬유아세포는 어디에서 분양받았어 ?" ]
a1c3a5c5-a6d3-41cc-855b-0710b694b21f
생명LA
NIH3T3 세포에서 UVB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옻 추출물과 fisetin의 효과
<h1>고 찰</h1><p>전통적으로 옻나무 성분은 한방에서와 민간에서 모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옻 성분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작에 대해보고 되었다. 옻 성분이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고, 아울러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그리고 면역능 증진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p><p>자외선, 특히 \( 290-320 \mathrm{~nm} \) 의 파장을 지닌 UVB는 우리 주위환경에 존재하며 UVB에 의해 유도되는 생물학적인 반응에는 세포주기 정지, 세포고사, 세포증식 그리고 어린피부세포의 노화 등이 포함되며, 대부분의 포유동물세포는 UVB와 같은 상해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 종양의 발달을 유도한다.</p><p>본 연구에서는 NIH3T3 세포에서 DNA 상해반응에 미치는 옻나무 추출물(RVSE)과 옻나무 추출물 분리 성분인 fisetin 효과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RVSE와 fise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trypan blue 배제분석으로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 고농도를 첨가한 그룹에서만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여 주었고 대체적으로 생존율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UVB에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의 세포의 생존율 변화, 세포의 형태변화, 핵의 쪼개짐, 세포막 구조변화에 Annexin V가 결합하는 현상이 UVB에 조사 되지 않고 RVSE와 fise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과 비슷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세포형태분석, trypan blue 배제분석, DAPI 염색에 의한 핵 분절 분석, Annexin V 결합분석과 같은 다양한 분석법들을 통해 증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UVB에 의한 세포고사, 특히 초기단계를 RVSE와 fisetin이 저해하고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p><p>DNA 상해에 의한 세포고사에 의해 발현하게 되는 단백질에는 p53, Bax, Mdm2, Gadd45이 포함되고 DNA 회복과 연관 있는 단백질은 PCNA, 세포주기와 연관 있는 단백질은 cyclin A, cyclie D, cdk2, cdk4가 발현하게 된다. p53 단백질은 자외선과 같은 DNA 상해가 일어난 후 세포주기를 조절 해 주는 중요한 단백질로[10], 유전독성에 의해 활성화 되고 발현율이 증가한다. 세포주기를 정지하거나 세포고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p53 단백질은 핵 안에 안정화된 p53 단백질이 축척 되어야 그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p><p>Fise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생물학적 효과는 다양하고 어떤 경우에는 세포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플라보노이드들은 B16과 같은 melanoma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며 세포고사를 유도한다. 이와 유사하게 플라보노이드 중의 하나인 silibinin은 UVB에 의한 피부 종양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는데, 그 효과에 대한 분자 기작은 silibinin이 자외선 상해시 활성화되는 p53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그로 인해 \( \mathrm{p} 21^{\mathrm{WAF1}} \) 이 활성화되며 그 \( \mathrm{p}^{21^{\mathrm{WAF}}} \)은 PCNA와 DNA 합성을 저해시켜 결국은 세포의 증식을 저해시키고 UVB에 의한 피부종양을 억제한다고 제시되었다. 한편, 옻추출물과 그 성분중 하나인 quer-ce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활성과 면역세포의 세포고사를 감소시키는 능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러한 보고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측면을 갖는다. 현재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p53의 수준이 fisetin 처리에 의해 변화됨이 본 연구자 등에 의해 관찰되고 있는데, 보다 정확한 fisetin의 기작을 향후의 연구에서 더 규명해 가고자 한다.</p>
[ "B16과 같은 melanoma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며 세포고사를 유도하는 물질이 플라보노이드야 ?", "p53 단백질은 핵안에 안정화된 p53 단백질이 축척되지않아도 그 기능을 발휘하지 ?", "세포의 증식을 저해시키고 UVB에 의한 피부종양을 억제한다고 알려져있고 UVB에 의한 피부 종양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플라보노이드는 뭐야 ?", "항산화 활성과 면역세포의 세포고사를 감소시키는 능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는 옻추출물과 그 성분중하나인 플라보노이드는 뭐야 ?", "유전독성에 의해 활성화 되고 발현율이 증가하며 자외선과 같은 DNA 상해가 일어난 후 세포주기를 조절 해 주는 중요한 단백질은 뭐야 ?", "p53 단백질 유전독성에 의해 활성화 되고 발현율이 증가하지만 자외선과 같은 DNA 상해가 일어난 후 세포주기를 조절 해 주는 단백질은 아니지 ?", "cyclin A, cyclie D, cdk2, cdk4가 세포주기와 연관된 물질이야 ?", "DNA 회복과 관련있는 단백질은 뭐야 ?", "B16과 melanoma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며 세포고사를 유도하는 물질은 뭐야 ?", "전통적으로 한방에서와 민간에서 모두 유용하게 사용된 성분은 뭐야 ?", "전통적으로 한방 및 민간 모두에서 유용하게 사용된 성분은 뭐지 ?", "한방에서와 민간에서 모두 유용하게 사용된 전통적인 성분은 옻나무 성분이야 ?", "한방 및 민간 모두에서 유익하게 사용된 전통적인 성분은 옻나무 성분이지 ?",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그리고 면역능 증진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성분은 어떤성분이야 ?", "무슨 성분이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그리고 면역능 증진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지?", "옻성분이 면역능 증진작용은 하지만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효과는 없어 ?", "옻성분이 면역능 증진작용은 하지만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역할은 하지 못해 ?", "대부분의 포유동물세포는 UVB와 같은 상해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 종양의 발달을 유도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UVB는 몇이야 ?", "대부분의 포유동물세포는 UVB와 같은 상해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 종양의 발달을 유도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몇 UVB야 ?", "포유동물세포는 자외선, 특히 \\( 290-320 \\mathrm{~nm} \\) 의 파장을 지닌 UVB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도 종양의 발달이 유도되지 않지 ?", "포유동물세포는 290-320 \\mathrm~nm} \\)의 파장을 지닌 UVB에 계속 노출되어도 종양의 발달과 관계 없지?",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첨가한 그룹에서만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여 주었어 ?",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는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첨가한 그룹에서만 나타났어?", "RVSE와 fisetin이 UVB에 의한 세포고사의 초기단계를 저해하고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어 ?", "UVB에 의한 세포고사의 초기단계를 저해하고 보호해주는 효과가 RVSE와 fisetin에게 있음을 확인했어 ?", "p53, Bax, Mdm2, Gadd45이 DNA 상해에 의한 세포고사에 의해 발현하게 되는 단백질이야?", "DNA 상해에 의한 세포고사에 의해 발현하게 되는 단백질은 p53, Bax, Mdm2, Gadd45이야?" ]
2be8e2a8-754f-4a29-999b-a090ff64cc51
생명LA
NIH3T3 세포에서 UVB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옻 추출물과 fisetin의 효과
<h1>결 과</h1><h2>옻나무 추출물(RVSE)과 옻나무 추출물 분리 성분인 fise-tin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h2><p>NIH3T3 세포에 옺나무 추출물(RVSE)과 옺나무 추출물 분리 성분인 fisetin을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RVSE는 \(50, 100, 200, 300, 400 \mu \mathrm{g} / \mathrm{ml} \) 농도로, fisetin은 \(50, 75, 100, 300, 500 \mathrm{uM} \) 농도로 처리하였다.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는 세포에 대한 독성이 증가하여 세포가 둥그렇게 되며 세포의 집단 으로부터 점차 떨어져 나가는 세포고사로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p>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RVSE와 fisetin이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NIH3T3 세포에 UVB \( \left(200 \mathrm{~J} / \mathrm{m}^{2}\right) \)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처리하고 48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UVB를 조사하고 배양배지 만을 처리한 그룹은 UVB에 의한 유전독성으로 세포고사가 상당히 유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UVB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에서는 UVB에 의한 세포 고사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p><h2>자외선을 조사한 NIH3T3 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h2><p>Trypan blue 배제분석을 수행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UVB를 조사한 그룹과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고농도의 RVSE와 fisetin에서만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여 주었다. 한편, UVB를 조사한 그룹의 경우, UVB를 조사한 후 배양배지만 처리한 그룹은 UVB에 의한 유전독성으로 인해 세포의 생존율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0-20 \% \) 정도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UVB를 조사한 후 RVSE나 fisei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은 UVB와 옻추출물 성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였을 때 예상되는 세포고사의 정도 보다 현저히 증가된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며, UVB의 독성으로부터 상당한 수준의 보호효과를 보여준다. 이는 RVSE와 fisetin이 NIH3T3 세포에서 UVB를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생존율 저하를 방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p><h2>자외선 조사에 의한 NIH3T3 세포의 핵분절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h2><p>UVB에 의한 세포의 사멸이 세포고사인지와 그 세포고사가 RVSE와 fisetin에 의해 저해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생존율만을 증가시키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고사가 진행될 때 나타나는 핵의 분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DAPI 염색 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에 UVB를 조사 한 후 배양배지만을 처리한 그룹은 세포고사의 특징적인 핵의 분절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과 fisetin을 농도별 첨가하여 48시간 처리한 그룹에서는 핵의 분절이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반복적인 관찰을 통계 처리하였을 때 약 \( 35-45 \% \) 정도의 감소를 보였다(자료제시 않았음). 이는 RVSE와 fisetin이 UVB에 의한 NIH3T3 세포의 세포고사를 저해함을 시사한다.</p><h2>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세포고사의 초기 단계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h2><p>RVSE와 fisetin이 세포고사의 초기 단계의 진행을 방어하여 감소시키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An-nexin V 결합분석을 수행하였다.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8시간 반응시킨 그룹에서는 Annexin V가 결합하는 현상이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이는 RVSE와 fisetin이 NIH3T3 세포에 UVB를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세포고사의 진행과정 중 특히 초기 단계를 저해 또는 감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p>
[ "옻나무 추출물과 fisetin을 처리한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과정은 어떻게 되니?",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옺나무 추출물과 fisetin을 어떤 세포에 처리해서 변화를 관찰했을까?", "옻나무 추출물과 fisetin을 처리한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어떤 농도의 옻나무 추출물을 선택했지?",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쓰인 옻나무 추출물과 fisetin 중에서 \\(50, 75, 100, 300, 500 \\mathrm{uM} \\) 농도로 처리된 것은 어떤 것일까?",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어떤 농도의 fisetin으로 처리하였지?", "어떤 농도의 fisetin으로 처리하여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니?",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세포의 특성이 어떻게 바뀌지?", "어떻게 fisetin의 농도를 처리하여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는가?",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 관찰을 위해 fisetin의 농도를 어떻게 설정하였나?",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고사는 어떻게 진행되지?",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의 세포고사의 진행과정은 어떻게 돼?", "RVSE와 fisetin을 고농도로 처리하면 최종적으로 세포는 어떻게 되지?", "고농도로 RVSE와 fisetin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가 둥그렇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RVSE와 fisetin의 고농도에서 세포가 둥그렇게 변하는가?",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RVSE와 fisetin이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진행한 실험 과정은 어떻게 될까?", "RVSE와 fisetin이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RVSE와 fisetin을 처리하고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몇 시간동안 반응시켰지?",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RVSE와 fisetin이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중 UVB에 의한 유전독성으로 세포고사가 상당히 유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던 그룹은 무엇인가?",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대한 효과 실험 중 어느 그룹에서 UVB에 의한 유전독성으로 세포고사가 상당히 유도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지?",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RVSE와 fisetin이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UVB의 양은 얼마를 사용했지?", "NIH3T3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처리하고 반응시킨 후 형태 변화를 관찰한 이유는 무엇을 확인하기 위함이지?",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지?", "어떤 분석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나?",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RVSE와 fisetin이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중 UVB에 의한 세포 고사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던 그룹은 어떻게 실험하였나?", "본 논문에서는 Trypan blue 배제분석을 통해 무엇을 관찰하였지?", "UVB에 의한 유전독성에 대한 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UVB를 조사하고 배양배지 만을 처리한 그룹과 UVB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 중 세포 고사가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그룹은 무엇일까?",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그룹은 어떻게 나누었지?", "UVB를 조사한 그룹과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수행한 실험은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해 무엇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지?", "본 논문에서 UVB가 세포고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된 옺나무 추출물 분리 성분은 뭐지?", "옻나무 추출물과 fisetin을 처리한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몇 시간 동안 반응시켰는가?", "NIH3T3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반응시킨 시간은 몇 시간인가?", "세포고사가 진행될 때 나타나는 핵의 분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DAPI 염색 분석 수행 결과에서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과 fisetin을 농도별 첨가하여 48시간 처리한 그룹의 핵의 분절감소 현상이 시사하는 바는 뭘까?",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UVB에 의한 유전독성으로 인해 세포의 생존율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0-20 \\% \\) 정도로 현저히 감소한 그룹은 무엇인가?", "UVB를 조사한 그룹과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 중에서 고농도의 RVSE와 fisetin에서만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여 준 그룹은 무엇이었는가?", "UVB를 조사한 그룹과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UVB를 조사하지 않은 그룹은 어떤 결과를 보였는가?", "Trypan blue 배제분석을 수행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고농도의 RVSE와 fisetin에서만 세포독성에 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여준 그룹은 무엇이야?", "UVB를 조사한 그룹 중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0-20 \\% \\) 정도로 현저히 감소한 그룹은 어느 그룹이야?", "Trypan blue 배제분석을 수행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UVB를 조사한 후 배양배지만 처리한 그룹이 세포의 생존율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10-20 \\% \\) 정도로 현저히 감소한 이유는 뭘까?", "UVB를 조사한 후 배양배지만 처리한 그룹은 세포의 생존이 현저히 감소했는데, 정상 대조군에 비할 때 어느 정도 감소했을까?", "UVB와 옻추출물 성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였을 때보다 UVB의 독성으로부터 상당한 수준의 보호효과를 보여주는 그룹은 어느 그룹이야?", "UVB를 조사한 후 RVSE나 fisei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이 UVB의 독성으로부터 상당한 수준의 보호효과를 보여주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그룹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했을 때, UVB 독성으로부터의 보호효과가 있는 결과를 보여준 그룹은 무엇이야?", "UVB를 조사한 후 RVSE나 fisei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이 현저히 증가된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며, UVB의 독성으로부터 상당한 수준의 보호효과를 보여주는 것은 어떤 점을 시사하고 있을까?", "자외선을 조사한 NIH3T3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RVSE와 fisetin의 효과를 관찰했을 때, UVB를 조사한 후 RVSE나 fiseitin을 다양한 농도별로 첨가하여 처리한 그룹에서는 UVB의 독성으로부터 어떤 효과를 보여주지?", "UVB로부터 세포의 생존율 저하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어떤 물질이 UVB로부터 세포의 생존율 저하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이야?", "DAPI 염색 분석을 진행한 이유는 뭐지?", "DAPI 염색 분석 시 어떤 현상을 관찰할 수 있지?", "DAPI 염색 분석을 실시한다면 무엇을 확인할 수 있을까?", "DAPI 염색 분석을 수행 시 언제 핵의 분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가?", "UVB에 의한 세포의 사멸이 세포고사인지 그 세포고사가 RVSE와 fisetin에 의해 저해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생존율만을 증가시키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한 DAPI 염색 분석에서 세포고사의 특징적인 핵 분절이 뚜렷하게 관찰된 그룹은 무엇이야?",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과 fisetin을 농도별 첨가하여 48시간동안 처리한 그룹의 핵 분절의 감소 결과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관찰하고 통계 처리한 결과값은 어떻게 되었지?", "핵의 분절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DAPI 염색 분석을 진행했을 때에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배양배지만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무엇이 관찰되었지?", "DAPI 염색 분석 실험에서 핵의 분절이 현저히 감소된 그룹의 실험 과정은 어떻게 되지?", "DAPI 염색 분석을 통해서 RVSE와 fisetin이 UVB에 의한 NIH3T3 세포의 무엇을 방해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는가?",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과 fisetin을 농도별 첨가하여 48시간 처리한 그룹의 관찰 결과는 어떠했어?", "UVB를 조사한 세포에 RVSE과 fisetin을 농도별 첨가하여 48시간 처리한 그룹은 어떤 현상을 나타냈어?", "RVSE와 옻나무 추출물 분리 성분인 fise-tin을 처리한 세포에서의 형태 변화에 대한 실험 과정에서 An-nexin V 결합분석은 왜 진행한 거야?", "UVB 조사 후 RVSE와 fis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8시간동안 처리한 그룹에서 Annexin V가 결합하는 현상이 감소한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세포고사의 초기 단계의 진행을 RVSE와 fisetin이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 분석은 뭐지?", "An-nexin V 결합분석에서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RVSE와 fis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8시간 반응시킨 그룹이 보인 반응은 뭐지?", "RVSE와 fisetin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세포고사의 어느 단계에 특히 효과있어?", "An-nexin V 결합분석에서 Annexin V가 결합하는 현상이 감소한 그룹은 어느 그룹이야?", "An-nexin V 결합분석은 RVSE와 fisetin이 세포고사의 진행을 방어하여 감소시키는 시점이 언제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진행한 실험일까?", "RVSE와 fisetin이 세포고사의 언제의 진행을 방해하는지 An-nexin V 결합분석을 통해 알고자 하였는가?", "An-nexin V 결합분석을 통해 RVSE와 fisetin이 세포고사의 진행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는가?" ]
49f1e953-4837-4ff8-8881-cce9202dbb72
생명LA
NIH3T3 세포에서 UVB에 의한 세포고사에 미치는 옻 추출물과 fisetin의 효과
<p>옺나무는 생리활성물질의 약리적 가치 때문에 우리 선조들은 한방에서 내종의 치료제로써 사용해 왔으며, 일상생활에서는 가구의 장식과 보존을 위해 도료 또는 방부제로써 사용해왔다. 또한 민간에서는 옻순을 식용하고 옻순주를 담아 먹기도 하며, 옻닭을 이용하며, 옻껍질이나 즙을 위장병과 숙취해소에 특효가 있다하여 약용으로 복용하여 왔다. 따라서 옻나무에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결과는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종양 증식에 대한 감소, 항산화 작용이나 면역능 증진효과 등 제한된 범위내에서 보고되고 있다.</p><p>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은 중요한 환경적인 요인으로 많은 세포들의 증식, 생존 그리고 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3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파장이 긴 UVA \( (320-400 \mathrm{~nm}) \), UVB \( (280-320 \mathrm{~nm}) \) 그리고 파장이 짧은 UVC \( (200-280 \mathrm{~nm}) \)로 분류된다. 자외선에 조사된 세포의 DNA 상해는 세포주기의 정지, DNA 회복 활성, 세포의 죽음과 같은 DNA 상해 반응을 유발한다.</p><p>DNA 상해 반응이나 유전 독성에 대해 변화를 유발하는 천연물들을 검색하는 일은 항암제나 항노화제, 자외선 보호제 등의 개발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유전 독성을 감소시키는 천연물들의 활성은 DNA 상해원의 해독 과정에 수반되는 활성산소족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항산화활성, 천연물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한 DNA 상해원 농도의 감소, DNA 회복능이나 DNA 상해 반응의 신호 전달 수준의 증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p><p>본 연구자 등은 다양한 천연물 재료들을 대상으로 알킬화제 상해 반응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하여 왔고, 자외선 상해 반응에 대한 변화를 유발하는 물질로는 옻의 아세톤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의 성분 중 하나로 본 연구팀에 의해 규명된 fisetin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에서 UVB에 의한 세포고사를 옻 추출물과 옻 추출물 분리성분인 fisetin이 예방하고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p>
[ "우리 선조들이 한방에서 내종의 치료제로써 옺나무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 선조들은 어떤 이유로 옺나무를 한방에서 내종의 치료제로써 사용했어?", "옻껍질이나 즙을 약용으로 복용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누가 옻껍질이나 즙을 약용으로 복용하였나요?", "옻나무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보고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보고된 예를 2가지만 말해줄 수 있어?", "옻나무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보고되고 있는 연구 결과 중에는 무엇들이 있지?", "파장에 따라 자외선을 분류하면 어떻게 분류할 수 있나요?", "자외선을 파장에 따라 분류했을때 그 분류는 어떻게 되지?", "자외선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 UVC의 파장 범위는 어떻게 돼?", "UVC는 자외선 중에서 파장이 가장 짧은데, 그 파장 범위는 얼마나 되지?", "자외선에 조사된 세포의 DNA 상해는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가?", "자외선에 조사된 세포의 DNA 상해가 일으키는 반응에는 무엇이 있지?", "자외선 상해 반응에 대한 변화를 유발하는 물질로 이 연구팀은 어떤 물질을 선정했어?", "이 연구팀이 자외선 상해 반응에 대한 변화를 유발하는 물질로 선정한 물질은 무엇이야?", "여러가지 천연물 재료들을 대상으로 알킬화제 상해 반응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한 결과 자외선 상해 반응에 대한 변화 유발 물질로 선정된 fisetin은 어떤 성분이니?", "여러가지 천연물 재료들을 대상으로 알킬화제 상해 반응에 대한 검색 작업을 수행한 결과 fisetin은 자외선 상해 반응에 대한 변화 유발 물질로 선정었는데, 이것의 주요 성분은 무엇이지?", "천연물을 검색하는 일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유는 무엇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인가?", "천연물을 검색하는 일은 무엇을 개발하는 것과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나?", "우리 선조들이 한방에서 내종의 치료제로써 사용해 온 식물 중에서 생리활성물질의 약리적 가치가 있는 식물을 무엇이야?", "생리활성물질의 약리적 가치가 있는 식물로서 우리 선조들이 한방에서 내종의 치료제로써 사용해 온 식물은 무엇이야?", "일상생활에서도 옻나무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주로 어떻게 사용되었나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옻나무의 주로 사용방법에는 무엇이 있어?", "많은 세포들의 증식, 생존, 기능과 관련있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광선은 무엇인가?", "태양에서 방출되는 광선으로 많은 세포들의 증식, 생존, 기능과 관련있는 것은 무엇인가?", "항산화활성은 유전 독성을 감소시키는 천연물들의 활성 중 하나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유전 독성을 감소시키는 천연물들의 활성 중 항산화활성의 역활은 무엇인가?", "천연물의 직접적인 결합에 따라 감소하는 농도는 무엇인가?", "천연물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서 감소하는 농도는 무엇인가?", "본 연구자 등이 여러가지 천연물 재료들을 대상으로 검색 작업을 수행하여 알아내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자 등은 무엇을 알아내기 위해 여러가지 천연물 재료들을 대상으로 검색작업을 수행했나?" ]
656ad791-9d12-4293-afe7-55cb606add5a
생명LA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동정 및 항균효과
<h1>요 약</h1><p>계룡산 지역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항생제 다제내성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항생물질 생산균주를 분리,탐색하는 과정에서 Streptomyces sp. KH223균주를 선별하였다. 분리균주의 생화학적 특징과 16S ribosomal 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분리균주가 Streptomyces galbus에 속함이 확인되었다. 분리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49종의 Acinetobacter baumannii 외 다양한 세균과 진균 등에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분리균주의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여종의 A. baumannii에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 \( 0.8 \mu \mathrm{g} / \mathrm{mL} \)에서 \( 5.0 \mu \mathrm{g} / \mathrm{mL} \)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기 분리된 cyclo(trp-trp)의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12.5 μg/mL 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유기용매 분획물과 cyclo(trp-trp)은 Candida albicans IFO6258, Bacillus subtilis IAM 1069, Micrococcus luteus JCM1464, Aspergillus niger ATCC 9642, Streptomyces murinusJCM 4333 등 5종의 세균과 진균에 대해 \( 2.5 \mu \mathrm{g} / \mathrm{mL} \)에서 \( 50 \mu \mathrm{g} / \mathrm{mL} \) 범위의 비교적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분리균주의 유용성과 앞으로 추가적인 정제, 물질동정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항생물질을 탐색하는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
[ "Streptomyces sp. KH223균주의 특징은 무엇인가?", "무엇이 Streptomyces sp KH223 균주의 특성일까?", "Streptomyces sp. KH223균주가 Streptomyces galbus에 속함을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는가?", "Streptomyces galbus에 포함되는 Streptomyces sp. KH223균주는 어떤 방식을 통해 관찰할 수 있는가?",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항생물질을 탐색하는기초를 제공하는가?", "새로운 항생물질을 탐색하는 기초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결과를 토대로 어떠한 방식을 이용해야되는가?", "분리균주를 어떠한 방법으로 분류하는가?", "어떠한 방법으로 분리균주를 구분할 수 있는가?" ]
32408024-bafb-443f-80c8-466ab5af9aae
생명L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 잎 추출물 분석 및 안정성 평가
<h2>UPLC-QTof-MS 및 PDF 분석 조전</h2><p>느릅나무 잎 지표 물질의 정성분석을 위해 UPLC-QTof-MS와PDA 분석은 BEH \(\mathrm{C}_{18}(2.1 \times 100 \mathrm{mm}, 1.7 \mu \mathrm{m})\) 칼럼 관과 PDA (photodiode array)와 mass를 장착한 UPLC에 유속 \( 0.4 \mathrm{mL} / \)\( \mathrm{min} \), 용매는 \( 0.1 \% \) formic acid가 포함된 증류수(A)와 ACN(B)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UPLC 이동상의 용매 조성은 0.0-1.0 \({~min} ~1 \% \) (B), 1.0-3.0 \({~min}~1-15 \%\) (B), 3.0-11.0 \({~min} ~15-40 \% \) (B), 11.0-13.0 \({~min} ~40\%\) (B), 13.1-15.0 \({~min} ~40-1\%\) (B) 조건을 이용하였으며, 시료는 \( 2 \mu \mathrm{L}(1 \mathrm{mg} / \mathrm{mL}) \) 주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p><h2>구조분석</h2><p>생리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NMR, MS, UV 등의 분광학적인 기기를 사용하였다. 먼저, \( { }^{1} \mathrm{H}-,{ }^{13} \mathrm{C}-\mathrm{NMR} \)에서 수소와 탄소의 개수와 chemical shift 값으로 기본적인 골격을 예상하였고, 2D-NMR (COSY, HMQC, HMBC, DEPT)에서 수소-탄소의 연관관계를 통해 치환기의 정확한 위치와 탄소 차수를 확인하여 물질의 구조를 확인하였고 선행문헌의 화합물과 비교확인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p><h2>Chlorogenic acid (3-O-caffeoylquinic acid)</h2><p>\( { }^{1} \mathrm{H} \) NMR \( \left(500 \mathrm{MHz}\right. \), methanol-\( \left.d_{4}, \delta\right)\): 7.58(d, J=16.0 \(\mathrm{Hz}\), 1H), 7.04(d, J=2.0 \(\mathrm{Hz}\), 1H), 6.94(dd, J=8.2,2.0 \(\mathrm{Hz}\), 1H), 6.78(d, J=8.2 \(\mathrm{Hz}\), 1H), 6.30(d, J=16.0 \(\mathrm{Hz}\), 1H), 5.36 (brd, 1H), 4.14(\(\mathrm{m}\), 1H), 3.65(\(\mathrm{m}\), 1H), 1.932 .22(\(\mathrm{m}\), 4H) \(\mathrm{ppm}\) \(;{ }^{13} \mathrm{C}\) NMR\((125 \mathrm{MHz} \), methanol-\( \left.d_{4}, \delta\right)\): 178.4, 168.9, 149.5, 147.1, 146.8, 127.8, 123.0, 116.5, 115.3, 115.2, 77.3, 73.9, 72.1, 71.9, 39.4, 38.3 \(\mathrm{ppm}\)</p><h2>Nochloroge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h2><p>\( { }^{1} \mathrm{H}\) NMR \(\left(500 \mathrm{MHz}\right.\), methanol-\(\left.d_{4}, \delta\right)\): 7.56(d, J=16.0 \(\mathrm{Hz}\), 1H), 7.05(d, J=2.0 \(\mathrm{Hz}\), 1H), 6.95(dd, J=8.2,2.0 \(\mathrm{Hz}\), 1H), 6.78(d, J=8.2 \(\mathrm{Hz}\), 1H), 6.27(d, J=16.0 \(\mathrm{Hz}\), 1H), 5.35 (m, 1H), 4.18 (brd, 1H), 3.75(m, 1H), 2,042.25(m, 4H) \(\mathrm{ppm};{ }^{13} \mathrm{C}\) NMR\((125 \mathrm{MHz} \), DMSO-\( \left.d_{6}, \delta\right)\): 175.6, 167.3, 148.1, 145.7, 145.3, 126.4, 121.6, 115.1, 113.8, 113.8, 74.7, 72.1, 70.5, 69.9, 36.8, 37.4 \(\mathrm{ppm}\)</p><h2>정량 분석</h2><p>분석 시료의 제조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각각의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 에 담아 진행하였다. 정량 값은 측정값의 피크면적을 검량선 \( (\mathrm{y}=\mathrm{ax}+\mathrm{b}) \) 식에 대입한 후 계산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검량선은 \( \mathrm{x} \)축에 반복 수 및 분석 시점을, \( \mathrm{y} \)축에 피크면적을 적용하여 최소자승법으로 산출 하였다. 평가 항목은 특이성, 직선성, 검출 한계, 정량 한계, 시료 잔류의 5 가지 항목으로 평가하였다.</p>
[ "생리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광학적인 기기는 무엇인가?", "생리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해 분광학적인 기기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분광학적인 기기는 무엇인가?" ]
bbcad010-9f87-4f41-93d4-65ff7c98df55
생명L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 잎 추출물 분석 및 안정성 평가
<h2>장기 보존 안전성 시험</h2><p>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용해하여 시험 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온도 조건 \( 25^{\circ} \mathrm{C} \), 상대습도 \( 40 \% \) 조건을 동시 처리 진행하였으며,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UPLC로 분석하였다.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5회 반복 3회 실시하였다.</p><h2>가혹 조건 안전성 시험</h2><p>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처리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용해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분석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일정하게 유지하여 진행하였고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일 간격으로 총 9회 분석하였다.</p>
[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3회 반복 3회 실시하였다.", "시험은 2019년 11월 8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5회 반복 3회 실시하였다.",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5회 반복 2회 실시하였다.", "시험은 2019년 12월 25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5회 반복 3회 실시하였다.",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용해하여 무엇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는가?", "무엇을 평가하기 위해 느릅나무 잎 채취 물질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녹이는 실험을 실시하였는가?", "시험 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실험을 실시하였는가?", "어떤 실험을 시험 물질의 안정성의 수준을 정하기 위해 시행하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용해하여 시험 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는가?", "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와 느릅나무 잎에서 채취된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녹인 시험 물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용해하여 시험 물질의 진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는가?", "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와 느릅나무 잎 에서 채취된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녹인 뒤 시험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용해하여 시험 물질의 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는가?", "시험 물질의 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와 느릅나무 잎에서 채취한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를 상온에 0, 1 3, 6개월 동안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에 녹인 뒤 실시하였는가?",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어떻게 진행하였는가?", "어떻게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을 시행하였는가?",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으로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얼마로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UPLC로 분석하였는가?",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으로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얼마로 만들어 UPLC로 분석하였는가?",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온도 조건 \\( 25^{\\circ} \\mathrm{C} \\), 상대습도 \\( 40 \\% \\) 조건을 동시 처리 진행하였는가?", "온도 조건 \\( 25^{\\circ} \\mathrm{C} \\), 상대습도 \\( 40 \\% \\) 조건을 한꺼번에 처리 시행하였는지가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인가 ?",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온도 조건 \\( 25^{\\circ} \\mathrm{C} \\), 상대습도 \\( 40 \\% \\) 조건을 동시 처리 진행하였으며,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UPLC로 분석하였는가?",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UPLC로 분석하고,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온도 조건 \\( 25^{\\circ} \\mathrm{C} \\), 상대습도 \\( 40 \\% \\) 조건을 한꺼번에 처리 시행하였는가?",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은 온도 조건 \\( 15^{\\circ} \\mathrm{C} \\), 상대습도 \\( 25 \\% \\) 조건을 동시 처리 진행하였으며,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담아 UPLC로 분석하였는가?", "온도 조건 \\( 15^{\\circ} \\mathrm{C} \\), 상대습도 \\( 25 \\% \\) 조건을 동시간에 처리 시행하였으며, 표준 물질의 각 농도를 \\( 1000 \\mathrm{ppm} \\) 만들어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용 vial에 보관하여 UPLC로 분석하는 것이 장기 보존 시험의 조건인가?", "시험은 언제 개시하였는가?", "언제 시험이 시작 되었는가?", "시험은 어떻게 총 몇회 실시하였는가?", "어떻게 총 몇회 시험이 시행 되었는가?",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였는가?", "2019년 12월 8일에 시행된 시험이였는가?",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총 5회 반복 3회 실시하였는가?", "2019년 12월 8일 시작하여 2020년 1월 8일, 3월 8일, 6월 8일 까지 0, 1, 3, 6 개월 간격으로 시험이 총 5회 반복 3회 시행하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무엇인가?", "5-O-caffeoylquinic acid와 느릅나무 잎 채취 물질인 표준 물질 3-O-caffeoylquinic acid는 가혹 시험 조건은 무엇인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처리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용해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분석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 " 2일 간격으로 시작일부터 methanol에 녹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분석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실험을하면서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처리한 이유는 무엇인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처리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용해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분석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는가?", "가혹한 조건에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실시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녹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처리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용해하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분석하여 가혹한 조건에서 형평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는가?", "가혹한 조건에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느릅나무 잎 추출물과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의 가혹 시험 조건은 온도와 광에 대하여 16일간 실시하면서 개시일부터 2일 간격으로 methanol에 녹여 느릅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UPLC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는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어떻게 가혹 시험의 조건을 실시 하였는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진행하였는가?", "고르게 가혹 시험의 조건은을 온도 \\( 70^{\\circ} \\mathrm{C} \\) 로 계속하여 시행하였는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광 조건이 일반 직사광선이었는가?", "광 조건이 일반 직사광선인 것이 가혹 시험의 조건인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일정하게 유지하여 진행하였고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일 간격으로 총 9회 분석하였는가?",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시작하여 2일 간격으로 총 9회 분석하고,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고르게 관리하여 시행하였는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50^{\\circ} \\mathrm{C} \\) 일정하게 유지하였는가?", "고르게 가혹 시험의 조건의 온도 \\( 50^{\\circ} \\mathrm{C} \\) 를 계속하였는가?",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일정하게 유지하여 진행하였고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일 간격으로 총 7회 분석하였는가?",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시작하여 2일 간격으로 총 7회 분석하고,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고르게 유지하여 시행하였나?",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일정하게 유지하여 진행하였고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개시하여 2일 간격으로 총 3회 분석하였는가?", "시험은 2019년 12월 8일 시작하여 2일 간격으로 총 7회 분석하고, 광 조건은 일반 직사광선이며, 가혹 시험의 조건은 온도 \\( 70^{\\circ} \\mathrm{C} \\) 고르게 유지하여 시행하였나?" ]
07232a40-b695-4193-b741-3f70f1d20f6a
생명L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 잎 추출물 분석 및 안정성 평가
<h1>결과 및 고찰</h1><h2>분석 조건 확립</h2><p>최적의 분석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resolution과 overlapping으로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해 ACN 용매를 기본으로 하는 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선행문헌을 통해 다양한 분석 조건을 검토하였지만 목표로 하는 느릅나무 잎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분석 조건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반복적인 분석 조건 개발 및 검정을 통해 확립된 분석 조건에서 크게 5개의 peak를 검출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였다. Peak들은 \( [\mathrm{M}-\mathrm{H}]^{-} \)의 negative 모드에서 이온 형태로 m/z (mass-to-charge ratio)의 \( 353\left(\mathrm{MS}^{2} 191\right)\), \(353\left(\mathrm{MS}^{2} 191\right) \), \( 609\left(\mathrm{MS}^{2} 301\right)\), \(463\left(\mathrm{MS}^{2} 301\right)\), \(593\left(\mathrm{MS}^{2} 285\right) \)값을 얻었고 선행문헌, PubChem, ChemSpider 등의 정보를 비교하여 예상화합물들로 확인하였다. 검출된 5개의 peak들은 매우 유사한 극성과 형태로 존재하여 상대적으로 산업적 활용성이 뛰어나며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적인 2종의 성분을 선정하였다. 느릅나무 잎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순수 분리하여 NMR을 이용한 구조 동정과 MS, \(\mathrm{MS}^{2} \), HRMS 성분 비교를 통해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임을 확인하였다.</p><h2>정량분석 결과</h2><p>특이성은 blank 시료를 측정하여 시험 물질의 retention time과 동일한 위치에서 간섭 피크의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간섭 피크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직선성은 표준 용액 \( 5-50 \mu \mathrm{g} / \mathrm{mL} \)의 농도를 각 1회 측정하여, 표준 용액의 농도와 피크 면적의 결정 계수를 산출하였고 판정기준은 결정 계수 \( \mathrm{r}^{2} \)이 0.998 이상인 것으로 하였고 0.9983 으로 적합 하였다. 검출 한계는 검량선에 근거한 표준편차와, 검량 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계산법을 바탕으로 계산 하였고 계산식은 LOD (limit of detection) \( =3.3 * \sigma / \mathrm{S} \)이다. 정량 한계는 검량선에 근거한 표준 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계산법을 바탕으로 계산하였고 계산식은 LOQ (limit of quantification) \( =10 * / \mathrm{S} \)이다. 검출 한계와 정량 한계의 \( \sigma \)는 반응의 표준편차를, S는 검량 선의 기울기를 말한다. 시료 잔류는 표준 용액에서 blank로 오염되는 시료 잔류의 경우 \( 0.002 \% \) 이하 기준으로 본 시험에서는 보이지 않았다.</p><h2>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 결과</h2><p>\( 25,40 \% \) 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0, 1, 3, 6개월마다 분석을 진행하였고 느릅나무 잎 추출물에 포함된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지표 물질의 함량은 반복 수의 평균으로 계산하였을 때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었고 표준 물질인 두 성분 모두 3개월까지 각각 \( 1.5,0.2 \% \) 감소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마지막 6 개월에 \( 5.9,18.0 \% \)가 감소하여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h2>가혹 조전 온도 안정성 시험 결과</h2><p>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온도 70의 조건에서 2일 간격으로 16일동안 총 8회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느릅나무 잎 추출물에 포함된 3-O-caffeoylquinic acid는 \( 60.2 \% \) 감소하였고, 5-O-caffeoylquinic acid는 \( 51.3 \% \) 감소하였다.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는 \(7.7\%\) 감소하였고 5-O-caffeoylquinic acid는 \( 29.4 \% \) 가 감소하였다. 느릅나무 잎 추출물 보다 표준물질의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p><h2>가혹 조건 광선 안정성 시험 결과</h2><p>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직사광선에 노출시킨 후 2일 간격으로 16일 동안 총 8회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느릅나무잎 추출물에 포함된 3-O-caffeoylquinic acid는 \( 37.6 \% \) 감소하였고, 5-O-caffeoylquinic acid는 \( 29.1 \% \) 감소하였다. 표준 물질인 3-O-caffeoylquinic acid는 \( 4.4 \% \) 감소하였고 5-O-caffeoylquinic acid는 \( 27.1 \% \) 가 감소하였다. 느릅나무 잎 추출물 보다 표준물질의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장기 보존 안정성 시험 및 가혹 조건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3-O-caffeoylqui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상온조건에서는 3개월까지 일정한 함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개월 이후에는 지표 성분이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하나, 그 감소폭이 일반적 함량 기준인 \(80-120\%\) 이내이므로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상온조건에서는 6개월까지 \( 80 \% \) 이상의 함량으로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잎 추출물은 고온이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경우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며, 단기간에 함량 기준에 미달하게 되므로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온과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환경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p><p>결론적으로 느릅나무 잎의 지표성분으로 선정된 3-O-caffeoylquinic acid (chloroge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는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으로 확인되었고, 유효성이 검정된 UPLC-PDA 크로마토그램을 통해 장기 보존과 가혹 조건 안정성 평가결과,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다양한 성분들이 혼합된 상태이지만 단일성분보다 안정성이 취약하여 장기 보존과 가혹 조건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전의 유사한 결과에 따르면 caffeoylquinic acids는 온도, 광, 용매 등의 다양한 조건에서 구조적 차이에 따라 안정성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고 이는 분해 또는 cis로 입체 이성질체화 등으로 변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2종의 지표 성분의 안정성을 비교할 경우 상대적으로 3-O-caffeoylquinic acid가 보다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장기 보존과 가혹 조건 안정성 평가에서 5-O-caffeoylquinic acid 보다 3-O-caffeoylquinic acid 가 손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느릅나무 잎 추출물 상업적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3-O-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을 높이는 재배법과 수확 시기 등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p><h1>초록</h1><p>Ulmus parvifolia 잎의 약리학적 지표 성분을 제시하기 위해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HPLC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지표 성분들은 NMR 및 UPLC-QTof-MS 분석에 의해 neochlorogenic acid (trans-5-O-caffeoylquinic acid, 5-CQA)과 chlorogenic acid (trans-3-O-caffeoylquinic acid, 3-CQA)로 구조 동정 되었다. HPLC를 이용하여 두개 화합물을 포함한 잎 추출물의 정성/정량 분석 방법을 평가하였다. 잎 \( 30 \% \) 에탄올 추출물과 지표 성분의 안정성 테스트는 6개월 동안 평가되었다. 그러나 안정성 조사 기간 동안 추출물과 지표 성분들 각각의 함량에 대한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
[ "저자들은 resolution과 overlapping으로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해 무슨 용매를 사용하였는가?", "최적의 분석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어떤 용매를 사용하여 분석 조건을 세웠어?", "저자들은 느릅나무 잎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분석 조건을 확인하였는가?", "느릅나무 잎에 포함된 지표 성분을 살펴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알아냈는가?", "저자들은 반복적인 분석 조건 개발 및 검정을 통해 확립된 분석 조건에서 몇 개의 peak를 검출할 수 있는 조건을 확인하였는가?", "반복적으로 분석 조건을 개발하고 검정하여, 몇 개의 peak를 검출할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었어?", "저자들이 확인한 느릅나무 잎 추출물에 포함된 지표 성분 2종은 무엇인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에 함유된 지표 성분은 무엇이야?", "저자들이 blank 시료를 측정하여 시험 물질의 retention time과 동일한 위치에서 간섭 피크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 간섭 피크가 존재하였는가?", "blank 시료를 확인하였을 때, 간섭 피크가 있었어?", "저자들이 사용한 표준 용액의 농도와 피크 면적의 결정 계수의 기준은 무엇인가?", "표준 용액의 농도와 피크 면적의 결정 계수의 판정 기준은 결정 계수 \\( \\mathrm{r}^{2} \\)가 얼마 이상인 것이었어?", "저자들이 사용한 검출 한계의 계산식은 무엇인가?", "검출 한계를 계산하는 데에 사용된 식이 뭐야?", "저자들이 사용한 정량 한계의 계산식은 무엇인가?", "정량 한계를 계산하는 데에 사용된 식이 뭘까?", "검출 한계는 검량선에 근거한 표준 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를 이용한 계산법을 바탕으로 계산되었는가?", "검량선에 근거한 표준 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검출 한계를 계산했어?", "검출 한계와 정량 한계 계산식에서 S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검출 및 정량 한계의 계산식에서 S는 무엇을 얘기하는 거야?", "저자들이 사용한 blank로 오염되는 시료 잔류의 기준은 무엇인가?", "표준 용액에서 blank로 오염되는 시료 잔류는 얼마 이하일 때일까?", "본 시험에서 \\(3\\)개의 시료 잔료가 발생하였는가?", "본 시험에서 확인된 시료 잔류는 \\(3\\)개인가요?", "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에서 분석은 \\(3\\)개월 주기로 진행되었는가?", "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 시, \\(3\\)개월마다 분석을 실시하였나요?", "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에서 상대습도 조건은 무엇이었는가?", "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을 할 때 정해둔 상대습도 조건이 얼마였어?", "장기 보존 안정성 실험 결과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둘 다 실험기간 내내 일정한 감소폭을 보였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두 지표 물질의 함유량이 모두 실험기간 내내 일정하게 감소하였나요?", "가혹 조전 온도 안정성 시험에서 총 시험 기간은 며칠인가?", "며칠 동안 가혹 조전 온도 안정성 시험을 했나요?", "가혹 조전 온도 안정성 시험 결과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둘 다 감소하였는가?", "가혹 조전 온도 안정성 시험에서 두 지표 물질의 함량이 모두 줄어든 것으로 보이나요?", "느릅나무 잎을 온도 70, 상대습도 \\(40 \\% \\)환경에 두면 3-O-caffeoylquinic acid와 5-O-caffeoylquinic acid 물질함량은 둘 다 증가할 것인가?", "온도 70, 상대습도 \\(40 \\% \\)의 환경에서 느릅나무 잎의 두 지표 물질의 함량이 모두 늘어날까?", "가혹 조건 광선 안정성 시험에서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반사광에 노출되었는가?", "가혹 조건 광선 안정성 시험에서 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노출시킨 광선은 반사광일까요?",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3-O-caffeoylqui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상온조건에서 최대 몇 개월까지 일정 함량을 유지하겠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두 지표 물질은 직사광선에 노출시키지 않고 상온에 둔다면 최대 몇 개월까지 일정한 함유량을 보일 것으로 확인되었나요?", "실험 결과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3-O-caffeoylquinic acid, 5-O-caffeoylquinic acid는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상온조건에 5개월 두었을 때, 몇 \\(\\% \\)이상의 함량이 보존되겠는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상온에서 느릅나무 잎 추출물의 두 지표 물질은 몇 \\(\\% \\)이상 함유량이 유지될 것으로 기대되나요?",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고온이나 직사광선보다 큰 상대습도에 노출되었을 때 급격한 감소세를 보이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고온이나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경우보다 다른 변인에서 급격하게 함유량이 줄어들까요?", "저자들이 느릅나무 잎의 지표성분의 장기 보존과 가혹 조건 안정성을 실험하는데 사용한 기법은 무엇인가?", "어떤 실험 기법을 통해 느릅나무 잎의 성분들이 장기적으로 보존되거나 가혹 조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는지 평가하였나요?",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단일성분일때보다 혼합된 상태일 때 가혹 조건에서 덜 감소하는가?", "느릅나무 잎 추출물은 가혹 조건에서 단일성분일보다 혼합된 상태일 때 함량이 덜 줄어드나요?", "caffeoylquinic acids는 cis로 입체 이성질체화되면 안정성이 떨어지는가?", "caffeoylquinic acids는 cis로 입체 이성질체화되는 등으로 변하면 안정성이 낮아지나요?", "5-O-caffeoylquinic acid 보다 3-O-caffeoylquinic acid의 안정성이 높은가?", "두 지표 성분의 안정성을 비교하였을 때 3-O-caffeoylquinic acid이 뛰어난 것으로 보이나요?", "저자들이 개발한 Ulmus parvifolia 잎의 약리학적 지표 성분 분석방법으로 옳은 것은?", "Ulmus parvifolia 잎의 약리학적 지표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한 분석법이 뭐야?" ]
1d4737a5-71bd-48e5-be93-8ecf668bbc23
생명L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 잎 추출물 분석 및 안정성 평가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h2><p>본 연구에 사용된 참느릅나무 잎 \( 10 \mathrm{kg} \)을 합천생약가공 영농조합법인에서 수집한 시료를 구매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백진협 박사(International Biological Material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Daejeon, Korea)의 분류 동정을 거쳐 선별하였고 선정된 증거 표본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외생물소재센터 표본실에 보관하였다(KRIB 0085027).</p><h2>시약 및 기기</h2><p>Ethanol (EtOH) 용매(SK chemical, KR)는 추출물 제조를 위해 사용하였으며, 타겟 화합물 분석과 분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용 methanol (MeOH,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과 acetonitrile (ACN, Honeywell, Moris Plains, NJ, USA), tifluoroacetic acid (TFA, Tokyo Chemical Industries, Co., Ltd., Japan), formic acid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leucine enkephalin (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여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QTof-MS, Waters, Milford, MA, USA), photodiode array (PDA, Waters, Milford, MA, USA), HPLC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preparative-HPLC (PLC, Gilson, Middleton, WI, USA) 기기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조분석을 위해 Bruker AM400 \(({}^{1}H\) NMR \(400 \mathrm{MHz} \), \( { }^{13} \mathrm{C} \) NMR \( 100 \mathrm{MHz} \), Billerica, MA, USA)에 methanol-\( d_{4} \) (Cambridge Isotope Laboratories, Andover, M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p><h2>참느릅나무 잎 추출물 제조 및 분리</h2><p>동결건조(CleanVac \(8\) Hanil Science Medical, Daejeon, Korea)한 참느릅나무 잎 \( 100.0 \mathrm{g} \)을 다목적 분쇄기(DSMP-370, Korea)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였다. 그 중 \( 100.0 \mathrm{mg} \) 잎 시료에 \( 30 \% \) ethanol\( (\mathrm{v} / \mathrm{v}) \)을 가하여 25 와 50\({}^{\circ} \mathrm{C} \) 에서 1, 3, 5시간 3회 반복 추출(SDN-900H, SD Ultrasonic Cleaner, Seoul, Korea, \( 40 \mathrm{kHz} \), 주기당 15분 추출과 15분 대기로 3주기 반복)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확인하였다. 지표성분 분리를 위해 \( 10 \mathrm{kg} \)을 (주)삼우다연 GMP 시설에 의뢰하여 원물 10배의 \( 30 \% \) 주정\( (\mathrm{v} / \mathrm{v}) \)으로 \( 50{ }^{\circ} \mathrm{C} \) 에서 3시간 2회 반복 추출한 후 \( 21.6^{\circ} \mathrm{Brix} \)로 농축 하였다. 얻어진 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읍 분원 생물공정지원팀에 동결건조(50L PVTFD 50 R, 일신)로 농축 하였다(약 \( 1.72 \mathrm{kg} \), 수율 \( 17.2 \%) \). 개방형 칼럼(\( 80 \times 15 \mathrm{cm})\) 분취 방법으로 확보된 느릅나무 잎 유효분획물 2번을 prep-HPLC (PLC, Gilson, Middleton, WI, USA)에 Atlantis T3 OBD \((5 \mathrm{mm}, 250 \times 19 \mathrm{mm})\) 칼럼을 사용하여 (A)는 \( 0.1 \% \) TFA (tifluoroacetic acid) 증류수로 (B)는 \( 0.1 \% \) TFA \( \mathrm{CH}_{3} \mathrm{CN} \)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는 0.0-4.0 \({~min} ~5 \%(B)\), 4.0-23.0 \({~min} ~5-13 \%(B)\), 23.0-40.0 \({~min} ~13-17\%(B)\), 40.0-41.0 \({~min} ~17-90\% (B)\), 41.0-50.0 \({~min} ~90 \% (B)\), 50.0-51.0 \({~min} ~90-5\% (B)\) 조건으로 UP Fr. 2-3-3 (neochlorogenic acid, trans-5-O-caffeoylquinic acid), UP Fr. 2-3-5 chlorogenic acid (trans-3-O-caffeoylquinic acid)를 각각 30.7 및 108.0 \(\mathrm{mg} \) 분리하였다.</p>
[ "참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매는 뭐야?", "어떤 용매를 사용해서 참느릅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할까?" ]
5653f15e-8634-48c3-a995-0a6af1f5bda7
생명LA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 잎 추출물 분석 및 안정성 평가
<h1>서론</h1><p>품질 표준화는 전 세계 의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산업에서 강조되고 있다. 미국의 세계 보건기구 WHO와 식품의약국(FDA)는 품질 표준화에 대한 강화 된 지침을 발표했다. 천연물소재의 품질 표준화는 품질, 효능, 재현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구성, 정성, 정량 값과 관련된 방법을 설정하는 절차이다. 천연물소재는 많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식물의 생육 조건인 성장, 수확 시간, 기후조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변동성은 천연물소재의 질적 및 정량적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따라서 품질 표준화가 중요하다. 품질 표준화 절차를 통해 통제된 요소에서 잘 정의되고 일관된 천연물소재의 구성은 고품질의 의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의 개발 및 생산에 가장 중요한 항목이며, 천연물 관련 전반적인 산업에서의 생존과 성공은 일정한 품질을 보장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다.</p><p>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규격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생약은 대한약전 130종과 생약규격집 381종으로 총 511종의 한약재가 수재되어 있지만 품질 표준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천연물 소재 산업 시장은 전통적으로 사용가능한 다양한 한약재 외에도 생약들과 자생식물들이 존재하고 이를 이용한 의약, 건강기능성식품, 화장품들의 원료소재 형태로 유통되어 사용되고 있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품질 표준화 평가자료 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p><p>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잎은 느릅나무과(Ulmaceae)의 잎으로 주로 한국, 중국, 대만, 일본에 주로 서식하고 한방에서는 느릅나무과의 나무 또는 뿌리 껍질(유근피)을 약용 부위로 쓰며 이뇨, 청열, 해독, 배농 작용 등이 보고된 중요한 약재이다. 뿌리 껍질 효능의 주요성분으로 catechin, catechin glycosides, sesquiterpene O-naphthoquinones, lignan, neolignan glycosides 등이 알려져 있고 최근 과학적인 효능 규명 연구로 항산화,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항바이러스, 심혈관계질환 보호 효과 결과들이 보고 되어 있다. 대부분 선행연구는 유근피 중심으로 다양한 생리활성과 많은 화합물들을 분리 보고하였지만 느릅나무 잎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게 나타났다.</p><p>본 연구는 느릅나무 잎을 보다 적절한 품질 지표로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 천연물 소재로써 의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의 품질표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최적의 분석 조건과 안정성 정보를 제공하며, 확립된 품질 관리 방법을 통해 전략적 생산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p>
[ "품질 표준화는 어떤 산업에서 강조되고 있어?", "어떤 산업에서 품질 표준화가 강조되나요?" ]
71fcdaf1-5ef8-4607-9f01-562609154a2c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1>서 론</h1><p>최근 농업은 농업 인구의 고령화와 급격한 기후 변화 등에 의해 농업 환경이 급변 중이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재배 전반의 작물 생육 정보, 생육 환경 등을 손쉽게 기록, 저장하여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스마트 팜 혹은 식물공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팜 혹은 식물공장은 기존 농업 기술에 자동화와 ICT 정보화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 작물의 생산에서 유통 및 소비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품질 향상 등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농업 기술이다.</p><p>인삼(Panax ginseng)은 오가피나무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한의약 혹은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인삼은 주로 뿌리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사용하며, 정상적으로 재배된 인삼은 쓴맛이 강하고 잎의 경화도가 높아 이용하기에 부적절하다. 그러나, 새싹인삼은 1년 혹은 2년근 이내의 묘삼을 이용하여 약 20-60일 정도 재배해 잎, 줄기 및 뿌리를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재배되고 있다. 새싹인삼은 재배기간이 짧고 스마트 팜 혹은 식물공장과 같은 시설에서도 재배가 가능하여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부리, 줄기 및 잎 모두를 섭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 새싹인삼의 효소가수분해의 항산화 활성, 새싹인삼과 차풀의 복합 추출물 피부 항산화 및 미백효과 등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또한 카스텔라 및 설기떡과 같은 가공식품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다.</p><p>인삼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대표적인 삼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을 비롯하여 인삼 단백질 및 polyphenol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진세노사이드는 triterpenoid의 dammarane계의 인삼 속의 식물에만 존재하는 특유한 사포닌이다. 기본 골격의 탄소 3, 6, 및 20번의 위치에 glucose, xylose 및 rhamnose 등의 당을 결합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protopanaxadiol (PPD) 및 protopanaxatriol (PPT), oleanolic acid, octillol 형태로 구분되며, 약성이 매우 온화하고 과량 투여에 의한 독성이 없으며 용혈 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PPD 형태의 진세노사이드는 Rb1 및 Rb2. Rb3, Rc, Rd, Rg1 등 및 PPT 계열의 진세노사이드는 Re 및 Rf, Rg 1, Rg 2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진세노사이드들은 여러 효능들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항암, 항당뇨 작용 및 면역기능 조절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인삼은 주로 뿌리만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재배 년 수가 지날수록 잎의 경질화 등에 의해 식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광합성과 관련이 있는 인삼의 잎에도 적지 않은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p><p>본 연구에서는 농업 환경 변화에 따른 기능성 소재로서 새싹인삼의 생산을 위하여 묘삼 크기에 따라 식물공장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소재로 생산을 위한 최적의 새싹인삼 크기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p>
[ "ICT 정보화 기술과 자동화 기술과 기존 농업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농업 생산성,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농업 기술은 무엇인가?", "모든 인삼은 잎이 써 뿌리만 섭취하지?", "잎, 줄기, 뿌리를 모두 섭취할 수 있게 만든 인삼은?", "새싹인삼은 병충해에 걸리기 쉬워 농약이 필수적이지?", "triterpenoid의 dammarane계의 인삼 속의 식물에만 존재하는 사포닌은 무엇인가?", "인삼에 들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여러 효능을 나타내지?", "인삼의 잎에도 진세노사이드가 함량되어 있어 인삼은 대부분 잎까지 섭취하지?" ]
bfe79d01-50ee-4bbf-9c1c-7a5423827445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1>초 록</h1><p>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을 통해 생산된 새싹인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누어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지상부의 경우 총 phenolic 함량은 중간 크기인 M에서 5.16 GAE \(\mathrm{mg} / \mathrm{g} \) 로 가장 높았으며 가장 큰 크기인 L에서 2.23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하부 역시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총 flavonoid 함량 역시 지상부 5.16 Re \( \mathrm{mg} / \mathrm{g} \) 와 지하부 1.28 Re \( \mathrm{mg} / \mathrm{g} \) 모두 M 크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상부의 주요 진세노사이드는 Re (20.33-24.15 \( \mathrm{mg} / \mathrm{g} \))>Rd (11.36-27.42 \( \mathrm{mg} / \mathrm{g} \))>Rg1 (4.48-5.54 \( \mathrm{mg} / \mathrm{g} \)) 순 있었고 지하부는 R1 (5.09-8.61 \( \mathrm{mg} / \mathrm{g} \))>Re(4.48-5.54 \( \mathrm{mg} / \mathrm{g} \))>Rc (3.11-4.11 \( \mathrm{mg/g}\)) 순 있었다. M 크기의 경우 Re와 Rd는 각각 지상부에서 24.15 \( \mathrm{mg} / \mathrm{g} \) 과 27.42 \( \mathrm{mg} / \mathrm{g} \) 및 지하부에서 5.20 \( \mathrm{mg} / \mathrm{g} \) 과 1.43 \( \mathrm{mg} \) 으로 약 4배와 19배 높은 함량을보였다. 지상부에는 F3 및 Rh1이 검출되었으나, 지하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DPPH (74.95\( \% \))와 ABTS (94.47\( \% \)), hydroxyl (70.39\( \% \))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2.169) 활성은 다른 크기들보다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p>
[ "잎과 줄기의 경우에는 중간크기에서 phenolic 함량이 가장 높았지?", "뿌리는 중간 크기에서 phenolic 함량이 가장 높았지?", "FRAP는 중간 크기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지?" ]
4db54145-f151-42d7-98ea-8edc55e28ccf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2>Ginsenoside 함량 분석</h2><p>진세노사이드 분석은 Jin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건조 분말 시료 1\( \mathrm{~g} \) 에 50\( \% \) HPLC methanol 20\( \mathrm{~mL} \) 를 가하여 항온수조 (70\( ^{\circ} \mathrm{C}) \) 에서 1 시간 추출하고 이를 원심분리하고 \( 0.45 \mu \mathrm{m} \) membrane filter로 여과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물 40\( \mathrm{~mL} \) 을 얻는다. 추출 시료는 60\( ^{\circ} \mathrm{C} \) 에서 감압 농축 후 최종 HPLC water 2\( \mathrm{mL} \) 로 용해하여 0.45\( \mu \mathrm{m} \)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료 주입량은 10\( \mu \mathrm{L} \), 유속은 1.0\( \mathrm{mL} / \mathrm{min} \) 을 유지하였고 HPLC 칼럼은 TSKgel ODS-100Z (\( 4.6 \times 250 \mathrm{nm}\), 5\( \mu \mathrm{m} \), Tosoh Corp., Tokyo, Japan)를 사용하였으며 203\( \mathrm{nm} \) 파장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동상 용매는 HPLC water와 HPLC acetonitrile를 각각 용매 \( \mathrm{A} \) 와 용매 \( \mathrm{B} \) 로 사용하였으며 분석조건은 용매 \( \mathrm{B} \) 를 기준으로 10 min-19\( \% \), 15 min-20\( \% \), 40 min-23\( \% \), 75min-35\( \% \), 90 min-90\( \% \), 105min-19\(\%\)로 분석하였다.</p><h2>항산화 능력 측정</h2><p>DPPH, ABTS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Hwang 등 및 Ahn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DPPH 용액 0.8\( \mathrm{mL} \) 를 시험관에 분주하고 50 베 희석한 시료 0.2\( \mathrm{~mL} \) 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실온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525\( \mathrm{nm} \) 에서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7\( \mathrm{mM} \) ABTS 용액과 \( 2.45 \mathrm{mM} \) 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1:1\)로 섞어 실온 암실에서 12-16시간 반응하여 \( \mathrm{ABTS}^{+} \) 이온을 형성시킨 후 732\( \mathrm{nm} \) 에서 흡광도 값이 \( 0.7 \pm 0.02 \) 가 되도록 추출 용매(메탄올)로 희석한 ABTS 라디칼 생성 용액 0.9\( \mathrm{mL} \) 과 100 배 희석된 시료 0.1\( \mathrm{mL} \) 를 시험관에 분주하여 적당히 교반한 후 3분 후에 측정하였다.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10\( \mathrm{mM} \) \( \mathrm{H}_{2} \mathrm{O}_{2} \), 10\( \mathrm{mM} \) \( \mathrm{FeSO}_{4} \cdot 7 \mathrm{H}_{2} \mathrm{O} \)-EDTA 및 10\( \mathrm{mM} \) 2-deoxyribose 0.2\( \mathrm{~mL} \) 를 시험관에 분주하고 희석된 시료 1.4\( \mathrm{~mL} \) 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 후 37\( ^{\circ} \mathrm{C} \) 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후 1\( \% \) TBA와 2.8\( \% \) TCA를 각각 1\( \mathrm{mL} \) 를 분주하고 100\( ^{\circ} \mathrm{C} \) 에서 20 분 동안 발색한 후 520\( \mathrm{~nm} \) 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 추출 용매(\( 50 \% \) 발효 주정)를 사용하였고 DPPH, ABTS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음성대조구) 사이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었다.</p><p>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측정은 Hwang 등의 방법을 조금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 \mathrm{pH} 3.6 \) 의 \( 30 \mathrm{mM} \) acetate buffer, \( 10 \mathrm{mM} \) TPTZ 시약(in 40 \( \mathrm{mM} \mathrm{HCl} \) )및 20\( \mathrm{mM} \mathrm{FeCl}_{3} \) 용액을 \( 10: 1: 1(\mathrm{v} / \mathrm{v} / \mathrm{v}) \) 의 비율로 혼합 후 37\( ^{\circ} \mathrm{C} \) 항온 수조에서 15분 예비 반응하여 FRAP 측정을 준비하였다. 20배 희석한 추출 시료 0.05 \( \mathrm{mL} \) 과 예비 반응시킨 FRAP 시약 0.95\( \mathrm{mL} \) 를 시험관에 분주하여 37\( ^{\circ} \mathrm{C} \) 에서 15분 반응시키고 593 \( \mathrm{nm} \)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p>
[ "건조 분말 시료 1\\( \\mathrm{g} \\)에 50\\( \\% \\) HPLC methanol을 얼마나 넣었나요?", "HPLC methanol을 건조 분말 시료 1\\( \\mathrm{g} \\)에 몇 % 넣었나요?", "건조 분말 시료에 50\\( \\% \\) HPLC methanol을 넣고 몇 도의 항온 수조에서 추출하나요?", "HPLC methanol을 50\\( \\% \\)로 건조 분말 시료에 넣고, 어느 온도의 항온 수조에서 추출합니까?", "TSKgel ODS-100Z는 어떤 나라에서 제조되었어?", "어는 나라에서 TSKgel ODS-100Z가 제조되었는가?", "HPLC 칼럼은 어느 파장에서 분석했어?", "HPLC 칼럼을 어느 파장에서 분석하였는가?", "이동상 용매로 사용한 두 개는 무엇이야?", "두 개의 이동상 용매는 무엇이야?", "DPPH 용액 0.8\\( \\mathrm{mL} \\)과 50배 희석한 시료를 혼합한 다음 암실에서 몇 분간 반응시키나요?", "DPPH 용액 0.8\\( \\mathrm{mL} \\)과 50배 희석한 시료를 혼합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암실에서 반응시는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7\\( \\mathrm{mM} \\) ABTS 용액과 \\( 2.45 \\mathrm{mM} \\) 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어떤 비율로 섞었나요?",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7\\( \\mathrm{mM} \\) ABTS 용액과 \\( 2.45 \\mathrm{mM} \\) 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어떤 비율로 혼합해야 하는가?",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필요한 용액을 섞은 후 몇도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어?", "필요한 용액을 섞은 후,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4시간 동안 몇도에서 반응시켰는가?",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어느 파장에서 측정했어?", "어느 파장에서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는가?",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 \\( 40 \\% \\) 발효 주정을 사용했지?",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 \\( 40 \\% \\) 발효 주정을 사용하였는가?", "FRAP을 측정하기 위해서 흡광도를 몇 나노미터에서 측정했어?", "흡광도를 어느 나노미터에서 측정하여 FRAP을 계산하였는가?", "추출 시료는 HPLC water로 용해한 후 무엇으로 여과했어?", "HPLC water로 용해한 추출 시료는 무엇으로 여과하었습니까?", "FRAP 측정은 어느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했어?", "FRAP 측정은 어느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는가?" ]
86e7dc3e-8d2c-4dc6-8c0a-366c942c7175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 재료, 시약 및 분석 기기</h2><p>실험에 사용된 새싹인삼은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소재 (주)드림팜의 식물공장에서 재배된 것을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즉, 온도 \( 19 \pm 2{ }^{\circ} \mathrm{C} \), 습도 \( 55 \pm 5 \% \) 및 식물성장 LED 광원(적색, 청색과 백색 혼합 광원) \( 400 \pm 200 lx \)로 자동 제어된 식물공장(Fig. 1A)에서 30 일간 재배된 새싹인삼을 공급받았으며 크기에 따라 small (S), small-middle (SM), middle (M), middle-large (ML) 및 large (L)로 분류하였다(Fig. 1B). 21종의 ginsenoside 표준품(Rb1, Re, Ro, Rg2, Rg3, Rb2, Rd, F2 및 compound (K 등)은 KOC 바이오텍(Daejeon, Korea)에서 구입하였다. 총 phenolics 측정에 사용된 Folin-Cicalteu phenol과 총 flavonoids 함량 측정에 사용된 diethyleneglycol 등은 Sigma-Aldrich사(St.Louis, MO, US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항산화 활성에 사용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4,6-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noic acid) diammonium salt (ABTS), thiobarbituric acid (TBA) 및 trichloroacetic acid (TCA) 등 역시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PLC-grad water, acetonitrile 및 methanol은 Fisher Scientific사(Fairlawn, NJ, USA)에서 구입하였고 이외 분석에 사용된 시약은 1급으로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p><p>총 phenolics, 총 flavonoids 및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분광 광도계(UV-1800 240V, Shimadzu Corp., Kyot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Ginsenoside 함량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gilent 1260 system, Agilent Technologies Inc., Waldbronn, Germany)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로 diode array detector를 사용하였다.</p><h2>길이 및 무게 측정</h2><p>각 크기별 새싹인삼 30 수에 대해서 지상부(잎과 줄기)와 지하부(뿌리)로 나눈 후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표기하였다.</p><h2>추출물 제조</h2><p>각 크기별 새싹인삼의 지상부와 지하부는 \( 55 \pm 1^{\circ} \mathrm{C} \) 에서 2일간 건조하고 분쇄한 후 \( -20^{\circ} \mathrm{C} \) 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건조하여 분쇄한 시료 10 \( \mathrm{g} \) 에 50\(\ % \) 발효주정(I1-San Trading Co., Ltd. Haman, Korea) \( 10 \mathrm{~mL} \) 를 분주하여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0.45 \( \mu \mathrm{m} \) membrane filter (Dismic-25CS, Toyotoshikaisha, Ltd, Tokyo, Japan)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은 총 phenolic과 총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구로는 50 \( \% \) 발효 주정 추출 시료 대신에 50 \( \% \) 발효 주정을 사용하였다.</p><h2>총 phenolics 및 flavonoids 함량</h2><p>총 phenolics 함량은 Folin과 Denis의 방법을 조금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희석한 시료 50배 희석 추출물과 25 \( \% \mathrm{Na}_{2} \mathrm{CO}_{3} \)용액을 각각 0.5 \( \mathrm{~mL} \) 씩 시험관에 분주하여 3분간 반응한 후 2 N Folin-Ciocalteu phenol 시약 0.25 \( \mathrm{~mL} \) 첨가하여 30\( ^{\circ} \mathrm{C} \) 에서 1시간 발색 시켰다. 이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 750 \mathrm{~nm} \) 에서 측정하였고 함량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 검량곡선에 대입하여 값을 계산하였다. 총 flavonoids 함량은 Lee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희석된 시료 (20배 희석) 추출물 0.5 \( \mathrm{mL} \) 를 시험관에 분주하고 diethylene glycol 용액 1 \(\mathrm{~mL} \) 과 1 \( \mathrm{N} \mathrm{NaOH}\) 0.01 \(\mathrm{~mL} \)를 혼합하여 항온수조 (37\( ^{\circ} \mathrm{C} \)) 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 \( \mathrm{nm} \) 로 측정하였으며 rutin을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 검량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계산하였다.</p>
[ "(주)드림팜의 식물공장은 대한민국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나요?", "새싹인삼을 공급받은 회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식물공장에서 새싹인삼이 재배될 때 습도가 \\( 65 \\%\\) 이상이 될 때가 존재했나요?", "라디컬 소거활성, 총 flavonoids 측정은 무엇으로 했어?", "HPLC-grad water는 본사가 미국에 있는 회사에서 구입하였지?", "실험에서 사용한 새싹인삼이 식물공장에서 재배될 때의 온도는 얼마였나요?", "식물공장에서 사용한 새싹인삼이 재배될 때 온도는 얼마였나요?", "KOC 바이오텍은 대한민국의 대전에 위치한 회사인가요?", "21종의 ginsenoside 표준품을 구매한 회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할 때 무엇을 이용했나요?", "새싹인삼은 크기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였나요?", "다음 중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한 것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새싹인삼은 어느 온도에서 이틀 동안 건조시키나요?", "새싹인삼의 무게를 측정할 때는 새싹인삼 한 개를 통으로 측정하지?", "새싹인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만든 시료 10 \\( \\mathrm{g} \\) 당 50\\(\\ % \\) 발효주정을 얼마나 섞나요?", "10 \\( \\mathrm{g} \\)의 건조하고 분쇄된 새싹인삼 시료에 50\\(\\ % \\) 발효주정을 얼마나 섞어야 합니까?", "음성대조구를 만들 때 50 \\( \\% \\) 발효 주정을 넣지 않고 대신 넣은 물질은 무엇인가요?", "50 \\( \\% \\) 발효 주정을 대신하여 음성대조구를 만들 때 넣은 물질은 무엇인가요?", "사용한 분광 광도계는 일본의 제품이지?" ]
bb6d24da-da2b-48dd-9d21-fbd72357a885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1>결과 및 고찰</h1><h2>크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길이 및 무게</h2><p>식물공장에서 재배된 새싹인삼을 크기가 작은 것에서부터 제일 큰 것까지 S, SM, M, ML, 및 L 크기로 총 5개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크기의 새싹인삼을 30수씩 채취하여 지상부(잎과 줄기) 및 지하부(부리)로 구분하여 평균 길이와 무게를 측정한 결과 Fig. 2와 같았다. 새싹인삼의 평균 길이는 지상부와 지하부 모두 S 크기일 때 12.78 \( \mathrm{cm} \) 및 8.71\( \mathrm{cm} \) 에서 M크기에서 19.52\( \mathrm{cm} \) 와 13.11\( \mathrm{cm} \) 로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L 크기에서 지상부 26.66\( \mathrm{cm} \) 와 지하부 19.67\( \mathrm{cm} \) 로 크기가 클수록 길이가 길어졌다. 평균 무게 역시 S 크기에서 지상부와 지하부 각각 0.5 \( \mathrm{g} \) 과 0.3\( \mathrm{g} \) 있었으며 L 크기에서 4.2\( \mathrm{g} \) 과 2.17\( \mathrm{g} \) 으로 무게가 증가하였다.</p><h2>크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총 phenolic 및 총 flavonoid 함량</h2><p>식물공장에서 생산하여 크기에 따라 S부터 L까지 5종류로 분류하여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눠 측정한 총 phenolic와 총 flavonoid 함량은 Fig. 3과 같았다. 총 phenolic 함량은 S 크기에서 지상부는 2.81 GAE \( \mathrm{mg} / \mathrm{g} \)으로 나타났으며 지하부는 1.11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나타났다. SM과 M 크기로 크기가 증가할수록 지상부의 함량은 3.96 및 5.16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증가하였으나, ML과 L 크기로 갈수록 3.72 및 2.23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함량은 감소하였다. 지하부 역시 M 크기에서 1.28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L 크기에서 1.12 GAE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p><p>총 flavonoid 함량은 S 크기에서 M 크기로 증가할수록 지상부의 함량은 6.55, 7.51 및 10.34 RE \( \mathrm{mg} / \mathrm{g} \) 으로 증가하였으나, ML 크기 및 L 크기로 크기가 증가할수록 7.19 및 6.81 RE \( \mathrm{mg} / \mathrm{g} \) 으로 함량이 낮아졌다. 지하부 역시 M 크기에서 4.36 RE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다른 크기들 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phenolic와 총 flavonoid 함량은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p><p>Phenolics와 flavonoids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천연물 유래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고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 효과를 나타내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Phenolic hydroxyl이라는 페놀성 물질이 거대분자와 결합하여 항균, 항암,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 기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M 크기가 S 나 L 과 같이 다른 크기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은 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ee 등은 수경재배 인삼의 뿌리와 잎, 줄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한 결과 각각 115.74와 282.15 \( \mathrm{mg} \)/\( \mathrm{g} \) 으로 잎과 줄기에서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Kim 등은 새싹삼의 지하부와 비교해 지상부에서 총 phenolic, 총 flavonoid, phenolic acids 및 flavonols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지상부에서 검출된 phenolic acids과 flavonols 중 chlorogenic acid와 quercetin이 각각 주요 화합물로 검출된 것으로 보고하였다. Park의 연구에서 새싹인삼을 잎과 뿌리로 나누어 에탄올에 추출하여 총 phenolics 및 총 flavonoids 함량 및 미백 효능을 비교한 결과 총 phenolics 및 flavonoids 함량은 뿌리보다 잎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본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새싹인삼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무첨가군과 비교하였으며 새싹인삼 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어 미백에 효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p>
[ "본 논문에서 실험 대상인 새싹인삼을 어디서 재배하였는가?", "어디에서 이 글의 실험대상인 새싹인삼을 재배했는가?", "본 논문에서 주실험 대상은 무엇인가?", "이 글의 주요 실험 대상은 뭔가?", "본 논문에서 실험 대상인 새싹인삼을 무엇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는가?", "무슨 기준으로 이 글의 실험 대상인 새싹 인삼을 분류했는가?", "본 논문에서 새싹인삼의 크기를 몇개로 분류하였는가?", "이 글에서 몇 개로 새싹 인삼의 크기를 나누었는가?", "새싹인삼을 S,M,L,XL 크기로 총 4개로 나누었는가?", "총 4개인 S,M,L,XL 크기로 새싹인삼을 분류했는가?", "본 논문에서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고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는것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현존하고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 Phenolics와 flavonoids 화합물의 효능은 무엇인가?", "Phenolics와 flavonoids 화합물의 효과는 이 글에서 뭔가? ", "본 논문에서 Phenolic hydroxyl은 어떤 물질인가?", "Phenolic hydroxyl은 이 글에서 무슨 물질인가?", "본 논문에서 새싹인삼 추출물의 효능은 무엇인가?", "새싹인삼 추출물의 효과는 이 글에서 뭔가?", "본 논문에서 새싹인삼을 몇 수 채취하였는가?", "새싹 인삼을 이글에서 몇 수 캤는가?", "채취한 새싹인삼을 무엇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는가?", "무엇으로 캐어낸 새싹인삼을 나누어 실험했는가?" ]
c5734765-39d2-4996-8a59-5320d8512a83
생명LA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h2>크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h2><p>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이를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눠 측정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Table 1과 Fig. 4와 같았다. 진세노사이드 21종의 화합물 중 Re 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부가 지하부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4-5배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의 경우 M 크기는 24.15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L 크기에서 20.33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하부의 경우 SM 크기에서 5.54 \( \mathrm{mg} / \mathrm{g} \) 의 함량을 보였으며, M 크기에서는 5.20 \( \mathrm{mg} / \mathrm{g} \) 으로 두번째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상부와 달리 지하부에서는 Re 함량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PT 계열 화합물 중 F1 과 Rh1은 지하부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중 진세노사이드 F1의 경우에는 잎에만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은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 크기일때 8.61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높았고 지상부에서 2.30 \( \mathrm{mg} / \mathrm{g} \) 으로 약 4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Rd는 지상부에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S, SM, ML 및 L 크기에서 평균 12.29 \( \mathrm{mg} / \mathrm{g} \) 의 함량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M 크기에서 27.42 \( \mathrm{mg} / \mathrm{g} \) 으로 약 2 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F2 화합물은 M 크기에서 6.91 \( \mathrm{mg} / \mathrm{g} \) 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S 크기에서 1.36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지상부의 S 크기에서 61.31 \( \mathrm{mg} / \mathrm{g} \) 에서 SM 크기에서 67.66 \( \mathrm{mg} / \mathrm{g}\), M 크기에서 110.04 \( \mathrm{mg} / \mathrm{g} \) 으로 점차 증가하다가 ML 크기에서 71.31 \( \mathrm{mg} / \mathrm{g} \) 및 L 크기에서 61.86 \( \mathrm{mg} / \mathrm{g} \) 으로 함량이 감소하였다. 지하부의 경우 S 크기에서 25.84 \(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SM 및 M 크기는 각각 34.19 및 32.83 \( \mathrm{mg} / \mathrm{g} \) 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p><p>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triterpenoid계 사포닌의 비율이 대부분을 자지하며 진세노사이드 Rb1, Re, Rf, Rg1 및 Rc 등의 화합물이 이에 속한다. 진세노사이드는 dammarane-type의 \(4\)환상 구조와 olanane-type의 5환상 구조를 가지며 triterpenoid계는 dammarane-type의 형태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Farnesyl diphosphate는 isoprenoid 경로에서 squalene으로 합성되며, squalene epoxidase 반응과 oxidosqualene cyclases의 촉매 작용을 통해 phyrosterol과 triterpene으로 합성되며 이 단계에서 진세노사이드의 전구체인 4 환상 골격의 dammarenediol과 5환상 골격의 \( \beta \)-amyrin이 합성되며 이는 수산화 및 당화반응으로 진세노사이드로 변환된다. Cytochrome P450S 효소는 PPD의 탄소 6번의 수산화 반응에 관여하여 PPD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glycosyltransferase 효소가 PPD 및 PPT의 골격에 작용하여 당화 반응이 일어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당화 과정을 통해 여러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합성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 PPD 중 가장 높은 비율을 함유한 진세노사이드 Rd 는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3T3-L1세포에서 효과적으로 지방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세포내 대사 중심 단백질로서 활성화되었을 때 지방 분화 과정과 같은 단백질 합성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AMPK 를 활성화시켰으며 PPAR 감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지방 분화 과정의 발현과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h2>크기에 따른 새싹인삼의 항산화 능력</h2><p>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의 크기에 따른 지상부와 지하부의 라디칼 소거활성과FRAP 환원력은 Fig. 5와 같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S 크기 지상부의 활성은 53.51\( \% \) 의 활성을 보였으며, 지하부의 경우 23.88\( \% \) 의 활성을 보였다. M 크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지상부의 경우 74.95\( \% \) 와 지하부는 28.12\( \% \) 의 활성을 보였다. 가장 크기가 큰 L 크기에서는 M 크기보다 낮은 55.43\( \% \) 및 23.74\( \% \) 의 활성을 보였다(Fig. 5A). ABTS 라디칼 소거능 역시 M 크기에서 지상부 및 지하부 각각 94.47\( \% \) 및 48.84\( \% \) 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L 크기에서 72.21\( \% \) 및 42.42\( \% \) 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Fig. 5B).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DPPH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며 지상부는 S (54.44\( \% \)), SM (61.90 \( \% \)), M (70.39\( \% \)), ML (55.44\( \% \)), 및 L (50.75\( \% \))로 중간 크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가장 큰 크기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지하부 역시 중간 크기인 M에서 37.87\( \% \) 활성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Fig. 5C). FRAP 환원력 또한 다른 라디칼 소거능과 같이 M 크기에서 지상 및 지하부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Fig. 5D).</p><p>DPPH 라디칼 소거능은 비라디칼 형태인 DPPH-H와 항산화제의 수소공여능력이 DPPH 용액이 환원되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고 보고되었다. 앞선 총 phenolic과 총 flavonoid 연구결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phenolic과 flavonoid 화합물의 영향을 받아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 Jeong 등은 산양삼의 연근별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한 결과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7.34 \(\mathrm{mg} / \mathrm{g} \) 으로 가장 높은 9년근일 때 DPPH 및 ABTS 소거능이 82.37 \( \mu \mathrm{g} \)\( \mathrm{GAE} / \mathrm{g} \) 및 \( 723.63 \mu \mathrm{g} \mathrm{AAE} / \mathrm{g} \) 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본 실험과 유사하게 경향을 보였다. Lee 등은 새싹인삼의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이 저해하였으며 RT-PCR 분석으로 멜라닌 생합성 전사 인자인 MITF의 발현을 조절하고 tyrosinase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였다고 보고하였다.</p>
[ "식물공장에서 만든 건 따로 분류 하지 않았어?",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새싹인삼은 따로 분별 하지 않았을까?", "진세노사이드는 몇 개의 종이 있어?", "진세노사이드는 얼마나 많은 종이 있어?", "4배에서 5배 높게 나온 곳은 어디야?", "어떤 부위가 4배에서 5배 높게 나왔는가?", "21종의 화합물에서 함량이 낮은 건 Re이야?", "Re이 21종의 화합물에서 가장 함유된 양이 낮아?", "20.33 \\( \\mathrm{mg} / \\mathrm{g} \\)으로 적은 함량을 보인 곳은 어디야?", "어느 곳에서 20.33 \\( \\mathrm{mg} / \\mathrm{g} \\)으로 낮은 함량을 가지고 있니?", "지하부의 경우 SM 크기가 어떻게 나왔어?", "SM 크기는 지하부에서 어떤가?", "인삼에서 triterpenoid계 사포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질은 뭐야?", "인삼에서 어떤 물질이 triterpenoid계 사포닌의 대부분을 포함하는가?", "진세노사이드에서 dammarane-type 은 어떤 구조를 가져?", "진세노사이드에서 dammarane-type이 가진 구조는 어떤것일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어떤 원리를 기초로 해?", "어떤 원리로 DPPH 라디칼 소거기능이 작용할까?", "항산화제의 수소공여능력은 DPPH용액이 산화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어?", "항산화제가 수소를 주는 능력은 DPPH용액이 산화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크기는 몇 퍼센트의 활성을 보였어?",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서 몇 퍼센트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는가?", "항산화 활성은 무엇의 영향을 받아?", "무엇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영향을 받는가?", "새싹인삼의 추출물의 농도는 멜라닌 합성에 영향력을 전혀 주지 않았어?", "멜라닌 합성에 새싹인삼의 추출물의 농도가 관여하지 않았나?", "새싹인삼은 어디서 만들어졌어?", "어느곳에서 새싹인삼이 생성되었나?",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건 뭐야?", "어떤것을 식물공장에서 만들었는가?", "새싹인삼은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나눴어?", "무슨 기준으로 새싹인삼을 분류하였는가?" ]
583604d0-2559-4085-9bb0-27591ac7fc69
생명LA
LC-MS/MS를 이용한 생약 백출 및 우슬 중 Metalaxyl 잔류분석법 개발
<h1>결과 및 고찰</h1><h2>HPLC-MS/MS 분석법 확립 및 검증</h2><p>질량분석기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Flow injection analysis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온화 방식은 electrospray을 활용하였으며 spray voltage \( 4,000 \)V에서 이온화 하였고 positive 모드에서 분석하였다. ESI positive mode에서는 양성화된 분자이온 \( \left[\mathrm{M}+\mathrm{H}^{+}\right. ]\)을 추가 붕괴시켜 감도 및 선택성이 우수한 \( 2 \)종의 daughter ion인 \( \mathrm{m} / \mathrm{z} 220.1 \) 을 정량이온으로 \( \mathrm{m} / \mathrm{z} \) \( 192.1 \)을 정성이온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분석조건에서 metalaxyl의 기기상 정량한계 농도인 \( 0.001 \mu \mathrm{g} / \mathrm{mL} \) 를 \( 7 \)번 반복 분석한 결과 머무름 시간은 \( 10.6 \)분이었고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 1.3 \% \) 로 \( 10 \% \) 이내를 만족하였으며 검랑선의 결정계수 \( \left(\mathrm{R}^{2}\right) \) 는 매질별 \( 0.999 \) 이상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p><h2>정제조건 확립</h2><p>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보편적으로 정제시 사용되는 \( 5 \)가지의 d-SPE 를 검토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SA, C18, GCB의 흡착제가 들어갔을 경우 \( 99.7-107.5\% \)의 우수한 회수율을 보였지만, Z-Sep이 들어갔을 경우 \( 32.9 \% \) 의 낮은 회수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Z-Sep이 들어간 d-SPE \( 5 \) 를 제외하고 회수율을 확보한 d-SPE를 이용하여 백출, 우슬 각각의 matrix effect를 확인하였다. LC-MS의 경우 matrix effect는 질량분석기 내의 이온화 과정에서 나타나며 matrix와 해당 성분과 함께 질량분석기의 이온화 소스로 주입되어 ion suppression 및 ion enhancement를 일으켜 정확한 정량분석을 방해한다. 대부분의 농약은 LC-MS ESI positive mode에서 분석이 용이하기 때문에 LC-MS에서 matrix effect는 불가피하다. 백출의 경우 d-SPE \( 1, 2, 3, 4 \)로 정제했을 때 matrix effect가 \( -69.8 \% \) 에서 최대 \( -71.4 \% \) 이었고 우슬은 \( -85.6 \% \) 에서 최대 \( -87.0 \% \) 로 산출되었다. 두 매질 모두 matrix의 영향이 기존 다른 연구와 동일하게 \( \mathrm{d}-\mathrm{SPE} \) 로 정제시 \( 60 \% \) 이상으로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metalaxyl이 약산성 화합물인 점에 착안하여 약음이온교환크로마토그레피인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를 검토하였다.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로 acetone/ \( n \)-hexane 혼합용매를 각 비율별로 \( 5 \mathrm{~mL} \) 씩 용출하여 확인하였을 때, acetone \( / n \)-hexane \( (5 / 95, \mathrm{v} / \mathrm{v}) \) 두 번째 분획에서 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acetone/ \( n \)-hexane \( (10 / 90, \mathrm{v} / \mathrm{v}) \) 두 번째 분획까지 용출되어 총 \( 85.6 \% \) 의 회수율 결과를 얻었다.하지만, 생약 시료를 대입하였을 경우 회수율이 \( 36.2 \% \) 로 감소하여 acetone의 비율을 높여서 확립하였다. 최종적으로 카트리지에 acetone/ \( n \)-hexane \( (50 / 50, \mathrm{v} / \mathrm{v}) \) \( 5 \mathrm{~mL} \) 를 가하여 유출하여 버린 후 acetone \( / n \)-hexane \( (50 / 50, \mathrm{v} / \mathrm{v}) \) \( 5 \mathrm{~mL} \) 에 녹인 시료 용액을 가하여 유출 시 충진제 표면이 노출되기 직전 acetone \( / n- \) hexane \( (50 / 50, \mathrm{v} / \mathrm{v}) \) \( 5 \mathrm{~mL} \) 로 용출하여 받는 조건으로 확립하였다. 확립한 조건으로 적용하였을 경우 \( 108.8 \% \) 의 우수한 회수율을 보였다. 또한,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로 정제했을 경우 SPE cartridge type은 matrix effect의 영항이 낮다는 연구 결과와 같이 백출에서 \( -18.9 \% \), 우슬에서 \( -17.9 \% \) 의 낮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정제조건으로 확립하였다.</p><h2>분석정량한계 및 회수율</h2><p>본 연구에서 확립한 분석법 및 기기분석조건 과정을 생약시료 백출과 우슬에 적용하여 수행하였을 때 Table \( 2 \)와 같은 회수율 결과를 얻었다. 분석기기의 기기상정량한계는 \( 0.002 \mu \mathrm{g} / \mathrm{mL} \) 이었으며, 분석정랑한계는 백출과 우슬 모두 \( 0.01 \mathrm{mg} / \mathrm{kg} \) 수준이었다. 이에 따른 회수율 시험결과는 백출시료의 경우 \( 0.01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 100.3 \% \) 의 회수율과 \( 2.0 \% \) 의 변이계수를 보였고 \( 0.1 \) \(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 109.1 \% \) 의 회수율과 \( 5.8 \% \) 의 변이계수를 보였다. 우슬시료는 \( 0.01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 88.6 \% \) 의 회수율과 \( 3.6 \% \) 의 변이계수를 보였고 \( 0.1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 88.1 \% \) 의 회수율과 \( 6.2 \% \) 의 변이계수를 보였으며 두 매질 모두 잔류분석기준인 회수율 \( 70-120\% \), 변이계수 \( 10 \% \) 이내를 만족하였다.</p><h1>초 록</h1><p>생약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metalaxyl에 대해 백출과 우슬의 잔류농약 분석법을 게발하고자 하였다. LC-MS/MS를 사용하여 QuEChERS법을 기반으로 백출과 우슬 중 metalaxyl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로 습윤화 시켜 acetonitirile로 추출하여 \( \mathrm{MgSO}_{4} \) 와 \( \mathrm{NaCl} \) 을 첨가해 층 분리 후 \( \mathrm{SPE}\)-\( \mathrm{NH}_{2} \) cartridge로 정제하였다. 본 분석법의 기기정량한계와 분석정량 한계는 \( 0.002 \mu \mathrm{g} / \mathrm{mL} \) 과 \( 0.01 \mathrm{mg} / \mathrm{kg} \) 이었고 표준검량선은 \( 0.001- \) \( 0.05 \mathrm{mg} / \mathrm{L} \) 범위에서 결정계수 \( \left(\mathrm{R}^{2}\right) 0.999 \) 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백출과 우술에 대한 회수율은MLOQ 수준, MLOQ의 \( 10 \)배 수준에서 \( 88.1-109.1 \% \)의 우수한 회수율을 보였고, 변이계수는 \( 2.0-6.2 \% \) 로 \( 10 \% \) 이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LC-MS/MS를 이용한 잔류분석법의 회수율 및 분석오차는 국제적인 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생약 백출 및 우슬 중 metalaxyl의 안전성 검사를 위한 분석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p>
[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확립 조건의 회수율은 얼마야?",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정제조건으로 확립했을 때 보인 회수율이 어떻게 되지?", "LC-MS의 matrix effect는 어떤 과정에서 나타나는가?", "어떤 과정에서 LC-MS의 matrix effect가 나타나는가?", "LC-MS의 경우 matrix effect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Matrix effect가 LC-MS에서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일까?",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확립 조건에서 acetone/ \\( n \\)-hexane의 비율은 얼마야?",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확립 조건에서 acetone/ \\( n \\)-hexane를 어떤 비율로 사용했지?", "약음이온교환크로마토그레피인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가 검토된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이 약음이온교환크로마토그레피인 \\( \\mathrm{SPE}{-\\mathrm{NH}_{2}} \\) cartridge 검토의 이유인가?", "잔류분석기준의 회수율은 얼마인가?", "잔류분석기준에서 회수율 기준이 어떻게 되는가?", "Flow injection analysis 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어떤 전압 조건에서 이온화하였는가?", "Flow injection analysis 분석을 수행할 때, 이온화한 전압 조건이 몇 V인가?",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보편적으로 정제시 사용되는 \\( 5 \\)가지의 d-SPE 중 일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회수율을 보여주는 것은 Z-Sep야?",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보편적으로 정제시 사용되는 \\( 5 \\)가지 d-SPE 중에 Z-Sep이 가장 좋은 회수율을 보여주고 있나?", "회수율 시험 결과에 따르면 우슬 시료가 백출 시료보다 회수율이 높았어?", "결과에 따르면 우슬 시료의 회수율이 백출 시료의 회수율보다 높았나?", "백출, 우슬 시료에서 제일 낮은 회수율은 얼마야?", "우슬,백출 시료 시험결과 중에서 회수율이 가장 낮은 값은 얼마인가요?", "백출과 우슬 중 metalaxyl을 층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가지 물질은 무엇인가?", "백출과 우슬에 있는 metalaxyl을 층 분리하기 위해 어떤 물질 두 가지가 사용되는가?", "\\( 0.1 \\) \\(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백출의 변이계수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백출의 변이계수가 \\( 0.1 \\) \\(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어떻게 되는가?", "백출, 우슬 시료 모두 \\( 0.01 \\mathrm{mg} / \\mathrm{kg} \\) 처리수준에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어?", "백출 시료와 우슬 시료에서 모두 제일 높은 회수율을 보인 처리수준이 \\( 0.01 \\mathrm{mg} / \\mathrm{kg} \\) 이야?" ]
e3397a9c-71fb-4f29-a3a4-698dc6c566a8
생명LA
LC-MS/MS를 이용한 생약 백출 및 우슬 중 Metalaxyl 잔류분석법 개발
<h1>재료 및 방법</h1><h2>시약 및 초자</h2><p>시험대상 농약 metalaxyl \( (99.2 \%) \) 의 표준품은 Sigma-Aldrich(St. Louis, MO, USA)에서 구입 후 사용하였다. 유기용매 acetonitrile과 methanol은 J.T Baker (Center Valley, PA, USA)에서, acetone, dichloromethane, \( n \)-hexane 및 ammonium formate \( (\geq 97 \%) \) 는 Daejung Chemicals \& Metals (Siheung,Republic of Korea)에서, magnesium sulfate 및 sodium chloride은 Junsei chemical (Tokyo, Japan)에서 구매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 \mathrm{SPE}\)-\( \mathrm{NH}_{2} \) cartridge \( (1 \mathrm{~g}\), \(6 \mathrm{cc}) \) 는 Waters Co.(Milford, MA, US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dispersive-solid phase extraction (d-SPE) 시약 키트 Part No. \( 5982\)-\(4921\), \(5982\)-\(5021\), \(5982\)-\(5121\), \( 5981\)-\( 5321 \)은 Agilent technology(Santa Clara, CA, USA)로부터, Part No. \( 55417\)-U은 Supelco(St. Louis, MO, USA)에서 구매하였으며 Table \( 1 \)과 같다. 진탕 추출을 위해 고속 진탕추출기(\( 2010 \)/Grinder, SPEX \( { }^{Ⓡ} \) Sample Prep, Metuchen, NJ, USA)를 이용하였고, 원심분리를 위해 고속 원심분리기(Combo-\( 408 \), Hanil Science Inc., Gimpo,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였다.</p><h2>생약 시료</h2><p>생약의 재배 및 생산지, 재배시기, 품종 등의 차이로 유효성분 및 불순물의 종류 및 양적 차이가 발생하는 등 생약의 동질성 및 균질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될 생약은 시중 의약품 규격에 맞는 유통품을 구매하여 연구에 시용하기 이전에 시료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한 후 진행하였다. 생약 적합품 판단은 한약재 관능검사 기준에 따르며 추친된 전문가의 검증을 받은 후 적합품일 경우에 본 연구의 시료로 시용하도록 하였다.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였고, 균질화된 약재는 \( -20^{\circ} \mathrm{C} \) 냉동고에서 보관하여 실험할 때마다 사용하였다.</p><h2>표준용액 조제 및 보관</h2><p>Metalaxyl의 stock solution은 용해도가 높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 100 \mu \mathrm{g} / \mathrm{mL} \) 을 조제하여 \( 4^{\circ} \mathrm{C} \)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Stock solution을 acetonitrile로 추가 희석하여 working solution \( 0.005-0.25 \mu \mathrm{g} / \mathrm{mL} \) 을 조제한 후, 각 농도별 \( 200 \mu \mathrm{L} \) 를 취한 후 무처리구 시험용액 \( 800 \mu \mathrm{L} \) 를 첨가하여 matrix-matched calibration 표준용액을 조제하였다.</p><h2>HPLC-MS/MS 기기분석</h2><p>Metalaxyl을 분석하기 위해 액체크로마도그래피 Nanospace SI-\( 2 \) HPLC (Shiseido Co., Tokyo, Japan)와 질량분석기 TSQ Quantum Ultr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를 이용하였다. 칼럼은 Unison UK-C8 \( (150 \mathrm{~mm} \times 2.0 \) \( \mathrm{mm}\), \(3.0 \mu \mathrm{m} \), Imtakt, Portland, OR, USA)을 사용하였고 칼럼 온도는 \( 40^{\circ} \mathrm{C} \) 이었으며 시료주입량은 \( 2 \mu \mathrm{L} \) 였고 유속은 \( 0.2 \mathrm{~mL} \) \( \mathrm{min} \) 이었다. 이동상 \( \mathrm{A} \) 는 \( 10 \mathrm{mM} \) ammonium formate가 함유된 methanol, 이동상 \( \mathrm{B} \) 는 \( 10 \mathrm{mM} \) ammonium formate가 함유된 water을 사용하였다. gradient 조건으로 이동상 \( A \) 를 \( 20 \% \) 로 시작하여 \( 4 \)분까지 유지하고 이후로 \( 70 \% \) 로 바꿔 \( 15 \)분까지 유지한 후 \( 16 \)분에 \( 20 \% \) 로 바꿔 \( 24 \)분까지 유지하였다. 질량분석기의 이온화방식은 ESI positive mode이며 source 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spray voltage \( 4000 \mathrm{~V} \), capillary temperature \( 350^{\circ} \mathrm{C} \), vaporizer temperature \( 270^{\circ} \mathrm{C} \), sheath gas pressure \( 25 \) \(\mathrm{Arb} \), aux gas pressure \( 20 \mathrm{Arb} \). 그리고 metalaxyl의 전구이온 \( \left[\mathrm{M}+\mathrm{H}^{+}\right. \) 는 \( \mathrm{m} / \mathrm{z} \) \( 280.1 \) 이었고 조각이온 중 정량이온과 정성이온은 각각 \( \mathrm{m} / \mathrm{z} \) \( 220.1 \) (collision energy; CE \( 13 \)V) 및 \( 192.1 \)(CE \( 17 \)V)를 선택하였다.</p>
[ "본 연구에 사용될 생약을 시료의 적합성 여부를 검증한 후 진행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왜 본 연구에 사용할 생약의 시료를 사용하기 전에 적합성 여부를 검증했나요?", "생약의 재배 및 생산지, 재배시기, 품종 등의 차이로 무슨 차이가 발생하나요?", "생약의 재배 및 생산지, 재배시기나 품종 등의 차이로 발생하는 차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matrix-matched calibration 표준용액을 조제할 때 무엇으로 추가 희석하였나요?", "matrix-matched calibration 표준용액을 조제 중 추가 희석할 때 사용한 물질이 무엇인가요?", "Metalaxyl의 stock solution은 용해도가 높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어디에 보관하였나요?", "용해도가 높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Metalaxyl의 stock solution을 보관한 장소가 어디인가요?", "생약 적합품 판단은 어떤 기준에 따르나요?", "생약 적합품을 판단할 때 따르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시험대상 농약 metalaxyl \\( (99.2 \\%) \\) 의 표준품은 어디에서 구입 해서 사용하였나요?", "metalaxyl \\( (99.2 \\%) \\) 이라는 시험 대상 농약을 구입한 곳은 어디인가요?", "acetone, dichloromethane, \\( n \\)-hexane 및 ammonium formate \\( (\\geq 97 \\%) \\) 는 어디에서 구매하였나요?", "acetone, dichloromethane, \\( n \\)-hexane 및 ammonium formate \\( (\\geq 97 \\%) \\) 을 구매한 곳이 어디일까요?", "표준용액을 조제 중 무처리구 시험용액을 얼만큼 첨가하였나요?", "무처리구 시험용액을 표준용액 조제 중에 얼마나 첨가했을까요?", "진탕 추출을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나요?", "무엇을 이용하여 진탕 추출을 하였나요?", "Metalaxyl을 분석하기 위해 무엇을 이용하였나요?", "Metalaxyl을 분석할 때 이용한 것은 무엇인가요?", "HPLC-MS/MS 기기분석할 때 칼럼 온도는 \\( 40^{\\circ} \\mathrm{C} \\) 였나요?", "HPLC-MS/MS 기기를 분석할 때의 칼럼 온도가 \\( 40^{\\circ} \\mathrm{C} \\) 입니까?", "질량분석기의 이온화방식은 무엇인가요?", "질량분석기의 이온화 방식은 뭐였나요?", "칼럼은 무엇을 사용하였나요?", "무엇을 사용하여 칼럼을 만들었나요?" ]
2b2d16f4-e1fa-40ad-897f-9baba8c08909
생명LA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h1>고 찰</h1><p>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MCF7/pDS-CAT- ERE119- Ad2MLP system을 사용하여 estrogen 수용체와 reporter gene 발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세포에 직접 처리함으로써 중요한 생물학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독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항체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수용체와 estrogen 복합체에 의한 reporter gene의 발현정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최근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phytoestrogen 효능 분석, agonist와 antagonist의 구별 및 대규모 screen-ing이 가능하게 되었다.</p><p>홍화씨의 다양한 효능 중의 하나가 뼈 질환 및 골다공증 예방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홍화씨 분말을 식이한 흰쥐에서의 골 밀도 및 신생골 형성 등을 조사한 것으로 홍화씨가 골 밀도 및 형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는 홍화씨의 phytoestrigen 활성을 측정한 것으로 홍화씨의 phytoestrogen이 뼈 질환 및 골다공증 치료에 직접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한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뼈는 세포와 이들 세포간에 존재하는 다량의 골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 기질은 collagen으로 구성된 유기질과 칼슘과 인산으로 구성된 hydroxyapatite로 이루어진 무기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뼈 발생 및 성장, 형성된 뼈의 유지는 부갑상선 호르몬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및 estrogen이 중요한 작용을 하며 비타민 D도 뼈 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만약에 홍화의 뼈 질환에 대한 효능이 phytoestrogen에 의한 작용이라면 식물성 estrogen 중 phytoestrogen 효능이 높은 석류 등을 섭취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는데 석류를 뼈 질환 치료 등에 사용하는 보고는 거의 없으며, 석류의 phytoestrogen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대두에도 이러한 식물성 estrogen이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뼈 치료 등에 대두를 섭취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이러한 결과는 홍화씨의 뼈 질환에서의 효과는 식물성 estrogen에 의한 효능보다는 다른 성분에 의한 작용인 것으로 추론된다. 특히 홍화에 존재하는 백금이 뼈 질환 치료에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더욱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겠다.</p>
[ "홍화에 존재하는것중 어떤것이 뼈 질환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나요?", "골 기질 성분중 칼슘과 인산으로 구성된 hydroxyapatite로 이루어진 성분은 어떤 성분인가요?", "뼈 발생 및 성장,형성된 뼈의 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게 아닌것은 무엇인가요?", "뼈는 세포와 이들 세포간에 존재하는 다량의 골 기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collagen으로 구성된것은 유기질과 무기질 중 어떤 건가요?", "흰 쥐에게 홍화씨 분말을 먹였더니 홍화씨에 어떤 효능이 있었나요?",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 D는 뼈 형성 도움에는 별 기능이 없나요?",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독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항체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수용체와 estrogen 복합체에 의한 reporter gene의 발현정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가?", "사람이 먹는 식품중 뼈 질환 및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품은 무엇인가요?", "MCF7/pDS-CAT- ERE119- Ad2MLP system을 이용하여 얻을수 있는 효과로 적합하지 않은것은 무엇인가요?",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MCF7/pDS-CAT- ERE119- Ad2MLP system을 사용하여 estrogen 수용체와 reporter gene 발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세포에 직접 처리함으로써 중요한 생물학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가?", "석류처럼 대두에도 식물성 estrogen이 많이 들어 있나요?", "뼈 질환 치료에 석류를 사용한 치료는 많은가요?",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독성을 나타내나요?",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MCF7/pDS-CAT- ERE119- Ad2MLP system을 사용하여 어떤 발현을 이용 하나요?", "뼈는 세포와 이들 세포간에 존재하는 다량의 골 기질로 이루어져 있나요?",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어떤 system을 사용 하였나요?", "어떤 시스템이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에서 사용되었는가?" ]
54d722fe-3af3-47fd-a753-0ef6a7c10862
생명LA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h1>요 약</h1><p>홍화씨가 골절, 골다공증 및 골형성부전증 등의 골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홍화씨의 어떤 성분이 이러한 작용을 하는지에 관해서는 거의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홍화씨의 sterol 조성을 분석하고 페경기 여성들의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 estrogen 대체물질로써 그 기능이 확인된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하였다. Cholesterol에서 성호르몬인 estrogen이 합성되는 것처럼 식물 sterol도 phytoestrogen 합성을 위한 전구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화씨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은 stigmast-5-en-3-ol \( (3 \beta, 24S) \)-form인 \( \gamma \)-sitosterol (clionasterol)로 확인되었으며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총 지질의 약 \( 4 \% \) 를 함유하였다. 홍화씨의 sterol 분석은 GC-MS와 Wiley MS spectrum librar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4-desmethyl sterols에는 sitosterol만이 확인되었다.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홍화씨의 에탄올 층\( (5 \mathrm{mg} / \mathrm{ml}) \) 및 메탄올 층\( (5 \mathrm{mg} / \mathrm{ml}) \)에서 각각 0.37과 0.43으로 estrogen 유사효과를 나타내었다 (ANOVA \( \mathrm{p}<0.001 \) ).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MCF7/pDS-CAT-ERE119- Ad2MLP system을 사용하여 estrogen 수용체와 reporter gene 발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세포에 직접 처리함으로써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p>
[ "홍화씨가 골절, 골다공증 및 골형성부전증 등의 골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가?", "골형성부전증 및 골절,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서 홍화씨의 효능이 있어?", "합성 estrogen 대체 물질로써 기능을 하는 물질은 뭐야?", "어떠한 물질이 합성 estrogen 대체 자원으로써 기능을 하지?", "식물 sterol는 phytoestrogen 합성을 위한 전구체 작용을 하지 않는가?", "Phytoestrogen 합성을 위한 전구체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은 식물 sterol인가?",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총 지질의 몇 \\( \\% \\) 를 함유하였는가?", "총 지질의 몇 \\( \\% \\) 를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이 가지게 되었지?", "홍화씨의 sterol 분석은 무엇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가?", "어떤 것을 사용하여 홍화씨의 sterol를 분석했는가?",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였는가?", "어떤 시스템을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의 전사활성 촉진에 이용하였는가?",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세포를 간접 처리함으로써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가?", "phytoestrogen 활성의 측정은 홍화씨에 들어있는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세포를 간접적으로 처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가?",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에 의한 전사활성 촉진은 어떻게 세포를 직접처리하는가?", "어떻게 홍화씨에 포함된 estrogen와 관한 전사활성 촉진을 세포에서 직접처리하는가?" ]
34ad40eb-e27a-48b4-b643-55a2dd29a290
생명LA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h1>재료 및 방법</h1><h2>실험재료</h2><p>본 실험에 사용한 홍화씨는 경남 함양지역에서 재배한 것으로 홍화씨를 동결 건조한 후 homogenizer를 사용하여 \( 20 \mathrm{mesh} \)로 마쇄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p><h2>지질추출 및 TLC 분획</h2><p>홍화씨로부터 총 지질은 Folch 등의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분리된 지질에 \( 1 \mathrm{~N}\)-\( \mathrm{KOH}\)(\(\mathrm{EtOH}\))를 가하여 \( 90^{\circ} \mathrm{C} \) waterbath 상에서 1시간 환류시킨 후, 불검화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불검화물은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plate (Kiesegel 60G, Merck, \( 20 \times 20 \mathrm{~cm} \) )에 loading한 후 전개 용매(n-hexane \( : \) diethyl ether \( =7 : 3\) , \( \mathrm{v} / \mathrm{v}) \)로 전개시켜 건조한 다음 Rhodamin-6G로 발색하여 UV lamp 하에서 관찰하고 분리하였다.</p><h2>Sterol 분석</h2><p>TLC에 의해 분리된 분획물은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JMS-700, Jeol, Japan), DB-5capillary column \( (0.32 \mu \mathrm{m} \times 60 \mathrm{~m}, 0.25 \mu \mathrm{m}) \)으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spectrum은 Wiley MS spectrum library를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ionizing energy (\( 70 \mathrm{~eV}\)), ionozing current \( (300 \mu \mathrm{A}) \), chamber temp \( \left(250^{\circ} \mathrm{C}\right) \) 및 ionizing mode (EI mod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p><h2>홍화씨의 ethanol 추출</h2><p>홍화씨 \( 200 \mathrm{~g} \)에 ethanol \( 1500 \mathrm{ml} \)를 가하여 \( 70^{\circ} \mathrm{C} \)에서 5시간 2회 반복 추출한 후 glass filter로 여과하였다. 여액은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phytoestrogen 활성측정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p><h2>Phytoestrogen 분석을 위한 세포주 배양</h2><p>MCF7/pDS-CAT-ERE119-Ad2MLP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o phenol red (Bio Whittaker, USA), \( 10 \% \) charcoal stripped fetal bovine serum (FBS, Life Technologies,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circ} \mathrm{C}\), \(5 \% \mathrm{CO}_{2} \)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는 일주일에 2~3회 정도 새로운 배지로 교환하였고, 배양된 세포주는 배지를 제거하여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Bio Whittaker, USA)로 2번 세척하고 Trypsin-Versene (EDTA) mixture (Bio Whittaker, USA) 처리하여 5분 배양 후, DMEM w/o phenol red, \( 10 \% \) charcoal stripped FBS 배지로 세포주를 골고루 분산되도록 희석하여 \( 5 \mathrm{ml} \)의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p><h2>Phytoestrogen 분석을 위한 시료처리</h2><p>MCF7/pDS-CAT-ERE119-Ad2MLP 세포주는 DMEM w/o Phenol red, \(10\%\) charcoal stripped FBS 배지 \(5 \mathrm{ml}\)에 \( 37^{\circ} \mathrm{C}\) \(5 \% \mathrm{CO}_{2} \) incubator에서 2-3 일간 배양한 후 각 시료 당 각각 3개의 dishes에 \( 5 \mathrm{ml}\)씩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홍화씨 추출물의 최종농도는 \( 500 \mathrm{mg} / \mathrm{ml}, 50 \mathrm{mg} / \mathrm{ml} \) 및 \( 5 \mathrm{mg} / \mathrm{ml}\)를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로 이용된 \( 17 \beta \)-estradiol은 에탄올에 녹여 최종농도를 \( \left(10^{-8} \sim 10^{-10} \mathrm{M}\right)\)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p><h2>CAT(Chloramphenicol Acetyltransferase) 활성 측정</h2><p>Phytoestrogen 활성측정은 Chambon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홍화씨 추출물을 첨가하여 48 시간 배양한 MCF7/pDS-CAT-ERE119-Ad2MLP 세포는 배지를 제거하고 PBS \(2 \mathrm{ml}\)로 2번 세척한 후 PBS \( 1 \mathrm{ml} \)를 첨가하여 집균하였다. 집균한 세포를 \(1.5 \mathrm{ml}\) centrifuge tube에 옮겨 \( 6,000 \mathrm{rpm} \)에서 2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TEN buffer [\(40 \mathrm{mM}\) Tris ( \( \mathrm{pH} \) 7.5), \( 150 \mathrm{mM}\) \(\mathrm{NaCl}, 1 \mathrm{mM} \) EDTA] \(1 \mathrm{ml}\)를 첨가하여 혼합 세정하고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2회 반복). 여기에 \( 250 \mathrm{mM} \) Tris-buffer를 \( 250 \mu \mathrm{l} \) 첨가하여 \( -20^{\circ} \mathrm{C} \)에서 5분, \( 37^{\circ} \mathrm{C} \) 에서 5분 동안 처리하는 방법을 4회 반복하여 세포를 lysis 한 다음 \(14,000 \mathrm{rpm} \) 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중 \( 200 \mu \mathrm{l} \) 를 취하여 CAT 활성을 측정하였다. CAT 활성은 CAT-ELISA Kit (Boehringer Mannheim, USA)를 사용하여 manual에 따라 수행하였다. MTP-modules에 각각의 cell extract를 \( 200 \mu \mathrm{l} / \mathrm{well} \) 넣고 \( 37^{\circ} \mathrm{C} \) 배양기에서 1시간 배양한 후 washing buffer \( 250 \mu \mathrm{l} \) 로 각각 30초간 5회 반복 세척하였다. 여기에 anti-CAT-DIG working solution \( 200 \mu \mathrm{l}\)를 첨가하여 \(37^{\circ} \mathrm{C} \) 배양기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 후 다시 washing buffer \( 250 \mu\mathrm{l} \)로 각각 30초간 5회 반복 세척하였다. 여기에 anti-CAT-POD working solution \( 200 \mu \mathrm{l} \)를 첨가하여 \( 37^{\circ} \mathrm{C} \)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다시 washing buffer \( 250 \mu \mathrm{l} \)로 각각 30초간 5회 반복 세척하였다. 여기에 POD-substrate \( 200 \mu \mathrm{l} \) 를 첨가하여 green color로 변할 때까지 \(37^{\circ} \mathrm{C} \) 배양기에 배양한 후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ynamics, USA)를 이용하여 \( 40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CAT 활성은 해당 세포 추출액의 단백질량으로 정량하였다.</p>
[ "홍화씨를 동결 건조한 후 무엇을 사용해 분석 시료로 사용했어?", "홍화씨를 동결 건조한 후 어떤 것을 사용해 분석 시료를 만들었어?", "실험에 사용한 홍화씨는 어느 지역에서 재배한 거야?", "어디에서 홍화씨를 재배했지?", "홍화씨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 homogenizer야?", "homogenizer를 사용해 홍화씨를 추출했어?", "분리된 지질에 불검화물을 분리하려면 몇시간 환류시켜야 해?", "몇 시간을 환류시켜야 분리된 지질에 불검화물을 분리할 수 있니?", "분리된 불검화물을 전개 용매로 건조한 다음에 해야할 일은 어떻게 돼?", "분리된 불검화물을 전개 용매로 건조한 다음에 어떻게 해야할까?", "DB-5capillary column은 무엇에 의해 분리 돼?", "무엇에 의해 DB-5capillary column이 분리될까?", "여과한 홍화씨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로 사용한 거야?", "여과한 홍화씨는 어떤 것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했니?", "MCF7/pDS-CAT-ERE119-Ad2MLP 세포주는 어떤 배지를 이용해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해?", "어떤 배지를 이용해 MCF7/pDS-CAT-ERE119-Ad2MLP 세포주를 배양하는가?", "배양된 세포주는 일주일에 5회 정도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 실험했어?", "배양된 세포주를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횟수는 일주일에 5회 정도인가?", "Phytoestrogen 활성측정을 하기 위해 이용한 방법은 어떻게 돼?", "Phytoestrogen 활성측정을 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했지?", "Phytoestrogen 활성측정은 Folch 방법을 통해 실험하였어?", "Folch 방법을 사용해 Phytoestrogen 활성을 측정했는가?", "CA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Kit는 뭐야?", "CA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어떤 kit를 사용했는가?", "CAT 활성을 관찰하는 실험에서 각각의 cell extract를 얼마나 넣어?", "CAT 활성을 관찰하는 실험에서 넣는 각각의 cell extract 양은 얼마인가?", "MTP-modules에 각각의 cell extract을 어떻게 배양해?", "어떻게 MTP-modules에 각각의 cell extract을 배양해?", "\\( 40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가 뭐야?", "\\( 405 \\mathrm{~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구는 무엇인가?", "CAT 활성을 무엇으로 정량했어?", "무엇으로 CAT 활성을 정량했는가?" ]
cdda7fce-bb70-4e81-867e-0c9140a76131
생명LA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h1>서 론</h1><p>Phytosterol은 식물유지의 불검화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화합물이다. Phytosterol 에는 \( \beta \)-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rassicasterol 있으며 그중 가장 풍부한 것은 \( \beta \)-sitosterol이다. 이러한 식물성 sterol은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등 중요한 생리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p>Phytoestrogen은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비슷하면서 부작용도 거의 없다. 이러한 phytoestrogen은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합성 estrogen 대체물질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p><p>최근 식생활의 변화는 순환기계질환, 암, 뇌졸중 둥 성인병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성인병의 치료에 약물이나 의료적인 치료보다는 식생활의 조절에 의한 예방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 식품분야에서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의 개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약용식물을 이용한 치료법이 발전되어 왔으며 동의보감과 같은 의서에는 경험론적으로 약용식물에 대한 효능 등이 기록되어 있어 이러한 작물들을 중심으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p><p>홍화(safflower)는 잇꽃이라고 하는 국화과(Compoi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으로 원산지는 아프카니스탄의 산악지대 또는 에디오피아, 중국, 티벳 등지에서 재배되기도 한다. 홍화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약용목적으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근래에 와서는 미국, 인도 등지에서 식용유 생산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홍화의 꽃과 씨는 모두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꽃의 약용성분인 carthamin \( \left(\mathrm{C}_{21} \mathrm{H}_{22} \mathrm{O}_{11}\right) \)은 약성이 따뜻하고 피를 다스린다하여 어혈, 통경약으로 한방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꽃잎에서 추출한 색소는 식품 및 화장품의 착색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종실에는 지방이 다량(\(15 \sim 37\%\))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은 혈중 cholesterol 수치를 저하시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고혈압, 협심증, 고지혈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p>홍화의 꽃과 씨에는 탁월한 생체조절기능이 알려져 있으나 그 작용기작은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밝혀져 있지 않다. 홍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홍화의 항산화 작용, 이화학적 특성 및 홍화씨 식이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서 주로 연구되었다. 홍화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가 각종 뼈 질환, 특히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 골수염 환자 및 노약자들에게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뼈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p><p>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경험적이고 비과학적 차원에서 활용되고 있던 자생식물의 활용수준에서 벗어나, 생명공학 기술을 접목시켜 보다 과학적이고 고부가가치의 신 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홍화씨의 sterol 분석 및 estrogen 효능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p>
[ "식물유지의 불검화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화합물은 무엇인가?", "식물유지의 불검화물 중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 화합물이야?", "Phytosterol에 포함되는 sterol은 무엇인가?", "sterol 중에 Phytosterol에 포함되는 것은 무엇인가?", "Phytosterol은 동물유지의 불검화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화합물인가?", "물유지의 불검화물 중에서 가장 중요한 화합물은 Phytosterol인가?", "Phytoestrogen과 비슷한 구조를 가진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무엇인가?", "Phytoestrogen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무엇인가?", "부작용이 많은 합성 estrogen의 대체물질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화합물은 무엇인가?", "어떤 화합물이 부작용이 많은 합성 estrogen의 대체물질로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순환기계질환, 암, 뇌졸중 등 성인병의 증가를 초래하게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순환기계질환, 암, 뇌졸중 등 성인병의 증가를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성인병을 치료하기위해 식생활 조절보다 약물과 의료적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은가?", "성인병을 치료하기위해 약물과 의료적 치료가 식생활 조절보다 많은 관심을 갖는가??", "성인병 치료에 대한 식생활을 통한 예방의학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및 건강보조식품의 개발을 하지 않는 추세인가?", "성인병 치료에 대한 식생활을 통한 예방의학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및 건강보조식품의 개발이 안이루어지는 추세인가?", "국내에서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동물을 이용한 치료법이 발전되어 왔는가?", "오래 전부터 국내에서는 민간요법으로 동물을 이용한 치료법을 발전시켜왔는가?", "약용식물에 대한 효능이 기록되어 있는 의서는 무엇인가?", "어떤 의서에 약용식물에 대한 효능이 기록되어 있는가?", "국화과에 속하며 일년생 초목으로 잇꽃이라고도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잇꽃이라고도 불리며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은 무엇인가?", "홍화는 일년생 초목으로 장미과에 속하는가?", "홍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목인가?", "홍화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고 먹을 수 없는가?", "홍화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고 식용 불가능한가?", "홍화의 씨는 약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홍화의 씨는 약용으로 사용 불가능한가?", "약성이 따뜻하고 피를 다스린다는 홍화의 약용성분은 무엇인가?", "홍화의 약용성분 중 약성이 따뜻하고 피를 다스리는 것은 무엇인가?", "식품 및 화장품의 착색료로 사용되는 색소는 홍화의 어느 부분에서 추출하는가?", "홍화의 어느 부분에서 식품 및 화장품의 착색료로 사용되는 색소를 추출하는가?", "홍화의 종실에는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가?", "홍화의 종실에는 다량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가?", "홍화에 함유된 필수지방산으로서 cholesterol 수치저하,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cholesterol 수치저하, 동맥경화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홍화에 함유된 필수지방산은 무엇인가?",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은 혈중 cholesterol 수치를 높이는가?", "혈중 cholesterol 수치는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에 의해 높아지는가?", "홍화의 꽃과 씨에 있는 생체조절기능의 작용기작은 모두 밝혀졌는가?", "홍화의 꽃과 씨에 있는 생체조절기능에 대한 작용기작은 전부 밝혀졌는가?", "홍화는 주로 홍화의 항산화 작용과 이화학적 특성 및 홍화씨 식이가 단백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되어 왔는가?", "홍화의 항산화 작용과 이화학적 특성 및 홍화씨 식이가 단백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주로 연구되어 왔는가?", "홍화는 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및 노약자에게는 해로운가?", "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및 노약자에게 홍화는 해로운가?", "식물성 sterol은 혈중콜레스테롤을 높이는가?", "혈중콜레스테롤 증가는 식물성 sterol에 의한 작용인가요?" ]
5769af2c-e7f6-4208-b9b6-5b0460eeb946
생명LA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의 sterol 및 phytoestrogen 분석
<h1>결 과</h1><h2>홍화씨의 phytosterol 분석</h2><p>홍화씨의 sterol 분석은 GC-MS와 Wiley MS spectrum librar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1). 홍화씨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은 stigmast-5-en-3-ol \( (3 \beta, 24S) \)-form인 \( \gamma \) sitosterol (clionasterol)로 확인되었으며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총 지질의 약 \( 4 \% \) 를 함유하였다.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4-desmethyl sterols에는 sitosterol만이 확인되었다. 홍화의 지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지방산 조성 분석이나 홍화씨 분말을 급여한 쥐의 지질대사 및 rhf 대사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많은 연구는 있으나, 홍화씨의 sterol 분석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식물성 sterol은 cholesterol처럼 식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써 화학적인 구조도 cholesterol과 유사하며 체내에서 cholesterol의 흡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대표적인 식물성 sterol은 베타-시토스테롤 ( \( \beta \) sitosterol), 베타-시토스타놀( \( \beta \)-sitostanol), 켐페스테롤(campesterol) 및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등이 있으며 식물성 스테롤 중에서 sitostanol이 가장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h2>홍화씨의 estrogen 유사효과 검증</h2><p>홍화씨의 식물성 sterol의 분석은 estrogen 수용체 pro-moter와 CAT reporter 유전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ig.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홍화씨의 에탄올 층\( (5 \mathrm{mg} / \mathrm{ml}) \) 및 메탄올 층 \( (5 \mathrm{mg} / \mathrm{ml}) \) 에서 각각 0.37과 0.43으로 estrogen 유사효과를 나타내었다(ANOVA \( \mathrm{p}<0.001 \) ). 홍화씨의 phytoestrogen 활성은 석류 등에 비하면 낮은 estrogen 유사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홍화씨가 각종 뼈 질환, 특히 골다공증, 퇴행성관절염, 골수염 환자 및 노약자들에게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홍화씨의 다른 중요한 성분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중에 이러한 phytoestrogen이 많이 들어있는 작물로서는 isoflavone류의 genistein이나 daizei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대두와 phytoestroge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석류 등이 있다.</p>
[ "식물성 sterol은 cholesterol처럼 식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써 화학적인 구조도 cholesterol과 유사하고 체내에서 흡수도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가?", "식물성 sterol은 cholesterol처럼 체내에서 흡수도 저하시키고, 식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써 화학적인 구조도 cholesterol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있어?",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sterols는 무엇인가요?", "중요한 sterols으로서, 홍화씨에 존재하는 것은 어떤 물질이야?",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4-desmethyl sterols에는 어떤 sterols만이 확인 되었나요?", "홍화씨에 존재하는 중요한 4-desmethyl sterols 중 확인된 유일한 sterols은 무엇이야?", "홍화씨 sterol 분석은 많은 연구 보고가 있는가?", "홍화씨 sterol 분석은 연구가 많이 된 편이지?", "식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써 화학적인 구조도 cholesterol과 유사하며 체내에서 cholesterol의 흡수를 저하시키는 것은 무엇인가요?", "화학적인 구조가 cholesterol과 유사하고 체내에서 cholesterol의 흡수를 저하시키는 식물 세포막의 구성성분은 어떤 물질이야?", "식물성 스테롤 중에서 가장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 시켜주는것은 무엇인가요?", "어떤 물질이 콜레스테롤 흡수를 가장 억제 시켜주는 식물성 스테롤이야?",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무엇인가요?", "얼마만큼의 식물성 sterol을 홍화가 함유하고 있을까?", "홍화씨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은 stigmast-5-en-3-ol (3 \\beta, 24S)(3β,24S)-form인 \\gammaγ sitosterol (clionasterol)로 확인 되었나요?", "stigmast-5-en-3-ol (3 \\beta, 24S)(3β,24S)-form인 \\gammaγ sitosterol (clionasterol)가 홍화씨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로 밝혀졌어?", "홍화씨의 식물성 sterol의 분석에 무엇을 이용 하였나요?", "어떤 것을 이용하여 홍화씨의 식물성 sterol을 분석했어?",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에탄올 층의 효과는 얼마가 나왔나요?",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에서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얼마만큼의 에탄올 층 효과가 발생했어?",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메탄올 층의 효과는 얼마가 나왔나요?",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에서 \\( \\beta \\)-estradiol \\( \\left(10^{-8} \\mathrm{M}\\right) \\)의 활성을 1로 했을 때 얼마만큼의 메탄올 층 효과가 발생했어?", "홍화씨의 phytoestrogen 활성은 석류 등에 비하면 낮은 estrogen 유사효과를 나타내고 있나요?", "석류 등에 비해 홍화씨의 phytoestrogen 활성은 낮은 estrogen 유사효과를 보이고 있나요?", "홍화씨는 각종 뼈 질환, 골다공증,퇴행성관절염,골수염 환자에게 특히 더 좋나요?", "각종 뼈 질환, 골다공증,퇴행성관절염,골수염 환자에게 홍화씨가 특히 더 유익해?",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중에 phytoestrogen이 많이 들어있는 작물로써 isoflavone류의 genistein이나 daizei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은 무엇인가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중에 isoflavone류의 genistein이나 daizei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phytoestrogen이 많이 들어있는 작물은 어떤 식품이야?",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중에 phytoestroge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식품은 무엇인가요?", "사람이 섭취하는 식품 중 무슨 식품에 phytoestroge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사람이 먹는 식품 중에 phytoestroge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사람이 먹는 식품 중 무슨 식품에 phytoestrogen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사람이 섭취하는 작물인 대두는 isoflavone류의 어떤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나요?", "대두는 사람이 섭취하는 작물로서, isoflavone류의 무슨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어?", "홍화의 지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지방산 조성 분석이나 홍화씨 분말을 급여한 쥐의 rhf 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나요?", "지방산 조성 분석이나 홍화씨 분말을 급여한 쥐의 rhf 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등 홍화의 지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어?", "홍화에 존재하는 식물성 sterol의 함량은 총 지질의 몇 % 차지 할까요?", "홍화씨의 sterol 분석은 어떤 분석을 사용하였나요?", "어떤 분석 방법으로 홍화씨의 sterol을 분석했어?", "대표적인 식물성 sterol이 아닌것은 무엇인가요?", "홍화씨의 식물성 estrogen 효과는 \\betaβ-estradiol \\left(10^{-8} \\mathrm{M}\\right)(10 −8M)의 활성을 몇으로 했을때 에탄올 층 및 메탄올 층이 0.37과 0.43이 나오나요?" ]
61c22097-de89-47aa-8910-5f1346d2a415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h2>2.2. 측정 장비 및 측정 항목</h2><p>HRV (Heart Rate Variability) 측정용 장비로는 그림 2에 보인 SA3000P모델이 사용되었다. 자율신경측정기로도 불리는 HRV는 심장 박동의 미세한 변화를 파형 분석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인체의 자율신경 반응을 가시화하고 현재의 건강 상태 및 정신 생리학적 안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이다. 피실험자에 대한 청음 반응은 모든 벽면에 두께 \( 20 \mathrm{~cm} \) 이상의 흡음재로 처리되어 있으며 외부 소음에 대하여 충분히 밀폐되어 있는 공간에서 수행하였다. HRV로 측정, 분석하여 구할 수 있는 많은 항목 중 본 연구에서 사용된 중요 지표로는 평균 심박동수 (빈맥, 서맥), SDNN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 TP (total power), VLF (very low frequency power), LF (low frequency power), HF (high frequency power), LF/HF ratio, 자율신경활성도, 자율신경균형도, 스트레스저항도, 스트레스지수, 피로도, 심장안정도, 이상 심박동수 (심장의 리듬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횟수를 의미하며 5회 이상의 경우 심한 움직임이 있거나 부정맥이 의심 될 수 있으므로 재 측정 또는 추가적인 검사 실시) 등이 있다.</p><h2>2.3. 실험 조건 및 결과</h2><p>통상적인 타이어의 경우 \( 3 \sim 5 \) 개의 피치 패턴 (길이의 미소 변화)을 무작위 배열되도록 설계하여 큰 순음 형태 소음 에너지를 가급적 전 주파수 대역에 분산시킨다. 그러나 본 연구를 위해서는 사람이 인지 가능한 정도의 순음 성분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두 가지 모순적 조건을 만족하는 모노럴 비팅음 발생 타이어 제작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고 난이도의 작업이다. 따라서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본 연구에서 는 그림 1 (b)과 같은 단순 블록 형태의 타이어 (좌, 우 트랙 각각 47,48 개의 피치블록, 3가지 패턴)를 제작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그림 1 (a) 일반타이어 (피치블록 수 100개) 대비 어떠한 효과를 유발하는지 알아보았다.</p><p>기준 타이어 및 제작된 비팅음 타이어를 주행 테스트 트랙의 부드러운 노면에서 시속 60, 80, \( 100 \mathrm{~km} / \mathrm{h} \)의 속도로 주행하며 운전석 귀 위치에서 B&K 1/2" 마이크로폰과 PULSE 분석기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 및 녹음하고, 녹음된 음을 AUDIOTRAK imAmp 헤드폰 앰프 및 AKG K271 MK Ⅱ 헤드폰을 이용하여 벽면에 \( 20 \mathrm{~cm} \) 두께로 흡음 처리된 실험실에서 청음 테스트를 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에게 동일한 음 재현 및 피 실험자의 차량 탑승 주행 실험의 어려움으로 녹음된 음을 이용하는 등 부분적 한계를 가지는 실험이었다. 측정음의 주파수 분석 결과는 그림 3~5에 나타내었으며, 각 속도별 비팅음 타이어 결과는 \( 361 \sim 369 \mathrm{~Hz}\),\( 498 \sim 508 \mathrm{~Hz}\), \(589 \sim 603 \mathrm{~Hz} \) 부근에서 두 개의 순음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1의 주파수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피치블록의 수가 줄었으며 실제 차량 속도는 계기판 속도보다 작기 때문이다. 기준 타이어 대비 비팅음 타이어의 차이가 유발하는 생리적 변화를 표 2 의 테스트 조건에 대하여 HRV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각 조건의 대상은 \( 60 \mathrm{~km} / \mathrm{h} \) 가 32 명, \( 80 \mathrm{~km} / \mathrm{h} \) 가 28 명, \( 100 \mathrm{~km} / \mathrm{h} \) 가 30명으로 각 개인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통계 프로그램 (SPSS)을 시용하여 대응 t 검증 (paired\( \mathrm{t} \) test)으로 분석하였다. 대응 표본 t 검증은 두 평균값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대상의 사전, 사후 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각 실험 조건의 피실험자 수는 유효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사람들의 숫자로 유효 통계 해석을 할 수 있는 숫자였으며 실제 피실험자 수 또는 실험 횟수는 약 \( 60 \sim 70 \% \) 정도 더 수행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그림 6~11과 표 3~5에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 증진을 위하여 1인에 대한 중복/다중 평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1회 실험에 최소 40 분에서 1시간 이상이 소요 되는 등 현실적 제한 조건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p><p>측정 결과 \( 60 \mathrm{~km} / \mathrm{h} \) 에서 \( \mathrm{HF} \) 값이 \( \mathrm{t}=-3.13(\mathrm{P}<.01) \)의 값을 나타내 비팅이 생성되는 타이어의 음과 기준 타이어의 음이 \( 99 \% \)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이완 상태를 나타내는 부교감 신경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비팅음이 생리적 이완 요소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다른 파라미터 값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각 조건 간의 평균값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SDNN, HF, TP의 값은 1, 3, 5의 기준 타이어에 비해 2, 4, 6의 비팅음 타이어에서 증가하였다. 이는 비팅음 생성 타이어 실측 음이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변수들에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2의 조건 숫자 참조) 또한 심장안정도, 자율신경활성도, 스트레스 저항도, 피로도에 있어서도 비팅음이 생성되는 조건 모두에서 긍정적인 생리적 변화의 동일한 경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LF, VLF, 자율신경균형도, 스트레스지수, 평균 심박동 수의 변화는 동일한 경향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p>
[ "HRV 측정용 장비로 사용된 모델은 무엇인가요?", "해당 글에서 HRV 측정용 장비로 사용된 모델은?", "HRV는 어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나요?", "HRV 심장의 미세한 파동을 통해 무엇을 분석할 수 있는가?", "통상적인 타이어의 경우 몇 개의 피치 패턴을 무작위로 배열하나요?", "타이어의 통상적인 피치 패턴의 개수는 몇 개 인가?", "본 논문의 비팅음 실험은 어떤 요인으로 인해 한계를 가지는 실험인가요?", "비팅음 실험의 한계이자 실험이 가졌던 어려움으로 무엇이 있는가?", "시속 60, 80, \\( 100 \\mathrm{~km} / \\mathrm{h} \\)의 속도에서 측정된 비팅음 타이어 주파수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요?", "각각의 속도(60, 80, \\( 100\\mathrm{~km} /\\mathrm{h} \\))에서 비팅음 타이어 주파수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비팅음 주파수 분석 결과는 속도가 클 수록 주파수도 커지는 결과를 보이나요?", "비팅음 주파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것으로, 속도가 클 수록 주파수 값이 커지는가?", "비팅음 주파수 결과가 표 1의 주파수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비팅음 주파수 결과가 실제 실험과 다른 결과를 보이는 이유는?", "얻어진 데이터는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나요?",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 분석은 어떤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졌나? ", "실제 피실험자 수가 결과에서 보인 피실험자 수보다 많은가요?", "실제 피실험자 수가 결과에서 나오는 피실험자 수보다 많은가? ", "1인에 대한 중복/다중 평가를 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중복 및 다중평가가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비팅이 생성되는 타이어의 음과 기준 타이어의 음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나요?", "실험에서는 비팅이 생성되는 타이어의 음과 기준 타이어의 음의 명확한 차이가 있었나?", "피실험자에 대한 청음 반응은 어떤 공간에서 수행되었나요?", "청음반응 테스트는 어떤 공간에서 진행되었나?", "모노럴 비팅음 발생 타이어를 제작하는 데 많은 돈이 소요되나요?", "모노럴 비팅음 발생 타이어의 제작은 고난이도 작업이다. ", "SDNN, HF, TP의 값이 기준 타이어에 비해 비팅음 타이어에서 증가한 결과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나요?", "SDNN, HF, TP 값이 기준 타이어에 비해 비팅음 타이어에서 증가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 중 실험 결과를 통해 동일한 경향성을 발견할 수 없었던 요인은 무엇인가요?", "실험에서 같은 경향성을 가지지 않은 지표는 무엇인가?", "HRV로 측정, 분석하여 구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HRV로 측정될 수 있는 지표가 아닌 것은?", "그림 1 (b)과 같은 단순 블록 형태의 타이어는 좌우에 각각 몇개의 피치블록이 형성되어있나요?", "일반타이어, 단순 블록 형태의 타이어 중 단순 블록 형태의 타이어의 좌우측 피치블록 개수는 ?", "비팅음이 어떤 요소로 작용하였나요?", "비팅음이 자율신경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fb0dadda-0fcf-40d2-aba3-ac631f580dfa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h1>II. 연구 내용</h1><h2>2.1.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h2><p>비팅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본 루파수는 J. C. R. Licklider 등에 의해 행해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그 연구에서는 \( 400 \mathrm{cps} \) 의 기본 주파수 순음의 음압이 클수록 넓은 비팅음 주파수 대역에서 바이노럴 비팅 현상이 잘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본 주파수 순음은, 타이어의 경우 주로 피치블록의 수에 따라 정해지며 다음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p><p\( f=\frac{5 p v}{18 \pi D} \)<caption>(1)</caption</p><p>여기서 \( f(\mathrm{~Hz}) \) 는 타이어 발생 순음의 주파수, \( v(\mathrm{~km} / \mathrm{h}) \)는 차량의 속도, \( p \) 는 타이어 피치블록의 수, \( D(\mathrm{~m}) \) 는 타이어 직경이다. 차량 속도가 \( 60 \mathrm{~km} / \mathrm{h} \) 보다 낮은 저속 주행에서는 타이어 소음도 작고 정속 운행에 따른 비팅음 생성 효과가 작을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의 통상적 운행 속도 범위를 \( 60 \sim 100 \mathrm{~km} / \mathrm{h} \)로 설정하였다. 표 1은 이러한 속도 영역에서 타이어가 만들어내는 순음 주파수의 예로서, 직경 \( 64.5 \mathrm{~cm} \), 피치블록 수 49개인 타이어의 경우 시속 \( 60 \mathrm{~km} / \mathrm{h} \) 에서 \( 403 \mathrm{~Hz}, 50 \) 개 일 때는 약 \( 411 \mathrm{~Hz} \)의 순음이 발생되는 것을 나타내며 본 연구에서 의도하는 차량 운행 속도 범위에서 알파파 주파수 대역 \( (8 \sim 13 \mathrm{~Hz}) \)의 모노럴 비팅음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피치의 수를 두 개 차이지게 하면 \( 60 \mathrm{~km} / \mathrm{h} \)에서는 알파파의 범위에 들지만 \( 100 \mathrm{~km} / \mathrm{h} \)에서는 베타파의 영역으로 바뀌게 된다.</p><p>이상적으로는 차량의 좌우 타이어가 위의 두 주파수 순음을 각기 발생시킨다면 바이노럴 비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차량 안전 등 여러 이유로 좌우의 타이어는 동일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타이어에서 두 개의 순음을 발생시키도록 그림 1 (b)와 같이 하나의 타이어에서 좌우 비대칭 피치블록 수를 가지도록 하였다. (그림에서 좌우의 차이가 거의 보이지 않는 이유는 좌우 피치블록 하나당 길이 차이가 \( 1 \mathrm{~mm} \)도 안되기 때문이다.)</p>
[ "타이어 주파수 순음이 작을수록 바이노럴 비팅 현상이 잘 발생합니까?", "바이노럴 비팅 현상이 잘 발생하려면 타이어 주파수 순음이 작아야 하는가?", "타이어 발생 순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이어 피치블록의 수, 타이어 직경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무엇인가?", "타이어 발생 순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타이어 피치블록의 수, 타이어 직경 외에 어떤 요소가 더 있는가?", "이상적으로는 좌우 타이어가 각기 다른 순음을 발생시키면 바이노럴 비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왜 좌우 타이어는 동일해야 하지?", "좌우 타이어가 다른 순음을 발생시키면 이상적으로 바이노럴 비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왜 좌우 타이어는 동일해야 하는가?", "좌우 타이어에 피치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두 주파수의 순음을 발생시키면 타이어의 바이노럴 비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좌우 타이어를 동일하게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좌우 타이어의 피치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두 주파수의 순음을 발생시키면 타이어의 바이노럴 비팅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좌우타이어의 피치를 동일하게 하는 대표적 이유는 무엇인가?" ]
597ef493-37c8-4159-a684-b342308e84ed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h1>요약</h1><p>타이어 피치블록의 수에 따라 발생된 모노럴 비팅음이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알파파 강화와 유사한 긍정적 생리 변화를 인체에 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의 반복성 및 측정 여건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모노럴 비팅음 발생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에서 녹음된 음을 정온한 환경의 실험실에서 재생하고 신체 반응을 HRV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각종 파라미터를 추출, 통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요소는 적었지만 긍정정 신체 변화 유발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p>
[ "녹음된 음이 긍정적 신체 변화 유발을 유도할 수 있다." ]
40511e36-23ac-4901-8cbb-a87638fff260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p>청취 테스트 결과는 여러 항목이 비팅음 타이어가 생리적 반응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평균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 가지 항목을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므로 그 효용성에 대하여 학술적으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여러 가지 원인을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비팅음 타이어가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배경음 대비 매우 큰 순음 성분 음이 비팅에 의한 효과를 반감시키거나 분산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짜증감과 긴장감에 대한 추가적인 청음 실험 결과 (그림 12 와 표 6), \( 100 \mathrm{~km} / \mathrm{h} \) 에서는 기준 타이어 대비 비팅음 타이어에 대한 긴장감과 짜증감이 다 증가하였으나 \( 80 \mathrm{~km} / \mathrm{h} \) 에서는 반대로 둘 다 감소하는 다소 예상 밖의 결과를 보였다. \( 100 \mathrm{~k} / \mathrm{h} \) 의 경우 긴장감은 \( \mathrm{t}=-2.43(\mathrm{P}<.05) \) 로 \( 95 \% \)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짜증감의 경우도 \( \mathrm{t}=-2.81(\mathrm{P}<.01) \) 로 \( 99 \% \)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고음의 피치에서 정서적인 불쾌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소 흥미로운 관찰 사실은, 통계적 조사와 기록을 하지 않은 음의 질에 관한 대체적인 느낌을 묻는 질문에 예상보다 횔씬 많은 (대략 절반 정도) 피실험자들 이 기준 타이어음을 더 안 좋게 평하거나 비팅음 타이어에 비하여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객관적 해석은 추후의 연구 과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부분으로 추정된다.</p>
[ "80km/h 조건에서 짜증감과 긴장감 둘다 증가하였다." ]
de3713f8-ca5e-4c96-9acc-e0a49bdb67d1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h1>I. 서 론</h1><p>바이노럴 비팅 (binaural beating)은 두 개의 다른 주파수의 순음이 양쪽 귀를 통하여 각각 들려질 때 발생하며, 두 주파수의 차이인 비팅 주파수를 두뇌가 인지하게 된다. 비팅 주파수 음은 실제 소리가 아니지만 두 순음의 톤이 두뇌 속에서 결합될 때 뇌파 형성과 일치하며, 두뇌신경 핵이 바이노럴 비트에 공명하여 대뇌피질로 신호를 보내고 기존의 뇌파 패턴과 섞여 현저한 신체 상태 변화를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의 트레드 형상에 따라 발생된 타이어 비팅음이 사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인체에 긍정적 생리 변화를 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p><p>알파파는 신체적 이완과 감각, 의식의 다양한 측면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긴장을 완화시켜 이완을 이끌뿐 아니라 의식 상태를 변화시켜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niston과 Kulkosky는 피험자들이 알파파 생성을 통해 추상적 사고력, 의식, 감각, 자기 조절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Ray와 Cole, Wise 등의 주장과도 일치하는데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알파파는 심리적 안정 상태, 편안함, 또는 이완이 되었을 때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김진구의 연구에서는 알파파가 수행오차의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Hatfield 등의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사격을 준비하는 순간 왼쪽 후두엽과 측두엽에서 높은 알파파가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운동수행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이처럼 알파파는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잠재력 활성화, 침착성과 집중력 촉진, 통제력 향상, 반응시간 단축, 정확성, 기억, 정보처리 속도, 결정력 향상, 불안 감소, 다양한 의식 상태와 각성수준의 연속성, 상태 의존적 학습과 기억력 회복, 몸과 마음의 상호작용 등의 향상에 기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알파파의 뇌파로 인한 생리적인 이완 반응은 자율신경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심박동변이도 (heart rate variability) 측정 장비 (HRV)를 이용하여 측정가능하다. 자율신경계의 생리지 표인 심박동변이도는 동방결절의 교감신경 조절과 부교감 신경 조절을 구분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심신경 (neurocardiac)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생리지표로 알려져 있다.</p><p>본 연구에서는 타이어 음을 통하여 이러한 알파파 강화와 유사한 영향을 인체에 줄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단,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가 가지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바이노럴 비트를 만들 수 없으므로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지만 모노럴 (monaural) 비팅음을 타이어에서 발생시켜 알아보았다. 이상적으로는 모노럴 비팅음이 발생되는 차량에 피실험자를 탑승시켜 실 주행 상태에서 신체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 완벽하겠으나 실험의 반복성 (소음 조건), 신체 반응 측정 장비 탑재 및 피실험자의 여건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모노럴 비팅음 발생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에서 녹음된 음을 정온한 환경의 실험실에서 재생하고 피실험자의 신체 반응을 (HRV) 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각종 파라미터를 추출, 통계 분석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p>
[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가지고 바이노럴 비트를 쉽게 만들 수 있는가?", "알파파는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것으로 알려져 있나?", "운동수행과 알파파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알파파를 이용하면 더 정확한 수행을 할 수 있는가?", "바이노럴 비팅은 두 개의 같은 주파수의 순음이 양쪽 귀를 통하여 들려질 때 발생하는가?", "알파파의 뇌파로 인해 자율신경계가 생리적인 긴장을 일으키는가?" ]
97025187-11f3-469c-b482-d31bc79cbeae
생명LA
타이어의 모노럴 비팅음이 인체에 유발하는 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h1>Ⅲ. 결 론</h1><p>본 연구에서는 타이어 소음으로부터 알파파와 유사한 신체적 영향력을 도출할 수 있는지 HRV 장비를 이용하여 생리적 지표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SDNN, HF, TP의 평균값이 비팅음 타이어에서 증가하였다. 이는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인체의 자율신경계의 생리적 변수들에 긍정적 역할을 한 결과로 추정되지만 HF를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어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p><p>측정과정에서의 경험 및 주요 관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비팅음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두 개의 명확한 순음이 필연적으로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명확한 순음은 동시에 심리적, 감성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므로 순음 발생의 크기를 적절한 양으로 줄일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타이어 설계 특성상 매우 까다로운 문제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이어가 통상적으로 가져야 하는 피치블록의 숫자가 최소 45~50개 이상이어야 하는 현실적 여건을 고려할 때, 타이어 회전 속도 증가로 인하여 생기는 고주파의 기본주파수 (최소 \( 400 \mathrm{~Hz} \) 이상) 순음 소리는 사람들에게 심리, 감성적으로 부정적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긍정적 반응을 유발하는 비팅음을 고주파가 아닌 저주파 영역의 순음 발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면, 타이어 소음을 인체에 좋은 영향을 주는 쪽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타이어 소음의 실험 결과, 속도별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는 요소들이 존재하며, 원인이 고속에 따른 고주파화 된 순음의 영향인지 또는 종합적으로 변하는 타이어 전체의 배경음이 원인인지는 현재의 연구 결과로는 확인 할 수 없었다. 또한 HRV를 이용한 정량적 측정의 실험이었으나, 개인들이 가지는 심인적인 요소가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정교하게 설계된 실험 기획과 경험 및 테크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p>
[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어 소음이 신체에 알파파와 유사한 영향력을 도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인가요?",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어 소음이 신체에 알파파와 유사한 영향력을 도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인가?", "신체에 타이어 소음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생리적 지표를 측정한 장비는 무엇인가요?", "신체에 타이어 소음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무엇으로 생리적 지표를 측정한 하나요?", "본 연구는 HRV 장비를 사용하여 인체의 생화학적 지표를 살펴보았는가?", "본 연구는 HRV 장비를 사용하여 인체의 생화학적 지표를 살펴보았는가?", "HRV 장비를 이용해 신체 생리적 지표를 살펴본 결과 비팅음 타이어에서 SDNN, HF, TP의 평균값이 증가했나요?", "HRV 장비를 이용해 신체 생리적 지표를 살펴본 결과 비팅음 타이어에서 SDNN, HF, TP의 평균값이 증가했나요?", "HRV 장비를 이용해 타이어 소음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비팅음 타이어 소음에서 TP, SDNN, HF의 평균값이 감소하였나요?", "HRV 장비를 이용해 타이어 소음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비팅음 타이어 소음에서 TP, SDNN, HF의 평균값이 감소하였나요?", "인체 자율신경계에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HF의 평균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나요?", "인체 자율신경계에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HF의 평균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나?", "인체에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HF 측정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나요?", "인체에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HF 측정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나요?",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자율신경계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SDNN, TP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가?",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자율신경계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SDNN, TP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인체의 교감신경계의 생리적 변수들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추정하는가?", "본 연구는 모노럴 비팅음 타이어가 인체의 교감신경계의 생리적 변수들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추정하는가?", "비팅음을 발생시키려면 몇 개의 정확한 순음이 필요한가요?", "비팅음을 발생시키려면 정확한 순음이 몇개 필요한가요?", "명확한 순음은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나요?", "심리적으로 명확한 순음은 긍정적인 반응을 유발하나요?", "순음 발생의 크기를 적절한 양으로 줄이는 일은 타이어 설계 특성상 어려운가?", "타이어 설계 특성상 순음 발생의 크기를 적절한 양으로 줄이는 일은 어려운가?", "일반적으로 타이어가 가져야 하는 피치블록의 숫자는 최소 얼마인가?", "일반적으로 타이어가 가져야 하는 피치블록의 숫자는 최소 얼마여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타이어가 가져야 하는 피치블록의 숫자는 최대 45~50개 이상인가요?", "일반적으로 타이어가 가져야 하는 피치블록의 숫자는 최소 45~50개 이하인가요?", "타이어 회전 속도의 증가는 고주파를 유발하는가?", "타이어 회전 속도의 증가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나요?", "고주파의 기본주파수 순음 소리는 사람들에게 어떤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가?", "고주파의 기본주파수 순음 소리는 사람들에게 어떤 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는가?", "고주파의 기본주파수는 최소 몇 \\( \\mathrm{~Hz} \\) 이상인가요?", "고주파의 기본주파수는 최소 몇 \\( \\mathrm{~Hz} \\) 이상이어야 하나요?", "타이어 소음의 실험 결과, 타이어의 속도별로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이나요?", "타이어 소음의 실험 결과, 타이어의 속도별로 일관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이나요?", "본 연구로 인해 불안정한 순음이 고속에 따른 고주파화 된 순음의 영향인지 또는 종합적으로 변하는 타이어 전체의 배경음이 원인인지 규명하였는가?", "본 연구로 인해 불안정한 순음이 고속에 따른 고주파화 된 순음의 영향인지 또는 종합적으로 변하는 타이어 전체의 배경음이 원인인지 규명되였는가?", "본 실험에서 정량적 측정과 분석을 위해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요?", "본 실험에서 정량적 측정과 분석을 위해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본 실험이 정량적 측정을 기반으로 한 실험이 될 수 없었던 요소는 무엇일까요?", "본 실험이 정량적 측정을 기반으로 한 실험이 될 수 없었던 요소는 무엇인가?", "본 실험이 유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배제해야 할 요인인 무엇일까요?", "본 실험이 유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어떠한 요인을 배제해야 할까요?" ]
ab3f7362-ea77-4d27-bb3a-b09c134ca944
생명LA
양곡보관창고에서 LED 트랩을 이용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의 방제효과
<h1>결과 및 고찰</h1><p>본 연구팀의 이전연구에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의 LED 파장에 따른 주광성 행동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blue \( (470 \pm 10 \mathrm{~nm}) \), green \( (520+5 \mathrm{~nm}) \), yellow \( (590+5 \mathrm{~nm}) \), red \( (625 \pm 10 \mathrm{~nm}) \), UV \( (365 \mathrm{~nm}) \), IR \( (730 \mathrm{~nm}) \) LED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보리나방은 blue LED에 가장 우수한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랑곡나방은 green LED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곡물보관창고 내부와 외부에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제작된 LED 트랩에 각 해충의 유인활성이 나타난 blue LED와 green LED 를 장착해 실험하였다. 이들의 유인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양성 대조구로 BLB를 사용하여 곡물보관창고 내에서 실증실험을 진행하였다. 보리나방은 곡물보관창고에서 blue LED 트랩으로 \(4\)일동안 실험한 결과 내부에서 평균 \( 145.8 \) 마리가 포획되었고, 외부에서 평균 \(248.4\)마리가 포획되었으며 이는 외부에서 내부보다 약 \( 1.7 \) 배 높은 유인활성을 보였다. 반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LB의 경우에는 보리나방에 대한 유인 활성은 나타내었으나 곡물보관창고 내부에서 평균 \(105.1\)마리, 외부에서 평균 \( 105.5 \) 마리로 blue LED보다 내부 약 \( 1.8 \) 배, 외부 약 \( 2.4 \) 배의 낮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화랑곡나방은 곡물보관 창고에서 green LED 트랩으로 \(4\) 일동안 실험을 진행한 결과는 내부에서 평균 \( 120.4 \) 마리, 외부에서 평균 \( 199.1 \)마리가 포획되어서 외부가 내부보다 약 \( 1.7 \) 배 높은 유인활성을 보였다. 대조구로 사용된 BLB는 곡물보관창고 내부에서 평균 \(65.3\)마리, 외부에서 평균 \(94.1\)마리로 화랑곡나방에 대해 유인활성은 나타내었으나 green LED보다 내부 약 \( 1.9 \) 배, 외부 약 \( 2.1 \) 배의 낮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p><p>실내검정에 있어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의 주광성 행동반응은 각각 blue LED와 green LED에서 우수한 유인활성을 나타났으나 실증실험에서는 낮은 유인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곡물보관창고에서 진행된 실증실험이 온도, 습도, 빛, 양분과 같은 환경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곡물보관창고 외부 실험이 내부 실험보다 유인활성이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 모두 약 \(1.7\)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 현상은 내부 실험 중에 먹이에 대한 조건이 저곡해충에 영향을 미쳐 LED 트랩의 유인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에서 보리나방은 blue LED, 화랑곡나방은 green LED 트랩에 대해 유인활성을 보여주었으며, 단파장 LED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과 줄알락명나방 (Cadra cautella)이 창고 실험에서 green light trap과 UV 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단파장 LED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곡물보관창고 실험을 통해 blue LED 트랩은 보리나방, green LED 트랩은 화랑곡나방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BLB보다 우수한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곡물 보관창고의 친환경 해충방제에 적용 가능성을 기대한다.</p><h1>초 록</h1><p>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 성충에 대한 LED 트랩의 곡물보관창고에서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업적 대조구 BLB 트랩과 비교한 실증실험을 통하여 유인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4\)일 후 blue LED 트랩은 보리나방, green LED 트랩은 화랑곡 나방에 대하여 대조구 BLB 트랩보다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곡물보관창고 외부에서 진행한 실험은 내부 실험보다 약 \(1.7\)배 높은 유인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lue LED와 green LED 트랩이 곡물보관창고에서 화랑곡나방과 보리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저곡해충 방제법으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p>
[ "화랑곡나방은 어떤 LED에 가장 우수한 유인결과를 가져왔는가?", "화랑곡나방이 어떤 LED에 대해 가장 우수한 유인결과를 얻었는가?", "본 연구팀의 이전 연구에서 조사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팀이 이전연구에서 조사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blue LED와 green LED 트랩이 곡물보관창고에서 화랑곡나방 및 보리나방을 방제하기 위한 친환경 저곡해충 방제법으로 고려되지?", "BLB의 경우 보리나방에 대한 유인 활성이 blue LED 트랩에 비하여 약 몇 배 낮은 개체수를 포획하였는가?", "Blue LED 트랩에 비해 BLB의 경우 보리나방에 대한 유인 활성이 약 몇 배 낮은 개체수를 포획하였는가?", "BLB의 경우, 곡물보관창고 내부에서 green LED 트랩에 비하여 약 몇 배 낮은 개체수를 포획하였는가?", "실증실험에서 낮은 유인활성을 보여주게된 이유는 어떤 것으로 판단하는가?", "blue 및 green LED 트랩은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BLB보다 유인활동이 우수한가?" ]
f176e61d-94c3-4365-b079-ae08f0fc9758
생명LA
양곡보관창고에서 LED 트랩을 이용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의 방제효과
<p>저곡해충은 곡식의 수입, 유통 및 보관 시에 외부로부터 침입에 의하여 발생하며, 저장창고와 같이 고도로 집적된 공간에서 개체군이 빠르게 성장한다. 이와 같이 소수의 저곡해충 개체의 침입에도 곡식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서 곡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을 위해 저장/유통과정에서 저곡해충의 확실한 방제가 필요하다. 다양한 저곡해충 중에 특히 보리나방 (Sitotroga cerealella)과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은 전 세계적으로 저장곡물, 건과류와 건조채소 등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이다. 보리나방의 유충은 보리, 옥수수 및 밀을 섭취하고 곡물 안에서 서식하여 수확 전 · 후 곡물의 치명적인 손실을 야기한다. 화랑곡나방 유충의 경우에는 저장식품을 섭취하여 양적 피해를 입헐 뿐만 아니라 흰색 실크의 분비와 배설물로 인해 식품의 품질 저하를 유발한다.</p><p>이러한 사유로 저곡해충으로 인한 저장곡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훈증제 및 접촉살충제와 같은 많은 화학적인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주로 메틸브로마이드 \( (\mathrm{CH} 3 \mathrm{Br}) \) 을 사용하였으나 발암, 저항성, 잔류 등의 높은 위험성으로 인해 소량 흡입 시에도 인간의 체내축적이 문제되어 2015년에 사용이 금지되므로서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저곡해충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더불어 화학적 방제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접착트랩, 스트레스 음파 및 특정 광원을 적용한 물리적 해충방제 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고효율, 장수명 및 선택적 파장 조절이 가능하여 친환경 해충방제법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LED의 특정 파장을 이용하여 여러 해충들을 제어하는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으나 곡물보관창고내의 저곡해충에 대한 실험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의 주광성 행동반응을 실험한 이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LED 트랩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곡물보관창고에서 실증실험을 실시하였다.</p><h2>시험해충</h2><p>본 연구에 이용된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로부터 분양 받아 온도 \( 28 \pm 1^{\circ} \mathrm{C} \), 상대습도 \( 70 \pm 5 \% \) 및 광주기 12L:12D 조건으로 항온항습실에서 어떠한 약제처리 없이 누대 사육하였다. 보리나방의 먹이로는 통밀, 보리 및 현미 등을 공급하였으며, 플라스틱 사육상자 \( (\mathrm{W} 45 \times \mathrm{L} 45 \times \mathrm{H} 45 \mathrm{~cm}) \) 에서 사육하며 우화한 유충을 사육하여 성충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화랑곡나방은 플라스틱 사육 상자 \( (\mathrm{W} 80 \times \mathrm{L} 40 \times \mathrm{H} 30 \mathrm{~cm}) \) 에 넣어 사육하였다. 먹이는 쌀겨와 밀가루를 \( 1: 1(\mathrm{w} / \mathrm{w}) \) 의 비율로 섞은 것을 넣어 공급하였다.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된 곡식은 수시로 제거한 후 새로운 먹이를 공급하여 누대 사육하였다.</p><h2>LED 트랩</h2><p>본 연구에서는 Song과 Lee에 의해 고안된 곡물보관창고 내 포집장치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된 LED 트랩을 곡물보관창고내에서 진행한 실증실험을 위해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blue LED \( (470 \pm 10 \mathrm{~nm}) \) 와 green LED \( (520 \pm 5 \mathrm{~nm} \) )는 CR-LED (Guandong, China)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구(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BLB는 Ciellight (Seoul, Korea)사 제품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LED 트랩은 상 하단부에 장착된 LED 광원에 의해 저곡해충을 유인하며, 저곡해충 중에 유시충은 상단부에 흡입력이 강한 팬을 통해 흡입되어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무시충은 하단부에 장착된 LED 광원에 의해 유인되어 포집되도록 설계되었다.</p><h2>유인효과 검정방법</h2><p>본 연구에서 저곡해충 검정실험 실험구는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blue LED는 보리나방, green LED는 화랑곡나방에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구는 BLB를 사용하였으며, LED 트랩은 곡물보관창고 내부와 외부에 빛의 확산/간섭 효과를 고려하여 설치하였다.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에 대한 주광성 행동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곡물보관창고 내부에서 빛, 어둠, 먹이를 조건으로 진행하였으며, 외부에서는 빛과 어둠을 환경조건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해충에 대한 방제를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보리나방과 화랑곡나방 성충 약 300마리를 방사하여 4일간 5반복하여 진행하였으며, 포집망에 포집된 개체수를 파악하여 LED 트랩의 유인효과를 검정하였다.</p><h2>통계분석</h2><p>본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계분석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평균 \( \pm \) 표준오차 또는 백분율( \( (\%) \) 로 결과 값을 표기하였으며, 분산분석(ANOVA)은 이용하여 결과값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사후검정으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를 사용하였다.</p>
[ "저곡해충의 확실한 방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왜 저곡해충의 확실한 방제가 필요한가?", "다양한 저곡해충 중에 특히 누에나방(Bombyx mori)과 로지메이플나방(Dryocampa rubicunda)은 전 세계적으로 저장곡물, 견과류와 건조채소 등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인가?", "전 세계적으로 여러 저곡해충 중 누에나방(Bombyx mori)과 로지메이플나방(Dryocampa rubicunda)은 저장곡물, 견과류와 건조채소 등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인가?", "저곡해충으로 인한 저장곡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떤 방법이 활용되고 있는가?", "저곡해충으로 인한 저장곡물의 피해를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 "메틸브로마이드는 왜 2015년에 사용이 금지되었는가?", "2015년에 메틸브로마이드가 사용 금지된 이유는 무엇인가?", "광원을 이용한 해충 방제 연구에서 LED의 장점은 무엇인가?", "해충 방제 연구 중 광원을 사용한 방제법에서 LED가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blue LED는 화랑곡나방, green LED는 보리나방에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구는 BLB를 사용했지?", "이 연구에서는 화랑곡나방에는 blue LED를, 보리나방에는 green LED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구로는 BLB를 사용하였는가?", "곡물보관창고 내 포집장치를 고안한 인물은 누구인가?", "누가 곡물보관창고 내 포집장치를 고안하였는가?", "저곡해충 중에 유시충이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할 때 사용한 기구는 무엇인가?", "어떤 기구를 통해 유시충을 포집망에 포집하였는가?", "LED 트랩의 유인효과를 어떻게 검증하였는가?", "어떤 검증절차로 LED 트랩의 유인효과를 확인하였는가?" ]
74200574-00b6-4312-9954-f99ec6e8ad6a
생명LA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h1>초 록</h1><p>소음상황에서의 어음 이해 능력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Hearing In Noise Test(HINT) 도구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이 유용한 도구가 초기의 기대와 달리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정상 청력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양이에서 들어오는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특히 배경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 듣기는 더욱 어려워진다. 하지만, 어음이해에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노인 인구들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도구들이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법이 근거하고 있는 기전에 있는 인지적 특성과 임상에서의 문제점을 분 석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본 임상 사례로 정상 청력을 가진 20 대와 70 대의 대표적 HINT점수를 비교하고, 소음이 어떤 조건에서 제시되는가에 따른 문장 인지 특징을 조명하였다. 대상자의 HINT score 는 Quiet(Q), Noise Front(NF), Noise Right(NR), Noise Left(NF) 조건에서 분석되었다. 여러 임상적 관점에서 유용한 점은 배경 소음이 있을 때 노인의 경우 청년보다 더 많은 신호대잡음비를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량적 변수를 보여주고, 양이차폐감소차이(Binaural Masking Level Difference, BMLD) 효과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효과적 임상적 적용에는 세부 연령대별 비교 가능한 표준 자료가 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유용성 확인과 함께 임상 관련 개선점을 제시하였다.</p>
[ "소음상황에서의 어음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
f68ec6d3-25ab-4615-811c-146efd1413d1
생명LA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h1>Ⅱ. HINT 소개</h1><p>HINT 장비는 Bio-logic 사의 HINT Pro를 사용했고, \( 30 \mathrm{dBA} \) 이내 소음 수준을 보이는 방음실 안에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시 조건은 총 네 가지로 Quiet(Q), Noise Front (NF), Nosie Right (NR), Noise Left (NL)에서 실시한다. 먼저 Q 상황에서 RTS 를 구하고, 어음은 front 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음 조건을 NF, NR, NL 로 조절하였다.</p><p>두 대상자 모두 HINT 검사 전 청력검사를 시행해 임상적으로 청력이 정상 범위(순음 청력검사 평균 \( 25 \mathrm{dBHL} \) 이내)인지를 확인했으며, 청력검사 장비는 GN resound 사의 Aurical을 사용했다. HINT 검사는 헤드폰과 스피커(soundfield) 모두에서 측정했다. 음장검사 시 조건은 두 개의 스피커는 \( 90^{\circ} \) 의 앵글의 유지하고, 대상자의 머리가 스피커에서 \( 1 \mathrm{m} \) 거리에서 정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정상 청력을 가진 20대와 70 대로, 건국대학교병원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지침을 따라 검사를 진행하였다.</p><p>HINT 검사에 사용되는 문장 목록은 총 12 개로 각 검사 조건 별로 무작위하게 하나의 목록을 선택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p><h1>Ⅲ. 결과 해석</h1><p>조용한상황(Q)에서 RTS 는 20 대가 \( 16.5 \mathrm{dB}\), 70 대는 \( 28.6 \mathrm{dB} \) 로 같은 정상 청력을 갖고 있더라도 연령이 높은 70 대의 문장인지 역치가 20 대보다 \( 12 \mathrm{dB} \) 정도 높게 나타났다. 소음이 있는 상황(NF, NR, NL) 에서의 SNR 은 70대가 20 대보다 diotic 상황(NF)에서는 헤드폰일 경우 \( 3 \mathrm{dB} \), 음장검사에서는 \( 1.7 \mathrm{dB} \) 가 더 필요했다. 신호와 소음이 분리되는 dichotic한 상황(NR, NL)에서의 SNR 차이는 70 대가 20 대보다 헤드폰일 경 우 \( 3 \mathrm{dB} \), 음장검사일 경 우 NR 7\(\mathrm{dB}\), NL 6\(\mathrm{dB} \) 를 더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p>같은 대상자라도 헤드폰과 음장검사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20대와 70대 모두 헤드폰으로 검사 시 SNR이 더 낮게 나타났다, 다만 20대의 경우 NR 상황에서 헤드폰과 스피커로 검사 시 \( -10.7 \mathrm{dB} \), \( -12.6 \mathrm{dB} \) 로 약 \( 2 \mathrm{dB} \) 의 차이를 보였으나, NL 에서는 \( -10.9 \mathrm{dB}\), \(-11 \mathrm{dB} \) 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70대에서는 NR, NL 모두 헤드폰으로 검사 시 더 낮게 나타났다.</p><p>실험 결과 같은 정상범위의 청력을 갖고 있더라도 연령이 높은 대상자의 문장인지 역치가 20 대의 문장 인지 역치보다 더 높았고, 소음 상황에서도 더 많은 SNR 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화가 소음 상황에서 문장인지에 영향을 미치며, 신호와 소음이 동시에 제공되는 상황보다는 분리되는 상황에서 젊을수록 더 잘 이해한다는 것이다. 즉, 두 그룹 모두에서 BMLD가 있었으나, 이 효과도 노화로 인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결과이다.</p>
[ "HINT 검사에 사용되는 문장 목록의 수는 몇개인가?" ]
5f37cc3a-aed5-413b-80e4-1adcc5f5d3c8
생명LA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h1>IV. 고찰 및 결론</h1><p>노화로 인한 난청의 경우 보청기나 인공와우 같은 보장구를 통해 청력손실을 보완하고 있으나, 보장구 착용 후 재활은 문장인지와 언어이해와 같은 의사소통과정을 통한 직접적 중추 정보처리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신호와 잡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능력은 노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대표적 기능 중 하나이다. HINT 검사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측정할 수 있음으로 보장구 착용 전 HINT 검사를 통해 문장인지정도와 소음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SNR 를 확인해 중추의 기능을 확인해보고, 보장구 착용 후의 재활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는 점도 HINT 검사의 유용성이라 할 수 있다.</p><p>다행히 한국어 버전에 맞는 HINT 평가 내용이 마련은 되어 있으나, 추가 연령별 표준화 과정이 필요하다. 언어별로 준거 기준이 다를 수 있어 외국의 결과를 그대로 쓸 수는 없으므로 모든 임상 클리닉이 동의하는 세부 연령대별 표준화 자료가 필요하다. 연령별 준거 기준이 필요한 이유는 사춘기 전까지는 이런 기능이 성장하다가 노화가 진행이 되면 다시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영유아나 노화기에 있는 피검자들 모두 HINT 지표가 악화된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모두가 동의하는 정량화된 HINT 정상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표준이 국내 자료에 아직 없음이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 중 하나로 판단된다. 이러한 준거 기준의 마련은 여러 전문가 그룹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p><p>또한 각종 난청에 대한 유형별 세부 HINT 조사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예가 노인성 난청이다. 이미 노인성 난청은 여러 형태가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어음 관련 지표가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단순 평균 비교는 큰 의미가 없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는 여러 임상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검사 장비의 측면에서도 음장 자극을 사용하는 경우 일부 고령자에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어 임상에서 보다 간편하게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가능하다면 헤드폰을 좀더 정교하게 사용하는 것이 보완책이 될 수가 있다. 이러한 사항들이 개선되면 검사 시간이 비교적 짧고, 방법이 간단한 HINT 검사는 노인인구의 중추 청각처리능력을 평가하고 선별하는데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p>
[ "이 글에서 언급한 유형별 세부 HINT 조사가 필요한 난청은 무엇인가?" ]
5dbc4bf7-fca7-48e8-996f-3e5aaa67089b
생명LA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β반응속도에 미치는 일가양이온의 영향
<h1>요 약</h1><p>대장균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 \beta \)반응의 빠른 속도 반응에 일가 양이온의 영향을 D56N과 D56G 잔기치환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일가 양이온을 처리하였을 때 생성되는 중간반응 생성물의 생성과 분해 속도가 영향을 받았다. 56번 자리 잔기치환체도 야생형에 비해 반응의 중간산물의 생성과 분해에 있어 모두 느린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잔기 치환체에 미치는 일가 양이온의 영향 또한 달라졌다. 이 결과는 대장균의 효소에서도 56번 잔기가 이소조절에 관여하고 있고, 이 과정에서 일가 양이온들이 이소조절 리간드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p>
[ "언제 생성되는 중간반응 생성물의 생성과 분해 속도가 영향을 받는가?", "대장균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 \\beta \\)반응의 빠른 속도 반응에 일가 양이온의 영향은 어떤것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는가?", "대장균 효소에서 이소조절에 관여하는 잔기는?" ]
3eed01b8-4e78-4d18-8a5a-8e50b355eb64
생명LA
트립토판 합성효소의 β반응속도에 미치는 일가양이온의 영향
<h1>재료 및 방법</h1><h2>효소와 시약</h2><p>모든 시약은 순도가 높은 것(ultra pure)을 Sigm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p><h2>박테리아 균주 및 풀라스미드</h2><p>대장균 균주 RB797 (F' laci" proL8/arg Nal' Rif recA sup lacproⅫⅠ)는 야생종 또는 돌연변이 trpA 유전자와 정상적인 trpB 유전자를 포함한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다. 야생종과 D56E, D56G 그리고 D56N 돌연변이 트립토판 중합효소 \( \alpha\)소단위체의 trpA gene은 암피실린에 저항성을 보이는 \( \beta \)-lactamase 유전자를 플라스미드에 가지고 있다. trpA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플라스미드 ptactrpA는 단백질의 대량발현 과정에 사용하였다. trpA 유전자는 D-젖당에 의해 대량발현이 유도되는 tac 전사조절인자를 가지고 있다.</p><h2>단백질의 과량 발현 및 분리</h2><p>야생형 및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대장균 RB797에서 발현하고 분리하였다. 야생형 및 잔기치환 단백질들을 과량 발현시키고 분리한 방법은 이미 보고된 방법에 따랐다. 황산암모늄\( \left(\left(\mathrm{NH}_{4}\right)_{2} \mathrm{SO}_{4}\right) \) 침전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분리 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는 SDS-PAGE을 실시하여 Coomassie Brilliant Blue R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순수 정제된 야생형의 \( \alpha \)소단위체의 농도는 \( \mathrm{E}^{1 \%}{ }^{278 \mathrm{~nm}}\)=\(4.4 \), \( \beta \)소단위체의 경우 \( \mathrm{E}^{1 \%}{ }^{17 \mathrm{nnm}}\)=\(6.5 \) 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잔기치환 단백질의 경우에는 야생형을 표준으로 microbiuret 방법을 사용하였다.</p><h2>빠른 \( \beta \)반응 속도 측정</h2><p>단백질 용액 \( (10 \mu \mathrm{M}) \)을 \( 40 \mathrm{mM} \) 세린 또는 \( 0.5 \mathrm{mM} \) 인돌린 용액을 stopped flow로 섞어주고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용액은 모두 \( 50 \mathrm{mM} \) TEA buffer \( (\mathrm{pH} \7.8) \) 용액이었다. 일가 양이온의 영향은 \( 100 \mathrm{mM} \mathrm{~NaCl}\), \(100 \mathrm{mM} \mathrm{~KCI}\) 또는 \(50 \mathrm{mM} \mathrm{~NH}{ }_{4} \mathrm{Cl} \) 을 양쪽 용액에 첨가하여 조사하였다.</p>
[ "모든 시약은 어떻게 사용되었어?", "모든 시약은 어떤 방식으로 쓰여?", "trpA 유전자는 무엇에 의해 tac 전사조절인자를 가지고 있어?", "trpA 유전자는 무엇으로 tac 전사조절을 해?", "야생형 및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무엇에 의해 발현하고 분리하였어?", "야생형 및 돌연변이 단백질들 발현하고 나뉘는 것은 어떤 것때문이야?", "잔기치환 단백질의 경우 야생형을 표준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했어?", "야생형 표준으로 잔기치환 단백질은 어떤 방법으로 했어?",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는 어떻게 판명했어?", "어떤 방식으로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를 판명하지?", "일가 양이온의 영향은 어떻게 조사했어?", "어떤 방식으로 일가 양이온의 영향을 조사했는가?", "단백질 용액 \\( (10 \\mu \\mathrm{M}) \\)의 변화를 어떻게 관측했어?", "어떤 방식으로 단백질 용액 \\( (10 \\mu \\mathrm{M}) \\)의 변화를 관찰했어?", "야생형 및 잔기치환 단백질들은 어떻게 분리 되었어?", "어떤 방식으로 야생형 및 잔기치환 단백질들을 분리하였는가?", "\\( \\alpha \\)소단위체의 농도는 뭘 사용하여 결정 되었어?", "무엇을 이용하여 \\( \\alpha \\)소단위체의 농도를 정했어?", "ptactrpA는 언제 사용되었어?", "ptactrpA는사용한 시기는 언제인가?" ]
f2b0e366-33e2-4dcd-961a-6827d98d70d4
생명LA
Penicillin G amidase생산을 위한 재조합 대장균의 유가배양에 관한 연구
<h1>요 약</h1><p>Penicillin G amidase(PGA, benzylpenicillinamidohydro-lase, EC 3.5.1.11)는 penicillin G를 phenylacetic acid(PAA) 와 6-aminopenicillanic acid(6-APA)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Escherichia coli(E. coli) ATCC 11105 의 PGA는 \(24 \mathrm{kDa}\)의 small subunit과 \(65 \mathrm{kDa}\)의 large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고, precursor polypeptide에서 signal peptide와 spacer peptide 가 절단되어 활성을 가진 heterodimer가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ATCC 11105에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증폭한 pga gene을 expression vector에 넣어 pET-pga plasmid를 제작하였고, 이것을 E. coli BL21 (DE3) 균주에 형질 전환하여 PGA를 발현하고 그 활성을 분석하였다. E. coli BL21(DE3)/pET-pga 균주의 고밀도 배양액을 SDS-PAGE로 분석했을 때, PGA의 precursor, large subunit, 그리고 small subunit으로 보이는 protein band가 나타났으며, PGA가 soluble form의 precursor로 발현되어 processing을 거쳐서 large subunit과 small subunit으로 절단되기도 하고, 일부는 insoluble form의 precursor로 발현되기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가배양시 온도변화 전략을 사용하여 고농도 배양에서 발현을 유도하였다. 온도변화 전략은 \( 37^{\circ} \mathrm{C} \) 에서 \( 28^{\circ} \mathrm{C} \) 를 거쳐 \( 22^{\circ} \mathrm{C} \) 로 3단계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전략으로 PGA 활성은 \( 19.6 \mathrm{U} / \mathrm{mL} \) 이며 균체량은 \( 600 \mathrm{nm} \) 에서 흡광도가 62까지 도달하였다.</p>
[ "penicillin G를 phenylacetic acid(PAA) 와 6-aminopenicillanic acid(6-APA)로 어떻게 하는 효소야?", "온도변화 전략으로 흡광도는 몇까지 도달했어?", "균주에 형질 전환하여 발현한 것은?", "PGA는 24 \\mathrm{kDa}24kDa의 small subunit과 65 \\mathrm{kDa}65kDa의 어떻게 구성되어 있어?", "유가배양시 사용한 전략은 뭐야?", "유가배양시 온도변화를 몇단계로 변화 시켰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증폭한 pga gene을 expression vector에 넣어 제작한건 뭐야?", "일부는 insoluble form의 precursor로 어떻게 되는 거야?" ]